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1177A - 알킬퀴놀린 및 알킬퀴나졸린을 사용한 Flt3 키나아제의상승적 변조 - Google Patents

알킬퀴놀린 및 알킬퀴나졸린을 사용한 Flt3 키나아제의상승적 변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1177A
KR20080041177A KR1020087000580A KR20087000580A KR20080041177A KR 20080041177 A KR20080041177 A KR 20080041177A KR 1020087000580 A KR1020087000580 A KR 1020087000580A KR 20087000580 A KR20087000580 A KR 20087000580A KR 20080041177 A KR20080041177 A KR 20080041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kyl
alkyloxy
hydrogen
6alkyl
al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0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찬 앤드류 바우만
마이클 데이비드 골
로버트 더블유. 투만
대너 엘. 존슨
Original Assignee
얀센 파마슈티카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센 파마슈티카 엔.브이. filed Critical 얀센 파마슈티카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80041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11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61K31/4709Non-condensed quinolines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496Non-condensed piperazines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rifampin, thiothixene or sparfloxa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7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 systems, e.g. quinazoline, perimid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s, e.g. 1,2-oxazines
    • A61K31/53751,4-Oxazines, e.g. morpholine
    • A61K31/53771,4-Oxazines, e.g. morpholine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timol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sulfur as the ring hetero atoms, e.g. sulthiame
    • A61K31/541Non-condensed thiazines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2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leuke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Oncology (AREA)
  • Diabet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Oxygen Or Sulfur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1, R2, R3, Z, G, Q 및 X가 명세서에 정의한 바와 같은 일반식 (I')의 알킬퀴놀린 및 알킬퀴나졸린으로부터 선택된 FLT3 키나아제 억제제 및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를 투여함을 특징으로 하여 세포 또는 대상에서 FLT3 타이로신 키나아제 활성 또는 발현을 억제하거나 FLT3 키나아제 활성 또는 발현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그 범위에 세포 증식성 질환 또는 FLT3 관련 질환이 전개될 위험성이 있는 (또는 전개되기 쉬운) 대상을 예방적 및 치료적으로 치료하는 방법을 둘 다 포함한다.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 FLT3 키나아제 억제제, 세포 증식성 질환, FLT3 관련 질환

Description

알킬퀴놀린 및 알킬퀴나졸린을 사용한 Flt3 키나아제의 상승적 변조 {Synergistic Modulation of Flt3 Kinase Using Alkylquinolines and Alkylquinazolines}
본원은 2005. 6. 10 자 출원된 미국출원 제60/690,070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우선권 출원에 의해 개시된 내용은 전부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다.
본원 발명은 FLT3 타이로신 키나아제 억제제와 함께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를 사용한 세포 증식성 질환 또는 FLT3 관련 질환의 치료에 관한 것이다.
fms-유사 타이로신 키나아제 3 (FLT3) 리간드 (FLT3L)는 다중 조혈계의 전개에 영향을 미치는 사이토카인의 일종이다. 이러한 효과는 FLT3 수용체에 FLT3L이 결합함으로써 발생하는데, 이는 조혈모세포 및 전구세포에서 발현되는 수용체 타이로신 키나아제(RTK)인 STK-1과 태아 간 키나아제-2(flk-2)의 관계로도 설명할 수 있다. FLT3 유전자는 정상적인 조혈과정에서 세포의 증식, 분화 및 고사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멤브레인-스패닝 클래스 III RTK (membrane-spanning class III RTK)를 암호화한다. FLT3 유전자는 초기 골수 및 림프 전구세포에 의해 주로 발현 된다 (McKenna, Hilary J. et al. Mice lacking flt3 ligand have deficient hematopoiesis affecting hematopoietic progenitor cells, dendritic cells, and natural killer cells. Blood. Jun 2000; 95: 3489-3497; Drexler, H. G. and H. Quentmeier (2004). "FLT3: receptor and ligand." Growth Factors 22(2): 71-3).
FLT3에 대한 리간드는 골수 기질세포 및 다른 세포에 의해 발현되고 다른 성장인자와 상승적으로 작용하여 줄기세포, 전구세포, 수지상세포 및 자연살상세포의 증식을 자극한다.
조혈 질환은 이들 시스템의 예비-악성(pre-malignant) 질환이며, 예를 들어, 혈소판혈증, 본태성 혈소판증가증(ET), 맥관성 골수양이형, 골수섬유증(MF), 골수양이형이 수반된 골수섬유증(MMM), 만성 특발성 골수섬유증(IMF), 진성다혈구증(PV), 혈구감소증, 예비-악성 골수이형성 증후군과 같은 골수증식성 질환을 포함한다(Stirewalt, D. L. and J. P. Radich (2003). "The role of FLT3 in haematopoietic malignancies." Nat Rev Cancer 3(9): 650-65; Scheijen, B. 및 J. D. Griffin (2002). "Tyrosine kinase oncogenes in normal hematopoiesis and hematological disease." Oncogene 21(21): 3314-33).
혈액암은 체내 혈액 형성 및 면역 시스템, 골수 및 림프 조직의 암이다. 정상 골수에서는 FLT3의 발현이 초기 전구세포에 한정되어 있는 반면에, 혈액암에서는 FLT3가 높은 수준으로 발현되거나 FLT3의 돌연변이로 인하여 FLT3 수용체 및 분자 경로의 하류가 제어불능한 양상으로 유도된다 (예를 들어 Ras 활성화). 혈액암 의 예로는 백혈병, 림프종 (비호지킨 림프종), 호지킨병 (호지킨 림프종) 및 골수종, 예를 들어, 급성 림프성 백혈병(ALL),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 급성 전 골수성 백혈병(APL), 만성 림프성 백혈병(CLL), 만성 골수성 백혈병(CML), 만성 호중구성 백혈병(CNL), 급성 미분화 백혈병(AUL), 퇴행성 대세포 림프종(ALCL), 전 림프성 백혈병(PML), 연소성 골수단구성 백혈병(JMML), 성인 T-세포 ALL, 범혈구 골수이형성을 동반한 AML(AML/TMDS), 혼합계열 백혈병(MLL), 골수 이형성 증후군(MDSs), 골수 증식성 질환(MPD), 다발성 골수종(MM) 및 골수성 육종을 들 수 있다(Kottaridis, P. D., R. E. Gale, et al. (2003). "Flt3 mutations and leukaemia." Br J Haematol 122(4): 523-38). 골수성 육종은 또한 FLT3 돌연변이와 관련되어 있다(Ansari-Lari, Ali et al. FLT3 mutations in myeloid sarcoma. British Journal of Haematology. 2004 Sep. 126(6):785-91).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은 성인 백혈병의 대다수를 차지하며, 어린이 백혈병의 15-20%를 차지한다. 2002년 미국에서는 약 11,000 명이 신규 AML 환자로 진단되었고, 8,000 명의 환자가 AML로 인하여 사망한 것으로 산정되었다(National Cancer Institute SEER database-http://seer.cancer.gov/.). AML의 진단은 전통적으로 조직검사 및 혈액 백혈구 계수에 의해 이루어졌지만, 최근 세포유전학 및 유전자 분석에 있어서의 발전으로 인해 AML이 유전자 이상, 임상적 특징 및 치료요법에 대한 반응에 있어서 상이한 별개 질병의 혼합체인 것으로 밝혀졌다. 최근에는 AML의 상이한 서브 타입(서브 타입은 세포유전학적 분석 및 질환 관련 단백질의 발현에 대한 면역조직학적 분석에 근거함)에 맞춤형 화학요법을 적용하는 시도가 어느 정도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통상적으로 AML의 치료는 유도 및 유도 후 치료의 두 단계로 이루어진다. 유도 치료는 통상 다우노루비신과 같은 안트라사이클린의 3회 투여에 이어 7-10일간 세포독성 사이타라빈을 정맥 볼루스 인퓨전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 요법은 60세 미만의 환자 70-80%, 60세 이상의 환자 약 50%에 대해서 관해 유도에 효과적이다(Burnett, A. K. (2002). "Acute myeloid leukemia: treatment of adults under 60 years." Rev Clin Exp Hematol 6(1): 26-45; Buchner T., W. Hiddemann, et al. (2002). "Acute myeloid leukemia: treatment over 60." Rev Clin Exp Hematol. 6(1):46-59.). 관해 유도 후에는 화학요법의 추가 적용 또는 골수 이식을 포함하는 몇가지 유도 후 선택이 있다. 유도 후 치료의 선택 및 효과는 환자의 연령 및 AML 서브 타입에 달려있다. 지난 10년 동안의 AML 진단 및 치료법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65세 미만 환자의 5년 무병 생존율은 40%에 불과하고 65세 이상 환자의 5년 무병 생존율은 10% 미만이다. 따라서, 특히 65세 이상 환자의 AML에 관한 중대한 의학적 과제가 해결되지 못한 채 남아있다고 볼 수 있다. 상이한 서브 타입의 AML의 메카니즘에 관한 지식이 축적됨에 따라 어느 정도 보장된 결과를 나타내는 새로운 맞춤형 치료법이 등장하기 시작하고 있다.
재발성 난치 AML 치료의 성공적인 최근 일례는 유도 후 치료에 있어서의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 (FTI)의 개발 및 사용이다.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는 세포내 파네실 프로테인 트랜스퍼라제(FPT)의 강력하고 선택적인 억제제 그룹이다. FPT는 라민 단백질, Rho 패밀리 및 Ras의 작은 GTPase를 포함하여 광범위 한 세포내 단백질의 지질 변형을 촉매함으로써 그들을 세포막 또는 세포내 격막에 편재되도록 유도한다.
FTI 는 원래 Ras 종양 단백질 (oncoprotein)의 변역 후 파네실화 및 활성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Prendergast G.C. and Rane, N. (2001) "Farnesyl Transferase Inhibtors: Mechanism and Applications" Expert Opin Investig Drugs. 10(12):2105-16). 최근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FTI에 의한 Nf-κB의 활성화의 억제는 Ras 의존성 Nf-κB의 억제를 통해 세포고사(apoptosis) 유도에 대한 민감성을 증가시키고 염증 유전자 발현을 억제 조절한다 (Takada, Y., et al. (2004). "Protein farnesyltransferase inhibitor (SCH 66336) abolishes NF-kappaB activation induced by various carcinogens and inflammatory stimuli leading to suppression of NF-kappaB-regulated gene expression and up-regulation of apoptosis." J Biol Chem 279, 26287-99).
종양학 분야의 관심사로서, Ras 및 Rho 계열의 종양 유전자의 FTI 억제는 시험관 내 및 생체 내에서 종양 세포의 분열 정지 및 고사를 일으킨다(Haluska P., G.K. Dy, A.A. Adjei. (2002) "Farnesyl transferase inhibitors as anticancer agents." Eur J Cancer. 38(13):1685-700). 임상적 관점에서 골수성 악성 종양, 특히 AML은 FTI 요법의 중요한 기회에 해당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AML은 장기 생존율이 매우 낮으며 화학요법에 의해 유도되는 독성 및 내성율이 높은 질병이다 (특히 60세 이상의 환자의 경우). 또한 AML 세포의 증식 메카니즘은 Ras 및 Rho 패밀리의 작은 GTPase에 의존한다. AML 치료에 있어서 FTI의 효과를 뒷받침하는 전임상 결과가 다수 축적되는 가운데, 티피파니브 (Zarnestra™, Johnson and Johnson), BMS-214662, CP-60974 (Pfizer) 및 Sch-6636 (lonafarnib, Schering-Plough)를 포함하는 FTI에 대한 몇 건의 임상시험이 시작되었다.
FTI 계열의 화합물 중에서 가장 유망한 첨단 화합물은 ZARNESTRA®(R115777 또는 티피파니브)이다. 재발성 난치 AML 환자에 대한 임상 연구에서 티피파니브 치료는 약 30%의 반응율을 나타냈으며 2명의 환자에서는 완전 관해를 보였다(Lancet J.E., J.D. Rosenblatt, J.E. Karp. (2003) "Farnesyltransferase inhibitors and myeloid malignancies: phase I evidence of Zarnestra activity in high-risk leukemias." Semin Hematol. 39(3 Suppl 2):31-5). 시험에 참여한 환자 중에는 AML 환자에게 종종 나타나는 Ras 돌연변이를 가진 환자가 없었으므로, 이러한 반응은 환자의 Ras 돌연변이 상태에 무관하다. 그러나, 환자의 반응과 치료 개시 시점에서의 환자들의 MAP 키나아제 활성화 (Ras 및 Rho 단백질 활성의 하류 경로 표적) 사이에는 직접적인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이는 다른 메카니즘에 의해 활성화되는 Ras/MAP 키나아제 경로의 활성이 환자 반응의 우수한 예보자가 됨을 제시한다(Lancet J.E., J.D. Rosenblatt, J. E. Karp. (2003) "Farnesyltransferase inhibitors and myeloid malignancies: phase I evidence of Zarnestra activity in high-risk leukemias." Semin Hematol. 39(3 Suppl 2): 31-5). 또한, 재발성 AML 환자들이 참여한 최근의 다기관 임상 2상에서 50명 중 17명이 완전 반응(골수 아세포 <5%)을 보였으며 50명 중 31명이 >50%의 골수 아세포 감 소를 나타내었다(Gotlib, J (2005) "Farnesyltransferase inhibitor therapy in acute myelogenous leukemia." Curr. Hematol. Rep.; 4(1):77-84). 임상시험의 반응 환자들에게서 FTI 치료에 의해 조절된 유전자를 예비 분석한 결과, MAP 키나아제 경로의 단백질들에 대한 효과가 확인되었다. 이상의 유망한 결과들은 당업자로 하여금 가까운 장래에 티피파니브가 임상적으로 사용될 것임을 예견하게 한다.
최근에, AML 치료를 위한 추가의 표적으로서 MDS 및 ALL을 가진 환자군이 출현하였다. 수용체 타이로신 키나아제, FLT3 및 FLT3의 돌연변이가 AML의 진행에 중심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FLT3 활성과 질병을 연계하는 다수의 연구들이 개관문헌에 광범위하게 요약되어 있다(Gilliland, D. G. and J. D. Griffin (2002). "The roles of FLT3 in hematopoiesis and leukemia." Blood 100(5): 1532-42; Stirewalt, D. L. and J. P. Radich (2003). "The role of FLT3 in haematopoietic malignancies." Nat Rev Cancer 3(9): 650-65). 90% 이상의 AML 환자들이 미분화 세포 상에 FLT3 발현을 나타낸다. 현재는 약 30-40%의 AML 환자들이 FLT3의 활성화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음이 알려짐으로써, FLT3 돌연변이는 AML 환자들의 가장 공통적인 돌연변이가 되었다. FLT3의 활성화 돌연변이에는 두가지 부류가 알려져 있다. 하나는 수용체의 병치막 부위의 4-40 아미노산의 중복(ITD 돌연변이)이고 (환자의 25-30%), 다른 하나는 키나아제 영역의 점 돌연변이이다 (환자의 5-7%). 상기의 수용체 돌연변이는 Ras/MAP 키나아제, PI3 키나아제/AKT, 및 STAT 경로를 포함하는 다중 신호전달 경로의 구조 활성화를 야기한다. 또한 FLT3ITD 돌연변이는 초기 골수 세포의 분화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더 욱 중요한 것은, ITD 돌연변이를 가진 환자들은 관해 유도율이 낮고 관해 시간이 감소하며, 전반적으로 예후가 불량하다는 점이다. FLT3ITD 돌연변이는 MLL 유전자의 재배열을 가진 ALL 및 MDS 환자의 소집단에서도 발견된다. MDS 및 ALL에서의 FLT3ITD 돌연변이의 존재는 당해 환자들의 질병 진행의 가속화 및 예후 불량과도 연계되어 있다(Shih L. Y. et al., (2004) "Internal tandem duplication of fms-like tyrosine kinase 3 is associated with poor outcome in patients with myelodysplastic syndrome." Cancer, 101; 989-98; Armstrong, S.A. et al., (2004) "FLT3 mutations in childhood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Blood. 103: 3544-6). 현재까지는 키나아제 영역의 점 돌연변이 또는 야생형 수용체의 과발현이 질병의 원인임을 제시하는 강력한 증거가 없으나, FLT3 발현은 질병의 진행에 기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전임상 및 임상적 증거의 축적을 바탕으로 다수의 FLT3 억제제들이 개발되어 현재 전임상 및 임상 시험을 통해 평가중에 있다.
AML 치료를 위해 부각되는 전략은 표적 지향적 치료제와 전통적 세포독성 약제를 유도중 또는 유도후 요법에 조합하는 것이다. 최근에 발행된 문헌에 의하면 세포독성 약제(사이타라빈 또는 다우노루비신) 및 FLT3 억제제의 조합이 FLT3ITD를 발현하는 AML 세포의 성장을 억제함이 입증되었다(Levis, M., R. Pham, et al. (2004). "In vitro studies of a FLT3 inhibitor combined with chemotherapy: sequence of administration is important to achieve synergistic cytotoxic effects." Blood 104(4): 1145-50; Yee KW, Schittenhelm M, O'Farrell AM, Town AR, McGreevey L, Bainbridge T, Cherrington JM, Heinrich MC. (2004) "Synergistic effect of SU11248 with cytarabine or daunorubicin on FLT3ITD-positive leukemic cells." Blood. 104(13):4202-9).
따라서 본 발명은 FLT3를 발현하는 세포 증식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 언급된 신규한 FLT3 키나아제 억제제 및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를 공동투여(동시 또는 순차적)하는 상승적 치료법을 제공한다.
현재 다양한 FTase 억제제가 공지되어 있다. 본원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FTIs는 본원에 그 전체 내용이 참고로 포함되는 WO-97/21701 및 US 6,037,350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들 문헌은 일반식 (I), (II) 및 (III)의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성 (이미다졸-5-일)메틸-2-퀴놀리논 유도체의 제조, 제제화 및 약제학적 성질과 함께 생체내에서 일반식 (I)의 화합물로 대사되는 일반식 (II) 및 (III)의 중간체를 기술하고 있다. 일반식 (I), (II) 및 (III)의 화합물은 하기 식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또는 염기 부가염 및 입체화학적 이성체 형태를 포함한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001
상기 식에서
점선은 임의 결합을 나타내고;
X 는 산소 또는 황을 나타내며;
R1은 수소, C1-12알킬, Ar1, Ar2C1-6알킬, 퀴놀리닐C1-6알킬, 피리딜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 아미노C1-6알킬, 또는 일반식 -Alk1-C(=O)-R9, -Alk1-S(O)-R9 또는 -Alk1-S(O)2-R9의 래디칼을 나타내고,
여기에서
Alk1 는 C1-6알칸디일을 나타내며,
R9는 하이드록시, C1-6알킬, C1-6알킬옥시, 아미노, C1-8알킬아미노 또는 C1-6알킬옥시카보닐에 의해 치환된 C1-8알킬아미노를 나타내고;
R2, R3 및 R16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록시, 할로, 시아노, C1-6알킬, C1-6알킬옥시, 하이드록시C1-6알킬옥시, C1-6알킬옥시C1-6알킬옥시, 아미노C1-6알킬옥시,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옥시, Ar1, Ar2C1-6알킬, Ar2옥시, Ar2C1-6알킬옥시, 하이드록시카보닐, C1-6알킬옥시카보닐, 트리할로메틸, 트리할로메톡시, C2-6알케닐, 4,4-디메틸옥사졸릴을 나타내거나;
인접한 위치의 R2 및 R3 가 함께 하기 구조식의 2가 래디칼을 형성할 수 있으며:
-O-CH2-O- (a-1),
-O-CH2-CH2-O- (a-2),
-O-CH=CH- (a-3),
-O-CH2-CH2- (a-4),
-O-CH2-CH2-CH2- (a-5), 또는
-CH=CH-CH=CH- (a-6);
R4 및 R5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 Ar1, 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C1-6알킬옥시, C1-6알킬티오, 아미노, 하이드록시카보닐, C1-6알킬옥시카보닐, C1-6알킬S(O)C1-6알킬 또는 C1-6알킬S(O)2C1-6알킬을 나타내고;
R6 및 R7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 시아노, C1-6알킬, C1-6알킬옥시, Ar2옥시, 트리할로메틸, C1-6알킬티오, 디(C1-6알킬)아미노를 나타내거나,
인접한 위치의 R6 및 R7 이 함께 하기 구조식의 2가 래디칼을 형성할 수 있으며:
-O-CH2-O- (c-1), 또는
-CH=CH-CH=CH- (c-2);
R8 은 수소, C1-6알킬, 시아노, 하이드록시카보닐, C1-6알킬옥시카보닐, C1-6알킬카보닐C1-6알킬, 시아노C1-6알킬, C1-6알킬옥시카보닐C1-6알킬, 카복시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아미노C1-6알킬,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 이미다졸릴, 할로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아미노카보닐C1-6알킬, 또는 하기 일반식의 래디칼을 나타내고:
-O-R10 (b-1),
-S-R10 (b-2),
-N-R11R12 (b-3),
여기에서
R10 은 수소, C1-6알킬, C1-6알킬카보닐, Ar1, Ar2C1-6알킬, C1-6알킬옥시카 보닐C1-6알킬, 또는 일반식 -Alk2-OR13 또는 -Alk2-NR14R15의 래디칼을 나타내며;
R11 은 수소, C1-12알킬, Ar1 또는 Ar2C1-6알킬을 나타내고;
R12 은 수소, C1-6알킬, C1-16알킬카보닐, C1-6알킬옥시카보닐, C1-6알킬아미노카보닐, Ar1, Ar2C1-6알킬, C1-6알킬카보닐C1-6알킬, 천연 아미노산, Ar1카보닐, Ar2C1-6알킬카보닐, 아미노카보닐카보닐, C1-6알킬옥시C1-6알킬카보닐, 하이드록시, C1-6알킬옥시, 아미노카보닐,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카보닐, 아미노, C1-6알킬아미노, C1-6알킬카보닐아미노, 또는 일반식 -Alk2-OR13 또는 -Alk2-NR14R15의 래디칼을 나타내며;
여기에서
Alk2 는 C1-6알칸디일을 나타내고;
R13 은 수소, C1-6알킬, C1-6알킬카보닐, 하이드록시C1-6알킬, Ar1 또는 Ar2C1-6알킬을 나타내며;
R14 는 수소, C1-6알킬, Ar1 또는 Ar2C1-6알킬을 나타내고;
R15 는 수소, C1-6알킬, C1-6알킬카보닐, Ar1 또는 Ar2C1-6알킬을 나타내며;
R17 은 수소, 할로, 시아노, C1-6알킬, C1-6알킬옥시카보닐, Ar1을 나타내고;
R18 은 수소, C1-6알킬, C1-6알킬옥시 또는 할로를 나타내며;
R19 는 수소 또는 C1-6알킬을 나타내고;
Ar1 은 페닐, 또는 C1-6알킬, 하이드록시, 아미노, C1-6알킬옥시 또는 할로에 의해 치환된 페닐을 나타내며;
Ar2 는 페닐, 또는 C1-6알킬, 하이드록시, 아미노, C1-6알킬옥시 또는 할로에 의해 치환된 페닐을 나타낸다.
본원에 그 전체 내용이 참고로 포함되는 WO-97/16443 및 US 5,968,952는 일반식 (IV)의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성 화합물의 제조, 제제화 및 약제학적 성질과 함께 생체내에서 일반식 (IV)의 화합물로 대사되는 일반식 (V) 및 (VI)의 중간체를 기술하고 있다. 일반식 (IV), (V) 및 (VI)의 화합물은 하기 식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또는 염기 부가염 및 입체화학적 이성체 형태를 포함한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002
상기 식에서
점선은 임의 결합을 나타내며;
X 는 산소 또는 황을 나타내고;
R1 은 수소, C1-12알킬, Ar1, Ar2C1-6알킬, 퀴놀리닐C1-6알킬, 피리딜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 아미노C1-6알킬, 또는 일반식 -Alk1-C(=O)-R9, -Alk1-S(O)-R9 또는 -Alk1-S(O)2-R9의 래디칼을 나타내며,
여기에서
Alk1 은 C1-6알칸디일을 나타내고,
R9 는 하이드록시, C1-6알킬, C1-6알킬옥시, 아미노, C1-8알킬아미노 또는 C1-6알킬옥시카보닐에 의해 치환된 C1-8알킬아미노를 나타내며;
R2 및 R3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록시, 할로, 시아노, C1-6알킬, C1-6알킬옥시, 하이드록시C1-6알킬옥시, C1-6알킬옥시C1-6알킬옥시, 아미노C1-6알킬옥시,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옥시, Ar1, Ar2C1-6알킬, Ar2옥시, Ar2C1-6알킬옥시, 하이드록시카보닐, C1-6알킬옥시카보닐, 트리할로메틸, 트리할로메톡시, C2-6알케닐을 나타내거나;
인접한 위치의 R2 및 R3 가 함께 하기 구조식의 2가 래디칼을 형성할 수 있고:
-O-CH2-O- (a-1),
-O-CH2-CH2-O- (a-2),
-O-CH=CH- (a-3),
-O-CH2-CH2- (a-4),
-O-CH2-CH2-CH2- (a-5), 또는
-CH=CH-CH=CH- (a-6);
R4 및 R5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Ar1, 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C1-6알킬옥시, C1-6알킬티오, 아미노, 하이드록시카보닐, C1-6알킬옥시카보닐, C1- 6알킬S(O)C1-6알킬 또는 C1-6알킬S(O)2C1-6알킬을 나타내며;
R6 및 R7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 시아노, C1-6알킬, C1-6알킬옥시 또는 Ar2옥시를 나타내고;
R8 은 수소, C1-6알킬, 시아노, 하이드록시카보닐, C1-6알킬옥시카보닐, C1-6알킬카보닐C1-6알킬, 시아노C1-6알킬, C1-6알킬옥시카보닐C1-6알킬, 하이드록시카보닐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아미노C1-6알킬,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 할로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아미노카보닐C1-6알킬, Ar1, Ar2C1-6알킬옥시C1-6알킬, C1-6알킬티오C1-6알킬을 나타내며;
R10 은 수소, C1-6알킬, C1-6알킬옥시 또는 할로를 나타내고;
R11 은 수소 또는 C1-6알킬을 나타내며;
Ar1 은 페닐, 또는 C1-6알킬, 하이드록시, 아미노, C1-6알킬옥시 또는 할로에 의해 치환된 페닐을 나타내며;
Ar2 는 페닐, 또는 C1-6알킬, 하이드록시, 아미노, C1-6알킬옥시 또는 할로에 의해 치환된 페닐을 나타낸다.
본원에 그 전체 내용이 참고로 포함되는 WO-98/40383 및 US 6,187,786는 일반식 (VII)의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성 화합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 염 및 입체화학적 이성체 형태의 제조, 제제화 및 약제학적 성질을 기술하고 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003
상기 식에서
점선은 임의 결합을 나타내고;
X 는 산소 또는 황을 나타내며;
-A- 는 하기 구조식의 2가 래디칼을 나타내고:
-CH=CH- (a-1), -CH2-S- (a-6),
-CH2-CH2- (a-2), -CH2-CH2-S- (a-7),
-CH2-CH2-CH2- (a-3), -CH=N- (a-8),
-CH2-O- (a-4), -N=N- (a-9), 또는
-CH2-CH2-O- (a-5), -CO-NH- (a-10);
여기에서 임의로 하나의 수소 원자는 C1-4알킬 또는 Ar1에 의해 대체될 수 있고;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록시, 할로, 시아노, C1-6알킬, 트리할로메틸, 트리할로메톡시, C2-6알케닐, C1-6알킬옥시, 하이드록시C1-6알킬옥시, C1-6알킬옥시C1-6알킬옥시, C1-6알킬옥시카보닐, 아미노C1-6알킬옥시,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옥시, Ar2, Ar2-C1-6알킬, Ar2-옥시, Ar2-C1-6알킬옥시를 나타내거나;
인접한 위치의 R1 및 R2 는 함께 하기 구조식의 2가 래디칼을 형성할 수 있으며:
-O-CH2-O- (b-1),
-O-CH2-CH2-O- (b-2),
-O-CH=CH- (b-3),
-O-CH2-CH2- (b-4),
-O-CH2-CH2-CH2- (b-5), 또는
-CH=CH-CH=CH- (b-6);
R3 및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 시아노, C1-6알킬, C1-6알킬옥시, Ar3-옥시, C1-6알킬티오, 디(C1-6알킬)아미노, 트리할로메틸, 트리할로메톡시를 나타내거나,
인접한 위치의 R3 및 R4 는 함께 하기 구조식의 2가 래디칼을 형성할 수 있고:
-O-CH2-O- (c-1),
-O-CH2-CH2-O- (c-2), 또는
-CH=CH-CH=CH- (c-3);
R5 는 하기 일반식의 래디칼을 나타내며:
Figure 112008001726558-PCT00004
여기에서
R13 은 수소, 할로, Ar4, 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C1-6알킬옥시, C1-6알킬티오, 아미노, C1-6알킬옥시카보닐, C1-6알킬S(O)C1-6알킬 또는 C1-6알킬S(O)2C1-6알킬을 나타내고;
R14 는 수소, C1-6알킬 또는 디(C1-4알킬)아미노설포닐을 나타내며;
R6 는 수소, 하이드록시, 할로, C1-6알킬, 시아노, 할로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시아노C1-6알킬, 아미노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C1-6알킬티오C1-6알킬, 아미노카보닐C1-6알킬, C1-6알킬옥시카보닐C1-6알킬, C1-6알킬카보닐-C1-6알킬, C1-6알킬옥시카보닐,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 Ar5, Ar5-C1-6알킬옥시C1-6알킬; 또는 하기 일반식을 래디칼을 나타내고:
-O-R7 (e-1),
-S-R7 (e-2),
-N-R8R9 (e-3),
여기에서
R7 은 수소, C1-6알킬, C1-6알킬카보닐, Ar6, Ar6-C1-6알킬, C1-6알킬옥시카보닐C1-6알킬, 또는 일반식 -Alk-OR10 또는 -Alk-NR11R12의 래디칼을 나타내며;
R8 은 수소, C1-6알킬, Ar7 or Ar7-C1-6알킬을 나타내고;
R9 는 수소, C1-6알킬, C1-6알킬카보닐, C1-6알킬옥시카보닐, C1-6알킬아미노카보닐, Ar8, Ar8-C1-6알킬, C1-6알킬카보닐-C1-6알킬, Ar8-카보닐, Ar8-C1-6알킬카보닐, 아미노카보닐카보닐, C1-6알킬옥시C1-6알킬카보닐, 하이드록시, C1-6알킬옥시, 아미노카보닐,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카보닐, 아미노, C1-6알킬아미노, C1-6알킬카보닐아미노, 또는 일반식 -Alk-OR10 또는 -Alk-NR11R12의 래디칼을 나타내며;
여기에서
Alk 는 C1-6알칸디일을 나타내고;
R10 은 수소, C1-6알킬, C1-6알킬카보닐, 하이드록시C1-6알킬, Ar9 또는 Ar9-C1-6알킬을 나타내며;
R11 은 수소, C1-6알킬, C1-6알킬카보닐, Ar10 또는 Ar10-C1-6알킬을 나타내고;
R12 는 수소, C1-6알킬, Ar11 또는 Ar11-C1-6알킬을 나타내며;
Ar1 내지 Ar11 은 각각 독립적으로 페닐; 또는 할로, C1-6알킬, C1-6알킬옥시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에 의해 치환된 페닐로부터 선택된다.
본원에 그 전체 내용이 참고로 포함되는 WO-98/49157 및 US 6,117,432는 일반식 (VIII)의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성 화합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 및 입체화학적 이성체 형태의 제조, 제제화 및 약제학적 성질을 기술하고 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005
상기 식에서
점선은 임의 결합을 나타내고;
X 는 산소 또는 황을 나타내며;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록시, 할로, 시아노, C1-6알킬, 트리할로메틸, 트리할로메톡시, C2-6알케닐, C1-6알킬옥시, 하이드록시C1-6알킬옥시, C1-6알킬옥시C1-6알킬옥시, C1-6알킬옥시카보닐, 아미노C1-6알킬옥시,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옥시, Ar1, Ar1C1-6알킬, Ar1옥시 또는 Ar1C1-6알킬옥시를 나타내고;
R3 및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 시아노, C1-6알킬, C1-6알킬옥시, Ar1옥시, C1-6알킬티오, 디(C1-6알킬)아미노, 트리할로메틸 또는 트리할로메톡시를 나타내며;
R5 는 수소, 할로, C1-6알킬, 시아노, 할로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시아노C1-6알킬, 아미노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C1-6알킬티오C1-6알킬, 아미노카보닐C1-6알킬, C1-6알킬옥시카보닐C1-6알킬, C1-6알킬카보닐-C1-6알킬, C1-6알킬옥시카보닐,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 Ar1, Ar1C1-6알킬옥시C1-6알킬; 또는 하기 일반식의 래디칼을 나타내고:
-O-R10 (a-1),
-S-R10 (a-2),
-N-R11R12 (a-3),
여기에서
R10 은 수소, C1-6알킬, C1-6알킬카보닐, Ar1, Ar1C1-6알킬, C1-6알킬옥시카보닐C1-6알킬, 또는 일반식 -Alk-OR13 또는 -Alk-NR14R15의 래디칼을 나타내며;
R11 은 수소, C1-6알킬, Ar1 또는 Ar1C1-6알킬을 나타내고;
R12 는 수소, C1-6알킬, C1-6알킬카보닐, C1-6알킬옥시카보닐, C1-6알킬아미노카보닐, Ar1, Ar1C1-6알킬, C1-6알킬카보닐-C1-6알킬, Ar1카보닐, Ar1C1-6알킬카보 닐, 아미노카보닐카보닐, C1-6알킬옥시C1-6알킬카보닐, 하이드록시, C1-6알킬옥시, 아미노카보닐,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카보닐, 아미노, C1-6알킬아미노, C1-6알킬카보닐아미노, 또는 일반식 -Alk-OR13 또는 -Alk-NR14R15의 래디칼을 나타내며;
여기에서
Alk 는 C1-6알칸디일을 나타내고;
R13 은 수소, C1-6알킬, C1-6알킬카보닐, 하이드록시C1-6알킬, Ar1 또는 Ar1C1-6알킬을 나타내며;
R14 는 수소, C1-6알킬, Ar1 또는 Ar1C1-6알킬을 나타내고;
R15 는 수소, C1-6알킬, C1-6알킬카보닐, Ar1 또는 Ar1C1-6알킬을 나타내며;
R6 는 하기 일반식의 래디칼을 나타내고:
Figure 112008001726558-PCT00006
여기에서
R16 은 수소, 할로, Ar1, 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C1-6알킬옥시, C1-6알킬티오, 아미노, C1-6알킬옥시카보닐, C1-6알킬티오C1-6알킬, C1-6알킬S(O)C1-6알킬 또는 C1-6알킬S(O)2C1-6알킬을 나타내며;
R17 은 수소, C1-6알킬 또는 디(C1-4알킬)아미노설포닐을 나타내고;
R7 은 수소 또는 C1-6알킬을 나타내며, 이때 점선은 결합을 나타내지 않고;
R8 은 수소, C1-6알킬 또는 Ar2CH2 또는 Het1CH2를 나타내며;
R9 는 수소, C1-6알킬, C1-6알킬옥시 또는 할로를 나타내거나;
R8 및 R9 는 함께 하기 구조식의 2가 래디칼을 형성하고:
-CH=CH- (c-1),
-CH2-CH2- (c-2),
-CH2-CH2-CH2- (c-3),
-CH2-O- (c-4), 또는
-CH2-CH2-O- (c-5);
Ar1 은 페닐; 또는 서로 독립적으로 할로, C1-6알킬, C1-6알킬옥시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로부터 선택된 1 또는 2개의 치환체에 의해 치환된 페닐을 나타내며;
Ar2 는 페닐; 또는 서로 독립적으로 할로, C1-6알킬, C1-6알킬옥시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로부터 선택된 1 또는 2개의 치환체에 의해 치환된 페닐을 나타내고;
Het1 은 피리디닐; 또는 서로 독립적으로 할로, C1-6알킬, C1-6알킬옥시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로부터 선택된 1 또는 2개의 치환체에 의해 치환된 피리디닐을 나타낸다.
본원에 그 전체 내용이 참고로 포함되는 WO-00/39082 및 US 6,458,800은 일반식 (IX)의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성 화합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 및 입체화학적 이성체 형태의 제조, 제제화 및 약제학적 성질을 기술하고 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007
상기 식에서
=X1-X2-X3- 는 하기 일반식의 3가 래디칼을 나타내고:
=N-CR6=CR7- (x-1), =CR6-CR7=CR8- (x-6),
=N-N=CR6- (x-2), =CR6-N=CR7- (x-7),
=N-NH-C(=O)- (x-3), =CR6-NH-C(=O)-(x-8), 또는
=N-N=N- (x-4), =CR6-N=N- (x-9);
=N-CR6=N- (x-5),
여기에서
각각의 R6, R7 및 R8 은 독립적으로 수소, C1-4알킬, 하이드록시, C1-4알킬옥 시, 아릴옥시, C1-4알킬옥시카보닐, 하이드록시C1-4알킬, C1-4알킬옥시C1-4알킬, 모노- 또는 디(C1-4알킬)아미노C1-4알킬, 시아노, 아미노, 티오, C1-4알킬티오, 아릴티오 또는 아릴을 나타내며;
>Y1-Y2- 는 하기 일반식의 3가 래디칼을 나타내고:
>CH-CHR9- (y-1),
>C=N- (y-2),
>CH-NR9- (y-3), 또는
>C=CR9- (y-4);
여기에서
각각의 R9 는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 할로카보닐, 아미노카보닐, 하이드록시C1-4알킬, 시아노, 카복실, C1-4알킬, C1-4알킬옥시, C1-4알킬옥시C1-4알킬, C1-4알킬옥시카보닐, 모노- 또는 디(C1-4알킬)아미노, 모노- 또는 디(C1-4알킬)아미노C1-4알킬, 아릴을 나타내며;
r 및 s 는 각각 독립적으로 0, 1, 2, 3, 4 또는 5를 나타내고;
t 는 0, 1, 2 또는 3을 나타내며;
각각의 R1 및 R2 는 독립적으로 하이드록시, 할로, 시아노, C1-6알킬, 트리할로메틸, 트리할로메톡시, C2-6알케닐, C1-6알킬옥시, 하이드록시C1-6알킬옥시, C1-6알킬티오, C1-6알킬옥시C1-6알킬옥시, C1-6알킬옥시카보닐, 아미노C1-6알킬옥시,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옥시, 아릴, 아릴C1-6알킬, 아릴옥시 또는 아릴C1-6알킬옥시, 하이드록시카보닐, C1-6알킬옥시카보닐, 아미노카보닐, 아미노C1-6알킬,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카보닐,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을 나타내거나;
페닐환 상에서 서로 인접한 2개의 R1 또는 R2 치환체는 함께 독립적으로 하기 구조식의 2가 래디칼을 형성할 수 있고:
-O-CH2-O- (a-1),
-O-CH2-CH2-O- (a-2),
-O=CH=CH- (a-3),
-O-CH2-CH2- (a-4),
-O-CH2-CH2-CH2- (a-5), 또는
-CH=CH-CH=CH- (a-6);
R3 는 수소, 할로, C1-6알킬, 시아노, 할로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시아노C1-6알킬, 아미노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C1-6알킬티오C1-6알킬, 아미노카보닐C1-6알킬, 하이드록시카보닐, 하이드록시카보닐C1-6알킬, C1-6알킬옥시카보닐C1-6알킬, C1-6알킬카보닐C1-6알킬, C1-6알킬옥시카보닐, 아릴, 아릴C1-6알킬옥시C1-6알킬,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 또는 하기 일반식의 래디칼을 나타내며:
-O-R10 (b-1),
-S-R10 (b-2),
-NR11R12 (b-3),
여기에서
R10 은 수소, C1-6알킬, C1-6알킬카보닐, 아릴, 아릴C1-6알킬, C1-6알킬옥시카보닐C1-6알킬, 또는 일반식 -Alk-OR13 또는 -Alk-NR14R15의 래디칼을 나타내고;
R11 은 수소, C1-6알킬, 아릴 또는 아릴C1-6알킬을 나타내며;
R12 는 수소, C1-6알킬, 아릴, 하이드록시, 아미노, C1-6알킬옥시, C1-6알킬카보닐C1-6알킬, 아릴C1-6알킬, C1-6알킬카보닐아미노,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 C1-6알킬카보닐, 아미노카보닐, 아릴카보닐, 할로C1-6알킬카보닐, 아릴C1-6알킬카보닐, C1-6알킬옥시카보닐, C1-6알킬옥시C1-6알킬카보닐,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카보닐을 나타내고, 여기에서 알킬 부위는 아릴, C1-3알킬옥시카보닐, 아미노카보닐카보닐,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카보닐, 일반식 -Alk-OR13 또는 -Alk-NR14R15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Alk 는 C1-6알칸디일을 나타내고;
R13 은 수소, C1-6알킬, C1-6알킬카보닐, 하이드록시C1-6알킬, 아릴 또는 아릴C1-6알킬을 나타내며;
R14 는 수소, C1-6알킬, 아릴 또는 아릴C1-6알킬을 나타내고;
R15 는 수소, C1-6알킬, C1-6알킬카보닐, 아릴 또는 아릴C1-6알킬을 나타내며;
R4 는 하기 일반식의 래디칼을 나타내고:
Figure 112008001726558-PCT00008
여기에서
R16 은 수소, 할로, 아릴, 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C1-6알킬옥시, C1-6알킬티오, 아미노, 모노- 또는 디(C1-4알킬)아미노, 하이드록시카보닐, C1-6알킬옥시카보닐, C1-6알킬티오C1-6알킬, C1-6알킬S(O)C1-6알킬 또는 C1-6알킬S(O)2C1-6알킬을 나타내며;
R16 은 또한 일반식 (c-1) 또는 (c-2)의 이미다졸환 상의 질소원자들 중 하나에 결합할 수 있고, 이 경우에 질소에 결합된 R16 은 수소, 아릴, 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C1-6알킬옥시카보닐, C1-6알킬S(O)C1-6알킬 또는 C1-6알킬S(O)2C1-6알킬로 한정되며;
R17 은 수소, 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아릴C1-6알킬, 트리플루오로메틸 또는 디(C1-4알킬)아미노설포닐을 나타내고;
R5 는 C1-6알킬 , C1-6알킬옥시 또는 할로를 나타내며;
아릴은 페닐, 나프탈레닐, 또는 할로, C1-6알킬, C1-6알킬옥시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에 의해 치환된 페닐을 나타낸다.
상기 일반식 (I), (II), (III), (IV), (V), (VI), (VII), (VIII) 또는 (IX)의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 이외에 공지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로는 다음의 것을 들 수 있다: 아글라빈(Arglabin), 즉, 1(R)-10-에폭시-5(S),7(S)-구아이아-3(4),11(13)-디엔-6,12-올라이드 (WO-98/28303: NuOncology Labs); 페릴릴 알콜(perrilyl alcohol) (WO-99/45912: Wisconsin Genetics); SCH-66336, 즉, (+)-(R)-4-[2-[4-(3,10-디브로모-8-클로로-5,6-디하이드로-11H-벤조[5,6]사이클로헵타[1,2-b]피리딘-11-일)피페리딘-1-일]-2-옥소에틸]피페리딘-1-카복사미드 (US 5,874,442: Schering); L778123, 즉, 1-(3-클로로페닐)-4-[1-(4-시아노벤질)-5-이미다졸릴메틸]-2-피페라지논 (WO-00/01691: Merck); 화합물 2(S)-[2(S)-[2(R)-아미노-3-머캅토]프로필아미노-3(S)-메틸]-펜틸옥시-3-페닐프로피오닐-메티오닌 설폰 (WO-94/10138: Merck); 및 BMS 214662, 즉, (R)-2,3,4,5-테트라하이드로-1-(IH-이미다졸-4-일메틸)-3-(페닐메틸)-4-(2-티에닐설포닐)-1H-1,4-벤조디아자핀-7-카보니트릴 (WO 97/30992: Bristol Myers Squibb); 및 화이자 화합물 (A) 및 (B) (WO- 00/12498 및 WO-00/12499):
Figure 112008001726558-PCT00009
당분야에 공지된 FLT3 키나아제 억제제는 다음과 같다: AG1295 및 AG1296; 레스타우르티니브 (CEP 701, 이전명 KT-5555, Kyowa Hakko, Cephalon이 라이센스 취득); CEP-5214 및 CEP-7055 (Cephalon); CHIR-258 (Chiron Corp.); EB-10 및 IMC-EB10 (ImClone Systems Inc.); GTP 14564 (Merk Biosciences UK). 미도스타우린 (PKC 412, Novartis AG); MLN 608 (Millennium USA); MLN-518 (이전명 CT53518, COR Therapeutics Inc., Millennium Pharmaceuticals Inc.가 라이센스 취득); MLN-608 (Millennium Pharmaceuticals Inc.); SU-11248 (Pfizer USA); SU-11657 (Pfizer USA); SU-5416 및 SU 5614; THRX-165724 (Theravance Inc.); AMI-10706 (Theravance Inc.); VX-528 및 VX-680 (Vertex Pharmaceuticals USA, Novartis (Switzerland)와 Merck & Co USA가 라이센스 취득); 및 XL 999 (Exelixis USA). 또한 하기 문헌을 참고할 수 있다(Levis, M., K. F. Tse, et al. (2001) "A FLT3 tyrosine kinase inhibitor is selectively cytotoxic to acute myeloid leukemia blasts harboring FLT3 internal tandem duplication mutations." Blood 98(3): 885-7; Tse KF, et al. (2001) Inhibition of FLT3-mediated transformation by use of a tyrosine kinase inhibitor. Leukemia. Jul; 15(7):1001-10; Smith, B. Douglas et al. Single-agent CEP-701, a novel FLT3 inhibitor, shows biologic and clinical activity in patients with relapsed or refractory acute myeloid leukemia Blood, May 2004; 103: 3669-3676; Griswold, Ian J. et al. Effects of MLN518, A Dual FLT3 and KIT Inhibitor, on Normal and Malignant Hematopoiesis. Blood, Jul 2004; [Epub ahead of print]; Yee, Kevin W. H. et al. SU5416 and SU5614 inhibit kinase activity of wild-type and mutant FLT3 receptor tyrosine kinase, Blood, Sep 2002; 100: 2941-294; O'Farrell, Anne-Marie et al. SU11248 is a novel FLT3 tyrosine kinase inhibitor with potent activity in vitro and in vivo. Blood, May 2003; 101: 3597-3605; Stone, R.M. et al. PKC 412 FLT3 inhibitor therapy in AML:results of a phase II trial. Ann Hematol. 2004; 83 Suppl 1:S89-90; 및 Murata, K. et al. Selective cytotoxic mechanism of GTP-14564, a movel tyrosine kinase inhibitor in leukemia cells expressing a constitutively active Fms-like tyrosine kinase 3 (FLT3). J Biol Chem. 2003 Aug 29; 278(35):32892-8; Levis, Mark et al. Novel FLT3 tyrosine kinase inhibitors. Expert Opin. Investing. Drugs (2003) 12(12) 1951-1962; Levis, Mark et al. Small Molecule FLT3 tyrosine Kinase Inhibitors. Current Pharmaceutical Design, 2004, 10, 1183-1193).
본 발명은 FLT3 키나아제 억제제 및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를 투여함을 특징으로 하여 세포 또는 대상에서 FLT3 타이로신 키나아제 활성 또는 발현을 억제하거나 FLT3 키나아제 활성 또는 발현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 명은 또한, 일반적으로 대상에게 예방적으로 유효한 양의 FLT3 키나아제 억제제 및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를 투여함을 특징으로 하여, 세포 증식성 질환 또는 FLT3 관련 질환이 전개될 위험성이 있는 (전개되기 쉬운) 대상을 예방적 및 치료적으로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FLT3 키나아제 억제제 및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는 FLT3 키나아제 억제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단위형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투여될 수도 있고, (1) FLT3 키나아제 억제제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제1 약제학적 조성물과 (2)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제2 약제학적 조성물로 분리된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투여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는 대상에게 치료적으로 또는 예방적으로 유효한 양의 FLT3 키나아제 억제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와 함께 화학요법, 방사선 요법, 유전자 요법 및 면역 요법을 포함하는 다른 항-세포증식 요법(들)을 하나 이상 적용함을 특징으로 하여 세포 증식성 질환 또는 FLT3 관련 질환의 개시를 치료하거나 억제하는 다중 성분 요법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 특징, 이점 및 대상은 도면과 함께 하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충분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누드 마우스에서 MV4-11 종양 이종이식편의 성장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경구투여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누드 마우스에서 MV4-11 종양 이종이식편의 최종 무게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경구투여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로 처리된 마우스로부터 얻은 MV4-11 종양에서 FLT3 포스포릴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FLT3-의존성 증식의 억제를 시험한 화합물들이다.
도 6a-6h는 FLT3 의존성 AML 세포 증식에 대한 단일 제제의 용량 반응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저용량의 FLT3 억제제가 FLT3 의존성 세포에서 티피파니브의 효능을 유의성 있게 이동시킴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FLT3 억제제 화합물 (A) 및 티피파니브 또는 사이타라빈(Cytarabine)의 단일 용량 배합물이 FLT3-의존성 세포주 성장을 상승적으로 억제함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FLT3 억제제 화합물 B 및 D와 티피파니브 또는 사이타라빈의 단일 용량 배합물이 MV4-11 세포 성장을 상승적으로 억제함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a는 FLT3 억제제 화합물 A 및 티피파니브가 FLT3 의존성 세포의 증식을 상승적으로 억제함을 Chou 및 Talalay 방법으로 측정한 것이다.
도 10b는 FLT3 억제제 화합물 B 및 티피파니브가 FLT3 의존성 세포의 증식을 상승적으로 억제함을 Chou 및 Talalay 방법으로 측정한 것이다.
도 10c는 FLT3 억제제 화합물 C 및 티피파니브가 FLT3 의존성 세포의 증식을 상승적으로 억제함을 Chou 및 Talalay 방법으로 측정한 것이다.
도 10d는 FLT3 억제제 화합물 D 및 티피파니브가 FLT3 의존성 세포의 증식을 상승적으로 억제함을 Chou 및 Talalay 방법으로 측정한 것이다.
도 10e는 FLT3 억제제 화합물 H 및 티피파니브가 MV4-11 세포의 증식을 상승적으로 억제함을 Chou 및 Talalay 방법으로 측정한 것이다.
도 10f는 FLT3 억제제 화합물 E 및 자르네스트라(Zarnestra)가 MV4-11 세포의 증식을 상승적으로 억제함을 Chou 및 Talalay 방법으로 측정한 것이다.
도 10g는 FLT3 억제제 화합물 F 및 티피파니브가 FLT3 의존성 MV4-11 세포의 증식을 상승적으로 억제함을 Chou 및 Talalay 방법으로 측정한 것이다.
도 10h는 FLT3 억제제 화합물 G 및 티피파니브가 FLT3 의존성 MV4-11 세포의 증식을 상승적으로 억제함을 Chou 및 Talalay 방법으로 측정한 것이다.
도 11은 FLT3 억제제와 FTI의 배합이 MV4-11 세포의 고사를 상승적으로 유발시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캐스파제 3/7 활성화 및 FLT3 의존성 MV4-11 세포의 고사 유발에 대한 단일 제제의 용량 반응을 나타낸 것이다.
도 13a는 FLT3 억제제 화합물 B와 티피파니브가 FLT3 의존성 MV4-11 세포에서 캐스파제 3/7의 활성화를 상승적으로 유발시킴을 Chou 및 Talalay 방법으로 측정한 것이다.
도 13b는 FLT3 억제제 화합물 C와 티피파니브가 FLT3 의존성 MV4-11 세포에서 캐스파제 3/7의 활성화를 상승적으로 유발시킴을 Chou 및 Talalay 방법으로 측 정한 것이다.
도 13c는 FLT3 억제제 화합물 D와 티피파니브가 FLT3 의존성 MV4-11 세포에서 캐스파제 3/7의 활성화를 상승적으로 유발시킴을 Chou 및 Talalay 방법으로 측정한 것이다.
도 14는 MV4-11 세포에서 FLT3 및 MapKinase 포스포릴화의 억제에 대한 FLT3 억제제 화합물 A의 효능을 티피파니브가 증가시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누드 마우스의 MV-4-11 종양 이종이식편 성장에 있어서, FLT3 억제제 화합물 B와 티피파니브가 단독으로 또는 함께 경구투여되었을 때 종양 부피에 대한 경시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최종 연구일(final study day)에 누드 마우스의 MV-4-11 종양 이종이식편 성장에 있어서, FLT3 억제제 화합물 B와 티피파니브가 단독으로 또는 함께 경구투여되었을 때 종양 부피에 대한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7은 최종 연구일에 누드 마우스의 MV-4-11 종양 이종이식편 성장에 있어서, FLT3 억제제 화합물 B와 티피파니브가 단독으로 또는 함께 경구투여되었을 때 종양 무게에 대한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8은 누드 마우스의 MV4-11 종양 이종이식편 성장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FLT3 억제제 화합물 D의 경구투여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9는 누드 마우스의 MV4-11 종양 이종이식편의 최종 무게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FLT3 억제제 화합물 D의 경구투여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0은 마우스 체중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FLT3 억제제 화합물 D의 경구투 여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FLT3 억제제 화합물 D로 처리된 마우스로부터 얻어진 MV4-11 종양에서의 FLT3 포스포릴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22는 누드 마우스의 MV-4-11 종양 이종이식편 성장에 있어서, FLT3 억제제 화합물 D와 티피파니브가 단독으로 또는 함께 경구투여되었을 때 종양 부피에 대한 경시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3은 누드 마우스의 MV-4-11 종양 이종이식편 성장에 있어서, FLT3 억제제 화합물 D와 티피파니브가 단독으로 또는 함께 경구투여되었을 때 종양 부피에 대한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4는 FLT3 억제제 화합물 D와 티피파니브가 단독으로 또는 함께 경구투여되었을 때 누드 마우스의 MV-4-11 종양 이종이식편 최종 무게에 대한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바람직한 구체예
용어 "함유하는" 및 "포함하는"은 본 명세서에서 개방되고, 제한되지 않은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은 FLT3 키나아제 억제제 및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를 투여함을 특징으로 하여, 세포 또는 대상에서 FLT3 타이로신 키나아제 활성 또는 발현을 억제하거나 FLT3 키나아제 활성 또는 발현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는 FLT3 키나아제 억제제 및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를 대상에게 투여함을 특징으로 하여, 대상에서 FLT3 타이로신 키나아제 활성을 감소시키거나 억제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는 FLT3 키나아제 억제제 및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를 대상에게 투여함을 특징으로 하여, 대상에서 FLT3 타이로신 키나아제 활성 또는 발현과 관련된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는 세포를 FLT3 키나아제 억제제 및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여, 세포에서 FLT3 타이로신 키나아제 활성을 감소시키거나 억제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FLT3 키나아제 억제제 및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를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여, 대상에서 FLT3 타이로신 키나아제 발현을 감소시키거나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추가로 세포를 FLT3 키나아제 억제제 및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여, 세포에서 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세포 또는 대상에서 FLT3의 키나아제 활성은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된 FLT3 키나아제 에세이와 같이 당업계에 주지된 방법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대상"은 치료, 관찰 또는 실험의 대상이 되는 동물,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 가장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접촉"은 세포에 의해 화합물이 섭취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화합물이 세포에 첨가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측면의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세포 증식성 질환 또는 FLT3 관련 질환이 전개될 위험성이 있는 (전개되기 쉬운) 대상을 예방적 및 치료적으로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1) FLT3 키나아제 억제제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제1 약제학적 조성물과 (2)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제2 약제학적 조성물의 예방적으로 유효한 양을 대상에게 투여함을 특징으로 하여, 대상의 세포 증식성 질환 또는 FLT3 관련 질환을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FLT3 키나아제 억제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예방적으로 유효한 양을 대상에게 투여함을 특징으로 하여 대상의 세포 증식성 질환 또는 FLT3 관련 질환을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예방제(들)은 세포 증식성 질환 또는 FLT3 관련 질환의 특징적인 증상이 명백해지기 전에 질병 또는 질환이 예방되거나 진행이 지연되도록 투여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1) FLT3 키나아제 억제제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제1 약제학적 조성물과 (2)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제2 약제학적 조성물의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을 대상에게 투여함을 특징으로 하여, 대상의 세포 증식성 질환 또는 FLT3 관련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FLT3 키나아제 억제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을 대상에게 투여함을 특징으로 하여 대상의 세포 증식성 질환 또는 FLT3 관련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치료제(들)은 이들이 세포 증식성 질환 또는 FLT3 관련 질환에 대한 보상 요법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질환의 특징적인 증상이 명백해짐과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FLT3 키나아제 억제제와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는 FLT3 키나아제 억제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단위형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투여될 수도 있고, (1) FLT3 키나아제 억제제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제1 약제학적 조성물과 (2)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제2 약제학적 조성물로 분리된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투여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두 가지 약제학적 조성물은 (분리된 조성물로서) 동시에, 대략 동일한 시간에 임의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또는 분리된 복용 스케쥴에 따라 투여될 수 있다. 분리된 복용 스케쥴에서, 두 가지 조성물은 유리하거나 상승적인 효과가 달성되기에 충분한 기간, 양, 방식으로 투여된다.
투여의 바람직한 방법 및 순서, 배합물 중 각 성분에 대한 각각의 복용량 및 복용법은 투여될 제제, 투여경로, 치료될 특정 종양 및 치료될 특정 숙주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당업자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정보에 따라 통상의 방법을 사용하여 FLT3 키나아제 억제제 및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 투여의 최적 방법 및 순서, 복용량 및 복용법을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는 사실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FLT3 키나아제 억제제 및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의 복용량과 복용법은 이들이 단독으로 또는 다른 화학요법제와 함께 투여되는 경우 임상 요법에서 이미 적용되고 있는 것과 비슷하거나 더 적을 것이다.
용어 "예방적으로 유효한 양"은 대상에서 연구원, 수의사, 의사 또는 다른 임상의에 의해 발견된 질환의 개시를 억제하거나 지연시키는 활성 화합물 또는 약제의 양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은 대상에서 연구원, 수의사, 의사 또는 다른 임상의에 의해 발견된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반응 (치료될 질병 또는 질환의 증상 경감을 포함한다)을 이끌어내는 활성 화합물 또는 약제의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들)의 치료적 및 예방적으로 유효한 복용량을 결정하는 방법은 공지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조성물"은 특정 성분들을 특정 양으로 포함하는 제품은 물론, 특정 성분들이 특정 양으로 포함된 배합물로부터 직간접적으로 유래된 모든 제품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FLT3 관련 질환" 또는 "FLT3 수용체 관련 질환" 또는 "FLT3 수용체 타이로신 키나아제 관련 질환"은 예를 들어 FLT3의 과활성 (overactivity)과 같이 FLT3 활성과 연관되거나 이를 포함하는 질병, 및 이들 질병에 수반되는 증상을 포함한다. 용어 "FLT3의 과활성"은 1) 정상적으로 FLT3를 발현하지 않는 세포에서의 FLT3 발현; 2) 정상적으로 FLT3를 발현하지 않는 세포에 의한 FLT3 발현; 3) 불필요한 세포 증식을 유발시키는 증가된 FLT3 발현; 4) FLT3의 구조적(constitutive) 활성화를 유발시키는 돌연변이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FLT3 관련 질환"은 비정상적으로 많은 양의 FLT3 또는 FLT3에서의 돌연변이로 인한 FLT3의 지나친 자극에 기인한 질환, 또는 비정상적으로 많은 양의 FLT3 또는 FLT3에서의 돌연변이로 인한 FLT3의 비정상적으로 높은 활성에 기인한 질환을 포함한다. FLT3의 과활성이 하기 열거된 세포 증식성 질환, 신생물 질환 및 암을 포함하는 다수의 질병 발생에 연관되어 있다는 사실이 공지되어 있다.
