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5717A - 유기발광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기발광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5717A
KR20080055717A KR1020070130579A KR20070130579A KR20080055717A KR 20080055717 A KR20080055717 A KR 20080055717A KR 1020070130579 A KR1020070130579 A KR 1020070130579A KR 20070130579 A KR20070130579 A KR 20070130579A KR 20080055717 A KR20080055717 A KR 20080055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substrate
absorbing member
moisture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0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로 엔도
코헤이 나가야마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55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57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6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comprising getter material or desicca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2Passive devices, e.g. 2 terminal devices
    • H01L2924/1204Optical Diode
    • H01L2924/12044O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의 흡습부재의 이점을 손상하지 않고, 즉 비발광영역을 협소하게 함으로써, 액상 흡습부재가 없고 또한 동일한 크기의 기판을 가진 유기발광장치의 발광면적보다 큰 면적을 가질 수 있고, 또한 안정적인 소자의 특성을 얻을 수 있는 액상의 흡습부재를 가진 유기발광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기발광장치는 구동회로가 형성되어 있는 변과 형성되어 있지 않은 변을 가지고, 흡습부재의 도포의 개시점 및 종료점의 모두가 구동회로가 형성되어 있는 변에 위치하고 있다.

Description

유기발광장치 및 그 제조방법{ORGANIC LIGHT EMITTING APPARATUS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양극 및 음극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전극 사이에 배치된 유기화합물층을 가지는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 쌍의 전극 사이에 배치된 유기화합물층을 가지는 유기발광소자(이하, 소자로 생략할 수도 있음) 내에 수분이 침투하면, 소자가 더 이상 발광하지 않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 때문에, 소자의 수명을 보다 길게 하기 위해서는, 수분을 흡착하는 흡습부재를 소자 내에 형성해서 소자의 열화를 억제한다.
흡습부재의 형성방법은, 예를 들면, 시트형상의 흡습부재를 밀봉기판에 접착하는 방법, 또는 고점도의 액상의 흡습부재를 밀봉기판에 도포하는 방법 등이 있다.
시트형상의 흡습부재는 이하의 이점이 있다: 상기 부재는 밀봉기판에 접합하는 것만으로 사용가능해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그러나, 흡습부재의 시트형상의 폭이 가장 좁은 폭이어도 1 mm정도이기 때문에, 1 mm보다 좁은 스페이스에 흡 습부재를 배치할 수 없고, 따라서 비발광영역이 넓어진다. 시트형상의 흡습부재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고 또한 동일한 크기의 기판을 사용하여 2개의 유기발광장치를 제조한다. 상기 장치들은 패널면적이 동일하다. 상기 장치들의 발광영역의 각각의 면적을 비교하면, 시트형상의 흡습부재를 사용하여 제조된 유기발광장치의 발광영역의 면적이 좁아지게 된다.
한편, 액상의 흡습부재를 도포하는 것을 포함한 방법은 디스팬서(묘화 도포장치)에 의해 1mm이하의 좁은 스페이스에도 흡습부재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비발광영역을 좁게 할 수 있다. 흡습부재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고 또한 동일한 크기의 기판을 사용하여 2개의 유기발광장치를 제조한다. 상기 장치들은 패널면적이 동일하다. 상기 유기발광장치의 발광영역의 각각의 면적을 비교하면, 액상의 흡습부재를 사용한 유기발광장치는 발광영역의 면적을 확장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그러나, 액상의 흡습부재는 형상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디스팬서로부터의 토출조건을 포함하는 흡습부재의 형성방법의 조정에 일정한 시간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흡습부재의 도포에 있어서, 흡습부재의 형상을 제어하기 곤란한 단계는 도포개시, 또는 도포종료시의 흡습부재의 형상이 변화하는 단계이고; 흡습부재의 시점 및 종점의 각각의 형상은 상기 부재의 토출시에 불안정하다. 따라서, 도포형의 흡습부재의 장점, 즉 좁은 스페이스에 형성이 가능하다는 것이 손상될 수도 있다. 그래서, 도포개시 및 종료시의 각각에서 흡습부재의 형상을 보다 안정시키기 위한 디스팬서의 제어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일본국 특허 제 3692534호 공보 참조).
상기 제안은 도 7A 및 도 7C에 도시된 흡습부재의 도포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기판(100) 상에서 디스팬서(101)의 상단부로부터 밀봉기판(100)을 향하여 질소가스의 압력(103)을 인가한다. 압력(103)에 의해, 디스팬서(101)의 내부에 충전되어 있는 고점도의 액상의 흡습부재(102)를 디스팬서(101)의 니들의 첨단부로부터 밀봉기판(100)을 향해서 토출하고, 우측방향으로 디스팬서(101)를 이동시킨다.
다음에,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팬서(101)를 한층 더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또한 디스팬서(101)에 인가된 압력(103)을 제거한다. 이때, 흡습부재(102)의 토출은 종료한다.
