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2831A - 서비스 프로세싱의 품질을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서비스 프로세싱의 품질을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2831A
KR20080042831A KR1020087003809A KR20087003809A KR20080042831A KR 20080042831 A KR20080042831 A KR 20080042831A KR 1020087003809 A KR1020087003809 A KR 1020087003809A KR 20087003809 A KR20087003809 A KR 20087003809A KR 20080042831 A KR20080042831 A KR 20080042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quest
qos
packets
flow
sepa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3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3878B1 (ko
Inventor
스리람 나게시 누카라
밥후 피. 모한티
준 왕
업핀더 싱허 밥바
베누고팔 라마무르티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42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2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3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3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04L67/61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taking into account QoS or priority requi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15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in relation to multipoint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04L47/2441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relying on flow classification, e.g. using integrated services [IntSer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04L47/2483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involving identification of individual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04L47/2491Mapping quality of service [QoS] requir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72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using reservation actions during connection setup
    • H04L47/724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using reservation actions during connection setup at intermediate nodes, e.g.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 [RSV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74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measures in reaction to resource unavailability
    • H04L47/746Reaction triggered by a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0Actions related to the user profile or the type of traffic
    • H04L47/801Real time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0Actions related to the user profile or the type of traffic
    • H04L47/805QOS or priority a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2Miscellaneous aspects
    • H04L47/824Applicable to portable or mobil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5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per individual bearer or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24Negotiating SLA [Service Level Agreement]; Negotiating QoS [Quality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의 방법은 패킷들의 스트림 중에서 특정 트래픽 흐름을 필터링하기 위해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무선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흐름에 대한 표시된 서비스 품질 처리를 제공하기 위해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다른 요청의 실패에 응답하여 QoS 처리를 제공하기 위해 필터링 또는 요청에 대한 요구를 철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서비스 프로세싱의 품질을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장치{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QUALITY OF SERVICE PROCESSING}
본 출원은 "METHOD AND APPARATUS FOR SAVING AIR INTERFACE RESOURCES"라는 명칭의 미국 가출원 60/701,314를 우선권으로 청구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의 애플리케이션의 예는 코드리스 전화, 페이징, 무선 로컬 루프, 개인 디지털 보조기(PDA), 인터넷 전화, 및 위성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다. 특히 중요한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 가입자를 위한 셀룰러 전화 시스템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셀룰러" 시스템이란 용어는 셀룰러 및 개인 통신 시스템(PCS) 주파수들을 모두 포함하거나, 무선 음성 및/또는 비디오 전화를 위한 네트워크가 동작하는 소정의 다른 주파수를 포함한다. 다양한 무선(over-the-air) 인터페이스가 예를 들어,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FDMA),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및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를 포함하는 셀룰러 전화 시스템들을 위해 개발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예를 들어, 개량형 이동 전화 시스템(AMPS), 모바일용 글로벌 시스템(GSM), 및 인터넷 표준 95(IS-95)를 포함하는 다양한 국내 및 국제적 표준이 확립되었다. IS-95 및 그 파생물, IS-95A, IS-95B, ANSI J-STD-008(이하에서는 IS- 95로 통칭함), 및 제안된 고속 데이터 시스템은 통신 산업 협회(TIA, 알링톤, 버지니아) 및 다른 알려진 표준 단체에 의해 공표되었다.
IS-95 표준 버젼을 따르도록 구성된 셀룰러 전화 시스템들은 높은 효율 및 강고한 셀룰러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CDMA 신호 처리 기술을 이용한다. IS-95 표준들 중 하나 이상의 사용에 따라 실질적으로 구성된 셀룰러 전화 시스템들의 예는 미국 특허 번호 5,103,459 및 4,901,307에 개시된다.
IS-95 표준은 더 많은 용량 및 고속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cdma2000 및 WCDMA와 같은, 무선 셀룰러 전화용 3세대 또는 "3G" 시스템으로 계속하여 진화하였다. cdma2000의 변형은 문서 IS-2000(TIA) 및 C.S0001 내지 C.S0006(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2(3GPP2), 알링톤, 버지니아)에 개시된 cdma2000 1XRTT(무선 전송 기술, 또한 "1x"로도 불려짐), 문서 IS-856(TIA)에 개시된 cdma20001xEV-DO(1x 진화-데이터 최적화, 또한 "DO" 또는 고속 패킷 데이터("HRPD")), "cdma2000 고속 패킷 데이터 무선 인터페이스 규격", v.1.0, (2004년 3월) 또는 v.2.0 (2005년 7월)(3GPP2)이란 명칭의 DO-Revision A as standardized in C.S 20024-A(IS-856A로도 알려짐), 및 cdma2000 1xEV-DV(1x 진화, 데이터/음성)를 포함한다. 1x 시스템은 153kbps의 최대 데이터 레이트를 제공하는 반면, HRPD 시스템은 38.4kbps 내지 2.4kbps 범위의 데이터 레이트의 세트를 제공하며, 여기서 액세스 포인트(AP)는 데이터를 가입자국(모바일국(MS) 또는 액세스 터미널(AT)로도 불림)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AP가 셀룰러 전화용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유사하기 때문에, 무선 패킷 데이터 시스템을 위한 이러한 시스템에서 셀들 및 섹터들에 대 한 용어는 음성 시스템과 관련하여 동일하다.
무선 데이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증가하는 요구로 인해, 매우 효율적인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점진적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 데이터 애플리케이션은 패킷 스위칭 네트워크들에서 발신 또는 종료되는 데이터 패킷들의 전송이다. 다양한 표준 기술이 정보가 자신의 의도된 수신지에 도달하도록 패킷 스위칭 네트워크들을 통해 패킷화된 트래픽을 전소하기 위해 존재한다. 이러한 기술의 일 부류는 무선 IP 네트워크 표준 IS-835(예를 들어, 문서 IS-835D)에 개시되며, 이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PDSN)들의 동작을 규정한다. PDSN은 인터넷을 통한 포인트-투-포인트 프로토콜(PPP) 세션처럼, 액세스 터미널과의 패킷 데이터 세션을 설정, 유지 및 종료에 관여한다.
가입자국은 네트워크와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어떻게 이러한 데이터가 전달되는 지에 관하여 매우 상이한 허용치 및 조건("서비스의 품질" 또는 "QoS" 조건)을 가질 수도 있다. 이메일 및 파일 전송(예를 들어, mp3 파일)과 같은 비실시간 애플리케이션들은 가변 대역폭 조건을 갖지만, 엄격하지 않은 지연 및 손실 조건을 갖는다. 누락 또는 훼손된 프레임의 재전송은 비실시간 애플리케이션에서 유용할 수도 있다. 전화 애플리케이션은 낮은 대역폭 조건을 갖지만, 프레임 지연 및 지연에서의 가변성(또한 "지터"로도 불림)에 대해 낮은 허용치를 갖는다. 통상적으로, 하나의 핸드셋으로부터 다른 핸드셋으로의 지연은 250msec를 초과하지 않아야 하며, 지터는 20msec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통상적으로 cdma2000 무선 인 터페이스에 사용된 RLP(무선 링크 프로토콜)는 프레임의 재전송을 허용하는 반면, 이러한 재전송은 실시간 트래픽에 대해 유용하지 않다.
가입자국은 또한 상이한 QoS 조건을 갖는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콘텐츠의 스트리밍은 시동 지연(startup delay)의 소정의 정도를 허용하고 지터에 대한 허용치를 증가시키도록 버퍼링될 수 있는 반면, 대역폭 및 손실 허용치 특성들은 특정 코덱에 따라 변화할 수도 있다. 온라인 게임과 같은 대화형 애플리케이션들은 낮은 대역폭 조건을 갖지만 매우 엄격한 지연 조건을 갖는다. 비디오 회의는 높은 대역폭 조건을 갖고 또한 낮은 지연 및 지터를 요구한다.
