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7634A - 대형차량용 네비게이션 장치와 그를 이용한 경로 검색 및안내방법 - Google Patents

대형차량용 네비게이션 장치와 그를 이용한 경로 검색 및안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7634A
KR20080057634A KR1020060131188A KR20060131188A KR20080057634A KR 20080057634 A KR20080057634 A KR 20080057634A KR 1020060131188 A KR1020060131188 A KR 1020060131188A KR 20060131188 A KR20060131188 A KR 20060131188A KR 20080057634 A KR20080057634 A KR 20080057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large vehicle
information
navigation device
roa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1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일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1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57634A/ko
Publication of KR20080057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76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29Guidance using speech or audio output, e.g. text-to-speec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63Structures of map data
    • G01C21/387Organisation of map data, e.g. version management or databas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9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having a display in the form of a ma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차/트럭 등과 같은 대형차량의 길안내를 제공하기 위한 네비게이션 장치와 그를 이용한 경로 검색 및 안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검색하는 검색부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검색된 주행 경로의 모든 도로정보를 참조하여 대형차량이 주행할 수 있는 도로조건에 해당되는 도로정보만을 추출하는 추출부와, 상기 추출된 각각의 대형차량 도로의 길이/소요시간을 계산하는 연산부가 구비된다. 상기 연산부에 의해 대형차량 도로정보 중에서 최단거리도로 또는 최단시간도로가 결정되면, 그 도로정보를 이용하여 길안내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대형차량 운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시간적/경제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대형차량, 길안내, 경로검색, 네비게이션.

Description

대형차량용 네비게이션 장치와 그를 이용한 경로 검색 및 안내방법{NAVIGATION DEVICE FOR TRCKI VEHICLE AND METHOD FOR ROUTE PLANNING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부에 경로검색메뉴가 표시되어 있는 예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표시부에서 경로검색을 나타내고 있는 예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경로검색 및 안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GPS 수신기 12 : 데이터저장부
14 : 메모리 16 : 입력부
18 : 표시부 19 : 경로검색메뉴
20 : 검색부 22 : 추출부
24 : 연산부 30 : 제어부
40 : 음성출력부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승용(승합)차 이외의 화물차량/트럭과 같은 대형차량의 길안내에 적용하기 위한 대형차량용 네비게이션 및 그를 이용한 경로 검색 및 안내방법에 관한 것이다.
네비게이션 장치는 미리 저장된 지도정보 및 지피에스(GPS) 정보를 이용하여 경로안내(Route Guidance)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경로안내기능은 운전자가 차량을 주행하기 전에 네비게이션 장치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지도상에서 목적지를 지정하면 자동적으로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최적의 주행 경로를 찾아 표시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운전자가 목적지를 지정한 다음 상기 주행 경로를 따라 주행을 시작하면 상기 주행 경로를 따라 차량이 주행되는 것이 지도상에 표시되며, 만일 상기 주행 경로를 벗어나면 다시 경로를 검색하여 현재 위치에서 기존에 정해진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다시 표시한다. 또한 네비게이션 장치는, 상기 경로 안내 기능 이외에도 최단거리 검색, 최단시간 검색, 고속도로 회피검색, 페리(Ferry) 회피검색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어, 운전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기능 제공으로 인해 운전자는 자신이 설정한 검색 정보를 제공받아 안전하고 정확하게 목적지까지 주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현재 차량에 장착되는 네비게이션 장치는 승용차 또는 차량 크기가 작은 승합차 기준으로 경로가 검색되는 불합리한 점이 있다.
