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3495A - Tcp handler - Google Patents

Tcp hand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3495A
KR20080053495A KR1020087008553A KR20087008553A KR20080053495A KR 20080053495 A KR20080053495 A KR 20080053495A KR 1020087008553 A KR1020087008553 A KR 1020087008553A KR 20087008553 A KR20087008553 A KR 20087008553A KR 20080053495 A KR20080053495 A KR 20080053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tcp
terminal
terminals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85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타케시 오니시
히사시 무라노
마사히토 콘도
카쓰히로 이마이즈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드반테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드반테스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드반테스트
Priority to KR1020087008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53495A/en
Publication of KR20080053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349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3Contacting devices, e.g. sockets, burn-in boards or mounting fix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5Holding devices, e.g. chucks; 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 G01R31/2867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e.g. loaders, carriers, t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86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 G01R31/2889Interfaces, e.g. between probe and tes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96Testing of IC packages; Test features related to IC packa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302Contactless testing
    • G01R31/308Contactless testing using non-ioni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radiation
    • G01R31/311Contactless testing using non-ioni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radiation of integrated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oxicology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 Testing Or Measuring Of Semicondu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In a TCP handler (2), a means that can display an enlarged image of part of a captured image is used as a display (9) for displaying the image taken by a second camera (6b). With the TCP handler (2),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a test pad (P) of a TCP and a probe (81) of a probe card (8) can be visually checked with the aid of an enlarged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9). Hence, an easy, precise, and quick positioning is possible in performing alignment for initial setting or the like.

Description

TCP 핸들링 장치{TCP HANDLER}TCCP handling equipment {TCP HANDLER}

본 발명은 IC 디바이스의 일종인 TCP(Tape Carrier Package)나 COF(Chip On Film)(이하, TCP, COF, 기타 TAB(Tape Automated Bonding) 실장기술에 의해 제조된 디바이스를 종합하여「TCP」라 한다.)를 시험하는데 사용되는 TCP 핸들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referred to as "TCP" by integrating devices manufactured by a tape carrier package (TCP) or a chip on film (COF) (hereinafter, TCP, COF, or other tape automated bonding (TAB) mounting technology), which is a type of IC device. TCP handling device used to test.

IC 디바이스 등의 전자부품의 제조 과정에서는 최종적으로 제조된 IC 디바이스나 그 중간 단계에 있는 디바이스 등의 성능이나 기능을 시험하는 전자부품 시험장치가 필요하고, TCP의 경우에는 TCP용 시험장치가 사용된다.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an electronic component such as an IC device, an electronic component test apparatus for testing the performance or function of the finally manufactured IC device or a device in the intermediate stage thereof is required. In the case of TCP, a test apparatus for TCP is used. .

TCP용 시험장치는 일반적으로 테스터 본체와, 테스트 헤드와, TCP 핸들링 장치(이하, 「TCP 핸들러」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로 구성된다. 이 TCP 핸들러는 테이프(필름의 개념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이하 동일.) 상에 TCP가 복수 형성된 캐리어 테이프를 반송하여, 테스트 헤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프로브 카드의 프로브에 캐리어 테이프를 눌러, TCP의 테스트 패드를 프로브에 접촉시킴으로써 복수의 TCP를 순차 시험에 제공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The test apparatus for TCP generally consists of a tester main body, a test head, and a TCP handling apparatus (henceforth a "TCP handler"). This TCP handler conveys a carrier tape in which a plurality of TCPs are formed on a tape (the concept of film. The same applies hereinafter), and presses the carrier tape on a probe of a probe card electrically connected to a test head. The test pad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probe to provide a plurality of TCPs for sequential testing.

그런데, TCP 핸들러를 사용하여 효율이 양호하고 정확하게 시험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TCP의 테스트 패드와 프로브 카드의 각 프로브를 확실하게 접촉시키는 것 이 필요하다.However, in order to perform the test efficiently and accurately using the TCP handler, it is necessary to make sure that the test pad of the TCP and each probe of the probe card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이와 같은 것으로부터, TCP 핸들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실가동시켜 시험을 수행하기 전에, TCP의 테스트 패드와 프로브 카드의 각 프로브를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도록 미리 TCP 핸들러에 대하여 초기설정을 수행하고, 이 설정을 등록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From the above, when using the TCP handler, before performing the actual test to perform the test, the initial setting of the TCP handler is performed in advance so that the test pad of the TCP and each probe of the probe card can be reliably contacted. I'm working on registering a setting.

TCP 핸들러의 초기설정은 예컨대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우선, 시험위치까지 반송한 TCP와 프로브 카드의 개략위치를 정한 후, 프로브 카드의 프로브 및 TCP의 테스트 패드를 카메라로 촬영하여, 얻어진 화상을 표시장치에 표시한다. 그리고, 오퍼레이터는 이 화상을 확인하면서 프로브 카드의 모든 프로브가 TCP의 모든 테스트 패드와 접촉할 수 있도록 매뉴얼 조작으로 각 프로브의 위치를 조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설정한 위치가 초기설정으로서 등록되어 실가동시의 위치맞춤에 사용된다. The initial configuration of the TCP handler is performed as follows, for example. First, the schematic positions of the TCP and the probe card conveyed to the test position are determined, and then the image obtained by photographing the probe of the probe card and the test pad of TCP with the camera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And the operator checks this image, and adjusts the position of each probe by manual operation so that all the probes of a probe card may contact all the test pads of TCP. The position set in this way is registered as an initial setting and used for alignment at the time of actual operation.

그러나, 최근의 TCP의 다핀화 및 소형화에 따라 TCP의 테스트 패드가 작고 또한 피치가 좁게 형성되고 있기 때문에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프로브 및 테스트 패드도 작고 가늘게 되고 있다. 이 때문에, 초기설정에서의 패드와 프로브의 위치맞춤 작업이 곤란해지고, 초기설정에 따른 작업시간도 길어지고 있다. 또한, TCP와 프로브의 위치맞춤을 반드시 정확하게 수행할 수 없는 경우가 있어, 이와 같은 경우가 원인으로 실가동 중에 접촉 불량, 접촉저항의 불안정화, 인접핀 사이의 쇼트 등이 발생되는 경우도 있다. However, in recent years, as TCP's multi-pinning and miniaturization have made TCP test pads smaller and narrower, the probes and test pads displayed on the display have also become smaller and thinner. For this reason, the alignment work of the pad and the probe in the initial setting becomes difficult, and the working time according to the initial setting also becomes long. In addition, the alignment between the TCP and the probe may not always be accurately performed, and in this case, contact failure, destabilization of contact resistance, short circuit between adjacent pins, etc. may occur during actual operation.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상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접촉부의 접촉단자와 TCP의 외부단자의 위치맞춤 작업을 정확하게 또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TCP 핸들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CP handling apparatus capable of accurately and easily performing a positioning operation of a contact terminal of a contact portion and an external terminal of the TCP.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번째로 본 발명은, 테이프 상에 TCP가 복수 형성된 캐리어 테이프를 반송하여, 테스트 헤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접촉부로 캐리어 테이프를 누르고, TCP의 외부단자를 상기 접촉부의 접촉단자에 접촉시킴으로써 복수의 TCP를 순차 시험에 제공할 수 있는 동시에, TCP의 외부단자 및 접촉부의 접촉단자를 촬상장치로 촬영하여, 얻어진 화상을 표시장치에 표시할 수 있는 TCP 핸들링 장치로서, 상기 표시장치에는 TCP의 외부단자와 접촉부의 접촉단자의 위치관계를 특정하여 위치결정할 수 있도록 촬상장치로 촬영한 촬영 대상물의 전체를 표시하는 표준화상과, 촬상장치로 촬영한 촬영 대상물의 일부분을 확대 표시하는 확대화상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CP 핸들링 장치를 제공한다(발명 1).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firstly conveys a carrier tape having a plurality of TCPs formed on the tape, presses the carrier tape to a contact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st head, and connects the external terminal of the TCP to the contact terminal of the contact portion. A TCP handling device capable of providing a plurality of TCPs for a sequential test by contacting a touch panel, and at the same time shooting an external terminal of a TCP and a contact terminal of a contact portion with an imaging device and displaying an image obtained on the display device. There is a standardized image for displaying the entire object to be photographed with the image pickup device so that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external terminal of the TCP and the contact terminal of the contact can be specified and positioned, and an enlarged view for enlarged display of a part of the object to be captured with the image pickup device. Provided is a TCP handling apparatus, wherein an image is displayed (Invention 1).

상기 발명(발명 1)에 따르면, 위치맞춤의 대상인 TCP의 외부단자와 프로브 카드의 접촉단자의 위치관계를 확대화상에 의해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TCP의 외부단자와 접촉부의 접촉단자의 위치맞춤을 정확하게 또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TCP 핸들링 장치를 사용할 때, 그 초기설정을 단시간에 효율이 양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TCP 핸들링 장치의 실가동 중에 접촉 불량이 발생된 때에 확대화상에 의해 접촉 불량의 상황을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vention 1), since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external terminal of TCP as the object of alignment and the contact terminal of the probe card can be confirmed by an enlarged image, the alignment between the external terminal of the TCP and the contact terminal of the contact portion can be accurately It can be done easily. Therefore, when using the TCP handling apparatus, the initial setting can be performed efficiently in a short time. It is also possible to confirm the situation of contact failure by an enlarged image when contact failure occurs during the actual operation of the TCP handling apparatus.

상기 발명(발명 1)에서, 상기 촬상장치는 확대화상을 표시한 경우더라도 TCP의 외부단자와 접촉단자의 위치관계가 특정될 수 있어 양 단자의 위치결정을 수행할 수 있는 고해상도의 촬상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발명 2). 고해상도의 촬상장치를 사용함으로써 TCP의 외부단자와 접촉단자를 선명하게 표시할 수 있어 위치맞춤 작업을 보다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고해상도의 촬상장치를 사용함으로써 한번에 촬영하는 범위를 확대하여 촬영하는 화상의 수를 저감시킬 수 있어, 이에 의해 촬상장치를 이동시키는 빈도가 줄어들어 기계적인 이동오차나 복수화상의 오버레이 처리 등의 오차를 저감시킬 수 있어 보다 미세하게 좁은 피치의 외부단자를 갖는 TCP에 대응할 수 있다. In the invention (Invention 1), the image pickup device is a high resolution image pickup device capable of positioning the two terminals because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external terminal of the TCP and the contact terminal can be specified even when the enlarged image is displayed. Preferred (Invention 2). By using the high resolution image pickup device, the external terminal and the contact terminal of the TCP can be displayed clearly, so that the alignment operation can be performed more accurately. In addition, by using a high resolution image pickup device, the number of images to be taken can be reduced by enlarging the range to be shot at once, thereby reducing the frequency of moving the image pickup device, thereby making errors such as mechanical movement error or overlay processing of multiple images. Can be reduced, and it is possible to cope with TCP having an external terminal of finer narrow pitch.

상기 발명(발명 1)에 따른 TCP 핸들링 장치는 소정위치의 TCP의 외부단자 및 접촉부의 접촉단자를 촬영 가능하도록 상기 촬상장치를 이동시키는 촬상 스테이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발명 3).The TCP hand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vention 1) preferably includes an imaging stage for moving the imaging device so that the external terminal of the TCP at the predetermined position and the contact terminal of the contact portion can be photographed (invention 3).

상기 발명(발명 1)에 따른 TCP 핸들링 장치는 확대표시 조작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확대표시 조작부에 의한 조작에 따라 상기 표준화상을 확대하여 확대화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발명 4). 본 발명(발명 4)과 같이, 확대표시 조작부를 구비하고 있으면 확대표시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단독으로 확대화상을 표시할 수 있어 조작성이 우수하다. The TCP hand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vention 1) is provided with an enlarged display operation section, and it is preferable to enlarge the normalized image in accordance with an operation by the enlarged display operation section to make an enlarged image (Invention 4). As in the present invention (invention 4), when the enlarged display operating portion is provided, the enlarged image can be displayed alone by operating the enlarged display operating portion, and the operability is excellent.

상기 발명(발명 1)에 따른 TCP 핸들링 장치는, 실가동 중, TCP의 외부단자와 접촉부의 접촉단자의 사이에서 위치 어긋남 또는 접촉 불량이 있는 경우에 해당 위치 어긋남 또는 접촉 불량의 개소를 확대화상으로서 상기 표시장치를 자동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발명 5). 이러한 발명(발명 5)에 따르면, 위치 어긋남 또는 접촉 불량의 개소를 확대화상으로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위치 어긋남 또는 접촉 불량의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실가동 중 TCP의 외부단자와 접촉부의 접촉단자의 위치맞춤을 매뉴얼 조작으로 수행하는 경우에는 위치 어긋남 또는 접촉 불량의 개소를 신속하게 파악하여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시험의 처리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e TCP hand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vention 1), when the position shift or contact failure occurs between the external terminal of TCP and the contact terminal of the contact portion during actual operation, the position of the position shift or contact failure is used as an enlarged imag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play device can be displayed automatically (invention 5). According to this invention (invention 5), since the position of a position shift | offset | difference or a contact failure can be confirmed as an enlarged image, the situation of a position shift | offset | difference or contact failure can be grasped | ascertained correctly. In particular, when the alignment of the external terminal of the TCP and the contact terminal of the contact part during manual operation is performed by manual operation, the throughput of the test can be improved because the position of the misalignment or the contact failure can be quickly identified and coped with.

두번째로 본 발명은, 시험신호의 수수(授受)를 수행하는 접촉부에 설치된 복수의 접촉단자와, 캐리어 테이프 상에 배설된 시험대상의 TCP가 구비하는 복수의 외부단자를 전기적으로 접촉시켜 시험을 수행하는 TCP 핸들링 장치로서, 접촉단자와, 해당 접촉단자에 대응하는 TCP의 외부단자를 촬상하는 촬상장치와, 상기 촬상장치에 의해 촬영한 접촉단자 및 TCP의 외부단자의 화상을 소망에 따라 처리하여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촬상장치는 줌 기능을 구비하여, 줌 상태에서 접촉단자와 해당 접촉단자에 대응하는 TCP의 외부단자의 위치관계가 특정 가능한 해상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CP 핸들링 장치를 제공한다(발명 6).Secondly,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test by electrically contacting a plurality of contact terminals provided on a contact portion for carrying out a test signal, and a plurality of external terminals included in a test object TCP disposed on a carrier tape. A TCP handling device comprising: an image pickup device for picking up a contact terminal, an external terminal of TCP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terminal, and an image of the contact terminal captured by the image pickup device and the external terminal of TCP as desired and displayed. And a zooming function, wherein the image pickup device has a zoom function, and has a resolution capable of specifying a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a contact terminal and an external terminal of TCP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terminal in a zoom state. (Invention 6).

