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6105A - Printing plate - Google Patents

Printing pl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6105A
KR20080046105A KR1020070118081A KR20070118081A KR20080046105A KR 20080046105 A KR20080046105 A KR 20080046105A KR 1020070118081 A KR1020070118081 A KR 1020070118081A KR 20070118081 A KR20070118081 A KR 20070118081A KR 20080046105 A KR20080046105 A KR 20080046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nket
printing
swelling
recessed pa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80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하지메 구와하라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46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610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7/00Rotary lithographic machines
    • B41F7/02Rotary lithographic machines for offset printing
    • B41F7/025Multicolour printing or perfecting on sheets or on one or more webs, in one print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00Cylinder presses, i.e. presses essentially comprising at least one cylinder co-operating with at least one flat type-b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7/00Rotary lithographic machines
    • B41F7/02Rotary lithographic machines for offset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N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FOR SURFACES USED IN PRINTING MACHINES FOR PRINTING, INKING, DAMPING, OR THE LIKE; PREPARING SUCH SURFACES FOR USE AND CONSERVING THEM
    • B41N10/00Blankets or like coverings; Coverings for wipers for intaglio printing
    • B41N10/005Coverings for wi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inting Methods (AREA)
  • Printing Plates And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A printing plate is provided to allow a user to observe swelling of a blanket for controlling swelling at high accuracy by forming recessed portions each having progressively different depths on a non-printing region of the blanket. A printing plate(1) comprises a plurality of recessed portions(15) for controlling swelling of a non-printing region(14) within a blanket. The recessed portions have depths that are progressively different, wherein the depths of direction of width perpendicular to a printing direction where the blanket transfers an image to be printed are different through the printing direction.

Description

인쇄판{PRINTING PLATE}Print version {PRINTING PLATE}

본 발명은, 오프셋 인쇄 및 잉크 전사에 관하여 블랭킷을 이용하는 정밀 인쇄에 관한 것으로, 세선 및 박막 인쇄에 사용되는 인쇄판에 관한 것이다. 특히 액정 컬러 필터, 그 밖에 전자 회로 패턴을 인쇄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쇄판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recision printing using a blanket for offset printing and ink transfer, and relates to a printing plate used for thin line and thin film printing. In particular, it relates to a liquid crystal color filter, and a printing plate used for printing an electronic circuit pattern.

최근, 박막 또한 세선 인쇄로서 반전 인쇄법이 정밀 인쇄에 사용되어 왔다. 반전 인쇄법은 저점도 잉크를, 실리콘을 주성분으로 하는 블랭킷에 도포하고, 그 잉크의 불필요한 패턴을, 네거티브 패턴을 갖는 볼록판에서 제거하고, 블랭킷에 남은 패턴을 피쇄재에 전사하는 인쇄법이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2 참조).In recent years, the reverse printing method has been used for fine printing as thin film and thin line printing. The reverse printing method is a printing method in which a low viscosity ink is applied to a blanket containing silicon as a main component, an unnecessary pattern of the ink is removed from the convex plate having a negative pattern, and the pattern remaining on the blanket is transferred to the printed material (example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s 1 and 2).

반전 인쇄법은, 블랭킷에 도포된 잉크 중 불필요한 잉크를 판의 볼록부에서 제거하기 위해, 판에 볼록부와 오목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일반적으로 유리판을 플루오르산 등의 약액으로 에칭하여 제조되는 방법이 있다. 또 판의 재료로서 금속을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The reverse printing method forms a convex portion and a concave portion in the plate in order to remove unnecessary ink among the inks applied to the blanket from the convex portion of the plate. As a manufacturing method of such a plate, there exists a method generally manufactured by etching a glass plate with chemical liquids, such as a fluoric acid. Moreover, a metal may be used as a material of a board.

화상을 형성하는 패턴에는, 예를 들어 화소에 관한 패턴, 및 박막 트랜지스터 (Thin-Film Transistor : 약칭 TFT) 기판과 부착하기 위한 얼라인먼트 마크 등 다양한 패턴이 있다. 이들 패턴은, 판의 모재가 에칭되지 않은 부분을 내에칭 재료로 마스크하고, 판 표면 또는 판 전체를 에칭액에 담궈 판 표면에 필요한 화상 패턴을 얻는다. 이 에칭의 깊이는 화상을 형성하는 선폭에 의존하며, 세선이 필요한 부분은 에칭을 얕게 할 필요가 있다. 굵은 화선 부분은 특별히 에칭을 얕게 할 필요는 없다.The pattern for forming an image includes, for example, various patterns such as a pattern relating to a pixel and an alignment mark for attaching to a thin-film transistor (abbreviated TFT) substrate. These patterns mask the part in which the base material of a board is not etched with an etching material, and the plate surface or the whole board is immersed in etching liquid, and the image pattern required for a board surface is obtained. The depth of the etching depends on the line width for forming the image, and the portions requiring fine lines need to make the etching shallow. The thick caustic line does not need to be particularly shallow in etching.

반전 인쇄법에 한정되지 않고, 인쇄법 및 전사법에서는 블랭킷이 판과 물림 (nip) 으로써 블랭킷 상에 화상을 형성하고 있다. 에칭되는 선폭이 넓고 에칭의 심도가 얕은 경우, 판이 에칭된 오목부의 바닥에 블랭킷 표면이 접촉하여 정상적인 화상을 블랭킷 상에 형성하지 못하게 된다. 이 때문에, 통상 넓은 선폭을 에칭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에칭의 심도를 증가시켜 깊게 한다. 이와 같이, 1 개의 판 표면의 화선부에는, 필요한 화선의 선폭에 따라 깊이가 상이한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The printing method and the transfer method are not limited to the reverse printing method, and the blanket forms a image on the blanket by niping the plate. If the line width to be etched is wide and the depth of etching is shallow, the blanket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recessed portion where the plate is etched so that a normal image cannot be formed on the blanket. For this reason, about the part which etches wide line width normally, the depth of etching is increased and deepened. Thus, the unevenness | corrugation differing in depth is formed in the caustic line part of one board | substrate surface according to the line width of a required caustic line.

실제의 인쇄 공정에서, 블랭킷에 저점도의 잉크를 도포하면, 잉크에 함유되는 용제가 블랭킷에 침투하여 블랭킷을 팽윤 (膨潤) 시킨다. 잉크가 도포된 블랭킷은, 판의 볼록부에 접촉되고 불필요한 잉크를 판에 전사하여 블랭킷으로부터 제거되는데, 블랭킷이 팽윤되어 불룩해짐으로써, 판의 볼록부 이외의 오목부의 바닥에도 접촉되어, 본래 블랭킷에 남겨야 하는 잉크를 판에 전사하여, 정상적인 화상 패턴을 전사할 수 없게 된다. 또, 인쇄 초기에는, 잉크가 도포된 블랭킷 표면이 판의 오목부에 접촉하지 않아도, 인쇄 매수가 증가하여 블랭킷이 필요 이상으로 팽윤되기 시작하면, 잉크가 도포된 블랭킷 표면이 판의 오목부에 접촉되어 정상 적인 화상 패턴을 전사하지 못하게 된다.In an actual printing process, when a low viscosity ink is apply | coated to a blanket, the solvent contained in an ink will permeate into a blanket and swell the blanket. The ink-coated blanket contacts the convex portion of the plate and transfers unnecessary ink to the plate and is removed from the blanket. The blanket swells and bulges so that it also contacts the bottom of concave portions other than the convex portion of the plate, and thus the original blanket The ink to be left is transferred to the plate, so that a normal image pattern cannot be transferred. In addition, at the beginning of printing, even if the blanket surface to which ink is applied does not contact the recess of the plate, when the number of prints increases and the blanket begins to swell more than necessary, the blanket surface to which the ink is applied touches the recess of the plate. As a result, normal image patterns cannot be transferred.

