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1069A - 양면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화면전환 방법 - Google Patents

양면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화면전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1069A
KR20080061069A KR1020060135876A KR20060135876A KR20080061069A KR 20080061069 A KR20080061069 A KR 20080061069A KR 1020060135876 A KR1020060135876 A KR 1020060135876A KR 20060135876 A KR20060135876 A KR 20060135876A KR 20080061069 A KR20080061069 A KR 20080061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screen
key
screen switching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5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7838B1 (ko
Inventor
류정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5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7838B1/ko
Publication of KR20080061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1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7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7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8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keyboard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면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에서 한쪽 표시부의 사용 도중에 키 입력을 통해 반대쪽 표시부로 화면전환을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면제어 방법은 양면 표시부 중의 제1 표시부에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키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제1 표시부와 같은 면에 형성된 제1 핫키의 키 입력인지 확인하고, 수신된 키 입력 신호가 제1 핫키의 키 입력이면 양면 표시부 중의 제2 표시부로 화면전환을 수행한다. 또는, 제1 표시부와 같은 면에 형성된 제1 화면버튼의 입력이 있는지 확인하고, 제1 화면버튼의 입력이 있으면 제1 표시부가 화면 표시중인지 확인한 후, 제1 표시부가 화면 표시중이면 제2 표시부로 화면전환을 수행한다. 이러한 화면전환 방법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양면 표시부, 화면전환, 핫키, 화면버튼

Description

양면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화면전환 방법{method for switching display screens in mobile device having both-sided displa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1 면과 제2 면을 각각 도시한 평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1 면과 제2 면을 각각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전환 방법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면전환 방법의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면전환 방법의 흐름도.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양면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에서 한쪽 표시부의 사용 도중에 키 입력을 통해 반대쪽 표시부로 화면전환을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과 반도체 기술 등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각종 휴대 단말기들의 보급과 이용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의 휴대 단말기들은 각자의 전통적인 고유 영역에 머무르지 않고 다른 단말기들의 영역까지 아우르는 모바일 융·복합(mobile convergence) 단계에 이르고 있다. 대표적으로 휴대폰의 경우에는 음성통화나 메시지 송수신과 같은 일반적인 통신 기능 외에도 TV시청 기능(예컨대 DMB나 DVB와 같은 이동방송), 음악재생 기능(예컨대 MP3), 사진촬영 기능 등 각종 멀티미디어 기능들이 부가되고 있다.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display unit)는 단말기에 저장된 정보, 외부로부터 수신된 정보,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등을 시각적 수단을 통해 최종적으로 표현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표시부는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가장 자주 접하는 부분이며, 사용자의 제품 만족도와 직결되는 부분이기도 하다. 더구나 휴대 단말기에 멀티미디어 기능이 부가됨에 따라 표시부의 중요성은 갈수록 점점 높아지고 있다. 표시부에 멀티미디어 환경을 충분히 표현하려면 무엇보다 표시부 화면의 크기와 화질이 우수해야 한다. 하지만 휴대 단말기의 특성상 공간적인 제약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제약이 따르고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표시부가 본체의 양면에 장착되어 각각 멀티미디어 모드와 일반 모드를 수행하는 이중 모드 양면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를 개발하였다. 