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8697A - 보강토 옹벽용 철망 - Google Patents

보강토 옹벽용 철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8697A
KR20080058697A KR1020060132720A KR20060132720A KR20080058697A KR 20080058697 A KR20080058697 A KR 20080058697A KR 1020060132720 A KR1020060132720 A KR 1020060132720A KR 20060132720 A KR20060132720 A KR 20060132720A KR 20080058697 A KR20080058697 A KR 20080058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wire mesh
wire
flooring
arran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2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4961B1 (ko
Inventor
공학봉
Original Assignee
(주)메카모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카모아 filed Critical (주)메카모아
Priority to KR1020060132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4961B1/ko
Publication of KR20080058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8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4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4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8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mixed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4Geogr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면재의 좌측, 우측, 상측, 하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고리가 형성된 보강토 옹벽용 철망 및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강토 옹벽용 철망 및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wire net for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utilizing the wire ne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용 와이어 매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측면도로서, 식생매트가 추가 설치된 측면도.
도 3은 도 1의 B부분을 확대 도시한 측면도로서, 장식부재가 추가 설치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용 와이어 매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C부분을 확대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의 시공 순서도.
도 7은 종래 와이어 매트를 설치한 보강토 옹벽의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제1와이어 매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7의 제2와이어 매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와이어 매트와 연장보강재의 결합 부분을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30a,30b : 백매트 40,40a,40b : 부직포
60 : 연장보강재 100 : 와이어 매트
110 : 벽면재(철망) 112,114,116 : 연결고리
120 : 식생매트고정핀 130 : 지지틀
140 : 장식부재 150 : 식생매트
160 : 바닥재 164 : 연결고리
170 : 연결철근 171 : 걸림고리
300,400 : 지오그리드 310 : 연결고리공
410 : 돌출부
특허문헌 : 등록특허 제479163호 공보
본 발명은 벽면재의 좌측, 우측, 상측, 하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고리가 형성된 보강토 옹벽용 철망 및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보강토 옹벽용 철망 및 시공방법으로서, 예컨대 특허문헌의 공보에 개시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의 보강토 옹벽(10)은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초쇄석(200) 위에 3층으로 쌓인 제1, 제2와이어 매트(wire mesh mat)(20, 20b)와, 캡매트(80)와, 백매트(30)와, 부직포(40)와, 식생매트(50)와, 성토재(15)를 구비한다. 제1와이어 매트(20)는 다수의 가로근(22)과 세로근(24)의 철망으로, 수평방향으로 편평하게 연장된 바닥재(26)와, 바닥재(26)로부터 가로근(221)을 중심으로 다수의 세로근(24)이 절곡되어 위로 연장된 벽면재(28)를 구비한다. 바닥재(26)는 성토재(15)와 상호작용하여 성토재(15)가 제 위치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도와준다. 세로근(24)은 벽면재(28)의 가장 위에 마련된 가로근(222)보다 더 길게 위로 연장된다. 벽면재(28)의 상부에는 다수의 세로근(24)이 앞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부(29)가 마련된다. 이러한 제1와이어 매트(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층에서 옆으로 다수 개가 배치되어 연장된다. 벽면재(28)의 뒤편에는 벽면 보강용 백매트(30)가 결합된다. 백매트(30) 뒤에 토사유출방지를 위해 부직포(40)가 결합된다. 부직포(40) 뒤에는 벽면녹화와 토사유출방지를 위한 식생매트(50)가 결합된다. 백매트(30), 부직포(40), 식생매트(50)는 철사와 같은 결속끈으로 벽면재(28)에 묶이는 등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10에는 바닥재(26) 뒤쪽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연장보강재(60)가 도시되어 있다. 다수의 세로근(64)의 일측 끝부분은 위로 돌출되도록 절곡되어 연결부(66)가 바닥재(26)의 두 가로근(22) 사이에 아래로부터 위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연결부(66)가 세로근(24) 위로 돌출된다. 이 상태에서 기다란 삽입막 대(70)가 세로근(24)과 연결부(66)에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 삽입되어 연장보강재(66)와 제1와이어 매트(20)가 결합된다.
