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0831A - 슬림한 결합구조를 가지는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슬림한 결합구조를 가지는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0831A
KR20080050831A KR1020060121625A KR20060121625A KR20080050831A KR 20080050831 A KR20080050831 A KR 20080050831A KR 1020060121625 A KR1020060121625 A KR 1020060121625A KR 20060121625 A KR20060121625 A KR 20060121625A KR 20080050831 A KR20080050831 A KR 20080050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
slider module
portable terminal
slider
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1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5053B1 (ko
Inventor
장창용
이은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1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5053B1/ko
Publication of KR20080050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0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5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5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림한 결합구조를 가지는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제 1 바디와; 제 2 바디와; 고정부재와 가동부재 및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1 바디와 제 2 바디가 슬라이딩 구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슬라이더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더 모듈은 상기 고정부재의 일 면에 융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서로 접하게 배치되는 두 바디의 어느 일 면은 고정부재의 융기부가 삽입되는 장착구멍이 형성되어 슬라이더 모듈의 고정부재가 접하는 바디의 일부 면이 고정부재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은 슬라이더 모듈이 장착되는 어느 일 바디의 일 면이 슬라이더 모듈의 고정부재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이 형성하여 휴대 단말기의 두께를 더 얇게 구현할 수 있게 되고, 기존의 다양한 슬라이더 모듈의 구성을 거의 변형하지 않고도 휴대 단말기의 두께를 줄일 수 있게 되며, 구조적인 강도가 저하되지 않게 된다.
슬라이더 모듈, 함몰부, 융기부, 체결부, 탄성부재

Description

슬림한 결합구조를 가지는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 단말기{MOBILE TERMINAL OF SLIDING TYPE HAVING SLIM COMBINATION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림한 결합구조를 가지는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는 슬라이더 모듈과 하부 케이스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슬라이더 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슬라이더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3c는 도 2에 도시된 슬라이더 모듈의 우측면도이다.
도 4a는 도 2에 도시된 하부케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선 "I-I"를 따라 절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b에 도시된 하부 케이스에 슬라이더 모듈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 ... 휴대 단말기 100 ... 제 1 바디
101 ... 제 1 입력부 102 ... 음향 입력부
200 ... 제 2 바디 201 ... 제 2 입력부
202 ... 음향 출력부 203 ... 표시부
210 ... 하부 케이스 211,311,321 ... 체결부
212 ... 장착구멍 214 ... 체결구멍
215 ... 가이드 슬롯 216a,216b ... 완충부재
300 ... 슬라이더 모듈 310 ... 고정부재
312 ... 함몰부 313 ... 에프피시비 관통구멍
314 ... 체결구멍 320 ... 가동부재
322 ... 슬라이더부 323 ... 윤활부재
330 ... 탄성부재 331a,331b ... 결합부
본 발명은 슬림한 결합구조를 가지는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단말기 내부에 포함된 일정한 기능을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장치이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또한 사용자가 특정인과의 통신을 가능하도록 구성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사용의 편의를 위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기도 하는데, 일반적으로 알려진 휴대 단말기의 형태는 바 타입(bar-type), 슬라이드 타입(slide-type), 폴더 타입(folder-type) 그리고 스위블 타입(swivel-type)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형태로 구성되는 휴대 단말기들은 휴대의 편의를 위하여 가능한 얇고 작은 크기를 갖도록 구현하고자 하는 연구가 계속 진행되고 있다.
