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1056A - 케이블 부착구, 이것을 구비한 케이블 어셈블리 및 커넥터 - Google Patents

케이블 부착구, 이것을 구비한 케이블 어셈블리 및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1056A
KR20080051056A KR1020070117231A KR20070117231A KR20080051056A KR 20080051056 A KR20080051056 A KR 20080051056A KR 1020070117231 A KR1020070117231 A KR 1020070117231A KR 20070117231 A KR20070117231 A KR 20070117231A KR 20080051056 A KR20080051056 A KR 20080051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attachment
attached
cables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7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5161B1 (ko
Inventor
타카유키 나가타
하야토 콘도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51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1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5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5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04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 H01R13/580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formed by a metallic element crimped around the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0Means for supporting coupling part when not engag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1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for shielded multiconductor cable
    • H01R13/65918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for shielded multiconductor cable wherein each conductor is individually surrounded by shield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의 외경에 비해 케이블의 간격이 작은 경우라도 부착부의 필요한 전개 길이를 취할 수 있는 케이블 부착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케이블 부착구(100)는 일단부(111)와 타단부(112)가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대략 U자형상으로 절곡된 베이스부(110)와, 베이스부(110)의 일단부(111)에 그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제 1 부착부(120)와, 베이스부(110)의 타단부(112)에 그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제 2 부착부(130)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 1 부착부(120)와 제 2 부착부(130)가 길이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케이블 부착구

Description

케이블 부착구, 이것을 구비한 케이블 어셈블리 및 커넥터{CABLE ATTACHMENT TOOL, CABLE ASSEMBLY HAVING THE SAME AND CONNECTOR}
본 발명은, 복수의 케이블이 병렬로 늘어선 상태로 부착되는 케이블 부착구, 이것을 구비한 케이블 어셈블리 및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복수의 케이블과 커넥터의 접속구조로서는, 복수의 케이블을 복수의 컨택트에 각각 압착하고, 이 컨택트를 1개씩 커넥터의 바디에 장착하도록 한 것이 있다. 이 접속구조는 케이블의 수가 증가하면, 케이블을 컨택트에 각각 압착하고 또한 바디에 장착하는 데에 시간이 걸린다는 결점이 있다. 또한, 케이블을 1개씩 접속해 가기 때문에 오배선을 초래하기 쉽다는 다른 결점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별도의 접속구조로서 복수의 케이블을 부착 금구에 부착하고, 이 부착 금구를 커넥터의 바디에 부착함과 아울러, 복수의 케이블을 커넥터의 복수의 컨택트에 각각 접촉시킴으로써 복수의 케이블을 커넥터에 한번에 접속하도록 한 것이 있다.
상기 부착 금구로서는, 복수의 케이블이 납땜 등에 의해 부착되는 것이나, 복수의 케이블이 상기 부착 금구에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부착 부에 각각 끼워지는 것(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및 2 참조) 등이 있다.
(특허문헌1) 일본 특허공개 평11-260439호 공보
(특허문헌2) 일본 특허공개 2006-54102호 공보
전자는 외주가 절연체로 덮여진 단심 케이블 등인 경우, 납땜이 불가능하다는 결점을 갖는다. 또한 납땜이 가능한 실드부를 갖는 동축 케이블 등의 경우이어도 납땜에 의해 상기 실드부가 경화된다. 이 때문에, 상기 케이블이 굴곡되면, 상기 실드부가 단선될 가능성이 있다는 다른 결점도 갖고 있다.
한편, 후자는, 전자와 같은 결점이 없지만, 부착부가 부착 금구가 되는 판체로부터 잘라 세워져서 제작된다. 또한 부착부는 케이블을 바람직하게 끼우기 위해서 케이블의 외경에 대응한 전개 길이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커넥터의 소형화에 의해 케이블의 간격을 케이블의 외경의 3배이하로 함에 따라 상기 부착부의 간격을 상기 케이블간의 간격과 동일하게 하려고 하면, 상기 판체로부터 복수의 부착부를 잘라 세움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의 케이블을 바람직하게 끼우는 데에 필요한 전개 길이를 취할 수 없는 일이 있다.
요컨대, 후자는 케이블의 외경에 비해 케이블의 간격이 작은 경우, 부착부의 필요한 전개 길이를 취할 수 없다는 본질적인 결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케이블의 외경에 비해 케이블의 간격이 작은 경우이어도 부착부의 필요한 전개 길이를 취할 수 있는 케이블 부착구, 이것을 구비한 케이블 어셈블리 및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케이블 부착구는 복수의 제 1 케이블을 병렬로 늘어선 상태로 부착할 수 있는 케이블 부착구로서, 폭방향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절곡된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의 일단부에 그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고 또한 제 1 케이블이 각각 부착될 수 있는 복수의 제 1 부착부와, 베이스부의 타단부에 그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고 또한 제 1 케이블이 각각 부착될 수 있는 복수의 제 2 부착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 1 부착부와 제 2 부착부가 길이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렇게 제 1, 제 2 부착부는 베이스부의 일단부, 타단부에 길이방향으로 교대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 1 부착부와 제 2 부착부의 간격을 좁게 할 수 있는 한편, 제 1 부착부끼리, 제 2 부착부끼리의 간격을 제 1 부착부와 제 2 부착부의 간격에 비해서 크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 1, 제 2 부착부를 판체로부터 잘라 세움에 있어서 그 케이블을 바람직하게 끼우는 데에 필요한 전개 길이를 충분히 취할 수 있다.
