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2350A - 기록 방법 - Google Patents

기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2350A
KR20080052350A KR1020070101636A KR20070101636A KR20080052350A KR 20080052350 A KR20080052350 A KR 20080052350A KR 1020070101636 A KR1020070101636 A KR 1020070101636A KR 20070101636 A KR20070101636 A KR 20070101636A KR 20080052350 A KR20080052350 A KR 20080052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program
recording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1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8057B1 (ko
Inventor
준지 시오까와
히로오 오까모또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80052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2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8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8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Abstract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여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방법에 있어서,스트림의 최초와 최후를 제외하고 규정량의 기록 패킷수로 기록하고, 관리 데이터로서, AV 스트림 파일의 최초와 최후의 기록 패킷수를 기록하여 관리한다. 이에 의해,AV 스트림을 기록할 때에, 매체에의 액세스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규정량의 기록 패킷수로 기록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유저가 프로그램을 분할하는 경우의, 분할의 정밀도를 상기 규정량의 기록 패킷으로부터 오는 제한보다도 향상시킬 수 있다.
썸네일, AV 스트림, 플레이 리스트, 오리지널 프로그램, 리쥼, 통합 관리표

Description

기록 방법{RECORDING METHOD}
본 발명은, 기록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 및 재생하는 기록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 분야의 배경 기술로서, 예를 들면, 일본 특개 2000-152180호 공보, 일본 특개 2001-101840이 있다.
일본 특개 2000-152180호 공보에는,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기존의 영상을 덮어쓰기하지 않고, 단일 기록 매체에서의 영상 편집을 실현한다.」 라고 하는 과제에 대하여, 「광 디스크는, 복수의 AV 데이터가 수록되어 있는 AV 파일과, AV 데이터 내의 복수의 부분 구간을 지정한 PGC 정보가 복수 기록되어 있는 RTRW 관리 파일을 갖고 있다. PGC 정보에는, 오리지널 타입의 것과 유저 정의 타입의 것이 있고, 유저 정의 타입의 PGC 정보에서의 각각의 셀 정보는, AV 데이터 내의 부분 구간 중 편집 소재로서 발탁된 것을 지정하고 있으며, 그 배열 순서는, 영상 편집 작업에 의해 가결정된 재생 순서를 나타낸 것이다.」 라고 하는 해결 수단을 이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개 2001-101840에는,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에 들어 있는 동화상은, 이 카세트를 플레이어에 마운트하여, 재생함으로써 비로소 열람할 수 있다. 이 열람은, 동화상 전부를 열람하는 경우도, 어떤 동화상이 들어 있는지를 체크할 뿐인 경우도 똑같이 동일한 조작을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목적의 영상이 어느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에 들어 있는지를 찾거나 하는 데에 상당한 시간을 필요로 한다.」 라고 하는 과제에 대하여, 「동화상의 각 단위마다, 대표로 되는 정지 화상을 생성하고, 이 정지 화상만을 통합하여, 동화상 스트림과는 별도의 관리 데이터로서, 상기 동화상 스트림을 기록한 매체 혹은, 그 매체와 일대일로 대응한 고속 액세스 가능한 매체에 기록한다. 그리고, 이 관리 데이터를 고속으로 읽어내어 표시함으로써, 동화상 스트림 전체의 개요를 빠르게 유저에게 제시한다.」 라고 하는 해결 수단을 이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고능률 부호화 기술의 진전에 수반하여, 영상이나 음성 등의 AV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서 부호량 압축하여, 하드디스크나 기록형 광 디스크 등의 대용량의 기록 매체에 리얼타임으로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들 기록 매체를 구비한 기록 재생 장치에서는, 방송이나 통신에 의해, 이미 부호량 압축된 상태에서 디지털 데이터가 외부로부터 입력된 경우, 이들 디지털 데이터를 그대로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 기록 재생 장치에서는, 기록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정보를 생성하고, 동일한 기록 매체 상에 아울러 기록한다. 기록 매체로서 재기입 가능한 것을 이용한 경우, 상기 관리 정보를 재기입하여 재생 순서를 나타내는 리스트(이후, 플레이 리스트라고 부름)를 생성, 조작함으로써, 유저는 기록 재생 장치 상에서의 편집 작업을 할 수 있다. 즉, 플레이 리스트는 AV 데이터의 부분을 서로 연결하여, 재생 순서를 지시한 것이다. 일례로서, 상기 종래 기술에서의 기록 매체 상의 AV 데이터의 관리 상태를 도 2에 도시한다.
참조 부호 201은 기록 매체 상의 AV 데이터 그 자체이며, 기록 단위로서 프로그램#1∼프로그램#3(예를 들면, 방송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레코더가 1프로그램을 기록한 경우의 1프로그램에 상당함)이 존재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참조 부호 202는 관리 정보에서의 제2 관리 계층(관리 레벨2)을 나타내고 있으며, 오리지널 셀 정보#1∼오리지널 셀 정보#3은, 각각 프로그램#1∼프로그램#3이라고 하는 프로그램 단위의 모든 재생 범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유저 정의 셀 정보#1∼유저 정의 셀 정보#2는 유저가 임의로 지정한 프로그램의 전체 혹은 일부(예를 들면, 상기 레코더에서의 1프로그램 중 유저가 지정한 일부분)의 재생 범위를 나타내는 것이며, 그 수는 유저의 편집 조작에 의해 증감한다. 참조 부호 203은 관리 정보의 제1 관리 계층(관리 레벨1)을 나타내고 있으며, 프로그램 세트 정보는 상기 오리지널 셀 정보#1∼오리지널 셀 정보#3 모두를 포함하는 것이고, 이것에 기초하여 재생함으로써, 유저는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 모든 AV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 리스트 정보#1∼플레이 리스트 정보#k는 유저가 임의로 지정한 상기 유저 정의 셀 정보의 재생 순서를 나타내는 것이며, 복수 갖는 것이 가능하다. 참조 부호 204로 나타내는 틀 내가, 관리 정보에서의 AV 데이터 전체를 관리 하는 오리지널 정보이며, 참조 부호 205로 나타내는 틀 내가 유저의 편집 조작에 의한 플레이 리스트를 관리하기 위한 유저 정의 정보로 된다.
도 2에서, 플레이 리스트 정보는 프로그램 세트 정보와 동렬로, 관리 레벨1로서 관리되기 때문에, 복수의 플레이 리스트 정보 자체의 순번은 일의적으로 정해지게 되어, 예를 들면, 플레이 리스트의 일람을,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서, 그 표시 순번을 변경하거나 하는 것을 행할 수 없었다. 사용 편의성 향상의 관점에서 보면, 유저가 임의로 플레이 리스트의 일람 표시 순번을,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서 재배열 조작할 수 있는 기록 방식이나 장치가 요망된다.
