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1786A - 콘크리트 거푸집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거푸집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1786A
KR20080041786A KR1020060109807A KR20060109807A KR20080041786A KR 20080041786 A KR20080041786 A KR 20080041786A KR 1020060109807 A KR1020060109807 A KR 1020060109807A KR 20060109807 A KR20060109807 A KR 20060109807A KR 20080041786 A KR20080041786 A KR 20080041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flat tie
elastic
formwork
tightening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9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필홍령
Original Assignee
필홍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필홍령 filed Critical 필홍령
Priority to KR1020060109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41786A/ko
Publication of KR20080041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17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 E04G17/065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 E04G17/0658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remaining completely or partially embedded in the cast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7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means of wedge-shaped members
    • E04G17/0707One-piece elements
    • E04G17/0714One-piece elements fully recoverable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 고정장치는, 일측선단 양 측면에 일정구간 톱니부가 형성되고, 톱니부의 후방에는 표면에서 돌출된 걸림턱부가 구비되며, 타측선단에는 고정핀홀이 형성된 구조의 플랫타이(30)와, 상기 플랫타이와 체결되는 체결수단과, 상기 체결수단에 대해 갱폼거푸집 바깥쪽으로 탄성적인 압력을 가하는 인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수단은, 플랫타이의 톱니부측 일단이 인입되도록 전면이 개방되고 전면측에서 후면측으로 가면서 직경이 커지는 원뿔파이프형태의 케이싱(40)과, 케이싱에 내장되며 서로 마주보는면에 플랫타이의 톱니부와 치합되는 톱니부가 형성된 대칭형태로서 케이싱의 앞뒤방향으로 이동시 서로간의 간격이 확장 또는 축소 가능한 한쌍의 조임턱부재(42)와, 상기 케이싱 내에서 양 조임턱부재를 서로간의 간격이 축소되도록 앞쪽으로 탄성압박하는 스프링(44)과, 양 조임턱부재를 서로 결속하며 양 조임턱부재간의 간격을 확장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결속구(46)와, 연결부재(48)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재는, 케이싱 후면에 부착되는 받침판부(481)와, 받침판부에서 돌출형성되어 갱폼거푸집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연결봉부(482)와, 받침판부에서 케이싱 안쪽으로 돌출형성되며 그 선단이 상기 탄성결속구와 결속될 수 있는 형태의 걸림후크부(485)로 구성된다.
상기 인출수단은, 갱폼거푸집의 외측면에 결속되며 상기 연결봉부가 관통하 는 탄성판과, 탄성판을 관통한 연결봉부를 임시 고정하는 클립과, 연결봉부의 후선단에 형성된 받침부와 탄성판 사이에 구비되어 연결봉부를 바깥쪽으로 탄성압박하는 인출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세파타이와 결속기구가 원터치 방식으로 결속되고, 그 분리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거푸집 해체 과정에서 결속기구를 분리하기 위해 갱폼거푸집 외부에서 고소(高所)작업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거푸집설치 및 해체에 따른 작업효율이 향상되고, 작업안정성 또한 높아진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거푸집 고정장치{mold connecting unit}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 고정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a, 2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 고정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a, 3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 고정장치에 의해 거푸집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 고정장치에서 조임턱부재와 탄성결속구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a, 5b, 5c는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 고정장치에 의해 양 거푸집이 고정된 상태에서 해체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예시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유로폼거푸집 12: 갱폼거푸집
30: 플랫타이 301: 톱니부
302: 걸림턱부 40: 케이싱