용어 "세포 증식성 질환"은 다세포 유기체에서 세포들의 하나 이상의 부분집합(subset)의 불필요한 세포 증식으로 인해 다세포 유기체에 해악 (즉, 불쾌감 또는 감소된 기대수명)을 끼치는 것을 의미한다. 세포 증식성 질환은 다른 타입의 동물 및 인간에서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세포 증식성 질환"은 신생물 질환 및 다른 세포 증식성 질환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신생물 질환"은 비정상적이거나 조절되지 않은 세포 성장으로 인한 종양을 의미한다. 신생물 질환은 조혈 질환, 예를 들어, 혈소판혈증, 본태성 혈소판증가증(ET), 맥관성 골수양이형, 골수섬유증(MF), 골수양이형이 수반된 골수섬유증(MMM), 만성 특발성 골수섬유증(IMF), 진성다혈구증(PV), 혈구감소증, 예비-악성 골수이형성 증후군과 같은 골수증식성 질환; 암, 예를 들어 신경교종, 폐암, 유방암, 직장암, 전립선암, 위암, 식도암, 결장암, 췌장암, 난소암, 및 혈액암, 예를 들어, 골수이형성, 다발성 골수종, 백혈병 및 림프종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혈액암은, 예를 들어, 백혈병, 림프종(비호지킨 림프종), 호지킨병 (호지킨 림프종) 및 골수종, 예를 들어, 급성 림프성 백혈병(ALL),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 급성 전 골수성 백혈병(APL), 만성 림프성 백혈병(CLL), 만성 골수성 백혈병(CML), 만성 호중구성 백혈병(CNL), 급성 미분화 백혈병(AUL), 퇴행성 대세포 림프종(ALCL), 전 림프성 백혈병(PML), 연소성 골수단구성 백혈병(JMML), 성인 T-세포 ALL, 범혈구 골수이형성을 동반한 AML(AML/TMDS), 혼합계열 백혈병(MLL), 골수 이형성 증후군(MDSs), 골수 증식성 질환(MPD) 및 다발성 골수종(MM)을 포함한다.
이러한 측면의 추가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범위에는 대상에게 치료적으로 또는 예방적으로 유효한 양의 FLT3 키나아제 억제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와 함께 화학요법, 방사선 요법, 유전자 요법 및 면역 요법을 포함하는 다른 항-세포증식 요법(들)의 하나 이상을 적용함을 특징으로 하여 대상에서 세포 증식성 질환 또는 FLT3 관련 질환의 개시를 치료하거나 억제하는 다중 성분 요법이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화학요법"은 화학요법제를 포함하는 치료법을 의미한다. 다양한 화학요법제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중 성분 치료법에 사용될 수 있다. 예시될 수 있는 화학요법제는 백금 화합물(즉, 시스플라틴, 카보플라틴, 옥살리플라틴); 탁산 화합물(즉, 파클리탁셀, 도세탁솔); 캄포토테신 화합물(이리노테칸, 토포테칸); 빈카 알칼로이드(즉, 빈크리스틴, 빈블라스틴, 비노렐빈); 항-종양 뉴클레오시드 유도체(즉, 5-플루오로우라실, 류코보린, 젬시타빈, 카페시타빈); 알킬화제(즉, 사이클로포스파미드, 카르머스틴, 로머스틴, 티오테파); 에피포도필로톡신/포도필로톡신(즉, 에토포시드, 테니포시드); 아로마타제 억제제(즉, 아나스트로졸, 레트로졸, 엑세메스탄); 항-에스트로겐 화합물(즉, 타목시펜, 풀베스트란트), 항엽산염(즉, 프레메트렉스드 디소듐); 메틸화 억제제(즉, 아자시티딘); 생물학적 제제(즉, 젬투자마브, 세툭시마브, 리툭시마브, 페르투주마브, 트라스투주마브, 베바시주마브, 에를로티니브); 항생제/안트라사이클린(즉, 이다루비신, 악티노마이신 D, 블레오마이신, 다우노루비신, 독소루비신, 미토마이신 C, 닥티노마이신, 카르미노마이신, 다우노마이신); 대사길항물질(즉, 아미노프테린, 클로파라빈, 사이토신 아라비노시드, 메토트렉세이트); 투불린-결합제(즉, 콤브레타스타틴, 콜키신, 노코다졸); 토포아이소머라제 억제제(즉, 캄프토테신)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추가의 유용한 약제는 수용된 화학요법제에 내성을 갖는 종양 세포에 화학적 감수성을 부여하고 약물-민감성 악성종양에서 이들 화합물의 효능을 증가시키는데 항신생물 제제와 함께 유용한 것으로 밝혀진 칼슘 길항물질 베라파밀을 포함한다 (Simpson WG, The calcium channel blocker verapamil and cancer chemotherapy. Cell Calcium. 1985 Dec;6(6):449-67). 또한, 아직 화학요법제로서 출시되지 않은 것도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과 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FLT3 키나아제 억제제 및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는 방사선 요법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방사선 요법"은 방사선 치료가 필요한 대상을 방사선에 노출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요법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적당한 방사선 요법 계획은 방사선 요법이 단독으로 또는 다른 화학요법제와 함께 사용되는 임상적 치료에서 이미 사용되는 것과 유사할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FLT3 키나아제 억제제 및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는 유전자 요법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유전자 요법"은 종양 전개에 포함된 특정 유전자를 표적으로 하는 요법을 의미한다. 가능한 유전자 요법 전략의 예로는 결함을 갖는 암-억제성 유전자의 복원, 성장인자 및 그의 수용체를 암호화하는 유전자에 상응하는 안티센스 DNA에 의한 세포 형질도입 또는 형질감염, 리보자임, RNA 디코이, 안티센스 메신저 RNA 및 작은 간섭 RNA (siRNA) 분자와 같은 RNA에 기초한 전략, 및 소위 '자살 유전자' 전략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FLT3 키나아제 억제제 및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는 면역 요법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면역 요법"은 종양 전개에 포함된 특정 단백질에 특이적인 항체를 통해 당해 단백질을 표적으로 하는 요법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혈관내피성장인자에 대한 모노클론항체가 암을 치료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화학요법제(들)이 FLT3 키나아제 억제제 및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에, 추가의 화학요법제(들), FLT3 키나아제 억제제 및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는 동시에(즉, 분리된 조성물 또는 단위형 조성물로서), 대략 같은 시간에 임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또는 별개의 복용 계획에 따라 투여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약제는 유리하거나 상승적인 효과가 달성되기에 충분한 기간, 양, 방식으로 투여된다. 추가적인 화학요법제(들)에 대한 투여의 바람직한 방법 및 순서, 각각의 복용량 및 복용법은 FLT3 키나아제 억제제 및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와 함께 투여될 특정 화학요법제(들), 투여경로, 치료될 특정 종양 및 치료될 특정 숙주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추가적인 화학요법제(들)의 적당한 복용량은 이들이 단독으로 또는 다른 화학요법제와 함께 투여되는 경우 임상 요법에서 이미 적용되고 있는 것과 비슷하거나 더 적을 것이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정보에 따라 통상의 방법을 사용하여 투여의 최적 방법 및 순서, 복용량 및 복용법을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백금 화합물은 1 내지 500 mg/㎡ (body surface area), 예를 들어, 50 내지 400 mg/㎡의 복용량으로, 특히 시스플라틴의 경우 치료 과정당 약 75 mg/㎡, 카보플라틴의 경우 약 300 mg/㎡의 복용량으로 유리하게 투여된다. 시스플라틴은 경구섭취되지 않기 때문에 정맥내, 피하, 종양내, 복강내 주사로 전달되어야만 한다.
예시적으로, 탁산 화합물은 50 내지 400 mg/㎡ (body surface area), 예를 들어, 75 내지 250 mg/㎡의 복용량으로, 특히 파클리탁셀의 경우 치료 과정당 약 175 내지 250 mg/㎡, 도세탁셀의 경우 약 75 내지 150 mg/㎡의 복용량으로 유리하게 투여된다.
예시적으로, 캄프토테신 화합물은 0.1 내지 400 mg/㎡ (body surface area), 예를 들어, 1 내지 300 mg/㎡의 복용량으로, 특히 이리노테칸의 경우 치료 과정당 약 100 내지 350 mg/㎡, 토포테칸의 경우 약 1 내지 2 mg/㎡의 복용량으로 유리하게 투여된다.
예시적으로, 빈카 알칼로이드는 2 내지 30 mg/㎡ (body surface area)의 복용량으로, 특히 빈블라스틴의 경우 치료 과정당 약 3 내지 12 mg/㎡, 빈크리스틴의 경우 약 1 내지 2 mg/㎡, 비노렐빈의 경우 약 10 내지 30 mg/㎡의 복용량으로 유리하게 투여된다.
예시적으로, 항-종양 뉴클레오시드 유도체는 200 내지 2500 mg/㎡ (body surface area), 예를 들어, 700 내지 1500 mg/㎡의 복용량으로 유리하게 투여된다. 5-플루오로우라실(5-FU)은 통상 200 내지 500 mg/㎡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5 mg/kg/day)의 복용량으로 정맥주사를 통해 투여된다. 젬시타빈은 치료 과정당 약 800 내지 1200 mg/㎡, 카페시타빈은 약 1000 내지 2500 mg/㎡의 복용량으로 유리하게 투여된다.
예시적으로, 알킬화제는 100 내지 500 mg/㎡ (body surface area), 예를 들어, 120 내지 200 mg/㎡의 복용량으로, 특히 사이클로포스파미드의 경우 치료 과정당 약 100 내지 500 mg/㎡, 클로람부실의 경우 약 0.1 내지 0.2 mg/kg (체중), 카르무스틴의 경우 약 150 내지 200 mg/㎡, 로무스틴의 경우 약 100 내지 150 mg/㎡의 복용량으로 유리하게 투여된다.
예시적으로, 포도필로톡신 유도체는 30 내지 300 mg/㎡ (body surface area), 예를 들어, 50 내지 250 mg/㎡의 복용량으로, 특히 에토포시드의 경우 치료 과정당 약 35 내지 100 mg/㎡, 테니포시드의 경우 약 50 내지 250 mg/㎡의 복용량으로 유리하게 투여된다.
예시적으로, 안트라사이클린 유도체는 10 내지 75 mg/㎡ (body surface area), 예를 들어, 15 내지 60 mg/㎡의 복용량으로, 특히 독소루비신의 경우 치료 과정당 약 40 내지 75 mg/㎡, 다우노루비신의 경우 약 25 내지 45 mg/㎡, 이다루비신의 경우 약 10 내지 15 mg/㎡의 복용량으로 유리하게 투여된다.
예시적으로, 항-에스트로겐 화합물은 특정 제제 및 치료되어야할 증상에 따라 매일 약 1 내지 100 mg의 복용량으로 유리하게 투여된다. 타목시펜은 1일 2회 5 내지 50 mg,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mg의 복용량으로 유리하게 경구 투여되며, 치료 효과를 달성하고 유지하기에 충분한 시간동안 요법을 지속적으로 수행한다. 토레미펜은 1일 1회 약 60 mg의 복용량으로 유리하게 경구 투여되며, 치료 효과를 달성하고 유지하기에 충분한 시간동안 요법을 지속적으로 수행한다. 아나스트로졸은 1일 1회 약 1 mg의 복용량으로 유리하게 경구 투여된다. 드롤록시펜은 1일 1회 약 20 내지 100 mg의 복용량으로 유리하게 경구 투여된다. 랄록시펜은 1일 1회 약 60 mg의 복용량으로 유리하게 경구 투여된다. 엑세메스탄은 1일 1회 약 25 mg의 복용량으로 유리하게 경구 투여된다.
예시적으로, 생물학적 제제는 약 1 내지 5 mg/㎡ (body surface area)의 복용량으로, 또는 상이한 경우 당업계에 공지된 바에 따라 유리하게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라스투주마브는 치료 과정당 1 내지 5 mg/㎡, 특히 2 내지 4 mg/㎡의 복용량으로 유리하게 투여된다.
복용량은 치료 과정당 1회, 2회 또는 그 이상 투여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7, 14, 21 또는 28일마다 반복될 수 있다.
FLT3 키나아제 억제제 및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는 대상에게 전신투여, 예를 들어 정맥투여, 경구투여, 피하투여, 근육투여, 피내투여, 또는 비경구투여될 수 있다. FLT3 키나아제 억제제 및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는 또한 대상에게 국소투여될 수 있다. 국소 전달 시스템의 제한되지 않은 예로서 혈관내 약물 전달 카테터, 와이어, 약리학적 스텐트 및 관내 페이빙을 포함하는 관강내 의료 기기의 사용을 들 수 있다. FLT3 키나아제 억제제 및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를 또한 표적 부위에서 FLT3 키나아제 억제제 및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의 높은 국소 농도를 달성하기 위해 표적화 제제(targeting agent)와 함께 대상에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몇시간 내지 몇주에 걸친 기간 중에 표적 조직과 약물 또는 제제를 접촉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FLT3 키나아제 억제제 및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를 빠른-방출형 제제 또는 서방성 제제로 제형화할 수 있다.
FLT3 키나아제 억제제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고,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분리된 약제학적 조성물은 개개 화합물을 약 0.1 내지 1000 mg, 바람직하게는 약 100 내지 500 mg 범위로 포함할 수 있으며, 선택된 투여 방법에 적합한 어떤 형태로도 제형화할 수 있다.
FLT3 키나아제 억제제 및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포함하는 단위형 약제학적 조성물은 화합물을 약 0.1 내지 1000 mg, 바람직하게는 약 100 내지 500 mg 범위로 포함할 수 있으며, 선택된 투여 방법에 적합한 어떤 형태로도 제형화할 수 있다.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은 동물 또는 인간에 투여되는 경우 역반응, 알러지성 반응 또는 기타 의도되지 않은 반응을 생성하지 않는 분자 구성물 또는 조성물로서 적합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수의학적 사용도 동등하게 포함하며,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제제는 임상적 및/또는 수의학적 사용을 위한 제제를 포함한다.
담체는 필수적이고 불활성인 약제학적 부형제로서 결합제, 현탁제, 윤활제, 향미제, 감미제, 방부제, 염료 및 코팅제를 포함하나,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경구 투여에 적합한 조성물은 환제, 정제, 캐플릿, 캡슐제 (각각은 즉시 방출형, 조절 방출형 및 서방형 제제를 포함한다), 그래뉼제 및 산제와 같은 고체 제제, 및 용액제, 시럽제, 엘릭시르제, 에멀젼 및 현탁액과 같은 액체 제제를 포함한다. 비경구 투여에 유용한 형태는 멸균 용액, 에멀젼 및 현탁액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단위형이냐 분리형이냐에 무관하게 FLT3 키나아제 억제제 및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의 느린 방출을 목적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단위형 또는 분리형의 이러한 조성물은 서방성 담체 (통상, 중합체성 담체)와 함께 FLT3 키나아제 억제제 및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 중의 하나, 또는 단위형 조성물의 경우 둘다 포함한다.
서방성 생분해성 담체는 당업계에 주지되어 있다. 이들은 그 안에 활성 화합물(들)을 포획하는 입자를 형성하고 적당한 환경(즉, 수성, 산성, 염기성 등)하에 천천히 분해/용해될 수 있음으로 인해, 체액 중에서 분해/용해되어 활성 화합물(들)을 방출하는 물질이다. 입자는 바람직하게는 나노입자(즉, 약 1 내지 500 nm 직경,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200 nm 직경,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0 nm 직경 범위)이다.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또는 치료에서 사용될 수 있는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는 상기 일반식 (I), (II), (III), (IV), (V), (VI), (VII), (VIII) 또는 (IX)의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FTIs")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FTIs는 일반식 (I), (II) 또는 (III)의 화합물,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또는 염기 부가염 및 입체화학적 이성체 형태를 포함한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010
상기 식에서
점선은 임의 결합을 나타내고;
X 는 산소 또는 황을 나타내며;
R1은 수소, C1-12알킬, Ar1, Ar2C1-6알킬, 퀴놀리닐C1-6알킬, 피리딜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 아미노C1-6알킬, 또는 일반식 -Alk1-C(=O)-R9, -Alk1-S(O)-R9 또는 -Alk1-S(O)2-R9의 래디칼을 나타내고,
여기에서
Alk1 는 C1-6알칸디일을 나타내며,
R9는 하이드록시, C1-6알킬, C1-6알킬옥시, 아미노, C1-8알킬아미노 또는 C1-6알킬옥시카보닐에 의해 치환된 C1-8알킬아미노를 나타내고;
R2, R3 및 R16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록시, 할로, 시아노, C1-6알킬, C1-6알킬옥시, 하이드록시C1-6알킬옥시, C1-6알킬옥시C1-6알킬옥시, 아미노C1-6알킬옥시,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옥시, Ar1, Ar2C1-6알킬, Ar2옥시, Ar2C1-6알킬옥시, 하이드록시카보닐, C1-6알킬옥시카보닐, 트리할로메틸, 트리할로메톡시, C2-6알케닐, 4,4-디메틸옥사졸릴을 나타내거나;
인접한 위치의 R2 및 R3 가 함께 하기 구조식의 2가 래디칼을 형성할 수 있으며:
-O-CH2-O- (a-1),
-O-CH2-CH2-O- (a-2),
-O-CH=CH- (a-3),
-O-CH2-CH2- (a-4),
-O-CH2-CH2-CH2- (a-5), 또는
-CH=CH-CH=CH- (a-6);
R4 및 R5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 Ar1, 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C1-6알킬옥시, C1-6알킬티오, 아미노, 하이드록시카보닐, C1-6알킬옥시카보닐, C1-6알킬S(O)C1-6알킬 또는 C1-6알킬S(O)2C1-6알킬을 나타내고;
R6 및 R7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 시아노, C1-6알킬, C1-6알킬옥시, Ar2옥시, 트리할로메틸, C1-6알킬티오, 디(C1-6알킬)아미노를 나타내거나,
인접한 위치의 R6 및 R7 이 함께 하기 구조식의 2가 래디칼을 형성할 수 있으며:
-O-CH2-O- (c-1), 또는
-CH=CH-CH=CH- (c-2);
R8 은 수소, C1-6알킬, 시아노, 하이드록시카보닐, C1-6알킬옥시카보닐, C1-6알킬카보닐C1-6알킬, 시아노C1-6알킬, C1-6알킬옥시카보닐C1-6알킬, 카복시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아미노C1-6알킬,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 이미다졸릴, 할로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아미노카보닐C1-6알킬, 또는 하기 일반식의 래디칼을 나타내고:
-O-R10 (b-1),
-S-R10 (b-2),
-N-R11R12 (b-3),
여기에서
R10 은 수소, C1-6알킬, C1-6알킬카보닐, Ar1, Ar2C1-6알킬, C1-6알킬옥시카보닐C1-6알킬, 또는 일반식 -Alk2-OR13 또는 -Alk2-NR14R15의 래디칼을 나타내며;
R11 은 수소, C1-12알킬, Ar1 또는 Ar2C1-6알킬을 나타내고;
R12 은 수소, C1-6알킬, C1-16알킬카보닐, C1-6알킬옥시카보닐, C1-6알킬아미노카보닐, Ar1, Ar2C1-6알킬, C1-6알킬카보닐C1-6알킬, 천연 아미노산, Ar1카보닐, Ar2C1-6알킬카보닐, 아미노카보닐카보닐, C1-6알킬옥시C1-6알킬카보닐, 하이드록시, C1-6알킬옥시, 아미노카보닐,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카보닐, 아미노, C1-6알킬아미노, C1-6알킬카보닐아미노, 또는 일반식 -Alk2-OR13 또는 -Alk2-NR14R15의 래디칼을 나타내며;
여기에서
Alk2 는 C1-6알칸디일을 나타내고;
R13 은 수소, C1-6알킬, C1-6알킬카보닐, 하이드록시C1-6알킬, Ar1 또는 Ar2C1-6알킬을 나타내며;
R14 는 수소, C1-6알킬, Ar1 또는 Ar2C1-6알킬을 나타내고;
R15 는 수소, C1-6알킬, C1-6알킬카보닐, Ar1 또는 Ar2C1-6알킬을 나타내며;
R17 은 수소, 할로, 시아노, C1-6알킬, C1-6알킬옥시카보닐, Ar1을 나타내고;
R18 은 수소, C1-6알킬, C1-6알킬옥시 또는 할로를 나타내며;
R19 는 수소 또는 C1-6알킬을 나타내고;
Ar1 은 페닐, 또는 C1-6알킬, 하이드록시, 아미노, C1-6알킬옥시 또는 할로에 의해 치환된 페닐을 나타내며;
Ar2 는 페닐, 또는 C1-6알킬, 하이드록시, 아미노, C1-6알킬옥시 또는 할로에 의해 치환된 페닐을 나타낸다.
일반식 (I), (II) 및 (III)에서, R4 또는 R5 는 이미다졸환의 질소원자중 하나에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질소원자 상의 수소가 R4 또는 R5 로 대체되며, 질소에 결합된 R4 및 R5 의 정의는 수소, Ar1, 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C1-6알킬옥시카보닐, C1-6알킬S(O)C1-6알킬, C1-6알킬S(O)2C1-6알킬로 제한된다.
바람직하게는 일반식 (I), (II) 및 (III)의 치환체 R18이 퀴놀리논 부위의 5 또는 7-번에 위치하며, R18이 7-번에 위치하는 경우 치환체 R19가 8-번에 위치한다.
FTIs 의 바람직한 예는 X 가 산소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이다.
또한, 바람직한 FTIs 의 예는 점선이 결합을 나타냄으로써 이중 결합을 형성하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이다.
바람직한 FTIs 의 또 다른 그룹은 R1 이 수소, 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 또는 일반식 -Alk1-C(=O)-R9의 래디칼이고, 여기에서 Alk1 이 메틸렌이며, R9 가 C1-6알킬옥시카보닐에 의해 치환된 C1-8알킬아미노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이다.
바람직한 FTIs 의 또 다른 그룹은 R3 가 수소 또는 할로이고; R2 가 할로, C1-6알킬, C2-6알케닐, C1-6알킬옥시, 트리할로메톡시 또는 하이드록시C1-6알킬옥시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이다.
바람직한 FTIs 의 추가 그룹은 R2 및 R3 가 인접한 위치에 있고, 이들이 함께 구조식 (a-1), (a-2) 또는 (a-3)의 2가 래디칼을 형성하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이다.
바람직한 FTIs 의 추가 그룹은 R5 가 수소이고 R4 가 수소 또는 C1-6알킬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이다.
바람직한 FTIs 의 또 다른 그룹은 R7 이 수소이고; R6 가 C1-6알킬 또는 할로, 바람직하게는 클로로, 특히 4-클로로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이다.
바람직한 FTIs 의 또 다른 예시적 그룹은 R8 이 수소, 하이드록시, 할로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시아노C1-6알킬, C1-6알킬옥시카보닐C1-6알킬, 이미다졸릴, 또는 일반식 -NR11R12 의 래디칼이고, 여기에서 R11 이 수소 또는 C1-12알킬이며, R12 가 수소, C1-6알킬, C1-6알킬옥시, 하이드록시, C1-6알킬옥시C1-6알킬카보닐, 또는 일반식 -Alk2-OR13 의 래디칼이고, 여기에서 R13 이 수소 또는 C1-6알킬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이다.
바람직한 화합물은 또한, R1 이 수소, 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 또는 일반식 -Alk1-C(=O)-R9의 래디칼이고, 여기에서 Alk1 이 메틸렌이며, R9 가 C1-6알킬옥시카보닐에 의해 치환된 C1-8알킬아미노이고; R2 가 할로, C1-6알킬, C2-6알케닐, C1-6알킬옥시, 트리할로메톡시, 하이드록시C1-6알킬옥시 또는 Ar1이며; R3 가 수소이고; R4 가 이미다졸의 3-번 위치 질소에 결합된 메틸이며; R5 가 수소이고; R6 가 클로로이며; R7 이 수소이고; R8 이 수소, 하이드록시, 할로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시아노C1-6알킬, C1-6알킬옥시카보닐C1-6알킬, 이미다졸릴, 또는 일반식 -NR11R12 의 래디칼이며, 여기에서 R11 이 수소 또는 C1-12알킬이고 R12 가 수소, C1-6알킬, C1-6알킬옥시, C1-6알킬옥시C1-6알킬카보닐, 또는 일반식 -Alk2-OR13 의 래디칼이며, 여기에서 R13 이 C1-6알킬이고; R17 이 수소이며 R18 이 수소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이다.
특히 바람직한 FTIs 는
4-(3-클로로페닐)-6-[(4-클로로페닐)하이드록시(1-메틸-1H-이미다졸-5-일)메틸]-1-메틸-2(1H)-퀴놀리논;
6-[아미노(4-클로로페닐)-1-메틸-1H-이미다졸-5-일메틸]-4-(3-클로로페닐)-
1-메틸-2(1H)-퀴놀리논;
6-[(4-클로로페닐)하이드록시(1-메틸-1H-이미다졸-5-일)메틸]-4-(3-에톡시페닐)-1-메틸-2(1H)-퀴놀리논;
6-[(4-클로로페닐)(1-메틸-1H-이미다졸-5-일)메틸]-4-(3-에톡시페닐)-1-메틸-2(1H)-퀴놀리논 모노하이드로클로라이드.모노하이드레이트;
6-[아미노(4-클로로페닐)(1-메틸-1H-이미다졸-5-일)메틸]-4-(3-에톡시페닐)-1-메틸-2(1H)-퀴놀리논;
6-아미노(4-클로로페닐)(1-메틸-1H-이미다졸-5-일)메틸]-1-메틸-4-(3-프로필페닐)-2(1H)-퀴놀리논; 그의 입체이성체 형태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또는 염기 부가염; 및
(+)-6-[아미노(4-클로로페닐)(1-메틸-1H-이미다졸-5-일)메틸]-4-(3-클로로페닐)-1-메틸-2(1H)-퀴놀리논 (티피파니브; WO 97/21701의 Table 1의 화합물 75); 및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 및 입체화학적 이성체 형태이다.
티피파니브 또는 ZARNESTRA® 가 특히 바람직한 FTI이다.
추가로 바람직한 FTIs 는 하기 조건의 하나 이상이 적용되는 일반식 (IX)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 =X1-X2-X3 가 일반식 (x-1), (x-2), (x-3), (x-4) 또는 (x-9)의 3가 래디칼이고, 여기에서 각각의 R6 가 독립적으로 수소, C1-4알킬, C1-4알킬옥시카보닐, 아미노 또는 아릴이며 R7 이 수소이다;
· >Y1-Y2- 가 일반식 (y-1), (y-2), (y-3), 또는 (y-4)의 3가 래디칼이고 여기에서 각각의 R9 이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 카복실, C1-4알킬 또는 C1-4알킬옥시카보닐이다;
· r 이 0, 1 또는 2이다;
· s 가 0 또는 1이다;
· t 가 0이다;
· R1 이 할로, C1-6알킬이거나 페닐환 상에서 서로 오르토 위치에 있는 두개의 R1 치환체가 함께 구조식 (a-1)의 2가 래디칼을 형성할 수 있다;
· R2 가 할로이다;
· R3 가 할로 또는 일반식 (b-1) 또는 (b-3)의 래디칼이고, 여기에서 R10 이 수소 또는 일반식 -Alk-OR13의 래디칼이며, R11 이 수소이고, R12 가 수소, C1-6알킬, C1-6알킬카보닐, 하이드록시, C1-6알킬옥시 또는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카보닐이며, Alk 가 C1-6알칸디일이고, R13 이 수소이다;
· R4 가 일반식 (c-1) 또는 (c-2)의 래디칼이고, 여기에서 R16 이 수소, 할로 또는 모노- 또는 디(C1-4알킬)아미노이며, R17 이 수소 또는 C1-6알킬이다;
· 아릴이 페닐이다.
바람직한 FTIs 의 또 다른 그룹은 =X1-X2-X3 가 일반식 (x-1), (x-2), (x-3), (x-4) 또는 (x-9)의 3가 래디칼이고, >Y1-Y2 가 일반식 (y-2), (y-3) 또는 (y-4)의 3가 래디칼이며, r 이 0 또는 1이고, s 가 1이며, t 가 0이고, R1 이 할로, C(1-4)알킬이거나 구조식 (a-1)의 2가 래디칼을 형성하며, R2 가 할로 또는 C1-4알킬이고, R3 가 수소 또는 일반식 (b-1) 또는 (b-3)의 래디칼이며, R4 가 일반식 (c-1) 또는 (c-2)의 래디칼이고, R6 가 수소, C1-4알킬 또는 페닐이며, R7 이 수소이고, R9 이 수소 또는 C1-4알킬이며, R10 이 수소 또는 일반식 -Alk-OR13의 래디칼이고, R11 이 수소이며, R12 가 수소 또는 C1-6알킬카보닐이고, R13 이 수소인 일반식 (IX)의 화합물이다.
바람직한 FTIs 는 =X1-X2-X3 가 일반식 (x-1) 또는 (x-4)의 3가 래디칼이고, >Y1-Y2 가 일반식 (y-4)의 3가 래디칼이며, r 이 0 또는 1이고, s 가 1이며, t 가 0이고, R1 이 할로, 바람직하게는 클로로, 가장 바람직하게는 3-클로로이고, R2 가 할로, 바람직하게는 4-클로로 또는 4-플루오로이며, R3 가 수소 또는 일반식 (b-1) 또는 (b-3)의 래디칼이고, R4 가 일반식 (c-1) 또는 (c-2)의 래디칼이며, R6 가 수소이고, R7 이 수소이며, R9 이 수소이고, R10 이 수소이며, R11 이 수소이고, R12 가 수소인 일반식 (IX)의 화합물이다.
다른 바람직한 FTIs 는 =X1-X2-X3 가 일반식 (x-2), (x-3) 또는 (x-4)의 3가래디칼이고, >Y1-Y2 가 일반식 (y-2), (y-3) 또는 (y-4)의 3가 래디칼이며, r 및 s 가 1이고, t 가 0이며, R1 이 할로, 바람직하게는 클로로, 가장 바람직하게는 3-클로로이거나 R1 이 C1-4알킬, 바람직하게는 3-메틸이고, R2 가 할로, 바람직하게는 클로로, 가장 바람직하게는 4-클로로이며, R3 가 일반식 (b-1) 또는 (b-3)의 래디칼이고, R4 가 일반식 (c-2)의 래디칼이며, R6 가 C1-4알킬이고, R9 이 수소이며, R10 및 R11 이 수소이고, R12 가 수소 또는 하이드록시인 일반식 (IX)의 화합물이다.
특히 바람직한 일반식 (IX)의 FTI 화합물은
7-[(4-플루오로페닐)(1H-이미다졸-1-일)메틸]-5-페닐이미다조[1,2-a]퀴놀린;
α-(4-클로로페닐)-α-(1-메틸-1H-이미다졸-5-일)-5-페닐이미다조[1,2-a]퀴놀린-7-메탄올;
5-(3-클로로페닐)-α-(4-클로로페닐)-α-(1-메틸-1H-이미다졸-5-일)-이미다조[1,2-a]퀴놀린-7-메탄올;
5-(3-클로로페닐)-α-(4-클로로페닐)-α-(1-메틸-1H-이미다졸-5-일)이미다조[1,2-a]퀴놀린-7-메탄아민;
5-(3-클로로페닐)-α-(4-클로로페닐)-α-(1-메틸-1H-이미다졸-5-일)테트라졸로[1,5-a]퀴놀린-7-메탄아민;
5-(3-클로로페닐)-α-(4-클로로페닐)-1-메틸-α-(1-메틸-1H-이미다졸-5-일)-1,2,4-트리아졸로[4,3-a]퀴놀린-7-메탄올;
5-(3-클로로페닐)-α-(4-클로로페닐)-α-(1-메틸-1H-이미다졸-5-일)테트라졸로[1,5-a]퀴놀린-7-메탄아민;
5-(3-클로로페닐)-α-(4-클로로페닐)-α-(1-메틸-1H-이미다졸-5-일)테트라졸로[1,5-a]퀴나졸린-7-메탄올;
5-(3-클로로페닐)-α-(4-클로로페닐)-4,5-디하이드로-α-(1-메틸-1H-이미다졸-5-일)테트라졸로[1,5-a]퀴나졸린-7-메탄올;
5-(3-클로로페닐)-α-(4-클로로페닐)-α-(1-메틸-1H-이미다졸-5-일)테트라졸로[1,5-a]퀴나졸린-7-메탄아민;
5-(3-클로로페닐)-α-(4-클로로페닐)-N-하이드록시-α-(1-메틸-1H-이미다졸-5-일)테트라하이드로[1,5-a]퀴놀린-7-메탄아민; 및
α-(4-클로로페닐)-α-(1-메틸-1H-이미다졸-5-일)-5-(3-메틸페닐)테트라졸로[1,5-a]퀴놀린-7-메탄아민; 및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 및 입체화학적 이성체 형태이다.
5-(3-클로로페닐)-α-(4-클로로페닐)-α-(1-메틸-1H-이미다졸-5-일)테트라졸로[1,5-a]퀴나졸린-7-메탄아민, 특히 (-) 에난티오머, 및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이 특히 바람직한 FTI이다.
상기 언급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또는 염기 부가염은 일반식 (I), (II), (III), (IV), (V), (VI), (VII), (VIII) 또는 (IX)의 FTI 화합물이 형성할 수 있는 치료학적 활성 무독성 산 및 무독성 염기 부가염 형태를 포함한다. 염기성인 일반식 (I), (II), (III), (IV), (V), (VI), (VII), (VIII) 또는 (IX)의 FTI 화합물을 적당한 산으로 처리함으로써 그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적당한 산은 무기산, 예를 들어, 염산 또는 브롬화수소산과 같은 할로겐화수소산; 황산; 질산; 인산 등; 또는 유기산, 예를 들어, 아세트산, 프로파노산, 하이드록시아세트산, 락트산, 피루브산,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즉, 부탄디오산), 말레산, 푸마르산, 말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메탄설폰산, 에탄설폰산, 벤젠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사이클람산, 살리실산, p-아미노살리실산, 파모산 등을 포함한다.
산성인 일반식 (I), (II), (III), (IV), (V), (VI), (VII), (VIII) 또는 (IX)의 FTI 화합물을 적당한 유기 또는 무기 염기로 처리함으로써 그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기 부가염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적당한 염기염 형태는 예를 들어, 암모늄염, 알칼리 금속염 및 알칼리 토금속염, 즉, 리튬염, 소듐염, 칼륨염, 마그네슘염, 칼슘염 등, 유기 염기, 예를 들어, 벤자틴, N-메틸-D-글루카민, 하이드라바민, 아미노산, 즉, 아르기닌, 리신 등과의 염을 포함한다.
산 및 염기 부가염은 또한 일반식 (I), (II), (III), (IV), (V), (VI), (VII), (VIII) 또는 (IX)의 바람직한 FTI 화합물이 형성할 수 있는 수화물 및 용매 부가 형태를 포함한다. 이러한 형태의 예로는 수화물, 알콜화물 등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일반식 (I), (II), (III), (IV), (V), (VI), (VII), (VIII) 또는 (IX)의 FTI 화합물은 도시된 구조식의 모든 입체화학적 이성체 형태(동일한 서열로 결합된 동일한 원자로 이루어져 있으나 상호 변환될 수 없는 상이한 3차원 구조를 갖는 모든 가능한 화합물)를 포함한다. 달리 언급되거나 지적되지 않는 한, FTI 화합물의 화학적 지정은 화합물이 나타낼 수 있는 모든 가능한 입체화학적 이성체 형태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혼합물은 화합물의 기본적인 분자구조의 모든 디아스테레오머 및/또는 에난티오머를 포함할 수 있다. 순수한 상태 또는 상호 간의 혼합물로서 존재하는, 일반식 (I), (II), (III), (IV), (V), (VI), (VII), (VIII) 또는 (IX)의 FTI 화합물의 모든 입체화학적 이성체 형태는 도시된 구조식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일반식 (I), (II), (III), (IV), (V), (VI), (VII), (VIII) 또는 (IX)의 FTI 화합물의 일부는 토토머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상기 구조식에 명시적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하여도 그 범위 내에 포함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용어 "일반식 (I), (II), (III), (IV), (V), (VI), (VII), (VIII) 또는 (IX)의 화합물" 및 "일반식 (I), (II), (III), (IV), (V), (VI), (VII), (VIII) 또는 (IX)의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또는 염기 부가염 및 모든 입체이성체 및 토토머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기타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는 아글라빈, 페릴릴 알콜, SCH-66336, 2(S)-[2(S)-[2(R)-아미노-3-머캅토]프로필아미노-3(S)-메틸]-펜틸옥시-3-페닐프로피오닐-메티오닌 설폰 (Merck); L778123, BMS 214662, 상기 언급된 화이자 화합물 A 및 B를 포함한다. 화합물 아글라빈(WO98/28303), 페릴릴 알콜(WO 99/45712), SCH-66336(US 5,874,442), L778123 (WO 00/01691), 2(S)-[2(S)-[2(R)-아미노-3-머캅토]프로필아미노-3(S)-메틸]-펜틸옥시-3-페닐프로피오닐-메티오닌 설폰(WO94/10138), BMS 214662(WO 97/30992), 화이자 화합물 A 및 B(WO 00/12499 및 WO 00/12498)에 대한 적당한 복용량 또는 치료적 유효량은 발행된 특허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거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거나 당업자가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FLT3 키나아제 억제제
본 발명에 따른 FLT3 키나아제 억제제는 일반식 I'의 화합물, 그의 N-옥사이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용매화물 및 입체화학적 이성체를 포함한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011
상기 식에서
Q 는 CH2 또는 직접 결합을 나타내고;
G 는 O 또는 S를 나타내며;
X 는 N 또는 CH를 나타내고;
Z 는 NH, N(알킬), 또는 CH2를 나타내며;
B 는 페닐, 사이클로알킬 (여기에서 사이클로알킬은 바람직하게는 사이클로펜타닐, 사이클로헥사닐, 사이클로펜테닐 또는 사이클로헥세닐이다), 헤테로아릴 (여기에서 헤테로아릴은 바람직하게는 피롤릴, 푸라닐, 티오페닐, 이미다졸릴, 티아졸릴, 옥사졸릴, 피라닐, 티오피라닐, 피리디닐, 피리미디닐, 피라지닐, 피리디닐-N-옥사이드, 또는 피롤릴-N-옥사이드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피롤릴, 푸라닐, 티오페닐, 이미다졸릴, 티아졸릴, 옥사졸릴, 피리디닐, 피리미디닐, 또는 피라지닐이다), 9 내지 10원 벤조-융합된 헤테로아릴 (여기에서 9 내지 10원 벤조-융합된 헤테로아릴은 바람직하게는 벤조티아졸릴, 벤조옥사졸릴, 벤조이미다졸릴, 벤조푸라닐, 인돌릴, 퀴놀리닐, 이소퀴놀리닐, 또는 벤조[b]티오페닐이다), 또는 9 내지 10원 벤조-융합된 헤테로사이클릴 (여기에서 9 내지 10원 벤조-융합된 헤테로사이클릴은 바람직하게는 2,3-디하이드로-벤조티아졸릴, 2,3-디하이드로-벤조옥사졸릴, 2,3-디하이드로-벤조이미다졸릴, 1,2,3,4-테트라하이드로-퀴놀리닐, 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리닐, 이소크로마닐, 2,3-디하이드로-인돌릴, 2,3-디하이드로-벤조푸라닐 또는 2,3-디하이드로-벤조[b]티오페닐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2,3-디하이드로-인돌릴, 2,3-디하이드로-벤조푸라닐 또는 2,3-디하이드로-벤조[b]티오페닐이다)을 나타내고;
R1 및 R2 는 독립적으로 하기 그룹에서 선택되며:
Figure 112008001726558-PCT00012
상기 식에서
n 은 1, 2, 3 또는 4를 나타내고;
Y 는 직접 결합, O, S, NH, 또는 N(알킬)을 나타내며;
Ra 는 알콕시, 페녹시,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아릴 (여기에서 헤테로아릴은 바람직하게는 피롤릴, 푸라닐, 티오페닐, 이미다졸릴, 티아졸릴, 옥사졸릴, 피라닐, 티오피라닐, 피리디닐, 피리미디닐, 트리아졸릴, 테트라졸릴, 피라지닐, 피리디닐-N-옥사이드, 또는 피롤릴-N-옥사이드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피롤릴, 푸라닐, 티오페닐, 이미다졸릴, 티아졸릴, 옥사졸릴, 피리디닐, 피리미디닐, 트리아졸릴, 테트라졸릴, 또는 피라지닐이다), 하이드록실, 알킬아미노, 디알킬아미노,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옥사졸리디노닐,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피롤리디노닐,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피페리디노닐,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피페라지닐-2-온,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사이클릭 헤테로디오닐,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 (여기에서 헤테로사이클릴은 바람직하게는 아제파닐, 디아제파닐, 아제티디닐, 피롤리디닐, 테트라하이드로푸라닐, 테트라하이드로티오페닐, 이미다졸리디닐, 티아졸리디닐, 옥사졸리디닐,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 테트라하이드로티오피라닐, 피페리디닐, 티오모폴리닐, 티오모폴리닐 1,1-디옥사이드, 모폴리닐, 또는 피페라지닐이다),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스쿠아릴, -COORy, -CONRwRx, -N(Ry)CON(Rw)(Rx), -N(Rw)C(O)ORx, -N(Rw)CORy, -SRy, -SORy, -SO2Ry, -NRwSO2Ry, -NRwSO2Rx, -SO3Ry, -OSO2NRwRx, 또는 -SO2NRwRx을 나타내고;
Rw 및 Rx 는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케닐, 아르알킬 (여기에서 아르알킬의 아릴 부위는 바람직하게는 페닐이다), 또는 헤테로아르알킬 (여기에서 헤테로아르알킬의 헤테로아릴 부위는 바람직하게는 피롤릴, 푸라닐, 티오페닐, 이미다졸릴, 티아졸릴, 옥사졸릴, 피라닐, 티오피라닐, 피리디닐, 피리미디닐, 피라지닐, 피리디닐-N-옥사이드, 또는 피롤릴-N-옥사이드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피롤릴, 푸라닐, 티오페닐, 이미다졸릴, 티아졸릴, 옥사졸릴, 피리디닐, 피리미디닐, 또는 피라지닐이다) 중에서 선택되거나, Rw 및 Rx 가 함께 O, NH, N(알킬), SO, SO2, 또는 S로부터 선택된 헤테로부위를 임의로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하기 그룹:
Figure 112008001726558-PCT00013
으로부터 선택되는 5 내지 7원 환을 임의로 형성할 수 있으며;
Ry 는 수소, 알킬, 알케닐, 사이클로알킬 (여기에서 사이클로알킬은 바람직하게는 사이클로펜타닐 또는 사이클로헥사닐이다), 페닐, 아르알킬 (여기에서 아르알킬의 아릴 부위는 바람직하게는 페닐이다), 헤테로아르알킬 (여기에서 헤테로아르알킬의 헤테로아릴 부위는 바람직하게는 피롤릴, 푸라닐, 티오페닐, 이미다졸릴, 티아졸릴, 옥사졸릴, 피라닐, 티오피라닐, 피리디닐, 피리미디닐, 피라지닐, 피리디닐-N-옥사이드, 또는 피롤릴-N-옥사이드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피롤릴, 푸라닐, 티오페닐, 이미다졸릴, 티아졸릴, 옥사졸릴, 피리디닐, 피리미디닐, 또는 피라지닐이다), 또는 헤테로아릴 (여기에서 헤테로아릴은 바람직하게는 피롤릴, 푸라닐, 티오페닐, 이미다졸릴, 티아졸릴, 옥사졸릴, 피라닐, 티오피라닐, 피리디닐, 피리미디닐, 피라지닐, 피리디닐-N-옥사이드, 또는 피롤릴-N-옥사이드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피롤릴, 푸라닐, 티오페닐, 이미다졸릴, 티아졸릴, 옥사졸릴, 피리디닐, 피리미디닐, 또는 피라지닐이다)로부터 선택되고;
R5 는 할로겐, 시아노, 트리플루오로메틸, 아미노, 하이드록실, 헤테로아릴, 알콕시, -C(O)알킬, -SO2알킬, -C(O)NH(알킬), -C(O)N(알킬)2, -C(O)C(1-4)알킬-N(알킬)2, 알킬, -C(1-4)알킬-OH, -C(1-4)알킬-OCH3, -C(O)C(1-4)알킬-OH, -C(O)C(1-4)알킬-OCH3, 디알킬아미노, 또는 알킬아미노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2개 또는 3개의 치환체를 나타내지만, 단, R5가 할로겐, 하이드록실, 알콕시, 또는 알킬이 아닌 한 동일한 R5 치환체는 1개를 초과하여 존재하지 않으며;
Rbb 는 수소, 할로겐, 알콕시, 디알킬아미노, R6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페닐, R6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아릴 (여기에서 헤테로아릴은 바람직하게는 피롤릴, 푸라닐, 티오페닐, 이미다졸릴, 티아졸릴, 옥사졸릴, 피라닐, 티오피라닐, 피리디닐, 피리미디닐, 트리아졸릴, 피라지닐, 피리디닐-N-옥사이드, 또는 피롤릴-N-옥사이드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피롤릴, 푸라닐, 티오페닐, 이미다졸릴, 티아졸릴, 옥사졸릴, 피리디닐, 피리미디닐, 트리아졸릴, 또는 피라지닐이다), R6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피페라지닐-2-온, R6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이미다졸리디닐-2-온, R6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옥사졸리디닐-2-온, 또는 R6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 (여기에서 헤테로사이클릴은 바람직하게는 아제파닐, 디아제파닐, 아제티디닐, 피롤리디닐, 테트라하이드로푸라닐, 테트라하이드로티오페닐, 이미다졸리디닐, 티아졸리디닐, 옥사졸리디닐,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 테트라하이드로티오피라닐, 피페리디닐, 티오모폴리닐, 티오모폴리닐 1,1-디옥사이드, 모폴리닐 또는 피페라지닐이다)을 나타내고;
R6 은 할로겐, 시아노, 트리플루오로메틸, 아미노, 하이드록실, 헤테로아릴, 알콕시, -C(O)알킬, -SO2알킬, -C(O)NH(알킬), -C(O)N(알킬)2, -C(O)C(1-4)알킬-N(알킬)2, 알킬, -C(1-4)알킬-OH, -C(1-4)알킬-OCH3, -C(O)C(1-4)알킬-OH, -C(O)C(1-4)알킬-OCH3, 디알킬아미노, 또는 알킬아미노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2개 또는 3개의 치환체를 나타내지만, 단, R6가 할로겐, 하이드록실, 알콕시, 또는 알킬이 아닌 한 동일한 R6 치환체는 1개를 초과하여 존재하지 않으며;
Rc 는 R7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 (여기에서 헤테로사이클릴은 바람직하게는 아제파닐, 디아제파닐, 아제티디닐, 피롤리디닐, 테트라하이드로푸라닐, 테트라하이드로티오페닐, 이미다졸리디닐, 티아졸리디닐, 옥사졸리디닐,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 테트라하이드로티오피라닐, 피페리디닐, 티오모폴리닐, 티오모폴리닐 1,1-디옥사이드, 모폴리닐, 또는 피페라지닐이다), 또는 헤테로아릴 (여기에서 헤테로아릴은 바람직하게는 피롤릴, 푸라닐, 티오페닐, 이미다졸릴, 티아졸릴, 옥사졸릴, 피리디닐, 피리미디닐, 또는 피라지닐이다)을 나타내고;
R7 은 할로겐, 시아노, 트리플루오로메틸, 아미노, 하이드록실, 헤테로아릴, 알콕시, -C(O)알킬, -SO2알킬, -C(O)NH(알킬), -C(O)N(알킬)2, -C(O)C(1-4)알킬-N(알킬)2, 알킬, -C(1-4)알킬-OH, -C(1-4)알킬-OCH3, -C(O)C(1-4)알킬-OH, -C(O)C(1-4)알킬-OCH3, 디알킬아미노, 또는 알킬아미노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2개 또는 3개의 치환체를 나타내지만, 단, R7 이 할로겐, 하이드록실, 알콕시, 또는 알킬이 아닌 한 동일한 R7 치환체는 1개를 초과하여 존재하지 않으며;
R3 는 수소 (단, 이때 Rbb 는 수소가 아니다), 알킬, 알콕시, 할로겐, R4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아미노, C1 -2(알킬)-OH, 니트로, R4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사이클로알킬 (여기에서 사이클로알킬은 바람직하게는 사이클로펜타닐 또는 사이클로헥사닐이다), R4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아릴 (여기에서 헤테로아릴은 바람직하게는 피롤릴, 푸라닐, 티오페닐, 이미다졸릴, 티아졸릴, 옥사졸릴, 피라닐, 티오피라닐, 피리디닐, 피리미디닐, 트리아졸릴, 피라지닐, 피리디닐-N-옥사이드, 또는 피롤릴-N-옥사이드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피롤릴, 푸라닐, 티오페닐, 이미다졸릴, 티아졸릴, 옥사졸릴, 피리디닐, 피리미디닐, 트리아졸릴, 또는 피라지닐이다), 알킬아미노, R4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 (여기에서 헤테로사이클릴은 바람직하게는 테트라하이드로피리디닐, 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닐, 디하이드로푸라닐, 디하이드로옥사지닐, 디하이드로피롤릴, 디하이드로이미다졸릴 아제페닐, 피롤리디닐, 테트라하이드로푸라닐, 테트라하이드로티오페닐, 이미다졸리디닐, 티아졸리디닐, 옥사졸리디닐,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 테트라하이드로티오피라닐, 피페리디닐, 티오모폴리닐, 모폴리닐 또는 피페라지닐이다), 알콕시에테르, -O(사이클로알킬), R4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피롤리디노닐, R4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페녹시, -CN, -OCHF2, -OCF3, -CF3, 할로겐화 알킬, R4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아릴옥시, 디알킬아미노, -NHSO2알킬, 또는 -SO2알킬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이상의 치환체를 나타내고; 여기에서 R4 는 할로겐, 시아노, 트리플루오로메틸, 아미노, 하이드록실, 알콕시, -C(O)알킬, -CO2알킬, -SO2알킬, -C(O)N(알킬)2, 알킬, 또는 알킬아미노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일반식 I'의 화합물"은 그의 N-옥사이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용매화물, 및 입체화학적 이성체를 포함하는 의미로 이해된다.
일반식 I' FLT3 억제제 - 약어 및 정의
일반식 I'의 FLT3 억제제와 관련하여 하기 용어들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는 것으로 사용된다:
ATP 아데노신 트리포스페이트
Boc tert-부톡시카보닐
DCM 디클로로메탄
DMF 디메틸포름아미드
DMSO 디메틸설폭사이드
DIEA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DTT 디티오트레이톨
EDC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EDTA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EtOAc 에틸 아세테이트
FBS 소 태아 혈청
FP 형광 극성화 (fluorescence polarization)
GM-CSF 과립구 및 대식세포 콜로니 자극 인자
HBTU O-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Hex 헥산
HOBT 1-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 하이드레이트
HPβCD 하이드록시프로필 β-사이클로덱스트린
HRP 호울스래디쉬 퍼옥시다제
i-PrOH 이소프로필 알콜
LC/MS (ESI)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스펙트럼 (전자 분사 이온화)
MeOH 메틸 알콜
NMM N-메틸모폴린
NMR 핵 자기 공명
PS 폴리스티렌
PBS 인산 완충 식염수
RPMI 로즈웰 파크 메모리얼 인스티튜트
RT 실온
RTK 수용체 타이로신 키나아제
NaHMDS 소듐 헥사메틸디실라잔
SDS-PAGE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전기영동
TEA 트리에틸아민
TFA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THF 테트라하이드로푸란
TLC 박막 크로마토그래피
(필요한 경우 본 명세서에서는 추가의 약어를 사용한다)
정의
일반식 I'의 FLT3 억제제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서 하기 용어는 하기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사용된다 (필요한 경우 본 명세서에서는 추가의 정의를 사용한다):
용어 "알케닐"은 단독으로 또는 예를 들어 "C1 - 4알케닐(아릴)"과 같이 치환체 그룹의 일부로 사용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포함하는 부분적으로 불포화된 측쇄 또는 직쇄 1가 탄화수소 래디칼을 의미하며, 이때 이중 결합은 모(parent) 알킬 분자의 2개의 인접한 탄소 원자 각각으로부터 1개의 수소원자가 제거됨으로써 생성되며, 래디칼은 단일 탄소 원자로부터 1개의 수소원자가 제거됨으로써 생성된다. 이중결합을 중심으로 하여 원자들은 시스(Z) 또는 트랜스(E) 배열을 할 수 있다. 대표적인 알케닐 래디칼은 에테닐, 프로페닐, 알릴(2-프로페닐), 부테닐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C2 - 8알케닐 또는 C2 - 4알케닐 그룹을 들 수 있다.
용어 "Ca -b" (여기에서 a 및 b는 탄소원자의 지정된 개수를 나타내는 정수이다)는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또는 사이클로알킬 래디칼, 또는 알킬이 접두어로서 사용된 래디칼의 알킬 부위가 a 내지 b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C1 -4 는 1, 2, 3 또는 4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래디칼을 나타낸다.
용어 "알킬"은 단독으로 또는 치환체 그룹의 일부로 사용되는 경우 포화된 측쇄 또는 직쇄 1가 탄화수소 래디칼을 의미하며, 이때 래디칼은 단일 탄소 원자로부터 1개의 수소원자가 제거된 것이다.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즉, "말단 탄소 원자"와 같은 제한적 용어의 사용에 의해), 치환체 변형(varible)은 모든 탄소쇄 원자에서 발생할 수 있다. 대표적인 알킬 래디칼은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C1 - 8알킬, C1 - 6알킬 및 C1 -4알킬 그룹을 들 수 있다.
용어 "알킬아미노"는 알킬아민, 예를 들어, 부틸아민의 질소로부터 1개의 수소 원자가 제거됨으로써 형성된 래디칼을 의미하며, 용어 "디알킬아미노"는 2차 아민, 예를 들어 디부틸아민의 질소로부터 1개의 수소 원자가 제거됨으로써 형성된 래디칼을 의미한다. 두가지 경우 모두 분자의 나머지 부분에 결합하는 지점은 질소 원자이다.
용어 "알키닐"은 단독으로 또는 치환체 그룹의 일부로 사용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탄소-탄소 삼중 결합을 갖는 부분적으로 불포화된 측쇄 또는 직쇄 1가 탄화수소 래디칼을 의미하며, 이때 삼중 결합은 모 알킬 분자의 2개의 인접한 탄소 원자 각각으로부터 2개의 수소원자가 제거됨으로써 생성되며, 래디칼은 단일 탄소 원자로부터 1개의 수소원자가 제거됨으로써 생성된다. 대표적인 알키닐 래디칼은 에티닐, 프로피닐, 부티닐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C2 - 8알키닐 또는 C2 - 4알키닐 그룹을 들 수 있다.
용어 "알콕시"는 모(parent) 알칸, 알켄 또는 알킨의 하이드록사이드 산소 치환체로부터 수소 원자가 제거됨으로써 생성된 포화되거나 부분적으로 불포화된 측쇄 또는 직쇄 1가 탄화수소 알콜 래디칼을 의미한다. 특정한 수준의 포화도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 용어 "알콕시", "알케닐옥시" 및 "알키닐옥시"는 알킬, 알케닐 및 알키닐의 정의와 일치되게 사용된다. 예를 들어, C1 - 8알콕시 또는 C1 - 4알콕시 그룹을 들 수 있다.
용어 "알콕시에테르"는 하이드록시에테르의 하이드록사이드 산소 치환체로부터 수소 원자가 제거됨으로써 생성된 포화 측쇄 또는 직쇄 1가 탄화수소 알콜 래디칼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1-하이드록실-2-메톡시-에탄 및 1-(2-하이드록실-에톡시)-2-메톡시-에탄 그룹을 들 수 있다.
용어 "아르알킬"은 아릴 치환체를 포함하는 C1 - 6알킬 그룹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벤질, 페닐에틸 또는 2-나프틸메틸을 들 수 있다. 분자의 나머지 부분과 결합하는 지점은 알킬 그룹이다.
용어 "방향족"은 불포화되고 콘쥬게이트된 π 전자 시스템을 갖는 사이클릭 탄화수소 환 시스템을 의미한다.
용어 "아릴"은 환 시스템의 단일 탄소원자로부터 1개의 수소 원자가 제거됨으로써 생성된 방향족 사이클릭 탄화수소 환 래디칼을 의미한다. 대표적인 아릴 래디칼로는 페닐, 나프탈레닐, 플루오레닐, 인데닐, 아줄레닐, 안트라세닐 등을 들 수 있다.
용어 "아릴아미노"는 아릴 그룹, 예를 들어 페닐에 의해 치환된 아미노 그룹, 예를 들어 암모니아를 의미한다. 분자의 나머지 부분에 결합하는 지점은 질소 원자를 통한다.
용어 "벤조-융합된 사이클로알킬"은 환 중의 하나가 페닐이고 다른 하나가 사이클로알킬 또는 사이클로알케닐환인 비사이클릭 융합 환 시스템 래디칼을 의미한다. 대표적인 벤조-융합된 사이클로알킬 래디칼은 인다닐, 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레닐, 6,7,8,9,-테트라하이드로-5H-벤조사이클로헵테닐, 5,6,7,8,9,10-헥사하이드로-벤조사이클로옥테닐 등이다. 벤조-융합된 사이클로알킬 환 시스템은 아릴 그룹에 포함된다.
용어 "벤조-융합된 헤테로아릴"은 환 중의 하나가 페닐이고 다른 하나가 헤테로아릴환인 비사이클릭 융합 환 시스템 래디칼을 의미한다. 대표적인 벤조-융합된 헤테로아릴 래디칼은 인돌릴, 인돌리닐, 이소인돌릴, 벤조[b]푸릴, 벤조[b]티에닐, 인다졸릴, 벤즈티아졸릴, 퀴놀리닐, 이소퀴놀리닐, 신놀리닐, 프탈라지닐, 퀴나졸리닐 등이다. 벤조-융합된 헤테로아릴은 헤테로아릴 그룹에 포함된다.
용어 "벤조-융합된 헤테로사이클릴"은 환 중의 하나가 페닐이고 다른 하나가 헤테로사이클릴환인 비사이클릭 융합 환 시스템 래디칼을 의미한다. 대표적인 벤조-융합된 헤테로사이클릴 래디칼은 1,3-벤조디옥솔릴(1,3-메틸렌디옥시페닐), 2,3-디하이드로-1,4-벤조디옥시닐(1,4-에틸렌디옥시페닐), 벤조-디하이드로-푸릴, 벤조-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 벤조-디하이드로-티에닐 등이다.
용어 "카복시알킬"은 알킬화된 카복시 그룹, 예를 들어 tert-부톡시카보닐을 의미하며, 여기에서 분자의 나머지 부분과 결합하는 지점은 카보닐 그룹이다.
용어 "사이클릭 헤테로디오닐"은 2개의 옥소 치환체를 포함하는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티아졸리딘디오닐, 옥사졸리딘디오닐 및 피롤리딘디오닐을 들 수 있다.
용어 "사이클로알케닐"은 적어도 1개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탄화수소 환 시스템으로부터 1개의 수소 원자가 제거됨으로써 생성된 부분적으로 불포화된 사이클로알킬 래디칼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이클로헥세닐, 사이클로펜테닐 및 1,2,5,6-사이클로옥타디에닐을 들 수 있다.
용어 "사이클로알킬"은 단일 환 탄소 원자로부터 1개의 수소 원자가 제거됨으로써 생성된, 포화되거나 부분적으로 불포화된 모노사이클릭 또는 비사이클릭 탄화수소 환 래디칼을 의미한다. 대표적인 사이클로알킬 래디칼은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펜테닐, 사이클로헥실, 사이클로헥세닐, 사이클로헵틸 및 사이클로옥틸을 포함한다. 추가의 예로는 C3 - 8사이클로알킬, C5 - 8사이클로알킬, C3 - 12사이클로알킬, C3 - 20사이클로알킬, 데카하이드로나프탈레닐 및2,3,4,5,6,7-헥사하이드로-1H-인데닐을 들 수 있다.
용어 "융합 환 시스템"은 2개의 인접한 원자가 2개의 사이클릭 부위 각각에 존재하는 비사이클릭 분자를 의미한다. 헤테로원자가 임의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벤조티아졸, 1,3-벤조디옥솔 및 데카하이드로나프탈렌을 들 수 있다.
환 시스템에 대한 접두어로서 사용된 용어 "헤테로"는 적어도 하나의 환 탄소 원자가 N, S, O 또는 P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이상의 원자에 의해 대체된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1, 2, 3 또는 4개의 환 멤버가 질소 원자이거나; 0, 1, 2 또는 3개의 환 멤버가 질소 원자이고 1개의 멤버가 산소 또는 황 원자인 환을 들 수 있다.
용어 "헤테로아르알킬"은 헤테로아릴 치환체를 포함하는 C1 -6 알킬 그룹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푸릴메틸 및 피리딜프로필을 들 수 있다. 분자의 나머지 부분과 결합하는 지점은 알킬 그룹이다.
