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4142A - 컨텐츠 업데이트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컨텐츠 업데이트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4142A
KR20080044142A KR20070026333A KR20070026333A KR20080044142A KR 20080044142 A KR20080044142 A KR 20080044142A KR 20070026333 A KR20070026333 A KR 20070026333A KR 20070026333 A KR20070026333 A KR 20070026333A KR 20080044142 A KR20080044142 A KR 20080044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pdate
content
mobile terminal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26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8961B1 (ko
Inventor
이승엽
이종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Priority to US11/938,375 priority Critical patent/US20080113656A1/en
Priority to GB0722395A priority patent/GB2443950B/en
Priority to JP2007296504A priority patent/JP2008135028A/ja
Publication of KR20080044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4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8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896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 각 가입자별로 업데이트 시간 정보를 스케줄링하여 각 가입자의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업데이트 시간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 업데이트 요청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는 컨텐츠 업데이트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은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업데이트 시간 정보를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업데이트 시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상기 업데이트 시간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 업데이트 요청(request)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 상기 업데이트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컨텐츠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컨텐츠, 업데이트, 요청 신호, 스케줄링

Description

컨텐츠 업데이트 방법 및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CONT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업데이트 시스템의 전체 네트워크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업데이트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정보 전송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업데이트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컨텐츠 업데이트 시스템
201: 스케줄링부
202: 정보 전송부
203: 인벤토리 데이터베이스
204: 신호 수신부
211: 어플리케이션 유지부
212: 어플리케이션 운용부
본 발명은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 각 가입자별로 업데이트 시간 정보를 스케줄링하여 각 가입자의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업데이트 시간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 업데이트 요청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는 컨텐츠 업데이트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의 보급 확대에 따라 이 분야의 기술이 발전하고 있으며,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와 업체간의 경쟁에 의해 날로 다양한 기능들이 추가되고 있다. 이에 따라, 통신 사업자 및 단말기 사업자는 가입자가 요구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정보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가입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무선 인터넷을 통한 전자 상거래 정보, 증권정보, GPS 기반의 데이터 서비스 등과 같이 가입자가 직접 설정한 관심 정보의 제공을 들 수 있다. 따라서, 가입자는 자신의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해당 관심 정보를 조회하거나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해당 정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을 이용하여 가입자가 업데이트된 정보를 제공 받기 위해서는, 매번 일련의 입력 과정을 통해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에 접속하 여야 하고, 접속한 후에도 가입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검색하여 검색된 정보에 대한 업데이트 정보를 제공 받는 일련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따라서, 상술한 종래의 방법은 접속할 때마다 일련의 입력 과정을 거쳐야 한다는 불편함과, 해당 통신망에 과중한 부하가 걸려있을 경우 해당 정보의 다운로드 속도가 저하되어 그에 따른 추가적인 통신비를 가입자가 부가적으로 부담 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효율적으로 컨텐츠를 업데이트하기 위하여, 각 가입자별로 업데이트 시간 정보를 스케줄링하여 각 가입자의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업데이트 시간 정보에 따라 컨텐츠 제공 서버로 업데이트 요청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도록 하는 컨텐츠 업데이트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업데이트 방법 및 시스템은 이동통신망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 각 가입자에게 업데이트되는 컨텐츠를 전송하는 시간을 스케줄링하고, 상기 스케줄링된 시간에 따라 상기 가입자의 휴대 단말기로 업데이트된 컨텐츠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업데이트 방법 및 시스템은 휴대 단말기의 가입자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컨텐츠 업데이트 시간을 체크하여 업데이트 시간이 도래하면 컨텐츠 제공 서버로 업데이트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업데이트 방법 및 시스템은 컨텐츠 정보의 업데이트 정보 및 템플릿 정보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 상에서 상기 컨텐츠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가입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은, 업데이트 시간 정보를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된 업데이트 시간 정보에 따른 소정 시점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업데이트 요청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업데이트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검색되는 컨텐츠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컨텐츠에 대한 갱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업데이트하는 시스템은, 업데이트 시간 정보를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부와, 상기 전송된 업데이트 시간 정보에 따른 소정 시점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업데이트 요청 신호를 입력받는 신호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전송부는, 상기 입력된 업데이트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검색되는 컨텐츠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컨텐츠에 대한 갱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 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업데이트 시스템의 전체 네트워크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컨텐츠 업데이트 시스템은 휴대 단말기(101 내지 103), 또는 컨텐츠 제공 서버(104)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 있다. 단,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컨텐츠 업데이트 시스템이 컨텐츠 제공 서버 내에 포함되어 구현되는 것을 한정하여 설명한다.
