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9555A - 러빙롤러 이물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러빙롤러 이물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9555A
KR20080049555A KR1020060120220A KR20060120220A KR20080049555A KR 20080049555 A KR20080049555 A KR 20080049555A KR 1020060120220 A KR1020060120220 A KR 1020060120220A KR 20060120220 A KR20060120220 A KR 20060120220A KR 20080049555 A KR20080049555 A KR 200800495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ing
rubbing roller
foreign material
roll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0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철주
조민수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0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49555A/ko
Publication of KR20080049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95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8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treatment of the surface, e.g. embossing, rubbing or light irradiation
    • G02F1/133784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treatment of the surface, e.g. embossing, rubbing or light irradiation by rubb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13/00Wheels having flexibly-acting working parts, e.g. buffing wheels; Mountings therefor
    • B24D13/02Wheels having flexibly-acting working parts, e.g. buffing wheels; Mountings therefor acting by their periph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4Mechanical treatment, e.g. grinding, polishing, cut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16Methods for cleaning the liquid crystal cells, or components thereof, during manufacture: Material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러빙포 이물제거장치는, 러빙포가 권포되며, 중심축과 외주면을 가지는 원기둥의 형태로 마련된 러빙롤러와, 상기 러빙롤러의 이물을 진공흡입하며,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외주면과 이격되어 상기 외주면을 에워싸는 이물제거부를 포함한다.
이물제거장치, 러빙롤러, 러빙

Description

러빙롤러 이물제거장치{APPARATUS FOR CLEANING RUBBING ROLLE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러빙포 이물제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러빙롤러 이물제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러빙롤러 이물제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러빙롤러 이물제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의 제2실시에에 따른 러빙롤러 이물제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러빙포 103 : 러빙롤러
110 : 롤러지지대 111 : 회전구동장치
130 : 이물제거장치 131, 131' : 진공헤드부
132, 132' : 진공흡입부
본 발명은 러빙롤러의 불량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하게는 러빙포가 권포된 러빙롤러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핸드폰(Mobile Phone), PDA, 컴퓨터, 대형 TV와 같은 각종 전자기기가 발전함에 따라 이에 적용할 수 있는 평판표시장비(Flat Panel Display Device)에 대한 요구가 점차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표시장치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FED(Field Emission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지만, 양산화 기술, 구동수단의 용이성, 고화질의 구현이라는 이유로 인해 현재에는 액정표시장치(LCD)가 각광을 받고 있다.
도 1은 액정표시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1)는 제1기판(5)과 제2기판(3) 및 상기 제1기판(5)과 제2기판(3)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7)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액정층(7)을 형성하는 액정은 광학적 이방성을 가진 물질로서,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배향성이 달라지므로, 광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액정층의 광투과율에 따라 이에 대응되어 정지된 화상이나 움직이는 화상이 액정표시장치(1) 상에 표현된다.
제1기판(5)은 구동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TFT : Thin Film Transistor)가 형성된 기판으로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복수의 화소가 형성되어 있다. 각각 의 화소에는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기판(3)은 컬러필터(Color Filter)기판으로서, 컬러를 구현하기 위한 컬러필터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기판(5) 및 제2기판(3)에는 각각 화소전극 및 공통전극이 형성되어 있으며 액정층(7)의 액정분자를 배향하기 위한 배향막(10)이 도포되어 있다.
상기 제1기판(5) 및 제2기판(3)은 실링재(Sealing material)(9)에 의해 합착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 액정층(7)이 형성되어 상기 제1기판(5)에 형성된 박막트랜지스터에 의해 액정분자를 구동하여 액정층을 투과하는 광량을 제어함으로써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액정표시장치를 제조하는 공정에 있어서, 액정분자를 일정한 방향으로 배향시키기 위해 러빙공정을 수행한다. 러빙공정이란 러빙포에 의하여 액정이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소성된 고분자막을 일정한 방향으로 분자를 배열하는 공정으로, 벨벳 등과 같은 러빙포(rubbing cloth)를 러빙롤러에 감아 배향막 표면을 문지르는 과정을 거친다. 상기 과정을 거쳐 배향막에 선경사각(pretilt angle)을 갖는 배향막을 형성한다.