42: 조임턱부재 421: 톱니부
44: 스프링 46: 탄성결속구
48: 연결부재 481: 받침판부
482: 연결봉부 483: 연결홈
484: 받침부 485: 걸림후크부
50: 탄성판 52: 결속후크
54: 클립 56: 인출스프링
본 발명은 콘크리트 거푸집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외벽 시공시에 설치되는 갱폼거푸집 및 유로폼거푸집의 설치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거푸집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건물의 축조시에는 건축물의 벽체 구축을 위해서 주로 유로폼이나 갱폼과 같은 재사용이 가능한 거푸집을 주로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거푸집을 사용하여 벽체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일단 구축하고자 하는 벽체의 두께만큼 간격을 유지하도록 유로폼거푸집과 갱폼거푸집을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한 후 설치된 각각의 거푸집 사이에 콘크리트 몰타르를 타설하여 벽체를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거푸집 설치 시에는 내외부 거푸집(유로폼, 갱폼)이 항상 일정한 간 격을 유지함과 동시에 내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몰타르의 횡방향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거푸집 고정장치를 설치하게 되는데, 종래의 거푸집 고정장치는,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유로폼거푸집(10)에 그 일단이 삽입되는 세파타이(20)와, 상기 세파타이(20)의 타단이 삽입결합되는 콘너트(22)와, 갱폼거푸집(12)을 관통하여 상기 콘너트(22)에 그 일단이 결합되는 타이볼트(24)와, 상기 타이볼트(24)의 타단에 결합되어 갱폼거푸집(12)에 고정되는 스프링와셔(26) 및 나비너트(28)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의 거푸집 고정장치에 의하면 나사산이 형성된 세파타이(20)의 일측단을 콘너트(22)에 나사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세파타이(20)와 타이볼트(24)를 연결하게 되며, 타이볼트(24)와 나사연결된 나비너트(28)를 돌려서 타이볼트(24)를 길이방향으로 움직여 타이볼트(24)가 갱폼거푸집(12)에 삽입되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유로폼거푸집(10)과 갱폼거푸집(12)간의 간격을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유로폼거푸집(10)과 갱폼거푸집(12)이 고정된 상태에서 양 거푸집(10)(12) 사이에 콘크리트 몰타르를 타설하여 벽체를 구축하게 된다.
한편, 하나의 벽체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벽체의 크기에 따라 작게는 수십개에서 많게는 수백개 까지의 거푸집 고정장치가 사용되는데, 종래기술에 의하면, 고정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 세파타이(20)를 콘너트(22)에 나사결합시키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하며, 양 거푸집간(10)(12)의 간격을 조절하는 작업 또한 나비너트(28)를 돌려서 맞추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타이볼트(24)를 움직이는 과정에서 타이볼트(24)와 나비너트(28)의 나사결합 특성상 조작시간이 길어짐으로써 거푸집 설치시의 작업효율이 크게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벽체를 구성한 후에는 각 거푸집(10)(12)을 해체하여야 하는데, 종래기술에 의하면 거푸집 해체과정에서도 나비너트(28)를 돌려서 나사결합된 타이볼트(24)로부터 분리한 다음 타이볼트(24)를 인출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거푸집 해체작업시에 갱폼거푸집(12)의 외부 즉 건물밖에서 나비너트(28)를 돌려서 풀어야 하기 때문에 고층건물의 축조시에는 고소작업의 위험이 가중된다는 문제점 또한 유발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원터치 방식으로 세파타이가 체결됨으로써 그 설치가 극히 용이하고, 해체작업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거푸집 고정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 고정장치는, 일측선단 양 측면에 일정구간 톱니부가 형성되고, 톱니부의 후방에는 표면에서 돌출된 걸림턱부가 구비되며, 타측선단에는 고정핀홀이 형성된 구조의 플랫타이와, 상기 플랫타이와 체결되는 체결수단과, 상기 체결수단에 대해 갱폼거푸집 바깥쪽으로 탄성적인 압력을 가하는 인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수단은, 유로폼거푸집을 관통한 플랫타이의 톱니부측 일단이 인입되도록 전면이 개방되고 전면측에서 후면측으로 가면서 직경이 커지는 원뿔파이프형태의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내장되며 서로 마주보는면에 상기 플랫타이의 톱니부와 치합되는 톱니부가 형성된 대칭형태로서 케이싱의 앞뒤방향으로 이동시 서로간의 간격이 확장 또는 축소 가능한 한쌍의 조임턱부재와, 상기 케이싱 내에서 양 조임턱부재를 서로간의 간격이 축소되도록 앞쪽으로 탄성압박하는 스프링과, 상기 양 조임턱부재를 서로 결속하며 양 조임턱부재간의 간격을 확장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결속구와, 연결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재는, 케이싱 후면에 부착되는 받침판부와, 받침판부에서 돌출형성되어 갱폼거푸집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연결봉부와, 받침판부에서 케이싱 안쪽으로 돌출형성되며 그 선단이 상기 탄성결속구와 결속될 수 있는 형태의 걸림후크부로 구성된다.