애플리케이션별 흐름 기반으로 QoS를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흐름에 대한 특정 QoS 처리는 패킷 데이터 전송의 두 포인트들 사이에서(예를 들어, 가입자국과 기지국 사이에서, 또는 가입자국과 PDSN 사이에서) 협상될 수도 있다. 특정 QoS 처리에 대한 요청은 트래픽 채널의 대역폭, 패킷 데이터의 스케줄링, 무선을 통한 전송 패킷의 스케줄링, 콘텐츠의 지연 민감도, 또는 네트워크 캐리어 또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관련된 것으로 간주되는 다른 팩터들을 특정할 수도 있다. 서비스의 원하는 레벨을 획득하는 것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예를 들어, 기지국으로부터 그리고 PDSN으로부터) QoS 프로세싱 동작을 요청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의 방법은, 패킷들의 스트림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표시된 기준에 부합하는 패킷들의 흐름을 분리시키는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표시된 서비스 품질(QoS)에 따라, 패킷들의 흐름을 무선 접속(wireless air) 인터페이스로 맵핑하는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분리 요청 및 맵핑 요청 중 하나의 실패에 응답하여, 분리 요청 및 맵핑 요청 중 다른 하나의 철회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은 패킷 필터를 인스톨하기 위한 요청을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표시된 QoS 처리에 따라 패킷 필터와 부합하는 패킷들의 흐름을 무선 접속 인터페이스로 맵핑하기 위한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인스톨하기 위한 요청 및 맵핑 요청 중 하나의 실패에 응답하여 인스톨 요청 및 맵핑 요청 중 다른 하나의 철회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는 패킷들의 스트림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표시된 기준과 부합하는 패킷들의 흐름을 분리하는 요청을 생성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또한 표시된 서비스 품질(QoS) 처리에 따라 패킷들의 흐름을 무선 접속 인터페이스로 맵핑하는 요청을 생성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장치는 또한 분리 요청 및 맵핑 요청 중 하나의 실패에 응답하여, 분리 요청 및 맵핑 요청 중 다른 하나의 철회를 생성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도1은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네트워크(100)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환경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엔티티들의 프로토콜 스택들의 일부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3은 MS와 두 개의 상이한 서비스 접속을 포함하는 PDSN 사이의 전송 경로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4는 다수의 서비스 인스턴스 및 A10 접속들을 포함하는 PDSN과 MS 사이의 전송 경로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5는 도3 및/또는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방향 링크 전송 경로(즉, RAN으로부터 MS로)를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는 논리 구조의 일례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6은 실시예에 따라 방법(M100)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7은 MS(110)의 구현(112)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8은 방법(M110)에 따른 동작의 시퀀스의 흐름도이다.
도9는 방법(M110)에 따른 동작의 다른 시퀀스의 흐름도이다.
비록 cdma2000 및 1x 라는 용어가 본 명세서에 기본적으로 사용되었지만, 실시예가 WDMA(광대역 CDMA)와 같은 다른 3세대(3G) 기술 용어에 사용하기 위해 구성될 수도 있음이 명백하게 고려되고 본 명세서에 개시된다. WCDMA 표준은 문서 번호 3G TS 25.211, 3G TS 25.212, 3G TS 25.213, 및 3G TS 25.214(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 소피 안티포리스, 프랑스)에 설명되어 있다. WCDMA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GPRS 패킷 스위칭형 코어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UTRAN(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을 포함할 수도 있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로서 통상적으로 실시된다. WCDMA 표준은 고속 다운 링크 패킷 액세스(HSDPA)를 지원할 수도 있는, IMT-2000(국제 모바일 통신)을 위한 무선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고 있다.
실시예들은 QoS 프로세싱의 방법 및 하나 이상의 이러한 방법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시스템들 및 장치들을 포함한다. 도1은 이러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환경의 일례를 도시한다. 이러한 예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네트워크(100) 및 하나 이상의 모바일국(MS)(110)들을 포함하는데, 이는 설명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표준에 따라 통신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물리적 레벨에서, MS(110)은 네트워크(100)와 신호를 주고 받기 위해 송수신기 같은 무선-주파수 회로를 포함한다. MS는 또한 디지털-아날로그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및 다른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할 수도 있다. 회로의 구현에 따라, MS는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크린, 마이크로폰, 및 스피커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MS는 또한 애플리케이션들 및/또는 제어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해 구성된 하나 이상의 내장된 프로세서들 또는 IP 코어들을 통상적으로 포함한다. MS에 대한 위한 다른 통상의 명칭은 사용자 설비(UE) 및 액세스 터미널(AT)을 포함한다.
도1은 이동국(MS)(110)의 3개의 상이한 구현예(110a, b, c)를 도시한다. 예로든 MS(110a)는 셀룰러 전화로서 구현된다. MS는 예로든 MS(110b 및 1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장치의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각각의 예 는 랩탑 컴퓨터와 같은 터미널 설비(TE), 및 가능하게는 터미널 어댑터(TA)를 통해 무선 데이터 통신 성능을 TE로 제공하는, 무선 모뎀 또는 셀룰러 전화를 포함하는 PCMCIA 카드와 같은 모바일 터미널(MT)을 포함한다.
네트워크(100)는 무선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 이상의 MS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200)를 포함한다. 도1의 환경에서, 이동국(MS)(110)은 패킷 데이터 서비스 및 가능하게는 회로 스위치형 전화 방식과 같은 다른 서비스를 위해 RAN(200)과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에서, 무선 접속 인터페이스는 IS-2000 표준의 버젼을 따르는 Um 인터페이스이다. RAN은 통상적으로 하나 이상의 MS와 인터페이스하는 기지국 송수신기 시스템(BTS) 또는 "기지국", 하나 이상의 BTS를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BSC), 및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PDSN)와 인터페이스하는 패킷 제어 장치(PCF)를 포함한다.
네트워크(100)는 또한 이더넷 링크와 같이 유선 또는 광학적 링크를 통해, 또는 무선 백홀을 통해 하나 이상의 RAN과 통신하도록 구성된 PDSN(300)(또한 패킷 데이터 스위칭 노드 또는 네트워크 액세스 서버로도 불림)을 포함한다. RAN을 통해, PDSN은 패킷 데이터 통신을 원하거나 이에 관여한 하나 이상의 MS와 통신하여, MS와의 IP 트래픽을 위해 제1 호핑 라우터로서 동작한다. 네트워크(100)의 다른 구현은 하나 이상의 PDSN(예를 들어, PDSN의 클러스터)을 포함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MS(110)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120)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네트워크(100)을 거쳐 서버들(예를 들어, 웹 서버들) 및/또는 다른 터미널들(예를 들어, 다른 MS들) 상에서 실행하는 대 응하는 애플리케이션들과 통신한다. 애플리케이션들(120)의 예는 이메일, 웹 브라우징, 파일 전송 프로토콜(FTP), 인터넷 전화(VoIP), 패킷 스위치형 전화 비디오 전화 방식(PSVT), 및 텔레비젼과 다른 멀티미디어 서비스들을 포함한다. MS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스피커)를 통해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들을 지원하는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 코덱을 포함할 수도 있다. MS는 패킷 스위치형 전화 방식 서비스들(예를 들어, VoIP 또는 비디오 전화 방식)을 위해 PDSN(300)의 다른 측상의 SIP 서버를 통해, 다른 MS, 또는 일반 IP 비디오 또는 음성 전화 방식 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사용자 에이전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네트워크 엔티티들 및 터미널들 사이에서의 통신은 프로토콜들의 스택의 상이한 계층을 통해 발생한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MS, RAN, 및 PDSN의 프로토콜 스택들의 일부의 일례를 도시한다. 프로토콜 스택은 MS가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양한 논리적 엔티티들 및/또는 네트워크 상의 다른 터미널들과 통신하게 한다. 예를 들어, MS는 RLP(TIA IS-707.2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무선 링크 프로토콜)과 같은 링크 계층 프로토콜을 이용함으로써 무선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RAN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프로토콜은 TCP(전송 제어 프로토콜), UDP(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 및 RTP(실시간 전송 프로토콜, RFC 3550, 2003년7월, 인터넷 엔지니어링 태스크 포스(IETF, ietf.org))와 같은 전송 계층 프로토콜들; IP(인터넷 프로토콜) 및 RRC(무선 리소스 제어)와 같은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들; 및 PPP(포인트-투-포인트 프로토콜)과 같은 데이 터 링크 계층 프로토콜들을 포함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경우, MS 및 PDSN은 PPP(포인트-투-포인트) 접속을 구축함으로써 데이터 링크 계층을 통해 통신할 수도 있다. 택일적으로, 추가의 헤더 오버헤드 및 RAN에 대한 패킷 경계들의 불가시성과 같은 PPP 기반 전송의 하나 이상의 단점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1xEV-애의 리비젼A에 따라 동작하는 시스템은, "cdma2000 High Rate Packet Data Supplemental Services"(3GPP2, Oct. 2005)라는 명칭의 C.S0063-0 v.1.15에 설명된 바와 같이 강화된 패킷 애플리케이션 표준을 통해 PPP 프리 연산을 획득할 수 도 있다. 사용될 수도 있는 다른 PPP 프리 방식은 2002년 7월 25일 공개된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SSION OF HEADERLESS DATA PACKET OVER A WIRELESS LINK"라는 미국 특허 공개 2002/0097701에 개시된다.