상기 발명(발명 6)에 따르면, 촬상장치를 줌 상태로 함으로써 위치맞춤의 대상인 TCP의 외부단자와 프로브 카드의 접촉단자를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TCP의 외부단자와 접촉부의 접촉단자의 위치맞춤을 정확하게 또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TCP 핸들링 장치를 사용할 때, 이 초기설정을 단시간에 효율이 양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TCP 핸들링 장치의 실가동 중에 접촉 불량이 발생한 때에 확대표시에 의해 접촉 불량의 상황을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above invention (Invention 6), by bringing the image pickup device into a zoomed state, the external terminals of the TCP and the contact terminals of the probe card to be aligned can be enlarged and displayed, so that the external terminals of the TCP are aligned with the contact terminals of the contacts. Can be performed accurately and easily. Therefore, when using the TCP handling apparatus, this initial setting can be performed efficiently in a short time. It is also possible to confirm the situation of contact failure by enlarged display when a contact failure occurs during actual operation of the TCP handling apparatus.

상기 발명(발명 6)에서는, 상기 촬상장치가 촬영한 복수의 접촉단자 및 해당 접촉단자에 대응하는 TCP의 복수의 외부단자의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접촉단자와 해당 접촉단자에 대응하는 복수의 외부단자의 위치 어긋남량을 특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발명 7). 이러한 발명(발명 7)에 따르면, 보다 정확한 위치 어긋남 보정량을 특정할 수 있다. In the invention (invention 6), the plurality of contact terminals and the corresponding contact terminals are based on image data of a plurality of contact terminals photographed by the imaging device and a plurality of external terminals of TCP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terminals. It is preferable to specify the displacement amount of the plurality of external terminals (invention 7). According to this invention (invention 7), more accurate position shift correction amount can be specified.

상기 발명(발명 7)에서는, TCP가 갖는 복수의 외부단자 중, 대각선상에 위치하는 적어도 2개소, 또는 서로 멀리 떨어진 적어도 2개소의 외부단자를 상기 촬상장치가 촬상할 수 있도록 상기 촬상 스테이지를 이동시켜, In the above invention (Invention 7), the imaging stage is moved so that the imaging device can pick up at least two external terminals located on a diagonal line or at least two remote terminals far from each other among a plurality of external terminals of TCP. Let

상기 촬상장치가 촬영하여 얻어진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2개소의 외부단자와 해당 외부단자에 대응하는 접촉단자의 위치 어긋남량을 특정하고,On the basis of the image data obtained by photographing the image pickup device, the positional shift amount of the at least two external terminals and the contact terminals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terminals is specified,

상기 위치 어긋남량에 기초하여 안정된 접촉이 얻어질 수 있도록 캐리어 테이프 또는 접촉단자군을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발명 8). 이러한 발명(발명 7)에 따르면, 보다 정확한 위치 어긋남 보정량을 특정할 수 있고, 특히 θ회전방향의 어긋남의 보정도 가능하다.It is preferable to move the carrier tape or the contact terminal group so that a stable contact can be obtained based on the position shift amount (invention 8). According to this invention (invention 7), a more accurate position shift correction amount can be specified, and in particular, correction of a shift in the θ rotational direction is also possible.

상기 발명(발명 6)에서는, 상기 촬상장치에 의해 촬영하여 얻어진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첫번째로 접촉단자의 형상을 추출하고, 추출한 형상으로부터 해당 접촉단자가 TCP의 외부단자에 접촉하는 접촉점을 특정하고, 두번째로 상기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TCP의 외부단자의 형상을 추출하고, 추출한 형상으로부터 해당 외부단자의 중앙위치점을 특정하고, 상기 접촉단자의 접촉점을 나타내는 마크와, 상기 외부단자의 중앙위치점의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를 상기 표시장치에 겹쳐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발명 9). 이러한 발명(발명 9)에 따르면, 오퍼레이터는 외부단자의 중앙위치점과 접촉단자의 접촉점의 어긋남 상태를 명료하게 파악할 수 있어 위치맞춤의 조정작업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In the invention (Invention 6), first, the shape of the contact terminal is extracted based on the image data obtained by photographing by the imaging device, and from the extracted shape, the contact point at which the contact terminal contacts the external terminal of TCP is specified. And secondly, extracting the shape of the external terminal of the TCP based on the image data, specifying a center position point of the external terminal from the extracted shape, a mark indicating a contact point of the contact terminal, and a center position point of the external terminal. A mark indicating the position of may be superimposed on the display device (invention 9). According to this invention (invention 9), the operator can clearly grasp the misalignment state between the center position point of the external terminal and the contact point of the contact terminal, and can accurately perform the adjustment operation of the alignment.

상기 발명(발명 6)에서는, 접촉 체크 기능을 적용하여 캐리어 테이프 또는 접촉단자군을 평면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모든 접촉단자와, 해당 접촉단자에 대응하는 TCP의 외부단자의 전기적인 접촉상태를 검출하고, 어떠한 접촉단자에서도 접촉불량이 되지 않고 유효하게 접촉될 수 있는 유효 이동 영역을 구하고, 상기 유효 이동 영역에 기초하여 캐리어 테이프 및 접촉단자군의 최적의 위치를 특정하도록 하여도 좋다(발명 10). 이러한 발명(발명 10)에 따르면, 예컨대 접촉단자가 누름 스트레스에 의해 불량인 경우더라도 캐리어 테이프 및 접촉단자군의 최적의 위치를 효율이 양호하게 특정할 수 있다. In the above invention (Invention 6), by applying the contact check function, the electrical contact state of all the contact terminals and the external terminals of TCP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terminals is detected while moving the carrier tape or the contact terminal group in the plane direction, It is also possible to obtain an effective moving area which can be contacted effectively without any contact terminal at any contact terminal, and to specify the optimum position of the carrier tape and the contact terminal group based on the effective moving area (invention 10). According to this invention (invention 10), even if the contact terminal is defective by, for example, pressing stress, the optimum position of the carrier tape and the contact terminal group can be efficiently specified.

상기 발명(발명 6)에서는, 접촉 체크 기능을 적용하여 모든 접촉단자와, 해당 접촉단자에 대응하는 TCP의 외부단자의 전기적인 접촉상태를 검출하고, 접촉 불량이 검출된 경우에 해당 접촉 불량이 된 접촉단자 및 해당 접촉단자에 대응하는 외부단자의 위치로 상기 촬상장치를 이동시켜, 해당 접촉 불량부위를 촬영하여 얻어진 화상을 표시장치에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발명 11). 이러한 발명(발명 11)에 따르면, 접촉 불량부위의 상황을 화상에 의해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In the above invention (Invention 6), the contact check function is applied to detect the electrical contact state between all the contact terminals and the external terminals of TCP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contact terminals, and when the contact failure is detected, the corresponding contact failure is detected. The imaging device may be moved to a position of a contact terminal and an external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terminal so that an image obtained by photographing the defective contact portion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Invention 11). According to this invention (invention 11), the situation of a defective contact part can be grasped | ascertained correctly by an image.

상기 발명(발명 6)에서는, 상기 촬상장치의 위치정보, 상기 촬상장치의 줌 배율정보 및 상기 촬상장치가 촬상하고 있는 TCP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표시장치에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발명 12).In the invention (invention 6), at least one of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imaging device, the zoom magn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maging device, and the information about TCP captured by the imaging devic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2).

상기 발명(발명 6)에서는, 비접촉 상태에서 접촉단자 및 해당 접촉단자에 대응하는 TCP의 외부단자를 촬상하여 얻어지는 비접촉 상태 화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접촉단자와 해당 접촉단자에 대응하는 외부단자의 위치관계를 특정하고, 시험실시에 따른 접촉 상태에서 접촉단자 및 해당 접촉단자에 대응하는 TCP의 외부단자를 촬상하여 얻어지는 접촉 상태 화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접촉단자와 해당 접촉단자에 대응하는 외부단자의 위치관계를 특정하고, 상기 특정한 양 위치관계의 변화량을 구하고 해당 변화량에 기초하여 접촉단자와 해당 접촉단자에 대응하는 외부단자의 위치 어긋남을 보정하도록 하여도 좋다(발명 13). 이러한 발명(발명 13)에 따르면, 비접촉 상태로부터 접촉 상태에 걸쳐 발생하는 위치 어긋남량을 포함시켜 위치 어긋남 보정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한층 더 안정된 접촉을 실현할 수 있다. In the invention (Invention 6),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act terminal and the external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terminal is specified from the non-contact state image data obtained by imaging the contact terminal and the external terminal of TCP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terminal in the non-contact state.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act terminal and the external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terminal is specified from the contact state image data obtained by imaging the contact terminal and the TCP external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terminal in the contact state according to the test. The amount of change in the specific two positional relations may be obtained and the positional deviation of the contact terminal and the external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terminal may be corrected based on the amount of change (invention 13). According to this invention (invention 13), since the position shift correction can be performed by including the position shift amount generated from the non-contact state to the contact state, more stable contact can be realized.

상기 발명(발명 6)에서는, 시험실행의 결과 불량이라고 판단된 TCP에 대하여, 현재의 접촉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모든 접촉단자 및 해당 접촉단자에 대응하는 외부단자를 촬상하여, 얻어진 화상 데이터로부터 각각의 위치 어긋남량을 특정하고, 미리 정하여 둔 위치 어긋남량의 최대 허용 편차를 초과하는 접촉단자 및 해당 접촉단자에 대응하는 외부단자를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발명 14). 이러한 발명(발명 14)에 따르면, 접촉 불량의 개연성이 높은 접촉단자 및 외부단자를 자동적으로 표시할 수 있어 이들 접촉 상태를 화상에 의해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above invention (Invention 6), all the contact terminals and external terminals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terminals are imaged with respect to the TCP determined to be defective as a result of the test execution, respectively, from the image data obtained. The position shift amount of may be specified, and a contact terminal exceeding a maximum allowable deviation of a predetermined position shift amount and an external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terminal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Invention 14). According to this invention (invention 14), a contact terminal and an external terminal having a high probability of contact failure can be displayed automatically, and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se contact states with an image.

본 발명의 TCP 핸들링 장치에 따르면, 접촉부의 접촉단자와 TCP의 외부단자의 위치맞춤 작업을 정확하게 또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CP hand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and easily perform the alignment work of the contact terminal of the contact portion and the external terminal of the TCP.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TCP 핸들러를 사용한 TCP 시험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1 is a front view showing a TCP tester using a TCP hand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TCP 핸들러에서의 푸셔 유니트의 측면도. Fig. 2 is a side view of the pusher unit in the TCP handl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TCP 핸들러에서의 푸셔 스테이지의 평면도. 3 is a plan view of a pusher stage in a TCP hand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TCP 핸들러에서의 프로브 카드 스테이지의 평면도. 4 is a plan view of a probe card stage in a TCP hand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TCP 핸들러에서의 프로브 카드 스테이지의 정면도.5 is a front view of a probe card stage in a TCP hand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는 표준화상이 표시된 상태의 표시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b)는 확대화상이 표시된 상태의 표시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평면도. 6A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isplay device in a state where a normalized image is displayed, and (b)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isplay device in a state where an enlarged image is displayed.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TCP 핸들러의 시험시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도.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during a test of a TCP hand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the sign

1…TCP용 시험장치One… TCP test equipment

2…TCP 핸들러2… TCP handler

3…푸셔 유니트3... Pusher unit

4…푸셔 스테이지4… Pusher stage

5…캐리어 테이프5... Carrier tape

6b…제 2카메라(촬상장치)6b... Second camera (imaging device)

7…프로브 카드 스테이지7... Probe card stage

8…프로브 카드8… Probe card

81…프로브(접촉단자)81... Probe (contact terminal)

9…표시장치9... Display

90…화상 처리부90... Image processing unit

91…표시패널91... Display panel

92…조작버튼(확대표시 조작부)92... Operation Buttons (Enlarged Display Control Panel)

93…영역 지정버튼93... Area designation button

10…테스트 헤드10... Test head

21…권출릴21... Reel

22…권취릴22... Reel

P…TCP의 테스트 패드(외부단자)P… TCP test pad (external terminal)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draw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TCP 핸들러를 사용한 TCP 시험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TCP 핸들러에서의 푸셔 유니트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TCP 핸들러에서의 푸셔 스테이지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TCP 핸들러에서의 프로브 카드 스테이지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TCP 핸들러에서의 프로브 카드 스테이지의 정면도이고, 도 6(a)는 표준화상이 표시된 상태의 표시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b)는 확대화상이 표시된 상태의 표시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TCP 핸들러의 시험시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도이다. 1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TCP test apparatus using a TCP hand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a pusher unit in a TCP hand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lan view of a pusher stage in a TCP hand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FIG. 4, and FIG. 4 is a plan view of a probe card stage in a TCP hand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TC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isplay device in a state where a normalized image is displayed, and FIG. 6 (B) shows an example of a display device in a state where an enlarged image is displayed. 7 is a plan view, and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during a test of a TCP hand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핸들러를 구비한 TCP용 시험장치의 전체 구성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First, the whole structure of the test apparatus for TCP provided with the handler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referring FIG.

TCP용 시험장치(1)는 도시하지 않은 테스터 본체와, 테스터 본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테스트 헤드(10)와, 테스트 헤드(10)의 상측에 설치된 TCP 핸들러(2)로 구성된다.The test apparatus 1 for TCP is comprised from the tester main body which is not shown in figure, the test head 1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ster main body, and the TCP handler 2 provided above the test head 10. As shown in FIG.

TCP 핸들러(2)는 캐리어 테이프(5) 상에 복수 형성된 각 TCP를 순차 시험에 제공하는 것으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TCP를 한개씩 시험에 제공하는 것으로 한다. 단,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캐리어 테이프(5) 상에서 직렬 방향 및/또는 병렬 방향으로 늘어선 복수의 TCP를 동시에 시험에 제공하도록 하여도 좋다. The TCP handler 2 provides each TCP formed in multiple numbers on the carrier tape 5 for a sequential test, and in this embodiment, TCP is provided to a test one by one for simplicity of descrip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plurality of TCPs arranged in the serial direction and / or the parallel direction on the carrier tape 5 may be simultaneously provided to the test.

TCP 핸들러(2)는 권출릴(21)과 권취릴(22)을 구비하고 있고, 권출릴(21)에는 시험전의 캐리어 테이프(5)가 감겨져 있다. 캐리어 테이프(5)는 권출릴(21)로부터 풀려져서 시험에 제공된 후에 권취릴(22)에 감겨진다. The TCP handler 2 is provided with the unwinding reel 21 and the winding reel 22, and the carrier tape 5 before a test is wound by the unwinding reel 21. As shown in FIG. The carrier tape 5 is unwound from the unwinding reel 21 and wound around the winding reel 22 after being provided for testing.

