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6607A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6607A
KR20080056607A KR1020060129712A KR20060129712A KR20080056607A KR 20080056607 A KR20080056607 A KR 20080056607A KR 1020060129712 A KR1020060129712 A KR 1020060129712A KR 20060129712 A KR20060129712 A KR 20060129712A KR 20080056607 A KR20080056607 A KR 20080056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stain
voltage
signal
period
plasma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9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남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9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56607A/ko
Publication of KR20080056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66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6Driving circuits for producing the waveforms applied to the driving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 G09G3/29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for lighting or sustain dischar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6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09G2310/061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for resetting or blank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6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09G2310/066Waveforms comprising a gently increasing or decreasing portion, e.g. ram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28Increasing the driving margin in plasma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7Reduction of after-image effe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22Electrodes
    • H01J2211/24Sustain electrodes or scan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Gas Discharge Displ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캔 전극 및 스캔 전극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서스테인 전극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스캔 전극으로 셋 업 기간에서 제 1 전압부터 제 2 전압까지 점진적으로 상승하는 셋 업 신호를 공급하는 스캔 구동부 및 셋 업 기간 이전의 소거 기간에서 서스테인 전극으로 제 1 전압부터 제 2 전압보다 낮은 제 3 전압까지 점진적으로 상승하고, 제 3 전압보다 낮은 제 4 전압부터 그라운드 레벨의 전압까지 점진적으로 하강하는 제 1 소거 신호를 공급하는 서스테인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Plasma Display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방법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방법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방법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방법의 제 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방법의 제 5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방법의 제 6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10 : 스캔 구동부
120 : 서스테인 구동부 130 : 데이터 구동부
140 : 제어부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어 형성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화상이 표시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의 전면기판과 후면기판 사이에 형성된 격벽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방전 셀을 가지는 것으로, 각 셀 내에는 네온(Ne), 헬륨(He) 또는 네온 및 헬륨의 혼합기체(Ne+He)와 같은 주 방전 기체와 소량의 크세논을 함유하는 불활성 가스가 충전되어 있다. 이러한 방전 셀들은 복수 개가 모여 하나의 픽셀(Pixel)을 이룬다. 예컨대 적색(Red, R) 방전 셀, 녹색(Green, G) 방전 셀, 청색(Blue, B) 방전 셀이 모여 하나의 픽셀을 이루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고주파 전압에 의해 방전이 될 때, 불활성 가스는 진공자외선(Vacuum Ultraviolet rays)을 발생하고 격벽 사이에 형성된 형광체를 발광시켜 화상이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롱 갭 구조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함에 있어서 셋 업 기간 이전의 소거 기간 동안 소거 신호를 공급함으로써, 셋 업 방전이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하여 화질이 보다 향상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롱 갭 구조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함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낮은 서스테인 전압을 공급하더라도 방전이 발생할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캔 