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7321A - Process and system for thermal insulation of cryogenic containers and tanks - Google Patents

Process and system for thermal insulation of cryogenic containers and tank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7321A
KR20080047321A KR1020077030765A KR20077030765A KR20080047321A KR 20080047321 A KR20080047321 A KR 20080047321A KR 1020077030765 A KR1020077030765 A KR 1020077030765A KR 20077030765 A KR20077030765 A KR 20077030765A KR 20080047321 A KR20080047321 A KR 200800473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on
test
insulating
panel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307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앤스테인 소렌센
Original Assignee
티아이 마린 컨트랙팅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아이 마린 컨트랙팅 에이에스 filed Critical 티아이 마린 컨트랙팅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080047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732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9/141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in which the temperature of the medium is below that of the ambient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17C3/04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by insulating lay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17C3/022Land-based bulk storage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17C3/025Bulk storage in barges or on sh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1Shape
    • F17C2201/0128Shape spherical or ellipt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1Shape
    • F17C2201/0147Shape complex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1Shape
    • F17C2201/0147Shape complex
    • F17C2201/0157Polygon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5Size
    • F17C2201/052Size large (>1000 m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3Thermal insulations
    • F17C2203/0304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 F17C2203/0329Fo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3Thermal insulations
    • F17C2203/0304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 F17C2203/0329Foam
    • F17C2203/0333Polyureth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6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Properties or structures of walls or their materials
    • F17C2203/0602Wall structures; Special features thereof
    • F17C2203/0612Wall structures
    • F17C2203/0614Single wall
    • F17C2203/0619Single wall with two lay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6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Properties or structures of walls or their materials
    • F17C2203/0602Wall structures; Special features thereof
    • F17C2203/0612Wall structures
    • F17C2203/0614Single wall
    • F17C2203/0621Single wall with three lay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6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Properties or structures of walls or their materials
    • F17C2203/0602Wall structures; Special features thereof
    • F17C2203/0612Wall structures
    • F17C2203/0614Single wall
    • F17C2203/0624Single wall with four or more lay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6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Properties or structures of walls or their materials
    • F17C2203/068Special properties of materials for vessel walls
    • F17C2203/0692Special properties of materials for vessel walls transpar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1Pure fluids
    • F17C2221/011Oxyg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1Pure fluids
    • F17C2221/012Hydrog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1Pure fluids
    • F17C2221/014Nitrog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1Pure fluids
    • F17C2221/016Noble gases (Ar, Kr, Xe)
    • F17C2221/017Heli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5Propane butane, e.g. LPG, GP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3/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3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ressure level
    • F17C2223/033Small pressure, e.g. for liquefied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3Dealing with losses
    • F17C2260/031Dealing with losses due to heat transfer
    • F17C2260/033Dealing with losses due to heat transfer by enhancing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34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placed above the ground
    • F17C2270/0136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2Hydrogen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An insulation system for cryogenic containers and tanks comprising at least dual layered insulation panels with groove-and-ridge cooperating assembly structures as well as a groove for injecting a fluid insulation material into the panels provides an improvement for insulating such containers and tanks.

Description

극저온 용기 및 탱크의 단열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PROCESS AND SYSTEM FOR THERMAL INSULATION OF CRYOGENIC CONTAINERS AND TANKS}PROCESS AND SYSTEM FOR THERMAL INSULATION OF CRYOGENIC CONTAINERS AND TANKS

본 발명은 극저온 용기 및 탱크의 단열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뿐만 아니라, 이러한 단열 시스템 및 방법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단열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methods and systems for the insulation of cryogenic vessels and tanks, as well as to insulation plates suitable for use in such insulation systems and methods.

대부분 저비등점을 가질 수 있고 그에 따라 표준 상태(20℃, 760 mmHg) 하에서 기체의 상태로 존재할, 예컨대 액체 암모니아, 헬륨, 수소, 산소, 질소, 메탄, 에탄, 프로판 등의 액체 상태의 가스와 같은 저온 비등 유체를 운반할 때, 액체가 기체 상태에서의 동일한 질량일 때보다 상당히 작은 체적을 요구하기 때문에 이들 유체를 가능한 한 낮은 온도로 냉각하여 액체 형태가 되게 하고 이에 의해 이들의 대량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이러한 운반이 갖는 문제점은, 운반 용기가 매우 양호하게 단열되지 않으면, 다량의 유체가 소위 "증발(boil-off)"을 통해 사라질 수 있고, 따라서 이러한 용기 및 탱크를 매우 양호하게 단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극저온 유체를 위한 온도 간격은 -50℃ 내지 -273℃의 간격,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50℃, 더욱 바람직하게는 -125℃ 내지 - 200℃의 간격에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탱크에 저장될 수 있는 관련 유체를 위한 운반 온도는 전술된 바와 같이 이러한 유체에 대한 비등 온도이거나 또는 비등 온 도 이하일 수 있다. 이러한 단열을 위해 사용되는 단열재는, 용기쪽을 향한 표면에서는 관련 유체에 대한 비등점에 매우 근접한 온도가 존재하고 용기 반대쪽을 향한 표면에서는 주위 온도에 매우 근접한 온도가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급격한 열 구배를 극복하고 견디는 것이 가능해야만 한다. 부가적으로, 이러한 단열재는 가능한 한 주변으로의/주변으로부터의 몇몇 온도 전달 지점을 제공하는 용기 둘레의 연속적인 층을 나타내어야 한다.Most can have a low boiling point and therefore exist in the gaseous state under standard conditions (20 ° C., 760 mmHg), such as liquid gas such as liquid ammonia, helium, hydrogen, oxygen, nitrogen, methane, ethane, propane, etc. When transporting cold boiling fluids, they require a much smaller volume than when the liquids are the same mass in the gaseous state, so that these fluids are cooled to as low a temperature as possible to form liquids, thereby facilitating their mass transport. It is advantageous to. However, the problem with this transport is that if the transport container is not very well insulated, a large amount of fluid may disappear through the so-called "boil-off", so it is very good to insulate such a container and tank very well. very important. The temperature interval for such cryogenic fluids may be at intervals of -50 ° C to -273 ° C, preferably at intervals of -100 ° C to -250 ° C, more preferably -125 ° C to -200 ° C. The transport temperature for the relevant fluid that can be stored in such a tank can be at or below the boiling temperature for such fluid as described above. Insulation materials used for such insulation have very rapid thermal gradients, because on the surface facing the vessel there may be a temperature very close to the boiling point for the relevant fluid and on the surface facing the vessel there may be a temperature very close to the ambient temperature. It must be possible to overcome and endure. In addition, these insulations should exhibit a continuous layer around the vessel that provides some temperature transfer points to and from the perimeter as far as possible.

압력 문제뿐만 아니라, 가장 유리한 체적-대-표면 비로 인하여, 전술된 바와 같은 그러한 유체를 구형 용기 내에서 운반하는 것이 유리하다(원통형, 각주형 및 회전 타원체 또는 심지어 입방체 용기와 같은 다른 형상이 또한 적절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시스템은 반드시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 이러한 용기의 기하학적 디자인이 갖는 문제점은 단열이 3차원으로 만곡되는 표면(하지만, 실린더의 측면은 2차원으로 만곡될 것이며 입방체의 측면은 평탄할 것임)에 적용 가능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전술된 바와 같은 극저온 용기용 단열 시스템은 또한 모든 이들 유형의 기하학적 형상에 적용 가능해야만 한다.In addition to the pressure issues, it is advantageous to transport such fluids in spherical vessels as described above due to the most advantageous volume-to-surface ratio (other shapes such as cylindrical, prismatic and spheroidal or even cubic vessels would also be appropriate). And the method and system according to the invention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shape. The problem with this container's geometric design is that the insulation must be applicable to surfaces that are curved in three dimensions (but the sides of the cylinder will be curved in two dimensions and the sides of the cube will be flat). Thus, the thermal insulation system for cryogenic containers as described above must also be applicable to all these types of geometries.

종래 기술Prior art

관련 종래 기술 중에서, 단열재로 제조되는 셀(cell)들의 매트릭스(matrix)와 또한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매트릭스 셀들 간의 조인트 내의 단열재로 이루어지는 단열 라이닝(lining)을 갖는, 0℃ 이하의 온도에서 액화된 가스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용기가 미국 특허 제3,948,406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라이닝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종래 기술에 따른 라이 닝은 라이닝이 구성되는 현장에서 이들이 배치될 때 선택된 단열재의 블록의 아래에, 그 사이에 그리고 그 위에 중합 가능한 또는 경화 가능한 중합체성 조성물을 적용함으로써 층을 형성하여 만들어지며, 이러한 중합 가능한 조성물은 이후 현장에서 중합 및/또는 경화되는 일종의 모르타르(mortar)를 구성한다.Among the related prior arts, liquefaction at temperatures below 0 ° C., with a thermal insulation lining consisting of a matrix of cells made of thermal insulation and also preferably a thermal insulation in the joint between matrix cells such as polyurethane. Storage vessels for storing the purified gas are known from US Pat. No. 3,948,406. Also disclosed are methods for forming such linings. The lining according to this prior art is made by forming a layer by applying a polymerizable or curable polymeric composition under, between and over a block of selected insulation when they are placed at the site where the lining is constructed, Such a polymerizable composition constitutes a kind of mortar which is then polymerized and / or cured in situ.

미국 특허 제3,420,396호로부터, 주름 형성된 벽 및 용기의 외부벽의 내측으로 지향된 주름부(corrugation) 내로 맞닿음 방식으로 끼워지는 단열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단열 탱크가 공지되어 있다.From US Pat. No. 3,420,396 a thermal insulation tank is known which consists of an insulating block which fits in a manner which abuts into a corrugation directed towards the inside of the outer wall of the container and the corrugated wall.

일본 특허는 원통형 탱크의 반구형 부분과 탱크의 원통형 본체 사이의 경계에 근접하여 위치되는 스터드 블록에 작용하는 최대 굽힘 모멘트를 통해 굽힘 모멘트의 양을 감소시키는 원통형 극저온 탱크를 위한 단열 구조체를 개시하고 있다. 구조체는 외관상으로 적층된 층들 사이의 중간 위치의 와이어 망과 적층 방식으로 배치되고 결합제로서 합성 폼 형성 수지체(synthetic foaming resin body)를 구비하는 단열재의 섹션들을 맞댐으로써 형성된다.The Japanese patent discloses an insulating structure for a cylindrical cryogenic tank that reduces the amount of bending moment through the maximum bending moment acting on the stud block located proximate the boundary between the hemispherical portion of the cylindrical tank and the cylindrical body of the tank. The structure is formed by joining sections of insulation that are placed in a laminating manner with a wire mesh in an intermediate position between the apparently laminated layers and having a synthetic foaming resin body as a binder.

종래, 구형 용기 둘레에 연속적으로 권취되어 있는 스트립의 형태로 단열재를 추가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여기서 이러한 스트립의 각각의 권선 사이의 접합 영역은 단열재가 용기의 표면에서 연속적이 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에지 영역에서 서로 단부가 맞닿도록 접착되거나 용접되어야만 한다(상기 참조).Conventionally, it is common to add insulation in the form of a strip that is wound continuously around a spherical vessel, where the joining area between each winding of such strip is at the edge region to ensure that the insulation is continuous at the surface of the vessel. It must be glued or welded so that the ends abut each other (see above).

이는 도1에 도시되어 있다.This is shown in FIG.

이러한 스트립은 일반적으로 하나의 단일층으로 용기의 표면에 배치된다. 이러한 단열재의 재료는 일반적으로 경량이고 제조가 용이하기 때문에 단열용 재료 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폴리스티렌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단열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Such strips are generally placed on the surface of the container in one monolayer. The material of such insulation is generally polystyrene, which is generally used as a material for insulation because it is light in weight and easy to manufactur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heat insulating material.

또한, 단열재의 플레이트는 극저온 용기의 단열을 위한 단일 플레이트 층의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단열 플레이트 해결책이 도2에 도시되어 있다. 이 기술은 플레이트의 제조에 있어서 상당한 공차 요건(작은 공차)을 필요로 한다. 설치 중에 플레이트 접합은 주형(mould)의 사용을 요구하며, 표면은 성형/주조에 후속하는 후처리를 요구한다.In addition, plates of insulation are used in the form of a single plate layer for the insulation of cryogenic containers. The conventional insulation plate solution is shown in FIG. This technique requires significant tolerance requirements (small tolerances) in the manufacture of plates. Plate installation during installation requires the use of a mold and the surface requires post-treatment subsequent to molding / casting.

그러나, 저온 비등 유체의 운반에 관한 더욱 엄격한 규제 때문에, 이러한 단열재의 하나의 단일층은 더 이상 적절한 것으로서 고려되지 않는다. 전술된 바와 같이 스트립의 형태로 단열재의 부가의 층의 하나의 단일 추가는 경제적으로 가능하지 않고, 따라서 이러한 극저온 용기 및 탱크의 적절한 단열에 관한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However, due to stricter regulations regarding the transport of cold boiling fluids, one monolayer of such insulation is no longer considered appropriate. As described above, one single addition of an additional layer of insulation in the form of a strip is not economically feasible, and thus a problem arises with proper insulation of such cryogenic containers and tanks.

