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4583A - 유체 컨트롤 장치 - Google Patents

유체 컨트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4583A
KR20170084583A KR1020160003800A KR20160003800A KR20170084583A KR 20170084583 A KR20170084583 A KR 20170084583A KR 1020160003800 A KR1020160003800 A KR 1020160003800A KR 20160003800 A KR20160003800 A KR 20160003800A KR 20170084583 A KR20170084583 A KR 20170084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hose
state
flow
exha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3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에스인터내셔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에스인터내셔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에스인터내셔날
Priority to KR1020160003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4583A/ko
Publication of KR20170084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45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04Flow cont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4Hanging-up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77Adjusting flow; Devices for setting a flow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72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79Masses, volumes, levels of fluids in reservoirs, flow r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 컨트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流體 ; 예 : 링거액)가 흐르는 경로인 호스 상에 설치되어, 유체의 흐름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되, 유체의 소진을 사전에 시청각적으로 표출시켜 관리자가 유체 소진에 대해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자체적 또는 원격적으로 유체의 유속을 제어하거나 차단시킬 수 있도록 된 유체 컨트롤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체 컨트롤 장치{CONTROL APPARATUS OF FLUID}
본 발명은 유체 컨트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流體 ; 예 : 링거액)가 흐르는 경로인 호스 상에 설치되어, 유체의 흐름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되, 유체의 소진을 사전에 시청각적으로 표출시켜 관리자가 유체 소진에 대해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자체적 또는 원격적으로 유체의 유속을 제어하거나 차단시킬 수 있도록 된 유체 컨트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체 컨트롤 장치는 호스 또는 배관을 따라 흐르는 유체(액체, 기체)를 감시하여 필요한 경우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유속을 제어하는 모든 장치를 말한다.
이와 같은 유체 컨트롤 장치가 적용된 예는 링거액 단속장치를 예로 들 수 있다.
의학이 발달함에 따라 환자의 신진대사를 돕고 원기를 회복할 수 있도록 영양제나 특수 제조된 포도당, 또는 주사액이나 혈액 등을 혈관을 통해 환자에게 투여하는 시술 기술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의료시술은 통상적으로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링거액(1)이 담긴 링거병(2)에 바늘부(3)를 삽입한 후, 링거호스(4)를 통해 토출되는 링거액의 양을 주입량조절기(6)를 이용하여 조절하여 주사바늘(7)을 통해 환자(8)의 혈관에 투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러나, 수액 또는 혈액은 성인환자에게 시간당 50ml/kg 이상의 빠른 속도로 대량 수혈하는 경우, 소아환자에게 시간당 15ml/kg 이상의 속도로 수혈을 하는 경우, 한랭응집소를 가진 환자에게 수혈을 하는 경우, 중심도맥관(CENTRAL CATHETER)을 통한 빠른 수혈 및, 영아의 교환수혈 같은 경우에 있어서, 저온 혈액의 수혈은 치명적이어서 혈액을 가열하여 가온 혈액을 수혈하는 것이 통념화되어 있다. 이는 수액의 경우에 있어서도 역시 마찬가지이다.
