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3209A - 신규한 옥사졸리디논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함유하는 의약 조성물 - Google Patents

신규한 옥사졸리디논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함유하는 의약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3209A
KR20080053209A KR1020070126433A KR20070126433A KR20080053209A KR 20080053209 A KR20080053209 A KR 20080053209A KR 1020070126433 A KR1020070126433 A KR 1020070126433A KR 20070126433 A KR20070126433 A KR 20070126433A KR 20080053209 A KR20080053209 A KR 20080053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n
alkyl group
methyl
independently
fluorophe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6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8345B1 (ko
Inventor
조영락
채상은
송보경
백성윤
이향숙
김용주
박태교
우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고켐 바이오사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고켐 바이오사이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고켐 바이오사이언스
Priority to PCT/KR2007/00636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8069619A1/en
Publication of KR20080053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3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8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83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6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oxazole or hydrogenated 1,3-oxazole rings
    • C07D26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oxazole or hydrogenated 1,3-ox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63/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oxazole or hydrogenated 1,3-ox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 C07D263/1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oxazole or hydrogenated 1,3-ox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63/18Oxygen atoms
    • C07D263/20Oxygen atoms attached in position 2
    • C07D263/24Oxygen atoms attached in position 2 with hydrocarbon radicals, substituted by oxygen atoms, attached to other ring carbo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2Oxazoles
    • A61K31/4211,3-Oxazoles, e.g. pemoline, trimethadi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2Oxazoles
    • A61K31/422Oxazoles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3/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aromatic 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한 옥사졸리디논 유도체, 이의 프로드럭, 이의 수화물, 이의 용매화물, 이의 이성질체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에 관한 발명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88025958-PAT00001
본 발명에 따른 옥사졸리디논 유도체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내성균에 대한 항균 스펙트럼이 넓고, 독성이 낮으며, 그람양성 및 그람음성균에 강한 항균효과를 나타내므로, 항생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옥사졸리디논, 항생제, 항균, 그람양성균, 그람음성균

Description

신규한 옥사졸리디논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Novel Oxazolidinone derivatives, Process For Preparing Thereof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한 옥사졸리디논 유도체, 이의 프로드럭, 이의 수화물, 이의 용매화물, 이의 이성질체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에 관한 발명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88025958-PAT00002
페니실린의 발견 이후 세계의 많은 제약업계에서는 박테리아의 감염증에 대항하는 베타락탐계 항생제를 비롯하여 설폰아마이드, 테트라사이클린, 아미노글루코사이드, 마크로라이드, 퀴놀론 그리고 글리코펩타이드 등 수 많은 항생제에 대하 여 내성을 갖는 균주들이 생겨나게 되었다.
국제 미생물 학계에서는 항생제 내성의 발달로 인해 현재 이용되고 있는 항균제가 효과가 없게 만들 수 있는 균주가 창궐 할 수 있다는 심각한 우려가 지속적으로 대두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세균성 병원체는 그람-양성 또는 그람-음성 병원체로서 분류될 수 있다. 그람-양성 병원체와 그람-음성 병원체 둘 다에 대해 유효한 활성을 지닌 항생제 화합물이 대체로 광범위한 활성 스펙트럼을 갖는 것으로 간주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그람-양성 병원체와 특정의 그람-음성 병원체 모두에 대해 유효하다.
스타필로코쿠스 (Staphylococcus), 엔테로코쿠스 (Enterococcus), 스트렙토코쿠스 (Streptococcus) 및 미코박테리아 (Mycobacteria)와 같은 그람-양성 병원체와 그람-음성 병원체가 특히 중요한데, 이는 이들에 대한 내성 균주가 발생하면, 이들이 일단 정착한 병원 환경으로부터 박멸하기가 곤란하고 치료 또한 곤란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균주의 예로는 메티실린 내성 스타필로코쿠스 (MRSA), 메티실린 내성 코아굴라제 음성 스타필로코쿠스 (MRCNS), 페니실린 내성 스트렙토코쿠스 뉴모니애 및 다중 내성 엔테로코쿠스 패슘 (Enterococcus faecium)이 있다.
이러한 내성 그람-양성 병원체를 치료하는데 임상적으로 유효한 주요 항생제가 반코마이신이다. 반코마이신은 글리코펩티드이고 신독성을 포함한 각종 독성과 연관이 있다. 게다가 가장 중요하게는, 반코마이신 및 기타 글리코펩티드에 대해 항균 내성 또한 출현되고 있다. 이러한 내성은 일정한 속도로 증가하여, 상기 제제 가 그람-양성 병원체를 치료하는데 있어 덜 효과적이도록 한다. 에이취. 인플루엔자 (H. influenzae) 및 엠. 카타랄리스 (M. catarrhalis)를 포함한 특정의 그람 음성 세균에 의해 유발되기도 하는 상기도 감염증 치료에 사용되고 있는 β-락탐, 퀴놀론 및 매크롤리드와 같은 제제에 대한 내성 출현이 현재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옥사졸리디논 고리를 함유하는 특정의 항균성 화합물은 이미 보고된 바 있다. 예컨대, 옥사졸리디논(oxazolidinone) 화합물은 발효 산물이 아닌 경구 투여가 가능한 새로운 합성 항생제로서 다양한 구조의 유도체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하나 또는 두개의 치환기를 가진 3-페닐-2-옥사졸리디논 유도체는 미국특허 제 4,948,801호, 제 4,461,773호, 제 4,340,606호, 제 4,476,136호, 제 4,250,318호, 제 4,128,654호에 기술되어 있으며, 하기 화학식 A로 표시되는 3-[(모노치환된)페닐]-2-옥사졸리디논 유도체들은 유럽특허 EP 0312000, J. Med . Chem. 32, 1673(1989), J. Med . Chem. 33, 2569 (1990), Tetrahedron . 45,123(1989) 등에 언급되어 있다.
[화학식 A]
Figure 112007088025958-PAT00003
또한 파마시아 앤 업존(Pharmacia & Upjohn)에서는 하기 화학식 B 및 화학식 C의 옥사졸리디논 유도체를 합성하였으며 (국제특허출원 WO 93/23384, WO 95/14684, WO 95/07271), 화학식 B의 화합물은 최초의 옥사졸리디논계 항생제로서 미국 식품의약품국(FD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의 허가를 얻어 지복스(Zyvox)라는 이름으로 경구 및 주사제로 발매되었다. 그러나 종래 합성된 옥사졸리디논 화합물들은 항균 스펙트럼이 광범위하지 못하고 독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생체내 (in vivo) 에서 그 치료효과가 감소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고, 지복스의 경우 물에 대한 용해도가 약 3㎎/㎖ 로서 충분하지 못하므로 주사제로서는 제한적인 방법으로만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B]
Figure 112007088025958-PAT00004
[화학식 C]
Figure 112007088025958-PAT00005
또한 WO 93/09103에는 페닐기의 4번 위치에 피리딘을 포함한 싸이아졸, 인 돌, 옥사졸, 퀴놀 등과 같은 헤테로고리를 갖는 페닐 옥사졸리디논 유도체가 알려져 있으나, 헤테로고리의 치환기들이 단순한 알킬기 또는 아미노기에 그치고 약효 또한 충분히 뛰어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WO 01/94342에서는 페닐기의 4번 위치에 다양한 피리딘 또는 페닐 유도체를 갖는 페닐옥사졸리디논 유도체를 합성하였고, 상기 합성된 화합물들의 항균력을 측정한 결과 그 항균 스펙트럼이 넓고, 항균효과도 탁월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옥사졸리디논 페닐기의 4번 위치에 다양한 피리딘 유도체를 갖는 옥사졸리디논 화합물들은 지복스에 비해 그 항균 스펙트럼이 넓고 항균효과 또한 탁월하지만, 대부분 물에 대한 용해도가 30㎍/㎖ 이하로서 주사제로서는 개발이 불가능하다.
최근 WO 2006/038100에서는 화학식 D로 나타내지는 옥사졸리디논 페닐기의 4번 위치에 헤테로 고리 및 비고리 화합물을 도입한 화합물을 합성하였으나, 본 발명과 유사한 화합물은 화학식 E 및 화학식 F와 같은 테트라졸 또는 옥사디아졸 유도체를 도입한 화합물이다. 그러나 아직 뛰어난 향균효과를 보이며 만족할 만한 용해도를 가지는 화합물은 찾지 못하였다.
