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3606A - 계조 전압 생성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이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계조 전압 생성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이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3606A
KR20080043606A KR1020060112355A KR20060112355A KR20080043606A KR 20080043606 A KR20080043606 A KR 20080043606A KR 1020060112355 A KR1020060112355 A KR 1020060112355A KR 20060112355 A KR20060112355 A KR 20060112355A KR 20080043606 A KR20080043606 A KR 20080043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voltage divider
gray
variable
div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2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민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2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43606A/ko
Priority to JP2007070837A priority patent/JP2008122901A/ja
Priority to US11/937,212 priority patent/US20080111781A1/en
Priority to CNA2007101871137A priority patent/CN101183516A/zh
Publication of KR20080043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36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8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688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suitable for active matrice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0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7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the drivers handling digital grey scale data, e.g. use of D/A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조 전압 생성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고 전위 전압과 저 전위 전압 사이에 직렬 접속된 상부 가변 전압 분배부, 고정 전압 분배부 및 하부 가변 전압 분배부를 통해 복수의 분배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 분배 수단 및 상기 전압 분배 수단의 분배 전압을 이용하여 계조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 출력 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상부 가변 전압 분배부와 상기 하부 가변 전압 분배부 각각은 직렬 접속된 복수의 가변 저항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전압 분배부는 직렬 접속된 복수의 저항부를 포함하는 계조 전압 생성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액정이 비 선형적으로 변화하는 영역에 해당하는 저항 값을 선택적으로 변경시켜 액정이 비 선형적으로 변화하는 영역에서의 계조 전압의 전압 레벨을 조절할 수 있고, 인가되는 계조 전압에 대하여 액정 투과율이 비 선형적으로 변화하는 영역의 계조 전압의 전압 값을 더욱 세밀하게 선택할 수 있다.
계조 전압, 가변 저항부, 액정, 비 선형, 선형

Description

계조 전압 생성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GRAY-SCALE VOLTAGE PRODUCING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AND DRIV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구동부의 블록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계조 전압 생성부의 개념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압 분배 수단의 상세 회로도.
도 6은 본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전압 분배 수단의 상세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액정 표시 패널 200 : 게이트 구동부
300 : 데이터 구동부 400 : 구동 전압 생성부
500 : 신호 제어부 310 : 쉬프트 레지스터부
320 : 데이터 레지스터부 330 : 래치부
340 : DAC부 350 : 출력 버퍼부
1000 : 계조 전압 생성부 1101 : 가변 저항부
1100 : 전압 분배 수단 1110 : 상부 가변 전압 분배부
1120 : 고정 전압 분배부 1130 : 하부 가변 전압 분배부
1200 : 멀티 플렉서부 1300 : 계조 전압 출력부
1400 : 제어부
본 발명은 계조 전압 생성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액정의 특성에 따라 일 계조를 표시하기 위한 계조 전압의 폭을 조절하여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의 경우, 박막 트랜지스터와, 공통 전극과 화소 전극 사이에 액정이 마련된 화소 커패시터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 패널과,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박막 트랜지스터를 통해 공통 전극과 화소 전극 사이의 전기장을 변화시켜 액정의 분자 배열을 변화시킨다. 이와 같은 액정 분자 배열의 변화를 통해 액정의 광투과율이 조절되어 목표로 하는 화상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공통 전극과 화소 전극 간의 전기장을 변화시키기 위해 계조 전압을 화소 전극에 인가하게 된다. 인가되는 계조 전압에 따라 액정은 그 투과율을 변화시켜 목표로 하는 계조를 표현하게 된다. 즉, 액정은 인가되는 계조 전압의 전압 범위 내에서 그 배열이 변화된다. 하지만, 액정의 광 투과율은 상기 전압 범위 내에서 인가되는 계조 전압에 따라 선형적 또는 비 선형적으로 변화한다. 이때, 액정의 광 투과율이 비 선형적으로 변화하는 구간에서는 계조 표현이 정확히 이루어 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일 계조를 표현하기 위한 계조 전압의 구간 즉, 전압 폭을 조절하여 액정의 광 투과율이 비 선형적으로 변화하는 구간에서의 계조 표현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계조 전압 생성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 전위 전압과 저 전위 전압 사이에 직렬 접속된 상부 가변 전압 분배부, 고정 전압 분배부 및 하부 가변 전압 분배부를 통해 복수의 분배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 분배 수단 및 상기 전압 분배 수단의 분배 전압을 이용하여 계조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 출력 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상부 가변 전압 분배부와 상 기 하부 가변 전압 분배부 각각은 직렬 접속된 복수의 가변 저항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전압 분배부는 직렬 접속된 복수의 저항부를 포함하는 계조 전압 생성 모듈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가변 저항부 각각은, 직렬 접속된 스위치 및 제 1 저항과, 상기 