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9565A - 멀티-사용자 통신 세션으로의 초대를 처리하는 방법 및장치 - Google Patents

멀티-사용자 통신 세션으로의 초대를 처리하는 방법 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9565A
KR20080059565A KR1020087008734A KR20087008734A KR20080059565A KR 20080059565 A KR20080059565 A KR 20080059565A KR 1020087008734 A KR1020087008734 A KR 1020087008734A KR 20087008734 A KR20087008734 A KR 20087008734A KR 20080059565 A KR20080059565 A KR 20080059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user
invitation
access server
user ac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8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9878B1 (ko
Inventor
잔 홀름
헨릭 알베르트손
Original Assignee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filed Critical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ublication of KR20080059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9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9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9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101Session protocols
    • H04L65/1104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61Push-to services, e.g. push-to-talk or push-to-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6Arrangements for connecting several subscribers to a common circuit, i.e. affording conference fac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186Processing of subscriber group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16IP multimedia subsystem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세션을 설정하고 제어하기 위해서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을 사용하는 멀티-사용자 통신 세션으로의 초대를 처리하는 방법이 제공되는데, 여기서 사용자 액세스는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내에서 두 개 이상의 사용자 액세스 서버에 의해 제어된다. 방법은 세션 개시 사용자로부터 제1 사용자 액세스 서버에서 세션 초대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초대는 제2 사용자 액세스 서버에 의해 소유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그룹을 잠재적인 참여자로서 식별하는, 수신 단계; 상기 사용자 그룹의 식별을 포함하는 초대를 제2 사용자 액세스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 액세스 서버에서, 상기 그룹 식별을 그룹 멤버 식별 세트로 리졸브하는 단계; 상기 그룹 멤버 식별을 포함하는 응답을 상기 제1 사용자 액세스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액세스 서버에서 상기 응답에서 식별된 그룹 멤버의 적어도 일부로 초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PoC 서버, PoC 클라이언트, 푸쉬-투-토크

Description

멀티-사용자 통신 세션으로의 초대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INVITES TO A MULTI-USER COMMUNICATION SESSION}
본 발명은 멀티-사용자 통신 세션으로 초대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푸쉬-투-토크(push-to-talk)와 같은 컨퍼런스 유형 세션(conference type session)에 사용 가능하다.
워키-토키 유형 서비스는 다른 서로 신속하게 요약 메시지를 전달하기를 원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오랫동안 인기있었다고 입증되었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서비스들은 무선 스펙트럼의 전용 파트를 사용하지만, 단지 사용자들이 유사한 단말기를 사용하고 상대적으로 짧은 동작 범위의 무선의 범위 내에 있는 작은 그룹의 사전-선택된 사용자들과 통신하도록 허용하는 양방향 휴대 가능한 라디오에 의해 제공되고 있다. 특히, 기존 셀룰러 전화 인프라스트럭처 상에서 피키-백(piggy-back)하는 서비스는 미국에 도입되었다. 그러나 서비스는 사실상 독점적이고, 사용자가 여러 오퍼레이터 네트워크 사이에서 통신하도록 하지 않는다.
워키-토키 유형 서비스의 사용을 광범위하게 하기 위한 시도에서, Open Mobile Alliance(www.openmobilealliance.org)라 공지된 산업 그룹핑은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는 워키-토키 서비스에 대한 상호-네트워크 작동 가능성을 허 용할 적합한 프로토콜을 표준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정되었다. 여러 표준에 의해 설정된 서비스는 PoC(Push-to-talk Over cellular)라 공지된다. PoC는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을 사용하여 (SIP AS의 역할을 하는) PoC 서버를 통해 PoC 세션의 설정 및 제어를 처리한다. PoC는 관련된 음성 데이터가 패킷 교환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트랜스포트될 것이라고 제안한다. GSM 및 UMTS의 경우에, 이는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GPRS) 액세스 네트워크일 것이다. 다른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 유사한 패킷 교환 액세스 네트워크가 토크 데이터를 트랜스포트하는데 사용될 것이다. 푸쉬-투-토크 서비스는, 선호하지 않는 옵션일지라도, 회선 교환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PoC의 현재 상태는 Release 1.0에서 설정된다.