본 발명은 일 태양에서 이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is problem in one aspect.

극저온 용기를 격리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에서, 단열 폼(foam) 재료를 생성하기 위한 단열 특성 및/또는 폼 형성 특성을 갖는 다른 재료가 가능할지라도, 예를 들면 발포 또는 압출 폴리스티렌(EPS)의 플레이트가 사용된다. 이러한 재료의 예는 폼형(foamed) 폴리에틸렌, 발포 폴리스티렌 및 폼형 폴리우레탄이다. 이러한 플레이트는, 이들이 평탄면으로서 제공될 때, 이들이 15 mm보다 큰 극저온 용기의 표면에 간격을 제공하지 않아야만 하기 때문에 단열될 표면의 곡률에 적용되는 크기이고, 바람직하게는 용기 벽에 대해 평탄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간격은, 공기가 양호한 단열재이기 때문에 모두 동일하게 한정되지는 않을 것이다. 플레이트는 또한 이들이 장착될 표면에 적용되는 곡률로 제조될 수 있지만, 이는 플레이트의 비용을 증가시키고 이들의 제조를 더 번거롭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면 플레이트를 평탄하게, 하지만 덮일 용기가 또한 작은 치수를 갖는다면 보다 작은 치수를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n systems and methods according to the invention for isolating cryogenic containers, although other materials with insulating and / or foam forming properties for producing insulating foam materials are possible, for example foamed or extruded polystyrene (EPS) ) Plate is used. Examples of such materials are foamed polyethylene, expanded polystyrene and foamed polyurethane. These plates are of a size which is applied to the curvature of the surface to be insulated, when they are provided as flat surfaces, since they should not provide a gap on the surface of the cryogenic container larger than 15 mm, preferably flat to the container wall. Can be arranged. These intervals will not all be equally limited because air is a good thermal insulator. Plates can also be made with curvatures applied to the surface on which they are to be mounted, but this is undesirable because it can increase the cost of the plates and make their manufacture more cumbersome. It is then more desirable for the plate to be flat, but with smaller dimensions if the container to be covered also has small dimensions.

일반적인 명확한 간격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3에 지시된다. 도면에서의 수치는 모두 mm 단위이다. 또한 도면의 단열 구조체는 임의의 탱크 반경에 적용 가능하다.The general clear spacing is indicated in Figure 3, which shows an embodiment of the system according to the invention. All figures in the figures are in mm. In addition, the thermal insulation structure of the figure is applicable to any tank radius.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시스템의 플레이트의 일 실시예는 도4 내지 도8에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서 고정 브래킷, 조인트, 단열 패널들 사이의 공간을 위한 가능한 단열재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시스템의 구조체가 또한 도시되어 있다(이러한 단열재는 압력 하에서 공간 내로 주입되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폼형 단열재인 것이 바람직함).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시스템에 의해 홈-및-리지 시스템의 보조에 의해 함께 접합된 단열 플레이트의 적어도 2개의 층을 포함하는 단열부가 얻어진다.One embodiment of a plate of an insu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shown in FIGS. 4 to 8. Also shown in these figures are the structures of the insu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cluding possible insulation for the spaces between the fixing brackets, the joints, and the insulation panels (this insulation is a foam insulation such as polyurethane which is injected into the space under pressure). Is preferred). As shown, a heat insulation comprising at least two layers of heat insulation plates joined together by the aid of the groove-and-ridge system by means of the heat insu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obtained.

이러한 시스템에서의 단열 플레이트의 층의 개수는 또한 2개의 층을 초과할 수 있고, 심지어 3개, 4개 또는 5개의 층을 포함할 수 있지만 층의 최소 개수는 2개가다.The number of layers of the insulation plate in such a system may also exceed two layers and may even comprise three, four or five layers but the minimum number of layers is two.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시스템 및 방법에 사용되도록 적용되는 유리하고 바람직한 단열 플레이트 조립체는 도9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플레이트 조립체는, 플레이트 조립체의 일 측면에 중간 홈/경사부를 그리고 플레이트 조립체의 대향 측면에 돌출 리지를 형성하도록 엇갈린 형태로 함께 접착 또는 용접되는 단열 플레이트(EPS)의 3개의 층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4 및 도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조립체의 중간층은 심지어 조립체의 하부 및 상부 플레이트의 2개의 인접한 측면에 대해 변위되고/엇갈려서, 플레이트 조립체의 2개의 인접한 측면에 돌출된 리지 및 플레이트 조립체의 나머지 2개의 인접한 측면에 홈을 갖는 홈-및-리지 시스템을 조립체 플레이트 구조체의 모든 4개의 측면 둘레에 생성한다.An advantageous and preferred heat insulation plate assembly adapted for use in the heat insulation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shown in FIG. Such a plate assembly is shown as comprising three layers of insulation plates (EPS) bonded or welded together in a staggered form to form intermediate grooves / tilts on one side of the plate assembly and protruding ridges on opposite sides of the plate assembly. It is. As also shown in FIGS. 4 and 5, the interlayer of the assembly is even displaced / staggered with respect to two adjacent sides of the lower and upper plates of the assembly, such that the ridge and plate assemblies protrude on two adjacent sides of the plate assembly. Groove-and-ridge systems having grooves on the remaining two adjacent sides of the system are created around all four sides of the assembly plate structure.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시스템은 단열 플레이트의 적어도 2개의 층을 포함하고, 따라서 단열 플레이트의 조립체는 최소한 단열 플레이트의 2개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엇갈린 형태로 위치되는 단열 플레이트의 2개의 층은 플레이트 조립체가 체결된 구조체를 제공하는 조립 구조체를 제공하지만, 3층의 구조체에 대해 전술된 바와 같이 중앙 홈-및-리지 시스템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용기 둘레에서 덮여 있는 연속적인 단열 표면을 제공하기 위한 폼의 추가는 (홈이 조립체의 플레이트 중의 적어도 하나에서 절결되어 제공됨으로써 관련 플레이트의 제조 비용을 증가시키지 않는다면) 폼이 구조체의 상부 표면 상으로 자유롭게 발포되는 결과를 갖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시스템을 위한 3층 조립 구조체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지만, 2층 시스템도 바람직하지는 않지만 실행 가능하다.As mentioned above, the thermal insu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invention comprises at least two layers of thermal insulation plates, so that the assembly of the thermal insulation plates can comprise at least two layers of thermal insulation plates. However, the two layers of the insulating plates positioned staggered provide an assembly structure that provides the structure to which the plate assembly is fastened, but will not provide a central groove-and-ridge system as described above for the three layers of structure. Can be. This is because the addition of foam to provide a continuous insulating surface covered around the container (unless a groove is provided cut out in at least one of the plates of the assembly, thereby increasing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associated plate) on the top surface of the structure. This may mean having a result of freely foaming. As a result, it is more preferable to use a three-layer assembly structure for the thermal insu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ut a two-layer system is also undesirable but viable.

도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3층 플레이트 조립체는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 조립체의 단열 플레이트 층의 적어도 2개, 바람직하게는 3개 모두의 사이에서 후술되는 유형의 균열 장벽(crack barrier)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the three-layer plate assembly also provides a crack barrier of the type described below between at least two, preferably all three, of the insulating plate layers of the plate assembly according to the invention. It may include.

본 명세서에서 "접착" 재료 및 "폼 형성 단열재"를 언급할 때, 이러한 재료는 서로 상이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동일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재료의 일례는 EPS에 대해 양호한 접착 특성을 가짐으로써 "접착부"를 형성하며 또한 양호한 단열 특성을 가짐으로써 "폼 형성 단열재"를 형성하는 폼형 폴리우레탄이다.When referring to "adhesive" material and "foam forming insulation" herein, these materials may be different from one another, but may preferably comprise one and the same material. One example of such a material is a foamed polyurethane that has "adhesive" by having good adhesion properties to EPS and also a "foam forming insulation" by having good thermal insulation properties.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엇갈린 접착 조인트"뿐만 아니라 "유리솜(glasswool) 조인트"가 지시되어 있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재료가 지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유리솜(또는 심지어 암면(rockwool) 또는 다른 섬유질 불활성 단열재)은 플레이트 조인트 사이로 취입(blown)될 수 있고 폴리우레탄은 접착 재료로서 조인트/주입 홈(이하 참조) 내로 주입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thermal insu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invention, not only "cross-glued joints" but also "glasswool joints" are indicated and also used in the thermal insu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invention. Other materials that may be indicated are indicated. In this embodiment glass wool (or even rockwool or other fibrous inert insulation) can be blown between the plate joints and polyurethane can be injected into the joint / injection groove (see below) as an adhesive material.

본 발명에 따른 다층(2개 또는 그 이상) 단열 장벽이 배치될 때, 이는 일반적으로 극저온 용기의 상부로부터 단열 플레이트(또는 단열 플레이트 조립체)를 배치하는 것으로 시작할 수 있다(그러나, 이는 단열 플레이트의 배치가 용기의 표면의 임의의 위치에서 시작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필수적인 것은 아님). 플레이트/플레이트 조립체는 시스템의 필수적인 고정을 보장하도록 용기벽에 일정 간격으로 못/볼트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못/볼트는 원리적으로는 가능한 열 브리지를 나타내지만, 이들은 특히 단열 플레이트의 제2 층을 통해 단열된다[또는 이들의 위치가 결정되고 플레이트 조립체의 하부층에 이들을 위한 구멍이 제공되어 있고, 이에 의해 이들은 본 발명에 따른 최종 단열 구조체 내로 폼 형성 단열재(폴리우레탄)의 주입을 통해 단열됨]. 또한, 예를 들면 용기벽으로의 플레이트의 접착과 같은, 이들 플레이트를 체결하기 위한 다른 형태도 가능하다.When a multilayer (two or more) thermal insulation barriers according to the invention are arranged, this can generally begin by placing the thermal insulation plate (or thermal insulation plate assembly) from the top of the cryogenic vessel (but this is the placement of the thermal insulation plate). Is not necessarily necessary because can be started at any position on the surface of the container). The plate / plate assembly may be nailed / bolt to the container wall at regular intervals to ensure the necessary fastening of the system. These nails / bolts represent in principle possible thermal bridges, but they are particularly insulated through the second layer of the insulating plate (or their location is determined and holes are provided for them in the lower layer of the plate assembly, Whereby they are insulated through the injection of foam forming insulation (polyurethane) into the final insula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 addition, other forms are also possible for fastening these plates, such as, for example, adhesion of the plates to the container walls.

이제 패널은 플레이트/플레이트 조립체의 측면 에지의 홈-및-리지 시스템의 보조에 의해 서로에게 연속적으로 후크 결합된다. 하나의 가능한 대안적인 홈-및-리지 시스템은 플레이트에 바닥 패널 또는 바닥용 적층 플레이트에 존재하는 것과 같은 자체 고정 "클릭-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단열 플레이트 사이의 연결 영역은 단열 플레이트의 섹션이 배치된 후에 조인트 내로 주입되는 재료인 폴리우레탄을 연결/접착하고 단열시키기 위한 발포 터널을 구비한다. 이 단열 및 발포 재료는 압력 하에서 주입됨으로써 흘러나와 본 발명에 따른 단열 플레이트 사이에 기밀하지 않은 모든 에지 영역을 밀봉할 수 있다.The panels are now continuously hooked to each other by the aid of the groove-and-ridge system of the side edges of the plate / plate assembly. One possible alternative home-and-ridge system may provide a plate with a self-locking "click-system" such as present in the floor panel or floor laminate plate. As shown in Fig. 6, the connection area between the insulating plates has a foam tunnel for connecting / adhesive and insulating polyurethane which is a material injected into the joint after the section of the insulating plate is placed. This thermally insulating and foamed material can be poured under pressure to seal all non-hermetic edge regions between the insulating plates according to the invention.

이 단열 플레이트의 제1 층이 배치, 고정 및 밀봉된 후에, 이 층의 상부에, 제1 단열층의 상부에서 경화되며 유사한 방식으로 제1 층의 상부에 위치되는 단열 플레이트의 제2 층을 위한 기초를 형성할 수 있는 중합체 밀봉제이거나 이로 함침될 수 있는 합성 또는 천연 재료의 망, 시트 또는 천의 형태의 균열 장벽이 배치될 수 있다. 균열 장벽의 예는 폴리우레탄으로 함침되는 0.01 내지 100 mm2 간격 내의 메시 크기를 갖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스티렌의 시트 또는 망일 수 있다.After the first layer of this insulation plate has been placed, fastened and sealed, on top of this layer, the foundation for the second layer of insulation plate which is cured at the top of the first insulation layer and located on top of the first layer in a similar manner A crack barrier in the form of a mesh, sheet or cloth of a synthetic or natural material which can be impregnated with or can be formed can be arranged. Examples of crack barriers can be sheets or meshes of polyethylene or polystyrene having a mesh size within a 0.01 to 100 mm 2 spacing impregnated with polyurethane.

