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0828A - 조립식 모형완구 및 그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조립식 모형완구 및 그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0828A
KR20080060828A KR1020060135372A KR20060135372A KR20080060828A KR 20080060828 A KR20080060828 A KR 20080060828A KR 1020060135372 A KR1020060135372 A KR 1020060135372A KR 20060135372 A KR20060135372 A KR 20060135372A KR 20080060828 A KR20080060828 A KR 20080060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nit
housing
model
genera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5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8736B1 (ko
Inventor
김원섭
Original Assignee
김원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섭 filed Critical 김원섭
Priority to KR1020060135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8736B1/ko
Publication of KR20080060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0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8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8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42Mechanical, electrical, optical, pneumatic or hydraulic arrangements;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3/00Toy figures with self-moving parts, with or without movement of the toy as a who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1/00Gearing for toys
    • A63H31/08Gear-control mechanisms; Gears for imparting a reciprocating mo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16Models made by folding paper

Abstract

조립식 모형완구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재료판 상에 각각 소정형상으로 각인된 제1부품부에 포함되는 복수의 부품이 재료판으로부터 각각 절취되어 서로 조립됨으로써 형성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유닛; 및 재료판 상에 각각 소정형상으로 각인된 제2부품부에 포함되는 복수의 부품이 재료판으로부터 각각 절취되어 서로 조립됨으로써 형성되며, 동력유닛 상에 지지되어 동력유닛에서 발생된 동력에 의해 작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모형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접착제나 도구를 필요로 함 없이 손으로 쉽고 빠르게 조립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조립 과정에서 어려움이나 지루함을 느끼지 않고 조립할 수 있으며, 연령층이 낮은 어린이들에서부터 기계공학 전공자들까지 쉽고 재미있게 모형을 제작하면서 놀이에서부터 다양한 목적의 학습까지 폭 넓은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모형, 완구, 종이, 폼 보드, 캠

Description

조립식 모형완구 및 그 제작방법{ASSEMBLYING TOY AND METHODE FOR ASSEMBLYING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모형완구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모형완구를 조립하기 위한 부품이 형성된 재료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모형완구의 조립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난 동력유닛의 조립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모형완구의 조립 과정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모형완구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모형완구를 조립하기 위한 부품이 형성된 재료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모형완구의 조립 과정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조립식 모형완구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40 : 재료판 20 : 제1부품부
30 : 제2부품부 100 : 동력유닛
110 : 하우징 120 : 동력발생수단
121 : 회전축부 122 : 조작부
130 : 동력전달수단 131 : 캠부
132 : 링크부 200,420,520 : 모형유닛
300,400,500 : 조립식 모형완구
본 발명은 모형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재료판 상에 절취 가능하게 형성된 다양한 형상의 조각부품에 의해 조립될 수 있는 조립식 모형완구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린이들의 놀이와 과학적 사고방식 함양을 위한 목적으로 놀이 용 완구가 많이 이용된다. 이 중, 조립식 종이 완구 제품은 재료판에 형성되어 있는 조각부품을 오려내거나 떼어내어 설명서에 기재된 내용에 따라 조립하여 완성하는 놀이용 완구로서, 예전에는 주로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것이었으나, 최근에는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보다 복잡한 제품들도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조립식 종이 완구는 제작 과정에서 상해의 위험이 거의 없으며, 플라스틱제 혹은 금속제 완구에 비하여 제작비가 상당히 저렴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조립식 종이 완구는 조각부품을 절취한 후 조립함으로써 소정형상을 이루도록 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단순한 장난감 조립 정도의 수준에만 한정되고, 동물의 모형이나 로봇과 같이 움직이는 물체의 움직임을 표현할 수 없으므로, 어린이들의 흥미를 반감시키고, 조립과정을 통한 어린이들의 과학적 호기심 충족과 과학적 원리 습득욕구는 충족시키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조립식 종이 완구는, 조립과정에 있어서, 각각의 조각부품을 별도의 접착제나 도구를 이용하여 고정시켜야 하므로, 조립과정이 번거롭고, 한번 조립되면 분해 후 