특히,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 단말기는 슬라이딩 구동을 위하여 구비되는 슬라이더 모듈의 구조적인 특성에 의해 그 두께를 더 얇게 구현하는 것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가 더욱 절실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일 목적은 휴대 단말기의 두께를 더 얇게 구현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휴대 단말기의 두께가 얇게 구성되어도 기존의 다양한 슬라이더 모듈의 특성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기존의 다양한 슬라이더 모듈의 구성에 대한 변형을 거의 주지 않도록 하여 휴대 단말기의 두께를 줄일 수 있는 범용의 슬라이더 모듈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휴대 단말기의 두께를 얇게 구현하면서도 구조적인 강도가 저하되지 않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고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목적들을 이루기 위한 슬림한 결합구조를 가지는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슬림한 결합구조를 가지는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 단말기는 제 1 바디와; 제 2 바디와; 고정부재와 가동부재 및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 1 바디와 제 2 바디가 슬라이딩 구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슬라이더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여기서, 슬라이더 모듈은 고정부재의 일 면에 융기부가 형성되고, 서로 접하게 배치되는 두 바디의 어느 일 면은 고정부재의 융기부가 삽입되는 장착구멍이 형성되어 슬라이더 모듈의 고정부재가 접하는 바디의 일부 면이 고정부재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슬라이더 모듈은 융기부가 형성된 고정부재의 맞은편 면에 함몰부가 형성될 수도 있고, 함몰부에는 탄성부재가 수용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슬라이더 모듈은 융기부의 둘레에 체결부가 형성되고, 융기부와 대응하는 맞은편 면에 함몰부가 구비되는 고정부재와; 고정부재의 체결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부재와; 일 단부가 함몰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일 단부가 가동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태로 함몰부에 수용되게 장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서로 접하게 배치되는 두 바디의 어느 일 면은 고정부재의 체결부가 안착되는 체결부와; 체결부의 중앙 위치에 융기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장착구멍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서로 접하게 배치되는 두 바디의 어느 일 면은 가동부재의 슬라이더부가 안내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슬롯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가이드 슬롯은 바디의 일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가이드 슬롯은 적어도 일 단부에는 완충부재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슬림한 결합구조를 가지는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 단말기를 설명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아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림한 결합구조를 가지는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 단말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10)는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 단말기로 제 1 바디(100)와 제 2 바디(200)는 서로에 대하여 이하 설명되는 슬라이더 모듈(300)에 의해 슬라이딩 구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 1 바디(100)에는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고, 또한 데이터의 입력 및/또는 기능의 조작을 위한 제 1 입력부(101)와 음향 입력부(102)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바디(100)에 대하여 슬라이딩 구동이 가능한 제 2 바디(200)에는 제 1 바디(100)에 구비된 제 1 입력부(101)를 보조할 수 있는 제 2 입력부(201)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정보 등을 표시하게 되는 표시 부(203)와 음향 출력부(202)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기 두 바디(100,200)는 이하 설명되는 슬라이더 모듈(300)에 의해 슬라이딩 구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더 모듈(300)은 상기 두 바디(100,200) 중 어느 일 바디에 결합되는 고정부재(310)와 상기 고정부재(3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부재(320), 그리고 상기 가동부재(320)가 반자동 슬라이딩 구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탄성부재(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기 슬라이드 모듈(300)은 상기 고정부재(310)가 어느 일 바디에 결합되는데, 여기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제 2 바디(200)에 결합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슬라이드 모듈(300)의 고정부재(310)는 제 1 바디(100)와 접하는 제 2 바디(200)의 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바디(200)는 상부 케이스(미도시)와 하부 케이스(210)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슬라이드 모듈(300)의 고정부재(310)는 상기 하부 케이스(210)의 일 면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210)는 상기 고정부재(310)가 결합되는 면의 일부 영역에 장착구멍(212)을 형성시켜 슬라이더 모듈(300)의 고정부재(310)가 접하는 상기 하부 케이스(210)의 일부 면이 상기 고정부재(310)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구성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을 하면, 슬라이더 모듈(300)을 구성하는 고정부재(310)는 상기 하부 케이스(210)의 일 면에 장착되는 체결부(311) 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311)의 중앙 영역에는 가동부재(320)가 반자동 슬라이딩 구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탄성부재(330)가 수용되는 함몰부(312)가 형성된다. 상기 함몰부(312)에 장착되는 탄성부재(330)는 상기 고정부재(310)의 체결부(311)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게 되거나, 또는 상기 고정부재(310)의 체결부(311)의 높이 보다 더 낮은 높이로 구성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함몰부(312)의 맞은편 면은 이하 설명되는 하부 케이스(210)의 장착구멍(212)에 삽입되는 융기부(312a)가 형성된다. 상기 융기부(312a)는 상기 함몰부(312)의 형성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슬라이더 모듈(300)의 두께를 더 감소시킬 수 있게 되며, 또한, 이하 설명되는 장착구멍(212)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부재(310)가 하부케이스(210) 일 면의 두께와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부재(310)의 일 면에는 제 1 바디(100)와 제 2 바디(200)를 연결하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미도시)가 관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FPCB 관통구멍(313)을 더 형성시킬 수도 있다.
