KR20080063561A -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3561A
KR20080063561A KR1020070000127A KR20070000127A KR20080063561A KR 20080063561 A KR20080063561 A KR 20080063561A KR 1020070000127 A KR1020070000127 A KR 1020070000127A KR 20070000127 A KR20070000127 A KR 20070000127A KR 20080063561 A KR20080063561 A KR 20080063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air
air conditioner
heat
thermoelectric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0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4891B1 (ko
Inventor
김동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0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4891B1/ko
Publication of KR20080063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3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4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4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42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of thermo-electric units or the Peltier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열전소자에 의해서 실내의 냉난방이 수행되도록 하는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외형을 이루며,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흡입구 및 토출구의 사이에 위치되어 유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유로 형성부; 상기 유로 상에 제공되는 송풍팬; 및 상기 유로 형성부에 제공되어 상기 토출구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시키는 열전소자가 포함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 냉난방이 열전소자에 의해서 이루어짐에 따라 기존의 냉난방을 위한 실내기 및 실외기가 없어도되어 구조가 간단해지고, 비용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열전소자

Description

공기 조화기{Air conditio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구조를 보여주는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서 일부 열전소자가 작동되는 경우의 공기의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서 모든 열전소자가 작동되는 경우의 공기의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케이싱 120 : 송풍팬
130 : 제 1 열전소자 유닛 140 : 제 2 열전소자 유닛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열전소자에 의해서 실내의 냉난방이 수행되도록 하는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시켜 냉각 또는 가열하며, 상기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도록 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공기 조화기는 일련의 열교환 사이클에 의해서 공기를 조화시키도록 구성된다.
상세히, 공기 조화기의 열교환사이클은 압축기와 실내 열교환기, 실외 열교환기, 팽창밸브 및 전환 밸브가 포함된다.
상기 압축기는 열교환사이클을 순환하는 작동유체를 압축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실내 열교환기와 실외 열교환기는 그 내부를 유동하는 작동 유체와 각각 실내 공기 또는 실외 공기를 열교환시킨다. 또한, 상기 팽창 밸브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 또는 실외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작동 유체를 감압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전환 밸브는 공기 조화기의 동작모드에 따라서 열교환사이클을 순환하는 작동 유체의 방향을 제어한다. 다시 말하면, 공기 조화기의 냉방 운전 또는 난방 운전에 따라서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작동 유체가 상기 전환 밸브에 의하여 상기 실내 열교환기와 실외 열교환기에 선택적으로 공급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 의하면, 압축-응축-팽창-증발이라는 일련의 열교환 사이클에 의해서 냉방 또는 난방이 수행되므로, 실내기 및 실외기로 구성되어 구조가 복잡하고, 압축기의 사용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고, 냉매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간 단한 구조에 의해서 실내의 냉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공기 조화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품의 작동 소음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공기 조화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냉매의 사용 없이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실내의 냉난방이 수행되도록 하는 공기 조화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외형을 이루며,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흡입구 및 토출구의 사이에 위치되어 유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유로 형성부; 상기 유로 상에 제공되는 송풍팬; 및 상기 유로 형성부에 제공되어 상기 토출구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시키는 열전소자가 포함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는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유동되는 제 1 유로; 상기 제 1 유로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제 2 유로; 상기 제 1 유로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냉각 또는 가열되도록 하는 복수의 열전소자; 실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 및 상기 온도 감지부의 감지 온도 정보에 따라 상기 각 열전소자의 작동 및 상기 유로 간의 연통 여부가 조절되도록 하는 제어부가 포함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 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외형을 이루는 케이싱(101)과, 상기 케이싱(101)의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배리어(102)와, 상기 케이싱(101) 내부로 공기가 흡입 및 토출되도록 하는 흡입구 및 토출구와,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시키는 열전소자 유닛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케이싱(101)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리어(102)는 상기 케이싱(101) 내부에 좌우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싱(101)의 내부 공간을 상하 두 개의 공간으로 구획한다.
따라서, 상기 케이싱(101)의 내부는 상기 배리어(102)에 의해서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으로 구획되며, 상기 하부 공간에는 실내의 냉방 또는 난방을 위한 공기가 유동된다.
한편, 상기 배리어(102)의 하측 공간에는 상기 공간으로 흡입된 공기의 유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유로 형성부(103)가 제공된다.