재조립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별도의 접착제나 도구가 필요 없고, 조립 후 분해 및 재조립이 가능할 뿐 아니라, 조립된 상태에서 움직이는 물체의 움직임을 표현할 수 있도록 개선된 조립식 모형완구 및 그 제작방법 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립식 모형완구는: 재료판 상에 각각 소정형상으로 각인된 제1부품부에 포함되는 복수의 부품이 상기 재료판으로부터 각각 절취되어 서로 조립됨으로써 형성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유닛; 및 재료판 상에 각각 소정형상으로 각인된 제2부품부에 포함되는 복수의 부품이 재료판으로부터 각각 절취되어 서로 조립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동력유닛 상에 지지되어 상기 동력유닛에서 발생된 동력에 의해 작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모형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동력유닛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상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수단; 및 상기 동력발생수단 및 상기 모형유닛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상에 장착되며, 상기 동력발생수단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변환시켜 상기 모형유닛을 왕복이동시키는 동력전달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동력발생수단은, 상기 하우징 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축부; 및 상기 회전축부를 회전시키는 조작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동력발생수단 상에 결합하여 상기 동력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캠부; 및 상기 캠부와 상기 모형유닛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상에 장착되며, 상기 캠부의 회전에 의해 일측 이 상하로 왕복운동 하여 상기 모형유닛을 상하로 작동시키는 링크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캠부는, 각각 종류에 따라 상기 링크부의 왕복운동을 각각 상이하게 구현하는 복수의 캠이 교체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부품부 및 상기 제2부품부에 포함되는 복수의 부품 중 일부 부품에는, 상기 일부 부품을 소정형상으로 절곡하기 위한 절곡선이 각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재료판은, 플라스틱 재질과, 종이를 포함한 재질과, 폼 보드 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조립식 모형완구 제작방법은: 재료판 상에 동력부를 제작하기 위한 복수의 부품을 절취 가능하게 각인하여 제1부품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재료판 상에 모형유닛을 제작하기 위한 복수의 부품을 절취 가능하게 각인하여 제2부품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부품부 및 상기 제2부품부에 포함되는 복수의 부품 중 일부 부품에 상기 일부 부품을 소정형상으로 절곡하기 위한 절곡선을 각인하는 단계와; 상기 제1부품부 및 상기 제2부품부에 포함되는 복수의 부품을 각각 절취하여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제1부품부에 포함되는 부품들을 용도에 따라 절곡 또는 끼움 결합하여 사용자의 회전조작에 따라 동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동력유닛을 조립하는 단계와; 상기 제2부품부에 포함되는 부품들을 용도에 따라 절곡 또는 끼움 결합하여 상기 모형유닛을 조립하는 단계; 및 상기 동력유닛에서 발생된 동력에 의해 작동 가능하도록 상기 모형유닛을 상기 동력유닛에 결 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동력유닛을 조립하는 단계는, 상기 제1부품부에 포함되는 부품 중 하우징에 해당하는 제1부품을 절곡하여 하우징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부품부에 포함되는 부품 중 동력전달수단에 해당하는 제2 및 제3부품을 조립하여 상기 동력전달수단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부품부에 포함되는 부품 중 동력발생수단에 해당되는 제4 내지 제7부품을 조립하여 상기 동력발생수단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동력전달수단을 상기 하우징 상에 장착하는 단계; 및 상기 동력발생수단을 상기 동력전달수단과 연결되도록 상기 하우징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부품을 소정형상으로 절곡한 후 상기 하우징 상에 결합하여 링크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3부품을 상기 링크부의 하부와 맞닿도록 상기 동력발생수단 상에 축 결합하여 캠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동력발생수단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4부품 및 상기 제5부품을 끼움 결합하여 회전축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회전축부를 상기 하우징 상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제6부품을 상기 회전축부의 일단에 끼움 결합하고 상기 제7부품을 상기 회전축부의 타단에 끼움 결합하여 상기 회전축부 일단에 조작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재료판은, 플라스틱 재질과, 종이를 포함한 재질과, 폼 보드 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모형완구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모형완구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모형완구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모형완구를 조립하기 위한 부품이 형성된 재료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모형완구(300)는, 동력유닛(100) 및 모형유닛(200)을 포함한다. 여기서, 동력유닛(10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동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모형유닛(200)은 이 동력유닛(100) 상에 지지되어 동력유닛(100)에서 발생된 동력에 의해 작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모형완구(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료판(10) 상에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부품에 의해 조립될 수 있는데, 이러한 각각의 부품은, 소정형상의 전개도 형태로 재료판(10) 상에 일체로 형성된 다.
