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0208A - 전후길이가 신축되는 신발 - Google Patents

전후길이가 신축되는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0208A
KR20080060208A KR1020080054395A KR20080054395A KR20080060208A KR 20080060208 A KR20080060208 A KR 20080060208A KR 1020080054395 A KR1020080054395 A KR 1020080054395A KR 20080054395 A KR20080054395 A KR 20080054395A KR 20080060208 A KR20080060208 A KR 200800602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shoe
incision
upper rear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4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2588B1 (ko
Inventor
남태욱
Original Assignee
남태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태욱 filed Critical 남태욱
Publication of KR20080060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0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2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2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adjustable as to length or siz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03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A43C1/006Rear lacing, i.e. with a lace placed on the back of the foot in place of, or in addition to the traditional front lace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후길이가 신축되는 신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의 갑피후방부에 역"T"형절개부를 형성하되, 역"T"형절개부의 수직절개부 폭을 넓게 간격을 두고 형성하거나, 또 다른 실시예로서는 신발의 갑피후방부에 "1" 자, 또는 "U" 자형 또는 "V" 자 형으로 절개된 넓은 폭의 수직절개부를 형성하고, 그 수직절개부의 간격을 신발끈이나 매직테이프가 부착된 절개부커버밴드 등의 간격조절수단에 의해 신축되게 함으로서, 수직절개부의 간격이 넓어지고 좁아짐에 따라 신발의 전후길이가 신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발뒤축에 대응하는 신발(1)의 갑피후방부(3)에 상하로 절개된 수직절개부(4)를 형성한 신발에 있어서, 상기 수직절개부(4)는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갑피후방부(3)의 하부에는 수직절개부(4)의 하단부와 수직으로 연결되어 절개된 부분이 역"T"형으로 통하는 하부수평절개부(5)가 수평 형성되고, 상기 수직절개부(4) 양측의 갑피후방부(3)에는 수개의 끈구멍(8)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양측 갑피후방부(3)에 형성된 끈구멍(8)에 수직절개부(4)의 간격을 신축 조절하는 신발끈(9)이 끼워져 결속되고, 상기 갑피후방부(3) 중의 일측 갑피후방부(3)의 내면에는 수직절개부(4)의 간격을 커버하는 절개부커버(7)가 재봉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의 경우에 신발의 갑피후방부에 "1" 자, 또는 "U" 자형 또는 "V" 자 형 중의 어느 한가지의 모양으로 절개된 넓은 폭의 수직절개부를 형성 하고, 그 수직절개부의 간격을 신발끈이나 매직테이프가 부착된 절개부커버밴드 등의 간격조절수단으로서 신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신발, 역"T"형절개부, 수직절개부, 하부수평절개부, 신축, 길이조절, 갑피

Description

전후길이가 신축되는 신발{Shoes which can be expanded and contracted length}
본 발명은 전후길이가 신축되는 신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의 갑피후방부에 역"T"형절개부를 형성하되, 역"T"형절개부의 수직절개부 폭을 넓게 간격을 두고 형성하거나, 또 다른 실시예로서는 신발의 갑피후방부에 "1" 자, 또는 "U" 자형 또는 "V" 자 형으로 절개된 넓은 폭의 수직절개부를 형성하고, 그 수직절개부의 간격을 신발끈이나 매직테이프가 부착된 절개부커버밴드로서 신축되게 함으로서, 수직절개부의 간격이 넓어지고 좁아짐에 따라 신발의 전후길이가 신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에도 특허출원 제 1994-3600호를 비롯한, 특허출원 제1999-2294호, 실용신안등록출원 2004-19915호 등의 출원 건이 신발의 길이를 조절하고자 출원하였으나, 이들은 하측의 신발창부터 상측의 갑피까지를 전후로 분리한 뒤에, 전후로 분리된 신발창과 갑피를 주름식으로 연결하거나, 또는 분리된 신발창을 슬라이드식으로 전후로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슬라이드식으로 이동하는 신발창의 길이를 조절하고자 스크 류를 회전시키는 수공구를 필요로 하는 등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와, 그 구조가 복잡해짐에 따라 제조원가가 과다하게 상승됨은 물론이고 신발의 무게도 무거워지는 문제를 함께 지니고 있었으며, 무엇보다 신발의 외관이 이상하여 실질적으로 상품화되지 못하는 문제를 지니고 있었다.