또한, 종래예에서는, 복수의 유저가 좋아하는 플레이 리스트 정보를 생성 선택하여 관리한다고 하는 점에 대해서도 고려되어 있지 않았다.
또한, 상기 특개 2000-152180호 공보에서는, 재생한 프로그램을 도중에서 재생 중단하고, 재차 재생을 행하는 경우에, 재생 중단한 부분(리쥼점)부터 재생하는 리쥼 재생에 관하여, 예를 들면 플레이 리스트를 재생하고 있었던 경우나, 프로그램을 재생하고 있었던 경우 등, 재생 정지 시의 재생 상태에 따라서 리쥼 재생 제어를 행할 수 있다고 하는 점에 관해서 고려되어 있지 않았다.
또한, 기록 매체를 광 디스크로 하고 있어, 원래 매체에의 기록, 재생의 절환 속도 등이 느린 매체이며, 기록하면서 재생하는 처리를 행한 경우에 관해서는, 기록 포맷으로서 고려가 이루어져 있지 않았다.
또한, 기록 매체 내의 프로그램 콘텐츠를 축소 화상(이하 썸네일이라고 함) 단위로 1화면에 일람 표시하는 네비게이션 표시의 경우, 썸네일의 표시를 행할 때 에, 실제의 프로그램의 압축 화상을 신장하고, 썸네일의 사이즈로 축소하여, 네비게이션용 화면에 배치하고, 이것을 반복하는 처리가 요구되기 때문에, 네비게이션의 표시를 고속으로 행한다고 하는 점에서의 고려가 이루어져 있지 않았다.
또한, 상기 특개 2001-101840에서는, 기록 매체 중에 프로그램 콘텐츠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라도, 각 프로그램 콘텐츠에 대한 복수의 썸네일은 1개의 파일에 의해 기록되어 있었다(일본 특개 2001-101840의 도 4, 도 7 등 참조). 구체적으로는, 특허 문헌 2의 도 4에서, 복수의 썸네일1∼3이, 1개의 파일 ThumbNail. dat70040으로서 기록되어 있는 점이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복수의 썸네일 중 1개를 삭제하기 위해서는, 한번 ThumbNail.dat70040을 열어, 불필요한 썸네일을 삭제한 후, ThumbNail.dat70040을 보존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ThumbNail.dat70040의 일부가 삭제되도록 하는 편집이 있었던 경우에는, 삭제된 썸네일에 의해 생긴 빈 영역을 매립하도록 다른 썸네일이 재배치되고, 그에 수반하여 각 프로그램 콘텐츠도 재배치된다. 즉, 삭제된 썸네일의 용량분, 다른 썸네일이나 프로그램 콘텐츠 등의 정보를 기록 매체 상에서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썸네일 삭제에 수반되는 정보의 재배치는, 기록 매체의 용량이 커질수록 처리 시간이 증가한다. 특히, 현상의 DVD(4.7GB)로부터 용량이 증가하는 iVDR(등록 상표, 예를 들면 250GB 이상)에서는 그 처리 시간의 증가가 현저해진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기록 재생 장치의 사용 편의성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국면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등록된 모든 플레이 리스트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단위 및 상위의 관리 계층을 추가하고, 그 관리 단위는 AV 데이터 모두의 재생 범위를 나타내는 통합 정보와 동렬로 취급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추가한 관리 계층에서 유저 정의에 의한 통합 정보를 취급하도록 구성하고, 이 통합 정보에는 하위 계층에 포함되는 임의의 재생 범위를 등록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재생한 프로그램을 도중에 재생 중단하고, 재차 재생 정지점으로부터 재생을 행하기 위해서, 재생을 정지한 위치를 관리 정보로서 매체에, 플레이 리스트 재생 시의 리쥼점, 프로그램 재생 시의 리쥼점, 재생 장치의 동작 상태에 따른 리쥼점 등, 독립적으로 유지함으로써, 재생 정지 시의 재생 상태에 따라서 리쥼 재생 제어를 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기록하는 매체를, 고속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이용하여, 기록하면서 재생 등의 동작을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프로그램의 스트림을 기록 혹은 재생하는 단위를 소정량 확보하도록 기록 재생 단위를 구성한다.
또한, 네비게이션 표시 고속화를 위해서, 미리 네비게이션 표시용의 썸네일을 생성한 것을, 기록 매체 상에, 프로그램과 관련지어 기록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본 발명 중 특허 청구하는 발명의 상세는,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기록 재생 장치에 의하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사용 편의성 향상의 효과를 발휘한다.
유저는 임의의 플레이 리스트, 혹은 재생 범위를 선택하여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단일의 기록 매체를 복수의 유저가 공유하는 경우 등이라도, 유저마다 좋아하는 재생 내용을 관리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고, 플레이 리스트를 통합 관리하므로, 플레이 리스트의 표시순 등을 유저가 임의로 변경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유저는, 플레이 리스트 재생이나 프로그램 재생 등도 재생 상태에 관계없이, 프로그램 재생, 플레이 리스트 재생의 리쥼점으로부터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유저가 원하는 네비게이션 표시를 행할 때에, 재생기는 고속으로 썸네일의 일람을 표시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기록 재생 장치에서의, 기록 매체 상의 AV 데이터의 관리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참조 부호 101은 도 2에서의 참조 부호 201과 마찬가지로, 기록 매체 상의 AV 데이터 그 자체이며, 기록 단위로서 프로그램#1∼프로그램#3이 존재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참조 부호 102는 도 2에서의 참조 부호 202에 상당하고, 여기서는 관리 정보에서의 제3 관리 계층(관리 레벨3)을 나타내고 있다. 프로그램 정보#1∼프로그램 정보#3은, 프로그램#1∼프로그램#3이라고 하는 프로그램 단위의 모든 재생 범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되어 있다(이하 이들 프로그램의 실체와 쌍을 이루는 프로그램 정 보를 「오리지널 프로그램 정보」라고 한다. 또한, 도 1에서 「OPGR#1」과 같이 나타내고 있다). 또한 프로그램 정보#2a∼프로그램 정보#3a는 유저가 임의로 지정한 프로그램의 전체 혹은 일부의 재생 범위를 나타내는 것이며(이하 이들을 「유저 정의 프로그램 정보」라고 한다. 또한, 도 1에서 「UPGR#2a」와 같이 나타내고 있음), 여기서는 각각 프로그램#2의 일부, 프로그램#3의 일부를 나타내고 있다. 프로그램 정보#1∼프로그램 정보#3에 상당하는 개소는, AV 데이터의 추기나 삭제, 즉 프로그램의 증감에 수반하여 그 정보도 증감한다. 또한 프로그램 정보#2a나 프로그램 정보#3a에 상당하는 개소는, 유저의 편집 조작에 의해, 그 정보의 수가 증감한다.
