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0934A - 다중 서버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중 서버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0934A
KR20080060934A KR1020060135578A KR20060135578A KR20080060934A KR 20080060934 A KR20080060934 A KR 20080060934A KR 1020060135578 A KR1020060135578 A KR 1020060135578A KR 20060135578 A KR20060135578 A KR 20060135578A KR 20080060934 A KR20080060934 A KR 20080060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network
server
main
network device
serv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5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9004B1 (ko
Inventor
표성용
최재영
강수연
이주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5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9004B1/ko
Publication of KR20080060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0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9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4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 H04L41/042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comprising distributed management centres cooperatively managing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2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purposes of a change of settings, e.g. optimising configuration for enhancing reliability
    • H04L41/0826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purposes of a change of settings, e.g. optimising configuration for enhancing reliability for reduction of network c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서버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홈네트워크 접속을 위해 각 가정내에 설치되는 다수의 홈네트워크 기기, 각 홈네트워크 기기와 통신하며 각 홈네트워크 기기의 요청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는 복수의 메인서버, 각 홈네트워크 기기의 메인서버로의 접속요청시 각 홈네트워크 기기의 인증을 수행하고 복수의 메인서버 중 각 홈네트워크 기기가 연결될 메인서버를 결정하는 로그인 서버, 복수의 메인서버의 작동상태를 감시하는 제어서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대단위나 지역적으로 원거리에 위치하는 아파트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홈네트워크 기기의 증가에 적응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메인서버의 부하를 감소시키고,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홈네트워크, 기기, 로그인서버, 메인서버, 제어서버, 메인 제어서버, 관리자 콘솔

Description

다중 서버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HOME NETWORK SYSTEM BY MULTI-SERVER STRUCTURE}
도 1은 종래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서버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메인서버의 구성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서버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일부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5 : 홈네트워크 기기 110 : 세대그룹
115 : 로그인 서버 120 : 메인서버
125 : 웹서버 130 : 데이터베이스
135 : 제어서버 137 : 관리자 콘솔
150 : 메인 제어서버
본 발명은 다중 서버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홈네트워크 기기의 증가에 적응적으로 대처하고,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다중 서버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가정 내의 정보가전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기기, 시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이루어지는 서비스를 말하며, 초고속 인프라를 기반으로 다양한 IT 기기를 활용하여 원격교육, 엔터테인먼트, 헬스케어, 정보가전 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도 무선이나 인터넷을 통해 정보가전기기를 자동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종래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다수의 홈네트워크 기기(5), 홈네트워크 서버(20), 웹서버(25), 데이터베이스(30)를 포함한다.
다수의 홈네트워크 기기(5)는, 하나의 세대내에 하나씩 설치되어 세대내의 각 정보가전기기와 통신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홈네트워크 서버(20)와 통신한다. 사용자는 가정내에서 홈네트워크 기기(5)를 이용하여 세대내의 정보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홈네트워크 기기(5)에 접속하여 세대내의 정보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홈네트워크 기기(5)는 아파트의 동이나 단지 등에 따라, 복수의 세대그룹(10)으로 분류되고, 각 세대그룹(10)은 동이나 단지의 크기에 따라, 500세대, 1000세대, 1500세대, 2000세대 등 다양한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홈네트워크 서버(20)는, 각 홈네트워크 기기(5)로부터 요청된 사항에 따라, 홈네트워크 서버(20)에 연결된 공용기기(50)들의 작동을 제어하거나, 데이터베이스(30)로 정보를 입출력한다. 홈네트워크 서버(20)는, 홈네트워크 기기(5)를 세대그룹(10)에 따라 분리하여 관리한다.
웹서버(25)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PC(35)등을 이용하여 홈네트워크 서버(20)에 접속하여 홈네트워크 기기(5)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웹페이지를 제공한다.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관리자(40)는 웹서버(25)에서 제공하는 웹페이지를 이용하여 홈네트워크 서버(20)에 접속하고, 홈네트워크 서버(20)를 관리한다.
