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7544A - Multifunction key assembly - Google Patents

Multifunction key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7544A
KR20080047544A KR1020087004789A KR20087004789A KR20080047544A KR 20080047544 A KR20080047544 A KR 20080047544A KR 1020087004789 A KR1020087004789 A KR 1020087004789A KR 20087004789 A KR20087004789 A KR 20087004789A KR 20080047544 A KR20080047544 A KR 20080047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switches
sub
state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47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10901B1 (en
Inventor
길 헤크트
Original Assignee
이스카 엘티디.
길 헤크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스카 엘티디., 길 헤크트 filed Critical 이스카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080047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75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0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09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6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02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having an operating member rectilinearly slidable in different directions
    • H01H2025/004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having an operating member rectilinearly slidable in different directions the operating member being depressable perpendicular to the other dir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02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having an operating member rectilinearly slidable in different directions

Landscapes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A multifunction key assembly for inputting data to an electronic device. The multifunction key assembly has two switches operated by a single key cap. The key cap can be displaced vertically into three major active positions and horizontally into four minor active positions, giving rise to twelve distinct output data signals for inputting to the electronic device.

Description

다기능 키 어셈블리 {MULTIFUNCTION KEY ASSEMBLY} Multifunction Key Assembly {MULTIFUNCTION KEY ASSEMBLY}

본 발명은 전자 장치를 위한 다기능 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 key assembly for an electronic device.

일반적인 전자 장치와 특히 휴대폰의 소형화에 대한 상당한 요구가 존재한다. 반면에, 전자 장치가 더욱 다양한 특징을 포함하는 것에 대한 요구도 증가하고 있다. 이런 요구는 반드시 디스플레이 면적, 즉 디스플레이 화면의 크기 또는 가시 면적의 감소를 초래한다. 이의 주된 원인은 데이터 입력을 위한 종래의 키패드 매트릭스(keypad matrix) 배열을 유지해야 하는데에 있다. 비록 소형화에 의한 결과로서 종래의 키패드 매트릭스 배열을 형성하는 버튼(button)의 크기 및 간격은 감소하고 있지만, 이들의 감소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또한, 작은 버튼 또는 간격이 좁은 버튼을 사용할 경우, 의도한 버튼 부근의 의도하지 않는 버튼을 우연히 누르거나, 또는 동시에 두 개의 근접한 버튼을 누름으로써 잘못된 입력 데이터를 제공할 가능성이 크다. 나아가, 각 입력 데이터를 위해 버튼을 하나씩 누르므로 조작 속도에 제한이 있다.There is a significant demand for miniaturization of general electronic devices and especially mobile phones. On the other hand,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electronic devices to include more various features. This requirement necessarily results in a reduction of the display area, ie the size or visible area of the display screen. The main reason for this is to maintain a conventional keypad matrix arrangement for data entry. Although as a result of miniaturization, the size and spacing of buttons forming a conventional keypad matrix arrangement is decreasing, there is a limit to their reduction. Also, when using small buttons or narrowly spaced buttons,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providing wrong input data by accidentally pressing an unintentional button near the intended button, or simultaneously pressing two adjacent buttons. Furthermore, there is a limit on the operation speed because one button is pressed for each input data.

미국 특허 제6,441,753호는 전자 장치를 위한 다기능 키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상기 다기능 키 어셈블리는 아홉 개의 키(key) 영역을 특정하는 상부 외형의 표면을 갖는 버튼 부재를 갖고, 이는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중앙 키 영역이 5키 를 나타내고 각각의 주변 키 영역이 나머지 키를 나타내는 종래 전화기 키패드의 1부터 9까지의 키와 동일한 방법으로 배열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 키패드 매트릭스와는 달리 0, 별표(*) 및 우물정자(#)키는 존재하지 않는다. 보조 버튼이 0키를 대신할 수 있다. 다르게는, 각각의 키 영역이 다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5키 영역은 더블-클릭에 의해 종래의 0키로 작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선택사항이 제안되나, 이의 실시가 기재되지는 않는다. 어느 경우라도 숫자 0은 조작의 주요 방법에 의해 입력될 수 없으며, 따라서 0이 입력될 때마다 데이터 입력의 원활한 흐름이 방해된다.U. S. Patent No. 6,441, 753 discloses a multifunction key assembly for an electronic device. The multifunction key assembly has a button member having an upper contour surface that specifies nine key regions, which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central key region represents five keys and each peripheral key region represents the remaining keys. It is arranged in the same manner as the keys 1 to 9 of the conventional telephone keypad shown. However, unlike the conventional keypad matrix, there are no 0, asterisk (*) and pound key (#) keys. Auxiliary button can replace the 0 key. Alternatively, each key area may perform multifunction. For example, the five key region can operate with the conventional zero key by double-clicking. Such options are suggested, but their implementation is not described. In any case, the number 0 cannot be input by the main method of operation, so that smooth flow of data input is prevented each time 0 is input.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개선된 다기능 키 어셈블리 및 전자 장치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개선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proved multifunction key assembly for entering data into an electronic device and an improved method for entering data into an electronic device.

상기 목적은 각 청구항에 청구된 내용에 의해 달성된다.This object is achieved by the subject matter claimed in each claim.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공되는 다기능 키 어셈블리는:Multifunctional key assemblies which are preferably provided according to the invention are:

상호 간에 모두 전기적으로 연결된 두 개의 주 스위치인 제1-주 스위치 및 제2-주 스위치와 네 개의 제1-부 스위치와;Two main switches, a first main switch and a second main switch and four first sub switches, all of which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두 개의 주 스위치와 기계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네 개의 제1-부 스위치 중 임의의 하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1-부 스위치 중 임의의 하나와 함께 상기 두 개의 주 스위치를 개별적으로 또는 동시에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다기능 키 어셈블리에서 총 열두 개의 개별 출력 신호를 내보낼 수 있으며, 이 중 네 개의 개별 출력 신호는 상기 제1-주 스위치를 상기 네 개의 제1-부 스위치 중 임의의 하나와 함께 작동시켜 얻고, 다른 네 개의 개별 출력 신호는 상기 제2-주 스위치를 상기 네 개의 제1-부 스위치 중 임의의 하나와 함께 작동시켜 얻고, 또 다른 네 개의 개별 출력 신호는 상기 제1 및 제2-주 스위치를 상기 네 개의 제1-부 스위치 중 임의의 하나와 동시에 작동시켜 얻는 단일 키 캡을 포함한다.Mechanically coupled to the two main switches, capable of selectively actuating any one of the four first-second switches, and separately operating the two main switches together with any one of the first-second switches Can be selectively operated simultaneously or simultaneously, allowing a total of twelve separate output signals to be output from the multifunction key assembly, of which four individual output signals are used to drive the first-main switch to the four first-parts. Obtained by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any one of the switches, the other four separate output signals are obtained by operating the second-main switch in conjunction with any one of the four first-minor switches, and another four separate output signals. Includes a single key cap obtained by actuating the first and second main switches simultaneously with any one of the four first-second switches.

상기 다기능 키 어셈블리는 전자 장치의 외부, 내부 또는 부분적으로 내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출력 신호가 전자 장치에 대해 입력 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다. 대체로, 상기 출력 신호는 전기적 신호이며 다른 종류의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The multifunction key assembly may be located externally, internally or partially internally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an output signal may be used as input data for the electronic device. In general, the output signal is an electrical signal and can be converted into another kind of signal.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주 비작동 위치가 두 개의 주 스위치 모두가 전기적으로 오프(off)인 상태이며, 주 작동 위치가 주 스위치의 적어도 하나가 전기적으로 온(on)인 상태라고 할 때, 상기 키 캡은 주 비작동 위치에서 주 작동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작동되며, 상기 키 캡은 적어도 일부분을 수직으로 누름으로써 주 비작동 위치에서 주 작동 위치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주 작동 위치에는 주 스위치 중 하나의 주 스위치가 전기적으로 온인 상태에 있는 것에 대응하는 제1-주 작동 위치와 주 스위치 중 다른 하나의 주 스위치가 전기적으로 온인 상태에 있는 것에 대응하는 제2-주 작동 위치와, 두 개의 주 스위치가 동시에 전기적으로 온인 상태에 있는 것에 대응하는 제3-주 작동 위치의 총 세 개의 주 작동 위치가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main non-operation position is a state in which both main switches are electrically off, and the main operation position is a state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main switches is electrically on. The key cap is activated by moving from the main non-operation position to the main operation position, the key cap can be moved from the main non-operation position to the main operation position by pressing at least a portion vertically, wherein the main operation position of the main switch is The first two main operating positions corresponding to one main switch being in an electrically on state and the two primary main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other one of the main switches in an electrically on state; There are a total of three main operating positions of the third-main operating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witch being in the electrically on state at the same time.

상기 키 캡의 적어도 한 부분을 누름으로써 하나의 방향이 특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원에서는 이를 수직 방향으로 지칭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ne direction is specified by pressing at least one portion of the key cap, which is referred to herein as the vertical direction.

나아가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키 캡은 두 개의 상호 수직 방향으로 네 개의 부 작동 위치 중 임의의 하나로 수평 이동이 가능하다.Furth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keycap is horizontally movable to any one of the four sub-operation positions in two mutually perpendicular directions.

일반적으로, 상기 두 개의 상호 수직인 방향은 북-남 및 동-서로 불리며 상기 네 개의 부 작동 위치는 시계 방향으로 북, 동, 남, 서이다. 상기 두 개의 상호 수직인 방향은 동일 평면상에 있으며 상기 키 캡의 적어도 한 부분을 누르는 수직 방향과 직각을 이룬다.Generally, the two mutually perpendicular directions are called north-south and east-west and the four sub-operation positions are north, east, south and west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two mutually perpendicular directions are coplanar and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direction of pressing at least one portion of the keycap.