PoC Release 1.0은 다수의 사용자가 공통 PoC 세션에 참여할 수 있는 컨퍼런스 기능을 제공한다. 여러 사용자가 여러 오퍼레이터 네트워크에 등록되는 경우와 같이, 각각의 참여자는 여러 PoC 서버에 관련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전형적으로 개시 사용자에 관련된 PoC 서버들 중 하나는 "컨퍼런스 브릿지(conference bridge)"의 역할을 하며, 플루어 컨트롤(floor control)을 처리(즉, 토크 슬롯을 참여자에게 할당)하는 제어 PoC 기능을 수행하도록 디자인된다. 다른 PoC 서버는 참여 PoC 서버라 칭해진다.
사용자는 Ad-hoc 기반으로 다른 사용자 그룹과의 통신을 설정할 수 있는데, 즉, 사용자는 다수의 사용자를 그의 폰 북에서 선택하고, 그의 단말기 상의 PoC 버튼을 누르며, 통신은 그 순간에 사용 가능한 모든 사용자와 설정된다. PoC는 또한 사용자가 사람 그룹(OMA 표준에 의해 "사전-배치된 PoC 그룹(Pre-arranged PoC Group)"이라 칭해짐)을 한정하도록 하는데, 그룹 및 대응하는 PoC 그룹 아이덴티티는 홈 네트워크에서 사용자의 PoC 서버에 저장된다. 일단 그룹이 한정되면, 사용자는 그룹 아이덴티티를 포함하는 INVITE를 단지 송신함으로써 적용 가능한 멤버의 그룹과 함께 PoC 세션을 개시할 수 있다.
이제, Ad-hoc PoC 그룹 세션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PoC 서버를 고려하는데, 상기 요청은 초대를 위해 PoC 사용자 리스트를 포함한다. 개별적인 PoC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아이덴티티에 대해서, PoC 서버는 PoC Release 1.0 절차를 사용하여 아무런 문제없이 PoC 사용자를 초대할 수 있다. 이는 목적지 사용자에 책임이 있는 것으로 식별되는 PoC 서버로 INVITE를 전달하는 것을 포함하는데, 전달된 INVITE는 특징-태그 "isfocus"를 포함한다. 이러한 태그는 송신 PoC 서버가 PoC 그룹 세션의 제어기인 것을 식별한다. 수신 서버는 이러한 태그를 식별하고, 이에 응답하여 제어 서버로서 스스로 설정하지 않는다. 수신 서버는 단지 책임이 있는 목적지 사용자(들)에게 INVITE를 전달한다.
시작하는 사용자에 의해 송신된 INVITE가 제어 PoC 서버에 의해 "소유"되는 PoC 그룹에 대응하는 아이덴티티(URL)를 포함한다면, 서버는 단지 그룹을 "익스플로드(explode)"하며, INVITE를 그룹 멤버에 관련된 PoC 서버(들)로 전달할 것이다. 원래 INVITE가 제어 서버와 다른 PoC 서버에 의해 소유되는 PoC 그룹 아이덴티티를 포함한다면, 제어 서버는 이를 포함하는 서버로 INVITE를 전달할 것이다. 이는 이러한 상황에서 PoC Release 1.0이 INVITE를 거절하도록 하는 것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특징은 특정한 그룹을 소유하는 PoC 서버에서 PoC 세션의 제어를 유지하도록 의도되고, 이로써 단일 PoC 세션에 대한 다수의 제어 PoC 서버의 설정을 막는다.
다수의 제어 PoC 서버의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은 제어기인 일부 협상 및 다수의 PoC 서버 모두의 체이닝(chaining)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해결책은 복잡할 것이고, "무한" 루프를 설정하는 결과를 야기할 수 있다. 또한, PoC 그룹이 Ad-hoc PoC 세션에 초대받을 때 PoC 그룹의 상태를 결정하는 것의 이슈가 있다. 예를 들어, 사전-배치된 PoC 그룹(어떤 이유로 Ad-hoc PoC 세션의 일부가 아님)의 멤버가 사전-배치된 PoC 그룹에 대한 PoC 그룹 세션을 개시한다면, 멤버는 Ad-hoc PoC 그룹 세션에 부가될 것인가? 또는 별도의 PoC 그룹 세션이 설정될 것인가? 이러한 "모순"을 처리하기 위한 임의의 정책은 필수적으로 복잡할 것이다.