권출릴(21)과 권취릴(22)의 사이에는 캐리어 테이프(5)로부터 박리된 보호 테이프(51)를 권출릴(21)로부터 권취릴(22)로 건네주는 3개의 스페이서 롤(23a),(23b),(23c)이 설치되어 있다. 각 스페이서 롤(23a),(23b),(23c)은 보호 테이프(51)의 장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각각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있다.Three spacer rolls 23a passing the protective tape 51 peeled from the carrier tape 5 from the unwinding reel 21 to the winding reel 22 between the unwinding reel 21 and the unwinding reel 22, 23b and 23c are provided. Each spacer roll 23a, 23b, 23c can be moved up and down, respectively, so that the tension of the protective tape 51 can be adjusted.

권출릴(21)의 하측에는 테이프 가이드(24a), 권출 리미트 롤러(25a), 내측 서브 스프로켓(25b) 및 내측 가이드 롤러(25c)가 설치되어 있고, 권출릴(21)로부터 풀려진 캐리어 테이프(5)는 테이프 가이드(24a)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권출 리미트 롤러(25a), 내측 서브 스프로켓(25b) 및 내측 가이드 롤러(25c)를 통과하여 푸셔 유니트(3)로 반송된다. On the lower side of the unwinding reel 21, a tape guide 24a, a unwinding limit roller 25a, an inner sub sprocket 25b, and an inner guide roller 25c are provided, and the carrier tape unwound from the unwinding reel 21 ( 5) is guided by the tape guide 24a, and is conveyed to the pusher unit 3 through the unwinding limit roller 25a, the inner sub sprocket 25b, and the inner guide roller 25c.

권취릴(22)의 하측에는 테이프 가이드(24b), 권취 리미트 롤러(25f), 외측 서브 스프로켓(25e) 및 외측 가이드 롤러(25d)가 설치되어 있고, 시험에 제공된 후의 캐리어 테이프(5)는 외측 가이드 롤러(25d), 외측 서브 스프로켓(25e) 및 권취 리미트 롤러(25f)를 통과하여 테이프 가이드(24b)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권취릴(22)에 감겨진다.The tape guide 24b, the winding limit roller 25f, the outer sub sprocket 25e, and the outer guide roller 25d are provided in the lower side of the winding reel 22, and the carrier tape 5 after being provided for a test is the outer side. It is wound around the winding reel 22 while being guided by the tape guide 24b through the guide roller 25d, the outer sub sprocket 25e, and the winding limit roller 25f.

그리고, 내측 가이드 롤러(25c)와, 외측 가이드 롤러(25d)의 사이에는 푸셔 유니트(3)가 설치되어 있다. And the pusher unit 3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guide roller 25c and the outer guide roller 25d.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푸셔 유니트(3)의 프레임(푸셔 프레임)(36)에는 볼나사(32)를 회전시킬 수 있는 서보 모터(31)가 브래킷(361)을 개재하여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볼나사(32)가 나사결합되어 있는 푸셔 본체부(33)가 2개의 Z축 방향의 리니어 모션 가이드(이하 「LM 가이드」라 한다.)(37)를 개재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기 푸셔 본체부(33)는 서보 모터(31)를 구동시킴으로써 리니어 모션 가이드(37)로 가이드되면서 상하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1 and 2, a servo motor 31 capable of rotating the ball screw 32 is installed in the frame (pusher frame) 36 of the pusher unit 3 via a bracket 361. At the same time, the pusher main body portion 33 in which the ball screw 32 is screwed is provided via two linear motion guid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LM guides") 37 in two Z-axis directions. The pusher main body 33 is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Z-axis direction) while being guided to the linear motion guide 37 by driving the servo motor 31.

상기 푸셔 본체부(33)의 하단부에는 부압원(도시 생략)에 접속되어 캐리어 테이프(5)를 흡착 홀드할 수 있는 흡착 플레이트(34)가 설치되어 있다. At the lower end of the pusher main body portion 33, a suction plate 34 is provided which is connected to a negative pressure source (not shown) and can hold and hold the carrier tape 5.

푸셔 본체부(33)의 전단측(도 1 중 좌측)에는 텐션 스프로켓(35a)이 설치되어 있고, 푸셔 본체부(33)의 후단측(도 1 중 우측)에는 메인 스프로켓(35b)이 설치되어 있고, 소망의 장력으로 캐리어 테이프(5)를 홀드하도록 되어 있다. A tension sprocket 35a is provided on the front end side (left side in Fig. 1) of the pusher main body part 33, and a main sprocket 35b is provided on the rear end side (right side in Fig. 1) of the pusher body part 33. The carrier tape 5 is held at a desired tension.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푸셔 프레임(36)에서의 푸셔 본체부(33)의 배면측에는 기대(38)에 실어지도록 하여 푸셔 스테이지(4)가 설치되어 있고, 푸셔 스테이지(4)의 회전대인 톱테이블(48)은 푸셔 프레임(36)에 고정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and FIG. 3, the pusher stage 4 is provided on the back side of the pusher body part 33 in the pusher frame 36 so as to be mounted on the base 38, and the pusher stage 4 is provided. The top table 48, which is a rotating table of, is fixed to the pusher frame 36.

푸셔 스테이지(4)의 베이스(40) 상에는 X축 방향으로 축을 갖는 볼나사(42a)를 회전시키는 서보 모터(41a)와, Y축 방향으로 축을 갖는 볼나사(42b)를 회전시키는 서보 모터(41b)와, Y축 방향으로 축을 갖는 볼나사(42c)를 회전시키는 서보 모터(41c)가 설치되어 있고, 서보 모터(41b) 및 서보 모터(41c)는 각각 베이스(40) 상의 양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On the base 40 of the pusher stage 4, a servo motor 41a for rotating the ball screw 42a having an axis in the X axis direction, and a servo motor 41b for rotating the ball screw 42b having an axis in the Y axis direction. ) And a servo motor 41c for rotating the ball screw 42c having an axis in the Y-axis direction, and the servomotor 41b and the servomotor 41c are located at both ends on the base 40, respectively.

볼나사(42a)에는 X축 방향의 LM 가이드(43a),(43a)로 가이드되어 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 블록(44a)이 나사결합되어 있다. 슬라이딩 블록(44a)에는 Y축 방향의 LM 가이드(45a)를 개재하여 슬라이딩판(46a)이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딩판(46a)의 상측에는 내부에 롤러 링크를 갖는 회전부재(47a)가 고정되어 있고, 회전부재(47a)는 톱테이블(48)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A sliding block 44a guided by the LM guides 43a and 43a in the X-axis direction and slidable in the X-axis direction is screwed to the ball screw 42a. A sliding plate 46a is provided in the sliding block 44a so as to be slidable in the Y-axis direction via the LM guide 45a in the Y-axis direc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sliding plate 46a, a rotating member 47a having a roller link therein is fixed, and the rotating member 47a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top table 48.

볼나사(42b)에는 Y축 방향의 LM 가이드(43b),(43b)로 가이드되어 Y축 방향으 로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 블록(44b)이 나사결합되어 있다. 슬라이딩 블록(44b)에는 X축 방향의 LM 가이드(45b)를 개재하여 슬라이딩판(46b)이 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딩판(46b)의 상측에는 내부에 롤러 링크를 갖는 회전부재(47b)가 고정되어 있고, 회전부재(47b)는 톱테이블(48)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A sliding block 44b guided by the LM guides 43b and 43b in the Y-axis direction and slidable in the Y-axis direction is screwed to the ball screw 42b. The sliding plate 46b is provided in the sliding block 44b so as to be slidable in the X-axis direction via the LM guide 45b in the X-axis direc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sliding plate 46b, a rotating member 47b having a roller link therein is fixed, and the rotating member 47b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top table 48. As shown in FIG.

볼나사(42c)에는 Y축 방향의 LM 가이드(43c),(43c)로 가이드되어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 블록(44c)이 나사결합되어 있다. 슬라이딩 블록(44c)에는 X축 방향의 LM 가이드(45c)를 개재하여 슬라이딩판(46c)이 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딩판(46c)의 상측에는 내부에 롤러 링크를 갖는 회전부재(47c)가 고정되어 있고, 회전부재(47c)는 톱테이블(48)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The ball screw 42c is screwed with a sliding block 44c guided by the LM guides 43c and 43c in the Y-axis direction and slidable in the Y-axis direction. The sliding plate 46c is provided in the sliding block 44c so that the sliding plate 46c can slide in the X-axis direction via the LM guide 45c in the X-axis direc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sliding plate 46c, a rotating member 47c having a roller link therein is fixed, and the rotating member 47c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top table 48.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푸셔 스테이지(4)에서는 서보 모터(41a)를 구동하여 슬라이딩 블록(44a), 슬라이딩판(46b) 및 슬라이딩판(46c)을 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톱테이블(48)을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서보 모터(41b) 및 서보 모터(41c)를 구동하여, 슬라이딩 블록(44b), 슬라이딩 블록(44c) 및 슬라이딩판(46a)을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톱테이블(48)을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서는, 서보 모터(41a)를 구동하여 슬라이딩 블록(44a)을 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동시에, 서보 모터(41b) 및 서보 모터(41c)를 구동하여 슬라이딩 블록(44b) 및 슬라이딩 블록(44c)을 서로 Y축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각 회전부재(47a),(47b),(47c)를 회전시킴으로써 톱테이 블(48)을 그 수직축 둘레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푸셔 스테이지(4)에 따르면, 푸셔 유니트(3)를 X축-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 및 수직축 둘레로 회전 이동시킬 수 있다. In the pusher stage 4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top table 48 is moved by driving the servo motor 41a to slide the sliding block 44a, the sliding plate 46b, and the sliding plate 46c in the X-axis direction. Can move in the axial direction. In addition, the top table 48 is moved in the Y-axis direction by driving the servo motor 41b and the servo motor 41c to slide the sliding block 44b, the sliding block 44c, and the sliding plate 46a in the Y-axis direction. Can be moved to Further, by driving the servo motor 41a to slide the sliding block 44a in the X-axis direction, the servo motor 41b and the servo motor 41c are driven to drive the sliding block 44b and the sliding block 44c. The top table 48 can be rotated about its vertical axis by rotating the respective rotary members 47a, 47b, 47c by sliding them in directions opposite to the Y axis. According to this pusher stage 4, the pusher unit 3 can be moved in the X-Y-axis direction and can be rotated about the vertical axis.

한편, 푸셔 스테이지(4)는 프로브 카드 스테이지(7)보다도 단시간에 이동 가능하다. 단, 푸셔 스테이지(4)는 캐리어 테이프(5)를 흡착 홀드한 상태로 TCP를 이동시키기 때문에, X축-Y축 방향의 이동 및 회전 이동의 이동량은 미소하게 되지만, 실용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pusher stage 4 is movable in a shorter time than the probe card stage 7. However, since the pusher stage 4 moves TCP in the state which adsorbed-held the carrier tape 5, the movement amount of the movement and rotational movement of an X-axis-Y-axis direction becomes small, but can be used practically.

한편,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푸셔 유니트(3)의 하측으로서, 테스트 헤드(10)의 상부에는 프로브 카드(8)를 탑재한 프로브 카드 스테이지(7)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프로브 카드 스테이지(7)는 모터 구동기구로 이동 제어할 수 있는 것과, 수동 조정기구만을 갖는 것이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모터 구동기구를 갖는 것으로 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 as the lower side of the pusher unit 3, the probe card stage 7 in which the probe card 8 was mounted is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test head 10. As shown in FIG. Here, although the probe card stage 7 can carry out the movement control by the motor drive mechanism, and has only the manual adjustment mechanism, it is assumed that it has a motor drive mechanism in this embodiment.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브 카드 스테이지(7)의 기대(71) 상에는 X축 방향으로 축을 갖는 볼나사(712)를 회전시키는 서보 모터(711)와, 4개의 X축 방향의 LM 가이드(713)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4개의 LM 가이드(713) 상에는 각 LM 가이드(713)에 의해 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가이드되는 직사각형의 X 베이스(7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X 베이스(72)의 일측부에는 볼나사(712)가 나사결합되어 있는 나사결합부(721)가 형성되어 있다.4 and 5, on the base 71 of the probe card stage 7, a servo motor 711 for rotating the ball screw 712 having an axis in the X-axis direction, and four X-axis directions. The LM guide 713 is provided. On these four LM guides 713, the rectangular X base 72 guided so that sliding in the X-axis direction by each LM guide 713 is provided. One side portion of the X base 72 is formed with a screw engaging portion 721 in which a ball screw 712 is screwed.

X 베이스(72) 상에는 Y축 방향으로 축을 갖는 볼나사(723)를 회전시키는 서보 모터(722)와, 2개의 Y축 방향의 LM 가이드(724)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2개의 LM 가이드(724) 상에는 각 LM 가이드(724)에 의해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가이드되는 직사각형의 Y 베이스(7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Y 베이스(73)의 일측부에는 볼나사(723)가 나사결합되어 있는 나사결합부(731)가 형성되어 있다. On the X base 72, a servo motor 722 for rotating the ball screw 723 having an axis in the Y-axis direction and two LM guides 724 in the Y-axis direction are provided. On these two LM guides 724, a rectangular Y base 73 guided to be slidable in the Y-axis direction by each LM guide 724 is provided. One side portion of the Y base 73 is formed with a screw engaging portion 731 in which a ball screw 723 is screwed.

Y 베이스(73) 상에는 Y축 방향으로 축을 갖는 볼나사(733)를 회전시키는 서보 모터(732)와, 카드 링크(735)를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접속 링크(734)가 설치되어 있다. 카드 링크(735)의 일부에는 볼나사(733)가 나사결합되어 있는 나사결합부(736)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프로브(81)를 구비한 프로브 카드(8)는 4개의 핀(82)에 의해 카드 링크(735)에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On the Y base 73, a servo motor 732 for rotating the ball screw 733 having an axis in the Y-axis direction and a connection link 734 for freely supporting the card link 735 are provided. A part of the card link 735 is formed with a screw engaging portion 736 in which the ball screw 733 is screwed. The probe card 8 including the plurality of probes 81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card link 735 by four pins 82.