본 발명에 따른 용기/탱크 단열부가 전술된 바와 같이 미리 제조된 플레이트 조립체로 형성되는 경우, 탱크 단열을 위한 균열 장벽(들) 및 기타 구조체[예를 들면 볼트/못을 위한 취출부 형태의 고정 점, 접착부를 단열하기 위한 홈(들) 등]를 포함하는 층의 형성이 미리 제조된 조립체 내에 포함된다(예를 들면, 도9 참조). 균열 장벽은 단열 시스템이 견디는 가파른 온도 구배 때문에 단열층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Where the vessel / tank insula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formed from a plate assembly prefabricated as described above, the fixing points in the form of crack barrier (s) for the tank insulation and other structures (eg outlets for bolts / nails) , The formation of a layer comprising grooves (s) for insulating adhesives, etc.) is included in the prefabricated assembly (see, eg, FIG. 9). The crack barrier prevents the thermal insulation layer from breaking apart due to the steep temperature gradient that the thermal insulation system withstands.

도7 및 도8에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시스템의 구조체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7 and 8 an embodiment of the structure of the thermal insu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shown.

본 발명에 따른 단열 플레이트/조립체를 배치하기 위한 방법이 또한 도10 내지 도18에 도시되어 있다.A method for placing a heat insulation plate / assembly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also shown in FIGS. 10 to 18.

본 발명에 따른 각각의 개별적인 단열 플레이트에 대한 제조 방법이 도16에 특히 도시되어 있다. 도18은 또한 도8에 도시되어 있는 단열 조립체의 성층(stratification)에 대하여 참조될 수 있다.The manufacturing method for each individual insulating plat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particularly shown in FIG. 16. FIG. 18 may also be referred to for stratification of the thermal insulation assembly shown in FIG. 8.

본 발명에 따른 총 단열 구조체의 설치/조립 방법을 통해 향상된 밀봉 특성의 재료인 본 발명의 단열 플레이트의 특정 특징은 단열 플레이트의 홈-및-리지 조립체 형태에서 리지/홈의 접합 에지의 중합체성 물질(예를 들면 폴리우레탄)을 위한 발포 터널(61)의 제공이다(도6 참조). 이러한 터널(61)은 발포 단열/접착 재료로 충전될 연속적인 웨브를 형성하도록 단열 플레이트에 제공된다. 또한 도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열 플레이트의 홈-및-리지 조립체의 이 특징은 단열 플레이트에 사용되고 있는 평탄 또는 반-평탄 플레이트에 대해 아래의 탱크의 임의의 곡률을 수용할 수 있다. 더욱이, 플레이트 사이의 조인트의 리지 또는 홈 부분의 섹션은 발포 터널(61)을 위한 밀봉/끼워맞춤 에지를 형성하는 상승된 에지(62)를 갖는다. 단열 플레이트는 바람직하게 연성 또는 유연성 재료(예를 들면 폼형 폴리에틸렌 또는 폼형 폴리스티렌)로 제조되기 때문에, 플레이트는 발포 터널의 접합 영역에서 소정의 응력을 수용할 수 있다. 이 반-탄성 효과는 단열 플레이트 사이의 조인트에 대한 거의 또는 완전하게 기밀한 발포 터널 영역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단열 구조체 아래의 용기 표면의 곡률 때문에, 발포 터널 둘레의 접합 에지는 서로에 대해 가압되어 발포 터널을 형성하는 에지의 기밀한 접합을 더욱 보장할 수 있다.A particular feature of the insulation plates of the invention, which are materials of improved sealing properties through the method of installation / assembly of the total insu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that the polymeric material of the joining edge of the ridge / groove in the form of the groove-and-ridge assembly of the insulation plate. The provision of a foam tunnel 61 for (for example polyurethane) (see Fig. 6). This tunnel 61 is provided in the insulation plate to form a continuous web to be filled with foam insulation / adhesive material. As also shown in Fig. 6, this feature of the groove-and-ridge assembly of the thermal insulation plate according to the invention can accommodate any curvature of the tank below for a flat or semi-flat plate being used in the thermal insulation plate. Can be. Moreover, the section of the ridge or groove portion of the joint between the plates has raised edges 62 which form a sealing / fitting edge for the foam tunnel 61. Since the insulating plate is preferably made of a soft or flexible material (for example foamed polyethylene or foamed polystyrene), the plate can receive a certain stress in the bonding area of the foam tunnel. This semi-elastic effect can ensure a nearly or completely hermetic foam tunnel area for the joint between the insulating plates. In addition, because of the curvature of the surface of the container under the thermal insulation structure, the joining edges around the foam tunnel can be further assured a tight seal of the edges pressed against each other to form the foam tunnel.

단열 플레이트의 단열재의 반-연성/유연성 특성 때문에, 용기/극저온 탱크 둘레에서 일정 간격으로 발포 터널 내로 탐침/주입 니들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고, 또는 주입 포트가 발포 터널에 액세스를 제공하는 선택된 단열 플레이트에 특정 간격으로 제공될 수 있다.Because of the semi-flexible / flexible nature of the insulation of the insulation plate, it may be possible to insert the probe / injection needle into the foam tunnel at regular intervals around the vessel / cryogenic tank, or selected insulation in which the injection port provides access to the foam tunnel. The plates may be provided at specific intervals.

일 실시예에서, 전술된 바와 같이 단열 플레이트를 조립한 후에, 발포 터널(61) 내로 발포(폴리우레탄) 폼이 주입되고 있는 연속적인 단열 구조체를 보장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fter assembling the insulation plate as described above, it may be possible to ensure a continuous insulation structure in which the foam (polyurethane) foam is being injected into the foam tunnel 61.

또한 도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인접한 단열 플레이트 사이의 수직 접합 틈(fissure)은 서로에 대하여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고, 따라서 발포 터널(61)이 단열 플레이트의 수평 및 수직 접합 에지 모두에 제공된다.As also shown in Fig. 6, the vertical joining gaps between adjacent insulating plates can be stagger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so that a foam tunnel 61 is provided at both the horizontal and vertical joining edges of the insulating plate. .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조립체의 다양한 예가 이어진다.Following are various examples of the thermal insulation assembly according to the invention.

이들의 단열 특성이 또한 지시된다.Their thermal insulation properties are also indicated.

서론Introduction

시험은 LNG 탱크용 단열 패널에서 수행되었다.The test was carried out in insulation panels for LNG tanks.

시험의 목적은 발포되고 부분적으로 탄성화된 폴리스티렌으로 제조된 단열 패널에 대한 단위면적당 열 전도도에 대한 값을 설정하는 것이고, 이 온도에서 단열 시스템에서의 실제의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장력에 시험 패널을 노출시키는 것이다. 열 전도도(이후, kvalue라 칭함)는 수평 및 수직 위치에서 약 20℃의 고온측 온도 및 약 -160℃의 저온측 온도에서 측정된다. kvalue는 또한 이 동안에 5회 이후의 온도 변동 후에 측정되고, 시험 패널의 저온측에서의 온도가 -162℃ 내지 10℃ 사이에서 변동된다. 이 온도 변동은 실제의 경우와 같이 시험 패널 내부에 장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The purpose of the test is to set a value for the thermal conductivity per unit area for insulation panels made of foamed and partially elasticized polystyrene, and at this temperature the test panels are subjected to the tension that may occur in practical cases in the insulation system. To expose it. Thermal conductivity (hereinafter referred to as k value ) is measured at the hot side temperature of about 20 ° C. and the cold side temperature of about −160 ° C.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positions. The k value is also measured during five subsequent temperature variations during this time and the temperature at the low temperature side of the test panel varies between -162 ° C and 10 ° C. This temperature fluctuation can create tension inside the test panel as in practice.

시험 장비Test equipment

시험은 2×3 m2의 시험 섹션을 갖는 대형 보호형 고온 플레이트 장치에서 수행된다. 고온 및 저온 플레이트의 배열이 도1에 도시되어 있다.The test is carried out in a large protective hot plate apparatus with a test section of 2 × 3 m 2 . The arrangement of the hot and cold plates is shown in FIG.

주위 단열부 내부의 합판 프레임은 시험 패널 내의 장력을 모사하도록 고온 및 저온 플레이트의 알루미늄 측면 내로 삽입된다.The plywood frame inside the ambient insulation is inserted into the aluminum sides of the hot and cold plates to simulate the tension in the test panel.

시험 단열Test insulation

단열 시편은 스터드 볼트로 0.005 m의 알루미늄 시트 상에 장착된 가요성 재료의 구역을 갖는 발포 폴리스티렌의 슬래브로 제조된다(도2).Insulated specimens are made of a slab of expanded polystyrene with a zone of flexible material mounted on a 0.005 m aluminum sheet with stud bolts (FIG. 2).

티콘 아이소러링 에이에스(Ticon Isolering AS)로부터 입수된 시편은 장치에 장착될 준비가 된다. 시편의 크기는 2.0×3.0×0.265 m3이다.Specimens obtained from Ticon Isolering AS are ready for mounting to the apparatus. Specimen size is 2.0 × 3.0 × 0.265 m 3 .

장치 내의 시험 패널의 설치Installation of test panels in the device

시험 장치의 무대류(convection free) 주위 단열부는 접착제로 함께 접합된 스티로폼 RM 슬래브 및 유리섬유 천(cloth)으로 형성된다. 코너 섹션은 2방향 가요성 탄성화 스티로폼으로 제조된다.The insulation free ambient insulation of the test apparatus is formed from Styrofoam RM slabs and fiberglass cloth bonded together with an adhesive. The corner sections are made of two-way flexible elastomeric styrofoam.

시험 시편은 시험 섹션 내로 삽입되고 티콘 아이소러링 에이에스로부터 입수된 폴리우레탄 접착제로 주위 단열부에 밀봉된다.The test specimen is inserted into the test section and sealed to the surrounding insulation with a polyurethane adhesive obtained from Ticon Isolating Ace.

주위 단열부는 기밀 밀봉되고, 밀봉 화합물에 의해 장치의 알루미늄 시험 플레이트에 견고하게 접합된다. 주위 단열부의 단면은 도3에 도시되어 있다.The ambient insulation is hermetically sealed and firmly bonded to the aluminum test plate of the device by the sealing compound. The cross section of the peripheral insulation is shown in FIG. 3.

설비equipment

온도는 단열 패널의 고온 및 저온 플레이트와 고온 및 저온 표면에서 구리-콘탄탄(copper-contantan) 열전대에 의해 측정된다.The temperature is measured by copper-contantan thermocouples on the hot and cold plates of the insulation panel and on the hot and cold surfaces.

단열부의 고온측의 온도는 알루미늄 포일 증기 장벽에서 측정되고, 저온측의 온도는 알루미늄 시트에서 측정된다.The temperature on the hot side of the thermal insulation is measured at the aluminum foil vapor barrier and the temperature on the cold side is measured at the aluminum sheet.

부가의 열전대는 8개의 상이한 구역 및 4개의 상이한 단면에서의 단열 패널의 내부에 장착된다(도19).Additional thermocouples are mounted inside the insulation panel in eight different zones and four different cross sections (FIG. 19).

모든 온도가 400개의 채널을 갖는 데이터 획득 시스템에 기록되고, 처리를 위해 로컬 컴퓨터로 전달된다.All temperatures are recorded in a data acquisition system with 400 channels and transferred to a local computer for processing.

장치의 주 고온 플레이트의 3개의 섹션으로의 전원 입력은 정밀한 저항기 및 정밀한 전압계에 의해 측정되고 정밀한 전력계에 의해 제어된다.The power input to the three sections of the device's main high temperature plate is measured by a precision resistor and a precision voltmeter and controlled by a precision power meter.

열 전도도의 계산Calculation of the thermal conductivity

무대류 주위 단열부를 통한 열 누출의 평가는 74 ㎏/m3의 밀도를 갖는 암면으로 충전된 시험 공동을 갖는 수평 무대류 위치에서 장치에 의해 미리 수행된다. 이 재료의 열 전도도는 수평 보호형 고온 플레이트 장치에서 측정된다. 시험 패널의 설치 후, 총 열 유량은 수평 및 수직 위치에서 장치로 측정된다. 이 2개의 위치에서 시험 패널을 위한 겉보기 열 전도도는 이하와 같이 계산된다.The evaluation of heat leakage through the stage flow perimeter insulation is performed in advance by the device at a horizontal stage flow position with a test cavity filled with rock wool having a density of 74 kg / m 3 .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is material is measured in a horizontally protected hot plate device. After installation of the test panel, the total heat flow rate is measured with the device in horizontal and vertical positions. The apparent thermal conductivity for the test panel at these two positions is calculated as follows.

kvalue = Qi/(F*T;)k value = Q i / (F * T;)

kvalue = 시험 패널에 대한 단위면적당 겉보기 열 전도도(W/m2K).k value = apparent thermal conductivity per unit area for the test panel (W / m 2 K).

Qi = 시험 패널을 통한 열 유량(W).Q i = Heat flow through the test panel (W).

F = 시험 패널의 면적(m2).F = area of the test panel in m 2 .

Ti = 시험 패널에 걸친 온도 차이(K)T i = temperature difference (K) over the test panel

Qi = Qt-Qp Q i = Q t -Q p

Qi = 총 열 유량(W).Q i = Total heat flow (W).

