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9988A - 책갈피 겸용 필기구 - Google Patents

책갈피 겸용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9988A
KR20080059988A KR1020060133992A KR20060133992A KR20080059988A KR 20080059988 A KR20080059988 A KR 20080059988A KR 1020060133992 A KR1020060133992 A KR 1020060133992A KR 20060133992 A KR20060133992 A KR 20060133992A KR 20080059988 A KR20080059988 A KR 20080059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bookmark
writing
writing instrument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3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6312B1 (ko
Inventor
한희현
Original Assignee
한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희현 filed Critical 한희현
Priority to KR1020060133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6312B1/ko
Publication of KR20080059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9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6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6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43K29/08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measuring, computing or indic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9/00Bookmarkers; Spot indicators; Devices for holding books open; Leaf turners
    • B42D9/001Devices for indicating a page in a book, e.g. bookmarkers

Abstract

본 발명은 몸체부에 필기심을 부착시킴으로써, 몸체부를 접으면 필기구로 사용하고 몸체부를 펼치면 책갈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책갈피 겸용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절첩선이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부착된 필기심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부가 절첩선을 따라 접혀지는 경우 필기구로 사용되고, 상기 몸체부가 펼쳐지는 경우 책갈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책갈피, 필기심, 심부, 절첩선, 몸체부, 가장자리, 형상