그런데, 러빙포에 이물이 뭍거나 포털이 빠져나오거나 기타 타 물질이 부착되는 등 이물이 부착된 경우, 이 상태로 배향막을 러빙하게 되면 배향막에 스크래치 등이 생성된다. 이러한 스크래치는 배향막의 균일성(uniformity)을 저해하여 배향막의 일부 영역 상의 액정분자가 이상 배향을 띠게 한다. 따라서, 액정분자들이 부분적으로 다른 광학적 특성을 나타내어 빛샘 불량 등 제품불량이 나타난다.
상기한 러빙 관련 불량은 발생 형태적으로 볼 때 러빙포의 상태에 가장 큰 영향을 받으므로, 러빙포의 불량 검출 여부가 매우 중요하다.
도 2는 종래의 발명에 따른 러빙포 이물제거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발명에 따른 러빙포 이물제거장치는 러빙포(10)와 러빙포(10)가 놓여지는 테이블(40) 및 러빙포(10)의 이물(낙모 포함)을 집진하는 진공헤드(vacuum head, 30)로 구성된다. 러빙포(10)는 러빙롤러(미도시)에 권포될 수 있도록 사각형의 적당한 크기로 절단 되어 테이블(40)에 놓여진다. 진공헤드(30)는 테이블(40) 위에 놓여진 러빙포(10)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진 포털 등의 이물을 흡입하여 배출함으로써 이물을 제거한다.
상기의 과정을 거친 다음에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핀셋을 이용하여 삐져나온 포털을 하나하나 제거한다.
그런데, 상기한 러빙포가 권포된 러빙롤러의 불량여부는 상당부분 작업자의 경험에 의존하여 수동으로 검사되어 왔기 때문에, 러빙포의 정상 포털의 사이에 묻혀 있는 포털은 제거가 난해하며, 포털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정상적인 포털을 건드려서 상태 이상을 유발하기도 한다. 이뿐만 아니라, 러빙포의 양/불을 양불을 판단하는 기준 및 정밀도가 작업자, 상황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고, 러빙포의 검사 자체가 오랜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 외에도, 상기 러빙포를 러빙롤러에 권포하는 과정에서 또 다른 이물이 흡착될 수 있어 좀 더 효율적인 러빙포 이물제거장치가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러빙포를 권포한 러빙롤러의 이물제거의 정밀도가 향상되고 검사 시간이 단축된 러빙포 이물제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러빙포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이후 액정표시장치의 배향막 러빙시 러빙 관련 불량을 제거하여 고품질의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러빙포 이물제거장치는, 러빙포가 권포되며, 중심축과 외주면을 가지는 원기둥의 형태로 마련된 러빙롤러와, 상기 러빙롤러의 이물을 진공흡입하며,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외주면과 이격되어 상기 외주면을 에워싸는 이물제거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물제거부는 진공헤드부와, 진공헤드부의 일측에 형성된 진공흡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진공흡입부는 상기 이물제거부의 측면에 상기 러빙롤러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대응하여 구비된다.
이때, 상기 이물제거부는 호의 형상이나 도우넛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물제거장치는 상기 이물제거부에 연결되며, 상기 이물제거부를 상기 러빙롤러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왕복시키는 이동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러빙롤러의 적어도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러빙롤러를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회전구동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물제거장치는 상기 러빙롤러의 근처에 설치된 1개 이상의 램프를 더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배향막은 액정분자의 배향을 결정하고 표시특성을 향상시키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보통 배향막 형성용 물질은 유기고분자인 폴리이미드(polyimide)나 폴리아믹산(polyamic acid) 계열의 고분자로, 이를 도포 후 건조, 가열, 및 경화의 과정을 거쳐 배향막이 형성된다. 상기 배향막은 이후 액정분자의 선경사각을 얻기 러빙(rubbing)의 공정을 진행한다.