참조 부호 103은 도 2에서의 관리 레벨1에 상당하지만, 여기서는 관리 정보의 제2 관리 계층(관리 레벨2)을 나타내고 있으며, 플레이 리스트 정보#1∼플레이 리스트 정보#n만을 포함한다. 각각의 플레이 리스트 정보는 상기 관리 레벨3에서의 임의의 프로그램 정보의 재생 순서를 나타내는 것이며, 복수 갖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참조 부호 104가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점으로서, 새롭게 추가한 관리 정보의 제1 관리 계층(관리 레벨1)이며, 복수의 통합 정보를 포함한다. 오리지널 통합 정보는, 시스템 리쥼 정보 등을 기억하고 있는 통합 정보이며,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유저 정의 통합 정보#1∼유저 정의 통합 정보#m은, 관리 레벨2에서의 플레이 리스트 정보 및 관리 레벨3에서의 프로그램 정보 중의 임의의 하나 혹은 복수를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복수의 유저가 단일의 기록 매체를 이용하는 경우 에, 유저 단위로 하나의 유저 정의 통합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각각의 유저의 기호에 합치한 재생 내용을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기록 재생 장치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다른 도면을 이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기록 재생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로서,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또한 기록한 데이터를 재생하고, 재생 출력을 얻을 수 있는 기록 재생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참조 부호 300은 기록 재생 장치, 참조 부호 301은 안테나로부터의 수신파를 입력받는 입력 단자, 참조 부호 3011은 다른 기기로부터의 압축된 영상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 단자, 참조 부호 3012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아날로그 영상 입력 단자, 참조 부호 3013은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아날로그 음성 입력 단자, 참조 부호 333 및 334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A/D) 변환 회로, 참조 부호 302는 복조 회로, 참조 부호 330은 복조한 디지털 신호를 음성, 영상, 그 밖의 데이터로 분리하는 분리 회로, 참조 부호 335는 디지털화된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압축하는 압축 회로, 참조 부호 303은 기록계 신호처리 회로, 참조 부호 331은 기록하는 데이터를 암호화하기 위한 암호화 회로, 참조 부호 304는 기록 매체의 드라이브 기능을 포함시킨 기록 재생계, 참조 부호 305는 기록 매체, 참조 부호 332는 기록 매체 상에 암호화되어 기록된 데이터를 비암호화하기 위한 비암호화 회로, 참조 부호 306은 재생계 신호 처리 회로, 참조 부호 307은 절환 회로, 참조 부호 308은 분리 회로, 참조 부호 309는 영상 복호 회로, 참조 부호 310은 디지털/아날로그(D/A) 변환 회로, 참조 부호 311은 영상 출력 단자, 참조 부호 312는 음성 복호 회로, 참조 부호 313은 D/A변환 회로, 참조 부호 314는 음성 출력 단자, 참조 부호 315는 TV 세트, 참조 부호 316은 유저 I/F, 참조 부호 317은 제어부, 참조 부호 318은 시스템 버스, 참조 부호 319는 OSD 생성부, 참조 부호 320은 가산 회로이다.
기록 시에서는, 디지털 방송 등에 의해 방송국으로부터 송신되어, 본 기록 재생 장치에서 수신된 신호가, 복조 회로(302)에서 소정의 방식에 의해 복조된 후, 기록계 신호 처리 회로(303)에서 타이밍 조정용의 데이터 부가나 변조 등의 필요한 신호 처리가 실시되고, 암호화 회로(331)에서 암호화된 후, 기록 재생계(304)에 의해 기록 매체(305)에 기록된다. 또한, 디지털 입력 단자(3011)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신호는 기록계 신호 처리 회로(303)에서 타이밍 조정용의 데이터 부가나 변조 등의 필요한 신호 처리가 실시되고, 암호화 회로(331)에서 암호화된 후, 기록 재생계(304)에 의해 기록 매체(305)에 기록된다. 또한, 아날로그 영상 입력 단자(3012)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영상 신호와, 아날로그 음성 입력 단자(3013)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는, 압축 회로(335)에 의해 압축 처리가 이루어지고, 기록계 신호 처리 회로(303)를 통하여, 암호화 회로(331)에서 암호화된 후, 기록 재생계(304)에 의해 기록 매체(305)에 기록된다.
재생 시에서는, 유저의 지시에 따라서 기록 매체(305)로부터 기록 재생계(304)를 통해서 읽어내어진 암호화된 디지털 데이터는, 비암호화 회로(332)에서 비암호화되고, 재생계 신호 처리 회로(306)에서 소정의 변조 방식에 따른 형식으로 복조 등의 재생에 필요한 신호 처리가 실시되고, 절환 회로(307)를 통해서 분리 회로(308)에 보내어진다. 영상 복호 회로(309)에서는 소정의 영상 복호 처리가 실시되고, D/A 변환 회로(310)에서 디지털 데이터로부터 아날로그 신호로의 변환이 이루어진 후, 영상 출력 단자(311)를 통해서 TV 세트(315)의 모니터 출력에 표시된다. 또한 음성 복호 회로(312)에서는 소정의 음성 복호 처리가 이루어지고, D/A 변환 회로(313)에서 디지털 데이터로부터 아날로그 신호로의 변환이 이루어진 후, 음성 출력 단자(314)를 통해서 TV 세트(315)의 음성 출력 기구에 의해 출력된다.
제어부(317)는, 시스템 버스(318)를 통해서 기록 재생 장치(300)의 각 부를 제어하는 것이며, 또한 유저 I/F(316)를 통하여 입력된 유저의 지시 입력에 기초한 동작을 행하도록, 장치 전체를 제어한다. 또한 유저에의 지시 입력 요구, 혹은 필요한 유저에의 OSD 표시는, OSD 생성부(319)에서 준비되고, 가산 회로(320)에서, 영상 복호 회로(309)의 출력과 적절한 레벨로 가산되어, 최종적으로 TV 세트(315)의 모니터 화면에 출력됨으로써 실현된다.