Description

책갈피 겸용 필기구{writing implement used a space between the leaves of a book}
도 1 은 종래의 필기구용 책갈피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갈피 겸용 필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은 도 2의 책갈피 겸용 필기구의 절첩선을 따라 접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갈피 겸용 필기구의 평면도.
도 5 는 도 2의 책갈피 겸용 필기구에서 몸체부에 마련된 수용홈 및 끼움홈을 도시한 도면.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책갈피 겸용 필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내지 도 9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책갈피 겸용 필기구의 몸체부를 접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책갈피 겸용 필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책갈피 겸용 필기구 10 : 몸체부
10a : 제 1 절첩선 10b : 제 2 절첩선
11a : 제 1 가장자리 12b : 제 2 가장자리
20 : 필기심 20a : 심부
본 발명은 책갈피 겸용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몸체부에 필기심을 부착시킴으로써, 몸체부를 접으면 필기구로 사용하고 몸체부를 펼치면 책갈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책갈피 겸용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갈피와 필기구는 분리되어 있어 동시에 휴대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책을 읽을 때 줄이나 문구를 적기 위하여 필기구가 필요한 경우 필기구를 따로 찾아야 하거나, 필기구 사용할 때 책갈피가 필요한 경우 책갈피를 따로 찾아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 책갈피와 더불어 사용 가능한 필기구에 대해서는 실용신안 등록 제20-0427472호 "필기구용 책갈피" 등이 알려져 있다.
상기 실용신안을 포함하는 종래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의 판지(10)의 일측면에 광고물을 인쇄하여 광고면(12)을 형성하고 다른 일측면은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면(미도시)을 형상하되, 상기 일측 접착면에 필기 가능한 필기심의 심부(2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접착하고 상기 판지(10)를 중앙을 중심으로 절 첩하여 접착제작된 필기구용 책갈피(1)에 있어서, 상기 방향의 판지의 중앙 하단을 일정간격 절취하여 그 하단부위가 상부로 접지되도록 접지부(13, 13′)를 형성하고, 상기 접착면의 절첩부위에 필기심을 접착하고 그 심부(21)가 접지부(13, 13′)에 의해 외부로 노출 및 은폐되도록 하여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기술은 필기구로 사용시 몸체가 납작하기 때문에 장시간 손으로 잡고 쓰기가 불편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몸체부에 형성된 절첩선을 따라 접으면 필기구로 사용되고 몸체부를 펼치면 책갈피로 사용되는 책갈피 겸용 필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절첩시 몸체부 단면이 다각형상을 갖기 때문에 장시간 손으로 잡고 쓰더라도 불편하지 않은 책갈피 겸용 필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책갈피 겸용 필기구는 절첩선이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부착된 필기심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부가 절첩선을 따라 접혀지는 경우 필기구로 사용되고, 상기 몸체부가 펼쳐지는 경우 책갈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절첩선은 인쇄되거나 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부는 안으로 접히는 절첩선과 밖으로 접히는 절첩 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부는 절첩시 단면이 다각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 상기 다각형상은 삼각형의 각 변이 안쪽으로 접히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 상기 필기심의 심부보다 몸체부의 길이가 길고, 상기 심부보다 긴 여분의 몸체부는 절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부는 길이 방향으로 마주하는 가장자리를 포함하고, 상기 가장자리 중 상기 필기심의 심부가 돌출되는 가장자리는 지그재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부는 그 내부에 상기 필기심을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부는 상기 필기심이 부착되지 않은 영역에 끼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부는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책갈피 겸용 필기구를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갈피 겸용 필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 은 도 2의 책갈피 겸용 필기구의 절첩선을 따라 접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 는 도 2의 책갈피 겸용 필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2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책갈피 겸용 필기구를 펼쳐놓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의 (b)는 도 2의 (a)의 A-A선의 단면도이며, 도 2의 (c)는 도 2의 (a)의 B-B선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책갈피 겸용 필기구는, 제 1 및 제 2 절첩선(10a, 10b)이 형성된 몸체부(10)와, 그 몸체부(10)에 부착된 필기심(20)을 포함한다.
몸체부(10)는 종이, 코팅지, 철판 및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사용한다.
특히, 몸체부(10)는 대략 1mm~1.5mm의 두께를 갖는 종이나 코팅지를 사용함이 바람직하고, 대략 0.5mm~0.8mm의 두께를 갖는 철판이나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몸체부(10)는 절첩시 안으로 접히는 제 1 절첩선(10a)과 밖으로 접히는 제 2 절첩선(10b)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절첩선(10a, 10b)은 인쇄되거나 홈으로 형성된 것으로, 종이나 코팅지의 경우 절첩을 위한 라인(line)이 인쇄되어 있고 철판이나 플라스틱의 경우 절첩을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 2의 (c)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절첩선(10a, 10b)을 안쪽으로 접혀지도록 형성된 홈 및 밖으로 접혀지도록 형성된 홈으 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철판이나 플라스틱의 경우 제 1 및 제 2 절첩선(10a, 10b)을 홈으로 형성하지만, 종이나 코팅지의 경우 제 1 및 제 2 절첩선(10a, 10b)을 인쇄한다.
본 실시예에서 종이나 코팅지의 경우 제 1 및 제 2 절첩선(10a, 10b)을 인쇄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홈이 형성되는 것으로도 구현 가능하다. 다만, 종이의 경우 접철식으로 접었다 폈다를 반복하면 찢어질 수 있기 때문에 몸체부(10)에 제 1 및 제 2 절첩선(10a, 10b)을 인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몸체부(10)가 철판 또는 플라스틱으로 사용되는 경우, 몸체부(10)는 그 상판 및/또는 하판에 합성수지재의 코팅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종이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몸체부(10)는 그 상부 및/또는 하부에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몸체부(10)를 접철식으로 접었다 폈다는 반복하더라도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다. 즉, 몸체부(10)에 형성된 코팅층으로 인하여 그 코팅층이 찢어져서 사용하지 못할 때까지 책갈피 겸용 필기구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는 제 1 및 제 2 절첩선(10a, 10b)을 따라 절첩시 그 단면이 다각형상을 갖는다. 이때, 다각형상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의 각 변이 안쪽으로 접히는 형상이다.
본 실시예에서 절첩시 몸체부(10)의 단면이 다각형상을 갖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 1 및 제 2 절첩선(10a, 10b)의 간격에 따라 몸체부(10)의 단면이 삼각형상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 1 및 제 2 절첩선(10a, 10b)을 따라 몸체부(10)를 절첩시킨 상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또한, 몸체부(10)는 도 5에서 보듯이 몸체부(10)의 내부에 필기심(20)을 수용하는 수용홈(1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수용홈(11)에는 필기심(20)을 고정시키기 위한 접착제(미도시)가 도포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수용홈(11)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기타 다른 고정수단을 통해서도 필기심(20)이 몸체부(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는 필기심(20)이 부착되지 않은 영역에 끼움홈(1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끼움홈(12)은 몸체부(10)를 펼쳐서 책갈피로 사용될 때 책장에 끼워지기 때문에, 책갈피가 책장 속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필기심(20)은 몸체부(10)에 형성된 접착부(미도시)에 부착되거나, 몸체부(10)에 마련된 수용홈(11)에 부착된다. 이러한 필기심(20)은 소정의 두께(예를 들면, 1mm~1.5mm)를 갖는 몸체부(10)에 마련된 수용홈(11)에 부착되기 때문에 몸체부(10)가 불룩하게 튀어나오지 않는다. 이에 따라, 책이나 다이어리 등에 책갈피 겸용 필기구를 끼워놓더라도 책이나 다이어리에 변형을 주지 않는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책갈피 겸용 필기구는 책갈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몸체부(10)를 펼치고, 필기구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몸체부(10)를 제 1 및 제 2 절첩선(10a, 10b)을 따라 접는다. 이와 같이 필기구로 사용하는 경우 접는 방식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으로 연출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몸체부(10)를 접으면 필기구로 사용하고 몸체부(10)를 펼치면 책갈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몸체부(10)의 단면이 다각형상을 갖기 때문에 장기간 손으로 잡고 쓰더라도 펜으로 쓰는 것과 같은 편안한 느낌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책갈피 겸용 필기구를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책갈피 겸용 필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 내지 도 9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책갈피 겸용 필기구의 몸체부를 접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책갈피 겸용 필기구는, 몸체부(30)를 제 1 및 제 2 절첩선(30a, 30b)을 따라 접으면 필기구로 사용하고 몸체부(30)를 펼치면 책갈피로 사용한다는 점에서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책갈피 겸용 필기구는 몸체부(30)의 구성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상이하므로, 이어지는 설명에서는 그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몸체부(30)는 필기심(40)이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몸체부(30)에 연장되어, 필기심(40)의 심부(40a) 보다 긴 여분의 몸체부(35)(이하, '연장편'이라 한다)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몸체부(30)를 펼쳐서 책갈피로 사용하더라도 필기심(40)의 심부(40a)가 책장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장편(35)은 절첩시 몸체부(30)와 같은 방향으로 접혀지도록 제 1 및 제 2 절첩선(35a, 35b)이 형성되어 있다.
몸체부(30)는 제 1 및 제 2 가장자리(31, 32)를 포함하는데, 제 1 및 제 2 가장자리(31, 32) 중 필기심(40)의 심부(40a)가 돌출되는 제 1 가장자리(31)는 지그재그 형상을 갖는다. 이와 같이 형성된 몸체부(10)를 접어서 필기구로 사용하면 사용자는 연필이나 볼펜을 사용하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가장자리(31)의 형상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형상으로도 구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 1 가장지리(31)가 지그재그 형상을 갖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제 2 가장자리(32)도 지그재그 형상 또는 기타 다른 형상을 갖게 구현할 수 있다.
연장편(35)은 몸체부(30)의 제 1 가장자리(31) 중 돌출된 위치에 절취선(38)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몸체부(30)로 절첩시 연결편(35)의 절취선이 절취되어 몸체부(30)로 겹쳐지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책갈피 겸용 필기구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30)와 연장편(35)을 겹친다. 다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30)와 연장편(35)에 형성된 제 1 절첩선(30a, 35a) 및 제 2 절첩선(30b, 35b)을 따라 접어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필기구로 사용하고, 몸체부(30)와 연장편(35)을 펼쳐서 책갈피로 사용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간편하게 책갈피와 필기구를 사용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책갈피로 사용하더라도 몸체부에 연장된 연장편으로 인하여 필기구의 심부가 책장이나 손이나 옷 등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책갈피 겸용 필기구는 몸체부(50)의 제 1 및 제 2 가장자리(51, 52) 중 필기심(60)의 심부(60a)가 돌출되는 제 1 가장자리(51)는 지그재그 형상을 갖는다. 제 1 가장자리(51)가 지그재그 형상인 몸체부(50)를 접어서 필기구로 사용하면 사용자는 연필이나 볼펜을 사용하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제 1 가장자기(51)가 지그재그 형상을 갖음으로써 절첩시 몸체부(50)가 필기심(60)을 지지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책갈피 겸용 필기구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50)에 제 1 및 제 2 절취선(50c, 50d)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 1 절취선(50c)은 'V'자 형태의 절취선이고, 제 2 절취선(50d)은 제 1 절취선(50c)이 삽입 고정되는 '-'자 형태의 절취선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절취선 형태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른 형태의 절취선으로도 충분히 구현 가능하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절취선(50c, 50d)은 절첩시 몸체부(20)의 제 2 가장자리(52)가 벌어지지 않도록 해준다.
본 실시예에서 몸체부를 펼치면 책갈피로 사용되고 몸체부를 접으면 필기구로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몸체부를 펼치면 판촉물이나 명함으로 사용되고 몸체부를 접으면 필기구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때, 몸체부에는 판촉을 위한 광고정보나 개인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부를 접으면 필기구로 사용하고 몸체부를 펼치면 책갈피로 사용할 수 있는 책갈피 겸용 필기구를 제공함으로써, 책이나 지갑, 주머니에 언제나 휴대가 간편한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필요시 즉시 메모가 가능하여 떠오르는 생각을 놓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절첩선을 따라 절첩시 몸체부의 단면이 다각형상을 갖음으로써, 절첩된 몸체부를 잡고 장시간 쓰더라도 불편하지 않은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부의 내부에 필기심의 수용홈이 형성됨으로써, 몸체부에 필기심을 부착시키더라도 몸체부가 불록하게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단점을 막을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부에 끼움홈을 형성함으로써, 몸체부를 펼쳐서 책갈피로 사용하더라도 책장에 끼움홈이 끼워지기 때문에 책갈피를 빨리 찾을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부에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몸체부를 접철식으로 접었다 폈다 하더라도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부에 필기구의 심부보다 긴 연장 편을 형성함으로써 필기구의 심부가 책장이나 손이나 옷 등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부의 제 1 가장자기가 지그재그 형상을 갖음으로써, 절첩시 몸체부가 필기심을 지지해 줄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부를 그림이나 문장이 인쇄된 판촉물이나 개인정보가 기록된 명함으로 이용함으로써, 홍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Claims (10)