따라서, 화물차량/트럭과 같은 대형차량이 일반적인 네비게이션 장치를 통해 길안내를 받게 되는 경우, 주행할 수 없는 도로로 안내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예컨대 차폭이 좁은 도로, 높이 제한이 있는 도로, 톤수 기준으로 인한 통행제한이 있는 교량 등, 대형차량이 주행할 수 없는 도로로 안내되어 낭패를 보게 되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이는 시간적/경제적 손실로 이어짐은 물론, 나아가 잘못된 길안내로 인하여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화물차/트럭과 같은 대형차량의 길안내를 제공하기 위한 대형차량용 네비게이션 및 그를 이용한 경로 검색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대형차량용 네비게이션 장치는,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검색하는 검색부, 상기 검색된 주행 경로의 모든 도로정보를 참조하여 대형차량이 주행할 수 있는 도로조건에 해당되는 도로정보만을 추출하는 정보추출부,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형차량 도로정보 중 어느 하나의 도로를 선택적으로 길안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추출된 대형차량 도로정보들 중에서 각 도로의 길이/소요시간을 계산하는 연산부와, 상기 연산부 결과에 따른 최단거리도로 및 최단시간도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산부에 의해 상기 도로 길이 및 소요시간이 연산되는 경우, 도로속성별 가중치를 부여하는 가중치 부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검색부는 차량의 출발지 및 목적지가 입력되면 주변도로에서 수선의 발이 가장 짧은 도로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차량의 출발지 또는 목적지에서 목적지 방향 또는 출발지 방향으로 연결된 모든 도로정보를 검색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차량내에 구비되며, 대형차량 주행 경로를 검색하기 위한 메뉴가 표시되고, 상기 메뉴 선택시 모든 도로정보에서 대형차량이 주행할 수 있는 도로조건에 해당되는 도로만을 길안내하도록 제어하도록 대형차량 주행경로 검색 알고리즘을 갖는 네비게이션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대형차량의 주행조건은 도로길이, 폭, 도로속성에 의해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도로속성은 골목길, 일반도로, 상세도로, 지방도로, 고속도로, 일방통행도로, 좌/우회전제한도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경로검색 및 안내방법은, 입력되는 출발지 및 목적지를 연결하는 모든 도로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도로정보에서 대형차량이 주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도로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도로정보 중 어느 하나의 도로가 선택적으로 길안내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대형차량 주행제한조건을 저장하는 단계, 입력된 출발지 및 목적지를 연결하는 모든 도로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도로정보와 상기 저장된 주행제한조건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결과 상기 대형차량이 주행할 수 있는 도로만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도로정보 중 어느 하나의 도로가 선택적으로 길안내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대형차량 길안내 메뉴가 선택되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
상기 주행제한조건은 도로길이, 폭, 도로속성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주행제한조건은 차량의 길이/너비/높이/하중 등을 직접 운전자가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출발지 및 목적지가 입력되면 수선의 발이 가장 짧은 주변도로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출발지 또는 목적지 도로에서 목적지 방향 또는 출발지 방향으로 연결된 모든 도로를 검색한다.
상기 추출된 도로정보들 중에서 각 도로의 길이/소요시간을 계산하여 최단거리도로 및 최단시간도로를 추출하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최단거리도로 및 최단시간도로를 추출하는 경우, 상기 도로별 속성정보를 참조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도로별 속성정보는 골목길, 일반도로, 상세도로, 지방도로, 고속도로, 일방통행도로, 좌/우회전제한도로 정보에 대하여 가중치가 각각 부여된다.
그리고, 상기 추출된 최단거리도로 및 최단시간도로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도로 정보를 호출하고 안내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승용차용 경로 검색과는 상이하 게 대형차량이 주행할 수 있는 도로만을 검색하여 안내하기 때문에, 대형차량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대형 차량용 네비게이션 및 그를 이용한 경로 검색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의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의 표시부에 그래픽사용자인터페이스 형식의 경로검색메뉴가 하나 이상 표시되어 있는 예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표시부에서 경로검색을 나타내고 있는 예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복수의 지피에스(GPS) 위성으로부터 차량의 현재 위치정보를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는 GPS 수신기(10)가 구비된다. 그리고,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지도데이터영역과 검색된 도로정보를 저장하는 도로정보영역과 대형차량의 주행제한조건을 저장하는 주행조건영역이 구비된 데이터 저장부(12)와, 네비게이션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14)가 구비된다. 상기 데이터 저장부(12)와 메모리(14)는 외부 매체로부터 정보를 용이하게 업그레이드시킬 수 있어야 하며, 네비게이션 장치 내부에 장착된 형태이거나 착탈식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경로검색메뉴를 선택하고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16)와, 상기 차량의 현재위치 및 주행경로 등을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18)가 구비된다. 상기 입력부(16) 및 표시부(18)는 정보입력과 정보출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 는 터치 패널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부(18) 즉 터치패널상에는 상기 입력부(16) 조작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로검색메뉴(19a)가 표시된다. 상기 경로검색메뉴(19a)에는 최단시간검색(fastest), 최단거리검색(shortest), 고속도로 회피검색(Avoid highway), 페리 회피검색(Ferry), 트럭주행모드(Truck Usage)가 표시된다. 상기 경로검색메뉴(19a)는 사용자에 의해 쉽게 선택될 수 있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형태이다. 그리고 상기 경로검색메뉴(19a)에서 트럭주행모드가 선택되면 후술하는 최단거리경로, 최단시간경로를 선택할 수 있는 서브메뉴(19b)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경로검색메뉴(19a)로부터 소정 검색메뉴가 선택되고, 입력부(16)에 의해 입력된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검색메뉴에 대응하는 도로 즉 트럭과 같은 대형차량이 주행할 수 있는 경로를 검색하는 검색부(20)가 구비된다.