한편, 도 4 및 도 5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프로브 카드(8)의 각 프로브(81)는 테스트 헤드(10)를 통하여 테스터 본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FIG. 4 and FIG. 5, each probe 81 of the probe card 8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ster main body through the test head 10.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프로브 카드 스테이지(7)에서는 서보 모터(711)를 구동함으로써 X 베이스(72), 따라서 프로브 카드(8)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서보 모터(722)를 구동함으로써 Y 베이스(73), 따라서 프로브 카드(8)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서보 모터(732)를 구동하여 볼나사(733)를 회전시켜 나사결합부(736)를 이동시킴으로써 카드 링크(735) 및 프로브 카드(8)를 그 수직축 둘레로 회전시킬 수 있다. In the probe card stage 7 having such a configuration, by driving the servo motor 711, the X base 72, thus the probe card 8 can be moved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servo motor 722 is driven. The Y base 73 and thus the probe card 8 can be moved in the Y axis direction. In addition, the card link 735 and the probe card 8 can be rotated about their vertical axis by driving the servo motor 732 to rotate the ball screw 733 to move the screw coupling portion 736.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푸셔 유니트(3)의 전단측(도 1 중 좌측)에 제 1카메라(6a)가 테스트 헤드(10)의 하측에 제 2카메라(촬상장치)(6b)가 푸셔 유니트(3)의 후단측(도 1 중 우측)에 제 3카메라(6c)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한편, 테스트 헤드(10)에는 제 2카메라(6b)가 프로브 카드(8)를 촬영할 수 있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the first camera 6a is located on the front end side (left side in FIG. 1) of the pusher unit 3 and the second camera (imaging device) 6b is located below the test head 10. The third camera 6c is provided at the rear end side (right side in FIG. 1) of the temporary pusher unit 3,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test head 10 is formed with a gap in which the second camera 6b can photograph the probe card 8.

푸셔 유니트(3)와 제 3카메라(6c)의 사이에는 마크 펀치(26a) 및 리젝트 펀치(26b)가 설치되어 있다. 마크 펀치(26a)는 시험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하는 TCP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에 한개 또는 복수개의 구멍을 뚫는 것이고, 리젝트 펀치(26b)는 시험 결과 불량품이라고 판단된 TCP를 펀칭하는 것이다. A mark punch 26a and a reject punch 26b are provided between the pusher unit 3 and the third camera 6c. Based on the test result, the mark punch 26a drills one or a plurality of holes at a predetermin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corresponding TCP, and the reject punch 26b punches the TCP determined as a defective test result.

각 카메라(6a),(6b),(6c)는 이들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화상을, 오퍼레이터가 확인 가능하도록 표시장치(9)에 표시한다. 이들 카메라 중, 제 1카메라(6a) 및 제 3카메라(6c)는 캐리어 테이프(5) 상에서의 TCP의 유무나 마크 펀치(26a)에 의한 구멍 위치나 개수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제 2카메라(6b)는 TCP와 프로브 카드(8)의 사이의 위치 어긋남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것으로, 시야내의 복수의 대상에 대하여 위치 어긋남 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Each camera 6a, 6b, 6c displays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se cameras on the display apparatus 9 so that an operator can confirm. Among these cameras, the first camera 6a and the third camera 6c are for judg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CP on the carrier tape 5 and the hole position and number by the mark punch 26a. The second camera 6b is for acquiring positional shift information between the TCP and the probe card 8, and is capable of acquiring positional shift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objects in the field of view.

또한, 제 2카메라(6b)는 카메라 스테이지(61) 상에 탑재되어 있고, 카메라 스테이지(61)가 갖는 액츄에이터에 의해 평면에서 볼 때 종횡 방향(X축-Y축 방향) 및 상하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camera 6b is mounted on the camera stage 61, and is viewed in a plan view by the actuator of the camera stage 61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X-axis and Y-axis directions) and in the vertical direction (Z-axis). Direction).

그리고, 표시장치(9)는 화상 처리부(90)와, 제 2카메라(6b)가 촬영한 표준화상(화상 처리부(90)에서 확대 처리되지 않은 화상) 또는 화상 처리부(90)에서 확대 처리된 확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91)과, 표시패널(91)에 표시하는 화상의 확대 배율을 변화시키기 위한 조작버튼(92)(확대표시 조작부)과, 표시하는 영역을 지정하는 영역 지정버튼(93)(영역 지정부)을 갖고 있다. 한편,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기타 조작수단, 예컨대 표시 화면상의 터치패널이나, 화면 스크롤용의 버튼 등 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화상 처리부(90)는 화상 데이터를 디지털 처리할 수 있는 컴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The display device 9 is a magnified image obtain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90 and the normalized image (image not magnifi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90) or the image processing unit 90 captured by the second camera 6b. A display panel 91 for displaying an image, an operation button 92 for changing the magnification of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91 (enlarged display operation section), and an area designation button 93 for specifying an area to be displayed; ) (Area designation section).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other operation means, for example, a touch panel on the display screen, buttons for scrolling the screen, or the like may be provided. The image processing unit 90 is configured by a computer capable of digitally processing image data.

조작버튼(92)은 「+」기호가 부여된 확대버튼(92a)과, 「-」기호가 부여된 축소버튼(92b)을 구비하고 있다. 확대버튼(92a)이 눌러지면 화상 처리부(90)에서 표준화상의 일부를 크게 표시하는 화상처리가 이루어지고, 표시패널(91)에 확대화상이 표시된다. 한편, 축소버튼(92b)이 눌러지면 화상 처리부(90)에서 확대 화상을 작게 표시하는 화상처리가 이루어지고, 표시패널(91)에 배율이 작아진 확대화상 또는 표준화상이 표시된다. 이와 같이, 표시장치(9)에서는 조작버튼(92)을 누름으로써 확대배율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어 확대배율의 하한치(1배)와 상한치(예컨대 5배)의 사이에서 임의의 확대배율을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The operation button 92 is provided with an enlargement button 92a given with a "+" symbol and a reduction button 92b given with a "-" symbol. When the magnification button 92a is pressed, an image processing for displaying a part of the normalized image on the image processing unit 90 is made large, and the magnified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91. On the other hand, when the reduction button 92b is pressed, image processing for displaying an enlarged image small in the image processing unit 90 is performed, and an enlarged image or a normalized image having a reduced magnific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91. In this manner, in the display device 9, the magnification can be continuously changed by pressing the operation button 92. The magnification can be arbitrarily set between the lower limit (1 times) and the upper limit (for example, 5 times) of the magnification. It is possible to choose.

영역 지정버튼(93)은 상하 좌우로 향한 화살표 기호가 부여된 4개의 버튼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들 버튼을 누름으로써 표시패널(91)에 표시되는 영역을 상하 좌우의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영역 지정버튼(93)의 조작에 의해 발생된 신호가 화상 처리부(90)로 입력되도록 되어 있고, 화상 처리부(90)는 이 입력에 따라 표시해야 할 화상 데이터를 표시패널(91)로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영역을 이동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상기 방법 이외에도 예컨대 제 2카메라(6b)를 이동시키는 방법 등을 사용하여도 좋다.The area designation button 93 is composed of four buttons with arrows pointing upward, downward, leftward and rightward, and by pressing these buttons, the area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91 can be moved in an arbitrary direction in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 In this embodiment, a signal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area designation button 93 is input to the image processing unit 90, and the image processing unit 90 displays image data to be displayed in accordance with this input. To output As the method of moving the area, in addition to the above method, for example, a method of moving the second camera 6b may be used.

여기에서, 도 6(a)의 표준화상에서는 테스트 패드(P)와 얼라인먼트 마크(55)가 동시에 표시되는 것이 요망된다. 또한, 표시패널(91)에서는 도 6에서는 생략되 어 있지만, 오퍼레이터가 작업하기 용이한 정보가 표시되는 것이 요망된다. 예컨대, 카메라 정보(배율치, 카메라의 XY 이동범위, 현재의 XY 위치정보 등), 관측대상의 TCP 정보(TCP 번호, 누름방향의 거리치, X축 좌표치, Y축 좌표치 등), 크로스 커서 및 이 교점 좌표정보(얼라인먼트 마크(55)를 기준으로 한 상대적인 XY 좌표치), 크로스 커서의 교점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테스트 패드(P)의 번호정보, 각 테스트 패드마다의 위치 어긋남량을 나타내는 XY 편차값 등이 표시되는 것이 요망된다. 또한, 표시패널(91)에서는 표준화상 및 확대화상의 2화상을 동시에 표시 가능하게 하여도 좋고, 이러한 2화상의 표시에 의해 위치맞춤 작업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Here, it is desired that the test pad P and the alignment mark 55 are simultaneously displayed on the normalized image of FIG. 6 (a).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FIG. 6 in the display panel 91, it is desired to display the information which is easy for an operator to work. For example, camera information (magnification value, camera XY movement range, current XY position information, etc.), TCP information (TCP number, distance in push direction, X-axis coordinate value, Y-axis coordinate value, etc.) to be observed, cross cursor, This intersection coordinate information (relative XY coordinate value based on the alignment mark 55), the number information of the test pad P located near the intersection point of the cross cursor, and the XY deviation value indicating the positional displacement amount for each test pad. It is desired that the back is displayed. In addition, the display panel 91 may make it possible to simultaneously display two images of the standardized image and the enlarged image, and the alignment operation can be facilitated by the display of these two images.

한편, 도 6에 도시한 TCP의 테스트 패드(P)의 배열예는 직선 모양 일례로 배열되어 있는 단순한 배열예이지만, 지그재그형 배열이나 복잡한 배열로 테스트 패드(P)가 형성되어 있는 TCP도 존재한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arrangement example of the test pad P of TCP shown in FIG. 6 is a simple arrangement example arrange | positioned by a straight line example, there exists also TCP in which the test pad P is formed by a zigzag arrangement or a complicated arrangement. .

제 2카메라(6b)는 최대 확대배율시에 있어서, 화상 처리부(90)가 프로브(81)/테스트 패드(P)의 위치 어긋남량을 소망의 정밀도로 구할 수 있는 고해상도의 카메라, 또는 오퍼레이터가 매뉴얼 조작에 의해 확대화상을 보면서 프로브(81)/테스트 패드(P)의 위치 어긋남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고, 또한 프로브(81)의 위치 조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고해상도의 카메라인 것이 요망된다. 또한, 오퍼레이터는 표시장치(9)의 화면을 보면서 도 6(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의 확대배율을 임의로 변화시켜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수시 조작하기 때문에, 확대표시(디지털 줌)의 처리를 할 때에 화상의 윤곽이 깔쭉깔쭉 표시되지 않도록 화상 처 리부(90)로 매끄러움(smoothing) 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고해상도의 카메라에 의해 선명한 윤곽으로 표시함으로써 오퍼레이터에 의한 프로브(81) 및 테스트 패드(P)의 위치맞춤 작업이 정확할 수 있다. 또한, 고해상도의 카메라를 적용함으로써 테스트 패드(P)가 보다 협피치의 TCP에도 대응할 수 있어 다수의 프로브(81)/테스트 패드(P)의 위치 어긋남의 상황이나 이들 윤곽이 정확하게 확인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프로브(81)/테스트 패드(P)의 개략적의 위치결정 처리 및 상세한 위치결정 처리에서 동일한 화상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고해상도의 카메라를 적용함으로써 프로브 카드 스테이지(7)의 기계적인 이동 오차가 저감되기 때문에 장래의 미세한 협피치의 테스트 패드(P)를 갖는 TCP에서도 정밀도가 양호하게 위치결정 할 수 있다. The second camera 6b is a high resolution camera or an operator whose image processing unit 90 can obtain the position shift amount of the probe 81 / test pad P with a desired precision at the maximum magnification. It is desired that the camera be a high resolution camera capable of grasping the positional shift of the probe 81 / test pad P while viewing the enlarged image by the operation, and performing the position adjustment of the probe 81. In addition, since the operator performs the operation at any time while viewing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9 so that the magnification of the image can be arbitrarily changed and accurately confirmed, as shown in Figs. It is preferable to perform a smoothing process with the image processing unit 90 so that the outline of the image does not appear jagged when the process is performed. By displaying in clear outline by a high resolution camera in this manner, the alignment operation of the probe 81 and the test pad P by the operator can be accurate. Further, by applying a high resolution camera, the test pad P can cope with a narrower pitch TCP, so that the situation of the position shift of the plurality of probes 81 / test pads P and the contour thereof can be accurately confirmed. In addition, the same image data can be used in the coarse positioning processing and the detailed positioning processing of the plurality of probes 81 / test pads P. FIG. In addition, since the mechanical movement error of the probe card stage 7 is reduced by applying a high resolution camera,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position the TCP with a test pad P having a fine pitch in the future.

다음에, TCP 핸들러(2)의 사용 방법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usage and operation of the TCP handler 2 will be described.

TCP 핸들러(2)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TCP 핸들러(2)를 실가동시키기 전에, 미리 프로브 카드(8)의 모든 프로브(81)가, 대응하는 테스트 패드(P)의 중앙위치로 위치결정되도록 프로브 카드(8)를 이동시키는 초기설정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즉, TCP의 품종을 변경한 경우나, 다른 생산 로트의 TCP를 시험할 경우 또는 프로브 카드(8)를 변경한 경우에는 TCP의 테스트 패드(P)와 프로브 카드(8)의 프로브(81)가 접촉되도록 프로브 카드 스테이지(7)의 X축 위치/Y축 위치/ θ회전각의 기준위치를 결정하여 등록할 필요가 있다(이 위치를 「등록위치」라 한다). 한편, 푸셔 스테이지(4)는 TCP의 시험 실행시에 사용하기 때문에 초기설정에서는 비제어 상태라고 가정한다. In the case of using the TCP handler 2, the probes are positioned so that all the probes 81 of the probe card 8 are previously positioned at the center positions of the corresponding test pads P before the TCP handler 2 is actually started. It is necessary to perform the initial setting for moving the card 8. That is, when the varieties of TCP are changed, when TCP of another production lot is tested, or when the probe card 8 is changed, the test pad P of the TCP and the probe 81 of the probe card 8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and register the reference position of the X-axis position / Y-axis position / θ rotation angle of the probe card stage 7 so as to be in contact (this position is referred to as a “registration position”). On the other hand, since the pusher stage 4 is used during test execution of TCP, it is assumed that the pusher stage 4 is in an uncontrolled state in the initial setting.

프로브 카드(8)의 초기설정에서는 우선 기준이 되는 TCP를 시험위치까지 반송하면, 제 2카메라(6b)에 의해 TCP의 테스트 패드(P) 및 프로브 카드(8)의 프로브(81)가 촬영되어 촬영된 표준화상이 표시패널(91)에 표시된다(도 6(a) 참조). 여기에서, 오퍼레이터가 표시패널(91)에 표시된 화상을 확인하면서 매뉴얼 조작에 의해 메인 스프로켓(35b) 및/또는 프로브 카드 스테이지(7)를 이동시켜 복수 개소(예컨대 도 6(a)에 도시한 9개소)의 프로브(81)와 이에 대응하는 테스트 패드(P)의 개략위치를 정한다. 한편, 개략위치의 결정은 소망에 의해 매뉴얼 조작이 아닌 자동 제어로 수행하여도 좋다.In the initial setting of the probe card 8, first, when the TCP, which is a reference, is returned to the test position, the test pad P of the TCP and the probe 81 of the probe card 8 are photographed by the second camera 6b. The captured normalized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91 (see Fig. 6A). Here, the operator moves the main sprocket 35b and / or the probe card stage 7 by manual operation while confirming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91 (for example, 9 shown in Fig. 6A). The outline position of the probe 81 of the location) and the test pad P corresponding thereto is determined. On the other hand, the determination of the outline position may be performed by automatic control instead of manual operation as desired.

