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6462A - 디지털 방송 신호와 상기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신호와 상기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6462A
KR20080046462A KR1020060115947A KR20060115947A KR20080046462A KR 20080046462 A KR20080046462 A KR 20080046462A KR 1020060115947 A KR1020060115947 A KR 1020060115947A KR 20060115947 A KR20060115947 A KR 20060115947A KR 20080046462 A KR20080046462 A KR 20080046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hannel
program
related program
broadcas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5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8929B1 (ko
Inventor
홍호택
서종열
이윤이
이준휘
김진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947187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80046462(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5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8929B1/ko
Priority to US11/984,692 priority patent/US20080129878A1/en
Priority to EP07121252A priority patent/EP1944973B1/en
Priority to CN2007101938033A priority patent/CN101188705B/zh
Publication of KR20080046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6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8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8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1Caching operations, e.g. of an advertisement for later insertion during play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신호와 상기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수신되는 방송 신호 내 관련 프로그램 또는 채널에 관한 정보를 파싱하여 상기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관련 프로그램 정보는 관련된 프로그램의 개수에 대한 제 1 정보, 상기 제 1 정보에 따라 구비되는 각 관련 프로그램의 해당 프로그램과의 관련성에 대한 제 2 정보, 각 관련 프로그램이 전송되는 매체의 종류에 대한 제 3 정보와 각 관련 프로그램의 채널 넘버에 대한 제 4 정보를, 상기 관련 채널 정보는 관련된 채널의 개수에 대한 제 1 정보, 상기 제 1 정보에 따라 구비되는 각 관련 채널이 해당 채널과의 관련성에 대한 제 2 정보, 각 관련 채널이 전송되는 매체의 타입에 대한 제 3 정보 및 각 관련 채널의 채널 넘버에 대한 제 4 정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현재 시청 중인 프로그램 또는 채널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중계 방송의 타 채널 연계 또는 비상시 재난 방송 안내 등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디지털 방송, EIT, VCT, SDT, 관련 프로그램 정보, 관련 채널 정보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신호와 상기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Digital broadcasting signal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the signal}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관련 프로그램 정보를 포함한 EIT 섹션 신택스의 일 예를 도시한 것
도 1b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한 관련 프로그램 디스크립터의 일 예를 도시한 것
도 1c는 본 발명에 따라 관련 프로그램의 타입을 정의한 일 예를 도시한 것
도 1d는 본 발명에 따라 관련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미디어 타입을 정의한 일 예를 도시한 것
도 1e는 본 발명에 따라 특정 프로그램에 대한 관련 프로그램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기에서 구현한 일 예를 도시한 것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관련 채널 정보를 포함한 TVCT 섹션 신택스의 일 예를 도시한 것
도 2b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한 관련 채널 디스크립터의 일 예를 도시한 것
도 2c는 본 발명에 따라 관련 채널의 타입을 정의한 일 예를 도시한 것
도 2d는 본 발명에 따라 관련 채널을 전송하는 미디어 타입을 정의한 일 예를 도시한 것
도 2e는 본 발명에 따라 특정 채널에 대한 관련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기에서 구현한 일 예를 도시한 것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블록도의 일 예를 도시한 것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것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1: 튜너부 302: 복조부
303: 역다중화부 304: 오디오/비디오 복호부
305: 디스플레이부 306: 애플리케이션 제어부
307: 서비스 매니저 308: 채널 맵
309: PSI/PSIP/DVB 복호부 310: PSI/PSIP/DVB 데이터베이스
311: 시스템 매니저 312: 저장부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digital broadcasting)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 프로그램 또는 채널과 관련된 콘텐츠(contents)에 관한 것이다.
기존 아날로그 기반의 텔레비전은 시청자가 단순히 지상파, 케이블 및 위성방송 등의 매체와 7번, 9번, 11번 등의 채널을 선택하고, 각각의 매체를 통해 전송 되는 영상과 음성 정보를 제공받는 형태로 서비스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디지털 텔레비전 기술이 개발되고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기존의 아날로그 기반의 텔레비전에서 제공하던 음성/영상 정보뿐만 아니라 시청자에게 채널 가이드, 채널 정보와 같은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디지털 방송에서는 상기와 같이 다양한 부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기본적인 오디오/비디오 스트림(audio/video stream) 이외에 P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또는 DVB-SI(digital video broadcasting - service information)과 같은 부가 정보 테이블을 포함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송수신한다.
즉,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된 부가 정보 테이블은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이 전송되는 PID(packet identifier)를 안내하고, 각 채널별 서비스 이름과 채널 개수, 방송 언어, 자막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나 기존의 상술한 것과 같은 부가 정보들은 주로 각 채널 및 채널에서 방송되는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만을 전송하고 해당 채널 또는 프로그램과 관련성이 있는 정보는 제공하지 않아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었다.
예를 들어, 중계 방송이 할당된 시간 초과 등의 이유로 정규 방송으로 중단되는 경우, 중계가 계속되는 다른 채널이 있는지 여부, 월드컵 등에서 여러 경기가 동시에 진행되는 경우 중계되는 각각의 채널이 무엇인지 여부, PPV 서비스 등에서 시간대가 다른 동일한 콘텐츠를 방송할 경우 어떤 채널들에서 방송되는지 여부, VoD(video on demand) 서비스에서 콘텐츠가 종료될 경우 자동 전환 채널, VoD 서비 스에서 시리즈물인 경우 다음 편 방송 채널이 무엇인지 여부, 다른 매체로 재전송되는 동일한 채널이 있는지 등에 대해 알 수 있는 방법이 없고, 사용자 등의 수고에 의한 우연한 서치(serch)로 가능할 뿐이었다.