Qp = Cp*Tp Q p = C p * T p

Qp = 주위 단열부를 통한 열 유량(W).Q p = Heat flow rate through the ambient insulation (W).

cp = 보정 시험에 의해 확인된 주위 단열부의 열 전도도(W/K).c p = Thermal conductivity (W / K) of the surrounding insulation as confirmed by the calibration test.

Tp = 주위 단열부에 걸친 온도 차이(K).T p = temperature difference (K) over the surrounding insulation.

대류의 영향은 수평 및 수직 위치에서 측정된 겉보기 열 전도도의 비교에 의해 평가된다.The effect of convection is assessed by comparison of the apparent thermal conductivity measured at the horizontal and vertical positions.

측정의 정확도는 실제 값의 ±71% 이상이 되도록 평가된다.The accuracy of the measurement is evaluated to be ± 71% or more of the actual value.

시험 결과Test result

열 전도도는 1회 냉각 후에 수평 무대류 위치에서 측정되고(시험 no. 190), 수직 위치에서 측정된다(시험 no. 191). 동일한 평균 온도로 교정된 수평 위치에서 측정된 값과 비교할 때 약 3%의 증가가 Kvalue에서 측정된다. 이는 양호하게 장치의 정확도 내에 있고 대부분의 차이는 대개는 시험 시편에서의 대류에 기인하지 않는다.Thermal conductivity is measured at the horizontal stage flow position after one cooling (test no. 190) and at the vertical position (test no. 191). An increase of about 3% is measured at the K value when compared to the value measured at the horizontal position calibrated to the same average temperature. This is preferably within the accuracy of the apparatus and most of the differences are usually not due to convection in the test specimen.

열 전도도는 또한 수직 및 수평 위치에서 5회의 후속 냉각 후에 측정된다(시험 no. 192 및 no. 193). 이들 시험과 시험 no. 190 및 no 191 사이에는 어떠한 큰 차이도 발견되지 않았다.Thermal conductivity is also measured after five subsequent cooling in vertical and horizontal positions (test nos. 192 and no. 193). These tests and test no.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190 and no 191.

시험 결과는 표 I에 제공된다.Test results are provided in Table I.

[표 I] TABLE I

Figure 112007094431114-PCT00001
Figure 112007094431114-PCT00001

다수의 열전대는 브리지 또는 대류 전류를 위하여 단열 패널 내부에 배치된다(표 II 및 도20, 도21, 도22 및 도23 참조). 시험 패널의 고온 및 저온측에서 측정되는 온도 조사는 도20, 도21, 도22 및 도23에 제공된다.Multiple thermocouples are placed inside the insulation panel for bridge or convective currents (see Table II and FIGS. 20, 21, 22 and 23). Temperature irradiation measured at the hot and cold sides of the test panel is provided in FIGS. 20, 21, 22 and 23. FIG.

시험 패널의 검사Inspection of test panel

시험 패널은 저온(-162℃)에서 저온측과 수평 위치에서 고온측으로부터 시각적으로 검사된다. 이어서 시험 패널은 저온 플레이트에서 저온에 의해 발생된 장력에 부분적으로 노출되고, 시험 패널 내부의 균열, 손상, 개구 또는 채널을 관측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The test panel is visually inspected from the hot side at low temperature (-162 ° C.) and in the horizontal position. The test panel is then partially exposed to the tension generated by the low temperature in the cold plate, and it may be easy to observe cracks, damage, openings or channels inside the test panel.

개구는 내부의 결함 또는 균열을 검출하도록 시험 패널에 형성된다.Openings are formed in the test panel to detect internal defects or cracks.

예측되는 바와 같이, 구조의 손상, 결함 또는 결점이 발견되지 않는다.As expected, no damage, defect or defect of the structure is found.

-162℃에서 저온측을 갖는 시험 시편은 장치로부터 제거되고 저온측으로부터 검사된다. 저온측의 알루미늄 시트는 단열부의 저온측에서 양호한 조사를 제공하 도록 제거되고, 채널, 결함 및 결점은 검출되지 않는다.Test specimens having a cold side at -162 ° C are removed from the apparatus and inspected from the cold side. The low temperature aluminum sheet is removed to provide good irradiation at the low temperature side of the thermal insulation, and channels, defects and defects are not detected.

결론conclusion

수평 위치로부터 수직 위치로 시험 패널 구조에 대한 겉보기 열 전도도의 작은 증가는 시험 패널 내부에서 대류 전류가 대개는 없거나 매우 작음을 나타낸다. 시험 후의 충분한 검사는 패널 장착 중에 양호한 기능 및 패널 내부에 균열 또는 손상이 없는 것을 나타낸다.A small increase in the apparent thermal conductivity of the test panel structure from the horizontal position to the vertical position indicates that the convective current is usually small or very small inside the test panel. Sufficient inspection after the test indicates good function during panel mounting and no cracks or damage inside the panel.

시험 패널 구조는 측정된 온도에서 겉보기 열 전도도에 대해 적당한 값을 갖고, 이 시험 중에 노출된 장력에 양호한 방식으로 견디는 것으로 보인다.The test panel structure has a reasonable value for the apparent thermal conductivity at the measured temperature and appears to withstand the tension exposed during this test in a good manner.

[표 II]TABLE II

Figure 112007094431114-PCT00002
Figure 112007094431114-PCT00002

Figure 112007094431114-PCT00003
Figure 112007094431114-PCT00003

영역 : 도20 내지 도23 참조.Area: See FIGS. 20-23.

서론Introduction

선포 에스이(Sunpor SE)(강성 및 가요성 폴리스티렌)의 시험이 3개의 온도 수준, 즉 20℃, -70℃ 및 -153℃에서 수행된다. 총 8개의 상이한 시험이 실행되지만, 3개의 온도 수준에서 양 재료에 대한 모든 시험이 실행되는 것은 아니다.Testing of Sunpor SE (rigid and flexible polystyrene) is carried out at three temperature levels: 20 ° C, -70 ° C and -153 ° C. A total of eight different tests are run, but not all tests are performed on both materials at three temperature levels.

저온에서 시험하기 위해 만들어지는 표준은 없다. 시험을 위한 기초로서 실제 표준(ISO 또는 ASTM)이 사용된다.There is no standard created for testing at low temperatures. As a basis for testing, the actual standard (ISO or ASTM) is used.

각각의 시험에 대해서, 실제의 표준에 대해 이루어진 변경이 설명된다.For each test, the changes made to the actual standard are described.

저온 시험은 필립스(Philips) 극저온 발생기에 의해 냉각된 저온 박스에서 수행된다. 온도는 공기 스트림에서 열전대에 의해 측정되며, 저온 박스의 도면이 도24에 도시되어 있다.Low temperature testing is performed in a cold box cooled by a Philips cryogenic generator. The temperature is measured by thermocouples in the air stream and a diagram of the cold box is shown in FIG.

일부 시험에서, 연신율 등의 값은 시편의 시험 중에 기록되어야만 한다. 이는 시험 시편이 저온 박스에 위치할 때 상당히 곤란하다.In some tests, values such as elongation must be recorded during the test of the specimen. This is quite difficult when the test specimen is placed in a cold box.

이들 유형의 시험은 비디오 테이프에 기록되고, 이는 값이 양호한 정확도로 이후에 판독되는 것을 의미한다.These types of tests are recorded on video tape, which means that the values are subsequently read out with good accuracy.

시험 프로그램Test program

각각의 재료 및 온도 수준에서 수행되는 시험을 나타내는 시험 프로그램의 조사는 강성 재료에 대해 표 2.1에, 가요성 재료에 대해 표 2.2에 나타낸다. 시험 시편의 개수는 고객에 의해 결정된다.Examination of the test program showing the tests performed at each material and temperature level is shown in Table 2.1 for rigid materials and Table 2.2 for flexible materials. The number of test specimens is determined by the customer.

[표 2.1] Table 2.1

Figure 112007094431114-PCT00004
Figure 112007094431114-PCT00004

[표 2.2]Table 2.2

Figure 112007094431114-PCT00005
Figure 112007094431114-PCT00005

시험 방법의 설명Description of the test method

시험 exam nono . 1/2 : 압축 시험/E-계수. 1/2: compression test / E-factor

시험은 ISO 844-1978: "강성 재료에 대한 압축 시험"에 설명되어 있다.The test is described in ISO 844-1978: "Compression Test for Rigid Materials".

사용된 시험 방법은 이하와 같다.The test method used was as follows.

시험 시편은 합판의 2개의 부분 사이에 접착된다. 하부 부분은 시험 프레임에 체결된다. 상부 합판 플레이트에는 삼각형의 합판 플레이트가 가동형 금속 바아와 체결된다. 이 삼각형 플레이트는 라인에 연결되고, 이는 2개의 휠 상으로 연장된다. 탱크를 물로 충전함으로써 라인을 가압하여 재료를 압축한다. 힘의 함수로서의 변위는 다이얼 지시기 압축 시험에 의해 기록된다.The test specimen is bonded between two parts of the plywood. The lower part is fastened to the test frame. On the upper plywood plate, a triangular plywood plate is fastened to the movable metal bar. This triangular plate is connected to the line, which extends on two wheels. The tank is filled with water to pressurize the line to compress the material. The displacement as a function of force is recorded by the dial indicator compression test.

사용된 시험 시편은 이하의 치수: 즉 55×55×44 mm3을 갖는다. 총 4개의 시험 시편이 각각의 온도 수준에서 시험된다.The test specimens used had the following dimensions: 55 × 55 × 44 mm 3 . A total of four test specimens are tested at each temperature level.

압축 강도(σ10)(kPa)는 이하의 식에 의해 제공된다.The compressive strength σ 10 (kPa) is given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07094431114-PCT00006
Figure 112007094431114-PCT00006

여기서,here,

F m 는 도달된 최대힘(Newton 단위)이고, F m is the maximum force reached in Newtons,

s 0 는 시험 시편의 단면의 초기 면적(mm2)이다. s 0 is the initial area (mm 2 ) of the cross section of the test specimen.

10% 상대 변형에서의 압축 응력(σ10)(kPa)은 이하와 같이 정의된다.The compressive stress σ 10 (kPa) at 10% relative strain is defined as follows.

Figure 112007094431114-PCT00007
Figure 112007094431114-PCT00007

여기서,here,

F 10 은 10%의 상대 변형에 대응하는 힘(N)이고, F 10 is the force (N) corresponding to a relative deformation of 10%,

s 0 는 시편의 단면의 초기 면적(mm2)이다. s 0 is the initial area (mm 2 ) of the cross section of the specimen.

시험 exam nono .3/4: 최대 인장 응력/E-계수.3 / 4: maximum tensile stress / E-factor

시험은 ISO 1926: "셀룰러 플라스틱에 대한 표준 시험 방법 - 강성 재료의 인장 특성에 대한 결정"에 설명되어 있다.The test is described in ISO 1926: "Standard Test Methods for Cellular Plastics-Determination of Tensile Properties of Rigid Materials".

표준은 총 5개의 편(piece)의 시험을 규정한다. 사용된 시험편은 이하의 형상 및 치수를 갖는다.The standard defines a total of five pieces of testing. The test pieces used had the following shapes and dimensions.

시험편은 표준에서 규정되어 있는 것보다 다소 더 작다. 이는 저온 박스에 서 시험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이루어진다.Specimens are somewhat smaller than those specified in the standard. This is done to make it possible to carry out the test in a cold box.

시험 시편은 표준 에폭시 접착제를 사용하여 합판의 2개의 부분에 접착된다. 하부 부분은 시험 프레임의 저부에 체결된다. 상부 부분에서 2개의 휠 상으로 연장되는 라인이 체결된다. 탱크는 라인의 다른 단부에 체결된다. 탱크를 물로 충전하는 것은 재료를 가압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공된 힘에 대응하는 연신율이 5kg의 간격으로 기록된다.The test specimen is bonded to two parts of the plywood using standard epoxy adhesive. The lower part is fastened to the bottom of the test frame. In the upper part a line extending over the two wheels is fastened. The tank is fastened to the other end of the line. Filling the tank with water means pressurizing the material. Elongations corresponding to the provided forces are recorded at intervals of 5 kg.

물 충전의 비율은 3 내지 6분 동안에 파열을 얻도록 조정된다.The rate of water filling is adjusted to achieve rupture for 3 to 6 minutes.

킬로파스칼 단위로 표현된 최대 인장 응력(σm)은 이하의 식에 의해 제공된다.The maximum tensile stress (σ m ) expressed in kilopascals is given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07094431114-PCT00008
Figure 112007094431114-PCT00008

여기서,here,

F m - 시험 중에 시험편에 인가되는 최대 힘(N). F m The maximum force (N) applied to the specimen during the test.

l - 시험편의 좁은 섹션의 평행 길이의 원래의 폭(mm). l -original width of the parallel length of the narrow section of the specimen in mm.

h - 시험편의 좁은 섹션의 평행 길이의 원래의 두께(mm). h -original thickness of the parallel length of the narrow section of the specimen in mm.

E-계수는 힘의 함수로서 연신율의 곡선의 경사각으로서 정의된다.E-coefficient is defined as the angle of inclination of the curve of elongation as a function of force.

Figure 112007094431114-PCT00009
Figure 112007094431114-PCT00009

여기서,here,

δ - 인장 응력(N/mm2) δ -tensile stress (N / mm 2 )

Δl - δ에서의 재료의 연신율Elongation of the material in Δl - δ

l 0 - 시험 시편의 길이. l 0 -length of the test specimen.