한편, 링거액을 환자에게 투여할 경우에는 주입량조절기(6)를 통해 링거호스(4)를 적당량 가압하여 투여량을 조절한 후 투여를 실시하게 되고, 투여가 완료된 것으로 육안 판단될 경우에는 상기 링거호스(4)를 막은 후 주사바늘(7)을 제거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투여방법은, 첫째, 연질의 합성수지재 또는 고무재로 이루어진 링거호스(4)를 가압하는 주입량조절기(6)의 가압롤러(6a)가 링거호스(4)의 자체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가압위치에서 서서히 변동되어 링거호스의 단면적이 확장되게 되고, 이로 인해 링거액이 과다하게 투여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어 환자에게 위급한 상황을 초래하는 문제점 및 그 투여 완료시기를 지속적으로 세심하게 관찰하여주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투여 완료 여부에 대한 판단을 링거병이나 봉지에 담긴 수액, 또는 혈액의 양을 육안에 의해 판단하며 간호사의 바쁜 업무일정 중에 이루어지므로 시간 관계상 아직 투여할 잔량이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투여를 종료하는 경우가 발생해 귀한 링거액을 낭비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링거병과 주사바늘을 연결하는 링거호스가 별도의 스탠드 형태의 링거투여감시장치를 경유하도록 하고, 상기 링거투여감시장치가 링거호스를 따라 흐르는 링거액을 감지하여, 링거액이 소진되기 이전에 외부로 알람을 울리도록 하여, 관리자가 링거액 소진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링거투여감시장치는 장치 자체의 부피가 크고 스탠드 형태로 이루어져 환자의 배드(Bed) 옆에 위치하게 되므로, 협소하면서 한정된 병실 공간에서 사용하는데 제약이 따르고, 설치된 상태에서도 공간을 협소하게 하여 환자나 간호사 및 보호자의 움직임을 제한하거나 위축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08-0007966호(링거투여 감시장치 ; 출원일 : 2006.07.19.자)의 유체 컨트롤 장치가 소개되었다.
상기 특허공개공보 제10-2008-0007966호는 링거병(10) 아래의 점적챔버(12)에 부착되는 신축홀더(22)와, 상기 신축홀더(22)에 의해 지지되어 점적챔버(12)에 근접배치되며, 점적챔버(12) 내의 약액 수위를 검출하는 비접촉식 센싱수단으로 구성된 센싱유닛(20) 및, 센싱유닛(20)의 센싱수단과 원격연결되어 센싱수단에서 보내온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유닛(30)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나, 상기 특허공개공보 제10-2008-0007966호는 비접촉식으로 약액의 흐름상태를 파악함으로써 링거의 투여상태를 보다 위생적이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은 있으나, 단순히 외부에 약액의 흐름 상태를 알려줄 뿐 약액이 소진되었을 때 자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다수개의 장치가 동시에 운용되는 상태에서는 장치의 식별에 혼선을 가져와 기능 자체가 유명무실해지거나, 장치의 식별 절차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유체 컨트롤 장치와 관련된 선행기술의 참고 문헌은 다음과 같다.
문헌1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409394호(링거액 감시기 ; 출원일 : 2005.10.27.자)
문헌2 :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08-0007966호(링거투여 감시장치 ; 출원일 : 2006.07.19.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자 창출된 것으로, 유체(流體 ; 예 : 링거액)가 흐르는 경로인 호스 상에 설치되어, 유체의 흐름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되, 유체의 소진을 사전에 시청각적으로 표출시켜 관리자가 유체 소진에 대해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자체적 또는 원격적으로 유체의 유속을 제어하거나 차단시킬 수 있도록 된 유체 컨트롤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유체의 흐름을 감시하여 사전에 유체의 흐름을 감시하여 사전에 유체의 소진 상태를 표출시켜 대응할 수 있도록 된 유체 컨트롤장치(10)에 있어서, 횡단(관통)하는 유체호스(1)의 파지구조에 의해 유체호스(1)에 착탈되는 본체(11); 상기 유체호스(1)의 파지 여부에 따라 전원을 ON/OFF시키는 동작스위치(12); 상기 유체호스(1)를 파지하는 본체(11)의 상단 부분과 하단 부분에 각각 마련되어 유체의 흐름을 감지하는 유체감지센서1,2(13a)(13b); 상기 유체감지센서1,2(13a)(13b)의 유체 흐름 감지 여부에 따라 표출부(15)를 통해 유체진행상태, 유체소진근접상태, 유체소진위험상태를 표출시킴과 동시에, 통신부(16)를 통해 상기한 상태들을 원격지의 관리자단말기(20)로 전송하고, 유체소진위험상태인 경우 차단부(17)를 동작시켜 유체호스(1)를 가압 차단시키는 제어부(14);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커버(11b)가 슬라이드되면서 본체(11) 전면을 덮는 과정에서 호스파지홈(11a)에 끼워져 횡단하는 유체호스(1)를 가압 파지하도록 됨으로써, 장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설치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커버(11b)가 슬라이드되면서 본체(11) 전면을 덮는 과정에서 호스파지홈(11a)에 끼워져 횡단하는 유체호스(1)를 가압 파지하는 과정에서 동작스위치(12)가 자동적으로 스위칭 동작하여 전원을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스위치 조작 없이도 장치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사용성 향상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체감지센서1,2(13a)(13b)의 유체 흐름 감지신호 입력 상태에 따라서 표출부(15)를 통해 유체진행상태, 유체소진근접상태, 유체소진위험상태를 표출시켜, 이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와 같은 동작 상태를 통신부(16)를 통해 원격지의 관리자단말기(20)로 전송하여 유체 소진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유체가 소진되기 직전에 유체호스(1)를 차단함으로써, 더 이상 유체가 흐르는 것을 단속하여 오용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종래 유체 컨트롤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커버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부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구성 블럭도.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유체 감지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유체 감지에 따른 차단부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부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구성 블럭도.
