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1647A - 고출력 리튬 폴리머 전지 - Google Patents

고출력 리튬 폴리머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1647A
KR20080051647A KR1020060123131A KR20060123131A KR20080051647A KR 20080051647 A KR20080051647 A KR 20080051647A KR 1020060123131 A KR1020060123131 A KR 1020060123131A KR 20060123131 A KR20060123131 A KR 20060123131A KR 20080051647 A KR20080051647 A KR 20080051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battery
lithium polymer
coated
current collector
output lith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3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승재
김민수
김기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60123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51647A/ko
Publication of KR20080051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16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5Polymeric materials, e.g. gel-type or solid-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85Immobilising or gelification of electroly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출력 리튬 폴리머 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고출력 리튬 폴리머 전지는, 집전체의 양면 또는 한 면에 활물질이 도포된 유지부와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무지부로 이루어진 단위 전극을 구비하는 고출력 리튬 폴리머 전지에 있어서, 상기 집전체의 잔류응력을 해소할 수 있도록, 상기 무지부에 무지부의 장축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관통공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지, 유지부, 무지부, 단위 전극, 집전체

Description

고출력 리튬 폴리머 전지{High power lithium polymer battery}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의 단위 전극이 제조되는 공정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단위 전극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위 전극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도 3의 단위 전극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위 전극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단위 전극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21, 31 : 집전체 12. 22, 32 : 유지부
13, 23, 33 : 무지부 100. 200. 300 : 단위 전극
본 발명은 고출력 리튬 폴리머 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로 가공된 무지부를 형성함으로써 잔류응력이 존재하는 집전체의 잔류응력을 해소할 수 있는 고출력 리튬 폴리머 전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튬 폴리머 전지(LiPB : lithium polymer battery)의 전극제조 공정에 있어 집전체에 일정량의 전극 슬러리를 코팅한다. 그 후 전해질 함침 및 리튬 이온(Li ion)의 이동경로 확보를 위해 특정 기공율을 가질 수 있도록 전극 즉, 슬러리가 도포된 집전체를 롤 프레스(roll press)하는 공정(도 1 참조)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때 집전체(1) 상에 전극 슬러리가 코팅된 면(이하 '유지부'라 함)과 코팅되지 않고 집전체(1)만 드러난 부분(이하 '무지부'라 함)으로 이루어진 단위 전극(10)이 제조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롤 프레스 공정 후 유지부(2)와 무지부(3)의 단차로 인하여 유지부(2)와 무지부(3)의 경계면에 원형의 롤에 의한 잔류응력이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영향으로 직사각형 형태의 단위 전극(10)을 생산하는데 있어 전극 내 유지부(2)와 무지부(3) 경계면에 일방향으로 휨(bending) 현상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휨 현상은 무지부의 면적이 증가할수록 심해지는데, 이러한 경우 전지 조립 공정 시 각 공정별 공차 유지에 문제를 발생시키고, 결국 전체 공정의 불량률을 증가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별도의 가공 공정된 무지부를 구비함으로써 집전체에 발생되는 잔류응력을 해소할 수 있는 고출력 리튬 폴리머 전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출력 리튬 폴리머 전지는, 집전체의 양면 또는 한 면에 활물질이 도포된 유지부와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무지부로 이루어진 단위 전극을 구비하는 고출력 리튬 폴리머 전지에 있어서, 상기 집전체의 잔류응력을 해소할 수 있도록, 상기 무지부에 무지부의 장축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관통공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관통공들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집전체의 양면 또는 한 면에 활물질이 도포된 유지부와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무지부로 이루어진 단위 전극을 구비하는 고출력 리튬 폴리머 전지에 있어서, 상기 집전체의 잔류응력을 해소할 수 있도록, 상기 무지부에 무지부의 폭 방향으로 슬리팅(slitting)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슬리팅된 