시험 exam nono . 5 : 전단 계수. 5: shear modulus

시험 방법은 표준 ISO 1922-1981: "셀룰러 플라스틱 - 강성 재료의 전단 강도의 결정"에 설명되어 있다.The test method is described in standard ISO 1922-1981: "Cellular Plastics-Determination of Shear Strength of Rigid Materials".

4개의 시편이 각각의 온도 수준에서 시험된다. 표준은 5개의 시편을 규정한다.Four specimens are tested at each temperature level. The standard specifies five specimens.

표준은 시험 시편에 이하의 치수(길이 - 폭 - 두께): 250 mm×50 mm×25 mm를 규정한다.The standard specifies the following dimensions (length-width-thickness): 250 mm x 50 mm x 25 mm in the test specimen.

저온 박스에서 시험을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더 작은 시험 시편이 이 시험에서 사용된다. 이하의 치수(길이 - 폭 - 두께), 즉 100 mm×40 mm ×25 mm가 사용된다.Smaller test specimens are used in this test to enable testing in cold boxes. The following dimensions (length-width-thickness), i.e. 100 mm x 40 mm x 25 mm, are used.

먼저, 다소 더 큰 시험 시편이 시험되지만, 매우 강한 재료에 기인하여, 크기는 파열을 얻기 위해 요구되는 힘을 감소시키도록 감소된다. 시험 장비는 초기에 사용된 시험 시편을 파열시키도록 요구되는 중량을 지지할 수 없다.Firstly, a somewhat larger test specimen is tested, but due to the very strong material, the size is reduced to reduce the force required to obtain rupture. The test equipment cannot support the weight required to rupture the test specimens used initially.

시험 시편은 에폭시 접착제로 합판의 2개의 부분에 접착된다. 합판 부분 중의 하나는 시험 프레임에 체결되고, 다른 부분은 가동형이다. 가동형 부분에서 2개의 휠 상으로 연장되는 라인은 다른 단부에서 탱크와 체결된다. 물로 이 탱크를 충전하는 것은 재료를 가압하고 가동형 합판 부분 및 시험 시편을 상향으로 이동시킨다.The test specimen is bonded to two parts of the plywood with epoxy adhesive. One of the plywood parts is fastened to the test frame and the other part is movable. A line extending over the two wheels in the movable portion engages the tank at the other end. Filling this tank with water pressurizes the material and moves the movable plywood portion and test specimen upwards.

가동형 합판 부분에서 라인은 대략 cm의 간격으로 그려져 있다. 자(ruler)는 시험 프레임의 저부에 체결된다. 자는 시험 중에 이동되지 않는다. 이 시스템은 재료의 연신율을 인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In the movable plywood section the lines are drawn at approximately cm intervals. The ruler is fastened to the bottom of the test frame. The chair is not moved during the test. This system makes it possible to recognize the elongation of the material.

탱크는 파열이 얻어질 때까지 물로 충전된다. 시험은 비디오 테이프에 기록되고 연신율이 이후에 판독된다.The tank is filled with water until a rupture is obtained. The test is recorded on video tape and the elongation is subsequently read.

시험 장비는 도27에 도시되어 있다.Test equipment is shown in FIG.

시험 exam nono . 6 : 열팽창. 6: thermal expansion

시험은 ISO 4897-1985: "셀룰러 플라스틱 - 주위 온도 이하에서 강성 재료의 선형 열 팽창의 계수의 결정"에 설명되어 있다.The test is described in ISO 4897-1985: "Cellular Plastics-Determination of the Coefficient of Linear Thermal Expansion of Rigid Materials Below Ambient Temperature".

표준은 이하의 치수를 갖는 총 5개의 시편의 시험을 규정한다.The standard defines a test of a total of five specimens with the following dimensions.

길이 : 900 ÷ 0-20 mmLength: 900 ÷ 0-20 mm

폭 : 100 내지 300 mmWidth: 100 to 300 mm

두께 : 25 내지 50 mmThickness: 25-50 mm

이 시험에 사용된 재료는 이하의 치수를 갖는다.The material used for this test has the following dimensions.

길이 : 244.5 mmLength: 244.5 mm

폭 : 43.5 mmWidth: 43.5 mm

두께 : 42.0 mmThickness: 42.0 mm

각각의 재료의 총 4개의 시편이 시험된다.A total of four specimens of each material are tested.

시험 시편은 합판의 2개의 부분 사이에 접착된다. 하부 부분은 시험 프레임에 체결된다. 상부 합판 플레이트의 중앙에서 스테인레스 강 로드가 체결된다. 로드는 저온 박스 외부에 배치된 다이얼 지시기에 연결된다. 재료의 압축/팽창은 재료의 냉각 또는 가열 중에 상이한 온도에서 기록된다.The test specimen is bonded between two parts of the plywood. The lower part is fastened to the test frame. At the center of the upper plywood plate, stainless steel rods are fastened. The rod is connected to a dial indicator placed outside the cold box. Compression / expansion of the material is recorded at different temperatures during cooling or heating of the material.

평균 선형 팽창 계수의 계산(-63℃ 내지 20℃)Calculation of the average linear expansion coefficient (-63 ° C to 20 ° C)

Figure 112007094431114-PCT00010
Figure 112007094431114-PCT00010

여기서,here,

α - 켈빈의 역수의 단위의 평균 선형 팽창 계수, α -average linear expansion coefficient in units of the inverse of Kelvin,

T 1 - 켈빈 단위의 선택된 더 높은 온도, T 1 Selected higher temperatures in Kelvin,

ΔL - 온도(T 1 T 2 ) 사이에서의 시험 시편의 밀리미터 단위의 길이에서의 변화, ΔL -change in length in millimeters of the test specimen between temperature T 1 and T 2 ,

L 0 - 23±2℃에서의 시험 시편의 밀리미터 단위의 원래 길이. L 0 - original length in millimeters of the test specimens at 23 ± 2 ℃.

시험 exam nono . 7 : 열 전도도. 7: thermal conductivity

시험은 ASTM 표준 C 177-85: "보호형 고온 플레이트 장치에 의한 열전달 특성 및 정상 상태 열 플럭스 측정을 위한 표준 시험 방법"에 따라서 실행된다.The test is performed according to ASTM Standard C 177-85: "Standard Test Method for Measurement of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and Steady-State Heat Flux by Protected Hot Plate Apparatus".

시험 exam nono . 8 : . 8 : 포아송Poisson  ratio

어떠한 표준도 이 시험을 설명하고 있지 않다. 포아송 비(μ)는 인장 응력 작용 중에 재료의 연신과 수축 사이의 비율로서 정의된다.No standard describes this test. Poisson's ratio [mu] is defined as the ratio between the stretching and shrinking of the material during the tensile stress action.

Figure 112007094431114-PCT00011
Figure 112007094431114-PCT00011

여기서,here,

Δb - 폭의 변화(mm), Δb -change in width in mm,

b 0 - 원래의 폭(mm), b 0 -original width in mm,

Δl - 길이의 변화(mm), Δl -change in length in mm,

l 0 - 원래의 길이(mm). l 0 -Original length in mm.

시험 시편은 시험 no. 3 및 no. 4에서 사용되는 바와 동일한 형상 및 치수를 갖고, 시험은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된다.Test specimens shall be tested no. 3 and no. With the same shape and dimensions as used in 4, the test is performed in the same way.

시험 결과Test result

평균값(x) 및 표준 편차(s)는 각각의 시험에 대한 표에 제공된다.Mean values (x) and standard deviations (s) are provided in the table for each test.

강성 재료Rigid material

시험 exam nono . 1/2 압축 시험/E-계수. 1/2 compression test / E-factor

[표 4.1]Table 4.1

Figure 112007094431114-PCT00012
Figure 112007094431114-PCT00012

4개의 시편이 -70℃에서 시험된다. 이들 중의 하나는 장비로부터 가압된다.Four specimens are tested at -70 ° C. One of these is pressurized from the equipment.

*) 10% 압축에 도달하지 않고, 계산된 강도는 최대 압축 응력이다.*) Without reaching 10% compression, the calculated strength is the maximum compressive stress.

(x)=평균값, (s)=표준 편차(x) = mean value, (s) = standard deviation

시험 결과는 도28 및 도29에 도시되어 있다.Test results are shown in FIGS. 28 and 29.

시험 exam nono . 3/4 최대 인장 응력/E-계수. 3/4 maximum tensile stress / E-factor

[표 4.2]Table 4.2

Figure 112007094431114-PCT00013
Figure 112007094431114-PCT00013

8개의 시편은 163℃에서 시험되고 4개는 -70℃에서 시험된다.Eight specimens were tested at 163 ° C and four at -70 ° C.

2개의 시험은 판독 가능하지 않다.Two tests are not readable.

(x)=평균값, (s)=표준 편차(x) = mean value, (s) = standard deviation

시험 결과는 도30 및 도31에 도시되어 있다.Test results are shown in FIGS. 30 and 31.

시험 exam nono . 5 전단 계수. 5 shear modulus

[표 4.3]Table 4.3

Figure 112007094431114-PCT00014
Figure 112007094431114-PCT00014

8개의 시편은 각각의 온도 수준에서 시험된다. -163℃에서 일 시험은 비디오 테이프에서 판독 가능하지 않다. 20℃에서 8번째 시편에 대해 파열은 접착제에서 나타나고 시험 시편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Eight specimens are tested at each temperature level. One test at -163 ° C is not readable on video tape. For the eighth specimen at 20 ° C, rupture appears in the adhesive and not in the test specimen.

(x)=평균값, (s)=표준 편차(x) = mean value, (s) = standard deviation

시험 결과는 도32 및 도33에 도시되어 있다.Test results are shown in FIG. 32 and FIG.

시험 exam nono . . 6 열6 columns 팽창 expansion

[표 4.4]TABLE 4.4

Figure 112007094431114-PCT00015
Figure 112007094431114-PCT00015

시험 결과는 도34에 도시되어 있다.The test results are shown in FIG.

시험 exam nono . . 7 열7 columns 전도도 conductivity

[표 4.5]TABLE 4.5

Figure 112007094431114-PCT00016
Figure 112007094431114-PCT00016

시험 결과는 도35에 도시되어 있다.The test results are shown in FIG.

시험 exam nono . 8 . 8 포와송Poisson  ratio

[표 4.6]TABLE 4.6

Figure 112007094431114-PCT00017
Figure 112007094431114-PCT00017

4개의 시편은 -163℃에서 시험된다. 이들 중의 하나는 비디오 테이프에서 판독 가능하지 않다.Four specimens are tested at -163 ° C. One of these is not readable on the video tape.

(x)=평균값, (s)=표준 편차(x) = mean value, (s) = standard deviation

가요성Flexibility 재료 material

시험 exam nono . 1/2 압축 시험/E-계수. 1/2 compression test / E-factor

[표 4.7]Table 4.7

Figure 112007094431114-PCT00018
Figure 112007094431114-PCT00018

*) 10% 에 도달되지 않음. 계산된 강도는 최대 압축 강도이다.*) 10% not reached. The calculated strength is the maximum compressive strength.

4개의 시편은 각각의 온도 수준에서 시험되지만, 각각의 온도 수준에서 하나의 시편은 장비로부터 가압된다.Four specimens are tested at each temperature level, but one specimen at each temperature level is pressurized from the instrument.

(x)=평균값, (s)=표준 편차(x) = mean value, (s) = standard deviation

시험 결과는 도36 및 도37에 도시되어 있다.Test results are shown in FIGS. 36 and 37.

[표 4.8]Table 4.8

Figure 112007094431114-PCT00019
Figure 112007094431114-PCT00019

4개의 시편은 -70℃에서 시험되지만, 하나는 장비로부터 가압된다.Four specimens are tested at -70 ° C, but one is pressurized from the instrument.

(x)=평균값, (s)=표준 편차(x) = mean value, (s) = standard deviation

시험 결과는 도38 및 도39에 도시되어 있다.The test results are shown in FIG. 38 and FIG.

시험 exam nono . 314 최대 인장 응력/E-계수. 314 Maximum Tensile Stress / E-Coefficient

[표 4.9]Table 4.9

Figure 112007094431114-PCT00020
Figure 112007094431114-PCT00020

4개의 시편은 -70℃에서 시험된다. 이들 중의 하나는 비디오 테이프에서 판독 가능하지 않다.Four specimens are tested at -70 ° C. One of these is not readable on the video tape.

(x)=평균값, (s)=표준 편차(x) = mean value, (s) = standard deviation

시험 결과는 도40 및 도41에 도시되어 있다.Test results are shown in FIGS. 40 and 41.

[표 4.10]Table 4.10

Figure 112007094431114-PCT00021
Figure 112007094431114-PCT00021

8개의 시편은 -163℃에서 시험된다. 이들 중의 하나는 비디오 테이프에서 판독 가능하지 않다.Eight specimens are tested at -163 ° C. One of these is not readable on the video tape.

(x)=평균값, (s)=표준 편차(x) = mean value, (s) = standard deviation

시험 결과는 도42 및 도43에 도시되어 있다.Test results are shown in FIG. 42 and FIG.