우선, 컨텐츠 제공 서버(104)는 휴대 단말기(101 내지 103)로부터 갱신할 컨텐츠 정보에 대해 선택받는다. 즉, 컨텐츠 제공 서버(104)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정보의 업데이트를 구현하기 위해, 휴대 단말기의 가입자를 서비스 등록한다. 상기 서비스 등록 과정에 있어서, 가입자는 개별적으로 디스플레이 될(또는 업데이트 될) 컨텐츠 정보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고, 컨텐츠 제공 서버(104)는 컨텐츠 정보를 선택한 가입자를 서비스 회원으로서 등록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정보에 대한 선택은 예컨대, 사전에 사업자가 제시한 컨텐츠 종류의 묶음을 가입자가 선택, 지정함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서비스 등록 과정은 WAP 또는 후술하는 휴대 단말기 내에 설치되는 단말 매니저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 서버(104)는 가입자 별로 업데이트 시간 정보를 스케줄링하고, 상기 스케줄링된 업데이트 시간 정보를 각 가입자의 휴대 단말기(101 내지 103)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즉, 컨텐츠 제공 서버(104)는 서비스 등록된 가입자에 의해 선택이 이루어진 컨텐츠 정보와 관련한 업데이트 시간 정보를 인지하여 해당 휴대 단말기(101 내지 103)로 전송한다. 상기 업데이트 시간 정보는 가입자가 원하는 컨텐츠가 업데이트된 경우, 업데이트된 컨텐츠 정보를 전송하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으며, 각 가입자마다 각각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 서버(104)는 각 가입자를 2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각 그룹별로 상기 업데이트 시간 정보를 각각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1)는 제1 그룹이고, 휴대 단말기(102)는 제2 그룹이고, 휴대 단말기(103)는 제3 그룹인 경우, 제1 그룹의 업데이트 시간 정보는 "9:00"이고, 제2 그룹의 업데이트 시간 정보는 "9:10"이고, 제3 그룹의 업데이트 시간 정보는 "9:2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그룹에 속하는 휴대 단말기(101)의 업데이트 시간 정보는 "9:00"이고, 제2 그룹에 속하는 휴대 단말기(102)의 업데이트 시간 정보는 "9:10"이고, 제3 그룹에 속하는 휴대 단말기(103)의 업데이트 시간 정보는 "9:20"로 설정된다.
휴대 단말기(101 내지 103)는 컨텐츠 제공 서버(104)로부터 상기 업데이트 시간 정보를 수신하여 소정의 저장부에 저장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101 내지 103)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업데이트 시간 정보에 기초한 신호 전송 시간이 도래하는지 여부를 체크하고, 상기 신호 전송 시간이 도래하는 경우, 업데이트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컨텐츠 제공 서버(104)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휴대 단말기(101 내지 103)는 업데이트 시간 정보를 상기 가입자로부터 입력받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도 있다.
컨텐츠 제공 서버(104)는 휴대 단말기(101 내지 103)로부터 업데이트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인벤토리 데이터베이스(105)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식별하여 휴대 단말기(101 내지 103)로 전송한다. 인벤토리 데이터베이스(105)에는 각 가입자 별로 업데이트 시간 정보 및 인벤토리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정보는 업데이트 정보 및 템플릿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101 내지 103)는 컨텐츠 제공 서버로의 상기 업데이트 요청 신호 전송 시 인벤토리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컨텐츠 제공 서버(104)는 기전송된 업데이트 시간 정보 및 상기 수신된 인벤토리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 정보를 인벤토리 데이터베이스(105)로부터 검색하여 각 휴대 단말기(101 내지 103)로 전송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각 가입자별로 업데이트 시간 정보를 스케줄링하여 각 가입자의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업데이트 시간 정보에 따라 컨텐츠 제공 서버로 업데이트 요청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컨텐츠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컨텐츠 업데이트 시스템(200)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텐츠 업데이트 시스템(200)은 스케줄링부(201), 정보 전송부(202), 인벤토리 데이터베이스(203), 신호 수신부(204)를 포함하고, 컨텐츠 제공 서버(104)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정보를 제공받는 휴대 단말기(21)는 어플리케이션 유지부(211) 및 어플리케이션 운용부(212)를 포함함으로 써 소정의 단말 매니저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컨텐츠 제공 서버(104)로부터 수신한 상기 컨텐츠 정보의 그래픽을 디스플레이 처리하거나, 또는 상기 컨텐츠 정보에 대한 디스플레이 중 이벤트 발생을 처리할 수 있다.