제 1, 제 2 부착부는 베이스부에 연속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 1, 제 2 케이블이 탑재될 수 있는 제 1, 제 2 지지부와, 이 제 1, 제 2 지지부의 양단부에 상기 길이방향으로 교차되는 방향을 향해서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 1, 제 2 지지부에 탑재된 제 1, 제 2 케이블을 끼울 수 있는 한쌍의 제 1, 제 2 끼움부를 갖고, 제 1 및 제 2 지지부 중 적어도 한쪽이 절곡되고, 상기 제 1 지지부의 케이블 탑재면과 제 2 지지부의 케이블 탑재면이 같은 높이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제 1 지지부의 케이블 탑재면과 제 2 지지부의 케이블 탑재면을 동일 높이로 함으로써 이들에 탑재되는 복수의 제 1 케이블의 높이 위치를 맞출 수 있 다. 이 때문에, 복수의 제 1 케이블과, 커넥터의 복수의 컨택트를 접속함에 있어서, 서로의 높이 위치를 맞추는 것이 용이하게 되고, 그 결과, 복수의 제 1 케이블을 커넥터의 복수의 컨택트에 접속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제 1 케이블 어셈블리는 상기 케이블 부착구와, 이 케이블 부착구의 복수의 제 1, 제 2 부착부에 각각 부착되는 복수의 제 1 케이블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1 케이블은 단심 케이블, 동축 케이블 및 트윈 케이블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2 케이블 어셈블리는 상기 케이블 부착구와, 이 케이블 부착구의 복수의 제 1, 제 2 부착부에 각각 부착되는 복수의 제 1 케이블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1 케이블은 동축 케이블 및 트윈 케이블 중 적어도 하나이며, 그 실드부가 상기 제 1, 제 2 부착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렇게 케이블의 실드부를 상기 제 1, 제 2 부착부에 부착함으로써, 케이블 부착구를 실드용 단자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부착구는 제 1 케이블에 추가해서 제 2 케이블도 설치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부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제 2 케이블을 설치할 수 있는 제 3 부착부를 갖는다.
이렇게 제 3 부착부를 설치함으로써, 제 1 케이블과는 다른 제 2 케이블을 부착할 수 있다. 즉 상기 케이블 부착구는 복수 종류의 케이블을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 3 케이블 어셈블리는 상기 케이블 부착구와, 이 케이블 부착구 의 복수의 제 1, 제 2 부착부에 각각 부착되는 복수의 제 1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 부착구의 제 3 부착부에 부착되는 제 2 케이블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1 케이블은 단심 케이블 및 동축 케이블 중 적어도 하나이며, 상기 제 2 케이블은 트윈 케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4 케이블 어셈블리는 상기 케이블 부착구와, 이 케이블 부착구의 복수의 제 1, 제 2 부착부에 각각 부착되는 복수의 제 1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 부착구의 제 3 부착부에 부착되는 제 2 케이블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1 케이블은 동축 케이블이며, 그 실드부가 상기 제 1, 제 2 부착부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제 2 케이블은 트윈 케이블이며, 그 실드부가 상기 제 3 부착부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렇게 케이블의 실드부를 상기 제 1, 제 2 부착부에 부착함으로써, 케이블 부착구를 실드용 단자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커넥터는 상기 제 1 또는 제 3 케이블 어셈블리와, 상기 케이블이 각각 접속되는 복수의 컨택트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2 커넥터는 상기 제 2 또는 제 4 케이블 어셈블리와, 상기 케이블이 각각 접속되는 복수의 컨택트와, 상기 케이블 부착구가 접촉되는 실드 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케이블 부착구에 의한 경우, 제 1, 제 2 부착부를 판체로부터 잘라 세움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부착부에 필요한 전개 길이를 충분히 취할 수 있다. 이러한 케이블 부착구를 구비한 케이블 어셈블리를 사용하면, 복수의 제 1 케이블을 커넥터의 컨택트에 한번에 접속할 수 있으므로, 커넥터에의 접속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저비용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 어셈블리를 사용함으로써, 복수의 제 1 케이블의 좁은 피치화에 대응할 수 있으므로, 커넥터의 소형화도 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1)
우선,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의 개략적 평면도, 도 2의 (a)는 동 케이블 어셈블리의 케이블 부착구의 개략적 평면도, (b)는 동 부착구의 α부분의 확대 사시도, 도 3은 동 케이블 어셈블리의 케이블 부착구의 제 1, 제 2 부착부의 케이블 부착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a)는 단심 케이블이 부착된 상태의 도면, (b)는 동축 케이블이 부착된 상태의 도면, (c)는 트윈 케이블이 부착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내는 케이블 어셈블리(A)는 케이블 부착구(100)와, 이 케이블 부착구(100)에 병렬로 늘어선 상태로 부착되는 복수의 제 1 케이블(200)을 구비하고 있다. 이하, 각 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케이블 부착구(10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듯이, 베이스부(110)와, 베이스부(110)의 일단부(111)에 그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제 1 부착부 (120)와, 베이스부(110)의 타단부(112)에 그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제 2 부착부(130)를 구비하고 있고, 제 1 부착부(120)와 제 2 부착부(130)가 길이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또, 제 1 부착부(120)와 제 2 부착부(130)의 간격은 제 1 케이블(200)의 외경의 3배 이하로 되어 있다.