소정의 그룹을 포함하는 PoC 세션의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부가적인 문제점은 여러 소정의 "네스팅된(nested)" 그룹에 속한 사용자의 문제점이다. 이는 동일한 세션으로의 다수의 초대를 수신하는 사용자의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이는 성가시고 네트워크 리소스를 낭비(액세스 네트워크가 셀룰러 네트워크의 특정한 문제임)할 것이다.
상기 설명된 것과 유사한 문제점은 다른 비-PoC, IMS-기반 서비스, 예를 들어,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의 경우에 발생한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양상에 따르면, 세션을 설정하고 제어하기 위해서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을 사용하는 멀티-사용자 통신 세션으로의 초대를 처리하는 방법이 제공되는데, 여기서 사용자 액세스는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내에서 두 개 이상의 사용자 액세스 서버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방법은;
세션 개시 사용자로부터 제1 사용자 액세스 서버에서 세션 초대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초대는 제2 사용자 액세스 서버에 의해 소유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그룹을 잠재적인 참여자로서 식별하는, 수신 단계;
상기 사용자 그룹의 식별을 포함하는 초대를 제2 사용자 액세스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 액세스 서버에서, 상기 그룹 식별을 그룹 멤버 식별 세트로 리졸브(resolve)하는 단계;
상기 그룹 멤버 식별을 포함하는 응답을 상기 제1 사용자 액세스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액세스 서버에서 상기 응답에서 식별된 그룹 멤버의 적어도 일부로 초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은 푸쉬-투-토크 오버 셀룰러(PoC)와 같은 푸쉬-투-토크 서비스의 규정에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사용자 액세스 서버는 푸쉬-투-토크 서버이고, 상기 사용자는 푸쉬-투-토크 클라이언트이다. 상기 제1 사용자 액세스 서버는 제어 PoC 서버의 역할을 하는 반면, 상기 제2 사용자 액세스 서버는 제어 서버의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라, 참여 PoC 서버의 역할을 한다. 다수의 PoC 서버가 제어 PoC 서버에 의해 접촉되는 곳에서, 모든 다른 서버는 참여 PoC 서버의 역할을 한다.
방법은 제2 사용자 액세스 서버에서, 세션으로의 식별된 그룹의 초대에 권한을 부여하는 소정의 정책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권한을 부여하는 것에 대한 실패는 초대의 거절이라는 결과를 가져온다.
방법은 제2 사용자 액세스 서버에서 요청 사용자에게 식별된 그룹을 세션에 초대할 권한을 부여하는 소정의 정책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소정의 정책은 요청 사용자가 진행하기 위해 소정의 그룹의 멤버라는 것을 필요로 할 수 있다. 권한을 부여하는 것에 대한 실패는 초대의 거절이라는 결과를 가져온다.
방법은 제1 사용자 액세스 서버에서 응답의 수신시, 소정의 정책에 따라 그룹 멤버들 중 하나로 초대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책은 자신의 그룹 식별인 그룹 멤버로의 초대의 송신을 막을 수 있다. 정책이, 자신의 그룹 식별인 그룹 멤버로의 초대의 송신을 허용하는 이벤트에서, 정책은 멤버 아이덴티티에 리졸브되는 네스팅된 그룹 식별의 수로 캡을 위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상에 따르면,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 액세스 서버가 제공되는데, 상기 서버는;
세션 개시 사용자로부터 세션 초대를 수신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초대는 제2 사용자 액세스 서버에 의해 소유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그룹을 잠재적인 사용자로서 식별하는, 수신 수단;
상기 사용자 그룹의 식별을 포함하는 초대를 제2 사용자 액세스 서버로 송신하는 수단;
상기 그룹 식별로부터 상기 제2 액세스 서버에 의해 리졸브되는 그룹 멤버 아이덴티티를 포함하는 응답을 상기 제2 사용자 액세스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수단; 및
상기 응답에서 식별된 그룹 멤버들 중 적어도 일부로 초대를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양상에 따르면,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 액세스 서버가 제공되는데, 상기 서버는;
수신 서버에 의해 소유된 사용자 그룹의 식별을 포함하는 초대를 다른 사용자 액세스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그룹 멤버 식별의 세트로 그룹 식별을 리졸브하는 수단; 및
상기 그룹 멤버 아이덴티티를 포함하는 응답을 상기 제1 사용자 액세스 서버로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도1은 PoC 컨퍼런스의 설정에 관련된 PoC 아키텍처에서 시그널링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
푸쉬-투-토크 오버 셀룰러(PoC) 클라이언트(클라이언트 A)는 OMA PoC에 의해 규정된 절차를 사용하여 PoC 그룹 세션을 개시한다. PoC 그룹 세션은 사전-설정된 세션을 사용하거나 온-디멘드(on-demand)일 수 있다. 사전-설정된 세션의 경우에, PoC 클라이언트는 (전형적으로 PoC 클라이언트가 IMS에 등록될 때) INVITE를 사용 하여 홈 네트워크에서 그의 PoC 서버로 SIP 세션을 설정한다. 일단 SIP 세션이 설정되면, PoC 클라이언트는 사전-설정된 세션 및 SIP REFER 요청을 사용하여 PoC 세션을 개시할 수 있다. 온-디멘드 세션의 경우에, PoC 클라이언트는 SIP INVITE 요청을 직접 사용하여, 먼저 사전-설정된 세션을 설정할 필요없이 PoC 세션을 개시한다.