이러한 종래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아파트의 동이나 단지가 증가하게 되어, 홈네트워크 서버(20)에 접속되는 홈네트워크 기기(5)의 숫자가 증가하게 되면, 홈네트워크 서버(20)에 부하를 방지하기 위해, 홈네트워크 서버(20)의 하드웨어를 보강하거나, 새로운 홈네트워크 서버를 구비하여야 한다. 즉, 종래의 단일 홈네트워크 서버(20) 구조에서는, 홈네트워크 서버(20)가 하드웨어 의존적이므로, 하드웨어 사양에 따른 기술적인 한계가 발생하고, 홈네트워크 서버(20)의 하드웨어 업그레이드에 따른 비용부담도 크다. 그리고 홈네트워크 서버(20)의 수를 증가시키는 경우, 각 홈네트워크 서버(20)가 그물망 형태로 직접 통신하도록 함으로써, 각 홈네트워크 서버(20) 간의 통신시 부하가 많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단일의 홈네트워크 서버(20)를 사용할 경우, 하나의 세대그룹(10)에 속해있는 세대 간 통신이나, 다른 세대그룹(10)에 속해있는 세대 간 통신시, 부하가 많이 걸리므로, 세대 간 통신기능을 지원하기 어렵다.
한편, 아파트의 동이나 단지의 증가에 따라 세대가 증가하게 되면, 별도의 홈페이지를 제작하는 등의 관리 및 유지를 위한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홈네트워크 기기의 증가에 적응적으로 대처하고,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 서버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홈네트워크 접속을 위해, 각 가정내에 설치되는 다수의 홈네트워크 기기; 상기 각 홈네트워크 기기와 통신하며 상기 각 홈네트워크 기기의 요청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는 복수의 메인서버; 상기 각 홈네트워크 기기의 상기 메인서버로의 접속요청시, 상기 각 홈네트워크 기기의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복수의 메인서버 중 상기 각 홈네트워크 기기가 연결될 메인서버를 결정하는 로그인 서버; 및, 상기 복수의 메인서버의 작동상태를 감시하는 제어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홈네트워크 기기는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복수의 세대그룹으로 분리되며; 상기 로그인 서버는, 상기 복수의 세대그룹을 상기 복수의 메인서버에 할당하고, 상기 홈네트워크 기기의 상기 메인서버로의 접속요청시, 미리 할당된 상기 메인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정보를 상기 홈네트워크 기기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로그인 서버는, 임의의 메인서버에 접속된 상기 홈네트워크 기기의 수 가 일정 이상일 경우, 상기 임의의 메인서버에 할당된 상기 홈네트워크 기기로부터의 접속요청시, 상기 홈네트워크 기기에 타 메인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서버는, 상이한 상기 메인서버에 접속된 상기 홈네트워크 기기 간의 통신 요청시, 상기 메인서버 간의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서버는 복수개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제어서버의 작동상태를 감시하고, 상기 각 제어서버간의 통신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제어서버는 상기 각 메인서버의 상태를 감시하여 표시하는 관리자 콘솔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제어서버는, 상기 각 제어서버의 상태를 감시하여 표시하는 메인관리자 콘솔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서버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다수의 홈네트워크 기기(105), 로그인 서버(115), 복수의 메인서버(120), 제어서버(135), 데이터베이스(130), 웹서버(125)를 포함한다.
각 가정내에 설치되는 다수의 홈네트워크 기기(105)는, 소정의 조건에 따라 분류되어 복수의 세대그룹(110)을 형성하며, 각 세대그룹(110)은 동일한 수의 홈네트워크 기기(105)를 포함할 수도 있고, 상이한 수의 홈네트워크 기기(105)를 포함 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동일한 동이나 단지내에 속한 세대간의 통신이, 타 동이나 타 단지에 속하는 세대간의 통신보다 빈번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각 세대그룹(110)은 동이나 단지에 따라 분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에 따라 각 세대그룹(110)을 분류할 경우, 하나의 단지에 복수의 세대그룹(110)이 존재하게 된다.
로그인 서버(115)는, 각 홈네트워크 기기(105)의 로그인 인증을 수행하고, 각 홈네트워크 기기(105)의 접속요청시 메인서버(120)에 접속할 수 있도록 접속정보를 제공한다.