다음으로 도 1에서의 관리 정보 구성의 구체적인 사용예로서, 관리 레벨1에서의 각 통합 정보를 기록 데이터의 메뉴 표시에 사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오리지널 통합 정보를 사용하여 메뉴 표시를 행하는 일례이다. 참조 부호 315는 도 3에서의 TV 세트이며, 참조 부호 401은 전체 프로그램 표시용의 태그, 참조 부호 402는 프로그램 정보#1을 나타내는 썸네일, 참조 부호 403은 프로그램 정보#2를 나타내는 썸네일, 참조 부호 404는 프로그램 정보#3을 나타내는 썸네일이다. 유저는 리모콘 등에 의해 화면 상의 커서 위치를 원하는 썸네일로 이동하여 선택 결정함으로써, 임의의 프로그램, 혹은 모든 프로그램을 재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는 도 1에서의, 몇 개의 유저 정의 통합 정보 중 1개를 사용하여, 이것을 플레이 리스트로서 메뉴 표시를 행하는 일례이다. 참조 부호 501은 전체 플레이 리스트 표시용의 태그, 참조 부호 502는 플레이 리스트 정보#1을 나타내는 썸네일, 참조 부호 503은 플레이 리스트 정보#2를 나타내는 썸네일이다. 유저는 전술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리모콘 등에 의해 화면 상의 커서 위치를 원하는 썸네일로 이동하여 선택 결정함으로써, 임의의 플레이 리스트, 혹은 모든 플레이 리스트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전체 프로그램 표시용 태그(401)로부터 전체 플레이 리스트 표시용 태그(501)로의 표시 절환은, 유저가 예를 들면 태그의 문자 위치에서 커서를 이동하는 것 등에 의해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6은 도 1에서의 유저 정의 통합 정보#1을 사용하여 메뉴 표시를 행하는 일례이다. 참조 부호 601은 유저#1(여기서는 「엄마」로 하고 있음)용 메뉴 표시용의 태그이며, 참조 부호 402와 502는 도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프로그램 정보#1 및 플레이 리스트 정보#1을 나타내는 썸네일로 되어 있다. 「엄마」는 엄마용 메뉴 표시용 태그(601)를 자신 전용의 폴더로 하여, 자유롭게 재생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등록, 삭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도 7은 도 1에서의 유저 정의 통합 정보#2를 사용하여 메뉴 표시를 행하는 일례이다. 참조 부호 701은 유저#2(여기서는 「아빠」로 하고 있음)용 메뉴 표시용의 태그이며, 참조 부호 503과 502는 도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 이, 플레이 리스트 정보#2 및 플레이 리스트 정보#1을 나타내는 썸네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아빠」는 2개의 플레이 리스트를 선택하고 있지만, 그 재생 순서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엄마」와 마찬가지로, 「아빠」는 아빠용 메뉴 표시용 태그(701)를 자신 전용의 폴더로 하여, 자유롭게 재생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등록, 삭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등록된 모든 플레이 리스트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단위 및 상위의 관리 계층을 추가하고, AV 데이터 모두의 재생 범위를 나타내는 통합 정보와 동렬로 취급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한다. 또한, 추가한 관리 계층에서 유저 정의에 의한 통합 정보를 취급하도록 구성하고, 이 유저 정의에 의한 통합 정보에는 하위 계층에 포함되는 임의의 재생 범위를 등록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에 의해, 유저는 임의의 플레이 리스트, 혹은 재생 범위를 선택하여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단일의 기록 매체를 복수의 유저가 공유하는 경우 등이라도, 유저마다 좋아하는 재생 내용을 관리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여 디지털 데이터를 그대로 기록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것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네트워크 I/F를 구비하고,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AV 데이터를 취득하거나, 부호화 수단을 구비하고, 아날로그 데이터를 부호화하면서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즉 본 실시예는 기록 매체 상의 데이터 관리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는 것이며, 그 입력 경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에, 상기에 설명한 프로그램이나 프로그램 정보, 플레이 리스트 정보, 및 오리지널 통합 정보, 유저 정의 통합 정보를, 실제로 기록 매체(305)(도 3) 상에 어떤 파일 구성으로 기록할지의 일례를 도시한다. 본 기록 매체는, 디지털 기록 재생을 행하는 매체이며, 매체 상의 각 파일은, 소위 퍼스널 컴퓨터 등 기록 매체의 관리에 이용되는 것과 마찬가지의 파일 시스템으로 관리되고 있다. 도 8에서 ROOT(800)은, 파일 디렉토리의 최상위 계층을 나타내고, iVDR_TVR(801)(iVDR: 등록상표)은 그 하층의 디렉토리로서, 본 발명에 따른 도 1에 도시한 관리 구조를 실현하는 각 파일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TVREC.MGR(802), PGRG.MGR(803), PGRG_INF.TBL(804), PGR.MGR(805), PGR_INF.TBL(806), UPGR.MGR(807), UPGR_INF.TBL(808), UDFF.MGR(809), UDFF_INF.TBL(810) 등의 관리 파일과, 영상과 음성이 다중화된 AV 스트림 PROG0001.AVS(820), …, PROGxxxx.AVS(AV 스트림 파일의xxxx의 부분에는 번호가 부가되고, 예를 들면 AV 스트림이 기록될 때마다 순차적으로 번호가 증가되어 감)(821)이 iVDR_TVR(801)(iVDR 등록 상표) 아래에 기록된다. 참조 부호 830은 또한 iVDR_TVR(801)(iVDR: 등록 상표) 아래의 디렉토리로, 기록 매체에 기록된 네비게이션 일람 등에 사용하는 썸네일 관련의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디렉토리명 TND라고 하는 디렉토리이다. 참조 부호 831은 파일명 TND.MGR이라고 하는 썸네일의 실체 파일(832, 833, …, 834)을 통합 관리하는 썸네일 관리 파일이다. 썸네일의 실체 파일의 파일명은, 참조 부호 834로 나타낸 바와 같이 TNxxxxyy.zzz 로 하고, xxxx는 썸네일에 관련되는 프로그램 파일(821)의 xxxx에 대응하고, yy는 썸네일로서 등록된 순번의 숫자가 할당되고, zzz의 부분은, 예를 들 면 썸네일의 데이터의 종류가, 비압축의 비트맵이면 bmp로 하고,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압축된 것인 경우에는 jpg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프로그램 파일에 대응하는 썸네일의 파일을, 참조 부호 832∼834와 같이, 각각 따로따로 기록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썸네일의 파일을 1파일로 통합하지 않고 참조 부호 832∼834와 같이 따로따로 기록함으로써, 썸네일의 파일을 추가·삭제할 때의 처리가 용이해진다. 특히 iVDR(등록 상표)과 같이 대용량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서, 썸네일의 파일을 삭제·추가하였을 때의 처리 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8의 AV 스트림 파일(820)(PROG0001.AVS)이나 참조 부호 821(PROGxxxx.AVS)은, 도 14에 도시하는 구성으로 기록되어 있다. 도 14에서 참조 부호 1401이 AV 스트림 파일이며, 방송에서 수신한 AV 스트림을 기록할 때의 최소 단위를 ALU라고 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AV 스트림이 암호화되어 있는 경우, ALU는 암호화의 최소 단위로 되고 있다. RP(1402)는, 기록 패킷의 단위로, MPEG(Moving Picture Expert Group) 규격의 트랜스포트 패킷(188바이트)에, 수신 시의 타임 스탬프(27㎒에서 카운트하고, 수신한 시점에서의 카운트값 4바이트)를 헤더로서 부가한, 192바이트의 데이터 패킷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이 192바이트의 RP 패킷(1402)을 8192패킷 통합하여 1ALU로 하고 있다. AV 스트림 파일(1401) 중에는, ALU#1∼ALU#v(각 8192RP)와 순차적으로 기록된 AV 스트림 외에,ALU 정보(1403)로서, 기록한 AV 스트림의 총 ALU수와, 최초의 ALU의 RP수, 및 AV 스트림 최후의 ALU의 RP수를 기록한다. 이것은, AV 스트림의 최초의 ALU 및 최후의 ALU의 RP수는 8192로 되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것을 기록하기 위한 것이다(상세는 후술함).
