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8900A - 유량유속신호발생기 - Google Patents

유량유속신호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8900A
KR20080048900A KR1020070000513A KR20070000513A KR20080048900A KR 20080048900 A KR20080048900 A KR 20080048900A KR 1020070000513 A KR1020070000513 A KR 1020070000513A KR 20070000513 A KR20070000513 A KR 20070000513A KR 20080048900 A KR20080048900 A KR 20080048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generator
flow rate
signal
drop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0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상
Original Assignee
박재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상 filed Critical 박재상
Priority to PCT/KR2007/00297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7148912A1/en
Publication of KR20080048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89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86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for measuring fluid flow rate, i.e. flowmeters
    • A61M5/1689Drip coun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77Adjusting flow; Devices for setting a flow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18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1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by audible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3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by visual feedback

Abstract

본 발명은 점적세트를 통해 수액이나 혈액과 같은 점적주사를 맞을 때 점적세트 포장지 겉면에 표기되어 있는 1ml당 점적방울 개수를 이용하여 주입속도를 소리나 빛의 신호로 변환 발생시킴으로써 주입속도를 측정하거나 주입량을 조절하는데 도움을 주는 장치이다. 주입량조절은 처방된 주입량을 입력하면 상기 주입량에 일치된 신호음이 발생되고, 그 신호음에 떨어지는 점적방울을 일치시킴으로써 목적하는 주입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주입속도측정은 주입량조절과는 반대로 점적방울에 신호음을 일치시키는 방법으로 현재 주입되고 있는 주입속도를 LCD 표시창에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알아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입속도를 측정하고 환자의 상황에 맞게 주입량을 조절하는데 도움을 주는 유량유속신호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점적, 개수, 혈액, 유속, 연산, 측정, 유량, 신호, 소리, 빛

Description

유량유속신호발생기{Signal Emitt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and Checking Fluid Flow to a patient}
도 1 은 종래의 기술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는 점적주사의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유량유속신호발생기의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회로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5 는 본 발명의 유량조절의 제어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6 은 본 발명의 주입속도측정의 제어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빛 발생기 5 : 조사된 빛 6 : 통과된 빛 7 : 빛 검출기
20 : 수액용기 21 : 점적 액 22 : 점적세트 결합구
23 : 삽입 침 24 : 점적방울 25 : 점적통
26 : 유량조절개 27 : 점적세트튜브 28 : 주사침
