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2774A -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2774A
KR20080052774A KR1020060124370A KR20060124370A KR20080052774A KR 20080052774 A KR20080052774 A KR 20080052774A KR 1020060124370 A KR1020060124370 A KR 1020060124370A KR 20060124370 A KR20060124370 A KR 20060124370A KR 20080052774 A KR20080052774 A KR 20080052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lectrode
thin film
film transistor
organic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4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준호
이동기
이정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4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52774A/ko
Publication of KR20080052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27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4Insulating layers formed between TFT elements and OLED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09G2300/0465Improved aperture ratio, e.g. by size reduction of the pixel circuit, e.g. for improving the pixel density or the maximum displayable luminance or bright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ome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구율을 높일 수 있는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기판 상에 스위치 박막트랜지스터 및 구동 박막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스위치 박막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과,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 및 게이트 전극을 노출시키는 제 1 내지 제 3 컨택홀를 가지는 평탄화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평탄화층 상에 투명전도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투명전도막 상에 소수성의 표면을 가지는 격벽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격벽 상에 유기발광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유기발광층을 덮도록 제 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의 한 서브 화소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선 "Ⅰ-Ⅰ'"를 따라 절취한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i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의 한 서브화소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따른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 절연기판 12 : 게이트 절연막
14 : 보호막 16 : 평탄화층
18 : 격벽 20 : 게이트 라인
30 : 데이터 라인 42 : 제 1 컨택홀
44 : 제 2 컨택홀 46 : 제 3 컨택홀
52,53 : 소스전극 58,70 : 드레인 전극
54,55 : 반도체 패턴 60 : 제 1 전극
62,64 : 게이트 전극 82 : 유기발광층
86 : 제 2 전극 ` 88 : 컬러필터
본 발명은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개구율을 높일 수 있는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정보를 화면으로 구현해주는 영상표시장치는 정보통신시대의 핵심 기술로 더 얇고 더 가볍고 휴대가 가능하면서도 고성능의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에 음극선관(CRT)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와 같은 평판표시장치가 각광받고 있다. 여기서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는 전극사이의 얇은 발광층을 이용한 자발광 소자로 종이와 같이 박막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는 박막트랜지스터, 박막트랜지프터를 덮도록 형성된 유기발광층, 평탄화층 상에 형성되어 빛을 투과시키는 제 1 전극, 빛을 반사시키는 제 2 전극, 제 1 및 제 2 전극 사이에 여러 층의 유기물층이 적층하여 형성된 유기발광층으로 구비한다.
여기서,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의 평탄화를 위해 형성되는 평탄화층은 수분이 나 유기물질 등의 불순물을 흡수하게 된다. 즉, 평탄화층은 유기발광층 증착공정시 유기물질이 스며들게 된다. 이에 따라, 발광영역에 불순물이 투과됨으로써 불순물에 의해 빛이 투과하지 못하여 발광영역이 감소됨과 아울러 표시패널의 수명이 단축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제조방법에서 유기 발광층이 형성되기 이전의 패널을 고온에서 베이킹하는 공정을 더 추가한다. 하지만, 이미 불순물이 평탄화층 내로 침투하였기 때문에 불순물에 의해 빛은 투과하지 못하여 발광영역이 감소되는 문제점을 해결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개구율을 높일 수 있는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기판 상에 스위치 박막트랜지스터 및 구동 박막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스위치 박막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과,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 및 게이트 전극을 노출시키는 제 1 내지 제 3 컨택홀를 가지는 평탄화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평탄화층 상에 투명전도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투명전도막 상에 소수성의 표면을 가지는 격벽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격벽 상에 유기발광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유기발광층을 덮도록 제 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소수성의 표면을 가지는 격벽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투명전도막 상에 상기 제 1 전극을 덮도록 유기절연물질을 증착하는 단계; 상기 유기절연막을 포토리소그래피 공정 및 식각공정을 통해 상기 제 1 전극을 노출시키는 홀을 가지는 격벽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격벽 상에 불소를 포함하는 플라즈마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불소를 포함하는 플라즈마는 CF4 플랒즈마 또는 SF6 플라즈마 중 어느 하나이다.
