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5428A - 버스용 쿨링 팬 구동시스템 - Google Patents

버스용 쿨링 팬 구동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5428A
KR20080055428A KR1020060128763A KR20060128763A KR20080055428A KR 20080055428 A KR20080055428 A KR 20080055428A KR 1020060128763 A KR1020060128763 A KR 1020060128763A KR 20060128763 A KR20060128763 A KR 20060128763A KR 20080055428 A KR20080055428 A KR 20080055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fan
engine
drive system
pulley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8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희종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8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55428A/ko
Publication of KR20080055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54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6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air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5/00Pumping cooling-air or liquid coolants
    • F01P5/02Pumping cooling-air; Arrangements of cooling-air pumps, e.g. fans or b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5/00Pumping cooling-air or liquid coolants
    • F01P5/02Pumping cooling-air; Arrangements of cooling-air pumps, e.g. fans or blowers
    • F01P5/04Pump-driv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7/01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permanent mag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50/00Applications
    • F01P2050/22Motor-cars

Abstract

본 발명은 고속버스 등에서 쿨링 팬을 구동시켜주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엔진의 구동력을 기어박스를 통해 90°회전시켜 차량 방향으로 배치한 라디에이터 및 팬을 구동시키고, 기어박스에 전자제어방식의 마그네틱 팬 클러치를 일체화한 새로운 형태의 구동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라디에이터 및 팬의 구동과 관련한 전동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라디에이터 및 팬의 냉각성능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시스템의 전체적인 사이즈를 줄일 수 있는 버스용 쿨링 팬 구동시스템을 제공한다.
버스, 라디에이터, 쿨링 팬, 구동시스템, 마그네틱 팬 클러치, 기어 박스

Description

버스용 쿨링 팬 구동시스템{Fan drive system for bus}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쿨링 팬 구동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쿨링 팬 구동시스템에서 풀리 및 벨트를 이용한 전동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쿨링 팬 구동시스템에서 마그네틱 팬 클러치 및 기어박스와 샤프트 간의 전동 구조를 보여주는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쿨링 팬 구동시스템에서 마그네틱 팬 클러치 및 기어박스와 샤프트 간의 전동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쿨링 팬 구동시스템에서 아이들러 풀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쿨링 팬 구동시스템에서 구동 샤프트의 연결부위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결합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쿨링 팬 구동시스템에서 구동 샤프트의 축방향 이동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바디 모듈 프레임 11 : 크랭크 샤프트 풀리
12 : 벨트 13 : 아이들러 풀리
14 : 라디에이터 15 : 쿨링 팬
16 : 쿨링 모듈 17 : 기어박스
18 : 구동 샤프트 19 : 축부재
20a,20b : 하우징 21a,21b : 플랜지부재
22 : 등속조인트 23 : 러버 인슐레이터
24 : 러버부트 25 : 마그네틱 팬 클러치
26 : 아이들러 브라켓 27 : 아이들러 암
28 : 인너 레이스 29 : 홈
30 : 볼 31 : 케이지
32 : 아우터 레이스
본 발명은 고속버스 등에서 쿨링 팬을 구동시켜주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의 구동력을 90°회전시켜 라디에이터 및 팬을 구동시키고, 또 라디에이터 구동측에 마그네틱 팬 클러치를 일체화한 새로운 형태의 버스용 쿨링 팬 구동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이에이터의 냉각을 위해 회전되는 쿨링 팬은 차종에 따라 구동방법이 서로 상이하다.
