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0731A - 휴대용 단말기에서 교통소통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 및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에서 교통소통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 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0731A
KR20080050731A KR1020060121343A KR20060121343A KR20080050731A KR 20080050731 A KR20080050731 A KR 20080050731A KR 1020060121343 A KR1020060121343 A KR 1020060121343A KR 20060121343 A KR20060121343 A KR 20060121343A KR 20080050731 A KR20080050731 A KR 20080050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road image
management server
traf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1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동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1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50731A/ko
Publication of KR20080050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07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1Traffic information broadca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교통소통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무선인터넷을 통해 교통 관리 서버에 자신의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교통 관리 서버로부터 특정지역에 존재하는 단말기의 목록을 제공받는 과정과, 상기 단말기의 목록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단말기로 도로 영상 제공을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 단말기로부터 도로 영상 제공 요청이 수락될 시, 상기 특정 단말로부터 실제 도로 영상을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운전자에 의해 선택된 지역내의 특정 단말로부터 P2P 연결을 통해 도로의 실제 영상을 제공받음으로써, 도로교통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며, 도로가 정체중인 경우 다른 경로를 재탐색하여 진행할 수 있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교통 관리 서버로 위치정보등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교통 관리 서버는 별도의 교통정보수집 장치 없이 전국의 도로교통상황정보를 각 단말에 쉽게 제공할 수 있다.
GPS, 네비게이션, P2P, 교통정보, 교통소통정보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에서 교통소통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GETTING FLUX OF THE TRAFFIC INFORMATION IN 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관리 서버의 블록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교통소통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다른 단말기로 교통소통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간에 교통소통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신호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교통소통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속의 인터넷 접속 환경에서 P2P(Peer to Peer) 서비스를 통해 상대 단말로부터 도로 영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위치측정장치(Global Positioning System: 이하 'GPS'라 칭함)를 이용하여 운전자에게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효율적인 경로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 교통차량이 증가되고, 도로가 복잡해짐에 따라 운전자들은 보다 상세하고 정확한 교통정보를 제공받길 원하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운전자에게 상세하고 정확한 교통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들이 연구 개발되었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에 따른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무선접속 데이터 환경이 제한적인 시스템 상황에서 출발하였기 때문에 정보를 수집하고 제공하는데 있어서 적은량의 데이터 전송 위주로 구성됨으로써, 운전자에게 텍스트 형태의 교통정보들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종래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상기 교통정보를 상세하고 정확히 표현하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교통소통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고속무선접속 환경을 이용하여 다른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실제 도로의 영상을 획득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무선 인터넷 시스템을 이용하여 지역별 교통소통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교통소통정보 획득 방법은, 무선인터넷을 통해 교통 관리 서버에 자신의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교통 관리 서버로부터 특정지역에 존재하는 단말기의 목록을 제공받는 과정과, 상기 단말기의 목록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단말기로 도로 영상 제공을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 단말기로부터 도로 영상 제공 요청이 수락될 시, 상기 특정 단말로부터 실제 도로 영상을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 교통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의 동작 방법은, 각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각 단말기를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정보들을 분석하여 상기 등록된 단말기들을 지역별로 분류하는 과정과, 상기 등록된 단말기들 중 특정 단말기로부터 특정 지역의 정보가 요청될 시, 상기 특정 지역에 존재하는 단말기의 목록을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 단말기로부터 상기 목록 중 특정 단말기가 선택된 신호가 수신될 시, 상기 선택된 단말기로 도로 영상 제공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교통소통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무선인터넷을 통해 교통 관리 서버에 자신의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과, 특정 단말기로부터 도로 영상 제공 요청 신호가 수 신될 시, 도로 영상 제공 수락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도로 영상 제공 수락이 판단될 시, 상기 특정 단말기로 수락신호를 전송하고,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상기 특정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교통소통정보 획득 장치는, GPS수신기로부터 획득되는 단말기의 정보 중 서버 등록 