다음에, 표시패널(91)에 표시되어 있는 프로브(81)/테스트 패드(P) 중의 소망의 프로브(81)/테스트 패드(P)가 표시패널(91)의 중앙에 표시되도록 영역 지정버튼(3)을 사용하여 표시영역을 이동시킨다. 그리고, 확대버튼(92a)을 눌러서 표시패널(91)에 확대화상을 표시하여, 선택된 프로브(81)/테스트 패드(P)를 확대 표시한다(도 6(b) 참조). Next, the area designation button (the desired probe 81 / test pad P in the probe 81 / test pad P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91 is displayed in the center of the display panel 91). Use 3) to move the display area. Then, the magnified button 92a is pressed to display an enlarged image on the display panel 91 to enlarge and display the selected probe 81 / test pad P (see FIG. 6B).

이 상태로, 오퍼레이터는 복수의 프로브(81)가 테스트 패드(P)의 가능한 한중앙위치에 접촉하도록 매뉴얼 조작에 의해 프로브 카드 스테이지(7)를 X축 방향/Y축 방향/θ회전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위치조정을 수행한다. 이 조정작업은 일반적으로는 TCP의 4각에 있는 복수의 테스트 패드(P)와 이에 대응하는 프로브(81)에 대하여 수행한다. 이 조정작업에 의해 모든 프로브(81)에 대하여 최적 상태로 된 프로브 카드 스테이지(7)의 상태를 기준위치로 하여 등록한다. In this state, the operator moves the probe card stage 7 in the X-axis direction / Y-axis direction / θ rotation direction by manual operation so that the plurality of probes 81 contact the center position as much as possible of the test pad P. Perform the position adjustment while This adjustment is generally performed for the plurality of test pads P at four angles of the TCP and the corresponding probes 81. This adjustment operation registers the state of the probe card stage 7 which is in an optimal state with respect to all the probes 81 as a reference position.

여기에서, 프로브(81)는 다수회의 누름에 따라 변형되게 된다. 즉, 각 프로 브(81)는 X축 방향/Y축 방향/Z방향(누름 방향)의 위치 어긋남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든 프로브(81)의 접촉단이 반드시 태스트 패드(P)의 중앙위치가 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문에, 모든 프로브(81)가 안정되게 테스트 패드(P)에 접촉될 수 있는 최적 상태로 세팅할 필요가 있다. Here, the probe 81 is deformed by a plurality of pressing. That is, each probe 81 may have a position shift in the X-axis direction / Y-axis direction / Z direction (pressing direction). Therefore, the contact ends of all the probes 81 do not necessarily become the center positions of the task pads P. FIG.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set it to the optimal state in which all the probes 81 can contact the test pad P stably.

상기와 같이 표시패널(91)로 확대화상을 표시함으로써 표준화상으로는 프로브(81) 및 테스트 패드(P)가 작고 가늘게 되어 있어 확인이 어려운 경우더라도 프로브(81) 및 테스트 패드(P)가 크게 표시되어 확인하기 용이해지기 때문에 테스트 패드(P)에 대한 프로브(81)의 위치맞춤 작업을 용이하게 또한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된다.By displaying the enlarged image on the display panel 91 as described above, the probe 81 and the test pad P are largely displayed even when the probe 81 and the test pad P are small and thin in the standardized image. Since it becomes easy to confirm, the alignment operation of the probe 81 with respect to the test pad P can be performed easily and correctly.

상기 초기설정에서, 제 2카메라(6b)의 시야내의 소정위치의 위치좌표를 아울러 등록한다. 위치좌표는 복수개소, 특히 카메라의 시야내의 떨어진 대상에 대하여 3개소 이상 등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위치 어긋남 정보를 높은 정밀도로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소정의 대상으로서는 예컨대 캐리어 테이프(5)에서의 얼라인먼트 마크(55), TCP의 대각선상에 있는 2개 이상의 테스트 패드(P) 또는 특징의 어느 리드, 이들에 대응하는 2개 이상의 프로브(81) 선단부 등을 선택할 수 있다. In the initial setting,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field of view of the second camera 6b are also registered. It is preferable to register three or more positional coordinates with respect to plural places, especially the object which fell in the visual field of a camera. As a result, the position shift information can be obtained with high accuracy. Predetermined objects include, for example, an alignment mark 55 on a carrier tape 5, two or more test pads P on a diagonal line of TCP or any lead of a feature, and two or more probes 81 corresponding to them. Etc. can be selected.

다음에, TCP 핸들러(2)를 실가동시켜 수천개의 TCP를 순차 시험에 제공하는 경우의 TCP 핸들러(2)의 주동작을, 도 7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프로브 카드 스테이지(7)는 상기 초기설정에서 등록한 등록위치로 프로브 카드(8)를 이동하여 고정 상태로 하는 것으로 하고, 순차 이송되 는 TCP의 각 시험전에 수행하는 위치 어긋남 보정의 미조정은 미조정용 푸셔 스테이지(4)에 의해 수행하는 것으로 한다. 단, 이 미조정은 푸셔 스테이지(4) 대신에 프로브 카드 스테이지(7)를 미동시키는 방법으로도 가능하다. 또한, 제 2카메라(6b)는 최초의 단계에서 도 6(a)에 도시한 촬영위치(얼라인먼트 마크(55)와 테스트 패드의 양쪽이 촬영되는 위치)로 카메라 스테이지(61)에 의해 이동시킨 후, 모든 TCP의 시험이 완료되기까지 부동의 상태로 하여 해당 9점의 테스트 패드(P)와 프로브(81)만으로 기초하여 위치 어긋남을 보정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Next, the main operation of the TCP handler 2 in the case where the TCP handler 2 is actually operated to provide thousands of TCPs to the sequential tes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7.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obe card stage 7 moves the probe card 8 to the registration position registered in the initial setting and makes it fixed, and the position shift performed before each test of TCP sequentially transferred. The fine adjustment of the correction is performed by the fine adjustment pusher stage 4. However, this fine adjustment can also be carried out by the method of microscopically moving the probe card stage 7 instead of the pusher stage 4. In addition, the second camera 6b is moved by the camera stage 61 to the photographing position (the position at which both the alignment mark 55 and the test pad are photographed) shown in Fig. 6A in the first stage. It is assumed that the misalignment is corrected on the basis of only the test pads P and the probes 81 at the nine points in a floating state until all the TCP tests are completed.

TCP 핸들러(2)가 주동작을 개시하면, 프로브 카드 스테이지(7)는 상기 초기 설정으로 등록된 등록위치로 이동한다(스텝 S01). 이후에서는 각 TCP마다의 이송계나 기타로 기인하는 미소한 위치 어긋남을 보정할 필요가 있다. 다음에서, 메인 스프로켓(35b)과 텐션 스프로켓(35a)이 소정 각도로 회전함으로써 캐리어 테이프(5)를 이동시켜 첫번째의 TCP를 흡착 플레이트(34)의 하측의 소정위치까지 반송한다(스텝 S02). When the TCP handler 2 starts the main operation, the probe card stage 7 moves to the registration position registered in the initial setting (step S01). Subsequently, it is necessary to correct the slight position shift caused by the transfer system or the like for each TCP. Next, by rotating the main sprocket 35b and the tension sprocket 35a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carrier tape 5 is moved to convey the first TCP to a predetermined position below the suction plate 34 (step S02).

TCP가 흡착 플레이트(34)의 하측까지 반송되어 오면, 푸셔 유니트(3)의 서보 모터(31)가 구동하여 푸셔 본체부(33)를 개재하여 흡착 플레이트(34)를 Z축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에서, 텐션 스프로켓(35a)은 캐리어 테이프(5)의 주행 방향과 역방향의 토크가 부여됨으로써 캐리어 테이프(5)에 소정의 텐션이 걸려 있기 때문에 캐리어 테이프(5)는 느슨해짐이 없는 상태가 되어 캐리어 테이프(5)의 위치 정밀도가 향상된다. 흡착 플레이트(34)는 캐리어 테이프(5)를 흡착하여 TCP를 홀드 고정 상태로 하여 이후 촬영위치까지 하강한다(스텝 S03). When the TCP is conveyed to the lower side of the suction plate 34, the servo motor 31 of the pusher unit 3 drives to move the suction plate 34 in the Z-axis direction through the pusher body part 33. . Here, since the tension sprocket 35a is given a torqu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carrier tape 5, the carrier tape 5 is in a state where the carrier tape 5 is not loosened. The positional accuracy of the carrier tape 5 is improved. The adsorption plate 34 adsorb | sucks the carrier tape 5, and makes TCP hold | maintain and hold | maintains, and it descend | falls to a photography position afterwards (step S03).

상기 상태로 제 2카메라(6b)는 촬영을 수행하고(스텝 S04), 얻어진 화상 데이터를 화상 처리부(90)로 송신한다. 화상 처리부(90)는 수신한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준화상을 각종 정보(X좌표치, Y좌표치, 배율, 푸셔의 위치정보 등)와 함께 표시패널(91)에 표시하여(스텝 S05) 오퍼레이터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In this state, the second camera 6b performs shooting (step S04) and transmits the obtained image data to the image processing unit 90. The image processing unit 90 receives the received image data and displays the standardized image on the display panel 91 together with various information (X coordinate value, Y coordinate value, magnification,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usher, etc.) (step S05) and the operator confirms it. To be able.

그리고, 화상 처리부(90)는 테스트 패드(P)와 프로브(81)의 위치 어긋남 정보(위치 어긋남의 방향(X축 방향·Y축 방향) 및 위치 어긋남의 양)를 연산에 의해 구한다(스텝 S06). 이 때문에 화상 처리부(90)는 우선 얼라인먼트 마크(55)를 특정하고 해당 얼라인먼트 마크(55)의 화상 위의 위치와 카메라 스테이지(61)의 스테이지 위치로부터 해당 얼라인먼트 마크(55)의 위치정보를 구한다. 상기 얼라인먼트 마크(55)의 위치정보로부터 캐리어 테이프(5) 자신의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어긋남을 구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테스트 패드(P)와 프로브(81)의 위치 관계는 얼라인먼트 마크(55)의 위치를 기준점으로 한 상대적인 것이다. Then, the image processing unit 90 calculates the positional shift information (the direction of the positional shift (the X-axis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and the amount of positional shift) between the test pad P and the probe 81 by calculation (step S06). ). Therefore, the image processing unit 90 first identifies the alignment mark 55 and obtains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alignment mark 55 from the position on the image of the alignment mark 55 and the stage position of the camera stage 61. From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alignment mark 55, the deviation of the X-axis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of the carrier tape 5 itself can be obtained. On the other hand,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each test pad P and the probe 81 is relative to the position of the alignment mark 55 as a reference point.

위치 어긋남 정보는 관측 대상인 테스트 패드(P)와 프로브(81) 선단부의 중합 상태에 기초하여 구하지만, 관측 대상의 갯수는 처리 능력의 범위내에서 많이 하는 것이 요망된다. 한편, θ회전 방향의 어긋남도 검출하기 원하는 경우에는 표준화상에서 TCP의 대각선상에 위치하는 적어도 2개소, 또는 서로 멀리 떨어진 적어도 2개소의 테스트 패드(P)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 요망된다. Although the position shift information is calculated | required based on the superposition | polymerization state of the test pad P and the tip part of the probe 81 which are observation objects, it is desired that the number of observation objects is large in the range of processing capability.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sired to detect the deviation in the θ rotation direction, it is desired to target at least two test pads P located on a diagonal line of TCP or at least two spaces apart from each other on a normalized basis.

여기에서, 위치 어긋남 정보에 프로브(81)의 변형에 따른 변형 어긋남량이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존재하는 경우에는 복수개의 관측대상으로부터 얻어지는 복수의 위치 어긋남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관측대상이 안정되게 접촉될 수 있는 근사직선을 구하고, 그 근사직선으로부터 X축 방향 및 Y축 방향에 대한 최적의 보정량을 얻도록 하여도 좋다. Here, when the amount of deformation deviation due to the deformation of the probe 81 exists in the positional deviation information so as to be insignificant, the plurality of observation objects can be stably contacted based on the plurality of positional devi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plurality of observation objects. An approximate straight line that can be obtained may be obtained, and an optimum correction amount for the X-axis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may be obtained from the approximated straight line.

한편, 제 2카메라(6b)로서 고해상도의 카메라를 적용함으로써 다수의 관측대상의 화상 데이터를 명료하게 취득할 수 있는 결과, 보다 정확한 보정량을 특정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고해상도의 카메라를 적용함으로써 TCP의 넓은 영역을 동시에 촬상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카메라 스테이지(61)를 이동하여 촬상할 필요성을 저감할 수 있어 이동시간에 따른 처리율의 저하를 개선할 수 있다. 여기에서, 만약 종래의 저해상도의 카메라를 적용한 경우에는 화상 인식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시야각이 좁은 카메라를 적용할 필요성이 있지만, 시야각이 좁으면 복수화상의 촬영이 필요하게 되어, 이 결과 얻어진 복수화상의 오버레이 처리나 렌즈 왜곡 등의 화상 보정에 따른 오차 요인이 발생한다. 여기에서, 고해상도의 카메라를 적용함으로써 광시야각의 화상을 얻을 수 있어 상기 오차요인을 저감할 수 있는 결과, 협피치의 TCP에도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by applying a high resolution camera as the second camera 6b, it is possible to clearly acquire image data of a large number of observation targets, and as a result, it is easy to specify a more accurate correction amount. In addition, by applying a high-resolution camera,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capture a large area of TCP, so as to reduce the necessity of moving and imaging the camera stage 61 as in the prior art, and to lower the throughput according to the travel time. . Here, if a conventional low resolution camera is applied, it is necessary to apply a camera having a narrow viewing angle in order to secure image recognition, but when the viewing angle is narrow, multiple image shooting is required, and as a result, multiple image obtained Errors caused by image correction such as overlay processing and lens distortion occur. Here, by applying a high resolution camera, an image of a wide viewing angle can be obtained, and the error factor can be reduc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cope with TCP of narrow pitch.