베이스부(110)는 폭방향의 일단부(111)와 타단부(112)가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대략 U자형상으로 절곡된 도전성을 갖는 긴 형상의 판체이다.
제 1 부착부(120)는 도 2의 (b) 및 도 3에 나타내듯이, 단면이 대략 U자형상인 부위이며, 베이스부(110)의 일단부(111)에 연속되는 제 1 지지부(121)와, 이 제 1 지지부(121)의 양단부에 상기 길이방향으로 교차되는 방향을 향해서 설치된 한쌍의 제 1 끼움부(122)를 갖는다.
제 2 부착부(130)도, 도 2의 (b) 및 도 3에 나타내듯이, 단면이 대략 U자형상인 부위이며, 베이스부(110)의 타단부(112)에 연속되는 제 2 지지부(131)와, 이 제 2 지지부(131)의 양단부에 상기 길이방향으로 교차되는 방향을 향해서 설치된 한쌍의 제 2 끼움부(132)를 갖는다.
제 1 지지부(121)는 제 1 케이블(200)이 탑재되는 판형상체이다. 이 제 1 지지부(121)는 도 2의 (b)에 나타내듯이, 그 기단부가 절곡되고, 그 선단부의 상면(케이블 탑재면)이 제 2 지지부(131)의 상면(케이블 탑재면)과 동일 높이로 되어 있다. 제 2 지지부(131)는 제 1 케이블(200)이 탑재되는 직선형상의 판형상체이다.
한쌍의 제 1 끼움부(122)는 제 1 지지부(121)에 탑재된 제 1 케이블(200)을 끼우는 코킹부이다. 한쌍의 제 2 끼움부(132)는 한쌍의 제 2 끼움부(122)와 같은 것이다.
제 1 지지부(121)의 폭치수와 한쌍의 제 1 끼움부(122)의 폭치수의 합은 제 1 케이블(200)의 외주의 길이와 대략 같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제 2 부착부(120, 130)가 제 1 케이블(200)의 외주의 대략 전체부를 덮을 수 있게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지지부(131)의 폭치수와 한쌍의 제 2 끼움부(132)의 폭치수의 합도 제 1 케이블(200)의 외주의 길이와 대략 같게 되어 있다.
제 1 케이블(200)로서는 도 3에 나타내듯이 단심 케이블(200a), 동축 케이블(200b) 및 트윈 케이블(300c)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단심 케이블(200a)은 도 3의 (a)에 나타내듯이, 신호선(210a)과, 이 신호선(210a)을 피복하는 외부 절연체(220a)를 가진 주지의 것이다.
동축 케이블(200b)은 도 3의 (b)에 나타내듯이 신호선(210b)과, 이 신호선(210b)을 피복하는 내부 절연체(220b)와, 이 내부 절연체(220b)를 덮는 실드부(230b)와, 이 실드부(230b)를 피복하는 도시가 생략된 외부 절연부를 가진 주지의 것이다.
트윈 케이블(200c)은 도 3의 (c)에 나타내듯이 2개의 신호선(210c)과, 이 2개의 신호선(210c)을 각각 피복하는 2개의 내부 절연체(220c)와, 이 2개의 내부 절연체(220c)를 덮는 실드부(230c)와, 이 실드부(230c)를 피복하는 도시가 생략된 외부 절연부를 가진 주지의 것이다.
이하, 케이블 부착구(100)의 제작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전성의 긴형상의 판체의 폭방향의 일단부를 자르고, 복수의 제 1 부착부(120)의 제 1 지지 부(121) 및 전개된 상태의 한쌍의 제 1 끼움부(122)를 제작한다. 이것과 함께, 상기 판체의 폭방향의 타단부를 자르고, 복수의 제 2 부착부(130)의 제 2 지지부(131) 및 전개된 상태의 한쌍의 제 2 끼움부(132)를 제작한다.
