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3234A - 신규 안트라센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 Google Patents

신규 안트라센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3234A
KR20080063234A KR1020080020513A KR20080020513A KR20080063234A KR 20080063234 A KR20080063234 A KR 20080063234A KR 1020080020513 A KR1020080020513 A KR 1020080020513A KR 20080020513 A KR20080020513 A KR 20080020513A KR 20080063234 A KR20080063234 A KR 20080063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compound
organic light
organic
anthrac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0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4303B1 (ko
Inventor
이은정
김태형
홍진석
고명수
김경수
이상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to KR1020080020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4303B1/ko
Publication of KR20080063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3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4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4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11/00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 C07C211/43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the carbon skeleton
    • C07C211/54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th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two or three six-membered aromatic ring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31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31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 H10K85/633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comprising 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as substituents on the nitroge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03Carbocyclic compounds
    • C09K2211/1011Condensed 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 안트라센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OLED)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원의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신규 안트라센 유도체를 합성하고, 이를 다층 구조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유기 화합물 층, 특히 바람직하게는 유기 발광 층 (EML)에 사용함으로써 색 순도, 발광효율, 휘도, 전력효율 및 내열성이 향상된 녹색 또는 오렌지색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공할 수 있는, 신규 안트라센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
Figure P1020080020513
안트라센 유도체, 유기 전계 발광 소자

Description

신규 안트라센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NOBLE ANTHRACENE DERIVATIVES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규 안트라센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OLED)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원의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신규 안트라센 유도체를 합성하고, 이를 다층 구조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유기 화합물 층, 특히 바람직하게는 유기 발광 층 (EML)에 사용함으로써 색 순도, 발광효율, 휘도, 전력효율 및 내열성이 향상된 녹색 또는 오렌지색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공할 수 있는, 신규 안트라센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
유기 전계 발광 소자 (OLED)는 유기 EL 이라고도 불리는 것으로서, 공액 구조의 유기물 (저분자 또는 고분자) 반도체를 발광소재로 하여 이를 두 전극 사이에 끼워 놓고 전기장을 형성시키면 양 전극 사이에 전류가 흐르면서 전자와 정공이 발광 소재에서 서로 만나 폴라론-엑시톤 (polaron-exciton)을 형성한 후 다시 재결합 함으로써 빛이 발생되는 원리를 이용한 전계 발광 소자 (LED)이다.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최근 휴대 전화기의 외부 및 내부창, MP3 및 디지털 카메라의 디스플레이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고 PDP 및 LCD에 이어서 향후에 벽걸이 및 두루마리 TV에도 적용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최첨단 디스플레이 소자이다.
1987년 탕 (Tang)이 진공 층착법으로 전계 발광 소자를 처음 개발한 후 지금까지 다양한 종류의 발광 소자용 재료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열 안정성, 발광 효율 및 수명 등의 측면에서 아직 미흡한 점이 있다.
본 출원인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개선시키기 위하여 노력하여 왔으며, 이와 관련하여 한국 공개특허 제2006-0115951호에서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정공 주입 층 (HIL)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내열성, 휘도 특성, 정공 수송 능력 및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수소화된 아릴아민 유도체,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개발한 바 있다.     이 발명은 아릴아민의 수소를 중수소로 치환하여 엑시톤의 형성을 촉진함으로써 효율 향상 정도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는 점에서 종래 발명들과 차이가 있다.