상기 검색부(20)는 다음과 같이 도로를 검색하게 된다. 즉, 현재 차량 위치에서 수선의 발(foot of perpendicula)이 가장 짧은 도로와, 목적지 위치에서 수선의 발(foot of perpendicula)이 가장 짧은 도로를 검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검색된 도로 중, 출발지에서 목적지 방향으로 연결된 모든 도로와 목적지에서 출발지 방향으로 연결된 모든 도로를 검색한다.
상기 검색된 모든 도로의 길이/폭/속성값과 상기 주행제한조건을 비교하고, 대형차량이 주행할 수 있는 도로만을 추출하는 추출부(22)가 구비된다. 상기 주행제한조건은 현재 차량의 길이/너비/높이/하중 등이며, 이러한 주행제한조건은 차량 의 상태에 따라 미리 설정되어 저장되거나, 운전자가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주행제한조건에 따라 대형차량이 주행할 수 없는 도로는 제외시키고 주행가능한 도로만을 추출하는 것이다. 예컨대 대형화물트럭으로서, 도로 폭이 너무 좁은 골목길이나, 차량의 원래 높이뿐만 아니라 화물적재로 인해 전체 높이가 높아져서 지나갈 수 없는 터널이나, 교량/철길 아래 도로등은 제외되는 것이다.
상기 추출부(22)에 의해 추출된 대형차량 도로정보는 하나 이상 추출된다. 상기 추출된 대형차량 도로정보 중 어느 하나의 도로로서 길안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추출된 대형차량 도로정보의 각 도로는 연산부(24)에 의해 총길이나 소요시간이 연산되어 최단거리도로 또는 최단시간도로로서 데이터 저장부(12)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최단거리도로 또는 최단시간도로를 결정할 때 상기 각 도로별 속성정보가 부여되어 결정될 수도 있다. 즉 골목길, 일반도로, 상세도로, 지방도로, 고속도로, 일방통행도로, 좌/우회전제한도로 정보에 대하여 가중치가 각각 상이하게 부여되고, 따라서 지방도로가 길이가 짧아 예상 소요시간이 적게 소요되는 경우라 할지라도 주행 속도가 더 빠른 고속도로가 더 적게 소요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속도로에 가중치가 더 많이 부여되어 최단시간도로로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미도시하고 있지만 도로길이 및 소요시간이 연산되는 경우 도로속성별 가중치를 부여하는 가중치 부여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안내 음성신호를 생성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40)가 구비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대형 차량용 네비게이션을 이용하여 트럭이 주행할 수 있는 도로만을 검색/안내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대형 차량의 경로검색에 대해서만 살펴보겠다.
먼저, 경로검색을 위해 운전자에 의해 입력부(16)가 조작되면, 제어부(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8)에 최단거리 모드, 최단시간 모드, 고속도로 회피모드, 페리(Ferry) 회피모드, 트럭주행모드를 포함하는 경로검색메뉴(19a)를 표시한다.