[화학식 D]
Figure 112007088025958-PAT00006
[화학식 E]
Figure 112007088025958-PAT00007
[화학식 F]
Figure 112007088025958-PAT00008
이에 본 발명자들은 기존의 항생제보다 우수한 항균력을 가지는 항생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신규한 옥사졸리디논 유도체를 합성하였으며,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옥사졸리디논 유도체들은 항균효과가 우수하고 항균스펙트럼이 월등히 향상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한 옥사졸리디논 유도체, 이의 프로드럭, 이의 수화물, 이의 용매화물, 이의 이성질체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한 옥사졸리디논 유도체, 이의 프로드럭, 이의 수화물, 이의 용매화물, 이의 이성질체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에 관한 발명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88025958-PAT00009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하기 구조의 비고리 치환기 또는 헤테로 고리 치환기이며;
Figure 112007088025958-PAT00010
R11은 -NO2, -COOR21, -CONR22R23 또는 -(CH2)nNR24R25 이며;
R12 -OR26, -OCOR27, -OSO2R28, -NR29R30,
Figure 112007088025958-PAT00011
또는 -CN이며;
R13 및 R14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7의 알킬기, -(CH2)nNR34R35, -CONR36R37, -OR38, -OCOR39, -COR40, -OSO2R41, -SO2R42 또는 -CN 이며;
R15은 수소, C1-C7의 알킬기 또는 -OR43이며;
R16 및 R17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7의 알킬 또는 -OR44이며;
A는 C2-C3의 알킬렌으로, N, O 및 S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원자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R21 내지 R33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7의 알킬기이며;
R34 내지 R42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7의 알킬기, 페닐, -COR45, -CO(CH2)mNR46R47, -SO2R48 또는 -OCOR49이며;
R43은 수소 또는 C1-C7의 알킬기이며;
R44는 수소, C1-C7의 알킬기 또는 -CO(CH2)mNR50R51이며;
R45 내지 R49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7의 알킬기이며;
R50 또는 R51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7의 알킬기이며;
n은 0 내지 5의 정수이고;
m은 1 내지 5의 정수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옥사졸리디논 유도체는 R1이 하기 구조의 헤테로 고리 치환기로서,
Figure 112007088025958-PAT00012
Figure 112007088025958-PAT00013
Figure 112007088025958-PAT00014
Figure 112007088025958-PAT00015
R14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며; R101 내지 R132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7의 알킬기, -COR201 또는 -SO2R202 로 치환되며; R201 및 R20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7의 알킬기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의 옥사졸리디논 유도체의 보다 바람직한 예로는 하기 화학식 2 내지 화학식 5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화학식 2]
Figure 112007088025958-PAT00016
[화학식 3]
Figure 112007088025958-PAT00017
[화학식 4]
Figure 112007088025958-PAT00018
[화학식 5]
Figure 112007088025958-PAT00019
[상기 화학식 2 내지 5에서, A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며;
R11은 -NO2, -COOR21 또는 -(CH2)nNR24R25 이며;
R12 -OR26, -OCOR27, -OSO2R28, -NR29R30,
Figure 112007088025958-PAT00020
또는 -CN이며;
R13 및 R14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7의 알킬기, -(CH2)nNR34R35, -OR38 또는 -CN 이며;
R15은 수소, C1-C7의 알킬기 또는 -OR43이며;
R16 및 R17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7의 알킬기 또는 -OR44이며;
R21 및 R24 내지 R33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7의 알킬기이며;
R34, R35 및 R38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7의 알킬기, -COR45 또는 -CO(CH2)mNR46R47이며;
R43은 수소 또는 C1-C7의 알킬기이며;
R44는 수소, C1-C7의 알킬기 또는 -CO(CH2)mNR50R51이며;
R45 내지 R47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7의 알킬기이며;
R50 또는 R51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7의 알킬기이며;
n은 0 내지 3의 정수이고;
m은 1 내지 5의 정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옥사졸리디논 유도체의 R1에 치환 되는 헤테로 고리 치환기는 하기 구조의 헤테로 고리 치환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7088025958-PAT00021
[R14는 상기 화학식 5에서 정의된 바와 동일하며; R101 내지 R106 및 R123 내지 R128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7의 알킬기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다 바람직한 옥사졸리디논 유도체 화합물은R1
Figure 112007088025958-PAT00022
,
Figure 112007088025958-PAT00023
,
Figure 112007088025958-PAT00024
,
Figure 112007088025958-PAT00025
,
Figure 112007088025958-PAT00026
,
Figure 112007088025958-PAT00027
,
Figure 112007088025958-PAT00028
또는
Figure 112007088025958-PAT00029
이고; R11은 -NO2 또는 -COOR21 이며; R12 -OH, -NR29R30,
Figure 112007088025958-PAT00030
또는 -CN이며; R13 수소, C1-C7의 알킬기, -(CH2)n NR34R35 또는 -OR38 이며; R14는 수소 또는 C1-C7의 알킬기이며; R15은 수소, C1-C7의 알킬기 또는 -OR43이며; R16 및 R17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7의 알킬기 또는 -OR44이며; R21, R29, R30, R34 및 R35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7의 알킬기이며; R38는 수소, C1-C7의 알킬기, -COR45 또는 -CO(CH2)mNH2이며; R43은 수소 또는 C1-C7의 알킬기이며; R44는 수소, C1-C7의 알킬기 또는 -CO(CH2)mNH2이며; R45는 수소 또는 C1-C7의 알킬기이며; R101 내지 R106 및 R123 내지 R128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7의 알킬기이고; m은 1 내지 5의 정수이고; n은 0 내지 3의 정수인 경우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옥사졸리디논 유도체 화합물은 하기의 화합물로 예시될 수 있으나, 하기의 화합물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Figure 112007088025958-PAT00031
Figure 112007088025958-PAT00032
Figure 112007088025958-PAT00033
Figure 112007088025958-PAT00034
Figure 112007088025958-PAT00035
Figure 112007088025958-PAT00036
Figure 112007088025958-PAT00037
Figure 112007088025958-PAT00038
Figure 112007088025958-PAT00039
Figure 112007088025958-PAT00040
Figure 112007088025958-PAT00041
Figure 112007088025958-PAT00042
Figure 112007088025958-PAT00043
Figure 112007088025958-PAT00044
Figure 112007088025958-PAT00045
Figure 112007088025958-PAT00046
Figure 112007088025958-PAT00047
Figure 112007088025958-PAT00048
Figure 112007088025958-PAT00049
Figure 112007088025958-PAT00050
Figure 112007088025958-PAT00051
Figure 112007088025958-PAT00052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의 옥사졸리디논 유도체 화합물은 하기 예시된 바와 같이 토토머로 존재할 수 있다.
Figure 112007088025958-PAT00053
Figure 112007088025958-PAT00054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의 옥사졸리디논 유도체 화합물의 제조방법으로 하기 반응식 1을 예시하였으며, 하기의 제조방법이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옥사졸리디논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하기의 제조방법의 변형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며, 달리 언급이 없는 한 하기 반응식의 치환체의 정의는 상기 화학식 1에서의 정의와 동일하다.
하기 반응식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옥사졸리디논 유도체 화합물은 N-(((S)-3-(4-브로모-3-플루오로페닐)-2-옥소옥사졸리딘-5-닐)메틸)아세트아마이드(I)와 4-포밀페닐 보로닉 산과 팔라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Pd(PPh3)4)를 이용한 스즈키 커플링(Suzuki coupling) 반응을 통하여 N-(((S)-3-(4-(4-포밀페닐)-3-플루오로페닐)-2-옥소옥사졸리딘-5-닐)메틸)아세트아마이드(II) 를 합성한 후 Horner-Emmons 반응 및 염기 하의 축합 반응을 통하여 화학식 2의 옥사졸리디논 유도체 화합물을 합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옥사졸리디논 유도체 화합물은 N-(((S)-3-(4-브로모-3-플루오로페닐)-2-옥소옥사졸리딘-5-닐)메틸)아세트아마이드(I)와 4-에톡시카보닐페닐 보로닉 산과 팔라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Pd(PPh3)4)를 이용한 스즈키 커플링(Suzuki coupling) 반응을 통하여 N-(((S)-3-(4-(4-에톡시카보닐페닐)-3-플루오로페닐)-2-옥소옥사졸리딘-5-닐)메틸) 아세트아마이드(III)를 합성한 후 하이드록시아민 유도체, 시아나마이드 또는 구아니딘과 반응시키거나 에스테르를 가수분해 한 후 하이드라진 유도체와 축합반응을 시켜 화학식 3의 옥사졸리디논 유도체를 합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옥사졸리디논 유도체 화합물은 N-(((S)-3-(4-브로모-3-플루오로페닐)-2-옥소옥사졸리딘-5-닐)메틸)아세트아마이드(I)와 4-시아노페닐 보로닉 산과 팔라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Pd(PPh3)4)를 이용한 스즈키 커플링(Suzuki coupling) 반응을 통하여 N-(((S)-3-(4-(4-시아노페닐)-3-플루오로페닐)-2-옥소옥사졸리딘-5-닐)메틸) 아세트아마이드(IV)를 합성한 후 하이드록시아민 유도체 또는 하이드라진 유도체와 반응시켜 화학식 4의 옥사졸리디논 유도체를 합성하거나 케톤 유도체, 아미노산 유도체, 하이드록시아민 유도체 또는 하이드라진 유도체와 반응시킨 다음 알킬레이션, 아실레이션, 술포닐레이션 및 팔라듐을 이용한 환원 반응을 통하여 화학식 4 또는 화학식 5의 옥사졸리디논 유도체를 합성할 수도 있다. 또한 N-(((S)-3-(4-(4-시아노페닐)-3-플루오로페닐)-2-옥소옥사졸리딘-5-닐)메틸) 아세트아마이드(IV)를 염산과 반응시켜 이미데이트를 만든 뒤 다이아민 유도체와 반응시켜 고리 형태인 화학식 5의 옥사졸리디논 유도체를 합성할 수 있다
한편, 화학식 5의 옥사졸리디논 유도체는 화학식 4의 옥사졸리디논 유도체를 고리화반응하여 합성할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112007088025958-PAT00055
상기 반응식 1에서 출발물질로 사용되는 N-(((S)-3-(4-브로모-3-플루오로페닐)-2-옥소옥사졸리딘-5-닐)메틸)아세트아마이드(I)는 하기 반응식 2로 합성할 수 있다.