우선 스케줄링부(201)는 가입자 별로 업데이트 시간 정보를 스케줄링한다. 상기 가입자는 컨텐츠 업데이트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로서, 업데이트된 컨텐츠를 제공받기 위하여 자신의 휴대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컨텐츠 업데이트 시스템(200)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업데이트 시간 정보는 업데이트된 컨텐츠를 각 가입자의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과 관련한 시간으로, 스케줄링부(201)는 상기 가입자를 2 이상의 복수 그룹으로 분류하고, 각 그룹별로 업데이트 시간 정보를 각각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휴대 단말기(101)가 제1 그룹이고, 휴대 단말기(102)가 제2 그룹이고, 휴대 단말기(103)가 제3 그룹으로 설정되는 경우, 스케줄링부(201)는 상기 제1 그룹의 업데이트 시간 정보를 "9:00"로, 상기 제2 그룹의 업데이트 시간 정보를 "9:10"으로, 제3 그룹의 업데이트 시간 정보를 "9:2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그룹에 속하는 휴대 단말기(101)의 업데이트 시간 정보는 "9:00"이고, 제2 그룹에 속하는 휴대 단말기(102)의 업데이트 시간 정보는 "9:10"이고, 제3 그룹에 속하는 휴대 단말기(103)의 업데이트 시간 정보는 "9:20"로 설정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각 가입자에게 업데이트되는 컨텐츠를 전송하는 시간을 스케줄링하고, 상기 스케줄링된 시간에 따라 상기 가입자의 휴대 단말기로 업데이트된 컨텐츠 정보를 상이하게 전송함으로써, 이동통신망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업데이트 시간 정보에는 업데이트 시작 시간, 업데이트 종료 시간, 기준 시간, 상기 기준 시간으로부터의 지연 시간, 및 업데이트 간격 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업데이트 시작 시간은 업데이트의 실행 시작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업데이트 종료 시간은 업데이트의 실행 종료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준 시간은 업데이트 실행의 기준이 되는 시간이고, 상기 지연 시간은 상기 기준 시간으로부터 업데이트가 실행되는 지연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업데이트 간격 시간은 업데이트 실행 후 다음 업데이트 실행 사이의 시간 간격을 지칭할 수 있다.
상기 기준 시간은 업데이트가 실행될 시간에 대한 정보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업데이트 시간 정보에 설정된 상기 업데이트 시작 시간, 상기 업데이트 간격 시간, 상기 지연 시간, 상기 업데이트 종료 시간 등을 기초하여 산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업데이트 시작 시간이 매일 9시로 설정되어 있고, 상기 업데이트 간격 시간은 2시간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최초의 기준 시간은 9시가 되고, 업데이트가 진행됨에 따라 상기 업데이트 간격 시간을 참조하여 다음 기준 시간은 상기 최초 시작 시간에서 2시간 간격(예, 11시, 13시, ...)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지연 시간은 상기 계산된 기준 시간에서 설정된 시간만큼 업데이트 실행을 지연시키는 정보로서, 보통 상기 휴대 단말기가 출시될 경우에는 0(zero)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소정의 제어 모듈을 통하여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지연 시간은 가입자 증가에 따라 컨텐츠 제공 서버(104)의 트래픽을 분산하기 위하여, 가입자 별로 컨텐츠 제공 서버(104)로의 접속 시간을 유연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예에서, 지연 시간이 5분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최초의 기준 시간은 9시 5분이 될 것이고, 다음의 기준 시간은 11시 5분, 13시 5분, ...이 될 것이다.
상기 기준 시간과 상기 업데이트 종료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업데이트 종료 시간 이후에는 업데이트가 실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기준 시간의 변경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업데이트 시간 정보를 참조하여 수행되거나, 업데이트되는 컨텐츠 정보와 함께 차기의 기준 시간과 관련된 정보를 컨텐츠 제공 서버(104)로부터 전달 받아 설정될 수도 있다. 기준 시간과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 컨텐츠 제공 서버(104)는 트래픽을 고려하여 가입자 별 서버 접속 시간을 상술한 지연 시간으로 하여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정된 업데이트 시간 정보는 인벤토리 데이터베이스(203)에 저장된다. 즉, 인벤토리 데이터베이스(203)는 각 가입자 별로 업데이트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컨텐츠 정보는 업데이트 정보 및 템플릿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업데이트 정보는 상기 컨텐츠 정보의 갱신 시마다 변경되고, 상기 템플릿 정보는 상기 컨텐츠 정보를 구성하는 기본 구조로서, 상기 컨텐츠 정보의 갱신 시마다 변경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실시간으로 날씨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현재 특정 지역의 날씨 등 수시로 변경되는 정보는 업데이트 정보이고, 화면의 배경 및 기본 메뉴 등 수시로 변경되지 않는 부분은 템플릿 정보이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업데이트 정보는 업데이트 종류 정보 및 업데이트 세부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업데이트 종류 정보는 업데이트할 정보의 종류에 대한 정보로서, 증권(stock), 뉴스(news)와 같이 가입자가 제공받을 정보를 구분하는 컨텐츠의 종류에 대한 정보이다. 