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8066A - 임플랜트 - Google Patents

임플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8066A
KR20080058066A KR1020060132155A KR20060132155A KR20080058066A KR 20080058066 A KR20080058066 A KR 20080058066A KR 1020060132155 A KR1020060132155 A KR 1020060132155A KR 20060132155 A KR20060132155 A KR 20060132155A KR 20080058066 A KR20080058066 A KR 20080058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implant
coupling
artificial tooth
shape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2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6216B1 (ko
Inventor
임성훈
임미영
김병훈
Original Assignee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60132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6216B1/ko
Publication of KR20080058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8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6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6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2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80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 A61K6/84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comprising metals or allo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02Inorganic materials
    • A61L27/04Metals or allo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2201/00Material properties
    • A61C2201/007Material properties using shape memory effec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프랜트에 관한 것으로, 치조골에 식립되는 인공치근과,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며 형상기억합금의 온도차이에 의한 변형력을 이용한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인공치근과 결합되는 의치받침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인공치근의 상단부에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진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의치받침부재의 하면에 상기 돌기와 결합되는 것으로 내부면이 상기 돌기와 대응되도록 테이퍼진 결합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임플랜트{impla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랜트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임플랜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랜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랜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랜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본 발명은 임플랜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치조골에 설치되는 인공치근과 의치 받침부재의 결합구조가 개량된 임플랜트(implant}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플랜트는 구강의 내부에서 부분적으로 상실된 치아를 대신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 임플랜트의 구조는 치근 역할을 하는 인공치근(fixture)과 지대주 역할을 하며 인공치근에 나사에 의해 결합되는 의치받침부재(abutment member) 및 이 의치받침부재에 고정되는 인공치아(prosthesis)로 이루어진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 0414672에는 인공치근에 체결되는 픽처마운트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픽처 마운트는 치조골에 시술되어 치근역할을 하기 위해 상부에 다각형의 삽입구를 형성한 인공치근과,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어 시술 시 분리되지 않도록 하부의 슬롯에 의해 형성된 절결편이 형성된 픽쳐 마운트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인공치근에 설치되는 픽쳐 마운트는 하부에 슬롯에 의해 형성된 절결편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인공치근과 픽쳐 마운트 사이의 계면이 상대적으로 넓고, 특히 슬롯으로 이물이 유입되는 경우 세균이 번식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실용신안 등록 제 0388933호에는 치광용 임플랜트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임플랜트는 치조골에 식립되어 고정되는 인공치근과 , 상기 인공치근에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연결기둥과, 상기 연결기둥에 시멘트에 의해 장착되는 가공치아를 이루는 것으로, 상기 인공치근과 나사식으로 체결되는 연결기둥의 사이에 커넥 터가 장착된다.
이러한 기술적 구성은 연결기둥이 커넥터를 관통하여 인공치근과 결합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결합구조가 상대적으로 복잡하고, 연결기둥과 인공치근의 나사결합 불량 시 이들의 사이에 세균이 유입되어 증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치조골에 박히는 인공치근과 의치 받침부재의 결합력을 높여 이들의 사이에 세균이 유입되어 증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임플랜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강내의 온도 변화에 따른 형상기억합금의 원리를 이용하여 인공치근과 의치받침부재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는 임플랜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임플랜트는 치조골에 식립되는 인공치근과,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며 형상기억합금의 온도 차이에 의한 변형력을 이용한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인공치근과 결합되는 의치받침부재를 구비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인공치근의 상단부에 하방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진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의치받침부재의 하면에 상기 돌기와 결합되는 것으로 내부면이 상기 돌기와 대응되도록 테이퍼진 결합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인공치근에 결합공이 형성되고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진 의치받침부재의 하면에 상기 결합공과 삽입되며 형상기억합금의 온도차에 의한 팽창력에 의해 결합공과 결합되는 삽입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수단은 인공치근의 상단부에 의치받이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의치받침부재의 하면에 의치받이 결합부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외주면은 하단부가 상기 인공치근의 외주면과 근접되도록 테이퍼진 진다.