"흐름"은 동일한 프로토콜 인스턴스 생성(instantiation)에 속하고 동일한 소스 및 수신지를 공유하는 일련의 패킷들로 한정된다. IP 흐름은 예를 들어, 동일한 소스 IP 어드레스 및 포트 번호, 동일한 수신지 IP 어드레스 및 포트 번호, 및 동일한 전송 프로토콜을 갖는 IP 패킷의 무지향성 흐름이다. 단일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MS와 PDSN 사이에서 다수의 트래픽 흐름의 전송을 지원하고 및/또는 상이한 애플리케이션들의 경우 MS와 PDSN 사이에서 상이한 트래픽 흐름들의 전송을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이한 애플리케이션들은 지연, 대역폭, 및 에러 허용치와 같은 서비스 파라미터들의 품질과 관련하여 상이한 조건을 가질 수도 있다. 이 러한 파라미터를 따르는 것은 전송을 위해 다수의 흐름들을 서로 분리시키는 것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만일 무선 접속이 패킷들의 단일 큐로 구성되면, 예를 들어, MS 상에서 실행하는 VoIP 애플리케이션으로 지향된 지연 민감 패킷들은 RAN에서 지연될 수도 있으며, 결국 사용불가능하게 되는 반면, 다른 애플리케이션으로 지향된 대량의 진행하는 전송(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로 지향된 1 메가바이트 웹 페이지)은 무선 접속 인터페이스를 점유할 것이다. 따라서,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조건과 같은 팩터들에 기초하여, 상이한 QoS 보장("흐름 기반 QoS로도 불려짐")에 따른 상이한 트래픽 흐름들의 전송을 지원하기 위해 네트워크(100)와 같은 패킷 데이터 서비스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비스 접속"은 MS와 사용자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 사용되는 PDSN과 MS 사이의 논리적 접속이다. MS와 PDSN 사이의 전송 경로는 상이한 QoS 처리에 따라 상이한 트래픽 흐름들을 전달하기 위해 구성된 하나 이상의 서비스 접속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송 경로는 TCP/IP 흐름을 전달하기 위한 하나의 서비스 접속 및 RTP 비디오 스트림을 전달하기 위한 다른 서비스 접속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3은 각각이 대응하는 트래픽 흐름을 전달하기 위해 구성된 두 개의 상이한 서비스 접속들을 포함하는 PDSN과 MS 사이의 전송 경로의 일례를 도시한다.
MS와 RAN 사이의 서비스 접속의 일부는 1x 시스템들에서 "서비스 인스턴스"로 불리는 반면, HRPD 시스템들에서, 서비스 인스턴스는 "링크 흐름" 또는 "RLP 인스턴스"로 불린다. cdma2000 규격은 MS 당 6개까지의 서비스 인스턴스들을 지원하는 네트워크를 설명하는데, 각각의 인스턴스는 서비스 참조 식별자(SR_ID)로 불리 는 유일한 라벨로 식별된다. 서비스 인스턴스는 관련된 QoS 세팅들을 가질 수도 있으며, MS는 패킷 호 동안 다수의 서비스 인스턴스들을 초기화할 수도 있다.
MS와 RAN 사이의 무선 접속 인터페이스는 다수의 서비스 인스턴스를 전달할 수도 있으며, 각각은 상이한 대역폭, 지연 및 에러 특징들을 갖는다. 1x 및 HRPD 시스템들에서, 무선 접속 인터페이스는 메인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보조 서비스 인스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음성 및 데이터는 상이한 서비스 옵션들로서 독립적으로 한정 및 특정될 수도 있으며, 무선 접속 인터페이스는 이러한 서비스 옵션들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위해 다수의 서비스 인스턴스를 지원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MS는 하나 이상의 TCP/IP 흐름을 전달하기 위한 메인 서비스 인스턴스 및 RTP 비디오 스트림을 전달하기 위한 보조 서비스 인스턴스를 갖는다.
RAN과 PDSN 사이의 서비스 접속의 일부는 "R-P 접속"(RAN-PDSN의 경우)으로 불리며, 전술한 이더넷 링크를 통해 전달될 수도 있다. 1x 및 HRPD 시스템들에서, R-P 인터페이스는 A10 및 A11 인터페이스의 조합으로서 한정되며, 여기서 A10은 인터페이스는 RAN과 PDSN 사이에서 사용자 트래픽을 전달하고, A11은 RAN과 PDSN 사이에서 시그널링 정보를 전달한다. 도4의 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인스턴스들 및 A10 접속들은 다수의 흐름을 전달할 수도 있으며, 각각의 개별 인스턴스들(예를 들어, 개별 서비스 접속들)은 상이한 QoS 처리를 지원하기 위해 제공될 수도 있다. 유사한 QoS 조건을 갖는 흐름들을 동일한 서비스 인스턴스로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1x 및 HRPD 시스템에서, 각각의 서비스 인스턴스는 하나의 A10 접속과 관련된다. 순방향 링크 상에서, RAN은 A10 접속을 대응하는 서비스 인스턴스로 맵핑하며, 역방향 링크 상에서(즉, MS로부터 RAN으로), RAN은 서비스 인스턴스를 대응하는 A10 접속으로 맵핑한다. 다른 시스템에서 하나 이상의 섭스 인스턴스가 하나의 R-P 접속과 관련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러한 시스템에서 R-P 접속이 단일 서비스 인스턴스에 대해 대역폭 한계를 초과하여 결국 두 서비스 인스턴스에 대해 분할되는 흐름을 전달할 수도 있는 것이 가능하다.
도5는 도3 및/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방향 링크 전송 경로를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는 논리적 구조의 일례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이러한 구조는 RAN(200) 및 PDSN(300)의 구현(202 및 302)을 각각 포함한다. PDSN(302)은 수신 패킷 스트림 중 하나 이상의 트래픽 흐름을 분리하도록 구성된 필터(310)를 포함하며, RAN(202)은 특정한 QoS 처리에 기초하여 개별 트래픽 흐름들을 서비스 인스턴스들로 맵핑하도록 구성된 맵퍼(210)를 포함한다.