그리고, 신발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구조와 일부분이 유사한 신발(주로 여성용 구두)이 상품화되어 판매되고 있는데, 이는 여성구두의 후방 갑피부분을 상하로 절개한 뒤에 상하로 절개된 갑피부분에 지퍼를 달아서 구두를 신고 벗기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 있었다.
그러나, 이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의 여성용 구두를 신고 벗기가 용이하도록 절개된 갑피부분에 지퍼를 달은 것이므로, 본 발명과는 목적과 구성, 작용효과에서 다르므로 비교할 수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신발의 갑피후방부에 역"T"형절개부를 형성하되, 역"T"형절개부의 수직절개부 폭을 넓게 간격을 두고 형성하면서 그 수직절개부의 간격을 신발끈이나 매직테이프가 부착된 절개부커버밴드로서 신축되게 함으로서, 수직절개부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넓어지게 할 때, 하부가 수평으로 절개된 하부수평절개부에 의해 수직절개부를 형성한 갑피후방부가 앞으로 구부려지거나 뒤로 늘어나서 신발의 길이를 전후방향으로 신축(伸縮)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는 신발의 갑피후방부에 "1" 자, 또는 "U" 자형 또는 "V" 자 형 중에 어느 한 가지의 모양으로 절개된 넓은 폭의 수직절개부를 형성하고, 그 수직절개부의 간격을 신발끈이나 매직테이프가 부착된 절개부커버밴드 등의 간격조절수단으로서 신축되게 함으로서, 신발의 전후길이를 간편하게 신축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신발의 갑피후방부에 상하방향으로 수직절개부를 형성한 신발에 있어서, 상기 수직절개부는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갑피후방부의 하부에는 수직절개부의 하단부와 수직으로 연결되어 절개된 부분이 역"T"형으로 통하는 하부수평절개부가 수평 형성되고, 상기 수직절개부 양측의 갑피후방부에는 수개의 끈구멍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양측 갑피후방부에 형성된 끈구멍에 수직절개부의 간격을 신축 조절하는 신발끈이 끼워져 결속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의 본 발명은 상기 수직절개부의 간격을 10∼60mm로 형성하되, 상기 수직절개부의 모양을 상하간격이 일정한 "1" 자형이나, 또는 "U" 자형 또는 "V" 자 형 중의 어느 한가지의 모양으로 형성하고, 상기 수직절개부의 간격을 간격조절수단에 의해 신축 조절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전후길이가 신축되는 신발은, 신발의 갑피후방부에 역"T"형절개부를 형성하되, 역"T"형절개부의 수직절개의부 폭을 넓게 간격을 두고 형성하면서 그 수직절개부의 간격을 신발끈이나 매직테이프가 부착된 절개부커버밴드로서 신축되게 함으로서, 수직절개부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넓어지게 할 때, 하부가 수평으로 절개된 하부수평절개부에 의해 수직절개부를 형성한 갑피후방부가 앞으로 가거나 뒤로 늘어나서 신축길이가 크지는 않지만 신발의 길이를 전후방향으로 신축(伸縮)되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신발의 길이를 전후방향으로 신축됨에 따라 발이 커가는(성장하는) 어린이나 청소년의 경우에 신발의 구입비용을 절감시키는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고, 발의 성장이 정지된 성인의 경우에 발이 붓거나 발이 불편할 때 사용자의 발에 맞게 신발길이를 그때 마다 조절하여 착용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는 것이다.