상기 유로 형성부(103)는 상기 케이싱(101) 내부에 좌우로 형성되어, 상기 하측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여 공기의 유동 경로가 대략 "ㄷ" 자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유로 형성부(103)에 의해서 형성되는 유로를 제 1 유로(105)라 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01)의 일측 중간부에는 상기 제 1 유로(105)로 공기가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01)의 일측 하단부에는 상기 제 1 유로(105)의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구(112)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구(111)를 통하여 상기 제 1 유로(105)로 흡입된 공기는 그 유로 내부에서 냉각 또는 가열되어 상기 토출구(112)를 통하여 실내로 토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유로(105)의 내부,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흡입구(111)의 내측에는 공기가 강제 송풍되도록 하는 송풍팬(120)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각 송풍팬(120)은 횡류팬이 사용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상기 배리어(102)에는 한 쌍의 댐퍼가 제공된다. 상세히, 상기 댐퍼는 상기 제 1 유로(105) 상의 공기가 상측 공간부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하는 제 1 댐퍼(152)와, 상기 상측 공간부로 흡입된 공기가 다시 상기 제 1 유로(105)로 토출되도록, 상기 흡입구(111) 측에 위치되는 제 2 댐퍼(154)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댐퍼(152, 154)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모터에 의해서 회전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각 댐퍼(152, 154)가 개방되면, 상기 제 1 유로(105) 상의 공기는 상기 상측 공간부로 유입되고, 상기 상측 공간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흡입구(111) 측에서 다시 상기 제 1 유로(105)로 토출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각 댐퍼(152, 154)의 개방에 의해서 상기 제 1 유로(105)와 별도의 유로가 형성되며, 이는 제 2 유로(106)라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2 유로(106)는 실질적으로 상기 케이싱(101) 내부에서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므로, 순환 유로라고도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댐퍼(152, 154)의 개방은 냉방시 실내 온도 온도가 높거나, 난방시 실내 온도 온도가 낮은 경우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유로 형성부(103)에는 제 1 열전소자 유닛(130)이 제공되고, 상기 배리어(102)에는 제 2 열전소자 유닛(140)이 제공된다.
상기 열전소자(Thermoelectric element)는 두 종류의 금속을 접촉시키고, 접합부로 전류를 흘려보내면, 전류 방향에 따라 한쪽 단자는 흡열하고, 다른 쪽 단자는 발열을 일으키는 현상인 펠티어 효과(Peltier effect)를 이용한다. 그리고, 상기 열전소자는 전류량을 적절히 조절하여 원하는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2 열전소자 유닛(140)은 상기 흡입구(111)에 가깝게 위치되고, 상기 제 1 열전소자 유닛(130)은 상기 흡입구(111)의 타측에 가깝게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열전소자 유닛(130)은 제 1 열전소자(132)와, 상기 제 1 열전소자(132)와 접촉되어 상기 제 1 열전소자(132)에서 발생되는 냉기 또는 열기가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제 1 열교환 핀(134)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열전소자 유닛(140)은 제 2 열전소자(142)와, 상기 제 1 열전소자(142)와 접촉되어 상기 제 2 열전소자(142)에서 발생되는 냉기 또는 열기가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제 2 열교환 핀(144)으로 구성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제 1 열전소자(132)는, 상기 토출구(112) 측에 위치되는 제 1 부재(132a)와 상기 제 1 부재(132a)와 접촉되며, 상기 흡입구(111) 측에 위치되는 제 2 부재(132b)가 포함된다. 즉, 상기 흡입구(111)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 2 부재(132b)를 지난 후에 상기 제 1 부재(132a)를 지난다.
그리고, 상기 제 1 부재(132a) 측에는 제 1 핀(134a)이 제공되고, 상기 제 2 부재(132b) 측에는 제 2 핀(134b)이 제공된다.
반면, 상기 제 2 열전소자(142)는 상기 제 2 부재(132b)와 마주보는 위치에 제공되는 제 3 부재(142a)와 상기 제 3 부재(142a)와 접촉되며, 상기 케이싱(101)의 내부 상면을 향하는 위치에 제공되는 제 4 부재(142b)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 3 부재(142a) 측에는 제 3 핀(144a)이 제공되고, 상기 제 4 부재(142b) 측에는 제 4 핀(144b)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각 부재는 전류의 흐름 방향에 따라 방열부 또는 냉각부의 역할을 각각 하게 된다.