상기 경로모드메뉴(19a)로부터 트럭주행모드가 선택되면(S100), 입력부(16)로부터 출발지(A) 및 목적지(B) 정보가 입력된다(S102). 상기 출발지는 차량의 현재 위치일 수 있다. 상기 출발지(A) 및 목적지(B) 정보는 일반적인 텍스트(text) 입력방식에 의해 실시되거나, 지도화면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직접 그 위치가 선택되어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출발지(A) 및 목적지(B) 정보가 입력된 다음에 경로검색메뉴(19a)가 표시되도록 그 순서는 변경되어도 상관없다.
일단, 출발지(A) 및 목적지(B)가 결정되면, 검색부(20)는 GPS수신기(10)로부터 제공받은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도로를 검색한다(S104). 상기 도로 검색은 현재 위치에서 주변도로를 검색하여 수선의 발(foot of perpendicula)이 가장 짧은 도로를 검색하고, 목적지 정보를 참조하여 그 목적지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도로, 즉 수선의 발이 가장 짧은 도로를 검색한다(S106). 즉 도 3a를 참조하면 출발지(A)에서 도로 검색시 주변에 있는 '1번도로', '2번도로', '3번도로', '5 번도로'를 모두 검색하게 되지만 수선의 발이 제일 짧은 도로인 '2번도로'가 검색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목적지(B)에서 도로 검색시 주변의 '4번도로'와 '10번도로'를 검색하지만 수선의 발(foot of perpendicula)이 가장 짧은 '10번도로'가 검색된다.
상기 검색부(20)가 상기 출발지(A) 및 목적지(B) 위치에서 수선의 발이 가장 짧은 주변 도로를 검색한 다음에는, 상기 출발도로(즉 2번도로)에서 목적지방향(즉 10번도로방향)으로 연결된 모든 연결도로와, 상기 목적지도로(즉 10번도로)에서 출발지방향(즉 2번도로)으로 연결된 모든 연결도로를 검색한다(S108). 따라서 도 3a에 도시된 '1번도로' 내지 '10번도로'가 한번 이상 포함된 연결도로가 모두 검색된다. 상기 연결도로는 출발도로 또는 목적지도로에서 봤을 때 방사형으로 뻗어나가게 된다.
상기 연결도로가 검색되면, 추출부(22)는 주행제한조건을 참조하여 실제 대형차량이 주행할 수 있는 도로만을 추출한다(S110). 예를 들어 도 3b를 참조하면 '5번도로'는 폭이 좁은 골목길로서 대형차량이 주행할 수 없는 도로이고, '8번도로'는 도로 중간에 3톤 이하의 차량만이 주행가능한 교량이 있다라고 가정하고, 대형차량의 폭이 상기 골목길 폭보다 크고 3톤(ton)을 초과하는 차량인 경우라면 추출부(22)는 대형차량이 주행할 수 없는 '5번도로'와 '8번도로'를 제외한 나머지 도로만을 추출하게 된다. 상기 추출된 도로는 도 3b에서 '1번도로', '2번도로'인 'C','D'경로가 되며, 나아가 상기 'C','D'경로와 연결되어 목적지(B)까지 갈 수 있는 '3번도로', '6번도로', '7번도로'인 경로 'E','F','G'가 포함된다.
이와 같이 추출부(22)에 의해 대형차량이 주행할 수 있는 도로인 'C','D','E','F','G' 후보도로가 추출되면,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추출된 도로 중에서 선택된 도로를 이용하여 길안내를 제공한다(S112).
