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2301A - 외장형 높이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외장형 높이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2301A
KR20080042301A KR1020060110532A KR20060110532A KR20080042301A KR 20080042301 A KR20080042301 A KR 20080042301A KR 1020060110532 A KR1020060110532 A KR 1020060110532A KR 20060110532 A KR20060110532 A KR 20060110532A KR 20080042301 A KR20080042301 A KR 20080042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support block
height adjusting
lead screw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0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건창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0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42301A/ko
Publication of KR20080042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23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5Housing aspects of ATM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s on the outside of cas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02/00Electronic funds transfer
    • Y10S902/08Terminal* with means permitting deposit or withdrawal, e.g. ATM

Abstract

본 발명은 금융자동화기기의 하부에 설치된 캐스터의 파손시 번거로운 교체작업을 거치지 않고도 대체수단으로 손쉽게 장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외장형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몸체 중간의 수직방향으로 탭이 형성된 관통홀이 구성되고, 지지대상물의 하면을 떠받치는 지지블록; 상기 관통홀에 결합되어 지지블록을 승강시키는 높이조절수단; 상기 높이조절수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홀이 형성된 받침대; 를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금융자동화기기의 하부에 설치된 캐스터의 파손시 대체수단으로 손쉽게 장착시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캐스터, 외장형, 높이조절장치, 대체수단

Description

외장형 높이조절장치 {External adjuster}
도 1은 일반적인 금융자동화기기의 하면을 지지하고 있는 캐스터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외장형 높이조절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외장형 높이조절장치의 정단면도,
도 5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외장형 높이조절장치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높이조절장치 11 : 지지블록
12 : 관통홀 20 : 높이조절수단
21 : 리드스크류 22 : 조절너트
23 : 결합부 25 : 고정편
30 : 받침대 31 : 결합홀
32 : 안착홈 35 : 받침고무
40 : 탄성고무링 50 : 바닥면
본 발명은 외장형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금융자동화기기의 하부에 설치된 캐스터의 파손시 번거로운 교체작업을 거치지 않고도 대체수단으로 손쉽게 장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외장형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자동화기기(ATM)는 금융서비스와 관련하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상담업무를 제외한 다양한 서비스를 무인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장치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금융자동화기기의 하면을 지지하고 있는 캐스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금융자동화기기(100)의 하부 모서리에는 다수개의 캐스터(110)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캐스터(110)는 금융자동화기기(100)의 이동, 설치 및 유지보수를 손쉽게 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으로, 이송수단의 목적 이외에 높이조절수단으로도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 금융자동화기기(100)가 설치된 상태에서 캐스터(110)가 파손되었을 경우, 상기 금융자동화기기(100)의 내부에 구성된 지폐입출금모듈을 분리시킨 후 기기본체를 눕히거나, 일측을 어느 정도의 각도로 들어올린 후 하면에 장착된 캐스터(110)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금융자동화기기의 하부에 설치된 캐스터의 파손시 번거로운 교체작업을 거치지 않고도 대체수단으로 손쉽게 장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외장형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외장형 높이조절장치는,
몸체 중간의 수직방향으로 탭이 형성된 관통홀이 구성되고, 지지대상물의 하면을 떠받치는 지지블록; 상기 관통홀에 결합되어 지지블록을 승강시키는 높이조절수단; 상기 높이조절수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홀이 형성된 받침대; 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관통홀에 체결되는 리드스크류; 와 상기 리드스크류의 하부에 형성되어 리드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조절너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수단의 하부에 형성되어 받침대의 결합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가 받침대의 결합홀에서 빠지지 않도록 고정결합되는 고정편; 및 상기 고정편이 회전가능하게 안착 걸림 될 수 있도록 받침대의 저 면에 일정깊이로 형성된 안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블록과 조절너트 사이에는 탄성고무링이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블록의 상면 양측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종래 구성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 및 명칭을 사용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외장형 높이조절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외장형 높이조절장치의 정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외장형 높이조절장치는 지지블록(11), 관통홀(12), 높이조절수단(20), 받침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블록(11)은 금융자동화기기(100)와 같은 지지대상물의 하면에 맞닿아 떠받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블록(11)의 상면 양측에는 걸림돌기(11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돌기(11a)는 상기 금융자동화기기(100)의 하면 모서리 부근에 형성된 돌출부(101)에 걸리도록 설치하여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관통홀(12)은 상기 지지블록(11)의 중심에 수직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관통홀(12)에는 탭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높이조절수단(20)은 상기 관통홀(12)에 결합되는 리드스크류(21)와, 상기 리드스크류(21)를 회전시키는 조절너트(22)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블록(11)을 일정범위 내에서 승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너트(22)의 하면에는 일정길이로 형성된 결합부(23)와 상기 결합부(23)에 결합고정되는 고정편(25)이 구성된다.
상기 받침대(30)는 중심에 결합홀(31)이 관통형성되고, 저면에는 상기 결합홀(31) 보다 약간큰 직경의 안착홈(32)이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받침대(30)는 상기 높이조절수단(20)이 회전가능하도록 바닥면(50)에서 받쳐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높이조절수단(20)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부(23)가 결합홀(3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결합부(23)의 하면에는 고정편(25)이 고정결합되어 안착홈(32)에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높이조절수단(20)이 받침대(30)에서 빠지지 않고 회전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편(25)은 상기 결합부(23)에 용접 또는 볼트(도면에 미도시)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블록(11)과 조절너트(22) 사이에는 탄성고무링(40)이 삽입되어 있어, 상기 지지블록(11)과 조절너트(22)가 강하게 체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받침대(30)의 저면에는 탄성이 있는 받침고무(35)가 부착되어 있 다.
도 5의 (a)(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외장형 높이조절장치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도 5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융자동화기기(100)의 저면 모서리 부근에 장착된 다수개의 캐스터(110) 중 어느 하나가 파손되었을 경우, 상기 캐스터(110)의 대체수단으로 외장형 높이조절장치(10)를 상기 금융자동화기기(100)의 저면 모서리 부근에 위치시킨다.
이 경우 상기 높이조절장치(10)가 설치도중에 유동하지 않도록 금융자동화기기(100)의 저면 돌출부(101)에 지지블록(11)의 걸림돌기(11a)가 걸릴 수 있도록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높이조절수단(20)의 조절너트(22) 부분을 스패너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일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리드스크류(21)의 나사산을 따라서 상기 지지블록(11)이 상승하게 된다.
상기 상승하는 지지블록(11)은 금융자동화기기(100)의 하면에 맞닿아 들어올리게 되고, 상기 금융자동화기기(100)가 적당한 수평을 이룰 때까지 조절너트(22)를 조절하면 설치가 완료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외장형 높이조절장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하부에 설치된 캐스터의 파손시 대체수단으로 손쉽게 장착시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몸체 중간의 수직방향으로 탭이 형성된 관통홀이 구성되고, 지지대상물의 하면을 떠받치는 지지블록;
    상기 관통홀에 결합되어 지지블록을 승강시키는 높이조절수단;
    상기 높이조절수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홀이 형성된 받침대;
    를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높이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관통홀에 체결되는 리드스크류; 와 상기 리드스크류의 하부에 형성되어 리드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조절너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높이조절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의 하부에 형성되어 받침대의 결합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가 받침대의 결합홀에서 빠지지 않도록 고정결합되는 고정편; 및 상기 고정편이 회전가능하게 안착 걸림 될 수 있도록 받침대의 저면에 일정깊이로 형성된 안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높이조절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과 조절너트 사이에는 탄성고무링이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높이조절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의 상면 양측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높이조절장치.
KR1020060110532A 2006-11-09 2006-11-09 외장형 높이조절장치 KR200800423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0532A KR20080042301A (ko) 2006-11-09 2006-11-09 외장형 높이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0532A KR20080042301A (ko) 2006-11-09 2006-11-09 외장형 높이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2301A true KR20080042301A (ko) 2008-05-15