판의 오목부의 깊이를 블랭킷의 팽윤량보다 충분히 크게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는데, 필요한 화선을 양호한 정밀도로 인쇄, 전사시키기 위해서는, 블랭킷을 필요 이상으로 팽윤시키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블랭킷으로부터 잉크를 전사시키기 위해서는, 블랭킷에 적당한 용제의 침투는 필요하다. 이와 같이 적당히 용제를 침투시키기 위해, 침투된 용제를 흡수하는 기술 (예를 들어 특허 문헌 3 참조), 적당히 용제를 블랭킷에 흡수시키는 기술 (예를 들어 특허 문헌 4 참조), 블랭킷의 팽윤을 제어하는 기술 (예를 들어 특허 문헌 5 참조) 이 제안되어 있다.It is also conceivable to make the depth of the recess of the plate sufficiently larger than the amount of swelling of the blanket, but in order to print and transfer the necessary wires with good accuracy, it is important not to swell the blanket more than necessary. In order to transfer the ink from the blanket, proper solvent penetration into the blanket is required. Thus, in order to infiltrate the solvent appropriately, a technique of absorbing the infiltrated solvent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3), a technique of suitably absorbing the solvent into the blanket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4), and controlling the swelling of the blanket Technology (for example, refer patent document 5) is proposed.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289320호[Patent Document 1]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0-289320

[특허 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56405호[Patent Document 2]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1-56405

[특허 문헌 3]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14385호[Patent Document 3]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Hei 6-14385

[특허 문헌 4]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254365호[Patent Document 4]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9-254365

[특허 문헌 5]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24493호[Patent Document 5]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6-224493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블랭킷으로부터 잉크를 전사시키기 위해서는, 블랭킷에 적당한 용제를 침투시키는 기술은 제안되어 있지만, 블랭킷의 팽윤량이 인쇄물로서 시인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일반의 오프셋 인쇄에서는 색 농도를 관리하기 위해, 비화선부에 색 농도를 관리하는 그레이 스케일이 인쇄되어 있어, 1 장 1 장 인쇄물이 정상적으로 인쇄되어 있는지를 관리하고 있다. 이 반전 인쇄법에서는, 블랭킷의 팽윤과 판의 깊이 관리가 중요하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transfer ink from the blanket, a technique of infiltrating a suitable solvent into the blanket has been proposed,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mount of swelling of the blanket is not recognized as a printed matter. In general offset printing, in order to manage color density, the gray scale which manages color density is printed in the non-pixel line part, and it manages whether the one by one printed matter is normally printed. In this reverse printing method, it is important to swell the blanket and manage the depth of the plat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인쇄체를 시인함으로써, 블랭킷의 팽윤량을 확인할 수 있는 인쇄판을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invention is providing the printing plate which can confirm the swelling amount of a blanket by viewing a printed object.

본 발명은, 비화선부에 블랭킷의 팽윤을 관리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판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printing plate, characterized in that a recess for managing swelling of the blanket is formed in the non-fire line.

또 본 발명은, 상기 오목부는, 깊이 치수가 단계적으로 상이하게 복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over, this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aid recessed part is formed in multiple numbers by which the depth dimension differs in step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오목부는, 블랭킷이 피인쇄체를 인쇄하는 인쇄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폭 방향의 치수가 인쇄 방향에 걸쳐 서로 상이한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ave portion has a portion in which the widthwise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rinting direction in which the blanket prints the printed object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over the printing direc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인쇄판의 비화선부에는, 블랭킷의 팽윤을 관리하는 오목 부가 형성되어 있다. 잉크를 블랭킷에 전이시켜 인쇄하는, 이른바 오프셋 인쇄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인쇄판을 이용함으로써, 피인쇄체의 비화선부에 오목부에 기초하는 잉크가 피인쇄체에 전사된다. 잉크가 도포된 블랭킷은, 인쇄판의 화선부에 형성되는 볼록부에 접촉되고 불필요한 잉크를 인쇄판에 전사하여 블랭킷으로부터 제거되는데, 블랭킷이 팽윤량에 따라 상기 서술한 오목부의 바닥에도 그 블랭킷이 접촉한다. 따라서 비화선부에 인쇄된 잉크의 상태를 관찰함으로써, 블랭킷의 팽윤량을 간접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블랭킷의 팽윤량, 블랭킷의 변질, 및 블랭킷의 팽윤에 따른 인쇄압의 변화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비화선부에 오목부를 형성한다는 간단한 구성으로, 블랭킷의 팽윤 관리가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is invention, the recessed part which manages swelling of a blanket is formed in the non-sharpened part of a printing plate. By using the above-described printing plate in so-called offset printing, which transfers ink to a blanket and prints, ink based on the concave portion in the non-wire portion of the printed object is transferred to the printed object. The ink-coated blanket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onvex portion formed on the line portion of the printing plate, and the unnecessary ink is transferred to the printing plate and removed from the blanket. The blanket also contacts the bottom of the reces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amount of swelling. Therefore, the amount of swelling of the blanket can be indirectly evaluated by observing the state of the ink printed on the non-wire portion. This makes it possible to easily grasp the swelling amount of the blanket, the deterioration of the blanket, the change in the printing pressure due to the swelling of the blanket, and the like. Therefore, the swelling management of a blanket becomes possible by the simple structure which forms a recessed part in a non-wire line part.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오목부는, 깊이 치수가 단계적으로 상이하게 복수로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의 깊이 치수가 커짐에 따라, 오목부의 바닥에 블랭킷이 접촉되기 어려워지는데, 블랭킷의 팽윤량이 커지면, 오목부의 깊이 치수가 큰 경우라도, 그 바닥에 블랭킷이 접촉한다. 따라서 깊이 치수가 단계적으로 상이한 복수의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오목부의 깊이 치수와, 오목부에 기초하는 비화선부에 인쇄된 잉크의 상태를 관찰하여, 블랭킷의 팽윤량을 보다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블랭킷의 팽윤량을 보다 고정밀도로 관리할 수 있다.Moreover, according to this invention, the said recessed part is formed in multiple numbers by which the depth dimension differs in steps. As the depth dimension of the recess increases, it becomes difficult for the blanket to contact the bottom of the recess. When the swelling amount of the blanket increases, the blanket contacts the bottom even if the depth dimension of the recess is large. Therefore, by forming a plurality of recesses having different depth dimensions in steps, the depth dimension of the recess and the state of the ink printed on the non-radiation line based on the recess can be observed, so that the amount of swelling of the blanket can be grasped in more detail. Thereby, the swelling amount of the blanket can be managed more accurately.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오목부는, 블랭킷이 피인쇄체를 인쇄하는 인쇄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폭 방향의 치수가 인쇄 방향에 걸쳐 서로 상이한 부분을 갖는다. 오목부의 폭 방향의 치수가 작아짐에 따라, 오목부의 바닥에 블랭킷이 접촉하기 어려워지는데, 블랭킷의 팽윤량이 커지면, 오목부의 폭 방향의 치수가 작은 경우라도, 그 바닥에 블랭킷이 접촉한다. 따라서 오목부의 폭 방향의 치수와, 오목부에 기초하는 비화선부에 인쇄된 잉크의 상태를 관찰함으로써, 블랭킷의 팽윤량을 보다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블랭킷의 팽윤량을 보다 고정밀도로 관리할 수 있다.Moreover, according to this invention, the said recessed part has the part in which the dimension of the width direction which is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printing direction in which a blanket prints a to-be-printed body differs over a printing direction. As the dimension of the concave portion decreases in width, it becomes difficult for the blanket to contact the bottom of the concave portion. When the swelling amount of the blanket increases, the blanket contacts the bottom even if the dimension of the concave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is small. Therefore, the swelling amount of the blanket can be grasped in more detail by observing the dimension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cave portion and the state of the ink printed on the non-visible portion based on the concave portion. Thereby, the swelling amount of the blanket can be managed more accurately.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복수의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각 형태에서 선행되는 형태에서 설명하고 있는 사항에 대응하고 있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구성의 일부만을 설명하고 있는 경우, 구성 외의 부분은, 선행하여 설명하고 있는 형태와 동일한 것으로 한다. 실시의 각 형태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부분의 조합뿐만 아니라, 특히 조합에 지장이 생기지 않으면, 실시형태끼리를 부분적으로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각 플로우차트의 개시 조건은, 기재한 개시 조건에만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인쇄기는, 예를 들어 삼원색의 컬러 필터 등을 형성할 수 있는 오프셋 인쇄기에 적용된다. 단 삼원색의 컬러 필터에만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1 색 이상의 컬러 필터, 세선, 박막 인쇄, 전자 회로 패턴 등의 제조에도 적용할 수 있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form for implementing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referring drawings. In each aspect, parts corresponding to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preceding aspec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may be omitted. When only a part of the configuration is described, the parts other than the configuration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Not only the combination of the parts specifically described in each embodiment of the embodiment, but particularly, if the combination does not interfere, the embodiments may be partially combined. The start condition of each flowchart is not necessarily limited only to the start condition described. The print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to an offset printing machine capable of forming, for example, a color filter of three primary color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only three primary color filters. For example, it can apply also to manufacture of one or more color filters, a thin wire, thin film printing, an electronic circuit pattern, etc.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인쇄판 (1) 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 는, 인쇄판 (1) 을 이용하여 인쇄하는 인쇄기 (2) 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인쇄기 (2) 는, 인쇄기 본체 (3), 블랭킷 (4), 즉 고무 시트가 감긴 블랭킷 동체 (5), 블랭킷 (4) 에 도포되는 잉크 (21) 를 건조 가능한 건조 수단 (도시 생략), 코터갠트리 이동 스테이지 (간단하게 「스테이지」 라고 한다) (6), 판 정반 (7), 피쇄 정반 (8) 및 제어 장치 (도시 생략)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테이지 (6) 는, 인쇄기 본체 (3) 에 대해서 상대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대 이동 가능한 방향을 x 방향으로 한다. 도 2 에 있어서, x, y, z 방향을 각각 화살표 x, y, z 로 표기한다. 블랭킷 동체 (5) 는 y 방향 축선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스테이지 (6) 의 x 방향 타단측에 배치되어 있다.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printing plate 1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inter 2 that prints using the printing plate 1. The printing machine 2 is a drying means (not shown) which coats the printer main body 3, the blanket 4, ie, the blanket body 5 in which the rubber sheet is wound, and the ink 21 applied to the blanket 4, and a coater. It comprises a gantry moving stage (it is simply called a "stage") 6, the platen plate 7, the crushed platen 8, and a control apparatus (not shown). The stage 6 is comprised so that relative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printer main body 3 is possible. The relative movable direction is taken as the x direction. In FIG. 2, the x, y and z directions are represented by arrows x, y and z, respectively. The blanket body 5 is rotatably supported around the y direction axis, and is disposed on the other end side of the stage 6 in the x direction.