  1. 절첩선이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부착된 필기심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부가 절첩선을 따라 접혀지는 경우 필기구로 사용되고, 상기 몸체부가 펼쳐지는 경우 책갈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갈피 겸용 필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첩선은
    인쇄되거나 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갈피 겸용 필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안으로 접히는 절첩선과 밖으로 접히는 절첩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갈피 겸용 필기구.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절첩시 단면이 다각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갈피 겸용 필기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다각형상은
    삼각형의 각 변이 안쪽으로 접히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갈피 겸용 필기구.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심의 심부보다 몸체부의 길이가 길고,
    상기 심부보다 긴 여분의 몸체부는 절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갈피 겸용 필기구.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길이 방향으로 마주하는 가장자리를 포함하고,
    상기 가장자리 중 상기 필기심의 심부가 돌출되는 가장자리는
    지그재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갈피 겸용 필기구.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그 내부에 상기 필기심을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갈피 겸용 필기구.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필기심이 부착되지 않은 영역에 끼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갈피 겸용 필기구.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갈피 겸용 필기구.
KR1020060133992A 2006-12-26 2006-12-26 책갈피 겸용 필기구 KR100846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3992A KR100846312B1 (ko) 2006-12-26 2006-12-26 책갈피 겸용 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3992A KR100846312B1 (ko) 2006-12-26 2006-12-26 책갈피 겸용 필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9988A true KR20080059988A (ko) 2008-07-01
KR100846312B1 KR100846312B1 (ko) 2008-07-15