또한, 상기 업데이트 세부 정보는 휴대 단말기의 가입자에게 제공되는 구체적인 정보에 대한 것으로서, 업데이트 종류별 또는 출력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식이 가능하다(예를 들면, TXT, IMG 등).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인벤토리 데이터베이스(203)는 상기 컨텐츠 정보에 대응하는 인벤토리 정보를 더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인벤토리 정보는 상기 컨텐츠 정보 내 업데이트 정보에 대응되는 시퀀스(sequence)를 포함한다. 상기 인벤토리 정보는 컨텐츠 제공 서버(104)와 휴대 단말기(210) 간의 업데이트를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즉, 본 발명의 컨텐츠 업데이트 시스템(200)은 휴대 단말기(210)로부터 수신된 인벤토리 정보와 컨텐츠 제공 서버(104)에 저장된 인벤토리 정보를 비교하여, 휴대 단말기(210)에서 보유하는 컨텐츠 정보가 최신의 정보인지를 판단하고, 최신의 정보가 아닐 경우, 해당 휴대 단말기(210)로 최신의 컨텐츠 정보가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인벤토리 정보는, 휴대 단말기(210)로부터 업데이트가 요청되는 경우 컨텐츠 제공 서버(104)가 기계적으로 컨텐츠 정보를 휴대 단말기(210)로 전송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트래픽 증가, 리소스 점유 등의 손실을 줄이기 위해 서, 요청된 컨텐츠 정보가 실제 업데이트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업데이트가 된 경우에만 상기 컨텐츠 정보가 상기 휴대 단말기(210)로 전송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컨텐츠 제공 서버(104)가 관리하는 정보에 갱신이 이루어지면, 컨텐츠 제공 서버(104)는 일정 기간 동안 갱신된 업데이트 종류 별 업데이트 세부 정보를 팩키지 대상으로 하여 대응하는(corresponding) 인벤토리 정보를 생성하고, 인벤토리 데이터베이스(203)에 저장한다. 상기 인벤토리 정보는 팩키지 순서에 따라 상기 갱신되는 업데이트 세부 정보에 대응하는 시퀀스(sequence)일 수 있다.
상기 인벤토리 정보를 시퀀스로 나타낼 경우, 컨텐츠 업데이트 시스템(200)은 휴대 단말기(210)에 저장된 시퀀스와 컨텐츠 제공 서버(104)에 저장된 시퀀스를 비교한다. 컨텐츠 업데이트 시스템(200)은 휴대 단말기(210)에 저장된 시퀀스의 다음 시퀀스부터 최신 시퀀스에 대응하는 업데이트 종류 별 업데이트 세부 정보를 패키징하여 휴대 단말기(210)로 패키징된 컨텐츠 정보(업데이트 정보와 템플릿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시퀀스는 상기 컨텐츠 정보가 휴대 단말기(210)로 전송되는 업데이트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시퀀스는 업데이트 시간 별로 구분될 수 있다.
정보 전송부(202)는 상기 업데이트 시간 정보를 휴대 단말기(21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정보 전송부(202)는 인벤토리 데이터베이스(203)를 참조하여 각 가입자의 휴대 단말기로 상기 업데이트 시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업데이트 시간 정보의 수신에 따라 휴대 단말기(210)는 수신된 상기 업데이트 시간 정보를 소정의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 기(210)는 가입자로부터 업데이트 시간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가입자로부터 입력받는 업데이트 시간 정보 역시 컨텐츠 제공 서버(104)에서 스케줄링한 업데이트 시간 정보와 동일한 방법으로 스케줄링이 설정될 수 있다.
신호 수신부(204)는 상기 전송된 업데이트 시간 정보에 따른 소정 시점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210)로부터 업데이트 요청 신호를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상기 업데이트 시간 정보가 "9:00"로 설정된 경우, 휴대 단말기(210)는 "9:00"에 업데이트 요청 신호를 생성하고, 신호 수신부(204)는 상기 생성된 업데이트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해서는, 별도의 키 조작 없이도 휴대 단말기(210) 내에 저장된 상기 업데이트 시간 정보에 의하여 컨텐츠 업데이트가 가능하게 되어, 휴대 단말기(210)의 가입자로 하여금 업데이트의 구현이 보다 편리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기(210)는 컨텐츠 제공 서버(104)로부터 수신되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상기 업데이트 시간 정보에 기초한 신호 전송 시간 도래 여부를 체크하고, 상기 체크 결과, 신호 전송 시간이 도래하는 경우 상기 업데이트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컨텐츠 제공 서버(104)로 전송하게 된다.
이후, 정보 전송부(202)는 상기 입력된 업데이트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검색되는 컨텐츠 정보를 휴대 단말기(21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휴대 단말기(210)에서 컨텐츠에 대한 갱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정보 전송부(202)는 휴대 단말기(210)로부터 업데이트 요청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인벤토리 데이터베이스(203)로부터 상기 업데이트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컨텐츠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컨텐츠 정보를 휴대 단말기(21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정보 전송부(202)는 상기 업데이트 요청 신호 수신 시 함께 수신된 인벤토리 정보를 참조하여 상술한 인벤토리 데이터베이스(203)으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210)는 컨텐츠 제공 서버(104)로부터 상기 식별된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 함으로써 컨텐츠 정보를 갱신하게 된다.