용어 "헤테로아릴"은 헤테로방향족 환 시스템의 환 탄소 원자로부터 1개의 수소 원자가 제거됨으로써 생성된 래디칼을 의미한다. 대표적인 헤테로아릴 래디칼은 푸릴, 티에닐, 피롤릴, 옥사졸릴, 티아졸릴,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이속사졸릴, 이소티아졸릴, 옥사디아졸릴, 트리아졸릴, 티아디아졸릴, 피리디닐, 피리다지닐, 피리미디닐, 피라지닐, 인돌리지닐, 인돌릴, 이소인돌릴, 벤조[b]푸릴, 벤조[b]티에닐, 인다졸릴, 벤즈이미다졸릴, 벤즈티아졸릴, 퓨리닐, 4H-퀴놀리지닐, 퀴놀리닐, 이소퀴놀리닐, 신놀리닐, 프탈지닐, 퀴나졸리닐, 퀴녹살리닐, 1,8-나프티리디닐, 프테리디닐 등이다.
용어 "헤테로아릴-융합된 사이클로알킬"은 환 중의 하나가 사이클로알킬이고 다른 하나가 헤테로아릴인 비사이클릭 융합 환 시스템 래디칼을 의미한다. 대표적인 헤테로아릴-융합된 사이클로알킬 래디칼은 5,6,7,8-테트라하이드로-4H-사이클로헵타(b)티에닐, 5,6,7-트리하이드로-4H-사이클로헥사(b)티에닐, 5,6-디하이드로-4H-사이클로펜타(b)티에닐 등이다.
용어 "헤테로사이클릴"은 단일 탄소 또는 질소 환 원자로부터 1개의 수소 원자가 제거됨으로서 생성된, 포화되거나 부분적으로 불포화된 모노사이클릭 환 래디칼을 의미한다. 대표적인 헤테로사이클릴 래디칼은 2H-피롤릴, 2-피롤리닐, 3-피롤리닐, 피롤리디닐, 1,3-디옥솔라닐, 2-이미다졸리닐(4,5-디하이드로-1H-이미다졸릴), 이미다졸리디닐, 2-피라졸리닐, 피라졸리디닐, 테트라졸릴, 피페리디닐, 1,4-디옥사닐, 모폴리닐, 1,4-디티아닐, 티오모폴리닐, 티오모폴리닐 1,1 디옥사이드, 피페라지닐, 아제파닐, 헥사하이드로-1,4-디아제피닐 등이다.
용어 "옥소"는 산소 원자 래디칼을 의미하며, 산소 원자는 동일한 원자, 가장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에 결합된 2개의 개방된 원자가를 갖는다. 옥소 그룹은 알킬 그룹에 대한 치환체로서 적합하다. 예를 들어, 옥소 치환체를 갖는 프로판은 아세톤일 수도 있고 프로피온알데히드일 수도 있다. 헤테로사이클 역시 옥소 그룹에 의해 치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옥소 치환체를 갖는 옥사졸리딘은 옥사졸리디논이다.
용어 "스쿠아릴"은 사이클로부테닐 1,2 디온 래디칼을 의미한다.
용어 "치환된"은 코어 분자 상의 1개 이상의 수소 원자가 1개 이상의 작용성 래디칼 부위에 의해 대체된 것을 의미한다. 치환은 코어 분자에 한정되지 않으며, 치환체 래디칼에서도 일어날 수 있으며, 이렇게 됨으로써 치환체 래디칼은 연결 그룹이 된다.
용어 "독립적으로 선택된"은 1개 이상의 치환체가 치환체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이때 치환체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일반식 I'의 FLT3 억제제의 개시에 사용된 치환체 명명은 하기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결합 지점을 갖는 원자를 표시한 다음, 말단 쇄 원자를 향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연결 그룹 원자를 표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거나:
(C1 -6)알킬C(O)NH(C1-6)알킬(Ph)
하기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말단 쇄 원자를 표시한 다음, 결합 지점을 갖는 원자를 향해 연결 그룹 원자를 표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Ph(C1 -6)알킬아미도(C1-6)알킬
어느 경우에도 하기 식의 래디칼을 나타내게 된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014
또한, 치환체로부터 환 시스템 안으로 도시된 선은 적당한 환 원자 어느 것과도 결합할 수 있는 결합을 나타낸다.
일반식 I'의 FLT3 억제제의 어떤 구체예에서 치환체(예를 들어, R4)가 1회 이상 존재하는 경우, 각 정의는 독립적이다.
일반식 I' FLT3 억제제의 구체예
일반식 I'의 FLT3 억제제의 구체예에서 N-옥사이드가 N-1 또는 N-3(X가 N인 경우) 중의 1개 이상에 임의로 존재한다. (환 번호는 하기 일반식 1을 참조할 것)
일반식 1
Figure 112008001726558-PCT00015
일반식 1은 환 원자 번호를 1 에서 8까지 붙이고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이 번호 시스템을 사용한다.
일반식 I'의 FLT3 억제제의 바람직한 구체예는 다음과 같은 정의가 1가지 이상이 적용된 일반식 I'의 화합물이다:
Q 는 CH2 또는 직접 결합을 나타내고;
G 는 O 또는 S를 나타내며;
X 는 N 또는 CH를 나타내고;
Z 는 NH 또는 CH2를 나타내며;
B 는 페닐, 헤테로아릴, 또는 9 내지 10원 벤조-융합된 헤테로아릴을 나타내고;
R1 및 R2 는 독립적으로 하기 그룹에서 선택되며:
Figure 112008001726558-PCT00016
상기 식에서
n 은 1, 2, 3 또는 4를 나타내고;
Y 는 직접 결합, O, S, NH, 또는 N(알킬)을 나타내며;
Ra 는 알콕시, 페녹시,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아릴, 하이드록실, 알킬아미노, 디알킬아미노,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옥사졸리디노닐,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피롤리디노닐,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피페리디노닐,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피페라지닐-2-온,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사이클릭 헤테로디오닐,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스쿠아릴, -COORy, -CONRwRx, -N(Ry)CON(Rw)(Rx), -N(Rw)C(O)ORx, -N(Rw)CORy, -SRy, -SORy, -SO2Ry, -NRwSO2Ry, -NRwSO2Rx, -SO3Ry, -OSO2NRwRx, 또는 -SO2NRwRx을 나타내고;
Rw 및 Rx 는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케닐, 아르알킬, 또는 헤테로아르알킬 중에서 선택되거나, Rw 및 Rx 가 함께 O, NH, N(알킬), SO, SO2, 또는 S로부터 선택된 헤테로부위를 임의로 포함하는 5 내지 7원 환을 임의로 형성할 수 있으며;
Ry 는 수소, 알킬, 알케닐, 사이클로알킬, 페닐, 아르알킬, 헤테로아르알킬, 또는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고;
R5 는 할로겐, 시아노, 트리플루오로메틸, 아미노, 하이드록실, 헤테로아릴, 알콕시, -C(O)알킬, -SO2알킬, -C(O)NH(알킬), -C(O)N(알킬)2, -C(O)C(1-4)알킬-N(알킬)2, 알킬, -C(1-4)알킬-OH, -C(1-4)알킬-OCH3, -C(O)C(1-4)알킬-OH, -C(O)C(1-4)알킬-OCH3, 디알킬아미노, 또는 알킬아미노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2개 또는 3개의 치환체를 나타내지만, 단, R5가 할로겐, 하이드록실, 알콕시, 또는 알킬이 아닌 한 동일한 R5 치환체는 1개를 초과하여 존재하지 않으며;
Rbb 는 수소, 할로겐, 알콕시, 디알킬아미노, R6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페닐, R6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아릴, R6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피페라지닐-2-온, R6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이미다졸리디닐-2-온, R6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옥사졸리디닐-2-온, 또는 R6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을 나타내고;
R6 은 할로겐, 시아노, 트리플루오로메틸, 아미노, 하이드록실, 헤테로아릴, 알콕시, -C(O)알킬, -SO2알킬, -C(O)NH(알킬), -C(O)N(알킬)2, -C(O)C(1-4)알킬-N(알킬)2, 알킬, -C(1-4)알킬-OH, -C(1-4)알킬-OCH3, -C(O)C(1-4)알킬-OH, -C(O)C(1-4)알킬-OCH3, 디알킬아미노, 또는 알킬아미노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2개 또는 3개의 치환체를 나타내지만, 단, R6가 할로겐, 하이드록실, 알콕시, 또는 알킬이 아닌 한 동일한 R6 치환체는 1개를 초과하여 존재하지 않으며;
Rc 는 R7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 또는 헤테로아릴을 나타내고;
R7 은 할로겐, 시아노, 트리플루오로메틸, 아미노, 하이드록실, 헤테로아릴, 알콕시, -C(O)알킬, -SO2알킬, -C(O)NH(알킬), -C(O)N(알킬)2, -C(O)C(1-4)알킬-N(알킬)2, 알킬, -C(1-4)알킬-OH, -C(1-4)알킬-OCH3, -C(O)C(1-4)알킬-OH, -C(O)C(1-4)알킬-OCH3, 디알킬아미노, 또는 알킬아미노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2개 또는 3개의 치환체를 나타내지만, 단, R7 이 할로겐, 하이드록실, 알콕시, 또는 알킬이 아닌 한 동일한 R7 치환체는 1개를 초과하여 존재하지 않으며;
R3 는 수소 (단, 이때 Rbb 는 수소가 아니다), 알킬, 알콕시, 할로겐, R4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아미노, C1 -2(알킬)-OH, 니트로, R4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사이클로알킬, R4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아릴, 알킬아미노, R4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 알콕시에테르, -O(사이클로알킬), R4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피롤리디노닐, R4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페녹시, -CN, -OCHF2, -OCF3, -CF3, 할로겐화 알킬, R4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아릴옥시, 디알킬아미노, -NHSO2알킬, 또는 -SO2알킬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이상의 치환체를 나타내고; 여기에서 R4 는 할로겐, 시아노, 트리플루오로메틸, 아미노, 하이드록실, 알콕시, -C(O)알킬, -CO2알킬, -SO2알킬, -C(O)N(알킬)2, 알킬, 또는 알킬아미노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일반식 I'의 FLT3 억제제의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는 다음과 같은 정의가 1가지 이상 적용된 일반식 I'의 화합물이다:
Q 는 CH2 또는 직접 결합을 나타내고;
G 는 O를 나타내며;
X 는 N 또는 CH를 나타내고;
Z 는 NH 또는 CH2를 나타내며;
B 는 페닐 또는 헤테로아릴을 나타내고;
R1 및 R2 는 독립적으로 하기 그룹에서 선택되며:
Figure 112008001726558-PCT00017
상기 식에서
n 은 1, 2, 3 또는 4를 나타내고;
Y 는 직접 결합, O, S, NH, 또는 N(알킬)을 나타내며;
Ra 는 알콕시, 페녹시,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아릴, 하이드록실, 알킬아미노, 디알킬아미노,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옥사졸리디노닐,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피롤리디노닐,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피페리디노닐,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피페라지닐-2-온,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사이클릭 헤테로디오닐,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스쿠아릴, -COORy, -CONRwRx, -N(Ry)CON(Rw)(Rx), -N(Rw)C(O)ORx, -N(Rw)CORy, -SRy, -SORy, -SO2Ry, -NRwSO2Ry, -NRwSO2Rx, -SO3Ry, -OSO2NRwRx, 또는 -SO2NRwRx을 나타내고;
Rw 및 Rx 는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케닐, 아르알킬, 또는 헤테로아르알킬 중에서 선택되거나, Rw 및 Rx 가 함께 O, NH, N(알킬), SO, SO2, 또는 S로부터 선택된 헤테로부위를 임의로 포함하는 5 내지 7원 환을 임의로 형성할 수 있으며;
Ry 는 수소, 알킬, 알케닐, 사이클로알킬, 페닐, 아르알킬, 헤테로아르알킬, 또는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고;
R5 는 할로겐, 시아노, 트리플루오로메틸, 아미노, 하이드록실, 헤테로아릴, 알콕시, -C(O)알킬, -SO2알킬, -C(O)NH(알킬), -C(O)N(알킬)2, -C(O)C(1-4)알킬-N(알킬)2, 알킬, -C(1-4)알킬-OH, -C(1-4)알킬-OCH3, -C(O)C(1-4)알킬-OH, -C(O)C(1-4)알킬-OCH3, 디알킬아미노, 또는 알킬아미노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2개 또는 3개의 치환체를 나타내지만, 단, R5가 할로겐, 하이드록실, 알콕시, 또는 알킬이 아닌 한 동일한 R5 치환체는 1개를 초과하여 존재하지 않으며;
Rbb 는 수소, 할로겐, 알콕시, 디알킬아미노, 페닐, 헤테로아릴, R6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피페라지닐-2-온, R6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이미다졸리디닐-2-온, R6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옥사졸리디닐-2-온, 또는 R6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을 나타내고;
R6 은 할로겐, 시아노, 트리플루오로메틸, 아미노, 하이드록실, 헤테로아릴, 알콕시, -C(O)알킬, -SO2알킬, -C(O)NH(알킬), -C(O)N(알킬)2, -C(O)C(1-4)알킬-N(알킬)2, 알킬, -C(1-4)알킬-OH, -C(1-4)알킬-OCH3, -C(O)C(1-4)알킬-OH, -C(O)C(1-4)알킬-OCH3, 디알킬아미노, 또는 알킬아미노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2개 또는 3개의 치환체를 나타내지만, 단, R6가 할로겐, 하이드록실, 알콕시, 또는 알킬이 아닌 한 동일한 R6 치환체는 1개를 초과하여 존재하지 않으며;
Rc 는 R7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 또는 헤테로아릴을 나타내고;
R7 은 할로겐, 시아노, 트리플루오로메틸, 아미노, 하이드록실, 헤테로아릴, 알콕시, -C(O)알킬, -SO2알킬, -C(O)NH(알킬), -C(O)N(알킬)2, -C(O)C(1-4)알킬-N(알킬)2, 알킬, -C(1-4)알킬-OH, -C(1-4)알킬-OCH3, -C(O)C(1-4)알킬-OH, -C(O)C(1-4)알킬-OCH3, 디알킬아미노, 또는 알킬아미노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2개 또는 3개의 치환체를 나타내지만, 단, R7 이 할로겐, 하이드록실, 알콕시, 또는 알킬이 아닌 한 동일한 R7 치환체는 1개를 초과하여 존재하지 않으며;
R3 는 수소 (단, 이때 Rbb 는 수소가 아니다), 알킬, 알콕시, 할로겐, R4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아미노, C1 -2(알킬)-OH, R4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사이클로알킬, R4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아릴, 알킬아미노, R4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 알콕시에테르, -O(사이클로알킬), R4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피롤리디노닐, R4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페녹시, -CN, -OCHF2, -OCF3, -CF3, 할로겐화 알킬, 디알킬아미노, 및 -SO2알킬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이상의 치환체를 나타내고; 여기에서 R4 는 할로겐, 시아노, 트리플루오로메틸, 아미노, 하이드록실, 알콕시, -C(O)알킬, -CO2알킬, -SO2알킬, -C(O)N(알킬)2, 알킬, 또는 알킬아미노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일반식 I'의 FLT3 억제제의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는 다음과 같은 정의가 1가지 이상 적용된 일반식 I'의 화합물이다:
Q 는 CH2 또는 직접 결합을 나타내고;
G 는 O를 나타내며;
X 는 N 또는 CH를 나타내고;
Z 는 NH 또는 CH2를 나타내며;
B 는 페닐 또는 헤테로아릴을 나타내고;
R1 및 R2 는 독립적으로 하기 그룹에서 선택되며:
Figure 112008001726558-PCT00018
상기 식에서
n 은 1, 2, 3 또는 4를 나타내고;
Y 는 직접 결합, O 또는 NH를 나타내며;
Ra 는 알콕시,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아릴, 하이드록실, 알킬아미노, 디알킬아미노,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옥사졸리디노닐,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피롤리디노닐,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피페리디노닐,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피페라지닐-2-온,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사이클릭 헤테로디오닐,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스쿠아릴, -CONRwRx, -N(Ry)CON(Rw)(Rx), -N(Rw)C(O)ORx, -N(Rw)CORy, -SRy, -SORy, -SO2Ry, 또는 -NRwSO2Ry을 나타내고;
Rw 및 Rx 는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케닐, 아르알킬, 또는 헤테로아르알킬 중에서 선택되거나, Rw 및 Rx 가 함께 O, NH, N(알킬), SO, SO2, 또는 S로부터 선택된 헤테로부위를 임의로 포함하는 5 내지 7원 환을 임의로 형성할 수 있으며;
Ry 는 수소, 알킬, 알케닐, 사이클로알킬, 페닐, 아르알킬, 헤테로아르알킬, 또는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고;
R5 는 할로겐, 시아노, 트리플루오로메틸, 아미노, 하이드록실, 헤테로아릴, 알콕시, -C(O)알킬, -SO2알킬, -C(O)NH(알킬), -C(O)N(알킬)2, -C(O)C(1-4)알킬-N(알킬)2, 알킬, -C(1-4)알킬-OH, -C(1-4)알킬-OCH3, -C(O)C(1-4)알킬-OH, -C(O)C(1-4)알킬-OCH3, 디알킬아미노, 또는 알킬아미노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2개 또는 3개의 치환체를 나타내지만, 단, R5가 할로겐, 하이드록실, 알콕시, 또는 알킬이 아닌 한 동일한 R5 치환체는 1개를 초과하여 존재하지 않으며;
Rbb 는 수소, 할로겐, 알콕시, R6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피페라지닐-2-온, R6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이미다졸리디닐-2-온, R6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옥사졸리디닐-2-온, 또는 R6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을 나타내고;
R6 은 할로겐, 시아노, 트리플루오로메틸, 아미노, 하이드록실, 헤테로아릴, 알콕시, -C(O)알킬, -SO2알킬, -C(O)NH(알킬), -C(O)N(알킬)2, -C(O)C(1-4)알킬-N(알킬)2, 알킬, -C(1-4)알킬-OH, -C(1-4)알킬-OCH3, -C(O)C(1-4)알킬-OH, -C(O)C(1-4)알킬-OCH3, 디알킬아미노, 또는 알킬아미노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2개 또는 3개의 치환체를 나타내지만, 단, R6가 할로겐, 하이드록실, 알콕시, 또는 알킬이 아닌 한 동일한 R6 치환체는 1개를 초과하여 존재하지 않으며;
Rc 는 R7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 또는 헤테로아릴을 나타내고;
R7 은 할로겐, 시아노, 트리플루오로메틸, 아미노, 하이드록실, 헤테로아릴, 알콕시, -C(O)알킬, -SO2알킬, -C(O)NH(알킬), -C(O)N(알킬)2, -C(O)C(1-4)알킬-N(알킬)2, 알킬, -C(1-4)알킬-OH, -C(1-4)알킬-OCH3, -C(O)C(1-4)알킬-OH, -C(O)C(1-4)알킬-OCH3, 디알킬아미노, 또는 알킬아미노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2개 또는 3개의 치환체를 나타내지만, 단, R7 이 할로겐, 하이드록실, 알콕시, 또는 알킬이 아닌 한 동일한 R7 치환체는 1개를 초과하여 존재하지 않으며;
R3 는 수소 (단, 이때 Rbb 는 수소가 아니다), 알킬, 알콕시, R4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아미노, 할로겐, C1 -2(알킬)-OH, R4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사이클로알킬, R4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아릴, 알킬아미노, R4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 알콕시에테르, -O(사이클로알킬), R4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피롤리디노닐, R4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페녹시, -OCHF2, -OCF3, -CF3, 디알킬아미노, 또는 -SO2알킬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이상의 치환체를 나타내고; 여기에서 R4 는 할로겐, 시아노, 트리플루오로메틸, 아미노, 하이드록실, 알콕시, -C(O)알킬, -CO2알킬, -SO2알킬, -C(O)N(알킬)2, 알킬, 또는 알킬아미노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일반식 I'의 FLT3 억제제의 특별히 바람직한 구체예는 다음과 같은 정의가 1가지 이상 적용된 일반식 I'의 화합물이다:
Q 는 CH2 또는 직접 결합을 나타내고;
G 는 O를 나타내며;
X 는 N 또는 CH를 나타내고;
Z 는 NH 또는 CH2를 나타내며;
B 는 페닐 또는 헤테로아릴을 나타내고;
R1 및 R2 는 독립적으로 하기 그룹에서 선택되며:
Figure 112008001726558-PCT00019
상기 식에서
n 은 1, 2, 3 또는 4를 나타내고;
Y 는 O 또는 NH를 나타내며;
Ra 는 알콕시,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아릴, 하이드록실, 알킬아미노, 디알킬아미노,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옥사졸리디노닐,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피롤리디노닐,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피페리디노닐,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피페라지닐-2-온,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스쿠아릴, -CONRwRx, -N(Ry)CON(Rw)(Rx), -N(Rw)C(O)ORx, -N(Rw)CORy, -SO2Ry, 또는 -NRwSO2Ry을 나타내고;
Rw 및 Rx 는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케닐, 아르알킬, 또는 헤테로아르알킬 중에서 선택되거나, Rw 및 Rx 가 함께 O, NH, N(알킬), SO, SO2, 또는 S로부터 선택된 헤테로부위를 임의로 포함하는 5 내지 7원 환을 임의로 형성할 수 있으며;
Ry 는 수소, 알킬, 알케닐, 사이클로알킬, 페닐, 아르알킬, 헤테로아르알킬, 또는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고;
R5 는 -C(O)알킬, -SO2알킬, -C(O)NH(알킬), -C(O)N(알킬)2, -C(O)C(1-4)알킬-N(알킬)2, 알킬, -C(1-4)알킬-OH, -C(1-4)알킬-OCH3, -C(O)C(1-4)알킬-OH, 또는 -C(O)C(1-4)알킬-OCH3로부터 선택된 1개 또는 2개의 치환체를 나타내지만, 단, R5가 알킬이 아닌 한 동일한 R5 치환체는 1개를 초과하여 존재하지 않으며;
Rbb 는 수소, 할로겐, 알콕시, R6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피페라지닐-2-온, R6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이미다졸리디닐-2-온, R6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옥사졸리디닐-2-온, 또는 R6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을 나타내고;
R6 은 할로겐, 하이드록실, 헤테로아릴, 알콕시, -C(O)알킬, -SO2알킬, -C(O)NH(알킬), -C(O)N(알킬)2, -C(O)C(1-4)알킬-N(알킬)2, 알킬, -C(1-4)알킬-OH, -C(1-4)알킬-OCH3, -C(O)C(1-4)알킬-OH, 또는 -C(O)C(1-4)알킬-OCH3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또는 2개의 치환체를 나타내지만, 단, R6가 할로겐, 하이드록실, 또는 알킬이 아닌 한 동일한 R6 치환체는 1개를 초과하여 존재하지 않으며;
Rc 는 R7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을 나타내고;
R7 은 하이드록실, -C(O)알킬, -SO2알킬, 알킬, 또는 -C(O)N(알킬)2로부터 선택된 1개의 치환체를 나타내며;
R3 는 알킬, 알콕시, 할로겐, R4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사이클로알킬, R4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아릴, R4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 알콕시에테르, -O(사이클로알킬), R4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페녹시, 디알킬아미노, 또는 -SO2알킬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이상의 치환체를 나타내고; 여기에서 R4 는 할로겐, 시아노, 트리플루오로메틸, 아미노, 하이드록실, 알콕시, -C(O)알킬, -CO2알킬, -SO2알킬, -C(O)N(알킬)2, 알킬, 또는 알킬아미노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일반식 I'의 FLT3 억제제의 가장 특별히 바람직한 구체예는 다음과 같은 정의가 1가지 이상 적용된 일반식 I'의 화합물이다:
Q 는 직접 결합을 나타내고;
G 는 O를 나타내며;
X 는 N을 나타내고;
Z 는 NH를 나타내며;
B 는 페닐, 피리미디닐, 또는 피리디닐을 나타내고;
R1 및 R2 는 독립적으로 하기 그룹에서 선택되며:
Figure 112008001726558-PCT00020
상기 식에서
n 은 1, 2, 3 또는 4를 나타내고;
Y 는 O를 나타내며;
Ra 는 알콕시,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아릴, 하이드록실, 알킬아미노, 디알킬아미노,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옥사졸리디노닐,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피롤리디노닐,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피페라지닐-2-온,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 -CONRwRx, -N(Ry)CON(Rw)(Rx), -SO2Ry, 또는 -NRwSO2Ry을 나타내고;
Rw 및 Rx 는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케닐, 아르알킬, 또는 헤테로아르알킬 중에서 선택되거나, Rw 및 Rx 가 함께 O, NH, N(알킬), SO, SO2, 또는 S로부터 선택된 헤테로부위를 임의로 포함하는 5 내지 7원 환을 임의로 형성할 수 있으며;
Ry 는 수소, 알킬, 알케닐, 사이클로알킬, 페닐, 아르알킬, 헤테로아르알킬, 또는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고;
R5 는 -C(O)알킬, -SO2알킬, -C(O)NH(알킬), -C(O)N(알킬)2, -C(O)C(1-4)알킬-N(알킬)2, 알킬, -C(1-4)알킬-OH, -C(1-4)알킬-OCH3, -C(O)C(1-4)알킬-OH, 또는 -C(O)C(1-4)알킬-OCH3로부터 선택된 1개의 치환체를 나타내며;
Rbb 는 수소, 할로겐, 알콕시, R6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피페라지닐-2-온, R6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이미다졸리디닐-2-온, R6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옥사졸리디닐-2-온, 또는 R6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을 나타내고;
R6 은 하이드록실, 알콕시, -C(O)알킬, -SO2알킬, -C(O)NH(알킬), -C(O)N(알킬)2, -C(O)C(1-4)알킬-N(알킬)2, 알킬, -C(1-4)알킬-OH, -C(1-4)알킬-OCH3, -C(O)C(1-4)알킬-OH, 또는 -C(O)C(1-4)알킬-OCH3로부터 선택된 1개의 치환체를 나타내며;
Rc 는 R7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을 나타내고;
R7 은 -C(O)알킬, -SO2알킬, 또는 알킬로부터 선택된 1개의 치환체를 나타내며;
R3 는 알킬, 알콕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O(사이클로알킬), 또는 디알킬아미노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의 치환체를 나타낸다.
일반식 I'의 FLT3 억제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의약으로 사용되는 경우, 일반식 I'의 FLT3 억제제의 염은 무독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의미한다. FDA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형태 (International J. Pharm. 1986, 33, 201-217; J. Pharm. Sci., 1977, Jan, 66(1), p1)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성/음이온성 또는 염기성/양이온성 염을 포함한다고 승인하였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성/음이온성 염은 아세테이트, 벤젠설포네이트, 벤조에이트, 비카보네이트, 비타르트레이트, 브로마이드, 칼슘 에데테이트, 캄실레이트, 카보네이트, 클로라이드, 시트레이트,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에데테이트, 에디실레이트, 에스톨레이트, 에실레이트, 푸마레이트, 글리셉테이트, 글루코네이트, 글루타메이트, 글리콜릴아르사닐레이트, 헥실레소르시네이트, 하이드라바민,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하이드록시나프토에이트, 요오다이드, 이세티오네이트, 락테이트, 락토비오네이트, 말레이트, 말리에이트, 만델레이트, 메실레이트, 메틸브로마이드, 메틸니트레이트, 메틸설페이트, 뮤케이트, 냅실레이트, 니트레이트, 파모에이트, 판토테네이트, 포스페이트/디포스페이트, 폴리갈락투로네이트, 살리실레이트, 스테아레이트, 서브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설페이트, 탄네이트, 타르트레이트, 테오클레이트, 토실레이트 및 트리에티오다이드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유기 또는 무기산은 또한 요오드화수소산, 퍼클로르산, 황산, 인산, 프로피온산, 글리콜산, 메탄설폰산, 하이드록시에탄설폰산, 옥살산, 2-나프탈렌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사이클로헥산설팜산, 사카린산 또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기성/양이온성 염은 알루미늄, 2-아미노-2-하이드록시메틸-프로판-1,3-디올 (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 트로메탄 또는 "TRIS"), 암모니아, 벤자틴, t-부틸아민, 칼슘, 칼슘 글루코네이트, 칼슘 하이드록사이드, 클로로프로카인, 콜린, 콜린 비카보네이트, 콜린 클로라이드, 사이클로헥실아민, 디에탄올아민, 에틸렌디아민, 리튬, LiOMe, L-리신, 마그네슘, 메글루민, NH3, NH4OH, N-메틸-D-글루카민, 피페리딘, 포타슘, 포타슘-t-부톡사이드, 포타슘 하이드록사이드(수성), 프로카인, 퀴닌, 소듐, 소듐 카보네이트, 소듐-2-에틸헥사노에이트(SEH), 소듐 하이드록사이드, 트리에탄올아민(TEA) 또는 아연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FLT3 억제제는 그 범위 내에 일반식 I' 화합물의 프로드럭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그러한 프로드럭은 생체 내에서 활성 화합물로 쉽게 전환될 수 있는 화합물의 기능적 유도체가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치료방법에서 용어 "투여하는"은 본 명세서에 언급된 증후군, 질환 또는 질병을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반식 I'의 FLT3 억제제 또는 화합물 또는 당해 화합물에 대해 구체적으로 개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한 프로드럭으로 치료하거나, 개선하거나 예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적당한 프로드럭 유도체를 선택하고 제조하는 통상의 방법이 문헌 ("Design of Prodrugs", ed. H. Bundgaard, Elsevier, 1985)에 기재되어 있다.
당업자는 일반식 I'의 FLT3 억제제가 하나 이상의 비대칭 탄소 원자를 구조내에 포함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에는 일반식 I'의 FLT3 억제제의 단일 에난티오머 형태, 라세믹 혼합물, 에난티오머 과량이 존재하는 에난티오머 혼합물이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단일 에난티오머"는 일반식 I'의 화합물, 그의 N-옥사이드, 부가염, 사급 아민 또는 생리적으로 작용성인 유도체가 가질 수 있는 모든 가능한 호모키랄 형태를 의미한다.
입체화학적으로 순수한 이성체 형태는 공지의 방법을 적용하여 얻을 수 있다. 디아스테레오 이성체는 분별결정 및 크로마토그래피와 같은 물리적 분리 방법으로 분리될 수 있고, 에난티오머는 광학 활성인 산 또는 염기와의 디아스테레오머 염의 선택적 결정화나 키랄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상호간에 분리될 수 있다. 순수한 입체이성체는 입체화학적으로 순수한 적당한 출발물질로부터 합성하거나, 입체선택적 반응을 통해 제조할 수도 있다.
용어 "이성체"는 동일한 조성 및 분자량을 가지지만 물리적 및/또는 화학적 성질이 상이한 화합물을 의미한다. 이들 물질은 동일한 개수 및 종류의 원자를 갖지만 구조가 상이하다. 구조적 차이는 골격일 수도 있고(기하 이성체) 편광판의 회전 능력일 수도 있다(에난티오머).
용어 "입체이성체"는 원자의 공간 배열이 상이한, 동일한 골격의 이성체를 의미한다. 에난티오머와 디아스테레오머가 입체이성체의 예이다.
용어 "키랄"은 분자가 그의 거울상과 포개질 수 없게 하는 분자의 구조적 특성을 의미한다.
용어 "에난티오머"는 서로 거울상으로서 포개지지 않는 한 쌍의 분자 중 하나를 의미한다.
용어 "디아스테레오머"는 거울상이 아닌 입체이성체를 의미한다.
부호 "R" 및 "S"는 키랄 탄소 원자(들) 주위 치환체들의 배열을 나타낸다.
용어 "라세메이트" 또는 "라세믹 혼합물"은 2개의 에난티오머가 동몰량으로 존재하여 광학 활성을 나타내지 않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용어 "호모키랄"은 에난티오머적 순도의 상태를 의미한다.
용어 "광학 활성"은 호모키랄 분자 또는 키랄 분자들의 비라세믹 혼합물이 편광판을 회전시키는 정도를 의미한다.
용어 "기하 이성체"는 탄소-탄소 이중결합, 사이클로알킬환 또는 브리지된(bridged) 비사이클릭 시스템에 대한 치환체 원자의 방향이 상이한 이성체를 의미한다. 탄소-탄소 이중결합의 양쪽에 위치한 치환체 원자(H 제외)는 E 또는 Z 배열일 수 있다. "E" (반대 방향) 배열에서, 치환체는 탄소-탄소 이중결합에 대해 반대 방향에 있으며; "Z" (동일 방향) 배열에서, 치환체는 탄소-탄소 이중결합에 대해 동일 방향에 있다. 카보사이클릭환에 부착된 치환체 원자들(수소 제외)은 시스 또는 트랜스 배열일 수 있다. "시스" 배열에서 치환체는 환의 판에 대해 동일 방향에 있으며; "트랜스" 배열에서 치환체는 환의 판에 대해 반대 방향에 있다. "시스" 및 "트랜스"의 혼합 상태에 있는 화합물은 "시스/트랜스"로 표시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된 다양한 치환체 입체이성체, 기하이성체 및 이들의 혼합물은 상업적으로 구입할 수 있거나,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한 출발물질로부터 합성할 수 있거나, 이성체 혼합물로서 제조된 후 당업자에게 주지된 기술을 사용하여 이성체를 분할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성체를 표시하는 "R", "S", "E", "Z", "시스" 및 "트랜스"는 코어 분자에 대한 원자 배열(들)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며 문헌(IUPAC Recommendations for Fundamental Stereochemistry (Section E), Pure Appl. Chem., 1976, 45:13-30)에 정의된 바에 따라 사용된다.
일반식 I'의 FLT3 억제제는 이성체-특이적 합성 또는 이성체 혼합물로부터의 분할에 의해 개개 이성체로서 제조될 수 있다. 통상의 분할 방법으로는 광학 활성 염을 사용하여 이성체 쌍의 각 이성체의 유리 염기를 형성하거나(이후 분별결정 및 유리 염기의 재생 과정을 거친다), 이성체 쌍의 각 이성체의 에스테르 또는 아미드를 형성하거나(이후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및 키랄 보조제의 제거 과정을 거친다), 분취용 TLC(박막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키랄 HPLC 칼럼을 사용하여 출발물질 또는 최종 생성물의 이성체 혼합물을 분할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일반식 I'의 FLT3 억제제는 하나 이상의 다형체 또는 무정형 결정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일반식 I'의 FLT3 억제제의 일부는 예를 들어 물(즉, 수화물) 또는 통상의 유기 용매와의 용매화물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용매화물"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이 하나 이상의 용매 분자와 물리적으로 결합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물리적 결합은 수소결합을 포함하여 이온결합 및 공유결합의 정도를 변화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어떤 경우에, 용매화물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용매 분자가 결정성 고체의 결정 격자 내에 혼입된 경우에 분리될 수 있다.
용어 "용매화물"은 용액-상 및 분리가능한 용매화물의 양자를 모두 포함한다. 적당한 용매화물의 제한되지 않은 예로는 에타놀레이트, 메타놀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범위 내에 일반식 I'의 FLT3 억제제의 용매화물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치료방법에서, 용어 "투여하는"은 본 명세서에 언급된 증후군, 질환 또는 질병을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반식 I'의 FLT3 억제제 또는 화합물 또는 당해 화합물에 대해 구체적으로 개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한 용매화물로 치료하거나, 개선하거나 예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일반식 I'의 FLT3 억제제는 3가 질소를 N-옥사이드 형태로 전환시키는 공지의 방법에 따라 상응하는 N-옥사이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상기 N-산화 반응은 일반적으로 일반식 I'의 출발 물질을 적당한 유기 또는 무기 과산화물과 반응시켜 수행할 수 있다. 적당한 무기 과산화물은 예를 들어 과산화수소,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과산화물, 즉, 소듐 퍼옥사이드, 포타슘 퍼옥사이드를 포함하며; 적당한 유기 과산화물은 퍼옥시산, 예를 들어, 벤젠카보퍼옥소산 또는 할로 치환된 벤젠카보퍼옥소산, 즉, 3-클로로벤젠카보퍼옥소산, 퍼옥소알칸산, 즉, 퍼옥소아세트산, 알킬하이드로퍼옥사이드, 즉, t-부틸 하이드로퍼옥사이드를 포함한다. 적당한 용매는 예를 들어 물, 저급 알콜, 즉, 에탄올 등, 탄화수소, 즉, 톨루엔, 케톤, 즉, 2-부타논, 할로겐화 탄화수소, 즉, 디클로로메탄, 및 이들 용매의 혼합물이다.
일반식 I'의 FLT3 억제제의 일부는 또한 토토머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비록 본 출원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일반식 I' FLT3 억제제의 제조
일반식 I'의 FLT3 억제제의 제조 방법에서 분자에 포함된 민감하거나 반응성인 그룹을 보호하는 것이 필요하고/하거나 바람직할 수 있다. 통상의 보호기, 예를 들어 문헌(Protecting Groups, P. Kocienski, Thieme Medical Publishers, 2000; T.W. Greene & P.G.M. Wuts,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3rd ed. Wiley Interscience, 1999)에 기술된 것을 사용하여 이러한 목적을 달성한다. 보호기는 편리한 후속 단계에서 공지 방법을 사용하여 제거될 수 있다.
일반식 I'의 FLT3 억제제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하기 반응식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것일 뿐, 어떤 식으로든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일반적 반응식
Figure 112008001726558-PCT00021
일반식 I'의 FLT3 억제제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하기 반응식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것일 뿐, 어떤 식으로든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X, B, G, Q, Z, R1, R2 및 R3가 일반식 I'에 대해 정의된 바와 같은 일반식 I'의 FLT3 억제제는 반응식 1에 설명된 일반적인 합성 루트에 따라 합성할 수 있다. 첫번째 단계에서, 피페리디닐 에스테르 II'를 테트라하이드로푸란(THF)과 같은 용매 중에서 리튬 헥사메틸디실라자이드와 같은 강염기로 처리한 후 -78 내지 25℃에서 적당한 클로로퀴나졸린/퀴놀린 III'를 첨가하면 치환된 피페리딘 IV'를 얻는다. IV'를 100 내지 200℃ 온도에서 DMSO/H2O 중의 LiCl 또는 25 내지 200℃ 온도에서 MeOH 중의 KOH와 같은 탈카복실화 조건으로 처리한 후 당업자에게 공지된 표준 조건하에 아민 보호기(PG)를 탈보호시켜 피페리딘 V'를 얻는다. 마지막으로 피페리딘 V'를 적당한 아실화/알킬화제 VI' (여기에서 LG는 Br, Cl, I, 이미다졸 또는 p-니트로페녹시와 같은 적당한 이탈기일 수 있다)와 반응시켜 목적하는 최종 생성물 I'를 얻는다. 이들 반응은 일반적으로 메틸렌 클로라이드와 같은 용매 중에서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과 같은 염기 존재하에 0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5℃의 온도에서 수행한다. 4-클로로퀴나졸린 또는 퀴놀린 III'은 상업적으로 구입할 수 있거나 반응식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다. 아실화제 VI'는 상업적으로 구입할 수 있거나, Q가 직접결합이고 Z가 NH 또는 N(알킬)인 경우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다. 적당한 R3BZH (여기에서 Z는 NH 또는 N(알킬)이다)를 트리에틸아민과 같은 염기 존재하에 카보닐디이미다졸, 티오포스겐 또는 p-니트로페닐클로로포르메이트와 같은 적당한 아실화제와 반응시켜 VI'를 얻는다. R3BZH의 대부분은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하거나 다수의 공지 방법(즉, Tet Lett 1995, 36, 2411-2414)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112008001726558-PCT00022
피페리딘 중간체 V'(여기에서 X는 N이고 R1 및 R2는 일반식 I'에 대해 정의된 바와 같다)를 제조하는 또 다른 방법이 반응식 2에 설명되어 있다. 이소니페코트산을 적당한 아미노 보호기와 반응시켜 N-보호된 피페리딘 VII'를 얻는다. 카복실산을 일차 아미드로 전환시킨 후 표준 조건하에 탈수시켜 시아노 피페리딘 VIII'를 얻는다. BF3Et2O와 같은 루이스산을 사용하는 프리델 크라프트 반응에 따라 피페리딘 VIII'를 적당한 아닐린 IX'와 반응시켜 치환된 아닐린 X'를 얻는다. 아닐린 X'를 100 내지 200℃ 온도에서 포름아미드와 같은 시약으로 처리한 다음 표준 조건하에 아미노 보호기를 탈보호시켜 퀴나졸린 환을 형성함으로써 목적하는 피페리딘 V'를 얻는다.
반응식 2
Figure 112008001726558-PCT00023
Q가 직접결합이고, Z가 NH 또는 N(알킬)이며, G, X, R1, R2 및 R3가 일반식 I'에 대해 정의된 바와 같은 일반식 I'의 FLT3 억제제는 반응식 3에 나타낸 반응 순서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1에 설명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 피페리딘 V'를 포스겐, 티오포스겐 또는 카보닐디이미다졸과 같은 아실화제(여기에서 LG는 Cl 또는 이미다졸이다)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과 같은 유기 염기와 함께 반응시켜 중간체 XI'를 얻고, 적당한 R3BZH와 반응시켜 최종 화합물 I'를 얻는다. 또는, Z가 NH인 화합물 I'는 피페리딘 V'를 적당한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소티오시아네이트(R3-B-N=C=G)와 직접 반응시켜 얻을 수도 있다. 이소시아네이트는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하거나 공지 방법(J. Org Chem, 1985, 50, 5879-5881)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3
Figure 112008001726558-PCT00024
Q가 직접결합이고, B가 페닐 또는 헤테로아릴이며, G가 O이고, Z가 NH 또는 N(알킬)이며, R3가 페닐 또는 헤테로아릴이고, X, R1 및 R2가 일반식 I'에 대해 정의된 바와 같은 일반식 I'의 FLT3 억제제는 반응식 4에 나타낸 반응 순서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1에 설명된 바에 따라 얻을 수 있는 피페리딘 V'를 적당한 요오도아릴아미드 아실화제 XII' (여기에서 LG는 적당한 이탈기, 예를 들어, 브로마이드, 클로라이드, 또는 p-니트로페녹사이드이다)와 반응시켜 요오도아릴 XIII'를 얻는다. 요오도아릴 XIII'를 50 내지 200℃ 온도에서 톨루엔과 같은 용매 중에서 비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디클로라이드와 같은 팔라듐 촉매 존재하에 적당한 아릴 보론산 또는 아릴 보론산 에스테르(R은 H 또는 알킬이다)와 반응시켜 최종 생성물 I을 얻는다. 요오도아릴 아실화제는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하거나 반응식 1에 설명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보론산/보론산 에스테르는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하거나 공지 방법(Synthesis 2003, 4, 469-483; Organic letters 2001, 3, 1435-1437)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4
Figure 112008001726558-PCT00025
적당한 클로로퀴나졸린 III'는 반응식 5에 설명된 반응 순서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상응하는 안트라닐산 XIV'를 출발물질로 하여 에탄올과 같은 용매 중에서 포름아미딘 아세테이트와 같은 시약과 반응시켜 퀴나졸론 XV'를 얻는다. XV'를 DMF 중에서 디클로로에탄과 같은 용매 중에서 옥살릴 클로라이드와 같은 염소화제로 처리하여 목적하는 클로로퀴나졸린 III'를 얻는다. 안트라닐산은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하거나 공지 방법(WO9728118)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5
Figure 112008001726558-PCT00026
R1 이 -CC(CH2)nRa이고, G가 O이며, X, B, Q, Z, Ra, R2 및 R3가 일반식 I'에 대해 정의된 바와 같은 일반식 I'의 FLT3 억제제는 반응식 6에 설명된 순서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1에 설명된 바에 따라 제조할 수 있는 적당한 요오도 치환된 피페리딘 V'를 적당한 시약 VI'과 반응시켜 요오도아릴 중간체 XVI'를 얻는다. XVI'를 25 내지 150℃의 온도에서 비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디클로라이드와 같은 팔라듐 촉매, 구리(I) 요오다이드와 같은 구리 촉매, 디에틸아민과 같은 염기, 및 디메틸포름아미드와 같은 용매의 존재하에 적당한 알키닐 알콜과 반응시켜 알키닐 알콜 XVII'를 얻는다. 알콜 XVII'에 메실레이트와 같이 당업자에게 공지된 적당한 이탈기를 도입시킨 후 XVIII'를 적당한 친핵성 헤테로사이클, 헤테로아릴, 아민, 알콜, 설폰아미드 또는 티올과 SN2 치환반응시켜 최종 화합물 I'를 얻는다. Ra 친핵체가 티올인 경우, 티올을 추가로 산화시켜 상응하는 설폭사이드 및 설폰을 얻을 수 있다. Ra 친핵체가 아미노인 경우, 질소를 적당한 아실화 또는 설포닐화제로 아실화시켜 상응하는 아미드, 카바메이트, 우레아, 설폰아미드를 얻을 수 있다. 목적하는 Ra가 COORy 또는 CONRwRx인 경우, 이들은 상응하는 하이드록실기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하이드록실기를 산화시켜 산을 얻은 후 공지의 조건하에 에스테르 또는 아미드 형성 반응을 수행하면 Ra가 COORy 또는 CONRwRx인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동일한 반응 순서에 따라 적당한 7-요오도아릴 퀴나졸린 또는 퀴놀린을 반응시키면 R2가 -CC(CH2)nRa인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6
Figure 112008001726558-PCT00027
R1이 페닐 또는 헤테로아릴이고, G가 O이며, X, B, Q, Z, R2 및 R3가 일반식 I'에 대해 정의된 바와 같은 일반식 I'의 FLT3 억제제는 반응식 7에 설명된 바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화합물 IV'의 탈카복실화에 의해 제조할 수 있는 화합물 XIX'를 50 내지 200℃ 온도에서 톨루엔과 같은 용매 중에서 비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디클로라이드와 같은 팔라듐 촉매 존재하에 적당한 아릴 보론산 또는 아릴 보론산 에스테르 (R은 H 또는 알킬이다)와 반응시켜 아릴 중간체 XX' 를 얻는다. 표준 조건하에 당업자에게 공지된 아민 보호기의 탈보호기화를 수행하여 피페리딘 XXI'를 얻을 수 있으며, 시약 VI'를 사용하여 이를 아실화 또는 알킬화시켜 최종 화합물 I'를 얻는다. 보론산/보론산 에스테르는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하거나 공지 방법(Synthesis 2003, 4, 469-483; Organic Letters 2001, 3, 1435-1437)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동일한 반응 순서에 따라 적당한 7-요오도 퀴나졸린 또는 퀴놀린을 반응시키면 R2가 페닐 또는 헤테로아릴인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7
Figure 112008001726558-PCT00028
R1이 -CHCH(CH2)nRa이고, G가 O이며, X, B, Q, Z, Ra, R2 및 R3가 일반식 I'에 대해 정의된 바와 같은 일반식 I'의 FLT3 억제제는 반응식 8에 설명된 바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1에 설명된 바에 따라 제조할 수 있는 적당한 요오도 치환된 피페리딘 V'를 적당한 시약 VI'와 반응시켜 요오도아릴 중간체 XVI' 를 얻는다. XVI'를 25 내지 150℃ 온도에서 디메틸포름아미드와 같은 용매 중에서 비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디클로라이드와 같은 팔라듐 촉매 존재하에 적당한 비닐주석(vinylstannane) XXII'와 반응시켜 알케닐 알콜 XXIII'를 얻는다. 알콜 XXIII'에 메실레이트와 같이 당업자에게 공지된 적당한 이탈기를 도입시킨 후 XXIV'를 적당한 친핵성 헤테로사이클, 헤테로아릴, 아민, 알콜, 설폰아미드 또는 티올과 SN2 치환반응시켜 최종 화합물 I'를 얻는다. Ra 친핵체가 티올인 경우, 티올을 추가로 산화시켜 상응하는 설폭사이드 및 설폰을 얻을 수 있다. Ra 친핵체가 아미노인 경우, 질소를 적당한 아실화 또는 설포닐화제로 아실화시켜 상응하는 아미드, 카바메이트, 우레아, 설폰아미드를 얻을 수 있다. 목적하는 Ra가 COORy 또는 CONRwRx인 경우, 이들은 상응하는 하이드록실기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하이드록실기를 산화시켜 산을 얻은 후 공지의 조건하에 에스테르 또는 아미드 형성 반응을 수행하면 Ra가 COORy 또는 CONRwRx인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적당한 시스 비닐주석을 사용하여 동일한 방법에 따라 상응하는 일반식 I의 시스 올레핀 이성체를 얻을 수 있다. 공지 조건 하에 올레핀 부위를 환원시켜 R1이 -CH2CH2(CH2)nRa인 포화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동일한 반응 순서에 따라 적당한 7-요오도 퀴나졸린 또는 퀴놀린을 반응시키면 R2가 -CHCH(CH2)nRa인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8
Figure 112008001726558-PCT00029
R2가 -Y(CH2)nRa이고, Y가 O, S, NH, 또는 N(알킬)이며, G가 O이고, X, B, Q, Z, Ra, R1 및 R3가 일반식 I'에 대해 정의된 바와 같은 일반식 I'의 FLT3 억제제는 반응식 9에 설명된 바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1에 설명된 바에 따라 제조할 수 있는 화합물 XXV'를 25 내지 150℃ 온도에서 THF와 같은 용매 중에서 적당한 Ra(CH2)nYH 존재하에 하이드록사이드 이온 또는 포타슘 t-부톡사이드와 같은 염기와 함께 반응시켜 치환된 XXVI'를 얻는다. 표준 조건하에 당업자에게 공지된 아민 보호기의 탈보호기화를 수행하여 피페리딘 XXVII'를 얻은 후 시약 VI'를 사용하여 이를 아실화 또는 알킬화시켜 최종 화합물 I'를 얻는다. 동일한 반응 순서에 따라 적당한 6-할로겐화되고 치환된 퀴나졸린 또는 퀴놀린을 반응시키면 R1이 -Y(CH2)nRa인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중간체 퀴나졸린/퀴놀린 XXVI'의 관련된 합성 루트도 반응식 9에 설명되어 있다. 반응식 1에 설명된 바에 따라 제조할 수 있는 화합물 IV'를 25 내지 150℃ 온도에서 디옥산/물과 같은 혼합 용매 중에서 적당한 Ra(CH2)nYH 존재하에 KOH와 같은 염기와 함께 반응시켜 치환된 중간체 XXVI'를 얻는다. R2가 -ORc 또는 Rbb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은 반응식 9에 설명된 것과 동일한 반응 순서에 따라 SnAr 단계에서 적당한 -ORc 또는 Rbb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9
Figure 112008001726558-PCT00030
변법으로서, R2가 -Y(CH2)nRa이고, Y가 O, S, NH, 또는 N(알킬)이며, G가 O이고, X, B, Q, Z, Ra, R1 및 R3가 일반식 I'에 대해 정의된 바와 같은 일반식 I'의 FLT3 억제제를 반응식 10에 설명된 바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1에 설명된 바에 따라 제조될 수 있는 화합물 XXV'를 25 내지 150℃에서 THF와 같은 용매 중에서 적당한 PG1O(CH2)nYH (여기에서 PG1은 적당한 알콜 보호기이다) 존재하에 하이드록사이드 이온 또는 포타슘 t-부톡사이드와 같은 염기와 함께 반응시켜 치환된 XXVIII'를 얻는다. 표준 조건하에 당업자에게 공지된 PG1 그룹의 탈보호기화를 수행하여 중간체 XXIX'를 얻는다. 알콜 XXIX'에 메실레이트와 같이 당업자에게 공지된 적당한 이탈기를 도입시킨 후 XXX'를 적당한 친핵성 헤테로사이클, 헤테로아릴, 아민, 알콜, 설폰아미드 또는 티올과 SN2 치환반응시켜 화합물 XXXI'를 얻는다. Ra 친핵체가 티올인 경우, 티올을 추가로 산화시켜 상응하는 설폭사이드 및 설폰을 얻을 수 있다. Ra 친핵체가 아미노인 경우, 질소를 적당한 아실화 또는 설포닐화제로 아실화시켜 상응하는 아미드, 카바메이트, 우레아, 설폰아미드를 얻을 수 있다. 목적하는 Ra가 COORy 또는 CONRwRx인 경우, 이들은 상응하는 하이드록실기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하이드록실기를 산화시켜 산을 얻은 후 공지의 조건하에 에스테르 또는 아미드 형성 반응을 수행하면 Ra가 COORy 또는 CONRwRx인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표준 조건하에 당업자에게 공지된 아민 보호기의 탈보호기를 수행하여 피페리딘 XXXII'를 얻은 후, 이를 시약 VI'을 사용하여 아실화 또는 알킬화시켜 최종 화합물 I'를 얻는다. 동일한 반응 순서에 따라 적당한 6-할로겐화되고 치환된 퀴나졸린 또는 퀴놀린을 반응시키면 R1이 -Y(CH2)nRa인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10
Figure 112008001726558-PCT00031
변법으로서, R2가 -Y(CH2)nRa이고, Y가 O, S, NH, 또는 N(알킬)이며, G가 O이고, X, B, Q, Z, Ra, R1 및 R3가 일반식 I'에 대해 정의된 바와 같은 일반식 I'의 FLT3 억제제를 반응식 11에 설명된 바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1에 설명된 바에 따라 제조될 수 있는 화합물 XXV'로부터 표준 조건하에 당업자에게 공지된 아민 보호기의 제거를 통해 피페리딘 XXXIII'를 얻은 후 시약 VI'를 사용하여 이를 아실화 또는 알킬화시켜 화합물 XXXIV'를 얻는다. XXXIV'를 25 내지 150℃ 온도에서 THF와 같은 용매 중에서 적당한 Ra(CH2)nYH의 존재하에 하이드록사이드 이온 또는 포타슘 t-부톡사이드와 같은 염기와 함께 반응시켜 최종 화합물 I'를 얻는다. 동일한 반응 순서에 따라 적당한 6-할로겐화되고 치환된 퀴나졸린 또는 퀴놀린을 반응시키면 R1이 -Y(CH2)nRa인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11
Figure 112008001726558-PCT00032
R1 및 R2가 -Y(CH2)nRa이고, Y가 O, S, NH, 또는 N(알킬)이며, G가 O이고, X, B, Q, Z, Ra 및 R3가 일반식 I'에 대해 정의된 바와 같은 일반식 I'의 FLT3 억제제를 반응식 12에 설명된 바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1에 설명된 바에 따라 제조될 수 있는 화합물 XXXV'를 25 내지 150℃ 온도에서 THF와 같은 용매 중에서 적당한 Ra(CH2)nYH의 존재하에 하이드록사이드 이온 또는 포타슘 t-부톡사이드와 같은 염기와 함께 반응시켜 치환된 XXXVI'를 얻는다. 계속해서, 화합물 XXXVI'를 25 내지 150℃ 온도에서 DMSO와 같은 용매 중에서 또 다른 Ra(CH2)nYH의 존재하에 하이드록사이드 이온 또는 포타슘 t-부톡사이드와 같은 염기와 함께 SnAr 반응시켜 치환된 XXXVII'를 얻는다. 표준 조건하에 당업자에게 공지된 아민 보호기의 탈보호기화를 통해 피페리딘 XXXVIII'를 얻은 후 시약 VI'를 사용하여 이를 아실화 또는 알킬화시켜 최종 화합물 I'를 얻는다. 반응식 12와 동일한 반응 순서에 따라 R1이 -ORc이거나, 알콕시와 같이 적당한 Rbb를 갖는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12
Figure 112008001726558-PCT00033
대표적인 일반식 I' FLT3 억제제
상기 설명한 방법에 따라 합성된 대표적인 일반식 I'의 FLT3 억제제를 하기 나타내었으며, 그 다음에 특정 화합물의 합성예를 기재하였다. 바람직한 화합물은 73, 74, 85, 152, 157, 158, 163, 178, 183, 197, 207, 및 209번 화합물이고; 특히 바람직한 화합물은 73, 74, 157, 178, 및 207번 화합물이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034
Figure 112008001726558-PCT00035
Figure 112008001726558-PCT00036
Figure 112008001726558-PCT00037
Figure 112008001726558-PCT00038
Figure 112008001726558-PCT00039
Figure 112008001726558-PCT00040
Figure 112008001726558-PCT00041
Figure 112008001726558-PCT00042
Figure 112008001726558-PCT00043
Figure 112008001726558-PCT00044
Figure 112008001726558-PCT00045
Figure 112008001726558-PCT00046
Figure 112008001726558-PCT00047
Figure 112008001726558-PCT00048
Figure 112008001726558-PCT00049
Figure 112008001726558-PCT00050
Figure 112008001726558-PCT00051
Figure 112008001726558-PCT00052
Figure 112008001726558-PCT00053
Figure 112008001726558-PCT00054
Figure 112008001726558-PCT00055
Figure 112008001726558-PCT00056
Figure 112008001726558-PCT00057
Figure 112008001726558-PCT00058
Figure 112008001726558-PCT00059
Figure 112008001726558-PCT00060
Figure 112008001726558-PCT00061
Figure 112008001726558-PCT00062
Figure 112008001726558-PCT00063
Figure 112008001726558-PCT00064
Figure 112008001726558-PCT00065
Figure 112008001726558-PCT00066
Figure 112008001726558-PCT00067
Figure 112008001726558-PCT00068
Figure 112008001726558-PCT00069
Figure 112008001726558-PCT00070
Figure 112008001726558-PCT00071
Figure 112008001726558-PCT00072
Figure 112008001726558-PCT00073
Figure 112008001726558-PCT00074
Figure 112008001726558-PCT00075
Figure 112008001726558-PCT00076
Figure 112008001726558-PCT00077
Figure 112008001726558-PCT00078
Figure 112008001726558-PCT00079
Figure 112008001726558-PCT00080
Figure 112008001726558-PCT00081
실시예 1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이소프로폭시-페닐)-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082
a. (4-이소프로폭시-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Figure 112008001726558-PCT00083
4-이소프로폭시아닐린 (9.06 g, 60.0 mmol)의 DCM (120 mL) 및 피리딘 (30 mL) 용액에 4-니트로페닐 클로로포르메이트 (10.9 g, 54.0 mmol)를 잠깐씩 얼음 배쓰로 냉각시키면서 ~1분에 걸쳐 교반하면서 나누어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한 후, 균질 용액을 DCM (300 mL)로 희석하고 0.6 M HCl (1 x 750 mL) 및 0.025 M HCl (1 x 1 L)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건조시키고 (Na2SO4) 농축하여 밝은 보라-흰색 고체상의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16.64 g, 98%).
Figure 112008001726558-PCT00084
LC/MS (ESI): calcd mass 316.1, found 633.2 (2MH)+.
b. 피페리딘-1,4-디카복실산 1-tert-부틸 에스테르 4-메틸 에스테르
Figure 112008001726558-PCT00085
이소니페코트산 (39.0 g, 302 mmol)의 MeOH (300 mL) 혼합물에 HCl 기체를 버블링하였다. 플라스크를 단단히 밀봉하고, 실온에서 1.5시간 교반하고, 균질 용액을 농축하고, DCM (2 x 125 mL)에 취하고, 반복해서 감압하에 농축하여 대부분의 MeOH가 제거된 흰색 고체를 얻었다. 여기에 TEA (43.6 mL, 313 mmol) 및 DCM (80 mL)를 가하고, 생성된 슬러리를 얼음 배쓰에서 교반하면서 (Boc)2O (60.9 g, 279 mmol)의 DCM (100 mL) 용액을 0 ℃에서 10분간 교반하면서 적가하였다. 0 ℃에서 1시간 교반한 다음 얼음 배쓰를 제거하고 슬러리를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슬러리를 에테르 (700 mL)로 희석하고, 0.5M NaH2PO4 (1 x 400 mL), 4 M NaCl (1 x 450 mL)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Na2SO4), 감압하에 농축하여 맑은 밝은 호박색 오일상의 표제화합물을 얻었고, 이를 방치하여 결정화하였다 (65.3 g, 96%).