직렬 접속된 스위치 및 제 1 저항에 병렬 접속된 제 2 저항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변 저항부 내의 상기 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의 제어부는 두개의 출력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의 일 출력단에 상기 상부 가변 전압 분배부 내의 복수의 가변 저항부의 스위치가 각기 접속되고, 상기 제어부의 타 출력단에 상기 하부 가변 전압 분배부 내의 복수의 가변 저항부의 스위치가 각기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상부 가변 전압 분배부가 출력하는 분배 전압들의 전압 레벨은 상기 고정 전압 분배부와 상기 하부 가변 전압 분배부가 출력하는 분배 전압들의 전압 레벨보다 높고, 상기 하부 가변 전압 분배부가 출력하는 분배 전압들의 전압 레벨은 상기 고정 전압 분배부가 출력하는 분배 전압들의 전압 레벨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압 출력 수단은, 상기 전압 분배 수단의 상기 분배 전압 중 일부를 계조 선택 전압으로 출력하는 멀티 플렉서부와, 상기 계조 선택 전압을 이용하여 계조 전압을 생성하는 계조 전압 출력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정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 패널 및 상기 액정에 계조 전압을 공급하는 계조 전압 생성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액정은 인가되는 계조 전압에 따라 광투과율이 비 선형적 또는 선형적으로 변화하고, 상기 계조 전압 생성 모듈은 상기 액정의 광투과율이 비 선형적으로 변화하는 영역에 해당하는 계조 전압을 생성하는 가변 전압 분배부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계조 전압 생성 모듈은, 직렬 접속된 상기 가변 전압 분배부 및 고정 전압 분배부를 통해 복수의 분배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 분배 수단과, 상기 전압 분배 수단의 분배 전압을 이용하여 계조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 출력 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가변 전압 분배부는 직렬 접속된 복수의 가변 저항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변 전압 분배부는 상부 가변 전압 분배부와 하부 가변 전압 분배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가변 전압 분배부가 출력하는 분배 전압들의 전압 레벨은 상기 고정 전압 분배부와 상기 하부 가변 전압 분배부가 출력하는 분배 전압들의 전압 레벨보다 높고, 상기 하부 가변 전압 분배부가 출력하는 분배 전압들의 전압 레벨은 상기 고정 전압 분배부가 출력하는 분배 전압들의 전압 레벨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가변 저항부 각각은, 직렬 접속된 스위치 및 제 1 저항과, 상기 직렬 접속된 스위치 및 제 1 저항에 병렬 접속된 제 2 저항을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가변 저항부 내의 상기 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두개의 출력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 의 일 출력단에 상기 상부 가변 전압 분배부 내의 복수의 가변 저항부의 스위치가 각기 접속되고, 상기 제어부의 타 출력단에 상기 하부 가변 전압 분배부 내의 복수의 가변 저항부의 스위치가 각기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직렬 접속되고, 각기 복수의 저항부가 마련된 상부 가변 전압 분배부, 고정 전압 분배부, 하부 가변 전압 분배부의 양단에 각기 고 전위 전압과 저 전위 전압을 인가하여 복수의 분배 전압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분배 전압을 이용하여 복수의 계조 전압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계조 전압을 액정 표시 패널내의 액정에 인가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액정은 인가되는 계조 전압의 전압 레벨에 따라 광투과율이 비 선형적 또는 선형적으로 변화하고, 상기 상부 가변 전압 분배부에 의해 생성된 분배 전압과 상기 하부 가변 전압 분배부에 의해 생성된 분배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액정이 비 선형적으로 변화하는 영역에 해당하는 계조 전압을 생성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 가변 전압 분배부 및 상기 하부 가변 분배부 중 적어도 하나 내부의 저항부의 저항값을 가변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구동부의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패널(100), 게이트 구동부(200), 데이터 구동부(300), 구동 전압 생성부(400) 및 신호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상기의 액정 표시 패널(100)은 대략 열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게이트 라인(G1 내지 Gn) 및 이와 직교하는 행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데이터 라인(D1 내지 Dm)을 포함하고, 게이트 라인(G1 내지 Gn)과 데이터 라인(D1 내지 Dm)의 교차 영역에 마련된 화소를 포함한다. 상기 화소는 박막 트랜지스터(T), 유지 커패시터(Cst) 및 액정 커패시터(Clc)를 포함하는 화소가 마련된다. 상기 화소는 적색(R), 녹색(G), 청색(B) 화소를 포함하고 이들의 조합을 통해 총 천연색을 표시 할 수 있다. 이러한 액정 표시 패널(100)은 박막 트랜지스터(T), 게이트 라인(G1 내지 Gn), 데이터 라인(D1 내지 Dm) 및 액정 커패시터용 화소 전극이 마련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미도시)과, 블랙 매트릭스, 컬러 필터 및 액정 커패시터(Clc)용 공통 전극이 마련된 공통 전극 기판(미도시)을 포함하고,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공통 전극 기판 사이에 마련된 액정(미도시)을 포함한다.
여기서, 박막 트랜지스터(T)의 게이트 단자는 게이트 라인(G1 내지 Gn)에 접속되고, 소스 단자는 데이터 라인(D1 내지 Dm)에 접속되며, 드레인 단자는 액정 커패시터(Clc)의 화소 전극에 접속된다. 이를 통해 박막 트랜지스터(T)는 게이트 라 인에 인가되는 게이트 턴온 전압에 따라 동작하여 데이터 라인(D1 내지 Dm)의 데이터 신호(즉, 계조 전압)를 화소 커패시터의 화소 전극에 공급하여 액정 커패시터 양단의 전계를 변화시킨다. 이를 통해 액정 표시 패널(100) 내측의 액정의 배열을 변화시켜 백라이트로부터 공급된 광의 투과율을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액정 커패시터(Clc)의 화소 전극에는 액정의 배열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도메인 규제수단으로 다수의 절개 및/또는 돌기 패턴이 마련될 수 있고, 공통 전극에는 돌기 및/또는 절개 패턴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액정은 수직 배향 방식으로 배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조의 액정 표시 패널(100)의 외측에는 액정 표시 패널(100)의 구동을 위한 신호들을 제공하는 제어부가 마련된다. 