슬릿들은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집전체의 양면 또는 한 면에 활물질이 도포된 유지부와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무지부로 이루어진 단위 전극을 구비하는 고출력 리튬 폴리머 전지에 있어서, 상기 집전체의 잔류응력을 해소할 수 있도록, 상기 무지부에 무지부의 폭 방향으로 유지부의 경계면까지 인입되도록 다수의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홈들은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무지부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리드와 용접 가능하도록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전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단위 전극의 정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단위 전극(100)은 집전체(11)의 양면 또는 한 면에 활물질이 도포된 유지부(12)와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무지부(13)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집전체(11)는 전술된 바와 같이, 롤 프레스 공정에 의해 유지부(12)와 무지부(13)의 경계면에 잔류응력이 발생된다. 따라서, 무지부(13)에 무지부(13)의 길 이방향으로 다수의 관통공(14)들이 천공되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관통공(14)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무지부(13)를 천공하여 다수의 관통공(14)이 형성된 단위 전극(100)에 의해 고출력 리튬 폴리머 전지의 잔류응력이 해소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표현된 도면에서는 상기 관통공(14)을 사각형상으로 표현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삼각형,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의 관통공으로 채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단위 전극과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단위 전극을 비교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전술된 바와 같이, 종래의 단위 전극(10)을 제조하기 위해 롤 프레스 공정시 유지부(2)와 무지부(3)의 단차로 인한 잔류응력에 의해 휨 현상이 발생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전극(10)이 식별가능하도록 휘어진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은 무지부(13)에 별도의 가공 공정에 의해 다수의 관통공(14)들이 형성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류응력이 해소되어 휨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집전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단위 전극(200)은 집전체(21)의 양면 또는 한 면에 활물질이 도포된 유지부(22)와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무지부(23)로 이루어진다. 이때, 단위 전극(200)은 무지부(23)에 슬리팅 처리된 슬릿(24)들이 형성된다. 바람직하 게, 무지부(23)에는 슬리팅된 슬릿(24)들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즉, 본 제2 실시예에서는 무지부(23)를 슬리팅하여 형성된 단위 전극(200)에 의해 고출력 리튬 폴리머 전지의 잔류응력이 해소된다.
결과적으로, 무지부(23)의 폭 방향으로 별도의 가공 공정 즉, 슬리팅 처리되어 형성된 슬릿(24)들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됨으로써 잔류응력이 해소되어 휨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집전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며, 단위 전극(300)은 집전체(31)의 양면 또는 한 면에 활물질이 도포된 유지부(32)와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무지부(33)로 이루어진다. 이때, 단위 전극(300)은 무지부(33)의 폭 방향으로 홈(34)들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홈(34)들은 무지부(33)의 폭 방향으로 유지부(32)의 경계면까지 인입되도록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홈(34)들은 일정간격으로 이격된다. 즉, 본 제3 실시예에서는 무지부(33)의 폭 방향으로 유지부(32)의 경계면까지 인입되도록 홈(34)들이 형성된 단위 전극(300)에 의해 고출력 리튬 폴리머 전지의 잔류응력이 해소된다.
결과적으로, 무지부(33)의 폭 방향으로 별도의 가공 공정에 의해, 즉 일정간격으로 홈(34)들이 형성됨으로써 잔류응력이 해소되어 휨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전술된 제1 내지 제3 실시예들의 무지부(13),(23),(33)들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리드(미도시)와 용접가능하도록 소정의 폭 및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부가적으로,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전술된 제1 내지 제3 실시예들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 및 제2 실시예를 조합하면 단위 전극의 무지부는 다수의 관통공(14)이 형성되고, 관통공(14)과 관통공(14) 사이에 슬릿(24)이 형성된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단위 전극은 잔류응력을 해소시킴으로써 휨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제1 및 제3 실시예 또는 제2 및 제3 실시예등 다양한 조합을 사용하여 선택적으로 단위 전극을 사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출력 리튬 폴리머 전지는 유지부와 무지부의 단차에 의한 전극 내 잔류응력 해소를 통하여, 단위 전극 제조시 공정성 향상과 더불어 전지 조립공정의 공차 유지 및 불량률감소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9)