대안으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임플랜트는 치아골에 식립되며 상면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인입공이 형성된 인공치근과, 상기 인공치근과 결합되는 의치받침부재와, 상기 의치받침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인입홈과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진 체결부재를 구비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랜트(implant)는 치조골에 설치되어 치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그 일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2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임플랜트(10)는 치조골(미도시)에 식립되는 인공치근(fixture, 11)과, 이 인공치근(11)에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며 형상기억합금의 온도차이에 의한 변형력을 이용한 결합수단(20)에 의해 상기 인공치근(11)과 결합되는 의치받침부재(abutment, 12)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임플랜트(10)를 구성요소 별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인공치근(11)은 치조골에 식립되는 것으로, 드릴을 이용하여 치조골에 홀을 형성한 후 이에 결합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나사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인공치근은 그 상면이 상기 치조골의 표면과 일치될 수 있도록 식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의치받침부재(12)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는데, 상면에는 인공치아(200)의 고정을 위한 세트스크류(13)가 나사 결합되는 결합홀(13)이 형성되는데, 상기 의치받침부재(12)는 인공치아(200)의 형상 및 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수단(20)은 형상합금으로 이루어진 의치받침부재(12)가 구강과 외부의 온도차에 의한 변형력(신축에 따른 변형력)을 이용하여 인공치주(11)와 의치받침부재(12)를 상호 결합하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공치근에 상단부측으로부터 하부측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진 돌기(21)가 형성되고, 상기 의치받침부재(12)의 하면에는 상기 돌기(21)의 외주면과 대응되도록 테이퍼진 삽입홈(22)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21)와 삽입홈(22)의 결합은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진 의치받침부재(12)가 외기 또는 설정된 온도에서 신장된 상태에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의치 받침부재(12)는 인공치주(fixture,11)와 결합 시 냉각(변태) 시켜 마르텐 사이트 상이 되도록 한 상태에서 인공치주(11)에 결합된 후 구강내에서 정상적인 구강온도로 회복되었을 때에 역변태에 의해 오스테나이트 상이 되면서 인공치주(11)의 돌기(21)와 삽입홈(22)이 강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은 상기 돌기(21)와 삽 입홈(22)의 결합력을 높여 이들의 사이에 세균이 유입되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돌기(21)의 외주면과 상기 삽입홈(22)의 내주면은 적어도 하나의 평면을 형성하여 인공치주(21)에 결합된 의치받침부재(22)가 회전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돌기(21)의 외주면과 삽입홈(22)의 내주면은 절두 다각뿔의 형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결합수단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치받침부재(12)의 하면에 돌기를 형성하고 인공치주에 삽입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인공치주(11)의 상면으로부터 인입된 인입공(24)을 형성하고, 상기 의치받침부재(12)의 하부에 상기 인입공(24)에 삽입되는 결합부(25)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25)는 상기 인입공(24)에 삽입되어 온도에 따른 형상변형 시 체적의 변화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25')를 인공치주(11)에 형성하고, 인입공(24')을 상기 의치받침부재(12)에 형성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의치 받침부재(12)의 외주면이 상기 인공치주(11)의 측으로부터 확개되는 방향으로 경사져 외주면 단부의 단면적을 최소화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랜트의 인공치주와 의치받침부재를 결합하는 결합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결합수단(20)은 치조골에 식립된 인공치주(11)와의 상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제1 나사 결합홈(26)이 형성되고, 이 인공치주(11)와 결합되 는 의치 받침부재(12)를 관통하여 상기 나사 결합홈(26)과 결합되는 결합부재(27; screw)를 구비한다. 이 결합부재(27)는 상면에 의치의 결합을 위한 제 2나사 결합홈(27a)이 형성된 헤드부(27b)와, 상기 헤드부(27b)로 연장되는 생크부(27c)와, 상기 생크부(27c)의 단부에 형성된 나사부(27d)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결합부재(27)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는데, 냉각상태(마르텐사이트 상)에서 신장되며 구강내의 온도에 도달하면 형상기억에 의해 신장된 결합부재(27)가 수축하여 인공치주(11)와 의치받침부재(12)의 결합력을 높이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랜트(10)는 의치 받침부재(11) 또는 인공치부와 의치 받침부재(12)를 결합하는 결합부재(27)를 온도에 따라 신축 및 체적이 변화하는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함으로써 인공치주(11)와 의치받침부재(12)의 사이로 세균이 유입되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인공치부(11)와 의치받침부재(12)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조직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고정장치에 대한 기술사항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고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랜트는 인공치부와 의치받침 부재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으며, 이들의 상에 존재하는 갭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줄여 세균을 번식을 줄일 수 있으며, 시술후의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인공지부에 대한 의치받침부재의 지지력을 높일 수 있다.