다만,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상용화를 위해서, 제조된 소자의 색 순도, 발광효율, 휘도, 전력효율 및 내열성의 측면에서 전체적으로 개선된 특성을 갖는 소자의 개발이 필요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노력한 결과, 본원의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신규 안트라센 유도체를 합성하고, 이를 다층 구조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유기 화합물 층, 특히 바람직하게는 유기 발광 층 (EML)에 사용하였더니 색 순도, 발광효율, 휘도, 전력효율 및 내열성이 향상된 녹색 또는 오렌지색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신규 안트라센 유도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원의 신규 안트라센 유도체를 이용하여 제조한 유기 발광층 (EML)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원의 신규 안트라센 유도체를 이용하여 제조한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한 안트라센 유도체를 그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16243053-PAT00001
[식 중, Ar1 내지 Ar5는 동일 또는 상이하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방향족기로서, 상기 방향족기는 벤젠, 나프탈렌, 바이페닐, 안트라센 및 페난트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로부터 유도된 기임].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신규한 안트라센 유도체를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신규 안트라센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신규 안트라센 유도체를 합성하고, 이를 다층 구조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유기 화합물 층, 특히 바람직하게는 유기 발광 층 (EML)에 사용함으로써 색 순도, 발광효율, 휘도, 전력효율 및 내열성이 향상된 녹색 또는 오렌지색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한 안트라센 유도체를 그 특징으로 한다:
Figure 112008016243053-PAT00002
[식 중, Ar1 내지 Ar5는 동일 또는 상이하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방향족기로서, 상기 방향족기는 벤젠, 나프탈렌, 바이페닐, 안트라센 및 페난트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로부터 유도된 기임].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신규한 안트라센 유도체를 그 특징으로 한다:
Figure 112008016243053-PAT00003
[식 중, Ar1 내지 Ar4는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하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방향족기로서, 상기 방향족기는 벤젠, 나프탈렌, 바이페닐, 안트라센 및 페난트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로부터 유도된 기이고, Ar5 및 Ar6는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하며, 각각 독립적으로 지방족 탄화수소, 벤젠, 나프탈렌, 바이페닐 또는 안트라센으로부터 유도된 기임].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본원의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신규 안트라센 유도체를 합성하고, 이를 다층 구조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유기 화합물 층, 특히 바람직하게는 유기 발광 층 (EML)에 사용함으로써 색 순도, 발광효율, 휘도, 전력효율 및 내열성이 향상된 녹색 또는 오렌지색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공할 수 있는, 신규 안트라센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학식 1 및 2의 치환기에 대한 정의 중 “치환 또는 비치환된 방향족기”는 벤젠, 톨루엔, 다이메틸벤젠, 1-나프탈렌, 2-나프탈렌, 바이페닐, 안트라센 및 페난트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상기 방향족기는 치환 또는 비치환될 수 있으며, 치환되는 경우에는 메틸, 디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터셔리 부틸 등의 기로 치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화학식 2의 치환기에 대한 정의 중 “지방족 탄화수소”는 탄소수 1 내지 10의 탄화수소로서, 예를 들어, 메탄, 에탄, 프로판, 이소프로판, 부탄, 터셔리 부탄, 시클로헥산 등이 포함된다.
본원의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안트라센 유도체는 적층 구조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유기 화합물 층, 특히 바람직하게는 유기 발광 층 (EML)에 사용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기판 (유리 또는 플라스틱), 양극 (Anode), 정공주입 및 수송층 (HIL, HTL), 유기 발광층 (EML), 전자주입 및 수송층 (EIL, ETL) 및 음극 (Cathode)의 적층 구조를 갖고 있으며, 본원의 화합물은 유기 화합물 층인 정공주입 및 수송층 (HIL, HTL), 유기 발광층 (EML), 전자주입 및 수송층 (ETL)에 사용될 수 있으나, 특히 유기 발광층 (EML)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원의 안트라센 유도체의 합성 과정을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는 본원의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대표적인 화합물인 화합물 d 내지 f를 합성하기 위하여 먼저 하기 반응식 1 내지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화합물 a 내지 c를 합성하였다. 또한, 반응식 4 내지 6에 기재된 바와 같이, 화합물 c를 출발 물질로 하여 본원의 화합물 d 내지 f를 합성하였다.
제조예 1 : 화합물 a의 합성
[반응식 1]
Figure 112008016243053-PAT00004
브롬화구리 (40.0 g, 179.2 mmol)와 터셔리-부틸 나이트라이트 (25.6 mL, 215.0 mmol)를 아세토나이트릴 600 mL에 분산시키고 65 ℃로 가열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에 2-아미노안트라퀴논 (40.0g, 179.2 mmol)을 나누어 천천히 넣어주고 기체 발생 후에 실온으로 식혔다.     얇은 셀라이트 545 층에 이것을 여 과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씻어낸 여액을 농축하여 n-헥산:디클로로메탄=1:4 혼합 용액을 이용한 실리카 겔 관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였다.     얻은 생성물을 디클로로메탄 400 mL에 녹인 후 메탄올 1.5 L에 서서히 적가하여 침전법을 통해 분리하여 탁한 상아색 고체 화합물 a (11.6 g, 23 %)를 얻었다.