초대될 사용자 리스트는 개시자의 홈 PoC 서버로 송신된 SIP 요청(전형적으로 SIP INVITE)에 포함된다. 여기서 고려되는 예에서, PoC의 리스트는 사전-배치된 PoC 그룹의 PoC 그룹 아이덴티티들 및 개별적인 PoC 사용자의 PoC 어드레스(URI)들의 혼합으로 구성된다. 도1은 PoC 세션 설정에 관련된 시그널링 흐름을 도시하여, 예로써 온-디멘드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Ad-hoc PoC 그룹 세션을 가정한다. 동일한 원리가 온-디멘드 시그널링 또는 사전-설정된 세션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사전-배치된 PoC 그룹 세션 및 사전-설정된 세션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Ad-hoc PoC 그룹 세션에 적용된다.
시그널링 단계는 다음과 같다:
1. PoC 클라이언트(A)는 컨퍼런스 URI(전형적으로 클라이언트에서 설정하는 "factory")에 의해 식별된 그의 홈 PoC 서버로 SIP INVITE 요청을 송신한다. SIP INVITE 요청은 사전-배치된 그룹, 그룹 X 및 그룹 Y을 식별하는 두 개의 PoC 그룹 아이덴티티 및 PoC 사용자를 식별하는 PoC 어드레스를 포함한다.
2 및 4. PoC 서버(A/X1)는 Ad-hoc PoC 그룹 세션의 초기화이도록 SIP INVITE 요청을 식별하며 초대 리스트에 따른 초대를 송신하기 시작한다. 초대는 PoC 서 버(A/X1)가 설정될 PoC 그룹 세션의 제어기라는 것을 나타내도록 특징-태그 "isfocus"를 포함한다. 개별적인 PoC 사용자의 초대 송신은 단계 4에서 나타내지고, 여기서 참여 서버가 단일 서버(B1-Bn)로 도시된다.
3. 수신기들 중 하나는 그룹 X의 소유자인 PoC 서버 X2이다. PoC 서버 X2(사전-배치된 PoC 그룹을 처리하는 PoC 서버)는 INVITE에 포함된 특징-태그 "isfocus"를 검출하는데, 다음의 단계를 수행한다.
a) 다른 PoC 세션으로 그룹 X를 초대하기 위해서 그의 정책에 따라 허용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정책은 사전-배치된 PoC 그룹 마디일 수 있거나, 일반적인 PoC 서비스 정책일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허용된다.
b) 그 후에 개시자에게 권한을 부여한다. 이는 초대 PoC 사용자가 그룹 X의 멤버인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행해질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PoC 사용자는 멤버이다. 이는 P-주장된-아이덴티티 헤더 또는 INVITE의 프롬 헤더(from header)를사용하여 행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권한 부여는 그룹 소유자(예컨대, "white" 리스트)에 의해 규정된 그룹 정책에 기초할 수 있거나, 오퍼레이터 규정 정책에 기초할 수 있다.
c) PoC 그룹의 멤버 리스트를 포함하는 SIP 3xx 또는 SIP 4xx 응답을 PoC 서버 A/X1로 리턴한다. 도면에서, SIP 300 "다수의 선택" 응답은 PoC 서버 A/X1로 송신된다. 멤버의 리스트는 개별적인 PoC 사용자 및 부가적인 PoC 그룹 둘 다를 포함할 수 있다.