더 나아가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기능 키 어셈블리는 상기 키 캡의 하나의 특정 주 작동 위치와 주어진 부 작동 위치의 각 조합에 대하여 열두 개의 가능한 출력 신호 중 특정의 개별 출력 신호를 출력한다.According to a fur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multifunction key assembly outputs a particular individual output signal of the twelve possible output signals for each combination of one particular main operating position of the keycap and a given secondary operating position.

더 나아가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네 개의 제1-부 스위치 각각은 부 기저부와 그로부터 뻗는 부 스템을 갖고, 각 주 스위치는 주 기저부와 그로부터 뻗는 주 스템을 갖고, 상기 키 캡은 각 주 스위치의 주 스템에 결합된다.Furthermo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each of the four first-second switches has a sub-base and a sub stem extending therefrom, each main switch has a main base and a main stem extending therefrom, and the keycaps of each main switch To the main stem.

양호한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키 캡은 그의 하부면에서 뻗고 상기 네 개의 제1-부 스위치 사이를 통과하는 중앙에 있는 로드를 갖고, 상기 네 개의 부 작동 위치 중 주어진 하나의 부 작동 위치는 상기 로드를 상기 네 개의 제1-부 스위치 중 주어진 하나의 제1-부 스위치의 상기 부 스템을 부 기저부를 향해 전기적 상태가 오프인 상태에서 온인 상태로 변할 때까지 가압함으로써 얻어지며, 이를 통해 주어진 하나의 제1-부 스위치를 작동시킨다.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the keycap has a central rod extending from its bottom surface and passing between the four first-second switches, wherein a given one of the four sub-actuated positions is The rod is obtained by forcing the sub-stem of a given one-first switch of the four first-sub switches to the sub-base until the electrical state changes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thereby giving Activate one first-second switch.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기능 키 어셈블리는 상기 로드가 통과하는 상호 수직이며 십자가 모양의 구멍을 형성하는 두 개의 관통 안내 홈을 갖는 제1 안내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안내 부재는 상기 키 캡과 상기 네 개의 제1-부 스위치 사이에 위치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multifunction key assembly further comprises a first guide member having two through guide grooves which are mutually perpendicular and cross-shaped holes through which the rod passes, wherein the first guide member comprises: It is located between the key cap and the four first-second switches.

양호한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기능 키 어셈블리는 상호 간에 그리고 모든 다른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네 개의 제2-부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주 스위치의 상기 주 스템은 상기 네 개의 제1-부 스위치 사이를 통과하며, 상기 제2-주 스위치의 상기 주 스템은 상기 네 개의 제2-부 스위치 사이를 통과하며, 상기 키 캡은 두 개의 상호 수직 방향(L1, L2, H1, H2)으로 네 개의 부 작동 위치 중 임의의 하나로 수평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네 개의 부 작동 위치 중 주어진 하나의 부 작동 위치는 상기 제1-주 스위치의 상기 주 스템이 상기 네 개의 제1-부 스위치 중 주어진 하나의 제1-부 스위치의 상기 부 스템을 부 기저부를 향해 전기적 상태가 오프인 상태에서 온인 상태로 변할 때까지 가압함으로써 얻어지며, 이를 통해 주어진 하나의 제1-부 스위치를 작동시키며, 제2-주 스위치의 상기 주 스템이 상기 네 개의 제2-부 스위치 중 주어진 하나의 제2-부 스위치의 상기 부 스템을 부 기저부를 향해 전기적 상태가 오프인 상태에서 온인 상태로 변할 때까지 가압함으로써 얻어지며, 이를 통해 주어진 제2-부 스위치를 작동시킨다.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the multifunction key assembly further comprises four second-second switches that are electrically connected with each other and with all other switches, wherein the main stem of the first-main switch comprises: Passing between the first-second switch, the main stem of the second-main switch passes between the four second-second switches, and the keycap is in two mutually perpendicular directions L1, L2, H1, H2) allows horizontal movement to any one of the four sub-actuating positions, wherein a given sub-actuating position of the four sub-actuating positions is such that the main stem of the first-primary switch is Obtained by forcing the substem of a given one-first switch of the switch to the sub-base until the electrical state changes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thereby giving the one first booth Activating the position, the main stem of the second main switch being on with the electrical state of the second sub switch of a given one of the four second sub switches turned off toward the secondary base. It is obtained by pressurizing until it changes to, thereby actuating the given second sub-switch.

또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기능 키 어셈블리는 정확히 두 개의 안내 부재를 더 포함하며, 각 안내 부재는 상호 수직이며 십자가 모양의 구멍을 형성하는 두 개의 관통 안내 홈을 갖고, 상기 제1-주 스위치의 상기 주 스템은 상기 제1 안내 부재의 십자가 모양의 구멍을 통과하며, 상기 제2-주 스위치의 상기 주 스템은 상기 제2 안내 부재의 십자가 모양의 구멍을 통과하며, 상기 제1 안내 부재는 상기 키 캡과 상기 네 개의 제1-부 스위치 사이에 있고, 상기 제2 안내 부재는 상기 키 캡과 상기 네 개의 제2-부 스위치 사이에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multifunction key assembly further comprises exactly two guide members, each guide member having two through guide grooves which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form a cross-shaped hole. The main stem of the switch passes through a cross-shaped hole of the first guide member, the main stem of the second-main switch passes through a cross-shaped hole of the second guide member, and the first guide member Is between the keycap and the four first-second switches, and the second guide member is between the keycap and the four second-second switches.

바람직하게는, 상호 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정확히 두 개의 주 스위치가 있다.Preferably, there are exactly two main switche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공되는 열두 개의 개별 출력 신호 중 하나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The method for providing one of the twelve individual output signals which is preferably provided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a) 정확히 두 개의 주 스위치, 상기 두 개의 주 스위치 그리고 상호 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정확히 네 개의 제1-부 스위치, 및 상기 두 개의 주 스위치에 기계적으로 결합된 단일 키 캡을 포함하는 다기능 키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단계와;(a) a multifunction key assembly comprising exactly two main switches, said two main switches and exactly four first-second switche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single key cap mechanically coupled to said two main switches; Providing;

(b) 주 비작동 위치는 상기 두 개의 주 스위치 모두가 전기적으로 오프인 상태이며, 주 작동 위치는 주 스위치의 적어도 하나가 전기적으로 온인 상태라고 할 때, 상기 키 캡의 적어도 한 부분을 누름으로써 주 비작동 위치에서 주 작동 위치로 상기 키 캡을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b) The main non-operation position is the state in which both of the two main switches are electrically off, and the main operation position is the state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main switches is electrically on, by pressing at least one portion of the keycap. Moving the keycap vertically from a main non-operation position to a main operation position;

(c) 부 비작동 위치는 상기 네 개의 제1-부 스위치 모두가 오프인 상태이며, 부 작동 위치는 네 개의 제1-부 스위치 중 하나가 전기적으로 온인 상태라고 할 때 열두 개의 개별 출력 신호의 하나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키 캡을 상호 수직인 두 방향 중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네 개의 부 작동 위치 중 하나의 부 작동 위치에 이르게 함으로써 부 비작동 위치에서 부 작동 위치로 상기 키 캡을 수평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c) The non-operational position is the state in which all four first-sub switches are off, and the sub-operation position is the position of twelve individual output signals when one of the four first-sub switches is electrically on. To provide one, the keycap is horizontally moved from the non-operational position to the sub-operation position by moving it in one of two mutually perpendicular directions to reach one of the four sub-operation positions. It comprises the step of.

상기 방법의 단계를 수행하는 순서는 상술한 것을 따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요구에 따라 (c)단계가 (b)단계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The order of performing the steps of the method need not follow those described above. For example, step (c) may be performed before step (b) as required.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method is:

(d) 부 작동 위치가 상기 제2-부 스위치 중 하나가 전기적으로 온인 상태라고 할 때, 상기 두 개의 주 스위치 그리고 상기 네 개의 제1-부 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정확히 네 개의 제2-부 스위치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d) exactly four second-second switche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wo main switches and the four first-second switches when the sub-operation position is one of the second sub-switches being electrically on.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providing.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은:Furthermore, the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복수의 표면을 포함하는 케이싱과;A casing comprising a plurality of surfaces;

디스플레이 화면과;A display screen;

다기능 키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키 어셈블리는:A multifunction key assembly comprising:

두 개의 주 스위치와, 상기 두 개의 주 스위치 그리고 상호 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네 개의 제1-부 스위치와;Two main switches, the two main switches and four first-second switche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두 개의 주 스위치와 기계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네 개의 제1-부 스위치 중 임의의 하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1-부 스위치 중 임의의 하나와 함께 상기 두 개의 주 스위치를 개별적으로 또는 동시에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다기능 키 어셈블리에서 총 열두 개의 개별 출력 신호를 내보낼 수 있는 단일 키 캡을 포함한다.Mechanically coupled to the two main switches, capable of selectively actuating any one of the four first-second switches, and separately operating the two main switches together with any one of the first-second switches It can be selectively operated at the same time or simultaneously, which includes a single key cap which can emit a total of twelve individual output signals from the multifunction key assembly.