이와 같이 제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의 흐름을 감시하여 사전에 유체의 소진 상태를 표출시켜 대응할 수 있도록 된 유체 컨트롤장치(10)에 있어서, 횡단(관통)하는 유체호스(1)의 파지구조에 의해 유체호스(1)에 착탈되는 본체(11); 상기 유체호스(1)의 파지 여부에 따라 전원을 ON/OFF시키는 동작스위치(12); 상기 유체호스(1)를 파지하는 본체(11)의 상단 부분과 하단 부분에 각각 마련되어 유체의 흐름을 감지하는 유체감지센서1,2(13a)(13b); 상기 유체감지센서1,2(13a)(13b)의 유체 흐름 감지 여부에 따라 표출부(15)를 통해 유체진행상태, 유체소진근접상태, 유체소진위험상태를 표출시킴과 동시에, 통신부(16)를 통해 상기한 상태들을 원격지의 관리자단말기(20)로 전송하고, 유체소진위험상태인 경우 차단부(17)를 동작시켜 유체호스(1)를 가압 차단시키는 제어부(14);를 포함하여서 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본체(11)는 명함 사이즈 정도(예 : 6 X 7 X 2(가로 X 세로 X 두께))의 함체형 케이스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파지구조는 본체(11)의 전면 중 일측 방향에 치우친 위치 상방에서 하방으로 횡단하는 호스파지홈(11a) 및 상기 본체(11)의 전면 중 타측 방향에 마련된 슬라이드 경로에 끼워져 슬라이드 되거나, 상기 본체(11)의 전면 중 타측 방향에 마련된 힌지에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본체(11)의 전면을 커버하되, 상기 호스파지홈(11a)에 끼워지는 유체호스(1)를 가압하여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커버(11b)를 포함하여서 된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동작스위치(12)는 본체(11)의 파지구조를 구성하는 호스파지홈(11a)의 중간 부분에 돌출 마련되어, 유체호스(1)의 가압 여부에 따라 진퇴하면서 스위칭 동작하는 리미트스위치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동작스위치(12)는 ON 상태가 되면, 전원부(18)의 전원을 제어부(14)로 입력시켜 제어부(14)가 제어 동작을 통해 유체감지센서1,2(13a)(13b), 표출부(15), 통신부(16), 차단부(17)로 공급시키도록 할 수도 있고, 전원부(18)의 전원을 제어부(14), 표출부(15), 통신부(16), 차단부(17)로 각각 직접 공급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동작스위치(12)는 메인스위치(12a)의 ON 상태에서만 동작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유체감지센서1,2(13a)(13b)는 본체(11)의 파지구조를 구성하는 호스파지홈(11a)의 중간 부분에 돌출 마련되는 동작스위치(12)의 상하방에 각각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외부 빛의 강도에 관계없이 동작하면서 유체호스(1)을 따라 흐르는 유체를 감지하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로 이루어진 광센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발광소자는 발광다이오드이고 수광소자는 수광트랜지시터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제어부(14)는 상기 유체감지센서1,2(13a)(13b) 모두에서 유체 흐름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표출부(15)를 통해 유체진행상태를 표출시키고, 상기 유체감지센서1(13a)에서 유체 흐름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표출부(15)를 통해 유체소진근접상태를 표출시킴과 동시에, 통신부(16)를 통해 원격지의 관리자단말기(20)로 전송하고, 상기 유체감지센서1,2(13a)(13b) 모두에서 유체 흐름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표출부(15)를 통해 유체소진위험상태를 표출시킴과 동시에, 통신부(16)를 통해 원격지의 관리자단말기(20)로 전송하는 한편, 차단부(17)를 동작시켜 유체호스(1)를 가압 차단시키거나 부분 차단시켜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프로그램이 