본 발명에서는 버스에 적용되는 쿨링 팬 구동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면, 차체의 후방부에 엔진이 장착되어 있는 버스의 쿨링 팬은 통상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송풍이 이루어지게 장착되며, 이러한 쿨링 팬측과 엔진측은 엔진의 동력으로 회전되는 크랭크 샤프트 풀리가 아이들러 풀리를 사이에 두고 팬 풀리와 2개의 벨트에 의해 전동가능한 구조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아이들러 풀리는 별도의 암부재에 서로 마찰됨이 없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때의 암부재는 팬슈라우드 등에 설치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기존의 쿨링 팬 구동시스템은 3개의 풀리가 장착된 상태에서 각도상으로 편차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큰 구동저항이 발생하면서 동력전달시 많은 손실이 발생하는 동시에 구동소음이 심하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으며, 결국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내구성이 감소되면서 파단에 이르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기존의 쿨링 팬 구동시스템의 경우 외기가 유입되는 방향과 쿨링 팬에 의해 송풍되는 방향이 서로 일치되지 않도록 설계되므로서 외기의 흡기효율이 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냉각효율도 그만큼 감소되어지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공개특허공보 10-2005- 0108764호에서 풀리 간의 편차 발생을 없앰으로써 동력전달벨트의 구동저항을 최소화하여 내구성 증대 및 동력전달 효율 증대를 도모한 쿨링 팬 구동시스템을 제시한 바와 있다.
본 발명은 위의 공개특허공보 10-2005-0108764호에서 제시하고 있는 쿨링 팬 구동시스템을 개선하여 엔진이나 차체로부터 받는 충격이나 진동에 대해 좀더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또 구동시스템과 전자제어방식 마그네틱 팬 클러치를 일체화시킨 새로운 형태의 쿨링 팬 구동시스템을 그 안출의 대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엔진의 구동력을 기어박스를 통해 90°회전시켜 차량 방향으로 배치한 라디에이터 및 팬을 구동시키고, 기어박스에 전자제어방식의 마그네틱 팬 클러치를 일체화한 새로운 형태의 구동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라디에이터 및 팬의 구동과 관련한 전동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라디에이터 및 팬의 냉각성능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시스템의 전체적인 사이즈를 줄일 수 있는 버스용 쿨링 팬 구동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디 모듈 프레임상에 지지되는 엔진의 크랭크 샤프트에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크랭크 샤프트 풀리와, 상기 크랭크 샤프트 풀리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면서 벨트를 통해 연결되는 아이들러 풀리와, 차량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바디 모듈 프레임상에 지지되며 라디에이터 및 쿨링 팬과 인터쿨러가 속해 있는 쿨링 모듈과, 상기 엔진의 크랭크 샤프트와 평행하게 배치되면서 양단이 아이들러 풀리측과 쿨링 팬의 기어박스측에 각각 동력전달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 샤프트를 포함하는 버스용 쿨링 팬 구동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구동 샤프트는 축선방향으로 일정 스트로크 유격이 가능한 축부재와, 상기 축부재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면서 아이들러 풀리의 하우징과 기어박스의 하우징에 각각 체결되는 플랜지부재와, 상기 플랜지부재의 내측에 위치되면서 베어링을 매개로 축부재와 조립되는 등속조인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아이들러 풀리는 엔진으로부터의 진동을 저감시켜주기 위하여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러버 인슐레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축부재와 플랜지부재 사이의 연결부위에는 내부에 그리스를 포함하는 러버부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쿨링 모듈은 쿨링 팬측과 연결되는 동시에 기어박스 내부의 베벨기어 및 샤프트와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엔진 ECU로부터 피드백되는 냉각수 온도에 따라서 작동하는 마그네틱 팬 클러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쿨링 팬 구동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쿨링 팬 구동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쿨링 팬 구동시스템에서 풀리 및 벨트를 이용한 전동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쿨링 팬 구동시스템에서 마그네틱 팬 클러치 및 기어박스와 샤프트 간의 전동 구조를 보여주는 결합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쿨링 팬 구동시스템에서 마그네틱 팬 클러치 및 기어박스와 샤프트 간의 전동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쿨링 팬 구동시스템에서 아이들러 풀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 구조물 형태로 이루어진 바디 모듈 프레임(10)에는 엔진(미도시) 탑재와 함께 그 한쪽 옆에는 차량 방향으로 쿨링 모듈(13)이 설치된다.