정보를 검출하는 단말정보검출부와, 교통 정보 확인 이벤트가 발생될 시, 교통 관리 서버로 상기 서버 등록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교통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단말기 목록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단말기로 도로 영상 제공을 요청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교통 관리 서버로 상기 서버 등록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교통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기 목록을 수신하고 상기 선택된 단말기로부터 실제 도로 영상을 수신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5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의 장치는, 각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각 단말기를 등록하고, 상기 등록된 단말기들 중 특정 단말기로부터 특정 지역의 정보가 요청될 시, 해당 지역에 존재하는 단말기의 목록을 전송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수신된 정보들을 분석하여 지역별로 분류하는 단말 관리부와, 상기 특정 단말기로 상기 단말기 목록을 전송하고, 상기 목록 중 하나의 단말이 선택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선택된 단말기로 도로 영상 제공을 요청하는 신 호를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6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교통소통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는, 도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GPS수신기로부터 획득되는 단말기의 정보 중 서버 등록 정보를 검출하는 단말정보검출부와, 교통정보확인 이벤트가 발생될 시, 교통 관리 서버로 상기 서버 등록 정보를 전송하고, 특정 단말로부터 도로 영상 제공이 요청될 시, 상기 촬영된 도로 영상을 상기 특정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교통 관리 서버로 상기 서버 등록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특정 단말로 상기 도로 영상을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고속 무선 접속 환경을 이용하여 교통 관리 서버에 접속된 단말기들 중 특정 지역에 위치한 단말기로부터 실제 도로의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제공받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해 설명할 것이다. 여기서 고속 무선 접속 환경은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나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같은 차세대 무선 인터넷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고속 무선 접속 환경하의 휴대용 단말기는 운행중인 차량내에서 대용량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제어부(100), 통신모듈(102), GPS수신기(104), 단말정보검출부(106), 영상처리부(108), 카메라(110), 표시부(112), 키입력부(114), 메모리(1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MPU : Micro-Processor Unit)(1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무선 인터넷에 접속되어 사용자에 의해 특정지역의 교통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시, 상기 통신모듈(102)을 통해 교통 관리 서버에 단말의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특정 지역이 선택될 시, 상기 교통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특정 지역 내에 존재하는 단말들의 목록을 수신하여 수신된 단말들의 목록을 상기 표시부(112)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키입력부(114)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된 단말의 목록 중 특정 단말이 선택될 시, 상기 통신모듈(102)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특정 단말에 도로 영상을 제공할 것을 요청하고, 상기 특정 단말로부터 수락신호가 수신될 시, P2P로 상기 특정 단말과 연결함으로써, 상기 특정 단말로부터 도로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표시부(112)에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특정 단말로부터 도로 영상의 제공을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될 시, 수락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특정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한다. 만일, 사용자에 의해 상기 도로 영상 제공이 수락될 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카메라(110)를 통해 도로 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하고, 촬영되는 도로 영상을 상기 P2P로 연결된 상기 특정 단말로 전송한다.
상기 통신모듈(102)은 안테나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의 무선신호를 송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송신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한 기저대역 신호를 RF(Radio Frequency)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수신인 경우, 수신된 RF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기저대역신호를 역 확산(De-spreading) 및 채널 복호(Channel de-coding)하여 데이터를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통신모듈(102)은 본 발명에 따라 상기 교통 관리 서버와 상기 P2P로 연결된 단말과의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상기 GPS 수신기(104)는 복수의 GPS위성으로부터 단말의 위치, 이동속도, 이동방향, 이동루트, 이동거리, 고도 등의 단말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 정보 검출부(106)로 제공한다.
상기 단말 정보 검출부(106)는 상기 GPS수신기(104)로부터 입력되는 단말 정보를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단말 정보 검출부(106)는 본 발명에 따라 수신되는 단말 정보 중 상기 단말의 위치, 방향 및 속도 정보를 획득하여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상기 영상처리부(108)는 상기 카메라(11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인코딩하여 상기 표시부(112)로 혹은 상기 제어부(100)로 출력하고 상기 카메라(11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표시부(112)로 직접 출력하기도 한다.
상기 카메라(110)는 영상 촬영 시에 감지되는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상기 카메라 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영상신호를 상기 영상처리부(108)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110)는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특정 단말기로부터 도로 영상 제공이 수락될 시,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실시간 도로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영상 처리부(108)로 제공한다.