이전의 상태에서,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팬서(101)를 우측으로 더 이동시킨다. 디스팬서(101)로부터 흡습부재(102)는 새로이 토출되지 않기 때문에, 밀봉기판(100) 측에 도포되는 흡습부재(102)는 디스팬서(101)의 이동에 수반해서 끌려가는 방식으로 얇은형상으로 도포된다. 상기 방법에 의해 흡습부재의 형성종료시의 불안정한 형상을 제어한다.
또, 일본국 특개 2004-6286호 공보에 기재된 유기전계발광패널은 밀봉기판의 굴곡에 의해 밀봉기판에 형성된 데시칸트(desiccant)가 대향하는 EL (electroluminescence)기판에 형성된 EL소자와 접촉하지 않게 하는 것을 과제로 한 발명이다. 또한, 명세서에는, EL기판의 주변부에 가까운 영역에만 데시칸트를 형성하고, 주변부에서 떨어진 모든 영역에 형성하지 않는 예가 기재되어 있다. 그때, 표시영역의 주변에는 드라이버 회로, 및 이 회로와 외부와의 접속부가 형성되는 것 이 기재되어 있다(도 1A).
일반적으로, 흡습부재는 양이 많을수록, 흡습량이 증가한다. 그 때문에, 소자의 수명을 늘리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흡습부재를 밀봉기판에 형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좁은 스페이스에 부가적인 양의 흡습부재를 형성하기 위해, 환언하면 흡습부재의 두께를 증가시키기 위해, 흡습부재의 점도를 증가시키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고점도가 되면, 부재의 도포 개시시에 흡습부재의 형상이 안정되지 않고, 부재가 폭이 넓어지는 경우가 있다. 또, 도포 종료때, 디스팬서가 밀봉기판으로부터 멀어질 때에, 흡습부재가 실 형상으로 변형하거나 형상이 안정되지 않고 폭이 넓어지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폭이 넓어진 흡습부재나 변형한 흡습부재가, 유기발광소자와 접촉하면 표시불량이 발생하고, 접착제(밀봉부)와 접촉하면 밀봉불량 등이 발생되어; 이러한 부재의 접촉은 소자특성에 악영향을 준다.
그 때문에, 흡습부재의 폭이 넓어지거나 변형했을 경우에도, 흡습부재가 발광부나 밀봉부에 접촉하지 않도록, 넓은 스페이스에 흡습부재를 도포할 필요가 있다. 상기 필요에 의해, 액상의 흡습부재의 장점; 즉 좁은 스페이스에 흡습부재를 형성할 수 있어 비발광영역을 좁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을 손상시킨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은 액상의 흡습부재의 이점을 손상하지 않고, 즉 비발광영역을 협소하게 함으로써, 액상 흡습부재가 없고 또한 동일한 크기의 기판을 가진 유기발광장치(패널면적은 동일함)의 발광영역보다 큰 면적을 가질 수 있고, 또한 안정적인 소자의 특성을 얻을 수 있는 액상의 흡습부재를 가진 유기발광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배경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유기발광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기판 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제 1 전극, 유기 화합물층 및 제 2 전극을 가지는 유기발광소자; 상기 기판 상의 상기 유기발광소자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의 외측에 상기 유기발광장치의 적어도 한 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기발광소자의 발광을 제어하는 구동회로; 밀봉기판으로서,상기 유기발광소자를 상기 기판과 상기 밀봉기판의 사이에 밀봉하는 밀봉기판; 및 상기 밀봉기판의 외주부에 선형상으로 도포되어 있고, 도포의 개시점 및 종료점의 모두가 상기 구동회로가 형성되어 있는 변에 위치하고 있는 흡습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유기발광장치의 제조방법은, 유기발광소자를 형성하기 위하여 기판 상에 순차적으로 제 1 전극, 유기화합물층, 및 제 2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기판 상의 상기 유기발광소자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의 외측에 상기 유기발광장치의 적어도 한 변에 상기 유기발광소자의 발광을 제어하는 구동회로를 형성하는 공정, 상기 흡습부재의 도포의 개시점 및 종료점의 모두가 상기 구동회로가 형성되어 있는 변에 위치하도록 점성을 가진 흡습부재를 밀봉기판의 외주부에 선형상으로 도포하는 공정, 및 상기 밀봉기판을 상기 기판과 접합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은 액상의 흡습부재의 장점을 손상하지 않고, 즉 비발광영역을 좁게 함으로써, 액상 흡습부재가 없고 또한 동일한 크기의 기판을 가진 유기발광장치의 발광영역보다 큰 면적을 가질 수 있고, 또한 안정적인 소자의 특성을 얻을 수 있는 액상의 흡습부재를 가진 유기발광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전형적인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유기발광소자에게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A 및 도 1B는 각각 제 1 실시형태의 예를 나타낸다. 도 1A는 유기발광장치의 평면 모식도이며, 도 1B는 도 1A의 선 1B-1B를 따라서 취한 단면 모식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 있어서, 참조번호 (1)은 기판; 참조번호 (2)는 유기발광소자; 참조번호 (3)은 밀봉기판; 참조번호 (4)는 접착제; 참조번호(5)는 흡습부재; 참조번호 (6)은 구동회로, 참조번호 (7)은 관찰방향이다. 도 1A은 도 1B을 관찰방향(7)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평면 모식도이지만, 평면 구성을 인식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밀봉기판(3)은 도 1A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시된 유기발광장치를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기판(1) 상에서 제 1 전극(도시하지 않음)과 제 2 전극(도시하지 않음) 사이에 배치된 유기발광소자(2)에, 유기발광장치의 한 변에 형성된 구동회로(6)에 의해 전압이 인가되어 상기 유기발광소 자(2)가 발광하는 구성의 소자 기판을 형성한다. 구동회로(6)는 유기발광소자의 발광을 제어하는 회로이고, 기판(1) 상의 유기발광소자(2)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의 외부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묘화도포장치에 의해 흡습부재(5)가 형성된 밀봉기판(3)에 의해 상기 소자기판을 덮어서 유기발광장치를 제작한다.