상기 평탄화층 상에는 불소를 포함하는 플라즈마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불소를 포함하는 플라즈마는 CF4 플랒즈마 또는 SF6 플라즈마 중 어느 하나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는 스위치 박막트랜지스터 및 구동 박막트랜지스터;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 상에 형성되어 표면을 평탄하고 수분 및 불순물의 침투를 방지하도록 소수성을 표면을 가진 평탄화층; 상기 평탄화층 상에 형성되며 빛을 투과하는 제 1 전극; 상기 제 1 전극 상에 형성되어 각각의 화소영역을 정의하며 수분 및 불순물의 침투를 방지하도록 소수성의 표면을 가진 격벽; 상기 격벽과 제 1 전극을 덮도록 형성되며 백색광을 출사시키는 유기발광층; 및 상기 유기발광층 전면 상에 형성되며 빛을 반사하는 제 2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 외에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3i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층 증착용 마스크를 이용하여 형성된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선 "Ⅰ-Ⅰ'"를 따라 절취한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는 적색(R), 녹색(G), 청색(B) 및 백색(W) 서브 화소가 하나의 화소를 이룬다. 각각의 화소는 2*2 행렬의 형태로 배열되어 기본 화소 단위를 이루며, 기본 화소 단위가 행 방향 및 열 방향으로 반복되어 배치되어 있다. 이때, 적색(R), 녹색(G), 청색(B) 및 백색(W) 서브 픽셀은 컬러필터의 색상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적색(R) 서브 필셀 구조만을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는 절연기판(10) 상에 형성된 게이트 라인(20)과, 게이트 라인(20)과 교차하는 데이터 라인(30)과, 게이트 라인(20)과 교차하고 데이터 라인(30)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서브 화소 영역을 마련하는 전원 라인(90)과, 게이트 라인(20) 및 데이터 라인(30)과 접 속된 스위치 박막트랜지스터(T1)와, 스위치 박막트랜지스터(T1) 및 전원 라인(90)과 유기전계 발광 셀의 제 2 전극(87) 사이에 접속된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2)와, 전원 라인(90)과 스위치 박막트랜지스터(T1)의 제 1 드레인 전극(58) 사이에 접속된 스토리지 캐패시터(C)와, 유기전계 발광 셀과 중첩되는 컬러필터(88)를 포함한다.
게이트 라인(20)은 스위치 박막 트랜지스터(T1)에 스캔 신호를 공급하며, 데이터 라인(30)은 스위치 박막 트랜지스터(T1)에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며, 전원 라인(90)은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2)에 전원 신호를 공급한다.
스위치 박막 트랜지스터(T1)는 게이트 라인(20)에 스캔 펄스가 공급되면 턴-온되어 데이터 라인(30)에 공급된 데이터 신호를 스토리지 캐패시터 및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2)의 제 2 게이트 전극(64)으로 공급한다. 이를 위해, 스위치 박막 트랜지스터(T1)는 게이트 라인(20)과 접속된 제 1 게이트 전극(62), 데이터 라인(30)과 접속된 제 1 소스전극(52), 제 1 소스전극(52)과 마주하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2)의 제 2 게이트 전극(64) 및 스토리지 캐패시터와 접속된 제 1 드레인 전극(58), 제 1 소스전극(52) 및 제 1 드레인 전극(58) 사이에 채널부를 형성하는 제 1 반도체 패턴(54)을 구비한다. 여기서, 제 1 반도체 패턴(54)은 게이트 절연막(12)을 사이에 두고 제 1 게이트 전극(62)과 중첩되는 제 1 활성층(54a), 제 1 소스전극(52) 및 제 1 드레인 전극(58)과의 오믹 접촉을 위하여 채널부를 제외한 제 1 활성층(54a) 위에 형성된 제 1 오믹 접촉층(54b)을 구비한다.