제조예 2 : 화합물 b의 합성
[반응식 2]
Figure 112008016243053-PAT00005
2-브로모나프탈렌 (34.6 g, 167.1 mmol)을 질소 충진 하에 건조한 테트라하이드로퓨란 300 mL에 녹이고 -78 ℃로 냉각시켰다.     이 반응 혼합물에 터셔리-부틸리튬 (147 mL, 1.7 M 펜탄 용액)을 서서히 가하고, -78 ℃에서 한 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식 1을 통해 제조된 화합물 a (20 g, 69.6 mmol)를 첨가하여 반응물의 온도를 서서히 실온으로 올리고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포화된 염화암모늄 수용액을 가하여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고 포화된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씻고 유기층을 무수 소듐 설페이트에 건조, 여과하여 농축시켰다.     얻은 혼합물을 에틸에테르 150 mL에 녹인 것에 석유 에테르 800 mL를 한 번에 가하고 수 시간 휘저어주고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여 순수하지 않은 황토색의 고체 화합물 b (38 g, ≒100 %)를 얻었다.
제조예 3 : 화합물 c의 합성
[반응식 3]
Figure 112008016243053-PAT00006
반응식 2를 통해 제조된 화합물 b (39.6 g, 72.7 mmol)를 아세트산 700 mL에 녹이고 요오드화 칼륨 (120.7 g, 726.8 mmol)과 차아인산나트륨 수화물 (105.5 g, 1.2 mol)을 넣고 3 시간 동안 끓였다.     실온으로 냉각하고 물 700 mL을 첨가하여 10 분간 교반한 후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물 300 mL와 메탄올 50 mL로 씻었다.     하루 동안 감압 건조하여 탁한 황토색 고체 화합물 c (31.9 g, 86 %)를 얻었다.
실시예 1 : 화합물 d (화학식 1의 안트라센 유도체)의 합성
[반응식 4]
Figure 112008016243053-PAT00007
반응식 3을 통해 제조된 화합물 c (2 g, 3.9 mmol)와 아닐린 (0.17 mL, 1.9 mmol)을 질소 충진 하에서 톨루엔 10 mL에 녹이고, 트리스(다이벤질리덴아세톤)다이팔라듐 (0.05 g, 0.05 mmol)을 넣었다.     트라이 터셔리-부틸포스핀 (0.05 mL, 0.1 mmol, 50 중량% 톨루엔 용액)과 나트륨 터셔리-부톡사이드 (0.37 g, 3.9 mmol)를 차례로 가하고 끓이면서 하루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식혀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여 실리카 겔과 셀라이트 545의 얇은 혼합층에 여과시키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충분히 씻었다.     여액을 농축하여 n-헥산:디클로로메탄=4:1의 혼합비를 갖는 전개 용매를 이용한 실리카 겔 관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고 감압 건조시켜 샛노란 고체 화합물 d (0.2 g, 11 %)를 순수하게 얻었다.     본원의 화합물 d의 구조는 도 1 내지 3의 NMR 및 LRMS 분석 데이터를 통해 확인되었다.
실시예 2 : 화합물 e (화학식 1의 안트라센 유도체)의 합성
[반응식 5]
Figure 112008016243053-PAT00008
반응식 3에서 제조된 화합물 c (2 g, 3.9 mmol)와 3,5-다이메틸아닐린(0.24 mL, 2.0 mmol)을 질소 충진 하에서 톨루엔 10 mL에 녹이고, 트리스(다이벤질리덴아세톤)다이팔라듐 (0.09 g, 0.1 mmol)을 넣었다.     트라이 터셔리-부틸포스핀 (0.1 mL, 0.4 mmol, 50 중량% 톨루엔 용액)과 나트륨 터셔리-부톡사이드 (1.1 g, 11.7 mmol)를 차례로 가하고 끓이면서 하루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식혀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여 실리카 겔과 셀라이트 545의 얇은 혼합층에 여과시키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충분히 씻었다.     여액을 농축하여 n-헥산:디클로로메탄=9:1의 혼합비를 갖는 전개용매를 이용한 실리카 겔 관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고 감압 건조시켜 샛노란 고체 화합물 e (0.52 g, 27 %)를 얻었다.     본원의 화합물 e의 구조는 도 4의 NMR 데이터 및 도 5의 LRMS 분석을 통해 확인되었다.