상기 갑피후방부에 역"T"형절개부를 형성하는 대신에 수직절개부를 10~60mm의 간격으로 형성하되, 상기 수직절개부의 모양을 상하간격이 일정한 "1" 자형이나, 또는 "U" 자형 또는 "V" 자 형 중의 어느 한가지의 모양으로 형성하고, 상기 수직절개부의 간격을 간격조절수단에 의해 신축 조절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신발의 전후길이를 소폭이지만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와, 전후 길이방향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신발의 제조가 용이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신발을 인터넷이나 홈쇼핑을 통하여 구입하거나, 선물을 하는 등 타인이 구매한 경우에 이러한 신발을 받아보고 신발을 착용하였을때, 신발의 크기가 5mm 내외의 크기로 크거나 작은 경우에는 그 신발의 맞지 않는 정도가 미미(微微)한데도 불구하고 발이 불편하여 반품이나 교체를 하게 되는 불편까지도 해소할 수 있는 매우 실용적인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후길이가 신축되는 신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뒤축에 대응하는 신발(1)의 갑피후방부(3)가 상하방향으로 절개되어 갑피후방부(3)에 수직절개부(4)를 형성한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수직절개부(4)는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갑피후방부(3)의 하부에는 수직절개부(4)의 하단부와 수직으로 연결되어 절개된 부분이 역"T"형으로 통하는 하부수평절개부(5)가 수평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직절개부(4)의 하단부에 하부수평절개부(5)가 수직하게 연결되어 역"T"형으로 형성되므로 수직절개부(4)와 하부수평절개부(5)가 합쳐져 연결된 것을 역"T"형절개부(6)라고 칭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절개부(4)의 벌어진 간격은 10∼60mm의 간격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수직절개부(4)의 간격을 10mm 이하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10mm 이하로 벌어진 간격을 신발끈(9)으로 조여서 수직절개부(4)를 형성하는 양측 갑피후방부(3)의 수직선부가 맞닿아서 둥근 호형(弧形)으로 형성된 갑피후방부(3)의 호(弧)의 길이가 10mm 줄어든 상태가 되어 신발의 전체길이가 줄어드는 데는 영향을 주지 않으나, 수직절개부(4)의 간격을 10mm 만큼 벌어지게 하면 발에 꼭 끼던 신발이 느슨해지게 될 수 있다.
반대로, 수직절개부(4)의 벌어진 간격을 60mm로 넓게 형성하는 경우에는 수직절개부(4)를 형성하는 양측 갑피후방부(3)의 수직선부가 맞닿게 신발끈(9)으로 조였을 때, 호형으로 형성된 갑피후방부(3)의 호의 길이가 60mm가 줄어들므로 호의 길이가 줄어든 만큼 신발의 전체길이가 단축되게 되는 것이며, 수직절개부(4)의 간격을 60mm 이상으로 넓게 하면 발뒤축이 후방으로 이탈할 염려와 외관상의 문제가 있으므로 수직절개부(4)가 최대로 벌어진 폭이 60mm를 넘지 않게 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수직절개부(4) 양측의 갑피후방부(3)에는 수개의 끈구멍(8)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양측 갑피후방부(3)에 형성된 끈구멍(8)에 수직절개부(4)의 간격을 신축 조절하는 신발끈(9)이 끼워져 결속된다.
그리고, 상기 갑피후방부(3) 중의 일측 갑피후방부(3)의 내면에는 수직절개부(4)의 간격을 커버하며, 끈구멍으로 끼워진 신발끈에 발뒤축이 배기는 것을 커버하는 절개부커버(7)가 재봉으로 결합되는데, 이 절개부커버(7)는 높이를 갑피후방부(3)의 높이보다 높지 않게 형성할 수도 있고,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절개부커버(7)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여 길게 연장된 부분이 갑피후방부(3)의 외측으로 넘어서서 갑피후방부(3)의 외부면을 커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가 도시되었는데, 다른실시예가 일실시예와 전체적으로 유사하나 수직절개부(4)를 커버하며 수직절개부(4)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수단이 다르다.