31 : 전원S/W 33 : 입력수단 33-1:MODE버튼
33-2:SET버튼 33-3:UP버튼 33-4:DOWN버튼
33-5:동작버튼 37:표시수단 40:전원공급수단
41:중앙처리부 43 : 신호발생부 43-1:소리신호발생기
43-2:빛신호발생기 43-3 : 이어폰연결구 45 : 통신수단
[요약]
본 발명은 점적세트를 통해 수액이나 혈액과 같은 점적주사를 맞을 때 점적세트 포장지 겉면에 표기되어 있는 1ml당 점적방울 개수를 이용하여 주입속도를 소리나 빛의 신호로 변환해서 발생시킴으로써 주입속도를 알아내거나 주입량을 조절하는 데 도움을 주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병원 등의 진료기관에서 사용되고 있는 점적 액에 포함된 수액(ringer solution;통상 주사 가능한 모든 액체상태의 물질을 총칭한다.)은 원래 염류수용액으로서, 1882년 S.링거가 개구리 심근의 생리학적 실험을 위해 최초로 고안한 생리적 염류수용액으로 체액(體液)과 같은 이온조성·삼투압·p H(7.2)를 갖는다. 링거의 최초처방은 그 후 많은 연구자에 의해 다소 변경되어 그 실험 목적에 따라서 각각의 목적에 맞는 처방이 사용되고 있다. 또 앞에 예로 든 동물 이외의 것을 위해 처방된 것, 임상에서 체액의 대용혈액으로 사용되는 것 등이 있는데, 이것들도 고안자의 이름을 따서 타이로드액 등으로 불리며, 때로는 수액으로 총칭되기도 한다. 환자에게 주사하는 방법은 피하주사, 근육내 주사, 정맥주사 등의 방법이 있으며 이들 중 정맥주사는 장시간 동안 혈관 내에 수액이나 혈액을 주사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이를 위한 종래기술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수액이나 혈액을 환 자에게 투입하기 위해서는, 통상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수액이 든 링거병이나 혈액백을 침대일측의 지지대 상단에 걸어 놓은 상태에서 연결호스를 통하여 환자에게 주입하며, 이때 의료인은 눈으로 떨어지는 점적방울을 보면서 공급튜브에 별도로 부착된 유량 조절개를 이용 하여 수액이나 혈액의 주사량 또는 그 주사속도 등을 대략적으로 결정하는 방법과, 보다 정확하게는 점적세트의 점적 통 안에서 떨어지는 점적방울의 횟수를 시간을 제면서 일정시간 주입되는 점적방울수를 결정하는 방법이 있으며 또 다른 방법으로는 전자적으로 점적속도를 측정하고 조절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의 시간을 제면서 유량 조절개로 유량을 조절하는 경우는 시계와 점적통에 떨어지는 점적방울을 번갈아 보면서 유량을 조절해야 하기 때문에 주입하고자 하는 시간을 놓칠 수 있고 점적방울을 세는데 집중하지 못해서 정확한 유량조절에 어려움이 따른다.
단순히 유량 조절개만을 사용하여 유속을 조절하는 경우는 그 기능이 매우 수동적이고 정확하게 조절하는데 있어서 한계가 있으며 의료인의 직관적인 또는 경험적인 판단에 의하여 그 주사량 또는 주사속도를 결정하게 되므로, 숙련도 또는 개인 간의 차이에 의하여 정확한 주사량 또는 주사속도를 결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자적으로 점적속도를 측정하고 조절하는 방법은 점적 통에 빛을 조사해서 조사된 빛이 낙하되는 점적방울에 영향을 받아 변화되는 특성을 이용해서 주입량을 감지하고 주입속도를 계산하고 유량을 기계 스스로 조절하고 주입하도록 한다.
위와 같은 종래의 전자적 점적주사량 조절방법을 도1을 통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점적주사세트는 투명한 점적 통(25)으로 구성되어있다. 점적 통안으로 점적 방울(24)이 떨어지게 된다. 종래의 기술은 점적 통 외곽에 빛 발생기(4)와 빛 검출기(7)를 설치해서 빛 발생기(4)에서 점적 통(25) 안으로 빛검출기(7)를 향해 조사된 빛(5)을 연속적으로 조사한다. 그 통과된 빛(6)은 점적통(25) 안에서 점적방울(24)이 떨어지는 순간에 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그 변화된 빛의 상황을 여러 가지 디지틀 신호로 변환시킴으로써 그 신호를 통해서 원하는 주입속도를 얻는데 도움을 받는다. 상기 기술은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나 정확한 유속을 측정하고 조절하려면 점적방울1개의 부피를 알기위해서 1ml당 점적방울개수를 입력하는 절차 또는 자체적으로 점적통안에서 부피의 변화를 알아내는 기술 또는 점적방울1개의 부피를 알아내는 장치나 회로를 추가로 장착해야 하는 고도의 기술이 필요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유속을 검출/판단하고 유량을 조절하는 장치의 가격은 매우 비싸질 수밖에 없고 장비가 커지고 간편하게 쓸 수 없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점적세트 포장지 겉면에 표기되어 있는 1ml당 점적방울 개수를 이용하여 주입속도를 소리나 빛의 신호로 변환 발생시킴으로써 주입속도를 알아내거나 주입량을 조절하는 데 도움을 주는 장치이다.