즉,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뿐만 아니라 디지털 방송을 통해 전송되는 부가 정보에 의하더라도 사용자는 관련 프로그램 또는 관련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없어 그러한 관련 프로그램 또는 관련 채널의 존부를 알 수 없으며, 해당 프로그램 또는 해당 채널로 이동하고자 하여도 사용자의 입장에서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특정 프로그램 또는 특정 채널과 관련된 관련 프로그램 정보 또는 관련 채널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관련 프로그램 정보 또는 관련 채널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의 일 예는, 수신되는 상기 방송 신호 내 관련 프로그램 또는 관련 채널에 관한 정보를 파싱하여 상기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관련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는 해당 프로그램과 관련된 프로그램 의 개수를 나타내는 제 1 정보, 상기 제 1 정보에 따라 구비되는 각 관련 프로그램의 상기 해당 프로그램과의 관련성을 나타내는 제 2 정보, 각 관련 프로그램이 전송되는 매체의 종류를 나타내는 제 3 정보와 각 관련 프로그램에 대한 채널 넘버를 나타내는 제 4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정보는 각 관련 프로그램이 해당 프로그램과 동일한 프로그램, 재전송되는 프로그램, 동일 시리즈물의 다른 에피소드인 프로그램, 기타 해당 프로그램과 관련된 서류나 코멘트 중 어느 하나임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정보는 각 관련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매체가 지상파, 케이블, 위성 또는 인터넷 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임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련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는 각 관련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즉시 전달할지 여부에 대한 정보, 각 관련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미디어 사업자의 식별에 대한 정보, 각 관련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채널에 대한 상세 정보, 각 관련 프로그램의 제목과 같은 프로그램 상세 정보, 각 관련 프로그램의 시작 시각과 지속 시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련 채널에 관한 정보는 해당 채널과 관련된 채널의 개수를 나타내는 제 1 정보, 상기 제 1 정보에 따라 구비되는 각 관련 채널과 해당 채널과의 관련성을 나타내는 제 2 정보, 각 관련 채널이 전송되는 매체의 타입을 나타내는 제 3 정보 및 각 관련 채널의 채널 넘버를 나타내는 제 4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정보는 관련 채널이 해당 채널을 재전송하는 채널, 해당 채널이 중단되는 경우에 대체하는 채널, 드라마/어린이와 같이 특정 목적 채널 중 어느 하나임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정보는 각 관련 채널이 전송되는 매체의 타입이 지상파, 케이블, 위성 또는 인터넷 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임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련 채널에 관한 정보는 관련 채널 정보를 즉시 전달할지 여부에 대한 정보, 관련 채널 정보를 제공하는 미디어 서비스 제공자의 식별에 대한 정보와 관련 채널에 대한 상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관련 프로그램 또는 관련 채널에 관한 정보의 요청이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추출한 정보를 즉시 전달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은 기 설정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전환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추출한 정보 중 지원하지 않는 미디어의 타입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은 기 설정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디스플레이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구성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일 예는,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 내 관련 프로그램 또는 채널 정보를 포함한 테이블 섹션을 필터링하는 역다중화부; 상기 필터링된 각 테이블 섹션을 수신하고 파싱하여 상기 관련 프로그램 또는 채널 정보를 추출하는 파싱부; 상기 추출된 관련 프로그램 또는 채널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추출된 관련 프로그램 또는 채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추출된 관련 프로그램 또는 채널 정보를 저장하거나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관련 프로그램 또는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부; 상기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 상기 복조된 오디오/비디오 기본 스트림 패킷들(elementary stream packets)을 복호하는 오디오/비디오 복호부; 채널 선택에 대한 키 명령을 채널/서비스 매니저로 전달하며, 전체 시스템의 키 상태를 제어하고, 설정 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장하거나 리모트 컨트롤러 또는 전면 패널을 통한 사용자의 요청을 수신하는 애플리케이션 제어부; 상기 튜너부를 제어하거나 채널 맵을 만들며, 채널 정보를 위해 파싱부를 재설정하고 요청하거나 오디오/비디오의 PID를 역다중화부에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채널/서비스 매니저; 전원의 온/오프에 의해 시스템 부팅의 플로우를 제어하는 시스템 매니저; 저장부에 쓰거나 다운로드된 소프트웨어 이미지를 포함하여 롬 이미지를 저장하는 시스템 매니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튜너는 지상파, 위성, 케이블 또는 IP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체를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신호의 일 예는, 상기 방송 신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은 관련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 또는(및) 관련 채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관련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는 해당 프로그 램과 관련된 프로그램의 개수에 대한 정보, 상기 관련된 프로그램의 개수에 대한 정보에 따라 구비되는 각 관련 프로그램과 해당 프로그램의 관련성에 대한 정보, 각 관련 프로그램이 전송되는 매체의 타입에 대한 정보와 각 관련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채널 넘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하고, 상기 관련 채널에 관한 정보는 해당 채널과 관련된 채널의 개수에 대한 정보, 상기 관련된 채널의 개수에 대한 정보에 따라 구비되는 각 관련 채널과 해당 채널의 관련성에 대한 정보, 각 관련 채널이 전송되는 매체의 타입에 대한 정보와 각 관련 채널의 채널 넘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관련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는 해당 관련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즉시 전달할지 여부에 대한 정보, 상기 해당 관련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미디어 사업자의 식별에 대한 정보, 상기 해당 관련 프로그램에 대한 상세 정보, 상기 해당 관련 프로그램의 시작 시각 및 지속 시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련 채널에 관한 정보는 해당 관련 채널 정보를 즉시 전달할지 여부에 대한 정보, 상기 해당 관련 채널 정보를 제공하는 미디어 서비스 제공자의 식별에 대한 정보와 상기 해당 관련 채널에 대한 상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다. 그러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 이 임의로 용어를 선정하였으며, 이 경우에는 해당되는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파악하여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신호와 상기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특정 프로그램 또는 특정 채널과 관련된 콘텐츠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때, 상기 콘텐츠는 각 해당 매체 즉, 지상파, 케이블, 위성 또는 IP(internet protocol) 내에서 관련된 콘텐츠뿐만 아니라 상기 매체들 중 서로 다른 매체로 전송되는 채널 간에도 관련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북미, 유럽 기타 지역에서의 디지털 방송 방식 모두에 적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특정 프로그램과 관련된 정보(이하 '관련 프로그램 정보'라 한다.)는 유럽 방식의 디지털 방송 규격인 디지털 비디오 방송(digital video broadcasting)을 일 예로써 참조하여 설명하고, 특정 채널과 관련된 정보(이하 '관련 채널 정보'라 한다.)는 북미 방식의 디지털 방송 규격인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을 일 예로써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드러나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근거로 하여 권리 범위를 판단하여야 함을 밝혀둔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관련 프로그램 정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관련 프로그램 정보를 설명함에 있어 유럽 방식의 디지털 비디오 방송 규격을 참조한다고 한바, 이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면 상기 디지털 비디오 방송 규격은 방송 정보를 테이블(table) 형식으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되는 테이블 중 EIT(event information table)는 각 서비스 내에 포함된 이벤트(event)들의 연대순 방송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관련 프로그램 정보는 방송 프로그램 즉, 이벤트와 관련되는바 상기 EIT에 관련 프로그램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북미 방식에 따른 PSIP 규격에서도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EIT에 포함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관련 프로그램 정보를 포함한 EIT 섹션 신택스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상기 EIT 섹션 신택스를 구성하고 있는 각 필드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 필드의 영문명을 그대로 사용한다.