그 후, 상기 판체의 중앙부를 대략 U자형상으로 절곡해서 상기 일단부(일단부(111)에 상당)와 상기 타단부(타단부(112)에 상당)를 동일 방향을 향하게 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판체가 베이스부(110)가 된다.
그 후에 제 1 부착부(120)의 제 1 지지부(121)의 기단부를 절곡하고, 그 선단부의 상면을 제 2 지지부(131)의 상면의 높이 위치에 맞춘다.
그리고, 제 1 부착부(120)의 한쌍의 제 1 끼움부(122)를 절곡하고, 상기 판체의 길이방향으로 교차시킴과 아울러, 제 2 부착부(130)의 한쌍의 제 2 끼움부(132)를 제 1 끼움부(122)와 같은 방향을 향해서 절곡하고, 상기 판체의 길이방향으로 교차시킨다.
이하, 이렇게 제작된 케이블 부착구(100)에 제 1 케이블(200)을 부착하는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의 (a)에 나타내듯이 제 1 케이블(200)이 단심 케이블(200a)인 경우에는 단심 케이블(200a)의 일단부의 선단측의 부분의 외부 절연부(220a)를 박리하여 신호선(210a)을 노출시킨다. 이 상태에서, 도 1에 나타내듯이 단심 케이블(200a)의 일단부의 후단측의 부분의 외부 절연부(220a)를 제 1, 제 2 부착부(120, 130)의 제 1, 제 2 지지부(121, 131)에 탑재한다. 그리고, 한쌍의 제 1, 제 2 끼움부(122, 132)를 코킹함으로써, 상기 제 1, 제 2 끼움부(122, 132)에 단심 케이블(200a)의 외측 절연부(220a)를 끼운다.
도 3의 (b)에 나타내듯이, 제 1 케이블(200)이 동축 케이블(200b)인 경우에는, 동축 케이블(200b)의 일단부의 선단측의 부분의 외측 절연부, 실드부(230b) 및 내부 절연체(220b)를 박리해서 신호선(210b)을 노출시킨다. 그 후에 동축 케이블(200b)의 일단부의 후단측의 부분의 외측 절연부를 박리해서 실드부(230b)를 노출시킨다. 이 상태에서 동축 케이블(200b)의 실드부(230b)를 제 1, 제 2 부착부(120, 130)의 제 1, 제 2 지지부(121, 131)에 탑재한다. 그리고, 한쌍의 제 1, 제 2 끼움부(122, 132)를 코킹함으로써, 상기 제 1, 제 2 끼움부(122, 132)에 동축 케이블(200b)의 실드부(230b)를 끼운다.
도 3의 (c)에 나타내듯이 제 1 케이블(200)이 트윈 케이블(200c)인 경우에는 트윈 케이블(200c)의 일단부의 선단측의 부분의 외측 절연부, 실드부(230c) 및 2개의 내부 절연체(220c)를 박리해서 2개의 신호선(210c)을 노출시킨다. 그 후에 트윈 케이블(200c)의 일단부의 후단측의 부분의 외측 절연부를 박리해서 실드부(230c)를 노출시킨다. 이 상태에서 트윈 케이블(200c)의 실드부(230c)를 제 1, 제 2 부착부(120, 130)의 제 1, 제 2 지지부(121, 131)에 탑재한다. 그리고, 한쌍의 제 1, 제 2 끼움부(122, 132)를 코킹함으로써, 상기 제 1, 제 2 끼움부(122, 132)에 트윈 케이블(200c)의 실드부(230c)를 끼운다.
이러한 케이블 어셈블리(A)에 의한 경우, 제 1, 제 2 부착부(120, 130)가 베이스부(110)의 일단부(111), 타단부(112)에 길이방향으로 교대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 1 부착부(120)와 제 2 부착부(130)의 간격을 제 1 케이블(200)의 외경의 3배이하로 할 수 있는 한편, 제 1 부착부(120)끼리, 제 2 부착부(130)끼리의 간격을 제 1 부착부(120)와 제 2 부착부(130)의 간격보다 크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 1, 제 2 부착부(120, 130)를 상기 판체로부터 잘라서 세움에 있어서 제 1 케이블(200)을 바람직하게 끼우는 데에 필요한 전개 길이를 충분히 취할 수 있다.
이하, 이 케이블 어셈블리(A)를 구비하는 커넥터(C)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동 케이블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커넥터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커넥터(C)는 도 4에 나타내듯이 플러그 커넥터이며, 바디(10)와, 이 바디(10) 폭방향의 일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복수의 컨택트(20)와, 바디(10)의 폭방향의 타단부에 형성된 실드 단자(30)와, 바디(10)에 부착되는 커버(40)와, 컨택트(20) 및 실드 단자(30)에 접속되는 케이블 어셈블리(A)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제 1 케이블(200)은 동축 케이블(200b)로 한다.