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2)는 제 2 게이트 전극(64)으로 공급되는 데이터 신 호에 응답하여 전원 라인(90)으로부터 유기전계 발광 셀로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유기전계 발광 셀의 발광량을 조절하게 된다. 이를 위해,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2)는 스위치 박막트랜지스터(T1)의 제 1 드레인 전극(58)과 연결 전극(60)을 통해 접속된 제 2 게이트 전극(64), 전원 라인(90)과 접속된 제 2 소스전극(53), 제 2 소스전극(53)과 마주하며 유기전계 발광 셀의 제 1 전극(86)과 접속된 제 2 드레인 전극(70), 제 2 소스 및 제 2 드레인 전극(53,70) 사이에 채널부를 형성하는 제 2 반도체 패턴(55)을 구비한다. 여기서, 연결 전극(60)은 평탄화층(16) 위에 제 1 전극(86)과 동일 재질로 형성된다. 연결 전극(60)은 제 1 컨택홀(42)을 통해 노출된 스위치 박막트랜지스터(T1)의 제 1 드레인 전극(58)과, 제 2 컨택홀(44)을 통해 노출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2)의 제 2 게이트 전극(64)을 연결시킨다. 제 1 컨택홀(42)은 보호막(14) 및 평탄화층(16)을 관통하여 제 1 드레인 전극(58)을 노출시키며, 제 2 컨택홀(44)은 게이트 절연막(12), 보호막(14) 및 평탄화층(16)을 관통하여 제 2 게이트 전극(64)을 노출시킨다. 제 2 반도체 패턴(55)은 게이트 절연막(12)을 사이에 두고 제 2 게이트 전극(64)과 중첩되는 제 2 활성층(55a), 제 2 소스전극(53) 및 제 2 드레인 전극(70)과의 오믹 접촉을 위하여 채널부를 제외한 제 2 활성층(55a) 위에 형성된 제 2 오믹 접촉층(55b)을 포함한다.
스토리지 캐패시터(C)는 전원 라인(90)과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2)의 제 2 게이트 전극(64)이 게이트 절연막(12)을 사이에 두고 중첩됨으로써 형성된다. 이러한 스토리지 캐패시터(C)에 충전된 전압에 의해 스위치 박막 트랜지스터(T1)가 턴-오프되더라도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2)는 다음 프레임의 데이터 신호가 공급될 때까지 일정한 전류를 공급하여 유기전계 발광 셀이 발광을 유지하게 한다.
제 2 전극(87)은 서브 화소 단위로 형성된 유기발광층(82)을 사이에 두고 제 1 전극(86)과 마주하게 된다. 제 1 전극(86)은 평탄화층(16) 위에서 컬러필터(88)와 중첩되도록 각 서브 화소 영역에 독립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전극(86)은 보호막(14) 및 평탄화층(16)을 각각 관통하는 제 3 컨택홀(46)을 통해 노출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의 제 2 드레인 전극(70)과 접속된다.
컬러필터(88)는 보호막(14) 위에 백색광을 생성하는 유기발광층(82)과 중첩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컬러필터(88)는 유기발광층(82)으로부터 생성된 백색광을 이용하여 적색, 녹색 및 청색을 구현한다. 컬러필터(88)에서 생성된 적색, 녹색 및 청색광은 절연기판(10)을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평탄화층(16)은 스위치 박막트랜지터(T1),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2) 및 컬러필터(88)가 형성된 절연기판(10)의 평탄화를 위해 형성된다. 평탄화층(16)은 스위치 박막트랜지터(T1) 및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2)의 드레인 전극(58,70)을 노출시키는 제 1 및 제 3 컨택홀(42,46)과, 제 2 게이트 전극(64)을 노출시키는 제 2 컨택홀(44)을 가진다. 격벽(18)을 통해 노출된 평탄화층(16)의 표면은 불소를 포함하는 플라스마에 의해서 유기발광층(82)에 대해 소수성을 가진다. 이에 따라, 평탄화층(16)은 유기발광층(82)으로부터 유출되는 수분 및 불순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분 및 불순물에 의해 빛이 투과하지 못하는 현상을 막을 수 있다. 여기서, 불소를 포함하는 플라스마는 CF4 플랒즈마 또는 SF6 플라즈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탄화층(16)으로는 아크릴계의 유기물질로 이용된다.