이와 같이 평면 형태로 재료판(10) 상에 일체로 형성된 각각의 부품은, 사용자의 가벼운 누름 조작만으로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도록 그 최외곽선에 절취선이 각인될 수 있으며, 홈 또는 요철이 그 자체에 각각 형상화되어 있어 별도의 접착제나 도구 없이도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또한, 복수의 부품 중 일부 부품에는, 사용자가 필요부분을 용이하게 절곡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절곡선이 각인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복수의 부품을 포함하는 재료판(10)의 재질은, 바람직하게는 얇은 플라스틱에 종이를 부착하여 형성된 폼 보드 재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거나 종이를 포함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중, 재료판(10)이 종이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폐기시 자연분해될 수 있으므로 환경문제를 일으키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게 된다.
한편, 동력유닛(100)은, 이와 같은 재료판(10)에 형성된 복수의 부품 중, 제1부품부(20)에 포함되는 복수의 부품이 재료판(10)으로부터 각각 절취되어 서로 조립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으로서, 하우징(110)과, 동력발생수단(120) 및 동력전달수단(130)을 포함한다.
먼저, 하우징(110)은, 동력유닛(100)의 틀을 이루는 것으로서, 제1부품(21)을 소정형상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된다.
다음으로, 동력발생수단(120)은 하우징(110) 상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제4부품(24) 및 제5부품(25)을 조 립함으로써 형성되어 하우징(110) 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축부(121) 및 손잡이에 해당하는 제6부품(26)을 회전축부(121)의 일단에 끼움 결합하고 와셔에 해당하는 제7부품(27)을 상기 회전축부(121)의 타단에 각각 끼움 결합하여 회전축부 일단에 형성되는 조작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동력전달수단(130)은, 동력발생수단(120)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변환시켜 모형유닛(200)을 왕복이동시키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이며, 동력발생수단(120) 및 모형유닛(200) 사이에 구비되어 하우징(110) 상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캠부(131) 및 링크부(132)를 포함한다.
여기서, 캠부(131)는, 동력발생수단(120) 상에 결합하여 동력발생수단(120)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것으로서, 제3부품(23)이 후술할 링크부(132)의 하부와 맞닿도록 동력발생수단(120)의 회전축부(121) 상에 축 결합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와 같이 회전축부(121) 상에 축 결합함으로써 회전축부(12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캠부(131)는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축부(121) 상에 축 결합함으로써 이 회전축부(12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게 되며, 그 외주면은 적어도 일측이 돌출되어 있다.