전극 및 스캔 전극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서스테인 전극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스캔 전극으로 셋 업 기간에서 제 1 전압부터 제 2 전압까지 점진적으로 상승하는 셋 업 신호를 공급하는 스캔 구동부 및 셋 업 기간 이전의 소거 기간에서 서스테인 전극으로 제 1 전압부터 제 2 전압보다 낮은 제 3 전압까지 점진적으로 상승하고, 제 3 전압보다 낮은 제 4 전압부터 그라운드 레벨의 전압까지 점진적으로 하강하는 제 1 소거 신호를 공급하는 서스테인 구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서스테인 구동부는 셋 업 신호가 공급되는 동안 제 1 소거 신호 중 제 4 전압부터 그라운드 레벨의 전압까지 점진적으로 하강하는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스캔 구동부는 서스테인 기간 동안 스캔 전극으로 서스테인 전압 유지 기간이 그라운드 레벨의 전압 유지 기간보다 긴 제 1 서스테인 신호를 공급하고, 서스테인 구동부는 서스테인 기간 동안 서스테인 전극으로 서스테인 전압 유지 기간이 그라운드 레벨의 전압 유지 기간보다 긴 제 2 서스테인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 1 서스테인 신호는 제 2 서스테인 신호의 서스테인 전압이 유지되는 동안에 서스테인 전압으로부터 그라운드 레벨의 전압까지 하강하고, 그라운드 레벨의 전압부터 서스테인 전압까지 다시 상승하고, 제 2 서스테인 신호는 제 1 서스테인 신호의 서스테인 전압이 유지되는 동안에 서스테인 전압으로부터 그라운드 레벨의 전압까지 하강하고, 그라운드 레벨의 전압부터 서스테인 전압까지 다시 상승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 1, 2 서스테인 신호의 서스테인 전압은 셋 다운 기간부터 서스테인 기간 이전까지 서스테인 전극으로 공급되는 서스테인 바이어스 신호의 전압보다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스캔 구동부는 소거 기간에서 제 1 소거 신호가 공급되기 이전의 기간 동안 제 1 서스테인 신호의 서스테인 전압부터 그라운드 레벨의 전압보다 낮은 제 5 전압으로 점진적으로 하강하는 제 2 소거 신호를 스캔 전극으로 공급하고, 서스테인 구동부는 제 2 소거 신호가 공급되는 동안 제 2 서스테인 신호의 서스테인 전압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스캔 구동부는 소거 기간에서 제 1 소거 신호가 공급되기 이전의 기간 동안 제 1 서스테인 신호의 서스테인 전압보다 낮은 제 6 전압부터 그라운드 레벨 의 전압보다 낮은 제 5 전압으로 점진적으로 하강하는 제 2 소거 신호를 공급하고, 서스테인 구동부는 제 2 소거 신호가 공급되는 동안 제 2 서스테인 신호의 서스테인 전압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 사이의 간격은 150㎛이상 350㎛이하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스캔 전극 및 서스테인 전극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어드레스 전극을 포함하고,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 사이의 간격은 스캔 전극과 어드레스 전극 사이의 간격보다 크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 스캔 구동부(110), 서스테인 구동부(120), 데이터 구동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스캔 전극들(Y1 내지 Yn), 서스테인 전극들(Z1 내지 Zn) 및 스캔 전극들(Y1 내지 Yn)과 서스테인 전극들(Z1 내지 Zn)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어드레스 전극들(X1 내지 Xm)을 포함한다.
스캔 구동부(110)는 스캔 전극들(Y1 내지 Yn)에 리셋 기간, 어드레스 기간, 서스테인 기간 동안 스캔 전극(Y) 구동 신호를 공급한다. 일례로, 스캔 구동 부(110)는 리셋 기간에 셋 업 신호 또는 셋 다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스캔 전극들(Y1 내지 Yn)로 공급할 수 있고, 어드레스 기간에 스캔 기준 전압 및 각 방전 셀을 스캐닝하기 위한 스캔 신호를 스캔 전극들(Y1 내지 Yn)로 공급할 수 있고, 서스테인 기간에 서스테인 방전을 위한 제 1 서스테인 신호를 스캔 전극들(Y1 내지 Yn)로 공급할 수 있다.
서스테인 구동부(120)는 서스테인 기간 동안 구동 신호를 공급한다. 일례로, 서스테인 구동부(120)는 셋 업 기간 이전의 소거 기간에서 서스테인 전극들(Z1 내지 Zn)로 제 1 전압부터 제 2 전압보다 낮은 제 3 전압까지 점진적으로 상승하고, 제 3 전압보다 낮은 제 4 전압부터 그라운드 레벨의 전압(GND)까지 점진적으로 하강하는 제 1 소거 신호를 공급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리셋 기간 동안 보다 안정적인 셋 업 방전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서스테인 기간 동안 스캔 구동부(110)로부터 스캔 전극들(Y1 내지 Yn)에 공급되는 제 1 서스테인 신호에 교번 또는 중첩되도록 서스테인 전극(Z)에 제 2 서스테인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130)는 어드레스 기간 동안 데이터 신호를 공급한다. 일례로, 데이터 구동부(130)는 제어부(140)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어드레스 전극 구동 신호인 데이터 신호를 어드레스 기간 동안에 어드레스 전극들(X1 내지 Xm)에 공급한다.
제어부(140)는 프레임의 각각의 서브필드 기간 동안 전술한 각각의 스캔 구동부(110), 서스테인 구동부(120), 데이터 구동부(130)에 각각의 구동부를 제어하 기 위한 제어 신호를 공급한다.
도 2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서로 나란한 스캔 전극(202, Y)과 서스테인 전극(203, Z)이 형성되는 전면 기판(201)과, 전술한 스캔 전극(202, Y) 및 서스테인 전극(203, Z)과 교차하는 어드레스 전극(213, X)이 형성되는 후면 기판(211)이 합착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 사이의 간격은 스캔 전극과 어드레스 전극 사이의 간격보다 크도록 할 수 있는데, 보다 바람직하게는 스캔 전극(202, Y)과 서스테인 전극(203, Z)사이의 간격(d)은 150㎛이상 350㎛이하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캔 전극(Y)과 서스테인 전극(Z) 사이의 간격이 150㎛이상 350㎛이하로 형성된 구조를 롱 갭(Long gap)이라고 정의한다.