실시예 3 : 화합물 f (화학식 2의 안트라센 유도체)의 합성
[반응식 6]
Figure 112008016243053-PAT00009
상기 반응식 4를 통해 제조된 화합물 c (2.12 g, 4.1 mmol)와 4-아미노트라이페닐아민 (0.54 g, 2.1 mmol)을 질소 충진 하에서 톨루엔 20 mL에 녹이고, 트리스(다이벤질리덴아세톤)다이팔라듐 (0.05 g, 0.05 mmol)을 넣었다.     트라이 터셔리-부틸포스핀 (0.1 mL, 0.41 mmol, 50 중량% 톨루엔 용액)과 나트륨 터셔리-부톡사이드(1.2 g, 12.4 mmol)를 차례로 가하고 끓이면서 하루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식혀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여 실리카 겔과 셀라이트 545의 얇은 혼합층에 여과시키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충분히 씻었다.     여액을 농축하여 n-헥산:디클로로메탄=8:1의 혼합비를 갖는 전개용매를 이용한 실리카 겔 관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고 감압 건조시켜 주황색 고체 화합물 f (0.78 g, 17 %)를 순수하게 얻었다.  본원의 화합물 f의 구조는 도 6 및 7의 NMR 및 LRMS 데이터를 통해 확인되었다.
실시예 4 : 실시예 1의 화합물 d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제조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조하였다.     ITO (양 극) 위에 DS-205 (㈜ 두산)를 800 Å의 두께로 열 진공 증착하여 정공 주입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정공 이송 물질인 NPB (N, N-di(naphthalene-1-yl)-N, N-diphenylbenzidine) 150 Å을 진공 증착하였다.     실시예 1에서 합성한 화합물 d를 2% 도핑한 Alq3 (트리스(8-옥소퀴놀린)알루미늄(Ⅲ))를 300 Å의 두께로 진공 증착하여 발광 층을 형성하였고 그 위에 전자 이송 물질인 Alq3 250 Å을 진공 증착하였다.     그 후, 전자 주입 물질인 LiF를 10 Å의 두께로 증착하였고, 알루미늄 (음극) 2000 Å을 진공 증착하여 하기 표 1과 같은 구조의 유기 발광 소자를 제작하였다.
이와 같이 제작된 유기 발광 소자의 특성을 하기 표 2와 같이 측정하였으며, 예를 들면 10 mA/cm2의 전류 밀도에서 4.6 V의 전계를 가하였더니, CIE 기준으로 x= 0.304, y= 0.581에 휘도 509 cd/m2의 녹색 (발광 극대 파장 λ = 517 nm)의 발광이 관찰되었고 5.1 cd/A의 효율을 보였다.
구  분 정공주입층 (HIL) 정공수송층 (HTL) 유기발광층 (EML) 전자수송층 (ETL) 전자주입층 (EIL) 음극 (CATHODE)
재  료 DS-205 DS-NPB Alq3+화합물d Alq3 LiF Al
두께 (Å) 800 150 294+6 250 10 2,000
증착온도 (℃) 360-370 230-240 Alq3:260-270 화합물d:260-280 260-270 - -
전류밀도 (mA/cm2) 전압 (V) 휘도 (cd/m2) CIE 지수 (x,y) 피크 λ (nm) 효율 (cd/A) 효율 (lm/W)
10 4.6 509 0,304, 0.581 517 5.1 3.5
25 5.5 1238 0,304, 0.579 517 5.0 2.8
50 6.2 2432 0,304, 0.578 517 4.9 2.5
100 7.1 4787 0,304, 0.576 517 4.8 2.1
실시예 5 : 실시예 2의 화합물 e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제조 (1)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조하였다.     ITO (양극) 위에 DS-205를 800 Å의 두께로 열 진공 증착하여 정공 주입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정공 이송 물질인 NPB (N, N-di(naphthalene-1-yl)-N, N-diphenylbenzidine) 150 Å을 진공 증착하였다.     실시예 2에서 합성한 화합물 e를 2% 도핑한 TH2를 300 Å의 두께로 진공 증착하여 발광 층을 형성하였고 그 위에 전자 이송 물질인 Alq3 250 Å을 진공 증착하였다.  그 후, 전자 주입 물질인 LiF를 10 Å의 두께로 증착하였고, 알루미늄 (음극) 2000 Å을 진공 증착하여 하기 표 3과 같은 구조의 유기 발광 소자를 제작하였다.