[확인 a)에 따라, 그룹이 다른 PoC 세션에 초대받을 수 없다면, INVITE는 거 절된다. 유사하게, 확인 b)에 따라, 초대 사용자가 그룹의 멤버가 아니라면, INVITE가 거절된다. 물론 이러한 상황에서 행해지는 어떤 동작을 결정하기 위해 대안적이 정책이 규정될 수 있다.]
4. PoC 서버 A/X1는 리스트를 수신하며 다음을 수행한다:
a) 그의 정책을 확인하여 SIP 300에 포함된 PoC 사용자 세트를 초대하기는 것을 결정한다. 응답에 포함된 임의의 그룹 아이덴티티를 거절한다.
b) 개별적인 클라이언트(및 그룹)로 중복 INVITE의 송신을 막기 위해서 리스트로부터 이미 초대된 사용자를 삭제한다.
c) 리스트 상의 나머지 사용자를 초대하고 각각의 어드레스로 INVITE 어드레스를 송신한다.
5 및 6. 원래 INVITE의 다른 수신자는 그룹 Y의 소유자인 PoC 서버 X3이다. PoC 서버 X3은 서버 X2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한 확인을 수행하고, PoC 서버 X3이 INVITE를 허용한다고 가정하면, SIP 300 "다수의 선택" 응답은 그룹 Y의 모든 멤버를 포함한다. 또한, 멤버 리스트는 개별적인 PoC 사용자 및 다른 PoC 그룹 둘 다를 포함할 수 있다. PoC 서버는 상술된 확인 a) 부터 c)까지를 반복한다.
이러한 예에서, 제어 PoC 서버는 응답 메시지에서 식별된 부가적인 그룹을 거절하는데, 즉, 단일 레벨의 그룹 아이덴티티 리솔루션(resolution) 만을 수행한다. 이는 길이 긴 그룹 리솔루션 절차들 및 잠재적으로 무한인 루프 교환을 막기 위해 행해진다. 그러나 일부 유한개의 리솔루션 레벨은 제어 PoC 서버에서 구현되는 정책에 기초하여 허용될 수 있다.
당업자는 여러 수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상술된 실시예에서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Claims (10)

  1. 세션을 설정하고 제어하기 위해서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을 사용하는 멀티-사용자 통신 세션으로의 초대를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 액세스는 상기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내에서 두 개 이상의 사용자 액세스 서버에 의해 제어되는, 멀티-사용자 통신 세션으로의 초대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세션 개시 사용자로부터 제1 사용자 액세스 서버에서 세션 초대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초대는 제2 사용자 액세스 서버에 의해 소유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그룹을 잠재적인 참여자로서 식별하는, 수신 단계;
    상기 사용자 그룹의 식별을 포함하는 초대를 상기 제2 사용자 액세스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 액세스 서버에서, 상기 그룹 식별을 그룹 멤버 식별 세트로 리졸브하는 단계;
    상기 그룹 멤버 식별을 포함하는 응답을 상기 제1 사용자 액세스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액세스 서버에서 상기 응답에서 식별된 그룹 멤버의 적어도 일부로 초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사용자 통신 세션으로의 초대를 처리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은 푸쉬-투-토크 세션이고, 상기 사용자 액세스 서버는 푸쉬-투-토크 서버이며 상기 사용자는 푸쉬-투-토크 클라이언트이고, 상기 제1 사용자 액세스 서버는 제어 푸쉬-투-토크 서버의 역할을 하는 반면, 상기 제2 사용자 액세스 서버는 참여 푸쉬-투-토크 서버의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사용자 통신 세션으로의 초대를 처리하는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액세스 서버에서, 상기 세션으로의 상기 식별된 그룹의 초대에 권한을 부여하는 소정의 정책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사용자 통신 세션으로의 초대를 처리하는 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액세스 서버에서, 상기 세션으로 상기 식별된 그룹을 초대하는 것을 상기 요청 사용자에게 권한을 부여하는 소정의 정책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사용자 통신 세션으로의 초대를 처리하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정책은 상기 요청 사용자가 진행하기 위해 상기 소정의 그룹의 멤버라는 것을 필요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사용자 통신 세션으로의 초대를 처리하는 방법.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액세스 서버에서 상기 응답을 수신시, 소정의 정책에 따라 그룹 멤버들 중 하나로 초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사용자 통신 세션으로의 초대를 처리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정책은 자신의 그룹 식별인 그룹 멤버로의 초대의 송신 단계를 막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사용자 통신 세션으로의 초대를 처리하는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정책은 소정의 수의 네스팅된 수에 이르는 자신의 그룹 식별인 그룹 멤버로의 초대의 송신 단계를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사용자 통신 세션으로의 초대를 처리하는 방법.