또한, 링크부(132)는, 캠부(131)와 모형유닛(200) 사이에 구비되어 모형유닛(200)을 상하로 작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제2부품(22)을 소정형상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링크부(132)는, 소정형상으로 절곡되어 캠부(131)의 상부와 맞닿도록 하우징(110) 상에 결합함으로써 캠 팔로워(Cam follower) 역할을 하는 절곡된 하부(132a)와, 절곡된 하부(132a)에 하단이 연결되고 상단이 링크부의 상부(132b)를 관통하여 링크부(132)의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링크(132c)를 포함한다. 여기서 링크(132c)는, 링크부(132)의 일측에 해당되는 것으로, 이와 연결된 절곡된 하부(132a)와 함께 연동하여 상하로 왕복 운동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 상기와 같은 링크부(132)에 포함되는 절곡된 하부(132a)와, 상부(132b) 및 링크(132c)는, 바람직하게는, 제2부품(22)을 소정형상으로 절곡함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링크(132c)의 상하 왕복운동은, 캠부(131)의 작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회전축부(121) 상에 축 결합한 캠부(131)가 이 회전축부(12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면, 캠부(131)의 외주면에 돌출된 부분이 링크부(132)의 절곡된 하부(132a)를 상부로 밀어내는 동작을 반복하면서 회전축부(121)의 회전운동을 상하왕복운동으로 변환하게 된다. 이러한 상하 왕복운동은 링크부(132)의 절곡된 하부(132a)에 연결된 링크(132c)에 전달되며, 이에 링크(132c)가 링크부(132)의 절곡된 하부(132a)와 함께 연동하여 상하 왕복운동 하게 됨으로써, 그 상단에 결합한 모형유닛(200)을 상하로 왕복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재료판(10) 상에 다수의 제3부품(23a,23b,23c,23d,23e)이 형성될 수 있는데, 구현하고자 하는 모형유닛(200)의 동작에 따라 이러한 다수의 제3부품(23a,23b,23c,23d,23e)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캠부(131)를 형성함으로써, 모형유닛(200)의 동작을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여러 가지로 자유롭게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모형완구(300)는, 별도의 접착제 나 도구를 사용함 없이 홈 또는 요철이 각각 형성된 복수의 부품을 이용하여 조립하므로, 조립이 용이함은 물론, 조립 후 분해 및 재조립 또한 용이하게 가능하며, 다시 분해된 각각의 부품은 다시 재료판(10) 상에 끼워 보관 가능하므로, 분해 후 재조립을 위한 보관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모형완구의 조립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나타난 동력유닛의 조립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모형완구의 조립 과정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모형완구의 조립 및 제작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재료판(10) 상에 동력유닛(100)을 조립하기 위한 복수의 부품을 포함하는 제1부품부(20)를 형성한다(S100). 이때, 각 부품은 전개된 상태의 소정형상으로 각인되며, 이러한 각 부품의 최외곽선은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각 부품을 절취할 수 있도록 절취선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뒤이어, 상기 복수의 부품 중 절곡될 필요가 있는 일부 부품에 절곡선을 각인하여(S200) 재료판(10) 상에 동력유닛(100)의 전개도를 완성한다.
그런 다음, 제1부품부(20)에 해당하는 각 부품들을 재료판(10)으로부터 절취하여 분리하고(S300), 분리된 각 부품들을 조립하여 동력유닛(100)을 조립하게 되는데(S400), 이러한 동력유닛(100)의 조립 과정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제1부품(21)을 소정형상으로 절곡하여 하우징(110)을 형성함으로써 동력유닛(100)의 틀을 형성한다(S410).
그런 다음, 제2부품(22)을 소정형상으로 절곡하여 하우징(110) 상에 장착함으로써 링크부(132)를 형성하게 되는데(S421), 이때, 이러한 링크부(132)의 형상은, 링크부의 상부(132b)가 하우징(110) 상에 결합되고, 링크부(132)의 절곡된 하부(132a)에 연결된 링크(132c)는 링크부의 상부(132b)를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되는 형상일 수 있다. 링크부(132)를 형성한 다음에는, 다수의 제3부품(23a,23b,23c,23d,23e) 중,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하나를 선택하여 링크부의 절곡된 하부(132a)와 맞닿도록 배치함으로써 캠부(131)를 형성하고(S422), 이에 따라 동력전달수단(130)의 형성이 완료된다(S420).
이와 동시에, 제4부품(24) 및 제5부품(25)을 끼움 결합하여 회전축부(121)를 형성하고(S431), 이 회전축부(121)를 하우징(110) 상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한 다음(S432), 제6부품(26)을 회전축부(121)의 일단에 끼움 결합하고 제7부품(27)을 회전축부의 타단에 끼움 결합하여 조작부(122)를 형성함으로써(S433), 동력발생수단(120)의 형성이 완료된다(S430).
그런 다음, 링크부(132)의 상부(132b)를 하우징(110) 상부에 결합함으로써 동력전달수단(130)을 하우징(110) 상에 장착하고(S440), 동력발생수단(120)을 동력전달수단(130)과 연결되도록 하우징(110) 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하게 되는데(S450), 이는 회전축부(121)가 캠부(131) 중앙에 관통 결합하여 캠부(131)를 지지한 상태에서 그 양단이 하우징(110) 상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동력유닛(100)의 조립(S400)이 완료된다.