Figure 112008001726558-PCT00086
c.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4-디카복실산 1-tert-부틸 에스테르 4-메틸 에스테르
Figure 112008001726558-PCT00087
이전 단계에서 제조한 피페리딘-1,4-디카복실산 1-tert-부틸 에스테르 4-메틸 에스테르 (17.1 g, 70.5 mmol)와 4-클로로-6,7-디메톡시퀴나졸린 (15.0 g, 67.0 mmol) (Oakwood Products, Inc.)의 혼합물을 -78 ℃ 배쓰에 담그고 1.08 M LiHMDS/THF (71 mL, 77 mmol)를 아르곤 대기하에 플라스크의 한쪽 면을 따라 주사기를 이용하여 ~20 mL 씩 나누어 첨가하였다 (에스테르와의 반응 전에 차폐된(hindered) 염기를 냉각시키기 위해). LiHMDS/THF 첨가가 완료된 후 냉각 배쓰를 제거하기 전에 2-3분간 -78 ℃ 배쓰에서 반응시키고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점차 실온으로 가온하였다. 실온에서 18시간 교반한 후 실온에서 추가로 2시간 방치하고 0.5 M NaH2PO4 (150 mL)를 사용하여 종결(quench)시키고 DCM (1 x 150 mL 및 1 x 10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하여 건조시키고 (Na2SO4), 감압하에 농축하여 반투명 황색 오일상의 불순한 표제화합물을 얻었으며, 이 화합물은 추가의 정제없이 다음 단계에 사용되었다 (33g, "114%" 불순물 포함 수율). 소량의 샘플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1:1 hex/EtOAc)로 정제하고 물성을 조사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088
LC/MS (ESI): calcd mass 431.2, found 432.2 (MH)+.
d. 6,7-디메톡시-4-피페리딘-4-일-퀴나졸린
Figure 112008001726558-PCT00089
이전 단계에서 얻은 불순한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4-디카복실산 1-tert-부틸 에스테르 4-메틸 에스테르 (33 g), MeOH (100 mL), 및 KOH 펠렛 (26 g, 87% w/w 물이라 할 때 400 mmol)의 혼합물을 1시간 동안 환류 (100 ℃ 오일 배쓰) 교반하고, 반투명 적-호박색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물 (100 mL) 및 6 M HCl (100 mL)로 희석하였다. 용액을 10분간 100 ℃에서 교반하고 (주의: 초기에 격렬한 버블링이 있음),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2.5 M NaOH (90 mL)로 희석하고, DCM (1 x 150 mL; 1 x 5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하여 건조시키고 (Na2SO4), 감압하에 농축하여 베이지색 분말상의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13.95g, 4-클로로-6,7-디메톡시퀴나졸린으로부터 76%).
Figure 112008001726558-PCT00090
LC/MS (ESI): calcd mass 273.2, found 274.2 (MH)+.
e.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이소프로폭시-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091
이전 단계에서 얻은 6,7-디메톡시-4-피페리딘-4-일-퀴나졸린 (1.86 g, 6.80 mmol)과 실시예 1a에서 얻은 (4-이소프로폭시-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2.28 g, 7.22 mmol)의 CH3CN (13 mL) 혼합물에 DIEA (1.24 mL, 7.50 mmol)를 첨가하였다. 균질 용액을 4시간 환류시키고,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1 M K2CO3와 함께 진탕한 후 EtOAc (2 x 25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하여 0.5 M NaH2PO4 (1 x 50 mL) 및 4 M NaCl (1 x 25 mL)로 세척하고, 3회 건조시키고 (Na2SO4), 감압하에 농축하여 베이지색 반고체상의 불순한 표제화합물 (3.5 g)을 얻었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3:4 → 1:2 hex/아세톤)로 정제하여 회백색 거품상의 표제화합물 (2.21 g, 72%)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092
LC/MS (ESI): calcd mass 450.2, found 451.3 (MH)+. Anal. Calcd for C25H30N4O4: C, 66.65; H, 6.71; N, 12.44. Found: C, 66.41; H, 6.68; N, 12.22.
f.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이소프로폭시-페닐)-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093
이전 단계에서 제조한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이소프로폭시-페닐)-아미드 (1.41 g, 3.14 mmol)의 무수 CH3CN (3.0 mL) 용액에 1.70 M HCl/CH3CN (2.0 mL, 3.4 mmol)을 실온에서 한번에 첨가하였다. 약간 반투명의 용액을 한번 흔든 다음, 실온에서 30분간 방치하고 -30 ℃의 데시케이터 내에서 밤새 보관하여 결정 형성이 시작되게 하였다 (8.3 mL 무수 CH3CN을 함유하며, 용기 무게를 재고 눈금이 새겨진 실린더 내로 무수 HCl 기체를 잠깐 버블링하여 1.70 M HCl/CH3CN 용액을 형성하였다). 바이알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두었다. 생성된 결정을 CH3CN (3 x 10 mL)로 세척하고, 감압하에 건조시키고, 분말화하고, 감압하에 80 ℃에서 추가로 건조시켜 황색 분말 상의 표제화합물 (463 mg, 30%)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094
LC/MS (ESI): 유리 염기 calcd mass 450.2, found 451.3 (MH)+. Anal. Calcd for C25H30N4O4 ·1.33 HCl·0.71 물·0.18 CH3CN: C, 58.69; H, 6.46; N, 11.28; Cl, 9.05. Found: C, 58.98; H, 6.41; N, 11.39; Cl, 9.05. 칼 피셔: 2.46% 물.
실시예 2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요오도-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095
a. (4-요오도-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Figure 112008001726558-PCT00096
반응액을 실온에서 3시간 교반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a에 기재된 바에 따라 4-요오도아닐린으로부터 표제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유기층에 형성된 중질 침전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a에 기재된 바와 같이 균질 용액을 DCM 및 수성 HCl에 분배하였다. 유기층을 여과하여 회백색 고체상의 표제화합물 (8.50 g, 61%)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097
b.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요오도-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098
실시예 1d에서 얻은 6,7-디메톡시-4-피페리딘-4-일-퀴나졸린 (5.18 g, 19.0 mmol)과 이전 단계에서 얻은 (4-요오도-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8.00 g, 20.8 mmol)의 DCM (20 mL) 혼합물에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DIEA (3.44 mL, 20.8 mmol)를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5분간 교반한 후 CHCl3 (20 mL)를 가하여 슬러리를 줄이고, 실온에서 4시간 교반한 후 녹색을 띤 혼합물을 0.1 M NaOH (208 mL)로 세척하고, 유기층에 생성된 침전을 여과하였다. 여과 케이크를 92:8 DCM/MeOH (250 mL)에 용해시키고 물 (1 x 50 mL) 및 0.1 M NaOH (1 x 200 mL)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건조시키고 (Na2SO4), 감압하에 농축하고, 생성된 회색빛 고체를 뜨거운 톨루엔 (1 x 20 mL)을 사용하여 분쇄 (triturated)하고 여과하였다. 여과 케이크를 톨루엔 (2 x 2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회백색 고체상의 표제화합물 (7.84 g, 80%)을 얻었다. Nmr 분석결과 단일의 ~15 mol% 불순물이 포함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샘플을 동종 물질만으로(homogeneity) 정제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099
LC/MS (ESI): calcd mass 518.1, found 519.2 (MH)+.
실시예 3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이미다졸-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100
a.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보닐 클로라이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101
-78℃에서 1.85 M 포스겐의 톨루엔 (15.8 mL, 29.3 mmol) 및 DCM (32 mL) 용액에 실시예 1d에서 얻은 6,7-디메톡시-4-피페리딘-4-일-퀴나졸린 (4.00 g, 14.6 mmol)을 교반하면서 한번에 가하고, 즉시 DIEA (2.66 mL, 16.1 mmol)를 플라스크의 벽을 따라 ~5초간 신속히 첨가하였다. 플라스크를 밀봉하고 추가 5분간 -78 ℃에서 교반한 후 30분간 0 ℃에서 교반하면서 얼음 배쓰에 두었다. 불투명하고 쉽게 교반되는 슬러리를 DCM (70 mL), 0.5 M 트리소듐 시트레이트 (60 mL), 및 얼음 (60 mL)의 혼합물에 부어 분배시켰다. 수층을 DCM (1 x 50 mL)로 추출한 다음, 유기층을 합하여 건조시키고 (Na2SO4), 감압하에 농축하여 오렌지색 고체상의 불순한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7:1 → 4:1 DCM/아세톤)로 정제하여 베이지색 고체상의 표제화합물 (2.50 g, 51%)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102
LC/MS (ESI): calcd mass 335.1, found 336.1 (MH)+.
b.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이미다졸-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103
실시예 3a에서 얻은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보닐 클로라이드 (16.5 mg, 0.05 mmol)을 무수 THF (2 mL)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4-이미다졸-1-일-페닐아민 (12 mg, 0.075 mmol)과 DIEA (14 μL, 0.075 mmol)을 순차적으로 가한 다음, 혼합물을 65 ℃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진공하에 농축한 후 잔류물을 분취용 TLC (실리카 겔, 5 % MeOH/DCM)로 정제하여 2 mg (5 %)의 순수한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이미다졸-1-일-페닐)-아미드를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104
LC/MS (ESI): calcd mass 458.2, found 459.5 (MH)+.
실시예 4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이소프로필-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105
a. (4-이소프로필-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Figure 112008001726558-PCT00106
4-이소프로필아닐린 (3.02 g, 22.3 mmol)의 DCM (40 mL) 및 피리딘 (10 mL) 용액에 4-니트로페닐 클로로포르메이트 (4.09 g, 20.3 mmol)을 잠깐씩 얼음-배쓰 냉각시키면서 ~30초간 교반하면서 나누어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한 다음 균질 용액을 DCM (100 mL)로 희석하고 0.6 M HCl (1 x 250 mL), 0.025 M HCl (1 x 400 mL), 물 (1 x 100 mL), 및 1 M NaHCO3 (1 x 100 mL)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건조시키고 (Na2SO4) 농축하여 밝은 복숭아색 고체상의 표제화합물 (5.80 g, 95%)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107
LC/MS (ESI): calcd mass 300.1, 601.3 (2MH)+.
b.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이소프로필-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108
실시예 1d에서 얻은 6,7-디메톡시-4-피페리딘-4-일-퀴나졸린 (18.8 mg, 68.9 μmol)과 이전 단계에서 얻은 (4-이소프로필-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21.3 mg, 71.0 μmol)의 혼합물을 80 ℃의 CH3CN (250 μL)에서 4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DCM (4 mL) 및 1 M K2CO3 (4 mL)에 분배한 다음, 유기층을 건조시키고 (Na2SO4)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EtOAc)하여 표제화합물 (21.5 mg, 72%)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109
LC/MS (ESI): calcd mass 434.2, found 435.3 (MH)+.
실시예 5
4-퀴놀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이소프로필-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110
a. 4-피페리딘-4-일-퀴놀린
Figure 112008001726558-PCT00111
1.03 M LiHMDS/THF (11.5 mL, 11.8 mmol) 용액에 피페리딘-1,4-디카복실산 1-tert-부틸 에스테르 4-에틸 에스테르 (2.79 g, 10.9 mmol) (WO 2003064413)의 THF (6 mL) 용액을 0 ℃에서 5분간 적가하면서 아르곤 대기하에 교반하였다. 0 ℃에서 30분간 교반한 후, 암황색 균질 용액에 4-클로로퀴놀린 (1.615 g, 9.88 mmol) 의 THF (5 mL) 용액을 1-2분간에 걸쳐 0 ℃에서 교반하면서 적가하였다. 얼음 배쓰를 제거하고 반응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한 다음 2시간동안 환류시켰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1 M KOH (aq) (44 mL, 44 mmol)을 첨가하고 반응액을 30분간 환류시켰다. 디옥산 (22 mL)을 이중층에 첨가하고, 반응액을 추가로 30분간 환류시켰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이중층에 12 N HCl (7.4 mL, 89 mmol HCl) (주의: 발열)을 적가하고 대기하에 30분간 환류시켰다. 밝은 호박색 이중층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2.5 M NaOH (50 mL)를 가하여 염기성으로 만들고, DCM (1 x 50 mL) 및 4:1 DCM/MeOH (1 x 5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하여 건조시키고 (Na2SO4) 농축하여, LC/MS에 의해 부성분으로서 표제화합물을 함유하고 주성분으로서 에틸 에스테르 중간체를 함유하는 것으로 확인된 잔류물을 얻었다. 에틸 에스테르 중간체를 KOH 펠렛 (2.4 g, 37 mmol)과 함께 100 ℃ (오일 배쓰)의 MeOH (10 mL) 중에서 3시간 교반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6 M HCl (aq) (10 mL) 및 물 (10 mL)로 조심스럽게 처리하고, 100 ℃에서 20분간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균질 용액을 2.5 M NaOH을 사용하여 pH > 12의 조건으로 만들고 9:1 DCM/MeOH (2 x 5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하여 건조시키고 (Na2SO4),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NH3로 포화된 85:15 DCM/MeOH)로 정제하여 희색 반고체상의 표제화합물 (702 mg, 34%)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112
LC/MS (ESI): calcd mass 212.1, found 213.1 (MH)+.
b. 4-퀴놀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이소프로필-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113
이전 단계에서 얻은 4-피페리딘-4-일-퀴놀린 (21.1 mg, 99.5 μmol), 실시예 4a에서 얻은 (4-이소프로필-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33.2 mg, 111 μmol), 및 DIEA (18 μL, 109 μmol)의 DMSO (100 μL) 용액을 100 ℃에서 14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2 M K2CO3 (aq) (2 mL)와 함께 진탕한 후, DCM (2 x 2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하여 건조시키고 (Na2SO4),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3:4 hex/아세톤)로 잔류물을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12 mg, 32%)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114
LC/MS (ESI): calcd mass 373.2, found 374.2 (MH)+.
실시예 6
4-퀴놀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이소프로폭시-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115
실시예 1a에서 얻은 1.4 eq의 (4-이소프로폭시-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실시예 5b에서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3:4 hex/아세톤)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9 mg, 31%)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116
LC/MS (ESI): calcd mass 389.2, found 390.2 (MH)+.
실시예 7
4-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이소프로필-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117
a. 4-클로로-퀴나졸린
Figure 112008001726558-PCT00118
4-하이드록시퀴나졸린 (2.56 g, 17.5 mmol) 및 POCl3 (8.0 mL, 88 mmol)의 혼합물을 140 ℃ (오일 배쓰)에서 10분간 교반하였다. 균질한 밝은 호박색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70 ℃에서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반투명의 잔류물을 DCM (25 mL)에 용해시키고, 균질한 황색 용액을 얼음과 pH ~6 (페이퍼)의 1 M NaHCO3 에 분배시켰다 (~20 mL 수층). 유기층을 2회 건조시키고 (Na2SO4), 0.22 미크론 필터를 통해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하여 (배쓰 < 40 ℃) 황색 고체상의 표제화합물 (2.53 g, 88%)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119
b. 4-퀴나졸린-4-일-피페리딘-1,4-디카복실산 1-tert-부틸 에스테르 4-메틸 에스테르
Figure 112008001726558-PCT00120
이전 단계에서 얻은 4-클로로퀴나졸린 (2.02 g, 12.3 mmol)과 실시예 1b에서 얻은 피페리딘-1,4-디카복실산 1-tert-부틸 에스테르 4-메틸 에스테르 (3.13 g, 12.8 mmol)의 혼합물에 아르곤 대기하에 교반하면서 0 ℃에서 주사기를 사용하여 1.08 M LiHMDS/THF를 한번에 가하였다. 0 ℃에서 추가로 5분간 교반한 후, 얼음 배쓰를 제거하고 균질한 호박색 용액을 실온에서 4.5시간 교반하였다. 1 M NaH2PO4 (30 mL)를 사용하여 반응을 종결시키고, DCM (2 x 3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하여 건조시키고 (Na2SO4), 감압하에 농축하여 맑은 호박색 시럽상의 불순한 표제화합물 (4.98 g)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121
LC/MS (ESI): calcd mass 371.2, found 372.2 (MH)+.
c. 4-피페리딘-4-일-퀴나졸린
Figure 112008001726558-PCT00122
이전 단계에서 얻은 4-퀴나졸린-4-일-피페리딘-1,4-디카복실산 1-tert-부틸 에스테르 4-메틸 에스테르 (4.58 g), DMSO (7.5 mL), 및 10 M KOH (aq) (7.5 mL)의 혼합물을 100 ℃에서 12시간동안 격렬하게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반응액을 6 M HCl (18.4 mL) (기체 폭발!) 및 물 (19 mL)로 조심스럽게 처리하고, 중질 침전물이 포함된 혼합물을 100 ℃에서 10분간 교반하였다. 생성된 호박색 반투명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2.5 M NaOH (20 mL) 및 물 (10 mL)를 사용하여 염기성으로 만들고, 진탕하면서 DMSO를 용해시켜 수성 환경으로 만들고, DCM (2 x 75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하여 건조시키고 (Na2SO4), 감압하에 농축하여 호박색 반투명 시럽상의 순수하지 않은 표제화합물 (2.63 g, 4-클로로퀴나졸린으로부터의 불순한 표제화합물 수율 "100%")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123
LC/MS (ESI): calcd mass 213.1, found 214.0 (MH)+.
d. 4-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이소프로필-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124
이전 단계에서 얻은 4-피페리딘-4-일-퀴나졸린을 사용하고, 100 ℃에서 100분간 교반하여 실시예 5b에서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1:4 hex/EtOAc)로 정제하여 베이지색 고체상의 표제화합물 (23.3 mg, 54%)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125
LC/MS (ESI): calcd mass 374.2, found 375.2 (MH)+.
실시예 8
4-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이소프로폭시-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126
실시예 1a에서 얻은 (4-이소프로폭시-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를 사용하여 실시예 7d에서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1:4 hex/EtOAc)로 정제하여 베이지색 고체상의 표제화합물 (27.6 mg, 55%)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127
LC/MS (ESI): calcd mass 390.2, found 391.2 (MH)+.
실시예 9
2-[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일]-N-(4-이소프로필-페닐)-아세트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128
4-이소프로필아닐린 (17.7 mg, 131 μmol), CaCO3 (33.1 mg, 331 μmol) (10 미크론 분말), 및 CH3CN (240 μL)의 혼합물을 얼음 배쓰에서 2-3분간 교반한 다음 0 ℃에서 교반하면서 10-15초에 걸쳐 브로모아세틸 브로마이드 (10.3 μL, 119 μmol)를 적가하였다. 0 ℃에서 추가로 2-3분간 교반한 후, 얼음 배쓰를 제거하고 슬러리를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실시예 1d에서 얻은 6,7-디메톡시-4-피페리딘-4-일-퀴나졸린 (35.1 mg, 129 μmol)을 한번에 가하고, 혼합물을 100 ℃에서 4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2 M K2CO3 (2 mL)를 사용하여 종결시키고, DCM (2 x 2 mL)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하여 건조시키고 (Na2SO4),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1:1 hex/아세톤)로 잔류물을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30.3 mg, 57%)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129
LC/MS (ESI): calcd mass 448.3, found 449.3 (MH)+.
실시예 10
2-[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일]-N-(4-이소프로폭시-페닐)-아세트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130
4-이소프로폭시아닐린을 사용하여 실시예 9에서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1:1 hex/아세톤)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20.3 mg, 39%)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131
LC/MS (ESI): calcd mass 464.2, found 465.2 (MH)+.
실시예 11
4-(6-요오도-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이소프로폭시-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132
a. 4-클로로-6-요오도-퀴나졸린
Figure 112008001726558-PCT00133
5-요오도안트라닐산 (9.96 g, 37.9 mmol) 및 포름아미딘 아세테이트 (4.20 g, 40.3 mmol) (adapted from J. Org . Chem . 51:616, 1986)의 무수 EtOH (80 mL) 혼합물을 대기중에서 2시간 환류시켰다. 중질 흰색 침전물을 포함하는 연기나는 호박색 용액을 90 ℃에서 감압하에 농축하고, 잔류한 양성자성 용매를 90 ℃에서 톨루엔 회전 증발 (2 x 100 mL)로 제거하였다. 생성된 점착성의 탄닌(tan) 고체에 Vilsmeier-Haack 시약의 걸죽한 흰색 슬러리를 실온의 대기하에서 한번에 가하였다 [Vilsmeier-Haack 시약을 제조하기 위하여 옥살릴 클로라이드 (10.9 mL, 125 mmol)의 DCE (44 mL) 용액을 DMF (6.7 mL, 87 mmol)의 DCE (21 mL) 용액에 0 ℃에서 10분간 적가하면서 격렬하게 교반하였다. 옥살릴 클로라이드의 첨가가 완료된 후 즉시 얼음 배쓰를 제거하고, 흰색 슬러리를 "실온"에서 5분간 교반한 후 불순한 4-하이드록시-6-요오도-퀴나졸린 중간체로 옮겼다]. 반응액을 대기하에 (110 ℃ 오일 배쓰) 1시간 15분간 환류시키고, 생성된 균질 갈색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면 중질 침전물이 형성된다. 반응액을 얼음물 (300 mL)에 붓고 DCM (3 x 250 mL)로 추출하였다. 불투명한 유기층을 합하여 건조시키고 (Na2SO4), 여과하여 맑은 적색-호박색 여액을 얻었다. 감압하에 농축한 후 90 ℃에서의 톨루엔 회전증발로 잠재적으로 반응성인 휘발성 물질을 제거함으로써 다음 단계에서 LiHMDS와 반응시키기에 적당한 탄닌 분말상의 표제화합물 (8.41 g, 요오도안트라닐산으로부터 94%)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134
b. 4-(6-요오도-퀴나졸린-4-일)-피페리딘-1,4-디카복실산 1-tert-부틸 에스테르 4-메틸 에스테르
Figure 112008001726558-PCT00135
이전 단계에서 얻은 4-클로로-6-요오도-퀴나졸린, 1.1 eq LiHMDS/THF 및 실시예 1b에서 얻은 1.1 eq 피페리딘-1,4-디카복실산 1-tert-부틸 에스테르 4-메틸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실시예 1c에서와 동일하게 제조한 후, 실온에서 14시간 교반하여 -78 ℃에서 에놀레이트를 형성하였다. 균질한 갈색 용액을 실시예 1c에서와 동일하게 후처리하여 암갈색 걸죽한 오일상의 순수하지 않은 표제화합물 (14.97 g)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136
LC/MS (ESI): calcd mass 497.1, found 398.0 (MH-Boc)+.
c. 6-요오도-4-피페리딘-4-일-퀴나졸린
Figure 112008001726558-PCT00137
이전 단계에서 얻은 4-(6-요오도-퀴나졸린-4-일)-피페리딘-1,4-디카복실산 1-tert-부틸 에스테르 4-메틸 에스테르 (14.21 g, 28.6 mmol), LiCl (2.38 g, 56.1 mmol), 물 (1.54 mL, 85.8 mmol), 및 DMSO (14 mL)의 혼합물을 약하게 밀봉된 Liebig 콘덴서가 장착된 500 mL 플라스크에서 대기하에 150 ℃에서 3시간 교반하여 기체는 빠져나가면서 시약인 물의 손실을 최소화하였다. 반응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2 M HCl (aq) (100 mL)를 가하고, 혼합물을 100 ℃에서 10분간 교반하였다 (주의: 기체 발생). 반응액을 얼음 배쓰에서 냉각시키고, 2.5 M NaOH (100 mL)을 첨가하고, DCM (1 x 250 mL 및 1 x 50 mL)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하여 건조시키고(Na2SO4), 농축하여 DMSO가 포함된 표제화합물과 그의 메틸 에스테르의 60:40 혼합물 (10.5 g)을 암녹색 오일상으로 얻었다. 이 물질을 150 ℃에서 추가로 5시간 동안 LiCl (2.41 g, 63 mmol), 물 (1.54 mL, 85.8 mmol), 및 DMSO (4 mL) (~7 mL 총 DMSO)을 사용하는 Krapchow 탈카복실화 조건으로 다시 반응시켰다. 150 ℃에서 총 8시간 경과 후, 반응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3 M HCl (100 mL)를 첨가하고 (기체 발생) 반응액을 100 ℃에서 15분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0 ℃에서 교반하면서 ~30초에 걸쳐 2.5 M NaOH (120 mL)를 천천히 첨가하여 pH > 12 (페이퍼) 로 조정하고, 크림색의 불투명한 슬러리를 9:1 DCM/MeOH (4 x 10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하여 건조시키고 (Na2SO4) 감압하에 농축하여 DMSO 및 방향족 불순물이 포함된 맑은 암녹색 오일상의 표제화합물 (5.97 g)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138
LC/MS (ESI): calcd mass 339.0, found 340.1 (MH)+.
d. 4-(6-요오도-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이소프로폭시-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139
이전 단계에서 얻은 순수하지 않은 6-요오도-4-피페리딘-4-일-퀴나졸린 (4.00 g, "11.8 mmol")의 CHCl3 (20 mL) 용액에 실시예 1a에서 얻은 (4-이소프로폭시-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4.10 g, 13.0 mmol)를 실온에서 대기하에 한번에 가하였다. DIEA (2.15 mL, 13.0 mmol)를 한번에 가하고, 잔류한 니트로페닐 에스테르 및 DIEA를 추가의 CHCl3 (20 mL)와 함께 반응액으로 옮겼다. 8시간 교반 후, 반응액을 1 M NaH2PO4 (50 mL) 및 2 M K2CO3 (1 x 50 mL)로 차례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여과하고, 여과 케이크를 DCM (2 x 10 mL)으로 세척하고, 여액을 합하여 건조시키고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1:2 hex/EtOAc)로 잔류물을 정제하여 베이지색 거품상의 표제화합물 (2.58 g, 42%)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140
LC/MS (ESI): calcd mass 516.1, found 517.2 (MH)+.
실시예 12
4-[6-(3-하이드록시-프로프-1-이닐)-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이소프로폭시-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141
실시예 11d에서 얻은 4-(6-요오도-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이소프로폭시-페닐)-아미드 (1.056 g, 2.05 mmol), CuI (3.9 mg, 20.5 μmol), 트랜스-PdCl2[P(C6H5)3]2 (26.8 mg, 38.2 μmol), 프로파길 알콜 (139 μL, 2.36 mmol), 및 디에틸아민 (3.4 mL)의 혼합물을 30초간 아르곤 대기로 채운 다음 재빨리 밀봉하고 실온에서 아르곤 대기하에 5시간동안 격렬하게 교반하였다. 생성된 암갈색 이중층을 실온에서 감압하에 농축하고, DCM (10 mL)에 용해시키고, 0.75 M EDTA (테트라소듐염) (1 x 2 mL)와 함께 격렬하게 진탕하였다. 밝은 녹색의 수층을 DCM (1 x 10 mL)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합하여 건조시키고 (Na2SO4), 농축하여 9:1 EtOAc/DCM (~5 mL)에 가용성인 베이지색 거품을 얻었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1:9 hex/EtOAc → EtOAc)로 정제하여 황색 거품상의 표제화합물 (825 mg, 91%)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142
LC/MS (ESI): calcd mass 444.2, found 445.2 (MH)+.
실시예 13
4-[6-(3-디에틸아미노-프로프-1-이닐)-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이소프로폭시-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143
a. 메탄설폰산 3-{4-[1-(4-이소프로폭시-페닐카바모일)-피페리딘-4-yl]-퀴나졸린-6-일}-프로프-2-이닐 에스테르
Figure 112008001726558-PCT00144
실시예 12에서 얻은 4-[6-(3-하이드록시-프로프-1-이닐)-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이소프로폭시-페닐)-아미드 (816 mg, 1.84 mmol) 및 DIEA (350 μL, 2.12 mmol)의 DCM (13 mL) 용액에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 (157 μL, 2.02 mmol)를 포지티브 아르곤 압력하에 0 ℃에서 교반하면서 1분간 적가하였다. 얼음 배쓰를 즉시 제거하고, 반응액을 실온에서 1시간 15분간 교반하였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1:9 hex/EtOAc → EtOAc)로 불순한 반응 혼합물을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896 mg, 93%)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145
LC/MS (ESI): calcd mass 522.2, found 523.3 (MH)+.
b. 4-[6-(3-디에틸아미노-프로프-1-이닐)-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이소프로폭시-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146
이전 단계에서 얻은 메탄설폰산 3-{4-[1-(4-이소프로폭시-페닐카바모일)-피페리딘-4-일]-퀴나졸린-6-일}-프로프-2-이닐 에스테르 (180.0 mg, 345 μmol)의 CH3CN (0.5 mL) 용액에 디에틸아민 (79 μL, 759 μmol)을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주사기를 사용하여 매우 신속하게 한번에 가하고, 담황색 용액을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불순한 반응액을 플래쉬 실리카 칼럼 (1:2 hex/아세톤)으로 정제하여 회백색 거품상의 표제화합물 (136 mg, 79%)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147
LC/MS (ESI): calcd mass 499.3, found 500.5 (MH)+. 이 물질의 분획을 선 택하여 연소분석을 수행하였다: Anal. Calcd for C30H37N5O2 ·0.18 물: C, 71.65; H, 7.49; N, 13.93. Found: C, 71.7; H, 7.55; N, 13.92.
실시예 14
4-[6-(3-피페리딘-1-일-프로프-1-이닐)-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이소프로폭시-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148
피페리딘을 사용하여 실시예 13b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10.9 mg, 63%).
Figure 112008001726558-PCT00149
LC/MS (ESI): calcd mass 511.3, found 512.4 (MH)+.
실시예 15
4-[6-(3-모폴린-4-일-프로프-1-이닐)-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이소프로폭시-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150
모폴린을 사용하여 실시예 13b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1:2 hex/아세톤)로 정제하여 흰색 거품상의 표제화합물 (148.9 mg, 87%)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151
LC/MS (ESI): calcd mass 513.3, found 514.5 (MH)+. 이 물질의 분획을 선택하여 연소분석을 수행하였다: Anal. Calcd for C30H35N5O3 ·0.20 물: C, 69.66; H, 6.9; N, 13.54. Found: C, 69.58; H, 6.81; N, 13.49.
실시예 16
N-(4-이소프로필-페닐)-2-(4-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일)-아세트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152
실시예 7c에서 얻은 4-피페리딘-4-일-퀴나졸린을 사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1:4 hex/EtOAc)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19.3 mg, 34%)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153
LC/MS (ESI): calcd mass 388.2, found 389.4 (MH)+.
실시예 17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6-사이클로부톡시-피리딘-3-일)-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154
a. 2-사이클로부톡시-5-니트로-피리딘
Figure 112008001726558-PCT00155
2-클로로-5-니트로피리딘 (7.12 g, 45.0 mmol) 및 사이클로부탄올 (3.40 g, 47.2 mmol)의 THF (30 mL) 혼합액을 0 ℃에서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NaH (1.18 g, 46.7 mmol)을 대기하에 ~10-20초간 3번에 나누어 첨가하였다 (주의: 광범위한 기체 발생). 반응 잔류물을 추가의 THF (5 mL)로 세척한 다음 포지티브 아르곤 압력하에 얼음 배쓰에서 1-2 분간 더 교반하였다. 얼음 배쓰를 제거하고 갈색 균질 용액을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80 ℃에서 감압하에 농축하고, 0.75 M EDTA (테트라소듐염) (150 mL)에 취하여 DCM (1 x 100 mL, 1 x 50 mL)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하여 건조시키고 (Na2SO4), 농축하고, MeOH (2 x 100 mL)에 취하고 60 ℃에서 감압하에 농축하여 걸죽한 암호박색 오일상의 표제화합물을 얻고, 이를 방치하여 결정화하였다 (7.01 g, 80%).
Figure 112008001726558-PCT00156
b. 6-사이클로부톡시-피리딘-3-일아민
Figure 112008001726558-PCT00157
10% w/w Pd/C (485 mg)를 포함하는 플라스크를 서서히 아르곤으로 채우면서 플라스크의 한쪽 면을 따라 MeOH (50 mL)를 천천히 가한 다음, 이전 단계에서 얻은 2-사이클로부톡시-5-니트로-피리딘 (4.85 g, 25 mmol)의 MeOH (30 mL) 용액을 ~5 mL 씩 나누어 첨가하였다 (주의: 대기하에 Pd/C에 다량의 휘발성 유기물질을 첨가하면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플라스크에서 기체를 한번 배출시키고, 실온에서 2시간동안 수소 풍선 압력하에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여과하고, 맑은 호박색 여액을 농축하고, 톨루엔 (2 x 50 mL)에 취하여 잔류된 MeOH를 제거하고, 감압하에 농축하여 약간의 톨루엔 냄새가 나는 반투명의 암갈색 오일상의 불순한 표제화합물 (4.41 g, 불순물 포함 수율 "108%")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158
LC-MS (ESI): calcd mass 164.1, found 165.2 (MH+).
c. (6-사이클로부톡시-피리딘-3-일)-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이전 단계에서 얻은 6-사이클로부톡시-피리딘-3-일아민 (4.41 g, 약 25 mmol) 및 CaCO3 (3.25 g, 32.5 mmol) (10 미크론 분말)의 혼합물에 4-니트로페닐 클로로포르메이트 (5.54 g, 27.5 mmol)의 톨루엔 (28 mL) 균질 용액을 실온에서 한번에 가하고, "실온" (반응액이 저절로 가온된다)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직접 플래쉬 실리카 칼럼 (95:5 DCM/MeOH → 9:1 DCM/MeOH)에 로딩하여 5.65 g의 물질을 얻고, 이를 뜨거운 톨루엔 (1 x 200 mL)을 사용하여 분쇄함으로써 추가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4.45 g, 54%)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160
LC-MS (ESI): calcd mass 329.1, found 330.1 (MH+).
d.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6-사이클로부톡시-피리딘-3-일)-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161
실시예 1d에서 얻은 6,7-디메톡시-4-피페리딘-4-일-퀴나졸린 (114.1 mg, 418 μmol), 이전 단계에서 얻은 (6-사이클로부톡시-피리딘-3-일)-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151 mg, 459 μmol), 및 DCM (818 μL)의 혼합물에 TEA (63 μL, 455 μmol)를 한번에 가하고, 45 ℃에서 30분간 대기하에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직접 플래쉬 실리카 칼럼 (3:4 hex/아세톤)에 적용하여 거품상의 표제화합물 (141.1 mg, 73%)을 얻었다. 이 물질을 2 M K2CO3 (2 mL)에 가하여 DCM (2 x 2 mL)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하여 건조시키고 (Na2SO4), 농축하고, 실리카 플래쉬 칼럼 (9:2 EtOAc/아세톤)으로 다시 정제하여 분석적으로 순수한 회백색 거품상의 표제화합물 (84.4 mg, 44%)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162
LC-MS (ESI): calcd mass 463.2, found 464.3 (MH+). Anal. Calcd for C25H29N5O4: C, 64.78; H, 6.31; N, 15.11. Found: C, 64.64; H, 6.24; N, 15.04.
변법으로서, 실시예 51과 유사한 방법에 따라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6-사이클로부톡시-피리딘-3-일)-아미드 (실시예 17d)를 제조할 수 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163
LC-MS (ESI): calcd mass 463.2, found 464.4 (MH+).
실시예 18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모폴린-4-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164
a. (4-모폴린-4-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Figure 112008001726558-PCT00165
4-모폴리노아닐린 (1.01 g, 5.68 mmol) 및 CaCO3 (743 mg, 7.42 mmol) (10 미크론 분말)의 혼합물을 4-니트로페닐 클로로포르메이트 (1.49 g, 7.39 mmol)의 DCM (7.5 mL) 용액에 얼음 배쓰 상에서 대기하에 한번에 가하였다. 걸죽하고, 쉽게 교반되는 반응 슬러리를 얼음 배쓰 상에서 1-2분간 교반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슬러리를 9:1 DCM/MeOH (7.5 mL)로 희석하고, 직접 플래쉬 실리카 칼럼 (95:5 DCM/MeOH)에 적용하여 0.7 g의 물질을 얻었다. 이를 뜨거운 톨루엔 (25 mL)를 사용하여 분쇄함으로써 추가 정제하여 밝은 올리브 녹색 분말상의 표제화합물 (444 mg, 23%)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166
b.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모폴린-4-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167
실시예 1d에서 얻었지만 실리카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NH3로 포화된 9:1 DCM/MeOH)로 정제한 6,7-디메톡시-4-피페리딘-4-일-퀴나졸린 (111.4 mg, 408 μmol), 이전 단계에서 얻은 (4-모폴린-4-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147 mg, 429 μmol), 및 DCM (700 μL)의 혼합물에 TEA (63 μL, 449 μmol)를 실온에서 한번에 가하였다. 균질한 호박색 용액을 실온에서 3.5시간 교반하고, DCM (1.3 mL)으로 희석하고, 2 M K2CO3 (2 mL)로 세척하였다. 수층을 DCM (2 x 2 mL)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합하여 건조시키고 (Na2SO4), 농축하고, 잔류물을 실리카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1:1 DCM/아세톤)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167.1 mg, 86%)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168
LC/MS (ESI): calcd mass 477.2, found 478.3 (MH+). 이 물질의 분획을 선택하여 합하고(112.5 mg) 연소 분석을 수행하였다: Anal. Calcd for C26H31N5O4: C, 65.39; H, 6.54; N, 14.67. Found: C, 65.26; H, 6.58; N, 14.51.
변법으로서, 하기 방법에 따라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모폴린-4-일-페닐)-아미드 (실시예 18b)를 제조하였다:
4-이미다졸-1-일-페닐아민 대신에 4-모폴린-4-일-페닐아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b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분취용 TLC (실리카 겔, 5 % MeOH/DCM)로 정제하여 7.3 mg (31 %)의 순수한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모폴린-4-일-페닐)-아미드를 얻었다.
LC/MS (ESI): calcd mass 477.2, found 478.5 (MH)+.
실시예 19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페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169
a. (4-피페리딘-1-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Figure 112008001726558-PCT00170
4-피페리디노아닐린 및 톨루엔 용매를 사용하여 실시예 18a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리카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5:2 hex/EtOAc → EtOAc → 9:1 DCM/MeOH)로 정제하여 회색 분말상의 목적 화합물 (1.416 g, 73%)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171
LC/MS (ESI): calcd mass 341.1, found 342.2 (MH+).
b.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페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172
이전 단계에서 얻은 (4-피페리딘-1-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실시예 18b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리카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12:1 EtOAc/아세톤 → 95:5 EtOAc/MeOH)로 정제하여 밝은 분홍색 거품상의 표제화합물 (91.3 mg, 46%)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173
LC/MS (ESI): calcd mass 475.3, found 476.5 (MH)+. Anal. Calcd for C27H33N5O3: C, 68.19; H, 6.99; N, 14.73. Found: C, 67.96; H, 6.93; N, 14.58.
변법으로서, 하기 방법에 따라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페리딘-1-일-페닐)-아미드 (실시예 19b)를 제조할 수 있다:
4-이미다졸-1-일-페닐아민 대신에 4-피페리딘-1-일-페닐아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b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분취용 TLC (실리카 겔, 5 % MeOH/DCM)로 정제하여 7.6 mg (32 %)의 순수한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페리딘-1-일-페닐)아미드를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174
LC/MS (ESI): calcd mass 475.3, found 476.5 (MH)+.
실시예 20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4-메틸-피페라진-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175
4-이미다졸-1-일-페닐아민 대신에 4-(4-메틸-피페라진-1-일)-페닐아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b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분취용 TLC (실리카 겔, 5 % MeOH/DCM)로 정제하여 14.5 mg (30 %)의 순수한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4-메틸-피페라진-1-일-페닐)]-아미드를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176
LC/MS (ESI): calcd mass 490.3, found 491.5 (MH)+.
실시예 21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사이클로헥실-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177
4-이미다졸-1-일-페닐아민 대신에 4-사이클로헥실-페닐아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b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분취용 TLC (실리카 겔, 5 % MeOH/DCM)로 정제하여 20.4 mg (43 %)의 순수한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사이클로헥실-페닐)-아미드를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178
LC/MS (ESI): calcd 474.3, found 475.4 (MH)+.
실시예 22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하이드록시메틸-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179
4-이미다졸-1-일-페닐아민 대신에 4-하이드록시메틸-페닐아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b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분취용 TLC (실리카 겔, 5 % MeOH/DCM)로 정제하여 11.2 mg (27 %)의 순수한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하이드록시메틸-페닐)-아미드를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180
LC/MS (ESI): calcd 422.2, found 423.3 (MH)+.
실시예 23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1H-indol-5-일)-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181
4-이미다졸-1-일-페닐아민 대신에 1H-인돌-5-일아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b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분취용 TLC (실리카 겔, 5 % MeOH/DCM)로 정제하여 12.4 mg (29 %)의 순수한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1H-인돌-5-일)-아미드를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182
LC/MS (ESI): calcd 431.2, found 432.3 (MH)+.
실시예 24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벤조티아졸-6-일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183
4-이미다졸-1-일-페닐아민 대신에 벤조티아졸-6-일아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b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분취용 TLC (실리카 겔, 5 % MeOH/DCM)로 정제하여 10.3 mg (23 %)의 순수한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벤조티아졸-6-일아미드를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184
LC/MS (ESI): calcd mass 449.2, found 450.2 (MH)+.
실시예 25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아세틸아미노-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185
4-이미다졸-1-일-페닐아민 대신에 N-(4-아미노-페닐)-아세트아미드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b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분취용 TLC (실리카 겔, 5 % MeOH/DCM)로 정제하여 4.2 mg (10 %)의 순수한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아세틸아미노-페닐)-아미드를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186
LC/MS (ESI): calcd 449.2, found 450.4 (MH)+.
실시예 26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디메틸아미노-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187
실시예 1d에서 얻은 6,7-디메톡시-4-피페리딘-4-일-퀴나졸린 (27.5 mg, 0.1 mmol)의 무수 DMF 용액에 4-디메틸아미노-페닐이소시아네이트 (25 mg, 0.15 mmol)을 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진공하에 농축하고 잔류물을 분취용 TLC (실리카 겔, 5 % MeOH/DCM)로 정제하여 19 mg (44 %)의 순수한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디메틸아미노-페닐)-아미드를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188
LC/MS (ESI): calcd mass 435.2, found 436.5 (MH)+.
실시예 27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2,3-디하이드로-벤조푸란-5-일)-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189
4-디메틸아미노-페닐이소시아네이트 대신에 5-이소시아네이토-2,3-디하이드로-벤조푸란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6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분취용 TLC (실리카 겔, 5 % MeOH/DCM)로 정제하여 15.7 mg (36 %)의 순수한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2,3-디하이드로-벤조푸란-5-일)-아미드를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190
LC/MS (ESI): calcd mass 434.2, found 435.4 (MH)+.
실시예 28
1-[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일]-2-(4-이소프로필-페닐)-에탄온
Figure 112008001726558-PCT00191
4-이소프로필페닐아세트산 (36 mg, 0.2 mmol)의 무수 DCM (1 mL) 용액에 PS-카보디이미드 (100 mg, 0.3 mmol)를 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5분간 진탕하였다. 실시예 1d에서 얻은 6,7-디메톡시-4-피페리딘-4-일-퀴나졸린 (27.5 mg, 0.1 mmol)의 무수 DMF (1 mL) 용액을 혼합물에 가하고 실온에서 밤새 진탕하였다. 여과하고 레진을 THF/DCM으로 세척한 후, 여액과 세척액을 합하여 진공하에 농축하였다. 불순한 생성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1 % MeOH/DCM)로 정제하여 13.4 mg (31 %)의 순수한 1-[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일]-2-(4-이소프로필-페닐)-에탄온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192
LC/MS (ESI) : calcd mass 433.2, found 434.4 (MH)+.
실시예 29
4-(7-클로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이소프로폭시-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193
밀봉된 바이알 안의 4,7-디클로로퀴나졸린 (800 mg, 4 mmol) 및 실시예 1b에 서 얻은 피페리딘-1,4-디카복실산 1-tert-부틸 에스테르 4-메틸 에스테르 (1.2 g, 5.2 mmol)의 교반된 혼합물에 실온에서 1 M LiHMDS의 THF 용액 (6 mL, 6 mmol)을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밤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수성 NaH2PO4 를 사용하여 종결시키고, 혼합물을 DCM으로 추출하였다. DCM 층을 따라내고, 물,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하여 2.2 g (>100 %)의 불순한 4-(7-클로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4-디카복실산 1-tert-부틸 에스테르 4-메틸 에스테르 (29a)를 황색 반고체로 얻은 후 그대로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고체 KOH (224 mg, 4 mmol)를 4-(7-클로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4-디카복실산 1-tert-부틸 에스테르 4-메틸 에스테르 (29a; 41 mg, 0.1 mmol)의 디옥산 및 물의 1:1 혼합액 (1 mL) 현탁액에 가하였다. 혼합물을 100 ℃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진공하에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DCM에 용해시키고, 물,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하여 불순한 4-(7-클로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29b)를 얻었다. 이를 2 mL의 3M HCl/MeOH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한 다음 진공하에 농축하여 불순한 4-(7-클로로-퀴나졸린-4-일)-피페리딘 (29c)를 디-HCl 염으로 얻었다. (29c)의 무수 MeOH 현탁액에 DIEA (45 μL, 0.25 mmol)를 가하고 (4-이소프로폭시-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48 mg, 0.15 mmol)를 가한 다음,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진공하에 농축하고 잔류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1 % MeOH/DCM)로 정제하여 5 mg (29a로부터의 총 수율 12 %)의 순수한 4-(7-클로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이소프로폭시-페닐)-아미드를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194
LC/MS (ESI) : calcd mass 424.2, found 425.4 (MH)+.
실시예 30
4-(7-클로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이소프로필-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195
(4-이소프로폭시-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대신에 실시예 4a에서 얻은 (4-이소프로필-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9에서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1 % MeOH/DCM)로 정제하여 11 mg (29a로부터의 총수율 27 %)의 순수한 4-(7-클로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이소프로폭시-페닐)-아미드를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196
LC/MS (ESI) : calcd mass 408.2, found 409.4 (MH)+.
실시예 31
4-(7-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이소프로폭시-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197
고체 KOH (224 mg, 4 mmol)를 실시예 29에서 얻은 4-(7-클로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4-디카복실산 1-tert-부틸 에스테르 4-메틸 에스테르 (29a; 41 mg, 0.1 mmol)의 무수 MeOH (1 mL) 용액에 가하였다. 혼합물을 100 ℃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진공하에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DCM에 용해시키고, 물,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하여 불순한 4-(7-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31a)를 얻었다. 이를 2 mL의 3M HCl/MeOH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한 다음 진공하에 농축하여 불순한 4-(7-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 (31b)를 디-HCl 염으 로 얻었다. (31b)의 무수 MeOH (2 mL) 현탁액에 DIEA (45 μL, 0.25 mmol)를 가하고 실시예 1a에서 얻은 (4-이소프로폭시-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48 mg, 0.15 mmol)를 가한 다음,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진공하에 농축하고 잔류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1 % MeOH/DCM)로 정제하여 5.4 mg (29a로부터의 총수율 13 %)의 순수한 4-(7-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이소프로폭시-페닐)-아미드를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198
LC/MS (ESI) : calcd mass 420.2, found 421.4 (MH)+.
실시예 32
4-(7-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이소프로필-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199
(4-이소프로폭시-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대신에 실시예 4a에서 얻은 (4-이소프로필-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을 제 외하고는 실시예 3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1 % MeOH/DCM)로 정제하여 14.1 mg (15a로부터의 총수율 35 %)의 순수한 4-(7-클로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이소프로폭시-페닐)-아미드를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200
LC/MS(ESI) : calcd mass 404.2, found 405.4 (MH)+.
실시예 33
4-(7-(3-피페리딘-1-일-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이소프로폭시-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201
고체 KOH (112 mg, 2 mmol)를 실시예 29에서 얻은 4-(7-클로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4-디카복실산 1-tert-부틸 에스테르 4-메틸 에스테르 (29a; 82 mg, 0.2 mmol)과 3-하이드록시프로필피페리딘 (0.25 mL)의 혼합물에 가하였다. 혼합물 을 100 ℃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물로 희석하였다. 혼합물을 DCM으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따라내고, 물로 3회 세척하고, 염수로 1회 세척한 다음 무수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하였다. 여기에 3 mL의 3M HCl/MeOH를 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한 다음 진공하에 농축하였다. 이를 무수 MeOH (3 mL)에 현탁시키고, 여기에 DIEA (1.75 mL, 0.6 mmol)을 가한 다음, 실시예 1a에서 얻은 (4-이소프로폭시-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96 mg, 0.3 mmol)을 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진공하에 농축하고, 잔류물을 DCM에 용해시키고, 물로 3회 및 염수로 1회 철저히 세척한 다음, 무수 MgSO4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하였다. 불순한 생성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1 % MeOH/DCM → 90:9:1 DCM:MeOH:NH4OH)로 정제하여 14 mg (29a로부터의 총수율 13 %)의 순수한 4-(7-(3-피페리딘-1-일-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이소프로폭시-페닐)-아미드를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202
LC/MS (ESI) : calcd mass 531.3, found 532.6 (MH)+.
실시예 34
4-(7-(2-피페리딘-1-일-에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이소프로폭시-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203
3-하이드록시프로필피페리딘(0.25 mL) 대신에 2-하이드록시에틸피페리딘 (0.5 mL)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3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5 % MeOH/DCM)로 정제하여 45 mg (29a로부터의 총수율 43 %)의 순수한 4-(7-(2-피페리딘-1-일-에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이소프로폭시-페닐)-아미드를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204
LC/MS (ESI): calcd mass 517.3, found 518.5 (MH)+.
실시예 35
4-[7-(2-디에틸아미노-에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이소프로폭 시-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205
3-하이드록시프로필피페리딘 (0.25 mL) 대신에 2-디에틸아미노에탄올 (0.5 mL)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3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5 % MeOH/DCM → 90:9:1 DCM:MeOH:NH4OH)로 정제하여 30 mg (29a로부터의 총수율 30 %)의 순수한 4-[7-(2-디에틸아미노-에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이소프로폭시-페닐)-아미드를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206
LC/MS (ESI) : calcd mass 505.3, found 506.6 (MH)+.
실시예 36
4-[7-(3-디에틸아미노-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이소프로폭시-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207
3-하이드록시프로필피페리딘 (0.25 mL) 대신에 3-디에틸아미노프로판올 (0.5 m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3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5 % MeOH/DCM → 90:9:1 DCM:MeOH:NH4OH)로 정제하여 20 mg (29a로부터의 총수율 19 %)의 순수한 4-[7-(3-디에틸아미노-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이소프로폭시-페닐)-아미드를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208
LC/MS (ESI) : calcd mass 519.3, found 520.6 (MH)+.
실시예 37
4-[7-(2-모폴린-4-일-에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이소프로폭시-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209
3-하이드록시프로필피페리딘 (0.25 mL) 대신에 2-하이드록시에틸모폴린 (0.5 m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3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5 % MeOH/DCM → 90:9:1 DCM:MeOH:NH4OH)로 정제하여 25 mg (29a로부터의 총수율 24 %)의 순수한 4-[7-(2-모폴린-4-일-에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이소프로폭시-페닐)-아미드를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210
LC/MS (ESI) : calcd mass 519.3, found 520.6 (MH)+.
실시예 38
4-[7-(3-모폴린-4-일-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이소프로폭시-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211
3-하이드록시프로필피페리딘 (0.25 mL) 대신에 3-하이드록시프로필모폴린 (0.5 m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3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5 % MeOH/DCM → 90:9:1 DCM:MeOH:NH4OH)로 정제하여 15 mg (29a로부터의 총수율 14 %)의 순수한 4-[7-(3-모폴린-4-일-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이소프로폭시-페닐)-아미드를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212
LC/MS (ESI) : calcd mass 533.3, found 534.6 (MH)+.
실시예 39
4-{7-[3-(4-메틸-피페라진-1-일)-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이소프로폭시-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213
3-하이드록시프로필피페리딘 (0.25 mL) 대신에 3-(4-메틸-피페라진-1-일)-프로판-1-올 (0.5 m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3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5 % MeOH/DCM → 90:9:1 DCM:MeOH:NH4OH)로 정제하여 25 mg (29a로부터의 총수율 23 %)의 순수한 4-{7-[3-(4-메틸-피페라진-1-일)-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이소프로폭시-페닐)-아미드를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214
LC/MS (ESI) : calcd mass 546.3, found 547.6 (MH)+.
실시예 40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2-메톡시-에톡시)-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215
a. 4-(2-메톡시-에톡시)-페닐아민
Figure 112008001726558-PCT00216
톨루엔 (0.5 mL) 중의 4-요오도아닐린 (219 mg, 1.0 mmol), 2-메톡시에탄올 (152 mg, 2.0 mmol), 구리 요오다이드 (19.0 mg, 0.1 mmol), 세슘 카보네이트 (554 mg, 1.7 mmol) 및 1,10-페난트롤린 (36.0 mg, 0.2 mmol)의 혼합물을 110 ℃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실리카 겔을 통해 여과하고 디에틸에테르로 세척하였다. 진공하에 에테르를 제거하여 불순한 고체를 얻었다. 분취용 TLC (1:9 MeOH/DCM)로 정제하여 고체상의 표제화합물 (8.9 mg, 5.3%)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217
b.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2-메톡시-에톡시)-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218
실시예 3a에서 얻은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보닐 클로라이드 (18 mg, 0.0536 mmol), 이전 단계에서 얻은 4-(2-메톡시-에톡시)-페닐아민 (8.9 mg, 0.0533 mmol), 및 트리에틸아민 (14 μL, 0.1 mmol)의 혼합물을 DMSO (0.5 mL) 중에서 50 ℃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EtOAc (10 mL) 및 H2O (10 mL)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층을 Na2SO4 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 농축하였다. 분취용 TLC (1:9 MeOH/DCM)로 정제하여 갈색 고체상의 표제화합물 (5.7 mg, 23%)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219
LC/MS (ESI): calcd mass 466.2, found 467.4 [M+1]+.
실시예 41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메톡시-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220
실시예 1d에서 얻은 6,7-디메톡시-4-피페리딘-4-일-퀴나졸린 (30 mg, 0.110 mmol)의 DMF (1 mL) 용액을 1-이소시아네이토-4-메톡시-벤젠 (24.5 mg, 0.164 mmol)으로 실온에서 밤새 처리하였다. 반응액을 EtOAc (10 mL) 및 H2O (10 mL)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층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 농축하였다. 분취용 TLC (1:9 MeOH/DCM)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상의 표제화합물 (25.9 mg, 56%)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221
LC/MS (ESI): calcd mass 422.2, found 423.3 [M+1]+.
실시예 42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사이클로헥실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222
실시예 1d에서 얻은 6,7-디메톡시-4-피페리딘-4-일-퀴나졸린 (30 mg, 0.110 mmol)의 DMF (1 mL) 용액을 이소시아네이토-사이클로헥산 (20.6 mg, 0.165 mmol)으로 실온에서 밤새 처리하였다. 반응액을 EtOAc (10 mL) 및 H2O (10 mL)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층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 농축하였다. 분취용 TLC (1:9 MeOH/DCM)로 정제하여 밝은 황색 고체상의 표제화합물 (22 mg, 50%)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223
LC/MS (ESI): calcd mass 398.2, found 399.3 [M+1]+.
실시예 43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부틸-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224
실시예 1d에서 얻은 6,7-디메톡시-4-피페리딘-4-일-퀴나졸린 (30 mg, 0.110 mmol)의 DMF (1 mL) 용액을 1-부틸-4-이소시아네이토-벤젠 (28.8 mg, 0.165 mmol)으로 실온에서 밤새 처리하였다. 반응액을 EtOAc (10 mL) 및 H2O (10 mL)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층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 농축하였다. 분취용 TLC (1:9 MeOH/DCM)로 정제하여 밝은 황색 고체상의 표제화합물 (20.3 mg, 41%)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225
LC/MS (ESI): calcd mass 448.3, found 449.3 [M+1]+.
실시예 44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에톡시-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226
실시예 1d에서 얻은 6,7-디메톡시-4-피페리딘-4-일-퀴나졸린 (30 mg, 0.110 mmol)의 DMF (1 mL) 용액을 1-에톡시-4-이소시아네이토-벤젠 (26.8 mg, 0.164 mmol)으로 실온에서 밤새 처리하였다. 반응액을 EtOAc (10 mL) 및 H2O (10 mL)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층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 농축하였다. 분취용 TLC (1:9 MeOH/DCM)로 정제하여 밝은 갈색 고체상의 표제화합물 (9.7 mg, 20%)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227
LC/MS (ESI): calcd mass 436.2, found 437.3 [M+1]+.
실시예 45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228
실시예 1d에서 얻은 6,7-디메톡시-4-피페리딘-4-일-퀴나졸린 (30 mg, 0.110 mmol)의 DMF (1 mL) 용액을 이소시아네이토-벤젠 (19.6 mg, 0.165 mmol)으로 실온에서 밤새 처리하였다. 반응액을 EtOAc (10 mL) 및 H2O (10 mL)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층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 농축하였다. 분취용 TLC (1:9 MeOH/DCM)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상의 표제화합물 (11.4 mg, 27%)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229
LC/MS (ESI): calcd mass 392.2, found 393.3 [M+1]+.
실시예 46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230
실시예 1d에서 얻은 6,7-디메톡시-4-피페리딘-4-일-퀴나졸린 (20 mg, 0.0733 mmol)의 DMF (1 mL) 용액을 1-이소시아네이토-4-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 (20 mg, 0.107 mmol)으로 실온에서 밤새 처리하였다. 반응액을 EtOAc (10 mL) 및 H2O (10 mL)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층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 농축하였다. 분취용 TLC (1:9 MeOH/DCM)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상의 표제화합물 (9.0 mg, 27%)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231
LC/MS (ESI) calcd mass 460.2, found 461.3 [M+1]+.
실시예 47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페녹시-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232
실시예 1d에서 얻은 6,7-디메톡시-4-피페리딘-4-일-퀴나졸린 (20 mg, 0.0733 mmol)의 DMF (1 mL) 용액을 4-페녹시페닐이소시아네이트 (23 mg, 0.109 mmol)로 실온에서 밤새 처리하였다. 반응액을 EtOAc (10 mL) 및 H2O (10 mL)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층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 농축하였다. 분취용 TLC (1:9 MeOH/DCM)로 정제하여 갈색 고체상의 표제화합물 (15.7 mg, 44%)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233
LC/MS (ESI) calcd mass 484.2, found 485.3 [M+1]+.
실시예 48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p-톨릴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234
실시예 1d에서 얻은 6,7-디메톡시-4-피페리딘-4-일-퀴나졸린 (20 mg, 0.0733 mmol)의 DMF (1 mL) 용액을 1-이소시아네이토-4-메틸-벤젠 (15 mg, 0.113 mmol)으로 실온에서 밤새 처리하였다. 반응액을 EtOAc (10 mL) 및 H2O (10 mL)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층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 농축하였다. 분취용 TLC (1:9 MeOH/DCM)로 정제하여 갈색 고체상의 표제화합물 (25.1 mg, 84%)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235
LC/MS (ESI) calcd mass 406.2, found 407.3 [M+1]+.
실시예 49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클로로-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236
실시예 1d에서 얻은 6,7-디메톡시-4-피페리딘-4-일-퀴나졸린 (20 mg, 0.0733 mmol)의 DMF (1 mL) 용액을 1-클로로-4-이소시아네이토-벤젠 (16.8 mg, 0.110 mmol)으로 실온에서 밤새 처리하였다. 반응액을 EtOAc (10 mL) 및 H2O (10 mL)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층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 농축하였다. 분취용 TLC (1:9 MeOH/DCM)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상의 표제화합물 (9.2 mg, 29%)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237
LC/MS (ESI) calcd mass 426.2, found 427.2 [M+1]+.
실시예 50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238
실시예 1d에서 얻은 6,7-디메톡시-4-피페리딘-4-일-퀴나졸린 (20 mg, 0.0733 mmol)의 DMF (1 mL) 용액을 1-이소시아네이토-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젠 (22 mg, 0.108 mmol)으로 실온에서 밤새 처리하였다. 반응액을 EtOAc (10 mL) 및 H2O (10 mL)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층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 농축하였다. 분취용 TLC (1:9 MeOH/DCM)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상의 표제화합물 (18.2 mg, 52%)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239
LC/MS (ESI) calcd mass 476.2, found 477.3 [M+1]+.
실시예 51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240
실시예 3a에서 얻은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보닐 클로라이드 (46.9 mg, 0.14 mmol)의 DMSO (1 mL) 용액에 4-(디플루오로메톡시)아닐린 (26.6 mg, 0.17 mmol)을 가하고 DIEA (35.9 mg, 0.28 mmol)을 가하였다.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100 ℃로 가열하였다. 2시간 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EtOAc와 물사이에 분배하였다. EtOAc 추출물을 합하여 건조시키고 (Na2SO4)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용리액 EtOAc → 5% MeOH/EtOAc)로 정제하여 흰색 고체상의 표제화합물 (20.4 mg, 32%)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241
LC-MS (ESI) calcd mass 458.2, found 459.3 (MH+).
실시예 51의 합성과정과 유사하게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보닐 클로라이드를 DIEA 존재하에 상응하는 아닐린 또는 아민과 반응시켜 실 시예 52-56의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실시예 52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sec-부틸-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242
Figure 112008001726558-PCT00243
LC-MS (ESI) calcd mass 448.3, found 449.4 (MH+).