이동국(110)은 패킷들의 스트림들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된 기준(예를 들어, 무선 접속 인터페이스 제어 모듈)에 부합하는 패킷들의 흐름을 분리하는 요청을 생성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PDSN에 요청을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동국(110)은 또한 표시된 서비스 품질(QoS) 처리(예를 들어, 패킷 데이터 제어 모듈)에 따라 패킷들의 흐름을 무선 접속 인터페이스로 맵핑하는 요구를 생성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요청을 RAN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이러한 생성 수단은 예를 들어, (게이트들 또는 트랜지스터들과 같은) 논리 엘리먼트들의 하나 이상의 어레이 및/또는 논리 엘리먼트들의 하나 이상의 어레이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들의 하나 이상의 세트로서 논리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 또는 둘 모두의 이러한 수단은 하나 이상의 내장된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들의 하나 이상의 세트들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맵퍼(210)는 트래픽 흐름들을 무선 접속 인터페이스의 물리적 채널들로 맵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물리적 채널들은 시간, 주파수 및/또는 코드 공간에서 멀티플렉싱될 수도 있다. 일 예에서, MS와 RAN 사이의 cdma2000 무선 접속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트래픽을 위한 기본 채널(FCH), 사용자 트래픽을 전달할 수도 있는 전용 제어 채널(DCCH), 및 사용자 트래픽을 위한 하나 이상의 보조 채널을 포함한다.
소정의 경우, 물리적 채널은 하나 이상의 서비스 인스턴스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된다. 맵퍼(210)가 모든 서비스 인스턴스를 하나의 물리적 채널로 맵핑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경우, 각각의 물리적 채널은 (예를 들어, 특정 프로토콜 또는 유사한 QoS 처리에 대응하는) 상이한 서비스 인스턴스 타입으로 할당되며 상이한 서비스 인스턴스로부터의 상기 타입의 흐름들의 멀티플렉싱된 스트림을 전달할 수도 있다. 맵퍼(210)가 서비스 인스턴스를 상이한 시간에 상이한 물리적 채널들로 맵핑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맵퍼(210)는 예를 들어, (게이트들 또는 트랜지스터들과 같은) 논리 엘리먼트들의 하나 이상의 어레이들 및/또는 논리 엘리먼트들의 하나 이상의 어레이들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들의 하나 이상의 세트로서 논리적으로 실행될 수도 있다.
맵퍼(210)는 하나 이상의 물리적 채널을 통해 전송을 위해 패킷들을 스케줄링하도록 각각 구성된 하나 이상의 스케줄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스케줄러는 예를 들어, (게이트들 또는 트랜지스터들과 같은) 논리 엘리먼트들의 하나 이상의 어레이 및/또는 논리 엘리먼트들의 하나 이상의 어레이들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들의 하나 이상의 세트들처럼 논리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간단한 일 예에서, 스케줄러는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각각의 대응하는 흐름으로부터 패킷들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며, 상이한 흐름들로부터의 패킷들은 연속한 프레임에서 스케줄링된다. 다른 경우, 스케줄러는 실시간 애플리케이션으로 우선 순위를 주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스케줄러는 VoIP 또는 PSVT와 같은 전화 방식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흐름 프로파일 ID들(후술됨)을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PDSN에서, 필터(310)는 하나 이상의 수신 트래픽 흐름들을 구별하고 이들을 개별 A10 접속을 통해 RAN으로 전달한다. PDSN은 통상적으로 특정 데이터 흐름들을 구별하고 각각 하나를 대응하는 서비스 인스턴스와 관련된 A10 접속으로 맵핑하도록 패킷 필터링을 이용한다. 이러한 환경에서, 패킷 필터링은 각각의 패킷의 헤더로부터의 정보를, MS에 의해 제공된 정보에 따라 구성된 하나 이상의 패킷 필터들과 비교한다. 필터(310)는 예를 들어, (게이트들 또는 트랜지스터들과 같은) 논리 엘리먼트들의 하나 이상의 어레이들 및/또는 논리 엘리먼트들의 하나 이상의 어레이들에 의해 실행가능한 하나 이상의 명령들의 세트로서 논리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패킷 데이터 서비스들을 위한 현존 시스템에서, MS는 통상적으로 RAN 및PDSN 과 개별적으로 협상함으로써 소정의 흐름을 위해 특정한 QoS 처리를 요청한다. 예를 들어, MS는 QoS를 무선 접속 인터페이스를 위해 RAN과 협상하도록 (IS-856A와 같은) IS-856 표준의 버젼에 따라 동작할 수도 있다. 이러한 협상은 QoS 처리에 따라 RAN이 흐름을 무선 접속 인터페이스로 맵핑하게 하는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MS는 또한 PDSN이 패킷들의 스트림 중 흐름을 분리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필터들을 인스톨하게 하는 요청을 전송하도록 (IS-835D와 같은) IS-835 표준의 버젼에 따라 동작할 수도 있다.
통상의 cdma2000 시스템에서, MS는 무선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한 RAN으로의 시그널링 메시지에서 비트들의 QoS 블록(QOS_BLOB)을 요청함으로써 원하는 QoS 처리를 표시한다. 전체 QoS_BLOBS는 1x에 적용되고 이는 HRPD에 적용될 수도 있는 QoS_SUB_BLOB를 포함한다. QOS_SUB_BLOB는 대응하는 흐름을 위해 원하는 QoS 처리를 나타내는 구체적인 QoS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QOS_BLOB는 하나 이상의 흐름을 위해 QOS_SUB_BLOB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QOS_SUB_BLOB는 데이터 레이트, 프레임 에러 레이트, 지연, 대기, 지터, 데이터 손실율 및/또는 흐름 우선 순위와 같은 파라미터들에 대한 요청된 및/또는 수용가능한 값들을 특정할 수도 있다.
택일적으로, 흐름에 대한 QoS 파라미터 값들을 전송하는 대신, MS는 원하는 QoS 처리의 다른 표시를 전송한 수도 있다. 예를 들어, WCDMA 및 cdma2000 규격은 QoS 목적을 위해 4 부류(통상, 스트리밍, 인터리밍, 및 백그라운드)의 트래픽을 한정하며, MS는 이러한 부류 중 어느 부류가 특정한 흐름을 위해 요구되는지를 표시 할 수도 있다. 택일적으로, MS는 인덱스를 특정된 QoS 처리의 테이블로 전달함으로써 흐름을 위해 원하는 QoS 처리를 나타낸다. 이러한 인덱스의 예는 흐름 프로파일 ID(QoS 프로파일 ID로도 불림)인데, 이는 QOS_SUB_BLOB에 포함될 수도 있다. 문서 C.R1001-E(3GPP2)의 테이블 13.1.1-1은, 비록 다른 길이들(예를 들어, 8비트)을 가진 흐름 프로파일 ID가 또한 사용되어도, 16 비트 흐름 프로파일 IDDML 리스트를 설명한다.