바디(10)의 폭방향의 일단부의 상면에는 복수의 컨택트(20)를 고정하기 위한 돌맥(突脈)(11)이 형성되어 있다.
컨택트(20)는 바디(10)에 인서트 성형되고, 돌맥(11)에 의해 고정된다. 이 컨택트(20)는 돌맥(11)에 의해 선단부와 후단부로 나뉘어진다. 컨택트(20)의 선단부는 바디(10)의 상면으로부터 도시가 생략된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에 접촉 가능하게 노출되어 있다. 한편, 컨택트(20)의 후단부는 바디(10)의 상면으로부터 케이블 어셈블리(A)의 동축 케이블(200b)의 신호선(210b)과 접속 가능하게 노출되어 있다.
실드 단자(30)는 바디(10)의 폭방향의 타단부의 상면으로부터 케이블 부착구(100)와 접촉 가능하게 노출되어 있다. 또한 실드 단자(30)는 바디(10)의 하면으 로부터도 노출되어 있고, 도시가 생략된 기판의 그라운드부에 접속되어 있다.
커버(40)는 실드 커버이며, 바디(10)에 부착됨으로써, 바디(10)와의 사이에 실드 단자(30)를 끼움과 아울러 실드 단자(30)에 접촉해서 접속된다.
이하, 케이블 어셈블리(A)의 동축 케이블(200b)과 컨택트(20)를 접속하는 순서 및 케이블 어셈블리(A)의 케이블 부착구(100)와 실드 단자(30)를 접속하는 순서 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복수의 동축 케이블(200b)의 신호선(210b)을 복수의 컨택트(20)의 후단부에 각각 위치맞춤하면서 접촉시킨다. 이것에 의해, 신호선(210b)이 컨택트(20)에 접속된다.
이것과 함께, 케이블 부착구(100)의 베이스부(110)를 실드 단자(30)에 접촉시킨다. 이것에 의해 케이블 부착구(100)가 실드 단자(30)에 접속된다.
이 상태에서 커버(40)를 바디(10)에 부착한다. 이것에 의해 케이블 부착구(100)의 베이스부(110)가 실드 단자(30)와 커버(40) 사이에서 끼워진다.
이러한 커넥터(C)에 의한 경우, 케이블 어셈블리(A)를 사용함으로써, 복수의 제 1 케이블(200)과 복수의 컨택트(20)를 간단하게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제 1 케이블(200)을 컨택트(20)에 접속할 때에, 케이블 부착구(100)가 실드 단자(30)에 접촉해서 접속된다. 즉 제 1 케이블(200)과 컨택트(20)의 접속과, 케이블 부착구(100)와 실드 단자(30)의 접속을 동시에 행할 수 있으므로, 조립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실시예2)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형태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케이블 어셈블리(A')는 케이블 부착구(100')의 베이스부(110')의 타단부(112')에 설치된 연장부(140')와, 이 연장부(140')의 복수의 제 3 부착부(141')에 각각 부착되는 복수의 제 2 케이블(300')을 더 구비하는 점에서 케이블 어셈블리(A)와 다르다. 따라서, 이 차이점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고, 중복되는 개소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케이블 부착구(100')의 베이스부(110')의 일단부(111')는 연장부(140')에 대향하는 선단부가 직사각형상으로 잘려져 있다.
연장부(140')는 베이스부(110')의 타단부(112')로부터 연장된 대략 직사각형상의 판체이다. 이 연장부(140')의 중앙부에는 복수의 제 2 케이블(300')이 각각 부착되는 복수의 제 3 부착부(141')가 상기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연장부(140')의 선단부에는 복수의 단자(142')가 상기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제 3 부착부(141')와 단자(142')는 교대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3 부착부(141')는 연장부(140')를 잘라서 제작되는 것이며, 단면이 대략 U자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제 3 부착부(141')는 선단부 및 후단부가 연장부(140')에 연속되는 대략 I자형상의 제 3 지지부와, 이 제 3 지지부의 양단부에 설치되고 또한 제 1, 제 2 부착부(120', 130')의 제 1, 제 2 끼움부(122', 132')와 같은 방 향을 향해서 절곡된 한쌍의 제 3 끼움부를 갖는다.
제 2 케이블(300')은 상술한 트윈 케이블이다. 제 1 케이블(200')은 단심 케이블(200a) 또는 동축 케이블(200b)이다.