흡습부재(5)를 밀봉기판(3)에 묘화도포장치로 형성할 때, 흡습부재(5)의 도포의 시점(개시점)(5A) 및 종점(종료점)(5B)은 각각, "배경기술의 설명"으로 명명된 부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부재의 토출시의 형상이 불안정함을 나타낸다. 따라서, 흡습부재(5)의 형상이 변화하는 때에도, 예를 들면, 흡습부재가 유기발광소자(2)나 접착제(4) 등과 접촉해서 발광특성을 열화시키지 않도록 흡습부재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흡습부재(5)의 형상의 변화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흡습부재(5)의 시점(5A)이 두꺼워지고, 또한 흡습부재(5)의 종점(5B)이 두꺼워지거나 실 형상으로 변형하는 경우에도, 비발광영역이 확장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습부재(5)의 시점(5A) 및 종점(5B)을 모두 구동회로(6)가 형성되어 있는 변에 배치하도록 형성한다. 결과로서, 흡습부재(5)의 종점(5B)이 두꺼워지거나 실 형상으로 변형되는 때에도, 흡습부재(5)는 유기발광소자(2)나 접착제(4) 등과 접촉하지 않으므로, 소자 특성에의 영향은 없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또한, 구동회로가 한 변에만 형성되어 있어서, 시점(5A)와 종점(5B)이 모두 동일한 한 변에 위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비발광영역의 면적을 보다 좁게 할 수 있다. 또한, 흡습부재의 시점과 종점을 양쪽 모두 동일한 한 변에 위치시켜서 제작된 유기발광장치는, 동일한 크기의 기판 상에 시점과 종점을 동일한 한 변에 위치시키지 않고 제작한 유기발광장치보다 발광영역의 면적을 넓게 할 수 있다.
한편, 형성중의 흡습부재(5)의 형상은 안정적이고, 관찰방향(7)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부재의 시점(5A) 및 종점(5B)보다 흡습부재(5)는 얇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습부재(5)의 시점(5A) 및 종점(5B) 이외의 부분은, 구동회로(6)가 없는 좁은 비발광영역에 형성한다.
따라서, 불안정하고 두꺼워지기 쉬운 흡습부재(5)의 시점(5A) 및 종점(5B)은, 모두 비교적 넓은 비발광영역인 구동회로(6) 상에 형성된다. 한편, 안정적인 형태를 나타내고, 얇게 형성할 수 있는 흡습부재(5)의 시점(5A) 및 종점(5B) 이외의 부분은 비교적 좁은 비발광영역에 형성되고, 발광영역을 둘러싸도록 흡습부재(5)가 형성된다. 따라서, 흡습부재(5)의 비발광영역이 확장되지는 않는다. 또한, 흡습부재의 시점과 종점을 구동회로 상에 형성해서 제작된 유기발광장치는, 동일한 크기의 기판 상에 시점과 종점을 구동회로 상에 형성하지 않고 제작한 유기발광장치보다 발광영역의 면적을 넓게 할 수 있다.
상기 유기발광장치의 부재는 통상적인 재료를 사용해서 형성된다.
기판(1)이나 밀봉기판(3)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또는 폴리에테르 설폰(PES)으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필름, 유리, 석영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밀봉기판(3)은 유기발광소자(2)를 이 밀봉기판과 기판(1) 사이에 밀봉하는 부재인 것에 유의해야 한다. 발광영역에 상당하는 부분을 파낸 기판뿐만 아니라, 평판형상의 기판도 밀봉기판(3)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은 기판(1) 위에 형성되어 있는 순에 따라 정의된다.제 1 전극과 제 2 전극 사이에 유기 화합물층을 형성해서 전극 간에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유기화합물층이 발광한다.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의 재료로서는 ITO, IZO, 크롬, 백금, Al, Ag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각각의 전극이 반사층을 겸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전극을 광반사성이 높은 재료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극 중의 어느 하나가 광추출측의 전극인 경우는, 투명전극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이 각각 양극 및 음극이어도 되고, 또는,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이 각각 음극 및 양극이어도 된다.