제2와이어 매트(20b)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보조매트(30a)와, 상부 보조매트(30b)와, 하부 부직포(40a)와, 하부 식생매트(50a)와, 상부 부직포(40b)와, 상부 식생매트(50b)와, 연결지지막대(90)와, 성토재(15a)를 구비한다. 벽면재(28b)와 바닥재(26b)를 연결하는 연결지지막대(90, 90a, 90b)는 기다란 양끝은 구부러져 고리(92, 92a, 92b)를 형성한다. 양끝의 고리는 각각 벽면재(28b)와 바닥재(26b)에서 가로근(22b)과 세로근(24b)이 교차하는 지점에 걸리게 된다. 연결막대(90, 90a, 90b)에는 길이조절용 너트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길이조절용 너트를 회전시킴으로써 연결막대(90, 90a, 90b)의 길이를 약간 조절할 수 있다.
그런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층에서 옆으로 다수 개가 배치되는 벽면재와 벽면재 간의 고정 방법은 철사, 플라스틱의 결속끈으로 인력을 사용하여 묶기 때문에, 고성토(15M 이상) 녹생옹벽에서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고, 시공기간이 길어지며 상대적으로 경제성이 취약하다.
또한, 식생매트는 철사, 플라스틱의 결속끈으로 작업자가 일일이 묶어주어야 한다. 즉, 감겨있는 식생매트를 가로방향으로 풀면서 벽면재의 배면에 대고, 결속끈으로 식생매트를 뚫은 후 가로근이나 세로근에 묶어 고정해야 하기 때문에, 시공기간이 길어져 시공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결속끈으로 묶지 않고 벽면재와 벽면재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여 인력 사용의 최대한 억제를 통해 시공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보강토 옹벽용 철망 및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보강토 옹벽용 철망은 다수의 가로근과 다수의 세로근이 교차한 격자 형상의 벽면재와, 상기 가로근의 좌측과 우측, 상기 세로근의 상측과 하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연결고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은 상하좌우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고리가 형성된 벽면재와, 바닥재로 구성된 철망을 다수 준비하는 공정; 기초공을 시공하는 공정; 상기 기초공에 상기 다수의 제1철망을 가로방향으로 배치하는 공정; 상기 제1벽면재들의 배면에 식생매트를 설치하는 공정; 제1성토재를 포설하여 다짐하는 공정; 상기 제1성토재 위에 다수의 제2철망을 가로방향으로 배치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철망들을 배치하는 공정은, 상기 제1철망들의 좌측 연결고리 또는 우측 연결고리를 연결하면서 가로방향으로 배치하는 공정이고,
상기 제2철망들을 배치하는 공정에는, 상측 연결고리 또는 하측 연결고리를 통해 상기 제2철망들을 상기 제1철망들에 연결하는 공정과, 좌측 연결고리 또는 우 측 연결고리를 통해 상기 제2철망들을 연결하면서 가로방향으로 배치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이루어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결속끈으로 묶지 않고 벽면재와 벽면재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여 인력 사용의 최대한 억제를 통해 시공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일측이 상기 벽면재에 결합되는 바닥재가 더 설치되고, 상기 바닥재의 타측에는 연결고리가 더 형성되면, 보강재(지오그리드, 강보강재)의 연결을 쉽게 하여 시공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일측이 상기 벽면재에 결합되는 바닥재가 더 설치되고, 상기 바닥재의 타측에는 연결철근에 의해 지오그리드가 연결되되, 상기 연결철근은 상기 바닥재의 가로방향을 따르는 망의 세로근과, 상기 망 아래에서 위로 돌출한 지오그리드 사이로 삽입하여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하는데,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용 와이어 매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측면도로서, 식생매트가 추가 설치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B부분을 확대 도시한 측면도로서, 장식부재가 추가 설치된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철망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가로근(111)과 다수의 세로근(113)이 격자 형태인 벽면재(110)와, 이 벽면재(110)의 상하좌우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연결고리로 구성하여 있다.
벽면재(110)의 가로근(111) 좌측과 우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연결고리(11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본 실시예의 도면에는 우측의 연결고리만을 표시하였다). 이 연결고리(112)는 벽면재(110)와 벽면재(110)를 가로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면 되기 때문에, 결속끈을 사용하지 않아 편리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벽면재(110)의 세로근(113) 상측과 하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연결고리(114)(116)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연결고리(114)(116)는 벽면재(110)와 벽면재(110)를 세로방향으로 서로 연결할 때 편리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들 연결고리(112)(114)(116)는 훅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연결고리(112)(114)(116)의 구성에 의하여, 결속끈으로 인력을 사용하여 묶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고성토(15M 이상) 녹생옹벽에서의 안전사고 위험이 없고, 시공기간이 짧아 상대적으로 경제성이 좋다.