[반응식 2]
Figure 112007088025958-PAT00056
합성법이 알려진 2-(((S)-옥시란-2-닐)메틸)이소인돌린-1,3-디온(V)와 4-브로모-3-플루오로아닐린을 반응시켜 2-((R)-3-(4-브로모-3-플루오로페닐)-2-히드록시프로필)이소인돌린-1,3-디온(VI)를 합성한 후 1,1-카보닐다이이미다졸과 DMAP를 이용하여 2-((S)-3-(4-브로모-3-플루오로페닐)-2-옥소옥사졸리딘-5-닐)메틸)이소인돌린-1,3-디온(VII)의 옥사졸리디닌 고리를 형성시킨 후 히드라진을 이용하여 (S)-5-(아미노메틸)-3-(4-브로모-3-플루오로페닐)옥사졸리딘-2-온(VIII)의 아민 유도체를 합성한 다음, 피리딘 용매 하에서 아세틸레이션을 시켜 N-(((S)-3-(4-브로모-3-플루오로페닐)-2-옥소옥사졸리딘-5-닐)메틸)아세트아마이드(I)을 합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옥사졸리디논 유도체 화합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악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을 포함한다. 상기 유리산으로는 무기산과 유기산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되는 무기산은 염산, 브롬산, 황산 및 인산 등이 있으며, 사용되는 유기산은 구연산, 초산, 젖산, 말레인산, 우마린산, 글루콘산, 메탄술폰산, 글리콘산, 숙신산, 4-톨루엔술폰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갈룩투론산, 엠본산, 글루탐산 및 아스파르트산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료학적 또는 예방적 효과를 달성하는데 사용되는 화학식 1 의 옥사졸리디논 유도체, 이의 프로드럭, 이의 수화물, 이의 용매화물, 이의 이성질체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양은 물론 특정 화합물, 투여 방법, 치료할 대상, 및 치료할 질환에 따라 달라지나, 통상적인 의약의 투여량에 의존하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옥사졸리디논 유도체의 유효투입량은 1 내지 100 ㎎/㎏(몸무게)/1일 범위 내에서 투여된다. 그리고, 1일 유효투입량 범위 내에서 하루에 한번 또는 하루에 여러 번 나누어 투입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항생제용 의약조성물은 경구투여(예, 정제, 분말제, 건조시럽, 씹을 수 있는 정제, 과립제, 츄잉정, 캡슐제, 연질캡슐제, 환제, 드링크제, 설하정 등), 주사(예, 정맥, 안구, 복강, 및 근육), 또는 국소 투여(예, 팅크, 크림, 로션, 겔, 스프레이, 물약, 및 붕대)를 위하여 다양하게 제형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제어된 방출을 위하여 임플란트, 경피패치, 또는 캡슐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제는 유효량으로 생체이용성이 있는 임의의 형태 또는 방식, 즉, 경구경로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으며, 치료 또는 예방하려는 질병 상태의 특성, 질병의 단계, 및 그 밖의 관련 사정에 따라 적합한 투여 형태 또는 방식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정제인 경우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부형제의 비율 및 성질은 선택된 정제의 용해도 및 화학적 특성, 선택된 투여경로 및 표준 약제 실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옥사졸리디논 유도체는 현재 시판 중인 파마시아 앤 업존의 리네 졸리드에 비하여 훨씬 낮은 농도에서 기존 항생제에 내성을 갖는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와 엔테로코쿠스 패칼리스 등의 그람 양성균 및 해모필루스 인플루엔재, 모락셀라 카타랄리스 등의 그람 음성균에 대해 항균력을 나타내며, 특히 리네졸리드 내성 엔테로코쿠스 패칼리스에 대해 탁월한 항균력을 보여준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규한 옥사졸리디논 유도체는 내성균에 대한 항균 스펙트럼이 넓고, 독성이 낮으며, 대조물질인 리네졸리드에 비하여 훨씬 낮은 농도에서 기존 항생제에 내성을 갖는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와 엔테로코쿠스 패칼리스 등의 그람 양성균 및 해모필루스 인플루엔재, 모락셀라 카타랄리스 등의 그람 음성균에 대해 강한 항균력을 나타내며, 특히 리네졸리드 내성 엔테로코쿠스 패칼리스에 대해 탁월한 항균력을 보여주어 항생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실험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N-(((S)-3-(4-브로모-3-플루오로페닐)-2-옥소옥사졸리딘-5-닐)메틸)아세트아마이드 (N-(((S)-3-(4-bromo-3-fluorophenyl)-2-oxooxazolidin-5-yl)methyl) acetamide)(화합물 I)의 제조
Figure 112007088025958-PAT00057
2-((R)-3-(4- 브로모 -3- 플루오로페닐아미노 )-2-히드록시프로필) 이소인돌린 -1,3-디온 (2-((R)-3-(4- bromo -3- fluorophenylamino )-2- hydroxypropyl ) isoindoline -1,3-dione)(화합물 VI )의 제조
4-브로모-3-플루오로아닐린(5g, 25.53mmol), 2-(((S)-옥시란-2-닐)메틸)이소인돌린-1,3-디온(2-(((S)-oxiran-2-yl)methyl)isoindoline-1,3-dione)(37.95mmol)을 2-프로필알코올 75ml에 넣은 후 12시간 동안 환류 교반 한 후 생성돤 고체를 감압 여과하고, 다이에틸이써(diethylether) 30ml로 씻어주어 2-((R)-3-(4-브로모-3-플루오로페닐)-2-히드록시프로필)이소인돌린-1,3-디온(6g, 15.26mmol, 59.76%)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hloroform-d1) δ 7.86-7.84 (m, 2H), 7.78-7.76 (m, 2H), 7.21-7.17 (m, 1H), 6.43 (dd, 1H, J 1 = 11.6 Hz, J 2 = 2.8 Hz), 6.35 (dd, 1H, J 1 = 8.6 Hz, J 2 = 2.6 Hz), 5.19 (t, 1H, J = 5.4 Hz), 5.03 (d, 1H, J = 5.2 Hz), 4.16-4.08 (m, 1H), 3.87-3.71 (m, 2H), 3.23-3.06 (m, 2H)
2-((R)-3-(4- 브로모 -3- 플루오로페닐 )-2- 옥소옥사졸리딘 -5-닐) 메틸 ) 이소인돌린 -1,3-디온 (2-(((S)-3-(4- bromo -3- fluorophenyl )-2- oxooxazolidin -5-yl)methyl)isoindoline-1,3-dione)(화합물 VII )의 제조
상기에서 얻은 2-((R)-3-(4-브로모-3-플루오로페닐아미노)-2-히드록시프로필) 이소인돌린-1,3-디온 6g(15.26mmol), 1,1-카보닐다이이미다졸 3.7g(22.9mmol), 디메틸아미노피리딘 0.93g(7.63mmol)을 순차적으로 테트라하이드로퓨란 60ml에 순차적으로 첨가 후 20시간 동안 환류교반 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감압농축하고 에틸아세테이트 100ml에 녹여서 1N-염산수용액 50ml, 중탄산나트륨수용액 50ml로 순차적으로 씻어주고 황산나트륨을 이용하여 탈수시켜 감압농축한 후 다이에틸이써 80ml로 씻어주어 2-((S)-3-(4-브로모-3-플루오로페닐)-2-옥소옥사졸리딘-5-닐)메틸)이소인돌린-1,3-디온(4.9g, 11.69mmol, 76.61%)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hloroform-d1) δ 7.86-7.84 (m, 2H), 7.75-7.73 (m, 2H), 7.49-7.45 (m, 2H), 7.12-7.09 (m, 1H), 5.00-4.93 (m, 1H), 4.14-4.05 (m, 2H), 3.98-3.93 (m, 1H), 3.88-3.85 (m, 1H)
(S)-5-( 아미노메틸 )-3-(4- 브로모 -3- 플루오로페닐 ) 옥사졸리딘 -2-온 ((S)-5-(aminomethyl)-3-(4-bromo-3-fluorophenyl)oxazolidin-2-one)(화합물 VIII )의 제조
상기에서 얻은 2-((S)-3-(4-브로모-3-플루오로페닐)-2-옥소옥사졸리딘-5-닐)메틸)이소인돌린-1,3-디온 4.9g(11.69mmol), 하이드라진 1.17g(23.38mmol)을 순차적으로 에틸알코올 70ml에 녹인 후 1시간 동안 환류교반하고 반응물을 상온으로 냉각하여 여과하고 다이에틸이써 30ml로 씻어주어 (S)-5-(아미노메틸)-3-(4-브로모-3-플루오로페닐)옥사졸리딘-2-온(3.14g, 10.18mmol, 87.08%)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hloroform-d1) δ 7.55-7.34 (m, 2H), 7.05 (dd, 1H, J 1 = 8.8 Hz, J 2 = 2.4 Hz), 6.18 (t, 1H, J = 5.2 Hz), 4.32-4.12 (m, 1H), 4.00 (t, 1H, J = 9.2 Hz), 3.74 (dd, 1H, J 1 = 9.2 Hz, J 2 = 6.8 Hz), 3.67-3.49 (m, 2H), 1.99 (s, 3H)
N-(((S)-3-(4- 브로모 -3- 플루오로페닐 )-2- 옥소옥사졸리딘 -5-닐) 메틸 ) 아세트아마이드 (N-(((S)-3-(4- bromo -3- fluorophenyl )-2- oxooxazolidin -5-yl)methyl)acetamide)(화합물 I)의 제조
상기에서 얻은 (S)-5-(아미노메틸)-3-(4-브로모-3-플루오로페닐 )옥사졸리딘-2-온 3.14g(10.18mmol)을 피리딘 30ml에 녹인 후 0℃로 냉각하여 아세틸클로라이드 1.45ml (20.36mmol) 서서히 적가하고 상온에서 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감압농축하고 에틸아세테이트 80ml에 녹여서 1N-염산수용액 50ml, 중탄산나트륨수용액 50ml, 소금물 20ml로 순차적으로 씻어주고 황산나트륨을 이용하여 탈수시켜 감압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인 N-(((S)-3-(4-브로모-3-플루오로페닐)-2-옥소옥사졸리딘-5-닐)메틸)아세트아마이드 (3.3.g, 9.97mmol, 97.93%)을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7.77 (dd, 1H, J 1 = J 2 = 8.68 Hz), 7.62 (dd, 1H, J 1 = 11.6 Hz, J 2 = 2.4 Hz), 7.32-7.29 (m, 1H), 4.62-4.55 (m, 1H), 4.03-3.99 (m, 1H,), 3.83-3.79 (m, 1H), 2.83-2.71 (m, 2H),
[제조예 2] N-(((S)-3-(4-(4-포밀페닐)-3-플루오로페닐)-2-옥소옥사졸리딘-5-닐)메틸)아세트아마이드 (N-(((S)-3-(4-(4-formylphenyl)-3-fluorophenyl)-2-oxooxazolidin-5-yl)methyl)acetamide)(화합물 II)의 제조
Figure 112007088025958-PAT00058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N-(((S)-3-(4-브로모-3-플루오로페닐)-2-옥소옥사졸 리딘-5-닐)메틸)아세트아마이드 0.2g(0.604mmol)과 4-포밀페닐보로닉산 0.1g(0.604mmol)을 플라스크에 넣고 질소 가스로 치환 시킨 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8ml로 용해시킨 후 교반하면서 팔라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 0.21g(0.18mmol)을 넣고 2M 탄산칼륨수용액 0.6ml를 첨가하였다. 20시간 동안 환류 교반 한 뒤 용매를 감압 농축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컬럼하여 표제 화합물인 N-(((S)-3-(4-(4-포밀페닐)-3-플루오로페닐)-2-옥소옥사졸리딘-5-닐)메틸)아세트아마이드(0.07g, 0.197mmol, 33%)을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0.01 (s, 1H), 8.23 (t, 1H, J = 5.8 Hz), 7.61 (d, 2H, J = 8.4 Hz), 7.75 (d, 2H, J = 8.4 Hz), 7.67-7.54 (m, 2H), 7.42 (dd, 1H, J 1 = 8.8 Hz, J 2 = 2.4 Hz), 4.78-4.64 (m, 1H), 4.13 (t, 1H, J = 9.2 Hz), 3.75 (dd, 1H, J 1 = 9.2 Hz, J 2 = 6.4 Hz), 3.39 (t, 2H, J = 5.4 Hz), 1.79 (s, 3H)
[제조예 3] N-(((S)-3-(4-(4-에톡시카보닐페닐)-3-플루오로페닐)-2-옥소옥사졸리딘-5-닐)메틸)아세트아마이드 (N-(((S)-3-(4-(4-ethoxycarbonylphenyl)-3-fluorophenyl)-2-oxooxazolidin-5-yl)methyl)acetamide)(화합물 III)의 제조
Figure 112007088025958-PAT00059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N-(((S)-3-(4-브로모-3-플루오로페닐)-2-옥소옥사졸리딘-5-닐)메틸)아세트아마이드 0.5g(1.51mmol)과 4-에톡시카보닐보로닉산 0.32g(1.66mmol)을 플라스크에 넣고 질소 가스로 치환한 뒤에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5ml로 녹인 후 팔라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 (0.052g, 0.045mmol)을 넣고 2M 탄산 칼륨 1.5ml를 넣고 5시간동안 환류 교반한다. 용매를 감압 농축하고 물을 넣어주고 여과한 뒤 헥산으로 씻어주어 갈색의 고체 상태로 표제 화합뮬 N-(((S)-3-(4-(4-에톡시카보닐페닐)-3-플루오로페닐)-2-옥소옥사졸리딘-5-닐)메틸)아세트아마이드(0.42g, 0.168mmol, 69%)를 얻었다.