상기 고정부재(310)에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가동부재(320)가 슬라이딩 구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동부재(320)는 도 3b의 도시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정부재(310)의 체결부(331)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동부재(320)는 휴대 단말기(10)의 어느 일 바디(100)에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체결부(321)의 양단부에 슬라이더부(3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부(322)는 상기 고정부재(310)의 체결부(311)에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부(322)는 상기 체결부(311)의 테두리를 따라 슬라이딩 구동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윤활부재(323)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의 일 단부에는 고정부재(310)의 FPCB 관통구멍(313)의 일부 영역과 배치될 수 있는 FPCB 관통홈(3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가동부재(320)는 탄성부재(330)에 의하여 반자동으로 슬라이딩 구동이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330)는 일 단부(331a)가 고정부재(310)의 함몰부(3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일 단부(331b)가 가동부재(32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330)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함몰부(312)에 수용되는 상태로 장착되어 작동된다. 그리고,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330)는 상기 고정부재(310)의 체결부(311)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게 되거나, 또는 상기 고정부재(310)의 체결부(311)의 높이 보다 더 낮은 높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동부재(320)를 반자동 슬라이딩 가능하게 작용하는 탄성부재(330)는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은 구성 이외에도 와이어로 구성되는 스프링과 같은 구성 등과 같이 종래의 알려진 다양한 구조의 탄성부재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310)의 전체 두께는 고정부재(310)가 결합되는 하부케이스(210) 면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로 구성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을 하면, 상기 슬라이더 모듈(300)의 고정부재(310)가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210)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장착구멍(212)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구멍(212)은 고정부재(310)의 체결부(311)가 안착되는 하부 케이스(210)의 체결부(211)의 중앙부 영역에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중앙부에 장착구멍(212) 이 형성되는 체결부(211)는 상기 고정부재(310)의 체결부(311) 두께와 동일한 깊이로 함몰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케이스(210)의 체결부(211)의 두께는 상기 설명된 고정부재(310)의 융기부(312a)의 돌출 높이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310)의 전체 두께에 맞추어 상기 고정부재(310)가 장착되는 하부 케이스(210)의 면에 대한 두께가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고정부재(310)가 장착되는 하부 케이스(210)의 면에 대한 두께에 맞추어 상기 고정부재(310)의 전체 두께가 결정되는 것이다.
상기 설명된 슬라이더 모듈(300)의 구성과 같이 가동부재(320)가 고정부재(310)의 체결부(311)에 물려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가동부재(320)의 슬라이더부(322)가 물려있는 체결부(311)와 접하게 되는 상기 하부 케이스(210)의 체결부(211)의 폭이 상기 슬라이더부(322)가 물려있는 체결부(311)의 폭 보다 짧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케이스(210)의 체결부(211)의 각 바깥쪽 위치에는 가이드 슬롯(215)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슬롯(215)의 적어도 일 단부에는 가동부재(320)의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완충부재(216a,216b)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슬롯(215)은 도시된 것과 같이 홈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완전히 관통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가이드 슬롯(215)을 따라 상기 가동부재(320)의 슬라이더부(322)가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하부 케이스(210)에 구비되는 체결부(211)는 상기 슬라이더 부(322)가 물려있는 체결부(311)와 접하게 되는 부분에만 길이방향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상기 고정부재(310)의 융기부(312a)가 하부 케이스(210)의 장착구멍(212)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부재(310)의 체결부(311)가 하부 케이스(210)의 체결부(211)에 안착되는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310)의 체결부(311)와 하부 케이스(210)의 체결부(211)가 결합수단(미도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각각 체결구멍(314,214)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고정부재(310)가 하부 케이스(210)에 결합될 때, 고정부재(310)의 체결부(311) 상면과 하부 케이스(210)의 장착되는 방향의 면은 서로 턱이 지지않게 되고, 또한, 고정부재(310)의 융기부(312a)의 면이 하부 케이스(210)의 반대편 면과 서로 턱이 지지 않게 된다. 즉, 상기 고정부재(310)의 전체 두께와 상기 하부 케이스(210)의 장착면의 두께는 동일한 두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 케이스(210)의 두께가 얇게 구성되는 체결부(211)와 면이 완전히 제거된 장착구멍(212)의 영역은 상기 슬라이더 모듈(300)의 고정부재(310)에 의해 대치될 수 있어 강도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슬림한 결합구조를 가지는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을 포함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혼용되어 수행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슬라이더 모듈이 장착되는 어느 일 바디의 일 면이 슬라이더 모듈의 고정부재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이 형성하여 휴대 단말기의 두께를 더 얇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의 두께가 얇게 구성되어도 기존의 다양한 슬라이더 모듈의 특성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다양한 슬라이더 모듈의 구성을 거의 변형하지 않고도 휴대 단말기의 두께를 줄일 수 있는 범용의 슬라이더 모듈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의 두께를 얇게 구현하면서도 구조적인 강도가 저하되지 않게 된다.

