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3547A - 휴대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이용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3547A
KR20080063547A KR1020070000091A KR20070000091A KR20080063547A KR 20080063547 A KR20080063547 A KR 20080063547A KR 1020070000091 A KR1020070000091 A KR 1020070000091A KR 20070000091 A KR20070000091 A KR 20070000091A KR 20080063547 A KR20080063547 A KR 20080063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ypoint
route
information
destin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0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민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0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3547A/ko
Publication of KR20080063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35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GPS signal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이용방법에 있어서, 입력된 목적지에 따라 제 1 경로를 산출하여 지도에 표시하는 과정과, 경유지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경유지 정보를 분석하여 검출된 경유지의 위치를 상기 제 1 경로를 나타내는 상기 지도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되는 경유지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경유지를 경유하여 상기 목적지에 도달하는 제 2 경로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 단말기, GPS, 네비게이션, 경유지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이용방법{Method For Using Navigation Of po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이용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3a 내지 도 3c 은 본 발명에 따른 네비게이션 이용방법의 일예가 적용된 화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유지 입력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네비게이션 이용방법의 다른 예가 적용된 화면 구성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네비게이션 이용방법의 또 다른 예가 적용된 화면 구성도.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의 부가기능 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 단말기는 휴대의 용이성과,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 저장 및 재생이 가능하며, 옵션기능에 부가된 활용도가 뛰어나 매우 많은 분야에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특히, 휴대 단말기의 네비게이션(Navigation) 기능은 사용자가 가고자 하는 목적지까지 길안내 서비스를 제공한다.
통상적으로 네비게이션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에 속하는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도, 경도, 고도 등을 나타내는 전파를 수신하여 이동체의 현재 위치를 연산한 후 이 현재 위치가 포함하는 지도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하거나 청각적으로 알려준다. 즉, 네비게이션은 이동체의 진행방향, 가고자 하는 목적지까지의 거리, 이동체의 현재 이동속도, 사용자가 주행전에 설정한 경로,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 등을 표시하여 주행에 필요한 각종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가 경유지를 입력하면 네비게이션은 경유지를 경유한 최종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제공한다.
하지만 사용자가 특정한 경유지(일반 가정집)가 아닌 백화점, 은행, 주유소와 같은 일반적인 경유지를 선택할 때, 사용자가 임의 판단하여 선택한 경유지가 최종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에 위치하는 경유지가 아니면 사용자는 최적의 경로를 제공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왜냐하면 일반적인 경유지는 일정 영역 내에서 다수개가 위치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각각의 경유지에 대한 경로를 산출하여 정보를 수집한 다음에 선택하는 것이 아닌 이상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경유지 정보 입력시, 입력된 경유지 정보에 상응하는 경유지를 검출하고, 검출된 경유지를 경유한 목적지까지의 산출된 경로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최적을 경로를 선택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이용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이용방법에 있어서, 입력된 목적지에 따라 제 1 경로를 산출하여 지도에 표시하는 과정과, 경유지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경유지 정보를 분석하여 검출된 경유지의 위치를 상기 제 1 경로를 나타내는 상기 지도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되는 경유지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경유지를 경유하여 상기 목적지에 도달하는 제 2 경로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경로 및 상기 제 2 경로의 출발지는 현재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경로에 상기 경유지 위치를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입력된 경유지 정보에 상응하는 경유지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된 경유지의 위치를 상기 제 1 경로를 나타내는 지도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발지에서 상기 검출된 경유지를 경유하여 상기 목적지에 도달하는 제 2 경로를 산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고, 그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돕기 위하여, 출발지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목적지까지의 산출된 경로는 제 1 경로, 출발지에서 경유지를 경유한 목적지까지의 산출된 경로는 제 2 경로라 명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출발지는 현재 휴대 단말기의 위치가 되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유지는 사용자가 입력한 경유지 정보를 분석하여 검출된 것으로 다수개의 경유지가 검출될 경우, 각각의 경유지에 따른 제 2 경로를 산출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경유지 정보를 분석하여 검출된 경유지의 위치, 경유지 주변의 도로 정보, 교통 상황, 제 2 경로에 따른 소요 시간, 거리 및 접근성 중 적어도 하나는 제 1 경로를 표시하는 지도에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GPS 위성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네비게이션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단말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 노트북(Note-book),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단말기 및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화 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GPS 수신기(110), 키입력부(120), 표시부(130), 저장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GPS 수신기(110)는 휴대 단말기(100)에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복수의 GPS 위성이 송신하는 소정의 위치 데이터를 안테나로 수신한다. 또한 GPS 수신기(110)는 속도 센서(Velocity Sensor) 및 자이로 센서(Gyro Sensor)로 구성된 센서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센서부를 이용하여 GPS 수신기(110)가 실장된 이동체의 회전각 및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키입력부(12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키입력부(120)는 사용자 설정 및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키신호를 제어부(150)에 전송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입력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출발지, 경유지 정보 및 목적지를 입력받아 그에 상응하는 키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50)에 전송한다.