"table_id" 필드는 EIT 섹션을 위하여 디지털 비디오 방송 규격에서는 '0x4E' 내지 '0x8F'를 할당하고 있다.
"section_syntax_indicator" 필드는 '0'으로 설정된 1 비트의 지시자이다.
"section_length" 필드는 해당 필드 바로 다음부터 시작하여 상기 섹션의 마지막까지 섹션의 바이트의 수를 설명한다.
"service_id" 필드는 전송 스트림 내의 다른 서비스로부터 이 서비스를 식별할 수 있는 레이블(label)을 제공한다.
"version_number" 필드는 서브 테이블의 버전 넘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버전 넘버는 상기 서브 테이블 내에 전송되는 정보에 변경이 발생하면 1씩 증가한다.
"current_next_indicator" 필드는 1 비트의 지시자로서, '1'로 설정되어 있으면 현재 서브 테이블은 적용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section_number" 필드는 해당 섹션의 넘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last_section_number" 필드는 해당 테이블 내 가장 마지막 섹션의 넘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transport_stream_id" 필드는 전송 스트림의 식별을 위한 정보를 제공한다.
"original_network_id" 필드는 전달 시스템의 네트워크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network identification)를 제공한다.
"segment_last_section_number" 필드는 해당 세그먼트(segment)의 가장 마지막 섹션 넘버를 설명하는 정보를 제공한다.
"last_table_id" 필드는 기 사용된 가장 마지막 테이블 아이디(table identification)를 식별하는 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last_table_id" 필드에 대한 루프 구조 부분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event_id" 필드는 묘사되는 이벤트의 식별 넘버를 포함하는 정보를 제공한다.
"start_time_low" 필드는 이벤트의 시작 시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duration" 필드는 이벤트의 듀레이션(duration)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running_status" 필드는 상기 이벤트의 상태를 지시하는 정보를 제공한다.
"free_CA_mode" 필드는 해당 이벤트의 모든 구성 스트림(stream)에 대한 스크램블(scramble)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descriptor_loop_length" 필드는 해당 섹션에 포함될 수 있는 디스크립터들의 전체 길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루프 구조 내에 본 발명에 따른 관련 프로그램 정보를 정의하는 디스크립터를 포함하여 EIT 섹션에 포함된 디스크립터들이 포함된다.
마지막으로, "CRC_32" 필드는 할당된 32 비트로 섹션 데이터의 CRC(cyclic redundancy check) 값을 전송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정의한 관련 프로그램 정보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관련 프로그램 정보는 상기 EIT 섹션 신택스를 구성하는 필드 형태로 추가할 수도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디스크립터의 형태로 추가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디스크립터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관련 프로그램 디스크립터(related_program_descriptor)“ 라고 명명한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한 관련 프로그램 디스크립터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 상기 관련 프로그램 디스크립터는 EIT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관련 프로그램 디스크립터를 구성하는 각 필드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descriptor_tag” 필드는 해당 디스크립터의 종류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과 관련하여 상기 디스크립터가 관련 프로그램 정보를 정의하는 관련 프로그램 디스크립터임을 나타낸다.
“descriptor_length” 필드는 본 디스크립터 전체의 길이를 나타낸다.
“num_of_related_programs” 필드는 특정 프로그램과 관련된 관련 프로그램이 몇 개인지 그 개수에 관한 정보를 나타낸다.
이하 각 필드는 상기 “num_of_related_programs” 필드에서 정의하는 개수만큼 루프 구조를 돌면서 해당 관련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정의하는바, 어떠한 정보들이 루프 구조 내에 정의되는지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lated_program_type” 필드는 관련 프로그램이 현재 프로그램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 지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도 1c와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상기 필드 값이 ‘0’이면 동일한 시각의 동일한 프로그램임을 나타내고, ‘1’이면 동일한 에피소드가 재전송되는 프로그램임을 나타내고, ‘2’이면 동일 시리즈물의 다른 에피소드인 프로그램임을 나타내고, ‘3’이면 해당 프로그램과 연관된 다른 정보 예를 들어, 서류(documentary)나 코멘트들(comments)임을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상기 도 1c에서 정의한 값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예시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media_type“ 필드는 해당 관련 프로그램이 전송되는 매체 종류를 나타내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d와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상기 필드 값이 ‘0’이면 해당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매체가 지상파(terrestrial)임을 나타내고, ‘1’이면 케이블(cable), '2'이면 위성(satellite), '3'이면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임을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상기 도 1d에서 정의한 값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예시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channel_number” 필드는 관련 프로그램이 서비스되는 채널 번호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상술한 필드를 이용하여, 관련 프로그램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필드에 더하여 “instant_view” 필드는 관련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시청자에게 즉시 전달할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방송 중인 프로그램이 중단되고 타 연계 채널로 방송이 연계되는 경우 ‘1’로 표시하고, 단순히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 전달되는 채널 목록의 경우‘0’으로 표시하여 전달한다.