요구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은 상기 케이싱의 전면에 위치되며, 상기 키 캡은 상기 케이싱의 측면에 위치된다.The display screen is located on the front of the casing and the key cap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casing as required.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에 비해 다음과 같은 양호한 이점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good advantages over the prior art:

1. 일반적인 전자 장치와 특히 휴대폰의 소형화를 용이하게 한다;1. It facilitates the miniaturization of general electronic devices and especially mobile phones;

2. 보다 큰 디스플레이 화면의 사용을 가능케 한다;2. Enable the use of larger display screens;

3. 단일의 키 캡으로 상기 다기능 키 어셈블리가 조작된다;3. The multifunction key assembly is operated with a single key cap;

4. 상기 단일의 키 캡은 조작자의 한 손의 엄지손가락에 의해 조작 가능하다;4. The single key cap is operable by the thumb of one hand of the operator;

5. 상기 단일의 키 캡은 조작하기 쉽다. 열두 개의 개별 출력 신호는 상기 키 캡을 상호 수직인 두 방향으로(북-남, 동-서) 수평 이동하는 것과 상기 키 캡을 세 개의 상이한 구역에서 누르는 것의 조합을 통해 얻을 수 있다. 5. The single key cap is easy to operate. Twelve separate output signals can be obtained by a combination of horizontally moving the keycaps in two mutually perpendicular directions (north-south, east-west) and pressing the keycaps in three different zones.

본 발명의 다른 이점은 후술하는 도면,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하다.Other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and claims that follow.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본 발명이 어떻게 실시되는지 보이기 위하여 첨부도면이 참조된다.Reference is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o aid in understanding the invention and to show how the invention is practiced.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키 어셈블리를 갖는 일반적인 휴대폰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ypical mobile phone having a multifunction key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키 어셈블리 모듈의 상부 사시도이다.2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a multifunction key assembly modul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2의 다기능 키 어셈블리 모듈의 부분 분해 상부 사시도이다.3 is a partially exploded top perspective view of the multifunction key assembly module of FIG. 2 in accordance with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도3의 다기능 키 어셈블리 모듈의 완전 분해도이다.4 is an exploded view of the multifunction key assembly module of FIG.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2의 다기능 키 어셈블리 모듈의 부분 분해 상부 사시도이다.5 is a partially exploded top perspective view of the multifunction key assembly module of FIG. 2 in accordance with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도5의 다기능 키 어셈블리의 완전 분해도이다.6 is an exploded view of the multifunction key assembly of FIG.

도7은 키 캡이 주 비작동 위치에 있는 도2의 다기능 키 어셈블리 모듈의 상부 평면도이다.FIG. 7 is a top plan view of the multifunction key assembly module of FIG. 2 with the key cap in the main non-operational position. FIG.

도8은 키 캡이 제거되지 않을 경우의 키 캡의 주 스템의 위치를 나타내는(점선), 키 캡이 제거된 제1 실시예에 따른 도2의 다기능 키 어셈블리 모듈의 상부 평면도이다.Fig. 8 is a top plan view of the multifunction key assembly module of Fig. 2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th the key cap removed, showing the position of the main stem of the key cap when the key cap is not removed (dotted line).

도9는 키 캡이 제거된 제2 실시예에 따른 도2의 다기능 키 어셈블리 모듈의 상부 평면도이다.9 is a top plan view of the multifunction key assembly module of FIG. 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ith the key cap removed.

도10a는 키 캡이 주 비작동 위치에 있는 도2의 다기능 키 어셈블리 모듈의 측면도이다.FIG. 10A is a side view of the multifunction key assembly module of FIG. 2 with the key cap in the main non-operational position. FIG.

도10b는 키 캡이 제1-주 작동 위치에 있는 도2의 다기능 키 어셈블리 모듈의 측면도이다.FIG. 10B is a side view of the multifunction key assembly module of FIG. 2 with the key cap in the first-main operation position. FIG.

도10c는 키 캡이 제2-주 작동 위치에 있는 도2의 다기능 키 어셈블리 모듈의 측면도이다.FIG. 10C is a side view of the multifunction key assembly module of FIG. 2 with the key cap in the second-main operating position. FIG.

도10d는 키 캡이 제3-주 작동 위치에 있는 도2의 다기능 키 어셈블리 모듈의 측면도이다.FIG. 10D is a side view of the multifunction key assembly module of FIG. 2 with the key cap in the third-main operating position. FIG.

도1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키 어셈블리의 한 가지 가능한 전기 배선 배열의 예시도이다.Figure 11 is an illustration of one possible electrical wiring arrangement of the multifunction key assembl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12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키 어셈블리의 한 가지 가능한 전기 배선 배열의 예시도이다. Figure 12 is an illustration of one possible electrical wiring arrangement of the multifunction key assembl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본 발명에 따른 일반적인 전자 장치(20)를 도시한 도1에 주목한다. 도1에 도시된 전자 장치(20)의 비제한적인 예는 휴대폰이다. 상기 전자 장치(20)는 케이싱(22), 상기 케이싱(22) 전면(25)의 디스플레이 화면(24), 키 캡(28)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키 어셈블리(26), 라우드스피커(loudspeaker)(30), 이어폰(32), 마이크로폰(34) 및 보조 키(36)를 포함한다. 주목할 만한 것은 상기 전자 장치(20)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종래의 키패드가 없는 것이다. 나아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기능 키 어셈블리(26)는 종래의 키패드에 비해 매우 작아서 키 캡(28)이 전자 장치 케이싱의 측면에 있도록 전자 장치(20) 내부에 위치하여,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화면(24)을 위해 전면의 대부분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Note that FIG. 1 shows a general electronic device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non-limiting example of the electronic device 20 shown in FIG. 1 is a mobile phone. The electronic device 20 has a casing 22, a display screen 24 on the front surface 25 of the casing 22, a key cap 28 and a multifunction key assembly 26 according to the invention, a loudspeaker. 30), earphone 32, microphone 34 and auxiliary key 36. It is noteworthy that there is no conventional keypad for entering data into the electronic device 20. Furthermore, as shown in FIG. 1, the multifunction key assembly 26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uch smaller than a conventional keypad so that the key cap 28 is located inside the electronic device 20 so that the key cap 28 is on the side of the electronic device casing. This allows to secure most of the space in front of the display screen 24.

상기 다기능 키 어셈블리(26)는 전자 장치(20)의 일체적인 부분으로 합체되거나, 별도의 모듈로서 제조되어 필요에 따라 편리하게 삽입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모듈 형태로서의 상기 다기능 키 어셈블리(26)가 도2에 도시되어 있다. 모듈 형태의 다기능 키 어셈블리(26)가 설명되며, 이는 단지 설명상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이는 상기 다기능 키 어셈블리(26)에 대한 기재를 제한하는 효과를 갖지 않으며, 단순히 상기 다기능 키 어셈블리(26)의 부재에 대한 기재를 제한하는 것으로서, 상기 기재로부터 본 발명과 무관한 전자 장치(20) 부재에 대한 기재를 제외하는 것이다. 모듈 형태의 상기 다기능 키 어셈블리(26)는 키 캡(28)을 제외한 다기능 키 어셈블리(26)의 모든 부재가 그 내부에 위치되는 하우징(38)을 갖는다. 상기 다기능 키 어셈블리(26)가 별도의 모듈이 아니고 전자 장치(20)의 일체적인 부분으로 합체될 경우에는 상기 다기능 키 어셈블리(26)의 상기 하우징(38)은 상기 전자 장치(20)의 상기 케이싱(22)의 일부가 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multifunction key assembly 26 may be incorporated into an integral part of the electronic device 20 or may be manufactured as a separate module and conveniently inserted or removed as necessary. The multifunction key assembly 26 in modular form is shown in FIG. The modular multifunction key assembly 26 is described, which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This does not have the effect of limiting the description of the multifunction key assembly 26, and merely limits the description of the member of the multifunction key assembly 26, which is no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description. The description of the member is excluded. The multifunctional key assembly 26 in modular form has a housing 38 in which all members of the multifunctional key assembly 26 except for the key cap 28 are located. When the multifunction key assembly 26 is not a separate module but incorporated into an integral part of the electronic device 20, the housing 38 of the multifunction key assembly 26 is the casing of the electronic device 20.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can be part of (22).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다기능 키 어셈블리(26)는 각각 제1 및 제2-주 스위치(40', 40")로 불리는 두 개의 주 스위치(40), 각각 제1-부 스위치 Ⅰ 내지 Ⅳ(42'a, 42'b, 42'c, 42'd)로 불리는 네 개의 제1-부 스위치(42') 및 제1 안내 부재(44')를 포함한다. 주 스위치들과 제1-부 스위치(40, 42')는 모두 전자식 스위치이며 가압 버튼 스위치일 수 있다. 각 주 스위치(40)는 주 기저부(48)에서 뻗는 주 스템(46)을 갖고, 각 제1-부 스위치(42')는 부 기저부(52)에서 뻗는 부 스템(50)을 갖는다. 각 주 스위치(40)의 상기 주 스템(46)은 주 스위치(40)의 종방향을 특정하는 종축(A)를 갖는다. 각 주 스위치(40)의 주 기저부(48)으로부터 두 개의 전기 전도성 주 리드(54)가 뻗는다. 유사하게, 각 제1-부 스위치(40)의 부 기저부(52)로부터 두 개의 전기 전도성 부 리드(56)가 뻗는다.3 and 4, the multifunction key assembly 26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wo main switches 40 called first and second main switches 40 'and 40 ", respectively. Four first-second switches 42 'and first guide member 44', called first-second switches I to IV (42'a, 42'b, 42'c, 42'd), respectively. The main switches and the first-second switches 40 and 42 'are both electronic switches and may be pressurized button switches, each main switch 40 extending from the main base 48. And each first-second switch 42 'has a sub stem 50 extending from the sub-base 52. The main stem 46 of each main switch 40 is a type of main switch 40. It has a longitudinal axis A that specifies the direction .. Two electrically conductive main leads 54 extend from the main base 48 of each main switch 40. Similarly, the part of each first-sub switch 40 Two electrically conductive secondary leads from base 52 56 stretches.