탑재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한 제어회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4)는 상기 유체감지센서1,2(13a)(13b)의 유체 흐름 감지 여부에 따라 표출부(15)를 통해 유체진행상태, 유체소진근접상태, 유체소진위험상태를 표출시킴과 동시에, 통신부(16)를 통해 상기한 상태들을 원격지의 관리자단말기(20)로 전송하고, 유체소진위험상태인 경우 상기 관리자단말기(20)에서 송출하는 원격 제어 신호를 통신부(16)가 수신하면, 차단부(17)를 동작시켜 유체호스(1)를 가압 차단시키거나 부분 차단시켜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프로그램이 탑재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한 제어회로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표출부(15)는 본체(11)의 전면 일측 방향에 마련되는 시각적 표시수단으로서, 유체감지센서1,2(13a)(13b) 모두에서 유체 흐름이 감지되면 유체진행상태임을 표시하는 LED1(녹색), 상기 유체감지센서1(13a)에서 유체 흐름이 감지되지 않으면 유체소진근접상태(유체 소진이 가까워짐)와 상기 유체감지센서1,2(13a)(13b) 모두에서 유체 흐름이 감지되지 않으면 유체소진위험상태임을 표시하는 LED2(적색), 상기 유체소진근접상태와 유체소진위험상태일 경우 관리지단말기(20)로 신호를 전송하여 대처하도록 하고 있음을 표시하는 LED3(청색)를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고, 상기 상태들을 표시하는 액정표시장치일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표출부(15)는 청각적(알람 또는 경고 및 안내 멘트)으로 알림 동작하는 스피커 또는 부저(BUZZER ; 예 : 피에조 부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통신부(16)는 유무선 송수신회로를 포함한 통신모듈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무선 통신모듈을 실시예로 적용한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차단부(17)는 본체(11)의 파지구조를 구성하는 호스파지홈(11a)의 하방 일측에서 상기 호스파지홈(11a)에 인서트된 유체호스(1) 방향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면서 유체호스(1)를 눌러서 차단시키도록 모터에 의해 편심 회전하는 차단체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관리자단말기(20)는 관리자가 휴대 가능한 단말기일 수도 있고 데스크탑 컴퓨터일 수도 있으며 관리 전용 고정형 단말기일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관리자단말기(20)는 유체 컨트롤장치(10)와 제어신호 및 유체 감시상태 등을 포함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부(22); 상기 유체 컨트롤장치(10)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와 자체 입력부(23)를 통해 입력되는 상태 및 처리상태를 출력하는 출력부(24); 상기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5); 상기 통신부(22)를 통해 입력되는 유체 컨트롤장치(10)의 데이터를 출력부(24)를 통해 출력시키고, 상기 입력부(23)의 입력값에 따라 대응되는 처리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그 처리상태를 출력부(24)를 통해 출력시키는 한편, 입력부(23)를 통해 입력되는 차단부(17) 차단 동작 제어신호를 통신부(22)를 통해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1);를 포함하여서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링거액 투여와 관련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본체(11)의 커버(11b)가 오픈된 상태에서 호스파지홈(11a)에 유체호스(1)인 링거호스를 인서트시킨 상태에서 커버(11b)을 본체(11) 전면에 덮게 되면, 커버(11b)의 기압력에 의해 링거호스가 파지되며, 이 과정에서 동작스위치(12)가 눌려지면서 자동적으로 스위칭 동작하여 전원부(18)의 전원이 공급되면서 링거액의 컨트롤 동작이 시작된다.