우선 주입량을 조절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주입하고자 하는 처방된 주입속도와 1ml당 점적방울 개수를 입력하여 점적주사의 주사량 또는 속도를 연산 판단하고, 주입해야 할 속도를 소리나 빛으로 변환 발생시켜 상기 빛이나 소리에 떨어지는 점적방울을 일치시킴으로써 원하는 유속을 조절하는데 있다.
일반적으로 점적 통에서 점적 방울의 떨어지는 모습을 귀로 직접 들을 수는 없지만 똑~~ 똑~~ 똑~~이라고 느낄 수 있다. 처방된 점적 방울의 주입되는 속도를 의료인에게 외부에서 삐~~삐~~나, 깜박~~ 깜박~~과 같은 소리나 빛으로 들려주고 보여줌으로써 점적 통으로 떨어지는 점적방울 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내용에서는 신호는 소리와 빛 신호를 의미하며 소리신호는 삐~~삐~~, 빛 신호는 깜박~~깜박~~과 같이 간헐적인 신호라는 의미로 나타내겠다.
주입속도를 알아내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상기에서 일부 설명했듯이 점적 통에서 점적방울의 떨어지는 모습을 소리로 인식할 수 있으므로 소리에다 주입량을 조절하는 방법과는 반대로 주입되고 있는 점적방울에다 신호를 일치시킨다.
1ml당 점적방울개수를 입력하고 유속에 맞는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신호를 떨어지는 점적방울에다 조절해서 일치시킴으로써 현재 주입되고 있는 유속이 LCD와 같은 표시장치에 나타나도록 하면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부정확한 방법 또는 복잡한 전자회로나 기기를 이용하지 않고 간편하고 정확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주사되는 수액이나 혈액의 주사량 또는 주사속도를 알아내고 조절함으로써 환자에 알맞은 정확한 주사량만큼만 주입할 수 있고 그 잔여량을 예측 판단하도록 하여 점적 액이 떨어졌을 경우를 대비하는데도 도움을 줄 수 있는 유량유속신호발생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량조절과 주입속도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첫째로, 본 발명의 유량조절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유량조절단계는 1ml에 해당하는 점적 방울개수와 처방된 주입유량을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데이터를 통하여 점적방울이 주입되는 속도를 연산하는 단계와,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변환된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와, 점적세트의 유량조절개를 통하여 떨어지는 점적방울을 조절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1ml를 나타내는 점적방울수가 60과 20인 경우 1점적방울의 크기는 각각 다르며 60방울인 경우는 20방울에 비해서 1/3만큼 적다.
같은 량을 주입할 때 60방울인 경우는 20방울인 경우보다 훨씬 빠르게 떨어질 것이며 처방된 유속이 빠르면 비례해서 점적방울도 빠르게 떨어질 것이다.
점적방울 크기와 점적방울의 낙하수는 서로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주입되는 유속과 일치하는 신호 발생 속도를 계산하는데 있어서 점적방울개수와 처방된 유속을 미리 입력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1ml에 해당하는 점적 방울개수를 토대로 유속을 계산해 보겠다.
1ml가 20방울 이고 처방된 유속이 300ml/h 인 경우에 분당유속으로 나타내면 300ml/60min=5ml/min이다. 낙하 점적방울수로 나타내면 1ml가 20방울 이니까 5ml면 분당 100방울이 되어서 100방울/min로 계산된다.
반면에 1ml가 60방울인 경우는 같은 속도로 주입할 때 300방울/min으로 계산된다.
소리신호나 빛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에서는 위에서 계산한 주입속도에 일치된 소리신호나 빛신호를 100번/min 또는 300번/min의 속도로 변환하게 된다.
빛신호나 소리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에서는 상기 변환된 신호에 일치된 빛이나 소리를 발생하게 된다.