테스트 패드(P)와 프로브(81)의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위치 어긋남량 △D(△x,△y)를 프로브(81)와 테스트 패드(P)가 접촉하는 위치의, 테스트 패드(P)의 중심위치로부터의 상대적인 어긋남량이고, 화상 처리부(90)는 상기 위치 어긋남량 △D(△x,△y)을 연산에 의해 구한다. 도 6(b)의 확대화상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어긋남량 △D로서 X축 방향의 어긋남량 △x와 Y축 방향의 어긋남량 △y가 있다. 프로브(81)에 불량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예컨대 9점의 프로브(81) 및 이에 대응하는 테스트 패드(P)의 각각에 대하여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위치 어긋남량△D(△ x,△y)를 구하고, 얻어진 9점의 위치 어긋남량 △D로부터 근사직선을 구하고, 이 근사직선에 기초하여 가장 정확한 위치 어긋남량 △D(△x,△y)를 취득하여도 좋다. 이 근사직선에 의해 θ회전 방향의 위치 어긋남량도 동시에 얻어진다. 근사직선을 이용하여 취득한 위치 어긋남량 △D에 기초하여 위치어긋남 보정을 수행함으로써 복수점의 프로브(81)와 테스트 패드(P)에 대하여 보다 안정된 접촉 상태가 얻어진다. The test pad at a position where the probe 81 and the test pad P come in contact with the position shift amounts ΔD (Δx, Δy)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of the test pad P and the probe 81. It is a relative shift amount from the center position of (P), and the image processing unit 90 calculates the position shift amount? D (? X,? Y) by calculation. As shown in the enlarged image of Fig. 6 (b), there are the shift amount? X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shift amount? Y in the Y-axis direction as the position shift amount? D. When a defect exists in the probe 81, for example, the position shift amounts D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each of the nine probes 81 and the test pads P corresponding thereto, D (Δ x, Δ y) may be obtained, and an approximation straight line may be obtained from the obtained 9 position misalignment amount ΔD, and the most accurate position misalignment amount ΔD (Δx, Δy) may be obtained based on this approximation straight line. By this approximate straight line, the amount of position shift in the θ rotation direction is also obtained at the same time. By performing the position shift correction based on the position shift amount D obtained using the approximate straight line, a more stable contact state is obtained with respect to the probe 81 and the test pad P of the plurality of points.

다음에, 상기에서 얻어진 위치 어긋남량 △D에서, 첫번째로, 위치 어긋남 보정의 필요가 없다고 판단된 경우(스텝 S07-No)에는 후술하는 스텝 S10으로 스킵한다. 이 스킵에 의해 시험의 처리율이 개선될 수 있다. 두번째로, 위치 어긋남 보정의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 경우(스텝 S07-Yes)에는 화상 처리부(90)는 큰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고 있는 프로브(81)/테스트 패드(P)의 확대화상을 표시패널(91)에 자동적으로 표시한다(스텝 S08). 그리고, TCP 핸들러(2)는 상기와 같은 큰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고 있는 프로브(81)와, 기타 프로브(81)의 관계로부터 접촉 가능한 최적의 이동량을 구한 후, 푸셔 스테이지(4)를 구동하여 위치 어긋남 보정을 실행한다(스텝 S09). 한편, 상술한 근사직선으로부터 X축 방향·Y축 방향에 대한 보정량을 특정하여 그 보정을 실행하여도 좋다.Next, in the position shift amount DELTA D obtained above, when it is determined that position shift correction is not necessary first (step S07-No), it skips to step S10 mentioned later. This skip can improve the throughput of the test. Second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ition shift correction is necessary (step S07-Yes), the image processing unit 90 displays an enlarged image of the probe 81 / test pad P causing the large position shift, and the display panel 91 ) Is displayed automatically (step S08). Then, the TCP handler 2 calculates the optimum amount of movement that can be contact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be 81 causing the large position shift as described above and the other probe 81, and then drives the pusher stage 4 to shift the position. Correction is performed (step S09). On the other hand, the correction amount for the X-axis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may be specified from the above approximated straight line and the correction may be performed.

위치 어긋남을 보정하여 위치맞춤을 하는데는 푸셔 스테이지(4)의 서보 모터(41a),(41b),(41c)를 구동시켜 톱테이블(48), 따라서 푸셔 유니트(3)를 움직여서 흡착 플레이트(34)로 흡착하고 있는 캐리어 테이프(5)를 X축 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 및/또는 수직축 둘레로 회전 이동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 한편, 프로브 카드 스테이지(7)의 서보 모터(711),(722),(732)를 구동시켜 X 베이스(72), Y 베이스(73) 또는 카드 링크(735)를 움직여서 프로브 카드(8)를 X축-Y축 방향으로 이동 및/또는 수직축 둘레(θ회전 방향)로 회전 이동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푸셔 스테이지(4)는 프로브 카드 스테이지(7) 보다도 단시간에 이동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푸셔 스테이지(4)를 이동시키는 쪽이 처리율의 관점에서 유리하다. In order to correct the misalignment, the servomotors 41a, 41b, and 41c of the pusher stage 4 are driven to move the top table 48, and thus the pusher unit 3, so that the suction plate 34 is moved. ), A method of moving the carrier tape 5 adsorbed by the < RTI ID = 0.0 >) < / RTI > On the other hand, the servo cards 711, 722, and 732 of the probe card stage 7 are driven to move the X base 72, the Y base 73, or the card link 735 to move the probe card 8. Although a method of moving in the X-Y-axis direction and / or rotating around the vertical axis (θ rotation direction) may be used, the pusher stage 4 can be moved and controlled in a shorter time than the probe card stage 7, so it is pusher. Moving the stage 4 is advantageous in terms of throughput.

상기와 같이, 제 2카메라(6b)로서 고해상도의 것을 적용함으로써 카메라 스테이지(61)가 고정 상태이더라도 보다 많은 관측대상을 명료하게 촬상할 수 있기 때문에 협피치의 TCP이더라도 고정밀도의 위치결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고 있는 프로브(81)/테스트 패드(P)의 확대화상을 표시패널(91)로 표시함으로써 테스트 패드(P)와 프로브(81)의 위치 어긋남의 상황이나 형상의 윤곽을 정확하게 파악·특정할 수 있는 동시에 위치 어긋남의 보정을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위치 어긋남 보정은 자동적으로 수행하고 있지만, 매뉴얼 조작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확대화상의 자동표시에 의해 위치 어긋남 개소를 신속하게 파악하여 위치 어긋남 보정을 확실하게 또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시험의 처리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high resolution is used as the second camera 6b, even when the camera stage 61 is fixed, a larger number of objects can be captured clearly, so that high-precision positioning can be performed even with a narrow pitch TCP. It is possible. On the other hand, by displaying the enlarged image of the probe 81 / test pad P causing the position shift on the display panel 91, the contour of the situation and the shape of the position shift between the test pad P and the probe 81 can be accurately corrected. It can be grasped and specified, and the positional correction can be confirmed with certainty. In addition, although this position correction is performed automatically in this embodiment, it can also be performed by manual operation.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throughput of the test because the positional shift point can be identified quickly by the automatic display of the enlarged image and the positional shift correction can be reliably and easily performed.

다음에서, 푸셔 유니트(3)의 서보 모터(31)가 구동되어 푸셔 본체부(33)를 개재하여 흡착 플레이트(34)를 Z축 아래 방향으로 더 이동시킨다. 캐리어 테이프(5)를 흡착한 흡착 플레이트(34)는 접촉 위치까지 하강하고 TCP를 프로브 카드(8)의 프로브(81)에 대하여 누른다(스텝 S10). Next, the servo motor 31 of the pusher unit 3 is driven to further move the suction plate 34 in the Z-axis direction via the pusher main body 33. The adsorption plate 34 which adsorb | sucked the carrier tape 5 descend | falls to a contact position, and presses TCP against the probe 81 of the probe card 8 (step S10).

누름 후에 있어서, 소망에 따라 접촉 상태 그대로, 흡착 플레이트(34)를 전 후 좌우로 미소하게 요동(스크라이브)시키거나, 흡착 플레이트(34)에 초음파 진동을 부여하거나 하여도 좋다. 또한, 이 단계에서 소망에 따라 접촉 상태에서의 프로브(81)/테스트 패드(P)의 위치관계를 촬영하여 비접촉시의 위치 어긋남 보정량에 대하여, 접촉시에서의 미소한 접촉 어긋남량을 구하는 처리를 추가하여도 좋다. 이 추가 처리는 시험 실시와 병행하여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처리율에는 영향이 없다. 그리고, 얻어진 미소한 접촉 어긋남량을, 다음회 이후의 위치 어긋남 보정량에 더함으로써 한층 더 안정된 접촉을 실현할 수 있다. After pressing, the adsorption plate 34 may be slightly rocked (scribed) slightly before and after and after the contact state as desired, or ultrasonic vibration may be applied to the adsorption plate 34. In this step, a process of photograph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probe 81 and the test pad P in the contact state as desired and obtaining a small contact shift amount at the time of contact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shift correction amount at the time of non-contact is performed. You may add it. This additional treatment can be carried out in parallel with the test run and therefore does not affect the throughput. And the stable contact can be implement | achieved further by adding the obtained small contact shift amount to the position shift correction amount after the next time.

TCP의 테스트 패드(P)가 프로브(81)에 접촉되면 우선 미소한 직류전류를 각 테스트 패드(P)로 인가하여, TCP의 내부회로(예컨대 보호용 다이오드)에 흐르는 전류의 유무나 전압치를 측정하여, 모든 테스트 패드가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있는지의 여부 및 인접핀 사이의 쇼트의 유무를 확인(접촉 체크)한다(스텝 S11). 상기 접촉 체크에서 접촉 불량이 발생된 경우에는 접촉 상태 그대로 흡착 플레이트(34)를 전후 좌우로 미소하게 요동(스크라이브)시키거나, 흡착 플레이트(34)에 초음파 진동을 부여하거나, 푸셔 본체부(33)를 상하 이동시켜서 재접촉 동작을 수행하거나 한다. 이것에 의해서도 다시 접촉 불량이 되는 경우에는 상기 TCP는 불량품이라고 판단한다. 여기에서는 접촉시의 접촉 저항치가 정상으로 시험 가능한 허용 저항치보다 큰가의 여부는 확인 곤란한 것으로 가정한다. When the test pad P of the TCP contacts the probe 81, a small DC current is first applied to each test pad P to measur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TCP's internal circuit (for example, a protection diode) or a voltage value. Then, it is checked whether all test pads are in electrical contact and whether there is a short between the adjacent pins (contact check) (step S11). In the case where contact failure occurs in the contact check, the adsorption plate 34 is slightly rocked (scribed) back and forth or left and right as it is in a contact state, the ultrasonic plate is imparted to the adsorption plate 34, or the pusher body part 33 is disposed. Move up and down to perform re-contact operation. In this case, when contact failure is again caused, the TCP is determined to be a defective product. It is assumed here that it is difficult to confirm whether the contact resistance at the time of contact is larger than the allowable resistance that can be tested normally.

이후, TCP에는 테스터 본체로부터 테스트 헤드(10)를 통하여 테스트 신호가 인가되어 TCP로부터 판독된 응답신호는 테스트 헤드(10)를 통하여 테스터 본체로 보내진다(스텝 S12). 이에 따라 TCP의 성능이나 기능 등이 시험되어 TCP에 대하여 양품, 불량품, 등급 분류 등의 판정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양품이라고 판정된 TCP는 마크 펀치(26a)의 위치까지 반송된 때에 마크 펀치(26a)에 의해 양품인 마크가 부여되고, 불량품이라고 판정된 TCP는 리젝트 펀치(26b)의 위치까지 반송된 때에 리젝트 펀치(26b)에 의해 펀칭되게 된다. 한편, 마크 펀치(26a)나 리젝트 펀치(26b)는 운용 형태에 따라 동작시키지 않도록 하는 경우도 있다. Subsequently, a test signal is applied to the TCP from the tester main body through the test head 10, and the response signal read out from the TCP is sent to the tester main body through the test head 10 (step S12). Accordingly, the performance and function of the TCP are tested, and the determination of good quality, defective product, classification, etc. is performed on the TCP. And when the TCP determined as good quality is conveyed to the position of the mark punch 26a, the mark which is good quality is given by the mark punch 26a, and the TCP determined as defective is conveyed to the position of the reject punch 26b. It is punched by the reject punch 26b at the time. On the other hand, the mark punch 26a and the reject punch 26b may not be operated depending on the operation mode.

불량품의 판정은 TCP의 테스트 패드(P)와 프로브(81)의 접촉 불량에 기초한 경우가 있고, 이 경우에는 접촉 불량이 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는 프로브(81)/테스트 패드(P)로 카메라 스테이지(61)를 이동시킨 후, 해당 TCP의 번호, 해당 테스트 패드의 번호, 누름 방향의 거리치, X축 좌표치, Y축 좌표치 등의 정보와 함께, 그 확대화상을 표시패널(91)에 자동적으로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에 따라, 실제로 접촉 불량이 발생하고 있는 IC핀의 테스트 패드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The determination of the defective product may be based on the poor contact between the test pad P of the TCP and the probe 81, and in this case, the camera stage (using the probe 81 / test pad P, which may be a poor contact) may be used. 61), the enlarged image is automatically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91 together with information such as the TCP number, the test pad number, the distance in the pushing direction, the X axis coordinate value, and the Y axis coordinate value. You may also do so.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grasp the state of the test pad of the IC pin in which contact failure is actually occurring.

접촉 불량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스텝 S13-Yes), 첫번째로 오퍼레이터가 매뉴얼 조작에 의해 표시패널(91)의 확대화상을 보면서 프로브(81)의 위치조정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스텝 S14a). 이 위치조정은 확대화상을 보면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In the case where it is determined that contact failure has occurred (step S13-Yes), the operator can firstly perform the position adjustment of the probe 81 while viewing the enlarged image of the display panel 91 by manual operation (step S13-Yes) (step S13-Yes). S14a). This position adjustment can be easily performed because it can be performed while viewing an enlarged image.