  1. 집전체의 양면 또는 한 면에 활물질이 도포된 유지부와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무지부로 이루어진 단위 전극을 구비하는 고출력 리튬 폴리머 전지에 있어서,
    상기 집전체의 잔류응력을 해소할 수 있도록, 상기 무지부에 무지부의 장축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관통공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출력 리튬 폴리머 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들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출력 리튬 폴리머 전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지부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리드와 용접 가능하도록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출력 리튬 폴리머 전지.
  4. 집전체의 양면 또는 한 면에 활물질이 도포된 유지부와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무지부로 이루어진 단위 전극을 구비하는 고출력 리튬 폴리머 전지에 있어서,
    상기 집전체의 잔류응력을 해소할 수 있도록, 상기 무지부에 무지부의 폭 방향으로 슬리팅(slitting)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출력 리튬 폴리머 전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팅된 슬릿들은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출력 리튬 폴리머 전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지부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리드와 용접 가능하도록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출력 리튬 폴리머 전지.
  7. 집전체의 양면 또는 한 면에 활물질이 도포된 유지부와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무지부로 이루어진 단위 전극을 구비하는 고출력 리튬 폴리머 전지에 있어서,
    상기 집전체의 잔류응력을 해소할 수 있도록, 상기 무지부에 무지부의 폭 방향으로 유지부의 경계면까지 인입되도록 다수의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출력 리튬 폴리머 전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홈들은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출력 리튬 폴리머 전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지부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리드와 용접 가능하도록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출력 리튬 폴리머 전지.
KR1020060123131A 2006-12-06 2006-12-06 고출력 리튬 폴리머 전지 KR200800516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3131A KR20080051647A (ko) 2006-12-06 2006-12-06 고출력 리튬 폴리머 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3131A KR20080051647A (ko) 2006-12-06 2006-12-06 고출력 리튬 폴리머 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1647A true KR20080051647A (ko) 2008-06-11

Family

ID=39806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3131A KR20080051647A (ko) 2006-12-06 2006-12-06 고출력 리튬 폴리머 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5164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48497B2 (en) 2011-06-10 2017-01-17 Eaglepicher Technologies, Llc Layered composite current collector with plurality of openings,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and articles including the same
CN109651931A (zh) * 2019-01-18 2019-04-19 中国工程物理研究院化工材料研究所 一种提升pbx带孔板承载能力的局部涂覆结构及涂覆方法
WO2021125588A1 (ko) * 2019-12-19 2021-06-2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 전지용 전극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4031423A1 (zh) * 2022-08-10 2024-02-15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极片、电极组件、电池单体、电池以及用电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48497B2 (en) 2011-06-10 2017-01-17 Eaglepicher Technologies, Llc Layered composite current collector with plurality of openings,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and articles including the same
CN109651931A (zh) * 2019-01-18 2019-04-19 中国工程物理研究院化工材料研究所 一种提升pbx带孔板承载能力的局部涂覆结构及涂覆方法
CN109651931B (zh) * 2019-01-18 2024-02-13 中国工程物理研究院化工材料研究所 一种提升pbx带孔板承载能力的局部涂覆结构及涂覆方法
WO2021125588A1 (ko) * 2019-12-19 2021-06-2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 전지용 전극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4031423A1 (zh) * 2022-08-10 2024-02-15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极片、电极组件、电池单体、电池以及用电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Z2016514A3 (cs) Válcovité elektrochemické články a způsob jejich výroby
KR20080051647A (ko) 고출력 리튬 폴리머 전지
KR101998194B1 (ko) 전극 제조 장치 및 방법
KR20180023634A (ko) 이차전지의 전극탭 용접 방법 및 그에 따른 전극탭 용접 구조
CN102082029A (zh) 电化学装置及其制造方法
US20220059847A1 (en) Collector Foil and Method for Producing a Collector Foil
CN107546420B (zh) 卷绕式电芯
KR20200100435A (ko) 이차 전지용 전극 및 그 제조 방법
NO842527L (no) Elektrode, elektrokjemisk celle inneholdende elektroden, samt fremgangsmaate til fremstilling av elektroden
KR20180115152A (ko) 잔류응력 편차 해소를 위한 전지의 단위 전극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
US20150047180A1 (en) Battery manufacturing
JP3146912U (ja) 電解コンデンサ用外部端子及び電解コンデンサ
WO2017018347A1 (ja) 電極シートの製造方法
JPH10208753A (ja) 電池用電極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196218A (ja) 2次電池の電池電極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CN108971674B (zh) 一种电解加工微沟槽的装置及电解加工方法
JP2013069632A (ja) 二次電池又はキャパシタ用の集電体
KR20090052350A (ko) 전자 칼럼용 렌즈 조립체
JPH09330753A (ja) 接続端子
KR100354113B1 (ko) 2차 전지의 집전체 제조 방법 및, 장치
JP6790701B2 (ja) 燃料電池セルの製造方法
KR102294860B1 (ko) 전극 제조방법
KR20170028747A (ko) 이차전지용 전극의 제조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이차전지용 전극
JPH1074522A (ja) 電池用極板
JP2009026686A (ja) 密閉型電池および電池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