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2789A - 연질 부재가 탈부착 되는 귀이개 - Google Patents

연질 부재가 탈부착 되는 귀이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2789A
KR20080042789A KR1020080039015A KR20080039015A KR20080042789A KR 20080042789 A KR20080042789 A KR 20080042789A KR 1020080039015 A KR1020080039015 A KR 1020080039015A KR 20080039015 A KR20080039015 A KR 20080039015A KR 20080042789 A KR20080042789 A KR 20080042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wax
ear
earpick
soft
sof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9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원동
Original Assignee
양원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원동 filed Critical 양원동
Priority to KR1020080039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42789A/ko
Publication of KR20080042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27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06Ear cleaners, e.g. curet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38Swabs having a stick-type handle, e.g. cotton ti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syc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ody Washing Hand Wipe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귀이개의 몸체와 탈부착 되는 연질 부재로 이루어진 귀지 운반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상기 귀지를 파내는 귀지 운반부와 손잡이가 나사 및 단 턱 또는 끼움 식으로 분해결합되며 귀 청소시 상처를 방지하고 귀지청소시 피부와의 접지력이 좋아 귀지를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기 위하여 상기 귀이개 몸체에 연결되는 연질소재로 이루어진 연질 부재가 부착된 귀이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질 부재가 탈부착 되는 귀이개{soft of separate and stick an instrument for cleaning the ears}
본 발명은 귀이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귓구멍 속에 인체 분비물이나 때, 먼지 등이 엉겨붙어 형성된 귀지를 파내기 위한 기구인 귀이개의 몸체에 탄성 체의 연질 부재를 자유롭게 탈부착 할 수 있는 기능성 귀이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가정에서 귀이개로 귀지를 제거하다 보면 자칫 귀 안에 상처가 생기기 쉽고 자칫하면 피가 나오게 되며 이때 피가 묻은 귀이개를 깨끗이 소독하지 않고 다른 사람이 사용하면 세균에 노출되기 십상이다.
특히 하절기 물놀이에 의한 귓병 환자가 병원을 찾는 사례가 늘고 있는데 이는 물속에 들어가면 귓속이 오염된 물과 접촉하는 데다 젖은 귀지 등을 파내는 과정에서 염증이 잘 생기기 때문이다.
가장 흔한 귓병은 귓바퀴 안쪽에 잘 생기는 외이도(外耳道)염이며 귓바퀴는
통상 3천여 개의 솜털로 덮여 귀지를 만들면서 귀를 보호한다. 그런데 물놀이를 하면 이 귀지가 축축하게 불면서 S자 형의 이도(耳道)를 막게 되고 수영장 다녀온 뒤부터 귀가 멍하고 소리도 잘 안 들린다고 호소하는 이유도 이 때문이며 답답한 마음에 귀를 후비다 보면 가족 중 다른 사람이 사용하였던 귀이개의 세균이 약해진 귀 점막을 통하여 세균에 감염되거나 자신의 귀의 세균에 의하여 감염을 일으키는 경우가 흔하게 발생 되게 된다.
개시된 본 발명은, 귀지를 인출하는 귀지 운반부가 자유로이 분해 결합이 되며 연질의 탄성체로 이루어져 귀에 자극을 주지않고 제거 효과가 크며 제작 및 구비에 대한 단가가 낮출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사후관리가 필요 없게 되며, 귀지제거시에 귀속 조직의 손상 우려를 배제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인체의 귓구멍에는 먼지와 때와 분비물 등이 엉겨붙은 귀지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귀지는 보통 정기적으로 소제해야만 소리로 잘 들을 수가 있고 귀에서 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어 이를 위해 시중에는 업소의 면봉을 비롯하여 딱딱한 금속이나 나무 합성수지소재로 된 귀이개가 널리 쓰이고 있다.
일반적인 귀이개는 봉채로 이루어진 손잡이에 귀지를 배출하는 스푼이 일체로 형성되며 손잡이를 잡고 귀에 부착되는 말단부에는 상기 스푼 모양으로 만든 귀지를 담아내는 구조와 나선형이나 회오리형태의 구조로 귀지를 묻혀 나오는 구조로 형성 되기도 한다.
이러한 귀이개는 보통 금속 체로 형성되므로 귓속 조직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으며, 또 긴 봉의 끝에 면을 말아둔 면봉을 귀이개로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면봉은 귀지를 효과적으로 인출해낼 수 없으며 최근에는 진공력으로 귀지를 자연스럽게
흡출해내는 장치가 발명되어 있는데 이는 고막이 약한 사람은 자칫하면 고막의 손상이 갈 수가 있으므로 주의해서 사용하여야한다.
본원 발명은 상기하였듯이 귀이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귀 청소시 감염과 상처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귀이개 몸체에 탈부착할 수 있는 연질 및 탄성 소재로 이루어진 귀지 운반부가 부착된 기능성 귀이개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원발명은 귓구멍을 통하여 용이하게 귀속 내부에 진입함은 물론 연질의 탄성체에 의하여 귓속 피부나 점막의 접촉시에도 상처를 내지않으며 귀지를 보다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귀이개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작 및 구비에 대한 단가를 낮출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시 귀속 내부의 조직을 상처 내지 않고 간편하게 부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과다한 흡입력에 의한 귓속 조직의 손상 우려를 배제시킬 수도 있게 되도록 하는 연질 부재의 귀지 운반부를 탈부착할 수 있는 기능성 귀이개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은 연질성 귀이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귀지 운반부와 연결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져 귀의 외이도를 통하여 귓속 내부 깊숙이 부드럽게 진입함은 물론 귓속 피부나 점막의 접촉을 최소화하면서도 귀지를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되는 연질 부재로 이루어진 귀지 운반부를 귀이개 손잡이와 자유롭게 탈부착할 수 있는 귀이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귓속은 소리의 유입은 용이하면서도 외부에서 이물질이나 물 등이 유입되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물이나 이물질은 고형화된 후 귀지로서 존재하게 되고, 근육의 움직임에 의해 자연배출토록 된다.