이와 같이 제작된 유기 발광 소자의 특성을 하기 표 4와 같이 측정하였으며, 예를 들면 5 V의 전계를 가한 10 mA/cm2의 전류 밀도에서, CIE 지수 x= 0.264, y= 0.509, 휘도 745 cd/m2의 녹색 (발광 극대 파장 λ= 507 nm)의 발광이 관찰되었고 7.5 cd/A의 효율을 보였다.
구  분 정공주입층 (HIL) 정공수송층 (HTL) 유기발광층 (EML) 전자수송층 (ETL) 전자주입층 (EIL) 음극 (CATHODE)
재  료 DS-205 DS-NPB TH2+화합물e Alq3 LiF Al
두께 (Å) 800 150 294+6 250 10 2,000
증착온도 (℃) 360-370 250-260 TH2:250-260 화합물e:290-300 240-250 - -
전류밀도 (mA/cm2) 전압 (V) 휘도 (cd/m2) CIE 지수 (x,y) 피크 λ (nm) 효율 (cd/A) 효율 (lm/W)
10 5 745 0,264, 0.509 507 7.5 4.7
25 5.7 1867 0,258, 0.508 506 7.5 4.1
50 6.3 3734 0,253, 0.506 507 7.5 3.7
100 7.1 7432 0,248, 0.504 506 7.4 3.3
실시예 6 : 실시예 2의 화합물 e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제조 (2)
TH2를 H41로 바꾼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5의 조건 및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조하였으며, 그 소자 구조 및 특성을 표 5 및 6에 나타내었다.
구  분 정공주입층 (HIL) 정공수송층 (HTL) 유기발광층 (EML) 전자수송층 (ETL) 전자주입층 (EIL) 음극 (CATHODE)
재  료 DS-205 DS-NPB H41+화합물e Alq3 LiF Al
두께 (Å) 800 150 294+6 250 10 2,000
증착온도 (℃) 360-370 250-260 H41:220-230 화합물e:290-300 240-250 - -
전류밀도 (mA/cm2) 전압 (V) 휘도 (cd/m2) CIE 지수 (x,y) 피크 λ (nm) 효율 (cd/A) 효율 (lm/W)
10 4.7 831 0,290, 0.551 512 8.3 5.6
25 5.3 2011 0,288, 0.550 512 8.0 4.8
50 6 3937 0,285, 0.549 512 7.9 4.1
100 6.7 7711 0,281, 0.548 512 7.7 3.6
실시예 7 : 실시예 3의 화합물 f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제조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조하였다.     ITO (양극) 위에 DS-205를 800 Å의 두께로 열 진공 증착하여 정공 주입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정공 이송 물질인 NPB (N, N-di(naphthalene-1-yl)-N, N-diphenylbenzidine) 150 Å을 진공 증착하였다.     실시예 2에서 합성한 화합물 e를 2% 도핑한 TH2를 300 Å의 두께로 진공 증착하여 발광 층을 형성하였고 그 위에 전자 이송 물질인 Alq3 250 Å을 진공 증착하였다.  그 후, 전자 주입 물질인 LiF를 10 Å의 두께로 증착하였고, 알루미늄 (음극) 2000 Å을 진공 증착하여 하기 표 7과 같은 구조의 유기 발광 소자를 제작하였다.
이와 같이 제작된 유기 발광 소자의 특성을 하기 표 8와 같이 측정하였으며, 예를 들면 5.7 V의 전계를 가한 10 mA/cm2의 전류 밀도에서, CIE 지수 x= 0.405, y= 0.545, 휘도 683 cd/m2의 오렌지색 (발광 극대 파장 λ = 551 nm)의 발광이 관찰되었고 6.8 cd/A의 효율을 보였다.