즉, 상기 열전소자(132, 142)로 정방향 전류가 흐르면, 상기 제 1 부재(132a) 및 제 3 부재(142a)는 냉기를 발생시키는 냉각부의 역할을 하고, 상기 제 3 부재(132b) 및 제 4 부재(142b)는 열기를 발생시키는 방열부의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핀(134a) 및 제 3 핀(144a)은 냉각핀의 역할을 하고, 상기 제 3 핀(134b) 및 제 4 핀(144b)은 방열핀의 역할을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구조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210)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220)와, 팬 등을 구동시키는 구동부(230)와, 상기 온도 감지부(220)에 의해서 감지된 온도 정보에 따라 상기 각 열전소자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0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온도 감지부(220)는 실내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200)로 전송한다.
상기 구동부(230)는 상기 전원 공급부(210)에서 공급된 전원에 의해서 상기 송풍팬(120) 및 댐퍼(152, 154)가 구동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온도 감지부(220)에 의해서 감지된 정보에 따라 상기 열전소자가 동시에 작동되도록 하거나, 어느 하나 만이 작동되도록 한다.
즉, 냉방시 실내 온도가 낮은 경우 상기 제 1 열전소자(132) 만이 동작되도록 하고, 실내 온도가 높은 경우 상기 각 열전소자(132, 142)가 동시에 동작되도록 한다.
반면, 난방시 실내 온도가 높은 경우 상기 제 1 열전소자(132) 만이 동작되도록 하고, 실내 온도가 낮은 경우 상기 각 열전소자(132, 142)가 동시에 작동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각 열전소자(132, 142)가 동시에 동작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각 댐퍼(152, 154)가 개방되도록 하여, 상기 제 1 유로(105)와 제 2 유로(106)가 연통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냉방 또는 난방 모드에 따라 상기 열전소자(132, 142)로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조절되도록 한다.
즉, 냉방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열전소자(132, 142)로 전류가 정방향으로 흐르도록 하고, 난방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열전소자(132, 142)를 전류가 역방향으로 흐르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열전소자(132, 142)로 흐르는 전류량을 조절하여 상기 열전소자(132, 142)의 흡열 또는 방열 작용의 정도가 조절되도록 한다. 즉, 상기 냉방 또는 난방시 상기 열전소자(132, 142)로 흐르는 전류량을 조절하여 실내 온도가 설정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상기 각 열전소자(132, 142)로는 동일 크기의 전류가 공급될 수 있고 다른 크기의 전류가 공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공기 조화기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서 일부 열전소자가 작동되는 경우의 공기의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서 모든 열전소자가 작동되는 경우의 공기의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냉방시 실내 온도가 낮거나, 난방시 실내 온도가 높은 경우 상기 제 1 열전소자(132) 만이 동작되고, 공기는 상기 제 1 유로(105) 내부 만을 유동하게 된다. 즉, 상기 댐퍼(152, 154)가 폐쇄되어 상기 제 2 유로(106)와 상기 제 1 유로(105)가 연통되지 않는다.
상세히, 먼저 냉방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온도 감지부(220)에서 온도가 감지되고, 상기 감지된 온도가 상기 제어부(200)로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0)는 감지된 온도값과 제 1 기준값을 비교한다. 그리고, 비교 결과 감지된 온도값이 제 1 기준값 이하가 되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 1 열전소자(130)에만 전류가 흐르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230)에 의해서는 상기 송풍팬(120)이 회전된다. 그리 고, 상기 송풍팬(120)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흡입구(111)를 통하여 상기 제 1 유로(105)로 공기가 흡입된다.
이 때, 상기 제 1 열전소자(132)로는 전류가 정방향으로 흘러, 상기 제 1 부재(132a)는 흡열 작용을 수행하고, 상기 제 2 부재(132b)는 방열 작용을 수행한다.
그러면, 상기 제 1 흡입구(111)를 통하여 상기 제 1 유로(105)로 흡입된 공기는 도 4에서 볼 때 좌측으로 이동되면서 방열 작용을 하는 상기 제 2 부재(132b)가 냉각되도록 한다. 그리고, 유동 방향이 전환되어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 1 핀(134a)과 접촉되어 저온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저온 상태의 공기는 상기 토출구(112)를 통하여 실내로 토출된다.