상기 조절수단을 일실시예에서는 수직절개부(4)의 간격을 절개부커버(7)로서 커버하고, 수직절개부(4)의 간격을 신축시키는 것을 신발끈(9)을 끈구멍에 끼운 뒤에 꽉 조이거나 느슨하게 묶었으나, 다른실시예에서는 암수매직테이프(11,12)가 탈착되는 절개부커버밴드(13)에 의해 수직절개부(4)의 벌어진 간격을 커버함과 동시 에 수직절개부(4)의 간격을 신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다른실시예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뒤축에 대응하는 신발(1)의 갑피후방부(3)가 상하방향으로 절개되어 갑피후방부(3)에 수직절개부(4)를 형성하되, 상기 수직절개부(4)는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갑피후방부(3)의 하부에는 수직절개부(4)의 하단부와 수직으로 연결되어 절개된 부분이 역"T"형으로 통하는 하부수평절개부(5)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갑피후방부(3) 중의 일측 갑피후방부(3)의 외부면에는 수매직테이프(12)가 설치되며, 타측 갑피후방부(3)의 외부면에는 자유단부 내측면에 수매직테이프(12)와 탈부착되는 암매직테이프(11)가 설치된 절개부커버밴드(13)가 수직절개부(4)의 간격을 신축 조절하게 설치된 것이다.
도 8의 (가) 내지 (다)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일실시예와, 도 4에 도시된 다른실시예에는 수직절개부(4)의 하방에 하부수평절개부(5)가 형성되어 있으나, 도 8의 (가) 내지 (다)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는 하부수평절개부가 삭제되고 수직절개부(4)만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수직절개부(4)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은 간격조절수단이라고 칭하는데, 이 간격조절수단은 위의 일실시예와 다른실시예는 물론이고 도 8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으로, 도 1과 같이 수직절개부(4) 양측의 갑피후방부(3)에 끈구멍(8)을 형성하고 그 끈구멍에 신발끈을 끼어서 수직절개부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이나, 도 4와 같이 매직테이프를 이용한 절개부커버밴드로서 수 직절개부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칭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위의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은 일실시예와 다른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도 8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의 다른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즉, 도 8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는 도 8의 (가)의 경우에 상기 수직절개부(4)를 10~60mm의 간격으로 형성하되, 상기 수직절개부의 모양을 상하간격이 일정한 "1" 자형으로 형성된 것이고,
도 8의 (나)의 경우는 수직절개부(4)를 "U" 자형으로 도 8의 (다)에 도시된 수직절개부(4)는 "V" 자형으로 형성된 것일 나타내고 있는데, 이들 "1" 자형, "U" 자형, "V" 자형 중의 어느 한가지의 모양으로 선택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 8의 (가)(나)(다)에 도시된 수직절개부(4) 중에 어느 한 가지를 선택하고, 그 수직절개부를 간격조절수단으로 간격을 조이거나 넓어서 신발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이는 위의 도 1 및 도 3의 일실시예와 다른실시예 보다 신발의 길이를 조절하는 량은 작지만 신발의 길이조절이 가능하고 그러한 신발의 제작이 용이하며, 하부수평절개부가 삭제되어 모래 등의 이물질이 신발 내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도 2및 도 4에 점선으로 표시된 미설명 부호 "10" 은 재봉결합선으로서, 도 2에 도시된 재봉결합선(10)은 갑피후방부(3)의 내측면에 절개부커버(7)를 재봉으로 결합 설치하는 것이고, 도 4에 도시된 재봉결합선(10)은 갑피후방부(3)의 외부면에 절개부커버밴드(13)의 일측단부(고정단부)를 재봉으로 결합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일실시예와, 도 4에 도시된 다른실시예, 도 8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 모두가 도 7의 (가)와 같이 수직절개부(4) 사이의 간격을 "A"와 같이 넓게 형성하면 넓게 벌어진 간격에 의해 발뒤축이 그 만큼 뒤로 갈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 신발의 길이가 길어지게 하는 것이다.