상기 쿨링 모듈(13)은 라디에이터(14), 쿨링 팬(15), 인터쿨러(미도시) 등을 포함하는 하나의 어셈블리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쿨링 모듈(13)의 쿨링 팬(15)에는 기어박스(17)가 구비되어 있어서 엔진의 구동력이 벨트로 연결되어 90°회전시킨 방향으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기어박스(17)의 내부에는 베벨기어 조합과 샤프트가 구비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구동 샤프트(18)측의 동력을 마그네틱 팬 클러치(25)를 통해 쿨링 팬(15)까지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마그네틱 팬 클러치(25)는 팬 아마츄어, 마그네트, 베어링, 로터, 1차 및 2차 코일, 1차 및 2차 아마츄어, 요크 등을 조합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후단측에는 풀리샤프트가 구비되어 있어서 이것을 통해 상기 기어박스(17) 내부의 베벨기어 및 샤프트와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된다.
이때의 상기 마그네틱 팬 클러치는 엔진 ECU로부터 피드백되는 냉각수 온도에 따라서 작동하게 되는데, 예를 들면 라디에이터 냉각수 온도를 읽는 방식으로 냉각수온이 92℃에 이르면 ECU로부터 팬 클러치에 1단 신호가 전달되고, 냉각수온이 88℃에 이를 때까지 팬 클러치는 1단 작동된다.
또한, 팬 클러치가 1단으로 작동되다가 냉각수온이 증가하여 96℃까지 올라가면 추가로 2단이 작동되어 냉각수온이 88℃에 이를 때까지 팬 클러치는 2단으로 작동된다.
이와 같이 냉각수온에 따라 팬 클러치가 자동되는 사이클을 유지하게 된다.
즉, 필요시에만 팬을 구동시키고 나머지 팬 구동이 필요없는 경우에는 저RPM으로 팬 속도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엔진의 크랭크 샤프트 풀리(11)와 동일 평면상에는 아이들러 풀리(13)가 위치되고, 이때의 아이들러 풀리(13)는 벨트(12)를 통해 크랭크 샤프트 풀리(11)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아이들러 풀리(13)는 엔진측에 마운팅되는 아이들러 브라켓(26), 예를 들면 엔진 실린더 블록에 장착되는 풀리 마운팅용 주물 브라켓에 아이들러 암(27)을 매개로 하여 지지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예를 들면, 아이들러 암(27)의 선단부에는 원형의 링부재가 일체 형성되고, 이 원형의 링부재에 아이들러 풀리(13)의 원통형 하우징(20a)이 끼워지는 형태로 아이들러 풀리(13)가 지지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때의 하우징(20a)의 접촉부위, 즉 외주면에는 통상의 베어링이 개재되어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아이들러 브라켓(26)이 엔진에 마운팅됨에 따라 엔진과 연동된 치수 및 유동을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아이들러 풀리(13)의 정렬각을 용이하게 확보 및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바디 모듈 프레임(10)상에 엔진이 장착될 때 크랭크 샤프트에 의채 크랭크 샤프트 풀리(11)의 정렬상태가 결정되어지고, 이와 동시에 실린더 블록상의 아이들러 브라켓(26)상에 지지되는 아이들러 풀리(13)도 크랭크 샤프트 풀리(11)와 동일한 정렬각도로 설치되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크랭크 샤프트 풀리(11)와 아이들러 풀리(13) 사이에는 정렬각도의 편차가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이를 연결하는 벨트(12)도 구동저항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내구성의 증대 및 동력전달 효율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아이들러 브라켓(26)과 아이들러 암(27)은 서로 슬라이드 가능한 구조로 조합되어 있으며, 이때의 아이들러 브라켓(26)과 아이들러 암(27) 간의 슬라이드 결합부위에는 장력조절장치가 구비되어 있어서 슬롯을 통한 브라켓과 암 간의 체결위치를 조절하는 것으로 벨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아이들러 풀리(13)는 단순히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능 이외에도 내부에 바이브이션 러버 댐퍼, 즉 러버 인슐레이터(23)가 내장되어 있어서 엔진이나 차체로부터 유입되는 진동 쇼크를 절연하는 기능을 할 수 있게 된다.