도 9는, TVREC.MGR(802)(도 8)의 관리 테이블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오리지널 통합 정보(901)로서, 시스템 리쥼 정보(902)와, 프로그램 통합 정보명(903)이 기록된다.
시스템 리쥼 정보로서, 유저가 재생 정지한 시점의 유저 정의 통합 정보(UDFF)의 번호 및 그 아래의 계층의 플레이 리스트 정보(PGRG) 번호와, 그 아래의 계층의 오리지널 프로그램 정보(OPGR) 혹은 유저 정의 프로그램 정보(UPGR)의 번호(PGR)와, 후술하는 AV 스트림의 기록 시의 최소 단위인 ALU 번호와, 그 ALU 내의 기록 패킷 내의 RP 번호를 표로서 기록한다. PGR 번호는, OPGR인지, UPGR인지의 판정의 위해서, 예를 들면 PGR 번호(16진수)=0000∼7FFF까지는 OPGR로 하고, PGR 번호(16진수)=8000∼FFFF이면 UPGR로 하여 구별한다. 참조 부호 903은 프로그램 통합 정보에 부여하는 이름(PGSET명)을 기록하는 필드로서, 예를 들면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군에 유저가 명명한 이름의 문자열 정보를 기록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기록 매체는 누구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지 등의 판별에 이용할 수도 있고, 콘텐츠군에 관련된 이름을 기록할 수 있기 때문에, 기록 내용을 파악하기 쉬워지는 이점이 있다. 도 10은 플레이 리스트를 관리하는,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PGRG) 파일(1001)과, 플레이 리스트 관리표 파일(1010)의 내용을 도시한 것이다.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PGRG) 파일은, 도 8의 PGRG.MGR(803)에, 플레이 리스트 관리표 파일(1010)은 도 8의 PGRG_INF.TBL(804)에 대응한다. PGRG.MGR(1001)은, 유저가 편집에 의해 등록한 플레이 리스트의 수(도 10에서는 n개의 경우)와, 이하 플레이 리스트#1, 플레이 리스트#2, …, 플레이 리스트#n-1, 플레이 리스트#n의 내용이 기록된 플레이 리스트 관리표 파일 PGRG_INF.TBL의 위치의 정보(예를 들면 플레이 리스트 관리표 파일 PGRG_INF.TBL(1010)의 선두로부터 몇 바이트째부터라고 하는 정보)가 기록된다.
플레이 리스트 관리표 파일(1010)에는, 각 플레이 리스트#1, …, #n-1, #n의 각각의 하기하는 정보가 표로서 기록된다. 도 10의 플레이 리스트 관리표(1010)의 상세예로서 플레이 리스트#n-1의 구성을 도시한다. 플레이 리스트#n-1의 정보로서, 작성 시간(1011)(유저가 장치를 조작하여 플레이 리스트#n-1을 작성한 시점에서의 시간), 및 이름(1012), 썸네일 정보(1013), 리쥼 정보(1017), 및 그것에 계속해서 플레이 리스트#n-1에 등록된 오리지널 프로그램 정보(OPGR) 또는 유저 정의 프로그램 정보(UPGR)를 나타내는 프로그램 정보의 수(1018)와, 등록된 번호 일람 프로그램 정보(PGR 정보. OPGR과 UPGR의 구별은 앞서 설명한 대로이며, PGR의 번호(16진수)=7FFF 이하는 OPGR, 8000 이상은 UPGR)의 번호가 기록된다.
플레이 리스트의 작성 시간(1011)이 관리 정보로서 기록되어 있으므로, 재생 시에, 플레이 리스트 일람을, 작성 시간순으로 표시한다고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의 썸네일 정보(1013)는, 형식 정보(콘텐츠 보호가 필요한지 불필요한지, 표시하는 썸네일은, 기록된 AV 스트림의 화상의 참조 위치를 기초로 하여 작성할 필요가 있는지, 외부 파일에 등록되어 있는 썸네일 데이터를 참조할지 등의 정보)(1014), AV 스트림 중의 썸네일로서 표시하는 위치 정보(1015), 외부 파일의 썸 네일 데이터 위치 정보(1016)로 구성된다. 썸네일 위치 정보(1015)는, 썸네일로서 표시하는 프로그램 정보(PGR) 번호와, 그 PGR 번호에 대응한 AV 스트림의 ALU의 번호와, 그 ALU 번호 중의 RP 번호로 구성된다.
리쥼 정보(1017)는, 플레이 리스트#n-1의 재생을 정지한 시점에서의, 재생하고 있었던 프로그램(PGR) 번호(PGR 번호가 7FFF 이하이면 OPGR, 8000 이상이면 UPGR)와, 그 PGR 번호에서의 재생을 정지한 시점에서의 ALU 번호와, 그 ALU 번호에서의 재생을 정지한 시점에서의 RP 번호를 기록한다. 이와 같이 하여 두면, 리쥼이 도 9에 도시한 시스템 리쥼 정보(902) 외에, 개별의 오리지널 프로그램 정보 혹은 유저 정의의 플레이 리스트마다 리쥼 정보(1017)와 같이 개별로 리쥼 정보를 기록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재생 시에 리쥼 재생 기능으로서, 예를 들면 오리지널 프로그램마다의 리쥼점에서 재생 제어를 행하거나, 전회의 재생 정지 상태에 따라서, 유저 정의 통합 정보(UDFF)의 몇번에서 재생을 정지하였는지 등을 포함시킨, 리쥼 재생 제어를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오리지널 프로그램 관리 정보(OPGR) 파일(1101)과, 오리지널 프로그램 관리표 파일(1110)의 내용을 도시한 것이다. 기록 매체 상의 오리지널 프로그램 정보 모두를 포함하고, 이에 기초하여 재생함으로써, 유저는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 모든 AV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오리지널 프로그램 관리 정보(OPGR) 파일(1101)은, 도 8의 PGR.MGR(805)에, 오리지널 프로그램 관리표 파일(1110)은 도 8의 PGR_INF.TBL(806)에 대응한다. 오리지널 프로그램 관리 정보 파일(1101)은,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오리지널 프로그램의 수(도 11에서는 p 개의 경우)와, 이하 오리지널 프로그램 정보#1, 오리지널 프로그램 정보#2, …, 오리지널 프로그램 정보#n-1, 오리지널 프로그램 정보#n의 내용이 기록된 오리지널 프로그램 관리표 파일(1110) 내의 위치의 정보(예를 들면 오리지널 프로그램 정보관리표 파일 PGR_INF.TBL(1110)의 머리로부터 몇바이트째부터라고 하는 정보)가 기록된다.