실시예 53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tert-부틸-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244
Figure 112008001726558-PCT00245
LC-MS (ESI) calcd mass 448.3, found 449.4 (MH+).
실시예 54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tert-부틸-사이클로헥실)-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246
Figure 112008001726558-PCT00247
LC-MS (ESI) calcd mass 454.3, found 455.4 (MH+).
실시예 55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1-하이드록시-에틸)-페 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248
Figure 112008001726558-PCT00249
LC-MS (ESI) calcd mass 436.2, found 437.4 (MH+).
실시예 56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6-이소프로폭시-피리딘-3-일)-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250
a. 2-이소프로폭시-5-니트로-피리딘
Figure 112008001726558-PCT00251
2-클로로-5-니트로-피리딘 (450 mg, 2.84 mmol)의 이소프로판올 (10 mL)/DMF (7 mL) 용액에 60% NaH (57 mg)를 가하였다. 혼합물을 80 ℃에서 4시간 교반하고 유기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EtOAc 및 물사이에 분배하였다. EtOAc 추출물을 건조시키고 (Na2SO4) 증발시켰다. 불순한 생성물을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 반응에 사용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252
b. 6-이소프로폭시-피리딘-3-일아민
Figure 112008001726558-PCT00253
이전 단계에서 얻은 2-이소프로폭시-5-니트로-피리딘의 MeOH (5 mL) 용액에20 mg의 10% Pd/C를 가하였다. 혼합물을 수회 탈기시키고 수소 대기하에 4시간 교반하였다.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용리액 EtOAc)로 정제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254
LC-MS (ESI) calcd mass 152.1, found 153.2 (MH+).
c.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6-이소프로폭시-피리딘-3-일)-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255
Figure 112008001726558-PCT00256
LC-MS (ESI) calcd mass 451.2, found 452.4 (MH+).
실시예 57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2-옥소-피롤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257
실시예 2b에서 얻은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요오도-페닐)-아미드 (57.9 mg, 0.11 mmol)와 피롤리딘-2-온 (13.3 mg, 0.16 mmol)의 톨루엔 (3 mL) 혼합물에 CuI (1.5 mg)를 가하고, N,N-디메틸에틸렌디아민 (1.4 mg) 및 K3PO4 (56.7 mg)를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밤새 105 ℃로 가열하였다. 감압하에 농축하고 불순한 잔류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용리액 10% MeOH/EtOAc)로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8.6 mg, 16.4% 수율)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258
LC-MS (ESI) calcd mass 475.2, found 476.4 (MH+).
실시예 58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리미딘-5-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259
실시예 2b에서 얻은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요오도-페닐)-아미드 (58.2 mg, 0.11 mmol)의 1 mL 톨루엔/EtOH (4:1, v/v) 현탁액에 피리미딘-5-보론산 (15.3 mg, 0.12 mmol), Pd(PPh3)4 (6.5 mg) 및 2M K2CO3 용액 (0.23 mL)을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밤새 100 ℃로 가열하였다. 감압하에 농축하고 검정색 잔류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용리액 5% MeOH/EtOAc)로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18.4 mg, 35.6% 수율)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260
LC-MS (ESI) calcd mass 470.2, found 471.3 (MH+).
실시예 58의 합성과정과 유사하게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요오도-페닐)-아미드를 Pd(PPh3)4의 존재하에 상응하는 보론산 또는 보레이트와 반응시켜 실시예 59-61의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실시예 59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푸란-2-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261
Figure 112008001726558-PCT00262
LC-MS (ESI) calcd mass 458.2, found 459.4 (MH+).
실시예 60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6-클로로-피리딘-3-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263
Figure 112008001726558-PCT00264
LC-MS (ESI) calcd mass 503.2, found 504.3 (MH+).
실시예 61
4-(4-{[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보닐]-아미노}-페닐)-3,6-디하이드로-2H-피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Figure 112008001726558-PCT00265
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3,6-디하이드로-2H-피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266
LC-MS (ESI) calcd mass 573.3, found 574.6 (MH+).
실시예 62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1,2,3,6-테트라하이드로-피리딘-4-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267
실시예 61에서 얻은 4-(4-{[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보닐]-아미노}-페닐)-3,6-디하이드로-2H-피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10 mg, 0.017 mmol)를 50% TFA/DCM (5 mL)에 용해시켰다. 용액을 실온에서 4시간 교반하였다.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2N 암모늄의 MeOH (6 mL) 용액으로 종결시켰다. 용매를 제거하고, 잔류물을 물로 세척하고, 진공하에 건조시켜 흰색 고체상의 표제화합물 (8 mg, 100%)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268
LC-MS (ESI) calcd mass 473.2, found 474.5 (MH+).
실시예 63
4-(4-{[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보닐]-아미노}-페닐)-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Figure 112008001726558-PCT00269
실시예 61에서 얻은 4-(4-{[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보닐]-아미노}-페닐)-3,6-디하이드로-2H-피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5 mg, 0.009 mmol)의 MeOH (5 mL) 용액에 10% Pd/C (5 mg)을 가하였다. 용액을 탈기시키고 수소 대기하에 2시간 교반하였다. 셀라이트 패드로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시켜 목적 화합물 (3.7 mg, 74% 수율)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270
LC-MS (ESI) calcd mass 575.3, found 576.6 (MH+).
실시예 64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페리딘-4-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271
실시예 63에서 얻은 4-(4-{[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보닐]-아미노}-페닐)-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실시예 62와 동일하게 반응시켜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272
LC-MS (ESI) calcd mass 475.3, found 476.5 (MH+).
실시예 65
4-[7-(3-메탄설포닐아미노-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이소 프로폭시-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273
a. 4-(7-플루오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4-디카복실산 1-tert-부틸 에스테르 4-메틸 에스테르
Figure 112008001726558-PCT00274
4-클로로-7-플루오로-퀴나졸린 (2.87 g, 15.4 mmol) (WO 9609294 A1)과 실시예 1b에서 얻은 피페리딘-1,4-디카복실산 1-tert-부틸 에스테르 4-메틸 에스테르 (4.15 g, 17.1 mmol)의 혼합물을 아르곤 대기하에 5분간 -78 ℃ 배쓰에 놓고, 플라스크의 한쪽 면을 따라 주사기를 사용하여 신속히 1.08 M LiHMDS/THF 용액 (17.8 mL, 19.2 mmol)을 가하였다 (에스테르와의 반응 전에 차폐된 염기의 냉각 및 분산을 위해). LiHMDS/THF 첨가한 후 반응액을 2-3분간 -78 ℃ 배쓰에서 손으로 흔든 후, 콜드 배쓰를 제거하고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점차 실온으로 가온하였다. 실온에서 2.5 시간 교반한 후, 암갈색 균질 용액을 1.0 M NaH2PO4 (38 mL)로 종결시키고, DCM (1 x 150 mL 및 1 x 25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하여 건조시키고 (Na2SO4), 감압하에 농축하고, 90 ℃에서 고진공하에 톨루엔 체이서 (chaser) (3 x 10 mL)로 처리하여 불투명하고 걸죽한 황색 오일상의 표제화합물 (6.83 g, "114%" 불순물 포함 수율)을 얻었고, 이는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275
LC/MS (ESI): calcd mass 389.2, found 390.1 (MH)+.
b. 4-(7-플루오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Figure 112008001726558-PCT00276
이전 단계에서 추가 정제 없이 얻은 4-(7-플루오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4-디카복실산 1-tert-부틸 에스테르 4-메틸 에스테르 ("6.83 g"), LiCl (1.32 g, 31.1 mmol), 물 (832 μL, 46.2 mmol), 및 DMSO (6.0 mL)의 혼합물을 9.5 시간동안 효율적인 콘덴서 (시약인 물을 유지하기 위해)를 사용하여 150 ℃ (오일 배쓰)에서 대기하에 교반하였다. 짙은 색의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1.0 M NaHCO3와 함께 진탕하고, EtOAc (1 x 60 mL) 및 9:1 DCM/MeOH (2 x 3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하여 건조시키고 (Na2SO4), 농축하여 걸죽하고 맑은 호박색 오일 을 얻었다. 이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3:2 헥산/EtOAc)로 정제하여 걸죽하고 맑은 황색 시럽상의 표제화합물을 얻었으며, 이를 비벼서 베이지색 고체 (2.37 g, 4-클로로-7-플루오로퀴나졸린으로부터 46%)를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277
LC/MS (ESI): calcd mass 331.2, found 332.1 (MH)+ (weak).
c. 4-[7-(3-메탄설포닐아미노-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Figure 112008001726558-PCT00278
3-아미노-프로판-1-올 (37.9 mg, 505 μmol), t-BuOK (63.1 mg, 563 μmol), 및 DME (505 μ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5분간 교반하여 균질한 황색 용액을 얻었다. 이전 단계에서 얻은 고체 4-(7-플루오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170.7 mg, 516 μmol)를 대기하의 "실온" (바이알이 저절로 가온된다)에서 한번에 가하고, 생성된 균질 호박색 용액을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DCM (1.0 mL)로 희석하고, 0 ℃에서 5분간 교반하고, 0 ℃에서 1 분간 교반하면서 MsCl (48 μL, 620 μmol)을 적가하였다. 0 ℃에서 1분간 추가 교반한 후, 얼음 배쓰를 제거하고 흐릿한 황색 용액을 "실온"에서 5분간 교반하였다. DIEA (94 μL, 568 μmol)를 적가하고, 반응액을 2일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불순한 반응액을 직접 플래쉬 실리카 칼럼 (용리액 4:3 DCM/아세톤)에 로딩하여 회백색 거품상의 표제화합물 (186 mg, 79%)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279
LC/MS (ESI): calcd mass 464.2, found 465.2 (MH)+.
d. 4-[7-(3-메탄설포닐아미노-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이소프로폭시-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280
미리 혼합된 1:1 TFA/CHCl3 (80 μL, 539 μmol TFA) 용액을 이전 단계에서 얻은 4-[7-(3-에탄설포닐아미노-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38.7 mg, 83.4 μmol)에 가하고, 단단히 밀봉된 반응액을 100 ℃ (알루미늄 블록)에서 10분간 대기하에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DIEA (117 μL, 709 μmol)을 적가하고, CHCl3 (0.5 mL)를 가한 다음, 생성된 균질 용액을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실시예 1a에서 얻은 (4-이소프로폭시-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32.9 mg, 104 μmol)을 한번에 가하였다. 생성된 균질 암황색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한 다음 플래쉬 실리카 칼럼 (용리액 5:3 DCM/아세톤)에 직접 로딩하여 순수하지 않은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이 물질을 EtOAc (2 mL)에 가하고, 1.0 M NaHCO3 (3 x 2 mL), 1.0 M NaH2PO4 (2 x 2 mL), 및 다시 1.0 M NaHCO3 (2 x 2 mL)로 세척하였다. 불순물을 한가지 제거하였지만 (일견하여 양성자 첨가된 DIEA), 또 한가지는 거의 제거하지 못하였다 (일견하여 니트로페놀). 따라서 EtOAc 층을 플래쉬 실리카 칼럼 (용리액 5:3 DCM/아세톤)에 직접 로딩하여 흰색 거품상의 표제화합물 (16.0 mg, 35%)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281
LC/MS (ESI): calcd mass 541.2, found 542.1 (MH)+. Anal. Calcd for C27H35N5O5S: C, 59.87; H, 6.51; N, 12.93. Found: C, 60.03; H, 6.51; N, 12.78.
실시예 66
4-[7-(3-메탄설포닐아미노-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모폴린-4-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282
a. (4-모폴린-4-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283
4-니트로페닐 클로로포르메이트 (798 mg, 3.96 mmol)의 THF (2.0 mL) 용액을 교반된 4-모폴린-4-일-페닐아민 (675 mg, 3.79 mmol)의 THF (8.8 mL) 용액에 대기하의 실온에서 ~10초간 주사기를 사용하여 신속히 가하여 중질 회색 침전물을 "즉시" 형성시켰다. 반응액을 즉시 밀봉하고 "실온" (바이알이 저절로 가온된다)에서 30분간 교반한 후, 여과하였다. 회색 여과 케이크를 무수 THF (2 x 10 mL)로 세척하고, 고진공하에 80 ℃에서 건조시켜 회색 분말상의 표제화합물 (1.361 g, 95%)을 얻었다. 일부를 CDCl3와 0.5 M 트리소듐 시트레이트 수용액 사이에 분배하여 CDCl3-가용성 유리 염기를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284
b. 4-[7-(3-메탄설포닐아미노-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모폴린-4-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285
실시예 65c에서 얻은 4-[7-(3-메탄설포닐아미노-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7.4 mg, 16 μmol)와 TFA (100 μL, 1.35 mmol)을 단단히 밀봉하고 100 ℃ (알루미늄 블록)에서 5분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농축하고 피리딘 (100 μL)을 가하여 균질 용액을 얻었다. 실온에서 (4-모폴린-4-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7.5 mg, 20 μmol)를 한번에 가하고, 용액을 80 ℃에서 10분 교반한 다음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농축하고 실리카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4:3 → 3:5 DCM/아세톤)로 정제하여 회백색 반고체상의 표제화합물 (3.5 mg, 39%)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286
LC/MS (ESI): calcd mass 568.2, found 569.1 (MH)+.
실시예 67
4-{7-[3-(2-옥소-피롤리딘-1-일)-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이소프로폭시-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287
a. 4-{7-[3-(2-옥소-피롤리딘-1-일)-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Figure 112008001726558-PCT00288
실시예 65b에서 얻은 4-(7-플루오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66.9 mg, 0.20 mmol)과 tert-BuOK (33.4 mg, 0.30 mmol)의 혼합물에 1-(3-하이드록시프로필)-2-피롤리돈 (34.7 mg, 0.24 mmol) 무수 THF 용액 (3 mL)를 가하였다. 혼합물을 85 ℃에서 15분 교반하고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켜 밝은 갈색 잔류물을 얻었으며, 이를 추가의 정제없이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289
LC-MS (ESI) calcd for C25H35N4O4 (MH+) 455.3, found 455.2.
b. 4-{7-[3-(2-옥소-피롤리딘-1-일)-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이소프로폭시-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290
이전 단계에서 얻은 4-{7-[3-(2-옥소-피롤리딘-1-일)-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0.20 mmol)을 2시간동안 50% TFA/CH2Cl2 (4 mL)로 처리하고, 용매를 증발시켰다. 잔류물에 실시예 1a에서 얻은 (4-이소프로폭시-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70.2 mg, 0.22 mmol)을 가하고, CH3CN (4 mL) 중의 DIEA (130.5 mg, 1.01 mmol)을 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시간동안 95 ℃로 가열하고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용리액 5% MeOH/EtOAc)로 정제하여 흰색 고체상의 생성물 (95.5 mg, 89% 수율)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291
LC-MS (ESI) calcd for C30H38N5O4 (MH+) 532.3, found 532.2. Anal. Calcd for C30H37N5O4: C, 67.77; H, 7.01; N, 13.17. Found: C, 67.81; H, 6.96; N, 13.16.
실시예 68
4-{7-[3-(2-옥소-피롤리딘-1-일)-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모폴린-4-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292
실시예 66a에서 얻은 (4-모폴린-4-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67b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293
LC-MS (ESI) calcd for C31H39N6O4 (MH+) 559.3, found 559.2. Anal. Calcd for C31H38N6O4: C, 66.65; H, 6.86; N, 15.04. Found: C, 66.34; H, 6.80; N, 14.97.
실시예 69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6-사이클로펜틸옥시-피리딘-3-일)-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294
a. 2-사이클로펜틸옥시-5-니트로-피리딘
Figure 112008001726558-PCT00295
2-클로로-5-니트로피리딘 (7.01 g, 44.4 mmol)의 THF (30 mL) 및 사이클로펜 탄올 (3.9 g, 45.3 mmol) 용액에 소듐 하이드리드 (1.3 g, 54.2 mmol)을 ~30초간 교반하면서 나누어 가하고 0 ℃로 얼음-배쓰 냉각시켰다. 0 ℃에서 5분 교반한 후, 얼음 배쓰를 제거하고 반응액을 실온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진공하에 농축하고 잔류물을 DCM에 용해시키고 1 M NaHCO3로 철저히 세척한 다음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하였다. 불순한 생성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9:1 헥산:에틸 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순수한 2-사이클로펜틸옥시-5-니트로-피리딘 (0.4 g, 4%)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296
b. 6-사이클로펜틸옥시-피리딘-3-일아민
Figure 112008001726558-PCT00297
2-사이클로펜틸옥시-5-니트로-피리딘 (0.3099 g, 1.49 mmol)의 MeOH (2 mL) 용액에 10% Pd/C (90 mg)을 가하였다. 용액을 탈기시키고 수소 대기하에 밤새 교반하였다. 셀라이트 패드로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시켜 갈색 오일상의 목적 화합물 (248 mg, 94% 수율)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298
LC/MS (ESI) calcd for C10H14N2O 178.23, found [M+41+1]+ 220.0.
c. (6-사이클로펜틸옥시-피리딘-3-일)-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Figure 112008001726558-PCT00299
6-사이클로펜틸옥시-피리딘-3-일아민 (0.248 g, 1.39 mmol)의 THF (2 mL) 용액에 4-니트로페닐 클로로포르메이트 (0.280 g, 1.39 mmol)을 나누어 가하였다.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면 유기층에 중질 침전물이 형성되었다. 유기층을 여과하여 밝은 분홍색 고체상의 표제화합물 (0.368 g, 77%)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300
d.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6-사이클로펜틸옥시-피리딘-3-일)-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301
실시예 1d에서 얻은 6,7-디메톡시-4-피페리딘-4-일-퀴나졸린 (12 mg, 0.044 mmol), 이전 단계에서 얻은 (6-사이클로펜틸옥시-피리딘-3-일)-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20 mg, 0.058 mmol), 및 DCM (500 μL)의 혼합물을 TEA (6 μL, 0.043 mmol)로 실온에서 한번에 처리하였다. 균질 호박색 용액을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고, DCM (2 mL)로 희석하고, H2O (2 mL)로 세척하였다. 수층을 DCM (2 x 2 mL)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합하여 건조시키고 (Na2SO4) 진공하에 농축하였다. 분취용 TLC (1:9 MeOH/DCM)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6.0 mg, 29%)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302
LC/MS (ESI) calcd for C26H31N5O4 477.56, found [M+1]+ 478.1.
실시예 70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아제판-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303
실시예 3a에서 얻은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보닐 클로라이드 (37 mg, 0.11 mmol)을 무수 디옥산 (2 mL)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4-아제판-1-일-페닐아민 (19 mg, 0.1 mmol)을 가하고 DIEA (20 μL, 0.11 mmol)을 가하였다. 혼합물을 100 ℃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진공하에 농축하고 잔류물을 분취용 TLC (실리카 겔, 5 % MeOH/DCM)으로 정제하여 3 mg (6 %)의 순수한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아제판-1-일-페닐)-아미드를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304
LC/MS (ESI): 490.3 (MH)+.
실시예 71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3-클로로-4-피페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305
4-아제판-1-일-페닐아민 대신에 3-클로로-4-피페리딘-4-일-페닐아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0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분취용 TLC (실리카 겔, 5 % MeOH/DCM)로 정제하여 8.1 mg (16 %)의 순수한 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3-클로로-4-피페리딘-1-일-페닐)-아미드를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306
LC/MS (ESI): 510.3 (MH)+.
실시예 72
4-{7-[3-(2-옥소-피롤리딘-1-일)-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6-모폴린-4-일-피리딘-3-일)-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307
실시예 66a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얻은 (6-모폴린-4-일-피리딘-3-일)-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67b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308
LC-MS (ESI) calcd for C30H38N7O4 (MH+) 560.3, found 560.2.
실시예 73
4-{7-[3-(4-메틸-피페라진-1-일)-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모폴린-4-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309
a. 4-(7-플루오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Figure 112008001726558-PCT00310
출발 물질인 4-(7-플루오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4-디카복실산 1-tert-부틸 에스테르 4-메틸 에스테르를 LiCl/물/DMSO 탈카복실화 조건으로 처리하기 전에 실리카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3:1 → 2:1 헥산/EtOAc)로 정제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5b와 동일하게 표제화합물을 제조하였다.
b. 7-[3-(4-메틸-피페라진-1-일)-프로폭시]-4-피페리딘-4-일-퀴나졸린
Figure 112008001726558-PCT00311
이전 단계에서 얻은 4-(7-플루오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3.33 g, 10.1 mmol)과 시판되는 3-(4-메틸-피페라진-1-일)-프로판-1-올 (1.50 g, 9.50 mmol)의 무수 THF (10 mL) 균질 용액에 고체 KOtBu (1.36 g, 12.1 mmol)을 대기하에 한번에 가하면서, 얼음 배쓰에서 교반하였다. KOtBu 첨가 후, 얼음 배쓰를 즉시 제거하고, 생성된 균질 호박색 용액을 6시간동안 교반하였다. 6 M HCl 수용액 (10 mL, 60 mmol)을 한번에 가하고, 반응액을 밤새 교반하 였다 (HCl 첨가 후 거품이 조금 보였지만 15분 뒤 가라앉았다). 반응액을 9:1 DCM/MeOH (50 mL) 및 2.5 M NaOH (28 mL, 70 mmol) 사이에 분배하고, 수층을 9:1 DCM/MeOH (1 x 5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하여 건조시키고 (Na2SO4) 90 ℃에서 회전 증발기로 농축하여 맑은 황색 오일상의 불순한 표제화합물 (3.79 g, "102%" 불순물 포함 수율)을 얻었다.
LC/MS (ESI): calcd mass 369.3, found 370.2 (MH)+.
c. 4-{7-[3-(4-메틸-피페라진-1-일)-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모폴린-4-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312
실시예 66a에서 얻은 (4-모폴린-4-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4.13 g, 10.9 mmol)과 디메틸에틸아민 (DMEA) (1.4 mL, 13 mmol)의 98:2 DCM/MeOH (20 mL) 혼합물을 얼음-배쓰 냉각시키고 교반한 다음, 여기에 이전 단계에서 얻은 7-[3-(4-메틸-피페라진-1-일)-프로폭시]-4-피페리딘-4-일-퀴나졸린 (3.654 g, 9.9 mmol)의 98:2 DCM/MeOH (15 mL) 용액을 2 mL씩 나누어 대기하에 신속히 적가하였다. 잔류한 퀴나졸린 유도체를 2 x 7 mL 추가 98:2 DCM/MeOH와 함께 카바메이트 반응 혼합물로 옮겼다. 생성된 균질 암호박색 용액을 5분 더 교반하고, 얼음 배쓰를 제거하고, 반응액을 "실온"에서 1.5시간 교반하였다. 균질 반응액을 아세톤에 의해 미리 평형화된 실리카 플래쉬 칼럼 (79 mm 직경 x 6" 길이)에 직접 적용하였다. 표제화합물을 1.5 L 아세톤 → 2 L 9:1 아세톤/MeOH → 2 L 9:1 아세톤/MeOH/3% DMEA로 용출시켰다. 분획을 합하여 농축하여 니트로페놀 및 DMEA가 포함된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이를 DCM (100 mL) 및 2 M K2CO3 수용액 (2 x 20 mL) 사이에 분배시켰다. 유기층을 건조시키고 (Na2SO4) 고진공하에 90 ℃에서 농축하여 라벤더색 거품상의 표제화합물을 얻었고, 이를 분쇄하여 분말로 만들었다 [3.89 g, 4-(7-플루오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에스테르로부터의 3단계 수율 70%].
Figure 112008001726558-PCT00313
LC/MS (ESI): 574.2 (MH)+. Anal. Calcd for C32H43N7O3 ·0.35 H2O: C, 66.26; H, 7.59; N, 16.90. Found: C, 66.05; H, 7.47; N, 16.79. 칼 피셔: 1.09% 물.
실시예 74
4-{7-[2-(2-옥소-피롤리딘-1-일)-에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 산 (4-피롤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314
a). (4-피롤리딘-1-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315
4-피롤리딘-1-일-페닐아민 (4.9 g, 30.4 mmol)의 70 mL 무수 THF 용액을 실온에서 교반하고 여기에 4-니트로페닐 클로로포르메이트 (6.4 g, 32 mmol)의 16 mL 무수 THF 용액을 적가하였다. 첨가 완료후, 혼합물을 1시간 교반하고 여과하였다. 침전물을 먼저 무수 THF (2 x 10 mL)로 세척한 다음 무수 DCM (3 x 10 mL)로 세척하고 진공하에 건조시켜 회백색 고체상의 표제화합물 (10 g)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316
LC/MS (ESI): 328 (MH)+.
b). 4-{7-[2-(2-옥소-피롤리딘-1-일)-에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롤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317
1-(2-하이드록시에틸)-2-피롤리돈 및 (4-피롤리딘-1-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67b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318
LC-MS (ESI) calcd for C30H37N6O3 (MH+) 529.3, found 529.1. Anal. Calcd for C30H36N6O3: C, 68.16; H, 6.86; N, 15.90. Found: C, 67.97; H, 6.76; N, 15.80.
실시예 75
4-[7-(3-피페리딘-1-일)-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 모폴린-4-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319
실시예 66a의 방법으로 얻은 (4-모폴리노-4-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33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320
LC/MS (ESI): 559.1 (MH)+.
실시예 76
4-{6-[3-(4-메틸-피페라진-1-일)-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이소프로폭시-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321
3-아미노-프로판-1-올 대신에 3-(4-메틸-피페라진-1-일)-프로판-1-올을 100 ℃에서 1시간 사용하고,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5와 동일하게 4-클로로-6-플루오로퀴나졸린 (WO 2005021500 A1, WO 2004071460 A2, WO 9609294 A1)으로부터 표제화합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322
LC/MS (ESI): calcd mass 546.3, found 547.3 (MH)+.
실시예 77
4-[7-(3-하이드록시-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모폴린-4-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323
3-하이드록시프로필피페리딘 대신에 프로판-1,3-디올을 사용하고, (4-이소프로폭시-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대신에 실시예 66a와 동일한 방법으로 얻은 (4-모폴린-4-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33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324
LC/MS (ESI): 492.1 (MH)+.
실시예 78
4-[7-(3-메톡시-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모폴린-4-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325
3-하이드록시프로필피페리딘 대신에 3-메톡시프로판올을 사용하고, (4-이소프로폭시-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대신에 실시예 66a와 동일한 방법으로 얻은 (4-모폴린-4-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33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326
LC/MS (ESI): 506.1 (MH)+.
실시예 79
4-{7-[2-(2-옥소-옥사졸리딘-3-일)-에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이소프로폭시-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327
3-(2-하이드록시에틸)-옥사졸리딘-2-온과 (4-이소프로폭시-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실시예 67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328
실시예 80
4-{7-[3-(4-메틸-피페라진-1-일)-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6-모폴린-4-일-피리딘-3-일)-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329
a. (6-모폴린-4-일-피리딘-3-일)-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330
4-모폴리노-4-일-페닐아민 대신에 6-모폴린-4-일-피리딘-3-일아민을 사용하여 실시예 66a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LC/MS (ESI): 345.1 (MH)+.
b. 4-{7-[3-(4-메틸-피페라진-1-일)-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6-모폴린-4-일-피리딘-3-일)-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331
(4-이소프로폭시-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대신에 (6-모폴린-4- 일-피리딘-3-일)-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39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332
LC/MS (ESI): 575.2 (MH)+.
실시예 81
4-{7-[3-(4-메틸-피페라진-1-일)-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3-플루오로-4-모폴린-4-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333
a. (3-플루오로-4-모폴린-4-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334
4-모폴린-4-일-페닐아민 대신에 3-플루오로-4-모폴리노-4-일-페닐아민을 사 용하여 실시예 66a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LC/MS (ESI): 362.1 (MH)+.
b. 4-{7-[3-(4-메틸-피페라진-1-일)-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3-플루오로-4-모폴린-4-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335
(4-이소프로폭시-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대신에 (3-플루오로-4-모폴린-4-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39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336
LC/MS (ESI): 592.2 (MH)+.
실시예 82
4-{7-[3-(4-메틸-피페라진-1-일)-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6-사이클로펜틸옥시-피리딘-3-일)-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337
(4-이소프로폭시-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대신에 실시예 69c와 동일한 방법으로 얻은 (6-사이클로펜톡시-피리딘-3-일)-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실시예 39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338
LC/MS (ESI): 574.2 (MH)+.
실시예 83
4-{7-[2-(2-옥소-피롤리딘-1-일)-에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6-모폴린-4-일-피리딘-3-일)-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339
1-(2-하이드록시-에틸)-피롤리딘-2-온 및 실시예 80a와 동일한 방법으로 얻은 (6-모폴린-4-일-피리딘-3-일)-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67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340
실시예 84
4-{7-[2-(2-옥소-피롤리딘-1-일)-에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2-피롤리딘-1-일-피리미딘-5-일)-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341
a) 5-니트로-2-피롤리딘-1-일-피리미딘
Figure 112008001726558-PCT00342
2-클로로-5-니트로-피리미딘 및 피롤리딘을 사용하여 실시예 69a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343
b) 2-피롤리딘-1-일-피리미딘-5-일아민
Figure 112008001726558-PCT00344
5-니트로-2-피롤리딘-1-일-피리미딘을 사용하여 실시예 69b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345
c) (2-피롤리딘-1-일-피리미딘-5-일)-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Figure 112008001726558-PCT00346
실시예 69c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1H NMR (DMSO-d6) δ 10.19 (bs, 1H), 8.45 (s, 2H), 8.30 (d, J = 9.23 Hz, 2H), 7.52 (d, J = 9.18 Hz, 2H), 3.45 (m, 4H).
d) 4-{7-[2-(2-옥소-피롤리딘-1-일)-에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2-피롤리딘-1-일-피리미딘-5-일)-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347
1-(2-하이드록시-에틸)-피롤리딘-2-온 및 (2-피롤리딘-1-일-피리미딘-5-일)-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실시예 67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348
실시예 85
4-{7-[2-(2-옥소-피롤리딘-1-일)-에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모폴린-4-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349
1-(2-하이드록시-에틸)-피롤리딘-2-온 및 실시예 74a와 동일한 방법으로 얻은 (4-모폴린-4-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실시예 67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350
실시예 86
4-[7-(3-메탄설포닐아미노-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6-피롤리딘-1-일-피리딘-3-일)-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351
실시예 74a의 방법에 따라 6-피롤리딘-1-일-피리딘-3-일아민 (WO 2002048152 A2)로부터 얻은 (6-피롤리딘-1-일-피리딘-3-일)-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65와 동일하게 표제화합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352
LC/MS (ESI) calcd mass 553.3, found 554.1 (MH)+.
실시예 87
4-[7-(3-메탄설포닐아미노-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6-모폴린-4-일-피리딘-3-일)-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353
실시예 66a의 방법에 따라, 시판되는 6-모폴린-4-일-피리딘-3-일아민으로부터 얻은 (6-모폴린-4-일-피리딘-3-일)-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65와 동일하게 표제화합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354
LC/MS (ESI) calcd mass 569.2, found 570.0 (MH)+.
실시예 88
4-[7-(3-메탄설포닐아미노-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6-사이클로펜틸옥시-피리딘-3-일)-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355
실시예 69c와 동일한 방법으로 얻은 (6-사이클로펜틸옥시-피리딘-3-일)-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65와 동일하게 표제화합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356
LC/MS (ESI) calcd mass 568.3, found 569.0 (MH)+.
실시예 89
4-{7-[3-(2-옥소-피롤리딘-1-일)-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6-피롤리딘-1-일-피리딘-3-일)-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357
실시예 74a의 방법에 따라 6-피롤리딘-1-일-피리딘-3-일아민 (WO 2002048152 A2)로부터 얻은 (6-피롤리딘-1-일-피리딘-3-일)-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실시예 67b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358
실시예 90
4-{7-[3-(2-옥소-피롤리딘-1-일)-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2-피롤리딘-1-일-피리미딘-5-일)-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359
실시예 84c의 방법에 따라 얻은 (2-피롤리딘-1-일-피리미딘-5-일)-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실시예 67b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360
실시예 91
4-{7-[2-(2-옥소-옥사졸리딘-3-일)-에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6-모폴린-4-일-피리딘-3-일)-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361
실시예 80a의 방법에 따라 얻은 (6-모폴린-4-일-피리딘-3-일)-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실시예 79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362
실시예 92
4-{7-[2-(2-옥소-옥사졸리딘-3-일)-에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6-피롤리딘-1-일-피리딘-3-일)-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363
실시예 74a의 방법에 따라 6-피롤리딘-1-일-피리딘-3-일아민 (WO 2002048152 A2)으로부터 얻은 (6-피롤리딘-1-일-피리딘-3-일)-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실시예 79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364
실시예 93
4-[7-(1-메틸-피페리딘-4-일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이소프로폭시-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365
(1-메틸-피페리딘-4-일)-메탄올을 사용하여 실시예 67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366
실시예 94
4-[7-(1-메틸-피페리딘-4-일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모폴린-4-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367
(1-메틸-피페리딘-4-일)-메탄올 및 실시예 66a와 동일한 방법으로 얻은 (4- 모폴린-4-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실시예 67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368
실시예 95
4-[7-(2-모폴린-4-일-에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6-피롤리딘-1-일-피리딘-3-일)-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369
2-모폴린-4-일-에탄올 및 실시예 74a의 방법에 따라 6-피롤리딘-1-일-피리딘-3-일아민 (WO 2002048152 A2)로부터 얻은 (6-피롤리딘-1-일-피리딘-3-일)-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실시예 67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370
실시예 96
4-[7-(2-모폴린-4-일-에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모폴린-4-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371
2-모폴린-4-일-에탄올 및 실시예 66a의 방법으로 얻은 (4-모폴린-4-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실시예 67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372
실시예 97
4-{7-[2-(4-아세틸-피페라진-1-일)-에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모폴린-4-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373
1-[4-(2-하이드록시-에틸)-피페라진-1-일]-에탄온 및 실시예 66a의 방법으로 얻은 (4-모폴린-4-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실시예 67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374
실시예 98
4-[7-(2-피페리딘-2-일-에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모폴린-4-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375
a) 4-(7-플루오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모폴린-4-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376
4-(7-플루오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및 실시예 66a의 방법으로 얻은 (4-모폴린-4-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67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377
.
b) 4-[7-(2-피페리딘-2-일-에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모폴린-4-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378
이전 단계에서 얻은 4-(7-플루오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모폴린-4-일-페닐)-아미드 및 실시예 67a의 방법으로 얻은 2-피페리딘-2-일-에탄올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379
실시예 99
4-[7-(1-메틸-피페리딘-4-일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6-피롤리딘-1-일-피리딘-3-일)-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380
(1-메틸-피페리딘-4-일)-메탄올 및 실시예 74a의 방법에 따라 6-피롤리딘-1-일-피리딘-3-일아민 (WO 2002048152 A2)으로부터 얻은 (6-피롤리딘-1-일-피리딘-3-일)-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실시예 67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381
실시예 100
4-(7-디메틸아미노-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이소프로폭시-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382
실시예 102와 동일하게 제조하여 정제 후 주된 부산물로서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383
LC/MS (ESI): 434.1 (MH)+.
실시예 101
4-{6-[3-(2-옥소-피롤리딘-1-일)-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이소프로폭시-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384
1-(3-하이드록시-프로필)-피롤리딘-2-온을 사용하여 실시예 76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385
실시예 102
4-{7-[3-(4-메틸-피페라진-1-일)-프로필아미노]-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이소프로폭시-페닐)-아미드
4-(3-아미노프로필)-1-메틸피페라진 (0.1 mmol), Et3N (0.1 mmol) 및 실시예 65b에서 얻은 4-(7-플루오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0.1 mmol)의 DMF (1 mL) 혼합물을 130 ℃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물로 희석하고 EtOAc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합하여 물,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무수 MgSO4),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하였다. 불순한 생성물을 3M HCl/MeOH (2 mL)로 처리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한 다음 진공하에 농축하였다. 불순한 잔류물을 DCM:MeOH (1:1; 2 mL) 혼합물에 용해시키고, 과량의 Et3N 으로 중화시키고, 실온에서 1시간동안 실시예 1a의 방법으로 얻은 (4-이소프로폭시-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0.11 mmol)로 처리하였다. 진공하에 농축하고, 불순한 생성물을 DCM에 용해시키고, 물,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하였다. 불순한 생성물을 분취용 TLC (실리카 겔; DCM:MeOH, 9:1)로 정 제하여 3.2 mg (3단계 총수율 6 %)의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387
LC/MS (ESI): 546.2 (MH)+.
실시예 103
4-[7-(4-메틸-피페라진-1-일)-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이소프로폭시-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388
4-(3-아미노프로필)-1-메틸피페라진 대신에 1-메틸-피페라진을 사용하여 실시예 102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389
LC/MS (ESI): 489.2 (MH)+.
실시예 104
4-{7-[3-(4-메틸-피페라진-1-일)-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6-피롤리딘-1-일-피리딘-3-일)-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390
3-(4-메틸피페라진-1-일)-프로판-1-올 (0.22 mmol)의 무수 THF (2 mL) 용액에 NaH (0.4 mmol)을 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5분간 교반하였다. 여기에 실시예 65의 방법으로 얻은 4-(7-플루오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0.2 mmol)을 가하고, 혼합물을 60 ℃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진공하에 농축하고 물 및 DCM 사이에 분배하였다. DCM 층을 따라내고, 물,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무수 MgSO4),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하였다. 불순한 생성물을 3M HCl/MeOH (2 mL)로 처리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한 다음 진공하에 농축하였다. 불순한 잔류물의 일부 (0.05 mmol)를 DCM:MeOH (1:1; 2 mL) 혼합물에 용해시키고 과량의 Et3N (0.3 mmol)로 중화시키고, 실시예 74a의 방법에 따라 6-피롤리딘-1-일-피리딘-3-일아민 (WO 2002048152 A2)으로부터 얻은 (6-피롤리딘-1-일-피리딘-3-일)-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0.075 mmol)로 실온에서 1시간동안 처리하였다. 진공하에 농축하고, 불순한 생성물을 DCM에 용해시키 고, 물로 3회 세척한 다음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하였다. 불순한 생성물을 분취용 TLC (실리카 겔; DCM:MeOH:NH4OH, 90:9:1)로 정제하여 10 mg (35 %)의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391
실시예 105
4-{7-[3-(4-메틸-피페라진-1-일)-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2-피롤리딘-1-일-피리미딘-5-일)-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392
(6-피롤리딘-1-일-피리딘-3-일)-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대신에 실시예 84c의 방법으로 얻은 (2-피롤리딘-1-일-피리미딘-5-일)-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104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393
LC/MS (ESI): 560.1 (MH)+.
실시예 106
4-{7-[3-(4-메틸-피페라진-1-일)-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보티오산 (6-모폴린-4-일-피리딘-3-일)-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394
(6-피롤리딘-1-일-피리딘-3-일)-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대신에 4-(5-이소티오시아네이토-피리딘-2-일)-모폴린을 사용하여 실시예 104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395
LC/MS (ESI): 591.0 (MH)+.
실시예 107
4-[7-(1-메틸-피페리딘-4-일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6-사이클로부톡시-피리딘-3-일)-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396
(1-메틸-피페리딘-4-일)-메탄올 및 실시예 17c의 방법으로 얻은 (6-사이클로부톡시-피리딘-3-일)-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실시예 67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397
실시예 108
4-[7-(1-메틸-피페리딘-4-일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6-모폴 린-4-일-피리딘-3-일)-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398
(1-메틸-피페리딘-4-일)-메탄올 및 실시예 80a의 방법으로 얻은 (6-모폴린-4-일-피리딘-3-일)-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실시예 67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399
실시예 109
4-[7-(1-메틸-피페리딘-4-일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롤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400
(1-메틸-피페리딘-4-일)-메탄올 및 실시예 74a의 방법으로 얻은 (4-피롤리딘-1-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67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401
실시예 110
4-[7-(3-[1,2,4]트리아졸-4-일-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6-모폴린-4-일-피리딘-3-일)-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402
a. 4-[7-(3-[1,2,4]트리아졸-4-일-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Figure 112008001726558-PCT00403
실시예 65b에서 얻은 4-(7-플루오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31.6 mg, 95.5 μmol), 3-[1,2,4]-트리아졸-4-일-프로판-1-올 (ChemPacific) (12.0 mg, 94.5 μmol) 및 KOtBu (11.7 mg, 104 μmol)의 DME (100 μL) 및 DMSO (50 μL)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생성된 균질 호박색 용액을 DCM (2 mL) 및 0.5M 소듐 포스페이트/pH 7 (2 mL)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층을 농축하여 불순한 표제화합물을 얻고, 이를 즉시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LC/MS (ESI): calcd mass 438.2, found 439.1 (MH)+.
b. 4-[7-(3-[1,2,4]트리아졸-4-일-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6-모폴린-4-일-피리딘-3-일)-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404
이전 단계에서 얻은 불순한 4-[7-(3-[1,2,4]트리아졸-4-일-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밀봉된 바이알에서 10분간 (알루미늄 블록) 100 ℃에서 TFA (70 μL)로 처리하였다. CHCl3 (450 μL) 및 DMEA (140 μL, 1.3 mmol)을 가하고, 생성된 균질 호박색 용액의 절반을 실시예 80a에서 얻은 (6-모폴린-4-일-피리딘-3-일)-카밤산-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22 mg, 58 μmol)으로 처리하고, 40 ℃에서 1.5시간 교반하였다 (균질 용액의 나머지 절반은 실시예 114의 합성에 사용하였다). 반응액을 2M K2CO3 (2 mL) 및 DCM (2 mL) 사이에 분배하고, 수층을 9:1 DCM/MeOH (1 x 2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하여 농축하고, 잔류물을 5g 실리카 플래쉬 카트리지 (용리액 2% DMEA를 포함한 97:3 아세톤/MeOH)를 사용하여 부분적으로 정제하고, HPLC (C18 칼럼)로 추가 정제하여 동결건조후 분말상으로 표제화합물 [2.1 mg, 4-(7-플루오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로부터의 총수율 8.1%]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405
LC/MS (ESI) calcd mass 543.3, found 544.1 (MH)+.
실시예 111
4-{7-[3-(2-디메틸아미노-3,4-디옥소-사이클로부트-1-에닐아미노)-프로폭시]-퀴나 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6-피롤리딘-1-일-피리딘-3-일)-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406
실온에서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 대신에 80 ℃에서 1시간 동안 3-디메틸아미노-4-메톡시-사이클로부트-3-엔-1,2-디온 [Inorganic Chemistry (1997), 36(14), 3096-3101]를 사용하고, 실시예 74a의 방법에 따라 6-피롤리딘-1-일-피리딘-3-일아민 (WO 2002048152 A2)로부터 얻은 (6-피롤리딘-1-일-피리딘-3-일)-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5와 동일하게 표제화합물을 제조하였다. 불순한 반응물의 후처리와 HPLC 정제는 실시예 110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407
실시예 112
모폴린-4-카복실산 (3-{4-[1-(6-피롤리딘-1-일-피리딘-3-일카바모일)-피페리딘-4-일]-퀴나졸린-7-일옥시}-프로필)-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408
3-디메틸아미노-4-메톡시-사이클로부트-3-엔-1,2-디온 대신에 시판되는 4-모폴린카보닐 클로라이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1과 동일하게 표제화합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409
LC/MS (ESI) calcd mass 588.3, found 589.1 (MH)+.
실시예 113
모폴린-4-카복실산 (3-{4-[1-(6-모폴린-4-일-피리딘-3-일카바모일)-피페리딘-4-일]-퀴나졸린-7-일옥시}-프로필)-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410
(6-모폴린-4-일-피리딘-3-일)-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실시예 80a의 방법으로 제조)를 사용하여 실시예 112와 동일하게 표제화합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411
LC/MS (ESI): calcd mass 604.3, found 605.1 (MH)+.
실시예 114
4-[7-(3-[1,2,4]트리아졸-4-일-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6-피롤리딘-1-일-피리딘-3-일)-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412
실시예 74a의 방법에 따라 6-피롤리딘-1-일-피리딘-3-일아민 (WO 2002048152 A2)으로부터 얻은 (6-피롤리딘-1-일-피리딘-3-일)-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110과 동일하게 표제화합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413
LC/MS (ESI): calcd mass 527.3, found 528.1 (MH)+.
실시예 115
4-{7-[3-(4-에틸-피페라진-1-일)-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모폴린-4-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414
3-하이드록시프로필피페리딘 대신에 프로판-1,3-디올을 사용하여 실시예 33과 동일하게 4-[7-(-하이드록시-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제조하였다. 4-[7-(-하이드록시-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0.3 mmol)의 무수 DCM 용액에 Et3N (0.6 mmol) 및 메탄설포닐클로라이드 (0.6 mmol)을 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물로 세척하고 (3X), 무수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하여 4-[7-(3-메탄설포닐옥시-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얻었다. 이를 (0.05 mmol) 1-에틸-피페라진(0.1 mmol)과 함께 무수 디옥산에 용해시키고, 혼합물을 100 ℃에서 밤새 교반한 다음 진공하에 농축하고, 물로 희석하고 DCM으로 추출하였다. DCM 추출물을 물로 세척하고 (3X), 무수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하였다. 여기에 3M HCl/MeOH (1 mL)를 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한 다음 진공하에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1:1 DCM:MeOH 혼합물에 용해시키고, 과량의 Et3N로 중화시키고, 실시예 66a의 방법으로 얻은 (4-모폴린-4-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0.06 mmol)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진공하에 농축하고, 물 및 DCM 사이에 분배하였다. DCM 층을 따라내고, 물로 3회 세척하고, 무수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분취용 TLC (실리카 겔; DCM:MeOH:NH4OH; 90:9:1)로 정제하여 9.4 mg (32 %)의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415
LC/MS (ESI): 588.1 (MH)+.
실시예 116
4-(7-{3-[4-(2-하이드록시-에틸)-피페라진-1-일]-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모폴린-4-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416
1-에틸-피페라진 대신에 2-피페라진-1-일-에탄올을 사용하여 실시예 115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417
LC/MS (ESI): 604.1 (MH)+.
실시예 117
4-{7-[3-(4-아세틸-피페라진-1-일)-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모폴린-4-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418
1-에틸-피페라진 대신에 1-아세틸-피페라진을 사용하여 실시예 115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419
LC/MS (ESI): 602.1 (MH)+.
실시예 118
4-{7-[3-(4-메탄설포닐-피페라진-1-일)-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모폴린-4-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420
실시예 115에서 얻은 4-[7-(3-메탄설포닐옥시-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 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0.1 mmol)를 피페라진 (0.5 mmol)과 함께 무수 디옥산에 용해시키고, 혼합물을 100 ℃에서 밤새 교반한 다음 진공하에 농축하고, 물로 희석하고, DCM으로 추출하였다. DCM 추출물을 물로 3회 세척하고, 무수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하여 4-[7-(3-피페라진-1-일-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얻었다. 이를 (0.05 mmol) 무수 DCM (1 mL)에 용해시키고, Et3N (0.1 mmol)으로 처리한 후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 (0.1 mmol)로 처리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한 다음, 물로 3회 세척하고, 무수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하였다. 여기에 3M HCl/MeOH (1 mL)를 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한 다음 진공하에 농축하고, 잔류물을 1:1 DCM:MeOH 혼합물에 용해시키고, 과량의 Et3N로 중화시키고, 실시예 66a의 방법으로 얻은 (4-모폴린-4-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0.06 mmol)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진공하에 농축하고, 물 및 DCM 사이에 분배하였다. DCM 층을 따라내고, 물로 3회 세척하고, 무수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분취용 TLC (실리카 겔; DCM:MeOH:NH4OH; 90:9:1)로 정제하여 14.3 mg (45 %)의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421
LC/MS (ESI): 638.1 (MH)+.
실시예 119
(S)-4-{7-[3-(2-하이드록시메틸-피롤리딘-1-일)-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모폴린-4-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422
1-에틸-피페라진 대신에 (S)-프롤리놀을 사용하여 실시예 115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423
LC/MS (ESI): 575.1 (MH)+.
실시예 120
4-(3-{4-[1-(4-모폴린-4-일-페닐카바모일)-피페리딘-4-일]-퀴나졸린-7-일옥시}-프로필)-피페라진-1-카복실산 디메틸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424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 대신에 N,N-디메틸카바밀 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118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
Figure 112008001726558-PCT00425
LC/MS (ESI): 631.1 (MH)+.
실시예 121
메탄설폰산 3-{4-[1-(4-이소프로폭시-페닐카바모일)-피페리딘-4-일]-퀴나졸린-7-일옥시}-프로필 에스테르
Figure 112008001726558-PCT00426
실시예 115의 방법으로 얻은 4-[7-(3-메탄설포닐옥시-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0.1 mmol)에 3M HCl/MeOH (2 mL)를 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한 다음 진공하에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1:1 DCM:MeOH 혼합물에 용해시키고, 과량의 Et3N로 중화시키고, 실시예 1a의 방법으로 얻은 (4-이소프로폭시-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0.11 mmol)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진공하에 농축하고, 물 및 DCM 사이에 분배하였다. DCM 층을 따라내고, 물로 3회 세척하고, 무수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분취용 TLC (실리카 겔; DCM:MeOH; 9.5:0.5)로 정제하여 40 mg (75 %)의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427
LC/MS (ESI): 543.1 (MH)+.
실시예 122
메탄설폰산 3-{4-[1-(4-모폴린-4-일-페닐카바모일)-피페리딘-4-일]-퀴나졸린-7-일옥시}-프로필 에스테르
Figure 112008001726558-PCT00428
(4-이소프로폭시-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대신에 실시예 66a의 방법으로 얻은 (4-모폴린-4-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12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429
LC/MS (ESI): 570.1 (MH)+.
실시예 123
4-[7-(3-피페라진-1-일-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모폴린-4-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430
실시예 118에서 얻은 4-[7-(3-피페라진-1-일-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0.05 mmol)을 무수 DCM (1 mL)에 용해시키고, Et3N (0.05 mmol)으로 처리한 다음 FMOC-Cl (0.1 mmol)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한 다음, 물로 3회 세척하고, 무수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하였다. 여기에 3M HCl/MeOH (1 mL)를 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고, 진공하에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1:1 DCM:MeOH 혼합물에 용해시키고, 과량의 Et3N로 중화시키고, 실시예 66a의 방법으로 얻은 (4-모폴린-4-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0.06 mmol)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진공하에 농축하고, 물 및 DCM 사이에 분배하였다. DCM 층을 따라내고, 물로 3회 세척하고, 무수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분취용 TLC (실리카 겔; DCM:MeOH:NH4OH; 90:9:1)로 정제하여 순수한 생성물을 얻었다. 이를 무수 DCM (1 mL)에 용해시키고, 디에틸아민 (0.25 mL)를 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진공하에 농축하고 분취용 TLC (실리카 겔; DCM:MeOH:NH4OH; 90:9:1)로 정제하여 2.8 mg (10 %)의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431
LC/MS (ESI): 560.0 (MH)+.
실시예 124
4-[7-(3-피롤리딘-1-일-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모폴린-4-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432
1-에틸-피페라진 대신에 피롤리딘을 사용하여 실시예 115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433
LC/MS (ESI): 545.0 (MH)+.
실시예 125
4-{7-[3-(4-메틸-[1,4]디아제판-1-일)-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모폴린-4-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434
1-에틸-피페라진 대신에 1-메틸-[1,4]디아제판을 사용하여 실시예 115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435
LC/MS (ESI): 588.2 (MH)+.
실시예 126
(R)-4-[7-(3-하이드록시-피롤리딘-1-일)-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모폴린-4-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436
a. 4-[7-(R)-3-하이드록시-피롤리딘-1-일)-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Figure 112008001726558-PCT00437
실시예 65b의 방법으로 얻은 4-(7-플루오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34.9 mg, 0.105 mmol)와 (R)-(+)-3-피롤리디놀 (32 mg, 0.368 mmol)의 DMSO (0.4 mL) 혼합물을 120 ℃로 가열하면서 40분간 교반하였다. 이를 에틸아세테이트 및 물 사이에 분배하고, 유기 추출물을 합하여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증발시켜 거의 순수한 화합물 (40 mg, 95.7%)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438
b. 4-[7-(3-하이드록시-피롤리딘-1-일)-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모폴린-4-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439
4-[7-(R)-3-하이드록시-피롤리딘-1-일)-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21 mg, 0.053 mmol)을 2시간 동안 2.5 mL의 50% TFA/CH2Cl2로 처리하고, 증발시키고, 무수 잔류물을 CH3CN (1.5 mL)에 다시 용해시켰다. CH3CN 용액에 DIPEA (64 μL)를 가한 다음, 실시예 66a의 방법으로 얻은 (4-모폴린-4-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27.9 mg, 0.074 mmol)을 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고,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물로 세척하고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용리액 EtOAc → 15% MeOH/EtOAc)로 정제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440
실시예 127
4-[7-(1-메틸-피페리딘-4-일옥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모폴린-4-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441
1-메틸-피페리딘-4-올 및 실시예 66a에서 얻은 (4-모폴린-4-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실시예 67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442
실시예 128
4-[7-(3-하이드록시-피롤리딘-1-일)-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모폴린-4-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443
(S)-(+)-3-피롤리디놀을 사용하여 실시예 126b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444
실시예 129
(S)-4-[7-(3-하이드록시-피롤리딘-1-일)-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롤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445
(S)-(+)-3-피롤리디놀 및 실시예 74a에서 얻은 (4-피롤리딘-1-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126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446
실시예 130
(R)-4-[7-(2-메톡시메틸-피롤리딘-1-일)-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모폴린-4-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447
(R)-2-(메톡시메틸)피롤리딘을 사용하여 실시예 126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448
실시예 131
4-[6-(4-메틸-피페라진-1-일)-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이소프로폭시-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449
1-메틸-피페라진을 사용하여 실시예 76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450
실시예 132
(R)-4-[7-(2-하이드록시메틸-피롤리딘-1-일)-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모폴린-4-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451
(R)-2-피롤리딘메탄올을 사용하여 실시예 126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452
실시예 133
4-[7-(3-모폴린-4-일-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모폴린-4-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453
3-하이드록시프로필피페리딘 대신에 3-모폴린-4-일-프로판-1-올을 사용하고, (4-이소프로폭시-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대신에 실시예 66a의 방법으로 얻은 (4-모폴린-4-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33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454
LC/MS (ESI): 561.1 (MH)+.
실시예 134
4-[7-(3-디에틸아미노-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모폴린-4-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455
3-하이드록시프로필피페리딘 대신에 3-디에틸아미노-프로판-1-올을 사용하고, (4-이소프로폭시-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대신에 실시예 66a의 방법으로 얻은 (4-모폴린-4-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33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456
LC/MS (ESI): 547.2 (MH)+.
실시예 135
4-[7-(4-메틸-피페라진-1-일)-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모폴린-4-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457
1-메틸피페라진 (0.11 mmol) 및 실시예 65에서 얻은 4-(7-플루오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0.05 mmol)의 DMSO (1 mL) 혼합물을 120 ℃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물로 희석하고 DCM으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합하여 물,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무수 MgSO4),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하였다. 불순한 생성물을 3M HCl/MeOH (2 mL)로 처리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한 다음 진공하에 농축하였다. 불순한 잔류물을 DCM:MeOH (1:1; 2 mL) 혼합물에 용해시키고, 과량의 Et3N으로 중화시키고, 실시예 66a의 방법으로 얻은 (4-모폴린-4-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0.06 mmol)로 실온에서 밤새 처리하였다. 진공하에 농축하고, 불순한 생성물을 DCM에 용해시키고, 물로 3회 세척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하였다. 불순한 생성물을 분취용 TLC (실리카 겔; DCM:MeOH:NH4OH, 90:9:1)으로 정제하여 5.5 mg (21 %)의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458
LC/MS (ESI): 516.1 (MH)+.
실시예 136
4-[7-(4-에틸-피페라진-1-일)-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모폴린-4-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459
1-메틸-피페라진 대신에 1-에틸-피페라진을 사용하여 실시예 135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460
LC/MS (ESI): 530.1 (MH)+.
실시예 137
4-{7-[4-(2-하이드록시-에틸)-피페라진-1-일]-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모폴린-4-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461
1-메틸-피페라진 대신에 1-(2-하이드록시에틸)-피페라진을 사용하여 실시예 135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462
LC/MS (ESI): 546.1 (MH)+.
실시예 138
4-[7-(4-메틸-[1,4]디아제판-1-일)-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모폴린-4-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463
1-메틸-피페라진 대신에 1-메틸-[1,4]디아제판을 사용하여 실시예 135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464
LC/MS (ESI): 530.1 (MH)+.
실시예 139
(S)-4-[7-(2-하이드록시메틸-피롤리딘-1-일)-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모폴린-4-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465
(S)-2-피롤리딘메탄올을 사용하여 실시예 126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466
실시예 140
4-(7-피페라진-1-일-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모폴린-4-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467
피페라진 (5 mmol) 및 4-(7-플루오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1 mmol)의 DMSO (1 mL) 혼합물을 120 ℃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물로 희석하고 DCM으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합하여 물,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무수 MgSO4),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하여 4-(7-피페라진-1-일-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얻었다. 이를 (0.1 mmol) 무수 DCM (1 mL)에 용해시키고, Et3N (0.2 mmol)로 처리한 다음 9-플루오레닐메틸 클로로포르메이트 (FMOC-Cl, 0.2 mmol)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물로 3회 세척하고, 무수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하였다. 여기에 3M HCl/MeOH (2 mL)를 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한 다음 진공하에 농축하였다. 불순한 잔류물을 DCM:MeOH (1:1; 2 mL) 혼합물에 용해시키고, 과량의 Et3N로 중화시키고, 실시예 66a의 방법으로 얻은 (4-모폴린-4-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0.11 mmol)로 실온에서 밤새 처리하였다. 진공하에 농축하고, 불순한 생성물을 DCM에 용해시키고, 물로 3회 세척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하였다. 불순한 생성물을 분취용 TLC (실리카 겔; DCM:MeOH:NH4OH, 90:9:1)로 정제하여 5.6 mg (11 %)의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468
LC/MS (ESI): 502.1 (MH)+.
실시예 141
4-[7-(4-아세틸-피페라진-1-일)-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모폴린-4-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469
FMOC-Cl 대신에 아세틸 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140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470
LC/MS (ESI): 544.1 (MH)+.
실시예 142
4-[7-(4-메탄설포닐-피페라진-1-일)-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모폴린-4-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471
FMOC-Cl 대신에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140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472
LC/MS (ESI): 580.1 (MH)+.
실시예 143
4-{4-[1-(4-모폴린-4-일-페닐카바모일)-피페리딘-4-일]-퀴나졸린-7-일}-피페라진-1-카복실산 디메틸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473
FMOC-Cl 대신에 N,N-디메틸카바모일 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140과 동 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474
LC/MS (ESI): 573.1 (MH)+.
실시예 144
4-{7-[4-(2-디메틸아미노-아세틸)-피페라진-1-일]-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모폴린-4-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475
FMOC-Cl 대신에 N,N-디메틸아미노아세틸 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140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476
LC/MS (ESI): 587.1 (MH)+.
실시예 145
4-(7-모폴린-4-일-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모폴린-4-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477
1-메틸-피페라진 대신에 모폴린을 사용하여 실시예 135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478
LC/MS (ESI): 503.1 (MH)+.