이와 같이, 간격(d)을 150㎛이상 350㎛이하로 하는 것은 롱 갭(Long gap)구조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형성하여, 방전 영역의 포지티브 컬럼(Positive Column) 영역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방전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또한, 전면 기판(201) 상에 형성되는 전극, 예컨대 스캔 전극(202, Y)과 서스테인 전극(203, Z)은 방전 셀(Cell)에서 방전을 발생시키고 아울러 방전 셀의 방전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스캔 전극(202, Y)과 서스테인 전극(203, Z)이 형성된 전면 기판(201)의 상부에는 스캔 전극(202, Y)과 서스테인 전극(203, Z)을 덮도록 상부 유 전체 층(204)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 유전체 층(204)은 스캔 전극(202, Y) 및 서스테인 전극(203, Z)의 방전 전류를 제한하며 스캔 전극(202, Y)과 서스테인 전극(203, Z) 간을 절연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부 유전체 층(204) 상면에는 방전 조건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보호 층(205)이 형성된다. 이러한 보호 층(205)은 산화마그네슘(MgO) 등의 재료를 상부 유전체 층(204) 상부에 증착하는 방법 등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후면 기판(211) 상에는 전극, 예컨대 어드레스 전극(213, X)이 형성되고, 이러한 어드레스 전극(213, X)이 형성된 후면 기판(211)의 상부에는 어드레스 전극(213, X)을 덮도록 하부 유전체 층(215)이 형성된다.
이러한, 하부 유전체 층(215)은 어드레스 전극(213, X)을 절연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하부 유전체 층(215)의 상부에는 방전 공간 즉, 방전 셀을 구획하기 위한 스트라이프 타입(Stripe Type), 웰 타입(Well Type), 델타 타입(Delta Type), 벌집 타입 등의 격벽(2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면 기판(201)과 후면 기판(211)의 사이에서 적색(Red : R), 녹색(Green : G), 청색(Blue : B) 등의 방전 셀이 형성된다.
또한, 적색(R), 녹색(G), 청색(B) 방전 셀 이외에 백색(White : W) 또는 황색(Yellow : Y) 방전 셀이 더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에서의 적색(R), 녹색(G) 및 청색(B) 방전 셀의 피치(Pitch)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도 있지 만, 적색(R), 녹색(G) 및 청색(B) 방전 셀에서의 색 온도를 맞추기 위해 적색(R), 녹색(G) 및 청색(B) 방전 셀의 피치를 다르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적색(R), 녹색(G) 및 청색(B) 방전 셀 별로 피치를 모두 다르게 할 수도 있지만, 적색(R), 녹색(G) 및 청색(B) 방전 셀 중 하나 이상의 방전 셀의 피치를 다른 방전 셀의 피치와 다르게 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적색(R) 방전 셀의 피치가 가장 작고, 녹색(G) 및 청색(B) 방전 셀의 피치를 적색(R) 방전 셀의 피치보다 크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녹색(G) 방전 셀의 피치는 청색(B) 방전 셀의 피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도 2에 도시된 격벽(212)의 구조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상의 격벽의 구조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에서는 적색(R), 녹색(G) 및 청색(B) 방전 셀 각각이 동일한 선상에 배열되는 것으로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다른 형상으로 배열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예컨대, 적색(R), 녹색(G) 및 청색(B) 방전 셀이 삼각형 형상으로 배열되는 델타(Delta) 타입의 배열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방전 셀의 형상도 사각형상뿐만 아니라 오각형, 육각형 등의 다양한 다각 형상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여기 도 2에서는 후면 기판(211)에 격벽(212)이 형성된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격벽(212)은 전면 기판(201) 또는 후면 기판(211) 중 적어도 어느 하 나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격벽(212)에 의해 구획된 방전 셀 내에는 소정의 방전 가스가 채워질 수 있다.