의료인은 그 소리신호나 빛신호에 유량조절개를 통하여 점적통의 점적방울을 일치시켜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둘째로, 본 발명의 주입속도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주입속도는 1ml에 해당하는 점적방울개수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데이터를 통하여 점적방울에 따른 속도를 연산하는 단계와, 소리신호나 빛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빛신호나 소리신호와 일치된 임의의 빛이나 소리를 발생시키고 표시하는 단계와, 입력수단을 통하여 떨어지는 점적방울에 신호를 일치시키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주입속도를 알아내는 단계에서는 입력단계에서 처방된 유속을 입력하지 못하므로 신호발생단계에서는 처방된 즉 주입해야할 속도로 신호를 발생하는 대신 임의의 유속으로 신호를 발생시킨다는 점과, 상기 신호 속도에 점적방울을 일치시키지 않고 점적방울에 신호 속도를 일치시켜야 하는 점이 유량조절단계와 다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점적주사의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수액용기(20)는 수액(21)을 담아두는 도구이며, 삽입부(22)는 수액을 점적세트에 결합시키기 위한 플라스틱고무 등의 재질로 되어 있어서 점적세트 삽입침(23)이 잘 들어가고 수액이 세지 않게 한 물질로 구성되어 있다. 삽입 침(23)은 수액을 점적세트에 주입하기위한 수단이며, 점적 통(25)은 수액의 점적상황을 외부에서 잘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되어 있으며 이 부분을 통해서 주입되는 점적 방울개수를 셀 수 있다. 점적방울(24)은 상기 점적 통(25)안에서 낙하하며 인체에 주입되고, 유량 조절개(26)는 수액을 환자에게 주입 시 유속을 조절하는 수단이고 점적세트 튜브(27)는 PVC재질로 되어있으며 인체에 삽입하는 주사침(28)를 끝단에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점적세트로 수액이나 혈액을 환자에게 주입하는 경우는 어떠한 경우에도 본 발명품으로 수액주입속도를 조정하고 목적에 맞는 유속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유량유속신호발생기의 사시도이다. 몸체(30)는 제품의 외형을 이루는 부분이다.
전원스위치(31)는 본 제품에 DC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수단이다.
입력수단(33)은 모드를 설정하는 MODE버튼(33-1),버튼의 기능을 고정시켜주는 SET버튼(33-2), 숫자나 문자를 표기하는데 있어서 위치를 올려주거나 키워주는 기능의 UP버튼(33-3), 숫자나 문자를 내려주는 DOWN버튼(33-4) 및 소리신호발생기 (43-1)와 빛신호발생기(43-2)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동작버튼(33-5)으로 구성되어 있다.
신호발생부(43)는 낙하점적방울의 속도를 소리로 나타내는 소리신호발생기(43-1)와 낙하점적방울의 속도를 빛으로 나타내는 빛신호발생기(43-2) 및 이어폰 연결구(43-3)로 구성되어 있다.
소리신호발생기는 부저나 스피커로 이루어져 있다.
빛신호발생기(43-2)는 LED와 같이 빛을 발생하는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끄러운 주위환경이나 소리신호를 잘 듣지 못하는 환경에서도 주입속도를 젤 수 있고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빛으로 속도를 나타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어폰 연결구(43-3)는 상기 빛신호발생기와 마찬가지로 이어폰을 통하여 시끄러운 주위환경에서도 소리신호를 잘 들을 수 있도록 하고 정숙을 요하는 환경에서 의료인만이 들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표시수단(37)은 각종 단위나 숫자를 나타내는 LCD화면(37-1)과 LCD화면상에서 나타나는 문자나 글씨를 어두운 곳에서 잘 인식할 수 있도록 빛을 밝혀주는 백라이트(37-2)로 구성되어있다.
입력수단으로 각종자료를 입력하고 저장하며 작동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겠다.