한편, 벽면재(110)의 배면에는 복수의 식생매트고정핀(12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식생매트고정핀(120)은 철근 또는 철망자재를 용접 등의 방법으로 가로근(111), 세로근(113), 이들(111)(113)의 교차부에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벽면 구배가 설정된 벽면재(110)가 설치된 상태에서, 식생매트(150)를 가로방향을 따라가면서 식생매트고정핀(120)에 누르며, 뚫리면서 끼워져 설치되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작업자가 일일이 철사로 뚫어 묶는 작업보다 훨씬 빨라 시공의 편리성을 높여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식생매트(150)는 벽면녹화 와 토사유출방지를 위한 것으로, 화학섬유, 야자섬유, 자연섬유, 인공객토와 종자, 부직포로 이루어진 것이 주로 사용된다. 또한, 식생매트(150)의 설치 전에, 토사유출방지용 부직포(40,40a,40b)가 식생매트고정핀(120)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부직포(40,40a,40b)는 고밀도폴리에틸렌을 네트모양으로 성형한 것이 주로 사용된다. 또한, 벽면재(110)의 배면에는 벽면 보강용 백매트(30,30a,30b)가 보조적으로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면재(110)의 전면에 장식부재(140)를 지지하는 지지틀(13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틀(130)은 장식부재(140)를 지지하는 기능을 하면 충분한 형상이면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ㄷ'자형 고리(130)를 용접 고정한 형태로서, 가로방향(옆)으로 장식부재(140)를 끼울 수 있다. 물론, 지지틀(130)은 'ㄴ'자형 고리로 구현하여, 장식부재(140)를 위에서 끼워 지지할 수 있다. 장식부재(140)로는 옹벽의 외관 미려를 위한 천연/인조 목재 또는 석재(대리석, 인조석 등)가 이용될 수 있다. 이 장식부재(140)로 인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식부재(140)와 장식부재(140) 사이로 잔디가 자라서 나오기 때문에 민민하지 않은 미려한 조경을 제공할 수 있다.
바닥에는 바닥재(16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바닥재(160)는 가로근(161)과 세로근(163)의 격자형인 보강재로서, 바닥재(160)의 세로근(163)에는 마찰저항력이 작용하고, 바닥재(160)의 가로근(161)에는 지압저항력이 작용한다. 이 저항력들이 토압력보다 크게 작용하여 옹벽의 안정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이 바닥재(160)의 일측이 벽면재(110)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면, 와이어 매 트(100)로서 기능을 한다. 따라서, 와이어 매트(100)는 벽면재(110)와 바닥재(160)가 일체화된 매트로서, 아연 도금한 보통 철선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바닥재(160)의 길이가 짧은 경우,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로방향으로 보강재를 연결하여 연장할 수 있다. 이 연장보강재로는 지오그리드 또는 바닥재와 같은 재질의 강보강재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과 같이, 바닥재(160)의 타측 세로근(163)에는 훅 형상의 연결고리(164)를 형성하여, 지오그리드(300)에 걸어서 연결할 수 있다. 연결고리(160)로 뚫어 걸 수도 있고, 지오그리드(300)에 연결고리공(310)을 두어 걸 수도 있다. 이 지오그리드(300) 대신에 바닥재(160)와 같은 형태의 강보강재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연결고리(164)가 강보강재의 가로근에 걸리거나, 가로근과 세로근의 교차부에 걸려 연결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와 같이, 바닥재(160)의 타측 아래에 지오그리드(400)의 일측을 배치한 상태에서, 바닥재(160)의 격자 공간으로 빼내 올라온 지오그리드(400)의 돌출부(410)와 세로근(163) 사이로 연결철근(170)을 삽입하여 연결할 수 있다. 연결철근(170)의 일측에는 세로근(163)에 걸리는 걸림고리(17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오그리드(400) 대신 전술한 연장보강재(60)가 연결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하,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을 전술한 구성을 적용하여 설명하는데, 3층 성토층이 시공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의 시공 순서도이다.
먼저, 기초공을 시공한다. 기초공은 굴착과 정지 등의 기초 공사를 한 후 요철이 없도록 다짐을 충분히 하고 기초쇄석을 포설한다. 그 다음, 우수 등이 성토 내로 침투하지 않도록 필요한 경우 맹암거 배수재 시공을 한다. '맹암거 배수재'란 땅속으로 유입된 물을 처리하는 배수구조물로서, 노면 속으로 유입되거나, 절개지 암선을 통해 흘러 노면 속으로 유입되는 물을 맹암거를 이용하여 다른 배수 구조물로 유도하는 것을 말한다. 노면을 타고 모이는 물, 수로를 따라 흐르는 물은 별도의 배수관이나 암거 등으로 처리하도록 한다.