유기발광소자(2)로서는, 공지의 소자도 되고, 예를 들면, 트리스[8-히드록시퀴놀리나토]알루미늄(Alq3), N,N'-디(1-나프틸)-N,N'-디페닐벤지딘(α-NPD) 등을 소자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발광소자(2)는 정공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및 전자주입층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는, 단일층, 즉 발광층 만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또는 3층, 즉 정공수송층, 발광층, 전자수송층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또는 5층, 즉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발광층, 전자수송층, 및 전자주입층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흡습부재(5)는, 밀봉기판(3)의 외주부에 선형상으로 도포되어 있고 기판(1)과 밀봉기판(3) 사이의 공간에 존재하는 수분을 흡착하는 부재이다. 흡습부재(5)의 재료는, 예를 들면, 흡수성 폴리머, 제올라이트, 또는 활성탄이 있다. 이러한 모든 재료를 포함한 흡습부재를 도포하고, 또한 그 두께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도포할 때의 흡습부재의 점도는 1.0 × 103 cP이상 1.0 × 106 cP이하가 바람직하다. 이것은 점도가 너무 낮으면 두께를 증가시키는 것이 어려워지고, 폭이 너무 넓어지고, 점도가 너무 높으면 도포의 안정성을 손상시키고, 폭이 너무 넓어지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폭을 보다 좁게 도포하기 위해서는, 점도는 1.0 × 104 cP이상 1.0 × 105 cP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실시형태>
도 2A 및 도 2B에 제 2 실시형태의 예를 나타낸다. 도 2A는 유기발광장치의 평면 모식도이며, 도 2B는 도 2A의 선 2B-2B를 따라서 취한 단면 모식도이다. 이하의 도면에서는, 도 1A 및 도 1B의 참조번호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도 1A 및 도 1B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2A는 도 2B를 관찰방향(7)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평면 모식도이지만, 평면구성을 인식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밀봉기판(3)은 도시하지 않는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유기발광장치도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공정에 의해 제작되지만, 유기발광소자(2)의 한 변에 형성된 구동회로(6)가 형성되어 있는 변에만 흡습부재(5)를 형성하였다. 그 결과, 흡습부재(5)의 시점(5A) 및 종점(5B)은 양쪽 모두 구동회로(6) 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흡습부재(5)의 시점(5A) 및 종점(5B)이 두꺼워지는 때에도, 비발광영역이 확장되지 않는다. 또한, 흡습부재의 시점과 종점을 양쪽 모두 구동회로 상에 형성해서 제작된 유기발광장치는, 동일한 크기의 기판 상에 시점과 종점이 구동회로 상에 형성되지 않고 제작한 유기발광장치보다 발광영 역의 면적을 넓게 할 수 있다. 게다가, 흡습부재(5)의 종점(5B)이 실 형상으로 변형되는 때에도, 예를 들면, 유기발광소자(2)나 접착제(4)와 접촉하지 않으므로, 소자 특성에의 악영향은 없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흡습부재(5)는 구동회로(6) 위에만 형성되고 있으므로, 흡습부재(5) 전체가 차지하는 면적이 좁고, 발광영역을 넓게 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도 3A 및 도 3B에 제 3 실시형태의 예를 나타낸다. 도 3A는 유기발광장치의 평면 모식도이며, 도 3B은 도 3A의 선 3B-3B를 따라서 취한 단면 모식도이다. 도 3A는 도 3B를 관찰방향(7)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평면 모식도이지만, 평면구성을 인식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밀봉기판(3)은 도시하지 않는다. 또,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유기발광장치도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공정에 의해 제작되지만, 유기발광소자(2)의 코너부를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두 변과 접촉하도록 형성된 구동회로(6) 상에 흡습부재(5)를 형성하였다. 그 결과, 흡습부재(5)의 시점(5A) 및 종점(5B)은 모두 구동회로(6)상에 배치된다. 그 때문에, 흡습부재(5)의 시점(5A) 및 종점(5B)이 두꺼워지는 때에도, 비발광영역이 확장되지 않는다. 또한, 흡습부재의 시점과 종점을 양쪽 모두 구동회로 상에 형성해서 제작된 유기발광장치는, 동일한 크기의 기판 상에 시점과 종점이 구동회로 상에 형성되지 않고 제작한 유기발광장치보다 발광영역의 면적을 넓게 할 수 있다. 게다가, 흡습부재(5)의 종점(5B)이 실 형상으로 변형되는 때에도, 예를 들면, 유기발광소자(2)나 접착제(4) 와 접촉하지 않으므로, 소자 특성에의 악영향은 없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의 유기발광장치에서는, 구동회로(6)가 기판(1)의 변 가장자리부까지 형성되어 있고, 구동회로(6)의 일부와 접착제(4)가 접촉하는 형태로 평판형상의 밀봉기판(3)이 접착되어 있다.