스테이지 (6) 에는, 프라이밍 롤러 (9), 코터 딥조 (10), 코터갠트리 (11) 및 슬라이드 기구 (12) 가 설치되어 있다. 프라이밍 롤러 (9) 도 y 방향 축선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코터 딥조 (10) 가 스테이지 (6) 의 x 방향 일단측에 배치되고, 프라이밍 롤러 (9) 가 스테이지 (6) 의 x 방향 중간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On the stage 6, a priming roller 9, a coater dip tank 10, a coater gantry 11 and a slide mechanism 12 are provided. The priming roller 9 is also rotatably supported around the y-direction axis. The coater dip tank 10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x direction one end side of the stage 6, and the priming roller 9 is arrange | positioned near the x direction middle of the stage 6.

코터갠트리 (11) 는 코터 헤드 (13) 를 포함한다. 스테이지 (6) 의 상단부에는 슬라이드 기구 (12) 가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 기구 (12) 는, 코터 헤드 (13) 를 x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코터 헤드 (13) 는, 슬라이드 기구 (12), 도시하지 않은 구동원 및 제어 장치에 의해, 코터 딥조 (10), 프라이밍 롤러 (9), 블랭킷 동체 (5) 에 대해서 각각 위치 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 에서는, 코터 헤드 (13) 가 프라이밍 롤러 (9) 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형태가 나타나 있다.The cotter gantry 11 includes a cotter head 13. The slide mechanism 12 is provided in the upper end part of the stage 6. The slide mechanism 12 has a function of moving the coater head 13 along the x direction. The coater head 13 can be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coater dip tank 10, the priming roller 9, and the blanket body 5 by the slide mechanism 12, the drive source which is not shown in figure, and a control apparatus, respectively. In FIG. 2, the form in which the coater head 13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position which opposes the priming roller 9 is shown.

피쇄 정반 (8) 에는, 피인쇄체로서의 기판 (22) (도시 생략) 이 x 및 y 방향 으로 위치 결정되어 지지되어 있다. 상기 기판 (22) 은, 유리 등의 피쇄재로 이루어진다. 피쇄재는, 유리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필름 등이어도 된다. 피인쇄체에 인쇄된 패턴을, 인쇄기 본체 (3) 에 설치되는 복수의 전하 결합 소자 (Charge Coupled Device : 약칭 CCD) 카메라로 각각 촬상한다. 제어 장치는, 촬상 결과에 기초하여, 미리 정하는 기준 변위로부터 인쇄된 패턴의 어긋남량을 연산한다. 상기 어긋남량을 보정하기 위해 기판 (22) 을 피쇄 정반 (8) 에 위치 결정하여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The substrate 22 (not shown) as a printed object is positioned and supported in the x and y directions by the ground plate 8. The said board | substrate 22 consists of a topping material, such as glass. The crushed material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glass, but may be a film, for example. The pattern printed on the to-be-printed body is imaged with a plurality of Charge Coupled Device (CCD) cameras provided in the printer main body 3, respectively. The control apparatus calculates the deviation amount of the printed pattern from the predetermined reference displacement based on the imaging result. In order to correct the shift amount, the substrate 22 is positioned and supported on the ground plate 8.

판 정반 (7) 에는, 도 1 에 나타내는 볼록판인 인쇄판 (1) (이하, 「판」 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이 x 및 y 방향으로 위치 결정되어 지지되어 있다. 판 (1) 의 표면부이며 비화선부 (14) 에는, 위치 어긋남 보정용의 복수의 얼라인먼트 마크 (도시 생략) 가 부착되어 있고, 이들 복수의 얼라인먼트 마크를, 인쇄기 본체 (3) 에 설치되는 복수의 CCD 카메라로 각각 촬상한다.The printing plate 1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plate"), which is a convex plate shown in FIG. 1, is positioned and supported by the platen base 7 in the x and y directions. A plurality of CCDs (not shown) for position misalignment correction are attached to the surface portion of the plate 1 and the non-fire line portion 14, and the plurality of alignment marks are provided on the printer main body 3. Image each with a camera.

상기 제어 장치는, 촬상 결과로부터, 미리 정하는 기준 위치로부터의 복수의 얼라인먼트 마크의 어긋남량을 연산한다. 상기 어긋남량을 보정하기 위해 판 (1) 을 판 정반 (7) 에 위치 결정하여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The said control apparatus calculates the shift amount of the some alignment mark from the predetermined reference position from the imaging result. In order to correct the amount of misalignment, the plate 1 is positioned and supported on the platen plate 7.

또 판 (1) 은, 비화선부 (14) 에 블랭킷 (4) 의 팽윤을 관리하는 오목부 (15) 가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로 형성된다. 판 (1) 은,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대략 직사각형 판 형상이고, 두께 방향의 일 표면부에, 화선부 (16) 와 비화선부 (14) 가 형성된다. 화선부 (16) 는, 판 (1) 의 두께 방향 일 표면부의 중앙부에 형성된다. 도 1 에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화선부 (16) 에 형성되는 구체적인 볼록부는 생략하여 나타낸다. 비화선부 (14) 는, 판 (1) 의 두께 방향 일 표면부의 외주부에 형성된다. 따라서 비화선부 (14) 는, 화선부 (16) 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Moreover, the plate 1 is provided with the recessed part 15 which manages swelling of the blanket 4 in the non-wire part 14 in this embodiment in multiple numbers. As shown in FIG. 1, the board | substrate 1 is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shape, for example, and the wire line part 16 and the non-wire line part 14 are formed in one surface part of a thickness direction. The wire line part 16 is formed in the center part of the thickness direction one surface part of the board | plate 1. In FIG. 1, in order to make understanding easy, the specific convex part formed in the wire line part 16 is abbreviate | omitted and shown. The non-fired part 14 is formed in the outer peripheral part of the thickness direction one surface part of the board 1. Therefore, the non-fire line part 14 is formed so that the fire line part 16 may be enclosed.

본 실시형태에서는, 판 (1) 의 비화선부 (14) 에 깊이 치수가 서로 상이한 오목부 (15) 가 복수로 형성된다. 비화선부 (14) 에 있어서의 오목부 (15) 이외의 부분은, 화선부 (16) 에 형성되는 볼록부와 동일한 높이로 되어 있다. 판 (1) 은, 판 정반 (7) 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장변이 연장되는 방향이 y 방향이고, 단변이 연장되는 방향이 x 방향이다. 각 오목부 (15) 는, y 방향 및 x 방향을 따라 복수 배치된다. 이러한 오목부 (15) 는, 화선부 (16) 에 형성되는 볼록부와 동일한 제조 방법에 의해, 화선부 (16) 에 형성되는 볼록부를 형성할 때 동시에 형성해도 되고, 별도로 형성해도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15 having different depth dimensions are formed in the non-fired portions 14 of the plate 1. Portions other than the recessed part 15 in the non-fire line 14 are the same height as the convex portion formed in the line of fire 16. In the state where the plate 1 is arranged on the platen plate 7,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ng side extends is the y direction,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short side extends is the x direction. Each recessed part 15 is arranged in multiple numbers along the y direction and the x direction. Such concave portions 15 may be formed at the same time as forming the convex portions formed on the line portions 16 by the same manufacturing method as the convex portions formed on the line portion 16, or may be formed separately.