1H NMR (400 MHz, chloroform- d1) δ 8.11 (dd, 2H, J 1 = 8.4 Hz, J 2 = 1.6 Hz), 7.60 (dd, 2H, J 1 = 8.4 Hz, J 2 = 1.6 Hz), 7.56 (dd, 1H, J 1 = 12.8 Hz, J 2 = 2.0 Hz), 7.49-7.45 (m, 1H), 7.31 (dd, 1H, J 1 = 8.8 Hz, J 2 = 2.4 Hz), 6.00 (t, 1H, J = 6.0 Hz), 4.86-4.80 (m, 1H), 4.41 (q, 2H, J = 7.2 Hz), 4.13-4.01 (m, 1H), 3.85-3.60 (m, 3H), 1.57 (s, 3H), 1.42 (t, 3H, J = 7.2 Hz)
[제조예 4] N-(((S)-3-(4-(4-시아노페닐)-3-플루오로페닐)-2-옥소옥사졸리딘-5-닐)메틸) 아세트아마이드 (N-(((S)-3-(4-(4-cyanophenyl)-3-fluorophenyl)-2-oxooxazolidin-5-yl)methyl)acetamide) (화합물 IV)의 제조
Figure 112007088025958-PAT00060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N-(((S)-3-(4-브로모-3-플루오로페닐)-2-옥소옥사졸리딘-5-닐)메틸)아세트아마이드 1g(3.02mmol)과 4-시아노페닐 보로닉에시드 0.44g(3.02mmol)을 플라스크에 넣고 질소 가스로 치환 시킨 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30ml로 녹인 후 팔라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 1g(0.906mmol)을 넣고 2M 탄산칼륨수용액 3ml를 넣고 5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농축하고 소금물로 씻어주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여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탈수, 여과 및 감압 농축한 뒤 에틸 아세테이트로 컬럼하여 표제 화합물인 N-(((S)-3-(4-(4-시아노페닐)-3-플루오로페닐)-2-옥소옥사졸리딘-5-닐)메틸) 아세트아마이드 (1g, 2.83mmol, 94%)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hloroform-d1) δ 7.70 (d, 2H, J = 8.8 Hz), 7.61 (d, 2H, J = 8.8 Hz), 7.54 (dd, 1H, J 1 = 13 Hz, J 2 = 2.2 Hz), 7.41 (dd, 1H, J 1 = J 2 = 8.6 Hz), 7.29 (dd, 1H, J 1 = 8.4 Hz, J 2 = 2.4 Hz), 6.01-5.98 (m, 1H), 4.82-4.76 (m, 1H), 4.09-4.04 (m, 1H), 3.82-3.78 (m, 1H), 3.69-3.59 (m, 2H), 2.00 (s, 3H)
[실시예 1] (S,E)-N-((3-(4-(4-(2-나이트로비닐)페닐)-3-플루오로페닐)-2-옥소옥사졸리딘-5-일)메틸)아세트아마이드 ((S,E)-N-((3-(4-(4-(2-nitrovinyl)phenyl)-3-fluorophenyl)-2-oxooxazolidin-5-yl)methyl)acetamide)(화합물 101)의 제조
Figure 112007088025958-PAT00061
상기 제조예 2에서 얻은 N-(((S)-3-(4-(4-포밀페닐)-3-플루오로페닐)-2-옥소옥사졸리딘-5-닐)메틸)아세트아마이드 100mg(0.28mmol), 암모늄아세테이트 300mg 및 나이트로메탄 1ml을 아세트산 5ml에 순차적으로 넣은 후 2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완료 후 상온으로 냉각하여 감압 농축하고 에틸아세테이트 10ml에 녹인 후, 물 10ml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황산 마그네슘으로 탈수, 여과 및 감압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인 (S,E)-N-((3-(4-(4-(2-나이트로비닐)페닐)-3-플루오로페닐)-2-옥소옥사졸리딘-5-일)메틸)아세트아마이드를 노란색의 고체 화합물 100mg(89%)로 얻었다.
1H NMR (400 MHz, chloroform-d1) δ 8.01 (d, 1H, J = 13.6 Hz), 7.70-7.04 (m, 8H), 6.09-5.91 (m, 1H), 4.87-4.70 (m, 1H), 3.82-3.59 (m, 3H), 2.01 (s, 3H)
LCMS : C20H18FN3O5에 대해 400 (M+H+)
[실시예 2] (S,E)-메틸 3-(4-(2-플루오로-4-(5-(아세트아미도메틸)-2-옥소옥사졸리딘-3-일)페닐)페닐)아크릴레이트 ((S,E)-methyl 3-(4-(2-fluoro-4-(5-(acetamidomethyl)-2-oxooxazolidin-3-yl)phenyl) phenyl)acrylate)(화합물 102)의 제조
Figure 112007088025958-PAT00062
나이트로메탄 5ml에 트라이메틸포스포노아세트산(trimethylphosphonoacetate) 0.05ml(0.34mmol)을 넣고 염화리튬 14mg(0.34mmol) 및 1,8-다이아자바이사이클로[5,4,0]운데-7-엔(1,8-diazabicyclo[5,4,0]undec-7-ene) 0.04ml(0.28mmol)을 넣고 상온에서 교반시킨 후 상기 혼합액에 상기 제조예 2에서 얻은 N-(((S)-3-(4-(4-포밀페닐)-3-플루오로페닐)-2-옥소옥사졸리딘-5-닐)메틸)아세트아마이드 100mg(0.28mmol)을 넣고 상온에서 2시간 동안 더 교반시켰다. 반응액을 감압농축 시킨 후 에틸아세테이트 30ml로 용해시키고 염화암모늄수용액 15ml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으로 탈수, 여과 및 감압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인 (S,E)-메틸 3-(4'-(2'-플루오로바이페닐-4-일)아크릴레이트를 노란색의 고체 화합물 100mg(86%) 로 얻었다.
1H NMR (400 MHz, chloroform-d1) δ 7.57 (d, 1H, J = 16 Hz), 7.51-6.94 (m, 7H), 6.34 (d, 1H, J = 16 Hz), 4.80-4.57 (m, 1H), 4.07-3.80 (m, 1H), 3.75-3.64 (m, 4H), 3.56-3.42 (m, 2H), 1.90 (s, 3H)
LCMS : C22H21FN2O5에 대해 413 (M+H+)
[실시예 3] (S)-N-((3-(4-(4-(N-하이드록시카바모일)페닐)-3-플루오로페닐)-2-옥소옥사졸리딘-5-닐)메틸)아세트아마이드((S)-N-((3-(4-(4-(N-hydroxy carbamoyl)phenyl)-3-fluorophenyl)-2-oxooxazolidin-5-yl)methyl)acetamide) (화합물 103)의 제조
Figure 112007088025958-PAT00063
하이드록시아민(2.4g, 34.55mmol)과 수산화칼륨(2.4g, 42.77mmol)을 각각 메탄올(30mL)에 녹인 후 수산화칼륨 용액을 하이드록시아민 용액에 첨가하고 염화칼 륨이 형성될때까지 교반시킨후 여과하였다. 여과한 여액을 상기 제조예 3에서 얻은 N-(((S)-3-(4-(4-에톡시카보닐페닐)-3-플루오로페닐)-2-옥소옥사졸리딘-5-닐)메틸)아세트아마이드 100mg(0.25mmol) 에 첨가하여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아세트산 2mL를 넣고 감압증류 한 뒤 증류수 30 ml 를 넣어 생긴 고체를 여과한 후 에틸에테르와 다이클로로 메탄으로 세척하여 표제 화합물인 (S)-N-((3-(4-(4-(N-하이드록시카바모일)페닐)-3-플루오로페닐)-2- 옥소옥사졸리딘-5-닐)메틸)아세트아마이드를 20 mg(21%)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d 8.28 (s, 1H), 7.85 (d, J = 8.4 Hz), 7.69-7.57 (m, 4H), 7.44 9d, 1H, J = 8.4 Hz), 4.85-4.71 (m 1H), 4.18 (t, 1H, J = 9.2 Hz), 3.80 (t, 1H, J = 7.8 Hz), 3.50-3.40 (m, 2H), 1.84 (s, 3H)
LCMS calc. for C19H18FN3O5 (M+H+) : 387, found 388.