아울러, 격벽(212)에 의해 구획된 방전 셀 내에는 어드레스 방전 시 화상표시를 위한 가시 광을 방출하는 형광체 층(214)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색(Red : R), 녹색(Green : G), 청색(Blue : B) 형광체 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적색(R), 녹색(G), 청색(B) 형광체 이외에 백색(White : W) 및/또는 황색(Yellow : Y) 형광체 층이 더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적색(R), 녹색(G), 청색(B) 방전 셀의 형광체 층(214)은 두께(Width)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하나 이상에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색(R), 녹색(G) 및 청색(B) 방전 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전 셀에서의 형광체 층(214)의 두께가 다른 방전 셀과 상이한 경우에는 녹색(G) 또는 청색(B) 방전 셀에서의 형광체 층(214)의 두께가 적색(R) 방전 셀에서의 형광체 층(214)의 두께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여기서, 녹색(G) 방전 셀에서의 형광체 층(214)의 두께는 청색(B) 방전 셀에서의 형광체 층(214)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례만을 도시하고 설명한 것으로써, 본 발명이 이상에서 설명한 구조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예를 들면, 여기 이상의 설명에서는 번호 204의 상부 유전체 층 및 번호 215의 하부 유전체 층이 각각 하나의 층(Layer)인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이러한 상부 유전체 층 및 하 부 유전체 층 중 하나 이상은 복수의 층으로 이루지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아울러, 번호 212의 격벽으로 인한 외부 광의 반사를 방지하기 위해 격벽(212)의 상부에 외부 광을 흡수할 수 있는 블랙 층(미도시)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격벽(212)과 대응되는 전면 기판(201) 상의 특정 위치에 블랙 층(미도시)이 더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후면 기판(211) 상에 형성되는 어드레스 전극(213)은 폭이나 두께가 실질적으로 일정할 수도 있지만, 방전 셀 내부에서의 폭이나 두께가 방전 셀 외부에서의 폭이나 두께와 다를 수도 있을 것이다. 예컨대, 방전 셀 내부에서의 폭이나 두께가 방전 셀 외부에서의 그것보다 더 넓거나 두꺼울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예를 들어, 상부 유전체 층(204)이 도면에서는 두께가 일정한 것만 도시하였으나 상부 유전체 층(204)이 영역별로 두께와 유전 상수가 달라질 수 있고, 격벽(212)의 간격이 일정한 것만 도시하였으나 B 방전 셀의 격벽(212)의 간격이 더 넓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격벽(212)의 측면이 요철형상이 되도록 하고 도포되는 형광체 층도(214) 요철 모양에 따라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구현되는 영상의 휘도를 더 높게 할 수도 있다.
또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시 배기 특성의 향상을 위하여 격벽(212)의 측면에 터널이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 도 3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방법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프레임에서 임의의 서브필드에서 각각의 구동부(110, 120, 130)는 리셋 기간, 어드레스 기간, 서스테인 기간 및 소거 기간 동안에 스캔 전극(Y), 서스테인 전극(Z) 및 어드레스 전극(X)에 구동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도 3에서와 같이 리셋 기간의 셋업 기간에서는, 스캔 구동부(110)는 스캔 전극(Y)에 제 1 전압(V1)부터 제 2 전압(V2)까지 점진적으로 상승하는 셋 업 신호(Set-up)를 공급한다.
이러한, 셋 업 신호(Set-up)에 의해 전 화면의 방전 셀 내에는 약한 암방전(Dark Discharge)이 일어난다. 이 셋 업 방전에 의해 서스테인 전극(Z)과 어드레스 전극(X) 상에는 정극성 벽전하가 쌓이게 되며, 스캔 전극(Y) 상에는 부극성의 벽전하가 쌓이게 된다.
셋 다운 기간에서, 스캔 구동부(110)는 스캔 전극(Y)에 셋 업 신호(Set-up)를 공급한 후, 셋 업 신호(Set-up)의 제 2 전압(V2)보다 낮은 정극성 전압에서 떨어지기 시작하여 그라운드(GND)레벨 전압 이하의 특정 전압레벨까지 떨어지는 셋 다운 신호(Set-down)를 공급하고, 서스테인 구동부(120)는 벽전하를 보다 효율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 서스테인 전극(Z)에 서스테인 바이어스 전압(Vzb)을 공급한다.
이에 따라, 방전 셀 내에 미약한 소거방전을 일으킴으로써 방전 셀 내에 과도하게 형성된 벽 전하를 적절하게 감소시킨다. 이 셋 다운 방전에 의해 어드레스 방전이 안정되게 일어날 수 있을 정도의 벽 전하가 방전 셀 내에 균일하게 잔류 된 다.