도 11의 오리지널 프로그램 관리표(1110)의 상세예로서 플레이 리스트#p-1의 표 부분을 도시한다. 플레이 리스트#p-1의 정보로서, 이 #p-1의 오리지널 프로그램 정보가, 유효한지 무효한지, 카피 제어 정보(이하 CCI라고 함) 등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정보 플래그(1111), 작성 시간(1112)(유저가 장치를 녹화 조작하여 오리지널 프로그램 정보#p-1을 작성한 시점에서의 시간), 및 이름(1113), 썸네일 파일 번호(도 8에 기재된 PROGxxxx.AVS(821)의 xxxx)(1114), 썸네일 정보(1115), 리쥼 정보(1119), 또한 인덱스수(1120)와, 각각의 인덱스 번호마다의 형식, 및 인덱스의 장소를 나타내는 프로그램 정보#p-1에 대응한 AV 스트림의 ALU 번호와 그 ALU 내의 인덱스 지정 위치의 RP 번호가 배치되어 있다. 인덱스란, 예를 들면 유저가 오리지널 프로그램 정보#p-1에 대응한 프로그램을 편집하여, 마킹점 지정을 지정한 경우의 지정 위치 정보이며, 편집에서 인덱스를 지정해 두면, 오리지널 프로그램 정보#p-1에 대응한 프로그램을 재생 시에 빠르게 인덱스로 지정한 위치로 건너뛰는 등의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썸네일 정보(1115)의 각 구성 요소의 썸네일 형식(1116), 썸네일 위치(1117), 썸네일 외부 파일 위치(1118)는, 앞의 도 10의 플레이 리스트 관리표(1010) 중의 썸네일 형식(1014), 썸네일 위치(1015), 썸네일 외부 파일 위치(1016)와 마찬가지의 데이터 구조이다. 또한,리쥼 정보(1119)의 구성 요소도, 앞의 도 10의 리쥼 정보(1017)와 마찬가지이다.
도 12는 유저 정의 프로그램 관리 정보(UPGR) 파일(1201)과, 유저 정의 프로그램 관리표 파일(1210)의 내용을 도시한 것이다. 유저 정의 프로그램 관리 정보(UPGR) 파일(1101)은, 도 8의 UPGR.MGR(807)에, 유저 정의 프로그램 관리표 파일(1210)은 도 8의 UPGR_INF.TBL(808)에 대응한다. 유저 정의 프로그램 관리 정보 파일(1201)은, 유저가 편집에 의해 등록한 유저 정의 프로그램의 수(도 12에서는 r개의 경우)와, 이하 유저 정의 프로그램 정보#1, 유저 정의 프로그램 정보#2, …, 유저 정의 프로그램 정보#r-1, 유저 정의 프로그램 정보#r의 내용이 기록된 유저 정의 프로그램 관리표 파일(1210) 내의 위치의 정보(예를 들면 유저 정의 프로그램 관리표 파일(UPGR_INF.TBL)(1210)의 선두로부터 몇 바이트째부터라고 하는 정보)가 기록된다.
도 12의 유저 정의 프로그램 관리표(1210)의 상세예로서 유저 정의 프로그램#r-1의 표 부분을 도시한다. 유저 정의 프로그램#r-1의 정보로서, 본 유저 정의 정보에 관련된 프로그램의 파일 번호(도 8에 기재된 PROGxxxx.AVS(821)의xxxx)(1211), 유저 정의 프로그램 정보로서 지정한, 상기 파일 번호의 AV 스트림의 재생 개시 위치(정보로서 AV 스트림 중의 ALU 번호와, RP 번호)(1212), 및 재생 종료 위치(1213), 또한 인덱스의 수(1214)와, 각각의 인덱스 번호마다의 형식, 및 인덱스의 장소를 나타내는 유저 정의 프로그램 정보#r-1에 대응한 AV 스트림의 ALU 번호와 그 ALU 내의 인덱스 지정 위치의 RP 번호가 배치되어 있다. 인덱스는, 앞 의 도 11의 오리지널 프로그램 정보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유저가 유저 정의 프로그램 정보#r-1에 대응한 프로그램을 편집하여, 마킹점 지정을 지정한 경우의 지정 위치 정보이며, 인덱스를 지정해 두면, 오리지널 프로그램 정보#p-1에 대응한 프로그램을 재생 시에 빠르게 인덱스로 지정한 위치로 건너뛰는 등의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도 13은 유저 정의 통합 관리 정보(UDFF) 파일(1301)과, 유저 정의 통합 관리표 파일(1310)의 내용을 도시한 것이다. 유저 정의 통합 관리 정보(UDFF)(1301)는, 도 8의 UDFF.MGR(809)에, 유저 정의 통합 관리표 파일(1310)은, 도 8의 UDFF_INF.TBL(810)에 대응한다. 유저 정의 통합 관리 정보 파일(1301)은, 유저가 편집에 의해 등록한 유저 정의 통합 정보의 수(도 13에서는 t개의 경우)와, 이하 유저 정의 통합 정보#1, 유저 정의 통합 정보#2, …, 유저 정의 통합 정보#t-1, 유저 정의 통합 정보#t의 내용이 기록된 유저 정의 통합 정보표 파일(1310) 내의 위치의 정보(예를 들면 유저 정의 통합 관리표 파일 UDFF_INF.TBL(1310)의 선두로부터 몇 바이트째부터라고 하는 정보)가 기록된다.
도 13의 유저 정의 통합 관리표(1310)의 상세예로서 유저 정의 통합 정보#t-1의 표 부분을 도시한다. 유저 정의 통합 정보#t-1의 정보로서, 본 유저 정의 통합 정보를 작성한 작성 시간(1311)과, 본 유저 정의 통합 정보의 이름(1312), 본 유저 정의 통합 정보를 대표하는 썸네일의 정보(1313), 본 유저 정의 통합을 구성하는 오리지널 프로그램 번호 또는 플레이 리스트 번호의 수(1317), 및 그에 계속해서 본 유저 정의 통합 정보를 구성하는 오리지널 프로그램 번호 또는 플레이 리 스트 번호의 나열로 구성된다.