“media_provider_id” 필드는 관련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미디어 서비스 제공업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즉, 케이블 공급자라도 예를 들어, 북미의 경우 컴캐스트(Comcast)와 워너 브라더스(Warner Bros.) 등으로 나눌 수 있고, 위성 또한 다이렉티브이(DirecTV)와 애스트라(Astra) 등 다양한 사업자로 구분될 수 있으므로 고유의 아이디(identification)를 할당하여 구분한다.
또한, 상기 정보는 관련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미디어 서비스 제공업자들 중에서도 수신 제한을 하는 경우도 있는바,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 제한 인증 여부에 따라 해당 프로그램을 수신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도 있다.
“channel_description_length“ 필드는 ”channel_description_field“ 항 목의 길이를 나타낸다.
“channel_description” 필드는 채널 이름 등 관련 프로그램이 서비스되는 각 채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program_description_length” 필드는 “program_description_field” 항목의 길이를 나타낸다.
“program_description” 필드는 프로그램 제목 등 관련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start_time” 필드는 각 관련 프로그램의 시작 시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디지털 비디오 방송 규격에서는 상기 필드와 같이 시간 정보를 전송하는 포맷으로 UTC(coordinated universial time)와 MJD(Modified Julian Date)를 사용하나 이와 다른 포맷을 사용할 수도 있다.
"duration” 필드는 각 관련 프로그램의 지속 시간 즉, 방송 길이나 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디지털 비디오 방송 규격에서는 BCD(binary coded decimal) 형태의 시분초 값이 24 비트에 코딩되나, 이와 다른 형태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관련 프로그램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기에서 구현한 예를 설명한다. 도 1e는 본 발명에 따라 특정 프로그램에 대한 관련 프로그램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기에서 구현한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가 현재 시청 중인 프로그램과 관련된 프로그램의 정보를 요청하였다고 가정하자.
도시한 도 1e의 가장 위에 있는 것은 사용자가 현재 시청 중인 프로그램을 표시한 것이다.
그리고 그 아래에 있는 것은 수신기에서 본 발명에 따라 정의한 관련 프로그램 정보를 파싱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한 것으로, 크게 계속(continue on), 재방송(re-broadcast)과 다음 에피소드(next episode)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도 1e에서 도시한 것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른 일 예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그 아래에는 상기 구분에 따른 각각의 구현 예를 하나씩 들었다.
또한, 도 1e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련 프로그램 정보는 미디어 타입(media type), 채널 넘버(channel number), 이름(name), 프로그램(program)과 스케쥴(schedule)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e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가 지상파 방식의 채널 2-1번의 CBS 방송에서 “CSI Miami Episode 2”을 시청 중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와 같은 외부 입력 수단이나 시스템 전면 패널(front panel)에 구비된 키 등을 통하여 관련 프로그램 정보를 요청하면, 수신기는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 내 관련 프로그램 디스크립터를 파싱하여 관련 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관련 프로그램 정보는 도 1e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 사용자가 시청하고 있는 지상파 채널인 2-1번 CBS의 "CSI Miami Episode 2" 프로그램의 연결 방송 채널로 동시간 대에 제공되는 케이블 미디어인 CBS Cable의 2-1번 채널의 동일한 프로그램("CSI Miami Episode 2"), 재방송으로 10월 27일 18:00부터 19:00시 사이에 제공되는 케이블 미디어인 CBS Drama의 2-2번 채널의 동일한 프로그램("CSI Miami Episode 2"), 10월 28일 20:00시부터 21:00시 사이에 위성 미디어인 CBS Sky의 2-10번 채널에 동일한 프로그램("CSI Miami Episode 2")과 11월 3일 내지 5일에 지상파/케이블/위성방송을 통해 동일한 프로그램("CSI Miami Episode 2")의 다른 에피소드인 “Episode 3 내지 5”의 연계 시리즈 프로그램이 방송된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연관 프로그램 정보는 시청자의 선택에 따라 채널 전환이 가능하며, 연관 프로그램에 대한 예약 녹화나 시청 예약 등의 응용도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할 연관 채널 정보와 같이 수신기에서 지원 가능한 미디어에 따라 지원 불가능한 미디어에서 제공하는 정보는 필터링(filtering)하여 디스플레이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상 관련 프로그램 정보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 1a 내지 도 1e는 예시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밝힌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관련 프로그램 정보는 유럽 방식의 디지털 비디오 방송 규격뿐만이 아니라 미국 방식의 PSIP에서도 적용 가능하다.
다음으로 관련 채널 정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관련 프로그램 정보는 유럽 방식의 디지털 비디오 방송 규격을 예로 하여 설명한바, 관련 채널 정보는 PSIP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때, 상기 PSIP은 역시 방송 정보를 테이블 형식으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되는 테이블 중 디지털 방송을 위한 가상 채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VCT(virtual channel table)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이때, 관련 채널 정보는 상기 PSIP의 VCT 외에도 MPEG 2를 통해 전송되는 테이블에도 포함될 수 있으며, 디지털 비디오 방송 규격을 통해 전송되는 테이블에도 포함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라 채널 연관 정보를 포함한 TVCT 섹션 신택스(syntax)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하 상기 TVCT 섹션 신택스를 구성하고 있는 각 필드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 필드의 영문명을 그대로 사용한다.
"table_id" 필드는 해당 섹션의 타입을 지시하는 것으로, TVCT임을 나타내기 위하여 '0xC8' 값을 할당한다.
"section_syntax_indicator" 필드는 ‘1’로 설정된 1 비트의 지시자이다.
"private_indicator" 필드는 '1' 값을 가질 수 있는 1비트 필드이다.
"section_length" 필드는 해당 필드 바로 다음부터 시작하여 마지막 필드까지 섹션의 바이트의 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transport_stream_id" 필드는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version_number" 필드는 TVCT(terrestrial virtual channel table)의 버전 넘버(version number)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current_next_indicator" 필드는 전송된 TVCT가 현재 적용 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1 비트의 지시자이다.
"section_number" 필드는 해당 섹션의 넘버에 대한 정보를 알려 준다. 이때, TVCT 내 첫 번째 섹션의 섹션 넘버는 '0x00' 이 된다.