한편, 모형유닛(200)을 제작하기 위하여, 동력유닛(100)의 제작 과정에서와 마찬가지로, 재료판(10) 상에 모형유닛(200)을 조립하기 위한 복수의 부품을 포함하는 제2부품부(30)를 형성한다(S500). 이때, 재료판(10)은, 도 2에 도시된 재료판(10)과 같이 제1부품부(20)를 일체로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고, 제1부품부(20)가 형성된 재료판(10)과 별도로 구비된 것일 수도 있다.
뒤이어, 상기 복수의 부품 중 절곡될 필요가 있는 일부 부품에 절곡선을 각인하여(S600) 재료판(10) 상에 모형유닛(200)의 전개도를 완성한다. 그런 다음, 제2부품부(30)에 해당하는 각 부품들(31,32)을 재료판(10)으로부터 절취하여 분리하고(S700), 분리된 각 부품들을 조립하여 모형유닛(200)을 조립한(S800) 다음, 이 모형유닛(200)을 링크부(132)의 링크(132c) 상단에 결합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모형완구(300)의 제작이 완료된다.
이때, 모형유닛(200)은 한가지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각 다른 형태와 움직임을 갖는 모형유닛(200)이 추가로 더 구비될 수도 있는데, 이에 따르면 사용자가 각자의 기호에 따라 여러 가지 다른 형태의 모형유닛(200)을 교체하여 장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흥미를 더욱 유발하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7a 내지 도 7c는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모형완구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모 형완구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키므로, 여기서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유닛(100) 상에 모형유닛이 결합된 상태에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조작부(122)를 잡고 일 방향으로 회전조작하게 되면, 이에 따라 조작부(122)와 연결된 회전축부(121)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이 회전축부(121) 상에 축 결합한 캠부(131)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캠부(131)가 회전하게 되면, 캠부(131) 외주면의 돌출된 부분이 이에 따라 이동하면서 링크부의 절곡된 하부(132a)를 상부로 밀어내고,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부의 절곡된 하부(132a)를 지나쳐 링크부의 절곡된 하부(132a)를 다시 하부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이에 따라 링크부의 절곡된 하부(132a)와 이에 연결된 링크(132c)가 상하로 왕복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되며, 이처럼 링크(132c)가 왕복운동 함에 따라 링크(132c) 상단에 결합한 모형유닛(200)이 함께 왕복운동 함으로써 조립식 모형완구(300)의 일정한 움직임을 만들어내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비교적 단순한 메커니즘인 캠의 원리를 적용하여 모형유닛(200)을 작동시키는 동력유닛(100)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보다 복잡한 크랭크나 기어 혹은 복합 메커니즘 구조 등 기계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모든 메커니즘이 동력유닛(100)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르면 연령층이 낮은 어린이들에서부터 기계공학 전공자들까지 쉽고 재미있게 모형을 제작하면서 놀이에서부터 다양한 목적의 학습까지 폭 넓은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조립식 모형완구(30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모형완구를 조립하기 위한 부품이 형성된 재료판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모형완구의 조립 과정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조립식 모형완구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재료판(40) 상에는 둘 이상의 모형유닛(420,520)을 구비하는 조립식 모형완구(400,500)를 조립하기 위한 부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재료판(40) 상에 형성된 복수의 부품을 조립하여 형성되는 조립식 모형완구(400,500)의 제작방법 및 작동관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작방법 및 작동관계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조립식 모형완구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모형완구가 아닌 다른 장치에도 본 발명의 조립식 모형완구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모형완구는, 종래와 달리, 별도의 접착제나 도구를 필요로 함 없이 손으로 쉽고 빠르게 조립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조립 과정에서 어려움이나 지루함을 느끼지 않고 조립할 수 있으며, 연령층이 낮은 어린이들에서부터 기계공학 전공자들까지 쉽고 재미있게 모형을 제작하면서 놀이에서부터 다양한 목적의 학습까지 폭 넓은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별도의 접착제나 도구를 사용함 없이 홈 또는 요철이 각각 형성된 복수의 부품을 이용하여 조립하므로, 조립이 용이함은 물론, 조립 후 분해 및 재조립 또한 용이하게 가능하며, 다시 분해된 각각의 부품은 다시 재료판 상에 끼워 보관 가능하므로, 분해 후 재조립을 위한 보관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Claims (12)

  1. 재료판 상에 각각 소정형상으로 각인된 제1부품부에 포함되는 복수의 부품이 상기 재료판으로부터 각각 절취되어 서로 조립됨으로써 형성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유닛; 및