<제4 실시형태>
도 4A 및 도 4B에 제4 실시형태의 예를 나타낸다. 도 4A는 유기발광장치의 평면 모식도이며, 도 4B는 도 4A의 선 4B-4B를 따라서 취한 단면 모식도이다. 도 4A는 도 4B를 관찰방향(7)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평면 모식도이지만, 평면구성을 인식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밀봉기판(3)은 도시하지 않고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가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점은 다음과 같다: 도 4A에 있어서, 흡습부재(5A)가 밀봉기판(3)의 코너에 있고, 밀봉기판(3)이 평판의 부재이다.
흡습부재(5A)는 구동회로(6)와 밀봉기판(3) 간의 갭에 배치되어 있고, 흡습부재(5)의 시점(5A) 및 종점(5B) 모두가 두꺼워지는 것에 대응하고, 또한 흡습부재(5)의 변형에 대응한 넓은 영역이 확보되어 있다. 또한, 흡습부재(5B)도 구동회로(6)와 밀봉기판(3) 사이의 갭에 배치되어 있다. 그 결과, 흡습부재(5A) 및 (5B)는 양자 모두, 예를 들면, 유기발광소자(2) 또는 접착제(4)와 접촉하지 않으므로, 소자 특성에 영향은 없다. 또한, 흡습부재 전체가 차지하는 면적, 즉 비발광영역을 좁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유기발광장치의 발광영역을 넓게 할 수 있다. 또한, 흡습부재의 시점과 종점을 양쪽 모두 구동회로 상에 형성해서 제작된 유기발광장치 는, 동일한 크기의 기판 상에 시점과 종점이 구동회로 상에 형성되지 않고 제작한 유기발광장치보다 발광영역의 면적을 넓게 할 수 있다.
<제5의 실시형태>
도 5A 및 도 5B에 제 5 실시형태의 예를 나타낸다. 도 5A는 유기발광장치의 평면 모식도이며, 도 5B는 도 5A의 선 5B-5B를 따라서 취한 단면 모식도이다. 도 5A는, 도 5B를 관찰방향(7)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평면 모식도이지만, 평면구성을 인식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밀봉기판(3)은 도시하지 않고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가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점은 다음과 같다: 도 5A에 있어서, 흡습부재(5A)가 밀봉기판(3)의 코너에 있고, 구동회로(6)가 두 변 위에 있으며, 구동회로(6)의 일부가 접착제(4)와 접촉되어 있고, 복수의 흡습부재(5B)가 밀봉기판(3)의 한 변에 배치되어 있다.
흡습부재(5A)는 구동회로(6)와 밀봉기판(3) 간의 갭에 배치되어 있고, 흡습부재(5)의 시점(5A) 및 종점(5B)이 두꺼워지는 것에 대응하고, 또한 흡습부재(5)의 변형에 대응하는 넓은 영역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흡습부재(5B)도 구동회로(6)와 밀봉기판(3) 간의 갭에 배치되어 있다. 그 결과, 흡습부재(5A) 및 (5B)는 양자 모두, 예를 들면, 유기발광소자(2), 또는 접착제(4)와 접촉하지 않으므로, 소자 특성에 영향은 없다. 또한, 흡습부재 전체가 차지하는 면적, 즉 비발광영역을 좁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유기발광장치의 발광영역을 넓게 할 수 있다. 또한, 흡습부재의 시점과 종점을 양쪽 모두 구동회로 상에 형성해서 제작된 유기발광장치는, 동 일한 크기의 기판 상에 시점과 종점이 구동회로 상에 형성되지 않고 제작한 유기발광장치보다 발광영역의 면적을 넓게 할 수 있다.
<제6의 실시형태>
도 6A 및 도 6B에 제 6 실시형태의 예를 나타낸다. 도 6A은 유기발광장치의 평면 모식도이며, 도 6B는 도 6A의 선 6B-6B를 따라서 취한 단면모식도이다. 도 6A 및 도 6B에 있어서, 참조번호 (8A) 및 (8B)는 각각 전극을 나타내며; 참조번호(9)는 유기화합물층; 참조번호 (10)은 소자분리층; 참조번호 (11)은 보호층이다. 도 6A는 도 6B을 관찰방향(7)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평면 모식도이지만, 평면구성을 인식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밀봉기판(3), 전극(8), 소자 분리층(10), 및 보호층(11)은 도시하지 않고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B에 있어서, 기판(1) 상에 구동회로(6)가 배치되고 구동회로(6)는 제 1 전극(8A)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구동회로(6) 상에는 보호층(11)이 배치되어 있다. 제 1 전극(8A)과 제 2 전극(8B) 간의 갭에 유기화합물층(9)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소자분리층(10)에 의해, 서로 이웃이 되는 유기발광소자는 분리되어 있다. 흡습부재의 도포의 시점(5A) 및 종점(5B)은 구동회로(6)와 밀봉기판(3) 간의 갭에 밀봉기판(3)과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밀봉기판(3)은 접착제(4)를 개재하여 보호층(10)과 접촉되어 있다.