즉, 아이들러 풀리(13)의 내부에 4개 정도의 러버 인슐레이터(23)가 적용됨에 따라 엔진으로부터의 진동을 1차 감쇄시킬 수 있게 되고, 계속해서 후술하는 구동 샤프트(18)의 댐핑작용을 통해 2차로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게 되므로, 최종적으로 쿨링 팬의 진동은 감소되고 일정한 수준의 회전력을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아이들러 풀리의 내부에는 원통형으로 된 4개의 러버 인슐레이터가 내장되어 있는데, 즉 풀리 내측에 형성된 돌기부에 러버 인슐레이터가 끼워진 후 장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아이들러 풀리(11)측과 쿨링 팬(15)의 기어박스(17)측 사이에 동력전달 역할을 수행하는 구동 샤프트(18)는 엔진의 크랭크 샤프트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등속조인트 방식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 위하여,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원통형의 축부재(19)의 양단부에는 플랜지부재(21a),(21b)가 구비되고, 이때의 플랜지부재(21a),(21b)는 그 내부에 베어링 조합으로 구성되는 등속조인트(22)를 구비하여 이 등속조인트(22)를 통해 상기 축부재(19)와 전동가능한 구조로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등속조인트(22)는, 도 6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의 안착을 위한 홈(29)을 가지면서 축부재(19)의 끝에 장착되는 인너 레이스(28) 및 이것과 짝을 이루는 동시에 플랜지부재(21a),(21b) 사이에 조립되는 아우터 레이스(32)와, 다수의 볼(30)을 수용하면서 인너 레이스(28) 및 아우터 레이스(32) 사이에 조립되는 케이지(31)로 구성되어 있어서 아이들러 풀리(11)와 구동 샤프트(18) 간의 전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인너 레이스는 축부재 끝에 용접 또는 압입 후 리테이닝 링으로 축부재와 일체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축부재(19)는 축선방향으로 일정 스트로크 유격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차량 조립오차나 엔진 및 차량의 진동으로 구동 샤프트의 양단이 주행 중 비틀어지거나 충격으로 급속한 변위가 발생하더라도 샤프트 양단의 댐핑구조로 인하여 엔진의 회전력을 등속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지(31)는 인너 레이스(28)에 압입된 구조로서 좌우측으로 각각 7,5mm 이동가능하게 양 끝단으로 7.4mm 이동 후 인너 레이스(28)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걸려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축부재는 플랜지부재에 의해 밀폐된 공간에서 한쪽방향으로 최대 15mm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구동 샤프트(18)의 양단이 고정되더라도 중앙의 축부재(19)는 축선방향으로 일정 스트로크, 예를 들면 약 15mm 정도 유격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어서 차량의 급출발 및 급제동시 엔진 및 차량의 충격을 샤프트가 흡수할 수 있고, 따라서 쿨링 팬과 기어박스에 발생할 수 있는 데미지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동 샤프트(18)는 양단부의 플랜지부재(21a),(21b)를 이용하여 아이들러 풀리(13)의 하우징(20a) 및 기어박스(17)의 하우징(20b)과 와셔 및 볼트 체결구조로 연결되며, 따라서 크랭크 샤프트 풀리→아이들러 풀리→구동 샤프트→기어박스로 이어지는 동력 전달경로가 확보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구동 샤프트(18)의 축부재(19)와 각 플랜지부재(21a),(21b) 사이 의 연결부위에는 내부에 그리스를 포함하는 러버부트(24)가 설치되어 있어서, 외부의 오염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쿨링 팬 구동시스템의 경우, 기어박스 내부에 기어오일과 함께 베벨기어(헬리컬)가 내장되어 있어 마그네틱 팬 클러치와 연결되므로, 엔진에서부터 아이들러 풀리를 거쳐 구동 샤프트로 전달되는 엔진의 구동력을 90°각도로 전환시켜 쿨링 팬(실질적으로는 마그네틱 팬 클러치)을 구동시키는 방식, 마그네틱 팬 클러치와 기어박스 출력측을 일체형으로 연결하고 이를 엔진 ECU로 제어하는 방식, 구동 샤프트에 댐핑구조를 적용한 방식, 아이들러 풀리의 정렬각 유지를 위해 아이들러 브라켓을 엔진 블록측에 직접 취부하는 방식 등을 포함함으로써, 엔진과 아이들러 풀리 간에 벨트 1개만 소요되고 정확한 정렬각 유지가 가능하므로 엔진 구동력 전달 효율 및 벨트 내구력이 증대되고, 라디에이터 및 인터쿨러의 에어 유입면적이 넓게 되어 냉각성능 효율이 증대된다(즉, 라디에이터 및 인터쿨러를 종래의 업다운 플로어 대신에 사이드 플로어를 적용하므로 사이드 플랩 도어에 맞게 높이를 낮출 수 있어 에어유입 효율이 좋아진다).