상기 키 캡(28)은 대향하는 상부면 및 하부면(58, 60)을 갖고, 상기 키 캡(28)의 종축(L)을 특정하는 종방향 길이 D를 갖는 전체적으로 연장된 타원형의 모양을 갖는다. 두 개의 가압 노브(knob)(62(62', 62"))가 키 캡(28) 단부, 즉 키 캡(28) 종방향 길이(D)의 말단에서 상기 키 캡(28)의 상부면(58)으로부터 돌출한다. 또한, 두 개의 대향하는 긴 돌출부(64)가 상부면(58)에서 둘출하며, 종축(L)의 반대 면에서 상기 키 캡(28)의 긴 모서리(66)에 인접하게 뻗는다. 주 기저부(48) 말단에서 각 주 스템(46)의 단부는 키 캡(28) 하부면(60)의 대응하는 보어(도시 않음)에 보유되며, 이를 통해 키 캡(28)과 주 스위치(40)를 기계적으로 연결한다.The key cap 28 has opposing top and bottom surfaces 58, 60 and has a generally elongated oval shape with a longitudinal length D that specifies the longitudinal axis L of the key cap 28. . Two pressing knobs 62 (62 ′, 62 ″) allow the top surface of the key cap 28 at the end of the key cap 28, ie at the end of the longitudinal length D of the key cap 28. 58. Two opposing elongated projections 64 extrude on the upper surface 58 and adjoin the long edge 66 of the key cap 28 on the opposite side of the longitudinal axis L. At the end of the main base 48, the end of each main stem 46 is retained in a corresponding bore (not shown) of the bottom surface 60 of the key cap 28, thereby allowing the key cap 28 and the main switch. Mechanically connect the 40.

제1 안내 부재(44')는 서로 수직하며 십자가 모양의 구멍(72)을 형성하는 두 개의 관통하는 안내 홈(68, 70)을 갖는다. 상기 안내 홈의 하나(68)는 상기 키 캡(28)의 종축(L)에 따라 정렬되며 본원에서 종방향 안내 홈으로 불린다. 상기 안내 홈의 다른 하나(70)는 상기 키 캡(28)의 종축(L)과 직각을 이루며 본원에서 횡방향 안내 홈으로 불린다. 상기 키 캡(28)은 일반적으로 하부면(60)에서 주 스템(46)과 평행하고 부 스템(50)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뻗는 중앙에 위치된 로드(74)를 갖는다. 제1 안내 부재(44')는 제1-부 스위치(42')와 키 캡(28) 사이에 있으며, 키 캡(28)의 로드(74)는 제1 안내 부재(44')의 십자가 모양 구멍(72)과 네 개의 모든 제1-부 스위치(42') 사이를 관통한다.The first guide member 44 ′ has two penetrating guide grooves 68, 70 that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form a cross-shaped hole 72. One of the guide grooves 68 is aligned along the longitudinal axis L of the key cap 28 and is referred to herein as a longitudinal guide groove. The other 70 of the guide groove is at right angles to the longitudinal axis L of the key cap 28 and is referred to herein as the transverse guide groove. The key cap 28 generally has a centrally located rod 74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main stem 46 and perpendicular to the sub stem 50 at the lower surface 60. The first guide member 44 'is located between the first-second switch 42' and the key cap 28, and the rod 74 of the key cap 28 is cross-shaped of the first guide member 44 '. It passes between the hole 72 and all four first-second switches 42 '.

이제 도5 및 도6에 주목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다기능 키 어셈블리(26)는 두 개의 주 스위치(40(40', 40")), 네 개의 제1-부 스위 치(42'(42'a, 42'b, 42'c, 42'd)), 네 개의 유사하거나 동일한 제2-부 스위치(42"(42"a, 42"b, 42"c, 42"d)), 및 제1 및 제2 안내 부재(44', 44")를 포함한다. 제1 실시예와는 달리, 제2 실시예에 따른 키 캡(28)은 로드를 갖지 않는다. 제1 안내 부재(44')는 제1-부 스위치(42')와 키 캡(28) 사이에 위치되며, 제1-주 스위치(40')의 주 스템(46)은 네 개의 모든 제1-부 스위치(42') 사이로 그리고 제1 안내 부재(44')의 십자가 모양 구멍(72)을 관통한다. 유사하게, 제2 안내 부재(44")는 제2-부 스위치(42")와 키 캡(28) 사이에 있으며, 제2-주 스위치(40")의 주 스템(46)은 네 개의 모든 제2-부 스위치(42") 사이로 그리고 제2 안내 부재(44")의 십자가 모양 구멍을 관통한다.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주 기저부(48) 말단의 각 주 스템(46)의 단부는 키 캡(28) 하부면(60)의 대응하는 보어(도시 않음)에 보유되며, 이를 통해 키 캡(28)과 주 스위치(40', 40")를 기계적으로 연결한다.Attention is now directed to FIGS. 5 and 6. The multifunction key assembly 26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as two main switches 40 (40 ', 40 "), four first-second switches 42' (42'a, 42 '). b, 42'c, 42'd)), four similar or identical second-second switches 42 "(42" a, 42 "b, 42" c, 42 "d), and first and second Guide members 44 ', 44 ". Unlike the first embodiment, the key cap 28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does not have a rod. Located between the sub-switch 42 'and the key cap 28, the main stem 46 of the first-main switch 40' is between all four first-sub switches 42 'and the first guide. Penetrates the cross-shaped hole 72 of the member 44 '. Similarly, the second guide member 44 "is between the second-second switch 42" and the key cap 28, and the second- The main stem 46 of the main switch 40 "passes between all four second-second switches 42" and through the cross-shaped hole of the second guide member 44 ".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end of each main stem 46 at the end of the main base 48 is retained in a corresponding bore (not shown) of the lower surface 60 of the key cap 28, thereby allowing the key cap ( 28) and main switch (40 ', 40 ") are mechanically connected.

상기 키 캡(28)에 외부 힘을 가하여 이를 다양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조작자가 엄지손가락을 키 캡(28)의 상부면(60) 또는 가압 노브(62', 62") 중 하나에 올려놓고, 주 스위치(40', 40")의 종방향으로 키 캡(28)에 힘을 가하여 누르면서 이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주 스위치(40', 40")의 종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상기 키 캡(28)에 힘을 가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통해 외부 힘이 키 캡(28)에 가해질 수 있다. 또한, 수직 및 수평 힘이 모두 동시에 가해질 수 있다. 상기 주 스템(46)은 양호하게 상기 키 캡(28)의 충분한 수평 이동을 허용할 정도로 탄력이 있다.An external force may be applied to the key cap 28 to move it in various directions. Typically, the operator places his thumb on either the top surface 60 of the key cap 28 or one of the pressure knobs 62 ', 62 "and the key cap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switch 40', 40"). 28 to move it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pressing it or to move i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forcing the keycap 28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switches 40 ', 40 ". This allows external forces to be applied to the key cap 28. In addition, both vertical and horizontal forces can be applied simultaneously.The main stem 46 preferably allows sufficient horizontal movement of the key cap 28. It is elastic enough.

이제 추가적으로 도7 내지 도9 및 도10a 내지 도10b에 주목한다. 상기 키 캡(28)에 수직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상기 키 캡(28)은 주 비작동 상태(도10a)에 있다고 한다. 상기 키 캡(28)에 외부 힘이 전혀 가해지지 않으면 상기 키 캡(28)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도7 내지 도9), 수직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으며(도10a), 휴지 위치에 있다고 한다. 상기 로드(74)는 상기 키 캡(28)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키 캡(28)이 제거되면 상기 로드(74)는 상기 하우징 내에 있지 않으며, 도8의 점선은 상기 키 캡(28)이 제거되지 않은 경우의 상기 로드(74)의 위치를 나타낸다. 제1 실시예에서 상기 로드(74)는 안내 홈(68, 70)(도8)을 따라 수평으로 움직이도록 속박되며(도8), 제2 실시예에서 상기 주 스템(46)은 안내 홈(68, 70)(도9)을 따라 수평으로 움직이도록 속박된다(도9). 따라서, 상기 키 캡(28)의 수평 이동은 상기 로드(74)(제1 실시예) 또는 상기 주 스템(46)(제2 실시예)의 종방향 및 횡방향 안내 홈(68, 70)에 따른 각각의 종방향(L1, L2)과 횡방향(H1, H2) 움직임에 대응되도록 속박된다. 달리 말하면, 상기 키 캡(28)은 두 개의 상호 수직의 방향으로 네 개의 수평 이동방향(L1, L2, H1, H2)으로 수평 이동할 수 있다.Attention is now additionally made to FIGS. 7-9 and 10A-10B. If no vertical force is applied to the key cap 28, the key cap 28 is said to be in the main non-operation state (Fig. 10A). If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key cap 28, the key cap 28 does not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IGS. 7-9), does not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FIG. 10A), and is in the resting position. do. The rod 74 is attached to the key cap 28 so that when the key cap 28 is removed, the rod 74 is not in the housing, and the dashed line in FIG. 8 shows that the key cap 28 is removed. The position of the said rod 74 in case of not being shown is shown. In the first embodiment the rod 74 is constrained to move horizontally along the guide grooves 68, 70 (FIG. 8) (FIG. 8), and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main stem 46 is a guide groove ( 68, 70 (FIG. 9) to be bound horizontally (FIG. 9). Accordingly,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key cap 28 is applied to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guide grooves 68 and 70 of the rod 74 (first embodiment) or the main stem 46 (second embodiment). It is constrained to correspond to the respective longitudinal directions L1 and L2 and the transverse directions H1 and H2. In other words, the key cap 28 may move horizontally in four horizontal moving directions L1, L2, H1, and H2 in two mutually perpendicular directions.