로그인 서버(115)는, 각 홈네트워크 기기(105)가 메인서버(120)에 접속하기 원하는 경우, 예를 들어, 가정내에서 홈네트워크 기기(105)를 통해 메인서버(120)의 접속을 요청하는 경우나, PC등의 정보통신기기를 통해 외부에서 메인서버(120)에 접속하기 원하는 경우, 사용자의 ID와 패스워드를 입력받아 인증을 수행한다.
또한 로그인 서버(115)는, 사용자 인증을 통해 사용자의 홈네트워크 기기(105)가 속하는 세대그룹(110)을 찾아내고, 홈네트워크 기기(105)나 정보통신기기로 해당 세대그룹(110)에 할당된 메인서버(120)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정보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홈네트워크 기기(105)나 정보통신기기는 미리 할당된 메인서버(120)에 접속할 수 있으며, 이러한 메인서버(120) 할당방식을 정적 할당방식이라 한다. 이 때, 접속정보로는, 메인서버(120)의 IP주소와 포트를 들 수 있다.
한편, 모든 홈네트워크 기기(105)는 로그인 서버(115)를 통해 로그인 인증을 받은 후, 메인서버(120)에 접속되기 때문에, 로그인 서버(115)는 각 메인서버(120)에 접속된 홈네트워크 기기(105)의 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그인 서버(115)는, 임의의 메인서버(120)에 접속된 홈네트워크 기기(105)의 수가 일정 이상이면, 해당 메인서버(120)에 속하는 홈네트워크 기기(105)가 접속을 요청하는 경우, 해당 메인서버(120)의 접속정보가 아닌 접속된 홈네트워크 기기(105)의 수가 적은 타 메인서버(120)의 접속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홈네트워크 기기(105)는 타 메인서버(120)에 접속하게 되며, 이러한 메인서버(120) 할당방식을 동적 할당방식이라 한다. 동적 할당방식을 사용할 경우, 하나의 메인서버(120)에 집중적으로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로그인 서버(115)는, 정적 할당방식과 동적 할당방식 중 하나를 선택하여 메인서버(120)를 할당하도록 할 수도 있고, 정적 할당방식과 동적 할당방식을 혼용할 수도 있다.
복수의 메인서버(120)는, 각 홈네트워크 기기(105)로부터 제공된 정보에 따라 특정 역할을 수행하거나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정보를 입출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주차시스템, 도어시스템을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홈네트워크 기기(105)를 통해 명령을 입력하면, 해당 명령은 메인서버(120)로 제공되고, 메인서버(120)에서는 주차시스템이나 도어시스템의 동작을 홈네트워크 기기(105)에서 요청한대로 제어한다. 홈네트워크 기기(105)의 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 다음, 메인서버(120)는 해당 명령에 대한 수행이 완료되었음을 해당 홈네트워크 기기(105)로 전달한다.
메인서버(120)의 수는 세대그룹(110)의 수에 대응되도록 마련되나, 하나의 세대그룹(110)에 속한 홈네트워크 기기(105)의 수가 일정 이상일 경우에는 하나의 세대그룹(110)에 대해 복수의 메인서버(120)가 할당될 수도 있으며, 하나의 세대그룹(110)에 속한 홈네트워크 기기(105)의 수가 일정 이하일 경우에는 복수의 세대그룹(110)에 대해 하나의 메인서버(120)가 할당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각 메인서버(120)는 제어서버(135)를 통해서만 상호 통신가능하며, 직접적인 통신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동일한 메인서버(120)에 접속한 홈네트워크 기기(105) 간의 통신은 메인서버(120)를 통해 가능하나, 상이한 메인서버(120)에 접속한 홈네트워크 기기(105) 간의 통신은 제어서버(135)를 통해서만 가능하다. 이에 따라, 메인서버(120)는, 홈네트워크 기기(105)가 타 홈네트워크 기기(105)와의 통신을 요청하는 경우, 타 홈네트워크 기기(105)가 해당 메인서버(120)에 접속된 것인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타 홈네트워크 기기(105)가 동일 메인서버(120)에 접속되어 있는 홈네트워크 기기(105)인 경우에는 메인서버(120)에서 직접 통신을 지원하고, 타 홈네트워크 기기(105)가 상이한 메인서버(120)에 접속된 홈네트워크 기기(105)인 경우에는 제어서버(135)로 통신을 요청한다.