또한, 정렬각 개선으로 인하여 아이들러 풀리 베어링의 내구수명 증대 및 NVH 측면에서의 이음 발생, 벨트 슬립 소음 등의 문제가 해결된다.
또한, 라디에이터 및 인터쿨러의 냉각성능 효율 증대로 인하여 전체적인 모듈 사이즈 및 팬 사이즈를 줄일 수 있어 엔진 소모 마력도 줄어들어 연비 개선효과도 발생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쿨링 팬 구동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엔진측과 라디에이터측 사이에 벨트 1개소만 소요되고 정확한 정렬각 유지가 가능하여 엔진 구동력 전달 효율 및 벨트 내구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둘째, 라디에이터 및 인터쿨러의 에어 유입면적이 넓게 확보되어 냉각성능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고, 이러한 냉각성능 효율 증대로 인하여 전체적인 시스템 사이즈 및 팬 사이즈를 줄일 수 있어 엔진 소모마력도 줄어들고 연비 개선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셋째, 샤프트가 축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댐핑 구조로 인하여 주행 중 또는 차량 급출발 및 급제동시 엔진 및 차량의 충격을 줄일 수 있고, 팬 및 기어박스에 발생할 수 있는 데미지를 줄일 수 있다.
넷째, 기어박스에 전자제어방식의 마그네틱 팬 클러치를 일체화함으로써 엔진의 운전상태에 적합한 최적의 상태로 쿨링 팬을 구동시킬 수 있다.
다섯째, 아이들러 풀리에 바이브레이션 러버 댐퍼를 적용함에 따라 엔진이나 차체로부터 유입되는 진동 쇼크를 효과적으로 절연할 수 있다.

Claims (4)

  1. 바디 모듈 프레임(10)상에 지지되는 엔진의 크랭크 샤프트에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크랭크 샤프트 풀리(11)와, 상기 크랭크 샤프트 풀리(11)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면서 벨트(12)를 통해 연결되는 아이들러 풀리(13)와, 차량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바디 모듈 프레임(10)상에 지지되며 라디에이터(14) 및 쿨링 팬(15)과 인터쿨러가 속해 있는 쿨링 모듈(16)과, 상기 엔진의 크랭크 샤프트와 평행하게 배치되면서 양단이 아이들러 풀리(11)측과 쿨링 팬(15)의 기어박스(17)측에 각각 동력전달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 샤프트(18)를 포함하는 버스용 쿨링 팬 구동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구동 샤프트(18)는 축선방향으로 일정 스트로크 유격이 가능한 축부재(19)와, 상기 축부재(19)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면서 아이들러 풀리(13)의 하우징(20a)과 기어박스(17)의 하우징(20b)에 각각 체결되는 플랜지부재(21a),(21b)와, 상기 플랜지부재(21a),(21b)의 내측에 위치되면서 베어링을 매개로 축부재(19)와 조립되는 등속조인트(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쿨링 팬 구동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러 풀리(13)는 엔진으로부터의 진동을 저감시켜주기 위하여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러버 인슐레이터(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쿨링 팬 구동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축부재(19)와 플랜지부재(21a),(21b) 사이의 연결부위에는 내부에 그리스를 포함하는 러버부트(24)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쿨링 팬 구동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쿨링 모듈(16)은 쿨링 팬(15)측과 연결되는 동시에 기어박스(17) 내부의 베벨기어 및 샤프트와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엔진 ECU로부터 피드백되는 냉각수 온도에 따라서 작동하는 마그네틱 팬 클러치(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쿨링 팬 구동시스템.