상기 키 캡(28)이 누름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되면 키 캡(28)은 휴지 위치 또는 주 비작동 위치(도10a)에서 "주 작동 위치"로 이동한다. 정확히 세 개의 주 작동 위치가 있다. 제1-주 작동 위치(도10b)는 상기 키 캡(28)의 제1 단부를 수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얻어지며, 즉, 상기 제1 가압 노브(62')를 누름으로써 상기 제1-주 스위치(40')의 상기 주 스템(46)만이 수직으로 이동하여 주 기저부(48)에 대하여 가압되며, 이를 통해 상기 제1-주 스위치(40')의 전기적 상태를 오프인 상태 (전기적 비전도성)에서 온인 상태(전기적 전도성)로 변화시킨다. 제2-주 작동 위치(도10c)는 상기 키 캡(28)의 제2 단부를 수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얻어지며, 즉, 상기 제2 가압 노브(62")를 누름으로써 상기 제2-주 스위치(40")의 상기 주 스템(46)만이 수직으로 이동하여 주 기저부(48)에 대하여 가압되며, 이를 통해 상기 제2-주 스위치(40")의 전기적 상태를 오프인 상태에서 온인 상태로 변화시킨다. 제3 주 작동 위치(도10d)는 상기 키 캡(28) 전체를 수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얻어지며, 즉, 상기 키 캡(28)의 상기 두 개의 가압 노브(62', 62") 사이의 상기 상부면(60)을 누름으로써 두 개의 주 스템(46) 모두가 수직으로 이동하여 두 개의 주 스위치(40', 40") 모두의 전기적 상태를 오프인 상태에서 온인 상태로 변화시킨다. 달리 말하면, 상기 키 캡(28)의 "주 작동 위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주 스위치(40', 40")의 온인 상태로 정의된다.When the key cap 28 is moved vertically by pressing, the key cap 28 is moved from the rest position or the main non-operation position (Fig. 10A) to the "main operation position". There are exactly three main operating positions. The first-main operating position (Fig. 10b) is obtained by vertically moving the first end of the key cap 28, i.e. by pressing the first pressing knob 62 ', the first-main switch ( Only the main stem 46 of 40 ') moves vertically and is pressed against the main base 48, thereby turning the electrical state of the first-main switch 40' off (electrical non-conductive). Change to the on state (electrical conductivity). The second-main operating position (Fig. 10c) is obtained by vertically moving the second end of the key cap 28, i.e. by pressing the second pressing knob 62 " Only the main stem 46 of 40 "moves vertically and is pressed against the main base 48, thereby changing the electrical state of the second-main switch 40" from off to on. The third main operating position (Fig. 10d) is obtained by moving the entirety of the keycap 28 vertically, i.e. between the two pressing knobs 62 ', 62 "of the keycap 28. By pressing the upper surface 60, both main stems 46 move vertically to change the electrical state of both main switches 40 ', 40 "from off to on. In other words, The "main operating position" of the key cap 28 is defined as the on state of at least one of the main switches 40 ', 40 ".

상기 키 캡(28)이 수직 누름에 의해 주어진 주 작동 위치로 이동된 후, 상기 키 캡(28)을 특정 "부 작동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출력 신호를 얻을 수 있다. "부 작동 위치"란 본원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부 스위치(42'(42'a, 42'b, 42'c, 42'd), 42"(42"a, 42"b, 42"c, 42"d))의 온인 상태(전기적 전도성)로 정의된다. 이는 특정의 부 스위치(42', 42")의 상기 부 스템(50)이 해당하는 부 기저부(52)에 대해 가압되어 그 전기적 상태가 오프인 상태(전기적 비전도성)에서 온인 상태(전기적 전도성)로 변할 때까지 특정의 부 위치(42', 42")의 상기 부스템(50)에 힘을 가하도록 상기 키 캡(28)을 종방향 또는 횡방향의 수평으로 이동함으로써 달성된다. 제1 실시예에 있어서, 특정의 제1-부 스위치(42')의 상기 부 스템(50)에 힘을 가하는 것은 상기 키 캡(28)의 상기 로드이다. 제2 실시예에 있어서, 특정의 제1-부 스위치(42')의 상기 부 스템(50)에 힘을 가하는 것은 상기 제1-주 스위치(40')의 상기 스템(46)이며, 특정의 제2-부 스위치(42')의 상기 부 스템(50)에 힘을 가하는 것은 상기 제2-주 스위치(40")의 상기 스템(46)이다. After the key cap 28 has been moved to a given main operating position by vertical pressing, the output signal can be obtained by moving the key cap 28 to a specific "sub operating position". "Sub-operation position" herein means at least one of said sub-switches 42 '(42'a, 42'b, 42'c, 42'd), 42 "(42" a, 42 "b, 42" c, 42 ") in the on state (electrical conductivity). The sub stem 50 of a particular sub-switch 42 ', 42 " is pressed against the corresponding sub-base 52 and its electrical state. The keycap 28 to apply force to the booth 50 at a particular negative position 42 ', 42 "until it changes from the off state (electrical non-conductive) to the on state (electrical conductivity). By moving horizontally in the longitudinal or transverse direction In the first embodiment, applying a force to the substem 50 of a particular first-second switch 42 ' In the second embodiment, forcing the sub stem 50 of a particular first sub switch 42 ′ is the stem 46 of the first main switch 40 ′. The part of the specific second-second switch 42 ' It exerts a force in the system 50 is the stem 46 of the second-state switch (40 ").

주어진 주 작동 위치와 특정의 부 작동 위치의 각 조합에 대해 개별 출력 신호가 얻어진다. 상기 긴 돌출부(64)는 키 캡(28)을 수평으로 이동하거나 조작자의 엄지손가락이 두 개의 가압 노브(62) 사이에 있는 경우 조작자의 엄지손가락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키 캡의 네 개의 수평 이동 방향(L1, L2, H1, H2)과 뒤이은 특정의 부 스위치(42', 42")의 작동에 대응하는 세 개의 주 작동 상태(도10b, 도10c 및 도10d)와 네 개의 부 작동 상태가 있으므로, 총 열두 개의 개별 출력 신호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키 캡(28)의 네 개의 수평 이동 방향(L1, L2, H1, H2)과 뒤이은 특정의 부 스위치(42', 42")의 작동은 키 캡(28)의 제1, 제2, 제3 및 제4 부 작동 위치를 특정한다.A separate output signal is obtained for each combination of a given main operating position and a particular sub operating position. The elongate projection 64 prevents the operator's thumb from slipping when the key cap 28 is moved horizontally or when the operator's thumb is between two pressure knobs 62. Three main operating states (Fig. 10B, Fig. 10C, and Fig. 10)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our horizontal movement directions L1, L2, H1, H2 of the keycap, and subsequent specific sub-switches 42 ', 42 ". 10d) and four sub-operation states, a total of twelve separate output signals can be obtained: four horizontal movement directions L1, L2, H1, H2 of the keycap 28 followed by specific sub-switches. The operation of 42 ′, 42 ″ specifies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minor operating positions of the key cap 28.

비제한적인 예로서, 사용자는 상기 열두 개의 개별 출력 신호를 열 개의 숫자 1, 2, 3, 4, 5, 6, 7, 8, 9, 0 및 "클리어"와 "백스페이스"의 기능을 대표하는 것으로 선택할 수 있다. 주 작동 위치와 부 작동 위치의 어떤 특정 조합이 사용되는지는 선택의 문제이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출력의 제1 세트를 특정하는 숫자 1, 2, 3, 4의 네 개의 출력 신호는, 상기 제1-주 작동 위치(도10b)와 상기 각각의 제1, 제2, 제3 및 제4 부 작동 위치를 통해 얻어지며; 출력의 제2 세트를 특정하는 숫자 5, 6, 7, 8의 네 개의 출력 신호는, 상기 제2-주 작동 위치(도10c)와 상기 각 각의 제1, 제2, 제3 및 제4 부 작동 위치를 통해 얻어지며; 출력의 제3 세트를 특정하는 숫자 9, 0 및 "클리어"와 "백스페이스"의 네 개의 출력 신호는, 상기 제3 주 작동 위치(도10c)와 상기 각각의 제1, 제2, 제3 및 제4 부 작동 위치를 통해 얻어진다.As a non-limiting example, the user may represent the twelve individual output signals with the functions of ten numbers 1, 2, 3, 4, 5, 6, 7, 8, 9, 0 and "clear" and "backspace". We can choose by doing. It is a matter of choice which particular combination of primary and secondary operating positions is used. By way of non-limiting example, four output signals of numbers 1, 2, 3, and 4 specifying the first set of outputs may comprise the first-main operating position (Fig. 10B) and the respective first, second, Obtained through the third and fourth secondary operating positions; Four output signals of numbers 5, 6, 7, 8 specifying the second set of outputs are the second main operating position (Fig. 10c) and the respectiv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Obtained through the secondary operating position; The four output signals of the numbers 9, 0 and "clear" and "backspace" specifying a third set of outputs comprise the third main operating position (Fig. 10c) and the respective first, second, third And a fourth part operating position.