MS는 무선 접속 인터페이스의 액세스 채널을 통해 QoS 요청을 RAN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cdma2000 1x 시스템에서, MS는 발신 메시지(OM) 또는 확장 발신 메시지(EOM)에서 QoS 요청을 RAN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DO 시스템에서, MS는 IS-856A 표준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일반 속성 업데이트 프로토콜(GAUP)에서 QoS 요청을 RAN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경우, MS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서 QoS 요청을 RAN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데이터 흐름을 위한 QoS 조건 외에, MS로부터 RAN으로의 QoS 요청은 요청된 데이터 흐름의 방향(즉, 순방향 또는 역방향)을 나타낼 수도 있으며, 또한 요청된 흐름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소정의 경우, MS는 흐름 식별자를 위해 사용되지 않은 SR_ID를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MS로부터의 QoS 요청에 응답하여, RAN은 승인된 QoS BLOB와 같은 승인을 리턴한다. cdma2000 1x 시스템에서, RAN은 QoS 승인을 서비스 접속 메시지에서 MS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경우, RAN은 QoS 승인을 서비스 응답 메시지에서 MS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RAN은 현재 서비스 인스턴스가 요청된 데이터 흐름을 지원하도록 사용될 수 있거나 새로운 서비스 인스턴스가 필요한지를 결정한다. 만일 새로운 서비스 인스턴스가 필요하면, RAN 및 MS는 새로운 서비스 인스턴스의 설정을 협상한다. RAN은 새로운 서비스 인스턴스를 위해 SR_ID처럼 MS에 의해 선택된 흐름 식별자를 사용하거나, 택일적으로 새로운 서비스 인스턴스를 위해 다른 SR_ID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만일 현재의 서비스 인스턴스가 사용되면, RAN은 통상적으로 QoS 요청에 응답하여 대응하는 SR_ID를 사용한다. RAN은 채널 레이트, 전력 제어, RLP 전송의 수, 및 MAC(멀티미디어 액세스 제어) 파라미터들과 같은 파라미터들을 제어하도록 승인된 QoS 처리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만일 새로운 서비스 인스턴스가 구축되면, RAN은 새로운 A10 접속을 설정하도록 PDSN과 또한 통신할 수도 있다.
RAN과 PDSN 사이에서, cdma2000 시스템에서 흐름 기반 QoS 처리가 A10 접속에 의해 지원된다. 서비스 인스턴스가 MS와 RAN 사이에서 구축됨에 따라, RAN 및 PDSN은 이들 사이에 대응하는 A10 접속을 구축한다. PDSN은 트래픽 흐름들을 A10 접속들로 맵핑하기 위해 MS에 의해 제공된 트래픽 흐름 템플릿(TFT)들을 사용한다.
PDSN으로부터 QoS 프로세싱을 요청하기 위해, MS는 트래픽 흐름 템플릿(TFT)을 PDSN으로 전달한다. 이러한 요청은 RSVP Resv 메시지에서 전달될 수도 있는데, RSVP는 리소스 예약 프로토콜(RFC 2205, IETF, September 1997)의 약어인데, 이는 (예를 들어, TIA document IS-835C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시그널링 플레인을 통해 전송 리소스를 예약하기 위한 메카니즘을 제공한다. TFT는 MS의 IP 어드레스, TFT가 대응하는 A10 접속을 식별하는 서비스 참조 식별자(SR_ID), 및 하나 이상의 패킷 필터의 리스트를 포함한다.
각각의 패킷 필터는 MS 또는 RAN에 의해 할당된 바와 같은 흐름 식별자(예를 들어, 8비트 필드), 수신지 IP 어드레스, 수신지 포트 번호, 및 프로토콜 타입 식별자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패킷 필터는 흐름의 상부 계층 프로토콜, 흐름 소스의 IP 어드레스 및 포트 번호, 및 흐름 수신지의 IP 어드레스 및 포트 번호를 표시하는 5-투플(tuple)을 포함할 수도 있다. 패킷 필터는 패킷 필더들 사이에서 우선 순위를 표시하는 순위 값을 가질 수도 있다. TFT들에 대한 포맷, 패킷 필터들, 및 이들을 전달하는 Resv 메시지는 예를 들어, 2006년 2월자 "cdma2000 Wireless IP Network Standard:Quality of Service and Header Reduction"이란 명칭의 Annex B of the 3GPP2 document X.S0011-004-Dv1.0에 상세하게 개시된다.
RSVP Resv 메시지는 또한 새로운 데이터 흐름(순방향 또는 역방향)의 방향 및/또는 새로운 데이터 흐름을 위한 단-대-단 QoS 파라미터들을 나타낼 수도 있다. PDSN은, Resv 메시지에서 요청된 QoS 동작이 승인될 때, RSVP ResvConf 메시지를 리턴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ResvErr 메시지를 리턴한다. MS는 소정의 TFT 컴포넌트들이 변경할 때 TFT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수신 패킷이 순방향에서 PDSN에 도달할 때, 수신지 IP 어드레스는 어떤 세트의 TFT가 사용될지를 결정하도록 체크된다. 이어 PDSN은 상기 수신지 IP 어드레스에 속하는 TFT에서 모든 패킷 필터들 중 부합되는 것을 탐색한다. 만일 수신 순방 향 패킷이 대응하는 TFT 내에서 패킷 필터에 부합하면, PDSN은 패킷을 대응하는 A10 접속을 통해 RAN으로 전달한다. 만일 수신 순방향 패킷이 대응하는 TFT 내의 소정의 패킷 필터에 부합하지 않으면, PDSN은 패킷을 메인(또는 디폴트) A10 접속을 통해 RAN으로 전달한다. 동일한 절차가 역방향 링크 QoS 프로세싱을 위해 실행되며, 패킷의 소스 IP 어드레스가 대신 사용된다.
MS에 이용가능한 QoS 처리는 소정의 방식으로 제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MS는 통상적으로 모든 애플리케이션 흐름을 위해 최대 집합 대역폭으로 제한된다. MS는 소정의 QoS 프로파일 ID들에 대해, 최대 흐름별 우선 순위에 대해, 및/또는 서비스 인스턴스들의 최대 수에 대해 인가될 수도 있다.
PDSN은 통상적으로 MS에 대응하는 사용자 QoS 프로파일("가입자 QoS 프로파일"로도 불림)을 획득함으로써 MS에 대한 QoS 옵션들의 인가를 지원한다. 사용자 QoS 프로파일은 통상적으로 사용자의 인가된 흐름 프로파일 IDDML 리스트를 포함하는데, 이는 PSVT 및/또는 VoIP를 위한 흐름 프로파일 ID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예에서, PDSN은 메인 서비스 접속의 설정 동안 AAA(인증, 권한 검증 및 과금) 엔티티로부터 사용자 QoS 프로파일을 획득하고 이러한 프로파일을 RAN으로 포워딩할 수도 있다. 이어 RAN은 상기 가입자에 대한 인가된 QoS 프로파일 ID에 있지 않은 흐름 프로파일 ID들에 대한 요청을 거절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IS-835D 및 IS-856 표준은 인터폴레이팅 가능하게 구성되었다. 이러한 두 표준이 분리됨에 따라, 예상치 않은 동작 결과들이 실질적으로 이들 사이에서 발생할 수도 있다. MS는 각각의 엔티티와 개별적으로 협상해야 하기 때문에, 예를 들 어, RAN과 MS의 협상 또는 PDAN과 MS의 협상이 발생하지 않거나 실패할 수도 있다. 최종 상황은 네트워크 리소스들을 레버리징하는 관점에서 부최적일 수도 있다.
MS가 RAN에 대해 수용되는 QoS 요청 및 PDSN에 대한 거절되거나 승인되지 않는 대응하는 QoS 요청을 행할 것이 가능하다. PDSN은 통상적으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RAN을 서비스하며, 새로운 A10 접속, TFT들, 및/또는 패킷 필터들에 대한 성능은 일반적으로 고갈될 수도 있다. 택일적으로, PDSN은 PDSN은 다운되거나 이용불가능할 수도 있다. 이러한 QoS 프로세싱 실패가 발생하면, MS와 RAN 사이의 서비스 인스턴스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공적인 QoS 요청에 따라 흐름을 위해 예약을 유지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예약은 다른 가입자국에 이용가능한 리소스들의 양을 감소시킨다.