이때, 휴대 단말기(210)는 소정의 단말 매니저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컨텐츠 제공 서버(104)로부터 수신한 상기 컨텐츠 정보의 그래픽을 디스플레이 처리하거나, 또는 상기 컨텐츠 정보에 대한 디스플레이 중 이벤트 발생을 처리하게 된다.
휴대 단말기(210)에 포함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유지부(211)는, 상기 컨텐츠 정보의 실행과 관련한 단말 매니저 어플리케이션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210) 내의 어플리케이션 운용부(212)는 상기 단말 매니저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상기 컨텐츠 정보를 실행시키고, 상기 컨텐츠 정보의 실행 중, 이벤트 발생을 처리하거나 상기 컨텐츠 정보의 그래픽을 처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단말 매니저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컨텐츠 정보의 그래픽을 처리하여 화면 구성 및 디스플레이하거나,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중 이벤트 발생 처리에 관여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 매니저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컨텐츠 정보의 수신에 연동하여 구동되는 상기 휴대 단말기 내 소프트웨어이거나,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 내 기본 소프트웨어와 함께 상시 운영되는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예컨대 상시 운영되는 소프트웨어인 경우에서의 단말 매니저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휴대 단말기 내의 업데이트 시간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컨텐츠 업데이트 시스템(200)로의 컨텐츠 정보 요청, 컨텐츠 정보 수신 및 갱신,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소정 이벤트에 발생시 저장된 컨텐츠 정보에 대한 디스플레이 전반에 대해 관여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 매니저 어플리케이션은 대기화면에서 실행 중에 가입자가 추가정보를 요청하는 이벤트 발생 시, 대기화면에서 전환하여 상기 추가정보를 다운로드받아 디스플레이하거나, 호 연결 이벤트 발생 시 실행을 종료하는 핸들링을 한다. 또한, 단말 매니저 어플리케이션은 휴대 단말기의 기본 동작과 관련되는 기본 소프트웨어와 함께 운영하면서 상기 전송된 컨텐츠 정보에 대한 실행을 담당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컨텐츠 정보 전송 일례를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텐츠 제공 서버(104)는 컨텐츠 정보 내 업데이트 종류/업데이트 세부 정보, 및 인벤토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업데이트 종류는 업데이트할 정보의 종류에 대한 정보로서, 뉴스, 증권, 날씨, 엔터테인먼트와 같이 가입자가 제공받을 정보를 구분하는 컨텐츠의 종류에 대한 정보이다. 업데이트 세부 정보는 업데이트 방식으로, 예를 들어 전체 갱신(○), 일부 갱신(△)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벤토리 정보는 상기 업데이트 세부 정보에 대응되는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8:50" 현재, 본 발명의 컨텐츠 업데이트 시스템(200)은 제1 가입자 에 대하여 "9:00"에 업데이트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0001뉴스"에 대한 컨텐츠 정보(전체 갱신: ○)를 상기 제1 가입자의 휴대 단말기(210)로 전송할 수 있고, 또한 제2 가입자에 대하여 "9:00"에 업데이트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0001뉴스, 증권, 날씨"에 대한 컨텐츠 정보(전체 갱신: ○)를 상기 제2 가입자의 휴대 단말기(2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10: 50" 현재, 본 발명의 컨텐츠 업데이트 시스템(200)은 제1 가입자에 대하여 "11:00"에 업데이트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0003뉴스"에 대한 컨텐츠 정보(일부 갱신: △)를 상기 제1 가입자의 휴대 단말기(210)로 전송할 수 있고, 또한 제2 가입자에 대하여 "11:00"에 업데이트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0002 증권"에 대한 컨텐츠 정보(일부 갱신: △)와 "0003뉴스"에 대한 컨텐츠 정보(전체 갱신: ○)를 상기 제2 가입자의 휴대 단말기(2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업데이트 시스템(200)은 가입자별 가입채널, 기준시간, 인벤토리 정보, 업데이트 후 업데이트 종류별 업데이트 세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을 참조하여 컨텐츠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례를 설명한다.