제 2 전극(8B)과 밀봉기판(3) 간의 갭은 흡습부재(5)가 배치되어 있는 갭보다 좁다. 또한, 유기발광소자(2) 위에 흡습부재(5)를 배치하면, 관찰방향에서 보았을 경우에, 발광의 방해가 되어, 적절하지 않다.
따라서, 발광을 방해하지 않고, 또한, 흡습부재(5)의 시점(5A) 및 종점(5B)이 모두 두꺼워지는 것에 대응하고, 또한 흡습부재(5)의 변형에 대응하는 넓은 영역으로서 구동회로(6)와 밀봉기판(3) 간의 갭이 적절하다. 또한, 흡습부재(5B)의 일부도 구동회로(6)와 밀봉기판(3) 간의 갭에 배치되어 있다. 그 결과, 시점(5A) 및 종점(5B)은 양자 모두 접착제(4), 전극(8), 유기화합물층(9), 소자 분리층(10), 또는 보호층(11)과 접촉하지 않으므로, 소자 특성에 영향이 없다. 또한, 흡습부재 전체가 차지하는 면적, 즉 비발광영역을 좁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유기발광장치의 발광영역을 넓게 할 수 있다. 또한, 흡습부재의 시점과 종점을 양쪽 모두 구동회로 상에 형성해서 제작된 유기발광장치는, 동일한 크기의 기판 상에 시점과 종점이 구동회로 상에 형성되지 않고 제작한 유기발광장치보다 발광영역의 면적을 넓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각 실시형태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유기발광장치는, 각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비와 같이 밀봉기판 측으로부터 광을 추출하는, 소위 톱 에미션형의 장치뿐만 아니라, 소자기판 측으로부터 광을 추출하는, 소위 보텀 에미션형의 장치여도 되고; 톱 에미션형의 장치의 경우에는, 상기의 각 실시형태와 같이, 흡습부재가 발광을 차단하지 않기 때문에, 보텀에미션형의 장치보다 양호한 발광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유기발광장치는, 예를 들면, 3색, 즉 R,G, 및 B의 발광소자로 구성되는 발광소자군이 복수 형성된 컬러표시가능한 표시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표시장치 중에서도, 특히 액티브 매트릭스 구동의 표시장치의 화소부로서 본 발명의 유기발광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표시장치로서, 예를 들면, 텔레비젼 셋, 컴퓨터의 표시부, 휴대전화의 표시부, 휴대정보단말(PDA)의 표시부, 휴대음악 재생장치의 표시부, 촬상장치의 전자뷰 파인더부,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표시부, 등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설명한 실시형태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1>
도1A 및 도 1B에 각각 도시된 유기발광장치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기판(1)에 스퍼터링장치, 에칭장치 등을 사용해서 포토리소그래피 및 웨트 현상 등의 기술에 의해 구동회로(6)를 제작한다.
구동회로(6)와 접속하도록 두께 200nm의 은막 및 두께 0.6nm의 인듐아연산화물(IZO)막을 적층해서, 제 1 전극(도시하지 않음)을 제작한다. 제 1 전극을 UV/오존 세정하고, 진공증착장치로 반송해서, 진공도를 1×10-6Torr까지 배기한다.
그 후, 제 1 전극 상에, 다음의 화학식으로 나타낼 수 있는, N,N'-디(1-나프틸)-N,N'-디페닐벤지딘(α-NPD)을 50nm의 막두께로 형성하여 정공수송층을 제작한다.
Figure 112007089886819-PAT00001
계속해서 정공수송층 상에,다음의 화학식으로 나타내지는, 쿠라민 6과 트리스[8-히드록시퀴놀리나토]알루미늄(Alq3)의 공증착막을 30nm의 막두께로 형성해서, 발광층을 제작한다.
Figure 112007089886819-PAT00002
다음에 발광층 상에, 다음의 화학식으로 나타내지는, 페난트롤린 화합물을 10nm의 막두께로 형성해서, 전자수송층을 제작한다.
Figure 112007089886819-PAT00003
또한, 탄산세슘과 상기 화학식으로 나타내지는 페난트롤린 화합물의 공증착막을 40nm의 막두께로 형성해서, 전자주입층을 제작한다. 상기의 정공수송층, 발광층, 전자수송층, 및 전자주입층에 의해 유기 화합물층을 형성한다.
계속해서, 상기 공정에서 얻은 기판을 스퍼터링장치에 반송하고, 전자주입층 위에, 구동회로(6)와 접속하도록, 산화주석인듐(ITO)을 220nm두께로 막을 형성한다. 상기 막을 제 2 전극(도시하지 않음)으로 형성해서, 유기발광소자를 제작한다.
한편, 에칭이나 샌드 블라스트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오목부를 형성한 밀봉 기판(3)을 제작한다.
밀봉기판(3) 상에, 묘화도포장치(무사시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제품 SHOT MINI)에 의해 흡습부재(5)(시나가와 화성 주식회사 제품 PT-DESICCANT No.32)를 도포한다. 이때, 흡습부재의 점도는 4.0 ×104cP이다. 니들은 내경 0.42mm를 사용하고, 인가압력은 0.1MPa, 도포속도는 35 mm/sec, 니들 첨단과 밀봉기판(3) 간의 거리는 0.2mm 이다.