따라서, 토출되는 저온의 공기에 의해서 실내의 냉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방열부에서 지속적으로 열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열전소자(132) 자체의 저항값이 상승하여 상기 열전소자(132)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어 적절한 냉각이 요구된다.
그리고, 상기 흡열부의 성능은 상기 방열부의 냉각 성능에 의존된다. 즉, 상기 방열부의 냉각이 원활히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흡열부의 성능이 향상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흡입구(111)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방열부의 기능을 하는 상기 제 2 부재(132b) 측을 먼저 통과하도록 하여 상기 제 2 부재(132a)가 냉각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 2 부재(132b)의 냉각 성능이 향상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 1 부재(132a)의 성능이 향상되도록 한다.
반면, 난방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온도 감지부(220)에서 온도가 감지되고, 상기 감지된 온도가 상기 제어부(200)로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0)는 감지된 온도값과 제 2 기준값을 비교한다. 그리고, 비교 결과 감지된 온도값이 제 2 기준값 이상이 되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 1 열전소자(130)에만 전류가 흐르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230)에 의해서는 상기 송풍팬(120)이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풍팬(120)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흡입구(111)를 통하여 상기 제 1 유로(105)로 공기가 흡입된다.
이 때, 상기 제 1 열전소자(132)로는 전류가 역방향으로 흘러, 상기 제 2 부재(132b)는 흡열 작용을 수행하고, 상기 제 1 부재(132a)는 방열 작용을 수행한다.
그러면, 상기 제 1 흡입구(111)를 통하여 상기 제 1 유로(102)로 흡입된 공기는 도 4에서 볼 때 좌측으로 이동되면서 방열 작용을 하는 상기 제 2 핀(134b)를 지나면서 저온 상태가 된다. 그리고, 유동 방향이 전환되어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 1 핀(134a)과 접촉되어 고온 상태가 된다. 그리고, 고온 상태의 공기는 상기 토출구(112)를 통하여 실내로 토출된다.
따라서, 토출되는 고온의 공기에 의해서 실내의 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냉방시 실내 온도가 높거나, 난방시 실내 온도가 낮은 경우 상기 제 1 열전소자(132) 및 제 2 열전소자(142)가 동시에 동작된다. 그리고, 상기 댐퍼(152, 154)는 개방되어 상기 제 2 유로(106)와 상기 제 1 유로(105)가 연통된다.
먼저, 냉방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온도 감지부(220)에서 온도가 감지되고, 상기 감지된 온도가 상기 제어부(200)로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0)는 감지된 온도값과 제 1 기준값을 비교한다. 그리고, 비교 결과 감지된 온도값이 제 1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 1 열전소자(132) 및 제 2 열전소자(142)로 전류가 흐르도록 한다.
즉, 상기 감지된 온도값이 상기 제 1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실내의 온도를 충분히 낮춰야 하므로, 상기 각 열전소자(132, 142)로 전류가 흘러 냉방 성능이 보다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230)에 의해서는 상기 송풍팬(120)이 회전되고, 상기 댐퍼(152, 154)가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120)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흡입구(111)를 통하여 상기 제 1 유로(105)로 공기가 흡입된다.
이 때, 상기 제 1 열전소자(132) 및 제 2 열전소자(142)로는 전류가 정방향으로 흘러, 상기 제 1 부재(132a) 및 제 3 부재(142a)는 흡열 작용을 수행하고, 상기 제 2 부재(132b) 및 제 4 부재(142b)는 방열 작용을 수행한다.
그러면, 상기 제 1 흡입구(111)를 통하여 상기 제 1 유로(105)로 흡입된 공기는 도 4에서 볼 때 좌측으로 이동되면서 먼저 흡열 작용을 하는 상기 제 3 핀(144a)과 접촉된다. 그러면, 상기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 3 핀(144a)을 지나면서 저온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저온 상태의 공기는 상기 제 2 핀(134b)을 지나면서 방열 작용을 하는 제 2 부재(132b)가 냉각되도록 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흡열부의 성능은 방열부의 성능에 의존되는데, 본 발명과 같이 상기 방열부가 저온 상태의 공기에 의해서 냉각되므로, 상기 방열 부의 냉각 성능이 보다 향상되고, 이에 따라 상기 흡열부의 성능이 보다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부재(132b)를 지난 공기 중의 일부는 유동 방향이 전환되어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 1 핀(134a)과 접촉되어 저온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저온 상태의 공기는 상기 토출구(112)를 통하여 실내로 토출된다.