썸네일 정보(1313)의 각 구성 요소의 썸네일 형식(1314), 썸네일 위치(1315), 썸네일 외부 파일 위치(1316)는, 앞의 도 10의 플레이 리스트 관리표(1010) 중의 썸네일 형식(1014), 썸네일 위치(1015), 썸네일 외부 파일 위치(1016)와 마찬가지의 데이터 구조이다.
도 16은, 썸네일의 관리 데이터 구조와 외부 썸네일 파일의 상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에서 썸네일 관리 데이터(1601)는, 썸네일 형식과 썸네일 위치와 썸네일 외부 파일 위치로 구성되며, 도 10의 썸네일 정보(1013), 도 11의 썸네일 정보(1115), 도 13의 썸네일 정보(1313)와 마찬가지이다. 썸네일 위치는, 프로그램 파일(1602) 프로그램 정보(PGR)의 번호와, 썸네일로서 표시하는 AV 스트림의 위치에 대응한 ALU 번호, 및 그 ALU 번호에 대응한 ALU 내의 RP 번호로 구성되고, 썸네일 외부 파일 정보는 프로그램 파일 번호 xxxx와 썸네일 파일 번호 yy로 구성된다.
도 17은, 전체 썸네일 관리 정보 파일(1701)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8의 TND.MGR(831)에 대응한다. 썸네일을 통합하는 정보로서, 등록되어 있는 썸네일수(본 도면에서는 i개의 경우)(1702), 이후 등록 개수분의 썸네일의 정보가 들어 있는 장소의 포인터값 등을 정보로서 갖는 썸네일 포인터(1703∼1704), 이에 계속해서 각 썸네일 정보(1705∼1706)로 구성된다. 각 썸네일 정보(1705∼1706)는, 프로그램 파일 번호, 썸네일 파일 번호, 썸네일 관련 정보(썸네일의 종횡의 화소 사이즈, 압축 방식 등), 및 썸네일 보호 정보(썸네일의 암호화의 가부)의 정보로 구 성된다. 이와 같이 썸네일의 정보를 1개소에 통합하고 있으면, 본 전체 썸네일 관리 정보 파일(1701)을 참조하는 것만으로, 전체 썸네일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재생기 등에서, 썸네일 정보 일람 등을 취득하는 경우에 동작을 고속화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도 15는, 예를 들면 유저가 편집 조작에서,1개의 프로그램을 분할하는 경우(예를 들면, 녹화한 1개의 프로그램을 2개로 분할하는 경우)의, AV 스트림이 들어간 프로그램 파일의 관리가 어떻게 되는지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임의의 PROGxxxx.AVS 파일의 AV 스트림은, ALU 단위로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ALU 단위로 분할하면 단순하지만, ALU 단위를 녹화한 AV 스트림의 재생 시간을 예로 들면, 수십초의 단위로 되어, 분할 정밀도가 매우 거친 것으로 되게 된다. 이 때문에, 분할점에서는,RP 단위로 되도록 한다. 이 경우 도 15와 같이, ALU 번호#f의 부분에서 분할하게 된다. 그리고 분할한 파일의 ALU#1∼ALLT#f의 AV 스트림을 새롭게 PROGxxxx.AVS로 하고 ALU#f∼ALU#h의 AV 스트림을 PROGxxxx+1.AVS(파일 번호 xxxx에 플러스 1함)로서 기록한다. 이 경우, 분할 후의 PROGxxxx.AVS의 스트림 부분의 종단은 ALU값이 소정의 8192RP(도 14에 기재)로는 되지 않기 때문에, 도 14의 ALU 관리 정보(1403)의 파라미터인 「프로그램의 ALU 수」를 변경함과 동시에 「최후의 ALU의 RP수」를, 분할 후의 RP수, 즉 ALU#f의 분할한 점보다 전의 RP수로 변경하여, 파일 PROGxxxx.AVS를 갱신한다. 또한, 분할 후의 AV 스트림을 PROGxxxx+1.AVS(도 15)에 대해서도, 도 14의 ALU 관리 정보(1403)의 파라미터인 「프로그램의 ALU수」를 변경함과 동시에 「최초의 ALU의 RP수」를, 분할 후의 RP수, 즉 ALU#f의 분할한 점보다 후의 RP수로 변경하여, 기록한다. 이와 같이 하면, 분할점의 정밀도가 향상된다. 적어도, 분할점은 MPEG 압축된 AV 스트림의 경우, GOP(Group Of Picture) 단위의 정밀도로 분할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록 재생 장치에 의하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사용 편의성 향상의 효과를 발휘한다.
유저는 임의의 플레이 리스트, 혹은 재생 범위를 선택하여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단일의 기록 매체를 복수의 유저가 공유하는 경우 등이라도, 유저마다 좋아하는 재생 내용을 관리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고, 플레이 리스트를 통합 관리하므로, 플레이 리스트의 표시순 등을 유저가 임의로 변경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유저는, 플레이 리스트 재생이나 프로그램 재생 등도 재생 상태에 관계없이, 프로그램 재생, 플레이 리스트 재생의 리쥼점으로부터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유저가 원하는 네비게이션 표시를 행할 때에, 재생기는 고속으로 썸네일의 일람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 재생 장치에서 AV 데이터의 관리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종래예에 의한 AV 데이터의 관리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 재생 장치의 블록도.
도 4는 오리지널 통합 정보의 표시 출력예.
도 5는 유저 정의 통합 정보의 플레이 리스트의 일람으로서의 표시 출력예.
도 6은 유저 정의 통합 정보의 제1 표시 출력예.
도 7은 유저 정의 통합 정보의 제2 표시 출력예.
도 8은 각 오리지널 통합 정보, 플레이 리스트 통합 정보, 유저 정의 통합 정보, 및 플레이 리스트 정보, 프로그램 정보, AV 데이터(프로그램) 등의 파일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각 오리지널 통합 정보의 관리 테이블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플레이 리스트 관리 정보의 구성과 관리 테이블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오리지널 프로그램 관리 정보의 구성과 관리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유저 정의 프로그램 정보의 구성과 관리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유저 정의 통합 관리 정보의 구성과 관리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AV 스트림 파일의 패킷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AV 스트림 파일의 분할 시의 처리를 도시하는 것.
도 16은 썸네일 관리 정보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썸네일을 통합한 관리 정보의 구성과 관리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기록 재생 장치
302: 복조 회로
303: 기록계 신호 처리 회로
304: 기록 재생계
306: 재생계 신호 처리 회로
307: 절환 회로
308: 분리 회로
309: 영상 복호 회로
310: 디지털/아날로그(D/A) 변환 회로
311: 영상 출력 단자
312: 음성 복호 회로
313: D/A변환 회로
331: 암호화 회로

Claims (2)

  1. 영상 음성 스트림과, 그 영상 음성 스트림을 관리하는 관리 정보를 기록하는 영상 음성 스트림의 기록 방법으로서,
    상기 영상 음성 스트림은, 규정의 기록 패킷수를 기록 단위로 하여, 상기 영상 음성 스트림 중 선두와 최후의 그 기록 단위에서는 그 규정의 기록 패킷수 이하로, 선두와 최후 이외의 그 기록 단위에서는 그 규정의 기록 패킷수로 기록하고, 상기 관리 정보로서, 선두와 최후의 기록 패킷수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음성 스트림의 기록 방법.