오목부 (15) 의 깊이 치수는 5㎛ 이상 200㎛ 이하이고, 특히 5㎛ 이상 100㎛ 이하, 나아가서는 5㎛ 이상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블랭킷 (4) 이 팽윤되어 부드러워지고, 깊이 치수가 200㎛ 보다 큰 오목부 (15) 의 바닥 (17) (도 3 및 도 6 참조) 에 블랭킷 (4) 이 접촉하면, 세선 패턴의 전사 정밀도를 유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오목부 (15) 의 깊이 치수는 200㎛ 이하가 바람직하다. 블랭킷 (4) 의 팽윤 제어가 고정밀도로 관리되는 경우에는, 오목부 (15) 의 깊이 치수의 최대값을 100㎛ 정도, 나아가서는 50㎛ 정도로 할 수 있다. 오목부 (15) 의 깊이 치수의 최대값을 100㎛ 정도, 나아가서는 50㎛ 정도로 하고, 이하, 그 깊이 치수가 단계적으로 작아지도록 복수의 오목부 (15) 를 형성하면, 블랭킷 (4) 의 팽윤 상태를 더욱 양호한 정밀도로 관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목부 (15) 는 복수로 형성되고, 각 오목부 (15) 의 깊이 치수가 단계적으로 상이하게 한다. 오목부 (15) 의 깊이 치수가 커짐에 따라, 오목부 (15) 의 바닥 (17) 에 블랭킷 (4) 이 접촉되기 어려워지는데, 블랭킷 (4) 의 팽윤량이 커지면, 오목부 (15) 의 깊이 치수가 큰 경우에도, 그 바닥 (17) 에 블랭킷 (4) 이 접촉한다. 따라서 오목부 (15) 의 깊이 치수와, 오목부 (15) 에 기초하는 비화선부 (14) 에 인쇄된 잉크 (21) 의 상태를 관찰함으로써, 블랭킷 (4) 의 팽윤량을 보다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블랭킷 (4) 의 팽윤량을 보다 고정밀도로 관리할 수 있다.The depth dimension of the recessed part 15 is 5 micrometers or more and 200 micrometers or less,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5 micrometers or more and 100 micrometers or less, Furthermore, they are 5 micrometers or more and 50 micrometers or less. When the blanket 4 swells and becomes soft, and the blanket 4 contacts the bottom 17 (refer FIG. 3 and FIG. 6) of the recessed part 15 whose depth dimension is larger than 200 micrometers, the transfer precision of a thin wire pattern is improved. I can't keep it. Therefore, as for the depth dimension of the recessed part 15, 200 micrometers or less are preferable. When the swelling control of the blanket 4 is managed with high precision, the maximum value of the depth dimension of the recessed part 15 can be about 100 micrometers, and also about 50 micrometers. If the maximum value of the depth dimension of the recessed part 15 is about 100 micrometers, and also about 50 micrometers, and the some recessed part 15 is formed so that the depth dimension may become small step by step, swelling of the blanket 4 will be carried out hereafter. The state can be managed with better precision. Thus, the recessed part 15 is formed in multiple numbers, and the depth dimension of each recessed part 15 differs step by step. As the depth dimension of the recessed portion 15 increases, it becomes difficult for the blanket 4 to contact the bottom 17 of the recessed portion 15. When the swelling amount of the blanket 4 increases, the depth of the recessed portion 15 is increased. Even when the dimension is large, the blanket 4 contacts the bottom 17. Therefore, by observing the depth dimension of the recessed part 15 and the state of the ink 21 printed on the non-fired part 14 based on the recessed part 15, the swelling amount of the blanket 4 can be grasped | ascertained in more detail. have. Thereby, the swelling amount of the blanket 4 can be managed more accurately.

또 오목부 (15) 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블랭킷 (4) 이 피인쇄체를 인쇄하는 인쇄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폭 방향의 치수가 인쇄 방향에 걸쳐 서로 상이한 부분을 갖는다. 따라서 오목부 (15) 는, 예를 들어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께 방향 외측으로부터 보아 삼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인쇄 방향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테이지 (6) 가 인쇄기 본체 (3) 에 대해서 상대 이동 가능한 x 방향이다. 따라서 오목부 (15) 의 폭 방향은 y 방향이 된다. 오목부 (15) 가 삼각 형상이므로, 두께 방향 외측으로부터 보아 인쇄 방향에 걸쳐 테이퍼 형상의 에지 (18) (도 3 및 도 6 참조) 를 갖는다. 인쇄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폭 방향의 치수가, 인쇄 방향에 걸쳐 서로 상이한 부분을 갖는 오목부 (15) 로는, 삼각 형상 외에, 쐐기 형상, 타원형, 원 형상 등이 있다. 오목부 (15) 의 폭 방향의 치수가 작아짐에 따라, 오목부 (15) 의 바닥 (17) 에 블랭킷 (4) 이 접촉되기 어려 워지는데, 블랭킷 (4) 의 팽윤량이 커지면, 오목부 (15) 의 폭 방향의 치수가 작은 경우에도, 그 바닥 (17) 에 블랭킷 (4) 이 접촉한다. 따라서 오목부 (15) 의 폭 방향의 치수와, 오목부 (15) 에 기초하는 비화선부 (14) 에 인쇄된 잉크 (21) 의 상태를 관찰함으로써, 블랭킷 (4) 의 팽윤량을 보다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블랭킷 (4) 의 팽윤량을 보다 고정밀도로 관리할 수 있다.Moreover, in this embodiment, the recessed part 15 has the part in which the dimension of the width direction which is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printing direction in which the blanket 4 prints a to-be-printed body differs over a printing direction. Therefore, the recessed part 15 is formed in triangular shape as seen from the thickness direction outer sid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The printing direction is the x direction in which the stage 6 is relative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printer main body 3 in this embodiment. Therefore,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cave portion 15 becomes the y direction. Since the recessed part 15 is a triangular shape, it has the taper-shaped edge 18 (refer FIG. 3 and FIG. 6) over the printing direction seen from the thickness direction outer side. As the concave portion 15 having portions in the width direction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printing direction that differ from each other in the printing direction, there are wedge shapes, ellipses, circular shapes, and the like in addition to the triangular shape. As the dimension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cessed part 15 becomes small, it becomes difficult for the blanket 4 to contact the bottom 17 of the recessed part 15, but when the swelling amount of the blanket 4 becomes large, the recessed part 15 Even when the dimension of the width direction of () is small, the blanket 4 contacts the bottom 17. Therefore, by observing the dimension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cessed part 15 and the state of the ink 21 printed on the non-fired part 14 based on the recessed part 15, the swelling amount of the blanket 4 is explained in more detail. I can figure it out. Thereby, the swelling amount of the blanket 4 can be managed more accurately.

도 3 은, 인쇄판 (1) 의 장변 부근의 비화선부 (14) (도 1 의 좌측 상부) 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측이 정면도, 하측이 오목부 (15) 의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판 (1) 의 비화선부 (14) 의 단변 부근인 단변부 (19) 에, 깊이 치수가 E㎛, D㎛, C㎛ 및 B㎛ (B>C>D>E) 이고, 1 변이 5㎜ 인 정삼각형의 오목부 (15) 가 각각 형성된다. 판 (1) 의 비화선부 (14) 의 장변 부근인 장변부 (20) 에는, 단변부 (19) 와 동일한 크기의 정삼각형이며 깊이 치수가 E㎛, D㎛, C㎛, B㎛ 및 A㎛ (A>B>C>D>E) 인 5 개의 오목부 (15) 를 1 세트로 하여, 1 변에 2 세트, 2 변에서 합계 4 세트의 오목부 (15) 가 각각 형성된다. 깊이 치수의 일례로서, A㎛ 는 예를 들어 50㎛ 이고, B㎛ 는 20㎛ 이고, C㎛ 는 15㎛ 이고, D㎛ 는 10㎛ 이고, 및 E㎛ 는 5㎛ 이다. 각 장변부 (20) 에서는, 2 세트의 오목부 (15) 가 각각 y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각 세트의 삼각형의 x 방향으로 대략 평행한 1 변에서 y 방향으로 이간된 정점을 향하는 방향이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된다. 또, 오목부 (15) 의 크기는, 비화선부 (14) 의 면적에 따라서도 상이한데, 사람이 인식할 수 있는 크기, 예를 들어 1 변이 2㎜ 이상 10㎜ 이하, 특히 5㎜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 예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오목부 (15) 를 복수로 형 성하는 경우에는, 바닥 (17) 까지의 깊이 치수가 단계적으로 상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복수의 오목부 모두에 대해 깊이 치수를 다르게 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3∼10 단계 정도로 깊이 치수가 상이하게 설정하면 된다.3 is an enlarged view of the non-fire line portion 14 (upper left side in FIG. 1) near the long side of the printing plate 1, in which the upper side is a front view and the lower side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recess 15. In this embodiment, in the short side part 19 which is near the short side of the non-fire line part 14 of the board | substrate 1, the depth dimension is E micrometer, D micrometer, C micrometer, and B micrometer (B> C> D> E). , A concave portion 15 of an equilateral triangle having one side of 5 mm is formed, respectively. The long side portion 20 near the long side of the non-fired portion 14 of the plate 1 has an equilateral triangle having the same size as the short side portion 19 and has a depth dimension of E μm, D μm, C μm, B μm, and A μm ( A set of five concave portions 15 each of A> B> C> D> E) is provided, and a total of four sets of concave portions 15 are formed on two sides and two sets on one side, respectively. As an example of the depth dimension, A μm is 50 μm, B μm is 20 μm, C μm is 15 μm, D μm is 10 μm, and E μm is 5 μm. In each long side portion 20, two sets of concave portions 15 are arranged along the y direction, and the directions toward the vertices spaced apart in the y direction from one sid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x direction of each set of triangles are mutually different. It is formed to face. Moreover, although the magnitude | size of the recessed part 15 changes also with the area of the non-fire | wire part 14, the magnitude | size which a person can recognize, for example, one side is 2 mm or more and 10 mm or less, especially about 5 mm is preferable. Do. As can be seen from this example, when forming the plural concave portions 15,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depth dimension up to the bottom 17 different in stages. Moreover, it is not necessary to make depth dimensions different about all the some recessed parts, For example,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set depth dimensions differently about 3-10 steps.