"last_section_number" 필드는 완성된 TVCT의 가장 마지막 섹션의 넘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protocol_version" 필드는 프로토콜 버전을 위한 유효한 값은 '0x00' 이다.
"num_channels_in_section" 필드는 해당 VCT 섹션의 가상 채널의 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가상 채널의 수는 해당 섹션 길이에 의해 제한된다.
"short_name" 필드는 가상 채널의 이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major_channel_number" 필드는 가상 채널과 관련된 메이저(major) 채널 넘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필드는 1에서 99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minor_channel_number" 필드는 가상 채널과 관련된 마이너(minor) 또는 서브(sub) 채널 넘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필드는 0에서 999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modulation_mode" 필드는 가상 채널과 관련된 전송 캐리어(transmitted carrier)를 위한 모듈레이션 모드(modulation mode)를 지시하는 정보를 제공한다.
"carrier_frequency" 필드는 캐리어 프리퀀시(carrier frequency)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channel_TSID" 필드는 해당 가상 채널에 의해 참조되는 MPEG-2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전송 트림과 관련된 MPEG-2 전송 스트림 아이디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program_number" 필드는 MPEG-2 PAT(program association table)와 PMT(program map table)에 의해 정의되는 가상 채널과 연관된 프로그램 넘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ETM_location" 필드는 익스텐디드 텍스트 메시지(extended text message: ETM)의 존재 여부와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access_controlled" 필드는 1 비트의 불대수 플래그로 해당 가상 채널과 관련된 이벤트에 대한 액세스 제한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한다.
"hidden" 필드는 1 비트의 불대수 플래그(Boolean flag)로 가상 채널 넘버의 다이렉트 엔트리에 대한 사용자의 액세스 제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hide_guide" 필드는 불대수 플래그로서, 히든 채널을 위해 ‘0’으로 설정되면, 가상 채널과 상기 가상 채널의 이벤트가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 내에 나타날 수 있다.
"service_type" 필드는 가상 채널에 전송되는 서비스의 타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source_id" 필드는 가상 채널과 관련된 프로그래밍 소스(programming source)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소스는 비디오, 텍스트, 데이터 또는 오디오 프로그래밍 중 하나이다.
"descriptors_length" 필드는 가상 채널을 위한 디스크립터들의 전체 길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descriptor()"는 가상 채널을 위한 디스크립터들을 포함한다.
"additional_descriptors_length"는 뒤따르는 VCT 디스크립터 목록(list)의 전체 길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CRC_32" 필드는 섹션 데이터의 CRC(cyclic redundancy check) 값을 전송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정의한 관련 채널 정보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관련 채널 정보는 상기 TVCT 섹션 신택스를 구성하는 필드의 형태로 추가할 수도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디스크립터의 형태로 추가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디스크립터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관련 채널 디스크립터(related_channel_descriptor)" 라고 명명한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한 관련 채널 디스크립터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 상기 관련 채널 디스크립터는 TVCT를 위한 디스크립터로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관련 채널 디스크립터를 구성하는 각 필드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descriptor_tag” 필드는 디스크립터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과 관련하여 상기 디스크립터가 관련 채널 정보를 정의하는 관련 채널 디스크립터임을 나타낸다.
“descriptor_length” 필드는 본 디스크립터의 전체 길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num_of_related_channels” 필드는 특정 채널과 관련된 채널이 몇 개인지 관련 채널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이하 각 필드는 상기 "num_of_related_channels” 필드에서 정의하는 개수만큼 루프 구조를 돌면서 해당 관련 채널에 대한 정보를 정의하는바, 어떠한 정보들이 루프 구조 내에서 정의되는지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lated_channel_type“ 필드는 관련 채널이 현재 채널과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도 2c와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상기 필드의 값이 ‘0’이면 관련 채널은 현재 채널을 재전송하는 채널, ‘1’이면 관련 채널은 현재 채널이 중단되는 경우에 대체하는 채널, ‘2’이면 관련 채널은 드라마/어린이 등 특정 목적 채널 형식으로 지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드에 대한 도 2c의 정의 값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media_type” 필드는 관련 채널이 전송되는 매체 종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도 2d와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상기 필드 값이 ‘0’이면 지상파(terristrial), '1'이면 케이블(cable), '2'이면 위성(satellite), '3'이면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임을 지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드에 대해 도 2d의 정의값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channel_number” 필드는 관련 채널의 번호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상술한 필드를 이용하여, 관련 채널 디스크립터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필드에 더하여 “instant_view” 필드는 해당 관련 채널 정보를 시청자에게 즉시 전달할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방송 중인 채널이 중단되고 타 연계 채널로 방송이 연계되는 경우 ‘1’로 표시하고, 단순히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 전달되는 채널 목록의 경우 ‘0’으로 표시하여 전달한다.
“media_provider_id” 필드는 관련 채널을 전송하는 미디어 서비스 제공자를 구별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한다. 케이블 공급자라도 예를 들어, 북미의 경우에 컴캐스트(Comcast)와 워너 브라더스(Warner Bros.) 등으로 나눌 수 있고, 위성 또한 다이렉티브이(DirecTV)와 애스트라(Astra) 등 다양한 사업자로 구분될 수 있으므로 고유의 식별자(identifier)를 할당하여 구분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관련 채널을 제공하는 미디어 서비스 제공업자들에 따라서는 수신 제한을 할 수도 있는바, 시청자의 입장에서는 수신 제한에 대한 인증 여부에 따라 관련 채널로의 전환 여부를 선택할 수도 있다.
“channel_description_length” 필드는 “channel_description_field” 항목의 길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channel_description_field” 필드는 관련 채널의 이름 등 채널 정보를 제공한다.
이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관련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기에서 구현한 예를 설명한다. 도 2e는 본 발명에 따라 특정 채널에 대한 관련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기에서 구현한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 사용자가 현재 시청 중인 채널과 관련된 채널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였다고 가정하자.