반면에 도 7의 (나)와 같이 수직절개부(4) 사이의 간격이 "B"와 같이 좁아지면(수직절개부(4)의 양측 갑피후방부(3)의 수직선부가 맞닿은 경우도 포함하며, 이하 양측 갑피후방부(3)의 수직선부가 맞닿은 것으로 설명하기로 함), 양측 갑피후방부(3)의 수직선부가 맞닿음에 따라 맞닿은 갑피후방부(3)의 후단이 전방으로 당겨져서 신발의 길이가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신발의 길이가 신축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하여 수직절개부(4) 사이의 간격이 "A"와 같이 넓게 벌어진 상태에서는 신발창(2)의 후방단부와 절개부커버(7)의 후방이 근접한 것으로 도 7의 (가)에 도시되고, 양측 갑피후방부(3)의 수직선부가 맞닿았을 때는 서로 맞닿은 갑피후방부(3)의 후방단부가 신발창(2)의 후방단부로 부터 전방측으로 "C"만큼 줄어든 것을 도 7의 (나)에 도시하였다.
상기 양측 갑피후방부(3)가 도 7의 (나)와 같이 전방측으로 구부려지는 것은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직절개부(4)의 하부에 하부수평절개부(5)가 수평방향으로 절개형성되어서 양측 갑피후방부(3)의 하측 모서리부는 "L" 및 반 "L"자형으로 절개된 공간부(이하, "L"자형 절개부라고 칭함)가 형성되어서, 그 "L" 자형 절개부에 의해 갑피후방부(3)가 내측으로 쉽게 구부려 질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수직절개부(4)의 간격이 넓어지면 신발의 전후길이가 길어지고, 수직절개부(4)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양측 갑피후방부(3)의 수직선부가 맞닿으면 신발의 전후길이가 줄어들게 되는 것이며, 본 발명에 의한 신발길이가 전후로 신축되는 길이는 10mm 내외의 소폭이 신축되도록 역"T"형절개부(6)의 길이를 형성하는 것이 현실적일 것임에 따라 수직절개부(4)의 간격을 꼭 10~60mm로 한정할 필요는 없다.
상기와 같이 수직절개부(4)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은, 일실시예에서는 신발끈(9)을 결속하는 것으로 하고, 다른실시예에서는 절개부커버밴드(13)로서 절개부커버밴드(13)에 설치된 암매직테이프(11)와 반대측 갑피후방부(3)에 설치된 수매직테이프(12)를 부착하는 위치에 따라서 수직절개부(4)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이다.
그리고, 일실시예에서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이 절개부커버(7)를 신발의 안쪽에서부터 수직절개부(4)의 간격을 조절한 갑피후방부(3) 외측으로 넘어서 갑피후방부(3)의 내외면을 절개부커버(7)로 감싸게 함에 따라 신발을 신을 때, 발뒤축이 신발 내로 들어갈 때 절개부커버(7)가 신발의 안쪽으로 쓸러 들어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갑피후방부(3)의 후방외측을 덮는 부분이 신발끈(9)이 묶어진 부분을 커버하여 신발이 단정해 보이게 하며, 갑피후방부의 후방외측을 덮는 절개부커버(7)의 외부면에 상표나 장식부를 형성하면 더욱 더 멋있는 신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다른실시예의 경우에 절개부커버밴드(13)로서 수직절개부(4) 의 틈새(간격)를 커버하며 수직절개부(4)의 틈새를 조절할 수 있음은 위에 설명한 바와 동일하며, 이 경우에도 절개부커버밴드(13)의 외부면에 상표나 장식부를 형성하면 더욱 더 멋있는 신발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수직절개부(4)의 간격을 신축조절하는 수단(간격조절수단)에 대하여 위에서 신발끈(9)을 이용하는 것과, 매직테이프로서 착탈되는 절개부커버밴드(13)를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그 외에 버튼을 구비한 밴드를 이용하는 방식이나, 일측 갑피후방부(3)의 외면에 걸이부를 설치하고 타측 갑피후방부(3)에 상기 걸이부에 걸리는 길이조절버클을 설치하여 수직절개부(4)의 간격을 신축조절할 수 도 있다.