실시예 146
4-[7-(2-메탄설포닐-에틸아미노)-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모폴린-4-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479
2-메탄설포닐-에틸아민을 사용하여 실시예 126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480
실시예 147
4-{7-[2-(2-옥소-옥사졸리딘-3-일)-에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롤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481
3-(2-하이드록시-에틸)-옥사졸리딘-2-온 및 실시예 74a에서 얻은 (4-피롤리딘-1-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67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482
실시예 148
4-{7-[2-(2-옥소-옥사졸리딘-3-일)-에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모폴린-4-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483
3-(2-하이드록시-에틸)-옥사졸리딘-2-온 및 실시예 66a에서 얻은 (4-모폴린-4-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67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484
실시예 149
(R)-4-[7-(3-디메틸아미노-피롤리딘-1-일)-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롤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485
(3R)-(+)-3-(디메틸아미노피롤리딘) 및 실시예 74a에서 얻은 (4-피롤리딘-1-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126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150
(R)-4-[7-(3-디메틸아미노-피롤리딘-1-일)-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모폴린-4-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487
(3R)-(+)-3-(디메틸아미노피롤리딘)을 사용하여 실시예 126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488
실시예 151
(S)-4-[7-(1-메틸-피롤리딘-2-일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롤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489
(S)-(-)-1-메틸-2-피롤리딘메탄올 및 실시예 74a에서 얻은 (4-피롤리딘-1-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67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490
실시예 152
(S)-4-{7-[2-(2-하이드록시메틸-피롤리딘-1-일)-에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롤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491
a. 4-[7-(2-하이드록시-에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Figure 112008001726558-PCT00492
실시예 65b에서 얻은 4-(7-플루오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97.4 mg, 0.294 mmol)을 에탄-1,2-디올 (2.98 g, 48.01 mmol)에 가하고, 현탁액을 90 ℃로 가열하여 출발물질을 에탄-1,2-디올에 완전히 용해시켰다. KOH (130.7 mg)을 가하고, 혼합물을 120 ℃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이를 에틸 아세테이트 및 물 사이에 분배하고, 유기 추출물을 합하여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증발시켜 흰색 고체상의 화합물 (90 mg, 82%)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493
b. 4-[7-(2-메탄설포닐옥시-에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Figure 112008001726558-PCT00494
4-[7-(2-하이드록시-에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90 mg, 0.24 mmol) 및 DIPEA (167.2 μL)의 CH2Cl2 (5 mL) 혼합물에 MsCl (37.2 μL)을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4시간 교반하고, 용매를 증발시켰다. 잔 류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용리액 EtOAc)로 정제하여 거의 순수한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495
c. 4-{7-[2-(2-하이드록시메틸-피롤리딘-1-일)-에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롤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496
4-[7-(2-메탄설포닐옥시-에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40.6 mg, 0.09 mmol)의 DMSO (0.4 mL) 용액에 (S)-(+)-2-피롤리딘메탄올 (90.9 mg, 0.9 mmol)을 가하였다. 혼합물을 120 ℃에서 밤새 교반하고, EtOAc 및 물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합하여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50% TFA/CH2Cl2 (8 mL)로 2시간 처리하고, 용매 (TFA/CH2Cl2)를 감압하에 제거하고, 잔류물의 절반을 CH2Cl2에 다시 용해시켰다. DIPEA (55 μL)를 상기 용액에 가한 다음, 실시예 74a에서 얻은 (4-피롤리딘-1-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19.6 mg, 0.054 mmol)을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시간 교반하고, 물로 희석하였다. 유기층을 모아서 용매를 증발시켰다. 불순한 잔류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용리액 15% MeOH/EtOAc)로 정제하여 흰색 고체 (10 mg, 총수율 40.8%)를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497
실시예 153
(S)-4-{7-[2-(2-하이드록시메틸-피롤리딘-1-일)-에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모폴린-4-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498
실시예 66a에서 얻은 (4-모폴린-4-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152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499
실시예 154
(R)-4-[7-(1-아세틸-피롤리딘-3-일옥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롤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500
a. 4-[7-(1-아세틸-피롤리딘-3-일옥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Figure 112008001726558-PCT00501
KOt-Bu (55.1 mg, 0.47 mmol)의 THF (1 mL) 용액에 (R)-하이드록시피롤리딘 (37.7 mg, 0.43 mmol)을 가하고, 실시예 65b에서 얻은 4-(7-플루오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110.3 mg, 0.33 mmol)을 THF (1 mL) 에 녹여 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고, (CH3CO)2O를 사용하여 종결시켰다. 혼합물을 EtOAc 및 물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하고,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 반응에 사용하였다.
LC/MS for C24H33N4O4 (MH+) 440.2, found 440.5.
b. (R)-4-[7-(1-아세틸-피롤리딘-3-일옥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롤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502
실시예 74a에서 얻은 (4-피롤리딘-1-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67b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503
실시예 155
4-[7-(4-카복실산 메틸아미드-피페리딘-1-일)-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롤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504
피페리딘-4-카복실산 메틸아미드 및 실시예 74a에서 얻은 (4-피롤리딘-1-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126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505
실시예 156
4-{7-[2-(4-메틸-피페라진-1-일)-에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모폴린-4-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506
1-메틸-피페라진 및 실시예 66a에서 얻은 (4-모폴린-4-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152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507
실시예 157
4-{7-[2-(4-메틸-피페라진-1-일)-에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롤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508
1-메틸-피페라진을 사용하여 실시예 152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509
실시예 158
4-{7-[3-(4-메틸-피페라진-1-일)-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롤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510
(6-피롤리딘-1-일-피리딘-3-일)-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대신에 실시예 74a의 방법으로 얻은 (4-피롤리딘-1-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104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511
LC/MS (ESI): 558.1 (MH)+.
실시예 159
4-[7-(4-메틸-피페라진-1-일)-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롤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512
(4-모폴린-4-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대신에 실시예 74a의 방법으로 얻은 (4-피롤리딘-1-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135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513
LC/MS (ESI): 500.1 (MH)+.
실시예 160
4-[7-(4-메틸-피페라진-1-일)-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6-피롤리딘-1- 일-피리딘-3-일)-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514
(4-모폴린-4-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대신에 실시예 74a의 방법에 따라 6-피롤리딘-1-일-피리딘-3-일아민 (WO 2002048152 A2)로부터 얻은 (6-피롤리딘-1-일-피리딘-3-일)-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135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515
LC/MS (ESI): 501.1 (MH)+.
실시예 161
(S)-4-{7-[3-(2-하이드록시메틸-피롤리딘-1-일)-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롤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516
1-에틸-피페라진 대신에 (S)-프롤리놀을 사용하고, (4-모폴린-4-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대신에 실시예 74a의 방법으로 얻은 (4-피롤리딘-1-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115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517
LC/MS (ESI): 559.2 (MH)+.
실시예 162
(S)-4-[7-(1-아세틸-피롤리딘-2-일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롤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518
(S)-(+)-2-피롤리딘메탄올을 사용하여 실시예 154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519
실시예 163
4-[7-(1-아세틸-피페리딘-4-일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롤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520
피페리딘-4-일-메탄올을 사용하여 실시예 154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521
실시예 164
4-{7-[3-(4-메탄설포닐-피페라진-1-일)-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롤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522
(4-모폴린-4-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대신에 실시예 74a의 방법으로 얻은 (4-피롤리딘-1-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118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523
LC/MS (ESI): 622.3 (MH)+.
실시예 165
4-(3-{4-[1-(4-피롤리딘-1-일-페닐카바모일)-피페리딘-4-일]-퀴나졸린-7-일옥시}-프로필)-피페라진-1-카복실산 디메틸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524
(4-모폴린-4-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대신에 실시예 74a의 방법으로 얻은 (4-피롤리딘-1-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120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525
LC/MS (ESI): 615.3 (MH)+.
실시예 166
4-[7-(4-아세틸-피페라진-1-일)-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롤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526
(4-모폴린-4-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대신에 실시예 74a의 방법으로 얻은 (4-피롤리딘-1-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14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527
LC/MS (ESI): 528.2 (MH)+.
실시예 167
4-[7-(4-메탄설포닐-피페라진-1-일)-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롤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528
(4-모폴린-4-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대신에 실시예 74a에서 얻은 (4-피롤리딘-1-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142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529
LC/MS (ESI): 564.2 (MH)+.
실시예 168
4-{4-[1-(4-피롤리딘-1-일-페닐카바모일)-피페리딘-4-일]-퀴나졸린-7-일}-피페라진-1-카복실산 디메틸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530
(4-모폴린-4-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대신에 실시예 74a의 방법으로 얻은 (4-피롤리딘-1-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143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531
LC/MS (ESI): 557.2 (MH)+.
실시예 169
4-[7-(2-하이드록시-에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롤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532
a. 4-[7-(2-하이드록시-에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Figure 112008001726558-PCT00533
KOtBu (1.17 g, 10.4 mmol)을 에틸렌 글리콜 (10 mL, 179 mmol)에 가하여 균질 용액을 얻었다. 실시예 65b에서 얻은 4-(7-플루오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2.61 g, 7.89 mmol)를 가하고, 불투명한 흰색 슬러리를 실온에서 3.5시간 교반하였다. DMSO (5 mL)를 가하고, 혼합물을 110 ℃에서 20분간 교반하면 균질 용액이 되었다. 반응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면 반투명 흰색 슬러리가 되었다. 혼합물을 0.1M NaHCO3로 희석하고, EtOAc (2 x 5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하여 0.1M NaHCO3 (1 x 100 mL)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Na2SO4), 농축하고, ~15 mL 톨루엔에 용해시켰다. 실온에 방치하여 표제화합물을 결정화하고, 여과하고, 결정질 여과 케이크를 톨루엔 (1 x 10 mL)으로 세척하였다. 여과 케이크를 고진공하의 100 ℃에서 건조시켜 흰색 분말상의 표제화합물 (2.38 g, 81%)을 얻었다.
LC/MS (ESI): calc mass 373.2, found 374.2.
b. 4-[7-(2-하이드록시-에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롤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534
실시예 74a에서 얻은 (4-피롤리딘-1-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110b와 동일하게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표제화합물을 불순한 반응 슬러리의 여과를 통해 정제하였다. 생성된 여과 케이크를 95:5 DCM/MeOH에 가하고, 2M K2CO3 및 물을 사용하여 차례로 세척하였다. 흐릿한 유기층을 맑은 용액이 얻어질 때가지 DCM 및 MeOH로 희석하고, 건조시키고 (Na2SO4), 농축하여 표제화합물 (6.3 mg, 12%)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535
LC/MS (ESI) calcd mass 461.2, found 462.3 (MH)+.
실시예 170
4-[7-(1-아세틸-아제티딘-3-일옥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롤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536
a. 4-[7-(아제티딘-3-일옥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Figure 112008001726558-PCT00537
아제티딘-3-올 하이드로클로라이드 (Oakwood) (461 mg, 4.21 mmol), KOtBu (1.02 g, 9.11 mmol), 및 무수 DMSO (4.2 m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하 여 반투명의 용액을 얻었다. 실시예 65b에서 얻은 4-(7-플루오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1.46 g, 4.41 mmol)을 가하고, 생성된 불투명한 오렌지색 혼합물 (침전물은 관찰되지 않음)을 실온에서 3.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물 (40 mL)과 함께 진탕하고, DCM (1 x 20 mL) 및 9:1 DCM/MeOH (1 x 2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하여 0.2 M K2CO3 (3 x 20 mL)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Na2SO4), 농축하여 회백색 고체상의 표제화합물 1.715 g을 얻었다("106%" 불순물 포함 수율).
LC/MS (ESI): calcd mass 384.2, found 385.3 (MH)+.
b. 4-[7-(1-아세틸-아제티딘-3-일옥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Figure 112008001726558-PCT00538
이전 단계에서 얻은 4-[7-(아제티딘-3-일옥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180 mg, 469 μmol)의 DCM (1.0 mL) 혼합물에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아세트산 무수물 (66 μL, 703 μmol)을 적가하였다. 생성된 균질 황색 용액을 밤새 교반한 다음, DCM (3 mL) 및 1M NaHCO3 (1 x 4 mL)에 분배하였 다. 유기층을 건조시키고 (Na2SO4), 농축하고, 실리카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8:2 DCM/아세톤/3% DMEA)로 정제하여 흰색 결정질 필름상의 표제화합물 (88.3 mg, 2단계 수율 44%)을 얻었다.
LC/MS (ESI): calcd mass 426.2, found 426.9 (MH)+.
c. 4-[7-(1-아세틸-아제티딘-3-일옥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롤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539
실시예 74a에서 얻은 (4-피롤리딘-1-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고, 실시예 110b와 동일한 반응 및 후처리 과정에 따라, 이전 단계에서 얻은 4-[7-(1-아세틸-아제티딘-3-일옥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44.1 mg, 103 μmol)으로부터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표제화합물을 실리카 플래쉬 카트리지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9:1 DCM/아세톤/3% DMEA)로 정제하였다. 분획을 합하여 (10 mL) 1M NaHCO3 (1 x 5 mL)로 세척하여 DMEA+ 불순물을 제거하고, 건조시키고 (Na2SO4), 농축하여 표제화합물 (13.8 mg, 26%)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540
LC/MS (ESI): calcd mass 514.3, found 515.3 (MH)+.
실시예 171
4-[7-(1-메탄설포닐-아제티딘-3-일옥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롤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541
아세트산 무수물 대신에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 및 1.5 당량의 TEA를 사용하여, 실시예 170b-c와 동일하게 표제화합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542
LC/MS (ESI): calcd mass 550.2, found 551.2 (MH)+.
실시예 172
4-[7-(2-모폴린-4-일-2-옥소-에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롤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543
a. 4-[7-(2-모폴린-4-일-2-옥소-에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Figure 112008001726558-PCT00544
모폴린 (107.4 mg, 1.23 mmol) 및 메틸 글리콜레이트 (77.5 mg, 860 μmol)의 혼합물을 150 ℃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생성된 균질의 맑은 호박색 오일을 톨루엔 (2 x 2 mL)에 가하면서, 계속해서 회전 증발기를 사용하여 메탄올을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무수 THF (860 μL)에 가하고 KOtBu (113 mg, 1.01 mmol)을 가하였다. 눈에 보이는 덩어리 없이 갈색 슬러리가 형성될 때까지 혼합물을 100 ℃에서 5-10분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실시예 65b에서 얻은 4-(7-플루오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302 mg, 912 μ mol)을 가하고, 생성된 거의 균질한 적갈색 용액을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면 반응액이 페이스트로 고체화되었다. 반응액을 DCM (4 mL)에 가하고, 1M NaHCO3 (1 x 2 mL) 및 1M NaH2PO4 (1 x 2 mL)로 세척하고, 유기층을 건조시키고 (Na2SO4),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9:1 DCM/아세톤 → 8:2 → 8:2 DCM/아세톤/3% DMEA)로 정제하여 미황색 오일상의 표제화합물 (94.8 mg, 2단계 수율 24%)을 얻었다.
LC/MS (ESI): calcd mass 456.2, found 457.3 (MH)+.
b. 4-[7-(2-모폴린-4-일-2-옥소-에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롤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545
실시예 170c에서 얻은 (4-피롤리딘-1-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실시예 74a의 방법으로 제조)를 사용하여 이전 단계에서 얻은 4-[7-(2-모폴린-4-일-2-옥소-에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로부터 표제화합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546
LC/MS (ESI): calcd mass 544.3, found 545.3 (MH)+.
실시예 173
4-(7-아제티딘-1-일-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롤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547
아제티딘 및 실시예 74a에서 얻은 (4-피롤리딘-1-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126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548
실시예 174
4-[7-(피리딘-3-일옥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롤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549
피리딘-3-올 및 실시예 74a에서 얻은 (4-피롤리딘-1-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67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550
실시예 175
4-[7-(2-하이드록시-에틸아미노)-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롤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551
2-아미노-에탄올 및 실시예 74a에서 얻은 (4-피롤리딘-1-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126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552
실시예 176
4-[7-(2-옥소-옥사졸리딘-3-일)-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롤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553
a. 4-[7-(2-옥소-옥사졸리딘-3-일)-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Figure 112008001726558-PCT00554
실시예 65b에서 얻은 4-(7-플루오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139.6 mg, 0.42 mmol)의 DMSO (0.8 mL) 용액에 에탄올아민 (256.2 mg, 4.2 mmol)을 가하였다. 혼합물을 120 ℃에서 밤새 교반한 후, EtOAc 및 물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합하여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CH2Cl2 (4 mL)에 다시 용해시키고, COCl2 (톨루엔 중의 1M 용액 1 mL) 및 TEA (200 mg)으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CH2Cl2와 물 사이에 분배하였다. CH2Cl2 추출물을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헥산/EtOAc 1:1, v/v)로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었다.
LC/MS for C21H27N4O4 (MH+) 399.2, found 399.2.
b. 4-[7-(2-옥소-옥사졸리딘-3-일)-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롤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555
실시예 74a에서 얻은 (4-피롤리딘-1-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67b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556
실시예 177
(R)-4-[7-(1-메탄설포닐-피롤리딘-3-일옥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롤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557
생성된 중간체를 MsCl로 종결시키는 것만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54와 동일하 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558
실시예 178
4-[7-(2-옥소-이미다졸리딘-1-일)-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롤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559
a. 4-[7-(2-옥소-이미다졸리딘-1-일)-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Figure 112008001726558-PCT00560
실시예 65b에서 얻은 4-(7-플루오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458 mg, 1.38 mmol) 및 (2-아미노-에틸)-카밤산 벤질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446 mg, 1.93 mmol)의 DMSO (1.0 mL) 혼합물에 K2CO3 (1.52 g, 11.04 mmol)을 가하였다. 혼합물을 115 ℃에서 밤새 교반한 후 EtOAc 및 물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추출물을 합하여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용리액 EtOAc)로 정제하여 흰색 고체상의 목적 화합물 (400 mg, 73%)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561
b. 4-[7-(2-옥소-이미다졸리딘-1-일)-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롤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562
실시예 74a에서 얻은 (4-피롤리딘-1-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67b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563
실시예 179
4-(7-피롤리딘-1-일-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롤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564
1-메틸-피페라진 대신에 피롤리딘을 사용하여 실시예 159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565
LC/MS (ESI): 471.3 (MH)+.
실시예 180
4-(7-이미다졸-1-일-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롤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566
1-메틸-피페라진 대신에 이미다졸을 사용하여 실시예 159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567
LC/MS (ESI): 468.3 (MH)+.
실시예 181
4-(7-모폴린-4-일-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롤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568
1-메틸-피페라진 대신에 모폴린을 사용하여 실시예 159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569
LC/MS (ESI): 487.3 (MH)+.
실시예 182
4-(7-티오모폴린-4-일-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롤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570
1-메틸-피페라진 대신에 티오모폴린을 사용하여 실시예 159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571
LC/MS (ESI): 503.3 (MH)+.
실시예 183
4-[7-(3-옥소-피페라진-1-일)-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롤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572
1-메틸-피페라진 대신에 피페라진-2-온을 사용하여 실시예 159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573
LC/MS (ESI): 500.2 (MH)+.
실시예 184
4-[7-(4-메틸-3-옥소-피페라진-1-일)-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롤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574
1-메틸-피페라진 대신에 1-메틸-피페라진-2-온을 사용하여 실시예 159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575
LC/MS (ESI): 514.3 (MH)+.
실시예 185
4-{7-[4-(2-하이드록시-에틸)-피페라진-1-일]-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롤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576
1-메틸-피페라진 대신에 1-(2-하이드록시에틸)-피페라진을 사용하여 실시예 159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577
LC/MS (ESI): 530.3 (MH)+.
실시예 186
4-{7-[4-(2-메톡시-에틸)-피페라진-1-일]-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롤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578
1-메틸-피페라진 대신에 1-(2-메톡시에틸)-피페라진을 사용하여 실시예 159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579
LC/MS (ESI): 544.3 (MH)+.
실시예 187
4-[7-(4-에틸-피페라진-1-일)-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롤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580
1-메틸-피페라진 대신에 1-에틸-피페라진을 사용하여 실시예 159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581
LC/MS (ESI): 514.3 (MH)+.
실시예 188
4-[7-(테트라하이드로-피란-4-일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롤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582
(테트라하이드로-피란-4-일)-메탄올 (0.2 mmol), KOtBu (0.2 mmol) 및 실시예 65b에서 얻은 4-(7-플루오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0.1 mmol)의 DMSO (1 mL) 혼합물을 80 ℃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물로 희석하고 DCM으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합하여 물,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하였다. 불순한 생성물을 3M HCl/MeOH (2 mL)로 처리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한 다음 진공하에 농축하였다. 불순한 탈보호된 중간체를 DCM:MeOH (1:1; 2 mL) 혼합물에 용해시키고, 과량의 Et3N로 중화시키고, 실시예 74a의 방법으로 얻은 (4-피롤리딘-1-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0.11 mmol)로 실온에서 밤새 처리하였다. 진공하에 농축하고, 불순한 생성물을 DCM에 용해시키고, 물로 3회 세척한 다음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하였다. 불순한 생성물을 분취용 TLC (실리카 겔; DCM:MeOH, 9.5:0.5)로 정제한 다음 분취용 HPLC로 추가 정제하여 1.5 mg (3 %)의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583
LC/MS (ESI): 516.2 (MH)+.
실시예 189
4-[7-(테트라하이드로-피란-4-일옥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롤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584
(테트라하이드로-피란-4-일)-메탄올 대신에 테트라하이드로-피란-4-올을 사용하여 실시예 188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585
LC/MS (ESI): 502.2 (MH)+.
실시예 190
(S)-4-[7-(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옥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롤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586
(테트라하이드로-피란-4-일)-메탄올 대신에 (S)-테트라하이드로-푸란-3-올을 사용하여 실시예 188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587
LC/MS (ESI): 488.2 (MH)+.
실시예 191
(R)-4-[7-(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옥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롤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588
(테트라하이드로-피란-4-일)-메탄올 대신에 (R)-테트라하이드로-푸란-3-올을 사용하여 실시예 188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589
LC/MS (ESI): 488.3 (MH)+.
실시예 192
4-[7-(4-피리딘-2-일-피페라진-1-일)-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롤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590
1-메틸-피페라진 대신에 1-피리딘-2-일-피페라진을 사용하여 실시예 159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591
LC/MS (ESI): 563.3 (MH)+.
실시예 193
4-[7-(4-피리미딘-2-일-피페라진-1-일)-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롤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592
1-메틸-피페라진 대신에 1-피리미딘-2-일-피페라진을 사용하여 실시예 159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593
LC/MS (ESI): 564.3 (MH)+.
실시예 194
4-[7-(4-피리딘-4-일-피페라진-1-일)-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롤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594
1-메틸-피페라진 대신에 1-피리딘-4-일-피페라진을 사용하여 실시예 159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595
LC/MS (ESI): 563.3 (MH)+.
실시예 195
4-[7-(4-플루오로-피페리딘-1-일)-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롤리 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596
4-플루오로-피페리딘 및 실시예 74a에서 얻은 (4-피롤리딘-1-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126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597
실시예 196
4-[7-(4-플루오로-피페리딘-1-일)-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모폴린-4-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598
4-플루오로-피페리딘을 사용하여 실시예 126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599
실시예 197
4-[7-(2-옥소-이미다졸리딘-1-일)-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모폴린-4-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600
실시예 66a에서 얻은 (4-모폴린-4-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178b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601
실시예 198
4-[6-(4-메틸-피페라진-1-일)-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모폴린-4-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602
실시예 66a에서 얻은 (4-모폴린-4-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13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603
실시예 199
4-{4-[1-(4-피롤리딘-1-일-페닐카바모일)-피페리딘-4-일]-퀴나졸린-7-일}-피페라진-1-카복실산 에틸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604
FMOC-Cl 대신에 에틸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고, (4-모폴린-4-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대신에 실시예 74a의 방법으로 얻은 (6-피롤리딘-1-일-피리딘-3-일)-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140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605
LC/MS (ESI): 557.3 (MH)+.
실시예 200
4-{7-[4-(2-메톡시-아세틸)-피페라진-1-일]-퀴나졸린-7-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롤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606
FMOC-Cl 대신에 메톡시아세틸 클로라이드를 사용하고, (4-모폴린-4-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대신에 실시예 74a의 방법으로 얻은 (6-피롤리딘-1-일-피리딘-3-일)-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140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607
LC/MS (ESI): 558.3 (MH)+.
실시예 201
4-{7-[4-(2-하이드록시-아세틸)-피페라진-1-일]-퀴나졸린-7-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롤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608
실시예 140에서 얻은 4-(7-피페라진-1-일-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0.1 mmol)를 t-부톡시아세트산 (0.15 mmol) 및 PS-카보디이미드 (0.2 mmol)의 무수 DCM (2 mL) 혼합물에 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진탕하였다. 여과하고 레진을 DCM으로 세척하였다. 여액과 세척액을 합하고 진공하에 농축하였다. 여기에 3M HCl/MeOH (2 mL)를 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한 다음 진공하에 농축하였다. 불순한 잔류물을 DCM:MeOH (1:1; 2 mL) 혼합물에 용해시키고, 과량의 Et3N으로 중화시키고, 실시예 74a의 방법으로 얻은 (6-피롤리딘-1-일-피리딘-3-일)-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0.11 mmol)로 실온에서 밤새 처리하였다. 진공하에 농축하고, 불순한 생성물을 DCM에 용해시키고, 물로 3회 세척한 다음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하였다. 불순한 생성물을 분취용 TLC (실리카 겔; DCM:MeOH, 95:5)로 정제한 다음 분취용 HPLC로 추가 정제하여 1 mg (1 %)의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609
LC/MS (ESI): 544.3 (MH)+.
실시예 202
4-{7-[2-(4-메틸-3-옥소-피페라진-1-일)-에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롤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610
실시예 169a에서 얻은 4-[7-(-하이드록시-에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0.5 mmol)의 무수 DCM 용액에 Et3N (1 mmol) 및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 (1 mmol)을 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물로 세척하고 (3X), 무수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하여 불순한 4-[7-(3-메탄설포닐옥시-에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얻었다. 이를 (0.1 mmol) 1-메틸-피페라진-2-온 (0.2 mmol)과 함께 무수 DMSO에 용해시키고, 혼합물을 100 ℃에서 2시간 교반한 다음 물로 희석하고 DCM으로 추출하였다. DCM 추출물을 물로 세척하고 (3X), 무수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하였다. 여기에 3M HCl/MeOH (1 mL)를 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한 다음 진공하에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1:1 DCM:MeOH 혼합물에 용해시키고, 과량의 Et3N로 중화시키고, 실시예 74a의 방법으로 얻은 (4-피롤리딘-1-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0.11 mmol)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진공하에 농축하고, 물 및 DCM 사이에 분배하였다. DCM 층을 따라내고, 물로 3회 세척하고, 무수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분취용 TLC (실리카 겔; DCM:MeOH, 95:5)로 정제하고, 분취용 HPLC로 추가 정제하여 5.6 mg (6 %)의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611
LC/MS (ESI): 558.3 (MH)+.
실시예 203
4-(6-메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이소프로폭시-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612
메틸 에스테르 중간체를 KOH/MeOH에서 100 ℃에서 1시간 대신에 3시간 교반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4-클로로-6-메톡시퀴나졸린 (WO 2001032632 A2, WO 9609294 A1)으로부터 표제화합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613
LC/MS (ESI): calcd mass 420.2, found 421.2 (MH)+.
실시예 204
4-{7-[3-(1H-테트라졸-5-일)-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이소프로폭시-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614
a. 4-[7-(3-시아노-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Figure 112008001726558-PCT00615
4-하이드록시부티로니트릴 (24.2 mg, 285 μmol) [Organometallics (1996), 15(4), 1236-41], KOtBu (34.8 mg, 311 μmol), 및 DME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한 다음, 4-(7-플루오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48.8 mg, 147 μmol) (실시예 65b의 방법으로 제조)를 가하였다. 생성된 균질 용액을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한 다음, 9:1 DCM/아세톤으로 미리 평형화시킨 5g 존스 실리카 카트리지에 직접 로딩하고, 9:1 → 8:2 DCM/아세톤으로 용출시켜, 무색 오일상의 표제 중간체 (24.5 mg, 42%)를 얻었다.
LC/MS (ESI) calcd mass 396.2, found 397.1 (MH)+.
b. 4-{7-[3-(1H-테트라졸-5-일)-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Figure 112008001726558-PCT00616
이전 단계에서 얻은 4-[7-(3-시아노-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24.5 mg, 62 μmol), NaN3 (13.4 mg, 206 μmol), TEA·HCl (25.5 mg, 185 μmol), 및 톨루엔 (100 μL)의 혼합물을 단단히 밀봉하고 100 ℃에서 6.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EtOAc (1 mL) 및 0.1 M HCl (1 mL) 사이에 분배하였다. 수층을 EtOAc (2 x 1 mL)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합하여 건조시키고 (Na2SO4),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플래쉬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 (3:2 EtOAc/아세톤)로 정제하여 회백색 고체상의 표제 중간체 (12.2 mg, 44%)를 얻었다.
LC/MS (ESI) calcd mass 439.2, found 440.1 (MH)+.
c. 4-{7-[3-(1H-테트라졸-5-일)-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이소프로폭시-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617
이전 단계에서 얻은 4-{7-[3-(1H-테트라졸-5-일)-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6.1 mg, 14 μmol)의 9:1 TFA/아니솔 (100 μL) 용액을 100 ℃에서 10분 교반하였다. 용액을 농축하였다. 피리딘 (100 μL) 및 실시예 1a에서 얻은 (4-이소프로폭시-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5.8 mg, 18 μmol)을 가하고, 용액을 80 ℃에서 15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농축하고, 1M NaH2PO4 (2 mL)에 가하고, 95:5 DCM/MeOH (2 x 2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하여 건조시키고 (Na2SO4), 농축하고, 플래쉬 실리카 카트리지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EtOAc → 아세톤)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1.0 mg, 14%)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618
LC/MS (ESI) calcd mass 516.3, found 517.2 (MH)+.
실시예 205
4-{6-플루오로-7-[3-(4-메틸-피페라진-1-일)-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모폴린-4-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619
a. 4-클로로-6,7-디플루오로-퀴나졸린
Figure 112008001726558-PCT00620
4,5-디플루오로안트라닐산 (20.43 g, 118 mmol) 및 포름아미딘 아세테이트 (13.55 g, 130 mmol)의 시약 EtOH 혼합물을 120 ℃ (오일 배쓰)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은 단시간에 균질 갈색 용액으로 된 다음 불투명한 혼합물이 되었다. 반응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변성 EtOH (1 x 10 mL)로 세척하고, 공기 건조시켰다. 모터와 막자를 사용하여 분말화하여 베이지색 분말상의 4-하이드록시-6,7-디플루오로퀴나졸린 (16.9 g, 79%)을 얻었다. 이 물질 16.6 g (91.1 mmol)을 SOCl2 (66 mL), DCE (66 mL), 및 DMF (7.05 mL, 91 mmol)에 가하고, 110 ℃ (오일 배쓰)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생성된 균질 호박색 용액을 회전 증발기로 농축하고, 톨루엔 (2 x 100 mL)에 가하여 반복적으로 회전 증발시켜 베이지색 고체상의 불순한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이 물질의 일부 (총 17.7 g 중의 8.4 g)를 DCM (80 mL)에 가하고, 2M 트리소듐 시트레이트 (1 x 40 mL)와 함께 균질하고 맑은 유기층이 형성될 때까지 천천히 진탕하였다. 유기층을 건조시키지 않고 즉시 1:1 헥산/EtOAc로 미리 평형화시킨 실리카 플래쉬 칼럼 (79 mm x 6")에 직접 적용하였다. 1:1 헥산/EtOAc을 사용하여 용출시킨 다음, 분획을 합하고, 톨루엔 (2 x 50 mL)로부터 반복해서 회전 증발시켜 밝은 황색 고체상의 표제화합물 (6.79 g, 78%)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621
b. 4-(6,7-디플루오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4-디카복실산 1-tert-부틸 에스테르 4-메틸 에스테르
Figure 112008001726558-PCT00622
피페리딘-1,4-디카복실산 1-tert-부틸 에스테르 4-메틸 에스테르 (1.27 g, 5.23 mmol)의 무수 THF (2 mL) 용액을 아르곤 대기하의 -78 ℃에서 교반하면서 2분간 1.01M LiHMDS/THF (5.75 mL, 5.81 mmol)에 적가하였다. -78 ℃에서 5분 방치한 후, 콜드 배쓰를 제거하고 반응액을 30분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이 에놀레이트 용액의 일부 (5.1 mL, ~3 mmol 에놀레이트)를 아르곤 대기하 0 ℃에서 4-클로로-6,7-디플루오로퀴나졸린 (600 mg, 2.99 mmol)의 무수 THF (3 mL) 교반된 균질 용액에 2-3분간 적가하였다. 반응액을 0 ℃에서 30분 교반한 다음, 1M NaH2PO4 (50 mL)로 종결시키고, EtOAc (1 x 5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4M NaCl (1 x 50 mL)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Na2SO4),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3:1 헥산/EtOAc)로 정제하여 황색 오일상의 표제화합물 (451 mg, 37%)을 얻었다.
LC/MS (ESI): calcd mass 407.2, found 408.2 (MH)+.
c. 4-(6,7-디플루오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Figure 112008001726558-PCT00623
이전 단계에서 얻은 4-(6,7-디플루오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4-디카복실산 1-tert-부틸 에스테르 4-메틸 에스테르 (451 mg, 1.11 mmol), LiCl (89 mg, 2.12 mmol), 물 (60 μL, 3.3 mmol), 및 DMSO (430 μL)의 혼합물을 환류 콘덴서와 함께 150 ℃에서 7.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1M NaCl (5 mL)와 진탕하고, DCM (1 x 3 mL) 및 9:1 DCM/MeOH (1 x 3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하여 건조시키고 (Na2SO4),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3:1 hex/EtOAc → 2:1)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151.8 mg, 39%)을 얻었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624
LC/MS (ESI): calcd mass 349.2, found 368.3 (MH·H2O)+.
d. 4-{6-플루오로-7-[3-(4-메틸-피페라진-1-일)-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Figure 112008001726558-PCT00625
1.19M KOtBu의 THF (128 μL, 152 μmol) 용액을 이전 단계에서 얻은 4-(6,7-디플루오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38.1 mg, 109 μmol) 및 3-(4-메틸-피페라진-1-일)-프로판-1-올 (22.4 mg, 142 μmol)의 THF (170 μL) 용액 (0 ℃, 균질)에 2.5분간 교반하면서 적가하였다. 반응액을 0 ℃에서 1.5시간 교반한 다음 DCM (2 mL) 및 1M NaCl (2 mL) 사이에 분배하였다. 수층을 DCM (1 x 2 mL)으로 역추출하고, 흐릿한 흰색 유기층을 합하여 건조시키고 (Na2SO4),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1:2 hex/EtOAc/3% DMEA)로 정제하여 회백색 거품상의 표제화합물 (32.6 mg, 61%)을 얻었다. NOe 실험은 표시된 위치이성체(regioisomer)를 뒷받침하였다. 1H-NMR 공명 및 nOes (300 MHz, CDCl3) δ 7.73 (d, J = 11.4 Hz, 1H), 7.43 (d, J = 8.1 Hz, 1H), 3.46 (tt, 1H)를 선택하였다. δ3.46의 진단용 메틴(methine) 양성자를 조사하면 δ7.73에서 퀴나졸린 C5 양성자에 nOe를 발생시키지만, δ7.43에서의 퀴나졸린 C8 양성자에는 발생시키지 않았다. C5 양성자는 C8 양성자보다 더 큰 커플링 상수를 가지며, 이는 퀴나졸린의 C6에 불소 치환이 있음을 나타낸다.
LC/MS (ESI): calcd mass 487.3, found 488.3 (MH)+.
e. 4-{6-플루오로-7-[3-(4-메틸-피페라진-1-일)-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모폴린-4-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626
실시예 170c와 동일한 프로토콜에 따라, 이전 단계에서 얻은 4-{6-플루오로-7-[3-(4-메틸-피페라진-1-일)-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와 실시예 66a에서 얻은 (4-모폴린-4-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로부터 표제화합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627
LC/MS (ESI): calcd mass 591.3, found 592.4 (MH)+.
실시예 206
4-{6-플루오로-7-[2-(2-옥소-피롤리딘-1-일)-에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롤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628
1-(2-하이드록시-에틸)-피롤리딘-2-온 및 실시예 74a에서 얻은 (4-피롤리딘-1-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205d-e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629
LC/MS (ESI): calcd mass 546.3, found 547.4 (MH)+.
실시예 207
4-{6-메톡시-7-[3-(4-메틸-피페라진-1-일)-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모폴린-4-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630
a. 4-{6-메톡시-7-[3-(4-메틸-피페라진-1-일)-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Figure 112008001726558-PCT00631
실시예 205d에서 얻은 4-{6-플루오로-7-[3-(4-메틸-피페라진-1-일)-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32.6 mg, 66.9 μmol), DMSO (50 μL), 및 0.31M KOMe/MeOH (270 μL, 6.4 mmol MeOH 중의 83.9 μmol KOMe)의 혼합물을 100 ℃에서 9시간 교반한 다음, 110 ℃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생성된 미황색 균질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DCM (2 mL)로 희석하고, 4M NaCl (1 x 2 mL)로 세척하였다. 수층을 DCM (1 x 2 mL)로 역추출하고, 유기층을 합하여 건조시키고 (Na2SO4)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1:2 hex/EtOAc → 1:2 hex/EtOAc/3% DMEA → 9:1 EtOAc/아세톤/3% DMEA)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18.4 mg, 55%)을 얻었다. NOe 실험은 표시된 위치이성체를 뒷받침하였다. 1H-NMR 공명 및 nOes (300 MHz, CDCl3) δ 7.34 (s, 1H), 7.24 (s, 1H), 4.04 (s, 3H), 3.51 (m, 1H)을 선택하였다. δ3.51에서 진단용 메틴 양성자를 조사하면 δ7.24의 퀴나졸린 C5 양성자에 nOe를 발생시키지만, δ7.34의 퀴나졸린 C8 양성자에는 발생시키지 않았다. δ4.04에서 메톡시 양성자를 조사하면 δ7.24의 C5 양성자에 nOe를 발생시키지만, δ7.34의 C8 양성자에는 발생시키지 않았다. 이는 퀴나졸린의 C6에 메톡시 치환이 있음을 나타낸다.
LC/MS (ESI): calcd mass 499.3, found 500.4 (MH)+.
b. 4-{6-메톡시-7-[3-(4-메틸-피페라진-1-일)-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모폴린-4-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632
실시예 170c와 동일한 프로토콜에 따라, 이전 단계에서 얻은 4-{6-메톡시-7-[3-(4-메틸-피페라진-1-일)-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와 실시예 66a에서 얻은 (4-모폴린-4-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로부터 표제화합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633
LC/MS (ESI): calcd mass 603.4, found 604.4 (MH)+.
실시예 208
4-{6-메톡시-7-[3-(4-메틸-피페라진-1-일)-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롤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634
실시예 170c와 동일한 프로토콜에 따라, 실시예 207a에서 얻은 4-{6-메톡시-7-[3-(4-메틸-피페라진-1-일)-프로폭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와 실시예 74a에서 얻은 (4-피롤리딘-1-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로부터 표제화합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635
LC/MS (ESI): calcd mass 587.4, found 588.4 (MH)+.
실시예 209
4-{6-메톡시-7-[2-(2-옥소-피롤리딘-1-일)-에톡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롤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636
3-(4-메틸-피페라진-1-일)-프로판-1-올 대신에 1-(2-하이드록시-에틸)-피롤리딘-2-온을 사용하여 실시예 208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637
LC/MS (ESI): calcd mass 558.3, found 559.4 (MH)+.
실시예 210
4-(6-플루오로-7-모폴린-4-일-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롤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638
a. 4-(6-플루오로-7-모폴린-4-일-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Figure 112008001726558-PCT00639
4-(6,7-디플루오로-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37.8 mg, 108 μmol) (실시예 205c에서 제조) 및 모폴린 (19.8 μL, 227 μmol)의 THF (100 μL) 및 DMSO (50 μL) 용액을 1시간 동안 100 ℃로 가열하였다. 불순한 반응물을 플래쉬 실리카 카트리지 (용리액 1:1 헥산/EtOAc)에 로딩하여 표제화합물 (40.2 mg, 89%)을 얻었다. NOe 실험은 표시된 위치이성체를 뒷받침하였다. 1H-NMR 공명 및 nOes (300 MHz, CDCl3) δ 7.68 (d, J = 13.7 Hz, 1H), 7.37 (d, J= 8.4 Hz, 1H), 3.45 (tt, 1H), 3.31 (m, 4H)을 선택하였다. δ3.45에서 진단용 메틴 양성자를 조사하면 δ7.68의 퀴나졸린 C5 양성자에 nOe를 발생시키지만, δ7.37의 퀴나졸린 C8 양성자에는 발생시키지 않았다. C5 양성자는 C8 양성자에 비해 더 큰 커플링 상수를 가지며, 이는 퀴나졸린의 C6에 불소가 치환되었음을 나타낸다. 또 한, δ7.37에서 C8 양성자를 조사하면 δ3.31의 모폴린 C3 양성자에만 nOe를 발생시키는 한편, C5 양성자를 조사하면 δ3.45의 메틴 양성자에만 nOe를 발생시켰다. 이러한 데이터는 퀴나졸린 C7 탄소에 모폴린 치환이 있음을 나타낸다.
LC/MS (ESI): calcd mass 416.2, found 417.3 (MH)+.
b. 4-(6-플루오로-7-모폴린-4-일-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롤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640
실시예 170c와 동일한 프로토콜에 따라, 실시예 210a에서 얻은 4-(6-플루오로-7-모폴린-4-일-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와 실시예 74a에서 얻은 (4-피롤리딘-1-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로부터 표제화합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641
LC/MS (ESI): calcd mass 504.3, found 505.3.
실시예 211
4-(6-메톡시-7-모폴린-4-일-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롤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642
a. 4-(6-메톡시-7-모폴린-4-일-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Figure 112008001726558-PCT00643
실시예 210a에서 얻은 4-(6-플루오로-7-모폴린-4-일-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28.9 mg, 69.5 μmol), DMSO (50 μL), 및 1.0M KOMe/MeOH (140 μL, 140 μmol)의 혼합물을 밀봉된 바이알에서 100 ℃ (알루미늄 블록)에서 13시간 교반하였다. 불순한 반응액을 톨루엔으로 희석하고 실리카 플래쉬 칼럼 (용리액 1:2 헥산/EtOAc)에 직접 로딩하여 표제화합물 (20.0 mg, 67%)을 얻었다. NOe 실험은 표시된 위치이성체를 뒷받침하였다. 1H-NMR 공명 및 nOes (300 MHz, CDCl3) δ 7.36 (s, 1H), 7.25 (s, 1H), 4.05 (s, 3H), 3.51 (m, 1H)를 선택하였다. δ3.51에서 진단용 메틴 양성자를 조사하면 δ7.25의 퀴나졸린 C5 양성자에 nOe를 발생시키지만, δ7.36의 퀴나졸린 C8 양성자에는 발생시키지 않았다. δ4.05에서 메톡시 양성자를 조사하면, δ7.25의 C5 양성자에 nOe를 발생시키지만 δ7.36의 C8 양성자에는 발생시키지 않았다. 이는 퀴나졸린의 C6에 메톡시 치환이 있음을 나타낸다.
LC/MS (ESI): calcd mass 428.2, found 429.3 (MH)+.
b. 4-(6-메톡시-7-모폴린-4-일-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피롤리딘-1-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644
실시예 211a에서 얻은 4-(6-메톡시-7-모폴린-4-일-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와 실시예 74a에서 얻은 (4-피롤리딘-1-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로부터 실시예 170c의 프로토콜에 따라 표제화합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645
LC/MS (ESI): calcd mass 516.3, found 517.3 (MH)+.
실시예 212
4-(6-메톡시-7-모폴린-4-일-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4-모폴린-4-일-페닐)-아미드
Figure 112008001726558-PCT00646
실시예 211a에서 얻은 4-(6-메톡시-7-모폴린-4-일-퀴나졸린-4-일)-피페리딘-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와 실시예 66a에서 얻은 (4-모폴린-4-일-페닐)-카밤산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로부터 실시예 170c의 프로토콜에 따라 표제화합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647
LC/MS (ESI): calcd mass, 532.3, found 533.3 (MH)+.
일반식 I' FLT3 억제제의 생물학적 활성
일반식 I'의 FLT3 억제제의 생물학적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의 대표적 활성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함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시험관내 활성 조사
본 발명의 일반식 I'의 FLT3 억제제의 생물학적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의 대표적 시험관내 활성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함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FLT3 효소활성, MV4-11 증식 및 Baf3-FLT3 인산화의 억제는 FLT3 효소 및 FLT3 활성에 의존하는 세포기능의 특이적 억제를 예시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의 FLT3, c-Kit 및 TrkB 비의존성 세포독성을 시험하기 위하여 Baf3 세포 증식의 억제가 이용되었다. 하기에 제시하는 예들은 모두 FLT3 키나아제 및 FLT3-의존성 세포반응에 대해 유의적이고 특이적인 억제를 보였다. 하기 예들은 또한 효소활성조사에서 TrkB 및 c-kit 키나아제에 대한 특이적 억제를 나타내었다. 일반식 I'의 FLT3 억제제들은 또한 세포 투과성이다.
FLT3 형광편광 키나아제 활성조사
일반식 I'의 FLT3 억제제들의 시험관내 키나아제 활성조사를 위하여 인간 FLT3 수용체의 분리된 키나아제 영역(a.a. 571-993)에 대한 억제를 하기의 형광편광법(FP)을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FLT3 FP 활성조사에는 인비트로젠 사에서 공급하는 판베라 포스포-타이로신 키나아제 키트(Green)에 포함된 플루오레신-표지된 포스포펩티드 및 항-포스포타이로신 항체를 사용하였다. FLT3가 polyGlu4Tyr를 인산화시키면 항-포스포타이로신 항체로부터 플루오레신-표지된 포스포펩티드가 인산화된 polyGlu4Tyr로 대체되어 FP 수치가 낮아진다. FLT3 키나아제 반응은 하기 조건하에 실온에서 30분간 수행한다: 10nM FLT3 571-993, 20ug/mL polyGlu4Tyr, 150uM ATP, 5mM MgCl2, 1% 화합물의 DMSO 용액. EDTA를 가하여 키나아제 반응을 종료한 후 플루오레신-표지된 포스포펩티드 및 항-포스포타이로신 항체를 가하고 실온에서 30분간 배양한다.
모든 자료값은 삼중 시료에 대한 평균이다. 억제 및 IC50 데이터의 분석은 다중변수, 시그모이달(sigmoidal) 용량-반응(가변 경도) 방정식을 채용한 비선형 회귀 적합법을 사용하는 그라프패드 프리즘에 의해 실시하였다. 키나아제 억제의 IC50 은 DMSO 비히클 대조군과 비교하여 50%의 키나아제 활성 억제를 나타내는 화합 물 용량을 의미한다.
MV4 -11 및 Baf3 세포 증식의 억제
일반식 I'의 FLT3 억제제의 세포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백혈병 세포주 MV4-11(ATCC Number: CRL-9591)에서 FLT3 특이적 성장 억제를 측정하였다. MV4-11 세포는 MLL 유전자 배열을 유발하는 11q23 전좌 및 FLT3-ITD 돌연변이(AML subtype M4)를 가진 유년기 급성 골수단구성 백혈병 환자로부터 유래되었다(Drexler HG. The Leukemia-Lymphoma Cell Line Factsbook. Academic Pres: San Diego, CA, 2000 및 Quentmeier H, Reinhardt J, Zaborski M, Drexler HG. FLT3 mutations in acute myeloid leukemia cell lines. Leukemia. 2003 Jan;17:120-124). MV4-11 세포는 활성 FLT3ITD 없이는 생존하거나 성장할 수 없다.
일반식 I'의 FLT3 억제제에 의한 비특이적 성장억제를 측정하여 일반식 I'의 FLT3 억제제의 선택성을 확인하기 위한 대조군으로서 IL-3 의존성의 쥐과(murine) b-세포 림프종 세포주 Baf3가 사용되었다.
시험 화합물들의 증식 억제를 측정하기 위하여 루시페라제를 기본으로 하는 셀타이터글로(CellTiterGlo) 시약(프로메가)를 사용하여 세포 총량 ATP 농도에 근거한 세포 총개수를 정량하였다.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10% FBS 및 MV4-11 세포와 Baf3 세포에 대해 각각 1ng/ml GM-CSF 또는 1ng/ml IL-3을 함유하는 RPMI 배지 100ul에 웰당 10,000개 세포를 평판 배양하였다.
화합물 희석용액 또는 0.1% DMSO (비히클 대조군)을 세포에 가한 후 표준 세 포배양 조건(37 ℃, 5% CO2)에서 72시간 배양하였다. 50% 혈장에서 배양한 MV4-11 세포에서의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웰당 10,000개 세포를 성장배지와 인간 혈장의 1:1 혼합물 상에서 평판배양하였다(총부피 100 μL). 세포 총성장을 측정하기 위해서 동일 부피의 셀타이터글로 시약을 제조원 지시에 따라 각 웰에 가하고, 발광을 정량하였다. 세포 총성장은 제0일 세포수를 제3일(72시간 성장 및/또는 화합물 처리) 세포 총수와 비교하여 얻은 발광계수(relative light units, RLU)에 있어서의 차이값으로서 정량하였다. 성장의 100% 억제는 제0일 측정값과 동일한 RLU로서 정의된다. 0% 억제는 성장 제3일에 DMSO 비히클 대조군의 RLU 시그널로서 정의된다. 모든 자료값은 삼중시료의 평균이다. 성장 억제의 IC50은 DMSO 비히클 대조군의 제3일 세포 총성장의 50%를 억제하는 화합물 용량을 의미한다. 억제 및 IC50 데이터의 분석은 다중변수, 시그모이달 용량-반응(가변 경도) 방정식을 채용한 비선형 회귀 적합법을 사용하는 그라프패드 프리즘에 의해 실시하였다.
MV4-11 세포는 FLT3 내부직렬중복(internal tandem duplication) 돌연변이를 발현하므로 성장을 위하여 FLT3 활성에 전적으로 의존한다. MV4-11 세포에 대한 강력한 활성은 발명의 바람직한 특성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에, Baf3 세포의 경우 사이토킨 IL-3에 의해 증식이 추진되므로 시험 화합물의 비특이적 독성 대조군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 화합물은 3uM 투여농도에서 <50% 억제를 나타냄으로써(데이터 미첨부), 이 화합물들이 세포독성을 가지지 않으며 FLT3에 대하여 우수한 선택성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세포-기반 FLT3 수용체 Elisa
FLT 리간드-유도된 야생형 FLT3 인산화의 특이적 세포 억제를 하기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FLT3 수용체를 과발현하는 Baf3 FLT3 세포는 마이클 하인리히 박사(Oregon Health and Sciences University)로부터 입수하였다. Baf3 모체 세포(사이토킨 IL-3에 의존하여 성장하는 쥐과 B 세포 림프종 세포주)에 야생형 FLT3를 안정적으로 형질감염시켜 Baf3 FLT3 세포주를 만들었다. IL-3 부재 및 FLT3 리간드 존재 하에 성장하는 기능을 기준으로 세포를 선별하였다.
Baf3 세포를 10% FBS,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및 10ng/ml FLT 리간드를 함유하는 RPMI 1640 배지에 37 ℃, 5% CO2 조건하에서 유지하였다. 야생형 FLT3 수용체 활성 및 인산화의 직접적 억제를 측정하기 위하여 다른 RTK에 대해 개발된 것과 유사한 샌드위치 Elisa 방법이 개발되었다(Sadick, MD, Sliwkowski, MX, Nuijens, A, Bald, L, Chiang, N, Lofgren, JA, Wong WLT. Analysis of Heregulin-Induced ErbB2 Phosphorylation with a High-Throughput Kinase Receptor Activation Enzyme-Linked Immunsorbent Assay, Analytical Biochemistry. 1996; 235:207-214 및 Baumann CA, Zeng L, Donatelli RR, Maroney AC. Development of a quantitative, high-throughput cell-based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for detection of colony-stimulating factor-1 receptor tyrosine kinase inhibitors. J Biochem Biophys Methods. 2004; 60:69-79.). 화합물 또는 DMSO 비 히클로 1 시간 처리하기에 앞서, Baf3FLT3 세포 (1x106/mL) 200μL를 0.5% 혈청 및 0.01ng/mL IL-3을 함유하는 RPMI 1640 중에 96웰 배양접시에서 16시간동안 평판배양하였다. 세포들을 100ng/mL의 Flt 리간드(R&D Systems Cat# 308-FK)로 37 ℃에서 10분간 처리하였다. 세포를 침강시켜 세척한 후 포스파타아제(Sigma Cat# P2850) 및 프로테아제 억제제(Sigma Cat #P8340)를 보충한 100ul 용해 완충액(50 mM Hepes, 150 mM NaCl, 10% 글리세롤, 1% 트리톤 X-100, 10 mM NaF, 1 mM EDTA, 1.5 mM MgCl2, 10 mM Na피로포스페이트)로 용해시켰다. 용해물을 4℃에서 1000xg로 5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세포 용해물을 50ng/웰의 항-FLT3 항체(Santa Cruz Cat# sc-480)로 코팅되고 씨블록(SeaBlock) 시약(Pierce Cat#37527)으로 차폐시킨 화이트 월 96웰 마이크로타이터(white wall 96 well microtiter, Costar #9018) 배양접시에 옮겼다. 용해물을 4℃에서 2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접시를 200ul/웰의 PBS/0.1% 트리톤-X-100 으로 3회 세척하였다. 배양접시를 1:8000으로 희석된 HRP-접합된 항-포스포타이로신 항체(Clone 4G10, Upstate Biotechnology Cat#16-105)와 함께 실온에서 1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접시를 200ul/웰의 PBS/0.1% 트리톤-X-100으로 3회 세척하였다. 수퍼 시그널 피코(Super Signal Pico) 시약(Pierce Cat#37070)에 의한 신호 검출은 버트홀드 마이크로플레이트 루미노미터(Berthold microplate luminometer)를 사용하여 제조원 지시에 따라 실시하였다. 모든 자료값은 삼중시료의 평균이다. 0.1% DMSO 대조군 존재하의 Flt 리간드에 의해 자극된 FLT3 인산화의 총 상대 광단위(RLU)를 0% 억제로 정의하고 기초 상태의 용해물 총 RLU를 100% 억제로 정의하였다. 억제 및 IC50 데이터의 분석은 다중변수, 시그모이달 용량-반응(가변 경도) 방정식을 채용한 비선형 회귀 적합법을 사용하는 그라프패드 프리즘에 의해 실시하였다.
생물학적 데이터
FLT3의 생물학적 데이터
일반식 I'의 대표적 FLT3 억제제들의 활성은 하기의 도표들에 나타내었다. 모든 활성은 μM 단위이고 하기와 같은 오차범위를 지닌다: FLT3 키나아제: +10%; MV4-11 및 Baf3-FLT3: + 20%.
Figure 112008001726558-PCT00648
Figure 112008001726558-PCT00649
Figure 112008001726558-PCT00650
Figure 112008001726558-PCT00651
Figure 112008001726558-PCT00652
Figure 112008001726558-PCT00654
Figure 112008001726558-PCT00655
Figure 112008001726558-PCT00656
Figure 112008001726558-PCT00657
Figure 112008001726558-PCT00658
Figure 112008001726558-PCT00659
Figure 112008001726558-PCT00660
Figure 112008001726558-PCT00661
Figure 112008001726558-PCT00662
* 별도의 표시가 없는 한, 화합물명은 Nomenclature of Organic Chemistry, Sections A, B, C, D, E, F 및 H, (Pergamon Press, Oxford, 1979, Copyright 1979 IUPAC) 및 A Guide to IUPAC Nomenclature of Organic Compounds (Recommendations 1993),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1993, Copyright 1993 IUPAC)과 같은 표준 IUPAC 명명법 문헌을 참조하거나, Autonom(ChemDraw Ultra® office suite에서 공급하여 CambridgeSoft.com에서 판매하는 명명법 소프트웨어의 상표) 및 ACD/Index Name™ (Advanced Chemistry Development, Inc., Toronto, Ontario에 의해 판매되는 상업적 명명법 소프트웨어의 상표)과 같이 상업적으로 구입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사용함으로써, 당업자에게 주지된 명명법을 사용한 것이다.
경구 항종양 효능의 생체내 평가
본 발명의 일반식 I'의 FLT3 억제제의 생물학적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대표적 생체내 활성조사를 수행하였다.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함일 뿐, 그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누드 마우스 MV4-11 인간 종양 이종이식편 퇴행 모델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부 화합물들의 경구 항종양 효능을 생체내에서 평가하였다.
흉선을 제거한 암컷 누드 마우스(CD-1, nu / nu , 9-10 주령)는 찰스 리버 레보러토리즈(Wilmington, MA)로부터 공급 받아 NIH 표준에 따라 사육하였다. 모든 마우스는 21-22℃ 및 40-50%의 습도를 유지하는 방에서 12 시간의 주/야 주기로 멸균된 마이크로-아이솔레이터 케이지(micro-isolator cage) 안에서 무균실 조건 하에 군집 수용(5 마우스/케이지)하였다. 마우스들에게는 조사된 설치류 표준사료와 물을 제한 없이 공급하였다. 모든 동물들은 미국실험동물보호 평가인증협회(American Association for Assessment and Accreditation of Laboratory Animal Care, AAALAC)로부터 정히 인증받은 실험동물의학 시설에 수용되었다. 실험동물에 관련된 모든 과정들은 NIH의 실험동물보호 및 사용에 관한 지침(Guide for the Care and Use of Laboratory Animals)을 준수하여 처리되었으며 모든 프로토콜을 국내 동물보호 및 사용 위원회(Inter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 IACUC)로부터 승인 받았다.
인간 백혈병 MV4-11 세포주는 아메리칸 타입 컬쳐 컬렉션(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으로부터 분양 받아(ATCC Number: CRL-9591) 10% FBS(소 태아 혈청) 및 5 ng/mL GM-CSF(R&D Systems)를 포함하는 RPMI 배지에서 증식시켰다. MV4-11 세포는 MLL 유전자 재배열을 유발하는 11q23 전좌 및 FLT3-ITD 돌연변이(AML subtype M4)를 가진 유년기 급성 골수단구성 백혈병 환자로부터 유래되었다(1,2). MV4-11 세포는 자연발생하는 FLT3/ITD 돌연변이의 결과로서 구조적 활성의 인산화된 FLT3 수용체를 발현한다. 누드 마우스 종양 이종이식편 모델에서의 MV4-11 종양 성장에 대한 강력한 항종양 활성은 발명의 바람직한 특성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시험 성장 연구 결과, 하기의 조건 하에서 피하 고형 종양 이종이식편으로서 MV4-11 세포가 누드 마우스에서 성장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주입 직전에 세포를 PBS로 세척하여 계수한 후 PBS:마트리겔(BD Bioscience) 1:1 혼합물에 현탁하고 25 게이지 바늘을 장착하여 예냉시킨 1 cc 주사기에 충진하였다. 20~21 그람 이상의 흉선 제거 암컷 누드 마우스의 좌측 대퇴부 사타구니에 주입부피 0.2 mL의 5 x 106 종양세포를 피하 접종하였다. 퇴행 연구를 위하여 투약 개시 전에 종양이 예정된 크기로 자라도록 방치하였다. 종양세포 접종 후 약 3주가 경과하였을 때, 피하 종 양의 크기가 106 내지 439 mm3 (당해 범위 내 60마리 마우스)인 마우스를 무작위로 처리군으로 설정하여 모든 처리군이 ~200 mm3의 유사한 초기 평균 종양부피를 가지도록 하였다. 마우스들에게는 비히클(대조군) 또는 여러 가지 용량의 화합물을 주중에는 하루 2회(b.i.d.) 주말에는 하루 1회(q.d.) 위관 영양법으로 경구투여하였다. 비히클 대조군 마우스의 종양 크기 및 성장 동력학에 따라 연속 11일간 투여를 계속하였다. 대조군 마우스의 종양이 체중 대비 ~10%(~2.0 g)에 달하면 연구를 종료하였다. 일반식 I'의 FLT3 억제제는 20% HPβCD/2%NMP/10mM Na 포스페이트, pH 3-4 (NMP = Pharmasolve, ISP Technologies, Inc.) 또는 다른 적절한 비히클 중의 맑은 용액(@ 1, 3 및 10 mg/mL)으로 매일 신선하게 제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경구투여하였다. 연구 진행 중에, 종양 성장은 전자 버어니어 캘리퍼스를 사용하여 주당 3회(M, W, F) 측정하였다. 종양 부피(mm3)는 (L x W)2/2의 식에 의해 계산하였다(L = 종양 길이 (mm), W = 종양 넓이 (최단거리, mm)). 체중은 주당 3회 측정하였으며 >10%의 체중감소가 나타나면 화합물 용인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허용불가의 독성은 연구 진행중 >20%의 체중감소로 정의되었다. 매 투여마다 매일 마우스들을 면밀히 조사하여 임상적으로 불리한 명백한 징후나 약물 관련 부작용이 나타나는지 확인하였다.
연구 종료일에, 종양의 최종 부피 및 최종 체중을 모든 마우스들에 대하여 측정하였다. 마우스들을 100% CO2로 안락사 시키고 즉시 종양을 원형대로 적출하여 무게를 측정하고, 최종 습윤 종양 질량(g)을 일차 효능 종점으로 삼았다.
일반식 I'의 FLT3 억제제들의 MV4-11 종양 성장에 대한 경시 억제효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수치들은 처리군당 15 마우스의 평균(±sem)을 나타낸다. 종양 성장의 퍼센트 억제(%I)는 연구 종료일의 비히클 처리 대조군의 종양 성장에 대비하여 계산하였다. 대조군에 대비한 통계적 유의성은 던넷의 t-테스트(Dunnett's t-test)를 따라 편차 분석(ANOVA)에 의해 결정하였다: * p < 0.05; ** p < 0.01.