격벽(18)은 각 화소 영역의 제 1 전극(86)을 노출시키는 홀(19)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격벽의 표면(18)은 불소를 포함하는 플라즈마에 의해 유기발광층(82)에 대해 소수성을 가진다. 이에 따라, 격벽(18)은 유기발광층(82)으로부터 유출되는 수분 및 불순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분 및 불순물에 의해 빛이 투과하지 못하는 현상을 막을 수 있다. 여기서, 불소를 포함하는 플라즈마는 평탄화층(16)에 형성된 것과 동일한 재질이다. 이러한 격벽(18)으로는 아크릴계의 유기물질이 이용된다.
유기전계 발광 셀은 평탄화층(16) 위에 형성된 투명 도전 물질의 제 1 전극(86)과, 제 1 전극(86)과 격벽(18) 위에 형성된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층(82)과, 유기발광층(82) 위에 형성된 제 2 전극(87)으로 구성된다. 유기발광층(82)은 제 1 전극(86) 및 격벽(18) 위에 적층된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발광층은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을 각각 구현하는 발광층들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3층 구조로 형성되거나 보색 관계를 가지는 발광층들이 적층되어 2층 구조로 형성되거나 백색을 구현하는 발광층으로 이루어진 단층 구조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층(82)에 포함된 발광층은 제 1 전극(86)에 공급된 전류량에 따라 발광하여 제 1 전극(86)을 경유하여 컬러필터(88)쪽으로 백색광을 방출하게 된다.
도 3a 및 도 3h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절연기판(10) 위에 게이트 라인(20), 제 1 및 제 2 게이트 전극(62,64)을 포함하는 게이트 금속 패턴이 형성된다.
게이트 금속 패턴은 절연기판(10) 상에 스퍼터링 방법 등의 증착 방법을 통해 게이트 금속층을 형성한 후 포토리소그래피공정과 식각 공정으로 패터닝함으로써 형성된다.
도 3b를 참조하면, 게이트 금속 패턴이 형성된 절연기판(10) 상에 게이트 절연막(12)과, 활성층(54a,55a) 및 오믹 접촉층(54b, 55b)을 각각 포함하는 제 1 및 제 2 반도체 패턴(54,55)이 형성된다.
게이트 절연막(12)은 게이트 금속 패턴이 형성된 절연기판(10) 상에 PECVD 등의 증착 방법으로 산화 실리콘(SiOx), 질화 실리콘(SiNx) 등과 같은 무기 절연 물질이 전면 증착됨으로써 형성된다. 제 1 및 제 2 반도체 패턴(54,55)은 아모퍼스 실리콘층과 n+ 아모퍼스 실리콘층을 형성한 후 포토리소그래피 공정과 다수의 식각 공정을 통해 패터닝함으로써 형성된다.
도 3c를 참조하면, 반도체 패턴(54,55)이 형성된 절연기판(10) 상에 데이터 라인(30), 제 1 및 제 2 소스 전극(52,53), 제 1 및 제 2 드레인 전극(58,70)을 포함하는 소스/드레인 금속 패턴이 형성된다.
소스/드레인 금속 패턴은 반도체 패턴(54,55)이 형성된 절연기판(10)상에 스퍼터링 등의 증착방법으로 소스/드레인 금속층을 형성한 후 포토리소그래피 공정과 식각 공정을 통해 패터닝함으로써 형성된다. 이 후, 제 1 및 제 2 소스 전극(52,53)과 제 1 및 제 2 드레인 전극(58,70)을 마스크로 하여 그 사이로 노출된 제 1 및 제 2 오믹 접촉층(54b, 55b)을 제거하여 채널부의 제 1 및 제 2 활성층(54a,55a)을 노출시킨다.