상기 인출수단은, 갱폼거푸집의 외측면에 결속되며 상기 연결봉부가 관통하는 탄성판과, 탄성판을 관통한 연결봉부를 임시 고정하는 클립과, 연결봉부의 후선단에 형성된 받침부와 탄성판 사이에 구비되어 연결봉부를 바깥쪽으로 탄성압박하는 인출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양 조임턱부재는 교합면 하단이 일정 깊이만큼 절삭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결속구는 그 양단이 양 조임턱부재의 절삭된 부분에 감기고 중간부위가 후방으로 돌출되어 평행하는 두줄의 철사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재의 걸림후크부는 탄성결속구와의 결합각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쐐기패널 형태 로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수단의 스프링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가면서 직경이 점차 확대되어 각 부분이 서로 중첩되지 않는 소용돌이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2a 부터 도 5c까지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 고정장치는 도 2a, 2b에 나타난 것과 같이 유로폼거푸집(10)(도 3a 참조)이 끼워지는 플랫타이(30)와, 상기 플랫타이(30)와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어 유로폼거푸집(10)과 갱폼거푸집(12)을 연결하는 체결수단과, 상기 체결수단에 대해 갱폼거푸집(12) 바깥쪽으로 탄성적인 압력을 가하는 인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플랫타이(30)는 그 앞부분 양 측면에 일정구간 톱니부(301)가 형성되고, 톱니부(301)의 후방에는 표면에서 돌출된 걸림턱부(302)가 형성되며, 뒷부분에는 고정핀홀(30a)이 형성된 플레이트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수단은 플랫타이(30)의 톱니부측 선단이 인입되도록 전면(前面)이 개방된 원뿔파이프 형태의 케이싱(40)과, 상기 케이싱(40)에 내장되어 플랫타이(30)의 톱니부(301)에 대해 물림작용을 행하는 한쌍의 조임턱부재(42)와, 케이싱(40)내에서 양 조임턱부재(42)를 앞부분으로 탄성압박하는 스프링(44)과, 양 조임턱부재(42)를 서로 결속하며 양 조임턱부재(42)간의 간격을 확장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결속구(46)와, 케이싱(40)의 후면에 부착되는 연결부재(48)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싱(40)은 전면측에서 후면측으로 가면서 직경이 커지는 원뿔형태이고, 상기 양 조임턱부재(42)는 대칭형태이며 서로 마주보는면(교합면)에 플랫타이(30)의 톱니부(301)와 치합되는 톱니부(421)가 형성된 구조로서 상기 케이싱(40) 내에서 케이싱(40)의 앞뒤방향으로 이동시 서로간의 간격이 확장 또는 축소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도 4에 나타난 것과 같이 탄성결속구(46)는 그 양단이 양 조임턱부재(42)에 감기고 중간부위가 후방으로 돌출되어 평행하는 두줄의 철사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양 조임턱부재(42)는 교합면 하단이 일정 깊이만큼 절삭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결속구(46)는 조임턱부재(42)의 절삭된 부분을 감싸게 됨으로써 양 조임턱부재(42) 사이로 인입되는 플랫타이(30)와 탄성결속구(46)가 간섭되지 않게 된다.
상기 스프링(44)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가면서 직경이 점차 확대되어 각 부분이 서로 중첩되지 않는 소용돌이 형태로 이루어진다.
연결부재(48)는 케이싱(40) 후면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부착되는 받침판부(481)와, 받침판부(481)에서 돌출형성된 연결봉부(482)와, 받침판부(481)에서 연결봉부(482)의 반대쪽으로 돌출형성된 걸림후크부(485)로 구성된다.