상기 표시부(112)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중에 발생되는 상태정보, 제한된 숫자와 문자들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112)는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지리정보 화면과 상기 특정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실시간 도로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키입력부(114)는 숫자 또는 문자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키에 대응되는 기능들을 상기 제어부(100)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키입력부(114)는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표시부(112)에 디스플레이된 단말들의 목록 중 특정 단말을 선택하기 위한 키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상기 메모리(116)는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지리정보 데이터와 본 발명에 따라 P2P연결을 통해 실시간 도로 영상을 공유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관리 서버의 블록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서버는 제어부(200), 통신모듈(202), 단말 관리부(20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200)는 서버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접속되는 단말들의 정보를 상기 단말 관리부(204)로 출력하고, 상기 등록된 단말들 중 특정 단말로부터 특정 지역에 대한 단말들의 정보가 요청될 시, 상기 단말관리부(204)로 부터 해당지역 내에 존재하는 단말들의 목록을 독출하여 상기 통신모듈(202)을 통해 상기 특정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이후, 상기 특정 단말로부터 제공된 단말들의 목록 중 하나의 단말이 선택된 신호가 수신될 시, 상기 선택된 단말로 도로 영상 제공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후, 상기 선택된 단말로부터 도로 영상 제공 수락 메시지가 수신될 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특정 단말에 수락 메시지를 전송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200)는 각 단말들이 무선인터넷 접속하에 사용자에 의해 특정지역의 교통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시, 상기 단말관리부(204)로부터 각 단말의 정보를 제공받아 지역별, 시간별 교통소통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각 단말들로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통신모듈(202)은 안테나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의 무선신호를 송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단말 관리부(204)는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제어부(100)로 부터 입력되는 단말 정보들을 분석하여 같은 지역에 존재하는 단말별로 분류 및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수집되는 단말 정보는 각 단말의 속도, 방향, 위치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교통소통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절차를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단말은 301단계에서 무선 인터넷에 접속될 시, 303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특정지역의 교통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지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 인터넷은 WIBRO 및 HSDPA와 같은 고속 무선접속 환경이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P2P를 통해 특정 위치의 실제 도로 동영상을 제공하는 부가서비스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시, 상기 단말은 305단계로 진행하여 교통 관리 서버에 단말 자신의 정보를 제공하여 단말 등록절차를 수행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07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특정지역이 선택될 시, 3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선택된 지역에 존재하는 단말들의 목록을 서버에 요청한 후, 311단계에서 서버로부터 수신된 단말 목록을 표시부(112)에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13단계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단말 목록 중 특정 단말을 선택받고 상기 교통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선택된 단말로 도로 영상 제공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선택된 단말로부터 도로 영상 제공이 수락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만일, 상기 선택된 단말로부터 도로 영상 제공이 거절될 시, 상기 단말은 상기 선택된 단말로부터 도로 영상 제공이 거절됨을 디스플레이하고 313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한다. 반면, 상기 특정 단말로부터 도로 영상 제공이 수락될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17단계에서 상기 특정 단말과 P2P로 한 후, 31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특정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실제 도로 영상을 표시부(212)에 디스플레이하고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다른 단말기로 교통소 통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401단계에서 무선 인터넷에 접속될 시, 403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특정지역의 교통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405단계로 진행하여 교통 관리 서버에 단말을 등록한다. 이때, 단말기 자신의 정보를 교통 관리 서버로 제공하여 단말 등록 절차를 수행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407단계로 진행하여 도로 영상 제공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지 검사하고, 상기 도로 영상 제공 요청 신호가 수신될 시, 상기 단말은 4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도로 영상 제공 수락 여부를 묻는다. 만일, 상기 사용자에 의해 도로 영상 제공이 거절될 시, 상기 단말은 419단계로 진행하여 상대 단말로 도로 영상 제공 거절신호를 전송한 후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 사용자에 의해 도로 영상 제공이 수락될 시, 상기 단말은 4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도로 영상 제공을 요청한 단말로 수락 신호를 전송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413단계에서 상대 단말과 P2P로 연결하고 415단계로 진행하여 카메라(110)로 실제 도로 영상을 촬영하고 417단계에서 상기 촬영되는 영상을 상기 상대 단말로 실시간 전송 한 후,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교통소통정보를 송수신하는 신호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단말 1(500)과 단말 2(504)는 501 단계에서 무선인터넷이 접속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특정지역의 교통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어플리 케이션을 실행될 시, 512단계로 진행하여 교통 관리 서버(502)에 단말 자신의 정보를 각각 등록한다. 이때, 상기 단말들이 상기 교통 관리 서버(503)에 단말의 위치, 속도 및 방향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각 단말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만으로 지역별 교통소통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후, 상기 단말 1(500)은 514단계에서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해 특정 지역이 선택될 시, 교통 관리 서버(502)에 상기 특정 지역을 선택하는 신호를 전송하고, 516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교통 관리 서버(502)로부터 제공되는 지역 내 단말 정보를 표시부(112)에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상기 단말 1(500)은 518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된 단말목록 중 단말 2(504)가 선택될 시, 상기 교통 관리 서버(502)로 상기 단말 2가 선택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한다. 이후, 상기 교통 관리 서버(502)는 520단계에서 상기 단말 2(504)에 상기 단말 1(500)로부터 도로 영상 제공이 요청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후 상기 단말 2(504)는 522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도로 영상 제공이 수락되는지 검사하여 수락될 시, 상기 교통 관리 서버(502)로 수락 메시지를 전송하다.