도 3d를 참조하면, 소스/드레인 금속 패턴이 형성된 절연기판(10) 상에 보호막(14)과, 그 보호막(14) 위에 적색(R)컬러 필터가 형성된다.
보호막(14)은 소스/드레인 금속 패턴이 형성된 절연기판(10) 상에 산화 실리콘(SiOx) 또는 질화 실리콘(SiNx) 등과 같은 무기 절연 물질 또는 아크릴 수지 등과 같은 유기 절연 물질이 적층됨으로써 형성된다. 적색(R) 컬러 필터는 보호막(14)이 형성된 절연기판(10) 상에 적색 안료가 적층된 후 포토리소그래피공정을 통해 패터닝됨으로써 형성된다.
도 3e를 참조하면, 보호막(14) 및 컬러 필터가 형성된 절연기판(10) 상에 제 1 내지 제 3 콘택홀(42,44,46)을 포함하는 평탄화층(16)이 형성된다.
평탄화층(16)은 보호막(14) 및 컬러 필터가 형성된 절연기판(10) 상에 스핀 코팅(Spin Coating) 또는 스핀리스 코팅(Spinless Coating) 등의 방법으로 형성된다. 제 1 내지 제 3 콘택홀(42,44,46)은 게이트 절연막, 보호막(14) 중 적어도 두 층이 선택적으로 포토리소그래피공정과 식각공정으로 패터닝됨으로써 형성된다. 제 1 콘택홀(42)은 보호막(14) 및 평탄화층(16)을 관통하여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T1)의 제 1 드레인 전극(58)을 노출시키며, 제 2 콘택홀(44)은 게이트 절연막(12), 보호막(14) 및 평탄화층(16)을 관통하여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2)의 제 2 게이트 전극(64)을 노출시키며, 제 3 콘택홀(46)은 보호막(14) 및 평탄화층(16)을 관통하여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2)의 제 2 드레인 전극(70)을 노출시킨다. 이러한 평탄화층(16)에는 불소를 포함하는 플라즈마에 의해 표면처리된다. 여기서, 불소를 포함하는 플라즈마는 CF4 플랒즈마 또는 SF6 플라즈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f를 참조하면, 평탄화층(16)이 형성된 절연기판(10) 상에 연결 전극(90) 및 제 1 전극(86)을 포함하는 투명 도전 패턴이 형성된다.
투명 도전 패턴은 평탄화층(16)이 형성된 절연기판(10) 상에 스퍼터링 등의 증착방법으로 투명 도전막을 형성한 후 포토리소그래피 공정과 식각 공정을 통해 패터닝함으로써 형성된다. 투명 도전막으로는 ITO(Indium Tin Oxide), TO(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ITZO 등이 이용된다.
도 3g를 참조하면, 투명 도전 패턴이 형성된 절연기판(10) 상에 격벽(18)이 형성된다.
격벽(18)은 투명 도전 패턴이 형성된 평탄화층(16) 위에 유기 절연물질을 도포하여 포토리소그래피 공정 및 식각 공정을 통해 형성된다. 이때, 격벽은 불소를 포함하는 플라즈마에 의해 표면처리된다. 여기서, 불소를 포함하는 플라즈마는 CF4 플랒즈마 또는 SF6 플라즈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h를 참조하면, 격벽(18)이 형성된 절연기판(10) 상에 유기발광층(82)이 형성된다.
유기발광층(82)은 챔버 내에서 증착공정을 통해 형성된다. 유기발광층(82)에 포함된 발광층은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을 각각 구현하는 발광층들이 순 차적으로 적층되어 3층 구조로 형성되거나 보색 관계를 가지는 발광층들이 적층되어 2층 구조로 형성되거나 백색을 구현하는 발광층으로 이루어진 단층 구조로 형성된다.