도 4 는, 인쇄판 (1) 을 이용한 컬러 필터의 제조 방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 의 (a) 는, 블랭킷 동체 (5) 상에 감긴 블랭킷 (4) 에, 잉크 (21) 인 유기 착색제 (21) 를 코터 헤드 (13) 로 도포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 의 (b) 는, 블랭킷 (4) 의 표면으로부터, 유기 착색제 (21) 를 부분적으로 판 (1) 의 볼록부 (1a) 에 부착시켜 제거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 의 (c) 는 기판 (22) 의 표면에, 블랭킷 (4) 의 표면에 남아 있는 유기 착색제 (21) 를 전사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color filter using the printing plate 1 step by step, and FIG. 4 (a) is an organic material which is an ink 21 on a blanket 4 wound on a blanket body 5.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state which apply | coats the coloring agent 21 with the coater head 13, FIG.4 (b) shows the convex part of the board | substrate 1 partially with the organic coloring agent 21 from the surface of the blanket 4; 4 (c)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rganic colorant 21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blanket 4 is transferred to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22 and attached to 1a).

도 4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터 헤드 (13) 는, 유기 착색제 (21) 가 블랭킷 (4) 의 표면에서 균일한 층을 형성하도록, 대향하는 다이 사이의 갭으로부터 액상의 유기 착색제 (21) 를 유출시킨다. 다음으로, 도 4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랭킷 (4) 의 표면으로부터, 유기 착색제 (21) 를 부분적으로 판 (1) 의 볼록부 (1a) 에 부착시켜 제거하면, 블랭킷 (4) 의 표면에는, 화소의 형상에 대응한 유기 착색제 (21) 가 남는다. 그 후, 도 4 의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 (22) 의 표면에, 블랭킷 (4) 의 표면에 남아 있는 유기 착색제 (21) 를 전사하여 개별 착색층이 되는 부분을 형성한다.As shown in FIG. 4A, the coater head 13 is a liquid organic colorant (from the gap between the opposing dies so that the organic colorant 21 forms a uniform layer on the surface of the blanket 4). 21) Spill. Next, as shown in FIG.4 (b), if the organic coloring agent 21 is partially attached to the convex part 1a of the board | substrate 1 from the surface of the blanket 4, and it will remove, the blanket 4 will be carried out. The organic colorant 21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ixel remains on the surface of the. Thereafter, as shown in FIG. 4C, the organic colorant 21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blanket 4 is transferred to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22 to form a portion that becomes an individual colored layer.

표면에 블랭킷 (4) 이 감긴 블랭킷 동체 (5) 는 롤러 형상이고, 그 회전 위치는 양호한 정밀도로 제어한다. 블랭킷 (4) 과, 판 (1) 및 기판 (22) 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 맞춤은, 미리 위치 결정 패턴을 형성해 두는 것 등의 방법으로 정밀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착색제 (21) 대신에, 패터닝에 적합한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The blanket body 5 in which the blanket 4 was wound on the surface is roller-shaped, and the rotation position is controlled with good precision. The relative positioning with respect to the blanket 4 and the board | substrate 1 and the board | substrate 22 can be performed precisely by methods, such as forming a positioning pattern previously. Instead of the organic colorant 21, a material suitable for patterning may be used.

실리콘 고무제 블랭킷 (4) 에 대한 유기 착색제 (21) 의 도포는, 도 4 의 (a) 에 나타내는 코터 헤드 (13) 에 의한 경우 외에, CAP 코터나 롤 코터 등, 필요한 막두께를 얻기 위해, 그 밖에 어느 코터를 이용해도 된다. CAP 코터는, 예를 들어 하방으로부터 표면 장력으로 유기 착색제 (21) 에 상당하는 잉크를 도포한다. 롤 코터는, 롤 사이의 틈을 통해 잉크를 도포한다.Application of the organic colorant 21 to the silicone rubber blanket 4 is performed in order to obtain necessary film thicknesses, such as a CAP coater and a roll coater, in addition to the case of the coater head 13 shown in FIG. Any other coater may be used. The CAP coater applies, for example, ink corresponding to the organic colorant 21 with the surface tension from below. The roll coater applies ink through the gaps between the rolls.

도 4 의 (a) 에서는, 실리콘 고무제 블랭킷 (4) 이 감긴 블랭킷 동체 (5) 를 회전시키면서, 유기 착색제 (21) 를 소정의 막두께로 도포한다. 유기 착색제 (21) 의 점도는, 점도 1mPa·s 이상 50mPa·s 이하인 것이 적당하고, 바람직하게는 점도 1mPa·s 이상 20mPa·s 이하이다. 도 4 의 (b) 에서는, 유기 착색제 (21) 가 도포된 블랭킷 (4) 에 판 (1) 을 접촉시키고, 화소 부분의 유기 착색제 (21) 를 판 (1) 의 볼록부 (1a) 에 전사시킨다.In FIG. 4A, the organic colorant 21 is apply | coated to a predetermined | prescribed film thickness, rotating the blanket body 5 by which the silicone rubber blanket 4 was wound. It is suitable that the viscosity of the organic coloring agent 21 is 1 mPa * s or more and 50 mPa * s or less, Preferably they are 1 mPa * s or more and 20 mPa * s or less. In FIG. 4B, the plate 1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lanket 4 to which the organic colorant 21 is applied, and the organic colorant 21 of the pixel portion is transferred to the convex portion 1a of the plate 1. Let's do it.

도 4 의 (c) 에서는, 블랭킷 (4) 에 남은 유기 착색제 (21) 를 피인쇄체인 기판 (22) 의 표면에 전사하여 1 색분의 화소를 형성한다. 이하, 화소 형성에 필요한 컬러 원색마다, 복수회 피인쇄체에 전사를 반복한다. 각 색마다 피인쇄체에 전사된 유기 착색제 (21) 를 건조시켜도 되는데, 생산 효율을 높이기 위해, 필요 횟수 전사를 반복한 후,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 고무제 블랭킷 (4) 을 사용하는 것은, 그 발수지 기능이나 박리 기능을 이용하여, 판 (1) 의 볼록부 (1a) 나 피인쇄체로서의 기판 (22) 의 표면에 확실하게 유기 착색제 (21) 를 전사시키기 위해서이다.In FIG.4 (c), the organic coloring agent 21 which remained in the blanket 4 is transferred to the surface of the board | substrate 22 which is a to-be-printed body, and the pixel of one color is formed. Hereinafter, transfer is repeated to the printed object multiple times for each color primary color required for pixel formation. The organic colorant 21 transferred to the printed material may be dried for each color. In order to increase the production efficiency, it is preferable to repeat the required number of transfers before drying. The use of the silicone rubber blanket 4 uses the water-repellent and peeling functions to ensure that the organic coloring agent 21 is reliably formed on the convex portion 1a of the plate 1 or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22 as a printed object. ) Is to be transferred.