본 발명은 그의 일환으로서, 양면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에서 한쪽 표시부의 사용 도중에 반대쪽 표시부로 화면을 전환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 다. 아울러,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양면(즉, 전후면)에 각각 핫키 또는 화면버튼을 설치하여 화면전환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화면전환 방법은, 양면 표시부 중의 제1 표시부에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키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제1 표시부와 같은 면에 형성된 제1 핫키의 키 입력인지 확인하는 단계와, 수신된 키 입력 신호가 제1 핫키의 키 입력이면 양면 표시부 중의 제2 표시부로 화면전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면전환 방법에서, 제1 핫키는 화면전환 기능 외에 다른 기능이 함께 매핑될 수 있다. 이 경우, 화면전환 방법은 수신된 키 입력 신호가 제1 핫키의 키 입력이면 화면전환을 수행하기 전에 제1 핫키에 매핑된 다른 기능이 실행중인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1 핫키에 매핑된 다른 기능이 실행중이면 제2 표시부로 화면전환을 수행한다. 또한, 제1 핫키에 매핑된 다른 기능이 실행중이 아니면 해당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면전환 방법은 수신된 키 입력 신호가 제1 핫키의 키 입력이 아니면 제1 표시부와 같은 면에 형성된 다른 키의 입력인지 확인하는 단계와, 수신된 키 입력 신호가 다른 키의 입력이면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화면전환 수행 단계는 제1 표시부에 표시중인 화면을 제2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이며, 화면전환 수행 단계는 제1 표시부를 끄고 제2 표시부를 켜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화면전환 방법은, 제1 표시부와 같은 면에 형성된 제1 화면버튼의 입력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제1 화면버튼의 입력이 있으면 제1 표시부가 화면 표시중인지 확인하는 단계와, 제1 표시부가 화면 표시중이면 제2 표시부로 화면전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제1 표시부가 화면 표시중이 아니면 제1 표시부로 화면전환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가급적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핵심을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면을 통틀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00)는 본체가 두 부분(102, 104)으로 분리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서로 결합되고, 표시부(110, 도 2b의 120)와 입력부(130, 도 2b의 140)가 본체의 양면에 각각 형성된다. 휴대 단말기(100)는 멀티미디어 모드(multimedia mode)와 일반 모드(normal mode)를 제공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본 출원인의 한국특허출원이 다수 존재하며, 이들을 참조할 수 있다. 관련 출원은 한국특허출원 제2006-116224호, 제2006-116893호, 제 2006-117753호, 제2006-118616호, 제2006-120466호, 제2006-120879호, 제2006-128044호, 제2006-133547호 등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1 면과 제2 면을 각각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00)는 양쪽 면에 각각 제1 표시부(110)와 제2 표시부(120)를 구비한다. 각 표시부(110, 12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 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다른 표시장치의 사용도 가능하다.
제1 표시부(110)는 제2 표시부(120)보다 상대적으로 화면 크기가 크고 해상도가 우수하다. 예를 들어, 제1 표시부(110)는 대형 QVGA(quarter video graphics array) LCD이고, 제2 표시부(120)는 소형 QCIF(quarter common intermediate format) LCD이다. 따라서 제1 표시부(110)는 멀티미디어 모드의 수행 화면을 표시하기에 적절하고, 제2 표시부(120)는 일반 모드(또는 폰 모드(phone mode)라 함)의 수행 화면을 표시하기에 적절하다. 그러나 특정 모드가 반드시 특정 표시부에서만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양쪽 표시부(110, 120)가 반드시 서로 다른 크기와 해상도를 가져야만 하는 것도 아니다.
휴대 단말기(100)는 양쪽 면에 각각 제1 입력부(130)와 제2 입력부(140)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제1 입력부(130)는 터치패드(touchpad)이고, 제2 입력부(140)는 키패드(keypad)이다.
구체적으로, 제1 입력부(130)의 터치패드는 예컨대 모두 12개의 터치 버튼으로 구성되며, 4방향 버튼, 메뉴 버튼, 취소 버튼, 확인 버튼을 포함한다. 특히, 4방향 버튼 사이의 중앙 버튼(132)에는 제1 핫키(hot key)가 매핑된다. 제1 핫키(132)는 두 표시부(110, 120) 사이의 화면전환을 수행하는 단축키이다. 제1 핫키(132)는 다른 위치의 터치 버튼에 매핑될 수도 있고, 제1 핫키(132)에 사업자전용키가 함께 매핑될 수도 있다.