모드버튼(33-1)으로는 1ml당 점적방울개수, 숫자입력, 단위, 주입속도와 유량조절과 같은 기능을 LCD창 위에 나타내는 용도로 사용되며, UP/DOWN버튼(33-3)(33-4)은 상기 기능 중에 하나를 선택하고 숫자를 입력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SET버튼(33-2)으로는 상기 UP/DOWN버튼(33-3)(33-4)으로 선택한 기능을 저장하고 고정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예를 들어 환자에게 처방된 유속을 입력시키는 방법으로는 MODE버튼(33-1)으로 LCD(37-1)위에 ml/min 또는 ml/h와 같은 단위를 나타나게 하고, UP/DOWN버튼(33-3)(33-4)으로 상기 단위를 지정하고, SET버튼(33-2)으로 상기 단위를 고정한 후에, 다시 UP/DOWN버튼(33-3)(33-4)으로 숫자를 입력하고 SET버튼(33-2)로 다시 상기 숫자를 고정시킨다.
유량조절을 위한 처방된 유속에 알맞은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법으로는 상기의 기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유속, 점적방울개수와 유량조절 기능을 입력하고 각각의 기능을 고정한 후에 동작버튼(33-5)을 누르면 통상의 경우 소리신호발생기(43-1) 및 빛 신호발생기(43-2)에서 주입속도와 일치된 소리신호와 빛신호를 동시에 발생되도록 했다. 상기 신호는 동작버튼(33-5)을 한번 누르면 신호가 발생되고 다시 누르면 신호가 꺼지도록 했다. 물론 소리신호발생기(43-1)와 빛신호발생기(43-2) 중에 어느 하나의 기능을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도록 했다.
따라서 동작버튼(33-5)으로 상기 발생된 신호에 점적통(25)안에서 떨어지는 점적방울(24)을 유량조절개(26)로 일치시킴으로써 처방된 유량을 주입할 수 있다.
환자에게 주입되고 있는 주입속도측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면을 통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전원 S/W(31)로 전원을 가하는 단계와, 입력수단(33)으로 단위, 점적방울개수, 주입속도 기능을 설정, 입력 및 고정한 후에 동작버튼(33-5)으로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신호는 주입되는 유속과 똑같은 속도로 발생되는 것이 아니라 오직 점적방울개수를 기준으로해서 임의로 발생된다.
주입되고 있는 점적방울에 상기 신호를 UP/DOWN버튼(33-3)(33-4)으로 일치시키기 위해 변화시킬 때마다 표시부LCD(37-1)에 변화된 주입속도가 표시된다. 마지막으로 신호와 점적방울의 속도가 일치되어 나타날 때 그 것이 주입속도를 가리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회로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전원공급수단(40)은 외부전원을 공급하는 직류전원장치(40-1)와 외부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경우에 사용되는 내부 충전용 베터리 또는 1차전지(40-2)로 구성된다.
중앙처리부(41)는 점적수액세트 포장지에 표기된 점적방울수=1ml에서 점적방울수, 입력수단(33)을 통한 각종 입력신호를 입력받고 그 입력된 값을 용도와 기능에 맞게 연산, 측정, 저장, 변환 및 출력 등의 기능을 한다.
신호발생부(43)는 소리신호발생기(43-1), 빛신호발생기(43-2) 및 이어폰 연결구(43-3)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앙처리부(41)에서 입력, 연산, 변환된 값을 빛과 소리의 신호를 전달하는 수단이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부(41)는 각종 환자의 개인 신상정보를 비롯한 진료에 도움을 줄만한 내용 모두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 및 저장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그 환자의 데이터를 원격의 컴퓨터에서 관리/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수단(45)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유량조절에 있어서 제어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제품에 전원을 공급(100)하기 위해 전원스위치(110)를 켜고 점적세트 외부에 1ml가 몇 개의 점적방울 수로 표기돼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200)에서 1ml=20방울(210)일 경우는 외부에서 점적방울개수를 별도로 입력할 필요가 없으나 20방울보다 크거나 작을 경우는 입력수단(33)을 이용하여 방울수를 입력한다.