상기 제어부는 게이트 구동부(200), 데이터 구동부(300), 구동 전압 생성부(400), 및 신호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게이트 구동부(200) 및/또는 데이터 구동부(300)는 액정 표시 패널(100)의 하부 표시판 상에 실장될 수도 있고, 별도의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에 실장된 다음 연성 인쇄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게이트 구동부(200)와 데이터 구동부(300)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칩 형태로 제작되어 실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구동 전압 생성부(400)와 신호 제어부(500)는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되어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을 통해 액정 표시 패널(10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호 제어부(500)는 외부의 그래픽 제어기(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입력 영상 신호 즉, 화소 데이터(R, G, B) 및 이의 표시를 제어하는 입력 제어 신호, 예를 들면 수직 동기 신호(Vsync)와 수평 동기 신호(Hsync), 메인 클럭(CLK),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등을 제공받는다. 이러한 화소 데이터를 액정 표시 패널(100)의 동작 조건에 맞게 처리하고, 게이트 제어 신호 및 데이터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게이트 제어 신호를 게이트 구동부(200)에 전송한다. 여기서, 화소 데이터는 액정 표시 패널(100)의 화소 배열에 따라 재 배열된다. 그리고, 게이트 제어 신호는 게이트 턴온 전압(Von)의 출력 시작을 지시하는 수직 동기 시작 신호, 게이트 클럭 신호 및 출력 인에이블 신호등을 포함한다. 데이터 제어 신호는 화소 데이터의 전송 시작을 알리는 동기 시작 신호, 해당 데이터 라인에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라는 로드 신호 및 공통 전압에 대한 계조 전압의 극성을 반전시키는 반전 신호 및 데이터 클럭 신호등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 전압 발생부(400)는 외부 전원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다양한 구동 전압들을 생성한다. 구동 전압 생성부(400)는 기준 전압(GVDD)과, 게이트 턴온 전압(Von) 및 게이트 턴오프 전압(Voff) 그리고 공통 전압을 생성한다. 그리고, 구동 전압 생성부(400)는 신호 제어부(50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게이트 턴온 전압(Von) 및 게이트 오프 전압(Voff)을 게이트 구동부(200)에 인가하고, 기준 전압(GVDD)을 데이터 구동부(300)에 인가한다. 여기서 기준 전압(GVDD)은 액정을 구동시키는 계조 전압 생성을 위한 기준 전압으로 사용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200)는 외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 전압 발생부(400)의 게이트 턴온/턴오프 전압(Von/Voff)을 게이트 라인(G1 내지 Gn)에 인가한다. 이를 통해 각 화소에 인가될 계조 전압이 해당 화소에 인가되도록 해당 박막 트랜지스터(T)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300)는 신호 제어부(500)의 제어 신호와, 구동 전압 발생부(400)의 기준 전압(GVDD)을 이용하여 계조 전압을 생성하여 각 데이터 라인(D1 내지 Dm)에 인가한다. 즉, 데이터 구동부(300)는 입력된 디지털 형태의 화소 데이터를 상기 기준 전압(GVDD)에 기초하여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 신호(즉, 계조 전압)를 생성한다.
본 실시예의 데이터 구동부(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샘플링 신호를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쉬프트 레지스터부(310), 화소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데이터 레지스터부(320), 샘플링 신호를 통해 화소 데이터를 샘플링하여 래치하는 래치부(330), 복수의 계조 전압을 생성하는 계조 전압 생성부(1000), 래치된 화소 데이터를 계조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부(Digital to Analog Converter; DAC, 340) 및 변환된 화소 데이터를 데이터 라인(D1 내지 Dm)에 공급하는 출력 버퍼부(3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쉬프트 레지스터부(310)는 신호 제어부(500)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신호를 기초하여 샘플링 신호를 발생하여 래치부(330)에 공급한다. 데이터 레지스터부(320)는 신호 제어부(500)로부터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화소 데이터(R, G, B)를 일시 저장한다. 래치부(330)는 쉬트프 레지스터부(310)의 샘플링 신호에 대응하여 데이터 레지스터부(320)에 일시 저장되어 있는 화소 데이터(R, G, B)를 샘플링 하여 래치한다. 이때, 상기 래치부(330)는 각각의 데이터 라인(D1 내지 Dm)에 대응하는 화소 데이터를 동시에 래치하여 출력한다. 계조 전압 생성부(1000)는 전압 분배 수단을 가지며, 기준 전압(GVDD)을 전압 분배 수단을 이용하여 전압 분배하여 복수의 계조 전압을 출력한다. 상기의 DAC부(340)는 상기 래치부(330)에서 출력되는 화소 데이터를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 신호 즉, 계조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 버퍼부(350)에 출력한다. 출력 버퍼부(350)는 상기 DAC부(340)로부터 출력되는 계조 전압을 수신하고, 상기 계조 전압을 샘플링 및 홀딩하여 출력한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상기 계조 전압 생성부(1000)가 데이터 구동부(300) 내에 마련되어 있음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계조 전압 생성부(1000)는 별도의 모듈로 데이터 구동부(300) 외측에 마련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계조 전압 생성부(1000)의 전압 분배 수단을 통해 기준 전압(GVDD)을 전압 분배시켜 복수의 계조 전압으로 출력하고, 이러한 계조 전압을 통해 액정의 광투과도를 변화시킨다.
하기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계조 전압 생성부에 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계조 전압 생성부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계조 전압 생성부는 전압 분배 수단(1100)과, 멀티 플렉서부(1200)와, 계조 전압 출력부(1300)를 포함한다.
전압 분배 수단(1100)은 기준 전압(GVDD)을 이용하여 복수의 분배 전압(KVP1 내지 KVPr)을 생성한다. 멀티 플렉서부(1200)는 상기 복수의 분배 전압(KVP1 내지 KVPr) 중의 일부를 선택하여 계조 선택 전압(VIN1 내지 VINm)으로 출력한다. 계조 전압 출력부(1300)는 계조 선택 전압(VIN1 내지 VINm)을 이용하여 계조 전압(V1 내지 Vn)을 생성하고 이를 출력한다.
상기 전압 분배 수단(1100)은 기준 전압(GVDD)이 인가되는 제 1 입력단과 접지 전압(VSS)이 인가되는 제 2 입력단 사이에 직렬 접속된 상부 가변 전압 분배부(1110), 고정 전압 분배부(1120) 및 하부 가변 전압 분배부(113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가변 전압 분배부(1110)와, 하부 가변 전압 분배부(1130) 각각은 직렬 접속된 복수의 가변 저항부(1101)를 구비한다. 이러한 가변 저항부(1101)는 외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그 저항 값이 변화된다. 그리고, 고정 전압 분배부(1120)는 직렬 접속된 복수의 저항부(1102)를 구비한다. 제 1 입력단으로 인가되는 기준 전압(GVDD)은 상술한 상부 가변 전압 분배부(1110), 고정 전압 분배부(1120) 및 하부 가변 전압 분배부(1130)에 의해 전압 분배되어 복수의 분배 전압(KVP1 내지 KVPr)으로 분리된다.