표시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부(13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LCD)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LCD가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표시부(130)는 키입력부(120)와 같은 입력수단에 포함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130)는 이동체의 속도, 제 1 경로 및 제 2 경로, 입력된 경유지 정보를 분석하여 검출된 경유지 위치, 경유지 주변의 도로 정보, 교통 상황, 제 2 경로에 따른 소요 시간 및 거리를 표시한다.
저장부(14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으르 비롯하여, 폰 북 및 상품 정보 등을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14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휴대 단말기(10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 예컨대,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사용자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한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제어부(150)의 제어 하에 해당 프로그램들을 이용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영역은 GPS 수신기(110)에서 전송된 도로 정보, 교통 상황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경유지 정보에 상응하는 경유지를 검출하고, 각각의 경유지에 따른 제 2 경로 산출하는 프로그램을 구비할 수 있다.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카메라 기능에 의한 촬영 이미지 또는 동영상과, 폰 북, 오디오 데이터 및 해당 콘텐츠 또는 사용자 데이터들에 대응하는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영역은 지도정보, 제 1 경로, 제 2 경로, GPS 수신기(110)에서 전송된 도로 정보 및 교통 상황 등을 저장하고, 제어부(150)의 제어 하에 이러한 데이터를 활성화하여 표시부(130)에 전송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가 유,무선 인터넷 기능 또는 이동통신 기능을 구비하면, 외부 웹 서버(Web Server)로부터 실시간 교통 상황 및 도로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50)는 GPS 수신기(110)에서 전송된 도로 정보 및 교통 상황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경유지 정보에 상응하는 경유지를 검출하고, 각각의 경유지에 따른 제 2 경로를 산출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목적지에 따른 제 1 경로를 산출하여 지도상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경유지 정보에 상응되는 경유지를 검출하여 검출된 경유지 위치를 제 1 경로를 표시한 지도에 함께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경유지를 검출함과 아울러 각각의 경유지에 따른 제 2 경로를 산출하고, 제 2 경로에 따른 소요 시간, 거리 및 주변 교통상황 등을 표시한다. 이를 위해서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경유지 정보를 분석하여 경유지 정보를 상응하는 경유지를 검출하는 정보 검출부 및 상기 검출된 경유지에 따른 제 2 경로를 산출하여 표시부(130)에 전송하는 경로 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검출부는 사용자가 입력한 경유지 정보를 분석하여 입력된 경유지 정보에 상응하는 경유지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경유지로 백화점을 입력하면,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부터 목적지까지의 제 1 경로에 근접한 백화점을 검출하게 된다. 여기서, 정보 검출부는 사용자에 의해 경유지 검출 영역 및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경유지 정보 개수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제 1 경로에서 반경 1Km 이내의 위치하는 경유지를 검출하도록 요청하면, 정보 검출부는 제 1 경로의 반경 1Km이내를 경유지 검출 영역을 설정하고, 경유지 검출 영역 내에서 경유지를 검출한다. 또한 정보 검출부는 사용자가 각각의 경유지에 따른 제 2 경로 중에서 소요시간, 거리 및 교통 혼잡도 등을 평가하여 최적경로를 가지는 최상위 5개의 제 2 경로를 표시하도록 요청하면, 경유지 검출 영역에서 검출된 다수개의 경유지 중에서 제 2 경로를 산출하여 사용자가 평가하는 항목을 만족하는 최상위 5개의 경로만을 표시부(130)에 전송하여 표시한다.