제어서버(135)는, 각 메인서버(120) 및 메인서버(120)에 연결된 공용기기(미도시)의 동작상태를 감시하고, 메인서버(120) 간의 통신을 지원하며,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서버(135)는 관리자 콘솔(137), 통신부(136), 저장부를 포함한다.
관리자 콘솔(137)은, 각 메인서버(120)와 공용기기의 작동상태를 감시하는 감시기능을 수행하는 감시부(138)와, 관리자에게 감시된 상태를 표시하는 관리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139)를 포함한다. 감시부(138)는 각 메 인서버(120)와 공용기기로 작동상태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신호를 제공하고, 각 메인서버(120)와 공용기기로부터의 응답신호에 따라 각 메인서버(120)와 공용기기의 작동상태를 판단한다. 인터페이스부(139)는, 감시부(138)에서 판단한 작동상태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한다.
한편, 제어서버(135)의 통신부(136)는, 메인서버(120) 간의 통신이 필요한 경우, 즉, 서로 상이한 메인서버(120)에 속하는 홈네트워크 기기(105) 간의 통신이 요청되는 경우, 메인서버(120) 간의 통신을 지원한다. 이 때, 제어서버(135)는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대방 홈네트워크 기기(105)가 접속된 상대방 메인서버(120)를 파악하고, 양 메인서버(120)간의 통신을 지원한다. 즉, 통신을 요청한 홈네트워크 기기(105)에 대한 정보를 상대방 메인서버(120)로 제공하고, 상대방 메인서버(120)는 상대방 홈네트워크 기기(105)에 통신이 요청되었음을 알린다. 상대방 홈네트워크 기기(105)가 통신을 수락하면, 각 메인서버(120)는 각 홈네트워크 기기(105)와 통신내용을 송수신하고, 제어서버(135)는 각 메인서버(120)가 각 홈네트워크 기기(105)와 송수신한 통신내용을 각 메인서버(120)간에 중계함으로써, 상이한 메인서버(120)에 접속된 홈네트워크 기기(105) 간의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데이터베이스(130)는, 각 메인서버(120) 및 제어서버(135)와 연결되며, 홈네트워크 기기(105), 메인서버(120), 제어서버(135)에 관련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면, 메인서버(120)에 관한 정보, 홈네트워크 기기(105)에 관한 정보, 홈네트워크 기기(105)를 통해 메인서버(120)로 제공된 정보, 메인서버(120)에서 홈네트 워크 기기(105)에서 요청된 제어를 수행한 결과에 대한 정보, 제어서버(135)에서 메인서버(120) 및 공용기기의 작동상태를 감시한 정보 등이 저장된다.