Family

ID=39649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0532A KR20080042301A (ko) 2006-11-09 2006-11-09 외장형 높이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423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801B1 (ko) * 2010-12-02 2015-01-2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리프터 지지 기구를 갖춘 반송 로봇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801B1 (ko) * 2010-12-02 2015-01-2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리프터 지지 기구를 갖춘 반송 로봇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4160B1 (ko) 내진기능을 갖춘 물탱크 지지장치
JP4985171B2 (ja) ロードポート装置の取付装置
JP2018520937A5 (ko)
CN106885111A (zh) 一种led显示屏支架
KR20080042301A (ko) 외장형 높이조절장치
US20080134535A1 (en) Picture hanging device
CN201578951U (zh) 可调节的袋式除尘器袋笼
CN104929465A (zh) 便捷式调节轻重型移门滑轮
CN102112937A (zh) 操作单元的对位构造
CN105243961A (zh) 地砖屏底座架的安装结构
CN204984033U (zh) 便捷式调节轻重型移门滑轮
CN210780383U (zh) 一种可调节高度的电机水平微调机构
CN209875039U (zh) 一种垂直生命线滑块无障碍通行支撑装置
KR200420153Y1 (ko) 기울기 조정이 가능한 지주
CN214090092U (zh) 一种挖掘机配重安装调整垫片及挖掘机
CN209412605U (zh) 一种支撑底座及造纸设备
KR100952932B1 (ko) 도어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양문형 통신기기 랙
CN108758298A (zh) 一种放置稳固的可调式办公计算机显示器安装架
CN209659445U (zh) 一种相邻尺寸液晶屏共用的电视背板结构
JP4261595B2 (ja) 切断装置
JP4881204B2 (ja) 位置合せ装置
JP2007176623A (ja) リフター
KR20140006267U (ko) 핀형 지지기구 고정 장치
KR20090035053A (ko) 모니터용 스탠드
KR20050093367A (ko) 디스플레이 패널 장치의 승강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