한편, 하나 이상의 상기 후보도로가 추출된 상태에서 일정 조건에 따라 검색된 최단거리도로 또는 최단시간도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4b는 도로정보를 참조하여 최단거리/최단시간 도로를 검색하고, 이를 이용하여 길안내를 제공받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를 위해, 도 4a에서와 같이 하나 이상의 후보도로가 추출되면(S120), 연산부(24)는 상기 후보도로의 길이, 소요시간 등을 계산한다(S122). 이때 상기 후보도로의 도로속성 즉 골목길, 일반도로, 상세도로, 지방도로, 고속도로, 일방통행도로, 좌/우회전제한도로별로 가중치를 상이하게 제공하고, 그 가중치와 함께 길이와 소요시간을 계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동일한 길이와 소요시간인 도로인 경우 상기 속성정보에 따라 최단거리나 최단시간의 도로정보가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 따라 최단거리도로와 최단시간도로가 결정되면(S124),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결정된 도로정보를 데이터 저장부(12)에 저장한다(S126). 상기 도로정보를 저장하는 이유는 추후에 동일 도로를 주행할 경우가 있는 경우 도로검색과정을 생략하고 저장된 도로정보를 바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 상기 최단거리도로 및 최단시간도로가 저장된 상태에서, 도 2의 길안내를 위해 경로검색메뉴(19a) 중 트럭주행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30)는 도 2에서와 같이 서브메뉴(19a) 형태로 최단거리도로 또는 최단시간도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부(18)에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최단거리도로 또는 최단시간도로 중 어느 하나의 도로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선택된 경로정보를 억세스하고 이를 표시부(18)의 지도화면에 표시시킴과 아울러 음성메시지를 출력하면서 길안내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일반 승용차 이외에 트럭과 같은 대형트럭이 주행할 수 있는 도로정보만을 검색하여 제공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대형차량용 네비게이션 장치와 그를 이용한 경로 검색 및 안내방법에 따르면 대형차량이 주행할 수 있는 경로만을 검색하여 제공하기 때문에, 대형차량 운전자의 편의를 향상시킨다. 즉 일반 승용차 중심으로 검색된 경로에는 대형차량이 주행할 수 없는 도로가 포함되어 안내되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주행중 도로에서 오갈수 없는 상태가 되기도 하지만, 본 발 명을 적용하면 대형차량이 주행할 수 없는 도로가 제외된 실질적으로 주행가능한 도로만이 검색되어 안내된다.
따라서, 정확한 경로안내로 인한 시간적/경제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고, 도로에서의 안전한 주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17)

  1.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검색하는 검색부,
    상기 검색된 주행 경로의 모든 도로정보를 참조하여 대형차량이 주행할 수 있는 도로조건에 해당되는 도로정보만을 추출하는 정보추출부,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형차량 도로정보 중 어느 하나의 도로를 선택적으로 길안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대형차량용 네비게이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대형차량 도로정보들 중에서 각 도로의 길이/소요시간을 계산하는 연산부와, 상기 연산부 결과에 따라 길안내되는 최단거리도로 및 최단시간도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차량용 네비게이션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에 의해 상기 도로 길이 및 소요시간이 연산되는 경우, 도로속성별 가중치를 부여하는 가중치 부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차량용 네비게이션 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부는 차량의 출발지 및 목적지가 입력되면 주변도로에서 수선의 발이 가장 짧은 도로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차량용 네비게이션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부는 차량의 출발지 또는 목적지에서 목적지 방향 또는 출발지 방향으로 연결된 모든 도로정보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차량용 네비게이션 장치.
  6. 차량내에 구비되며,
    대형차량 주행 경로를 검색하기 위한 메뉴가 표시되고, 상기 메뉴 선택시 모든 도로정보에서 대형차량이 주행할 수 있는 도로조건에 해당되는 도로만을 길안내하도록 제어하도록 대형차량 주행경로 검색 알고리즘을 갖는 네비게이션 장치.
  7. 제 1항, 제 2항, 제 3항,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형차량의 주행조건은 도로길이, 폭, 도로속성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차량용 네비게이션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속성은 골목길, 일반도로, 상세도로, 지방도로, 고속도로, 일방통 행도로, 좌/우회전제한도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차량용 네비게이션 장치.
  9. 입력되는 출발지 및 목적지를 연결하는 모든 도로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도로정보에서 대형차량이 주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도로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도로정보 중 어느 하나의 도로가 선택적으로 길안내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대형차량용 네비게이션 장치의 경로검색 및 안내방법.