상기 러빙의 공정은 벨벳과 같은 러빙천을 적당한 크기에 맞추어 절단한 다음 러빙롤러(rubbing roller)에 권포한 후, 상기 러빙롤러를 배향막이 형성된 기판에 문지름으로써 행해진다. 러빙천을 러빙롤러에 부착하는 과정은, 러빙천을 기판 및 러빙롤러의 크기에 맞추어 절단한 다음, 절단한 러빙천을 러빙롤러의 외주면에 권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러빙포가 권포된 러빙롤러를 필요에 따라 에이징(aging)하는 과정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그런데, 러빙포의 포털이 떨어져 삐져나오거나 기타 타 물질이 부착되는 등 이물이 생기는 경우에는 이후 러빙 공정에서 배향막에 불량을 야기한다.
본 발명은 러빙롤러의 이물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러빙포가 권포된 러빙롤러에 부착된 이물을 제거함으로써 이후 배향 불량을 방지하는 이물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제거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이물제거장치는, 명확하게는 러빙롤러의 이물을 제거한다기보다 는 러빙롤러에 권포된 러빙포의 이물을 제거하는 장치이므로, 이하 설명에서 러빙롤러의 이물제거라는 표현은 러빙롤러뿐만 아니라 러빙포의 이물제거를 뜻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러빙롤러 이물제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러빙롤러 이물제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러빙롤러 이물제거장치는 러빙포(101)가 권포된 러빙롤러(103)와, 상기 러빙롤러(103)에 이격되어 구비된 이물제거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러빙롤러(103)는 중심축과 외주면을 가지며, 중심축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원기둥의 형태로 마련된다.
러빙롤러(103)의 외주면에는 러빙천(101)이 권포된다. 러빙천(101)은 벨벳이나 융과 같은 직조된 천의 일종으로, 경사 및 위사로 직조된 원단 조직에 레이온이나 나일론 계통의 섬유를 파일사로서 짜 넣은 것으로, 액정표시장치의 배향막을 러빙하여 선경사각(pretilt angle)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러빙롤러(103)는 러빙롤러(103)의 하부에 구비된 테이블(140)에 안착된다. 테이블(140)은 장변과 단변을 가진 직사각형 형태로 마련되며 러빙롤러(103)는 장변에 배치된다.
러빙롤러(103)의 중심축이 지나가는 양측단 중 적어도 일측단에는 러빙롤러(103)와 연결되어 러빙롤러(103)을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장치(111)가 구비되어 러빙롤러(103)를 회전시키게 된다.
러빙롤러(103)의 중심축이 지나가는 양측단에는 러빙롤러(103)를 지지하는 지지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110)는 러빙롤러(103)과 연결되어 테이블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상향 형성되며 러빙롤러(103)의 양측단을 지지한다. 이때, 상기 회전구동장치는 지지대(110)상에 구비될 수 있다.
러빙롤러(103)의 외주면 둘레에는 러빙롤러(103)에 권포된 러빙포(101)의 이물을 진공흡입하여 집진하는 이물제거부(130)가 구비된다. 이물제거부(130)는 진공헤드부(131)와 이에 일측에 형성된 진공흡입부(132)을 구비하며, 진공흡입부(132)을 통해 이물이 흡입된다. 진공흡입부(132)은 이물제거부(130)의 러빙롤러(103)의 외주면과 대면하는 둘레 측면에 구비된다.
이때, 진공흡입부(132)은 러빙롤러(103)의 외주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간격은 러빙롤러(103)의 직경이나 러빙포(101)의 종류, 이물제거부(130)의 진공흡입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적어도 러빙포(103)의 표면과 접촉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조절이 가능하다.
한편 이물제거부(130)는 러빙롤러(103)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러빙롤러(103)의 외주면을 에워싼 호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러빙롤러(103)의 외주면과 이물제거부(130)의 진공흡입부(132)까지의 최단 거리는 호의 영역에서 모두 같으므로, 호의 영역에서는 일정한 흡입 세기로 이물을 흡수한다.