상기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은 커버(11b)가 슬라이드되면서 본체(11) 전면을 덮는 과정에서 호스파지홈(11a)에 끼워져 횡단하는 링거호스를 가압 파지하도록 됨으로써, 링거호스에 대해 장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설치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상기 커버(11b)가 링거호스를 가압 파지하는 과정에서 동작스위치(12)가 링거호스에 눌려지면서 자동적으로 스위칭 동작하여 전원을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스위치 조작 없이도 장치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링거액 컨트롤 동작이 시작되면, 상기 유체감지센서1,2(13a)(13b)가 링거호스 내를 흐르는 링거액을 감지하여, OP- AMP를 거쳐 제어부(14)로 입력한다.
이때, 상기 유체감지센서1,2(13a)(13b)인 광센서는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발광 다이오드의 조도를 무조건 높이거나 수광 트랜지스터의 감도를 무조건 강하게 할 수 없는데, 그 이유는 발광 다이오드의 조도가 너무 세면 볼록렌즈 효과에 의한 전압 증폭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수광 트랜지스터의 감도를 너무 세거나 약하게 하도 블록렌즈 효과에 의해 전압 증폭이 발생하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1초당 1/10초 동안만 전력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전력 소모율을 0.4mA/시간까지 낮추어 배터리 1회 장착으로 2개월 이상 사용 가능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유체감지센서1,2(13a)(13b)가 링거호스 내를 흐르는 링거액을 감지하여, OP- AMP를 거쳐 제어부(14)로 입력하는 과정에서, 첨부 도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체감지센서1,2(13a)(13b) 모두에서 링거액 흐름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4)가 표출부(15)의 LED1(녹색)을 통해 링거액진행상태를 표출(점등 또는 느린 점멸(예 : 초당 1회))시키도록 제어하고, 첨부 도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체감지센서1(13a)에서 링거액 흐름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4)가 표출부(15)의 LED2(적색)를 통해 링거액소진근접상태를 표출(느린 점멸(예 : 초당 1회))시킴과 동시에, 통신부(16)를 통해 원격지의 관리자단말기(20)로 전송하여 관리자가 이에 대처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첨부 도면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체감지센서1,2(13a)(13b) 모두에서 링거액 흐름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제어부(14)가 표출부(15)의 LED2(적색)를 통해 유체소진위험상태를 표출(빠른 점멸(예 : 초당 3회))시킴과 동시에, 통신부(16)를 통해 원격지의 관리자단말기(20)로 전송하여 관리자가 이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한편, 첨부 도면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부(17)를 동작시켜 링거호스를 가압 차단시키도록 제어한다. 물론, 이때, 상기 제어부(14)는 표출부(15)를 구성하는 청각적 표출기인 부저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14)가 통신부(16)를 통해 링거액소진위험상태임을 상기 관리자단말기(20)에 전송하면, 관리자가 이를 확인하고 관리자단말기(20)를 통해 직접 차단부(17)의 차단 동작 제어신호를 입력하여 자체 통신부를 통해 송출하고, 이와 같이 상기 관리자단말기(20)에서 송출된 차단부(17)의 차단 동작과 관련된 원격 제어신호를 통신부(16)가 수신하여 제어부(14)로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4)가 차단부(17)를 동작시켜 링거호스를 가압함으로써, 링거호스의 차단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은 상기 유체감지센서1,2(13a)(13b)의 링거액 흐름 감지신호 입력 상태에 따라서 표출부(15)를 통해 링거액진행상태, 링거액소진근접상태, 링거액소진위험상태를 표출시켜, 이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와 같은 동작 상태를 통신부(16)를 통해 원격지의 관리자단말기(20)로 전송하여 관리자가 링거액 