따라서, 토출되는 저온의 공기에 의해서 실내의 냉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제 2 부재(132b)를 지난 공기 중의 다른 일부는 상기 제 2 유로(106)로 유입된다. 그리고, 도 5에서 볼 때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 4 핀(144b)과 접촉되어 상기 제 4 부재(142b)가 냉각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 4 부재(142b)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흡입구(111) 측에서 상기 제 1 유로(105)로 토출된다.
한편, 난방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온도 감지부(220)에서 온도가 감지되고, 상기 감지된 온도가 상기 제어부(200)로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0)는 감지된 온도값과 제 2 기준값을 비교한다. 비교 결과 감지된 온도값이 제 2 기준값 이하가 되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 1 열전소자(132) 및 제 2 열전소자로 전류가 흐르도록 한다. 즉, 상기 감지된 온도값이 상기 제 2 기준값 이하가 되는 경우 실내의 온도를 충분히 높여주어야 하므로, 상기 각 열전소자(132, 142)로 전류가 흘러 난방 성능이 보다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230)에 의해서는 상기 송풍팬(120)이 회전되고, 상기 댐퍼(152, 154)가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120)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흡입구(111)를 통하여 상기 제 1 유로(105)로 공기가 흡입된다.
이 때, 상기 제 1 열전소자(132) 및 제 2 열전소자(142)로는 전류가 역방향으로 흘러, 상기 제 2 부재(132b) 및 제 4 부재(142b)는 흡열 작용을 수행하고, 상기 제 1 부재(132a) 및 제 3 부재(142a)는 방열 작용을 수행한다.
그러면, 상기 제 1 흡입구(111)를 통하여 상기 제 1 유로(105)로 흡입된 공기는 도 4에서 볼 때 좌측으로 이동되면서 먼저 방열 작용을 하는 상기 제 3 핀(144a)과 접촉된다. 그러면, 상기 제 3 부재(142a)는 냉각되고, 상기 고온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고온 상태의 공기는 흡열 작용을 하는 상기 제 2 부재(132b)를 지난다. 그리고, 상기 제 2 부재(132b)를 통과한 공기 중의 일부는 유동 방향이 전환되어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 1 핀(134a)과 접촉되어 고온 상태가 된다. 그리고, 고온 상태의 공기는 상기 토출구(112)를 통하여 실내로 토출된다.
이 때, 상기 흡입구(111)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방열 작용을 하는 상기 제 3 부재(142a)를 지나면서 온도가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부재(132b)를 지나므로, 상기 제 2 부재(132b) 만을 통과한 공기의 온도 보다 상기 제 3 부재(142b)를 먼저 통과한 후 제 2 부재(132b)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가 더 높다.
이에 따라 결과적으로 온도가 높은 공기가 상기 제 1 부재(132b)를 통과하므로,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높게 되어 실내의 난방이 원활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2 부재(132b)를 지난 공기 중의 다른 일부는 상기 제 2 유로(106)로 유입된다. 그리고, 도 5에서 볼 때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 4 핀(144b)을 통과한 후에 상기 흡입구(111) 측에서 상기 제 1 유로(105)로 토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의 열전소자가 구비되고, 실내 온도 부하에 따라 상기 각 열전소자의 작동이 제어되어 보다 효과적이고 신속하게 실내의 냉방 또는 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 냉난방이 열전소자에 의해서 이루어짐에 따라 기존의 냉난방을 위한 실내기 및 실외기가 없어도되어 구조가 간단해지고, 비용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열전소자에 의해서 실내 냉난방이 수행됨에 따라 환경에 악영향을 주는 냉매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압축기가 사용되지 않음에 따라 압축기의 작동시 발생되는 소음이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외형을 이루며,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흡입구 및 토출구의 사이에 위치되어 유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유로 형성부;
    상기 유로 상에 제공되는 송풍팬; 및
    상기 유로 형성부에 제공되어 상기 토출구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시키는 열전소자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소자는 상기 배리어의 일측에 제공되는 제 1 부재와, 상기 제 1 부재와 접촉되며 상기 배리어의 타측에 제공되는 제 2 부재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 측에는 제 1 핀이 제공되고, 상기 제 2 부재 측에는 제 2 핀이 제공되는 공기 조화기.