이하, 케이블 부착구(100')에 제 2 케이블(300')을 부착하는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제 1 케이블(200')의 부착 순서는 실시예1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도 3의 (c)를 빌려서 참조하듯이, 제 2 케이블(300')의 일단부의 선단측의 부분의 외측 절연부, 실드부 및 내부 절연체를 박리해서 신호선을 노출시킨다. 그 후에 제 2 케이블(300')의 일단부의 후단측의 부분의 외측 절연부를 박리해서 실드부를 노출시킨다. 이 상태에서, 제 2 케이블(300')의 실드부를 제 3 부착부(141')의 제 3 지지부에 탑재한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제 3 끼움부를 코킹함으로써, 상기 제 3 끼움부에 제 2 케이블(300')의 실드부를 끼운다.
이러한 케이블 어셈블리(A')에 의한 경우도 케이블 어셈블리(A)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1 케이블(200') 뿐만 아니라, 제 2 케이블(300')을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으므로, 복수 종류의 케이블을 부착할 수 있다.
이하, 케이블 어셈블리(A')를 구비하는 커넥터(C')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동 케이블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커넥터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커넥터(C')는 도 6에 나타내듯이 커넥터(C)와 같은 플러그 커넥터이다. 커넥터(C')가 커넥터(C)와 다른 점은 케이블 부착구(100')의 복수의 단자(142')가 컨택트(20')에 각각 접속되는 점, 연장부(140')가 실드 단자(30)에 접속되는 점이다. 이하, 이 차이점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고, 중복되는 개소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 이하, 설명의 편의상, 제 1 케이블(200)은 동축 케이블(200b)로 한다.
동축 케이블(200b')의 신호선(210b')은 컨택트(20')의 후단부에 접속된다. 제 2 케이블(300')의 2개의 신호선도 컨택트(20')의 후단부에 각각 접촉해서 접속된다.
케이블 부착구(100')의 연장부(140')의 단자(142')는 제 1, 제 2 케이블(200', 300')이 접촉한 컨택트(20') 이외의 컨택트(20')의 후단부에 접촉해서 접속된다. 이 컨택트(20')는 도시가 생략된 리셉터클 커넥터의 그라운드 접속용의 컨택트에 접촉하고, 상기 컨택트를 통해서 도시가 생략된 기판의 그라운드부에 접속된다.
또한 케이블 부착구(100')의 베이스부(110') 및 연장부(140')는 실드 단자(30)에 접촉해서 접속된다.
이러한 커넥터(C')에 의한 경우, 케이블 어셈블리(A')를 사용함으로써, 제 1, 제 2 케이블(200', 300')을 커넥터(C')의 컨택트(20')에 간단히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제 1, 제 2 케이블(200', 300')을 컨택트(20')에 접속할 때 케이블 어셈블리(A')의 케이블 부착구(100')가 실드 단자(30')에 접속된다. 즉 제 1, 제 2 케이블(200', 300')과 컨택트(20')의 접속과, 케이블 부착구(100')와 실드 단자(30')의 접속을 동시에 행할 수 있으므로, 양자의 접속에 드는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케이블 부착구에 대해서는 폭방향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절곡된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의 일단부에 그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고, 또한 제 1 케이블이 각각 부착될 수 있는 복수의 제 1 부착부와, 베이스부의 타단부에 그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고, 또한 제 1 케이블이 각각 부착될 수 있는 복수의 제 2 부착부를 구비하고 있고, 제 1 부착부와 제 2 부착부가 길이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한 어떤 설계변경을 행해도 상관없다.
케이블 부착구는 도전성을 갖는 것으로 했지만, 단심 케이블(200a) 등이 부착되고, 실드 단자(30)와의 접속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비도전성의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부착구의 베이스부에 제 1, 제 2, 제 3 부착부 이외의 부착부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베이스부(110, 110')의 형상은 상술한 대략 U자형상으로 절곡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폭방향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절곡되어 있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 가능하다.
제 1, 제 2 부착부(120, 130, 120', 130')의 형상은 제 1 케이블(200)이 부착될 수 있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 가능하다. 제 1 부착부(120, 120')와 제 2 부착부(130, 130')의 간격은 제 1 케이블(200)의 외경의 3배이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지지부(121, 121')는 기단부가 절곡되어 있는 것으로 했지만, 그 대신에 제 2 지지부(131, 131')를 절곡하고, 그 케이블 탑재면과 제 1 지지부(121, 121')의 케이블 탑재면을 같은 높이 위치로 하도록 해도 상관없고, 제 1, 제 2 지 지부(121, 131, 121', 131') 양자를 절곡하고, 양자의 케이블 탑재면을 같은 높이 위치로 하도록 해도 좋다. 또, 제 1, 제 2 지지부 중 적어도 한쪽이 절곡되고, 양자의 케이블 탑재면의 높이 위치가 같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3 부착부(141)는 연장부(140')에 설치되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 1, 제 2 부착부(120', 130')와 마찬가지로 베이스부(110')의 일단부(111') 또는 타단부(112')에 직접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케이블(200)로서는 단심 케이블(200a), 동축 케이블(200b) 및 트윈 케이블(200c)을 예로 들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밖의 케이블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 점은 제 1 케이블(200')도 같다.