이 중, 메인서버(120)에 관한 정보로는, 메인서버(120)의 IP 및 포트, 메인서버(120)의 작동상태, 메인서버(120)에 대응되는 세대그룹(110) 등에 대한 정보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홈네트워크 기기(105)에 대한 정보로는, 현재 메인서버(120)에 접속된 홈네트워크 기기(105)의 IP, 접속된 홈네트워크 기기(105)의 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웹서버(125)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PC나 이동통신 단말기 등을 이용하여 홈네트워크 기기(105)에 접속하고자 할 때, PC나 이동통신 단말기에 웹페이지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웹페이지를 통해 외부에서 홈네트워크 기기(105)에 연결된 각 정보가전기기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서버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일부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제어서버(135)를 복수개로 하고, 각 제어서버(135)를 관리하는 상위의 서버인 메인 제어서버(150)를 구비한다. 본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복수의 제어서버(135)와, 메인 제어서버(150)를 포함하며, 각 제어서버(135)는 메인 제어서버(150)와 각각 통신가능하게 연결된다. 메인 제어서버(150)는 각 제어서버(135)의 동작상태를 감시하고, 각 제어서버(135)를 관리한다. 이를 위해, 메인 제어서버(150)는 제어서버(135)와 마찬가지로 메인 관리자 콘솔(155)을 구비한다. 메인 관리자 콘솔(155)은 제어서버(135)의 관리자 콘 솔(137)과 그 역할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메인 제어서버(150)는 단지 단위 또는 그 이상의 홈네트워크 기기(105)를 관리할 수 있는 제어서버(135)를 관리 및 제어함으로써, 원거리에 위치하는 예를 들면, 시, 군, 구, 읍, 면, 동 단위가 상이한 아파트 단지들을 한꺼번에 관리할 수 있는 통합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다중 서버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기존에 단일의 홈네트워크 서버로 운영되던 것을, 로그인 서버(115), 복수의 메인서버(120), 제어서버(135)를 포함하는 3가지의 서버로 분리하여 운영하도록 한다. 로그인 서버(115)는 홈네트워크 기기(105)의 인증과 접속될 메인서버(120)를 결정하며, 메인서버(120)는 홈네트워크 기기(105)와의 통신을 통해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처리하고, 제어서버(135)는 관리자 콘솔(137)을 이용하여 메인서버(120)와 공용기기들을 실시간으로 통합 관리 및 제어한다.
따라서, 종래의 단일 홈네트워크 서버는 하나의 동이나 단지 만의 관리가 가능하였으나, 본 다중 서버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대단위나 지역적으로 원거리에 위치하는 아파트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로그인 서버(115)에서 각 메인서버(120)의 부하에 따라 홈네트워크 기기(105)를 할당하는 메인서버(120)를 결정함으로써, 메인서버(120)의 부하를 감소시키고, 일정 정도의 세대 증가는 메인서버(120)의 할당에 따라 감당할 수 있다. 또한 동이나 단지 단위로 홈네트워크 기기(105)가 증가하여 메인서버(120)를 증설할 경우, 증설된 메인서버(120)를 새로운 홈네트워크 기기(105)와 제어서버(135)에 연결하기만 하면 되므 로, 메인서버(120)의 증설에 따른 작업이 간편하고, 제어서버(135)에 의한 통합관리도 가능하다. 특히 종래에는 각 홈네트워크 서버마다 관리자가 필요하고 별도의 홈페이지를 구축하여야 했으나, 본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제어서버(135)나 메인 제어서버(150)를 관리하는 관리자와, 하나의 홈페이지만으로 대단위의 메인서버(120) 및 홈네트워크 기기(105)를 통합관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대단위나 지역적으로 원거리에 위치하는 아파트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홈네트워크 기기의 증가에 적응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메인서버의 부하를 감소시키고,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형태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6)

  1. 홈네트워크 접속을 위해, 각 가정내에 설치되는 다수의 홈네트워크 기기;
    상기 각 홈네트워크 기기와 통신하며 상기 각 홈네트워크 기기의 요청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는 복수의 메인서버;
    상기 각 홈네트워크 기기의 상기 메인서버로의 접속요청시, 상기 각 홈네트워크 기기의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복수의 메인서버 중 상기 각 홈네트워크 기기가 연결될 메인서버를 결정하는 로그인 서버; 및,
    상기 복수의 메인서버의 작동상태를 감시하는 제어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서버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홈네트워크 기기는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복수의 세대그룹으로 분리되며;
    상기 로그인 서버는, 상기 복수의 세대그룹을 상기 복수의 메인서버에 할당하고, 상기 홈네트워크 기기의 상기 메인서버로의 접속요청시, 미리 할당된 상기 메인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정보를 상기 홈네트워크 기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서버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그인 서버는, 임의의 메인서버에 접속된 상기 홈네트워크 기기의 수가 일정 이상일 경우, 상기 임의의 메인서버에 할당된 상기 홈네트워크 기기로부터의 접속요청시, 상기 홈네트워크 기기에 타 메인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서버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서버는, 상이한 상기 메인서버에 접속된 상기 홈네트워크 기기 간의 통신 요청시, 상기 메인서버 간의 통신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서버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서버는 복수개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제어서버의 작동상태를 감시하고, 상기 각 제어서버간의 통신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서버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어서버는 상기 각 메인서버의 상태를 감시하여 표시하는 관리자 콘솔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제어서버는, 상기 각 제어서버의 상태를 감시하여 표시하는 메인 관리자 콘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서버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