상기 걸림후크부(485)는 탄성결속구(46)와 결합각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쐐기패널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인출수단은, 갱폼거푸집(12)의 외측면에 결속후크(52)에 의해 결속되며 상기 연결봉부(482)가 관통하는 탄성판(50)과, 탄성판(50)을 관통한 연결봉부(482)와 탄성판(50)을 임시 고정하는 클립(54)과, 연결봉부(482)의 후선단에 형성된 받침부(484)와 탄성판(50) 사이에 구비되어 연결봉부(482)를 갱폼거푸집(12)의 바깥쪽으로 탄성압박하는 인출스프링(56)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연결봉부(482)의 후단 둘레에는 타부위보다 직경이 작은 걸림홈(483)(도 5c 참조)이 형성되고, 상기 클립(54)은 탄성판(50)의 측면을 관통하여 가로지르는 구조로 장착되고 후술된 바와 같이 그 양단이 연결봉부(482)의 걸림홈(483)에 걸리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 고정장치에 의하면 원터치 방식으로 유로폼거푸집과 갱폼거푸집을 결속, 해체할 수 있는데 이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고정장치를 이용한 거푸집 설치과정 및 고정장치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거푸집을 설치하는 과정에서는 먼저 도 3a, 3b에 나타난 것과 같이 체결수단과 인출수단을 갱폼거푸집(12)에 장착하게 된다.
체결수단은 앞서말한 바와 같이 연결부재(48)의 연결봉부(481)가 갱폼거푸집(12)을 관통하여 그 후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장착되며, 인출수단은 탄성판(50)이 결속후크(52)에 의해 갱폼거푸집(12)에 고정되고, 탄성판(50)의 측면을 관통하 는 클립(54)이 연결봉부(482)의 걸림홈(483)에 걸림으로써 케이싱(40)과 연결부재(48)를 포함하는 걸림수단 전체의 이동을 임시로 제한하게 된다.
여기서, 연결봉부(482)의 후단에 끼워진 인출스프링(56)은 탄성판(50)과 받침부(484)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어서, 플랫타이(30)를 케이싱(40)의 개방된 전면을 통해 밀어 넣어서, 플랫타이(30)의 톱니부(301)가 케이싱(40)으로 인입되어 케이싱(40) 내의 조임턱부재(42)의 교합면에 형성된 톱니부(421)와 치합되도록 한다.
플랫타이(30)를 케이싱(40)내로 밀어넣을 때에는 케이싱(40)내 스프링(44)의 탄성력을 능가하는 정도로 강하게 힘을 가하게 되는데, 이러한 작동에 의하면, 양 조임턱부재(42)가 약간 뒤로 밀리면서 서로 간의 간격이 벌어지게 되고 플랫타이(30)의 톱니부(301)측 선단은 양 조임턱부재(42) 사이로 파고들어가면서 케이싱(40) 내로 인입된다.
상기 플랫타이(30)는 케이싱(40)내로 인입되는 과정에서 그 표면에서 돌출된 걸림턱부(302)가 조임턱부재(42)에 걸리어 그 인입량이 일정하게 제한된다.
또한, 플랫타이(30)의 톱니부(301)가 양 조임턱부재(42) 사이에 끼워진 다음에는 다시 양 조임턱부재(42)가 스프링(44)의 압박작용에 의해 케이싱(40)의 앞부분으로 밀려서 그 간격이 좁아지므로 플랫타이(30)와 양 조임턱부재(42)의 치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플랫타이(30)와 체결수단을 체결한 다음에는 플랫타이(30)의 후단 측에 유로폼거푸집(10)을 끼워넣어서 플랫타이(30)의 후단이 유로폼거푸집(10)의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한 다음, 각 플랫타이(30)의 고정핀홀(30a)에 고정핀(32)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유로폼거푸집(10)을 설치하게 된다.