제2 입력부(140)의 키패드는 예컨대 3ㅧ4 문자숫자키, 4방향 검색키, 각종 기능키를 포함한다. 특히, 4방향 검색키 사이의 중앙키(142)에는 제2 핫키가 매핑된다. 제2 핫키(142)는 두 표시부(110, 120) 사이의 화면전환을 수행하는 단축키이다. 제2 핫키(142)는 다른 키에 매핑될 수도 있고, 제2 핫키(142)에 사업자전용키가 함께 매핑될 수도 있다. 제2 입력부(140)는 본체의 두 부분(102, 104)에 나누어 형성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1 면과 제2 면을 각각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입력부(130, 140)는 전술한 실시예의 핫키 대신에 별도의 화면버튼(134, 144)을 구비한다. 화면버튼(134, 144)은 다른 입력부의 위치를 벗어나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각 표시부(110, 120)의 상단(도면에서는 좌측)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화면버튼(134, 144)과 함께 전술한 실시예의 핫키를 함께 사용하는 것도 경우에 따라서는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는 제1 표시부(110)와 제2 표시부(120), 제1 입력부(130)와 제2 입력부(140), 제어부(160), 그리고 저장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력부(130, 140)는 각각 핫키(132, 142)와 화면버튼(134, 144)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제어부(160)는 화면제어 모듈(162)을 구비한다. 이밖에도 휴대 단말기(100)는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통신부, 음성처리부, 음성입출력부, 근거리통신부,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방송 수신부, 카메라부 등의 통상적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그들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표시부(110, 120)와 입력부(130, 140)는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반복 설명을 생략한다. 제어부(16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하나 또는 두 개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칩으로 구성된다. 제어부(160)가 두 개의 칩으로 이루어질 경우, 그 중 하나는 멀티미디어 전용 제어 칩이다. 특히, 제어부(160)는 화면제어 모듈(162)을 구비한다. 화면제어 모듈(162)은 제1 표시부(110)와 제2 표시부(120) 사이의 화면전환을 제어한다. 즉, 특정 표시부가 켜진 상태에서 입력부로부터 화면전환 입력을 받으면 현재 표시중인 표시부의 화면을 끄고 다른 표시부의 화면을 켜는 동작을 수행한다.
저장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실행되고 처리되는 각종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며, 하나 이상의 휘발성 메모리 소자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로 구성된다. 예컨대, 저장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의 운영체제, 화면제어 모듈(162)의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멀티미디어 기능 실행과 관련된 응용프로그램과 데이터 등을 지속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전환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의 제1 표시부(110)의 화면이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S201), 화면제어 모듈(162)은 입력부로부터 키 입력 신호를 받는다(S202).
키 입력이 있으면, 화면제어 모듈(162)은 수신된 키 입력이 제1 입력부(130)에 구비된 제1 핫키(132)의 키 입력인지 확인한다(S203).
제1 핫키(132)의 키 입력이면, 화면제어 모듈(162)은 제2 표시부(120)로의 화면전환을 수행한다(S204). 즉, 제1 표시부(110)에 표시중인 화면을 제2 표시부(120)에 표시한다. 이때, 제1 표시부(110)와 제2 표시부(120)는 동시에 켜지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표시부(110)가 화면을 표시하는 동안에는 제2 표시부(120)가 꺼진 상태이고, 제2 표시부(120)로 화면전환을 할 때는 제1 표시부(110)가 꺼진다. 화면전환을 수행할 때는 화면전환을 알리는 팝업창을 일정 시간동안 표시할 수도 있다.
전술한 S203 단계에서 제1 핫키(132)의 키 입력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입력부(130)의 다른 키 입력인지 확인한다(S205).