소진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하며, 링거액이 소진되기 직전에 링거호스를 차단함으로써, 더 이상 링거액이 흐르는 것을 단속하여 환자에게 오용(誤用)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첨부 도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4)는 본체(11) 전면에 별도 마련되는 입력부(19)를 통해 각 유체 컨트롤장치(10)의 고유 식별코드(번호)가 설정되면 이를 저장한 후, 유체 감지상태와 관련된 데이터 전송 시 식별코드를 함께 통신부(16)를 통해 관리자단말기(20)로 전송하여, 관리자단말기(20)를 통해 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유체 컨트롤장치(10)의 유체 감지상태와 관련된 데이터의 확인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관리자단말기(20)에서 해당 유체 컨트롤장치(10)의 차단부(17)의 차단 동작 제어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차단부(17)를 동작시켜 유체호스(1)를 가압 차단시키는 프로그램이 탑재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한 제어회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입력부(19)는 유체감지센서1,2(13a)(13b)의 조도와 감도를 설정할 수도 있고 유량 조절을 위해 차단부(17)의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도 있는 것으로, 식별코드 설정과 유체감지센서 설정 및 유량 설정을 위한 모드선택스위치와, 숫자 내지 레벨을 가감시키는 상하조절스위치를 포함하여서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9)를 통해 설정된 식별코드가 제어부(14)의 제어신호에 의해 시각적으로 출력되도록 본체(11) 전면의 표출부(15)에 별도의 표시창이 더 마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다수의 유체 컨트롤장치(10)가 설치되었을 때, 관리자가 유체 컨트롤장치(10)에 표시되는 식별코드를 통해 직접적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관리자단말기(20)에 표시되는 식별코드와 해당 유체 컨트롤장치(10)의 상태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 유체 컨트롤장치 11 : 본체
11a : 호스파지홈 11b : 커버
12 : 동작스위치 13a : 유체감지센서1
13b : 유체감지센서2 14 : 제어부
15 : 표출부 16 : 통신부
17 : 차단부 18 : 전원부
19 : 입력부 20 : 관리자단말기

Claims (4)

  1. 유체의 흐름을 감시하여 사전에 유체의 소진 상태를 표출시켜 대응할 수 있도록 된 유체 컨트롤장치(10)에 있어서, 횡단(관통)하는 유체호스(1)의 파지구조에 의해 유체호스(1)에 착탈되는 본체(11); 상기 유체호스(1)의 파지 여부에 따라 전원을 ON/OFF시키는 동작스위치(12); 상기 유체호스(1)를 파지하는 본체(11)의 상단 부분과 하단 부분에 각각 마련되어 유체의 흐름을 감지하는 유체감지센서1,2(13a)(13b); 상기 유체감지센서1,2(13a)(13b)의 유체 흐름 감지 여부에 따라 표출부(15)를 통해 유체진행상태, 유체소진근접상태, 유체소진위험상태를 표출시킴과 동시에, 통신부(16)를 통해 상기한 상태들을 원격지의 관리자단말기(20)로 전송하고, 유체소진위험상태인 경우 차단부(17)를 동작시켜 유체호스(1)를 가압 차단시키거나 부분 차단시켜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제어부(14);를 포함하여서 된 유체 컨트롤장치.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4)는 상기 유체감지센서1,2(13a)(13b) 모두에서 유체 흐름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표출부(15)를 통해 유체진행상태를 표출시키고, 상기 유체감지센서1(13a)에서 유체 흐름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표출부(15)를 통해 유체소진근접상태를 표출시킴과 동시에, 통신부(16)를 통해 원격지의 관리자단말기(20)로 전송하고, 상기 유체감지센서1,2(13a)(13b) 모두에서 유체 흐름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표출부(15)를 통해 유체소진위험상태를 표출시킴과 동시에, 통신부(16)를 통해 원격지의 관리자단말기(20)로 전송하는 한편, 차단부(17)를 동작시켜 유체호스(1)를 가압 차단시키거나 부분 차단시켜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프로그램이 탑재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한 제어회로인 유체 컨트롤장치.