휴대 단말기(400)는 본 발명의 컨텐츠 업데이트 시스템(200)으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메인 화면에서, 예를 들어 시계, 달력, 날씨, 뉴스, 운세, 증권, 경매, 및 경마 등과 같은 서브 컨텐츠에 해당하는 화면들을 제공한다. 상기 컨텐츠 정보에는 각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각각의 템플릿 정보가 포함되며, 이러한 각각의 템플릿 정보는 상기 컨텐츠 정보를 구성하는 기본 골격으로서, 수시로 변경되지 않는다. 이와 구분하여, 뉴스 화면을 제공하기 위해 휴대 단말기(400)는 상 기 뉴스 화면에 대한 템플릿 정보에 대응되는 실시간 뉴스 정보, 뉴스 그림 파일, 뉴스 TEXT, 및 상세 뉴스 URL 등의 업데이트 정보를 저장, 유지할 수 있다. 즉, 휴대 단말기(400)는 기본 골격인 상기 컨텐츠 정보를 유지하고, 이와 더불어 업데이트 정보로서 이미지 데이터인 뉴스 그림 파일, 텍스트 데이터로서 간단한 헤드라인 정보를 제공하는 뉴스 TEXT, 상기 헤드라인 정보와 관련된 자세한 기사를 확인할 수 있는 URL 정보인 상세 뉴스 URL 등을 가입자로 제공할 수 있다.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400)는 컨텐츠 정보를 디코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한다. 즉, 휴대 단말기(400)는 도면부호 401과 같이, 현재 표시되는 예보에 대한 정보, 현재 특정 지역의 온도 정보(402), 날씨 속보(403), 및 내일 날씨 정보(403)를 업데이트 정보로서 컨텐츠 제공 서버(104)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한다. 이와는 달리, 도면부호 404에서와 같이, 휴대 단말기(400)는 현재의 화면에 표시되는 메뉴 등, 실시간으로 변동 없는 객체들을 상기 컨텐츠 정보로서 저장부에 유지한다. 따라서, 날씨와 관련된 컨텐츠 정보는 휴대 단말기(400)가 수신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104)로부터 가입자로 실시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업데이트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업데이트 방법은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은 컨텐츠 업데이트 시스템(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휴대 단말기(101 내지 103)로부터 갱신할 컨텐츠 정보에 대해 선택받는다(단계 501). 본 단계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정보의 업데이트를 구현하기 위해, 휴대 단말기의 가입자를 서비스 등록하는 과정이다.
상기 서비스 등록 과정에 있어서, 가입자는 개별적으로 디스플레이되거나 또는 업데이트 되는 컨텐츠 정보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고,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컨텐츠 정보를 선택한 가입자를 서비스 회원으로 등록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정보에 대한 선택은 예컨대, 사전에 사업자가 제시한 컨텐츠 종류의 묶음을 가입자가 지정함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서비스 등록 과정은 WAP 또는 휴대 단말기에 설치되는 단말 매니저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업데이트 시스템(200)는 가입자별로 업데이트 시간 정보를 스케줄링한다(단계 502). 상기 업데이트 시간 정보는 업데이트된 컨텐츠를 각 가입자의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시간으로, 컨텐츠 업데이트 시스템(200)는 상기 가입자를 2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각 그룹별로 업데이트 시간 정보를 각각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그룹에 속하는 휴대 단말기(101)의 업데이트 시간 정보는 "9:00", 제2 그룹에 속하는 휴대 단말기(102)의 업데이트 시간 정보는 "9:10", 제3 그룹에 속하는 휴대 단말기(103)의 업데이트 시간 정보는 "9:20" 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텐츠 업데이트 시스템(200)에 의해서는, 상기 스케줄링된 시간에 따라 상기 가입자의 휴대 단말기로 업데이트된 컨텐츠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이동통신망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컨텐츠 업데이트 시스템(200)는 상기 스케줄링된 업데이트 시간 정보를 각 가입자의 휴대 단말기로 전송한다(단계 503). 예컨대, 컨텐츠 업데이트 시스템(200)는 제1 그룹에 속하는 휴대 단말기(101)로 업데이트 시간 정보를 "9:00", 제2 그룹에 속하는 휴대 단말기(102)로 업데이트 시간 정보를 "9:10", 제3 그룹에 속하 는 휴대 단말기(103)로 업데이트 시간 정보를 "9:20"을 전송할 수 있다.
컨텐츠 업데이트 시스템(200)는 상기 전송된 업데이트 시간 정보에 따른 소정 시점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업데이트 요청 신호를 입력받는다(단계 504). 이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업데이트 시간 정보에 기초한 신호 전송 시간 도래 여부를 체크하고, 상기 체크 결과, 신호 전송 시간이 도래하는 경우, 업데이트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컨텐츠 제공 서버(104)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컨텐츠 업데이트 시스템(200)는 상기 업데이트 요청 신호 수신 시,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인벤토리 정보도 함께 수신할 수 있다.
컨텐츠 업데이트 시스템(200)는 휴대 단말기로부터 상기 업데이트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인벤토리 데이터베이스(203)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식별하여 휴대 단말기로 전송한다(단계 505). 인벤토리 데이터베이스(203)는 각 가입자 별로 업데이트 시간 정보 및 인벤토리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컨텐츠 정보는 업데이트 정보 및 템플릿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업데이트 정보는 상기 컨텐츠 정보의 갱신 시마다 변경되고, 상기 템플릿 정보는 상기 컨텐츠 정보를 구성하는 기본 구조로서, 상기 컨텐츠 정보의 갱신 시마다 변경되지 아니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는 컨텐츠 업데이트 시스템(200)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갱신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 단말기는 수신된 컨텐츠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여 유지하고 있다가, 소정의 이벤트 발생시 저장된 컨텐츠 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단계 506).