심지어 RAN이 궁극적으로 서비스 인스턴스가 사용되고 있지 않다고 결정할 지라도, IS-856 표준이 MS가 휴지 상태에서 동작하도록 허용하기 때문에, RAN은 미래의 사용을 위한 리소스를 계속 예약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황은 다른 가입자국들이 예약되었지만 사용되지 않은 리소스들에 대한 액세스가 거부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부최적이다. 다른 서비스에 의한 사용을 위해 사용되지 않은 무선 대역폭을 해제하는 것은 서비스 제공자의 소득을 최대화하기 위해 중요하다. 따라서, IS-835 표준의 버전에 따라 패킷 데이터 연산의 요구를 충족시키면서, IS-856 표준의 버전을 따르는 무선 접속 인터페이스 리소스들을 보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6은 실시예에 따른 방법(M100)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태스크(T110)는 패킷들의 스트림 중 특정 트래픽 흐름을 분리하기 위한 요청을 전송한다. 태스 크(T120)는 표시된 서비스 품질에 따라 무선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특정 트래픽 흐름을 맵핑하기 위한 요청을 전송한다. 분리 요청 및 맵핑 요청 중 하나의 실패에 응답하여, 태스크(T130)는 분리 요청 및 맵핑 요청 중 다른 하나의 철회를 전송한다.
분리 요청은 하나 이상의 패킷 필터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각각은 상이한 트래픽 흐름을 특정한다. 패킷 필터는 패킷들의 스트림으로부터 필터링될 트래픽 흐름의 수신지를 표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패킷 필터는 트래픽 흐름의 리소수의 포트 번호 및 IP 어드레스, 트래픽 흐름의 수신지의 포트 번호 및 IP 어드레스, 및 트래픽 흐름의 프로토콜을 나타내는 5-투플을 포함한다.
맵핑 요청은 흐름 식별자 및 원하는 QoS CJFLDML 표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흐름 식별자는 트래픽 흐름의 소스 및 수신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택일적으로 흐름 식별자는 MS 또는 RAN에 의해 할당된 인덱스일 수도 있다. 분리 요청은 흐름 식별자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MS(110)은 방법(M100)의 구현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MS는 분리 요청 및 맵핑 요청 중 하나의 실패에 응답하여, 분리 요청 및 맵핑 요청 중 다른 하나의 철회를 생성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수단은 (예를 들어, 타이머의 종료에 따라)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 내에서 요청의 승인을 검출하기 위해 실패에 기초하여 분리 요청 및 맵핑 요청 중 하나의 실패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수단은 예를 들어, (게이트들 또는 트랜지스터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논리 엘리먼트의 어레이 및/또는 하나 이상의 논리 엘리먼트 의 어레이에 의해 실행가능한 하나 이상의 명령들의 세트로서 논리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7은 MS(110)의 실시(112)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8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방법(M100)에 따른 연산들의 시퀀스를 도시한다. 연산(O110)에서, MS 상에서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은 MS가 RAN으로부터 QoS 프로세싱을 요청하게 한다. 예를 들어, MS는 태스크(T120)에 따라 맵핑 요청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만일 RAN이 QoS 요청을 승인하지 않으면, 연산(O120)에서, MS는 애플리케이션에게 QoS 처리가 승인되지 않았음을 통보하고, MS는 새로운 명령을 개시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대기한다.
만일 RAN이 QoS 요청을 승인하면, 연산(O130)에서 MS는 PDSN(또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으로부터 QoS 프로세싱을 요청한다. 예를 들어, MS는 태스크(T110)에 따라 분리하기 위한 요청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만일 PDSN이 QoS 요청을 승인하지 않으면(예를 들어, 요청이 거절되거나, 어떠한 승인도 요청의 전송 후 소정의 시간 간격 내에서 수신되지 않으면), 연산(O140)에서 MS는 RAN이 QoS 리소스를 해제할 것을 요청한다. 이러한 연산은 예를 들어, NULL에 동일한 흐름 프로파일 ID를 갖는 QoS 요청을 전송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NULL 요청은 대응하는 흐름에 대해 예약된 QoS 리소스가 해제될 수도 있음을 RAN에 표시한다. 만일 PDSN이 QoS 요청을 승인하면, 연산(O150)에서 MS는 요청된 QoS 처리가 승인된 것은 애플리케이션에 통보하고, MS는 애플리케이션이 새로운 명령을 개시하는 것을 대기한다.
만일 방법(M100)에 따른 연산들의 다른 시퀀스에서, RAN으로부터 흐름에 대 한 QoS 요청으로부터 응답을 수신하기 전에(가능하게는 RAN으로 QoS 요청을 전송하기 전에) MS는 흐름에 대한 QoS 요청을 PDSN으로 전송한다. RAN에 대한 QoS 요청은 PDSN에 대한 QoS 요청보다 더 짧다(그리고 더욱 신속하게 전송됨). 예를 들어, 소정의 경우, RAN에 대한 QoS 요청은 20 또는 26 밀리초의 하나의 프레임에서 송신될 수도 있는 반면, (TFT를 포함하는 RSVP 메시지와 같은) PDSN에 대한 QoS 요청의 전송은 완료를 위해 몇몇 프레임들을 취할 수도 있다. MS와 RAN 사이의 경로는 또한 MS와 PDSN 사이의 경로보다 더욱 직접적이어서, RAN에 대한 QoS 요청에 대한 응답은 통상적으로 PDSN에 대한 QoS 요청에 대한 응답보다 더욱 이르게 수신된다.
택일적으로, 무선 접속 인터페이스 리소스들을 위한 MS와 RAN 사이의 QoS 협상이 실패할 때, PDSN 리소스들을 보존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MS는 PDSN으로 동시에 시그널링하면서 RAN 및 RSVP와 OTA(over-the-air) QoS 협상을 개시할 수도 있다. 만일 RAN과의 OTA QoS 협상이 실패(예를 들어, 승인된 QoS BLOB가 수신되지 않음)하지만, TFT를 생성하기 위한 PDSN과의 RSVP 시그널링이 성공하면, PDSN 상의 리소스들은 MS로 지향된 패킷들을 필터링하는데 불필요하게 점유(예를 들어, 불필요하게 인스톨된 TFT들 및 패킷 필터들, 및 이러한 필터들에 따라 패킷들을 필터링하는데 낭비되는 프로세싱 주기들)되지 않을 수도 있다. OTA QoS 협상 실패로 인해, 필터들에 의해 분리된 소정의 패킷들은 어쨌든 디폴트 A10 접속을 통해 전송될 것이다.
이러한 경우, MS는 TFT 및 TFT와 관련된 패킷 필터들을 삭제하기 위해, OTA QoS 협상의 실패 및 RSVP QoS 시그널링의 성공을 검출할 때, PDSN을 다시 시그널링 하도록 구성된다. PDSN은 TFT를 삭제하고 TFT와 관련된 패킷 필터들을 언인스톨하며, 그 후, 패킷들을 직접 기본 A10 접속으로 전달한다.
도9는 전술한 방법(M100)에 따른 연산들의 다른 시퀀스를 도시한다. 연산(0210)에서, MS 상에서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은 MS가 PDSN(또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으로부터 QoS 프로세싱을 요청하게 한다. 예를 들어, MS는 태스크(T110)에 따라 분리 요청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만일 PDSN이 QoS 요청을 승인하지 않으면, 연산(O220)에서, MS는 QoS 처리가 승인되지 않았음을 애플리케이션에 통보하고, MS는 새로운 명령을 개시할 애플리케이션을 대기한다.
만일 PDSN이 QoS 요청을 승인하면, 연산(O230)에서, MS는 RAN으로부터 QoS 프로세싱을 요청한다. 예를 들어, MS는 태스크(T120)에 따른 맵핑 요청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만일 RAN이 QoS 요청을 승인하지 않으면(예를 들어, 요청이 거절되거나, 승인이 요청의 전송 후 소정의 시간 간격 내에 수신되지 않으면), 연산(O240)에서 MS는 QoS 리소스들을 해제하기 위해 PDSN을 요청한다. 이러한 동작은 예를 들어, 상기 흐름에 대응하는 패킷 필터들을 삭제하기 위해 PDSN에 명령하는 opcode(연산 코드) 및 흐름 식별자를 포함하는 TFT를 전송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만일 RAN이 QoS 요청을 승인하면, 연산(O250)에서, MS는 요청된 QoS 처리가 승인된 것을 애플리케이션에 통보하고, MS는 새로운 명령을 개시할 애플리케이션을 대기한다.