상기 상부 가변 전압 분배부(1110) 및 하부 가변 전압 분배부(1130)에서 생성되는 분배 전압(KVP1 내지 KVP9, KVPr-8 내지 KVPr)은 인가되는 계조 전압에 대하여 액정 투과율이 비 선형적으로 변화하는 영역의 계조 전압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상기 상부 가변 전압 분배부(1110)와 하부 가변 전압 분배부(1130) 내에는 가변 저항부(1101)가 마련되어 있어 이들을 통해 생성되는 분배 전압(KVP1 내지 KVP9, KVPr-8 내지 KVPr)은 그 전압 레벨을 필요에 따라 가변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인가되는 계조 전압에 대하여 액정 투과율이 비 선형적으로 변화하는 영역의 계조 전압의 값을 더욱 세밀하게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가변 전압 분배부(1110)에 의해 생성되는 분배 전압(KVP1 내지 KVP8)의 전압 레벨이 가장 높고, 상기 하부 가변 전압 분배부(1130)에 의해 생성되는 분배 전압(KVPr-8 내지 KVPr)의 전압 레벨이 가장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계조 전압 생성부(1000)는 전압 분배 수단(1100)을 통해 기준 전압(GVDD)을 전압 분배하여 복수의 분배 전압(KVP1 내지 KVPr)을 생성하고, 복수의 분배 전압(KVP1 내지 KVPr) 중 일부를 이용하여 계조 전압(V1 내지 Vn)을 생성한다. 상술한 계조 전압 생성부(1100)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 계조 전압(V1 내지 Vn)을 이용하여 액정의 광투과도를 변화시켜 화상을 표시한다.
여기서, 액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가 전압(즉, 계조 전압)에 따라 그 투과도가 선형으로 변화하는 구간(즉, 선형 구간; B)과, 인가 전압에 따라 그 투과도가 비 선형으로 변화하는 구간(즉, 비 선형 구간; A, C)이 존재한다. 도 4에서는 NW 모드(normally-white mode)와 NB 모드(normally-black mode)에서 인가 전압에 따른 액정의 광투과도를 나타내었다. 여기서, 비 선형 구간(A, C)에서는 세밀한 계조의 표현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비 선형 구간(A, C)에 해당하는 계조 전압의 제어를 좀더 세밀하게 수행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비 선형 구간(A, C)에 해당하는 계조 전압을 생성하는 영역의 전압 분배율을 조절하여 계조 전압의 폭을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 다. 이때, 상기 전압 분배 비율은 전압 분배 수단(1100)의 저항 값을 변화시켜 조절할 수 있다. 즉, 비 선형 구간(A, C)은 고전압 레벨의 계조 전압이 인가되는 영역과, 저전압 레벨의 계조 전압이 인가되는 영역으로 분리된다. 상기 고전압 레벨의 계조 전압은 앞서 설명한 전압 분배 수단(1100)의 상부 가변 전압 분배부(1110)에 의해 그 전압 레벨이 변화될 수 있고, 저전압 레벨의 계조 전압은 앞서 설명한 하부 가변 전압 분배부(1130)에 의해 그 전압 레벨이 변화될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가변 전압 분배부(1110)와 하부 가변 전압 분배부(1130)는 복수의 가변 저항부(1101)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가변 저항부(1101)의 저항 값을 변화시켜 상부 가변 전압 분배부(1110) 및/또는 하부 가변 전압 분배부(1130)에 의해 출력되는 분배 전압(KVP1 내지 KVP9, KVPr-8 내지 KVPr)의 전압 레벨을 변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변화된 전압 레벨의 분배 전압(KVP1 내지 KVP9, KVPr-8 내지 KVPr)을 통해 생성되는 복수의 계조 전압 간의 간격을 확장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비 선형 구간에 해당하는 계조 전압의 일부가 선형 구간에 위치되도록 하여 더욱 효과적인 색표현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전압(GVDD) 즉, 고 전위 전압과 접지 전원(VSS) 즉, 저 전위 전압 사이에 100개의 저항부가 직렬 접속되어 전압 분배 수단(1100)을 형성하는 경우, 기준 전압(GVDD)에서부터 8개 내지 24개의 저항부는 상부 가변 전압 분배부(1110)로 동작하고, 접지 전원(VSS)에서부터 8개 내지 24개의 저항부는 하부 가변 전압 분배부(1130)로 동작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가변 전압 분배부(1110)와 하부 가변 전압 분배부(1130) 사이에 마련된 나머지 저항(52 내지 84개)은 고정 전압 분배부(1120)로 동작한다. 상기 전압 분배 수단(1100)은 상술한 복수의 저항부를 통해 복수의 분배 전압을 생성한다.
상기 멀티 플렉서부(1200)는 복수의 멀티 플렉서(1210-1 내지 1210-k)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멀티 플렉서(1210-1 내지 1210-k)는 8-투(to)-1의 멀티 플렉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외부 선택 선호(SEL1 내지 SELs)에 따라 8개의 분배 전압 중에 하나의 분배 전압을 계조 선택 전압(VIN2 내지 VINm-1)으로 출력한다. 그리고, 최상위 분배 전압(KVP1)과 최 하위 분배 전압(KVPr)은 상기 멀티 플렉서(1210-1 내지 1210-k)를 통과하지 않고 최상위 계조 선택 전압(VIN1) 및 최하위 계조 선택 전압(VINm)으로 출력된다. 상기 계조 전압 출력부(1300)는 멀티 플렉서부(1200)에 의해 출력된 복수의 계조 선택 전압(VIN1 내지 VINm)을 이용하여 복수의 계조 전압(V1 내지 Vn)을 생성하고 이를 출력한다.
하기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 전압 분배 수단에 관해 설명한다.