  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4)는 상기 유체감지센서1,2(13a)(13b)의 유체 흐름 감지 여부에 따라 표출부(15)를 통해 유체진행상태, 유체소진근접상태, 유체소진위험상태를 표출시킴과 동시에, 통신부(16)를 통해 상기한 상태들을 원격지의 관리자단말기(20)로 전송하고, 유체소진위험상태인 경우 상기 관리자단말기(20)에서 송출하는 원격 제어 신호를 통신부(16)가 수신하면, 차단부(17)를 동작시켜 유체호스(1)를 가압 차단시키거나 부분 차단시켜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프로그램이 탑재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한 제어회로인 유체 컨트롤장치.
  4.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4)는 본체(11) 전면에 별도 마련되는 입력부(19)를 통해 각 유체 컨트롤장치(10)의 고유 식별코드(번호)가 설정되면 이를 저장한 후, 유체 감지상태와 관련된 데이터 전송 시 식별코드를 함께 통신부(16)를 통해 관리자단말기(20)로 전송하여, 관리자단말기(20)를 통해 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유체 컨트롤장치(10)의 유체 감지상태와 관련된 데이터의 확인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관리자단말기(20)에서 해당 유체 컨트롤장치(10)의 차단부(17)의 차단 동작 제어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차단부(17)를 동작시켜 유체호스(1)를 가압 차단시키거나 부분 차단시켜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프로그램이 탑재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한 제어회로인 유체 컨트롤장치.
KR1020160003800A 2016-01-12 2016-01-12 유체 컨트롤 장치 KR201700845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800A KR20170084583A (ko) 2016-01-12 2016-01-12 유체 컨트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800A KR20170084583A (ko) 2016-01-12 2016-01-12 유체 컨트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4583A true KR20170084583A (ko) 2017-07-20

Family

ID=59443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3800A KR20170084583A (ko) 2016-01-12 2016-01-12 유체 컨트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8458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94086A (zh) * 2020-09-24 2021-01-08 昆明医科大学第二附属医院 一种放射性核素分装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94086A (zh) * 2020-09-24 2021-01-08 昆明医科大学第二附属医院 一种放射性核素分装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69963B2 (en) Low-cost ambulatory medical pump
CN105960642B (zh) 带图形用户界面的输液泵
US11826546B2 (en) Fluid line occlusion detection system and methods
CN206867477U (zh) 一种医用输液监控装置
US20090112333A1 (en) Smart infusion pump
US20110282277A1 (en) Device for controlling injection of ringer's solution
CN109602974A (zh) 输液控制系统及输液系统
KR101857608B1 (ko) 수액 모니터링 장치
KR101729727B1 (ko) 수액용기 교환 관리시스템
CN113144332B (zh) 一种在线监测血糖和胰岛素浓度的智能注射装置及方法
KR20170084583A (ko) 유체 컨트롤 장치
KR101686031B1 (ko) 약물 주입 시스템
CN103933632A (zh) 全自动注药泵
KR100880358B1 (ko) 약액 주입 관리 장치 및 시스템
KR102207495B1 (ko) 수액주사를 맞는 도중에 수액주머니를 휴대하는 장치 및 그 구성방법
KR102061865B1 (ko) 생체 반응 추적형 수액 제어 시스템
US20210361862A1 (en) Liquid transfer control device and liquid transfer apparatus
WO2012132350A1 (ja) 輸液ポンプ
CN107456628A (zh) 一种输血控制系统
WO2014049657A1 (ja) 医療用ポンプ
US20210023294A1 (en) Drug solution injection system, drug solution injection device, drug solution injection method, and program
TWI566797B (zh) Liquid transmission device and liquid transmission monitoring device
CN107754050A (zh) 一种点滴蓝牙报警装置
KR20080048900A (ko) 유량유속신호발생기
CN106139321A (zh) 医用智能监护输液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