기초공이 완료되면, 소정의 기울기로 세팅된 다수의 제1와이어 매트를 설치한다. 이 다수의 제1와이어 매트는 가로방향을 따라 연결고리(112)를 걸어서 설치한다. 제1와이어 매트가 설치되면 바닥재에 보강재(지오그리드 또는 강보강재)를 연결하여 설치한다.
그 다음, 식생매트고정핀에, 식생매트와 토사유출방지용 부직포를 순서대로 설치 고정한다. 다짐시 식생매트가 움직이지 않도록 식생매트고정핀을 많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제1성토재를 벽면측부터 포설한다. 포설한 성토재는 벽면 근방에는 소형 다짐기를 사용하고, 그 나머지 부분은 다짐 롤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성토재가 완료되면, 제2와이어 매트를 제1와이어 매트에 설치 고정한다. 이 연결 고정은, 제2와이어 매트의 세로근 상측 또는 하측의 연결고리(114)(116)를 제1와이어 매트의 가로근에 또는 가로근과 세로근의 교차부에 걸어 연결할 수 있다. 제2와이어 매트의 가로방향은 연결고리(112)를 서로 걸어 연결한다. 그 다음엔 위와 같은 시공을 반복하여, 제2성토재 및 제3성토재가 완료된다.
이때, 제1성토재, 제2성토재, 제3성토재가 포설되기 전에, 종래와 같이, 캡바(턴 버클)나 보강지지바(90,90a)가 와이어 매트에 설치되면, 포설되는 성토재 등에 의해 벽면재가 앞쪽으로 기울어짐(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옹벽용 철망 및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발명의 보강토 옹벽용 철망 및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벽면재의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에 연결고리가 형성됨으로써, 연결을 용이하게 하여 시공의 편의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다. 또한, 인력을 사용하지 않고 서로 연결할 수 있어서, 고성토(15M 이상) 녹생옹벽에서의 안전사고 위험이 없고, 시공기간이 짧아 상대적으로 경제성이 좋다.
또한, 일측에는 벽면재에 결합되고 타측에는 연결고리가 형성된 바닥재의 구성을 채택 결합함으로써, 보강재(지오그리드, 강보강재)의 연결을 쉽게 하여 시공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일측이 상기 벽면재에 결합되는 바닥재가 더 설치되고, 상기 바닥재의 타측에는 연결철근에 의해 지오그리드가 연결되되, 상기 연결철근은 상기 바닥재의 가로방향을 따르는 망의 세로근과, 상기 망 아래에서 위로 돌출한 지오그리드 사이로 삽입하여 연결함으로써, 시공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Claims (4)

  1. 다수의 가로근과 다수의 세로근이 교차한 격자 형상의 벽면재와,
    상기 가로근의 좌측과 우측, 상기 세로근의 상측과 하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연결고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용 철망.
  2. 제1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세로근에 결합되는 바닥재가 더 설치되고,
    상기 바닥재의 타측에는 보강재를 연결하는 연결고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용 철망.
  3. 제1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세로근에 결합되는 바닥재가 더 설치되고,
    상기 바닥재의 타측에는 연결철근에 의해 지오그리드가 연결되되,
    상기 연결철근은 상기 바닥재의 가로방향을 따르는 망의 세로근과, 상기 망 아래에서 위로 돌출한 지오그리드 사이로 삽입하여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용 철망.