제1 입력부(130)의 다른 키 입력이면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S206), 그렇지 않으면 아무런 기능도 수행하지 않고 S202 단계로 돌아가 키 입력이 있는지 확인한다. 이에 대하여 부연하면, 키 입력은 제1 입력부(130)의 키 입력일 수도 있지만 제2 입력부(140)의 키 입력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는 제1 표시부(110)가 화면 표시되는 동안에는 제2 입력부(140)의 키 입력에 대하여 아무 기능 도 수행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는 특정 핫키를 눌러 화면전환을 수행하는 방법이다. 제1 표시부에서 제2 표시부로 화면전환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본 실시예의 핫키는 화면전환 기능 외에 다른 기능이 매핑되지 않은 경우이다. 그러나 이와 달리 핫키에 다른 기능도 같이 매핑될 수 있으며, 다음 실시예는 그러한 경우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면전환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와 도 6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의 제1 표시부(110)의 화면이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S211), 화면제어 모듈(162)은 제1 입력부(130)에 구비된 제1 핫키(132)의 입력이 있는지 확인한다(S212).
제1 핫키(132)의 입력이 있으면, 화면제어 모듈(162)은 제1 핫키(132)에 매핑된 해당 기능이 실행중인지 확인한다(S213). 예를 들어, 제1 핫키(132)에 DMB 실행키가 매핑되어 있으면, DMB 기능이 제1 표시부(110)에서 실행중인지 확인한다.
해당 기능이 이미 실행중이라면, 화면제어 모듈(162)은 제1 핫키(132)의 입력을 화면전환 입력으로 인식하여 제2 표시부(120)로의 화면전환을 수행한다(S214). 그러나 해당 기능이 실행 중이 아니라면, 화면제어 모듈(162)은 제1 핫키(132)의 입력을 기능실행 입력으로 인식하여 제1 표시부(110)에서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S215).
이상 설명한 두 실시예는 특정 핫키를 눌러 화면전환을 수행하는 방법들이다. 제1 표시부에서 제2 표시부로 화면전환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그 반대의 경 우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화면전환 방법은 핫키 대신에 화면버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 실시예는 그러한 경우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면전환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와 도 7을 참조하면, 화면제어 모듈(162)은 제1 입력부(130)에 구비된 제1 화면버튼(134)의 입력이 있는지 확인한다(S221).
제1 화면버튼(134)의 입력이 있으면, 화면제어 모듈(162)은 제1 표시부(110)가 화면 표시중인지 확인한다(S222).
제1 표시부(110)가 화면 표시중이면, 화면제어 모듈(162)은 제1 표시부(110)의 화면을 끄고 제2 표시부(120)의 화면을 켜도록 각각 제어한다(S223, S224).
제1 표시부(110)가 화면 표시중이 아니라면, 즉 제2 표시부(120)가 화면 표시중이면, 화면제어 모듈(162)은 제2 표시부(120)의 화면을 끄고 제1 표시부(110)의 화면을 켜도록 각각 제어한다(S225, S226).
이와 같이 현재 화면 표시중인 표시부 쪽의 화면버튼을 누르면 현재 실행중인 표시부가 꺼지고 반대쪽 표시부가 켜지면서 화면이 전환된다. 또한, 반대쪽 표시부가 화면 표시중에 앞쪽의 화면버튼을 누르는 경우에도 실행중인 반대쪽 표시부가 꺼지고 앞쪽 표시부가 켜지면서 화면이 전환된다. 이와 달리, 현재 실행중인 표시부 쪽의 화면버튼만 동작하도록 설정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지금까지 여러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양면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화면전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 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양면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에서 편리하게 화면을 전환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관련 출원에서와 같이 단말기 본체의 측면에 구비된 화면 전환키를 이용하여 화면전환을 수행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처럼 단말기 본체의 양면(즉, 전후면)에 각각 핫키 또는 화면버튼을 설치하여 화면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화면전환 방법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1)

  1. 양면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의 화면전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양면 표시부 중의 제1 표시부에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키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 표시부와 같은 면에 형성된 제1 핫키의 키 입력인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키 입력 신호가 상기 제1 핫키의 키 입력이면 상기 양면 표시부 중의 제2 표시부로 화면전환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화면전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핫키는 화면전환 기능 외에 다른 기능이 함께 매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화면전환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키 입력 신호가 상기 제1 핫키의 키 입력이면 상기 화면전환을 수행하기 전에 상기 제1 핫키에 매핑된 다른 기능이 실행중인지 확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핫키에 매핑된 다른 기능이 실행중이면 상기 제2 표시부로 화면전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화면전환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핫키에 매핑된 다른 기능이 실행중이 아니면 해당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화면전환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키 입력 신호가 상기 제1 핫키의 키 입력이 아니면 상기 제1 표시부와 같은 면에 형성된 다른 키의 입력인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키 입력 신호가 상기 다른 키의 입력이면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화면전환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전환 수행 단계는 상기 제1 표시부에 표시중인 화면을 상기 제2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화면전환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전환 수행 단계는 상기 제1 표시부를 끄고 상기 제2 표시부를 켜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화면전환 방법.