시험 exam nono . 5 전단 계수. 5 shear modulus

[표 4.11]Table 4.11

Figure 112007094431114-PCT00022
Figure 112007094431114-PCT00022

(x)=평균값, (s)=표준 편차(x) = mean value, (s) = standard deviation

시험 결과는 도44 및 도45에 도시되어 있다.Test results are shown in FIGS. 44 and 45.

[표 4.12]Table 4.12

Figure 112007094431114-PCT00023
Figure 112007094431114-PCT00023

8개의 시편은 -163℃에서 시험된다. 이들 중의 하나는 비디오 테이프에서 판독 가능하지 않다.Eight specimens are tested at -163 ° C. One of these is not readable on the video tape.

(x)=평균값, (s)=표준 편차(x) = mean value, (s) = standard deviation

시험 결과는 도46 및 도47에 도시되어 있다.The test results are shown in FIG. 46 and FIG.

시험 exam nono . . 6 열6 columns 팽창 expansion

[표 4.13]Table 4.13

Figure 112007094431114-PCT00024
Figure 112007094431114-PCT00024

시험 결과는 도48에 도시되어 있다.The test results are shown in FIG.

[표 4.14]Table 4.14

Figure 112007094431114-PCT00025
Figure 112007094431114-PCT00025

시편 no. 3 및 no. 4는 개시 온도 -163℃에서 시험된다. 온도는 -60℃로 상승된다. 이어서 고온 공기는 저온 박스 내로 송풍된다. 공기의 이 공급 때문에 강 로드는 시편으로부터 도약하고 시험은 종료되어야만 한다. 시험 결과는 도49에 도시되어 있다.Psalm no. 3 and no. 4 is tested at an onset temperature of -163 ° C. The temperature is raised to -60 ° C. The hot air is then blown into the cold box. Because of this supply of air, the steel rod leaps from the specimen and the test must be completed. The test results are shown in FIG.

시험 exam nono . . 7 열7 columns 전도도 conductivity

[표 4.2.5]Table 4.2.5

Figure 112007094431114-PCT00026
Figure 112007094431114-PCT00026

시험 결과는 도35에 도시되어 있다.The test results are shown in FIG.

[표 4.16]Table 4.16

Figure 112007094431114-PCT00027
Figure 112007094431114-PCT00027

시험 결과는 도35에 도시되어 있다.The test results are shown in FIG.

시험 exam nono . 8 . 8 포와송Poisson  ratio

[표 4.17]Table 4.17

Figure 112007094431114-PCT00028
Figure 112007094431114-PCT00028

4개의 시편은 20℃에서 시험된다. 이들 중의 하나는 충분히 양호하게 접착되지 않고 따라서 파열은 접착제에서 발생되고 시험 시편에서는 발생되지 않는다.Four specimens are tested at 20 ° C. One of these does not bond well enough so that rupture occurs in the adhesive and not in the test specimen.

(x)=평균값, (s)=표준 편차(x) = mean value, (s) = standard deviation

[표 4.18]Table 4.18

Figure 112007094431114-PCT00029
Figure 112007094431114-PCT00029

(x)=평균값, (s)=표준 편차(x) = mean value, (s) = standard deviation

결론conclusion

총 8개의 상이한 시험이 3개의 온도 수준(-163℃, -70℃ 및 20℃)에서 2개의 방향으로 강성 발포 폴리스티렌 및 가요성 발포 폴리스티렌에 대해 실행된다.A total of eight different tests are performed on rigid expanded polystyrene and flexible expanded polystyrene in two directions at three temperature levels (-163 ° C., −70 ° C. and 20 ° C.).

시험을 설명하는 실제 표준은 저온 박스에서 시험을 실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수정된다.The actual standard describing the test is modified to make it possible to run the test in a cold box.

상이한 시험에 대한 곡선에서 표시되는 바와 같이, 시험 결과의 편차는 상당하다. 특히 강성 재료에 대해, 재료의 연신 및 수축은 최소화되고, 정확한 값이 기록되는 것이 곤란하다.As indicated by the curves for the different tests, the deviation of the test results is significant. Especially for rigid materials, the stretching and shrinkage of the material is minimized and it is difficult to record the correct value.

서론Introduction

시험은 LNG 탱크용 단열 패널에서 수행되었다.The test was carried out in insulation panels for LNG tanks.

시험의 목적은 탄성화 재료(저온측) 및 폴리우레탄(고온측) 사이의 스트립을 갖는 발포 폴리우레탄의 슬래브로 제조된 단열 패널에 대한 단위면적당 열 전도도에 대한 값을 설정하는 것이고, 이 온도에서 단열 시스템에 실제의 경우로 발생할 수 있는 장력에 시험 패널을 노출시키는 것이다. 열 전도도(이후 kvalue라 칭함)는 수평 및 수직 위치에서 약 20℃의 패널 고온측 온도 및 약 -162℃의 저온측 온도에서 측정된다. kvalue는 또한 5회의 후속의 온도 변동 후에 측정되고, 이 동안에 시험 패널의 저온측의 온도는 고온 및 저온 단부에서 4 시간의 안정화 기간을 갖고, -162℃ 내지 10℃ 사이에서 변경된다. 이 온도 편차는 실제의 경우와 같이 시험 패널 내부에 장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The purpose of the test is to establish a value for the thermal conductivity per unit area for a thermal insulation panel made of slab of foamed polyurethane with a strip between the elasticizing material (low temperature side) and polyurethane (high temperature side) and at this temperature Exposing the test panel to tensions that may occur in practice in an adiabatic system. Thermal conductivity (hereinafter referred to as k value ) is measured at the panel hot side temperature of about 20 ° C. and the cold side temperature of about −162 ° C.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positions. The k value is also measured after five subsequent temperature variations, during which the temperature on the cold side of the test panel has a stabilization period of 4 hours at the hot and cold ends and varies between -162 ° C and 10 ° C. This temperature deviation can create tension inside the test panel as in practice.

시험 장비Test equipment

시험은 이러한 시험을 위해 특별히 형성된 2×3 m2의 시험 섹션을 갖는 대규모 보호형 고온 플레이트 장치에서 수행된다.The test is carried out in a large scale protected hot plate apparatus with a test section of 2 × 3 m 2 specially formed for this test.

고온 및 저온 플레이트의 배열은 도1에 도시되어 있다.The arrangement of the hot and cold plates is shown in FIG.

주위 단열부 내부의 합판 프레임은 실제 설비에서와 같이 시험 패널에서 장력을 얻도록 고온 및 저온 플레이트의 알루미늄 프로파일 내로 삽입된다.The plywood frame inside the surrounding insulation is inserted into the aluminum profile of the hot and cold plates to tension the test panel as in a real installation.

시험 단열Test insulation

단열 시편은 스터드 볼트로 0.005 m의 알루미늄 시트 상에 장착된 슬래브 사이에 저온측의 가요성 재료의 스트립 및 고온측의 폴리우레탄의 스트립을 갖는 발포 폴리우레탄의 슬래브로 제조된다. 유니터 에이에스에이, 마린 콘트랙팅(UNITOR ASA, Marine Contracting)으로부터 입수된 시편은 장치에 장착될 준비가 된다.Insulation specimens are made of slabs of foamed polyurethane with strips of low temperature flexible material and strips of high temperature polyurethane between slabs mounted on a sheet of 0.005 m with stud bolts. Specimens obtained from UNIASA, Marine Contracting are ready to be mounted in the device.

시편의 크기는 약 2.0×3.0×0.29 m3이다.Specimen size is about 2.0 × 3.0 × 0.29 m 3 .

장치에서 시험 패널의 설치Installation of test panels in the device

시험 장치의 무대류 주위 단열부는 접착제로 함께 접합된 스티로폼 RM 슬래브 및 유리섬유 천으로 형성된다. 코너 섹션은 2방향 가요성 탄성화 스티로폼으로 제조된다.The perimeter stage insulation of the test apparatus is formed of Styrofoam RM slab and fiberglass cloth bonded together with an adhesive. The corner sections are made of two-way flexible elastomeric styrofoam.

시험 시편은 시험 섹션 내로 삽입되고 유니터 에이에스에이, 마린 콘트랙팅 으로부터 입수된 폴리우레탄 접착제로 주위 단열부에 밀봉된다.The test specimen is inserted into the test section and sealed to the surrounding insulation with a polyurethane adhesive obtained from Unit A, Marine Contracting.

주위 단열부는 기밀하게 밀봉되고 밀봉 화합물에 의해 장치의 알루미늄 시험 플레이트에 견고하게 접합된다.The ambient insulation is hermetically sealed and firmly bonded to the aluminum test plate of the device by a sealing compound.

주위 단열부의 단면 및 단열 패널의 일부는 도50에 도시되어 있다.A cross section of the peripheral thermal insulation and a portion of the thermal insulation panel are shown in FIG.

설비equipment

온도는 단열 패널의 고온 및 저온 플레이트와 고온 및 저온 표면에서 구리-콘탄탄 열전대에 의해 측정된다. 열전대 와이어는 시험에 사용된 온도 범위에 대해, 국제 온도 표준(ITS-90)에 따를 수 있는 ±0.3℃ 이상의 정확도로 조정된다.The temperature is measured by copper-contantan thermocouples on the hot and cold plates and hot and cold surfaces of the insulation panels. Thermocouple wires are adjusted to an accuracy of ± 0.3 ° C or better, which is in accordance with international temperature standards (ITS-90), for the temperature range used in the test.

단열부의 고온측의 온도는 알루미늄 포일 증기 장벽에서 측정되고, 저온측의 온도는 알루미늄 시트에서 측정된다.The temperature on the hot side of the thermal insulation is measured at the aluminum foil vapor barrier and the temperature on the cold side is measured at the aluminum sheet.

부가의 열전대는 10개의 상이한 구역 및 3개의 상이한 단면에서의 단열 패널의 내부에 장착된다(도 51)(고온측, 중간 구역 및 저온측).Additional thermocouples are mounted inside the insulation panel at ten different zones and three different cross sections (FIG. 51) (high temperature side, middle region and low temperature side).

모든 온도가 400개의 채널을 갖는 데이터 획득 시스템에 전압으로서 기록되고, 처리를 위해 로컬 컴퓨터로 전달된다.All temperatures are recorded as voltages in a data acquisition system with 400 channels and transferred to a local computer for processing.

장치의 주 고온 플레이트의 3개의 섹션으로의 전원 입력은 정밀한 저항기 및 교정된 정밀한 디지털 전압계에 의해 측정되고, 교정된 정밀한 전력계에 의해 제어된다.The power input to the three sections of the device's main high temperature plate is measured by a precision resistor and a calibrated precision digital voltmeter and controlled by a calibrated precision power meter.

열 전도도의 계산Calculation of the thermal conductivity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인트의 부분과 무대류 주위 단열부를 통한 열 누출의 평가는 70 ㎏/m3의 밀도를 갖는 암면으로 충전된 시험 공동을 갖는 수평 무대류 위치에서 장치에 의해 미리 수행된다. 이 재료의 열 전도도는 수평 보호형 고온 플레이트 장치에서 측정된다. 시험 패널의 설치 후, 총 열 유량은 수평 및 수직 위치에서 장치로 측정된다. 이 2개의 위치에서 시험 패널을 위한 겉보기 열 전도도는 이하와 같이 계산된다.The evaluation of heat leakage through the part of the polyurethane adhesive joint and the perimeter flow insulation is preliminarily carried out by the device at a horizontal stage flow location with test cavities filled with rock wool having a density of 70 kg / m 3 .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is material is measured in a horizontally protected hot plate device. After installation of the test panel, the total heat flow rate is measured with the device in horizontal and vertical positions. The apparent thermal conductivity for the test panel at these two positions is calculated as follows.

kvalue = Qi/(F*Ti;)k value = Q i / (F * T i ;)

kvalue = 시험 패널에 대한 단위면적당 겉보기 열 전도도(W/m2K).k value = apparent thermal conductivity per unit area for the test panel (W / m 2 K).

Qi = 시험 패널을 통한 열 유량(W).Q i = Heat flow through the test panel (W).

F = 시험 패널의 면적(m2).F = area of the test panel in m 2 .

Ti = 시험 패널에 걸친 온도 차이(K).T i = temperature difference (K) over the test panel.

Qi = Qt-Qp Q i = Q t -Q p

Qi = 총 열 유량(W).Q i = Total heat flow (W).

Qp = Cp*Tp Q p = C p * T p

Qp = 주위 단열부를 통한 열 유량(W).Q p = Heat flow rate through the ambient insulation (W).

cp = 교정 시험에 의해 확인된 주위 단열부의 열 전도도(W/K).c p = Thermal conductivity (W / K) of the surrounding insulation as confirmed by the calibration test.

Tp = 주위 단열부에 걸친 온도 차이(K).T p = temperature difference (K) over the surrounding insulation.

대류의 영향은 수평 및 수직 위치에서 측정된 겉보기 열 전도도의 비교에 의해 평가된다.The effect of convection is assessed by comparison of the apparent thermal conductivity measured at the horizontal and vertical positions.