상기 호를 형성하는 부채꼴의 각도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원의 형상을 띠도록 마련할 수 있으며 120도나 90도 정도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물제거장치는 이물제거부(130)와 연결되며, 이물제거부(130)를 상기 러빙롤러(103)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왕복시키는 이동장치(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장치에 의해 러빙롤러(103)의 외주면 일부분 상에만 배치된 이물제거부(130)의 진공흡입부(132)은 러빙롤러(103)의 전 구역을 왕복하며 이물을 흡입하게 된다. 특히 상기 진공흡입부(132)은 스캔하듯 러빙롤러(103)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이동하며, 필요에 따라 타단에서 일단까지 복귀하는 과정을 통해 수회에 걸쳐 왕복하며 이물을 흡입할 수 있다.
러빙롤러(103)의 근처에는 1개 이상의 램프(150)가 배치될 수 있는데, 상기 램프(150)는 이물제거부(130)에 의해 이물을 흡입한 후 작업자가 남은 이물을 검사하기 위한 광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작업자는 육안으로 이물여부를 검사하거나 CCD카메라와 같은 불량검사기를 이용하여 이물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이때, 램프(150)는 러빙롤러(103)의 일측 또는 양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러빙포(101)의 포털은 일정 방향으로 포결을 가지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러빙포(101)의 표면과 수직에 가깝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러빙포(101)의 표면에 대면하여 광을 조사하는 경우 삐져나온 포털의 그림자가 짧게 형성되어 관찰하기 어렵다. 따라서 러빙포(101)의 표면과 거의 수평하게 램프(150)를 배치시킴으로서 삐져나온 포털이나 이물의 그림자가 길게 나타나게 만들어 육안으로 쉽게 관찰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램프(150)는 상기 러빙롤러(103)의 중심축의 연장선 상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램프(150)는 다양한 램프가 사용될 수 있으나 HID(high intensity discharge)나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의 고휘도 램프가 바람직하다. 고휘도의 램프를 사용하면 명암비가 커져 쉽게 육안으로도 이물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한 제1실시예에 의한 이물제거장치의 이물제거방법을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물제거장치는 지지대(110)에 부착된 회전구동장치(111)에 의해 러빙롤러(103)를 회전시키는 가운데 이물제거부(130)의 진공흡입부(132)을 통해 이물을 흡입하는 방식으로 작동된다. 이때 상기 이물제거부(130)는 이동장치에 의해 러빙롤러(103)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하면서 스캔하듯 러빙롤러(103)의 표면의 이물을 흡입한다.
여기서 이물제거부(130)는 호의 형태를 띠므로 진공흡입부(130)에 대면하는 러빙롤러(103) 외주면의 둘레영역의 이물만을 흡입할 수 있지만, 러빙롤러(103)를 회전시킴으로써 진공흡입부(132)과 대면하는 러빙롤러(103)의 영역뿐만 아니라 상기 영역을 포함하여 러빙롤러(103)의 원주를 따라 형성된 360도 영역의 이물을 공기와 함께 흡입한다.
이와 더불어 이동장치에 의해 러빙롤러(103)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하므로 러빙롤러(103)의 러빙포(101)의 전 영역에 걸친 이물제거가 가능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물제거장치는 러빙롤러(103)에 권포된 러빙포(101)의 이물을 공기와 함께 흡입하므로, 러빙포(101)의 이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특히 러빙포(101)에서 떨어진 포털이나 삐져나온 포털뿐만 아니라 러빙포의 절단 과정이나 권포과정에서 부착된 기타 이물들을 흡입한다. 또한, 떨어져 나온 포털 중 정상 포털 사이에 묻혀 있던 포털은 흡입기능으로 러빙포(103)의 표면 방향으로 들어나도록 당겨주는 역할을 한다.