후술되는 설명에서는 50개의 분배 전압을 생성하는 전압 분배 수단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압 분배 수단의 상세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전압 분배 수단의 상세 회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압 분배 수단(1100)은 기준 전압(GVDD)이 인가되는 제 1 입력단과 접지 전압(VSS)이 인가되는 제 2 입력단 사이에 직렬 접속된 상부 가변 전압 분배부(1110), 고정 전압 분배부(1120) 및 하부 가 변 전압 분배부(11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1 입력단과 상부 가변 전압 분배부(1110) 사이에는 상부 가변 저항(1103)이 마련되고, 상기 제 2 입력단과 하부 가변 전압 분배부(1130) 사이에는 하부 가변 저항(1104)이 마련된다. 상기 상부 가변 전압 분배부(1110)에는 9개의 가변 저항부(1101)가 직렬 접속된다. 그리고, 하부 가변 전압 분배부(1130)에는 8개의 가변 저항부(1101)가 직렬 접속된다. 고정 전압 분배부(1120)에는 32개의 저항이 직렬 접속된다. 여기서, 저항들의 저항 값은 서로 같은 저항 값을 갖거나 서로 다른 저항 값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저항들 중 적어도 일부가 동일한 저항 값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가변 저항부(1101) 각각은 직렬 접속된 스위치(S1) 및 제 1 저항(R1)과, 상기 직렬 접속된 스위치(S1) 및 제 1 저항(R1)에 병렬 접속된 제 2 저항(R2)을 포함한다. 즉, 가변 저항부(1101)의 일단에 스위치(S1)의 일단자와 제 2 저항(R2)의 일단자가 접속되고, 가변 저항부(1101)의 타단에 제 1 저항(R1)의 타단자과 제 2 저항(R2)의 타단자가 접속된다. 그리고, 스위치(S1)의 타단자와 제 1 저항(R1)의 일 단자가 서로 접속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저항(R1)과 제 2 저항(R2)은 서로 다른 저항 값을 갖는 저항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1 저항(R1) 및 제 2 저항(R2)의 저항 값은 각 가변 저항부(1101) 별로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변 저항부(1101) 내의 스위치(S1)의 온/오프 유무에 따라, 상기 복수의 가변 저항부(1101)의 저항 값이 변화된다. 즉, 스위치(S1)가 오프 상태일 경우에는 가변 저항부(1101)의 저항 값은 제 2 저항(R2)의 저항 값이 된다. 하지만, 스위치(S1)가 온 상태일 경우의 가변 저항부(1101)의 저항 값은 제 1 저 항(R1)과 제 2 저항(R2)의 병렬 저항 값이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가변 저항부(1101) 내의 저항 값을 조절하여 저항 값에 의해 분배되어 생성되는 분배 전압들의 전압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상기 스위치(S1)는 외부 제어부(1400)의 출력에 따라 온/오프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 제어부(1400)는 제 1 및 제 2 제어 신호(CS1, CS2)를 출력하여 각기 상부 가변 전압 분배부(1110) 및 하부 가변 전압 분배부(1130)의 스위치(S1)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제어 신호(CS1, CS2)의 출력을 조절하여 상부 가변 전압 분배부(1110) 또는 하부 가변 전압 분배부(1130)의 스위치(S1)만을 온 시키거나, 상부 가변 전압 분배부(1110) 및 하부 가변 전압 분배부(1130)의 스위치(S1)를 모두 온 시킬 수 있다. 물론, 상부 가변 전압 분배부(1110) 및 하부 가변 전압 분배부(1130)의 스위치(S1)를 모두 오프 시킬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외부 제어부(1140)로 플립플롭(flip flop)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에서는 상술한 구조를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계조 전압 생성부의 동작을 도 5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계조 전압 생성부(1000)에 기준 전압(GVDD)이 인가되면, 전압 분배 수단(1100)은 상부 가변 전압 분배부(1110), 고정 전압 분배부(1120) 및 하부 가변 전압 분배부(1130)에 의해 기준 전압(GVDD)을 전압 분배하여 제 1 내지 제 50 분배 전압(KVP1 내지 KVP50)을 생성한다. 즉, 기준 전압(GVDD)은 각 전압 분배 부(1110, 1120, 1130) 내의 저항에 의해 전압 분배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 가변 전압 분배부(1110) 및/또는 하부 가변 전압 분배부(1130) 내의 가변 저항부(1101)들은 그 저항값이 고정되어 있지 않고, 필요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즉, 외부 제어부(1400)의 출력인 제 1 및 제 2 제어 신호(CS1, CS2)의 출력이 모두 비활성화된 경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비 활성화된 제 1 및 제 2 제어 신호(CS1, CS2)에 의해 상부 가변 전압 분배부(1110)와 하부 가변 전압 분배부(1130)의 가변 저항부(1101)들의 스위치(S1)가 오프 상태가 된다. 이를 통해 상부 가변 전압 분배부(1110) 및 하부 가변 전압 분배부(1130)의 가변 저항부(1101)들의 저항 값은 모두 제 2 저항(R2)의 저항 값이 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 가변 전압 분배부(1110)와 하부 가변 전압 분배부(1130)는 제 2 저항(R2)들의 저항 값에 해당하는 전압 레벨의 분배 전압들을 생성하게 된다.
외부 제어부(1400)의 출력인 제 1 제어 신호(CS1)가 활성화되고, 제 2 제어 신호(CS2)가 비활성화된 경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비활성화된 제 2 제어 신호(CS2)가 인가된 하부 가변 전압 분배부(1130)의 가변 저항부(1101)들의 저항 값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2 저항(R2)의 저항 값을 갖는다. 하지만, 활성화된 제 1 제어 신호(CS1)에 의해 상부 가변 전압 분배부(1110)의 가변 저항부(1101)의 스위치(S1)는 온 상태가 된다. 이를 통해 상부 가변 전압 분배부(1110) 내의 가변 저항부(1101)들의 저항 값은 제 1 및 제 2 저 항(R1, R2)의 병렬 저항 값이 된다. 따라서, 상부 가변 전압 분배부(1110)는 제 1 및 제 2 저항(R1, R2)의 병렬 저항 값에 해당하는 전압 레벨의 분배 전압들을 생성하고, 하부 가변 전압 분배부(1130)는 제 2 저항(R2)들의 저항 값에 해당하는 전압 레벨의 분배 전압들을 생성하게 된다.