이때, 기판(1)과 밀봉기판(3)을 서로 접합한 상태에서 구동회로(6) 상의 위치로부터 도포를 개시한다. 도포 도중의 경로는 다음과 같다: 관찰방향(7)에서 보아서 흡습부재(5)와 유기발광소자(2)가 겹치지 않도록 흡습부재(5)는 유기발광소자(2)를 일주한다.도포의 종료점은 도포 개시점의 부근이다.
도포 완료 후, 그 결과물을 30분동안 120℃에서 건조한 후, 120분 동안 400℃에서 건조한다. 그 후에, 진공증착장치로 반송한다. 진공증착장치 내의 N2 분위기 하에서, 밀봉기판(3)의 주변벽부 상에 접착제(4)(쓰리본드 주식회사제품)를 도포한다.
계속해서, 기판(1) 상에 형성된 유기발광소자(2)를 덮도록, 밀봉기판(3)을 배치한다. 접착제(4)에 의해 기판(1)과 밀봉기판(3)을 서로 접합해서, 소자기판을 밀봉기판(3)으로 덮는다. 접착제(4)를 경화시키기 위해 UV램프로부터 3000mJ의 에너지를 가진 자외선을 조사한다.
상기 유기발광장치의 구동회로(6)에 전압을 인가하면, 상기 장치는 발광의 열화가 없는 양호한 발광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가 연속으로 발광하는 경우에도, 기판(1)과 밀봉기판(3)이 서로 접착된 부분은 결함이 없기 때문에, 소자의 수명이 증가된다. 또한, 비발광영역의 면적은 좁고, 발광영역이 넓기 때문에, 양호한 발광 품위의 장치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2>
도 2A 및 도 2B의 각각에 도시된 유기발광장치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유기발광장치는, 흡습부재(5)를 도포하는 위치를 유기발광소자(2)의 한 변을 따라서 배치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작된다.
상기 유기발광장치의 구동회로(6)에 전압을 인가하면, 상기 장치는 발광의 열화가 없는 양호한 발광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가 연속으로 발광하는 경우에도, 기판(1)과 밀봉기판(3)이 서로 접착된 부분은 결함이 없기 때문에, 소자의 수명이 증가된다. 또한, 비발광영역의 면적은 좁고, 발광영역이 넓기 때문에, 양호한 발광 품위의 장치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3>
도3A 및 도 3B에 도시된 유기발광장치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기판(1) 상의 두 개의 영역, 즉 후에 형성되는 유기발광소자(2)의 코너부를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두 변에 구동회로(6)를 제작한다. 이때, 구동회로(6)의 일부는 기판(1)과 밀봉기판(3)을 서로 접합할 때 접착제(4)와 접촉하는 위치에도 배치한다. 이후의 소자기판의 제작공정은 실시예1과 동일하다.
한편, 평판형상의 밀봉기판(3)을 기판(1)에 접합시에 상기 구동회로(6) 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밀봉기판(3)에 흡습부재(5)를 도포한다. 사용되는 장치, 및 부재를 도포하는 조건은 실시예1과 동일하다.
최후로, 기판(1) 상에 형성된 유기발광소자(2)를 덮도록, 밀봉기판(3)을 배치한다. 접착제(4)에 의해 기판(1)과 밀봉기판(3)을 서로 접합해서 소자기판을 밀봉기판(3)으로 덮는다.
상기 유기발광장치의 구동회로(6)에 전압을 인가하면, 상기 장치는 발광의 열화가 없는 양호한 발광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가 연속으로 발광하는 경우에도, 기판(1)과 밀봉기판(3)이 서로 접착된 부분은 결함이 없기 때문에, 소자의 수명이 증가된다. 또한, 비발광영역의 면적은 좁고, 발광영역이 넓기 때문에, 양호한 발광 품위의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비교예1>
종래의 유기발광장치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비교예가 실시예1과 다른 점은 흡습부재(5)의 시점(5A) 및 종점(5B)에 관한 점이며, 그 점을 제외한 유기발광장치의 제조를 위한 다른 공정은 실시예1과 동일하다.
오목부를 가지는 밀봉기판(3) 상에 흡습부재(5)를 도포한다. 이 때, 흡습부재(5)는 시점(5A) 및 종점(5B)이 기판(1)과 밀봉기판(3)을 서로 접합했을 때에 구동회로(6) 상에 배치되지 않도록 도포한다. 흡습부재(5)의 시점(5A)은 관찰방향(7)에서 보면 폭은 넓어진다. 또, 흡습부재(5)의 종점(5B)은 묘화도포장치가 밀봉기판(3)으로부터 멀어질 때에, 형상이 실 형상이 되고, 단부의 일부가 접착제(4)가 배치되는 영역과 접촉한다.
그 후, 실시예1과 같이, 기판(1)과 밀봉기판(3)을 서로 접합하여 유기발광장치를 얻는다.