이물제거부(130)에 의해 이물을 흡입한 후, 작업자가 육안 또는 불량검사기를 이용하여 상기 러빙롤러(103)를 관찰하여 남은 이물을 제거한다. 특히, 이물제거부(130)에 의해 러빙포(101)의 표면 밖으로 들어 나온 포털을 제거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러빙롤러 이물제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러빙롤러 이물제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설명이 생략되거나 요약된 부분은 제1실시예를 따른다. 그리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러빙롤러 이물제거장치는 러빙포(101)가 권포된 러빙롤러(103)와, 상기 러빙롤러(103)에 이격되어 구비된 이물제거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러빙롤러(130)는 중심축과 외주면을 가지며, 중심축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원기둥의 형태로 마련된다.
러빙롤러(103)의 외주면에는 러빙천(101)이 권포된다. 러빙천(101)은 벨벳이나 융과 같은 직조된 천의 일종으로, 경사 및 위사로 직조된 원단 조직에 레이온이나 나일론 계통의 섬유를 파일사로서 짜 넣은 것으로, 액정표시장치의 배향막을 러빙하여 선경사각(pretilt angle)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러빙롤러(103)의 적어도 일 측단에는 러빙롤러(103)를 지지하는 지지대(111)가 구비된다.
러빙롤러(103)의 외주면 둘레에는 러빙롤러(103)에 권포된 러빙포(101)의 이물을 집진하는 이물제거부(130')가 구비된다. 이물제거부(130')는 진공헤드부(131')와 이에 연결된 진공흡입부(132')을 구비하며, 진공흡입부(132')을 통해 이물이 흡입된다. 진공흡입부(132')은 이물제거부(130')의 러빙롤러(103)의 외주면과 대면하는 둘레 측면에 구비된다.
상기 이물제거부(130')는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소정의 길이를 반경으로 하여 빈 공간을 구비한 도우넛 형태의 원통형 디스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진공흡입부(132')은 러빙롤러(103)의 외주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간격은 러빙롤러(103)의 직경이나 러빙포(101)의 종류, 이물제거부(130)의 진공흡입세기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적어도 러빙포(103)의 표면과 접촉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조절이 가능하다.
러빙롤러(103)의 외주면이 이루는 원과 상기 진공흡입부(132')이 이루는 원은 동심원에 해당하며, 상기 진공흡입부(132')은 외주면과 같은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즉, 러빙롤러(103)의 외주면과 진공흡입부(132')까지의 거리가 같아 일정한 흡입 세기로 러빙포(103)의 영역에서 이물을 흡수한다.
이물제거부(130')는 상기 러빙롤러(103)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왕복시키는 이동장치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러빙롤러(103)의 일부 영역의 외주면 상에만 배치된 이물제거부(130')의 진공흡입부(132')은 이동장치에 의해 러빙롤러(103)의 전 구역을 왕복하며 이물을 흡입한다. 특히 상기 진공흡입부(132')은 스캔하듯 러빙롤러(103)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이동한다. 필요 에 따라서는 타단에서 일단까지 복귀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으며, 수회에 걸쳐 왕복하며 이물을 흡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러빙롤러 제거장치는 러빙롤러(103)의 근처에 1개 이상의 램프(1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램프(150)는 이물제거부(130')에 의해 이물을 흡입한 후 작업자가 남은 이물을 검사하기 위한 광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작업자는 이물여부를 육안으로 검사하거나 CCD카메라와 같은 불량검사기를 이용하여 검사할 수 있다.