[실시예 4] (S,Z)-N-((3-(4-(4-(N'-하이드록시카르밤이미도일)페닐)-3-플루오로페닐)-2-옥소옥사졸리딘-5-일)메틸)아세트아마이드 ((S,Z)-N-((3-(4-(4-(N'-hydroxycarbam imidoyl)phenyl)-3-fluorophenyl)-2-oxooxazolidin-5-yl)methyl)acetamide) (화합물 104)의 제조
Figure 112007088025958-PAT00064
상기 제조예 4에서 얻은 N-(((S)-3-(4-(4-시아노페닐)-3-플루오로페닐)-2-옥소옥사졸리딘-5-닐)메틸) 아세트아마이드 500mg(1.415mmol)을 에탄올 20ml에 녹인 후 하이드록시 아민 295mg(4.245mmol)을 넣고, 탄산나트륨 225mg (2.122mmol) 및 물 5ml를 넣고 4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농축 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와 물의 혼합용액(v/v=1/1) 60ml을 넣고 교반을 하여 생성된 하얀색 고체를 여과하여 표제 화합물인 (S,Z)-N-((3-(4-(4-(N'-하이드록시카르밤이미도일)페닐)-3-플루오로페닐)-2-옥소옥사졸리딘-5-일)메틸)아세트아마이드를 0.34g(63%)로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9.65 (s, 1H), 8.21 (t, 1H, J = 5.8 Hz), 7.72 (d, 2H, J = 8.4 Hz), 7.61-7.49 (m, 4H), 7.37 (dd, 1H, J 1 = 8.8 Hz, J 2 = 2.4 Hz), 5.81 (br-s, 2H), 4.74-4.68 (m, 1H), 4.14-4.10 (m, 1H), 3.76-3.72 (m, 1H), 3.40-3.37 (m, 2H), 1.79 (s, 3H)
LCMS : C19H19FN4O4 에 대해 387 (M+H+)
[실시예 5] (S)-N-((3-(4-(4-(카르밤이미도일)페닐)-3-플루오로페닐)-2- 옥 소옥사졸리딘-5-일)메틸)아세트아마이드 ((S)-N-((3-(4-(4-(carbamimidoyl)phenyl)-3-fluorophenyl)-2-oxooxazolidin-5-yl)methyl)acetamide)(화합물 105)의 제조
Figure 112007088025958-PAT00065
상기 실시예 4에서 얻은 (S,Z)-N-((3-(4-(4-(N'-하이드록시카르밤이미도일)페닐)-3-플루오로페닐)-2-옥소옥사졸리딘-5-일)메틸)아세트아마이드 0.24g(0.621mmol)을 메탄올 20ml에 녹인 후 팔라듐 차콜(Pd/C) 촉매 50mg을 넣고 아세토 언하이드라이드 0.1ml를 넣고, 수소 가스를 주입하면서 출발물질인 (S,Z)-N-((3-(4-(4-(N'-하이드록시카르밤이미도일)페닐)-3-플루오로페닐)-2-옥소옥사졸리딘-5-일)메틸)아세트아마이드을 환원 시키기 위해 밤새도록 교반하였다. 셀라이트 필터로 팔라듐을 제거하고, 용매를 감압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인 (S)-N-((3-(4-(4-(카르밤이미도일)페닐)-3-플루오로페닐)-2- 옥소옥사졸리딘-5-일)메틸)아세트아마이드를 0.14g(64%)로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35 (t, 1H, J = 5.6 Hz), 7.90 (d, 2H, J = 8.0 Hz), 7.75 (d, 2H, J = 7.6 Hz), 7.68-7.62 (m. 2H), 7.47 (dd, 1H, J 1 = 8.6 Hz, J 2 = 1.8 Hz), 4.80-4.76 (m, 1H), 4.21-4.16 (m, 1H), 3.83-3.79 (m, 1H), 3.46-3.43 (m, 2H), 1.85 (s, 3H)
LCMS : C19H19FN4O3 에 대해 371 (M+H+)
[실시예 6] (S,Z)-N-((3-(4-(4-(N'-메톡시카르밤이미도일)페닐)-3-플루오로페닐)-2-옥소옥사졸리딘-5-일)메틸)아세트아마이드 ((S,Z)-N-((3-(4-(4-(N'-methoxycarbam imidoyl)phenyl)-3-fluorophenyl)-2-oxooxazolidin-5-yl)methyl)acetamide)(화합물 106)의 제조
Figure 112007088025958-PAT00066
상기 실시예 4에서 얻은 (S,Z)-N-((3-(4-(4-(N'-하이드록시카르밤이미도일)페닐)-3-플루오로페닐)-2-옥소옥사졸리딘-5-일)메틸)아세트아마이드 23mg(0.0595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ml로 녹인 후 포타슘 tert-부톡사이드(1M solution in THF) 0.06ml(0.0595mmol)넣고 메틸아이오다이드 (CH3I) 0.01ml(0.1785mmol)을 넣고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했다. 용매를 감압 농축하고 물로 씻어준 뒤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여 황산 나트륨으로 탈수, 여과 및 감압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인 (S,Z)-N-((3-(4-(4-(N'-메톡시카르밤이미도일)페닐)-3-플루오로페닐)-2-옥소옥사졸리딘-5-일)메틸)아세트아마이드를 15.7mg (66%)로 얻었 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24 (t, 1H, J = 5.8 Hz), 7.71 (d, 2H, J = 8.4 Hz), 7.61-7.51 (m, 4H), 7.38 (dd, 1H, J 1 = 8.6Hz, J 2 = 2.2 Hz), 6.08 (s, 1H), 4.75-4.69 (m, 1H), 4.15-4.10 (m, 2H), 3.76-3.72 (m, 2H), 3.71 (s, 3H), 1.79 (s, 3H)
LCMS : C20H21FN4O4 에 대해 401 (M+H+)
[실시예 7] (S)-N-((3-(4-(4-(4,5-디하이드로-5,5-디메틸-1,2,4-옥사디아졸-3-일)페닐)-3-플루오로페닐)-2-옥소옥사졸리딘-5-일)메틸)아세트아마이드 ((S)-N-((3-(4-(4-(4,5-dihydro-5,5-dimethyl-1,2,4-oxadiazol-3-yl)phenyl)-3-fluorophenyl)-2-oxooxazolidin-5-yl)methyl)acetamide)(화합물 107)의 제조
Figure 112007088025958-PAT00067
상기 실시예 4에서 얻은 (S,Z)-N-((3-(4-(4-(N'-하이드록시카르밤이미도일)페닐)-3-플루오로페닐)-2-옥소옥사졸리딘-5-일)메틸)아세트아마이드 23.8mg(0.0616mmol)을 아세톤 3ml에 녹인 후 아세트산 0.75ml를 넣고 48시간 교반했다. 용매를 감압 농축하고 메탄올 : 다이클로로메탄 = 1 : 9 비율의 용리액으로 컬럼을 하여 표제 화합물인 (S)-N-((3-(4-(4-(4,5-디하이드로-5,5-디메틸-1,2,4-옥사디아졸-3-일)페닐)-3-플루오로페닐)-2-옥소옥사졸리딘-5-일)메틸)아세트아마이드를 12.9mg (49%)로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22 (t, 1H, J = 5.8 Hz), 7.69 (d, 2H, J = 8.4 Hz), 7.60-7.55 (m, 4H), 7.46 (s, 1H ), 7.39 (dd, 1H, J 1 = 8.8 Hz, J 2 = 2.0 Hz), 4.75-4.69 (m, 1H), 4.15-4.10 (m, 1H), 3.76-3.72 (m, 1H), 3.40-3.37 (m, 1H), 1.79 (s, 3H), 1.40 (s, 6H)
LCMS : C22H23FN4O4 에 대해 427 (M+H+)
[실시예 8] (S)-N-((3-(4-(4-(5-옥소-1,2,4-옥사디아졸-3-일)페닐)-3-플루오로페닐)-2-옥소옥사졸리딘-5-일)메틸)아세트아마이드 ((S)-N-((3-(4-(4-(5-oxo-1,2,4-oxadiazol-3-yl)phenyl)-3-fluorophenyl)-2-oxooxazolidin-5-yl)methyl)acetamide)(화합물 108)의 제조
Figure 112007088025958-PAT00068
상기 실시예 4에서 얻은 (S,Z)-N-((3-(4-(4-(N'-하이드록시카르밤이미도일)페닐)-3-플루오로페닐)-2-옥소옥사졸리딘-5-일)메틸)아세트아마이드 23.3mg(0.0603mmol)을 피리딘 2ml로 녹인 후 메틸 클로로포르메이트 0.01ml(0.12mmol)을 넣고 3시간 동안 환류 교반했다. 용매를 감압 농축하고 메탄올 : 다이 클로로 메탄 = 1 : 9 비율의 용리액으로 컬럼을 하여 표제 화합물인 (S)-N-((3-(4-(4-(5-옥소-1,2,4-옥사디아졸-3-일)페닐)-3-플루오로페닐)-2-옥소옥사졸리딘-5-일)메틸)아세트아마이드를 8.1mg (33%)로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22 (t, 1H, J = 5.8 Hz), 7.85 (d, 2H, J = 8.0 Hz), 7.70 (d. 2H, J = 8.0 Hz), 7.63-7.57 (m, 2H), 7.40 (d. 1H, J = 8.0 Hz), 5.71 (s, 1H), 4.72 (m, 1H), 4.15-4.11 (m, 1H), 3.76-3.73 (m, 1H), 3.39 (m, 2H), 1.79 (s, 3H)
LCMS : C20H17FN4O5 에 대해 413 (M+H+)
[실시예 9] (S)-N-((3-(4-(4-(N-아미노카바모일)페닐)-3-플루오로페닐)-2- 옥소옥사졸리딘-5-닐)메틸)아세트아마이드 ((S)-N-((3-(4-(4-(N-aminocarbamoyl)phenyl)-3-fluorophenyl)-2-oxooxazolidin-5-yl)methyl)acetamide) (화합물 109)의 제조
Figure 112007088025958-PAT00069
상기 실시예 3에서 하이드록시아민 대신에 하이드라진을 사용하여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S)-N-((3-(4-(4-(N-아미노카바모일)페닐)-3-플루오로페닐)-2- 옥소옥사졸리딘-5-닐)메틸)아세트아마이드(화합물 109)를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1.76 (s, 1H), 8.30 (t, 1H, J = 5.6 Hz), 8.05-8.03 (m, 2H), 7.76-7.62 (m, 4H), 7.46 (dd, 1H, J 1 = 8.8 Hz, J 2 = 2.4 Hz), 4.80-4.74 (m, 1H), 4.20-4.16 (m, 1H), 3.81-3.77 (m, 1H), 3.47-3.41 (m, 2H), 1.84 (s, 3H)
LCMS : C19H19F1N4O4 대해 387 (M+H+)
[실시예 10] (S,Z)-N-((3-(4-(4-(N'-아미노카르밤이미도일)페닐)-3-플루오로페닐)-2-옥소옥사졸리딘-5-일)메틸)아세트아마이드 ((S,Z)-N-((3-(4-(4-(N'-aminocarbam imidoyl)phenyl)-3-fluorophenyl)-2-oxooxazolidin-5-yl)methyl)acetamide) (화합물 110)의 제조