Claims (6)

  1. 제 1 바디와;
    제 2 바디와;
    고정부재와 가동부재 및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1 바디와 제 2 바디가 슬라이딩 구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슬라이더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더 모듈은 상기 고정부재의 일 면에 융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서로 접하게 배치되는 두 바디의 어느 일 면은 고정부재의 융기부가 삽입되는 장착구멍이 형성되어 슬라이더 모듈의 고정부재가 접하는 바디의 일부 면이 고정부재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한 결합구조를 가지는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모듈은 융기부가 형성된 고정부재의 맞은편 면에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에 탄성부재가 수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한 결합구조를 가지는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모듈은
    융기부의 둘레에 체결부가 형성되고, 융기부와 대응하는 맞은편 면에 함몰부가 구비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체결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부재와;
    일 단부가 상기 함몰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일 단부가 가동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태로 상기 함몰부에 수용되게 장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서로 접하게 배치되는 두 바디의 어느 일 면은
    상기 고정부재의 체결부가 안착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중앙 위치에 융기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장착구멍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한 결합구조를 가지는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 단말기.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접하게 배치되는 두 바디의 어느 일 면은 가동부재의 슬라이더부가 안내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슬롯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한 결합구조를 가지는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롯은 바디의 일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한 결합구조를 가지는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 단말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롯은 적어도 일 단부에는 완충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한 결합구조를 가지는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 단말기.
KR1020060121625A 2006-12-04 2006-12-04 슬림한 결합구조를 가지는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 단말기 KR101295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625A KR101295053B1 (ko) 2006-12-04 2006-12-04 슬림한 결합구조를 가지는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625A KR101295053B1 (ko) 2006-12-04 2006-12-04 슬림한 결합구조를 가지는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0831A true KR20080050831A (ko) 2008-06-10
KR101295053B1 KR101295053B1 (ko) 2013-08-08

Family

ID=39806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1625A KR101295053B1 (ko) 2006-12-04 2006-12-04 슬림한 결합구조를 가지는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50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1795A1 (ko) * 2009-05-14 2010-11-18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슬림형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갖는 슬림형 슬라이드 휴대폰
KR200454455Y1 (ko) * 2010-01-29 2011-07-06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댐퍼가 구비된 슬라이드 단말기용 힌지모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7654A (ko) * 2003-09-16 2005-03-21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KR20060001898A (ko) * 2005-12-12 2006-01-06 배종현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1795A1 (ko) * 2009-05-14 2010-11-18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슬림형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갖는 슬림형 슬라이드 휴대폰
KR200454455Y1 (ko) * 2010-01-29 2011-07-06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댐퍼가 구비된 슬라이드 단말기용 힌지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5053B1 (ko) 2013-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8092B2 (en) Cellular phone holder
EP1592209A3 (en) Double sliding-type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696323B1 (ko) 슬라이드기구 및 휴대단말기
EP1515525A2 (en) Slide assembly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EP1594289A3 (en) Double sliding-type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EP1760996A2 (en) Slide assembly for a portable terminal
US9134758B2 (en) Connecting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EP1906631A2 (en) Semi-automatic slid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US20100097750A1 (en) Mobile terminal
KR101294299B1 (ko) 슬림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1295053B1 (ko) 슬림한 결합구조를 가지는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 단말기
JP4031527B1 (ja) 携帯端末
JP4573348B2 (ja) 携帯情報端末
EP1783986A3 (en) Sliding module of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JP2006270811A (ja) 携帯機器
TW200633318A (en) Structure of flexible connector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KR101353420B1 (ko) 슬라이드 타입 이동통신 단말기
US8711551B2 (en) Electronic device with multi-orientation
JP5092351B2 (ja) 携帯端末装置
KR101220856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US20080070630A1 (en) Mobile phone and information store card drawing mechanism
US20090109616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bent to width direction, and slide module and parts thereof for the device
KR20060077693A (ko)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용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이동통신단말기
JP2008017133A (ja) スライド機構用付勢部材、携帯機器のスライド機構及び携帯電話機
US8238083B2 (en) Slide mechanism for slide-type portable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