또한, 어드레스 기간에서 스캔 구동부(110)는 스캔 기준 전압(Vsc)을 스캔 전극(Y)으로 공급하고, 어드레스 전극(X)에서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와 함께 스캔 기준 전압(Vsc)으로부터 하강하는 부극성 스캔 신호(Scan)를 스캔 전극(Y)에 공급할 수 있다.
아울러 데이터 구동부(130)는 전술한 스캔 신호(Scan)에 대응되어 어드레스 전극(X)에 정극성의 데이터 신호를 공급한다. 이러한 스캔 신호(Scan)와 데이터 신호의 전압 차와 리셋 기간에 생성된 벽 전압이 더해지면서 데이터 신호가 인가되는 방전 셀 내에는 어드레스 방전이 발생 된다.
이와 같은 어드레스 방전에 의해 선택된 방전 셀 내에는 서스테인 전압(Vs)이 인가될 때 방전이 일어날 수 있게 하는 정도의 벽 전하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스캔 전극(Y)이 스캐닝(Scanning) 되는 것이다.
여기의 도 3에서는, 스캔 구동부(110)가 어드레스 기간 동안에 스캔 전극(Y)으로 스캔 기준 전압(Vsc)과 -Vy 전압의 합인 스캔 바이어스 전압(Vsc-Vy)을 공급하는 것을 일례로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스캔 전극으로 스캔 기준 전압(Vsc)만을 공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어드레스 기간 이후의 서스테인 기간에서 스캔 구동부(110)와 서스테인 구동부(120)는 스캔 전극(Y)과 서스테인 전극(Z)으로 서스테인 신호를 교번하여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스캔 전극(Y)과 서스테인 전극(Z)으로 공급되는 서스테인 신호가 교 번하여 공급되는 경우만 일례로 도시하였지만, 이와 다르게 복수 개의 서스테인 신호 중 일부 서스테인 신호는 일부 또는 전부가 중첩되도록 스캔 전극(Y)과 서스테인 전극(Z)으로 공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서스테인 기간 동안에 공급되는 서스테인 신호에 따라, 어드레스 방전에 의해 선택된 방전 셀은 방전 셀 내의 벽 전압과 서스테인 신호(SUS)가 더해지면서 매 서스테인 신호(SUS)가 인가될 때마다 스캔 전극(Y)과 서스테인 전극(Z) 사이에 서스테인 방전 즉, 표시방전이 일어나게 된다.
소거 기간에서는, 서스테인 구동부(120)는 셋 업 기간 이전의 소거 기간에서 서스테인 전극(Z)으로 제 1 전압(V1)부터 제 2 전압(V2)보다 낮은 제 3 전압(V3)까지 점진적으로 상승하고, 제 3 전압(V3)보다 낮은 제 4 전압(V4)부터 그라운드 레벨의 전압(GND)까지 점진적으로 하강하는 제 1 소거 신호(Erase1)를 공급한다. 이때, 스캔 구동부(130)는 그라운드 레벨의 전압(GND)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1 소거 신호(Erase1)를 공급함으로써 셋 업 기간 동안 보다 안정적인 셋 업 방전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롱 갭(Long gap) 구조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는 어드레스 기간 동안 턴 온(Turn on) 되었던 방전셀과 턴 오프(Turn off) 되었던 방전셀의 벽전하의 상태가 달라져, 셋 업 기간 동안 셋 업 방전이 제대로 발생되지 아니한다. 또한, 롱 갭(Long gap) 구조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는 방전 개시 전압이 높기 때문에 서스테인 전극(Z)에서의 라스트 서스테인 방전 이후, 턴 온(Turn on) 되었던 방전셀에서는 스캔 전극(Y)에 과도한 부극성의 벽전하 가 쌓이게 되어 셋 업 기간 동안 어드레스 전극(X) 상에 형성된 정극성의 벽전하와 먼저 반응하여 스캔 전극(Y)과 서스테인 전극(Z) 사이의 약한 면방전보다는 대향 방전이 먼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어드레스 전극(X) 상에 형성된 정극성의 벽전하가 캐소드(Cathode)와 같은 역할을 하면서 약한 면방전이 불안정해지고 이로 인해 셋 업 기간 동안 벽전하의 제어가 불안정해진다. 이와 같이 셋 업 기간 동안 안정적인 셋 업 방전이 일어나지 않으면 셋 다운 기간 동안에도 벽전하를 제대로 제어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어드레스 기간 동안 안정적인 어드레스 방전의 수행도 어려워져 화상이 제대로 구현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제 1 소거 신호(Erase1)를 소거 기간 동안 서스테인 전극(Z)으로 공급한다. 이와 같은 제 1 소거 신호(Erase1)에서 제 1 전압(V1)부터 제 3 전압(V3)까지 상승하는 동안 서스테인 전극(Z)에 형성되었던 정극성의 벽전하와 스캔 전극(Y)에 형성되었던 부극성의 벽전하가 서로 중화되면서 스캔 전극(Y)에 과도하게 형성되었던 부극성의 벽전하의 양이 감소하게 된다. 그리고, 제 4 전압(V4)부터 그라운드 레벨의 전압(GND)까지 점진적으로 하강하도록 하여 셀프 이레이즈(Self Erase)를 방지하고, 벽전하가 안정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 1 소거 신호(Erase1)를 공급함으로써, 턴 온(Turn on) 되었던 방전셀과 턴 오프(Turn off) 되었던 방전셀의 벽전하의 상태가 서로 비슷하게 되고, 과도한 스캔 전극(Y)의 벽전하를 적절하게 소거하여 줌으로써 셋 업 기간 동안 면방전보다 대향 방전이 먼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벽전하의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어드레스 방전도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제 4 전압(V4)은 제 1 전압(V1)과 동일해도 무방하다.