    재료판 상에 각각 소정형상으로 각인된 제2부품부에 포함되는 복수의 부품이 재료판으로부터 각각 절취되어 서로 조립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동력유닛 상에 지지되어 상기 동력유닛에서 발생된 동력에 의해 작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모형유닛을 포함하는 조립식 모형완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유닛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상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수단; 및
    상기 동력발생수단 및 상기 모형유닛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상에 장착되며, 상기 동력발생수단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변환시켜 상기 모형유닛을 왕복이동시키는 동력전달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모형완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발생수단은,
    상기 하우징 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축부; 및
    상기 회전축부를 회전시키는 조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모형완구.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동력발생수단 상에 결합하여 상기 동력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캠부; 및
    상기 캠부와 상기 모형유닛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상에 장착되며, 상기 캠부의 회전에 의해 일측이 상하로 왕복운동 하여 상기 모형유닛을 상하로 작동시키는 링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모형완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는, 각각 종류에 따라 상기 링크부의 왕복운동을 각각 상이하게 구현하는 복수의 캠이 교체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모형완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품부 및 상기 제2부품부에 포함되는 복수의 부품 중 일부 부품에는, 상기 일부 부품을 소정형상으로 절곡하기 위한 절곡선이 각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모형완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판은, 플라스틱 재질과, 종이를 포함한 재질과, 폼 보드 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모형완구.
  8. 재료판 상에 동력부를 제작하기 위한 복수의 부품을 절취 가능하게 각인하여 제1부품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재료판 상에 모형유닛을 제작하기 위한 복수의 부품을 절취 가능하게 각인하여 제2부품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부품부 및 상기 제2부품부에 포함되는 복수의 부품 중 일부 부품에 상기 일부 부품을 소정형상으로 절곡하기 위한 절곡선을 각인하는 단계와;
    상기 제1부품부 및 상기 제2부품부에 포함되는 복수의 부품을 각각 절취하여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제1부품부에 포함되는 부품들을 용도에 따라 절곡 또는 끼움 결합하여 사용자의 회전조작에 따라 동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동력유닛을 조립하는 단계와;
    상기 제2부품부에 포함되는 부품들을 용도에 따라 절곡 또는 끼움 결합하여 상기 모형유닛을 조립하는 단계; 및
    상기 동력유닛에서 발생된 동력에 의해 작동 가능하도록 상기 모형유닛을 상기 동력유닛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립식 모형완구 제작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유닛을 조립하는 단계는,
    상기 제1부품부에 포함되는 부품 중 하우징에 해당하는 제1부품을 절곡하여 하우징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부품부에 포함되는 부품 중 동력전달수단에 해당하는 제2 및 제3부품을 조립하여 상기 동력전달수단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부품부에 포함되는 부품 중 동력발생수단에 해당되는 제4 내지 제7부품을 조립하여 상기 동력발생수단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동력전달수단을 상기 하우징 상에 장착하는 단계; 및
    상기 동력발생수단을 상기 동력전달수단과 연결되도록 상기 하우징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모형완구 제작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부품을 소정형상으로 절곡한 후 상기 하우징 상에 결합하여 링크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3부품을 상기 링크부의 하부와 맞닿도록 상기 동력발생수단 상에 축 결합하여 캠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모형완구 제작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발생수단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4부품 및 상기 제5부품을 끼움 결합하여 회전축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회전축부를 상기 하우징 상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제6부품을 상기 회전축부의 일단에 끼움 결합하고 상기 제7부품을 상기 회전축부의 타단에 끼움 결합하여 상기 회전축부 일단에 조작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모형완구 제작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판은, 플라스틱 재질과, 종이를 포함한 재질과, 폼 보드 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모형완 구 제작방법.