제 2 케이블(300')로서는, 트윈 케이블을 예로 들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밖의 케이블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2의 (a)는 동 케이블 어셈블리의 케이블 부착구의 개략적 평면도, (b)는 동 부착구의 α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동 케이블 어셈블리의 케이블 부착구의 제 1, 제 2 부착부의 케이블 부착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a)는 단심 케이블이 부착된 상태의 도면, (b)는 동축 케이블이 부착된 상태의 도면, (c)는 트윈 케이블이 부착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4는 동 케이블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커넥터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6은 동 케이블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커넥터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A, A':케이블 어셈블리 100, 100':케이블 부착구
110, 110':베이스부 111, 111':일단부
112, 112':타단부 120, 120':제 1 부착부
121, 121':제 1 지지부 122, 122':제 1 끼움부
130, 130':제 2 부착부 131, 131':제 2 지지부
132, 132':제 2 끼움부 141, 141':제 3 부착부
200, 200':제 1 케이블 300':제 2 케이블
C, C':커넥터 20, 20':컨택트
30, 30':실드 단자

Claims (9)

  1. 복수의 제 1 케이블을 병렬로 늘어선 상태로 부착할 수 있는 케이블 부착구에 있어서:
    폭방향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절곡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단부에 그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고 또한 제 1 케이블이 각각 부착될 수 있는 복수의 제 1 부착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타단부에 그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고 또한 제 1 케이블이 각각 부착될 수 있는 복수의 제 2 부착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 1 부착부와 제 2 부착부가 길이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부착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부착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연속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 1, 제 2 케이블이 탑재될 수 있는 제 1, 제 2 지지부와, 이 제 1, 제 2 지지부의 양단부에 상기 길이방향으로 교차되는 방향을 향해서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 1, 제 2 지지부에 탑재된 상기 제 1, 제 2 케이블을 끼울 수 있는 한쌍의 제 1, 제 2 끼움부를 갖고;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부 중 적어도 한쪽이 절곡되고, 상기 제 1 지지부의 케이블 탑재면과 상기 제 2 지지부의 케이블 탑재면이 같은 높이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부착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블에 추가해서 상기 제 2 케이블이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 2 케이블이 부착될 수 있는 제 3 부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부착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케이블 부착구와, 이 케이블 부착구의 복수의 제 1, 제 2 부착부에 각각 부착되는 복수의 제 1 케이블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1 케이블은 단심 케이블, 동축 케이블 및 트윈 케이블 중 하나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어셈블리.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케이블 부착구와, 이 케이블 부착구의 복수의 제 1, 제 2 부착부에 각각 부착되는 복수의 제 1 케이블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1 케이블은 동축 케이블 및 트윈 케이블 중 하나이상이며, 그 실드부가 상기 제 1, 제 2 부착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어셈블리.
  6. 제 3 항에 기재된 케이블 부착구와, 이 케이블 부착구의 복수의 제 1, 제 2 부착부에 각각 부착되는 복수의 제 1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 부착구의 제 3 부착부에 부착되는 제 2 케이블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1 케이블은 단심 케이블 및 동축 케이블 중 하나이상이며;
    상기 제 2 케이블은 트윈 케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어셈블리.
  7. 제 3 항에 기재된 케이블 부착구와, 이 케이블 부착구의 복수의 제 1, 제 2 부착부에 각각 부착되는 복수의 제 1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 부착구의 제 3 부착부에 부착되는 제 2 케이블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1 케이블은 동축 케이블이며, 그 실드부가 상기 제 1, 제 2 부착부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제 2 케이블은 트윈 케이블이며, 그 실드부가 상기 제 3 부착부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어셈블리.