그리고, 외부 제어부(1400)의 출력인 제 1 및 제 2 제어 신호(CS1, CS2) 모두가 활성화되는 경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 1 및 제 2 제어 신호(CS1, CS2) 모두가 활성화될 경우에는 상부 가변 전압 분배부(1110) 및 하부 가변 전압 분배부(1130)의 가변 저항부(1101)의 스위치(S1)가 온상태가 된다. 이를 통해 상부 가변 전압 분배부(1110) 및 하부 가변 전압 분배부(1130) 내의 가변 저항부(1101)들의 저항 값은 모두 제 1 및 제 2 저항(R1, R2)의 병렬 저항 값이 된다. 따라서, 상부 가변 전압 분배부(1110)와 하부 가변 전압 분배부(1130)는 제 1 및 제 2 저항(R1, R2)의 병렬 저항 값에 해당하는 전압 레벨의 분배 전압들을 생성한다.
종래에는 전압 분배 수단 내에 모두 고정된 저항부 만이 형성되어 있었다. 따라서, 상기 전압 분배 수단을 통해 생성되는 분배 전압을 한가지 타입만이 존재하였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전압 분배 수단(1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400)의 제 1 및 제 2 제어 신호(CS1, CS2)에 따라 4가지 타입의 분배 전압(KVP1 내지 KVP50)을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종래의 한가지 타입의 분배 전압에 의해 생성되는 계조 전압 보다 더 다양한 전압 레벨의 계조 전압(V1 내지 V64)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선택적으로 상부 가변 전압 분배부(1110) 및/또는 하부 가변 전압 분배부(1130) 내의 가변 저항부(1101)의 저항 값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상부 가변 전압 분배부(1110)와 하부 가변 전압 분배부(1130)가 생성하는 분배 전압의 전압 레벨을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설명에서 상부 가변 전압 분배부(1110) 및/또는 하부 가변 전압 분배부(1130) 내의 저항 값이 변화하게 되어 이들을 통해 출력되는 분배 전압들(KVP2 내지 KVP9, KVP42 내지 KVP49)의 전압 레벨이 변화될 경우 이들 사이에 마련된 고정 전압 분배부(1120)에 의해 출력되는 분배 전압(KVP10 내지 KVP41)의 전압 레벨도 변화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전압 분배 수단(1100)을 통해 제 1 내지 제 50 분배 전압(KVP1 내지 KVP50)을 생성한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50 분배 전압(KVP1 내지 KVP50)의 전압 레벨은 변화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내지 제 50 분배 전압(KVP1 내지 KVP50)의 전압 레벨의 변화는 인접하는 분배 전압 간의 전압 폭이 변화됨을 의미한다.
멀티 플랙서부(1200)는 상기의 제 1 내지 제 50 분배 전압(KVP1 내지 KVP50)을 인가 받아 제 1 내지 제 8 계조 선택 전압(VIN1 내지 VIN8)을 생성한다.
멀티 플랙서부(1200)는 제 1 분배 전압(KVP1)을 제 1 계조 선택 전압(VIN1)으로 출력하고, 제 50 분배 전압(KVP50)을 제 8 계조 선택 전압(VIN8)으로 출력한다. 그리고, 멀티 플렉서부(1200) 내의 제 1 멀티 플렉서(1210)는 제 1 선택 신호(SEL1)에 따라 제 2 내지 제 9 분배 전압(KVP1 내지 KVP9) 중 어느 하나를 분배 전압을 제 2 계조 선택 전압(VIN2)으로 출력한다. 제 2 멀티 플렉서(1220)는 제 2 선택 신호(SEL2)에 따라 제 10 내지 제 17 분배 전압(KVP10 내지 KVP17) 중 어느 하나의 분배 전압을 제 3 계조 선택 전압(VIN3)으로 출력한다. 제 3 멀티 플렉서(1230)는 제 3 선택 신호(SEL3)에 따라 제 18 내지 제 25 분배 전압(KVP18 내지 KVP25) 중 어느 하나를 분배 전압을 제 4 계조 선택 전압(VIN4)으로 출력한다. 제 4 멀티 플렉서(1240)는 제 4 선택 신호(SEL4)에 따라 제 26 내지 제 33 분배 전압(KVP26 내지 KVP33) 중 어느 하나를 분배 전압을 제 5 계조 선택 전압(VIN5)으로 출력한다. 제 5 멀티 플렉서(1250)는 제 5 선택 신호(SEL5)에 따라 제 34 내지 제 41 분배 전압(KVP34 내지 KVP41) 중 어느 하나를 분배 전압을 제 6 계조 선택 전압(VIN6)으로 출력한다. 제 6 멀티 플렉서(1260)는 제 6 선택 신호(SEL6)에 따라 제 42 내지 제 49 분배 전압(KVP42 내지 KVP49) 중 어느 하나를 분배 전압을 제 7 계조 선택 전압(VIN7)으로 출력한다.
계조 전압 출력부(1300)는 상기 제 1 내지 제 8 계조 선택 전압(VIN1 내지 VIN8)을 인가 받아 제 1 내지 제 64 계조 전압(V1 내지 V64)을 생성한다.