상기 암수매직테이프(11)를 설치할 때, 도 4와 반대로 암매직테이프(11)를 갑피후방부(3)에 설치하고 수매직테이프(12)는 절개부커버밴드(13)에 설치해도 무방하다.
상기 도 8의 (가)에 도시된 경우에 수직절개부(4)가 "1" 자형으로 형성된 것과, 도 8의 (나)와 같이 "U" 자형으로 형성된 것, 도 8의 (다)와 같이 "V" 자형으로 형성된 것일 나타내고 있는데, 이들 "1" 자형, "U" 자형, "V" 자형 수직절개부 모두가 간격조절수단으로 조이거나 느슨하게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그 들의 모양을 "1" 자형, "U" 자형, "V" 자형 중의 어느 한가지의 모양으로 선택하도록 한 것은 디자인적인 면을 고려한 것이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는 위의 도 1 및 도 3의 일실시예와 다른실시예 보다 신발의 길이를 조절하는 량은 작지만 신발의 길이조절이 가능하고 그러한 신발의 제작이 용이하며, 하부수평절개부가 삭제되어 모래 등의 이물질이 신발 내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참고로 도 8의 (가)(나)(다)에서는 간격조절수단을 신발끈으로 적용하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서 끈구멍은 도시하고, 신발끈의 도시를 생략하였음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조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서 신발끈을 끼지 않은 상태의 배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서 절개부커버가 갑피후방부의 외부를 덮은 상태의 배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이실시예를 나타내는 배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인 갑피후방부를 절개한 부분측단면도.
도 7의 (가)(나)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나타내는 부분평단면도.
도 8의 (가)(나)(다)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신발 2 : 신발창 3 : 갑피후방부
4 : 수직절개부 5 : 하부수평절개부 6 : 역"T"형절개부
7 : 절개부커버 8 : 끈구멍 9 : 신발끈
10 : 재봉결합선 11 : 암매직테이프 12 : 수매직테이프
13 : 절개부커버밴드

Claims (5)

  1. 발뒤축에 대응하는 신발(1)의 갑피후방부(3)에 상하로 절개된 수직절개부(4)를 형성한 신발에 있어서,
    상기 수직절개부(4)는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갑피후방부(3)의 하부에는 수직절개부(4)의 하단부와 수직으로 연결되어 절개된 부분이 역"T"형으로 통하는 하부수평절개부(5)가 수평 형성되고,
    상기 수직절개부(4) 양측의 갑피후방부(3)에는 수개의 끈구멍(8)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양측 갑피후방부(3)에 형성된 끈구멍(8)에 수직절개부(4)의 간격을 신축 조절하는 신발끈(9)이 끼워져 결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길이가 신축되는 신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갑피후방부(3) 중의 일측 갑피후방부(3)의 내면에는 수직절개부(4)의 간격을 커버하는 절개부커버(7)가 재봉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길이가 신축되는 신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커버(7)는 그 길이가 길게 연장 형성되어 갑피후방부(3)의 외부를 감싸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길이가 신축되는 신발.