연구 종료점에서 최종 종양 무게의 유사한 감소가 확인되었다(도 2 참조). 연구 종료일에 15마리 중 5마리만 희생된 고용량 군을 제외하고는, 수치들은 처리군당 15 마우스의 평균(±sem)을 나타낸다. 퍼센트 억제는 비히클 처리 대조군의 평균 종양 무게에 대비하여 계산하였다. 대조군에 대비한 통계적 유의성은 던넷의 t-테스트(Dunnett's t-test)를 따라 편차 분석(ANOVA)에 의해 결정하였다: ** p < 0.01.
도 1a: 연속 11일간 10, 30 및 100 mg/kg b.i.d.의 용량으로 FLT3 억제제 화합물 B (일반식 I'의 화합물 73)를 위관 영양법으로 경구투여한 결과, 누드 마우스의 피하에 성장하는 MV4-11 종양의 성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용량 의존적으로 억제되었다. 최종 처리일에(제11일), 평균 종양 부피는 용량 10, 30 및 100 mg/kg에서 용량 의존적으로 비히클 처리군의 평균 종양부피와 비교할 때 각각 44%, 84%(p< 0.01) 및 94%(p< 0.01) 만큼 감소하였다. 30 mg/kg 및 100 mg/kg의 용량에서 각각 제1일의 초기평균 종양부피에 대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42% 및 77% 감소의 종양퇴행(tumor regression)이 관찰되었다. 시험 최저 용량인 10 mg/kg에서 보통 정도의 성장 지연(대조군 대비 44%I)이 나타났으나 이 효과에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도 2a: 연속 11일간 FLT3 억제제 화합물 B (일반식 I'의 화합물 73)를 경구 투여한 결과, 비히클 처리군의 평균 종양 무게에 대비할 때 통계적으로 유의하며 용량 의존적으로 최종 종양 무게가 감소하여 용량 10, 30 및 100 mg/kg에서 각각 48%, 85% (p < 0.01) 및 99% (p < 0.01) 감소를 나타내었다. 일부 마우스에서는 고용량의 화합물 B에 의해 최종 종양이 촉진 및 감지 불능한 종양으로 퇴행되었다.
도 1b: 연속 11일간 10, 30 및 100 mg/kg b.i.d.의 용량으로 FLT3 억제제 화합물 C (일반식 I'의 화합물 74)를 위관 영양법으로 경구투여한 결과, 누드 마우스의 피하에 성장하는 MV4-11 종양의 성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용량 의존적으로 억제되었다. 최종 처리일에(제11일), 평균 종양 부피는 용량 10, 30 및 100 mg/kg에서 용량 의존적으로 비히클 처리군의 평균 종양부피와 비교할 때 각각 22%, 54%(p< 0.01) 및 96%(p< 0.01) 만큼 감소하였다. 100 mg/kg의 용량에서 제1일의 초기평균 종양부피에 대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79% 감소의 종양 퇴행이 관찰되었다. 용량 30 mg/kg에서 유의한 성장 지연이 관찰되었고(대조군 대비 54%I), 시험 최저 용량인 10 mg/kg에서 약간의 성장 지연(대조군 대비 22%I)이 나타났으나 이 효과에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도 2b: 연속 11일간 FLT3 억제제 화합물 C (일반식 I'의 화합물 74)를 경구 투여한 결과, 비히클 처리군의 평균 종양 무게에 대비할 때 통계적으로 유의하며 용량 의존적으로 최종 종양 무게가 감소하여 용량 10, 30 및 100 mg/kg에서 각각 12%, 43% (p < 0.01) 및 91% (p < 0.01) 감소를 나타내었다. 일부 마우스에서는 고용량의 화합물 C에 의해 최종 종양이 촉진 및 감지 불능한 종양으로 퇴행되었다.
연구 진행 중에 마우스들의 체중은 주당 3회(M, W, F) 측정하였으며, 매일 투여시에 임상적으로 불리한 명백한 징후나 약물 관련 부작용이 나타나는지 조사하였다. 화합물 B 또는 C에 대하여 명백한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고, 화합물 B 또는 C를 200 mg/kg/day의 용량으로 11일간 처리할 때까지 체중에 심각하게 불리한 영향이 없었다. 전체적으로, 화합물 B 및 C 모두에 대해 모든 용량군에 걸쳐 체중의 평균감소는 초기체중의 <3% 이었으며, 이는 일반식 I'의 FLT3 억제제가 양호한 용인성을 가졌음을 의미한다.
일반식 I'의 FLT3 억제제가 종양 조직 내에서 기대했던 표적에 도달하는지를 추가로 확인하기 위하여 비히클 및 화합물 처리 마우스로부터 얻어진 종양 조직 내의 FLT3 인산화 수준을 측정하였다. FLT3 억제제 화합물 B (일반식 I'의 화합물 73) 및 FLT3 억제제 화합물 C (일반식 I'의 화합물 74)의 결과는 도 3 및 도 4에 각각 나타내었다. 상기의 약물동력학적 연구를 위하여, 비히클 처리 대조군으로부터 10 마리 마우스를 5 마리씩 2 개의 군으로 무작위 분할하여 비히클 또는 화합물 (100 mg/kg, po)을 추가로 투여하였다. FLT3 인산화를 이뮤노블로팅(immunoblotting)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2 시간 후에 종양을 수거하여 급속냉동하였다.
FLT3 인산화의 이뮤노블롯 분석을 위하여 하기의 방법에 따라 수거된 종양을 처리하였다: 포스파타아제(Sigma Cat# P2850) 및 프로테아제 억제제(Sigma Cat #P8340)를 보충한 용해 완충액(50 mM Hepes, 150 mM NaCl, 10% 글리세롤, 1% 트리톤 X-100, 10 mM NaF, 1 mM EDTA, 1.5 mM MgCl2, 10 mM Na피로포스페이트)에서 종양 조직 100 mg을 다운스(dounce) 균질화하였다. 불용성 잔해를 1000 x g에서 4℃, 5분간 원심분리하여 제거하였다. 맑은 용해물(용해 완충액 내의 10mg/mL에서 단백질 총량 15mg)을 10μg의 아가로즈 접합된 항-FLT3 항체 및 클론 C-20 (Santa Cruz cat # sc-479ac)과 함께 4℃에서 2시간 동안 천천히 교반하였다. 종양 용해물로부터 면역침전된 FLT3를 용해 완충액으로 4회 세척하여 SDS-PAGE로 분리하였다. SDS-PAGE 겔을 니트로셀룰로오즈에 전사하고 항-포스포타이로신 항체(clone-4G10, UBI cat. #05-777)로 이뮤노블로팅한 후 알칼라인 포스파타아제-접합된 염소 항-마우스 2차 항체(Novagen cat. # 401212)로 처리하였다. 9H-(1,3-디클로로-9,9-디메틸아크리딘-2-온-7-일)포스페이트, 디암모늄 염(DDAO 포스페이트)(Molecular Probes cat. # D 6487)를 기질로 하는 알칼라인 포스파타아제 반응의 형광산물을 몰리큘러 다이나믹스 타이푼 이미징 시스템(Molecular Dynamics Typhoon Imaging system, Molecular Dynamics, Sunyvale, CA)으로 측정하여 단백질을 검출하였다. 인산화 신호를 표준화하기 위하여 블롯을 스트립(strip)하여 항-FLT3 항체로 재탐침(reprobe)하였다.
도 3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FLT3 억제제 화합물 B(일반식 I'의 화합물 73) 및 FLT3 억제제 화합물 C(일반식 I'의 화합물 74)의 각각 100 mg/kg 단회용량은 MV4-11 종양에서 FLT3 인산화의 수준을 비히클 처리 마우스의 종양과 대비할 때 생물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FLT3 총량은 하단 플롯에 나타내었다). 상기의 결과는 본 발명의 화합물이 종양 내에서 기대하는 FLT3 표적과 실제로 상호작용함을 보여준다.
다른 FLT3 억제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다른 FLT3 키나아제 억제제에는 하기의 화합물들이 포함된다: AG1295 및 AG1296; 레스타우르티니브(CEP 701, 이전명 KT-5555, Kyowa Hakko, Cephalon이 라이센스 취득); CEP-5214 및 CEP-7055 (Cephalon); CHIR-258 (Chiron Corp.); EB-10 및 IMC-EB10 (ImClone Systems Inc.); GTP 14564 (Merk Biosciences UK). 미도스타우린 (PKC 412, Novartis AG); MLN 608 (Millennium USA); MLN-518 (이전명 CT53518, COR Therapeutics Inc., Millennium Pharmaceuticals Inc.가 라이센스 취득); MLN-608 (Millennium Pharmaceuticals Inc.); SU-11248 (Pfizer USA); SU-11657 (Pfizer USA); SU-5416 및 SU 5614; THRX-165724 (Theravance Inc.); AMI-10706 (Theravance Inc.); VX-528 및 VX-680 (Vertex Pharmaceuticals USA, Novartis (Switzerland)와 Merck & Co USA가 라이센스 취득); 및 XL 999 (Exelixis USA).
제형화
본 발명의 FLT3 키나아제 억제제 및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는 공지된 방법에 의해, 그리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 및 제형화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한 제조 및 제형화 외에도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는 본 명세서에 인용된 간행물과 같이 공지된 방법에 의해서도 제조되거나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형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식 (I), (II), 및 (III)의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의 경우 적절한 예는 WO-97/21701에서 찾을 수 있다. 일반식 (IV), (V), 및 (VI)의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는 WO 97/16443 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 및 제형화할 수 있고, 일반식 (VII) 및 (VIII)의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는 WO 98/40383 및 WO 98/49157 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그리고 일반식 (IX)의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는 WO 00/39082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각각 제조 및 제형화할 수 있다. 티피파니브(Zarnestra™, R115777) 및 그의 저활성 에난티오머는 WO 97/21701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합성할 수 있다. 티피파니브는 가까운 장래에 ZARNESTRA™ 로서 시판될 것으로 보이며, 현재는 주문(계약)에 의해 존슨 & 존슨 의약 연구개발, L.L.C.(Titusville, NJ)로부터 구입할 수 있다.
분리된 약제학적 조성물이 이용될 경우, 활성 성분 FLT3 키나아제 억제제 또는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는 통상의 약제학적 조제기술에 따라 약제학적 담체와 밀접하게 혼합되는데, 투여에 바람직한 제제 형태(경구 또는 근육내와 같은 비경구)에 따라 담체는 광범위하게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활성 성분으로서 FLT3 키나아제 억제제 및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를 둘 다 포함하는 단위형 약제학적 조성물도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개별적인 조성물 또는 단위형 조성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경구 투여형의 경우, 모든 통상적인 약제학적 매질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현탁액, 엘릭시르 및 용액과 같은 액체 경구 제제에 적합한 담체 및 첨가물에는 물, 글리콜, 오일, 알콜, 향미제, 보존제, 발색제 등이 포함되고; 산제, 캡슐제, 캐플릿, 젤캡 및 정제와 같은 고체 경구 제제에 적합한 담체 및 첨가물에는 전분, 슈거, 희석제, 과립제, 윤활제, 결합제, 붕해제 등이 포함된다. 투여의 용이성으로 인하여, 정제 및 캡슐제가 가장 유리한 경구 투여 단위형을 대표하는데, 이 경우 자명하게 고체 약제학적 담체가 사용된다. 필요한 경우, 표준 기술에 의해 정제를 당의정 또는 장용제로 만들 수 있다. 비경구 제제의 경우, 담체는 통상 멸균수를 포함하나, 예를 들어 용해도 개선 또는 보존을 위한 목적으로 다른 성분이 포함될 수도 있다. 주사용 현탁액도 제조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적절한 액체 담체, 현탁제 등이 사용된다. 서방성 제제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대표적으로 고분자 담체와 같은 서방성 담체와 본 발명의 화합물을 먼저 유기용매에 녹이거나 분산시킨다. 유기 용액을 수용액에 가하여 수중유형 에멀젼을 얻는다. 바람직하게는 수용액에 계면활성제가 포함된다. 이어서, 수중유형 에멀젼으로부터 유기용매를 증발시켜 서방성 담체 및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입자들의 콜로이드성 현탁액을 얻는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예를 들어 정제, 캡슐제, 산제, 주사제, 스푼 등의 투여단위당 상기의 유효 용량을 전달하기 위한 양의 활성 성분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예를 들어 정제, 캡슐제, 산제, 주사제, 좌제, 스푼 등의 투여단위당 1일 약 0.01 - 200 mg/kg 체중을 함유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범위는 1일 약 0.03 - 약 100 mg/kg 체중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일 약 0.05 - 약 10 mg/kg 체중이다. 화합물은 1일 1 - 5회의 처방으로 투여할 수 있다. 그러 나 용량은 환자의 필요, 치료하고자 하는 증상의 중증도 및 사용하는 화합물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매일 투여 또는 간헐적 투여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들은 정제, 환제, 캡슐제, 산제, 과립제, 멸균 비경구 용액 또는 현탁액, 계량 에어로졸(metered aerosol) 또는 액체 분무제, 드롭제, 앰풀(ampoules), 자동 주입기(auto-injector device), 또는 좌제와 같은 단위 투약형으로서; 경구 장관외(oral parentaral), 비강내, 설하, 직장내 투여, 또는 흡입 또는 취입 투여를 위한 것이다. 다른 형태로서, 조성물은 주 1회 또는 월 1회 투여에 적합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활성 화합물의 데카노산염과 같은 불용성 염이 근육 주사를 위한 데포 제제(depot preparation)를 제공하기 위해 채용될 수 있다. 정제와 같은 고체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통상의 정제 성분인 옥수수 전분, 락토오즈, 수크로오즈, 솔비톨, 탈크,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디칼슘 포스페이트 또는 검과 같은 약제학적 담체 및 물과 같은 약제학적 희석제와 주 활성 성분을 혼합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의 균질한 혼합물을 함유하는 고체 예비제형 조성물을 만든다. 이러한 예비제형 조성물의 균질성은, 활성 성분이 조성물 전체에 고르게 분산되어 조성물을 정제, 환제, 캡슐제 등의 동등한 효능을 지닌 투여형으로 쉽게 분할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고체 예비제형 조성물은 본 발명의 활성 성분 0.1 내지 약 500 mg을 함유하는 상기의 단위 투여형으로 분할된다. 신규 조성물의 정제 또는 환제는 코팅되거나 조성되어 지속적 작용의 이점을 지닌 투여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환제는 내부 투여 및 외부 투여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후자가 전자의 외피를 이룰 수 있다. 위장 내에서의 붕해를 방지하고 내부 구성요소가 원형대로 십이지장에 도달하게 하거나 방출을 지연시키는 역할을 하는 장용층으로 두 구성요소를 구분할 수 있다. 장용층 또는 코팅에는 쉘락(shellac), 아세틸 알콜 및 셀룰로오즈 아세테이트 등의 여러 가지 고분자산을 포함하는 다양한 물질들이 사용될 수 있다.
FLT3 키나아제 억제제 및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를 개별적으로 (또는 단위형 조성물의 경우 둘다) 포함하는 경구 투여 또는 주사용 액체 형태로는 수용액, 적당히 향미된 시럽,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 면실유, 참기름, 코코넛유 또는 땅콩유와 같은 식용유, 엘릭시르 및 유사한 약제학적 비히클로 향미된 에멀젼을 들 수 있다. 수성 현탁액에 사용하기에 적당한 분산제 또는 현탁제는 합성 및 천연 검, 예를 들어, 트라가칸트, 아카시아, 알긴산염, 덱스트란, 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오즈, 메틸셀룰로오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또는 젤라틴을 포함한다. 적당히 향미된 현탁제 또는 분산제 중의 액체 형태도 합성 및 천연 검, 예를 들어, 트라가칸트, 아카시아, 메틸셀룰로오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에는 멸균 현탁액 및 용액이 바람직하다. 정맥 투여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적당한 보존제를 포함하는 등장성 제제가 사용된다.
FLT3 키나아제 억제제 및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가 단일의 1일 용량(개별적으로 또는 단위형 조성물로서)으로 투여되거나, 총 1일 용량이 1일 2, 3 또는 4회의 분리된 용량으로 투여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개별적으로 또는 단위형 조성물로서)은 적당한 비내 비히클의 국소 사용 또는 당업자에게 주지된 경피 피부 패치제를 통해 비내 투여될 수 있다. 경피 전달 시스템 형태로 투여되기 위해서는 간헐적이지 않고 지속적인 용법의 용량 투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제 형태로 경구 투여하는 경우 활성 약물 구성요소 (FLT3 키나아제 억제제 및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가 개별적으로, 또는 단위형 조성물의 경우에는 함께)가 에탄올, 글리세롤, 물 등의 경구, 무독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불활성 담체와 배합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적당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및 착색제도 혼합물에 혼입될 수 있다.
적당한 결합제는 전분, 젤라틴, 천연 슈거, 예를 들어, 글루코오즈 또는 베타-락토오즈, 옥수수 감미제, 천연 및 합성 검, 예를 들어, 아카시아, 트라가칸트 또는 소듐 올레이트, 소듐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소듐 클로라이드 등을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붕해제는 전분, 메틸 셀룰로오즈, 아가, 벤토나이트, 잔탄검 등을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하루 용량은 성인의 경우 하루 1 내지 5000 mg으로 광범위하다. 경구투여되는 경우, 조성물은 치료될 환자의 증상에 따라 조절된 활성 성분 0.01, 0.05, 0.1, 0.5, 1.0, 2.5, 5.0, 10.0, 15.0, 25.0, 50.0, 100, 150, 200, 250 및 500 밀리그램을 포함하는 정제 형태로 바람직하게 제공된다. 약물의 유효량은 대개 하루 약 0.01 내지 약 200 mg/kg 체중의 용량 수준으로 공급된다. 특히, 하루 약 0.03 내지 약 15 mg/kg 체중의 범위, 좀더 특히 하루 약 0.05 내지 약 10 mg/kg 체중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FLT3 키나아제 억제제 및 파네실 트 랜스퍼라제 억제제는 개별적으로 또는 단위형 조성물의 경우 함께 하루 4회 이하 또는 그 이상의 횟수로 투여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하루 1 또는 2회 투여된다.
투여의 최적 용량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으며, 사용될 특정 화합물, 투여 방식, 제제의 강도, 투여 방식 및 질병 증상의 진행 정도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연령, 체중, 식이 및 투여 시간과 같이 치료되어야 할 특정 환자와 관련된 요소가 용량을 조절하는데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FLT3 키나아제 억제제 및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는 소 단층 소포(small unilamellar vesicle), 대 단층 소포 및 다층 소포(multilamellar vesicle)와 같은 리포좀 전달 시스템 형태로도 (개별적으로 또는 단위형 조성물로) 투여될 수 있다. 리포좀은 양친매성(amphipathic) 지질, 예를 들어, 포스파티딜콜린, 스핑고미엘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파티딜콜린, 카디오리핀,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딜글리세롤, 포스파티드산, 포스파티딜이노시톨, 디아실 트리메틸암모늄 프로판, 디아실 디메틸암모늄 프로판, 및 스테아릴아민, 중성 리피드, 예를 들어, 트리글리세리드, 및 그의 배합물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는 않는 다양한 지질로부터 형성할 수 있다. 이들은 콜레스테롤을 포함할 수도 있고,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FLT3 키나아제 억제제 및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는 (개별적으로 또는 단위형 조성물로서) 국소 투여될 수 있다. 혈관내 약물 전달 카테터, 와이어, 약리학적 스텐트 및 관내 페이빙을 포함하는 전달 기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기구를 사용하는 전달 시스템으로서 투여자에 의해 조절된 속도로 화합물을 전달하는 국소 주입 카테터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관강내 의료 기구, 바람직하게는 스텐트와 치료 용량의 FLT3 키나아제 억제제 및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기구를 제공한다. 변법으로, 본 발명에 따라 관강내 의료 기구, 바람직하게는 스텐트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기구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FLT3 키나아제 억제제 및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 중의 한가지 또는 둘 다의 치료 용량을 개별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용어 "스텐트"는 카테터에 의해 전달될 수 있는 모든 기구를 의미한다. 스텐트는 통상 외과적 외상으로 인한 혈관 조직의 불필요한 내적 성장과 같은 물리적 이형으로 인한 혈관 폐쇄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는 종종 도관강 내에 남겨져 폐색을 구제하기에 적합한 튜브형의 확장된 격자-타입 구조를 가진다. 스텐트는 관강 벽-접촉 표면 및 관강-노출된 표면을 가진다. 관강-벽 접촉 표면은 튜브의 외부 표면이고, 관강-노출된 표면은 튜브의 내부 표면이다. 스텐트는 중합체, 금속, 또는 중합체 및 금속 재질일 수 있고, 임의로 생분해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FLT3 키나아제 억제제 및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를 (개별적으로 또는 단위형 조성물로서) 다수의 방법으로 몇 가지 생체적합성 물질을 사용하여 스텐트 내로 도입하거나 부착시킬 수 있다. 한가지 예시적 구체예에서, 화합물을 중합체성 매트릭스, 예를 들어 중합체 폴리피롤 내로 직접 도입한 다음, 스텐트의 외부 표면을 코팅한다. 화합물은 중합체를 통한 확산에 의해 매트릭스로부터 용출된다. 스텐트 및 스텐트상의 약물 코팅법은 당분야에 구체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다른 예시적 구체예에서는 스텐트를 화합물,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폴리부틸메타크릴레이트 용액을 포함하는 염기 층으로 먼저 코팅한다. 그 다음, 폴리부틸메타크릴레이트 만을 포함하는 외부 층으로 스텐트를 코팅한다. 외부 층은 확산 장벽으로 작용하여 화합물이 너무 일찍 용출되어 주변 조직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아준다. 외부 층 또는 탑코팅(topcoat)의 두께에 의해 화합물이 매트릭스로부터 용출되는 속도가 결정된다. 스텐트 및 코팅 방법은 문헌(WO9632907, US 2002/0016625 및 본 명세서에 개시된 문헌)에 자세히 개시되어 있다.
하기 실험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 그의 예시적 구체예, 및 이점을 좀더 잘 이해시키고 설명할 수 있다.
실험예
FTI 및 FLT3 억제제의 배합물을 이용한 AML 세포 성장의 억제를 시험하였다. 두가지 FTI, 티피파니브 및 FTI 화합물 176 ("FTI-176), 및 8개의 신규 FLT3 억제제: 화합물 A, B, C, D, E, F GH를 FLT3-의존성 세포 타입의 성장을 시험관 내에서 억제하기 위해 사용하였다(시험 화합물을 도시한 도 5 참조). 비고: FLT3 억제제 화합물 B는 일반식 I'의 대표적 화합물 No. 73 에 해당하고, FLT3 억제제 화합물 C는 일반식 I'의 대표적 화합물 No. 74에 해당한다.
시험에 사용된 세포주는 FLT3ITD 돌연변이 활성에 의존하여 성장하거나(MV4-11 및 Baf3-FLT3ITD) FLT3wt 활성에 의존하여 성장하거나(Baf3FLT3) FLT3 활성에 무관하게 성장하는(THP-1) 것들을 포함한다. MV4-11 (ATCC Number: CRL-9591) 세포는 MLL 유전자 재배열을 야기하는 11q23 전좌 및 FLT3-ITD 돌연변이(AML 서브타입 M4)를 가진 유년기 급성 골수단구성 백혈병 환자로부터 유래되었다(Drexler HG. The Leukemia-Lymphoma Cell Line Factsbook. Academic Pres: San Diego, CA, 2000 및 Quentmeier H, Reinhardt J, Zaborski M, Drexler HG. FLT3 mutations in acute myeloid leukemia cell lines. Leukemia. 2003 Jan;17:120-124). Baf3-FLT3 및 Baf3-FLT3ITD 세포주는 오레곤 헬스 사이언스 유니버시티 및 마이클 하인리히 박사로부터 입수하였다. Baf3 FLT3 세포주는 모체 Baf3 세포(사이토킨 IL-3에 의존하여 성장하는 쥐과 B 세포 림프종 세포주)를 야생형 FLT3 또는 수용체의 세포막 주변 도메인에 그 구조적 활성화를 야기하는 ITD 삽입을 가진 FLT3로 안정적으로 형질감염시켜서 만들었다. IL-3의 부재 및 FLT3 리간드의 존재(Baf3-FLT3) 또는 성장인자에 비의존성(Baf3-ITD)인 조건 하에서 생존하는 능력을 기준으로 세포를 선별하였다. THP-1 (ATCC Number: TIB-202) 세포는 N-Ras 돌연변이를 보유하고 FLT3 비정상은 없는 유년기 AML 환자로부터 분리되었다. 세포들이 작용성 FLT3 수용체를 발현하지만, THP-1 세포는 FLT3 활성에 비의존적으로 생존하며 성장한다(데이터 미공개).
개별적 화합물들 단독의 용량 반응은 각각의 세포주에 대하여 표준 72시간 세포 증식 활성조사를 이용하여 결정하였다(도 6a-6h). 표준 화학요법제 사이타라빈을 모든 실험에서 세포독성 약제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FTI 티피파니브는 세포 타입에 따라 높은 나노몰에서 높은 피코몰 범위의 효능을 가진다. FLT3 억제제 화합물 A, B, C, D, E, F, GH는 FLT3에 의존하여 성장하는 세포에서 FLT3에 의해 유발된 증식의 억제에 있어서 개별적으로 우수한 효능(마이크로몰 이하)을 나타내었다 (제일선의 세포독성 약제 사이타라빈 및 티피파니브와 비교할 때). 화학적으로 상이한 이들 화합물 각각은 FLT3 양성 AML과 같은 FLT3 관련 질환의 치료에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사이타라빈의 증식 억제는 앞서 보고된 MV4-11 세포에서의 그의 시험관내 활성과 유사하다(1-2μM) (Levis, M., et al. (2004) "In vitro studies of a FLT3 inhibitor combined with chemotherapy: sequence of administration is important to achieve synergistic cytotoxic effects." Blood. 104(4):1145-50). 시험한 FLT3 억제제들은 THP-1 증식에 효과가 없었다. 각 화합물에 대한 각 세포주에서의 IC50 계산은 뒤에 이어지는 배합물 실험에서 세포 증식에 대한 화합물 배합의 상승효과를 계산하는데 사용되었다(도 10a-10h표 1-3).
티피파니브 효능에 대한 FLT3 억제제 화합물 A의 단일 용량(sub-IC50)의 효과를 시험하였다. 각각의 세포주를 한가지 용량의 FLT3 억제제 화합물 A 및 다양한 용량의 티피파니브로 동시 처리한 후, 세포 증식을 표준 72시간 세포 증식 프로토콜에 따라 평가하였다. 티피파니브의 IC50을 본 명세서의 생물학적 활성 섹션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계산하였다(도 7a-c 에 FLT3 억제제 화합물 A 및 티피파니브 배합에 대한 결과를 도시하였다). 시험한 세포주는 FLT3ITD 돌연변이 활성에 의존하여 성장하는 세포 (MV4-11 및 Baf3-FLT3ITD), FLT3wt 활성에 의존하여 성장하는 세포(Baf3FLT3) 및 FLT3 활성에 비의존적으로 성장하는 세포(THP-1)를 포함한 다.
FLT3 억제제 화합물 A는 AML(MV4-11) 및 FLT3 의존성 세포(Baf3-ITD 및 Baf3-FLT3) 증식의 억제에 대한 FTI 티피파니브의 효능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 FLT3 억제제 화합물 A의 단일 서브-IC50 용량을 (a) MV4-11 (50nM); (b) Baf3-ITD (50nM) 및 (c) Baf3-FLT3 (100nM) 세포에 투여했을 때, 시험한 각 세포주에서 티피파니브의 효능은 3배 이상 증가하였다. 이는 유의적인 상승효과를 의미한다.
다음에는, FTI 티피파니브 및 FLT3 억제제 화합물 A의 단일 용량 배합물을 MV4-11, Baf3-ITD 및 Baf3-FLT3 세포주에서 평가하였다. 이 단일 용량 배합물의 개요는 임상에서 사용되는 화학요법 조합의 투여전략을 좀더 면밀히 대표한다. 이 방법으로 세포를 단일 서브-IC50 용량의 각 화합물 또는 화합물의 배합물로 동시에 처리한 후 증식의 억제를 관찰하였다. 이 방법에 의하여, 서브-IC50 용량의 FTI 티피파니브 및 FLT3 억제제 화합물 A의 배합물이 AML 세포주 MV4-11 및 다른 FLT3 의존성 세포의 성장 억제에 있어서 상가 이상의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도 8a-d). 상기의 티피파니브와의 상승효과는 FLT3 비의존성으로 증식하는 세포(THP-1)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상기의 상승효과는 FLT3 억제제 화합물 A와 사이타라빈의 배합에서도 관찰되었다.
이 밖에도, FLT3 억제제 및 FTI의 단일 용량 배합물을 시험하여 이러한 활성이 화합물 특이적인지 또는 메카니즘에 기초한 것인지 결정하였다. FLT3 억제제 화합물 B 또는 D와 티피파니브의 단일 서브-IC50 용량의 MV4-11 증식 억제 효과를 시험하였다. 티피파니브 및 FLT3 억제제 화합물 A의 배합물과 유사하게, FLT3 억제제 화합물 B 또는 D와 티피파니브의 배합물도 FLT3 의존성 MV4-11 세포의 증식을 상가 이상의 효능으로 억제하였다. 이는 모든 FLT3 억제제와 FTI의 배합물이 FLT3 의존성 AML 세포의 증식을 상승적으로 억제함을 제시한다. 이러한 관찰은 신규한 것으로서 당업자에게 자명하지 않다. FLT3 억제제 화합물 B 또는 D 및 사이타라빈의 배합물에 있어서도 상승효과가 관찰되었다.
FLT3 의존성 세포주에서 FLT3 억제제와 FTI의 상승효과를 통계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용량 배합물들을 Chou 및 Talalay의 방법으로 평가하였다(Chou TC, Talalay P. (1984) "Quantitative analysis of dose-effect relationships: the combined effects of multiple drugs or enzyme inhibitors." Adv Enzyme Regul. 22:27-55). 이 방법을 사용하여 억제제들을 각 화합물 단독의 IC50 용량 비율로 동시에 세포에 가하였다. 수집된 데이터에 대하여 Chou 및 Talalay에 의해 기술된 바에 따라 고정비 용량 배합물의 이소볼라(isobolar)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분석을 이용하여 배합 지표 또는 CI를 생성하였다. CI 수치 1은 상가적으로 작용하는 화합물에 해당한다; CI 수치 <0.9일 경우 상승적으로 판단하고 CI 수치 >1.1은 길항적으로 판단한다. 다중 FTI 및 FLT3 배합물을 상기의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각각의 실험적 배합물에 대하여 개별적 화합물 (도 6a-6h) 각각의 FLT3 의존성 세포주에서의 IC50을 계산한 후 표준 세포증식 활성조사에서 고정비 투여(9,3,1,1/3, 1/9 x 개별적 화합물의 IC50을 포함하는 용량범위에서)를 실시하였다. 도 10a-10h 는 Chou 및 Talalay의 방법에 따라 칼쿠신 소프트웨어(Calcusyn software, Biosoft)를 이용하여 얻어진 이소볼라 분석 고정비 투여의 초벌 데이터를 요약하고 있다. 이소볼로그램을 사용하여, 상승효과를 도식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상가적 배합물들의 자료점들은 주어진 용량 어펙트(dose affect)에서 이소볼라 선을 따라 위치한다(CI = 1). 상승적 배합물의 자료점들은 주어진 용량 어펙트에서 이소볼라 선의 좌측 또는 아래에 위치한다(CI < 0.9). 길항적 배합물의 자료점들은 주어진 용량 어펙트에서 이소볼라 선의 우측 또는 위에 위치한다(CI > 1.1). 도 10a의 a-c는 MV4-11, Baf3-ITD 및 Baf3-wtFLT3에서의 FLT3 억제제 화합물 A와 티피파니브의 배합물에 대한 이소볼라 분석을 요약하고 있다. 이소볼라 분석에 의하면, 세포 증식의 50% 억제(ED50), 세포 증식의 75% 억제(ED75), 및 세포 증식의 90% 억제(ED90)를 유발하는 배합물 용량을 포함하여 실험적으로 결정된 모든 자료점에서 상승효과가 관찰되었다. 이들 자료점들은 각각 이소볼라(또는 상가적) 선의 좌측에 유의적으로 위치함으로써 상승효과를 나타낸다. FLT3 억제제 화합물 A와 티피파니브의 배합물은 시험한 각각의 FLT3 의존성 세포주에서 증식 억제의 유의적 상승효과를 유발하였다. 도 10a의 a-c에 도시된 이소볼로그램의 배합 지표들은 하기 표 1-3에 기재되어 있다.
그 외에도, 도 10b의 a-b은 화학적으로 상이한 FLT3 억제제, FLT3 억제제 화합물 B 및 티피파니브의 배합물에 대한 이소볼라 분석을 요약하고 있다. FLT3 억제제 화합물 A와 티피파니브 배합물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FLT3 억제제 화합물 H와 티피파니브 배합물도 시험한 모든 FLT3 의존성 세포주 및 시험한 모든 용량에서 세 포 증식을 억제하는 상승효과를 나타내었다. 도 5.2a-c에 도시한 이소볼라그램의 배합 지표는 하기 표 1-3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도 5.3a-c는 티피파니브와 추가의 화학적으로 상이한 FLT3 억제제(FLT3 억제제 화합물 E)의 배합물에 대한 이소볼라 분석을 요약하고 있다. 시험한 다른 배합물들과 마찬가지로, FLT3 억제제 화합물 E와 티피파니브의 배합물은 3개의 상이한 세포주에 대해 시험한 모든 용량에서 FLT3 의존성 증식을 상승적으로 억제하였다. 도 5.3a-c에 도시한 이소볼라그램에 대한 배합 지표는 하기 표 1-3에 기재되어 있다.
배합물 연구를 추가로 확장하기 위하여, 티피파니브와 상승효과를 나타낸 각각의 FLT3 억제제들을 다른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 FTI-176과 배합하여 시험하였다. 표 1-3은 상기의 3개 FLT3 의존성 세포주에서 시험한 모든 배합의 결과를 요약하고 있다. 각 배합의 배합 지표는 표 1-3에 기재되어 있다.
표 1
표 1: FLT3 억제제와 FTI의 배합물(시험한 모든 배합물)이 배합 지표(CI)에 의해 측정되는 바와 같이 MV4-11 AML 세포의 증식을 상승적으로 억제한다. 배합은 하기의 생물학적 활성 측정 섹션에 요약된 증식에 대한 개별적 화합물 IC50의 고정비에서 실시하였다. IC50 및 CI 수치는 Chou 및 Talalay의 방법에 의해 칼쿠신 소프트웨어(Biosoft)를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CI 및 IC50 수치는 자료점당 삼중측정을 실시하는 독립적 3회 실험의 평균이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663
표 2
표 2: FLT3 억제제와 FTI의 배합물(시험한 모든 배합물)이 배합 지표(CI)에 의해 측정되는 바와 같이 100ng/mL의 FLT 리간드로 자극한 Baf3-FLT3 세포의 증식을 상승적으로 억제한다. 배합은 하기의 생물학적 활성 측정 섹션에 요약된 증식에 대한 개별적 화합물 IC50의 고정비에서 실시하였다. IC50 및 CI 수치는 Chou 및 Talalay의 방법에 의해 칼쿠신 소프트웨어(Biosoft)를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CI 및 IC50 수치는 자료점당 삼중측정을 실시하는 독립적 3회 실험의 평균이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664
표 3
표 3: FLT3 억제제와 FTI의 배합물(시험한 모든 배합물)이 배합 지표(CI)에 의해 측정되는 바와 같이 Baf3-ITD 세포의 증식을 상승적으로 억제한다. 배합은 하기의 생물학적 활성 측정 섹션에 요약된 증식에 대한 개별적 화합물 IC50의 고정비에서 실시하였다. IC50 및 CI 수치는 Chou 및 Talalay의 방법에 의해 칼쿠신 소프트웨어(Biosoft)를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CI 및 IC50 수치는 자료점당 삼중측정을 실시하는 독립적 3회 실험의 평균이다.
Figure 112008001726558-PCT00665
사용한 모든 FLT3 의존성 세포주에 대하여 시험한 FTI와 FLT3의 모든 배합에 있어서 배합 투여의 상승효과가 관찰되었다. FTI와 FLT3 억제제의 배합은 개별적인 화합물들의 항증식 효과를 평균 3-4배 감소시킨다. 결론적으로, FLT3 억제제와 FTI의 배합에 의해 나타나는 상승효과는 메카니즘에 기초한 현상이며 개별적 FTI 또는 FLT3 억제제의 특이적 화학 구조와 관련된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승적 성 장 억제는 FLT3 억제제와 티피파니브 또는 다른 모든 FTI의 모든 배합에서 관찰될 것이다.
FLT3 관련 질환 치료의 궁극적 목표는 질병을 유발하는 세포를 살해하고 질병의 퇴행을 유도하는 것이다. FTI/FLT3 억제제 배합이 FLT3 의존성 질병 유발 세포, 특히 AML, ALL 및 MDS 세포들의 세포 사멸에 대해 상승적인지 조사하기 위하여, 티피파니브와 FLT3 억제제 화합물 A의 배합이 MV4-11 세포에서 형광 표지된 아넥신 V 염색을 증가시키는 능력이 있는지 시험하였다. 세포막의 내막으로부터 외막으로 전좌된 포스파티딜 세린에 대한 아넥신 V의 결합은 세포 고사를 측정하는 확립된 방법이다(van Engeland M., L.J. Nieland, et al. (1998) "Annexin V-affinity assay: a review on an apoptosis detection system based on phosphatidylserine exposure." Cytometry. 31(1):1-9).
티피파니브와 FLT3 억제제 화합물 A를 MV4-11 세포와 단독으로 또는 고정비(각 제제 단독에 대해 계산된 EC50에 기초하여 4:1)로 표준 세포배양조건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화합물 배양후 처리된 세포를 회수하고 생물학적 활성 측정 섹션의 프로토콜에 따라 구아바 넥신 고사 키트(Guava Nexin apoptosis kit)를 사용하여 아넥신 V-PE 및 7-AAD로 염색하였다. 고사의 후반부에서 세포들은 흩어지기 시작하여 파편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아넥신 V 염색은 60%에서 피크를 보인다. 그러나, 데이터가 일관된 시그모이달 동력학을 보이기 때문에 이로부터 EC50을 계산할 수 있다. 도 11a에 요약된 데이터로부터 티피파니브와 FLT3 억제제 화합물 A의 배 합물이 MV4-11 세포의 고사를 유도하는 데 있어서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에 비해 유의적으로 강력하다는 결론을 지을 수 있다. FLT3 억제제 화합물 A의 아넥신 V 염색 유도를 위한 EC50은 4 배 이상 이동하였다. FTI 티피파니브의 아넥신 V 염색 유도를 위한 EC50은 8 배 이상 이동하였다. 상기 Chou 및 Talalay의 방법을 사용한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여 배합물의 상승효과를 결정하였다. 도 11b는 아넥신 V 염색을 유도하는 데 있어서 티피파니브 및 FLT3 억제제 화합물 A 배합물의 이소볼라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모든 자료점은 이소볼라 선의 좌측에 유의적으로 위치한다. 배합물의 CI 수치를 도 11c의 표에 열거하였다. FLT3 억제제와 FTI의 배합물에 의한 아넥신 V 염색(및 고사 유도)에 대해 관찰되는 상승효과는 증식에 대해 관찰되는 상승효과보다 더욱 뚜렷하였다. FTI와 FLT3 억제제 배합물이 MV4-11 세포 고사 유도에 대해 나타내는 상승효과의 크기는 당업자가 예측할 수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증식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FLT3 억제제와 FTI의 모든 배합물이 FLT3 의존성 세포(FLT3 질환 유발 세포, 특히 AML, ALL 및 MDS)의 고사를 유도하는 데에도 상승적임을 알 수 있다.
FLT3 억제제와 FTI 배합물이 FLT3 의존성 세포들의 고사를 상승적으로 활성화시킴을 확인하기 위하여 몇가지 FLT3 억제제와 FTI 티피파니브 배합물에 대해 MV4-11 세포에서 캐스파제 3/7의 활성을 유도하는 능력을 시험하였다. 고사에 의한 세포사멸과정의 최종 실행의 결정적 단계인 캐스파제 활성화는 성장인자 감소(withdrawal) 또는 성장인자 수용체 억제를 포함한 다양한 세포 자극에 의해 유 도될 수 있다(Hengartner, MO. (2000) "The biochemistry of apoptosis." Nature 407:770-76 및 Nunez G, Benedict MA, Hu Y, Inohara N. (1998) "Caspases: the proteases of the apoptotic pathway." Oncogene 17:3237-45). 세포 캐스파제의 활성화는 합성 캐스파제 3/7 기질이 절단되어 루시페라제 효소에 대한 기질을 방출하고 효소에 의해 기질이 발광물질로 전환되는 것을 이용하여 관찰할 수 있다( Lovborg H, Gullbo J, Larsson R. (2005) "Screening for apoptosis-classical and emerging techniques." Anticancer Drugs 16:593-9). 캐스파제 활성화는 생물학적 활성 측정 섹션의 프로토콜에 따라 프로메가사(Madison, WI)의 캐스파제 글로 테크놀로지를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배합물의 상승효과 분석을 위한 용량비를 확립하기 위하여 개별적인 EC50을결정하였다. 도 12a-d에 각 화합물의 EC50 값을 요약하였다. 배합실험에서 티피파니브와 FLT3 억제제 화합물 B, C 및 D를 표준 세포배양 조건 하에 24 시간 동안 다양한 용량(9, 3, 1, 1/3, 1/9 x 개별 화합물 EC50을 포함하는 범위)에서 고정비(각 화합물 단독에 대해 계산된 EC50에 기초)로 MV4-11 세포와 배양하였다. 24시간 후에 제조원의 지시에 따라 생물학적 활성 측정 섹션에 구체적으로 기재된 방법으로 캐스파제 3/7 활성을 측정하였다. 도 13a-13c에는 MV4-11 세포에서 티피파니브 및 FLT3 억제제 화합물 B, C 및 D 배합물이 나타내는 캐스파제 활성화의 상승효과(앞에서 기술된 Chou 및 Talalay의 방법으로)가 요약되어 있다. 시험된 모든 용량 및 모든 배합물에서 상승효과가 관찰되었다. 캐스파제 활성화(및 고사 유도)에 대해 관찰된 FLT3 억제제 및 FTI 배합물의 상승효과는 MV4-11 세포에서 증식에 대해 관찰된 상승효과보다 훨씬 더 뚜렷하였다. FTI와 FLT3 억제제 배합물이 MV4-11 세포 고사 유도에 대해 나타내는 상승효과의 크기는 당업자가 예측할 수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증식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FLT3 억제제와 FTI의 모든 배합물이 FLT3 의존성 세포(FLT3 질환 유발 세포, 특히 AML, ALL 및 MDS)의 고사를 유도하는 데에도 상승적임을 알 수 있다.
FLT3 수용체 및 MAP 키나아제와 같은 다운스트림 키나아제의 인산화가 FLT3 수용체의 증식효과에 필요하다는 사실이 잘 알려져 있다(Scheijen, B. and J. D. Griffin (2002) "Tyrosine kinase oncogenes in normal hematopoiesis and hematological disease." Oncogene 21(21): 3314-33). FLT3 억제제 및 FTI에 의해 관찰되는 상승효과의 분자 메커니즘이 AML 세포증식 및 생존에 필요한 FLT3 수용체 신호의 화합물에 의한 감소와 관련되어 있다고 생각한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 MV4-11 세포에서 FLT3-ITD 수용체 및 FLT3 수용체 활성의 다운스트림 표적, MAP 키나아제(erk1/2)의 인산화 상태를 생물학적 활성 측정 섹션에 기재된 프로토콜에 따라 상업적으로 구입할 수 있는 시약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표준 세포성장조건 하에 48시간 동안 표시된 농도의 FLT3 억제제 화합물 A 단독 또는 티피파니브와의 배합물로 MV4-11 세포를 처리하였다. FLT3 인산화를 분석하기 위해 세포를 회수하고 FLT3를 면역침전시키고 SDS-Page로 분리하였다. MAP 키나아제(erk1/2) 인산화를 분석하기 위해 세포를 회수하고, 용해시키고, SDS-Page로 분리하고 이뮤노블로팅 분석용 니트로셀룰로오즈에 전사하였다. FLT3 인산화의 정량분석을 위하여 이 뮤노블롯을 포스포타이로신 항체로 탐침하고 포스포FLT3 신호를 몰리큘러 다이나믹스 타이푼 이미지 분석으로 정량하였다. 이뮤노블롯을 스트립하고 재탐침하여 총 FLT3 단백질 신호를 정량하였다. 총 단백질 신호에 대한 인산화 비율을 사용하여 화합물 용량 반응의 대략적인 IC50을 계산하였다. MAP 키나아제(ERK1/2) 인산화의 정량분석을 위하여 이뮤노블롯을 포스포특이적 ERK1/2 항체로 탐침하고 포스포ERK1/2 신호를 몰리큘러 다이나믹스 타이푼 이미지 분석으로 정량하였다. 이뮤노블롯을 스트립하고 재탐침하여 총 ERK1/2 단백질 신호를 정량하였다. 총 단백질 신호에 대한 인산화 비율을 사용하여 화합물 용량 반응의 대략적인 IC50을 계산하였다. 그라프패드 프리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IC50 수치를 계산하였다. 결과를 도 14에 요약하였다.
티피파니브와 FLT3 억제제 화합물 A의 배합물이 FLT3 인산화 및 MAP 키나아제 인산화의 억제에 대한 FLT3 억제제 화합물 A의 효능을 2~3배 증가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는 항-증식 효과에 대한 화합물의 효능 증가와도 일치한다. FTI/FLT3 억제제 배합물에 의해 관찰되는 FLT3 인산화 효과는 이전에 보고된 바 없다. FLT3 인산화에 대한 상기 효과의 메카니즘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상기 언급된 증식 억제에 대해 축적된 실험결과에 기초하여 모든 FTI/FLT3 억제제 배합물이 나타낼 것이라 예상된다.
시험관내 생물학적 활성 측정
시약 및 항체
셀 타이터글로 증식 시약은 프로메가 코포레이션으로부터 입수하였다. 프로테아제 억제제 칵테일 및 포스파타아제 억제제 칵테일 II는 시그마 (St. Louis, MO)에서 구매하였다. 구아바넥신 고사 시약은 구아바 테크놀로지 (Hayward, CA)에서 구매하였다. 수퍼블록 완충액 및 수퍼시그널 피코 시약은 피어스 바이오테크놀로지(Rockford, IL)에서 구매하였다. 형광 편광 타이로신 키나아제 키트(Green)은 인비트로젠으로부터 입수하였다. 마우스 항-포스포타이로신(4G10) 항체는 업스테이트 바이오테크놀로지 인크.(Charlottesville, VA)에서 구매하였다. 항-인간 FLT3 (토끼 IgG)은 산타 크루즈 바이오테크놀로지 (Santa Cruz, CA)에서 구매하였다. 항-포스포 MAP 키나아제 및 총 p42/44 Map 키나아제 항체는 셀 시그널링 테크놀로지(Beverly, MA)로부터 구매하였다. 알칼라인 포스포타아제-접합된 염소-항-토끼 IgG 및 염소-항-마우스 IgG 항체는 노바젠(San Diego, CA)에서 구매하였다. DDAO 포스페이트는 몰리큘러 프로브(Eugene, OR)에서 구매하였다. 모든 조직 배양 시약들은 바이오휘테커(Walkersville, MD)에서 구매하였다.
세포주
THP-1 (Ras 돌연변이, FLT3 야생형) 및 인간 MV4-11 (t15;17 전좌를 가진 AML 환자로부터 분리된 ITD 돌연변이 또는 FLT3-내부 직렬 중복을 구조적으로 발현함) AML 세포(Drexler HG. The Leukemia-Lymphoma Cell Line Factsbook. Academic Pres: San Diego, CA, 2000 및 Quentmeier H, Reinhardt J, Zaborski M, Drexler HG. FLT3 mutations in acute myeloid leukemia cell lines. Leukemia. 2003 Jan;17:120-124)는 ATCC (Rockville, MD)로부터 분양 받았다. 인간 야생형 FLT3(Baf3-FLT3) 및 ITD-돌연변이 FLT3(Baf3-ITD)를 발현하는 IL-3 의존성 쥐과 B-세포 전구세포주 Baf3는 마이클 하인리히 박사(Oregon Health Sciences University)로부터 입수하였다. 세포는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10% FBS 단독(THP-1, Baf3-ITD) 및 2ng/ml GM-CSF(MV4-11) 또는 10ng/ml FLT 리간드(Baf3-FLT3)를 함유하는 RPMI 배지에서 유지하였다. MV4-11, Baf3-ITD 및 Baf3-FLT3 세포들은 모두 FLT3 활성에 절대적으로 의존하여 성장한다. GM-CSF는 MV4-11 세포에서 FLT3-ITD 수용체의 활성을 증대시킨다.
MV4 -11, Baf3 - ITD , Baf3 - FLT3 THP -1 세포에 대한 세포증식 활성조사
시험 화합물들에 의한 증식 억제를 측정하기 위하여 루시페라제에 기초한 셀타이터글로 시약(프로메가)을 사용하였다.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10% FBS 단독 (THP-1, Baf3-ITD) 및 0.2ng/ml GM-CSF (MV4-11) 또는 10ng/ml FLT 리간드 (Baf3-FLT3)를 함유하는 RPMI 배지 100ul에 웰당 10,000 개씩 세포를 평판배양하였다. 화합물 희석액 또는 0.1% DMSO(비히클 대조군)를 세포에 가한 후 세포들을 표준 세포배양 조건(37℃, 5% CO2) 하에서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합 실험에서는 시험 화합물들을 세포에 동시에 가하였다. 세포 총성장은 제0일 세포수를 제3일(72시간 성장 및/또는 화합물 처리) 세포 총수와 비교하여 얻은 발광계 수(relative light units, RLU)에 있어서의 차이값으로서 정량하였다. 성장의 100% 억제는 제0일 측정값과 동일한 RLU로서 정의된다. 0% 억제는 성장 제3일에 DMSO 비히클 대조군의 RLU 시그널로서 정의된다. 모든 자료값은 삼중시료의 평균이다. 성장 억제의 IC50은 DMSO 비히클 대조군의 제3일 세포 총성장의 50%를 억제하는 화합물 용량을 의미한다. 억제 및 IC50 데이터의 분석은 다중변수, 시그모이달 용량-반응(가변 경도) 방정식을 채용한 비선형 회귀 적합법을 사용하는 그라프패드 프리즘에 의해 실시하였다.
면역침전 및 정량적 이뮤노블롯 분석
MV4-11 세포는 10% FBS, 2ng/ml GM-CSF를 함유하는 DMEM에서 1x105 및 1 x106 세포/ml을 유지하며 배양하였다. Map 키나아제 인산화의 웨스턴 블로팅 분석을 위하여 조건당 1 x 106 MV4-11 세포를 사용하였다. FLT3-ITD 인산화를 조사하기 위한 면역침전 실험에서 각 실험조건당 1x107 세포를 사용하였다. 화합물 처리 후에, MV4-11 세포를 차가운 1xPBS로 1회 세척하고 HNTG 용해 완충액(50 mM Hepes, 150 mM NaCl, 10% 글리세롤, 1% 트리톤 X-100, 10 mM NaF, 1 mM EDTA, 1.5 mM MgCl2, 10 mM Na피로포스페이트) + 4ul/ml 프로테아제 억제제 칵테일(Sigma cat.#P8340) + 4ul/ml 포스파타아제 억제제 칵테일(Sigma Cat#P2850)로 용해시켰 다. 세포 용해물로부터 핵과 잔해를 원심분리(5000rpm, 4℃에서 5분)로 제거하였다. 면역침전을 위한 세포 용해물을 아가로스-프로테인 A/G로 4℃에서 30분간 맑게 한 후 3ug의 FLT3 항체를 사용하여 4℃에서 1시간 면역침전시켰다. 면역 착물을 아가로스-프로테인 A/G 와 함께 4℃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프로테인 A/G 면역침전을 1.0 ml HNTG 용해 완충액으로 3회 세척하였다. 면역침전 및 세포 용해물 (총 단백질 40ug)을 10% SDS-PAGE 겔에서 분리하고, 단백질을 니트로셀룰로오즈 막에 전사하였다. 항-포스포타이로신 이뮤노블롯 분석을 위하여 막을 수퍼블록(SuperBlock, Pierce)으로 블로킹하고 2시간 동안 항-포스포타이로신(클론 4G10, Upstate Biotechnologies)으로 블로팅한 후 알칼라인 포스파타아제-접합된 염소 항-마우스 항체로 처리하였다. 항-포스포MAP 키나아제 웨스턴 블로팅을 위하여, 막을 수퍼블록으로 1시간 블로킹하고 1차 항체로 밤새 블로팅한 후, AP 접합된 염소-항 토끼 2차 항체로 처리하였다. 9H-(1,3-디클로로-9,9-디메틸아크리딘-2-온-7-일)포스페이트, 디암모늄염(DDAO 포스페이트)(Molecular Probes)을 기질로 하는 알칼라인 포스파타아제 반응의 형광산물을 몰리큘라 다이나믹스 타이푼 이미징 시스템(Molecular Dynamics, Sunyvale, CA)을 사용하여 측정함으로써 단백질을 검출하였다. 인산화 신호를 표준화하기 위하여 블롯을 스트립하여 항-FLT3 항체로 재탐침하였다. 몰리큘라 다이나믹스 이미지켄트 및 그라프패드 프리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DDAO 포스페이트 신호의 정량 및 IC50 결정을 실시하였다.
아넥신 V 염색
백혈병 MV4-11 세포주의 고사를 시험하기 위하여 세포를 티피파니브 및/또는 FLT3 억제제 화합물 A로 처리한 후, 고사하는 세포의 외막에 있는 포스파티딜 세린에의 아넥신 V 결합을 구아바넥신 분석시약 및 구아바 개인용 플로우 사이토메트리 시스템(Guava Technologies; Hayward, CA)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MV4-11 세포를 가변 농도의 티피파니브 및/또는 FLT3 억제제 화합물 A를 함유하는 조직배양배지에 ml당 200,000개의 세포로 평판배양하여 48시간 동안 37℃, 5% CO2 하에 배양하였다. 세포를 400 x g 로 4℃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수거하였다. 1xPBS로 세포를 세척하고 1 x 넥신 완충액에 1 x 106 세포/ml의 밀도로 재현탁하였다. 40 ul의 세포 현탁액에 5ul의 아넥신 V-PE 및 5ul의 7-AAD를 가하고 얼음 위에서 20분간 차광 하에 배양하였다. 450ml의 차가운 1 x 넥신 완충액을 각 시료에 가하고 제조원의 지시에 따라 구아바 사이토미터에 세포를 적요하였다. 모든 아넥신 양성 세포들을 고사한 것으로 간주하여 퍼센트 아넥신 양성 세포를 계산하였다.
캐스파제 3/7 활성화 분석
MV4-11 세포를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10% FBS 및 1ng/ml GM-CSF를 함유하는 RPMI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2 x 105 세포/mL 에서 8 x 105 세포/mL 사이를 유지하며 세포를 2-3일마다 계대하였다. 세포를 원심분리하여 2 x 105 세포/mL의 밀 도로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10% FBS 및 0.1 ng/mL GM-CSF를 함유하는 RPMI 배지에 재현탁하였다. MV4-11 세포를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10% FBS 단독 및 0.1 ng/mL GM-CSF (Corning Costar Cat # 3610)를 함유하는 RPMI 배지 100μl에 웰당 20,000 세포의 밀도로 다양한 농도의 시험 화합물 또는 DMSO의 존재 하에 평판배양하였다. 배합 실험에서는 시험 화합물들을 세포에 동시에 가하였다. 세포를 37℃, 5% CO2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배양 후에, 프로메가 캐스파제글로 시약(Cat# G8090)을 제조원 지시에 따라 사용하여 캐스파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약술하면, 캐스파제글로 기질을 10ml의 캐스파제글로 완충액으로 희석하였다. 조직 배양 배지에 동일 부피의 희석 캐스파제글로 시약을 가하고 2분간 회전궤도 진탕기에서 혼합하였다. 실온에서 60분간 배양한 후 1초 프로그램으로 버트홀드 루미노미터에서 발광을 측정하였다. 기준선 캐스파제 활성은 DMSO 비히클 (0.1% DMSO)처리 세포와 동일한 RLU로 정의되었다. EC50 데이터 분석은 다중변수, 시그모이달 용량-반응(가변 경도) 방정식을 채용한 비선형 회귀 적합법을 사용하는 그라프패드 프리즘에 의해 실시하였다.
배합 지표 분석
Chou 및 Talalay의 방법(Chou and Talalay. See Chou TC, Talalay P. (1984) "Quantitative analysis of dose-effect relationships: the combined effects of multiple drugs or enzyme inhibitors." Adv Enzyme Regul. 22:27-55) 에 기초하여 FTI 및 FLT3 억제제 배합물의 성장 억제 상승효과를 결정하기 위하여 이소볼라 통계분석을 이용하는 고정비 배합투여를 실시하였다. 시험 화합물들은 각 세포주의 증식에 대한 개별적 IC50의 고정비로 배합하여 결정된 IC50 용량의 9, 3, 1, 1/3, 1/9 배를 포함하는 다양한 농도로 투여되었다. 시험 배합물에 의한 증식 억제를 측정하기 위하여 루시페라제에 기초한 셀타이터글로 시약(Promega)를 사용하였다.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10% FBS 단독 (THP-1, Baf3-ITD) 및 0.1ng/ml GM-CSF (MV4-11) 또는 100ng/ml FLT 리간드 (Baf3-FLT3)를 함유하는 RPMI 배지 100ul에 웰당 10,000개 밀도로 세포를 평판배양하였다. 세포 총성장은 제0일 세포수를 제3일(72시간 성장 및/또는 화합물 처리) 세포 총수와 비교하여 얻은발광계수(relative light units, RLU)에 있어서의 차이값으로서 정량하였다. 모든 자료값은 삼중시료의 평균이다. 성장의 100% 억제는 제0일 측정값과 동일한 RLU로서 정의된다. 0% 억제는 성장 제3일에 DMSO 비히클 대조군의 RLU 시그널로서 정의된다. 억제 데이터를 칼크신(Calcsyn, Biosoft, Ferguson, MO)으로 분석하여 배합 지표 (C.I.)를 계산하였다. C.I. 수치 <0.9인 경우 상승적으로 판단하였다.
생체내 배합 연구
FLT3 억제제 화합물 B를 사용하여 누드 마우스에서의 MV4-11 인간 AML 종양 이종이식편의 성장에 대한 일반식 I'의 FLT3 억제제와 티피파니브(Zarnestra™)의 배합 처리 효과를 시험하였다. 확립된 MV4-11 종양 이종이식편을 가지는 누드 마 우스에 티피파니브와 함께 경구투여된 FLT3 억제제 화합물 B의 상승적인 항-종양 효과에 대한 잠재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험관내 관찰을 연장하도록 생체내 연구를 기획하였다.
MV4-11 종양을 가진 누드 마우스는 앞서 기술한 FLT3 억제제 화합물 B의 항종양 경구 효능에 대한 생체내 평가에서와 같이 준비하였다.
MV4-11 종양을 가진 누드 마우스들을 각 처리군내에서 종양의 평균 크기가 동일하도록 15마리씩 5개 처리군으로 무작위 분할하였다. 종양부피(mm3)는 (L x W)2/2의 식에 의해 계산하였다(L = 종양 길이(mm), W = 종양 넓이(최단거리, mm)). 각 처리군의 초기 종양 평균부피는 약 250 mm3였다.
비히클(20% HPβCD/2%NMP/10mM Na 포스페이트, pH 3-4)(NMP = Pharmasolve, ISP Technologies, Inc.), 유효용량 미만의 FLT3 억제제 화합물 B(10mg/kg), 유효용량의 FLT3 억제제 화합물 B(20mg/kg) 및 티피파니브(50mg/kg) 단독 또는 각 용량의 FLT3 억제제 화합물 B와의 배합물을 마우스들에게 주중에는 하루 2회(bid) 주말에는 하루 1회(qd) 경구투여하였다. 투여는 연속하여 9일간 계속하였다. 연구기간 동안 종양의 성장을 전자 버어니어 캘리퍼스를 사용하여 3회 측정하였다. 연구기간 동안 체중을 3회 측정하여 >10%의 체중감소를 화합물 용인성 결여의 기준으로 삼았다.