  9.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 액세스 서버에 있어서,
    세션 개시 사용자로부터 세션 초대를 수신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초대는 제2 사용자 액세스 서버에 의해 소유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그룹을 잠재적인 사용자로서 식별하는, 수신 수단;
    상기 사용자 그룹의 식별을 포함하는 초대를 상기 제2 사용자 액세스 서버로 송신하는 수단;
    상기 그룹 식별로부터 상기 제2 액세스 서버에 의해 리졸브되는 그룹 멤버 아이덴티티를 포함하는 응답을 상기 제2 사용자 액세스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수단; 및
    상기 응답에서 식별된 상기 그룹 멤버들 중 적어도 일부로 초대를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 액세스 서버.
  10.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 액세스 서버에 있어서,
    수신 서버에 의해 소유된 사용자 그룹의 식별을 포함하는 초대를 다른 사용자 액세스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그룹 멤버 식별의 세트로 상기 그룹 식별을 리졸브하는 수단; 및
    상기 그룹 멤버 아이덴티티를 포함하는 응답을 상기 제1 사용자 액세스 서버로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 액세스 서버.
KR1020087008734A 2005-10-13 2005-10-13 멀티-사용자 통신 세션으로의 초대를 처리하는 방법 및장치 KR1011598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05/055247 WO2007042079A1 (en) 2005-10-13 2005-10-13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invites to a multi-user communication sess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9565A true KR20080059565A (ko) 2008-06-30
KR101159878B1 KR101159878B1 (ko) 2012-06-25

Family

ID=35742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8734A KR101159878B1 (ko) 2005-10-13 2005-10-13 멀티-사용자 통신 세션으로의 초대를 처리하는 방법 및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8166520B2 (ko)
EP (1) EP1935134B1 (ko)
JP (1) JP4875091B2 (ko)
KR (1) KR101159878B1 (ko)
CN (1) CN101283541B (ko)
AT (1) ATE422126T1 (ko)
BR (1) BRPI0520576B1 (ko)
DE (1) DE602005012608D1 (ko)
ES (1) ES2320250T3 (ko)
MX (1) MX2008003177A (ko)
RU (1) RU2407234C2 (ko)
WO (1) WO200704207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320B1 (ko) * 2008-12-20 2013-01-16 모토로라 솔루션즈, 인크. 그룹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01953B1 (en) 2001-02-12 2010-09-21 Nortel Networks Limited Push-to-talk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utilizing an voice-over-IP network
GB0500483D0 (en) * 2005-01-11 2005-02-16 Nokia Corp Multi-party sessions in a communication system
US9264467B2 (en) * 2005-11-23 2016-0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user equipment, and system for opening an ad-hoc PoC session in a PoC system
WO2007140162A2 (en) * 2006-05-26 2007-12-06 Whaleback Systems Corporation Sending a page
KR101458634B1 (ko) * 2007-04-06 2014-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전 설정 세션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위한 PoC 시스템과 PoC 단말
EP2189017A4 (en) * 2007-09-10 2014-01-22 Ericsson Telefon Ab L M SIMPLIFIED RADIO BROADCAST FOR GROUP COMMUNICATION
DE102007056725A1 (de) * 2007-11-26 2009-06-04 Infineon Technologies Ag Verfahren zum bedingten Aufbauen einer Telekommunikationskonferenzsitzung, Telekommunikationskonferenz-Anordnung, und Telekommunikationskonferenzsitzungs-Server
JP5025440B2 (ja) * 2007-12-04 2012-09-12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通信システム及びゲートウェイ
US8954502B1 (en) * 2009-08-06 2015-02-10 Marvell International Ltd. Infrastructure devices in peer-to-peer environments
ES2804048T3 (es) * 2009-09-22 2021-02-02 Orange Control de una sesión de intercambio de datos entre terminales de un primer usuario con al menos un terminal de un segundo usuario
US8406798B2 (en) * 2009-12-22 2013-03-26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ridging calls between two disparate push-to-talk systems
US8578458B2 (en) * 2010-03-03 2013-11-05 Lantiq Deutschland Gmbh Admission of a node to the network
CN102611637A (zh) * 2011-01-20 2012-07-2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群组的实现方法及系统
FR2991530A1 (fr) 2012-05-29 2013-12-06 France Telecom Procede et entite de traitement d'un message
US9306991B2 (en) 2012-10-16 2016-04-05 Motorola Solutions, Inc. Enhanced push to talk systems and methods with floor control and media traffic optimization