처방된 유량을 주입하기 전에 주입되는 상황을 점검(300)하고 처방된 유속과 다를 경우에는 환자에 적합한 새로운 유속을 입력(310)한다.
상기와 같은 단계를 점검 후에는 단계마다 각각의 자료를 저장하고(400) 유량을 조절하는 마지막 단계인 신호발생(500)단계에서 동작버튼(33-5)으로 신호를 발생시키고 점적세트의 점적 통(25)으로 낙하하는 점적방울(24)을 보면서 유량조절개(26)를 통해 상기 신호에 일치시켜 조절한다.
또한 동작버튼(33-5)으로 작동 후 일정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베터리의 수명을 연장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전원S/W를 껐을 경우에는 마지막 작동상태를 기억하고 저장되어서 다시 켰을 경우는 마지막 상태의 조건에서 시작하도록 했으며 물론 상위의 모든 단계는 전원S/W를 끄고 켬과 동시에 다시 시작할 수 있도록 했다.
도 6 은 본 발명의 주입속도측정의 제어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제품에 전원을 공급(100)하기 위해 전원스위치(110)를 켜고 점적세트 외부에 1ml가 몇 개의 점적방울 수로 표기돼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200)에서 1ml=20방울(210)일 경우는 외부에서 점적방울개수를 별도로 입력할 필요가 없으나 20방울보다 크거나 작을 경우는 입력수단(33)을 이용하여 방울수를 입력한다.
주입속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1ml당 점적방울 수에 근거한 신호(500)를 발생시키고 표시부LCD(37-1)에 그 유속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1ml=20방울인 경우 우선 임의의 속도 5ml/min, 즉 신호를 100방울/min로 발생시키고 나타낸다. 현재 주입되고 있는 주입속도가 100방울/min보다 빠른 120방울/min이면 주입수단(33)의 UP버튼(33-3)을 이용하여 신호를 120방울/min으로 일치시키고 신호보다 작은 60방울/min인 경우 DOWN버튼(33-4)을 이용하여 60방울/min으로 일치시킨다. 나머지 시간경과(600),일정시간경과(610) 및 전원OFF(700)과정은 유량조절단계와 동일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링거나 수혈과 같은 점적주사를 맞을 때 수액 또는 수혈세트 포장지 겉면에 표기되어 있는 1ml당 점적 개수를 이용하여 점적주사 시 주입되고 있는 점적 액의 주입속도를 손쉽게 측정하고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써, 본 기술을 이용하면 제품을 값싸게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가볍고 휴대가 편리하여 널리 사용가능하며, 환자에게 주사되는 수액의 주사량 또는 주사속도를 정확히 조절가능 하여 점적 액을 편리하게 주사하고 또 그 상태를 매우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다양한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전원공급수단(40)과,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 수단인 전원S/W(31)와, 1ml당 점적 방울 수, 숫자입력, 단위, 주입속도와 유량조절 및 처방된 주입속도와 같은 기능을 선택하고 입력하며 작동을 지시하는 입력수단(33)과, 상기 입력수단의 자료를 표시하는 표시수단(37)과, 상기 입력수단(33)으로 자료를 입력받아 점적유속으로 연산하고 소리신호나 빛신호로 변환 및 출력하는 중앙처리부(41)와, 상기 중앙처리부(41)로 소리나 빛의 신호를 입력받아 소리신호나 빛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43)와, 외형을 이루는 본체(30)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유속신호발생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입력수단(33)은 모드를 표시하는 MODE버튼(33-1),모드의 기능을 고정시켜주는 SET버튼(33-2), 상기 모드를 지정하고 숫자를 표기하는데 있어서 위치를 올려주거나 키워주는 기능의 UP버튼(33-3), 상기 모드를 지정하고 숫자를 표기하는데 있어서 위치를 내려주거나 작게 하는 기능의 DOWN버튼(33-4) 및 소리신호발생기(43-1)와 빛신호발생기(43-2)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동작버튼(33-5)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유속신호발생기.