두번째로, 자동적으로 재시험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스텝 S14b). 이 경우에는 테스터 본체로부터 불량품의 판정에 관계하는 테스트 패드의 번호정보를 받아 그 정보에 대응하는 테스트 패드(P) 및 그 주변의 테스트 패드(P)에 대하여, 상기와 마찬가지로 위치 어긋남량을 구하고, 구해진 위치 어긋남량이 정상인 접촉 영역 으로부터 벗어나 있는 경우에는 일단 비접촉 상태로 하여 푸셔 스테이지(4)를 위치 어긋남 보정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접촉 상태로 하여 다시 시험을 실행한다. 이 재시험에 의해 TCP가 양품이라고 판단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접촉 불량이 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는 테스트 패드(P)의 추출은 상기의 시험 결과나 접촉 체크의 결과에 기초하여 얻어진다.Secondly, the retest can be automatically performed (step S14b). In this case, receiving the number information of the test pad related to the determination of the defective product from the tester main body, the position shift amount i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above with respect to the test pad P and the surrounding test pad P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In the case where the obtained positional shift amount is out of the normal contact area, the pusher stage 4 is moved in the non-contact state once in the direction for correcting the positional shift, and then the test is performed again in the contact state. It may be judged that TCP is a good product by this retest. On the other hand, extraction of the test pad P which may become a contact failure is obtained based on the test result mentioned above or the result of a contact check.

상기와 같이 하여 TCP의 시험이 종료하면 푸셔 유니트(3)의 서보 모터(31)가 구동하고, 푸셔 본체부(33)를 개재하여 흡착 플레이트(34)를 Z축 방향으로 이동시켜초기상태로 한다(스텝 S15). 프로브 카드 스테이지(7)를 위치 어긋남 보정에 적용한 경우에는 등록위치로 되돌려 둔다. 그리고, 흡착 플레이트(34)는 캐리어 테이프(5)의 흡착을 정지하여 캐리어 테이프(5)를 해방하는 동시에 Z축 방향으로 더 이동시킨다(스텝 S16). When the TCP test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servo motor 31 of the pusher unit 3 is driven to move the suction plate 34 in the Z-axis direction to the initial state via the pusher main body 33. (Step S15). When the probe card stage 7 is applied to the misalignment correction, the probe card stage 7 is returned to the registered position. And the adsorption plate 34 stops adsorption of the carrier tape 5, releases the carrier tape 5, and moves it further to a Z-axis direction (step S16).

그 후, TCP 핸들러(2)는 시험을 수행한 TCP가 최후의 디바이스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17), 최후의 디바이스라고 판단한 경우에는(스텝 S17-Yes) 주동작을 종료한다. 한편, 최후의 디바이스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에는(스텝 S17-No) 스텝 S02로 되돌아간다. Thereafter, the TCP handler 2 judges whether the TCP which has been tested is the last device (step S17),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it is the last device (step S17-Yes), the main operation ends. On the other hand, when it determines with not being the last device (step S17-No), it returns to step S02.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기재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해 기재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실시 형태에 개시된 각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모든 설계 변경이나 균등물을 포함하는 취지이다.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describ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describ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each element disclosed in the said embodiment is intended to include all the design changes and equivalents which belong to the technical scope of this invention.

예컨대, 화상 처리부(90)의 화상확대 처리기능은 제 2카메라(6b)로서 고해상 도의 카메라를 적용하여 그 카메라에 해당 기능을 갖도록 하여도 좋고, 광학 줌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를 적용하여 화상 처리부(90)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줌 동작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For example, the image magnification processing function of the image processing unit 90 may be applied to a high resolution camera as the second camera 6b so as to have a corresponding function to the camera, or by applying a camera having an optical zoom function to the image processing unit ( The zoom operation may be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instruction from 90).

또한, 표시장치(9)의 화면 상에는 프로브(81)의 프로브 접촉점과, 테스트 패드(P)의 중앙 위치점을 겹쳐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즉, 화상 처리부(90)가 수신한 화상 데이터를 처리하고, 첫번째로 프로브(81)의 형상(외형 또는윤곽)을 추출하고, 추출한 형상으로부터 해당 프로브(81)의 돌출단의 위치(테스트 패드(P)에 접촉하는 프로브 접촉점)를 특정한다. 여기에서, 프로브 접촉점의 프로브(81)의 형상에 대한 위치관계는 미리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두번째로, 테스트 패드(P)의 형상(외형 또는 윤곽)을 추출하고, 추출한 형상으로부터 해당 테스트 패드(P)의 중앙 위치점을 특정한다. 그리고, 촬상한 화상과 함께 프로브 접촉점의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와 테스트 패드(P)의 중앙 위치점의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를 표시패널(91)로 겹쳐 표시한다. 이에 따라, 오퍼레이터는 테스트 패드(P)의 중앙 위치점과 프로브 접촉점의 어긋남 상태를 명료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위치맞춤의 조정작업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소망에 따라 상기에서 추출한 프로브 접촉점 및 테스트 패드(P)의 중앙 위치점을, 얼라인먼트 마크(55)의 위치정보와 함께 기억장치에 보존하여 프로브(81)의 변형의 인식이나 기타 통계처리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The probe contact point of the probe 81 and the center position point of the test pad P may be superimpos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9. That is, the image processing unit 90 processes the image data received, first extracts the shape (outline or outline) of the probe 81, and then the position of the protruding end of the probe 81 (test pad ( Probe contact point in contact with P)). Here, the positional relationship with respect to the shape of the probe 81 of a probe contact point shall be registered beforehand. Second, the shape (outer shape or contour) of the test pad P is extracted, and the center position point of the test pad P is specified from the extracted shape. A mark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probe contact point and a mark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center position point of the test pad P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91 together with the captured image. Thereby, since the operator can grasp | ascertain clearly the misalignment state of the center position point of a test pad P, and a probe contact point, an operator can perform alignment adjustment operation correctly. On the other hand, if desired, the probe contact point extracted above and the center position point of the test pad P are stored together with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alignment mark 55 in the storage device for recognition of deformation of the probe 81 or other statistical processing. You may make it available.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카메라 스테이지(61)를 최초의 단계에서 소정의 위치(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얼라인먼트 마크(55)와 테스트 패드(P)의 양쪽이 촬영되는 위치, 또는 얼라인먼트 마크(55)를 기준으로 하는 공지의 위치)로 이동시킨 후, 모든 TCP의 시험이 완료되기까지 카메라 스테이지(61)를 이동시키지 않는 것으로 하는 단순한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TCP에 대단히 다수의 테스트 패드(P)가 있는 경우나, 새로운 고정밀도의 위치결정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테스트 패드(P)의 대각선상의 적어도 2개소, 또는 서로 원단에 있는 적어도 2개소의 테스트 패드(P)로 카메라 스테이지를 순차 이동시켜서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복수의 프로브(81)와 이것에 대응하는 테스트 패드(P)의 위치 어긋남량 △D(△x,△y)을 각각 구하도록 하여도 좋다. 여기에서, 얼라인먼트 마크(55)가 복수 개소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얼라인먼트 마크(55)의 어느 위치를 촬영하는 것이 요망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구한 모든 위치 어긋남량 △D에 기초하여 안정된 접촉이 얻어지는 방향으로 푸셔 스테이지(4) 또는 프로브 카드(8)를 X축 방향/Y축 방향/θ회전 방향으로 이동시켜도 좋다. 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amera stage 61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first stage (the position where both the alignment mark 55 and the test pad P are photographed, as shown in Fig. 6 (a), or A simple case in which the camera stage 61 is not moved until all the TCP tests are completed after moving to the alignment mark 55 as a known position) is explained. When there is (P) or when a new high-precision positioning is required, at least two test pads P on the diagonal of the plurality of test pads P, or at least two test pads P at the far end of the camera stage are used. May be sequentially moved to obtain the position shift amounts ΔD (Δx, Δy) of the plurality of probes 81 and the test pads P corresponding thereto. Here, when the alignment mark 55 exists in several places, it is desired to image which position of the alignment mark 55. The pusher stage 4 or the probe card 8 may be moved in the X-axis direction / Y-axis direction / θ rotation direction in the direction where stable contact is obtained based on all the positional displacement amounts ΔD obtained above.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우선 얼라인먼트 마크(55)의 위치를 특정한 후, 정확한 위치결정 처리를 수행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정확한 위치결정이 요구되지 않는 큰 테스트 패드 등을 갖는 TCP 품종의 경우에는 처리율의 향상의 관계로부터 상술한 정확한 위치결정 처리를 생략하여도 좋다. 즉, 얼라인먼트 마크(55)의 위치를 특정하고, 미리 등록되어 있는 위치와의 어긋남을 산출하여 그 위치 어긋남 정보에 기초하여 위치결정한 후, 즉시 시험 실행하는 시험형태로 하여도 좋다. 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 exampl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alignment mark 55 is first specified and then accurate positioning processing has been described, but in the case of TCP varieties having a large test pad or the like in which accurate positioning is not required, The above-described accurate positioning process may be omitted from the relation of improvement of. That is, it is good also as a test form which specifies the position of the alignment mark 55, calculates the shift | offset | difference with the position previously registered, based on the position shift | offset information, and performs a test immediately.

또한, 다수개의 프로브(81)는 수천회~수만회의 누름 스트레스에 따라 변형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TCP와 접촉하는 모든 프로브(81)가 대응하는 각 테스트 패드의 중앙위치로부터 어긋난 불량상태가 되는 경우가 있다. 여기에서, 어떠한 프로브(81)에서 접촉 불량이 검출되기까지 프로브 카드 스테이지(7)를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순차 이동시켜 유효 이동 영역을 특정한다. 이에 기초하여, 현재 상태의 프로브(81)에서의 최적의 위치(XY 방향에서의 중심위치와 θ회전량)를 특정한다. 그리고, 특정한 최적위치에 기초하여 프로브 카드(8)의 등록위치를 특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probes 81 may be deformed due to thousands of times to tens of thousands of pressing stresses. For this reason, all the probes 81 which contact TCP may be in the bad state which shifted from the center position of each test pad. Here, the probe card stage 7 is sequentially moved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until the contact failure is detected in a certain probe 81 to specify the effective movement area. Based on this, the optimum position (center position in the XY direction and θ rotation amount) in the probe 81 in the present state is specified. The registration position of the probe card 8 may be specified based on the specific optimum position.

또한, 프로브(81)와 이에 대응하는 테스트 패드(P)의 개략위치의 결정 및 기준위치(또는 기준 이동량)의 초기설정은 모두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하여도 좋다. 즉, 메인 스프로켓(35b) 및 소망에 따라 프로브 카드 스테이지(7)를 이동시키는 동시에, 카메라 스테이지(61)를 이동시켜 제 2카메라(6b)에 의해 소정의 TCP에 따른 얼라인먼트 마크(55)의 위치를 특정하고, TCP와 얼라인먼트 마크(55)의 위치관계를 도시하는 이미 정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얼라인먼트 마크(55)의 근방의 복수 개소(예컨대 도 6(a)에 도시한 9개소)의 프로브(81)와 이에 대응하는 테스트 패드(P)의 개략위치를 정한다. 이후, 필요에 따라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대화상의 상태로 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점의 프로브(81)/테스트 패드(P)로부터 위치 어긋남량을 구하여 기준위치를 설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오퍼레이터가 개입하는 것은 아니고 자동적으로 최적의 위치결정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both the determination of the approximate position of the probe 81 and the corresponding test pad P and the initial setting of the reference position (or reference movement amount) may be performed automatically. That is, the main sprocket 35b and the probe card stage 7 are moved as desired, while the camera stage 61 is moved and the position of the alignment mark 55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TCP by the second camera 6b. And a plurality of probes (e.g., nine locations shown in Fig. 6 (a)) in the vicinity of the alignment mark 55, based on previously determined information show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TCP and the alignment mark 55 ( 81) and the rough positions of the corresponding test pads P are determined. Subsequently, if necessary, a magnified image is set as shown in Fig. 6B, and 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 shift amount is obtained from the plurality of probes 81 / test pads P to set the reference position. You may also do it. In this case, the operator can automatically perform optimal positioning without any intervention.

또한, 접촉 체크 기능을 적용하여, 현재 상태의 프로브 카드(8)에 대한 유효한 이동 영역(유효 이동 영역)을 미리 구하여도 좋다. 즉, 프로브 카드(8) 또는 푸셔 스테이지(4)를 X-Y 평면 방향으로 소망의 이동량으로 이동시키면서 모든 프로브 와 이에 대응하는 테스트 패드의 전기적인 접촉 상태를 검출하고, 어떠한 프로브(81)로 접촉불량이 되지 않는 유효 이동 영역을 구한다. 여기에서, 소망의 이동량을 고정의 미소 단위 이동량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분탐색(바이너리 서치)을 수행하여, 적은 이동 횟수로 유효 이동 영역을 구하는 것이 요망된다. 한편, 프로브(81)가 TCP의 볼록부에 부딪혀서 손상을 초래하지 않도록 이동 범위의 제한을 미리 설정하여 두는 것이 요망된다. 구해진 유효 이동 영역에 기초하여 TCP와 프로브 카드(8)의 최적의 개략위치가 결정된다. 또한, 유효 이동 영역으로부터 X축 방향 및 Y축 방향에 대하여 여유가 있기 때문에, 프로브 카드(8)에서의 모든 프로브(81)의 변형 상태가 파악될 수 있어 유효 이동 영역을 해당 프로브 카드(8)의 유지·보수 정보로 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유효 이동 영역의 정보는 기억장치에 보존하여 두는 것이 요망된다. Further, by applying the contact check function, a valid moving area (effective moving area) with respect to the probe card 8 in the current state may be obtained in advance. That is, while the probe card 8 or the pusher stage 4 is moved at a desired amount of movement in the XY plane direction, the electrical contact state of all the probes and the corresponding test pads is detected, and any probe 81 has a poor contact. Find the effective moving area that does not work. Here, it is also possible to set the desired amount of movement as a fixed minute unit movement amount, but it is desired to perform dichotomous search (binary search) to obtain an effective movement area with a small number of movements. On the other hand, it is desirable to set the limit of the movement range in advance so that the probe 81 does not hit the convex portion of the TCP and cause damage. On the basis of the obtained effective moving area, an optimal outline position of the TCP and the probe card 8 is determined. Further, since there is a margin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from the effective movement area, the deformation state of all the probes 81 in the probe card 8 can be grasped so that the effective movement area can be determined by the corresponding probe card 8. It can also be used as maintenance 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it is desired to store the information of the effective moving area in the storage device.

또한, 본 발명에서의 TCP 핸들링 장치는 모터 구동으로 이동 제어할 수 있는 푸셔 스테이지(4)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좋고, 이 경우에는 프로브 카드 스테이지(7)의 이동 제어에 의해 위치 어긋남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CP handling apparatus in this invention does not need to be provided with the pusher stage 4 which can control movement by motor drive, and in this case, a position shift correction is performed by the movement control of the probe card stage 7. Can be.