KR1020060135578A 2006-12-27 2006-12-27 다중 서버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 KR101229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5578A KR101229004B1 (ko) 2006-12-27 2006-12-27 다중 서버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5578A KR101229004B1 (ko) 2006-12-27 2006-12-27 다중 서버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0934A true KR20080060934A (ko) 2008-07-02
KR101229004B1 KR101229004B1 (ko) 2013-02-01

Family

ID=39813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5578A KR101229004B1 (ko) 2006-12-27 2006-12-27 다중 서버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900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902B1 (ko) * 2012-08-31 2014-08-27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가상화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의 운영 방법
WO2014178605A1 (ko) * 2013-04-30 2014-11-06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스마트 가전 장치 및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KR102499416B1 (ko) * 2022-04-12 2023-02-14 주식회사 예스테크 집합건물의 환경을 조절하는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1480A (ja) * 2002-03-15 2003-09-26 Mitsubishi Electric Corp ホ−ムゲ−トウェイ管理システム
KR100635542B1 (ko) * 2004-12-15 2006-10-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 네트워크의 보안 부하 감소 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01904A (ko) * 2005-12-13 2006-01-06 주식회사 라이징테크놀러지 실시간 연동서버를 이용한 홈네트워크시스템이 적용된아파트 및 공동주택의 통합관리시스템 및 통합카드시스템
KR100776684B1 (ko) 2006-08-30 2007-11-16 주식회사 인프라밸리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홈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902B1 (ko) * 2012-08-31 2014-08-27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가상화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의 운영 방법
WO2014178605A1 (ko) * 2013-04-30 2014-11-06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스마트 가전 장치 및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KR102499416B1 (ko) * 2022-04-12 2023-02-14 주식회사 예스테크 집합건물의 환경을 조절하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9004B1 (ko) 2013-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2420B1 (ko) 이동기기를 이용하는 스마트 홈 시스템
KR100369318B1 (ko) 가정 자동화를 위한 홈 네트웍 룸 브릿지 시스템 및 제어방법
CN101505386B (zh) 家用电器用户操作界面可转移的实现方法
CN107302465A (zh) 一种PCIe Switch服务器整机管理方法
MX2011001728A (es) Soporte tecnico remoto utilizando una aplicacion ejecutable configurable.
CN111491012A (zh) SaaS多租户数据隔离访问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3327051A (zh) 远程桌面管理系统及方法
KR101229004B1 (ko) 다중 서버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
EP1589700A2 (en) System and method of assigning unique network code to devices connected in a home network
US20180367647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based cloud access method and system
CN106101175B (zh) 设备管控方法、装置和系统
TW201514719A (zh) 機櫃內伺服器管理系統及方法
CN116743824A (zh) 一种集控设备的控制方法及装置
CN103442089A (zh) 远程仪器共享系统及该系统下服务器的权限分配器及权限分配方法
KR101275995B1 (ko) 정보 가전의 데이터 저장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JP5213374B2 (ja) Ip式遠隔監視制御装置および監視制御システム
CN114499935B (zh) 云平台的访问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0371328B1 (ko)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및 주소할당방법
CN109450686B (zh) 一种基于普适网络的网络资源管理系统及方法
CN110099121A (zh) 公有云服务处理方法、计算机装置及存储介质
CN105740180A (zh) Usb设备的虚拟机接入方法和装置
KR20050000870A (ko) Pc 원격구동을 위한 중계기기 및 그것을 이용한원격제어방법
WO2005083574A1 (ja) 機器制御サーバ及び機器制御方法
JP6066740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サーバ
JP2006033598A (ja) Ip電話端末設定装置、ip電話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