경로 산출부는 출발지 즉, 현재 위치에서 검출된 경유지를 경유한 목적지까지의 제 2 경로를 산출하여 제 2 경로에 따른 소요 시간 및 거리 등을 표시부(130)에 전송한다. 여기서 경유지가 다수개 검출될 경우, 각각의 경유지에 따른 제 2 경로를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경로 산출부는 5개의 경유지가 검출되면, 5개 각각의 경유지에 따른 제 2 경로를 산출할 수 있다. 경로 산출부는 제 2 경로에 따른 소요 시간, 거리, 교통 혼잡도 및 경유지 위치 등을 표시부(130)에 전송하여 표시한다. 즉, 경로 산출부는 현재 위치부터 목적지까지 제 1 경로를 지도상으로 표시하고, 상기 지도에 검출된 경유지 위치 및 각각의 경유지에 따라 산출된 제 2 경로의 소요 시간, 거리 및 교통 혼잡도를 표시한다. 또한 경로 산출부는 제 1 경로에 근접한 경유지는 나머지 경유지와 차별화되도록 다른 기호 및/또는 다른 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경로에 근접한 기준은 거리, 소요 시간 및 접근성 등을 기준으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 설명에 필요한 블록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무선 주파수 통신부, 카메라부 및/또는 디지털 방송 모듈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네비게이션을 이용하기 위한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이용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네비게이션 이용방법 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S100 단계에서 네비게이션 메뉴가 입력됨을 확인하면, S110 단계에서 도 3a와 같이 네비게이션 메뉴화면을 표시하고, S120 단계에서 목적지 입력 메뉴가 선택되었는지 확인한다. 제어부(150)는 S120 단계에서 목적지 입력 메뉴의 선택을 확인하면, 목적지 입력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네비게이션 메뉴를 이용할 경우에는 출발지는 현재 위치로 하여 경로를 산출하지만 사용자에 의해 현재 위치를 별도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적지 입력 화면에서 목적지를 직접 입력할 수도 있고, 검색을 통해 목적지를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S130 단계에서 목적지 입력이 완료됨을 확인하면, S140 단계에서 목적지까지의 제 1 경로를 산출하여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즉, 제어부(150)는 출발지를 현재 위치로 설정하여 목적지까지의 제 1 경로를 설정한다. 여기서 제 1 경로를 설정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정보는 GPS 수신기(110) 등에서 전송된 실시간 교통정보, 도로상황 등이 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S150 단계에서 경유지 입력 메뉴의 선택을 확인하면 경유지 입력 화면을 표시하고, S160 단계에서 경유지 입력란에 경유지 정보가 입력됨을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경유지 입력 화면을 업종으로 찾기 메뉴 및 상호로 찾기 메뉴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경유지를 입력할 수 있는 메뉴는 업종 및 상호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직접 입력 및 지명 검색 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경유지 입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유지 입력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S161 단계에서 업종으로 검색 메뉴의 선택을 확인하면, S162 단계에서 업종 입력란을 표시한다. 제어부(150)는 S163 단계에서 업종 입력란에 업종이 입력됨을 확인하면 S170 단계로 진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업종으로 경유지 찾기를 요청하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접 또는 검색으로 업종을 입력할 수 있는 업종으로 찾기 메뉴 화면을 표시하고, 업종 입력란에 경유지가 입력되었는지 확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업종 입력란에 은행이 입력됨을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종 검색 메뉴를 선택하여 대분류 업종에서 소분류 업종을 선택하는 단계를 거치면서 은행을 입력할 수 있다.
하지만 제어부(150)는 S161 단계에서 업종 검색 메뉴의 선택이 아님을 확인하고, S164 단계에서 상호 검색 메뉴를 선택함을 확인하면, S165 단계에서 상호 입력란을 표시한다. 제어부(150)는 S166 단계에서 상호 입력란에 상호명이 입력됨을 확인하면 S170 단께로 진행한다.