유로폼거푸집(10)을 설치한 다음에는 유로폼거푸집(10)과 갱폼거푸집(12) 사이에 콘크리트(C)를 타설하게 되는데, 유로폼거푸집(10)과 갱폼거푸집(12)은, 플랫타이(30)와 체결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타설된 콘크리트(C)의 압력에 의해서도 그 간격이 벌어지지 않고 견고한 배치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콘크리트(C)를 타설하게 되면 도 5a에 나타난 것과 같이 플랫타이(30)의 유로폼거푸집(10)과 갱폼거푸집(12) 사이부분은 콘크리트(C)에 매립된 채로 남게 되며, 고정핀홀(30a)이 형성된 뒷부분만이 노출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콘트리트 타설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여 콘크리트(C)가 어느정도 양생된 후에는 거푸집을 해체하는 과정을 진행하게 된다.
거푸집 해체시에는 먼저, 도 5b에 나타난 것과 같이 플랫타이(30)에서 고정핀(32)을 제거한 다음, 플랫타이(30)의 뒷부분을 해머 등의 기구로 타격하여 플랫타이(30)를 케이싱(40) 안쪽으로 밀어넣게 된다.
이와 같이 하면 플랫타이(30)가 케이싱(40) 안쪽으로 들어감에 따라 조임턱부재(42) 또한 플랫타이(30)의 표면에서 돌출형성된 걸림턱부(302)에 걸려서 케이싱(40) 안쪽으로 밀려들어가게 되며, 스프링(44)은 조임턱부재(42)에 의해 압축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44)은 소용돌이 구조의 특성상 압축되면서 내측 권선이 외측 권선 안쪽으로 들어가게 됨으로써 매우 납작하게 축소되어 양 조임턱부재(42) 의 이동에 간섭이 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양 조임턱부재(42)는 케이싱(40) 안쪽으로 밀려들어가면서 탄성결속구(46)에 의해 서로간의 간격이 벌어지게 되므로, 조임턱부재(42)와 플랫타이(30)의 치합상태가 해제되며, 탄성결속구(46) 역시 케이싱(40) 안쪽으로 들어가면서 그 중간부위가 걸림후크부(485)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탄성결속구(46)가 걸림후크부(485)에 걸림으로써 조임턱부재(42)가 스프링(44)의 반발력에 의해 케이싱(40)의 앞부분으로 다시 움직이는 것이 방지되며, 조임턱부재(42)와 플랫타이(30)는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플랫타이(30)가 계속 케이싱(40) 안쪽으로 밀려들어가면서 연결부재(48)의 걸림후크부(485) 선단을 가격하게 되고, 도 5c에 나타난 것과 같이 이때의 충격으로 클립(54)과 연결봉부(482)의 결속상태가 해제되며, 연결봉부(482) 선단의 받침부(484)와 탄성판(50) 사이에서 압축되어 있던 인출스프링(56)이 팽창하게 된다.
인출스프링(56)은 팽창하면서 받침부(484)에 힘을 가하여 연결부재(48)를 갱폼거푸집(12) 쪽으로 이끌어 내게 되며, 이에 따라 연결부재(48)에 부착된 케이싱(40)이 콘크리트(C) 밖으로 인출됨으로써 플랫타이(30)와 케이싱(40)이 완전히 분리된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하면, 플랫타이(30)를 케이싱(40)안으로 밀어넣거나, 플랫타이(30)를 타격하는 원터치 조작 만으로 갱폼거푸집(12)과 유로폼거푸집(10)을 서로 체결 또는 분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플랫타이(30)와 체결수단이 분리되어도 체결수단과 인출수단은 갱폼거푸집(12)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 같이 체결수단과 인출수단이 부착되어 있는 갱폼거푸집(12)은 그대로 다시 상층의 벽체를 만들기 위해 옮겨져서 사용되는데, 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플랫타이(30)와 분리된 케이싱(40)내의 양 조임턱부재(42)는 탄성결속구(46)가 걸림후크부(485)에 걸려 있기 때문에 서로 간의 간격이 확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 새로운 플랫타이(30)를 케이싱(40)에 밀어넣어서 그 선단의 톱니부(301)가 양 조임턱부재(42) 사이에 끼워지도록 한다.