KR1020060135372A 2006-12-27 2006-12-27 조립식 모형완구 KR100868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5372A KR100868736B1 (ko) 2006-12-27 2006-12-27 조립식 모형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5372A KR100868736B1 (ko) 2006-12-27 2006-12-27 조립식 모형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0828A true KR20080060828A (ko) 2008-07-02
KR100868736B1 KR100868736B1 (ko) 2008-11-13

Family

ID=39813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5372A KR100868736B1 (ko) 2006-12-27 2006-12-27 조립식 모형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873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294B1 (ko) * 2013-04-25 2014-06-05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회로가 구비된 조립식 모형
KR101480512B1 (ko) * 2014-02-25 2015-01-14 김하경 포신의 동작을 이용한 기구 동작 학습용 종이 공작물
KR20190070438A (ko) * 2017-12-13 2019-06-21 아토디자인 주식회사 조립식 의자
KR102188224B1 (ko) * 2020-05-19 2020-12-09 김영진 멸균장치를 구비하는 움직임의 조작이 가능한 조형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0947B1 (ko) 2012-12-10 2014-04-02 이승철 조립식 학습 완구
KR101507329B1 (ko) 2014-02-25 2015-04-07 김하경 해머 동작을 이용한 기구 동작 학습용 종이 공작물
KR101707974B1 (ko) * 2015-09-21 2017-02-20 주식회사 삼쩜일사 페이퍼 크래프트 구동완구
US20170326466A1 (en) * 2015-09-14 2017-11-16 3.14 Co., Ltd. Mobile toys using paper craft
KR101730793B1 (ko) * 2015-09-14 2017-04-28 주식회사 삼쩜일사 종이모형을 이용한 조립식 구동완구
KR20220044231A (ko) 2020-09-30 2022-04-07 (주)와플 캠핑 체험놀이 기구와 그 프로그램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708Y1 (ko) * 2002-04-12 2002-07-13 나천순 과학 학습용 완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294B1 (ko) * 2013-04-25 2014-06-05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회로가 구비된 조립식 모형
KR101480512B1 (ko) * 2014-02-25 2015-01-14 김하경 포신의 동작을 이용한 기구 동작 학습용 종이 공작물
KR20190070438A (ko) * 2017-12-13 2019-06-21 아토디자인 주식회사 조립식 의자
KR102188224B1 (ko) * 2020-05-19 2020-12-09 김영진 멸균장치를 구비하는 움직임의 조작이 가능한 조형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8736B1 (ko) 2008-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8736B1 (ko) 조립식 모형완구
CN110211833A (zh) 按键结构
US6062939A (en) Toy power tool
CN110323094A (zh) 键盘
KR20130129947A (ko) 완구 조립 세트
EP1957174B1 (en) Articulated walking toy device
KR200391656Y1 (ko) 강아지 작동완구
JP3173740U (ja) 可変式ステップ構造
KR200404029Y1 (ko) 강아지 작동완구
KR200478523Y1 (ko) 동작이 가능한 블록형 로봇완구의 동작블록에 결합되어 동작블록과 함께 동작할 수 있는 추가 동작블록을 갖는 블록형 로봇완구
WO2006135001A1 (ja) 形態変形玩具
KR101800110B1 (ko) 조립식 종이 모형 완구
JP3112670U (ja) 玩具駆動モジュール
JP3128518U (ja) 子犬作動玩具
JP2009160238A (ja) 歩行玩具
JP5197711B2 (ja) 省力ステープラー
CN210845250U (zh) 一种益智游戏机的传动及操控机构
CN216497454U (zh) 一种摇滚乐队玩具
KR200481412Y1 (ko) 동력전달장치 및 이를 포함한 조립용 완구
GB2060413A (en) Toy horse with mechanism to produce trotting sound
CN220368740U (zh) 物联网直播互动控制装置
CN218553097U (zh) 一种可跳舞的玩具公仔
CN217391567U (zh) 玩偶玩具及其玩偶传动机构
KR870002531Y1 (ko) 동물 작동 완구
JP3195058U (ja) 歩行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