상기 소정의 이벤트는 휴대 단말기가 대기모드로 전환되거나,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소프트키의 입력이 있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휴대 단말기의 단말 매니저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이벤트 발생에 따라 저장된 컨텐츠 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단말 매니저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컨텐츠 정보의 그래픽을 처리하여 화면 구성 및 디스플레이하거나,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중 이벤트 발생 처리에 관여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 매니저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컨텐츠 정보의 수신에 연동하여 구동되는 상기 휴대 단말기 내 소프트웨어이거나,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 내 기본 소프트웨어와 함께 상시 운영되는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예컨대 상시 운영되는 소프트웨어인 경우에서의 단말 매니저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휴대 단말기 내의 업데이트 시간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컨텐츠 업데이트 시스템(200)로의 컨텐츠 정보 요청, 컨텐츠 정보 수신 및 갱신,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소정 이벤트에 발생시 저장된 컨텐츠 정보에 대한 디스플레이 전반에 대해 관여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업데이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 (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업데이트 방법 및 시스템에서는 각 가입자별로 업데이트 시간 정보를 스케줄링하여 각 가입자의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업데이트 시간 정보에 따라 컨텐츠 제공 서버로 업데이트 요청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컨텐츠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업데이트 방법 및 시스템에서는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 각 가입자에게 업데이트되는 컨텐츠를 전송하는 시간을 스케줄링하고, 상기 스케줄링된 시간에 따라 상기 가입자의 휴대 단말기로 업데이트된 컨텐츠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이동통신망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업데이트 방법 및 시스템에서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컨텐츠 업데이트 시간을 체크하여 업데이트 시간이 도래하면 컨텐츠 제공 서버로 업데이트 요청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의 가입자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업데이트 방법 및 시스템에서는 컨텐츠 정보의 업데이트 정보 및 템플릿 정보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 상에서 상기 컨텐츠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가입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9)

  1. 컨텐츠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에 있어서,
    업데이트 시간 정보를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된 업데이트 시간 정보에 따른 소정 시점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업데이트 요청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업데이트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검색되는 컨텐츠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컨텐츠에 대한 갱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업데이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업데이트 시간 정보를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상기 단계는,
    가입자 별로 업데이트 시간 정보를 스케줄링하는 단계; 및
    상기 스케줄링에 근거하여 각 가입자의 휴대 단말기로 상기 업데이트 시간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업데이트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업데이트 시간 정보를 스케줄링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가입자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각 그룹별로 상기 업데이트 시간 정보를 각각 상이하게 스케즐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업데이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가입자 별로 업데이트 시간 정보 및 인벤토리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 정보를 저장하는 인벤토리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업데이트 요청 신호에 인벤토리 정보가 포함되어 수신하는 경우,
    컨텐츠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컨텐츠에 대한 갱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기전송된 업데이트 시간 정보 및 상기 수신된 인벤토리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 정보를 상기 인벤토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업데이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시간 정보는 최초 접속 시간, 마지막 접속 시간, 기준 시간, 상기 기준 시간으로부터의 지연 시간, 또는 업데이트 간격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업데이트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업데이트 시간 정보에 기초한 신호 전송 시간 도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체크 결과, 신호 전송 시간이 도래하는 경우 상기 업데이트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업데이트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소정의 단말 매니저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상기 전송된 컨텐츠 정보의 그래픽을 디스플레이 처리하거나, 또는 상기 전송된 컨텐츠 정보에 대한 디스플레이 중 이벤트 발생을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업데이트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단말 매니저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컨텐츠 정보의 수신에 연동하여 구동되는 상기 휴대 단말기 내 소프트웨어이거나,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 내 기본 소프트웨어와 함께 상시 운영되는 소프트웨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업데이트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정보는,
    상기 컨텐츠 정보의 갱신 시마다 변경되는 (1) 업데이트 정보, 및
    상기 컨텐츠 정보를 구성하는 기본 구조로서 상기 컨텐츠 정보의 갱신 시마다 변경되지 아니하는 (2) 템플릿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업데이트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갱신할 컨텐츠 정보에 대해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업데이트 시간 정보를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선택이 이루어진 컨텐츠 정보와 관련한 상기 업데이트 시간 정보를 해당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업데이트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2. 컨텐츠를 업데이트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업데이트 시간 정보를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부;
    상기 전송된 업데이트 시간 정보에 따른 소정 시점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업데이트 요청 신호를 입력받는 신호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전송부는,
    상기 입력된 업데이트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검색되는 컨텐츠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컨텐츠에 대한 갱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업데이트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가입자 별로 업데이트 시간 정보를 스케줄링하는 스케줄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전송부는,
    상기 스케줄링에 근거하여 각 가입자의 휴대 단말기로 상기 업데이트 시간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업데이트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부는,
    상기 가입자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각 그룹별로 상기 업데이트 시간 정보를 각각 상이하게 스케즐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업데이트 시스템.