도시한 도 2e의 위의 그림은 사용자가 현재 시청 중인 채널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그 아래에 수신기에서 본 발명에 따라 정의한 관련 채널 정보를 파싱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한 것으로, 크게 재방송과 스페셜 테마(special theme)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은 미디어의 타입, 채널 넘버와 이름에 관한 정보를 구비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관련 채널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도 1e와 같이 도시한 일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는 지상파 채널 2-1번의 CBS 방송을 통해 "CSI Miami Episode 2"를 시청 중 리모트 컨트롤러와 같은 외부 입력 수단이나 시스템 전면 패널에 구비된 키 등을 통하여 현재 시청 중인 채널과 관련된 채널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면, 수신기는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 내 관련 채널 디스크립터를 파싱하여 관련 채널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관련 채널 정보는 도 2e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 사용자가 시청하고 있는 채널의 재전송 채널로는 방송으로 케이블 2-1의 CBS Cable, 위성 2-1의 CBS Sky, IP 2-1의 CBS net 등이 있으며, 기타 관련 채널로는 지상파 2-2의 CBS2, 케이블2-2의 CBS Drama, 위성2-14의 CBS Child, IP2-15의 CBS News 등의 관련된 채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련 채널 정보는 시청자의 선택에 따라 수신기에서 해당 미디 어(지상파, 케이블 등)를 지원하는 경우 바로 채널을 전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수신기의 지원 기능에 따라 연관 채널로 입력되는 정보를 필터링하여 지원하는 미디어만 시청자에게 보여주는 것도 가능하다. 곧, 수신기가 지상파와 IP만 지원하는 경우 그림1에서의 리스트 중 IP 2-1 CBS net과 지상파2-2 CBS2, IP 2-15 CBS News만 표시되는 것이다.
이상 관련 채널 정보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 2a 내지 2e는 예시로써,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밝힌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관련 채널 정보는 MPEG 2의 전송 스트림에 실려오는 테이블 또는 디지털 비디오 방송 규격에서 정의하는 테이블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관련 프로그램 정보와 관련 채널 정보를 포함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지상파, 위성, 케이블 또는 IPTV 수신기 등 한 가지의 입력 매체만을 지원할 수도 있으며, 지상파와 케이블 또는 지상파와 위성 방송과 같이 둘 이상의 입력 매체를 동시에 지원하는 하이브리드(hybrid)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지원하는 매체에 관한 항목만 하나로 제한하여 수신기에서 제공하는 값으로 한정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가 둘 이상이 입력 매체를 동시에 지원하는 경우에도 각 구성은 매체에 따라 튜너, 복조부와 역다중화 정도의 구조만 상이할 뿐 나머지 블록은 거의 동일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각 구성 블록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튜너부(tuner,301), 복조부(demodulator,302), 역다중화부(demux,303), 오디오/비디오 복호부(audio/video decoder,304), 디스플레이부(display,305), 애플리케이션 제어부(application & UI manager,306), 서비스 매니저(service manager,307), 채널 맵(channel map,308), PSI/PSIP/DVB 복호부(decoder,309), PSI/PSIP/DVB 데이터베이스(database,310), 시스템 매니저(system manager,311)와 저장부(storage,312)를 구비할 수 있다.
튜너부(301)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지상파(terrestrial), 케이블(cable), 위성(satellite) 또는 IP(internet protocol)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튜너부(301)는 서비스 매니저(307)의 제어를 받아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strength)와 결과(result)를 상기 서비스 매니저로 전송한다.
복조부(302)는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복조한다. 예를 들어, 북미 방식의 지상파 방송 신호의 경우에는 64 or 256 VSB/EVSB(vestigial side band/enhanced vestigial side band) 방식으로 복조하고, 케이블 방송 신호의 경우에는 64/256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방식으로 복조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303)는 입력되는 전송 패킷들(transport packets)으로부터 오디오(audio), 비디오(video)와 각 테이블들(tables)을 역다중화(de-multiplexing)한다.
또한, 역다중화부(303)는 PSI/PSIP/DVB 복호부(309)의 제어를 받아 수신되는 각 P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table)와 DVB-SI(digital video broadcasting-service information)의 테이블들을 역다중화하여 각 테이블들의 섹션을 만들어 상기 PSI/PSIP/DVB 복호부(309)로 전송한다.
그리고 역다중화부(303)는 서비스 매니저(307)의 제어를 받아 오디오/비디오 전송 패킷들을 역다중화한다.
오디오/비디오 복호부(304)는 수신되는 오디오/비디오 기본 스트림 패킷들(elementary stream packets)을 복호한다.
디스플레이부(305)는 상기 복호된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애플리케이션 제어부(306)는 디스플레이 화면(screen)에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지원(supporting)하며, 리모콘(remote control) 또는 전면 패널(front panel)에 의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한다.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제어부(306)는 서비스 매니저로 채널 선택(channel selection)에 대한 키 명령(key command)을 전달(toss)하며, 전체 시스템(whole system)의 키 상태(key states)를 제어하고, 저장부(312)에 설정 데이터(setup data)를 저장한다.
서비스 매니저(307)는 튜너부(301)를 제어하며, 채널 맵(308)을 만든다.
그리고 서비스 매니저(307)는 채널 정보(channel information)를 위해 PSI/PSIP/DVB 복호부(309)에 재설정(reset)하고 요청(request)한다.
또한, 서비스 매니저(307)는 오디오/비디오의 PID(packet identifier)를 역다중화부(303)에 설정(set)한다.
PSI/PSIP/DVB 복호부(309)는 PSI/PSIP/DVB-SI의 제어 모듈(control module)로서, 서비스 매니저(307)의 제어를 받는 슬레이브 동작(slave operation)을 한다.
또한, PSI/PSIP/DVB 복호부(309)는 상기 PSI/PSIP/DVB-SI 테이블들의 PID들을 역다중화부(303)에 설정한다.
그리고 PSI/PSIP/DVB 복호부(309)는 PSI 섹션을 수신하여 MPEG-2 시스템(system)을 위한 PSI 데이터베이스(310)를 만들고, PSIP/DVB-SI 섹션을 수신하여 ATSC/DVB를 위한 SI/PSIP 데이터베이스(310)를 만든다.