  10. 대형차량 주행제한조건을 저장하는 단계,
    입력된 출발지 및 목적지를 연결하는 모든 도로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도로정보와 상기 저장된 주행제한조건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결과 상기 대형차량이 주행할 수 있는 도로만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도로정보 중 어느 하나의 도로가 선택적으로 길안내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대형차량용 네비게이션 장치의 경로검색 및 안내방법.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대형차량 길안내 메뉴가 선택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차량용 네비게이션 장치의 경로검색 및 안내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제한조건은 도로길이, 폭, 도로속성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차량용 네비게이션 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출발지 및 목적지가 입력되면 수선의 발이 가장 짧은 주변도로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출발지 또는 목적지 도로에서 목적지 방향 또는 출발지 방향으로 연결된 모든 도로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차량용 네비게이션 장치의 경로검색 및 안내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도로정보들 중에서 각 도로의 길이/소요시간을 계산하여 최단거리도로 및 최단시간도로를 추출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차량용 네비게이션 장치의 경로검색 및 안내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최단거리도로 및 최단시간도로 추출 단계에서, 상기 도로별 속성정보를 참조하여 최단거리도로 및 최단시간도로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차량용 네비게이션 장치의 경로검색 및 안내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별 속성정보는 골목길, 일반도로, 상세도로, 지방도로, 고속도로, 일방통행도로, 좌/우회전제한도로 정보에 대하여 가중치가 각각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차량용 네비게이션 장치의 경로검색 및 안내방법.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최단거리도로 및 최단시간도로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도로 정보를 호출하고 안내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차량용 네비게이션 장치의 경로검색 및 안내방법.
KR1020060131188A 2006-12-20 2006-12-20 대형차량용 네비게이션 장치와 그를 이용한 경로 검색 및안내방법 KR200800576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1188A KR20080057634A (ko) 2006-12-20 2006-12-20 대형차량용 네비게이션 장치와 그를 이용한 경로 검색 및안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1188A KR20080057634A (ko) 2006-12-20 2006-12-20 대형차량용 네비게이션 장치와 그를 이용한 경로 검색 및안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7634A true KR20080057634A (ko) 2008-06-25

Family

ID=39803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1188A KR20080057634A (ko) 2006-12-20 2006-12-20 대형차량용 네비게이션 장치와 그를 이용한 경로 검색 및안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5763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0392A (ko) * 2015-12-14 2017-06-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협소 도로 구간의 환경을 고려한 차량의 주행 경로 안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0691131B2 (en) 2016-11-18 2020-06-23 Waymo Llc Dynamic routing for autonomous vehicles
KR20200080625A (ko) * 2018-12-27 2020-07-0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관제 서버 및 그를 이용한 무인 비행체의 경로 설정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0392A (ko) * 2015-12-14 2017-06-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협소 도로 구간의 환경을 고려한 차량의 주행 경로 안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0691131B2 (en) 2016-11-18 2020-06-23 Waymo Llc Dynamic routing for autonomous vehicles
US11537133B2 (en) 2016-11-18 2022-12-27 Waymo Llc Dynamic routing for autonomous vehicles
KR20200080625A (ko) * 2018-12-27 2020-07-0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관제 서버 및 그를 이용한 무인 비행체의 경로 설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32049B2 (en) Vehicle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US6721655B1 (en) Vehicle travel guide device and vehicle travel guide method
US8280630B2 (en) Navigation device
JP4680105B2 (ja)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経路案内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CN100454356C (zh) 导航设备和用于路径引导的方法
JP3348675B2 (ja)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4609312B2 (ja) 車両制御装置
JP2008249683A (ja) 自動車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の交差点案内方法
US9304011B2 (en) Map display device
JP2007010399A (ja) 経路探索装置及び経路探索方法
KR101570827B1 (ko) 차로변경행태를 고려한 안전운전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
KR20080057634A (ko) 대형차량용 네비게이션 장치와 그를 이용한 경로 검색 및안내방법
JP2015021836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経路計算装置
JP5511222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誘導経路の案内方法および誘導経路案内プログラム
KR100864176B1 (ko)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랜드마크 정보 표시방법
EP3703038A1 (en) Parking display for a vehicle
JP4357932B2 (ja)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100925174B1 (ko) 안전운전 도우미 자동차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5077187A (ja)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経路案内方法
JP2008175566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10020564A (ja) 情報報知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JP2007155462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H04232811A (ja) ナビゲ−ションにおける経路探索方法
JP4329502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3209823B2 (ja)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