그리고 이러한 귀지는 배출이 되지않고 귓속에 막혀 커질 경우 소리를 잘 들리지 않게 됨은 물론 귓속에 이물감을 주게 되어 답답하고 가려우며 생활에 지장을 주게 되었으며, 이러한 귀지는 자연배출이 힘들게 되어 강제적인 배출을 필요로 하게
되어 대중 목욕탕에 가보면 귀를 소제 하는 사람들을 흔하게 볼수 있었다.
종래의 귀를 소제 방법은 딱딱하고 날카로운 금속재의 스푼이나 회오리 형상으로 이루어진 귀이개로 귀지를 떼어내는 것은 원시적인 방법이며, 귀지 소제시 귓구멍 내부의 연한 표피에 상처를 내고, 출혈시키는 등 불편한 점이 많았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귀속의 피부나 점막 등에 부착되는 귀지를 피부조직이나 점막의 손상 없이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고, 부드러운 귀지 운반부를 선택하여 귀이개의 진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탄성체를 갖는 연질용 귀이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귀이개는, 귀이개의 손잡이에 간편하게 탈부착 되므로 구조와 사용이 간단하게 사용될 수 있고 연질의 탄성체로 이루어져 귀지의 제거 효과가 크면서도 제작 및 구비에 대한 단가가 낮출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사후 관리가 필요 없게 되며, 종래 딱딱한 금속 귀이개의 사용으로 인한 귀 점막의 상처를 방지할 수 있을뿐더러 과다한 흡입력에 의한 귀속 조직의 손상 우려를 방지할 수 있으면 귀지청소시 피부와의 접지력이 좋아 귀지를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본원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원 발명은 귀이개의 몸체와 탈부착 되는 연질 부재로 이루어진 귀지 운반부에 관한 것으로 귓속에 귀지를 파내는 귀이개는 귓속을 소제시 손에 잡고 파지하는 손잡이(40)와 귀지를 운반하는 귀지 운반부(60)로 구성되며 합성수지, 실리콘, 고무, 제지 소재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진 연질 및 탄성체를 갖는 연질 부재(80)로 상기 귀지 운반부(60)가 이루어지며 상기 귀지 운반부(60)는 귀이개 손잡이(40)와 연결부(100)를 통하여 연결 및 해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연결부(100)는 나사, 단턱, 끼움식중 바람직하게 선택된 어느 하나의 수단으로 분해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질 부재가 탈부착 되는 귀이개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고 아래에서는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더욱 복잡하게 하거나 불필요하게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간략하게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당업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본원의 제조방식은 통상의 바람직한 제조방법에 모두 포함될 수 있는 것이며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에 내시 된 도면을 살펴보면;
도 1과 2는 종래의 귀이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봉채로 이루어진 손잡이에 귀지를 배출하는 스푼이 일체로 형성되며 손잡이를 잡고 귀에 부착되는 말단부에는 상기 스푼 모양으로 만든 귀지를 담아내는 구조와 나선형이나 회오리형태의 구조로 귀지를 묻혀 나오는 구조로 이루어진 통상의 귀이개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연질 부재가 탈부착 되는 귀이개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로서 금속, 목재, 세라믹,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진 귀이개 몸체(20)와 귓속을 소제시 손에 잡고 파지하는 손잡이(40)와 일체화되어 상기 귓속에서 적출하는 귀지를 운반하는 스푼이나 나선형이나 회오리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진 귀지 운반부(60)로 구성되며 본원 발명은 합성수지, 실리콘, 고무, 제지 소재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진 연질 및 탄성체를 갖는 연질 부재(80)로 이루어진 귀지 운반부(60)가 상기 귀이개 몸체(20)에 탈부착 되는데 상기 탈부착수단은 나사결합, 단턱, 끼움식등 과 같은 다양한 결합수단을 갖게 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귀이개 몸체 전체를 연질몸체로 제조하여도 바람직하고 이때는 상기 귀이개 내부에 통상의 직진성이 있는 편심을 인설하여 제조하게 되는데 상기 귀이개를 연질몸체로 전체를 만들면 귀 소제시 힘을 못 받아 내부에 편심을 삽입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귀지 운반부(60)에 컬러나 문자 도형을 형성하여 가정이나 업소에서 사용시에 본인의 것을 간편하게 부착하여 사용됨으로 귀에 염증 시 발생하는 교차 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연질 부재(80)가 탈부착 되는 귀이개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로서 귀이개 몸체(20)와 손잡이(40)와 스푼형 또는 나선형 및 타원형으로 이루어진 귀지 운반부(60)와 이와 탈부착하는 스푼 및 나선형형태로 이루어진 귀 지 운반부(60)와 상기 연질 부재(80)를 상기 귀이개 손잡이(40)와 분해 결합하는 귀지 운반부 연결부(100)로 이루어진 본원의 귀이개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귀이개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작 및 구비에 대한 단가를 낮출 수 있을 뿐 아니라, 간편하게 탈부착하여 일회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과다한 흡입력에 의한 귓속 조직의 손상 우려를 배제시킬 수도 있게 되도록 하는 연질 부재(80)를 탈부착할 수 있는 귀이개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이처럼 본원의 귀이개는 상술하였듯이 귀이개에 부착 및 탈착되는 연질 부재(80)를 부착할 수 있는 연질소재 또는 탄성체가 구성됨으로 사용시에 귓속의 피부나 점막 등에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귀지청소시 피부와의 접지력이 좋아 귀지를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마찰력이 뛰어난 연질 부재(80)가 부착되므로 귀 소제시 긁어지는 귀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납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며 상기에 기재된 본원 발명은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원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귀이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귀이개를 나타낸 또 다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연질 부재가 탈부착 되는 귀이개에 있어 스푼형 귀이개의 일실 시 예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연질 부재가 탈부착 되는 귀이개에 있어 나선형 귀이개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연질 부재가 탈부착 되는 귀이개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귀이개 몸체 40: 손잡이
60: 귀지 운반부 80: 연질 부재
100: 연결부