측정의 정확도는 NIST 기술 노트 1297(1993년)[(NIST=미국 개더스버그(Gaithersburg) 소재, 국립 표준기술연구소)]에서 설명된 방법에 따라서 이러한 복잡한 구조에서 가능한 한 양호하게, 실제 값의 ±71% 이상이 되도록 평가된다. The accuracy of the measurements is as good as possible in this complex structure, in accordance with the method described in NIST Tech Note 1297 (1993) [(NIST =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Gatherersburg, USA)]. It is evaluated to be 71% or more.

시험 결과Test result

열 전도도는 1회의 냉각 후에 수평 무대류 위치에서 측정되고(시험 no. 198), 수직 위치에서 측정된다(시험 no. 199).Thermal conductivity is measured at the horizontal stage flow position after one cooling (test no. 198) and at the vertical position (test no. 199).

열 전도도는 또한 수직 및 수평 위치에서 5회의 후속의 온도 사이클 후에 측정된다(시험 no. 200 및 no. 201).Thermal conductivity is also measured after five subsequent temperature cycles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positions (test nos. 200 and no. 201).

약 5.5%의 증가가 수평 시험 no. 198(제1 H) 및 수직 시험 no. 199(제1 V) 사이의 Kvalue에서 측정된다.An increase of about 5.5% was observed in the horizontal test no. 198 (first H) and vertical test no. Measured at K value between 199 (first V).

약 9.5%의 증가가 수평 시험 no. 198(제1 H) 및 수직 시험 no. 200(제2 V) 사이의 Kvalue에서 측정된다.An increase of about 9.5% was achieved by the horizontal test 198 (first H) and vertical test no. Measured at K value between 200 (second V).

수평 시험 no. 198(제1 H) 및 no. 201(제2 H) 사이에서는 어떠한 큰 차이도 측정되지 않았다.Level test no. 198 (first H) and no.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measured between 201 (second H).

이 차이는 측정 방법의 정확도와 비교하여 작은 차이이다.This difference is small compared to the accuracy of the measurement method.

수평 위치에서의 값과 비교하여 수직 위치에서 kvalue의 증가는 대개 8장: 시 험 패널의 검사에서 설명된 시험 패널 에지에서 관찰된 균열에 기인한다. 이는 또한 온도 사이클 중에 균열의 성장에 기인하는 수직 시험 no. 199(제1 V) 및 수직 시험 no. 200(제2 V) 사이의 kvalue의 증가를 설명할 수 있다.The increase in k value in the vertical position compared to the value in the horizontal position is usually due to the cracks observed at the test panel edges described in Chapter 8: Examination of the Test Panel. This is also due to the vertical test no. 199 (first V) and vertical test no. An increase in k value between 200 (second V) can be explained.

이 균열은 단지 접착 조인트에 가까운 에지에서만 관찰되고 대개 실제 단열 패널에서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This crack is only observed at the edges close to the adhesive joint and may not usually occur in actual insulation panels.

시험 결과는 표 7.1에 제공된다.Test results are provided in Table 7.1.

[표 7.1]TABLE 7.1

Figure 112007094431114-PCT00030
Figure 112007094431114-PCT00030

다수의 열전대가 열 브리지 또는 대류 전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단열 패널 내부에 배치된다[표 9.1 및 도52, 도53, 도54 및 도55 참조(불행하게도 열전대의 일부는 시험 중에 파괴됨)].Multiple thermocouples are placed inside the thermal insulation panel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thermal bridge or convective current (see Table 9.1 and Figures 52, 53, 54 and 55 (unfortunately some of the thermocouples are destroyed during testing)).

시험 패널의 고온 및 저온측에서 측정되는 온도 조사는 도52, 도53, 도54 및 도55에 제공된다.Temperature irradiation measured on the hot and cold sides of the test panel is provided in FIGS. 52, 53, 54 and 55. FIG.

시험 패널의 검사Inspection of test panel

시험 패널의 Of test panel 고온측으로부터의From the high temperature side 검사 inspection

시험 패널은 저온(-162℃)에서 저온측과 수평 위치에서 고온측으로부터 시각적으로 검사된다. 이어서 시험 패널은 저온 플레이트에서 저온에 의해 발생된 장력에 부분적으로 노출되고, 시험 패널 내부의 균열, 손상, 개구 또는 채널을 관측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The test panel is visually inspected from the hot side at low temperature (-162 ° C.) and in the horizontal position. The test panel is then partially exposed to the tension generated by the low temperature in the cold plate, and it may be easy to observe cracks, damage, openings or channels inside the test panel.

고온측은 폴리우레탄 슬래브 사이의 폴리우레탄 조인트 상의 알루미늄 증기 장벽 하부 또는 밀봉 화합물(ERFO GUARD FP-VB) 하부에 임의의 오목부 및 채널이 있는지를 확인하도록 주의 깊게 검사된다(도50 참조).The hot side is carefully inspected to see if there are any recesses and channels under the aluminum vapor barrier or under the sealing compound (ERFO GUARD FP-VB) on the polyurethane joints between the polyurethane slabs (see Figure 50).

폴리우레탄 슬래브 사이에서 사용되는 밀봉 화합물(ERFO GUARD FP-VB)은 알루미늄 증기 장벽에서 특히 오목부 주위에 임의의 손상 또는 채널이 있는지를 관찰하도록 매우 주의 깊게 검사된다.The sealing compound used between the polyurethane slabs (ERFO GUARD FP-VB) is very carefully examined to observe any damage or channels in the aluminum vapor barrier, especially around the recesses.

어떠한 이러한 손상, 균열 또는 채널도 전혀 발견되지 않았고, 알루미늄 포일에 대한 접착부 및 단열부는 매우 양호한 형상을 갖는 것으로 고려된다. 밀봉 화합물은 양호한 방식으로 시험을 견딘다.No such damage, cracks or channels were found at all, and the bonds and insulation to the aluminum foil are considered to have a very good shape. The sealing compound withstands the test in a good manner.

시험 패널 내부로부터 검사Inspection from inside the test panel

개구는 내부의 결함 또는 균열을 검출하도록 시험 패널 에지에 형성된다.Openings are formed in the test panel edges to detect internal defects or cracks.

알루미늄 증기 장벽 및 밀봉 화합물(ERFO GUARD FP-VB) 내의 오목부는 내부로부터, 특히 열악한 접착에 대해 주의 깊게 검사된다.Recesses in the aluminum vapor barrier and sealing compound (ERFO GUARD FP-VB) are carefully inspected from the inside, especially for poor adhesion.

어떠한 손상 또는 채널도 하부에서 발견되지 않았고, 따라서 알루미늄 포일 표면에서 관찰된 오목부는 대개 고온측에서 작은 압축에 의해 발생되고 측정된 값 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No damage or channel was found at the bottom, so the recesses observed on the aluminum foil surface are usually caused by small compression on the hot side and do not affect the measured values.

알루미늄 포일 및 밀봉 화합물의 하부의 단열부로의 접착은 매우 양호한 것으로서 고려된다.The adhesion of the aluminum foil and sealing compound to the bottom of the thermal insulation is considered very good.

일부 작은 균열이 도5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시험 장치 주위 단열부 및 시험 패널 사이의 경계에 인접한 시험 패널(2.0×3.0 m) 에지 영역에서 발견된다. 이 균열은 주로 슬래브 사이의 조인트에 인접한 폴리우레탄 슬래브의 중간의 위치에 위치된다. 균열은 임의의 위치에서, 저온측으로부터 고온측으로 도달하는 것으로 고려되지는 않는다.Some small cracks are found in the test panel (2.0 x 3.0 m) edge region adjacent to the boundary between the thermal insulation around the test apparatus and the test panel as shown in FIG. This crack is located mainly in the middle of the polyurethane slab adjacent to the joint between the slabs. The crack is not considered to reach the hot side from the cold side at any location.

더 정밀한 검사는 균열이 대개 이 에지 영역에서의 더 적은 가요성 구역에 기인하여 시험 패널 에지와 주위 단열부(접착 조인트) 사이의 경계에서 시작되는 것으로 고려되는 것을 나타낸다.Closer inspection indicates that the crack is considered to start at the boundary between the test panel edge and the surrounding insulation (adhesive joint), usually due to less flexible zones in this edge region.

전체 패널 디자인에 대한 온도 분포, 응력 및 변형에서의 실제 서비스 조건을 최대한 실제적으로 모사하는 시험 패널의 중앙 부분은 이러한 균열의 어떠한 징후도 나타내지 않고 다른 고장도 관찰되지 않는다. The central part of the test panel that most closely simulates the actual service conditions in temperature distribution, stress and strain for the entire panel design shows no signs of such cracks and no other failures are observed.

상기 사항과 시험 진행 후 시험 패널로부터 절결된 부분의 검사에 기초하여, 균열이 대개 시험 장치에 시험 패널을 설치하는 데 사용되는 접착 조인트에서 한계에 가까운 원하지 않는 더 높은 장력에 의해 발생되어야 한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 게다가, 균열은 작고 결코 상호 연결되지 않지만, 이는 측정된 열 전도도에서의 작은 상승을 설명할 수 있다.Based on the above and inspection of the cutout from the test panel after the test proceeds, it is concluded that the crack should usually be caused by an undesirably higher tension close to the limit in the adhesive joint used to install the test panel in the test apparatus. You can get off. In addition, the cracks are small and never interconnected, but this may explain the small rise in measured thermal conductivity.

시험 패널의 Of test panel 저온측으로부터의From the low temperature side 검사 inspection

-162℃에서 저온측을 갖는 시험 패널 및 주위 단열부는 이어서 장치 도구로부터 제거되어 저온 조건에서 저온측으로부터 검사된다.The test panel and ambient insulation having a low temperature side at -162 ° C are then removed from the device tool and inspected from the low temperature side at low temperature conditions.

저온측에서 알루미늄 시트는 단열 시스템의 저온측에서 양호한 조사를 제공하도록 제거된다.On the low temperature side the aluminum sheet is removed to provide good irradiation on the low temperature side of the thermal insulation system.

전술된 에지 영역에서 균열을 제외하고는 어떠한 채널, 결함 및 결점도 검출되지 않는다.No channels, defects and defects are detected except for cracks in the edge regions described above.

스터드 볼트의 일부는 패널로부터 절결되고 주의깊게 검사된다. 검사된 스터드 볼트에서는 어떠한 손상 또는 결함도 발견되지 않는 것으로 고려된다.Part of the stud bolt is cut away from the panel and carefully inspected. It is considered that no damage or defect is found in the stud bolts inspected.

결론conclusion

수평 위치로부터 수직 위치로 시험 패널에 대한 겉보기 열 전도도의 작은 증가는 대개는 시험 패널 내부에서 매우 작은 대류 전류가 있어야만 하고, 대개는 8장에 언급되어 있는 관찰된 균열에 의해 발생하는 것을 나타낸다.A small increase in apparent thermal conductivity for the test panel from the horizontal position to the vertical position usually indicates that there must be a very small convection current inside the test panel, usually caused by the observed cracks mentioned in Chapter 8.

도51과 도52 내지 도55와 표 9.1에 나타나 있는 시험 패널 내부의 온도의 검사는 폴리스티렌-슬래브 사이(예를 들면 도57의 패널 no. Ⅱ 및 no. Ⅵ 사이)의 수직 조인트의 저온측에서 가요성 재료에 작은 대류 전류가 있는 것으로 고려되지만, 이는 열 전도도에 대한 측정된 값에서 매우 작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고려된다는 것을 나타낸다.The inspection of the temperature inside the test panel shown in FIGS. 51 and 52 to 55 and Table 9.1 is carried out at the low temperature side of the vertical joint between polystyrene-slabs (for example between panels no. II and no. VI of FIG. 57). It is considered that there is a small convection current in the flexible material, but this indicates that it is considered to have a very small influence on the measured value on the thermal conductivity.

시험 후의 주의 깊은 검사는 패널 장착 중에 양호한 기능을 나타내고, 패널 내부에 손상 또는 결함이 없고, 단지 전술된 작은 균열(패널 구조에 의해 발생되지는 않음)이 발견된다.Careful inspection after the test shows a good function during panel mounting, there is no damage or defect inside the panel, only the small cracks described above (not caused by the panel structure) are found.

시험 패널 구조는 측정된 온도에서 겉보기 열 전도도에 대해 적당한 값을 갖고 이는 시험 중에 노출된 장력에 양호한 방식으로 견디는 것으로 고려된다. 그리고, 대개는 에지 영역에서 장력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임의의 균열 또는 결함이 발견되지 않을 수 있다.The test panel structure has a suitable value for the apparent thermal conductivity at the measured temperature, which is considered to withstand the tension exposed during the test in a good manner. And usually no cracks or defects may be found if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tension in the edge region.