이후, 상기 단말 1(500)과 상기 단말 2(504)는 526단계에서 P2P로 연결된다. 상기 단말 1(500)과 P2P로 연결된 상기 단말 2(504)는 528단계에서 카메라(114)를 이용하여 실제 도로의 영상을 촬영한 후, 상기 촬영된 영상을 상기 단말 1(500)로 전송한다. 이후, 단말 1(500)은 532단계에서 상기 단말 1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표시부(112)에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운전자에 의해 선택된 지역내의 특정 단말로부터 P2P 연결을 통해 도로의 실제 영상을 제공받음으로써, 도로교통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며, 도로가 정체중인 경우 다른 경로를 재탐색하여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교통 관리 서버로 위치정보등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교통 관리 서버는 별도의 교통정보수집 장치 없이 전국의 도로교통상황정보를 각 단말에 쉽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8)

  1. 휴대용 단말기에서 교통소통정보 획득 방법에 있어서,
    무선인터넷을 통해 교통 관리 서버에 자신의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교통 관리 서버로부터 특정지역에 존재하는 단말기의 목록을 제공받는 과정과,
    상기 단말기의 목록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단말기로 도로 영상 제공을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 단말기로부터 도로 영상 제공 요청이 수락될 시, 상기 특정 단말로부터 실제 도로 영상을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인터넷은,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나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같은 고속 무선 인터넷 접속 방법을 이용하여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 영상은, 상기 특정 단말기와의 P2P(Peer to Peer) 연결을 통해 수 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자신의 정보는, 위치정보, 방향정보, 속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휴대용 단말기에 교통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각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각 단말기를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정보들을 분석하여 상기 등록된 단말기들을 지역별로 분류하는 과정과,
    상기 등록된 단말기들 중 특정 단말기로부터 특정 지역의 정보가 요청될 시, 상기 특정 지역에 존재하는 단말기의 목록을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 단말기로부터 상기 목록 중 특정 단말기가 선택된 신호가 수신될 시, 상기 선택된 단말기로 도로 영상 제공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휴대용 단말기에서 교통소통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무선인터넷을 통해 교통 관리 서버에 자신의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과,
    특정 단말기로부터 도로 영상 제공 요청 신호가 수신될 시, 도로 영상 제공 수락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도로 영상 제공 수락이 판단될 시, 상기 특정 단말기로 수락신호를 전송하고,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상기 특정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인터넷은,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나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같은 고속 무선 인터넷 접속 방법을 이용하여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 영상은, 상기 특정 단말기와의 P2P(Peer to Peer) 연결을 통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자신의 정보는, 위치정보, 방향정보, 속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휴대용 단말기에서 교통소통정보 획득 장치에 있어서,
    GPS수신기로부터 획득되는 단말기의 정보 중 서버 등록 정보를 검출하는 단말정보검출부와,
    교통 정보 확인 이벤트가 발생될 시, 교통 관리 서버로 상기 서버 등록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교통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단말기 목록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단말기로 도로 영상 제공을 요청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교통 관리 서버로 상기 서버 등록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교통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기 목록을 수신하고 상기 선택된 단말기로부터 실제 도로 영상을 수신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나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같은 고속 무선 인터넷 접속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교통 관리 서버와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 영상은, 상기 특정 단말기와의 P2P(Peer to Peer) 연결을 통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등록 정보는, 상기 단말기 자신의 위치정보, 방향정보, 속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휴대용 단말기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의 장치에 있어서,
    각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각 단말기를 등록하고, 상기 등록된 단말기들 중 특정 단말기로부터 특정 지역의 정보가 요청될 시, 해당 지역에 존재하는 단말기의 목록을 전송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수신된 정보들을 분석하여 지역별로 분류하는 단말 관리부와,
    상기 특정 단말기로 상기 단말기 목록을 전송하고, 상기 목록 중 하나의 단말이 선택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선택된 단말기로 도로 영상 제공을 요청하는 신 호를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휴대용 단말기에서 교통소통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도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GPS수신기로부터 획득되는 단말기의 정보 중 서버 등록 정보를 검출하는 단말정보검출부와,