도 5 는, 비화선부 (14) 에 인쇄되는 잉크 (21) 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블랭킷 (4) 이 오목부 (15) 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서술한 도 4 에 나타내는 제조 방법에 의해, 판 (1) 의 화선부 (16) 의 볼록부 (1a) 가 피인쇄체에 전사되는데, 마찬가지로 비화선부 (14) 의 오목부 (15) 에 기초하는 형상이 피인쇄체의 비화선부 (14) 에 전사된다. 블랭킷 (4) 은 잉크 (21) 를 정상적으로 전사시키기 위해, 잉크 (21) 로부터 필요한 용제를 흡수하고, 일정한 팽윤을 할 필요가 있다. 통상 이 팽윤을 유지시키도록 블랭킷 (4) 의 팽윤 제어를 실시한다. 팽윤 제어가 정상적으로 기능하고 있으면 비화선부 (14) 에 형성한 임의 형상의 깊이 스케일은, 도 5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정한 형상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인쇄 초기에는 블랭킷 (4) 의 팽윤량이 적어, 도 5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오목부 (15) 에 기초하는 잉크 (21) 의 인쇄 상태 (이하, 간단하게 「인쇄 상태」 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는 어느 것도 뚜렷한 정상적인 형태이다.FIG. 5: is a figure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ink 21 printed on the non-drawing line part 14. As shown in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where the blanket 4 is in contact with the recessed portion 15. By the manufacturing method shown in FIG. 4 mentioned above, the convex part 1a of the wire part 16 of the board | substrate 1 is transferred to a to-be-printed body, The shape based on the recessed part 15 of the non-wire part 14 similarly. It is transferred to the non-radiation part 14 of this to-be-printed body. In order for the blanket 4 to transfer the ink 21 normally, it is necessary to absorb the necessary solvent from the ink 21 and to perform a constant swelling. Usually, the swelling control of the blanket 4 is performed to maintain this swelling. If the swelling control is functioning normally, the depth scale of the arbitrary shape formed in the non-wire part 14 shows a fixed shape as shown to Fig.5 (a). For example, in the initial stage of printing, the amount of swelling of the blanket 4 is small, and as shown in FIG. 5A, the printing state of the ink 21 based on the recesses 15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printing state”). Is a distinct normal form.

인쇄를 계속함으로써 블랭킷 (4) 의 성능이 열화되거나, 팽윤 제어가 불안정해진 경우, 각 오목부 (15) 의 인쇄 상태가 변화되기 시작한다. 블랭킷 (4) 의 팽윤량이 많아지면, 도 5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깊이 치수에 따라 서서히 인쇄 상태가 변화된다. 블랭킷 (4) 의 팽윤량이 많아지면,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 (15) 의 깊이 치수에 따라 블랭킷 (4) 이 오목부 (15) 의 바닥 (17) 에 접촉한다. 단계적으로 변화되는 복수의 오목부 (15) 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5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깊이 치수가 가장 얕은 깊이 치수 E㎛ 의 오목부 (15) 의 인쇄 상태가 가장 현저하게 흐리고, 깊이 치수가 커짐에 따라 삼각형 모양이 갖추어지고, 희미한 정도가 작아진다. 따라서 블랭킷 (4) 의 팽윤량을 단계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If the performance of the blanket 4 deteriorates or the swelling control becomes unstable by continuing printing, the printing state of each recess 15 starts to change. When the amount of swelling of the blanket 4 increases, as shown in FIG.5 (b), a printing state will change gradually with a depth dimension. When the amount of swelling of the blanket 4 increases, as shown in FIG. 6, the blanket 4 contacts the bottom 17 of the recessed part 15 according to the depth dimension of the recessed part 15. As shown in FIG. Since the several recessed part 15 changed in steps is formed, as shown in FIG.5 (b), the printing state of the recessed part 15 of the depth dimension Emicrometer with the shallowest depth dimension is most remarkable. As the depth increases, the depth becomes triangular, and the faintness decreases. Therefore, the amount of swelling of the blanket 4 can be grasped step by step.

이와 같이 블랭킷 (4) 의 팽윤 제어가 정상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경우에는, 블랭킷 (4) 의 팽윤이 적고, 잉크 (21) 가 도포된 블랭킷 (4) 의 표면이 오목부 (15) 의 바닥 (17) 에 접촉되기 어려워져 깊이 치수가 큰 오목부 (15) 를 바르게 인쇄한다. 그러나 팽윤 제어가 소홀해지거나, 팽윤 제어가 불가능하게 된 경우, 깊이 치수가 큰 오목부 (15) 의 인쇄 형상이 변화된다. 아무리 팽윤 제어를 조정해도 깊이 치수가 큰 오목부 (15) 의 인쇄 상태가 변화되는 경우에는, 블랭킷 (4) 의 팽윤을 억제하지 못해 블랭킷 (4) 의 교환 시기라고 판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인쇄물을 보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블랭킷 (4) 의 팽윤 정도를 인식할 수 있다.When the swelling control of the blanket 4 is normally performed in this way, the swelling of the blanket 4 is small, and the surface of the blanket 4 to which the ink 21 is applied is the bottom 17 of the recessed part 15. It becomes difficult to contact with and prints the recessed part 15 with a large depth dimension correctly. However, when the swelling control is neglected or the swelling control becomes impossible, the printing shape of the concave portion 15 having a large depth dimension is changed. Even if the swelling control is adjusted no matter how the printing state of the recessed part 15 with a large depth dimension changes, it is not possible to suppress the swelling of the blanket 4 and it can also be judged that it is the replacement time of the blanket 4. Thus, the degree of swelling of the blanket 4 can be recognized simply by looking at a printed matter.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블랭킷 동체 (5) 에 감긴 블랭킷 (4) 에 잉크 (21) 가 도포되고, 이 블랭킷 (4) 이 인쇄판 (1), 피인쇄체의 상면을 순서대로 회전 접촉함으로써, 블랭킷 (4) 상의 잉여 잉크 (21) 를 화선부 (16) 의 볼록부 (1a) 에서 제거하고, 블랭킷 (4) 에 남은 잉크 (21) 를 피쇄재에 전사하는 오프셋 인쇄에 있어서, 판 (1) 의 비화선부 (14) 에 깊이가 상이한 복수의 오목부 (15) 를 형성한 인쇄판 (1) 을 이용한다. 블랭킷 (4) 이 새롭게 팽윤이 진 행되지 않은 경우, 블랭킷 (4) 의 표면에 도포된 잉크 (21) 는, 비화선부 (14) 의 오목부 (15) 의 바닥 (17) 에 접촉되지 않고, 오목부 (15) 의 형상을 피인쇄체의 비화선부 (14) 에 충실히 전사한다. 그러나, 인쇄 매수가 증가함에 따라, 블랭킷 (4) 내에 용제가 침투하여 블랭킷 (4) 이 팽윤되기 시작하면, 블랭킷 (4) 의 표면이 오목부 (15) 의 바닥 (17) 에 서서히 가까워진다. 또한, 팽윤이 증가하면, 블랭킷 (4) 의 표면에 도포된 잉크 (21) 가 오목부 (15) 의 바닥 (17) 에 접촉하고, 피인쇄체의 비화선부 (14) 에 정상적인 형태의 오목부 (15) 에 기초하는 형상을 전사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블랭킷 (4) 의 팽윤 정도에 따라 각 오목부 (15) 의 전사 형상이 상이하므로, 블랭킷 (4) 의 팽윤이 어느 정도까지 진행되었는지, 비화선부 (14) 에 형성한 오목부 (15) 와 깊이 치수의 관계에 기초하여 한눈에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k 21 is applied to the blanket 4 wound on the blanket body 5, and the blanket 4 rotates the printing plate 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rinted body in order. In this case, the excess ink 21 on the blanket 4 is removed from the convex portion 1a of the wire portion 16, and the offset printing in which the ink 21 remaining on the blanket 4 is transferred to the to-be-printed material is used. The printing plate 1 which provided the some recessed part 15 from which depth differs in the non-wire part 14 of 1) is used. When the blanket 4 is not newly swollen, the ink 21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blanket 4 does not contact the bottom 17 of the recessed part 15 of the non-fire line 14, The shape of the concave portion 15 is faithfully transferred to the non-fired portion 14 of the printed object. However, as the number of prints increases, when the solvent penetrates into the blanket 4 and the blanket 4 starts to swell, the surface of the blanket 4 gradually approaches the bottom 17 of the recess 15. In addition, when the swelling increases, the ink 21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blanket 4 contacts the bottom 17 of the recessed portion 15, and the recessed portion having a normal shape on the non-fired portion 14 of the printed object ( The shape based on 15) is not transferred. Thus, since the transfer shape of each recessed part 15 differs according to the swelling degree of the blanket 4, the recessed part 15 formed in the non-fired part 14 to what extent swelling of the blanket 4 advanced. ) Can be grasped at a glance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통상, 블랭킷 (4) 은 팽윤 대책을 실시하는데, 이 비화선부 (14) 의 오목부 (15) 에 의해 전사된 잉크 (21) 의 상태를 관찰함으로써, 블랭킷 (4) 의 팽윤 대책이 정상적으로 기능하여 블랭킷 (4) 의 팽윤량이 전사에 최적인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또 그 인쇄 부분의 형상을 관찰함으로써, 팽윤 대책을 강화하거나, 또는 블랭킷 (4) 의 수명에 있어서 교환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적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Usually, the blanket 4 implements a swelling measure. By observing the state of the ink 21 transferred by the recessed portion 15 of the non-fired portion 14, the swelling measure of the blanket 4 functions normally. It can be grasped whether the amount of swelling of the blanket 4 is maintaining the state optimal for transcription | transfer. In addition, by observing the shape of the printed portion, it is possible to reinforce the swelling countermeasure or to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replacement is necessary in the life of the blanket 4.