Claims (4)

  1. 치조골에 식립되는 인공치근과,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며 형상기억합금의 온도차이에 의한 변형력을 이용한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인공치근과 결합되는 의치받침부재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랜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인공치근의 상단부에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진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의치받침부재의 하면에 상기 돌기와 결합되는 것으로 내부면이 상기 돌기와 대응되도록 테이퍼진 결합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랜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인공치근에 결합공이 형성되고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진 의치받침부재의 하면에 상기 결합공과 삽입되며 형상기억합금의 온도차에 의한 팽창력에 의해 결합공과 결합되는 삽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랜트.
  4. 치조골에 식립되며 상면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인입공이 형성된 인공치근과, 상기 인공치근과 결합되는 의치받침부재와, 상기 의치받침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인입홈과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진 체결부재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랜트.
KR1020060132155A 2006-12-21 2006-12-21 임플랜트 KR100876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2155A KR100876216B1 (ko) 2006-12-21 2006-12-21 임플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2155A KR100876216B1 (ko) 2006-12-21 2006-12-21 임플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8066A true KR20080058066A (ko) 2008-06-25
KR100876216B1 KR100876216B1 (ko) 2008-12-31

Family

ID=39803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2155A KR100876216B1 (ko) 2006-12-21 2006-12-21 임플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62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293Y1 (ko) 2009-07-31 2011-10-21 주식회사 워랜텍 원바디형 솔리드 어버트먼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4755A (en) * 1990-10-25 1992-12-29 Olympus Optical Co., Ltd. Dental implant
JPH06133987A (ja) * 1992-10-27 1994-05-17 Olympus Optical Co Ltd 歯科用インプラント
JPH08266558A (ja) * 1995-03-31 1996-10-15 Hiroo Fukuyo 歯科用骨内インプラント
US7850452B2 (en) * 2005-04-27 2010-12-14 Biomet 3I, Llc Pre-stressed implant component and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6216B1 (ko) 2008-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90150B2 (en) Method of installing a final dental prosthesis
US9498307B2 (en) Method of installing a final dental prosthesis
KR101417980B1 (ko) 임플란트용 스캔 바디와 임플란트 어셈블리
KR100677870B1 (ko) 치유 지대주 및 그를 구비한 치과용 임플란트
KR102173435B1 (ko) 치과 보철 시스템
JP5611343B2 (ja) 歯科インプラントアセンブリ
ES2934791T3 (es) Conjunto de acoplamiento, en particular para implantes dentales
US20090191508A1 (en) Mini implant
KR101106161B1 (ko) 어버트먼트와 지르코니아 캡의 견고한 체결구조를 갖는 임플란트장치
KR101965332B1 (ko) 투피스 힐링어버트먼트용 하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힐링어버트먼트
KR101172838B1 (ko) 멀티 어버트먼트 장치
KR101380919B1 (ko) 지대주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아 임플란트 장치
KR100428935B1 (ko)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
US9655699B2 (en) Artificial teethridge and fang
KR101486851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지대주
KR100876216B1 (ko) 임플랜트
KR200388933Y1 (ko) 연조직의 깊이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런트
KR101292839B1 (ko) 나사 구멍이 경사진 임플란트
KR20110064402A (ko) 치과용 임플란트 조립체
KR102356447B1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KR101144154B1 (ko) 임플란트용 인공뼈 고정구
KR102024911B1 (ko) 편심형 힐링 어버트먼트
KR101429659B1 (ko) 치과용 임플란트 지대주 및 이를 가지는 임플란트 조립체
KR101072274B1 (ko) 분리형 치과용 임플란트
KR200426910Y1 (ko) 임플란트용 지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