Figure 112007088025958-PAT00070
상기 실시예 4에서 하이드록시아민 대신에 하이드라진을 사용하여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S,Z)-N-((3-(4-(4-(N'-아미노카르밤이미도일)페닐)-3-플루오 로페닐)-2-옥소옥사졸리딘-5-일)메틸)아세트아마이드 (화합물 110)를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29 (t, 1H, J = 5.6 Hz), 8.05 (br s, 1H), 7.98-7.96 (m, 2H), 7.65-7.59 (m, 4H), 7.44 (dd, 1H, J 1 = 8.8 Hz, J 2 = 2.4 Hz), 4.80-4.74 (m, 1H), 4.20-4.16 (m, 1H), 3.81-3.77 (m, 1H), 3.45-3.42 (m, 2H), 1.84 (s, 3H)
LCMS : C19H20F1N5O3 대해 386 (M+H+)
[실시예 11] (S,Z)-N-((3-(4-(4-(4,5-디하이드로-1-메틸-1H-이미다졸-2-일)페닐)-3-플루오로페닐)-2-옥소옥사졸리딘-5-일)메틸)아세트아마이드 ((S,Z)-N-((3-(4-(4-(4,5-dihydro-1-methyl-1H-imidazol-2-yl)phenyl)-3-fluorophenyl)-2-oxooxazolidin-5-yl)methyl)acetamide) (화합물 111)의 제조
Figure 112007088025958-PAT00071
상기 제조예 4에서 얻은 N-(((S)-3-(4-(4-시아노페닐)-3-플루오로페닐)-2-옥소옥사졸리딘-5-닐)메틸) 아세트아마이드를 에탄올에서 염산 가스와 반응 시킨 후 감압 농축하고 에탄올에서 N-메틸에틸렌디아민과 반응시켜 (S,Z)-N-((3-(4-(4-(4,5-디하이드로-1-메틸-1H-이미다졸-2-일)페닐)-3-플루오로페닐)-2-옥소옥사졸리 딘-5-일)메틸)아세트아마이드 (화합물 111)를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27 (t, 1H, J = 6.0 Hz), 7.67-7.60 (m, 6H), 7.45 (dd, 1H, J 1 = 8.8 Hz, J 2 = 2.4 Hz), 4.80-4.76 (m, 1H), 4.21-4.16 (m, 1H), 3.82-3.75 (m, 3H), 3.58-3.53 (m, 2H), 3.45-3.42 (m, 2H), 2.84 (s, 3H), 1.84 (s, 3H)
LCMS : C22H23F1N4O3 대해 411 (M+H+)
[실시예 12] (S,Z)-N-((3-(4-(4-(N'-(메틸카보닐옥시)카르밤이미도일)페닐)-3-플루오로페닐)-2-옥소옥사졸리딘-5-일)메틸)아세트아마이드 ((S,Z)-N-((3-(4-(4-(N'-(methyl carbonyloxy)carbam imidoyl)phenyl)-3-fluorophenyl)-2-oxooxazolidin-5-yl)methyl)acetamide)(화합물 112)의 제조
Figure 112007088025958-PAT00072
실시예 6에서 메틸아이오다이드 (CH3I) 대신에 아세틸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S,Z)-N-((3-(4-(4-(N'-(메틸카보닐옥시)카르밤이미도일)페닐)-3-플루오로페닐)-2-옥소옥사졸리딘-5-일)메틸)아세트아마이드 (화합물 112)를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28 (t, 1H, J = 5.6 Hz), 7.83-7.81 (m, 2H), 7.66-7.60 (m, 4H), 7.44 (dd, 1H, J 1 = 8.8 Hz, J 2 = 2.4 Hz), 6.88 (br s, 2H), 4.80-4.74 (m, 1H), 4.20-4.16 (m, 1H), 3.81-3.77 (m, 1H), 3.45-3.43 (m, 2H), 2.14 (s, 3H), 1.84 (s, 3H)
LCMS : C21H21F1N4O5 대해 429 (M+H+)
[실시예 13] (S,Z)-N-((3-(4-(4-(4,5-디하이드로-1H-이미다졸-2-일)페닐)-3-플루오로페닐)-2-옥소옥사졸리딘-5-일)메틸)아세트아마이드 ((S,Z)-N-((3-(4-(4-(4,5-dihydro-1H-imidazol-2-yl)phenyl)-3-fluorophenyl)-2-oxooxazolidin-5-yl)methyl)acetamide) (화합물 113)의 제조
Figure 112007088025958-PAT00073
상기 제조예 4에서 얻은 N-(((S)-3-(4-(4-시아노페닐)-3-플루오로페닐)-2-옥소옥사졸리딘-5-닐)메틸) 아세트아마이드를 에탄올에서 염산 가스와 반응 시킨 후 감압 농축하고 에탄올에서 에틸렌디아민과 반응시켜 (S,Z)-N-((3-(4-(4-(4,5-디하이드로-1H-이미다졸-2-일)페닐)-3-플루오로페닐)-2-옥소옥사졸리딘-5-일)메틸)아세 트아마이드 (화합물 113)를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32 (t, 1H, J = 6.0 Hz), 7.95 (d, 2H, J = 8.4 Hz), 7.67-7.60 (m, 4H), 7.44 (dd, 1H, J 1 = 8.8 Hz, J 2 = 2.4 Hz), 4.79-4.76 (m, 1H), 4.21-4.16 (m, 1H), 3.83-3.79 (m, 1H), 3.69 (s, 4H), 3.45-3.42 (m, 2H), 1.84 (s, 3H)
LCMS : C21H21F1N4O3 대해 397 (M+H+)
[실시예 14] (S,Z)-N-((3-(4-(4-(1,4,5,6-tetrahydro-pyrimidin-2-yl)페닐)-3-플루오로페닐)-2-옥소옥사졸리딘-5-일)메틸)아세트아마이드 ((S,Z)-N-((3-(4-(4-(1,4,5,6-tetrahydro-pyrimidin-2-yl)phenyl)-3-fluorophenyl)-2-oxooxazolidin-5-yl)methyl)acetamide) (화합물 114)의 제조
Figure 112007088025958-PAT00074
상기 제조예 4에서 얻은 N-(((S)-3-(4-(4-시아노페닐)-3-플루오로페닐)-2-옥소옥사졸리딘-5-닐)메틸) 아세트아마이드를 에탄올에서 염산 가스와 반응 시킨 후 감압 농축하고 에탄올에서 1,3-프로필렌디아민과 반응시켜 (S,Z)-N-((3-(4-(4-(1,4,5,6-tetrahydro-pyrimidin-2-yl)페닐)-3-플루오로페닐)-2-옥소옥사졸리딘-5- 일)메틸)아세트아마이드 (화합물 114)를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34 (t, 1H, J = 5.8 Hz), 7.88-7.86 (m, 2H), 7.80-7.77 (m, 2H), 7.70-7.62 (m, 2H), 7.47 (dd, 1H, J 1 = 8.8 Hz, J 2 = 2.4 Hz), 4.80-4.76 (m, 1H), 4.21-4.16 (m, 1H), 3.84-3.80 (m, 1H), 3.52-3.42 (m, 6H), 1.99-1.97 (m, 2H), 1.84 (s, 3H)
LCMS : C22H23F1N4O3 대해 411 (M+H+)
[실시예 15] (S)-N-((3-(4-(4-(N-(디메틸아미노)카바모일)페닐)-3-플루오로페닐)-2- 옥소옥사졸리딘-5-닐)메틸)아세트아마이드 ((S)-N-((3-(4-(4-(N-(dimethylamino)carbamoyl)phenyl)-3-fluorophenyl)-2-oxooxazolidin-5-yl)methyl)acetamide) (화합물 115)의 제조
Figure 112007088025958-PAT00075
상기 실시예 3에서 하이드록시아민 대신에 N,N-디메틸하이드라진을 사용하여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S)-N-((3-(4-(4-(N-(디메틸아미노)카바모일)페닐)-3-플루오로페닐)-2- 옥소옥사졸리딘-5-닐)메틸)아세트아마이드 (화합물 115)를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9.47 (s, 1H), 8.28 (t, 1H, J = 5.6 Hz), 7.87-7.85 (m, 2H), 7.69-7.60 (m, 4H), 7.44 (dd, 1H, J 1 = 8.8 Hz, J 2 = 2.4 Hz), 4.80-4.74 (m, 1H), 4.20-4.16 (m, 1H), 3.81-3.77 (m, 1H), 3.45-3.43 (m, 2H), 2.60 (s, 6H), 1.84 (s, 3H)
LCMS : C21H23F1N4O4 대해 415 (M+H+)
[실시예 16] (S)-N-((3-(4-(4-(N-시아노카바모일)페닐)-3-플루오로페닐)-2- 옥소옥사졸리딘-5-닐)메틸)아세트아마이드 ((S)-N-((3-(4-(4-(N-cyanocarbamoyl)phenyl)-3-fluorophenyl)-2-oxooxazolidin-5-yl)methyl)acetamide) (화합물 116)의 제조
Figure 112007088025958-PAT00076
상기 실시예 3에서 하이드록시아민 대신에 시아나마이드(cyanamide)을 사용하여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S)-N-((3-(4-(4-(N-시아노카바모일)페닐)-3-플루오로페닐)-2- 옥소옥사졸리딘-5-닐)메틸)아세트아마이드 (화합물 116)를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23 (t, 1H, J = 5.8 Hz), 7.96-7.93 (m, 2H), 7.59-7.48 (m, 4H), 7.38 (dd, 1H, J 1 = 8.8 Hz, J 2 = 2.4 Hz), 4.74-4.68 (m, 1H), 4.14-4.10 (m, 1H), 3.76-3.71 (m, 1H), 3.39-3.36 (m, 2H), 1.79 (s, 3H)
LCMS : C20H17F1N4O4 대해 397 (M+H+)
[실시예 17] (S,Z)-N-((3-(4-(4-(2,3-디하이드로-3,3-디메틸-1H-1,2,4-트리아졸-5-일)페닐)-3-플루오로페닐)-2-옥소옥사졸리딘-5-일)메틸)아세트아마이드 ((S,Z)-N-((3-(4-(4-(2,3-dihydro-3,3-dimethyl-1H-1,2,4-triazol-5-yl)phenyl)-3-fluorophenyl)-2-oxooxazolidin-5-yl)methyl)acetamide) (화합물 117)의 제조
Figure 112007088025958-PAT00077
화합물 110과 아세톤을 반응시켜 (S,Z)-N-((3-(4-(4-(2,3-디하이드로-3,3-디메틸-1H-1,2,4-트리아졸-5-일)페닐)-3-플루오로페닐)-2-옥소옥사졸리딘-5-일)메틸)아세트아마이드 (화합물 117)를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91-7.87 (m, 2H), 7.56-7.42 (m, 4H), 7.28-7.25 (m, 2H), 6.20 (t, 1H, J = 6.0 Hz), 5.40 (br s, 2H), 4.85-4.78 (m, 1H), 4.10-4.06 (m, 1H), 3.84-3.79 (m, 1H), 3.71-3.62 (m, 2H), 2.13 (s, 3H), 2.10 (s, 3H), 2.04 (s, 3H)