Family

ID=39812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3992A KR100846312B1 (ko) 2006-12-26 2006-12-26 책갈피 겸용 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63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766B1 (ko) * 2012-07-03 2013-11-08 조영진 모바일 기기용 스타일러스 펜
KR101869428B1 (ko) * 2017-04-20 2018-06-20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종이 볼펜대 및 이를 이용하는 종이 볼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068Y1 (ko) 2008-11-27 2011-10-10 윤성균 접철이되는 필기구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15743U (ko) * 1977-02-21 1978-09-14
JPS5472137U (ko) * 1977-10-29 1979-05-22
JPS5616300Y2 (ko) * 1978-06-20 1981-04-16
JPS5759689U (ko) 1980-09-29 1982-04-08
JPS5820393Y2 (ja) 1980-12-19 1983-04-27 徳三 長田 ガイドペン
KR200142607Y1 (ko) * 1996-12-20 1999-06-01 김근식 필기가 가능한 책갈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766B1 (ko) * 2012-07-03 2013-11-08 조영진 모바일 기기용 스타일러스 펜
KR101869428B1 (ko) * 2017-04-20 2018-06-20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종이 볼펜대 및 이를 이용하는 종이 볼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6312B1 (ko) 200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3266B2 (en) Dry erasable board
US7290953B2 (en) Pocketable note holder with writing instrument
US7857127B2 (en) Integrated tabbed note and clip kit
US20020139291A1 (en) Ultimate bookmark
US7905672B2 (en) Insertable dividers for a bound component
KR100846312B1 (ko) 책갈피 겸용 필기구
US7316516B2 (en) Pocketable writing instrument
KR200410630Y1 (ko) 스탠드 겸용 표지를 구비한 제본물
JP4755317B1 (ja) 筆記具
KR200427472Y1 (ko) 필기구용 책갈피
US20070031182A1 (en) Adhesive bracelets
JP3217551U (ja) ノート型一筆箋
KR200237947Y1 (ko) 책갈피
JPH0390393A (ja) 書籍用の付箋セット
KR200466101Y1 (ko) 다기능 메모장
JPS6331632Y2 (ko)
CA2560596C (en) Insertable dividers for a bound component
US20040145175A1 (en) File device having white board member
KR200190205Y1 (ko) 노트용 표지
KR200374258Y1 (ko) 사용자 식별용지
KR100987593B1 (ko) 부착식 메모용지용 수납케이스
JPH1044672A (ja) カード式筆記具
KR100519587B1 (ko) 북마크
KR200228876Y1 (ko) 휴대용 수첩
KR200379621Y1 (ko) 필기구 홀더를 가지는 메모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