  3. 제 1 항에 있어서, 표시수단(37)은 LCD(37-1)과 백라이트(37-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유속신호발생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신호발생부(43)는 소리신호발생기(43-1)과 빛신호발생기(43-2) 및 이어폰 연결구(43-3)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유속신호발생기.
  5. 제 1 항과 4항에 있어서, 소리신호발생기(43-1)는 부저나 스피커중의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유속신호발생기.
  6. 제 1 항과 4항에 있어서, 빛 신호발생기(43-2)는 LED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유속신호발생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중앙처리부(41)는 베터리 소모를 방지하기 위해서 동작버튼(33-5)이 작동 후 일정시간이 흐르면 저절로 전원을 차단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유속신호발생기.
  8. 제 1항에 있어서 중앙처리부는 통신수단(45)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유속신호발생기.
  9. 본 발명에 있어서, 유량조절단계는;
    1ml에 해당하는 점적 방울개수와 처방된 주입유량을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데이터를 통하여 점적방울이 주입되는 속도를 연산하는 단계와,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변환된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와,
    점적세트의 유량조절개를 통하여 떨어지는 점적방울을 조절하는 단계와,
    로 구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유속신호발생기.
  10. 본 발명에 있어서, 주입속도를 알아내는 단계는;
    1ml에 해당하는 점적 방울개수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데이터를 통하여 주입속도를 연산하는 단계와,
    임의의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변환된 임의의 신호를 발생하고 표시하는 단계와,
    입력수단을 통하여 상기 발생된 임의의 신호를 점적방울에 일치시키는 단계와,
    로 구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유속신호발생기.
KR1020070000513A 2006-06-19 2007-01-03 유량유속신호발생기 KR200800489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7/002972 WO2007148912A1 (en) 2006-06-19 2007-06-19 The control signal emitting and checking apparatus for fluid flow to a pati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8726 2006-11-29
KR20060118726 2006-11-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8900A true KR20080048900A (ko) 2008-06-03

Family

ID=39827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0513A KR20080048900A (ko) 2006-06-19 2007-01-03 유량유속신호발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4890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87624B2 (en) Infusion pump with graphic user interface
JP7055432B2 (ja) 注射情報を収集するシステム
WO2019089655A1 (en) System for displaying oxygen state indications
CA2261152C (en) Infusion device with audible data output
RU2471514C2 (ru) Инъекционная система для самостоятельных инъекций
JP5208125B2 (ja) 輸液注入速度測定装置
US8157762B2 (en) Portable medical liquid infusion device
CN109922716A (zh) 药物输送设备的警报和警惕以及相关的系统和方法
KR101727229B1 (ko) 수액 주입속도 측정기
KR20160133774A (ko) 전자식 휴대용 실린더형 의약품 주입펌프 및 이를 이용한 의약품 주입방법
KR101729727B1 (ko) 수액용기 교환 관리시스템
CN104027867A (zh) 便携式智能双功糖尿病治疗泵
KR20180054220A (ko) 스마트 약통 및 스마트 약통을 이용한 복약관리 시스템
KR20080048900A (ko) 유량유속신호발생기
KR100872089B1 (ko) 수액 주입 보조장치
CN204319415U (zh) 便携式智能双功糖尿病治疗泵
KR20190019819A (ko) 반자동 수액 조절 장치
CN211050504U (zh) 滴速检测仪器
WO2007148912A1 (en) The control signal emitting and checking apparatus for fluid flow to a patient
KR20110106537A (ko) 수액투여 감시 및 관리시스템
CN106102799B (zh) 送液泵
KR20070120215A (ko) 점적주사주입속도측정기
KR20150072669A (ko) 링거 수액 관리시스템
KR20190098802A (ko) 수액 모니터링 시스템
KR20170084583A (ko) 유체 컨트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