구  분 정공주입층 (HIL) 정공수송층 (HTL) 유기발광층 (EML) 전자수송층 (ETL) 전자주입층 (EIL) 음극 (CATHODE)
재  료 DS-205 DS-NPB TH2+화합물f Alq3 LiF Al
두께 (Å) 800 150 294+6 250 10 2,000
증착온도 (℃) 360-370 230-240 TH2:250-260 화합물f:270-280 240-260 - -
전류밀도 (mA/cm2) 전압 (V) 휘도 (cd/m2) CIE 지수 (x,y) 피크 λ (nm) 효율 (cd/A) 효율 (lm/W)
10 5.7 683 0,405, 0.545 551 6.8 3.8
25 6.5 1686 0,403, 0.545 550 6.7 3.3
50 7.2 3327 0,400, 0.545 550 6.7 2.9
100 7.9 6560 0,397, 0.545 550 6.6 2.6
도 1 내지 3은 각각 화합물 d의 NMR 스펙트럼 및 MASS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4 및 5는 각각 화합물 e의 NMR 스펙트럼 및 MASS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6 및 7은 각각 화합물 f의 NMR 스펙트럼 및 MASS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Claims (5)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안트라센 유도체:
    [화학식 1]
    Figure 112008016243053-PAT00010
    [식 중, Ar1 내지 Ar5는 동일 또는 상이하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방향족기로서, 상기 방향족기는 벤젠, 나프탈렌, 바이페닐, 안트라센 및 페난트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로부터 유도된 기임].
  2. 하기의 구조를 갖는 안트라센 유도체:
    Figure 112008016243053-PAT00011
  3. 하기의 구조를 갖는 안트라센 유도체: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안트라센 유도체로 제조된 유기 발광 층.
  5.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안트라센 유도체로 제조된 유기 발광 층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20080020513A 2008-03-05 2008-03-05 신규 안트라센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0864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0513A KR100864303B1 (ko) 2008-03-05 2008-03-05 신규 안트라센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0513A KR100864303B1 (ko) 2008-03-05 2008-03-05 신규 안트라센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6020A Division KR100864308B1 (ko) 2006-12-28 2006-12-28 신규 안트라센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3234A true KR20080063234A (ko) 2008-07-03
KR100864303B1 KR100864303B1 (ko) 2008-10-20

Family

ID=39815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0513A KR100864303B1 (ko) 2008-03-05 2008-03-05 신규 안트라센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43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35814B2 (en) 2009-08-10 2013-09-17 Samsung Display Co., Ltd. Heterocyclic compound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762B1 (ko) * 1999-09-21 2007-07-12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전자발광 소자 및 유기 발광 매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35814B2 (en) 2009-08-10 2013-09-17 Samsung Display Co., Ltd. Heterocyclic compound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4303B1 (ko) 2008-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25959B2 (ja) 有機発光ダイオードのための2−アザトリフェニレン物質
Kim et al. Exceedingly efficient deep-blue electroluminescence from new anthracenes obtained using rational molecular design
Zhao et al. EQE climbing over 6% at high brightness of 14350 cd/m2 in deep-blue OLEDs based on hybridized local and charge-transfer fluorescence
KR101695489B1 (ko) 비대칭 구조의 유기전기발광소자용 아릴아민유도체,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기발광소자용 유기박막재료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기발광소자
KR101904173B1 (ko) 유기 전계발광 재료와 유기 전계발광 소자
KR101650595B1 (ko) 치환된 안트라센환 구조와 피리도인돌환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 및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1579490B1 (ko) 유기전기소자용 화합물, 이를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및 그 전자 장치
Li et al. Fluorinated 9, 9′-spirobifluorene derivatives as host materials for highly efficient blu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KR20050052473A (ko) 유기 발광 물질 및 장치
KR20150124677A (ko) 유기발광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TW201008942A (en) Azapyrenes for electronic applications
Kumaresan et al. High Performance Solution‐Processed Deep‐Blue Phosphorescence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with EQE Over 24% by Employing New Carbenic Ir (III) Complexes
Liao et al. Aggregation-induced emission tetraphenylethene type derivatives for blue tandem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KR20160021424A (ko)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KR20150064687A (ko) 신규한 청색 형광 호스트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TWI546297B (zh) 有機化合物及包含其之有機電激發光裝置
KR20140080451A (ko) 중수소로 치환된 신규한 유기발광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KR20140140298A (ko) 유기전기 소자용 화합물, 이를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및 그 전자 장치
KR20150064682A (ko) 신규한 발광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KR20150058083A (ko) 신규한 발광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KR101830784B1 (ko) 폴리머 및 상기 폴리머를 포함한 유기 발광 소자
JP6862767B2 (ja) トリアジン化合物、その製造方法、製造中間体、及び用途
KR20150124924A (ko)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KR102054489B1 (ko) 청색 인광 호스트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845421A (zh) 一种电子传输化合物、其合成方法及有机电致发光器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