이 유기발광장치의 구동회로(6)에 전압을 인가하면, 관찰방향(7)에서 보면, 흡습부재(5)의 시점(5A)의 일부가 유기발광소자(2)와 중첩되어 있고, 그 중첩이 발광의 결함으로 기능한다. 또한, 연속적인 구동에 의해 상기 장치가 발광되면, 접착제(4)와 기판(1) 사이의 공간에 흡습부재(5)의 종점(5B)이 혼재해서, 상기 소자는 밀봉이 불충분하게 되어 소자의 수명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전형적인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전형적인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음의 특허청구범위는 이러한 모든 변경과 등가의 구성 및 기능을 망라하도록 가장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 및 실시예 1의 각각에 의한 유기발광장치를 나타내는 각각의 모식도;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 및 실시예 2의 각각에 의한 유기발광장치를 나타내는 각각의 모식도;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 및 실시예 3의 각각에 의한 유기발광장치를 나타내는 각각의 모식도;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유기발광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의한 유기발광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6A 및 도 6B는 각각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의한 유기발광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7A, 도 7B, 및 도 7C는 각각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의한 유기발광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기판 2: 유기발광소자
3: 밀봉기판 4: 접착제
5: 흡습부재 6: 구동회로
7: 관찰방향 8, 8A, 8B: 전극
9: 유기화합물층 10: 소자분리층
11: 보호층

Claims (4)

  1. 기판;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판 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제 1 전극, 유기 화합물층, 및 제 2 전극을 가지는 유기발광소자;
    상기 기판 상의 상기 유기발광소자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의 외측에 상기 유기발광장치의 적어도 한 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기발광소자의 발광을 제어하는 구동회로;
    상기 기판과 밀봉기판의 사이에 상기 유기발광소자를 밀봉하는 밀봉기판;및
    상기 밀봉기판의 외주부에 선형상으로 도포되어 있고, 도포의 개시점 및 종료점의 모두가 상기 구동회로가 형성되어 있는 변에 위치하고 있는 흡습부재;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회로는 한 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습부재의 도포의 개시점 및 종료점이 상기 한 변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부재는 상기 구동회로를 가지는 변에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장치. 
  4. 유기발광소자를 형성하기 위하여 기판 상에 순차적으로 제 1 전극, 유기화합물층, 및 제 2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기판 상의 상기 유기발광소자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의 외측에 상기 유기발광장치의 적어도 한 변에 상기 유기발광소자의 발광을 제어하는 구동회로를 형성하는 공정;
    상기 흡습부재의 도포의 개시점 및 종료점의 각각이 상기 구동회로가 형성되어 있는 변에 위치하도록 점성을 가진 흡습부재를 밀봉기판의 외주부에 선형상으로 도포하는 공정; 및
    상기 밀봉기판을 상기 기판과 접합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장치의 제조방법.
KR1020070130579A 2006-12-15 2007-12-14 유기발광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557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37847 2006-12-15
JPJP-P-2006-00337847 2006-12-15
JP2007295265A JP2008171804A (ja) 2006-12-15 2007-11-14 有機発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JP-P-2007-00295265 2007-11-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5717A true KR20080055717A (ko) 2008-06-19

Family

ID=39699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0579A KR20080055717A (ko) 2006-12-15 2007-12-14 유기발광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8171804A (ko)
KR (1) KR200800557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68751B2 (en) 2011-09-02 2016-06-14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16973B2 (ja) * 2007-08-02 2012-04-18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68751B2 (en) 2011-09-02 2016-06-14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171804A (ja) 2008-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49797B2 (ja) 発光装置の作製方法
KR100478525B1 (ko) 광 누출이 없고 개선된 광 추출 효율을 갖는 전기발광체를이용한 발광 소자 및 표시 장치
JP2003142262A (ja) 電気光学装置、膜状部材、積層膜、低屈折率膜、多層積層膜、電子機器
US7872255B2 (e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JP2004342432A (ja) 有機el表示装置
KR20050101425A (ko) 평판표시장치
JP4808772B2 (ja) 電子発光装置
JP2004342515A (ja) 封止構造
US8022437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e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JP2006253097A (ja) 自発光パネルおよび自発光パネルの製造方法
JP2004145244A (ja) 表示装置
US20070126349A1 (en) Dual emission display
JP4656074B2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KR20080055717A (ko) 유기발광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06172837A (ja) 封止部材、自発光パネルおよび自発光パネルの製造方法
US20080143248A1 (en) Organic light emitting apparatus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2007250251A (ja) 光デバイス、および光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2004103502A (ja) 有機el表示装置
JP2004152738A (ja) 有機el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それを用いた電気光学パネル並びに電子機器
JPWO2008120365A1 (ja) 有機el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200801A (ja) トップエミッション型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2005353287A (ja) 有機el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130312A (ja)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パネル用封止基板
JP2010238479A (ja) 有機el素子及び有機el素子の製造方法
KR100648713B1 (ko) 유기 전계 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