지금부터는 다기능 키 어셈블리(26)가 상술한 출력 신호를 제공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다기능 키 어셈블리(26)의 하나의 가능한 전기 배선 배열의 예시도를 도시한 도11을 참조한다. 상기 두 개의 주 스위치(40'. 40") 및 상기 네 개의 제1-부 스위치(42'(42'a, 42'b, 42'c, 42'd))는, 각 주 스위치(40', 40")의 전기 전도성 주 리드(54)의 하나와 각 제1-부 스위치(40')의 전기 전도성 부 리드(56)의 하나가 전기적으로 공통되는 것과, 각 주 스위치(40', 40")의 전기 전도성 주 리드(54)의 다른 하나와 각 제1-부 스위치(40')의 전기 전도성 부 리드(56)의 다른 하나가 전기적으로 공통되고 접지되는 것을 통해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다.Reference is now made to Figure 11, which shows an illustration of one possible electrical wiring arrangement of the multifunction key assembly 26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or enabling the multifunction key assembly 26 to provide the above-described output signals. do. The two main switches 40 '. 40 "and the four first-second switches 42' (42'a, 42'b, 42'c, 42'd) are each main switch 40 '. One of the electrically conductive main leads 54 of the " 40 " and one of the electrically conductive sub leads 56 of each of the first-second switches 40 'are electrically common, and each of the main switches 40', 40 And the other of the electrically conductive main lead 54 of ") and the other of the electrically conductive sub lead 56 of each first-second switch 40 'are electrically common and grounded.

예시를 위하여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부 작동 위치의 출력 신호가 각각 (I), (Ⅱ), (Ⅲ), (Ⅳ)로 표시되며, 상기 제1 및 제2-주 작동 위치는 각각 (Ⅸb) 및 (Ⅸc)로 표시된다. 이 표시에 의해 상술한 예에 따른 숫자 1의 출력 신호는 출력의 제1 세트에 의해 기호적으로 (Ⅸb) + (I)의 조합으로 주어지며, 이는 도10b에 나타난 것처럼 상기 제1 가압 노브(62')는 가압되어 상기 제1-주 스위치(40')는 온인 상태에 있고 상기 키 캡(28)은 상기 제1-부 작동 위치에 있는 것이다. 유사하게 숫자 5의 출력 신호는 출력의 제2 세트에 의해 기호적으로 (Ⅸc) + (I)의 조합 으로 주어지며, 이는 도10c에 나타난 것처럼 상기 제2 가압 노브(62")는 가압되어 상기 제2-주 스위치(40")는 온인 상태에 있고 상기 키 캡(28)은 상기 제1-부 작동 위치에 있는 것이다. 출력의 제3 세트에 의한 출력 신호를 얻기 위하여 두 개의 주 스위치(40', 40") 모두 온인 상태에 있어야 하며, 이는 도10d에 나타난 것처럼 두 개의 가압 노브(62)가 모두 가압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숫자 9의 출력 신호는 기호적으로 (Ⅸb) + (Ⅸc) + (I)의 조합으로 주어진다.As an example, the output signals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sub-operation positions are denoted by (I), (II), (III), and (IV), respectively, and the first and second notes. The operating position is indicated by (xb) and (xc), respectively. By this indication the output signal of the number 1 according to the example described above is given symbolically by the combination of (기호 b) + (I) by the first set of outputs, as shown in FIG. 62 ') is pressurized so that the first-main switch 40' is in the on state and the key cap 28 is in the first-part operating position. Similarly, the output signal of number 5 is given by the second set of outputs symbolically in the combination of (Ⅸc) + (I), as shown in Fig. 10C, the second press knob 62 " The second-main switch 40 "is in the on state and the key cap 28 is in the first-part operating position. Both main switches 40 ', 40 "must be in the on state to obtain an output signal by the third set of outputs, as both pressing knobs 62 are pressed as shown in Figure 10D. For example, the output signal of number 9 is given symbolically as a combination of (Ⅸb) + (Ⅸc) + (I).

알파벳과 같은 다른 신호를 출력시키기 위하여 상기 키 캡(28)을 상술한 방법으로 이동하기 전에 "더블-클릭"할 수 있다. 다르게는, 하나 이상의 보조키(36)를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숫자, 문자, 기호, 기능 등의 다량의 정보를 상기 다기능 키 어셈블리(26)에서 출력시킬 수 있다.The keycap 28 may be "double-clicked" before moving the keycap 28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to output another signal such as an alphabet. Alternatively, one or more modifier keys 36 may be activated. Therefore,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such as numbers, letters, symbols, functions, and the like can be output from the multifunction key assembly 26.

지금부터는 상기 다기능 키 어셈블리(26)가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출력 신호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다기능 키 어셈블리(26)의 하나의 가능한 전기 배선 배열의 예시도를 도시한 도12을 참조한다. 상기 두 개의 주 스위치(40', 40"), 네 개의 제1-부 스위치(42'(42'a, 42'b, 42'c, 42'd)) 및 네 개의 제2-부 스위치(42"(42"a, 42"b, 42"c, 42"d))는 각 주 스위치(40', 40")의 전기 전도성 주 리드(54)의 하나 및 각 제1-부 스위치(42')의 전기 전도성 부 리드(56)의 하나 및 각 제2-부 스위치(42")가 전기적으로 공통되고, 각 주 스위치(40', 40")의 전기 전도성 주 리드(54)의 다른 하나 및 각 제1-부 스위치(40") 및 각 제2-부 스위치(42')의 전기 전도성 부 리드(56)의 다른 하나가 전기적으로 공통되고 접지되는 것을 통해 상호 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From now on, an illustration of one possible electrical wiring arrangement of the multifunction key assembly 26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or enabling the multifunction key assembly 26 to provide the same output signal as the first embodiment is shown. See, FIG. 12. The two main switches 40 ', 40 ", four first-second switches 42' (42'a, 42'b, 42'c, 42'd) and four second-second switches ( 42 " (42 " a, 42 " b, 42 " c, 42 " d) are one of each electrically conductive main lead 54 of each main switch 40 ', 40 " One of the electrically conductive secondary leads 56 and each second secondary switch 42 "are electrically common and the other of the electrically conductive primary leads 54 of each main switch 40 ', 40". And the other of each first-sub switch 40 " and the other electrically conductive sub lead 56 of each second-sub switch 42 'are electrically common and grounded to each other.

상기 제2 실시예의 다기능 키 어셈블리(26)의 열두 개의 개별 출력 신호는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작동 세트를 상기 키 캡(28)에 적용하는 것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숫자 1의 출력 신호는 출력의 제1 세트에 의해 기호적으로 (Ⅸb) + (I)의 조합으로 주어지며, 이는 도10b에 나타난 것처럼 상기 제1 가압 노브(62')가 가압되어 상기 제1-주 스위치(40')는 온인 상태에 있고 상기 키 캡(28)은 상기 제1-부 작동 위치에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실시예의 유일한 차이는,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상기 키 캡(28)의 상기 로드(74)가 특정의 제1-부 스위치(42')의 상기 부 스템(50)에 힘을 가하여 상기 키 캡(28)의 특정의 부 작동 위치를 얻는 것이다. 반면에, 제2 실시예에서는 제1-주 스위치(40')의 스템(46)이 특정의 제1-부 스위치(42')의 상기 부 스템(50) 및 특정의 제2-부 스위치(40")의 상기 부 스템(50)에 힘을 가하여 상기 키 캡(28)의 특정의 부 작동 위치를 얻는 것이다.The twelve separate output signals of the multifunction key assembly 26 of the second embodiment can be obtained by applying the operation set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to the key cap 28. For example, the output signal of the number 1 is given symbolically by the first set of outputs in a combination of (xb) + (I), which is pressed by the first pressing knob 62 'as shown in Figure 10b. So that the first-main switch 40 'is in the on state and the key cap 28 is in the first-part operating position. As described above, the only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is that, in the first embodiment, the rod 74 of the key cap 28 is the sub-system of the particular first-second switch 42 '. A force is applied to 50 to obtain a particular suboperating position of the key cap 28. On the other hand,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stem 46 of the first-main switch 40 'is connected to the sub-stem 50 and the particular second-sub switch of the particular first-sub switch 42'. 40 ") to apply a force to the sub stem 50 to obtain a particular sub acting position of the key cap 28.

비록 본 발명이 어느 정도의 구체성을 갖고 설명되어 있으나, 본원의 청구범위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 및 개량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휴대폰을 참조하여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른 유사한 전자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Although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some specificity,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herein. In particular,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mobile phone. However,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other similar electronic devices.

Claims (13)