LCMS : C22H24F1N5O3 대해 426 (M+H+)
[실시예 18] (S)-N-((3-(4-(4-(N-하이드록시-N-메틸카바모일)페닐)-3-플루오로페닐)-2- 옥소옥사졸리딘-5-닐)메틸)아세트아마이드 ((S)-N-((3-(4-(4-(N-hydroxy-N-methylcarbamoyl)phenyl)-3-fluorophenyl)-2-oxooxazolidin-5-yl)methyl)acetamide) (화합물 118)의 제조
Figure 112007088025958-PAT00078
상기 실시예 3에서 하이드록시아민 대신에 N-메틸하이드록시아민을 사용하여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S)-N-((3-(4-(4-(N-하이드록시-N-메틸카바모일)페닐)-3-플루오로페닐)-2- 옥소옥사졸리딘-5-닐)메틸)아세트아마이드 (화합물 118)를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0.0 (s, 1H), 8.21 (t, 1H, J = 5.8 Hz), 7.65 (d, 2H, J = 8.4 Hz), 7.59-7.53 (m, 4H), 7.38 (dd, 1H, J 1 = 8.8 Hz, J 2 = 2.4 Hz), 4.74-4.68 (m, 1H), 4.14-4.10 (m, 1H), 3.76-3.71 (m, 1H), 3.39-3.36 (m, 2H), 3.21 (s, 3H), 1.79 (s, 3H)
LCMS : C20H20F1N3O5 대해 402 (M+H+)
[실시예 19] (S)-N-((3-(4-(4-(N-하이드록시-N-메틸-카르밤이미도일)페닐)-3-플루오로페닐)-2-옥소옥사졸리딘-5-일)메틸)아세트아마이드 ((S)-N-((3-(4-(4-(N-hydroxy-N-methyl-carbamimidoyl)phenyl)-3-fluorophenyl)-2-oxooxazolidin-5-yl)methyl)acetamide) (화합물 119)의 제조
Figure 112007088025958-PAT00079
상기 실시예 4에서 하이드록시아민 대신에 N-메틸하이드록시아민을 사용하여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S)-N-((3-(4-(4-(N-하이드록시-N-메틸-카르밤이미도일)페닐)-3-플루오로페닐)-2-옥소옥사졸리딘-5-일)메틸)아세트아마이드 (화합물 119)를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26 (t, 1H, J = 5.6 Hz), 7.63-7.51 (m, 6H), 7.39 (dd, 1H, J 1 = 8.8 Hz, J 2 = 2.4 Hz), 6.83 (br s, 2H), 4.74-4.68 (m, 1H), 4.15-4.11 (m, 1H), 3.77-3.72 (m, 1H), 3.39-3.36 (m, 2H), 3.27 (s, 3H), 1.79 (s, 3H)
LCMS : C20H21F1N4O4 대해 401 (M+H+)
[실시예 20] (S)-N-((3-(4-(4-(구아니디닐카보닐)페닐)-3-플루오로페닐)-2- 옥소옥사졸리딘-5-닐)메틸)아세트아마이드 ((S)-N-((3-(4-(4-(guanidinylcarbonyl)phenyl)-3-fluorophenyl)-2-oxooxazolidin-5-yl)methyl)acetamide) (화합물 120)의 제조
Figure 112007088025958-PAT00080
상기 실시예 3에서 하이드록시아민 대신에 N-boc-구아니딘을 사용하여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킨 후 염산으로 처리하여 (S)-N-((3-(4-(4-(구아니디닐카보닐)페닐)-3-플루오로페닐)-2- 옥소옥사졸리딘-5-닐)메틸)아세트아마이드 (화합물 120)를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1.40 (s, 1H), 8.51 (br s, 2H), 8.37 (br s, 2H), 8.28 (t, 1H, J = 5.6 Hz), 8.07-8.04 (m, 2H), 7.83-7.81 (m, 2H), 7.71-7.63 (m, 2H), 7.47 (dd, 1H, J 1 = 8.8 Hz, J 2 = 2.4 Hz), 4.80-4.75 (m, 1H), 4.21-4.16 (m, 1H), 3.82-3.78 (m, 1H), 3.67-3.41 (m, 2H), 1.84 (s, 3H)
LCMS : C20H20F1N5O4 대해 414 (M+H+)
[실시예 21] (S,Z)-N-((3-(4-(4-(N-(아미노메틸카보닐옥시)카르밤이미도일)페닐)-3-플루오로페닐)-2-옥소옥사졸리딘-5-일)메틸)아세트아마이드 ((S,Z)-N-((3-(4-(4-(N-(aminomethylcarbonyloxy)carbam imidoyl)phenyl)-3-fluorophenyl)-2-oxooxazolidin-5-yl)methyl)acetamide)(화합물 121)의 제조
Figure 112007088025958-PAT00081
실시예 6에서 메틸아이오다이드 (CH3I) 대신에 N-boc-Glycine hydroxysuccinimide ester (boc-Gly-OSU) 을 사용하여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킨 후 염산으로 처리하여 (S,Z)-N-((3-(4-(4-(N-(아미노메틸카보닐옥시)카르밤이미도일)페닐)-3-플루오로페닐)-2-옥소옥사졸리딘-5-일)메틸)아세트아마이드 (화합물 121)를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43 (br s, 2H), 8.31 (t, 1H, J = 5.6 Hz), 8.18 (br s, 1H), 7.84-7.78 (m, 3H), 7.67-7.61 (m, 3H), 7.46 (dd, 1H, J 1 = 8.8 Hz, J 2 = 2.4 Hz), 7.20 (br s, 1H), 4.81-4.77 (m, 1H), 4.21-4.16 (m, 1H), 4.11-3.98 (m, 1H), 3.82-3.79 (m, 1H), 3.67-3.41 (m, 3H), 1.85 (s, 3H)
LCMS : C21H22F1N5O5 대해 444 (M+H+)
[실시예 22] (S,Z)-N-((3-(4-(4-(N-(아미노프로필카보닐옥시)카르밤이미도일)페닐)-3-플루오로페닐)-2-옥소옥사졸리딘-5-일)메틸)아세트아마이드 ((S,Z)-N-((3-(4-(4-(N-(aminopropylcarbonyloxy)carbam imidoyl)phenyl)-3-fluorophenyl)-2-oxooxazolidin-5-yl)methyl)acetamide)(화합물 122)의 제조
Figure 112007088025958-PAT00082
실시예 6에서 메틸아이오다이드 (CH3I) 대신에 boc-gamma-aminobutyric hydroxysuccinimide ester (boc-GABA-OSU)를 사용하여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킨 후 염산으로 처리하여 (S,Z)-N-((3-(4-(4-(N-(아미노프로필카보닐옥시)카르밤이미도일)페닐)-3-플루오로페닐)-2-옥소옥사졸리딘-5-일)메틸)아세트아마이드 (화합물 122)를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30 (t, 1H, J = 5.6 Hz), 7.88 (br s, 2H), 7.83-7.80 (m, 2H), 7.65-7.61 (m, 4H), 7.44 (dd, 1H, J 1 = 8.8 Hz, J 2 = 2.4 Hz), 6.93 (br s, 1H), 4.81-4.77 (m, 1H), 4.21-4.16 (m, 1H), 3.82-3.79 (m, 2H), 3.45-3.42 (m, 2H), 2.89-2.83 (m, 2H), 2.62 (t, 2H, J = 7.2 Hz), 1.88 (t, 2H, J = 7.2 Hz) 1.84 (s, 3H)
LCMS : C23H26F1N5O5 대해 472 (M+H+)
[ 실험예 1] 시험관 내 항균활성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22에서 합성한 본 발명에 따른 옥사졸리디논 유도체의 항균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험관 내 활성 검사를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22의 옥사졸리디논 유도체들의 시험관 내 항균 활성은 분광 측정에 의한 약물 비처리 대조군 성장과 비교하여 균의 성장을 90%까지 억제할 수 있는 항생제의 최소 농도인 90% 억제 농도(MIC90, ug/mL)를 측정하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MIC90는 NCCLS 표준[참고: National Committee for Clinical Laboratory Standards.(2000) Methods for Dilution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 for Bacteria that Grow Aerobically-Fifth Edition:M7-A5. NCCLS,Villanova, PA]에 기초한 브로스 마이크로 희석법(Broth microdilution method)로 측정하였다.
1) 시험 균주
메티실린 감수성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MSSA, methicillin susceptible Staphylococcus aureus), 메티실린 내성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MRSA,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반코마이신 내성 엔테로코카이(VRE, Vancomycin resistant Enterococci), 해모필루스 인플루엔자(Haemophilus Influenzae)와 모락셀라(moraxella)등 모두 12개 균주를 사용하였으며 일부의 결과를 표 1 내지 표 3에 나타내었다.
2) 시험물질 제조법
시험물질(실시예 1 내지 22에서 합성한 본 발명에 따른 옥사졸리디논 유도체 화합물 101 내지 122)을 10240ug/mL의 농도로 DMSO에 녹인 후 2배(fold)씩 희석하여 멸균된 3차 증류수로 20배(fold) 희석하였다. 항균 실험 시 최종농도는 최고 128ug/mL에서 최저 0.0625ug/mL이었으며, 부형제로 사용된 DMSO의 농도는 최종적으로 2.5%(V/V)였다. 대조물질로는 파마시아 앤 업존의 리네졸리드(화학식 B)의 화합물을 사용하여 항균활성을 비교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 내지 표 3에 나타내었다.