시스템 매니저(311)는 전원(power)의 온/오프(on/off)에 의해 시스템 부팅의 플로우(system boot flow)를 제어한다.
그리고 시스템 매니저(311)는 저장부(312)에 쓰거나 다운로드된 소프트웨어(S/W) 이미지를 포함하여 롬 이미지(ROM Image)를 저장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장치에서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의 일 예이다.
먼저, 사용자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전원을 키거나(on) 채널을 변경하면, 채널 맵에 저장된 해당 주파수로 튜닝을 하여 목적 채널로 이동하고, 수신되는 방송 신호 내 채널과 관련된 테이블 예를 들어, PAT, PMT, VCT/SDT, EIT 등의 테이블을 파싱하여 채널 정보를 얻어 방송을 시청한다(S401).
이때, 수신기는 외부로부터 관련 프로그램 또는 관련 채널에 대한 정보 요청이 수신되면, 수신되는 방송 신호 내 구비된 다수 개의 테이블 중 본 발명에 따른 관련 프로그램 정보 또는 관련 채널 정보를 구비한 테이블을 필터링하고 파싱하여 사익 관련 프로그램 정보 또는 관련 채널 정보를 추출한다(S402).
그리고 상기 추출된 정보를 화면을 통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제공한다(S403).
이때, 상기 처리 과정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관련 프로그램 또는 관련 채널로 바로 전환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긴급한 서비스(emergency service)의 경우에는 사용자 등의 요구가 없더라도 바로 전환토록 할 수 있다. 그러나 할당된 방송 시간의 한계로 인해 중간에 끊긴 방송에 대한 연계 채널과 같은 경우에는 사용자 등의 요구에 따라 전환토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처리 과정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관련 프로그램 또는 관련 채널 중 해당 수신기에서 지원하지 않는 미디어에서 제공하는 정보의 경우 제거할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거 여부와 관련하여 사용자 등의 설정이 있는 경우에는 그 설정에 따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거토록 설정한 경우 상기 판단 결과 수신기에서 지원하지 않는 미디어에서 제공하는 정보는 예를 들어, 시청 예약 등을 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혼동을 줄 수 있는바, 디스플레이되는 리스트에서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신호와 상기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첫째, 사용자에게 현재 시청 중인 프로그램 또는 채널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사용자에게 중계 방송의 타 채널 연계, 비상시 재난 방송 안내 등 관련되는 프로그램 또는 채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일일이 채널을 돌려야 하는 등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등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 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신되는 상기 방송 신호 내 관련 프로그램 또는 관련 채널에 관한 정보를 파싱하여 상기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는 해당 프로그램과 관련된 프로그램의 개수를 나타내는 제 1 정보, 상기 제 1 정보에 따라 구비되는 각 관련 프로그램의 상기 해당 프로그램과의 관련성을 나타내는 제 2 정보, 각 관련 프로그램이 전송되는 매체의 종류를 나타내는 제 3 정보와 각 관련 프로그램에 대한 채널 넘버를 나타내는 제 4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정보는 각 관련 프로그램이 해당 프로그램과 동일한 프로그램, 재전송되는 프로그램, 동일 시리즈물의 다른 에피소드인 프로그램, 기타 해당 프로그램과 관련된 서류나 코멘트 중 어느 하나임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정보는 각 관련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매체가 지상파, 케이블, 위성 또는 인터넷 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임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는 각 관련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즉시 전달할지 여부에 대한 정보, 각 관련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미디어 사업자의 식별에 대한 정보, 각 관련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채널에 대한 상세 정보, 각 관련 프로그램의 제목과 같은 프로그램 상세 정보, 각 관련 프로그램의 시작 시각과 지속 시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채널에 관한 정보는 해당 채널과 관련된 채널의 개수를 나타내는 제 1 정보, 상기 제 1 정보에 따라 구비되는 각 관련 채널과 해당 채널과의 관련성을 나타내는 제 2 정보, 각 관련 채널이 전송되는 매체의 타입을 나타내는 제 3 정보 및 각 관련 채널의 채널 넘버를 나타내는 제 4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정보는 관련 채널이 해당 채널을 재전송하는 채널, 해당 채널이 중단되는 경우에 대체하는 채널, 드라마/어린이와 같이 특정 목적 채널 중 어느 하나임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정보는 각 관련 채널이 전송되는 매체의 타입이 지상파, 케이블, 위성 또는 인터넷 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임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채널에 관한 정보는 관련 채널 정보를 즉시 전달할지 여부에 대한 정보, 관련 채널 정보를 제공하는 미디어 서비스 제공자의 식별에 대한 정보와 관련 채널에 대한 상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관련 프로그램 또는 관련 채널에 관한 정보의 요청이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한 정보를 즉시 전달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은 기 설정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전환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한 정보 중 지원하지 않는 미디어의 타입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은 기 설정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디스플레이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 내 관련 프로그램 또는 채널 정보를 포함한 테이블 섹션을 필터링하는 역다중화부;
    상기 필터링된 각 테이블 섹션을 수신하고 파싱하여 상기 관련 프로그램 또는 채널 정보를 추출하는 파싱부;
    상기 추출된 관련 프로그램 또는 채널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추출된 관련 프로그램 또는 채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추출된 관련 프로그램 또는 채널 정보를 저장하거나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관련 프로그램 또는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부;
    상기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
    상기 복조된 오디오/비디오 기본 스트림 패킷들(elementary stream packets)을 복호하는 오디오/비디오 복호부;
    채널 선택에 대한 키 명령을 채널/서비스 매니저로 전달하며, 전체 시스템의 키 상태를 제어하고, 설정 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장하거나 리모트 컨트롤러 또는 전면 패널을 통한 사용자의 요청을 수신하는 애플리케이션 제어부;
    상기 튜너부를 제어하거나 채널 맵을 만들며, 채널 정보를 위해 파싱부를 재설정하고 요청하거나 오디오/비디오의 PID를 역다중화부에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채널/서비스 매니저;
    전원의 온/오프에 의해 시스템 부팅의 플로우를 제어하는 시스템 매니저;
    저장부에 쓰거나 다운로드된 소프트웨어 이미지를 포함하여 롬 이미지를 저장하는 시스템 매니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튜너는 지상파, 위성, 케이블 또는 IP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체를 지원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디지털 방송 신호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은 관련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 또는(및) 관련 채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관련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는 해당 프로그램과 관련된 프로그램의 개수에 대한 정보, 상기 관련된 프로그램의 개수에 대한 정보에 따라 구비되는 각 관련 프로그램과 해당 프로그램의 관련성에 대한 정보, 각 관련 프로그램이 전송되는 매체의 타입에 대한 정보와 각 관련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채널 넘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하고,