도 3i를 참조하면, 유기발광층(82)이 형성된 절연기판(10) 상에 제 2 전극(86)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 2 전극(86))은 유기발광층(82)이 형성된 절연기판(10) 상에 증착됨으로써 형성된다. 이러한 제 2 전극(86))은 Al, Mg, Ag, Ca 또는 MgAg 등과 같은 반사율이 높은 금속으로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는 제 1 전극을 노출하는 홀를 가지는 격벽의 표면에 불소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처리를 하여 유기발광층으로부터 유출되는 수분 및 불순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패널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따른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는 제 1 전극을 노출하는 홀를 가지는 격벽의 표면에 불소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처리를 하여 유기발광층으로부터 유출되는 수분 및 불순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는 격벽이 노출시키는 발광영역에 불순물이 투과됨으로써 불순물에 의해 빛이 투과하지 못하여 발광영역이 감소됨과 아울러 표시패널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8)

  1. 기판 상에 스위치 박막트랜지스터 및 구동 박막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스위치 박막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과,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 및 게이트 전극을 노출시키는 제 1 내지 제 3 컨택홀를 가지는 평탄화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평탄화층 상에 투명전도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투명전도막 상에 소수성의 표면을 가지는 격벽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격벽 상에 유기발광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유기발광층을 덮도록 제 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2. 상기 제 1 항에 있어서,
    소수성의 표면을 가지는 격벽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투명전도막 상에 상기 제 1 전극을 덮도록 유기절연물질을 증착하는 단계;
    상기 유기절연막을 포토리소그래피 공정 및 식각공정을 통해 상기 제 1 전극을 노출시키는 홀을 가지는 격벽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격벽 상에 불소를 포함하는 플라즈마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를 포함하는 플라즈마는 CF4 플랒즈마 또는 SF6 플라즈마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층 상에는 불소를 포함하는 플라즈마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를 포함하는 플라즈마는 CF4 플랒즈마 또는 SF6 플라즈마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6. 스위치 박막트랜지스터 및 구동 박막트랜지스터;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 상에 형성되어 표면을 평탄하고 수분 및 불순물의 침투를 방지하도록 소수성을 표면을 가진 평탄화층;
    상기 평탄화층 상에 형성되며 빛을 투과하는 제 1 전극;
    상기 제 1 전극 상에 형성되어 각각의 화소영역을 정의하며 수분 및 불순물의 침투를 방지하도록 소수성의 표면을 가진 격벽;
    상기 격벽과 제 1 전극을 덮도록 형성되며 백색광을 출사시키는 유기발광층; 및
    상기 유기발광층 전면 상에 형성되며 빛을 반사하는 제 2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 및 상기 격벽의 표면에는 불소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처리가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를 포함하는 플라즈마는 CF4 플랒즈마 또는 SF6 플라즈마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20060124370A 2006-12-08 2006-12-08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527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4370A KR20080052774A (ko) 2006-12-08 2006-12-08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4370A KR20080052774A (ko) 2006-12-08 2006-12-08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2774A true KR20080052774A (ko) 2008-06-12

Family

ID=39807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4370A KR20080052774A (ko) 2006-12-08 2006-12-08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5277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477B1 (ko) * 2008-06-24 2014-12-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28084A (ko) * 2014-05-08 2015-11-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477B1 (ko) * 2008-06-24 2014-12-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28084A (ko) * 2014-05-08 2015-11-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2339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KR10192076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EP2996151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893438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a planarization patter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03785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432110B1 (ko) 유기 발광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7173371B2 (en) Transmissive-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of the same
US10446631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ith improved aperture ratio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895313B1 (ko) 유기 발광 표시판
US7812529B2 (en)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KR20080011829A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595449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KR102568516B1 (ko) 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560233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070102714A1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90058283A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590255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80052774A (ko)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76278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2010244785A (ja) 有機el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81665B1 (ko) 발광 표시 패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469477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50891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80030175A (ko)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55058A (ko) 표시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