제어부(150)는 S170 단계에서 입력된 경유지 정보를 분석하여 경유지에 상응하는 경유지를 검출하여 표시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50)는 검출된 각각의 경유지에 따른 제 2 경로를 산출하고, 경유지 위치, 각각의 제 2 경로에 따른 소요시간, 거리, 접근성 및 교통 상황 등을 제 1 경로와 함께 지도상에 표시한다. 여기서 제어부(150)는 경유지를 검출하는 영역을 한정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제 1 경로 반경 1Km 이내에 위치하는 경유지를 찾기를 요청하면, 제어부(150)는 제 1 경로 반경 1Km 이내의 영역에서 입력된 경유지 정보에 상응하는 경유지를 검출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제 1 경로에 근접한 경유지는 나머지 경유지와 다른 색이나 다른 기호로 표시할 수 있다. 제 1 경로에 근접한 기준은 경유지에서부터 제 1 경로까지의 거리, 소요시간 및 접근성 등이 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S180 단계에서 제 1 경로를 표시하는 지도상에 표시된 경유지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됨을 감지하면, S190 단계에서 선택된 경유지에 따른 제 2 경로를 지도상에 표시하고, 네비게이션을 제공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경유지를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경유지를 모두 경유하는 제 2 경로를 산출하여 표시하거나 선택된 각각의 경유지에 따른 제 2 경로를 산출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어부(150)는 사용자(현재 강남역에 위치)가 목적지를 명동으로 설정하고 경로 산출을 요청하면, 강남역부터 명동에 이르는 최적의 제 1 경로를 산출하여 표시한다. 또한 사용자가 경유지로 국민은행을 선택하면, 제어부(15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민은행의 위치 정보, 제 1 경로에서 각 국민은행에 이르는 소요 시간 및 거리를 산출하여 제 1 경로와 함께 표시한다. 제 1 경로에 가장 근접한 영역에 위치한 국민은행은 별(★) 기호로 표시하고, 다음 영역에 위치하는 국민은행은 원(●) 기호로 표시하며 그 다음 영역에 위치하는 국민은행은 사각형(■)으로 표시한다. 이 중에서 사용자가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제어부(150)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남역에서 선택된 경유지를 경유하여 명동까지 이르는 제 2 경로 를 표시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이용방법에 따르면, 경유지 정보 입력시, 입력된 경유지 정보에 상응하는 경유지를 검출하고, 검출된 경유지를 경유한 목적지까지의 산출된 경로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최적을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

Claims (10)

  1. 휴대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이용방법에 있어서,
    입력된 목적지에 따라 제 1 경로를 산출하여 지도에 표시하는 과정과,
    경유지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경유지 정보를 분석하여 검출된 경유지의 위치를 상기 제 1 경로를 나타내는 상기 지도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되는 경유지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경유지를 경유하여 상기 목적지에 도달하는 제 2 경로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이용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로 및 상기 제 2 경로의 출발지는 현재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이용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로에 상기 경유지 위치를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입력된 경유지 정보에 상응하는 경유지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된 경유지의 위치를 상기 제 1 경로를 나타내는 지도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이용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출발지에서 상기 검출된 경유지를 경유하여 상기 목적지에 도달하는 제 2 경로를 산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이용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경유지가 다수개일 경우, 상기 검출된 경유지 각각에 따른 제 2 경로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이용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로에 근접한 상기 경유지는 나머지 경유지와 다른 색 또는 다른 기호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이용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로에 근접한 기준은,
    상기 제 1 경로에서부터 상기 경유지 정보까지의 거리, 소요시간, 접근성 및 교통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이용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경로에 따른 거리, 소요시간, 거리, 접근성 및 교통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경유지 위치와 함께 상기 지도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휴대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이용방법.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경유지 검출 영역을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이용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로 및 상기 제 2 경로의 출발지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이용방법.
KR1020070000091A 2007-01-02 2007-01-02 휴대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이용방법 KR200800635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091A KR20080063547A (ko) 2007-01-02 2007-01-02 휴대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091A KR20080063547A (ko) 2007-01-02 2007-01-02 휴대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이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3547A true KR20080063547A (ko) 2008-07-07

Family

ID=39815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0091A KR20080063547A (ko) 2007-01-02 2007-01-02 휴대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6354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2830A (ko) * 2009-12-04 2011-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약도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2830A (ko) * 2009-12-04 2011-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약도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9360325B2 (en) 2009-12-04 2016-06-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sketch map information in portable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1669B1 (ko) 휴대 단말기의 경로 검색 방법
US7167795B2 (en) Device,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navigation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the program
US870640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bifurcations
US7161504B2 (en) Navigation system for finding optimum route using traffic incidents information
KR101561913B1 (ko) 이동 단말기의 영상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US8914224B2 (en)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JP6181554B2 (ja) ナビゲーション又はマッピング装置及び方法
US20160061617A1 (en) Providing in-navigation search results that reduce route disruption
US8762051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navigational guidance using landmarks
US20050027437A1 (en) Device,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notifying traffic condition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the program
JP2004251694A (ja) 道案内機能を有する携帯端末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を利用した道案内方法
US7991546B2 (en)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for navigation system for efficiently searching cities on map image
KR20040105199A (ko) 차량정보단말기의 정보저장장치 및 방법
EP3220104B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geometric linearization of navigational data
KR20110011054A (ko) 휴대 단말기의 검색 아이템 출력 방법 및 장치
KR101538691B1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길 안내 방법 및 장치
KR20080063547A (ko) 휴대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이용방법
JP4341283B2 (ja) 情報端末装置および情報取得方法
US764009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data indicating tentative destination for navigation system
JP2009014692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EP1503357A1 (en) Device, system, method for notifying traffic conditions
JP4228759B2 (ja) 情報端末装置
JP2004301525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100431738B1 (ko) 차량 항법장치의 목적지 입력장치
JP2006030005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