이때, 플랫타이(30)는 그 선단이 양 조임턱부재(42) 사이에 끼워졌을 뿐이지, 양 조임턱부재(42) 서로 간의 간격이 넓기 때문에 조임턱부재(42)와 치합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플랫타이(30)를 일측으로 돌리게 되면 조임턱부재(42) 및 조임턱부재(42)를 결속하고 있는 탄성결속구(46)가 케이싱(40) 내에서 같이 회전하게 되며, 그 회전각도가 약 90°에 이르게 되면 걸림후크부(485)의 구조가 쐐기패널형태인 특성상 철사형태의 탄성결속구(46)가 걸림후크부(485)에서 이탈된다.
탄성결속구(46)가 걸림후크부(485)에서 이탈되면, 압축되었던 스프링(44)의 반발력에 의해 양 조임턱부재(42)가 케이싱(40)의 앞쪽으로 밀리면서 서로 간의 간격의 좁아지고, 플랫타이(30)의 톱니부(301)와 조임턱부재(42)의 톱니부(421)가 치합됨으로써 플랫타이(30)가 체결수단과 체결된다.
이러한 체결상태에서 다시 앞서 말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유로폼거푸집을 설 치하고, 콘크리트를 주입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 고정장치에 의하면, 세파타이와 결속기구가 원터치 방식으로 결속되고, 그 분리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거푸집 해체 과정에서 결속기구를 분리하기 위해 갱폼거푸집 외부에서 고소(高所)작업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거푸집설치 및 해체에 따른 작업효율이 향상되고, 작업안정성 또한 높아진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일측선단 양 측면에 일정구간 톱니부가 형성되고, 톱니부의 후방에는 표면에서 돌출된 걸림턱부가 구비되며, 타측선단에는 고정핀홀이 형성된 구조의 플랫타이;
    유로폼거푸집을 관통한 플랫타이의 톱니부측 일단이 인입되도록 전면이 개방되고, 전면측에서 후면측으로 가면서 직경이 커지는 원뿔파이프형태의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내장되며 서로 마주보는면에 상기 플랫타이의 톱니부와 치합되는 톱니부가 형성된 대칭형태로서 케이싱의 앞뒤방향으로 이동시 서로간의 간격이 확장 또는 축소 가능한 한쌍의 조임턱부재와,
    상기 케이싱 내에서 양 조임턱부재를 서로간의 간격이 축소되도록 앞쪽으로 탄성압박하는 스프링과,
    상기 양 조임턱부재를 서로 결속하며 양 조임턱부재간의 간격을 확장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결속구와,
    케이싱 후면에 부착되는 받침판부와, 받침판부에서 돌출형성되어 갱폼거푸집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연결봉부와, 받침판부에서 케이싱 안쪽으로 돌출형성되며 그 선단이 상기 탄성결속구와 결속될 수 있는 형태의 걸림후크부로 구성된 연결부재
    를 포함하는 체결수단;
    상기 체결수단에 대해 갱폼거푸집 바깥쪽으로 탄성적인 압력을 가하는 인출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거푸집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수단은
    갱폼거푸집의 외측면에 결속되며 상기 연결봉부가 관통하는 탄성판과,
    탄성판을 관통한 연결봉부를 임시 고정하는 클립과,
    연결봉부의 후선단에 형성된 받침부와 탄성판 사이에 구비되어 연결봉부를 바깥쪽으로 탄성압박하는 인출스프링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푸집 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 조임턱부재는 교합면 하단이 일정 깊이만큼 절삭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결속구는 그 양단이 양 조임턱부재의 절삭된 부분에 감기고 중간부위가 후방으로 돌출되어 평행하는 두줄의 철사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재의 걸림후크부는 탄성결속구와의 결합각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쐐기패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푸집 고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의 스프링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가면서 직경이 점차 확대되어 각 부분이 서로 중첩되지 않는 소용돌이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푸집 고정장치.