    상기 관련 채널에 관한 정보는 해당 채널과 관련된 채널의 개수에 대한 정보, 상기 관련된 채널의 개수에 대한 정보에 따라 구비되는 각 관련 채널과 해당 채널의 관련성에 대한 정보, 각 관련 채널이 전송되는 매체의 타입에 대한 정보와 각 관련 채널의 채널 넘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디지털 방송 신호.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는 해당 관련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즉시 전달할지 여부에 대한 정보, 상기 해당 관련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미디어 사업자의 식별에 대한 정보, 상기 해당 관련 프로그램에 대한 상세 정보, 상기 해당 관련 프로그램의 시작 시각 및 지속 시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채널에 관한 정보는 해당 관련 채널 정보를 즉시 전달할지 여부에 대한 정보, 상기 해당 관련 채널 정보를 제공하는 미디어 서비스 제공자의 식별에 대한 정보와 상기 해당 관련 채널에 대한 상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KR1020060115947A 2006-11-22 2006-11-22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328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5947A KR101328929B1 (ko) 2006-11-22 2006-11-22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11/984,692 US20080129878A1 (en) 2006-11-22 2007-11-20 Digital television receiver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 digital television signal
EP07121252A EP1944973B1 (en) 2006-11-22 2007-11-21 A digital television receiver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 digital television signal
CN2007101938033A CN101188705B (zh) 2006-11-22 2007-11-21 数字电视接收机和用于处理数字电视信号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5947A KR101328929B1 (ko) 2006-11-22 2006-11-22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6462A true KR20080046462A (ko) 2008-05-27
KR101328929B1 KR101328929B1 (ko) 2013-11-14

Family

ID=39471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5947A KR101328929B1 (ko) 2006-11-22 2006-11-22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80129878A1 (ko)
EP (1) EP1944973B1 (ko)
KR (1) KR101328929B1 (ko)
CN (1) CN101188705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1714A (ko) * 2009-01-07 2010-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3066677A1 (en) * 2011-11-03 2013-05-10 Goog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viewership and/or message data
KR20160006137A (ko) * 2015-12-23 2016-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98570B (zh) * 2011-02-23 2013-05-08 深圳创维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数字电视信息播放方法及系统
KR20150007463A (ko) * 2013-07-11 2015-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A2974341C (en) * 2015-01-19 2022-08-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ultimedia content
CN107124633A (zh) * 2017-04-11 2017-09-01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电视频道筛选方法和数字电视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8721A (ja) * 1996-05-02 1997-11-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放送信号伝送方法,および受信装置
US5982411A (en) * 1996-12-18 1999-11-09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Navigation among grouped television channels
JP3466071B2 (ja) * 1997-12-05 2003-11-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放送受信装置
KR20010022306A (ko) * 1998-05-29 2001-03-15 이데이 노부유끼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제공 매체
WO2000033576A1 (en) * 1998-12-04 2000-06-08 Index System,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news, sports, and local guide services through an electronic program guide
US6957445B1 (en) * 1999-06-16 2005-10-18 Gateway Inc. Method, system, software, and signal for performing events for related programs
US7475418B2 (en) * 2000-07-28 2009-01-06 Sony Corporatio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locating programs after relocation
GB0106217D0 (en) * 2001-03-14 2001-05-02 Pace Micro Tech Plc Television system
US20040078807A1 (en) * 2002-06-27 2004-04-22 Fries Robert M. Aggregated EPG manager
US20040083485A1 (en) * 2002-10-25 2004-04-29 Russ David P. Viewer data collection system and method for use in a direct broadcast satellite television network
US8176517B2 (en) * 2003-11-07 2012-05-08 Thomson Licensing Automatic display of new program information during current program viewing
JP4254610B2 (ja) * 2004-05-14 2009-04-15 ソニー株式会社 利用者端末,画面データ生成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546623B2 (en) * 2005-01-05 2009-06-09 Microsoft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multi-source content in electronic program guides
KR100696843B1 (ko) * 2005-02-16 2007-03-1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에서 스탠바이 모드시 긴급 알람메시지 서비스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1714A (ko) * 2009-01-07 2010-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3066677A1 (en) * 2011-11-03 2013-05-10 Goog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viewership and/or message data
CN104205861A (zh) * 2011-11-03 2014-12-10 谷歌公司 用于显示收视率和/或消息数据的系统及方法
US9154821B2 (en) 2011-11-03 2015-10-06 Goog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viewership and/or message data
US10362352B2 (en) 2011-11-03 2019-07-23 Google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viewership and/or message data
KR20160006137A (ko) * 2015-12-23 2016-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8929B1 (ko) 2013-11-14
EP1944973B1 (en) 2011-10-12
CN101188705A (zh) 2008-05-28
CN101188705B (zh) 2010-06-30
EP1944973A2 (en) 2008-07-16
US20080129878A1 (en) 2008-06-05
EP1944973A3 (en) 2008-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24634C (en) Virtual channel table for a broadcast protocol and method of broadcasting and receiving broadcast signals using the same
KR101328929B1 (ko)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EP1447982A2 (en) Method of controlling ETT information display on electronic program guide screen of digital television
KR100617190B1 (ko) 디지털 티브이에서 프로그램 방송 예정시간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방법
KR101650382B1 (ko) 채널 탐색/접근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