또 비화선부 (14) 에 오목부 (15) 를 형성한다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블랭킷 (4) 의 팽윤량, 또한 블랭킷 (4) 의 변질, 및 블랭킷 (4) 의 팽윤에 의한 인쇄압의 변화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블랭킷 (4) 의 팽윤량을 파 악하기 위해 새롭게 인쇄기 (2) 에 계측 수단을 형성하지 않고, 기존의 인쇄기 (2) 를 이용하여, 기존의 판 (1) 의 비화선부 (14) 에 오목부 (15) 를 형성하는 것만으로 본 발명을 실현할 수 있다.Moreover, with the simple structure which forms the recessed part 15 in the non-fire line part 14, the swelling amount of the blanket 4, the alteration of the blanket 4, the change of the printing pressure by the swelling of the blanket 4, etc. Can be easily understood. Therefore, in order to understand the swelling amount of the blanket 4, the concave portion is formed in the non-fired portion 14 of the existing plate 1 by using the existing printing machine 2, without newly forming the measuring means in the printing machine 2.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only by forming (15).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오목부 (15) 는 각 변부에 각각 형성되므로, 어느 하나의 변부만이 인쇄 상태가 나빠지고, 어느 하나의 변부의 인쇄 상태가 양호한 경우, 블랭킷의 가압력이 치우쳐 있는 것을 잉크 (21) 의 인쇄 상태에 의해 파악할 수 있다.Moreover, in this embodiment, since each recessed part 15 is each formed in each edge part, when only one edge part prints worse, when the printing state of any one edge part is favorable, the pressing force of a blanket is biased. It can grasp | ascertain by the printing state of the ink 21.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판 (1) 의 비화선부 (14) 에는, 위치 어긋남 보정용의 복수의 얼라인먼트 마크 (도시 생략) 가 부착되어 있는데, 상기 서술한 오목부 (15) 를 얼라인먼트 마크로도 기능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따라서 얼라인먼트 마크를 이용하여 블랭킷 (4) 의 팽윤량을 관리할 수 있고, 새롭게 비화선부 (14) 에 오목부 (15) 를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현하기 위한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non-marked part 14 of the board | substrate 1 is equipped with some alignment mark (not shown) for position shift correction, it is comprised so that the recessed part 15 mentioned above may also function as an alignment mark. You may also Therefore, since the swelling amount of the blanket 4 can be managed using an alignment mark, and it is not necessary to form the recessed part 15 in the non-fire line part 14 newly, the cost for implementing this invention easily is reduced. You can.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블랭킷 (4) 의 팽윤량이 적절한 경우에는, 가장 깊이 치수가 작은 오목부 (15) 라도 인쇄 상태는 뚜렷한데,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고, 블랭킷 (4) 의 팽윤량이 적절한 경우에도 깊이 치수가 작은 오목부 (15) 에서는, 인쇄 상태가 억지로 희미해지도록 깊이 치수를 설정해도 된다. 이와 같이 깊이 치수의 최소값을 설정하고, 단계적으로 깊이 치수를 크게 함으로써, 적절한 블랭킷 (4) 의 팽윤량인지의 여부를 깊이 치수가 작은 오목부 (15) 의 인쇄 상태로 파악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when the swelling amount of the blanket 4 is appropriate, even if the recessed part 15 with the smallest depth dimension is clear in a printing state, it is not limited to this, When the swelling amount of the blanket 4 is suitable In the recessed part 15 with a small depth dimension, you may set a depth dimension so that a printing state may be forcibly faded. By setting the minimum value of the depth dimension in this way and increasing the depth dimension step by step, it can be grasped as the printing state of the recessed part 15 with a small depth dimension whether it is the appropriate amount of swelling of the blanket 4.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7 은, 제 2 실시형태의 인쇄판 (1A) 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쇄판 (1A) 의 비화선부 (14) 에 형성되는 오목부 (15) 는, 깊이 치수가 서로 동일한 점에 특징을 갖는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변부에는, 대향하는 삼각 형상의 1 쌍의 오목부 (15) 가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각 오목부 (15) 의 깊이 치수는, 예를 들어 블랭킷 (4) 이 미리 정하는 팽윤량 이상이 되면, 인쇄 상태가 불선명해지도록 설정한다. 이러한 깊이 치수로 설정함으로써, 잉크 (21) 의 인쇄 상태에 기초하여, 블랭킷 (4) 의 팽윤량이 미리 정하는 양을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블랭킷 (4) 의 미리 정하는 팽윤량을, 화선부 (16) 의 인쇄가 불선명해지기 전에 설정함으로써, 오목부 (15) 의 인쇄 상태에 기초하여, 블랭킷 (4) 의 팽윤량을 제어해야 할 시기를 적절히 판단할 수 있다. 또 각 오목부 (15) 는, 에지 (18) 가 인쇄 방향에 대해서 기울어 있으므로, 인쇄 방향에 대해서 오목부 (15) 의 폭 방향의 치수가 상이한 부분을 갖는다. 따라서 각 오목부 (15) 의 인쇄 상태를 인쇄 방향에 걸쳐 관찰함으로써, 블랭킷 (4) 의 팽윤량을 단계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보다 고정밀도로 블랭킷 (4) 의 팽윤량을 파악할 수 있다.Next,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G. 7: is a front view which shows the printing plate 1A of 2nd Embodiment. In this embodiment, the recessed part 15 formed in the non-fired part 14 of 1 A of printing plates has the feature that the depth dimension is mutually the same. As shown in FIG. 7, a pair of concave portions 15 having opposing triangular shapes are formed in each side portion, respectively. The depth dimension of each recessed part 15 is set so that a printing state may become unclear when the blanket 4 becomes more than the amount of swelling predetermined, for example. By setting it to such a depth dimension,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swelling amount of the blanket 4 exceeds the predetermined amount based on the printing state of the ink 21. Therefore, by setting the predetermined amount of swelling of the blanket 4 before the printing of the wire line 16 becomes unclear,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amount of swelling of the blanket 4 based on the printing state of the recess 15. The timing can be judged appropriately. Moreover, since each edge 18 inclines with respect to a printing direction, each recessed part 15 has the part from which the dimension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cessed part 15 differs with respect to a printing direction. Therefore, the swelling amount of the blanket 4 can be grasped | ascertained step by step by observing the printing state of each recessed part 15 over a printing direction. Thereby, the swelling amount of the blanket 4 can be grasped | ascertained more accurately.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8 은, 제 3 실시형태의 인쇄판 (1B) 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쇄판 (1B) 의 비화선부 (14) 에 형성되는 오목부 (15) 는, 인쇄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인쇄 방향에 대한 오목부 (15) 의 폭 치수의 변화율이 일정한 점에 특징을 갖는다.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단변부 (19) 에는, 이등변 삼각 형상의 오목부 (15) 가 각각 형성된다. 각 오목부 (15) 는, 저변의 위치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된다. 바꿔 말하면, 이등변 삼각형의 오목부 (15) 가 연장되는 방향이 서로 상이하다. 각 오목부 (15) 는, 예를 들어 저변의 치수는 2㎜ 이고, 깊이 치수가 50㎛ 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각 오목부 (15) 는, 비화선부 (14) 의 단변부 (19) 의 x 방향에 걸쳐 연장되고, 에지 (18) 가 인쇄 방향에 대해서 완만하게 변화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오목부 (15) 의 폭 방향의 치수가 인쇄 방향에 걸쳐 완만하게 변화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오목부 (15) 의 폭 방향의 치수와, 오목부 (15) 에 기초하는 비화선부 (14) 에 인쇄된 잉크 (21) 의 상태를 관찰함으로써, 블랭킷 (4) 의 팽윤량을 보다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오목부 (15) 의 폭 방향의 치수 변화를 인쇄 방향에 걸쳐 완만하게 한 본 실시형태는, 보다 상세하게 블랭킷 (4) 의 팽윤량을 파악할 수 있다.Next,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8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printing plate 1B of the third embodiment. In this embodiment, the recessed part 15 formed in the non-fire line part 14 of the printing plate 1B extends along a printing direction, and is made into the point where the change rate of the width dimension of the recessed part 15 with respect to a printing direction is constant. Has characteristics. As shown in FIG. 8, the isosceles triangular recessed part 15 is formed in each short side part 19, respectively. Each recessed part 15 is formed so that the position of a bottom side may mutually differ. In other words, the directions in which the concave portions 15 of the isosceles triangles extend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Each recessed part 15 has a dimension of the bottom side of 2 mm, for example, and a depth dimension is set to 50 micrometers. Thus, each recessed part 15 extends over the x direction of the short side part 19 of the non-wire part 14, and is formed so that the edge 18 may change gently with respect to a printing direction. Therefore, the dimension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cessed part 15 changes gently over a printing direction. As mentioned above, the swelling of the blanket 4 is observed by observing the dimension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cessed part 15, and the state of the ink 21 printed on the non-fired part 14 based on the recessed part 15. As shown in FIG. Since the quantity can be grasped | ascertained in detail, this embodiment which made the dimensional change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cessed part 15 smoothly over the printing direction can grasp the swelling amount of the blanket 4 in more detail.