KR1020060109807A 2006-11-08 2006-11-08 콘크리트 거푸집 고정장치 KR200800417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807A KR20080041786A (ko) 2006-11-08 2006-11-08 콘크리트 거푸집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807A KR20080041786A (ko) 2006-11-08 2006-11-08 콘크리트 거푸집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786A true KR20080041786A (ko) 2008-05-14

Family

ID=39648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9807A KR20080041786A (ko) 2006-11-08 2006-11-08 콘크리트 거푸집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41786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527Y1 (ko) * 2009-01-28 2011-03-04 이영숙 콘크리트 거푸집 고정용 간격유지구
KR101311070B1 (ko) * 2012-06-26 2013-09-24 박해대 콘크리트용 거푸집의 체결장치
KR101497688B1 (ko) * 2014-02-02 2015-03-12 이옥순 거푸집의 간격 유지구 및 앵커볼트 고정장치
KR20190001817U (ko) 2018-01-08 2019-07-17 김광배 거푸집 간격유지 고정장치
KR20200014680A (ko) * 2018-08-01 2020-02-11 김진은 원터치 방식의 거푸집 간격 유지 고정장치
CN111550033A (zh) * 2019-03-05 2020-08-18 广西良创建筑铝模科技有限公司 一种与pc构件对接的铝合金模板
CN113585725A (zh) * 2021-08-31 2021-11-02 福建省世新工程营造有限公司 剪力墙结构变形缝施工用模板、施工结构以及施工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527Y1 (ko) * 2009-01-28 2011-03-04 이영숙 콘크리트 거푸집 고정용 간격유지구
KR101311070B1 (ko) * 2012-06-26 2013-09-24 박해대 콘크리트용 거푸집의 체결장치
KR101497688B1 (ko) * 2014-02-02 2015-03-12 이옥순 거푸집의 간격 유지구 및 앵커볼트 고정장치
KR20190001817U (ko) 2018-01-08 2019-07-17 김광배 거푸집 간격유지 고정장치
KR20200014680A (ko) * 2018-08-01 2020-02-11 김진은 원터치 방식의 거푸집 간격 유지 고정장치
CN111550033A (zh) * 2019-03-05 2020-08-18 广西良创建筑铝模科技有限公司 一种与pc构件对接的铝合金模板
CN113585725A (zh) * 2021-08-31 2021-11-02 福建省世新工程营造有限公司 剪力墙结构变形缝施工用模板、施工结构以及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41786A (ko) 콘크리트 거푸집 고정장치
US7819388B2 (en) Tendon gripping device
KR200437568Y1 (ko) 일체형 본체볼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유지장치
KR101456778B1 (ko) 파이프용 클램프
JP6461153B2 (ja) 管支持システム及びその周辺装置の改良
US20140059968A1 (en) Apparatus to Tie Forms to Existing Structures
KR200398519Y1 (ko) 인장부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
KR101303007B1 (ko) 앙카볼트
JP4321784B1 (ja) 型枠取付具及びコンクリート型枠工法
KR100779427B1 (ko) 거푸집의 주밴드용 고정장치
KR200436632Y1 (ko) 거푸집용 간격 유지장치의 체결구조
KR200419243Y1 (ko) 제거식 앵커
KR100547024B1 (ko) 거푸집용 체결부재
KR100519804B1 (ko) 콘크리트 거푸집용 고정구
KR102342844B1 (ko) 원터치 방식의 거푸집 간격 유지 고정장치
KR200408447Y1 (ko) 거푸집용 체결부재
KR200400378Y1 (ko) 콘크리트 거푸집용 간격조절기구
KR200423830Y1 (ko) 거푸집용 간격유지구
KR100912930B1 (ko) 지면 보강을 위한 앵커 및 앵커시공방법
JP2001124021A (ja) 保持具
KR200378433Y1 (ko) 거푸집 간격유지구용 고정구
KR200464075Y1 (ko) 콘크리트 기둥 형틀 조임구
KR100835722B1 (ko) 압축형 제거 및 영구식 소일네일용 인장선홀더 및 상기인장선홀더를 갖는 소일네일
KR200430888Y1 (ko) 거푸집용 간격유지구
CN114060378B (zh) 一种预埋安装结构及安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