다기능 키 어셈블리(28)이며,Multifunction key assembly (28), 상호 간에 모두 전기적으로 연결된 두 개의 주 스위치인 제1-주 스위치(40') 및 제2-주 스위치(40")와 네 개의 제1-부 스위치(42'a, 42'b, 42'c, 42'd)와;Two primary switches, the first-main switch 40 'and the second-main switch 40 ", which are all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four first-sub switches 42'a, 42'b, 42'c. , 42'd); 상기 두 개의 주 스위치(40', 40")와 기계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네 개의 제1-부 스위치(42'a, 42'b, 42'c, 42'd) 중 임의의 하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1-부 스위치(42'a, 42'b, 42'c, 42'd) 중 임의의 하나와 함께 상기 두 개의 주 스위치(40', 40")를 개별적으로 또는 동시에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다기능 키 어셈블리(26)에서 총 열두 개의 개별 출력 신호를 내보낼 수 있으며, 이 중 네 개의 개별 출력 신호는 상기 제1-주 스위치(40')를 상기 네 개의 제1-부 스위치(42'a, 42'b, 42'c, 42'd) 중 임의의 하나와 함께 작동시켜 얻고, 다른 네 개의 개별 출력 신호는 상기 제2-주 스위치(40")를 상기 네 개의 제1-부 스위치(42'a, 42'b, 42'c, 42'd) 중 임의의 하나와 함께 작동시켜 얻고, 또 다른 네 개의 개별 출력 신호는 상기 제1 및 제2-주 스위치(40', 40")를 상기 네 개의 제1-부 스위치(42'a, 42'b, 42'c, 42'd) 중 임의의 하나와 동시에 작동시켜 얻는 단일 키 캡(28)을 포함하는 다기능 키 어셈블리(26).Mechanically coupled to the two main switches 40 ', 40 ", and optionally any one of the four first-second switches 42'a, 42'b, 42'c, 42'd And actuate the two main switches 40 ', 40 "individually or together with any one of the first-second switches 42'a, 42'b, 42'c, 42'd. It can be selectively activated at the same time, which allows the multi-function key assembly 26 to emit a total of twelve separate output signals, four of which output the first-main switch 40 '. Obtained by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any one of the four first-second switches 42'a, 42'b, 42'c, 42'd, the other four separate output signals are said second main switch 40 ". Is obtained by operating with any one of the four first-second switches 42'a, 42'b, 42'c, 42'd, and another four separate output signals are provided with the first and second Main switch (40 ', 40 ") ) Multifunction key assembly 26 comprising a single key cap 28 obtained by actuating simultaneously with any one of the four first-second switches 42'a, 42'b, 42'c, 42'd. ). 제1항에 있어서, 주 비작동 위치가 두 개의 주 스위치(40', 40") 모두가 전기적으로 오프(off)인 상태이며, 주 작동 위치가 주 스위치(40', 40")의 적어도 하 나가 전기적으로 온(on)인 상태라고 할 때, 상기 키 캡(28)은 주 비작동 위치에서 주 작동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작동되며, 상기 키 캡(28)은 적어도 일부분을 수직으로 누름으로써 주 비작동 위치에서 주 작동 위치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주 작동 위치에는 주 스위치(40', 40") 중 하나의 주 스위치가 전기적으로 온인 상태에 있는 것에 대응하는 제1-주 작동 위치와 주 스위치(40', 40") 중 다른 하나의 주 스위치가 전기적으로 온인 상태에 있는 것에 대응하는 제2-주 작동 위치와, 두 개의 주 스위치(40', 40")가 동시에 전기적으로 온인 상태에 있는 것에 대응하는 제3-주 작동 위치의 총 세 개의 주 작동 위치가 있는 다기능 키 어셈블리(26).2. The main non-operation position i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both main switches 40 ', 40 "are electrically off, and the main actuation position is at least one of the main switches 40', 40". When said state is electrically on, the key cap 28 is activated by moving from the main non-operation position to the main operation position, and the key cap 28 is operated by pressing at least a portion vertically. It can be moved from the operating position to the main operating position, in which the first-main operating position and the main switch corresponding to the fact that the main switch of one of the main switches 40 ', 40 "are in the electrically on state. A second-main operation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ther main switch of 40 ', 40 "in the electrically on state, and the two main switches 40', 40" in the electrically on state at the same time Total three main operating positions corresponding to Multifunction key assembly (2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키 캡(28)은 두 개의 상호 수직 방향(L1, L2, H1, H2)으로 네 개의 부 작동 위치 중 임의의 하나로 수평 이동이 가능한 다기능 키 어셈블리(26).The multifunction key assembly (26) of claim 2, wherein said key cap (28) is horizontally movable in any one of four sub-operation positions in two mutually perpendicular directions (L1, L2, H1, H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키 캡(28)의 하나의 특정 주 작동 위치와 주어진 하나의 부 작동 위치의 각 조합에 대하여 열두 개의 가능한 출력 신호 중 특정의 개별 출력 신호가 출력되는 다기능 키 어셈블리(26).4. The multifunction key assembly 26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for each combination of one specific main operating position of the key cap 28 and one given sub operating position a specific individual output signal of the twelve possible output signals is output.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 개의 제1-부 스위치(42'a, 42'b, 42'c, 42'd) 각각은 부 기저부(52)와 그로부터 뻗는 부 스템(50)을 갖고, 각 주 스위치(40', 40")는 주 기저부(48)와 그로부터 뻗는 주 스템(46)을 갖고, 상기 키 캡(28)은 각 주 스위 치(40', 40")의 주 스템(46)에 결합된 다기능 키 어셈블리(28).2. Each of the four first-sub switches 42'a, 42'b, 42'c, 42'd has a subbase 52 and a sub stem 50 extending therefrom The main switch 40 ', 40 "has a main base 48 and a main stem 46 extending therefrom, the key cap 28 having a main stem 46 of each main switch 40', 40". Multifunction key assembly (28) coupled to.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키 캡(28)은 그의 하부면(60)에서 뻗고 상기 네 개의 제1-부 스위치(42'a, 42'b, 42'c, 42'd) 사이를 통과하는 중앙에 있는 로드(74)를 갖고, 상기 네 개의 부 작동 위치 중 주어진 하나의 부 작동 위치는 상기 로드(74)를 상기 네 개의 제1-부 스위치 중 주어진 하나의 제1-부 스위치의 상기 부 스템(50)을 부 기저부(52)를 향해 전기적 상태가 오프인 상태에서 온인 상태로 변할 때까지 가압함으로써 얻어지며, 이를 통해 주어진 하나의 제1-부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다기능 키 어셈블리(26).6. The key cap (28)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key cap (28) extends from its lower surface (60) and passes between the four first-second switches (42'a, 42'b, 42'c, 42'd). With a rod 74 in the center, one of the four sub-actuating positions, the one sub actuating position, causes the rod 74 to be the first of the four first-sub switches, A multifunction key assembly 26 which is obtained by pressing the stem 50 towards the subbase 52 until it changes from an off state to an on state, thereby activating a given one first-second switch.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74)가 통과하는 상호 수직이며 십자가 모양의 구멍(72)을 형성하는 두 개의 관통 안내 홈(68, 70)을 갖는 제1 안내 부재(44')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안내 부재(44')는 상기 키 캡(28)과 상기 네 개의 제1-부 스위치 사이에 위치되는 다기능 키 어셈블리(26).7. The device of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first guide member (44 ') having two through guide grooves (68, 70) forming mutually perpendicular and cross-shaped holes (72) through which the rod (74) passes. And the first guide member (44 ') is located between the key cap (28) and the four first-second switches. 제5항에 있어서, 상호 간에 그리고 모든 다른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네 개의 제2-부 스위치(42"a, 42"b, 42"c, 42"d)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주 스위치(40')의 상기 주 스템(46)은 상기 네 개의 제1-부 스위치(42'a, 42'b, 42'c, 42'd) 사이를 통과하며; 상기 제2-주 스위치(40")의 상기 주 스템(46)은 상기 네 개의 제2-부 스위치(42"a, 42"b, 42"c, 42"d) 사이를 통과하며; 상기 키 캡(28)은 두 개의 상호 수직 방향(L1, L2, H1, H2)으로 네 개의 부 작동 위치 중 임의의 하나로 수평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네 개의 부 작동 위치 중 주어진 하나의 부 작동 위치는 상기 제1-주 스위치(40')의 상기 주 스템(46)이 상기 네 개의 제1-부 스위치(42'a, 42'b, 42'c, 42'd) 중 주어진 하나의 제1-부 스위치의 상기 부 스템(50)을 부 기저부(52)를 향해 전기적 상태가 오프인 상태에서 온인 상태로 변할 때까지 가압함으로써 얻어지며, 이를 통해 주어진 하나의 제1-부 스위치를 작동시키며, 제2-주 스위치(40")의 상기 주 스템이 상기 네 개의 제2-부 스위치(42"a, 42"b, 42"c, 42"d) 중 주어진 하나의 제2-부 스위치의 상기 부 스템(50)을 부 기저부(52)를 향해 전기적 상태가 오프인 상태에서 온인 상태로 변할 때까지 가압함으로써 얻어지며, 이를 통해 주어진 제2-부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다기능 키 어셈블리(26). 6. The apparatus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four second-second switches 42 "a, 42" b, 42 "c, 42" d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o all other switches; The main stem 46 of the first-main switch 40 'passes between the four first-sub switches 42'a, 42'b, 42'c, 42'd; The main stem 46 of the second-main switch 40 "passes between the four second-second switches 42" a, 42 "b, 42" c, 42 "d; The cap 28 is horizontally movable in any one of the four sub operating positions in two mutually perpendicular directions L1, L2, H1, H2; a given one of the four sub operating positions is The first stem of the given one of the four first-second switches 42'a, 42'b, 42'c, 42'd is the main stem 46 of the first-main switch 40 '. Is obtained by pressing the sub stem 50 of the switch towards the sub-base 52 until the electrical state changes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thereby activating a given one first-second switch, the second The sub stem of the second sub-switch of the given one of the four second sub-switches 42 "a, 42" b, 42 "c, 42" d of said four main switches 40 ". Move 50 towards the vice base 52 It is obtained by the pressure until the enemy state is changed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this multifunction key assembly (26) for operating the given second-unit switches over. 제8항에 있어서, 정확히 두 개의 안내 부재(44', 44")를 더 포함하며, 각 안내 부재는 상호 수직이며 십자가 모양의 구멍(72)을 형성하는 두 개의 관통 안내 홈(68, 70)을 갖고, 상기 제1-주 스위치(40')의 상기 주 스템(46)은 상기 제1 안내 부재(44')의 십자가 모양의 구멍(72)을 통과하며, 상기 제2-주 스위치(40")의 상기 주 스템(46)은 상기 제2 안내 부재(44")의 십자가 모양의 구멍(72)을 통과하며, 상기 제1 안내 부재는 상기 키 캡과 상기 네 개의 제1-부 스위치 사이에 있고, 상기 제2 안내 부재는 상기 키 캡과 상기 네 개의 제2-부 스위치 사이에 있는 다기능 키 어셈블리(26).9. The device of claim 8, further comprising exactly two guide members 44 ', 44 ", each guide member having two through guide grooves 68, 70 which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form a cross-shaped hole 72. The main stem 46 of the first-main switch 40 'passes through the cross-shaped hole 72 of the first guide member 44', and the second-main switch 40 The main stem 46 of ") passes through the cross-shaped hole 72 of the second guide member 44 ", wherein the first guide member is between the keycap and the four first-second switches. And the second guide member is between the key cap and the four second-second switches. 제1항에 있어서, 상호 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정확히 두 개의 주 스위치(40', 40")를 갖는 다기능 키 어셈블리(26). The multifunction key assembly (26) of claim 1, having exactly two main switches (40 ', 40 ")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열두 개의 개별 출력 신호의 하나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며,To provide one of twelve separate output signals, (a) 정확히 두 개의 주 스위치(40', 40"), 상기 두 개의 주 스위치(40', 40") 그리고 상호 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정확히 네 개의 제1-부 스위치(42'a, 42'b, 42'c, 42'd), 및 상기 두 개의 주 스위치(40', 40")에 기계적으로 결합된 단일 키 캡(28)을 포함하는 다기능 키 어셈블리(26)를 제공하는 단계와;(a) Exactly two primary switches 40 ', 40 ", two main switches 40', 40" and exactly four first-second switches 42'a, 42'b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Providing a multifunction key assembly (26) comprising a single key cap (28) mechanically coupled to the two main switches (40 ', 40 "); (b) 주 비작동 위치는 상기 두 개의 주 스위치(40', 40") 모두가 전기적으로 오프인 상태이며, 주 작동 위치는 주 스위치(40', 40")의 적어도 하나가 전기적으로 온인 상태라고 할 때, 상기 키 캡(28)의 적어도 한 부분을 누름으로써 주 비작동 위치에서 주 작동 위치로 상기 키 캡(28)을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b) The main non-operation position is the state in which both of the two main switches 40 ', 40 "are electrically off, and the main operation position is the state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main switches 40', 40" is electrically on. Moving the key cap (28) vertically from the main non-operation position to the main operation position by press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key cap (28); (c) 부 비작동 위치는 상기 네 개의 제1-부 스위치(42'a, 42'b, 42'c, 42'd) 모두가 오프인 상태이며, 부 작동 위치는 네 개의 제1-부 스위치(42'a, 42'b, 42'c, 42'd) 중 하나가 전기적으로 온인 상태라고 할 때 열두 개의 개별 출력 신호의 하나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키 캡(28)을 상호 수직인 두 방향(L1, L2, H1, H2)중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네 개의 부 작동 위치 중 하나의 부 작동 위치에 이르게 함으로써 부 비작동 위치에서 부 작동 위치로 상기 키 캡을 수평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두 개의 개별 출력 신호의 하나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c) The negative non-operation position is a state in which all of the four first-sub switches 42'a, 42'b, 42'c, 42'd are off, and the sub-operation position is four first-sub When one of the switches 42'a, 42'b, 42'c, 42'd is in an electrically on state, the keycaps 28 are mutually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o provide one of the twelve separate output signals. Moving the keycap horizontally from the non-operational position to the suboperation position by moving in one of the directions L1, L2, H1, H2 to reach the suboperation position of one of the four suboperation positions. A method for providing one of twelve separate output signals. 제1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1, (d) 부 작동 위치가 상기 제2-부 스위치(42'a, 42'b, 42'c, 42'd) 중 하나가 전기적으로 온인 상태라고 할 때, 상기 두 개의 주 스위치(40', 40") 그리고 상기 네 개의 제1-부 스위치(42'a, 42'b, 42'c, 42'd)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정확히 네 개의 제2-부 스위치(42"a, 42"b, 42"c, 42"d)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열두 개의 개별 출력 신호의 하나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d) when the sub-operation position is one of the second sub-switches 42'a, 42'b, 42'c, 42'd is in an electrically on state, the two main switches 40 ', 40 ") and exactly four second-second switches 42" a, 42 "b, electrically connected to said four first-second switches 42'a, 42'b, 42'c, 42'd, 42 "c, 42" d), further comprising providing one of twelve separate output signals. 휴대폰(20)이며:Mobile phone 20: 복수의 표면(25, 37)을 포함하는 케이싱(22)과;A casing 22 including a plurality of surfaces 25 and 37; 디스플레이 화면(24)과;A display screen 24; 다기능 키 어셈블리(26)를 포함하며, 상기 키 어셈블리(26)는:A multifunction key assembly 26, the key assembly 26 being: 두 개의 주 스위치(40', 40")와, 상기 두 개의 주 스위치(40', 40") 그리고 상호 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네 개의 제1-부 스위치(42'a, 42'b, 42'c, 42'd)와;Two main switches 40 ', 40 ", two main switches 40', 40" and four first-second switches 42'a, 42'b, 42'c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 42'd); 상기 두 개의 주 스위치(40', 40")와 기계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네 개의 제1-부 스위치(42'a, 42'b, 42'c, 42'd) 중 임의의 하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1-부 스위치(42'a, 42'b, 42'c, 42'd) 중 임의의 하나와 함께 상기 두 개의 주 스위치(40', 40")를 개별적으로 또는 동시에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다기능 키 어셈블리(26)에서 총 열두 개의 개별 출력 신호를 내보낼 수 있는 단일 키 캡(28)을 포함하는 휴대폰(20).Mechanically coupled to the two main switches 40 ', 40 ", and optionally any one of the four first-second switches 42'a, 42'b, 42'c, 42'd And actuate the two main switches 40 ', 40 "individually or together with any one of the first-second switches 42'a, 42'b, 42'c, 42'd. A cell phone (20) comprising a single key cap (28) which can be selectively actuated simultaneously, thereby allowing a total of twelve separate output signals from the multifunction key assembly (26).
KR1020087004789A 2005-08-30 2006-08-21 Multifunction key assembly KR10101090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L170586A IL170586A (en) 2005-08-30 2005-08-30 Multifunction key assmbly for an electronic device
IL170586 2005-08-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7544A true KR20080047544A (en) 2008-05-29
KR101010901B1 KR101010901B1 (en) 2011-01-26