다음, 도 4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방법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서스테인 구동부(120)는 셋 업 신호(Set-up)가 공급되는 동안 제 1 소거 신호(Erase1) 중 제 4 전압(V4)부터 그라운드 레벨의 전압(GND)까지 점진적으로 하강하는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안정적인 셋 업 방전이 가능하면서도 소거 기간의 마진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 도 5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방법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서스테인 기간 동안 스캔 구동부(110)는 스캔 전극(Y)으로 제 1 서스테인 신호(SUS1)의 한 주기(S1d1)에서 서스테인 전압(Vs) 유지 기간(S1d2)이 그라운드 레벨의 전압(GND) 유지 기간(S1d3)보다 긴 제 1 서스테인 신호(SUS1)를 공급하고, 서스테인 구동부(120)도 서스테인 전극(Z)으로 제 2 서스테인 신호(SUS2)의 한 주기(S2d1)에서 서스테인 전압(Vs) 유지 기간(S2d2)이 그라운드 레벨 전압(GND)의 유지 기간(S2d3)보다 긴 제 2 서스테인 신호(SUS2)를 공급한다.
이때, 스캔 구동부(110)는 제 1 서스테인 신호(SUS1)가 제 2 서스테인 신호(SUS2)의 서스테인 전압(Vs)이 유지되는 동안에 서스테인 전압(Vs)으로부터 그라 운드 레벨의 전압(GND)까지 하강하고, 그라운드 레벨의 전압(GND)부터 서스테인 전압(Vs)까지 다시 상승하도록 하고, 서스테인 구동부(120)는 제 2 서스테인 신호(SUS2)가 제 1 서스테인 신호(SUS1)의 서스테인 전압(Vs)이 유지되는 동안에 서스테인 전압(Vs)으로부터 그라운드 레벨의 전압(GND)까지 하강하고, 그라운드 레벨의 전압(GND)부터 서스테인 전압(Vs)까지 다시 상승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Duty Ratio가 50% 이상인 제 1 서스테인 신호(SUS1)와 제 2 서스테인 신호(SUS2)의 일부가 서로 중첩되도록 함으로써, 제 1, 2 서스테인 신호(Sus 1, Sus 2)의 서스테인 전압(Vs)이 셋 다운 기간부터 서스테인 기간 이전까지 서스테인 전극(Y)으로 공급되는 서스테인 바이어스 신호의 전압보다도 낮게 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스테인 방전의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스캔 전극(Y)과 서스테인 전극(Z) 사이의 간격이 150㎛이상 350㎛이하로 형성된 롱 갭 구조에서는 방전의 개시 전압이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방전 자체가 상대적으로 약하게 일어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서스테인 신호를 공급하여, 제 1 서스테인 신호(SUS1)가 서스테인 전압(Vs)을 유지하는 동안, 제 2 서스테인 신호(SUS2)가 서스테인 전압(Vs)에서 하강하도록 하면, 제 2 서스테인 신호(SUS2)가 하강하면서 서스테인 전극(Z)과 어드레스 전극(X) 사이에 대향 방전인 트리거(Trigger) 방전이 먼저 일어나고, 서스테인 전극(Z)과 스캔 전극(Y) 사이에 면 방전이 일어나 방전이 확산되어, 방전이 더욱 강하게 일어난다.