[표 9.1]Table 9.1

Figure 112007094431114-PCT00031
Figure 112007094431114-PCT00031

Figure 112007094431114-PCT00032
Figure 112007094431114-PCT00032

Claims (14)

단열재의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극저온 탱크 또는 용기용 단열 구조체이며,An insulating structure for cryogenic tanks or containers comprising a plate of heat insulating material, 상기 플레이트는 단열재의 주로 연속적인 층을 형성하도록 이들의 조립체를 통해 이들의 측면 에지에서 상호 협동형 고정 구조체를 구비하고, 단열 플레이트 내의 체결 영역은 조립체에서의 각각의 단열 플레이트 사이의 선택적인 균열 또는 틈 및/또는 개구를 충전하기 위해 압력 하에서 중합 단열재의 추가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홈을 더 포함하는 단열 구조체.The plates have mutually cooperative fastening structures at their side edges through their assemblies to form a predominantly continuous layer of insulation, and the fastening area in the insulation plate is characterized by selective cracking between each insulation plate in the assembly or Insulation structure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groove for the addition of polymeric insulation under pressure to fill gaps and / or openings. 제1항에 있어서, 단열 플레이트는 발포 또는 압출 폴리스티렌(EPS)으로 제조되는 단열 구조체.The heat insulating structure of claim 1, wherein the heat insulating plate is made of expanded or extruded polystyrene (EP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중합 단열재는 단열 패널 내의 관련 홈 내로 주입되는 액체 재료인 단열 구조체.The insulating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polymeric insulating material is a liquid material which is injected into an associated groove in the insulating panel. 제3항에 있어서, 단열 액체는 폴리우레탄인 단열 구조체.The heat insulating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heat insulating liquid is polyurethane.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극저온 탱크/용기는 -50℃ 내지 -273℃,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50℃, 더욱 바람직하게는 -125℃ 내지 - 200℃의 온도 간격 내에서 냉각 액체를 운반하도록 된 단열 구조체.The cryogenic tank / vesse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ryogenic tank / container is -50 ° C to -273 ° C, preferably -100 ° C to -250 ° C, more preferably -125 ° C to -200 ° C. Insulating structure adapted to carry cooling liquid within a temperature interval. 서로 적층되는 적어도 2개의 단열 패널을 포함하며, 플레이트 사이의 접촉 표면에 합성 또는 천연 재료의 망, 시트 또는 천 형태의 균열 장벽을 포함하고, 패널 조립체의 에지 중의 적어도 하나에 패널 조립체에 대한 액체 폼 형성 단열재의 제공을 위한 홈을 나타내는 단열 패널 조립체.At least two insulating panels stacked on each other,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plates comprising a crack barrier in the form of a mesh, sheet or cloth of synthetic or natural material, the liquid foam for the panel assembly on at least one of the edges of the panel assembly; Insulation panel assembly representing a groove for providing a forming insulation. 제6항에 있어서, 단열 패널의 개수는 3개이고, 조립체의 층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층의 패널의 위치에 대해 변위되는 단열 패널 조립체.The insulation panel assembly of claim 6, wherein the number of insulation panels is three and at least one of the layers of the assembly is displaced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of the panels of the other layers. 제7항에 있어서, 조립체의 중간층은 조립체의 측면 에지 중 적어도 2개에서 리지-및-홈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상부층 및 하부층에 대해 변위되는 단열 패널 조립체.8. The thermal insulation panel assembly of claim 7 wherein the middle layer of the assembly is displaced relative to the top and bottom layers to form a ridge-and-groove structure at at least two of the side edges of the assembly. 제8항에 있어서, 중간층은 조립체의 4개의 모든 측면 에지에서 리지-및-홈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상부층 및 하부층에 대해 변위되는 단열 패널 조립체.The insulated panel assembly of claim 8, wherein the middle layer is displaced relative to the top and bottom layers to form ridge-and-groove structures at all four side edges of the assembly. 단열 구형 극저온 용기/탱크를 위한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단열 패널 조립체의 용도.Use of an insulating panel assembly according to any of claims 6 to 9 for thermally insulating spherical cryogenic vessels / tanks.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단열 구조체를 추가시키는 방법이 며,A method of adding a heat insula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극저온 탱크의 표면 상에 기초 재료(SCRIM)의 층이 추가되고, 상기 재료 상에는 접착 재료를 포함하는 제1 단열층이 추가되며, 상기 접착 재료에는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단열 패널 또는 단열 패널 조립체 중 적어도 하나가 추가되고, 상기 단열 패널 또는 단열 패널 조립체 내의 관련 주입 홈에는 압력 하에서 폼 형성 및 액체 단열재가 추가되며, 상기 액체 단열재는 연속적인 단열층을 형성하도록 관련 주입 홈 내에서 경화될 수 있고, 단열 패널 조립체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단열층에는 균열 장벽이 추가되며, 상기 균열 장벽 상에서 단열 패널의 제2 층은 주로 상기 제1 층에 대응하고, 층 형성 방법은 선택적으로 임의의 횟수로 반복되며, 상기 단열 구조체 상에는 선택적으로 방사 반사성 재료의 포일이 추가되는 방법.A layer of foundation material (SCRIM) is added on the surface of the cryogenic tank, a first insulating layer comprising an adhesive material is added on the material, and the insulating materia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9. At least one of the panel or insulation panel assembly is added, and the associated injection groove in the insulation panel or insulation panel assembly is added with foam forming and liquid insulation under pressure, the liquid insulation in the associated injection groove to form a continuous insulation layer. Can be cured, and if a thermal insulation panel assembly is not used, a thermal barrier is added to the thermal insulation layer, on which the second layer of the thermal insulation panel mainly corresponds to the first layer, and the layer formation method is optionally optional. Repeated a number of times, and optionally a foil of radiation reflective material is added on the insulating structure. 제11항에 있어서, 단열 패널은 발포 또는 압출 폴리스티렌의 패널을 포함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thermal insulation panel comprises a panel of foamed or extruded polystyrene.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주입 홈에 추가되는 단열, 액체, 폼 형성 재료는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방법.13. The method of claim 11 or 12, wherein the thermally insulating, liquid, foam forming material added to the injection groove comprises polyurethane.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단열층 또는 단열 패널 조립체의 단열 패널의 일부 또는 모두가 용기/탱크 벽에 못/볼트 결합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some or all of the insulation panels of the first insulation layer or insulation panel assembly are nailed / bolt to the vessel / tank wall.
KR1020077030765A 2005-05-30 2006-05-30 Process and system for thermal insulation of cryogenic containers and tanks KR20080047321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O20052599A NO20052599D0 (en) 2005-05-30 2005-05-30 Process and system for thermal insulation of cryogenic containers and tanks.
NO20052599 2005-05-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7321A true KR20080047321A (en) 2008-05-28

Family

ID=35295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30765A KR20080047321A (en) 2005-05-30 2006-05-30 Process and system for thermal insulation of cryogenic containers and tanks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08542651A (en)
KR (1) KR20080047321A (en)
CN (1) CN101278148A (en)
NO (1) NO20052599D0 (en)
WO (1) WO2006130019A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194B1 (en) * 2011-11-08 2014-09-02 주식회사 한국카본 Flexible second gas barrie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20200130055A (en) * 2019-08-14 2020-11-18 이상복 Containment system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KR20230077123A (en) * 2021-11-25 2023-06-01 롯데건설 주식회사 Composite panel for structural explosion-proof reinforcement and its installation struct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9850U1 (en) 2006-02-14 2008-04-15 Tiefenthaler Michael UNTERSPARRENDÄMMPLATTE
JP2012503747A (en) 2008-09-23 2012-02-09 エアロヴァイロンメン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Cryogenic liquid tank
FR2951521B1 (en) * 2009-10-20 2011-11-18 Gaztransp Et Technigaz POLYGONAL TANK FOR LNG
CA3055146A1 (en) * 2011-10-21 2013-04-25 Nvent Services Gmbh Storage tank insulation joint apparatus and method
FR2996520B1 (en) * 2012-10-09 2014-10-24 Gaztransp Et Technigaz SEALED AND THERMALLY INSULATING TANK COMPRISING A METALIC MEMBRANE WOUNDED ACCORDING TO ORTHOGONAL PLATES
CN108064326B (en) * 2015-08-27 2020-08-11 国际壳牌研究有限公司 Use of a layer of material as a thermal insulation barrier
KR101854842B1 (en) 2016-05-17 2018-06-14 주식회사 한국카본 Flexible second gas barrier with improved fatigue strengt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FR3052534B1 (en) * 2016-06-10 2018-11-16 Hutchinson CONTRESSED THERMAL BRIDGE ASSEMBLY
JP6993080B2 (en) * 2016-10-05 2022-01-13 旭化成建材株式会社 Composite insulation
RU2649725C1 (en) * 2016-12-28 2018-04-04 Российская Федерация, От Имени Которой Выступает Министерство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И Торговли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Liquefied gas storage tank
JP6908310B1 (en) * 2020-06-04 2021-07-21 株式会社冨士パーライト Manufacturing method of heat insulating material for tank end plate and heat insulating material for tank end plate
NO346027B1 (en) * 2020-07-09 2022-01-10 Lnt Marine Pte Ltd Method for applying insulation to a combined cylindrical tank, a combined cylindrical tank and use thereof
CN112393113B (en) * 2020-11-13 2023-01-24 上海海威斯特保温工程有限公司 C-shaped LNG liquid cargo storage tank polyurethane spraying heat insulation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7134446B2 (en) * 2021-02-24 2022-09-12 株式会社冨士パーライト Manufacturing method of heat insulating material for shrimp pip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08621A (en) * 1963-08-16 1965-09-28 North American Aviation Inc Insulated tank for liquids boiling below ambient temperatures
US3420396A (en) * 1966-04-01 1969-01-07 Mcmullen John J Insulated tank configuration
US3773604A (en) * 1971-02-10 1973-11-20 Balsa Ecuador Lumber Corp Structural light-weight panel of high strength,having theral insulation properties and enclosures formed thereby
JPS4874024A (en) * 1971-12-30 1973-10-05
GB1436109A (en) * 1972-08-10 1976-05-19 Marine Ind Developments Ltd Storage tanks particularly for liquefied gases
AU5760173A (en) * 1972-09-05 1975-01-09 Frank Edward Mack Thermal insulation
DE3042374A1 (en) * 1980-11-10 1982-06-09 Kaefer Isoliertechnik Gmbh & Co Kg, 2800 Bremen THERMAL INSULATION
JPS5891992A (en) * 1981-11-25 1983-06-01 Mitsubishi Heavy Ind Ltd Construction method of interior heat insulating type storage container
JPS61167799A (en) * 1985-01-22 1986-07-29 Mitsubishi Heavy Ind Ltd Liquid tight heat insulating structure for emergency use of low temperature liquid tank
DE4018519C2 (en) * 1990-06-09 1994-01-13 Kaefer Isoliertechnik Thermal insulation for large temperature intervals in the low temperature range
JPH0761493A (en) * 1993-08-20 1995-03-07 Dow Kakoh Kk Panel for heat insulation of extremely low temperature tank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194B1 (en) * 2011-11-08 2014-09-02 주식회사 한국카본 Flexible second gas barrie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20200130055A (en) * 2019-08-14 2020-11-18 이상복 Containment system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KR20230077123A (en) * 2021-11-25 2023-06-01 롯데건설 주식회사 Composite panel for structural explosion-proof reinforcement and its installation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130019A1 (en) 2006-12-07
CN101278148A (en) 2008-10-01
JP2008542651A (en) 2008-11-27
NO20052599D0 (en) 2005-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47321A (en) Process and system for thermal insulation of cryogenic containers and tanks
RU2682230C2 (en) Sealed insulated reservoir and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US3948406A (en) Storage tanks, particularly for liquified gases
JP5452969B2 (en) Thermal insulation structure of low temperature tank and thermal insulation construction method
Kim et al. Pressure resistance of the corrugated stainless steel membranes of LNG carriers
KR102092210B1 (en) Insulating block for manufacturing a tank wall
KR20080049623A (en) Fastening of insulating blocks for a liquefied gas transport tank by adhesive bonding using wavy beads of adhesive
KR102181506B1 (en) Insulating block for producing a sealed and insulated tank wall
KR20160017056A (en) Self-supporting case for thermally insulating a fluid storage tank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 case
EP0185661B1 (en) Heat insulating structures for low-temperature or cryogenic pipings
Einea Structural and thermal efficiency of precast concrete sandwich panel systems
US3855811A (en) Insulation for liquid gas containers, especially spherical containers
Yoon et al. Improvement of the adhesive peel strength of the secondary barrier with level difference for LNG containment system
Morino et al. Applicability of CFRP materials to the cryogenic propellant tank for reusable launch vehicle (RLV)
KR101434146B1 (en) Connecting structure of insulating barrier
WO2020149392A1 (en) Thermal insulation structure for low-temperature fluid tank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ame
Zhang et al. NOL-ring based evaluation of freeze and freeze–thaw exposure effects on FRP composite column wrap systems
Song et al. Cryogenic compressive strength and thermal deformation of reinforced polyurethane foam material for membrane type LNG carrier
Kim et al. Assessment of Cryogenic Fatigue Strength of MARK-III LNG Carrier Insulation System
Reed et al. Compression-fatigue, elastic modulus, and thermal contraction of insulated conduit arrays of ITER CS modules
KR20180117455A (en) Composite laminated insulation and structural membra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thony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cryogenic foam insulation for LH2 subsonic transports
MCAULIFFE et al. Reusable cryogenic foam insulation for advanced aerospace vehicles
JPH0247348B2 (en)
Parsons et al. Manufacture and testing of a filament wound composite bridge super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