  4. 상하좌우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고리가 형성된 벽면재와, 바닥재로 구성된 철망을 다수 준비하는 공정;
    기초공을 시공하는 공정;
    상기 기초공에 상기 다수의 제1철망을 가로방향으로 배치하는 공정;
    상기 제1벽면재들의 배면에 식생매트를 설치하는 공정;
    제1성토재를 포설하여 다짐하는 공정;
    상기 제1성토재 위에 다수의 제2철망을 가로방향으로 배치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철망들을 배치하는 공정은, 상기 제1철망들의 좌측 연결고리 또는 우측 연결고리를 연결하면서 가로방향으로 배치하는 공정이고,
    상기 제2철망들을 배치하는 공정에는, 상측 연결고리 또는 하측 연결고리를 통해 상기 제2철망들을 상기 제1철망들에 연결하는 공정과, 좌측 연결고리 또는 우측 연결고리를 통해 상기 제2철망들을 연결하면서 가로방향으로 배치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
KR1020060132720A 2006-12-22 2006-12-22 보강토 옹벽용 철망 KR100874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2720A KR100874961B1 (ko) 2006-12-22 2006-12-22 보강토 옹벽용 철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2720A KR100874961B1 (ko) 2006-12-22 2006-12-22 보강토 옹벽용 철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8697A true KR20080058697A (ko) 2008-06-26
KR100874961B1 KR100874961B1 (ko) 2008-12-19

Family

ID=39804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2720A KR100874961B1 (ko) 2006-12-22 2006-12-22 보강토 옹벽용 철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496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59808A2 (en) * 2010-06-17 2011-12-22 T & B Structural Systems Llc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welded wire wall facing system and method
US8632280B2 (en) 2010-06-17 2014-01-21 T & B Structural Systems Llc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welded wire facing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US8632278B2 (en) 2010-06-17 2014-01-21 T & B Structural Systems Llc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welded wire facing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US8734059B2 (en) 2010-06-17 2014-05-27 T&B Structural Systems Llc Soil reinforcing element for a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structure
US9605402B2 (en) 2009-01-14 2017-03-28 Thomas P. Taylor Retaining wall soil reinforcing connector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4835A (ja) * 1997-10-24 1999-05-11 Kazuhiko Kitagawa かご壁ユニット並びにかご壁及び該構築方法
KR100479163B1 (ko) 2003-12-12 2005-03-29 주식회사 지오시스템케이 보강토 옹벽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05402B2 (en) 2009-01-14 2017-03-28 Thomas P. Taylor Retaining wall soil reinforcing connector and method
WO2011159808A2 (en) * 2010-06-17 2011-12-22 T & B Structural Systems Llc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welded wire wall facing system and method
WO2011159808A3 (en) * 2010-06-17 2012-04-12 T & B Structural Systems Llc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welded wire wall facing system and method
US8632280B2 (en) 2010-06-17 2014-01-21 T & B Structural Systems Llc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welded wire facing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US8632278B2 (en) 2010-06-17 2014-01-21 T & B Structural Systems Llc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welded wire facing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US8734059B2 (en) 2010-06-17 2014-05-27 T&B Structural Systems Llc Soil reinforcing element for a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4961B1 (ko) 2008-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1258B1 (ko) 옹벽 시공을 위한 옹벽블록과 이 옹벽블록과 지오그리드를 이용한 옹벽의 시공 방법
KR101162547B1 (ko) 녹화용 식생 보강 매트리스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
KR100874961B1 (ko) 보강토 옹벽용 철망
KR20060108595A (ko) 황마(코코넛)식생포대
KR20070073434A (ko) 사면녹화안정용 보강토옹벽
JP2013518200A (ja) 垂直壁と高傾斜面緑化工法、及びこれに使われる骨材コンテナ、旋盤組立体と水供給装置
KR100679873B1 (ko) 녹화 옹벽의 시공방법
KR100752152B1 (ko) 녹화 옹벽의 시공방법
KR100641815B1 (ko) 보강토목섬유매트 및 이를 사용한 성토시공법
KR100794669B1 (ko) 보강토 옹벽용 철망 및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
KR101231123B1 (ko) 본체 지지형 식생철망바구니를 이용한 생태블록 시공방법 및 본체 지지형 식생철망바구니
KR101250304B1 (ko) 본체 지지형 식생철망바구니
KR100889257B1 (ko) 옹벽 전면의 녹화를 이용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
KR100966512B1 (ko) 식생토류옹벽 및 그 시공방법
JP3431783B2 (ja) 法面、壁面等の保護構造
KR100847022B1 (ko) 보강토 옹벽용 와이어 매트
CN113445539B (zh) 一种有限填土轮胎墙及其施工方法
JP7498486B2 (ja) 植生マットの施工方法
CN212316949U (zh) 边坡的支护结构
JP4220613B2 (ja) 法面、壁面、岸面等の保護緑化構造
KR100419883B1 (ko) 사면 녹화 보강토 공법
KR101019802B1 (ko) 보강매트를 갖는 메쉬패널 조립형 옹벽구조물과 그 시공방법
JP3720969B2 (ja) 法面、壁面等の緑化構造
JPH0369721A (ja) 急勾配盛士
KR20060075707A (ko) 앵커식 개비온을 이용한 식생 매트의 설치 구조와 이를이용한 사면 안정화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