[화학식 B]
Figure 112007088025958-PAT00083
[표 1]
Figure 112007088025958-PAT00084
[표 2]
Figure 112007088025958-PAT00085
[표 3]
Figure 112007088025958-PAT00086
Figure 112007088025958-PAT00087
상기 표 1 내지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옥사졸리디논 유도체는 대조물질인 리네졸리드에 비하여 훨씬 낮은 농도에서 기존 항생제에 내성을 갖는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와 엔테로코쿠스 패칼리스 등의 그람 양성균 및 해모필루스 인플루엔재, 모락셀라 카타랄리스 등의 그람 음성균에 대해 강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특히 리네졸리드 내성 엔테로코쿠스 패칼리스에 대해 탁월한 항균력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옥사졸리디논 유도체는 항생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7)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한 옥사졸리디논 유도체, 이의 프로드럭, 이의 수화물, 이의 용매화물, 이의 이성질체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화학식 1]
    Figure 112007088025958-PAT00088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하기 구조의 비고리 치환기 또는 헤테로 고리 치환기이며;
    Figure 112007088025958-PAT00089
    R11은 -NO2, -COOR21, -CONR22R23 또는 -(CH2)nNR24R25 이며;
    R12 -OR26, -OCOR27, -OSO2R28, -NR29R30,
    Figure 112007088025958-PAT00090
    또는 -CN이며;
    R13 및 R14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7의 알킬기, -(CH2)nNR34R35, -CONR36R37, -OR38, -OCOR39, -COR40, -OSO2R41, -SO2R42 또는 -CN 이며;
    R15은 수소, C1-C7의 알킬기 또는 -OR43이며;
    R16 및 R17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7의 알킬 또는 -OR44이며;
    A는 C2-C3의 알킬렌으로, N, O 및 S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원자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R21 내지 R33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7의 알킬기이며;
    R34 내지 R42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7의 알킬기, 페닐, -COR45, -CO(CH2)mNR46R47, -SO2R48 또는 -OCOR49이며;
    R43은 수소 또는 C1-C7의 알킬기이며;
    R44는 수소, C1-C7의 알킬기 또는 -CO(CH2)mNR50R51이며;
    R45 내지 R49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7의 알킬기이며;
    R50 또는 R51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7의 알킬기이며;
    n은 0 내지 5의 정수이고;
    m은 1 내지 5의 정수이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Figure 112007088025958-PAT00091
    는 하기 구조의 헤테로 고리 치환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사졸리디논 유도체, 이의 프로드럭, 이의 수화물, 이의 용매화물, 이의 이성질체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Figure 112007088025958-PAT00092
    Figure 112007088025958-PAT00093
    Figure 112007088025958-PAT00094
    Figure 112007088025958-PAT00095
    [R14는 청구항 제1항의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며; R101 내지 R132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7의 알킬기, -COR201 또는 -SO2R202 로 치환되며; R201 및 R20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7의 알킬기이다.]
  3. 제 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2 내지 5로부터 선택되는 표시되는 옥사졸리디논 유도체, 이의 프로드럭, 이의 수화물, 이의 용매화물, 이의 이성질체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화학식 2]
    Figure 112007088025958-PAT00096
    [화학식 3]
    Figure 112007088025958-PAT00097
    [화학식 4]
    Figure 112007088025958-PAT00098
    [화학식 5]
    Figure 112007088025958-PAT00099
    [상기 화학식 2 내지 5에서, A는 상기 청구항 제1항의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며;
    R11은 -NO2, -COOR21 또는 -(CH2)nNR24R25 이며;
    R12 -OR26, -OCOR27, -OSO2R28, -NR29R30,
    Figure 112007088025958-PAT00100
    또는 -CN이며;
    R13 및 R14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7의 알킬기, -(CH2)nNR34R35, -OR38 또는 -CN 이며;
    R15은 수소, C1-C7의 알킬기 또는 -OR43이며;
    R16 및 R17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7의 알킬기 또는 -OR44이며;
    R21 및 R24 내지 R33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7의 알킬기이며;
    R34, R35 및 R38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7의 알킬기, -COR45 또는 -CO(CH2)mNR46R47이며;
    R43은 수소 또는 C1-C7의 알킬기이며;
    R44는 수소, C1-C7의 알킬기 또는 -CO(CH2)mNR50R51이며;
    R45 내지 R47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7의 알킬기이며;
    R50 또는 R51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7의 알킬기이며;
    n은 0 내지 3의 정수이고;
    m은 1 내지 5의 정수이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Figure 112007088025958-PAT00101
    는 하기 구조의 헤테로 고리 치환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 사졸리디논 유도체, 이의 프로드럭, 이의 수화물, 이의 용매화물, 이의 이성질체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Figure 112007088025958-PAT00102
    [R14는 청구항 제3항에서의 정의와 동일하며; R101 내지 R106 및 R123 내지 R128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7의 알킬기이다.]
  5. 제 1항에 있어서,
    R1
    Figure 112007088025958-PAT00103
    ,
    Figure 112007088025958-PAT00104
    ,
    Figure 112007088025958-PAT00105
    ,
    Figure 112007088025958-PAT00106
    ,
    Figure 112007088025958-PAT00107
    ,
    Figure 112007088025958-PAT00108
    ,
    Figure 112007088025958-PAT00109
    또는
    Figure 112007088025958-PAT00110
    이고; R11은 -NO2 또는 -COOR21 이며; R12 -OH, -NR29R30,
    Figure 112007088025958-PAT00111
    또는 -CN이며; R13 수소, C1-C7의 알킬기, -(CH2)n NR34R35 또는 -OR38 이며; R14는 수소 또는 C1-C7의 알킬기이며; R15은 수소, C1-C7의 알킬기 또는 -OR43이며; R16 및 R17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7의 알킬기 또는 -OR44이며; R21, R29, R30, R34 및 R35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7의 알킬기이며; R38는 수소, C1-C7의 알킬기, -COR45 또는 -CO(CH2)mNH2이며; R43은 수소 또는 C1-C7의 알킬기이며; R44는 수소, C1-C7의 알킬기 또는 -CO(CH2)mNH2이며; R45는 수소 또는 C1-C7의 알킬기이며; R101 내지 R106 및 R123 내지 R128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7의 알킬기이고; m은 1 내지 5의 정수이고; n은 0 내지 3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사졸리디논 유도체, 이의 프로드럭, 이의 수화물, 이의 용매화물, 이의 이성질체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6. 제 5항에 있어서,
    하기 화합물들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사졸리디논 유도체, 이의 프로드럭, 이의 수화물, 이의 용매화물, 이의 이성질체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Figure 112007088025958-PAT00112
    Figure 112007088025958-PAT00113
    Figure 112007088025958-PAT00114
    Figure 112007088025958-PAT00115
    Figure 112007088025958-PAT00116
    Figure 112007088025958-PAT00117
    Figure 112007088025958-PAT00118
    Figure 112007088025958-PAT00119
    Figure 112007088025958-PAT00120
    Figure 112007088025958-PAT00121
    Figure 112007088025958-PAT00122
    Figure 112007088025958-PAT00123
    Figure 112007088025958-PAT00124
    Figure 112007088025958-PAT00125
    Figure 112007088025958-PAT00126
    Figure 112007088025958-PAT00127
    Figure 112007088025958-PAT00128
    Figure 112007088025958-PAT00129
    Figure 112007088025958-PAT00130
    Figure 112007088025958-PAT00131
    Figure 112007088025958-PAT00132
    Figure 112007088025958-PAT00133
  7. 제 1항 내지 제 6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따른 옥사졸리디논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생제용 의약 조성물.
KR1020070126433A 2006-12-08 2007-12-06 신규한 옥사졸리디논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함유하는 의약 조성물 KR100948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7/006364 WO2008069619A1 (en) 2006-12-08 2007-12-07 Novel oxazolidinone derivatives, process for preparing thereof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4412 2006-12-08
KR20060124412 2006-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3209A true KR20080053209A (ko) 2008-06-12
KR100948345B1 KR100948345B1 (ko) 2010-03-22

Family

ID=39807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6433A KR100948345B1 (ko) 2006-12-08 2007-12-06 신규한 옥사졸리디논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함유하는 의약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83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831B1 (ko) * 2010-10-29 2012-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비수계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공기 전지
CN111184724A (zh) * 2020-01-21 2020-05-22 首都医科大学附属北京胸科医院 deplazolid(LCB01-0371)在偶发分枝杆菌感染中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08271A (ja) * 2004-07-28 2008-03-21 リブ−エックス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ビアリール複素環式化合物ならびにその化合物を製造および使用する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831B1 (ko) * 2010-10-29 2012-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비수계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공기 전지
CN111184724A (zh) * 2020-01-21 2020-05-22 首都医科大学附属北京胸科医院 deplazolid(LCB01-0371)在偶发分枝杆菌感染中的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8345B1 (ko) 2010-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14469C2 (ru) Новые производные оксазолидинона
US6689779B2 (en) Oxazolidinone derivatives and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WO2004014392A1 (en) Oxazolidinone derivatives as antimicrobials
KR100872059B1 (ko) 아미독심 또는 하이드록사마이드 기를 가지는 신규한옥사졸리디논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
JP6072764B2 (ja) 新規なオキサゾリジノン誘導体およびそれを含む医薬組成物
WO2008069619A1 (en) Novel oxazolidinone derivatives, process for preparing thereof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RU2522582C2 (ru) Новые противомикробные средства
JP5511824B2 (ja) 環状アミドキシムまたは環状アミドラゾン基を有する新規なオキサゾリジノン誘導体及びこれを含む医薬組成物
KR100948345B1 (ko) 신규한 옥사졸리디논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함유하는 의약 조성물
KR101169359B1 (ko) 사이클릭 아미드라존 기를 가지는 신규한 옥사졸리디논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
US20080214565A1 (en) Oxazolidinone Derivatives as Antimicrobials
KR100731469B1 (ko) 피리딘 고리를 포함하는 옥사졸리디논 유도체 및 그의제조방법
KR100713170B1 (ko) 헤테로고리 또는 헤테로아로마틱 고리가 치환된 피리딘고리를 포함하는 옥사졸리디논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74096B1 (ko) 피리미딘 고리를 포함하는 신규 옥사졸리디논 유도체와그의 제조방법
KR100856745B1 (ko) 헤테로 고리 및 헤테로아로마틱 고리가 치환 또는 융합된피리딘을 포함하는 옥사졸리디논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29327B1 (ko) 신규 트리아졸릴메틸옥사졸리디논 유도체
KR20120081579A (ko) 사이클릭 아미드라존 기를 가지는 신규한 옥사졸리디논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