US9510160B2 (en) 2012-10-31 2016-11-29 Motorola Solutions, Inc. Enhanced network-network interface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s
JP6572324B2 (ja) * 2015-05-15 2019-09-04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ユーザをグループと関連付ける方法及びデバイス
US11757953B2 (en) * 2018-05-29 2023-09-12 Freshworks Inc. Online collaboration platform for collaborating in context
US20230055014A1 (en) * 2020-02-06 2023-02-23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6316A (en) * 1997-01-17 1999-08-31 Lucent Technologies, Inc. Dynamic distributed multicast routing protocol
EP1310109A2 (en) * 2000-03-03 2003-05-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articipating in group communication services in an existing communication system
US20030148779A1 (en) 2001-04-30 2003-08-07 Winphoria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of expediting call establishment in mobile communications
US7035657B2 (en) * 2002-05-08 2006-04-25 Qualcom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pplication-layer media multicasting
US20040240525A1 (en) 2003-05-29 2004-12-02 Karabinis Peter D. Wireless communications methods and apparatus using licensed-use system protocols with unlicensed-use access points
US8886242B2 (en) * 2003-09-04 2014-11-11 T-Mobile Deutschland Gmbh Push-to-talk interworking
FI20031659A0 (fi) * 2003-11-14 2003-11-14 Nokia Corp Menetelmä ja järjestelmä mediaistunnon muodostamiseen
WO2005051008A1 (en) * 2003-11-19 2005-06-02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added authentication in distributed network delivered half-duplex communications
KR20050101506A (ko) * 2004-04-19 2005-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셀룰러 푸쉬 투 토크 다중 세션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AU2005236965A1 (en) * 2004-04-23 2005-11-03 Nokia Corporation Group invitation
US20070019645A1 (en) * 2005-07-05 2007-01-25 Deepthy Menon Method and system for multicasting data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9060047B2 (en) * 2005-12-21 2015-06-16 Genband Us Llc Media stream manage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320B1 (ko) * 2008-12-20 2013-01-16 모토로라 솔루션즈, 인크. 그룹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08118480A (ru) 2009-11-20
ES2320250T3 (es) 2009-05-20
JP4875091B2 (ja) 2012-02-15
DE602005012608D1 (de) 2009-03-19
CN101283541B (zh) 2010-06-23
ATE422126T1 (de) 2009-02-15
MX2008003177A (es) 2008-03-18
WO2007042079A1 (en) 2007-04-19
BRPI0520576A2 (pt) 2009-06-13
RU2407234C2 (ru) 2010-12-20
CN101283541A (zh) 2008-10-08
EP1935134B1 (en) 2009-01-28
JP2009512291A (ja) 2009-03-19
US8166520B2 (en) 2012-04-24
EP1935134A1 (en) 2008-06-25
KR101159878B1 (ko) 2012-06-25
US20080229390A1 (en) 2008-09-18
BRPI0520576B1 (pt) 2018-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9878B1 (ko) 멀티-사용자 통신 세션으로의 초대를 처리하는 방법 및장치
EP169288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instant communications over distributed cellular networks
JP4981027B2 (ja) プッシュツートークオーバーセルラー網のメディア格納サービス実行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EP176959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call in a push-to-talk, ptt, over cellular (poc) system
KR101181001B1 (ko) 푸쉬 투 토크 오버 셀룰러 시스템의 Chat PoC 그룹초대 예약을 통한 세션 합류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07027694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grating applications on user equipment utilizing special uri control messages
US7650159B2 (en) Communication system
US20110053554A1 (en) Communicating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a push-to-talk over cellular communication sessions
US20100325289A1 (en) Re-activated group communication
US9049263B2 (en) Method and terminal for establishing PT session in order to use PT box
US9247398B2 (en) Methods for barging users on a real-time communications network
US20110092172A1 (en) Private Communication in a Push to Talk Over Cellular Network
KR101299017B1 (ko) 통신 시스템에서 푸쉬 투 토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