계조 전압 출력부(1300)는 제 1 계조 선택 전압(VIN1)을 제 1 계조 전압(V1)으로 출력하고, 제 2 계조 선택 전압(VIN2)을 제 2 계조 전압(V2)으로 출력하고, 제 3 계조 선택 전압(VIN3)을 제 9 계조 전압(V9)으로 출력하고, 제 4 계조 선택 전압(VIN4)을 제 21 계조 전압(V21)으로 출력하고, 제 5 계조 선택 전압(VIN5)을 제 44 계조 전압(V44)으로 출력하고, 제 6 계조 선택 전압(VIN6)을 제 56 계조 전압(V55)으로 출력하고, 제 7 계조 선택 전압(VIN7)을 제 63 계조 전압(V63)으로 출 력하고, 제 8 계조 선택 전압(VIN8)을 제 64 계조 전압(V64)으로 출력한다. 그리고, 제 2 및 제 3 계조 선택 전압(VIN2, VIN3)을 이용하여 제 3 내지 제 8 계조 전압(V3 내지 V8)을 생성하고, 제 3 및 제 4 계조 선택 전압(VIN3, VIN4)을 이용하여 제 10 내지 제 20 계조 전압(V10 내지 V20)을 생성하고, 제 4 및 제 5 계조 선택 전압(VIN4, VIN5)을 이용하여 제 22 내지 제 43 계조 전압(V22 내지 V43)을 생성하며, 제 5 및 제 6 계조 선택 전압(VIN5, VIN6)을 이용하여 제 45 내지 제 55 계조 전압(V45 내지 V55)을 생성하고, 제 6 및 제 7 계조 선택 전압(VIN6, VIN7)을 이용하여 제 57 내지 제 62 계조 전압(V57 내지 V62)을 생성한다.
여기서, 앞서 설명한 액정의 비 선형 구간에 해당하는 계조 전압은 제 2 내지 제 9 계조 전압(V2 내지 V9)과, 제 57 내지 제 63 계조 전압(V57 내지 V63)이다. 이들 계조 전압(V2 내지 V9, V57 내지 V63)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2 계조 선택 전압(VIN2)과, 제 7 계조 선택 전압(VIN7)에 의해 생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계조 선택 전압(VIN2)은 상부 가변 전압 분배부(1110)에 의해 그 전압 레벨이 변화되고, 제 7 계조 선택 전압(VIN7)은 하부 가변 전압 분배부(1130)에 의해 그 전압 레벨이 변화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전압 분배 수단(1100) 중 기준 전압(GVDD)과 인접한 영역에 복수의 가변 저항부(1101)를 구비하는 상부 가변 전압 분배부(1110)를 두고, 접지 전원(VSS)과 인접한 영역에 복수의 가변 저항부(1101)를 구비하는 하부 가변 전압 분배부(1130)를 두어, 액정의 비 선형 구간에 해당하는 계조 전압의 전압 레벨을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비 선형 구간에서의 화상 표현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계조 전압 생성부(1000)는 정(positive)의 계조 전압과 부(negative)의 계조 전압을 생성하고, 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의 전압 분배 수단(1100a)과, 부의 전압 분배 수단(1100b)을 구비할 수 있다. 정의 전압 분배 수단(1100a)의 분배 전압을 이용하여 정의 계조 선택 전압(VIN1+ 내지 VIN8+)을 생성하는 정의 멀티 플렉서부(1200a)와, 부의 전압 분배 수단(1100b)의 분배 전압을 이용하여 부의 계조 선택 전압(VIN1- 내지 VIN8-)을 생성하는 부의 멀티 플렉서부(1200b)를 구비할 수 있다. 계조 전압 출력부(1300)는 상기 정의 계조 선택 전압(VIN1+ 내지 VIN8+)을 이용하여 정의 계조 전압(V1+ 내지 V64+)을 생성하고, 부의 계조 선택 전압(VIN1- 내지 VIN8-)을 이용하여 부의 계조 전압(V1- 내지 V64-)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의 계조 전압(V1+ 내지 V64+)과 부의 계조 전압(V1- 내지 V64-)을 생성하여 서로 다른 극성의 계조 전압을 표시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가되는 계조 전압에 대하여 액정 투과율이 비 선형적으로 변화하는 영역의 계조 전압의 전압 값을 더욱 세밀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액정이 비 선형적으로 변화하는 영역에 해당하는 저항 값을 선택적으로 변경시켜 액정이 비 선형적으로 변화하는 영역에서의 계조 전압의 전압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Claims (14)

  1. 고 전위 전압과 저 전위 전압 사이에 직렬 접속된 상부 가변 전압 분배부, 고정 전압 분배부 및 하부 가변 전압 분배부를 통해 복수의 분배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 분배 수단; 및
    상기 전압 분배 수단의 분배 전압을 이용하여 계조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 출력 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상부 가변 전압 분배부와 상기 하부 가변 전압 분배부 각각은 직렬 접속된 복수의 가변 저항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전압 분배부는 직렬 접속된 복수의 저항부를 포함하는 계조 전압 생성 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저항부 각각은,
    직렬 접속된 스위치 및 제 1 저항과,
    상기 직렬 접속된 스위치 및 제 1 저항에 병렬 접속된 제 2 저항을 포함하는 계조 전압 생성 모듈.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저항부 내의 상기 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계조 전압 생성 모듈.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두개의 출력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의 일 출력단에 상기 상부 가변 전압 분배부 내의 복수의 가변 저항부의 스위치가 각기 접속되고,
    상기 제어부의 타 출력단에 상기 하부 가변 전압 분배부 내의 복수의 가변 저항부의 스위치가 각기 접속되는 계조 전압 생성 모듈.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변 전압 분배부가 출력하는 분배 전압들의 전압 레벨은 상기 고정 전압 분배부와 상기 하부 가변 전압 분배부가 출력하는 분배 전압들의 전압 레벨보다 높고,
    상기 하부 가변 전압 분배부가 출력하는 분배 전압들의 전압 레벨은 상기 고정 전압 분배부가 출력하는 분배 전압들의 전압 레벨보다 낮은 계조 전압 생성 모듈.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압 출력 수단은,
    상기 전압 분배 수단의 상기 분배 전압 중 일부를 계조 선택 전압으로 출력하는 멀티 플렉서부와,
    상기 계조 선택 전압을 이용하여 계조 전압을 생성하는 계조 전압 출력부를 구비하는 계조 전압 생성 모듈.