QoS 처리를 요청하는 애플리케이션은 인터넷 또는 다른 패킷 스위칭형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요청하는 소정의 소프트웨어 모듈일 수도 있다. 프로세싱 엘리먼트들 및 메모리 엘리먼트들은 설명된 바와 같은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명령들의 하나 이상의 세트를 실행하도록 구성 및 배열될 수도 있다. 설명을 위해, 실시예들은 IS-856(예를 들어, IS-856A) 및 IS-835(예를 들어, IS-835D)에 따라 동작하는 엔티티들의 환경에서 설명되었다. 그러나 실시예들은 소정의 무선 기술에 적용되고 구현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기술에서는, 가입자국이 패킷들의 스트림 중 하나 이상의 특정 트래픽 흐름을 구별하도록 구성된 제1 엔티티로부터, 그리고 트래픽 흐름을 개별적으로 무선 접속 인터페이스로 맵핑하도록 구성된 제2 엔티티로부터 특정 트래픽 흐름을 위한 QoS 처리를 요청하도록 구성된다.
설명된 실시예의 전술한 개시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며, 제공된 일반 원리는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는 유선 배선된 회로로서,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에 제조된 회로 구성으로서, 또는 기계 판독 가능 코드로서 비휘발성 저장 장치로 로딩된 펌웨어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 저장 매체로부터 또는 저장 매체(이동식 또는 집적 반도체 또는 다른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광학 매체, 또는 디스크와 같은 자기 및/또는 광학 매체)로 로딩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코드는 프로세서,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다른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유닛,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다른 유한 상태 머신(이러한 배열들이 분리, 통합 및/또는 내장되었는지는 불문)과 같은 로직 엘리먼트의 하나 이상의 어레이들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이다.
설명된 방법은 논리 엘리먼트들의 어레이를 포함하는 머신에 의해 판독가능 및/또는 실행가능한 하나 이상의 세트들로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데이터 저장 매체에서) 실행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개시된 원리 및 새로운 특징과 함께 조화를 이룬다.

Claims (23)

  1. 신호 전송 방법으로서,
    패킷들의 스트림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표시된 기준에 부합하는 패킷들의 흐름을 분리하는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표시된 서비스 품질(QoS) 처리에 따라 상기 패킷들의 흐름을 무선 접속 인터페이스로 맵핑하는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분리하는 요청 및 상기 맵핑하는 요청 중 하나의 실패에 응답하여, 상기 분리하는 요청 및 상기 맵핑하는 요청 중 다른 하나의 철회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호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QoS 처리는 특정 트래픽 흐름을 위한 요청된 데이터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QoS 처리는 QoS 프로파일들의 테이블에 인덱스를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은 상기 패킷의 특정 수신지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하는 요청은 트래픽 흐름 템플릿에 따라 상기 패킷들의 스트림을 필터링하는 요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하는 요청은 상기 패킷들의 흐름 중 각각에 공통인 수신지 어드레스 및 소스 어드레스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하는 요청 및 상기 맵핑하는 요청 중 하나의 실패는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 내에 상기 요청에 대한 승인의 검출 실패에 의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하는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는 트래픽 흐름 템플릿에 따라 패킷들의 스트림을 필터링하는 요청을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맵핑하는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된 QoS 처리에 따라 상기 무선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패킷들의 흐름을 전달하는 요청을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10. 청구항1항에 따른 신호 전송의 방법을 나타내는 기계 실행가능 명령들의 세트를 갖는 데이터 저장 매체.
  11. 신호 전송 방법으로서,
    패킷 필터를 인스톨하는 요청을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패킷 필터에 부합하는 패킷들의 흐름을 무선 접속 인터페이스로 그리고 표시된 서비스 품질(QoS) 처리에 따라 맵핑하는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인스톨하는 요청 및 상기 맵핑하는 요청 중 하나의 실패에 응답하여, 상기 인스톨하는 요청 및 상기 맵핑하는 요청 중 다른 하나의 철회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호 전송 방법.
  12. 청구항11항에 따른 신호 전송의 방법을 나타내는 기계 실행가능 명령들의 세트를 갖는 데이터 저장 매체.
  13. 무선 통신용 장치로서,
    패킷들의 스트림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표시된 기준에 부합하는 패킷들의 흐름을 분리하는 요청을 생성하는 수단;
    표시된 서비스 품질(QoS) 처리에 따라 상기 패킷들의 흐름을 무선 접속 인터페이스로 맵핑하는 요청을 생성하는 수단; 및
    상기 분리하는 요청 및 상기 맵핑하는 요청 중 하나의 실패에 응답하여, 상기 분리하는 요청 및 상기 맵핑하는 요청 중 다른 하나의 철회를 생성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용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QoS 처리는 특정 트래픽 흐름을 위한 요청된 데이터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용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QoS 처리는 QoS 프로파일들의 테이블에 인덱스를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용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은 상기 패킷의 특정 수신지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용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하는 요청을 생성하는 수단은 트래픽 흐름 템플릿에 따라 상기 패킷들의 스트림을 필터링하는 요청을 포함하도록 분리하는 요청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용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분리하는 요청을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용 장치.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하는 요청을 생성하는 수단은 상기 패킷들의 흐름 중 각각에 공통인 수신지 어드레스 및 소스 어드레스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기 위해 분리하는 요청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용 장치.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철회를 생성하는 수단은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 내에서 상기 요청에 대한 승인의 검출 실패에 기초하여 상기 분리하는 요청 및 맵핑하는 요청 중 하나의 실패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용 장치.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맵핑하는 요청을 생성하는 수단은 상기 표시된 QoS 처리에 따라 상기 무선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패킷들의 흐름을 전송하기 위한 요청으로서 상기 맵핑하는 요청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장치는 상기 맵핑하는 요청을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용 장치.
  2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집적 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용 장치.
  2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셀룰러 전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용 장치.