상기한 제2실시예에 따르면, 이물제거장치의 이물제거부(130')를 이동장치에 의해 러빙롤러(103)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스캔하듯 이동하면서 진공흡입부(132')을 통해 러빙롤러(103)의 표면의 이물을 흡입한다. 여기서 이물제거부(130')의 진공흡입부(132')은 도우넛 형태이므로, 상기 진공흡입부(132')과 대면하는 러빙롤러(103)의 외주면은 360도 원주면에 해당하므로 별도로 회전구동할 필요는 없다. 물론 필요에 따라 러빙롤러(103)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장치를 장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이물제거장치의 경우 이물제거부(130')가 러빙롤러(103)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하면서 이물을 흡입하는 방식으로 러빙롤러(103)의 전 영역의 이물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 제2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러빙롤러의 이물제거장치는 이물제거부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이물을 단시간에 흡입하여 러빙롤러를 검사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이물을 흡입하는 방식을 이용하므로 정상적인 포털 사이에 파묻혀 있던 낙모가 흡입되거나, 적어도 포털의 바깥으로 삐져나오기 때문에 정상적인 포털을 접촉함이 없이 낙모 등의 이물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러빙포가 권포된 러빙롤러의 검사의 정밀도가 향상되며, 포털를 건드림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러빙포 상태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러빙포를 권포한 러빙롤러의 이물제거 시의 정밀도가 향상되고 러빙롤러 검사 시간이 단축된 이물제거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러빙포의 신뢰성이 높아지며, 이후 액정표시장치의 배향막 러빙 시 이물에 의한 불량을 방지할 수 있어 고품질의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Claims (8)

  1. 러빙포가 권포되며, 중심축과 외주면을 가지는 원기둥의 형태로 마련된 러빙롤러;
    상기 러빙롤러의 이물을 진공흡입하며,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외주면과 이격되어 상기 외주면을 에워싸는 이물제거부를 포함하는 러빙롤러 이물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제거부는 진공헤드부와, 진공헤드부의 일측에 형성된 진공흡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제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흡입부는 상기 이물제거부의 측면에 상기 러빙롤러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대응하여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제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제거부는 호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제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제거부는 도우넛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제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제거부에 연결되며, 상기 이물제거부를 상기 러빙롤러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왕복시키는 이동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제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러빙롤러의 적어도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러빙롤러를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회전구동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제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러빙롤러의 근처에 설치된 1개 이상의 램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제거장치.
KR1020060120220A 2006-11-30 2006-11-30 러빙롤러 이물제거장치 KR200800495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0220A KR20080049555A (ko) 2006-11-30 2006-11-30 러빙롤러 이물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0220A KR20080049555A (ko) 2006-11-30 2006-11-30 러빙롤러 이물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9555A true KR20080049555A (ko) 2008-06-04

Family

ID=39805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0220A KR20080049555A (ko) 2006-11-30 2006-11-30 러빙롤러 이물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495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794B1 (ko) * 2008-11-21 2010-07-22 (주)넥스컴글로벌 러빙포 자동 검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794B1 (ko) * 2008-11-21 2010-07-22 (주)넥스컴글로벌 러빙포 자동 검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1449B1 (ko) 패널검사장치
TWI468778B (zh) 液晶顯示裝置之測試設備及方法
JP4999986B2 (ja) 液晶表示パネルの異物検出方法および異物検出装置
US7608150B2 (en) Coating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02553845A (zh) 喷嘴清洁装置以及具有喷嘴清洁装置的密封胶涂布机
US7746463B2 (en) Apparatus for inspecting defect of rubbing cloth and rubbing apparatus with the same
TWI401476B (zh) 塗敷針之固定方法、利用該針之液狀材料塗敷機構以及缺陷修正裝置
KR20080049555A (ko) 러빙롤러 이물제거장치
KR0143613B1 (ko) 표시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1310084B1 (ko) 러빙롤러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KR100879257B1 (ko) 러빙포 절단장치 및 절단방법
KR100802980B1 (ko) 액정기판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KR101988617B1 (ko) 빛샘 차단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액정패널 외관검사장치
KR101115879B1 (ko) 어레이 테스트 장치
KR20080049550A (ko) 러빙롤러 및 러빙포 검사장치
KR101829846B1 (ko) 연성기판 검사장치
KR101151021B1 (ko) 표시패널의 셀 검사기
KR101382723B1 (ko) 액정표시장치의 배향막 러빙장치
KR20080053700A (ko) 러빙 장치
KR101320497B1 (ko) 러빙장치 및 러빙방법
KR20060133381A (ko) 배향막 형성장비 및 이를 이용한 배향막 형성방법
KR20080049359A (ko) 기판 연마 장치
KR101888583B1 (ko) 러빙 천의 불량 검사 장치 및 이의 검사방법
KR101405629B1 (ko) 액정표시장치 제조용 기판
KR102540790B1 (ko) 니들 클리닝 도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