  15. 제12항에 있어서,
    가입자 별로 업데이트 시간 정보 및 인벤토리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 정보를 저장하는 인벤토리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업데이트 요청 신호에 인벤토리 정보가 포함되어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정보 전송부는
    상기 기전송된 업데이트 시간 정보 및 상기 수신된 인벤토리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 정보를 상기 인벤토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업데이트 시스템.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업데이트 시간 정보에 기초한 신호 전송 시간 도래 여부를 체크하고, 상기 체크 결과, 신호 전송 시간이 도래하는 경우, 상기 업데이트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업데이트 시스템.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소정의 단말 매니저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상기 전송된 컨텐츠 정보의 그래픽을 디스플레이 처리하거나, 또는 상기 전송된 컨텐츠 정보에 대한 디스플레 이 중 이벤트 발생을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업데이트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단말 매니저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컨텐츠 정보의 수신에 연동하여 구동되는 상기 휴대 단말기 내 소프트웨어이거나,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 내 기본 소프트웨어와 함께 상시 운영되는 소프트웨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업데이트 시스템.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정보는,
    상기 컨텐츠 정보의 갱신 시마다 변경되는 (1) 업데이트 정보, 및
    상기 컨텐츠 정보를 구성하는 기본 구조로서 상기 컨텐츠 정보의 갱신 시마다 변경되지 아니하는 (2) 템플릿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업데이트 시스템.
KR20070026333A 2006-11-15 2007-03-16 컨텐츠 업데이트 방법 및 시스템 KR101188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938,375 US20080113656A1 (en) 2006-11-15 2007-11-12 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contents
GB0722395A GB2443950B (en) 2006-11-15 2007-11-15 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contents
JP2007296504A JP2008135028A (ja) 2006-11-15 2007-11-15 コンテンツアップデート方法および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112979 2006-11-15
KR1020060112979 2006-11-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4142A true KR20080044142A (ko) 2008-05-20
KR101188961B1 KR101188961B1 (ko) 2012-10-08

Family

ID=39662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26333A KR101188961B1 (ko) 2006-11-15 2007-03-16 컨텐츠 업데이트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89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341B1 (ko) * 2011-11-25 2014-04-14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이기종 기반 소셜미디어 응용을 위한 업데이트 주기를 다이나믹하게 조정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93506B1 (ko) * 2012-11-15 2015-02-17 (주)위메이드엔터테인먼트 모바일 게임에서의 컨텐츠 데이터 캐싱 방법 및 캐싱 시스템을 포함한 게임 서버, 및 모바일 단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9130A (ja) * 2004-05-26 2005-12-08 Toshiba Corp コンテンツダウンロードシステムとそのサーバ装置及びクライアント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341B1 (ko) * 2011-11-25 2014-04-14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이기종 기반 소셜미디어 응용을 위한 업데이트 주기를 다이나믹하게 조정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93506B1 (ko) * 2012-11-15 2015-02-17 (주)위메이드엔터테인먼트 모바일 게임에서의 컨텐츠 데이터 캐싱 방법 및 캐싱 시스템을 포함한 게임 서버, 및 모바일 단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8961B1 (ko) 2012-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48247B (zh) 在远程设备上更新数据
US200801136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contents
US8954588B1 (en) Reservations in real-time brokering of digital content delivery
US9032396B2 (en) Server apparatus, terminal apparatus, and application control system
CN101110840B (zh) 用于动态移动内容传送的推框架
US9015068B1 (en) Framework for real-time brokering of digital content delivery
US9215180B1 (en) File retrieval in real-time brokering of digital content
US9898260B2 (en) Adaptive function-based dynamic application extension framework
JP4603565B2 (ja) 動的にシンジゲートされたコンテンツ配信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4301436B (zh) 待显示内容推送、订阅、更新方法及其相应的装置
JP2019537131A (ja) 情報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5183707B2 (ja) プッシュコンテンツ処理プロトコル内をパスするメタデータ最適化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11090533B (zh) 公告信息发送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2007299391A (ja) 移動コンテンツを断片化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188961B1 (ko) 컨텐츠 업데이트 방법 및 시스템
KR101035560B1 (ko)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4731518B2 (ja) 移動コンテンツを断片化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230056950A1 (en) Advertisement service system for determining priority for each advertisement by reference area and tags
JP5183710B2 (ja) プッシュコンテンツメタデータに対する多層化エンベロープされた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030182189A1 (en) Advertisement server, advertisement attaching method, and advertisement information attaching program
KR20000050071A (ko) 무선 휴대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광고방법
CN115098290A (zh) 基于自动更新的nlp模型的智能人工服务方法和装置
US11551115B2 (en) Systems and methods utiliz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to manage content in standalone multi-tenancy environments
CN112084247A (zh) 一种应用程序服务扩展的方法和装置
JP2002303524A (ja) ナビゲーション方法及び装置及び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及び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