  7. 액정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 패널; 및
    상기 액정에 계조 전압을 공급하는 계조 전압 생성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액정은 인가되는 계조 전압에 따라 광투과율이 비 선형적 또는 선형적으로 변화하고,
    상기 계조 전압 생성 모듈은 상기 액정의 광투과율이 비 선형적으로 변화하는 영역에 해당하는 계조 전압을 생성하는 가변 전압 분배부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계조 전압 생성 모듈은,
    직렬 접속된 상기 가변 전압 분배부 및 고정 전압 분배부를 통해 복수의 분배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 분배 수단과,
    상기 전압 분배 수단의 분배 전압을 이용하여 계조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 출력 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가변 전압 분배부는 직렬 접속된 복수의 가변 저항부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전압 분배부는 상부 가변 전압 분배부와 하부 가변 전압 분배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가변 전압 분배부가 출력하는 분배 전압들의 전압 레벨은 상기 고정 전압 분배부와 상기 하부 가변 전압 분배부가 출력하는 분배 전압들의 전압 레벨보다 높고,
    상기 하부 가변 전압 분배부가 출력하는 분배 전압들의 전압 레벨은 상기 고정 전압 분배부가 출력하는 분배 전압들의 전압 레벨보다 낮은 액정 표시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저항부 각각은,
    직렬 접속된 스위치 및 제 1 저항과,
    상기 직렬 접속된 스위치 및 제 1 저항에 병렬 접속된 제 2 저항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저항부 내의 상기 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두개의 출력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의 일 출력단에 상기 상부 가변 전압 분배부 내의 복수의 가변 저항부의 스위치가 각기 접속되고,
    상기 제어부의 타 출력단에 상기 하부 가변 전압 분배부 내의 복수의 가변 저항부의 스위치가 각기 접속되는 액정 표시 장치.
  13. 직렬 접속되고, 각기 복수의 저항부가 마련된 상부 가변 전압 분배부, 고정 전압 분배부, 하부 가변 전압 분배부의 양단에 각기 고 전위 전압과 저 전위 전압 을 인가하여 복수의 분배 전압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분배 전압을 이용하여 복수의 계조 전압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계조 전압을 액정 표시 패널내의 액정에 인가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액정은 인가되는 계조 전압의 전압 레벨에 따라 광투과율이 비 선형적 또는 선형적으로 변화하고,
    상기 상부 가변 전압 분배부에 의해 생성된 분배 전압과 상기 하부 가변 전압 분배부에 의해 생성된 분배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액정이 비 선형적으로 변화하는 영역에 해당하는 계조 전압을 생성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변 전압 분배부 및 상기 하부 가변 분배부 중 적어도 하나 내부의 저항부의 저항값을 가변적으로 변화시키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060112355A 2006-11-14 2006-11-14 계조 전압 생성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이의 구동 방법 KR20080043606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2355A KR20080043606A (ko) 2006-11-14 2006-11-14 계조 전압 생성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이의 구동 방법
JP2007070837A JP2008122901A (ja) 2006-11-14 2007-03-19 階調電圧生成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並びにその駆動方法
US11/937,212 US20080111781A1 (en) 2006-11-14 2007-11-08 Gray-scale voltage producing module for liquid crystal display
CNA2007101871137A CN101183516A (zh) 2006-11-14 2007-11-14 用于液晶显示器的灰度级电压产生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2355A KR20080043606A (ko) 2006-11-14 2006-11-14 계조 전압 생성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이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3606A true KR20080043606A (ko) 2008-05-19

Family

ID=39368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2355A KR20080043606A (ko) 2006-11-14 2006-11-14 계조 전압 생성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이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80111781A1 (ko)
JP (1) JP2008122901A (ko)
KR (1) KR20080043606A (ko)
CN (1) CN10118351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5506A (ko) * 2014-03-06 2015-09-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대기 전력 제어 장치,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 대기 전력 제어 방법
KR20160094542A (ko) * 2015-01-30 2016-08-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계조 전압 생성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데이터 구동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4802A (ko) * 2005-11-24 2007-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US8760379B2 (en) * 2007-02-20 2014-06-24 Samsung Display Co., Ltd. Driving circuit for display panel having user selectable viewing angle, display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driving the display
US8446406B2 (en) * 2009-07-03 2013-05-21 L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TW201239845A (en) * 2011-02-14 2012-10-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driving a display device
CN102693705A (zh) * 2012-01-18 2012-09-26 矽创电子股份有限公司 面板驱动电路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59331A (en) * 1995-03-08 1997-08-19 Samsung Display Device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multi-level gray scale display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806903B1 (ko) * 2001-09-27 2008-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070015695A (ko) * 2005-08-01 2007-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US7265584B2 (en) * 2005-11-01 2007-09-04 Chunghwa Picture Tubes, Ltd. Voltage divider circui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5506A (ko) * 2014-03-06 2015-09-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대기 전력 제어 장치,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 대기 전력 제어 방법
KR20160094542A (ko) * 2015-01-30 2016-08-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계조 전압 생성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데이터 구동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122901A (ja) 2008-05-29
US20080111781A1 (en) 2008-05-15
CN101183516A (zh) 2008-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7829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322002B1 (ko) 액정표시장치
JP4199141B2 (ja) 表示信号処理装置および表示装置
KR101806407B1 (ko) 감마전압 제어기, 계조 전압 생성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8624937B2 (en) Data driving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2050380B1 (ko) 저속 구동용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20070024342A (ko) 데이터전압 생성회로 및 생성방법
KR101503064B1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20080043606A (ko) 계조 전압 생성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이의 구동 방법
KR20060117026A (ko) 데이터 드라이버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장치
KR20150059991A (ko)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회로
KR20080001097A (ko) 액정 패널, 데이터 드라이버,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및그 구동 방법
KR101146376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JP2007206279A (ja) 液晶表示装置
US20070279364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data driver thereof,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182300B1 (ko) 액정표시장치의 구동회로 및 이의 구동방법
KR20080105642A (ko) 액정표시장치와, 이의 감마커브 보상방법
KR101325199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1388350B1 (ko)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 및 이를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
KR20090053387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057786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1419232B1 (ko) 데이터 구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장치
KR101908495B1 (ko) Z 인버전 구동방식의 액정표시장치
KR101296643B1 (ko) 액정 표시 장치의 데이터 구동 장치 및 방법
KR20080023089A (ko) 표시 패널의 구동 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이의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