KR1020060128763A 2006-12-15 2006-12-15 버스용 쿨링 팬 구동시스템 KR200800554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8763A KR20080055428A (ko) 2006-12-15 2006-12-15 버스용 쿨링 팬 구동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8763A KR20080055428A (ko) 2006-12-15 2006-12-15 버스용 쿨링 팬 구동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5428A true KR20080055428A (ko) 2008-06-19

Family

ID=39802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8763A KR20080055428A (ko) 2006-12-15 2006-12-15 버스용 쿨링 팬 구동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5542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426B1 (ko) * 2008-06-23 2010-10-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냉각시스템 동력 전달구조
DE102009058553A1 (de) 2009-07-31 2011-02-03 Lg Display Co., Ltd. 3D-Bildanzeigedisplay
KR20120014996A (ko) * 2010-08-11 2012-02-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냉각팬의 동력전달 장치
KR20160056139A (ko) * 2014-11-11 2016-05-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유체식 팬 클러치 일체형 텐션 풀리 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426B1 (ko) * 2008-06-23 2010-10-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냉각시스템 동력 전달구조
DE102009058553A1 (de) 2009-07-31 2011-02-03 Lg Display Co., Ltd. 3D-Bildanzeigedisplay
KR20120014996A (ko) * 2010-08-11 2012-02-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냉각팬의 동력전달 장치
KR20160056139A (ko) * 2014-11-11 2016-05-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유체식 팬 클러치 일체형 텐션 풀리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00277B2 (en) Engine with attached axial gap type rotating electric machine
US10479183B2 (en) Hybrid vehicle
CN1900531B (zh) 将运动传递到风扇以冷却机动车辆发动机的双衔铁装置
BRPI0418663B1 (pt) Sistema motriz por correia de razão dupla
CN101233338A (zh) 用于内燃机的冷却剂泵
KR20080055428A (ko) 버스용 쿨링 팬 구동시스템
US7597070B2 (en) Dual drive radiator fan and coolant pump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560837B2 (en) Automotive alternator with rotary magnetic fluctuation suppressor
WO2008080285A1 (fr) Dispositif de refroidissement avec ventilateur pour véhicule
JP2007236037A (ja) モータアクチュエータ及びそれを用いた内燃機関のモータ駆動式スロットルバルブ装置
FR2881382B1 (fr) Dispositif d&#39;accouplement entre le rotor d&#39;une machine electrique tournante reversible et l&#39;arbre primaire de la boite de vitesses d&#39;un moteur thermique d&#39;un vehicule automobile
KR100259239B1 (ko) 보조기계의 차량탑재방법 및 동력전달장치
KR20040032764A (ko) 스로틀 제어 장치
JP2007126065A (ja) ハイブリッド原動機におけるモータ回転軸の軸受け装置
JPH0227167B2 (ko)
CN106321215B (zh) 用于机动车的通风机驱动装置
CN107956572A (zh) 一种硅油风扇离合器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CN207634168U (zh) 一种硅油风扇离合器控制装置
WO2007080602A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KR20140105227A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구동장치
KR200410963Y1 (ko) 파워 차져 엔진의 과급장치
WO2019039227A1 (ja) エンジンのカバー部材取付構造
JP4589273B2 (ja) 内燃機関の車載構造
JPS6214341Y2 (ko)
WO1996008642A1 (fr) Dispositif d&#39;entrainement d&#39;un alternateur de moteur, et alternateur destine a des elements de moteu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