또한, 본 발명의 TCP 핸들링 장치는 프로브 카드 스테이지(7)가 모터 구동으로 이동 제어할 수 있는 기구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수동 조정기구의 것이라도 좋다. 이 경우, 초기의 등록작업에서, 오퍼레이터는 표시장치(9)에서 표준화상 또는 확대화상을 보면서 프로브 카드 스테이지(7)를 수작업으로 등록위치로 세팅한다. 이후는 푸셔 스테이지(4)에 의해 자동적으로 위치 어긋남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CP hand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manual adjustment mechanism that does not include a mechanism capable of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probe card stage 7 by motor driving. In this case, in the initial registration operation, the operator manually sets the probe card stage 7 to the registration position while viewing the normalized image or the enlarged image on the display device 9. Subsequently, the position shift correction can be automatically performed by the pusher stage 4.

또한, 시험실행의 결과, 불량품이라고 판단된 TCP에 대하여 현재의 접촉 상 태를 유지한 상태로 프로브(81)/테스트 패드(P)의 위치관계를 촬상하고, 미리 정하여 둔 XY 방향의 최대 허용 편차를 넘는 위치 어긋남이 견출된 경우에는 해당 프로브(81)에 따른 정보(위치 어긋남량, 대응하는 테스트 패드(P)의 번호, 누름 방향의 거리치 등)를 표시패널(91)에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접촉 불량의 개연성이 높은 프로브(81) 및 테스트 패드(P)를 자동적으로 표시할 수 있어 이들 접촉 상태를 화상에 의해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Further, as a result of the test executio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probe 81 and the test pad P is imaged while maintaining the current contact state with respect to TCP determined to be a defective product, and the maximum allowable deviation in the predetermined XY direction is set. In the case where position misalignment exceeding is found, the display panel 91 may display information (position misalignment amount, number of the corresponding test pad P, distance value in the pushing direction, etc.) according to the probe 81. good. By doing so, the probe 81 and the test pad P having a high probability of contact failure can be displayed automatically, and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se contact states with an image.

본 발명에 따른 TCP 핸들링 장치는 접촉부의 접촉단자와 TCP의 외부단자의 위치맞춤 작업을 수행하는 오퍼레이터의 부담을 경감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The TCP hand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useful for reducing the burden on the operator who performs the alignment work of the contact terminal of the contact portion and the external terminal of the TCP.

Claims (14)

테이프 상에 TCP가 복수 형성된 캐리어 테이프를 반송하여, 테스트 헤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접촉부로 캐리어 테이프를 누르고, TCP의 외부단자를 상기 접촉부의 접촉단자에 접촉시킴으로써 복수의 TCP를 순차 시험에 제공할 수 있는 동시에, TCP의 외부단자 및 접촉부의 접촉단자를 촬상장치로 촬영하여, 얻어진 화상을 표시장치에 표시할 수 있는 TCP 핸들링 장치로서, A plurality of TCPs can be provided for the sequential test by conveying a carrier tape in which a plurality of TCPs are formed on the tape, pressing the carrier tape with a contact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st head, and contacting the external terminal of the TCP with the contact terminal of the contact portion. And a TCP handling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an image obtained by photographing an external terminal of a TCP and a contact terminal of a contact portion with an imaging device, 상기 표시장치에는 TCP의 외부단자와 접촉부의 접촉단자의 위치관계를 특정하여 위치결정할 수 있도록 촬상장치로 촬영한 촬영 대상물의 전체를 표시하는 표준화상과, 촬상장치로 촬영한 촬영 대상물의 일부분을 확대 표시하는 확대화상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CP 핸들링 장치. The display device includes a standardized image for displaying the entire object to be photographed by the imaging device so that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external terminal of the TCP and the contact terminal of the contact can be determined and the part of the object to be photographed by the imaging device is enlarged. A TCP hand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n enlarged image to be displayed is displayed.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촬상장치는 확대화상을 표시한 경우더라도 TCP의 외부단자와 접촉단자의 위치관계가 특정될 수 있어 양 단자의 위치결정을 수행할 수 있는 고해상도의 촬상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TCP 핸들링 장치. And the image pickup device is a high resolution image pickup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positioning of both terminals because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external terminal and the contact terminal of TCP can be specified even when an enlarged image is displayed.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TCP 핸들링 장치는 소정위치의 TCP의 외부단자 및 접촉부의 접촉단자를 촬영 가능하도록 상기 촬상장치를 이동시키는 촬상 스테이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CP 핸들링 장치. And the TCP handling apparatus includes an imaging stage for moving the imaging apparatus to photograph the external terminal of the TCP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the contact terminal of the contact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TCP 핸들링 장치는 확대표시 조작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확대표시 조작부에 의한 조작에 따라 상기 표준화상을 확대하여 확대화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CP 핸들링 장치. And the TCP handling apparatus includes an enlarged display manipulation section, and enlarges the standardized image according to an operation by the enlarged display manipulation section to form an enlarged image.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TCP 핸들링 장치는 실가동 중, TCP의 외부단자와 접촉부의 접촉단자의 사이에서 위치 어긋남 또는 접촉 불량이 있는 경우에 해당 위치 어긋남 또는 접촉 불량의 개소를 확대화상으로서 상기 표시장치를 자동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CP 핸들링 장치. The TCP handling apparatus can automatically display the display device as an enlarged image of the position of the position shift or contact failure when there is a position shift or contact failure between the external terminal of the TCP and the contact terminal of the contact portion during actual operation. TCP hand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시험신호의 수수를 수행하는 접촉부에 설치된 복수의 접촉단자와, 캐리어 테이프 상에 배설된 시험대상의 TCP가 구비하는 복수의 외부단자를 전기적으로 접촉시켜 시험을 수행하는 TCP 핸들링 장치로서, A TCP handling device for performing a test by electrically contacting a plurality of contact terminals provided on a contact portion for carrying out a test signal, and a plurality of external terminals included in a TCP of a test object disposed on a carrier tape. 접촉단자와, 해당 접촉단자에 대응하는 TCP의 외부단자를 촬상하는 촬상장치와, An imaging device which picks up a contact terminal and an external terminal of TCP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terminal; 상기 촬상장치에 의해 촬영한 접촉단자 및 TCP의 외부단자의 화상을 소망에 따라 처리하여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And a display device for processing and displaying images of contact terminals and TCP external terminals photographed by the imaging device as desired. 상기 촬상장치는 줌 기능을 구비하여, 줌 상태에서 접촉단자와 해당 접촉단자에 대응하는 TCP의 외부단자의 위치관계가 특정 가능한 해상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CP 핸들링 장치. And the image pickup device has a zoom function, and has a resolution capable of specifying a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a contact terminal and an external terminal of the TCP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terminal in a zoom state. 청구항 6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촬상장치가 촬영한 복수의 접촉단자 및 해당 접촉단자에 대응하는 TCP의 복수의 외부단자의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접촉단자와 해당 접촉단자에 대응하는 복수의 외부단자의 위치 어긋남량을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CP 핸들링 장치. The position shift amount of the plurality of contact terminals and the plurality of external terminals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terminals based on the image data of the plurality of contact terminals photographed by the imaging device and the plurality of external terminals of TCP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terminals. TCP hand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specifying. 청구항 7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TCP가 갖는 복수의 외부단자 중, 대각선상에 위치하는 적어도 2개소, 또는 서로 멀리 떨어진 적어도 2개소의 외부단자를 상기 촬상장치가 촬상할 수 있도록 상기 촬상 스테이지를 이동시켜, The imaging stage is moved so that the imaging device can image at least two external terminals located on a diagonal line or at least two remote terminals far from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external terminals of TCP, 상기 촬상장치가 촬영하여 얻어진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2개소의 외부단자와 해당 외부단자에 대응하는 접촉단자의 위치 어긋남량을 특정하고,On the basis of the image data obtained by photographing the image pickup device, the positional shift amount of the at least two external terminals and the contact terminals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terminals is specified, 상기 위치 어긋남량에 기초하여 안정된 접촉이 얻어질 수 있도록 캐리어 테이프 또는 접촉단자군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CP 핸들링 장치. And a carrier tape or a group of contact terminals so that a stable contact can be obtained based on the amount of position shift. 청구항 6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촬상장치에 의해 촬영하여 얻어진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첫번째로 접촉단자의 형상을 추출하고, 추출한 형상으로부터 해당 접촉단자가 TCP의 외부단자에 접촉하는 접촉점을 특정하고, 두번째로 상기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TCP의 외부단자의 형상을 추출하고, 추출한 형상으로부터 해당 외부단자의 중앙위치점을 특정하고, Based on the image data obtained by capturing by the imaging device, first, the shape of the contact terminal is extracted, and from the extracted shape, the contact point at which the contact terminal contacts the external terminal of TCP is specified, and secondly, based on the image data. Extract the shape of the external terminal of TCP, specify the center position of the external terminal from the extracted shape, 상기 접촉단자의 접촉점을 나타내는 마크와, 상기 외부단자의 중앙위치점의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를 상기 표시장치에 겹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CP 핸들링 장치. And a mark indicating a contact point of the contact terminal and a mark indicating a position of a center position point of the external terminal on the display device. 청구항 6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접촉 체크 기능을 적용하여 캐리어 테이프 또는 접촉단자군을 평면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모든 접촉단자와, 해당 접촉단자에 대응하는 TCP의 외부단자의 전기적인 접촉상태를 검출하고, 어떠한 접촉단자에서도 접촉불량이 되지 않고 유효하게 접촉될 수 있는 유효 이동 영역을 구하고, By applying the contact check function, all the contact terminals and the external terminals of TCP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contact terminals are detected while moving the carrier tape or the contact terminal group in the plane direction, and any contact terminals become poor. Obtain an effective moving area that can be effectively contacted without 상기 유효 이동 영역에 기초하여 캐리어 테이프 및 접촉단자군의 최적의 위치를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CP 핸들링 장치. TCP hand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timum position of the carrier tape and the contact terminal group is specified based on the effective moving area. 청구항 6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접촉 체크 기능을 적용하여 모든 접촉단자와, 해당 접촉단자에 대응하는 TCP의 외부단자의 전기적인 접촉상태를 검출하고, Apply the contact check function to detect the electrical contact state of all contact terminals and external terminals of TCP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contact terminals, 접촉 불량이 검출된 경우에 해당 접촉 불량이 된 접촉단자 및 해당 접촉단자에 대응하는 외부단자의 위치로 상기 촬상장치를 이동시켜, 해당 접촉 불량부위를 촬영하여 얻어진 화상을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CP 핸들링 장치. When the contact failure is detected, the image pickup apparatus is moved to the position of the contact terminal which became the contact failure and the external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terminal, and an image obtained by photographing the contact failure por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TCP handling device. 청구항 6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촬상장치의 위치정보, 상기 촬상장치의 줌 배율정보 및 상기 촬상장치가 촬상하고 있는 TCP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CP 핸들링 장치. And at least one of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image pickup device, the zoom magn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mage pickup device, and the information about TCP captured by the image pickup device, on the display device. 청구항 6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비접촉 상태에서 접촉단자 및 해당 접촉단자에 대응하는 TCP의 외부단자를 촬상하여 얻어지는 비접촉 상태 화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접촉단자와 해당 접촉단자에 대응하는 외부단자의 위치관계를 특정하고, Specify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act terminal and the external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terminal from the non-contact state image data obtained by imaging the contact terminal and the external terminal of TCP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terminal in the non-contact state, 시험실시에 따른 접촉 상태에서 접촉단자 및 해당 접촉단자에 대응하는 TCP의 외부단자를 촬상하여 얻어지는 접촉 상태 화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접촉단자와 해당 접촉단자에 대응하는 외부단자의 위치관계를 특정하고, From the contact state image data obtained by imaging the contact terminal and the TCP external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terminal in the contact state according to the test,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contact terminal and the external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terminal is specified, 상기 특정한 양 위치관계의 변화량을 구하고 해당 변화량에 기초하여 접촉단자와 해당 접촉단자에 대응하는 외부단자의 위치 어긋남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CP 핸들링 장치. And obtaining a change amount of the specific two-position relationship and correcting the positional shift of the contact terminal and the external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terminal based on the change amount. 청구항 6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시험실행의 결과 불량이라고 판단된 TCP에 대하여, 현재의 접촉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모든 접촉단자 및 해당 접촉단자에 대응하는 외부단자를 촬상하여, 얻어진 화상 데이터로부터 각각의 위치 어긋남량을 특정하고, 미리 정하여 둔 위치 어긋남량의 최대 허용 편차를 초과하는 접촉단자 및 해당 접촉단자에 대응하는 외부단자를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CP 핸들링 장치. With respect to the TCP determined to be defective as a result of the test execution, all the contact terminals and the external terminals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terminals are imaged while the current contact state is maintained, and the respective position shift amounts are specified from the obtained image data. And a contact terminal exceeding a maximum allowable deviation of a predetermined position shift amount and an external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terminal on the display device.
KR1020087008553A 2008-04-10 2005-09-15 Tcp handler KR2008005349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7008553A KR20080053495A (en) 2008-04-10 2005-09-15 Tcp hand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7008553A KR20080053495A (en) 2008-04-10 2005-09-15 Tcp handl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3495A true KR20080053495A (en) 2008-06-13

Family

ID=39807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8553A KR20080053495A (en) 2008-04-10 2005-09-15 Tcp handl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5349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85628B (en) A re-registration method for locating a target object, and a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the method
KR100959703B1 (en) Probe apparatus, probing method and stroage medium
JP4997127B2 (en) Inspection method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is inspection method
JPWO2008056418A1 (en) TCP handling apparatus and connection terminal positioning method in the apparatus
JPWO2008120518A1 (en) TCP handling equipment
JP4926075B2 (en) TCP handling device and connection terminal positioning method in TCP handling device
JP4098306B2 (en) TCP handling device and misalignment correction method in the device
KR100597026B1 (en) A method of detecting a pattern and an apparatus thereof
KR100820752B1 (en) Probe test apparatus of flat pannel display and probe test method using it
KR20080053495A (en) Tcp handler
JP4885139B2 (en) TCP handling device
JPH08327658A (en) Inspection equipment for substrate
CN115628685A (en) Method and equipment for measuring critical dimension and method for positioning critical dimension in grading manner
JP4313162B2 (en) Alignment mark detection method and inspection apparatus
CN101263395A (en) TCP processing device
JPWO2008126173A1 (en) TCP handling equipment
KR20080082999A (en) Tcp handler and method of aligning connector in tcp handler
JPWO2017072908A1 (en) Board position search device and component mounting machine
TWI784088B (en) Method and device for optically representing electronic semiconductor components
WO2019026607A1 (en) Test device, test method and memory medium
JPWO2008132936A1 (en) TCP handling equipment
US20240155821A1 (en)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component mounting method, and component positional relationship information acquiring method
JP4750792B2 (en) Diagnostic tool for component feeder replacement
KR20050105177A (en) Tcp handling device and positional deviation correcting method for the same
KR20080040017A (en) Tcp handl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