도 9 는, 본 실시형태의 인쇄판 (1B) 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8 과 동일한 오목부 (15) 가 1 개의 단변부 (19) 에 복수, 본 실시형태에서는 3 개 형성된다.9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printing plate 1B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9, two or more recessed parts 15 similar to FIG. 8 are formed in one short side part 19 in this embodiment.

인접하는 이등변 삼각형의 오목부 (15) 가 연장되는 방향이 서로 다르고, 비화선부 (14) 의 영역이 유효하게 이용된다. 이러한 구성이어도, 비화선부 (14) 의 영역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본 실시형태의 작용 및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The directions in which the concave portions 15 of the adjacent isosceles triangles extend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area of the non-fire line portion 14 is effectively used. Even if it is such a structure, the effect | action and effect of this embodiment can be achieved using the area | region of the non-fired part 14 effectively.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오목부 (15) 의 깊이 치수는 서로 동일한데, 서로 상이하게 형성해도 된다. 이에 의해 오목부 (15) 의 깊이 치수와 폭 치수의 관 계에 기초하여, 보다 상세하게 블랭킷 (4) 의 팽윤량을 파악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depth dimension of each recessed part 15 is the same, you may form differently from each other. Thereby, the swelling amount of the blanket 4 can be grasped | ascertained in detail based on the relationship of the depth dimension of the recessed part 15, and the width dimension.

상기 서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오목부 (15) 의 형상은 인쇄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형상이 선택되고 있지만,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오목부 (15) 의 형상은 깊이 치수가 서로 상이한 경우, 오목부 (15) 의 깊이 치수의 대소 관계가 인쇄 상태를 시인함으로써,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는 형상이어도 된다. 오목부 (15) 가 이러한 형상이면, 어느 오목부 (15) 의 깊이 치수가 큰 것인지를, 인쇄 상태를 확인하는 것만으로 파악할 수 있다.In each embodiment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shape for grasping the printing state is selected, the shape of the recessed part 15 is not limited to this shape. For example, when the depth dimension differs from each other, the shape of the recessed part 15 may be a shape which can be easily judged by the case where the magnitude relationship of the depth dimension of the recessed part 15 recognizes a printing state. If the recessed part 15 is such a shape, it can be grasped | ascertained only by confirming a printing state that the depth dimension of which recessed part 15 is large.

이러한 오목부 (15) 는, 예를 들어 깊이 치수를 나타내는 문자이어도 되고, 대소 관계를 나타내는 부등호와 같은 기호이어도 된다.Such recess 15 may be, for example, a letter indicating a depth dimension or a symbol such as an inequality sign indicating a magnitude relationship.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인쇄판 (1) 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printing plate 1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인쇄판 (1) 을 이용하여 인쇄하는 인쇄기 (2) 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showing a printing machine 2 which prints using the printing plate 1.

도 3 은 인쇄판 (1) 의 장변 부근의 비화선부 (14) 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n enlarged view of the non-fire line portion 14 near the long side of the printing plate 1.

도 4 는 인쇄판 (1) 을 이용한 컬러 필터의 제조 방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 의 (a) 는, 블랭킷 (4) 에, 잉크 (21) 인 유기 착색제 (21) 를 코터 헤드 (13) 로 도포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 의 (b) 는, 블랭킷 (4) 의 표면으로부터, 유기 착색제 (21) 를 부분적으로 판 (1) 의 볼록부 (1a) 에 부착시켜 제거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 의 (c) 는 기판 (22) 의 표면에, 블랭킷 (4) 의 표면에 남아 있는 유기 착색제 (21) 를 전사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lor filter using the printing plate 1 step by step, and FIG. 4 (a) shows the blanket 4 with the organic colorant 21, which is the ink 21, on the coater head 13. 4B shows a state in which the organic colorant 21 is partially attached to the convex portion 1a of the plate 1 and removed from the surface of the blanket 4. 4C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transferring the organic colorant 21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blanket 4 to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22.

도 5 는 비화선부 (14) 에 인쇄되는 잉크 (21) 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ink 21 printed on the non-drawing portion 14.

도 6 은 블랭킷 (4) 이 오목부 (15) 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where the blanket 4 is in contact with the recessed portion 15.

도 7 은 제 2 실시형태의 인쇄판 (1A) 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7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printing plate 1A of the second embodiment.

도 8 은 제 3 실시형태의 인쇄판 (1B) 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8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printing plate 1B of the third embodiment.

도 9 는 본 실시형태의 인쇄판 (1B) 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9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printing plate 1B of the present embodiment.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 : 인쇄판1: printing plate

2 : 인쇄기2: printing press

3 : 인쇄기 본체3: printing machine body

4 : 블랭킷4: blanket

5 : 블랭킷 동체5: blanket fuselage

14 : 비화선부14: non-fired part

15 : 오목부15: recess

16 : 화선부16: caustics

17 : 바닥17: floor

Claims (3)

비화선부에 블랭킷의 팽윤을 관리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인쇄판.The printing plate in which the recessed part which manages swelling of a blanket is formed in the non-wire line par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오목부는, 깊이 치수가 단계적으로 상이하게 복수로 형성되어 있는 인쇄판.The said recessed part is a printing plate in which the depth dimension is formed in plurality in different step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오목부는, 블랭킷이 피인쇄체를 인쇄하는 인쇄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폭 방향의 치수가 인쇄 방향에 걸쳐 서로 상이한 부분을 갖는 인쇄판.The said recessed part is a printing plate in which the dimension of the width direction orthogonal to the printing direction in which a blanket prints a to-be-printed body differs from each other over a printing direction.
KR1020070118081A 2006-11-21 2007-11-19 Printing plate KR20080046105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314787 2006-11-21
JP2006314787A JP2008126545A (en) 2006-11-21 2006-11-21 Printing pla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6105A true KR20080046105A (en) 2008-05-26

Family

ID=39552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8081A KR20080046105A (en) 2006-11-21 2007-11-19 Printing plat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8126545A (en)
KR (1) KR20080046105A (en)
TW (1) TW200835604A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835604A (en) 2008-09-01
JP2008126545A (en) 200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89536B2 (en) Image forming method
Blayo et al. Printing processes and their potential for RFID printing
JP2006289983A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electronic elements using roll-to-roll rotary printing method
US20030041762A1 (en) Method for preventing distortions in a flexibly transferred feature pattern
KR20090118870A (en) Intaglio printing plate, production method for intaglio printing plate, production method for electronic substrate, and production method for display device
CN105252883A (en) Intelligent electronic intaglio-printing-roll printing system and plate making method
US20140184958A1 (en) Cliche for offset-print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2010058330A (en) Method for forming image pattern and image pattern and semiconductor device, electric circuit, display module, color filter, and light emitting element
JP5090265B2 (en) Printing plate manufacturing method, printing plate and reverse printing method
JP2011011532A (en) Gravure printing plate
KR20080046105A (en) Printing plate
JP2007331219A (en) Printing machine and printing method
US20140230674A1 (en) System for mounting a flexographic printing plate
CN101456309B (en) Letterpress printing plate
JP4962855B2 (en) Method for determining printing pressure, letterpress printing machine, printing plate for letterpress printing, and method for producing printing plate for plate cylinder of letterpress printing machine
EP3343591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liché for offset printing, and cliché for offset printing
CN105644133A (en) Cliche for off set printing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JP200504367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fine pattern
KR101289435B1 (en) Pattern roller having micro pattern groove and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of gravure
US8899149B2 (en) Letterpress printing plate
Chang et al. A study of roll‐printing technology for TFT‐LCD fabrication
KR20120118291A (e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rinted circuit board
US2002009861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feature pattern from an inked surface to a substrate
US20030041761A1 (en) Method for removing unwanted particles from a surface used in the process of flexibly transferring a feature pattern from an inked surface to a substrate
WO2017191784A1 (en) Printing letterpress and letterpress printing method u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