    교통정보확인 이벤트가 발생될 시, 교통 관리 서버로 상기 서버 등록 정보를 전송하고, 특정 단말로부터 도로 영상 제공이 요청될 시, 상기 촬영된 도로 영상을 상기 특정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교통 관리 서버로 상기 서버 등록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특정 단말로 상기 도로 영상을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나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같은 고속 무선 인터넷 접속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교통 관리 서버와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 영상은, 상기 특정 단말기와의 P2P(Peer to Peer) 연결을 통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등록 정보는, 위치정보, 방향정보, 속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60121343A 2006-12-04 2006-12-04 휴대용 단말기에서 교통소통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 및장치 KR200800507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343A KR20080050731A (ko) 2006-12-04 2006-12-04 휴대용 단말기에서 교통소통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 및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343A KR20080050731A (ko) 2006-12-04 2006-12-04 휴대용 단말기에서 교통소통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 및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0731A true KR20080050731A (ko) 2008-06-10

Family

ID=39805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1343A KR20080050731A (ko) 2006-12-04 2006-12-04 휴대용 단말기에서 교통소통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 및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5073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483B1 (ko) * 2009-08-27 2011-05-17 주식회사 한국정보기술단 교통정보지역안내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교통정보지역안내방법
KR101341750B1 (ko) * 2011-08-04 2013-12-13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로 상황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07945512A (zh) * 2017-11-27 2018-04-20 海尔优家智能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交通事故处理方法及系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483B1 (ko) * 2009-08-27 2011-05-17 주식회사 한국정보기술단 교통정보지역안내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교통정보지역안내방법
KR101341750B1 (ko) * 2011-08-04 2013-12-13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로 상황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07945512A (zh) * 2017-11-27 2018-04-20 海尔优家智能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交通事故处理方法及系统
CN107945512B (zh) * 2017-11-27 2020-11-10 海尔优家智能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交通事故处理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85445A1 (en) System and Method of Translating Road Signs
EP1921419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generation device
CN110519555B (zh) 显示控制装置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040189816A1 (en) Image delivery camera system, image delivery camera, and image delivery server
JP2006217498A (ja) 端末装置、携帯端末装置、情報収集サーバ、情報通知システム、情報通知方法および情報収集方法
US20100145607A1 (en) Path calculation method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KR101080042B1 (ko) 동기식 측위를 이용한 영역검지방식의 교통정보 수집 방법 및 시스템
US11322026B2 (en) Control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JPH10150625A (ja) 無線携帯端末装置および移動端末装置
KR20080050731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교통소통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 및장치
CN110706497B (zh) 图像处理装置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0630821B1 (ko) 텔레매틱스 시스템을 이용한 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방법
WO2019187041A1 (ja) システム、そのサーバコンピュータ、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90064218A (ko) 정밀 지도 구축 장치 및 방법
KR100957605B1 (ko) 도로 영상 제공 시스템
CN110730326B (zh) 摄像系统、摄像装置、通信终端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782686B (zh) 控制装置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0861133B1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오프라인 객체정보 제공 시스템 및그 방법
CN110580806A (zh) 显示控制装置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4187500B2 (ja) メッセージ処理装置およびシステム
CN110576793B (zh) 显示控制装置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0535403B1 (ko) 날씨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88099B1 (ko)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블랙박스 영상 정보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75620A (ko) 실시간 교통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06127199A (ja) 車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