  8. 제1 표시부와 그 반대쪽 면의 제2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의 화면전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부와 같은 면에 형성된 제1 화면버튼의 입력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화면버튼의 입력이 있으면 상기 제1 표시부가 화면 표시중인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표시부가 화면 표시중이면 상기 제2 표시부로 화면전환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화면전환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부가 화면 표시중이 아니면 상기 제1 표시부로 화면전환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화면전환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전환 수행 단계는 상기 제1 표시부를 끄고 상기 제2 표시부를 켜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화면전환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전환 수행 단계는 상기 제2 표시부를 끄고 상기 제1 표시부를 켜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화면전환 방법.
KR1020060135876A 2006-12-28 2006-12-28 양면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화면전환 방법 KR101467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5876A KR101467838B1 (ko) 2006-12-28 2006-12-28 양면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화면전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5876A KR101467838B1 (ko) 2006-12-28 2006-12-28 양면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화면전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1069A true KR20080061069A (ko) 2008-07-02
KR101467838B1 KR101467838B1 (ko) 2014-12-03

Family

ID=39813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5876A KR101467838B1 (ko) 2006-12-28 2006-12-28 양면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화면전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78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9833A (ko) * 2014-11-19 2016-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6210286A (zh) * 2016-06-30 2016-12-07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双屏移动终端参数调节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6706A (ja) * 2003-10-30 2005-05-26 Nec Saitama Ltd 携帯情報端末装置及びその表示切替方法
JP4101745B2 (ja) * 2003-12-26 2008-06-18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KR100983276B1 (ko) * 2004-03-19 2010-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77382B1 (ko) * 2004-11-09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의 화면전환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9833A (ko) * 2014-11-19 2016-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6210286A (zh) * 2016-06-30 2016-12-07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双屏移动终端参数调节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7838B1 (ko) 2014-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2509B1 (ko) 이중 모드 양면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 및 그표시부의 화면전환 방법
KR101663474B1 (ko) 휴대단말기, 휴대단말기의 바탕화면 표시 방법 및 저장 매체
US20080158189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obile terminal
CN1201621C (zh) 移动终端设备和功率控制方法及记录其程序的存储媒介
KR101598078B1 (ko) 압전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
US20110169743A1 (en) Input devi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input device
US20110078614A1 (en)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keyboard
US20080161061A1 (en) Mobile terminal having dual display unit and method of controlling dual speaker and dual microphone thereof
KR20110093327A (ko) 3개의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의 데이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20120068274A (ko) 휴대 단말기의 통합 커넥터 장치 및 이의 운용 방법
CN105630307A (zh) 在移动终端显示多个应用的装置及方法
US20050277448A1 (en) Soft buttons on LCD module with tactile feedback
JP2001326710A (ja) 折り畳み式携帯通信装置
KR101649626B1 (ko) 이동 단말기
US93726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ouch input for electronic device
US20110169865A1 (en) Portable terminal device, image display method used for same, and recording medium to record program for same
KR2010013277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한 사용자 동작 입력 방법
KR101737927B1 (ko)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67838B1 (ko) 양면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화면전환 방법
KR10160476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090201259A1 (en) Cursor creation for touch screen
KR10162264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08781B1 (ko) 이동 단말기
KR101339837B1 (ko) 양면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연계기능 수행방법
US20090146956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