이후, 제 1 서스테인 신호(SUS1)가 서스테인 전압(Vs)을 유지하는 동안 제 2 서스테인 신호(SUS2)가 다시 서스테인 전압(Vs)으로 상승하도록 함으로써, 제 2 서스테인 신호(SUS2)가 서스테인 전압(Vs)을 유지하는 동안 제 1 서스테인 신호(SUS1)가 서스테인 전압(Vs)으로부터 그라운드 레벨의 전압(GND)까지 하강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
이후, 제 2 서스테인 신호(SUS2)가 서스테인 전압(Vs)을 유지하는 동안 제 1 서스테인 신호(SUS1)가 서스테인 전압(Vs)으로부터 하강하도록 함으로써 전술한 대향 방전 이후 면방전이라는 방전 매커니즘과 동일한 방전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전 매커니즘은 스캔 전극(Y)과 서스테인 전극(Z) 사이의 간격이 150㎛이상 350㎛이하로 형성된 롱 갭 구조에서 포지티브 컬럼(Positive Column) 영역을 이용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방전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음, 도 6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방법의 제 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캔 구동부(110)는 소거 기간에서 제 1 소거 신호(Erase1)가 공급되기 이전의 기간 동안 제 1 서스테인 신호(SUS1)의 서스테인 전압(Vs)부터 그라운드 레벨의 전압(GND)보다 낮은 제 5 전압(V5)으로 점진적으로 하강하는 제 2 소거 신호(Erase2)를 스캔 전극(Y)으로 공급하고, 서스테인 구동부(120)는 제 2 소거 신호(Erase2)가 공급되는 동안 제 2 서스테인 신호(SUS2)의 서스테인 전압(Vs)을 유지한다.
이와 같이함으로써, 제 1 서스테인 신호(SUS1)가 그라운드 레벨의 전압(GND)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제 2 서스테인 신호(SUS2)가 그라운드 레벨의 전압(GND)으로 하강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스캔 전극(Y)과 어드레스 전극(X) 간의 약방전에 의해 벽전하가 과도하게 소거되는 셀프 이레이즈(Self-Erase)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 도 7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방법의 제 5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캔 구동부(110)는 소거 기간에서 제 1 소거 신호(Erase1)가 공급되기 이전의 기간 동안 제 1 서스테인 신호(SUS1)의 서스테인 전압(Vs)보다 낮은 제 6 전압(V6)부터 그라운드 레벨의 전압(GND)보다 낮은 제 5 전압(V5)으로 점진적으로 하강하는 제 2 소거 신호(Erase2)를 공급하고, 서스테인 구동부(120)는 제 2 소거 신호(Erase2)가 공급되는 동안 제 2 서스테인 신호(SUS2)의 서스테인 전압(Vs)을 유지한다.
이와 같은 제 2 소거 신호(Erase2)를 소거 기간 동안 공급함으로써, 전술한 셀프 이레이즈(Self-Erase)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 2 소거 신호(Erase2)의 공급기간을 가장 효율적으로 최소화함으로써 소거 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이와 같이 단축된 소거 기간을 리셋 기간에 할당함으로써 리셋 방전을 보다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
다음, 도 8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방법의 제 6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서스테인 구동부(120)는 셋 업 신호(Set-up)가 공급되는 동안 제 1 소거 신호(Erase1) 중 제 4 전압(V4)부터 그라운드 레벨의 전압(GND)까지 점진적으로 하강하는 신호를 공급하는 경우에도 전술한 여러 가지의 실시예와 병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일례로, 제 1 서스테인 신호(SUS1)와 제 2 서스테인 신호(SUS2)가 도 5에서와 같이 서로 중첩되도록 하고, 서스테인 전압(Vs)에서 그라운드 레벨의 전압(GND)으로 하강하는 동안 방전이 발생하도록 하여 서스테인 전압(Vs)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서스테인 기간 이후에 셀프 이레이즈(Self-Erase)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7과 같은 제 2 소거 신호(Erase2)를 공급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롱 갭 구조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함에 있어서 셋 업 기간 이전의 소거 기간 동안 소거 신호를 공급함으로써, 온 셀의 벽전하 상태를 오프 셀의 벽전하 상태와 유사하게 형성하고 이에 따라 안정적인 셋 업 방전이 수행되도록 하여 화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유지 기간을 더욱 넓게 하고, 서스테인 신호가 중첩되도록 함으로써, 롱 갭 구조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함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낮은 서스테인 전압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서스테인 신호를 중첩함으로써 서스테인 기간의 마진 및 잔상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스캔 전극 및 상기 스캔 전극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서스테인 전극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스캔 전극으로 셋 업 기간에서 제 1 전압부터 제 2 전압까지 점진적으로 상승하는 셋 업 신호를 공급하는 스캔 구동부; 및
    상기 셋 업 기간 이전의 소거 기간에서 상기 서스테인 전극으로 상기 제 1 전압부터 상기 제 2 전압보다 낮은 제 3 전압까지 점진적으로 상승하고, 제 3 전압보다 낮은 제 4 전압부터 그라운드 레벨의 전압까지 점진적으로 하강하는 제 1 소거 신호를 공급하는 서스테인 구동부;
    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테인 구동부는 상기 셋 업 신호가 공급되는 동안 상기 제 1 소거 신호 중 상기 제 4 전압부터 상기 그라운드 레벨의 전압까지 점진적으로 하강하는 신호를 공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구동부는 서스테인 기간 동안 상기 스캔 전극으로 서스테인 전압 유지 기간이 그라운드 레벨의 전압 유지 기간보다 긴 제 1 서스테인 신호를 공급하고,