  2. 영상 음성 스트림과, 그 영상 음성 스트림을 관리하는 관리 정보를 기록하는 영상 음성 스트림의 기록 방법으로서,
    상기 관리 정보로서, 적어도, 상기 영상 음성 스트림과 한 쌍을 이루는 오리지널 프로그램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음성 스트림의 기록 방법.
KR1020070101636A 2006-12-06 2007-10-09 기록 방법 KR1009380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28943A JP4735525B2 (ja) 2006-12-06 2006-12-06 記録方法
JPJP-P-2006-00328943 2006-12-0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4547A Division KR20090035677A (ko) 2006-12-06 2009-03-23 기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2350A true KR20080052350A (ko) 2008-06-11
KR100938057B1 KR100938057B1 (ko) 2010-01-21

Family

ID=3926933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1636A KR100938057B1 (ko) 2006-12-06 2007-10-09 기록 방법
KR1020090024547A KR20090035677A (ko) 2006-12-06 2009-03-23 기록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4547A KR20090035677A (ko) 2006-12-06 2009-03-23 기록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391682B2 (ko)
EP (1) EP1930905A3 (ko)
JP (1) JP4735525B2 (ko)
KR (2) KR100938057B1 (ko)
CN (1) CN10119807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75241B2 (ja) * 2006-12-06 2011-09-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記録方法
JP4735524B2 (ja) * 2006-12-06 2011-07-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記録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41402A (ja) 1997-06-09 1998-12-22 Sony Corp 画像記録装置及び方法並びに画像再生装置及び方法
JPH10341411A (ja) 1997-06-09 1998-12-22 Sony Corp カメラ装置
JP3410695B2 (ja) 1997-09-17 2003-05-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再生装置、再生方法、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EP2280398A3 (en) 1998-02-23 2011-03-09 Kabushiki Kaisha Toshiba Information storage medium, information playback method and apparatus and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KR100301007B1 (ko) 1998-04-27 2001-09-22 윤종용 썸네일 데이터와 이를 위한 관리 정보를 실시간으로 저장하는기록 매체 및 기록 재생방법과 장치
KR100302499B1 (ko) 1998-10-12 2001-11-22 구자홍 방송프로그램재생관리정보생성방법과재생리스트자동생성방법및그장치
JP3805985B2 (ja) * 1999-02-18 2006-08-09 株式会社東芝 ストリームデータの情報記憶媒体、その記録方法、再生方法、記録装置および再生装置
US7106946B1 (en) * 1999-09-28 2006-09-12 Sony Corporation Transport stream processing device, and associated methodology of generating and aligning source data packets in a physical data structure
JP3692859B2 (ja) 1999-09-28 2005-09-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映像情報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及び記録媒体
CN1186930C (zh) 2000-04-21 2005-01-26 索尼公司 记录设备和方法、再现设备和方法
WO2001082608A1 (fr) 2000-04-21 2001-11-01 Sony Corporation Appareil et procede de traitement des informations, programme et support enregistre
JP4599740B2 (ja) 2000-04-21 2010-12-1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KR20030062737A (ko) 2002-01-18 2003-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재기록 가능 고밀도 기록매체의 축소영상 기록방법
JP2003228921A (ja) * 2002-01-31 2003-08-15 Toshiba Corp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再生装置
JP3949996B2 (ja) * 2002-03-05 2007-07-25 三洋電機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情報再生装置、情報記録方法、情報再生方法、情報記録用プログラム及び情報再生用プログラム並びに情報記録媒体
US7675563B2 (en) 2002-11-15 2010-03-09 Seiko Epson Corporation Digital camera
JP2004171311A (ja) 2002-11-20 2004-06-17 Sharp Corp データ管理装置、データ管理方法、記録媒体、データ管理プログラム、データ管理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JP4228767B2 (ja) 2003-04-25 2009-02-25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再生方法、再生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4350042A (ja) 2003-05-22 2004-12-09 Canon Inc 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並びに記憶媒体
JP2005033383A (ja) 2003-07-09 2005-02-03 Canon Inc 動画像編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5166228A (ja) 2003-11-10 2005-06-23 Toshiba Corp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方法、情報再生方法、情報記録装置、情報再生装置
EP1596396A1 (en) 2004-05-15 2005-11-16 Deutsche Thomson-Brandt Gmbh Method for splitting a data stream
JP2006012248A (ja) 2004-06-23 2006-01-12 Toshiba Corp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方法、情報再生方法、情報記録装置、情報再生装置
JP4285375B2 (ja) 2004-09-02 2009-06-24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記録再生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6080723A (ja) 2004-09-08 2006-03-23 Sony Corp 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385943B2 (ja) * 2004-12-28 2009-12-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編集方法、記録再生装置
US7613383B2 (en) * 2004-12-02 2009-11-03 Hitachi, Ltd. Editing method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WO2006075842A1 (en) * 2005-01-12 2006-07-2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information for editing recorded data
JP2006262451A (ja) 2005-02-18 2006-09-28 Canon Inc 画像記録装置及び方法
JP2007074549A (ja) 2005-09-08 2007-03-22 Toshiba Corp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方法、情報再生方法、情報記録装置、情報再生装置
JP2007189473A (ja) 2006-01-13 2007-07-26 Hitachi Ltd 動画再生装置
JP4735524B2 (ja) 2006-12-06 2011-07-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記録方法
JP4775241B2 (ja) 2006-12-06 2011-09-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記録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735525B2 (ja) 2011-07-27
KR100938057B1 (ko) 2010-01-21
EP1930905A2 (en) 2008-06-11
KR20090035677A (ko) 2009-04-10
EP1930905A3 (en) 2008-07-30
JP2008147729A (ja) 2008-06-26
CN101198071A (zh) 2008-06-11
US8391682B2 (en) 2013-03-05
US20080138036A1 (en) 2008-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0449B1 (ko) 기록 방법
KR100960767B1 (ko) 기록 방법 및 기록 장치
KR100967972B1 (ko) 기록 방법
KR101025088B1 (ko) 기록 방법
KR100938057B1 (ko) 기록 방법
KR100921134B1 (ko) 영상 음성 스트림의 기록 방법
JP4784548B2 (ja) 記録方法
JP2011205681A (ja) 記録方法
JP2011229155A (ja) 記録方法
JP2011250432A (ja) 記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