  4. 발뒤축에 대응하는 신발(1)의 갑피후방부(3)가 상하방향으로 절개되어 갑피 후방부(3)에 수직절개부(4)를 형성한 신발에 있어서,
    상기 수직절개부(4)는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갑피후방부(3)의 하부에는 수직절개부(4)의 하단부와 수직으로 연결되어 절개된 부분이 역"T"형으로 통하는 하부수평절개부(5)가 수평 형성되고,
    상기 갑피후방부(3) 중의 일측 갑피후방부(3)의 외부면에는 수매직테이프(12)가 설치되며, 타측 갑피후방부(3)의 외부면에는 자유단부 내측에 수매직테이프(12)와 탈부착되는 암매직테이프(11)가 설치된 절개부커버밴드(13)가 수직절개부(4)의 간격를 신축 조절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길이가 신축되는 신발.
  5. 발뒤축에 대응하는 신발(1)의 갑피후방부(3)가 상하방향으로 절개되어 갑피후방부(3)에 수직절개부(4)를 형성한 신발에 있어서,
    상기 수직절개부(4)는 10∼60mm로 벌어지게 간격을 두고 형성하되, 상기 수직절개부(4)의 모양을 상하간격이 일정한 "1" 자형이나, 또는 "U" 자형 또는 "V" 자 형 중의 어느 한가지의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절개부(4)의 간격을 간격조절수단에 의해 신축 조절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길이가 신축되는 신발.
KR1020080054395A 2008-06-02 2008-06-09 전후길이가 신축되는 신발 KR1010025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2855 2008-06-02
KR1020080052855A KR20080060207A (ko) 2008-06-02 2008-06-02 전후길이가 신축되는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0208A true KR20080060208A (ko) 2008-07-01
KR101002588B1 KR101002588B1 (ko) 2010-12-21

Family

ID=3981282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2855A KR20080060207A (ko) 2008-06-02 2008-06-02 전후길이가 신축되는 신발
KR1020080054395A KR101002588B1 (ko) 2008-06-02 2008-06-09 전후길이가 신축되는 신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2855A KR20080060207A (ko) 2008-06-02 2008-06-02 전후길이가 신축되는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8006020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7227A (ko) 2015-06-14 2016-12-22 전정욱 크기 조절 가능한 맞춤 신발
WO2021182832A1 (ko) * 2020-03-11 2021-09-16 장지성 신축기능을 갖는 신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72035U (ko) 1971-12-13 1973-09-10
US4190971A (en) 1978-07-18 1980-03-04 Pro-Tect, Inc. Karate foot protec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7227A (ko) 2015-06-14 2016-12-22 전정욱 크기 조절 가능한 맞춤 신발
WO2021182832A1 (ko) * 2020-03-11 2021-09-16 장지성 신축기능을 갖는 신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2588B1 (ko) 2010-12-21
KR20080060207A (ko) 2008-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0638B2 (en) Securement strap for a sandal
EP2621302B1 (en) Heel-end slip shoe
US7331122B2 (en) Convertible sandal
EP2036449B1 (en) Shoe with heel area opening to make the fit easy and adjustable
US20070130800A1 (en) Shoe retention strap
US20080276492A1 (en) Elastic footwear strap
US9468253B2 (en) Adjustable shoe
JP2002112804A (ja)
US8413350B2 (en) Interchangeable shoe with clips and loops
US9603410B2 (en) Modular shoe with interchangeable components and method of attachment
KR101002588B1 (ko) 전후길이가 신축되는 신발
US20150282553A1 (en) Sandal With Adjustable Strap
JP3151863U (ja) パンプス用ホルダー
US1489735A (en) Support for foot covering
NL2011024C2 (en) Shoe system with interchangeable upper shoe part.
KR20100092273A (ko) 신발끈 액세서리
CN105288989A (zh) 便于穿脱的轮滑鞋鞋壳
CN205180481U (zh) 组合鞋和鞋底组件和帮面组合体
GB2379592A (en) Shoe cover
CN205106573U (zh) 一种带有松紧可调鞋舌的鞋子
CN210539227U (zh) 一种双重束紧的鞋子
JP3053098U (ja) ギブス用履物
KR20130068228A (ko) 신발 장신구
KR200451902Y1 (ko) 밴드형 신발끈
KR20130038114A (ko) 길이조절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