    상기 서스테인 구동부는 서스테인 기간 동안 상기 서스테인 전극으로 서스테인 전압 유지 기간이 그라운드 레벨의 전압 유지 기간보다 긴 제 2 서스테인 신호를 공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스테인 신호는 상기 제 2 서스테인 신호의 상기 서스테인 전압이 유지되는 동안에 서스테인 전압으로부터 그라운드 레벨의 전압까지 하강하고, 상기 그라운드 레벨의 전압부터 상기 서스테인 전압까지 다시 상승하고,
    상기 제 2 서스테인 신호는 상기 제 1 서스테인 신호의 상기 서스테인 전압이 유지되는 동안에 서스테인 전압으로부터 그라운드 레벨의 전압까지 하강하고, 상기 그라운드 레벨의 전압부터 상기 서스테인 전압까지 다시 상승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서스테인 신호의 서스테인 전압은 셋 다운 기간부터 상기 서스테인 기간 이전까지 상기 서스테인 전극으로 공급되는 서스테인 바이어스 신호의 전압보다 낮은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구동부는 상기 소거 기간에서 상기 제 1 소거 신호가 공급되기 이전의 기간 동안 상기 제 1 서스테인 신호의 서스테인 전압부터 그라운드 레벨의 전압보다 낮은 제 5 전압으로 점진적으로 하강하는 제 2 소거 신호를 상기 스캔 전극으로 공급하고,
    상기 서스테인 구동부는 상기 제 2 소거 신호가 공급되는 동안 상기 제 2 서스테인 신호의 서스테인 전압을 유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구동부는 상기 소거 기간에서 상기 제 1 소거 신호가 공급되기 이전의 기간 동안 상기 제 1 서스테인 신호의 서스테인 전압보다 낮은 제 6 전압부터 그라운드 레벨의 전압보다 낮은 제 5 전압으로 점진적으로 하강하는 제 2 소거 신호를 공급하고,
    상기 서스테인 구동부는 상기 제 2 소거 신호가 공급되는 동안 상기 제 2 서스테인 신호의 서스테인 전압을 유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상기 스캔 전극과 상기 서스테인 전극 사이의 간격은 150㎛이상 350㎛이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스캔 전극 및 상기 서스테인 전극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어드레스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스캔 전극과 상기 서스테인 전극 사이의 간격은 상기 스캔 전극과 상기 어드레스 전극 사이의 간격보다 큰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60129712A 2006-12-18 2006-12-18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0566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712A KR20080056607A (ko) 2006-12-18 2006-12-18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712A KR20080056607A (ko) 2006-12-18 2006-12-18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6607A true KR20080056607A (ko) 2008-06-23

Family

ID=39802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9712A KR20080056607A (ko) 2006-12-18 2006-12-18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5660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249204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の駆動方法
KR10084481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20070085773A1 (en) Plasma display apparatus
KR10077538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7781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056607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042363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7776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방법
KR20060086775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US7737920B2 (en) Plasma display apparatus
KR20080056605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4766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KR10078453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055232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20060113920A1 (en) Plasma display panel and drive method thereof
KR20080053121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7733303B2 (en)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079308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9604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5832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2066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90043311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70075209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90117418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KR20090042445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