KR1020087003809A 2005-07-19 2006-07-19 서비스 프로세싱의 품질을 위한 시스템들, 방법들 및 장치 KR1009638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0131405P 2005-07-19 2005-07-19
US60/701,314 2005-07-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2831A true KR20080042831A (ko) 2008-05-15
KR100963878B1 KR100963878B1 (ko) 2010-06-16

Family

ID=37459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3809A KR100963878B1 (ko) 2005-07-19 2006-07-19 서비스 프로세싱의 품질을 위한 시스템들, 방법들 및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045515B2 (ko)
EP (1) EP1908233B1 (ko)
JP (1) JP4740331B2 (ko)
KR (1) KR100963878B1 (ko)
CN (1) CN101263695B (ko)
BR (1) BRPI0613558A2 (ko)
CA (1) CA2616121A1 (ko)
RU (1) RU2008106238A (ko)
WO (1) WO20070120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99453B2 (en) * 2000-05-19 2009-03-03 Cisco Technology,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incorporating bandwidth forecasting and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into a broadband communication system
US6993044B2 (en) * 2000-05-19 2006-01-31 Scientific-Atlanta, Inc. Computerized method for allocating access across a shared communication medium
KR100694791B1 (ko) * 2004-02-09 2007-03-14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흐름 제어 프로세스와 연관된 무선 네트워크 동작을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8660527B2 (en) * 2005-02-17 2014-02-25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 of data call origination based on prior origination attempts
US7870231B2 (en) * 2006-07-21 2011-01-11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ly assigning precedence values to new and existing QoS filters
US8654638B2 (en) * 2006-12-19 2014-02-18 Marcin Godlewski Dynamically adjusting bandwidth usage among subscriber streams
JP4406438B2 (ja) 2007-03-22 2010-01-27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
US9681336B2 (en) * 2007-06-13 2017-06-13 Qualcomm Incorporated Quality of service information configuration
US8516136B2 (en) * 2007-07-09 2013-08-20 Alcatel Lucent Web-based over-the-air provisioning and activation of mobile terminals
WO2009012462A1 (en) * 2007-07-18 2009-01-22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template based compression
US8116337B2 (en) * 2007-07-27 2012-02-14 Marcin Godlewski Bandwidth requests transmitted according to priority in a centrally managed network
JP5033603B2 (ja) * 2007-12-04 2012-09-26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端末、無線基地局及びパケット通信方法
US20090190471A1 (en) * 2008-01-10 2009-07-30 Mahendran Arungundram C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ed Session Setup with Network-Initiated QoS Policy Control
JP5036828B2 (ja) * 2008-01-24 2012-09-26 三菱電機株式会社 帯域保証通信システム
US8077668B2 (en) * 2008-01-28 2011-12-13 Kyocera Corporation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radio base station, and packet communication method
US8160099B2 (en) * 2008-01-28 2012-04-17 Kyocera Corporation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radio base station, and packet communication method
US8321654B2 (en) * 2008-05-20 2012-11-27 Alcatel Lucent Methods for initial bootstrap during activation and initial configuration of user terminals in network
US9094943B2 (en) * 2008-09-19 2015-07-28 Qualcomm Incorporated Network and mobile device initiated quality of service
US9100880B2 (en) * 2009-02-13 2015-08-0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QoS translation during handover between wireless networks
US8958837B2 (en) * 2009-04-08 2015-02-17 Qualcomm Incorporated Reducing time for call failure indication
US8744509B2 (en) * 2009-04-08 2014-06-03 Qualcomm Incorporated Reducing time for call failure indication
CN101990325B (zh) * 2009-07-31 2013-04-24 华为技术有限公司 确定及维护多跳网络服务质量参数的方法、装置和系统
US8891380B2 (en) * 2010-02-26 2014-11-1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synchronizing filter records
US20110310731A1 (en) * 2010-06-18 2011-12-22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Controlling network resource usage of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devices
US8908636B2 (en) 2010-06-21 2014-12-0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QoS context transfer during inter radio access technology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10310737A1 (en) * 2010-06-21 2011-12-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qos context transfer during inter radio access technology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787172B2 (en) 2010-06-21 2014-07-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QoS context transfer during inter radio access technology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405980B1 (ko) 2010-10-01 2014-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어텐션 명령의 향상
JP5411203B2 (ja) * 2011-05-25 2014-02-12 株式会社Nttドコモ サービス選択制御装置及びサービス選択制御システム
EP3235230B1 (en) 2014-12-19 2020-07-08 Hubbell Incorporated Internet protocol (ip) serverless page party (spp) station and systems and methods for deploying multiple spp stations
EP3269198B1 (en) * 2015-03-13 2018-06-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traffic aggregation setup between wlan and 3gpp
WO2018165140A1 (en) 2017-03-10 2018-09-13 Hubbell Incorporated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FOR PARTY LINE CALLS AMON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TELEPHONES
US20230025546A1 (en) * 2021-07-16 2023-01-26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of wireless trigger frames using transmission identifier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69895B1 (en) 1996-12-17 2001-01-02 At&T Wireless Svcs. Inc. Landline-supported private base station for collecting data and switchable into a cellular network
US6119167A (en) * 1997-07-11 2000-09-12 Phone.Com, Inc. Pushing and pulling data in networks
GB2341059A (en) * 1998-08-28 2000-03-01 Nokia Oy Ab Internet protocol flow detection
US6577628B1 (en) * 1999-06-30 2003-06-10 Sun Microsystems, Inc. Providing quality of service (QoS) in a network environment in which client connections are maintained for limited periods of time
US7478161B2 (en) * 1999-11-30 2009-01-13 Microsoft Corporation Network quality of service for qualitative applications
US6738361B1 (en) * 2000-05-31 2004-05-18 Nokia Ip Inc.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IP traffic prioritization in IP networks
US6845100B1 (en) 2000-08-28 2005-01-18 Nokia Mobile Phones Ltd. Basic QoS mechanisms for wireless transmission of IP traffic
US7136395B2 (en) 2000-11-30 2006-11-1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ssion of headerless data packets over a wireless link
WO2003007544A2 (en) * 2001-07-10 2003-01-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raffic flow template for managing packet data flows
US7043249B2 (en) * 2002-01-08 2006-05-09 Motorola, Inc. Packet data serving node initiated updates for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US7492762B2 (en) 2002-05-13 2009-02-17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for dynamic flow mapping in a wireless network
US7277455B2 (en) 2002-06-10 2007-10-02 Qualcomm Incorporated Packet flow processing in a communication system
BR0311681A (pt) * 2002-06-10 2006-11-28 Qualcomm Inc processamento de fluxo de pacotes em um sistema de comunicação
CN100426733C (zh) * 2003-01-16 2008-10-15 华为技术有限公司 网络通信中实现资源分配的系统及其方法
US20040260951A1 (en) 2003-04-14 2004-12-23 Lila Madour Method and Packet Data Service Node (PDSN) for Quality of Service (QoS) mapping
JP4509112B2 (ja) 2003-08-06 2010-07-21 ノキア コーポレイション 移動局とipネットワーク間におけるインタフェースでのサービス品質サポート
KR100912416B1 (ko) 2003-08-18 2009-08-18 노키아 코포레이션 라디오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품질 관련 정보를 선택하기위한 장치, 및 관련 방법
KR100849345B1 (ko) * 2003-10-30 2008-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패킷 데이터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품질 제공 방법
US7672317B2 (en) 2003-12-29 2010-03-02 Nokia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devices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between a user equipment and an IP packet gateway
AU2005209897B2 (en) * 2004-02-03 2009-10-22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nd-to-end Quality of Service (QoS)
US7558283B2 (en) * 2004-03-12 2009-07-07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providing quality of service support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63695A (zh) 2008-09-10
CA2616121A1 (en) 2007-01-25
EP1908233B1 (en) 2012-08-15
BRPI0613558A2 (pt) 2011-01-18
JP4740331B2 (ja) 2011-08-03
EP1908233A1 (en) 2008-04-09
WO2007012024A1 (en) 2007-01-25
US20070058545A1 (en) 2007-03-15
KR100963878B1 (ko) 2010-06-16
CN101263695B (zh) 2012-10-10
US8045515B2 (en) 2011-10-25
RU2008106238A (ru) 2009-08-27
JP2009503946A (ja) 2009-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3878B1 (ko) 서비스 프로세싱의 품질을 위한 시스템들, 방법들 및 장치
US9560669B2 (en) Method and devices for specifying the quality of service in a transmission of data packets
TWI398128B (zh) 在一行動電信網路中之優先權載體
US8355413B2 (en) Policy based procedure to modify or change granted QoS in real time for CDMA wireless networks
EP1382214B1 (en) Binding information for ip media flows
US8422373B2 (en) Adaptive multi-rate codec bit rate control in a wireless system
EP1226683B1 (en) Establishing a communications session having a quality of service in a communications system
US7870231B2 (en) Efficiently assigning precedence values to new and existing QoS filters
US20060045128A1 (en) Per flow quality of service (QoS) enforcement for downlink data traffic
US20150103653A1 (en) Conserving network capacity by releasing qos resources
JP2002518952A (ja) 第3世代移動遠隔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ベアラ管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10506459A (ja) 迅速なセッション確立のための予測的なQoSリソース割り当て
JP2004535747A (ja) パケット伝送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umtsコールを処理する方法、およびumtsネットワークのための、前記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ノード
Chen et al. Quality of service support in 1x EV-do revision a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