  4. 제 2 항에 있어서,
    냉방 모드시, 상기 열전소자로 전류가 정방향으로 흘러 상기 제 1 부재는 흡열 작용을 하고 상기 제 2 부재는 방열 작용을 하며,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 2 부재 측으로 지난 후에 상기 제 1 부재 측을 지나는 공기 조화기.
  5. 제 2 항에 있어서,
    난방 모드시, 상기 열전소자로 전류가 역방향으로 흘러 상기 제 1 부재는 방열 작용을 하고 상기 제 2 부재는 흡열 작용을 하며,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 2 부재 측으로 지난 후에 상기 제 1 부재 측을 지나는 공기 조화기.
  6.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유동되는 제 1 유로;
    상기 제 1 유로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제 2 유로;
    상기 제 1 유로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냉각 또는 가열되도록 하는 복수의 열전소자;
    실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 및
    상기 온도 감지부의 감지 온도 정보에 따라 상기 각 열전소자의 작동 및 상기 유로 간의 연통 여부가 조절되도록 하는 제어부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로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 1 유로로 토출되는 공기 조화기.
  8. 제 6 항에 있어서,
    냉방시 실내 온도가 제 1 기준 온도 이하이거나, 난방시 실내 온도가 제 2 기준 온도 이상인 경우 복수의 열전소자 중 어느 하나가 동작되어 냉방 또는 난방이 이루어지는 공기 조화기.
  9. 제 6 항에 있어서,
    냉방시 실내 온도가 제 1 기준 온도를 초과하거나, 난방시 실내 온도가 제 2 기준 온도 미만이 되는 경우 복수의 열전소자가 모두 동작되고, 상기 제 1 유로 및 제 2 유로가 연통되어, 냉방 또는 난방이 이루어지는 공기 조화기.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열전소자는 병렬로 제공되며,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먼저 만나는 제 2 열전소자와, 나중에 만나는 제 1 열전소자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
KR1020070000127A 2007-01-02 2007-01-02 공기 조화기 KR101384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127A KR101384891B1 (ko) 2007-01-02 2007-01-02 공기 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127A KR101384891B1 (ko) 2007-01-02 2007-01-02 공기 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3561A true KR20080063561A (ko) 2008-07-07
KR101384891B1 KR101384891B1 (ko) 2014-04-16

Family

ID=39815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0127A KR101384891B1 (ko) 2007-01-02 2007-01-02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48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640B1 (ko) * 2020-01-15 2020-05-29 김희태 온열 공기청정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4805B1 (ko) * 1999-12-23 2002-07-20 엘지전자주식회사 개인용 냉난방 공기조화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640B1 (ko) * 2020-01-15 2020-05-29 김희태 온열 공기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4891B1 (ko) 2014-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38968B (zh) 冰箱
JP4505510B2 (ja) 車両用空調システム
KR102173373B1 (ko) 공기조화기
CN210638189U (zh) 用于空调室外机的送风组件及空调室外机
KR100704143B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난방 겸용 열교환 환기장치
KR20080063576A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931940B1 (ko) 냉장고
KR101384891B1 (ko) 공기 조화기
KR101800374B1 (ko) 열전소자가 결합된 일체형 워터블록을 이용한 냉방장치
KR100823965B1 (ko) 라디에이터가 구비된 냉ㆍ난방장치
JP2004020047A (ja) 空気調和装置
KR101384833B1 (ko) 공기 조화기
KR100867766B1 (ko) 폐기열을 이용한 냉난방 장치
KR20080062512A (ko) 공기 조화기
JP4195651B2 (ja) 冷暖房換気システム
KR102066694B1 (ko) 히트펌프 시스템
JP6039871B2 (ja) 空気調和機
KR20180027657A (ko) 이동형 공조장치
KR20080063565A (ko) 환기 겸용 공기 조화기
JP4581897B2 (ja) ヒートポンプ式温風暖房機
KR101169346B1 (ko) 공기순환 예열 및 내부절환 제상방식의 공기조화시스템
KR100623527B1 (ko) 냉·난방 겸용 폐열회수환기장치
JP2005156093A (ja) 空気調和装置
KR100941095B1 (ko) 열전소자 이용 공조기의 제어방법
KR200214014Y1 (ko) 단일 회로에 의한 재생 복합 냉난방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