Claims (3)

  1. 귓속에 귀지를 파내는 귀이개에 있어서
    상기 귀이개는 귓속을 소제시 손에 잡고 파지하는 손잡이(40)와 귀지를 운반하는 귀지 운반부(60)로 구성되며 합성수지, 실리콘, 고무, 제지 소재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진 연질 및 탄성체를 갖는 연질 부재(80)로 상기 귀지 운반부(60)가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질 부재가 탈부착 되는 귀이개.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귀지 운반부(60)는 귀이개 손잡이(40)와 연결부(100)를 통하여 연결 및 해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질 부재가 탈부착 되는 귀이개.
  3.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00)는 나사, 단턱, 끼움식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수단으로 분해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질 부재가 탈부착 되는 귀이개.
KR1020080039015A 2008-04-25 2008-04-25 연질 부재가 탈부착 되는 귀이개 KR200800427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9015A KR20080042789A (ko) 2008-04-25 2008-04-25 연질 부재가 탈부착 되는 귀이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9015A KR20080042789A (ko) 2008-04-25 2008-04-25 연질 부재가 탈부착 되는 귀이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2789A true KR20080042789A (ko) 2008-05-15

Family

ID=39649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9015A KR20080042789A (ko) 2008-04-25 2008-04-25 연질 부재가 탈부착 되는 귀이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4278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789Y1 (ko) * 2008-09-16 2011-07-28 송우섭 개선된 귀이개, 및 귀이개 및 이쑤시개를 함께 수용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789Y1 (ko) * 2008-09-16 2011-07-28 송우섭 개선된 귀이개, 및 귀이개 및 이쑤시개를 함께 수용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66829C (en) Device for extracting dried nasal mucus or earwax
MX2007007199A (es) Implemento para el cuidado oral.
US20160361078A1 (en) Oral debris extractor
EP0923359B1 (en) Ear and nose hygiene device
US20190374394A1 (en) Ear/Nose Cleaning Device
US9681932B2 (en) Intraoral biofilm control apparatus
KR20080042789A (ko) 연질 부재가 탈부착 되는 귀이개
US9867738B2 (en) Ear wax remover and cleaner
WO1999055219A1 (en) Medical endoscope infection prevention device for only one use
US20110184427A1 (en) Oragienic Personal Dental Assistant
KR20080042790A (ko) 커버가 탈부착 되는 귀이개
KR200416320Y1 (ko) 구취제거용 치아보조구
KR102300942B1 (ko) 여성 환자용 프리 소변기
ES2892928T3 (es) Dispositivo para el cuidado bucal
KR200280921Y1 (ko) 치실을 내장한 치아 세정지
US7669607B2 (en) Interdental space cleaner
JP2019071945A (ja) 耳垢吸引アタッチメント
CN217391022U (zh) 一种新生儿耳腔清理器具
CN211156394U (zh) 一种多功能牙签
US2023000051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ral hygiene
KR200283021Y1 (ko) 이쑤시개
JP2006034305A (ja) 口腔内吸引器具及び装置
CN214231716U (zh) 一种耳鼻喉科护理用耳朵清理装置
KR20090003312U (ko) 콧구멍 이물질 제거기
US6652550B1 (en) Tongue clea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