Family

ID=37450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4789A KR101010901B1 (en) 2005-08-30 2006-08-21 Multifunction key assembly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EP (1) EP1920450B1 (en)
JP (1) JP4864090B2 (en)
KR (1) KR101010901B1 (en)
CN (1) CN101253590B (en)
AT (1) ATE428181T1 (en)
AU (1) AU2006286141A1 (en)
BR (1) BRPI0614408A2 (en)
CA (1) CA2620652A1 (en)
DE (1) DE602006006192D1 (en)
ES (1) ES2323898T3 (en)
IL (1) IL170586A (en)
MX (1) MX2008002694A (en)
NO (1) NO20081556L (en)
NZ (1) NZ565715A (en)
PL (1) PL1920450T3 (en)
RU (1) RU2447533C2 (en)
WO (1) WO2007026345A1 (en)
ZA (1) ZA200801852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36734A (en) * 2011-03-31 2012-10-17 和硕联合科技股份有限公司 Electronic device and function execution method applied thereto
CN107331565B (en) * 2016-04-29 2019-11-12 厦门致杰智能科技有限公司 The composite-key of intellectual water closet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21267A1 (en) * 1987-06-27 1989-01-05 Daimler Benz Ag CONTROL UNIT FOR HAND CONTROL OF REVERSIBLE ELECTRICAL ADJUSTMENT DEVICES
JP3744643B2 (en) * 1997-03-27 2006-02-1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JP2001036624A (en) * 1999-07-23 2001-02-09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Mobile phone set and its input device
JP3710668B2 (en) * 2000-02-14 2005-10-26 ホシデン株式会社 Multi-contact input device
CN1912810A (en) * 2000-05-22 2007-02-14 数字无线有限责任公司 Input devices and their use
TW516060B (en) * 2000-10-31 2003-01-01 Hosiden Corp Slide switch
JP2003109467A (en) * 2001-09-27 2003-04-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Rotary operation type electronic component and input device using the same
CN1188895C (en) * 2002-10-08 2005-02-09 颜怀玮 Environment-protecting long-life fluorescent lamp
JP4285064B2 (en) * 2003-04-28 2009-06-24 ソニー株式会社 Switch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20081556L (en) 2008-03-28
JP4864090B2 (en) 2012-01-25
CN101253590A (en) 2008-08-27
EP1920450B1 (en) 2009-04-08
WO2007026345A1 (en) 2007-03-08
AU2006286141A1 (en) 2007-03-08
JP2009506701A (en) 2009-02-12
RU2008106999A (en) 2009-10-10
ATE428181T1 (en) 2009-04-15
ZA200801852B (en) 2009-09-30
DE602006006192D1 (en) 2009-05-20
IL170586A (en) 2011-04-28
CA2620652A1 (en) 2007-03-08
PL1920450T3 (en) 2009-08-31
RU2447533C2 (en) 2012-04-10
NZ565715A (en) 2009-11-27
EP1920450A1 (en) 2008-05-14
ES2323898T3 (en) 2009-07-27
CN101253590B (en) 2010-05-19
MX2008002694A (en) 2008-03-14
KR101010901B1 (en) 2011-01-26
BRPI0614408A2 (en) 2016-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68899A (en) Keyboard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1010901B1 (en) Multifunction key assembly
KR100997583B1 (en) Multifunction key assembly
US7217892B2 (en) Multifunction key assembly
US7102086B2 (en) Switch arrangement
TWI356627B (en) Multifunction key assembly
JP2000276982A (en) Rubber switch
KR100465305B1 (en) Button type switch
KR101172446B1 (en) Keypad and mobile terminal having it
KR100625454B1 (en) Dome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switching contact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dome switch
KR20130120998A (en) Electrical switch, of the normally-closed type, especially for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JP2005174826A (en) Inpu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