  8. 제 4 항 또는 제 6 항에 기재된 케이블 어셈블리와, 상기 케이블이 각각 접속되는 복수의 컨택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제 5 항 또는 제 7 항에 기재된 케이블 어셈블리와, 상기 케이블이 각각 접속되는 복수의 컨택트와, 상기 케이블 부착구가 접촉되는 실드 단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070117231A 2006-12-04 2007-11-16 케이블 부착구, 이것을 구비한 케이블 어셈블리 및 커넥터 KR1013451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27424A JP4781245B2 (ja) 2006-12-04 2006-12-04 ケーブル取付具、これを備えたケーブルアッセンブリ及びコネクタ
JPJP-P-2006-00327424 2006-12-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1056A true KR20080051056A (ko) 2008-06-10
KR101345161B1 KR101345161B1 (ko) 2013-12-26

Family

ID=39167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7231A KR101345161B1 (ko) 2006-12-04 2007-11-16 케이블 부착구, 이것을 구비한 케이블 어셈블리 및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507127B2 (ko)
EP (1) EP1930988B1 (ko)
JP (1) JP4781245B2 (ko)
KR (1) KR101345161B1 (ko)
CN (1) CN101227066B (ko)
TW (1) TWI39805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48206B2 (ja) * 2007-03-02 2012-06-06 ホシデン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224793B2 (ja) * 2007-11-30 2013-07-03 株式会社フジクラ ハーネス加工方法
JP5162221B2 (ja) * 2007-11-30 2013-03-13 株式会社フジクラ ハーネス端末用金属板及びハーネス加工方法
CN103247908A (zh) * 2012-02-06 2013-08-14 凡甲电子(苏州)有限公司 线缆连接器组件
JP5962275B2 (ja) * 2012-07-10 2016-08-03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多芯ケーブルアセンブリ
US9124008B2 (en) * 2013-08-29 2015-09-0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US9484689B2 (en) * 2014-04-30 2016-11-01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Wire spacer for different types of cable wires
US9240656B1 (en) * 2014-08-28 2016-01-1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with cable bundle
CN107636904B (zh) 2015-03-18 2019-08-20 安费诺富加宜(亚洲)私人有限公司 电缆组件
CN107317275B (zh) * 2016-04-26 2018-11-06 北京金风科创风电设备有限公司 电缆安装托架、电缆安装装置和风力发电机组
EP3588680B1 (en) * 2018-06-27 2021-08-04 Aptiv Technologies Limited Conductor assembly with a crimped tubular ferrule and method and tool for manufacturing same
TW202029225A (zh) 2018-12-17 2020-08-01 美商安芬諾股份有限公司 高性能纜線終端
JP7249226B2 (ja) * 2019-07-18 2023-03-3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ケーブルハーネス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7115A (en) * 1986-12-19 1988-04-12 North American Specialties Corp. Solderable lead
JP4033311B2 (ja) 1998-03-11 2008-01-16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およびその接続方法
JP2000150106A (ja) * 1998-11-13 2000-05-30 Yazaki Corp 接続端子金具の製造方法
JP2000173689A (ja) * 1998-12-07 2000-06-23 Yazaki Corp ジョイントコネクタ及びジョイントコネクタ用接続端子金具の製造方法
JP2001102133A (ja) * 1999-10-01 2001-04-13 I-Pex Co Ltd ケーブル端末装置
JP3651416B2 (ja) 2001-06-06 2005-05-25 住友電装株式会社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2004273154A (ja) * 2003-03-05 2004-09-30 Yazaki Corp ジョイントコネクタ及び端子
JP2006054102A (ja) 2004-08-11 2006-02-23 Jst Mfg Co Ltd コネクタ及びケーブル保持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30988B1 (en) 2012-10-10
CN101227066A (zh) 2008-07-23
JP4781245B2 (ja) 2011-09-28
US7507127B2 (en) 2009-03-24
TWI398058B (zh) 2013-06-01
EP1930988A3 (en) 2011-08-03
JP2008140708A (ja) 2008-06-19
EP1930988A2 (en) 2008-06-11
TW200838067A (en) 2008-09-16
KR101345161B1 (ko) 2013-12-26
CN101227066B (zh) 2013-01-30
US20080132112A1 (en) 200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5161B1 (ko) 케이블 부착구, 이것을 구비한 케이블 어셈블리 및 커넥터
KR101346074B1 (ko) 커넥터
CN202678544U (zh) 高速旁路电缆组件
US8133071B2 (en) Cable assembly with flat cable
US8052464B2 (en) Connector
CN110247262B (zh) 具有阻抗控制体的电气装置
CN105556759B (zh) 具有接地夹具的薄片体连接器
JP2008084857A (ja) プラグインコネクタ
CN101552390A (zh) 具有护套支座的插接连接器
US20020013072A1 (en)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or
US20080014789A1 (en) Coaxial Cable Grounding Structure, Connector and Method for Connecting Cable In Said Connector
US4737888A (en) Receptacle assembly and mounting bracket for circuit board connections
TW200841540A (en) Electrical plug-in connector
US7854626B2 (en) Connection structure for small diameter shielded cable
KR100248969B1 (ko) 전기 커넥터
US7351100B2 (en) Electric connector
CA2089461C (en) Circuit board connector
JP2002008765A (ja) 細径ケーブル用コネクタ
TWI696325B (zh) 插頭連接器
CN220857056U (zh) 一种连接器壳体、电连接器及连接器组件
JPS6035979Y2 (ja) フラットケ−ブルに接続されるコネクタ
CN112448195A (zh) 线缆连接器组件
TW202401932A (zh) 電連接器及其纜線接地結構
JP3231181B2 (ja) 接続器
WO2014097051A1 (en) Electrical connector, photovoltaic system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