도 15는 FLT3 억제제 화합물 B 및 티피파니브의 단독 및 배합 투여가 MV4-11 종양 성장에 미치는 경시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나타낸 바와 같이, 용량 10mg/kg bid로 투여한 FLT3 억제제 화합물 B는 종양 부피가 약 800 mm3에 달했던 비히클-처리군과 비교할 때 근소한 유의성의 종양성장 억제를 나타내었다. 용량 20mg/kg bid로 투여한 FLT3 억제제 화합물 B는 비히클-처리군에 비교할 때 유의적인 종양성장 억제를 제공하였으며 대조군에 비해 완전하게 종양성장을 조절하였다. 이 용량은 종양성장의 정지를 유발하였으나 종양 퇴행(연구 개시점에서의 종양 크기 이하의 종양 크기로 정의됨)을 유도하지는 못하였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종 처리일(제9일)에 티피파니브(50mg/kg) 단독에 의해서는 종양부피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지 않았다. 수치는 처리군당 15 마우스의 평균(±sem)을 의미한다. 종양성장의 퍼센트 억제는 연구 최종일의 비히클-처리 대조군의 종양성장과 대비하여 계산하였다. 대조군 대비 통계적 유의성은 던넷의 t-테스트에 따라 ANOVA에 의해 결정되었다: * p < 0.01.
다시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량 50mg/kg의 단일 약제로서 투여된 티피파니브는 유효하지 않았다. 그러나, FLT3 억제제 화합물 B를 용량 10 또는 20 mg/kg으로 하여 두 가지 약제를 배합 경구투여하였을 때에는 제1일의 초기 평균 종양부피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종양 부피 퇴행이 나타났다. 제9일에 처리군의 평균 종양부피는 비히클-처리 대조군에 비해 95% 억제되었다. 따라서 배합 처리는 각각의 약제를 단독으로 투여했을 때보다 훨씬 큰 억제효과(종양퇴행)를 나타내었다. 사실상, 티피파니브(50 mg/kg) 및 FLT3 억제제 화합물 B 10 mg/kg 단독은 본질적으로 비활성인 반면에, 그 배합은 본질적으로 완전한 종양퇴행을 현저히 제공 하였다.
도 15는 누드 마우스에서의 MV4-11 종양 이종이식편의 성장에 대하여 FLT3 억제제 화합물 B 및 티피파니브의 단독 또는 배합 경구투여가 종양부피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도 16은 FLT3 억제제 화합물 B 및 티피파니브의 단독 또는 배합 경구투여가 연구 최종일에 누드 마우스에서의 MV4-11 종양 이종이식편의 최종 부피에 미친 영향을 나타낸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구 종료점에서 최종 종양무게가 통계적 유의성을 가지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각 처리군의 최종 종양부피를 비교하였을 때 배합물 처리에 의한 상승효과가 관찰되었다.
도 17은 FLT3 억제제 화합물 B 및 티피파니브의 단독 또는 배합 경구투여가 연구 최종일에 누드 마우스에서의 MV4-11 종양 이종이식편의 종양 최종 무게에 미친 영향을 나타낸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구 종료점에서, 10 mg/kg FLT3 억제제 화합물 B/50 mg/kg 티피파니브 배합 처리군의 종양무게를 측정하여 약제를 단독 투여한 적절한 처리군의 최종 종양무게와 비교함으로써 상승효과를 확인하였다.
9일간 각 약제를 단독 또는 배합 처리하는 동안 명백한 독성이 확인되지 않았고 체중에 있어서 심각하게 불리한 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요약하면, FLT3 억제제 화합물 B 및 티피파니브의 배합 투여는 FLT3 억제제 화합물 B 또는 티피파니브 단독 투여에 비하여 종양 성장을 유의적으로 더 탁월하게 억제하였다.
FLT3 억제제와 FTI 의 배합이 시험관내 및 생체내에서 FLT3 의존성 AML 세포 를 사멸하는데 상승적으로 작용하는지 관찰하기 위하여 누드 마우스에서 MV4-11 인간 AML 종양 이종이식편의 성장에 대한 일반식 I'의 FLT3 억제제 화합물 및 티피파니브 (ZarnestraTM) 배합 처리 효과를 FLT3 억제제 화합물 D를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확립된 MV4-11 종양 이종이식편을 가지는 누드 마우스에 티피파니브와 함께 경구투여된 FLT3 억제제 화합물 D의 상승적인 항-종양 효과에 대한 잠재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험관내 관찰을 연장하도록 생체내 연구를 기획하였다.
본 발명의 FLT3 억제제 화합물 D의 경구 항-종양 효능을 상기 섹션 "경구 항종양 효능의 생체내 평가"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하여 흉선이 제거된 누드 마우스에서 누드 마우스 MV4-11 인간 종양 이종이식편 퇴행 모델을 사용하여 생체내 평가하였다.
20~21 그람 이상의 흉선 제거 암컷 누드 마우스의 좌측 대퇴부 사타구니에 주입부피 0.2 mL의 5 x 106 종양세포를 피하 접종하였다. 퇴행 연구를 위하여 투약 개시 전에 종양이 예정된 크기로 자라도록 방치하였다. 종양세포 접종 후 약 3주가 경과하였을 때, 피하 종양의 크기가 100 내지 586 mm3 (당해 범위 내 60마리 마우스; 평균 288 ± 133 mm3 (SD))인 마우스를 무작위로 처리군으로 설정하여 모든 처리군이 통계적으로 유사한 초기 평균 종양 부피 (mm3)를 가지도록 하였다. 마우스들에게는 비히클(대조군) 또는 여러 가지 용량의 화합물을 주중에는 하루 2회(b.i.d.) 주말에는 하루 1회(qd) 위관 영양법으로 경구투여하였다. 비히클-처리 된 대조군 마우스의 종양 크기 및 성장 동역학에 따라 연속 11일간 투여를 계속하였다. 대조군 마우스의 종양이 체중 대비 ~10%(~2.0 g)에 달하면 연구를 종료하였다. FLT3 억제제 화합물 D는 20% HPβCD/D5W, pH 3-4 또는 다른 적절한 비히클 중의 맑은 용액(@ 1, 5 및 10 mg/mL)으로 매일 신선하게 제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경구투여하였다. 연구 진행 중에, 종양 성장은 전자 버어니어 캘리퍼스를 사용하여 주당 3회(M, W, F) 측정하였다. 종양 부피(mm3)는 (L x W)2/2의 식에 의해 계산하였다(L = 종양 길이 (mm), W = 종양 넓이 (최단거리, mm)). 체중은 주당 3회 측정하였으며 >10%의 체중감소가 나타나면 화합물 용인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허용불가의 독성은 연구 진행중 >20%의 체중감소로 정의되었다. 매 투여마다 마우스들을 면밀히 조사하여 임상적으로 불리한 명백한 징후나 약물 관련 부작용이 나타나는지 확인하였다.
연구 종료일(제12일)에, 종양의 최종 부피 및 최종 체중을 각 동물에 대하여 측정하였다. 마우스들을 100% CO2로 안락사시키고 즉시 종양을 원형대로 적출하여 무게를 측정하고, 최종 습윤 질량(그램)을 일차 효능 종점으로 삼았다.
본 발명에 따른 FLT3 억제제 화합물 D의 MV4-11 종양 성장에 대한 경시 억제효과를 도 18에 나타내었다. 수치들은 처리군당 15 마우스의 평균(±sem)을 나타낸다. 종양 성장의 퍼센트 억제(%I)는 연구 종료일의 비히클-처리 대조군의 종양 성장에 대비하여 계산하였다. 대조군에 대비한 통계적 유의성은 던넷의 t-테스트(Dunnett's t-test)를 따라 편차 분석(ANOVA)에 의해 결정하였다: * p < 0.05; ** p < 0.01.
18로 부터 알 수 있듯이, 연속 11일간 10, 50 및 100 mg/kg b.i.d.의 용량으로 본 발명의 FLT3 억제제 화합물 D를 위관 영양법으로 경구투여한 결과, 누드 마우스의 피하에 성장하는 MV4-11 종양의 성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용량 의존적으로 억제되었다. 최종 처리일(제11일)에, 평균 종양 부피는 용량 의존적으로 감소하여 비히클 처리군의 평균 종양 부피와 비교할 때 50 및 100 mg/kg 용량에서 거의 100% 억제(p< 0.001)를 나타내었다. 50 mg/kg 및 100 mg/kg의 용량에서 본 발명의 FLT3 억제제 화합물 D는 제1일의 초기평균 종양부피에 대비하여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98% 및 93% 감소의 종양퇴행을 나타내었다. 시험 최저 용량인 10 mg/kg에서는 비히클-처리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성장 지연이 관찰되지 않았다. 100 mg/kg 처리용량군에서 제12일에 투여가 중단되어 종양 성장이 재개되었고, 연구 제34일에 12마리 마우스중 6마리 만이 촉진 및 측정가능한 종양을 나타내었다.
연구 종료일에 측정할 수 있는 잔류 종양이 관찰되지 않는 것으로부터 본 발명의 FLT3 억제제 화합물 D가 종양 덩어리의 거의 완전한 퇴행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도 19). 도 19 그래프의 막대는 처리군당 15마리 마우스의 평균 (±sem)을 나타낸다. 10 mg/kg 투여에서 최종 종양 무게에는 유의적인 감소가 없었는데, 이는 도 18의 종양 부피 데이터와 일치한다. 50 mg/kg 투여에서는 종료 시점에 이들 마우스에서 종양 덩어리를 검출하고 측정할 수 없었기 때문에 그래프 상에 막대가 나타나있지 않으며, 이 결과는 도 18에 나타난 종양 부피의 완전한 퇴행과 일치한다. 100 mg/kg 투여군의 마우스는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약물을 중단한 후 잔 존 종양이 재성장하도록 하였으므로 이 그래프에 나타나있지 않다.
연속 11일간의 경구투여에 따라 본 발명의 FLT3 억제제 화합물 D는 비히클-처리군의 평균 종양 무게와 비교하여 용량-의존적인 최종 종양 무게의 감소를 나타내어 50 mg/kg 투여에서 관찰되듯이 종양 덩어리의 완전한 퇴행을 나타내었다 (도 19).
연구 진행 중에 마우스들의 체중은 주당 3회(M, W, F) 측정하였으며, 매일 투여시에 임상적으로 불리한 명백한 징후나 약물 관련 부작용이 나타나는지 조사하였다. 본 발명의 FLT3 억제제 화합물 D에 대하여 명백한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고, 200 mg/kg/day 이하의 용량으로 11일간 처리하는 동안 체중에 심각하게 불리한 영향이 없었다(도 20). 전체적으로, 모든 용량군에 걸쳐 초기 체중과 비교하여 체중의 유의적인 손실이 없었으며, 이는 본 발명의 FLT3 억제제 화합물 D가 양호한 용인성을 가졌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FLT3 억제제 화합물 D가 종양 조직 내에서 기대했던 표적에 도달하는지를 추가 확인하기 위하여 비히클- 및 화합물-처리 마우스들로부터 얻어진 종양 조직 내의 FLT3 인산화 수준을 측정하였다. 본 발명의 FLT3 억제제 화합물 D의 결과를 도 21에 각각 나타내었다. 상기의 약물동력학적 연구를 위하여, 비히클 처리 대조군으로부터 6 마리 마우스를 각 2 마리씩 3 개의 군으로 무작위 분할하여 비히클 또는 화합물 (10 및 100 mg/kg, po)을 추가로 투여하였다. FLT3 인산화를 웨스턴블롯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6 시간 후에 종양을 수거하여 급속냉동하였다.
FLT3 인산화의 이뮤노블롯 분석을 위하여 수거된 종양을 하기의 방법에 따라 냉동시키고 처리하였다: 포스파타아제(Sigma Cat# P2850) 및 프로테아제 억제제(Sigma Cat #P8340)를 보충한 용해 완충액(50 mM Hepes, 150 mM NaCl, 10% 글리세롤, 1% 트리톤 X-100, 10 mM NaF, 1 mM EDTA, 1.5 mM MgCl2, 10 mM Na피로포스페이트) 내에 종양 조직 200 mg을 다운스 균질화하였다. 불용성 잔해를 1000 x g에서 4℃, 5분간 원심분리하여 제거하였다. 맑은 용해물(용해 완충액 내의 10mg/mL에서 단백질 총량 15mg)을 10μg의 아가로즈 접합된 항-FLT3 항체 및 클론 C-20 (Santa Cruz cat # sc-479ac)과 함께 4℃에서 2시간 동안 천천히 교반하였다.
종양 용해물로부터 면역침전된 FLT3를 용해 완충액으로 4회 세척하여 SDS-PAGE로 분리하였다. SDS-PAGE 겔을 니트로셀룰로오즈에 전사하고 항-포스포타이로신 항체(clone-4G10, UBI cat. #05-777)로 이뮤노블로팅한 후 알칼라인 포스파타아제-접합된 염소 항-마우스 2차 항체(Novagen cat. # 401212)로 처리하였다. 9H-(1,3-디클로로-9,9-디메틸아크리딘-2-온-7-일) 포스페이트, 디암모늄 염(DDAO 포스페이트) (Molecular Probes cat. # D 6487)을 기질로 하는 알칼라인 포스파타아제 반응의 형광산물을 몰리큘러 다이나믹스 타이푼 이미징 시스템(Molecular Dynamics, Sunyvale, CA)으로 측정하여 단백질을 검출하였다. 인산화 신호를 표준화하기 위하여 블롯을 스트립하여 항-FLT3 항체로 재탐침(reprobe)하였다.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FLT3 억제제 화합물 D의 100 mg/kg 단회용량은 MV4-11 종양에서 FLT3 인산화의 수준(상단 패널, 종양 5 및 6)을 비히클-처리 마우스의 종양(종양 1 및 2)과 대비할 때 생물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FLT3 총량은 하단 플롯에 나타내었다). 10 mg/kg 용량의 화합물로 처리된 동물에서도 부분적인 인산화 감소가 있었다(종양 3-4). 상기의 결과는 본 발명의 화합물이 종양 내에서 기대하는 FLT3 표적과 실제로 상호작용함을 보여준다.
MV4-11 이종이식편 모델에서 FLT3 억제제 화합물 D와 티피파니브의 배합물이 생체내 상승효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종양을 가지는 누드 마우스를 상기 "경구 항종양 효능의 생체내 평가" 섹션에 기재된 바에 따라 준비하였다.
MV4-11 종양을 가지는 누드 마우스를 각 10마리 마우스의 4개 처리군으로 무작위 분할하여 각 처리군의 평균 종양 크기가 동일하게 하였다. 종양 부피(mm3)는 (L x W)2/2의 식에 의해 계산하였다(L = 종양 길이 (mm), W = 종양 넓이 (최단거리, mm)). 각 처리군당 초기 평균 종양 부피는 약 250 mm3 이었다.
마우스들에게는 비히클(20% HPβ-CD, pH 3-4) 또는 유효량 미만 용량의 FLT3 억제제 화합물 D(25 mg/kg) 또는 티피파니브(50 mg/kg)을 단독으로 또는 배합하여 주중에는 하루 2회(bid) 주말에는 하루 1회(qd) 경구투여하였다. 연속 16일간 투여를 계속하였다. 종양 성장은 전자 버어니어 캘리퍼스를 사용하여 주당 3회(월요일, 수요일, 금요일) 측정하였다. 체중은 주당 3회 측정하였으며 >10%의 체중감소가 나타나면 화합물 용인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MV4-11 종양의 성장에 대한 FLT3 억제제 화합물 D 및 티피파니브 단독 및 배합 처리의 경시효과를 도 22에 나타내었다. 이로부터 알 수 있듯이, 25 mg/kg bid 의 용량으로 FLT3 억제제 화합물 D를 투여한 결과, 약 1500 mm3의 종양 부피에 도달한 비히클-처리군과 비교하여 종양 성장이 정지되었다. 도 22에서, 최종 처리일(제16일)에, 종양 부피는 비히클-처리군과 비교하여 76% 만큼 유의적으로 억제되었다. 수치들은 처리군당 10 마우스의 평균(±sem)을 나타낸다. 종양 성장의 퍼센트 억제는 연구 종료일의 비히클-처리 대조군의 종양 성장에 대비하여 계산하였다. 대조군에 대비한 통계적 유의성은 던넷의 t-테스트를 따라 ANOVA에 의해 결정하였다: * p < 0.01.
도 22에서, 단일 약제로서 50 mg/kg의 용량으로 투여된 티피파니브는 효과가 없었다. 그러나, 두가지 약제가 배합되어 경구투여되면 제1일의 초기 평균 종양 부피로부터 종양 부피의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퇴행이 관찰되었다. 제16일에 처리군의 평균 종양 부피는 비히클-처리 대조군과 비교하여 95% 억제되었다. 따라서, 배합 투여는 각 약제 단독 투여의 상가적 효과에 비해 약 1.3배 증가된 억제 효과(종양 퇴행)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상승적 효과이다(도 22).
도 23은 누드 마우스의 MV4-11 종양 이종이식편 성장에 대해 단독으로 또는 배합하여 경구투여된 FLT3 억제제 화합물 D 및 티피파니브의 종양 부피에 대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24는 누드 마우스의 MV4-11 종양 이종이식편 최종 무게에 대해 단독으로 또는 배합하여 경구투여된 FLT3 억제제 화합물 D 및 티피파니브의 효과를 나타낸다. 도 24에서, 연구 종료시 각 처리군의 최종 종양 무게를 비교하면 배합물 처리시 유사한 상승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각 약제를 단독으로 또는 배합하여 16일간 처리하는 동안 명백한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고, 체중에 심각하게 불리한 영향이 없었다. 화합물의 최종 투여로부터 2시간 후에 혈장 및 종양 샘플을 수거하여 약물 수준을 결정하였다. 결론적으로, FLT3 억제제 화합물 D와 티피파니브의 배합물로 처리하면 FLT3 억제제 화합물 D 또는 티피파니브를 단독으로 투여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종양 성장을 훨씬 뚜렷하게 억제하였다.
결론
본 발명은 FTI 및 FLT3 억제제의 배합물이 시험관내 및 생체내(FLT3-ITD 돌연변이를 가진 환자로부터 유래된 AML 세포를 포함함)에서 상승적으로 FLT3 의존성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고 그 사멸을 유도한다는 유의적 증거를 제공한다. 시험관내 연구에서, 다수의 FLT3 의존성 세포주에 대하여, FTI/FLT3 억제제 배합물이 AML 세포의 증식을 상승적으로 억제한다는 것을 Chou 및 Talalay 방법에 의한 배합지표 및 각 화합물의 단일 적정용량 미만의 배합물을 사용하는 중앙값 효과 방법(median effect method)을 통해 입증하였다. 또한, FTI 및 FLT3 억제제의 배합물은 FLT3 의존성 AML 세포의 극적인 세포 사멸을 유도하였다. 상기의 고사유도 효과는 각 약제 단독에 비해 유의적으로 탁월하였다. FTI/FLT3 억제제 배합물의 상승효과는 구조적으로 상이한 다수의 FLT3 억제제 및 2개의 상이한 FTI에 대하여 관찰되었다. 따라서, 상기의 상승적 증식 억제 및 고사 유도는 모든 FLT3 억제제/FTI 배합물에 대해 나타날 것이다. 흥미롭게도, FTI 티피파니브와 FLT3 억제제의 배합물은 FLT3 억제제에 의한 FLT3 수용체 신호의 감소 효능을 유의적으로 증가시킨다. 더욱이, 시험관내 방법으로 관찰한 상승효과가 FTI 티피파니브 및 2개의 화학적으로 상이한 FLT3 억제제(FLT3 억제제 화합물 B 및 D)의 배합물 및 FLT3 의존성 AML 세포(MV4-11)를 이용한 생체내 종양 모델에서 재현되었다. 따라서, 상기 효과는 모든 FLT3 억제제/FTI 배합물에 대해서 나타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FTI 및 FLT3 억제제의 배합물에 의한 AML 세포의 상승적 살해 효과를 최초로 관찰하였다. 또한, 배합물에서 관찰된 상승효과는 당업자에게 기존 정보를 바탕으로 자명한 것이 아니다. 상기 관찰된 상승효과는 FTI의 작은 GTPase(Ras 및 Rho) 및 NfkB에 의해 유도되는 증식 및 생존 신호에 대한 알려진 억제 및 FLT3 억제제의 FLT3 수용체에 의한 증식 및 생존 신호를 감소시키는 효능과 관련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FTI/FLT3 억제제 배합물은 FLT3 수용체 자체의 활성에 대한 유의적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에 대한 메카니즘은 현재 미지상태이나, FLT3 억제제/FTI 배합물에 의해 관찰되는 세포증식 억제 및 세포사멸 활성화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보인다. 요약하면, 상기 연구는 FLT3 질환, 특히 야생형 또는 돌연변이 FLT3를 발현하는 혈액암에 대한 신규 치료 패러다임 및 FLT3 질환, 특히 AML, ALL 및 MDS의 치료를 위한 FTI 및 FLT3 억제제 배합물을 시험하는 임상시험 설계의 기반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제공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는 하기 청구범위 및 그의 균등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통상의 변형, 응용 및/또는 개질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15)

  1. FLT3 키나아제 억제제와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를 대상(subject)에게 투여함을 특징으로 하여 대상에서 FLT3 타이로신 키나아제 활성을 억제하는 방법.
  2. FLT3 키나아제 억제제와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를 대상에게 투여함을 특징으로 하여 대상에서 FLT3 타이로신 키나아제 발현을 억제하는 방법.
  3. FLT3 키나아제 억제제와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를 대상에게 투여함을 특징으로 하여 대상에서 FLT3 타이로신 키나아제 활성을 감소시키는 방법.
  4. FLT3 키나아제 억제제와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를 대상에게 투여함을 특징으로 하여 대상에서 FLT3 타이로신 키나아제 발현을 감소시키는 방법.
  5. FLT3 키나아제 억제제와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를 대상에게 투여함을 특징으로 하여 대상에서 FLT3 타이로신 키나아제 활성 관련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
  6. FLT3 키나아제 억제제와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를 대상에게 투여함을 특징으로 하여 대상에서 FLT3 타이로신 키나아제 발현 관련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
  7. 세포를 FLT3 키나아제 억제제 및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와 접촉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세포에서 FLT3 타이로신 키나아제 활성을 억제하는 방법.
  8. 세포를 FLT3 키나아제 억제제 및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와 접촉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세포에서 FLT3 타이로신 키나아제 발현을 억제하는 방법.
  9. 세포를 FLT3 키나아제 억제제 및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여 세포에서 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방법.
  10. (1) FLT3 키나아제 억제제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제1 약제학적 조성물과 (2)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 체를 포함하는 제2 약제학적 조성물의 예방적으로 유효한 양을 대상에게 투여함을 특징으로 하여, 대상의 세포 증식성 질환을 예방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예방적으로 유효한 양의 화학요법을 대상에게 추가로 적용하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예방적으로 유효한 양의 방사선 요법을 대상에게 추가로 적용하는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예방적으로 유효한 양의 유전자 요법을 대상에게 추가로 적용하는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예방적으로 유효한 양의 면역요법을 대상에게 추가로 적용하는 방법.
  15. FLT3 키나아제 억제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예방적으로 유효한 양을 대상에게 투여함을 특징으로 하여, 대상의 세포 증식성 질환을 예방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예방적으로 유효한 양의 화학요법을 대상에게 추가로 적용하는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예방적으로 유효한 양의 방사선 요법을 대상에게 추가로 적용하는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예방적으로 유효한 양의 유전자 요법을 대상에게 추가로 적용하는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예방적으로 유효한 양의 면역요법을 대상에게 추가로 적용하는 방법.
  20. (1) FLT3 키나아제 억제제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제1 약제학적 조성물과 (2)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제2 약제학적 조성물의 예방적으로 유효한 양을 대상에게 투여함을 특징으로 하여, 대상의 FLT3 관련 질환을 예방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예방적으로 유효한 양의 화학요법을 대상에게 추가로 적용하는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예방적으로 유효한 양의 방사선 요법을 대상에게 추가로 적용하는 방법.
  23. 제20항에 있어서, 예방적으로 유효한 양의 유전자 요법을 대상에게 추가로 적용하는 방법.
  24. 제20항에 있어서, 예방적으로 유효한 양의 면역요법을 대상에게 추가로 적용 하는 방법.
  25. FLT3 키나아제 억제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예방적으로 유효한 양을 대상에게 투여함을 특징으로 하여, 대상의 FLT3 관련 질환을 예방하는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예방적으로 유효한 양의 화학요법을 대상에게 추가로 적용하는 방법.
  27. 제25항에 있어서, 예방적으로 유효한 양의 방사선 요법을 대상에게 추가로 적용하는 방법.
  28. 제25항에 있어서, 예방적으로 유효한 양의 유전자 요법을 대상에게 추가로 적용하는 방법.
  29. 제25항에 있어서, 예방적으로 유효한 양의 면역요법을 대상에게 추가로 적용하는 방법.
  30. (1) FLT3 키나아제 억제제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제1 약제학적 조성물과 (2)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제2 약제학적 조성물의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을 대상에게 투여함을 특징으로 하여, 대상의 세포 증식성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의 화학요법을 대상에게 추가로 적용하는 방법.
  32. 제30항에 있어서,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의 방사선 요법을 대상에게 추가로 적용하는 방법.
  33. 제30항에 있어서,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의 유전자 요법을 대상에게 추가로 적용하는 방법.
  34. 제30항에 있어서,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의 면역요법을 대상에게 추가로 적용하는 방법.
  35. FLT3 키나아제 억제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을 대상에게 투여함을 특징으로 하여, 대상의 세포 증식성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의 화학요법을 대상에게 추가로 적용하는 방법.
  37. 제35항에 있어서,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의 방사선 요법을 대상에게 추가로 적용하는 방법.
  38. 제35항에 있어서,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의 유전자 요법을 대상에게 추가로 적용하는 방법.
  39. 제35항에 있어서,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의 면역요법을 대상에게 추가로 적용하는 방법.
  40. (1) FLT3 키나아제 억제제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제1 약제학적 조성물과 (2)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제2 약제학적 조성물의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을 대상에게 투여함을 특징으로 하여, 대상의 FLT3 관련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
  41. 제40항에 있어서,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의 화학요법을 대상에게 추가로 적용하는 방법.
  42. 제40항에 있어서,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의 방사선 요법을 대상에게 추가로 적용하는 방법.
  43. 제40항에 있어서,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의 유전자 요법을 대상에게 추가로 적용하는 방법.
  44. 제40항에 있어서,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의 면역요법을 대상에게 추가로 적용하는 방법.
  45. FLT3 키나아제 억제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을 대상에게 투여함을 특징으로 하여, 대상의 FLT3 관련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
  46. 제45항에 있어서,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의 화학요법을 대상에게 추가로 적용하는 방법.
  47. 제45항에 있어서,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의 방사선 요법을 대상에게 추가로 적용하는 방법.
  48. 제45항에 있어서,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의 유전자 요법을 대상에게 추가로 적용하는 방법.
  49. 제45항에 있어서,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의 면역요법을 대상에게 추가로 적용하는 방법.
  50. 제45항에 있어서,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의 화학요법을 대상에게 추가로 적용하는 방법.
  51. 제1-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가 일반식 (1)의 화합물, 그의 입체이성체 형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또는 염기 부가염을 포함하는 방법:
    Figure 112008001726558-PCT00666
    상기 식에서
    점선은 임의 결합을 나타내고;
    X 는 산소 또는 황을 나타내며;
    R1은 수소, C1-12알킬, Ar1, Ar2C1-6알킬, 퀴놀리닐C1-6알킬, 피리딜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 아미노C1-6알킬, 또는 일반식 -Alk1-C(=O)-R9, -Alk1-S(O)-R9 또는 -Alk1-S(O)2-R9의 래디칼을 나타내고,
    여기에서
    Alk1 는 C1-6알칸디일을 나타내며,
    R9는 하이드록시, C1-6알킬, C1-6알킬옥시, 아미노, C1-8알킬아미노 또는 C1-6알킬옥시카보닐에 의해 치환된 C1-8알킬아미노를 나타내고;
    R2, R3 및 R16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록시, 할로, 시아노, C1-6알킬, C1-6알킬옥시, 하이드록시C1-6알킬옥시, C1-6알킬옥시C1-6알킬옥시, 아미노C1- 6알킬옥시,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옥시, Ar1, Ar2C1-6알킬, Ar2옥시, Ar2C1-6알킬옥시, 하이드록시카보닐, C1-6알킬옥시카보닐, 트리할로메틸, 트리할로메톡시, C2-6알케닐, 4,4-디메틸옥사졸릴을 나타내거나;
    인접한 위치의 R2 및 R3 가 함께 하기 구조식의 2가 래디칼을 형성할 수 있으며:
    -O-CH2-O- (a-1),
    -O-CH2-CH2-O- (a-2),
    -O-CH=CH- (a-3),
    -O-CH2-CH2- (a-4),
    -O-CH2-CH2-CH2- (a-5), 또는
    -CH=CH-CH=CH- (a-6);
    R4 및 R5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 Ar1, 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C1-6알킬옥시, C1-6알킬티오, 아미노, 하이드록시카보닐, C1-6알킬옥시카보닐, C1-6알킬S(O)C1-6알킬 또는 C1-6알킬S(O)2C1-6알킬을 나타내고;
    R6 및 R7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 시아노, C1-6알킬, C1-6알킬옥시, Ar2옥시, 트리할로메틸, C1-6알킬티오, 디(C1-6알킬)아미노를 나타내거나,
    인접한 위치의 R6 및 R7 이 함께 하기 구조식의 2가 래디칼을 형성할 수 있으며:
    -O-CH2-O- (c-1), 또는
    -CH=CH-CH=CH- (c-2);
    R8 은 수소, C1-6알킬, 시아노, 하이드록시카보닐, C1-6알킬옥시카보닐, C1-6알킬카보닐C1-6알킬, 시아노C1-6알킬, C1-6알킬옥시카보닐C1-6알킬, 카복시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아미노C1-6알킬,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 이미다졸릴, 할로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아미노카보닐C1-6알킬, 또는 하기 일반식의 래디칼을 나타내고:
    -O-R10 (b-1),
    -S-R10 (b-2),
    -N-R11R12 (b-3),
    여기에서
    R10 은 수소, C1-6알킬, C1-6알킬카보닐, Ar1, Ar2C1-6알킬, C1-6알킬옥시카보닐C1-6알킬, 또는 일반식 -Alk2-OR13 또는 -Alk2-NR14R15의 래디칼을 나타내며;
    R11 은 수소, C1-12알킬, Ar1 또는 Ar2C1-6알킬을 나타내고;
    R12 은 수소, C1-6알킬, C1-16알킬카보닐, C1-6알킬옥시카보닐, C1-6알킬아미노카보닐, Ar1, Ar2C1-6알킬, C1-6알킬카보닐C1-6알킬, 천연 아미노산, Ar1카보닐, Ar2C1-6알킬카보닐, 아미노카보닐카보닐, C1-6알킬옥시C1-6알킬카보닐, 하이드록시, C1-6알킬옥시, 아미노카보닐,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카보닐, 아미노, C1-6알킬아미노, C1-6알킬카보닐아미노, 또는 일반식 -Alk2-OR13 또는 -Alk2-NR14R15의 래디칼을 나타내며;
    여기에서
    Alk2 는 C1-6알칸디일을 나타내고;
    R13 은 수소, C1-6알킬, C1-6알킬카보닐, 하이드록시C1-6알킬, Ar1 또는 Ar2C1-6알킬을 나타내며;
    R14 는 수소, C1-6알킬, Ar1 또는 Ar2C1-6알킬을 나타내고;
    R15 는 수소, C1-6알킬, C1-6알킬카보닐, Ar1 또는 Ar2C1-6알킬을 나타내며;
    R17 은 수소, 할로, 시아노, C1-6알킬, C1-6알킬옥시카보닐, Ar1을 나타내고;
    R18 은 수소, C1-6알킬, C1-6알킬옥시 또는 할로를 나타내며;
    R19 는 수소 또는 C1-6알킬을 나타내고;
    Ar1 은 페닐, 또는 C1-6알킬, 하이드록시, 아미노, C1-6알킬옥시 또는 할로에 의해 치환된 페닐을 나타내며;
    Ar2 는 페닐, 또는 C1-6알킬, 하이드록시, 아미노, C1-6알킬옥시 또는 할로에 의해 치환된 페닐을 나타낸다.
  52. 제51항에 있어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가 X 가 산소이고, 점선이 결합을 나타내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53. 제51항에 있어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가 R1 이 수소, 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또는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이고; R2 가 할로, C1-6알킬, C2-6알케닐, C1-6알킬옥시, 트리할로메톡시 또는 하이드록시C1-6알킬옥시이며; R3가 수소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54. 제51항에 있어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가 R8 이 수소, 하이드록시, 할로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시아노C1-6알킬, C1-6알킬옥시카보닐C1-6알킬, 이미다졸릴, 또는 일반식 -NR11R12 의 래디칼이고, 여기에서 R11 이 수소 또는 C1-12알킬이며, R12 가 수소, C1-6알킬, C1-6알킬옥시, C1-6알킬옥시C1-6알킬카보닐, 하이드록시, 또는 일반식 -Alk2-OR13 의 래디칼이고, 여기에서 R13 이 수소 또는 C1-6알킬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55. 제51항에 있어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가 (+)-6-[아미노(4-클로로페닐)(1-메틸-1H-이미다졸-5-일)메틸]-4-(3-클로로페닐)-1-메틸-2(1H)-퀴놀리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인 방법.
  56. 제1-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FLT3 억제제가 일반식 I'의 화합물, 그의 N-옥사이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용매화물, 및 입체화학적 이성체를 포함하는 방법:
    Figure 112008001726558-PCT00667
    상기 식에서
    Q 는 CH2 또는 직접 결합을 나타내고;
    G 는 O 또는 S를 나타내며;
    X 는 N 또는 CH를 나타내고;
    Z 는 NH, N(알킬), 또는 CH2를 나타내며;
    B 는 페닐,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아릴, 9 내지 10원 벤조-융합된 헤테로아 릴, 또는 9 내지 10원 벤조-융합된 헤테로사이클릴을 나타내고;
    R1 및 R2 는 독립적으로 하기 그룹에서 선택되며:
    Figure 112008001726558-PCT00668
    상기 식에서
    n 은 1, 2, 3 또는 4를 나타내고;
    Y 는 직접 결합, O, S, NH, 또는 N(알킬)을 나타내며;
    Ra 는 알콕시, 페녹시,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아릴, 하이드록실, 알킬아미노, 디알킬아미노,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옥사졸리디노닐,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피롤리디노닐,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피페리디노닐,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피페라지닐-2-온,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사이클릭 헤테로디오닐,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스쿠아릴, -COORy, -CONRwRx, -N(Ry)CON(Rw)(Rx), -N(Rw)C(O)ORx, -N(Rw)CORy, -SRy, -SORy, -SO2Ry, -NRwSO2Ry, -NRwSO2Rx, -SO3Ry, -OSO2NRwRx, 또는 -SO2NRwRx을 나타내고;
    Rw 및 Rx 는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케닐, 아르알킬, 또는 헤테로아르알킬 중에서 선택되거나, Rw 및 Rx 가 함께 O, NH, N(알킬), SO, SO2, 또는 S로부터 선택된 헤테로부위를 임의로 포함하는 5 내지 7원 환을 임의로 형성할 수 있으며;
    Ry 는 수소, 알킬, 알케닐, 사이클로알킬, 페닐, 아르알킬, 헤테로아르알킬, 또는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고;
    R5 는 할로겐, 시아노, 트리플루오로메틸, 아미노, 하이드록실, 헤테로아릴, 알콕시, -C(O)알킬, -SO2알킬, -C(O)NH(알킬), -C(O)N(알킬)2, -C(O)C(1-4)알킬-N(알킬)2, 알킬, -C(1-4)알킬-OH, -C(1-4)알킬-OCH3, -C(O)C(1-4)알킬-OH, -C(O)C(1-4)알킬-OCH3, 디알킬아미노, 또는 알킬아미노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2개 또는 3개의 치환체를 나타내지만, 단, R5가 할로겐, 하이드록실, 알콕시, 또는 알킬이 아닌 한 동일한 R5 치환체는 1개를 초과하여 존재하지 않으며;
    Rbb 는 수소, 할로겐, 알콕시, 디알킬아미노, R6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페닐, R6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아릴, R6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피페라지닐-2-온, R6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이미다졸리디닐-2-온, R6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옥사졸리디닐-2-온, 또는 R6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을 나타내고;
    R6 은 할로겐, 시아노, 트리플루오로메틸, 아미노, 하이드록실, 헤테로아릴, 알콕시, -C(O)알킬, -SO2알킬, -C(O)NH(알킬), -C(O)N(알킬)2, -C(O)C(1-4)알킬-N(알킬)2, 알킬, -C(1-4)알킬-OH, -C(1-4)알킬-OCH3, -C(O)C(1-4)알킬-OH, -C(O)C(1-4)알킬- OCH3, 디알킬아미노, 또는 알킬아미노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2개 또는 3개의 치환체를 나타내지만, 단, R6가 할로겐, 하이드록실, 알콕시, 또는 알킬이 아닌 한 동일한 R6 치환체는 1개를 초과하여 존재하지 않으며;
    Rc 는 R7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 또는 헤테로아릴을 나타내고;
    R7 은 할로겐, 시아노, 트리플루오로메틸, 아미노, 하이드록실, 헤테로아릴, 알콕시, -C(O)알킬, -SO2알킬, -C(O)NH(알킬), -C(O)N(알킬)2, -C(O)C(1-4)알킬-N(알킬)2, 알킬, -C(1-4)알킬-OH, -C(1-4)알킬-OCH3, -C(O)C(1-4)알킬-OH, -C(O)C(1-4)알킬-OCH3, 디알킬아미노, 또는 알킬아미노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2개 또는 3개의 치환체를 나타내지만, 단, R7 이 할로겐, 하이드록실, 알콕시, 또는 알킬이 아닌 한 동일한 R7 치환체는 1개를 초과하여 존재하지 않으며;
    R3 는 수소 (단, 이때 Rbb 는 수소가 아니다), 알킬, 알콕시, 할로겐, R4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아미노, C1 -2(알킬)-OH, 니트로, R4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사이클로알킬, R4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아릴, 알킬아미노, R4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 알콕시에테르, -O(사이클로알킬), R4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피롤리디노닐, R4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페녹시, -CN, -OCHF2, -OCF3, -CF3, 할로겐 화 알킬, R4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아릴옥시, 디알킬아미노, -NHSO2알킬, 또는 -SO2알킬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이상의 치환체를 나타내고; 여기에서 R4 는 할로겐, 시아노, 트리플루오로메틸, 아미노, 하이드록실, 알콕시, -C(O)알킬, -CO2알킬, -SO2알킬, -C(O)N(알킬)2, 알킬, 또는 알킬아미노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57. 제56항에 있어서, FLT3 억제제가 Rw 및 Rx 가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케닐, 아르알킬, 또는 헤테로아르알킬 중에서 선택되거나, Rw 및 Rx 가 함께 임의로 하기 그룹 중에서 선택된 환을 형성할 수 있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Figure 112008001726558-PCT00669
  58. 제56항에 있어서, FLT3 억제제가 Z 가 NH 또는 CH2를 나타내며; B 는 페닐, 헤테로아릴, 또는 9 내지 10원 벤조-융합된 헤테로아릴을 나타내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59. 제58항에 있어서, FLT3 억제제가
    G 가 O를 나타내며;
    B 는 페닐 또는 헤테로아릴을 나타내고;
    Rbb 는 수소, 할로겐, 알콕시, 디알킬아미노, 페닐, 헤테로아릴, R6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피페라지닐-2-온, R6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이미다졸리디닐-2-온, R6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옥사졸리디닐-2-온, 또는 R6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을 나타내며;
    R3 는 수소 (단, 이때 Rbb 는 수소가 아니다), 알킬, 알콕시, 할로겐, R4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아미노, C1 -2(알킬)-OH, R4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사이클로알킬, R4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아릴, 알킬아미노, R4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 알콕시에테르, -O(사이클로알킬), R4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피롤리디노닐, R4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페녹시, -CN, -OCHF2, -OCF3, -CF3, 할로겐화 알킬, 디알킬아미노, 및 -SO2알킬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이상의 치환체를 나타내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60. 제59항에 있어서, FLT3 억제제가
    Y 가 직접 결합, O 또는 NH를 나타내며;
    Ra 는 알콕시,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아릴, 하이드록실, 알킬아미노, 디알킬아미노,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옥사졸리디노닐,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피롤리디노닐,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피페리디노닐,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피페라지닐-2-온,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사이클릭 헤테로디오닐,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스쿠아릴, -CONRwRx, -N(Ry)CON(Rw)(Rx), -N(Rw)C(O)ORx, -N(Rw)CORy, -SRy, -SORy, -SO2Ry, 또는 -NRwSO2Ry을 나타내고;
    Rbb 는 수소, 할로겐, 알콕시, R6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피페라지닐-2-온, R6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이미다졸리디닐-2-온, R6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옥사졸리디닐-2-온, 또는 R6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을 나타내며;
    R3 는 수소 (단, 이때 Rbb 는 수소가 아니다), 알킬, 알콕시, R4에 의해 임의 로 치환된 아미노, 할로겐, C1 -2(알킬)-OH, R4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사이클로알킬, R4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아릴, 알킬아미노, R4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 알콕시에테르, -O(사이클로알킬), R4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피롤리디노닐, R4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페녹시, -OCHF2, -OCF3, -CF3, 디알킬아미노, 및 -SO2알킬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이상의 치환체를 나타내고, 여기에서 R4 는 할로겐, 시아노, 트리플루오로메틸, 아미노, 하이드록실, 알콕시, -C(O)알킬, -CO2알킬, -SO2알킬, -C(O)N(알킬)2, 알킬, 또는 알킬아미노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61. 제60항에 있어서, FLT3 억제제가
    R1 및 R2 가 독립적으로 하기 그룹에서 선택되고:
    Figure 112008001726558-PCT00670
    Y 는 O 또는 NH를 나타내며;
    Ra 는 알콕시,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아릴, 하이드록실, 알킬아미 노, 디알킬아미노,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옥사졸리디노닐,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피롤리디노닐,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피페리디노닐,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피페라지닐-2-온,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스쿠아릴, -CONRwRx, -N(Ry)CON(Rw)(Rx), -N(Rw)C(O)ORx, -N(Rw)CORy, -SO2Ry, 또는 -NRwSO2Ry을 나타내고;
    R5 는 -C(O)알킬, -SO2알킬, -C(O)NH(알킬), -C(O)N(알킬)2, -C(O)C(1-4)알킬-N(알킬)2, 알킬, -C(1-4)알킬-OH, -C(1-4)알킬-OCH3, -C(O)C(1-4)알킬-OH, 또는 -C(O)C(1-4)알킬-OCH3로부터 선택된 1개 또는 2개의 치환체를 나타내지만, 단, R5가 알킬이 아닌 한 동일한 R5 치환체는 1개를 초과하여 존재하지 않으며;
    R6 은 할로겐, 하이드록실, 헤테로아릴, 알콕시, -C(O)알킬, -SO2알킬, -C(O)NH(알킬), -C(O)N(알킬)2, -C(O)C(1-4)알킬-N(알킬)2, 알킬, -C(1-4)알킬-OH, -C(1-4)알킬-OCH3, -C(O)C(1-4)알킬-OH, 또는 -C(O)C(1-4)알킬-OCH3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또는 2개의 치환체를 나타내지만, 단, R6가 할로겐, 하이드록실, 또는 알킬이 아닌 한 동일한 R6 치환체는 1개를 초과하여 존재하지 않으며;
    Rc 는 R7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을 나타내고;
    R7 은 하이드록실, -C(O)알킬, -SO2알킬, 알킬, 또는 -C(O)N(알킬)2로부터 선택된 1개의 치환체를 나타내며;
    R3 는 알킬, 알콕시, 할로겐, R4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사이클로알킬, R4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아릴, R4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 알콕시에테르, -O(사이클로알킬), R4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페녹시, 디알킬아미노, 또는 -SO2알킬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이상의 치환체를 나타내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62. 제61항에 있어서, FLT3 억제제가
    Q 가 직접 결합을 나타내고;
    X 는 N을 나타내며;
    Z 는 NH를 나타내고;
    B 는 페닐, 피리미디닐, 또는 피리디닐을 나타내며;
    R1 및 R2 는 독립적으로 하기 그룹에서 선택되고:
    Figure 112008001726558-PCT00671
    상기 식에서
    Y 는 O를 나타내며;
    Ra 는 알콕시,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아릴, 하이드록실, 알킬아미노, 디알킬아미노,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옥사졸리디노닐,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피롤리디노닐,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피페라지닐-2-온, R5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 -CONRwRx, -N(Ry)CON(Rw)(Rx), -SO2Ry, 또는 -NRwSO2Ry을 나타내고;
    Ry 는 수소, 알킬, 알케닐, 사이클로알킬, 페닐, 아르알킬, 헤테로아르알킬, 또는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며;
    R5 는 -C(O)알킬, -SO2알킬, -C(O)NH(알킬), -C(O)N(알킬)2, -C(O)C(1-4)알킬- N(알킬)2, 알킬, -C(1-4)알킬-OH, -C(1-4)알킬-OCH3, -C(O)C(1-4)알킬-OH, 또는 -C(O)C(1-4)알킬-OCH3로부터 선택된 1개의 치환체를 나타내고;
    R6 은 하이드록실, 알콕시, -C(O)알킬, -SO2알킬, -C(O)NH(알킬), -C(O)N(알킬)2, -C(O)C(1-4)알킬-N(알킬)2, 알킬, -C(1-4)알킬-OH, -C(1-4)알킬-OCH3, -C(O)C(1-4)알킬-OH, 또는 -C(O)C(1-4)알킬-OCH3로부터 선택된 1개의 치환체를 나타내며;
    Rc 는 R7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을 나타내고;
    R7 은 -C(O)알킬, -SO2알킬, 또는 알킬로부터 선택된 1개의 치환체를 나타내며;
    R3 는 알킬, 알콕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O(사이클로알킬), 또는 디알킬아미노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의 치환체를 나타내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63. 제1-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FLT3 억제제가 하기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Figure 112008001726558-PCT00672
    Figure 112008001726558-PCT00673
    Figure 112008001726558-PCT00674
  64. 제1-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FLT3 억제제가 하기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Figure 112008001726558-PCT00675
  65. 제1-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FLT3 억제제가 하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Figure 112008001726558-PCT00676
  66. 제56항에 있어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가 일반식 (1)의 화합물, 그의 입체이성체 형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또는 염기 부가염을 포함하는 방법:
    Figure 112008001726558-PCT00677
    상기 식에서
    점선은 임의 결합을 나타내고;
    X 는 산소 또는 황을 나타내며;
    R1은 수소, C1-12알킬, Ar1, Ar2C1-6알킬, 퀴놀리닐C1-6알킬, 피리딜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 아미노C1-6알킬, 또는 일반식 -Alk1-C(=O)-R9, -Alk1-S(O)-R9 또는 -Alk1- S(O)2-R9의 래디칼을 나타내고,
    여기에서
    Alk1 는 C1-6알칸디일을 나타내며,
    R9는 하이드록시, C1-6알킬, C1-6알킬옥시, 아미노, C1-8알킬아미노 또는 C1-6알킬옥시카보닐에 의해 치환된 C1-8알킬아미노를 나타내고;
    R2, R3 및 R16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록시, 할로, 시아노, C1-6알킬, C1-6알킬옥시, 하이드록시C1-6알킬옥시, C1-6알킬옥시C1-6알킬옥시, 아미노C1-6알킬옥시,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옥시, Ar1, Ar2C1-6알킬, Ar2옥시, Ar2C1-6알킬옥시, 하이드록시카보닐, C1-6알킬옥시카보닐, 트리할로메틸, 트리할로메톡시, C2-6알케닐, 4,4-디메틸옥사졸릴을 나타내거나;
    인접한 위치의 R2 및 R3 가 함께 하기 구조식의 2가 래디칼을 형성할 수 있으며:
    -O-CH2-O- (a-1),
    -O-CH2-CH2-O- (a-2),
    -O-CH=CH- (a-3),
    -O-CH2-CH2- (a-4),
    -O-CH2-CH2-CH2- (a-5), 또는
    -CH=CH-CH=CH- (a-6);
    R4 및 R5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 Ar1, 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C1-6알킬옥시, C1-6알킬티오, 아미노, 하이드록시카보닐, C1-6알킬옥시카보닐, C1-6알킬S(O)C1-6알킬 또는 C1-6알킬S(O)2C1-6알킬을 나타내고;
    R6 및 R7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 시아노, C1-6알킬, C1-6알킬옥시, Ar2옥시, 트리할로메틸, C1-6알킬티오, 디(C1-6알킬)아미노를 나타내거나,
    인접한 위치의 R6 및 R7 이 함께 하기 구조식의 2가 래디칼을 형성할 수 있으며:
    -O-CH2-O- (c-1), 또는
    -CH=CH-CH=CH- (c-2);
    R8 은 수소, C1-6알킬, 시아노, 하이드록시카보닐, C1-6알킬옥시카보닐, C1-6알킬카보닐C1-6알킬, 시아노C1-6알킬, C1-6알킬옥시카보닐C1-6알킬, 카복시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아미노C1-6알킬,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 이미다졸릴, 할로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아미노카보닐C1-6알킬, 또는 하기 일반식의 래디칼을 나타내고:
    -O-R10 (b-1),
    -S-R10 (b-2),
    -N-R11R12 (b-3),
    여기에서
    R10 은 수소, C1-6알킬, C1-6알킬카보닐, Ar1, Ar2C1-6알킬, C1-6알킬옥시카보닐C1-6알킬, 또는 일반식 -Alk2-OR13 또는 -Alk2-NR14R15의 래디칼을 나타내며;
    R11 은 수소, C1-12알킬, Ar1 또는 Ar2C1-6알킬을 나타내고;
    R12 은 수소, C1-6알킬, C1-16알킬카보닐, C1-6알킬옥시카보닐, C1-6알킬아미노카보닐, Ar1, Ar2C1-6알킬, C1-6알킬카보닐C1-6알킬, 천연 아미노산, Ar1카보닐, Ar2C1-6알킬카보닐, 아미노카보닐카보닐, C1-6알킬옥시C1-6알킬카보닐, 하이드록시, C1-6알킬옥시, 아미노카보닐,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카보닐, 아미노, C1-6알킬아미노, C1-6알킬카보닐아미노, 또는 일반식 -Alk2-OR13 또는 -Alk2-NR14R15의 래디칼을 나타내며;
    여기에서
    Alk2 는 C1-6알칸디일을 나타내고;
    R13 은 수소, C1-6알킬, C1-6알킬카보닐, 하이드록시C1-6알킬, Ar1 또는 Ar2C1-6알킬을 나타내며;
    R14 는 수소, C1-6알킬, Ar1 또는 Ar2C1-6알킬을 나타내고;
    R15 는 수소, C1-6알킬, C1-6알킬카보닐, Ar1 또는 Ar2C1-6알킬을 나타내며;
    R17 은 수소, 할로, 시아노, C1-6알킬, C1-6알킬옥시카보닐, Ar1을 나타내고;
    R18 은 수소, C1-6알킬, C1-6알킬옥시 또는 할로를 나타내며;
    R19 는 수소 또는 C1-6알킬을 나타내고;
    Ar1 은 페닐, 또는 C1-6알킬, 하이드록시, 아미노, C1-6알킬옥시 또는 할로에 의해 치환된 페닐을 나타내며;
    Ar2 는 페닐, 또는 C1-6알킬, 하이드록시, 아미노, C1-6알킬옥시 또는 할로에 의해 치환된 페닐을 나타낸다.
  67. 제66항에 있어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가 X 가 산소이고, 점선이 결합을 나타내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68. 제66항에 있어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가 R1 이 수소, 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또는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이고; R2 가 할로, C1-6알킬, C2-6알케닐, C1-6알킬옥시, 트리할로메톡시 또는 하이드록시C1-6알킬옥시이며; R3가 수소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69. 제66항에 있어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가 R8 이 수소, 하이드록시, 할로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시아노C1-6알킬, C1-6알킬옥시카보닐C1-6알킬, 이미다졸릴, 또는 일반식 -NR11R12 의 래디칼이고, 여기에서 R11 이 수소 또는 C1-12알킬이며, R12 가 수소, C1-6알킬, C1-6알킬옥시, C1-6알킬옥시C1-6알킬카보닐, 하이드록시, 또는 일반식 -Alk2-OR13 의 래디칼이고, 여기에서 R13 이 수소 또는 C1-6알킬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70. 제66항에 있어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가 (+)-6-[아미노(4-클로로페닐)(1-메틸-1H-이미다졸-5-일)메틸]-4-(3-클로로페닐)-1-메틸-2(1H)-퀴놀리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인 방법.
  71. 제57항에 있어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가 일반식 (1)의 화합물, 그의 입체이성체 형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또는 염기 부가염을 포함하는 방법:
    Figure 112008001726558-PCT00678
    상기 식에서
    점선은 임의 결합을 나타내고;
    X 는 산소 또는 황을 나타내며;
    R1은 수소, C1-12알킬, Ar1, Ar2C1-6알킬, 퀴놀리닐C1-6알킬, 피리딜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 아미노C1-6알킬, 또는 일반식 -Alk1-C(=O)-R9, -Alk1-S(O)-R9 또는 -Alk1-S(O)2-R9의 래디칼을 나타내고,
    여기에서
    Alk1 는 C1-6알칸디일을 나타내며,
    R9는 하이드록시, C1-6알킬, C1-6알킬옥시, 아미노, C1-8알킬아미노 또는 C1-6알킬옥시카보닐에 의해 치환된 C1-8알킬아미노를 나타내고;
    R2, R3 및 R16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록시, 할로, 시아노, C1-6알킬, C1-6알킬옥시, 하이드록시C1-6알킬옥시, C1-6알킬옥시C1-6알킬옥시, 아미노C1-6알킬옥시,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옥시, Ar1, Ar2C1-6알킬, Ar2옥시, Ar2C1-6알킬옥시, 하이드록시카보닐, C1-6알킬옥시카보닐, 트리할로메틸, 트리할로메톡시, C2-6알케닐, 4,4-디메틸옥사졸릴을 나타내거나;
    인접한 위치의 R2 및 R3 가 함께 하기 구조식의 2가 래디칼을 형성할 수 있으며:
    -O-CH2-O- (a-1),
    -O-CH2-CH2-O- (a-2),
    -O-CH=CH- (a-3),
    -O-CH2-CH2- (a-4),
    -O-CH2-CH2-CH2- (a-5), 또는
    -CH=CH-CH=CH- (a-6);
    R4 및 R5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 Ar1, 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C1-6알킬옥시, C1-6알킬티오, 아미노, 하이드록시카보닐, C1-6알킬옥시카보닐, C1-6알킬S(O)C1-6알킬 또는 C1-6알킬S(O)2C1-6알킬을 나타내고;
    R6 및 R7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 시아노, C1-6알킬, C1-6알킬옥시, Ar2옥시, 트리할로메틸, C1-6알킬티오, 디(C1-6알킬)아미노를 나타내거나,
    인접한 위치의 R6 및 R7 이 함께 하기 구조식의 2가 래디칼을 형성할 수 있으며:
    -O-CH2-O- (c-1), 또는
    -CH=CH-CH=CH- (c-2);
    R8 은 수소, C1-6알킬, 시아노, 하이드록시카보닐, C1-6알킬옥시카보닐, C1-6알킬카보닐C1-6알킬, 시아노C1-6알킬, C1-6알킬옥시카보닐C1-6알킬, 카복시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아미노C1-6알킬,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 이미다졸릴, 할로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아미노카보닐C1-6알킬, 또는 하기 일반식의 래디칼을 나타내고:
    -O-R10 (b-1),
    -S-R10 (b-2),
    -N-R11R12 (b-3),
    여기에서
    R10 은 수소, C1-6알킬, C1-6알킬카보닐, Ar1, Ar2C1-6알킬, C1-6알킬옥시카 보닐C1-6알킬, 또는 일반식 -Alk2-OR13 또는 -Alk2-NR14R15의 래디칼을 나타내며;
    R11 은 수소, C1-12알킬, Ar1 또는 Ar2C1-6알킬을 나타내고;
    R12 은 수소, C1-6알킬, C1-16알킬카보닐, C1-6알킬옥시카보닐, C1-6알킬아미노카보닐, Ar1, Ar2C1-6알킬, C1-6알킬카보닐C1-6알킬, 천연 아미노산, Ar1카보닐, Ar2C1-6알킬카보닐, 아미노카보닐카보닐, C1-6알킬옥시C1-6알킬카보닐, 하이드록시, C1-6알킬옥시, 아미노카보닐,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카보닐, 아미노, C1-6알킬아미노, C1-6알킬카보닐아미노, 또는 일반식 -Alk2-OR13 또는 -Alk2-NR14R15의 래디칼을 나타내며;
    여기에서
    Alk2 는 C1-6알칸디일을 나타내고;
    R13 은 수소, C1-6알킬, C1-6알킬카보닐, 하이드록시C1-6알킬, Ar1 또는 Ar2C1-6알킬을 나타내며;
    R14 는 수소, C1-6알킬, Ar1 또는 Ar2C1-6알킬을 나타내고;
    R15 는 수소, C1-6알킬, C1-6알킬카보닐, Ar1 또는 Ar2C1-6알킬을 나타내며;
    R17 은 수소, 할로, 시아노, C1-6알킬, C1-6알킬옥시카보닐, Ar1을 나타내고;
    R18 은 수소, C1-6알킬, C1-6알킬옥시 또는 할로를 나타내며;
    R19 는 수소 또는 C1-6알킬을 나타내고;
    Ar1 은 페닐, 또는 C1-6알킬, 하이드록시, 아미노, C1-6알킬옥시 또는 할로에 의해 치환된 페닐을 나타내며;
    Ar2 는 페닐, 또는 C1-6알킬, 하이드록시, 아미노, C1-6알킬옥시 또는 할로에 의해 치환된 페닐을 나타낸다.
  72. 제71항에 있어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가 X 가 산소이고, 점선이 결합을 나타내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73. 제71항에 있어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가 R1 이 수소, 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또는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이고; R2 가 할로, C1-6알킬, C2-6알케닐, C1-6알킬옥시, 트리할로메톡시 또는 하이드록시C1-6알킬옥 시이며; R3가 수소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74. 제71항에 있어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가 R8 이 수소, 하이드록시, 할로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시아노C1-6알킬, C1-6알킬옥시카보닐C1-6알킬, 이미다졸릴, 또는 일반식 -NR11R12 의 래디칼이고, 여기에서 R11 이 수소 또는 C1-12알킬이며, R12 가 수소, C1-6알킬, C1-6알킬옥시, C1-6알킬옥시C1-6알킬카보닐, 하이드록시, 또는 일반식 -Alk2-OR13 의 래디칼이고, 여기에서 R13 이 수소 또는 C1-6알킬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75. 제71항에 있어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가 (+)-6-[아미노(4-클로로페닐)(1-메틸-1H-이미다졸-5-일)메틸]-4-(3-클로로페닐)-1-메틸-2(1H)-퀴놀리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인 방법.
  76. 제58항에 있어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가 일반식 (1)의 화합물, 그의 입체이성체 형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또는 염기 부가염을 포함하는 방법:
    Figure 112008001726558-PCT00679
    상기 식에서
    점선은 임의 결합을 나타내고;
    X 는 산소 또는 황을 나타내며;
    R1은 수소, C1-12알킬, Ar1, Ar2C1-6알킬, 퀴놀리닐C1-6알킬, 피리딜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 아미노C1-6알킬, 또는 일반식 -Alk1-C(=O)-R9, -Alk1-S(O)-R9 또는 -Alk1-S(O)2-R9의 래디칼을 나타내고,
    여기에서
    Alk1 는 C1-6알칸디일을 나타내며,
    R9는 하이드록시, C1-6알킬, C1-6알킬옥시, 아미노, C1-8알킬아미노 또는 C1-6알킬옥시카보닐에 의해 치환된 C1-8알킬아미노를 나타내고;
    R2, R3 및 R16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록시, 할로, 시아노, C1-6알킬, C1-6알킬옥시, 하이드록시C1-6알킬옥시, C1-6알킬옥시C1-6알킬옥시, 아미노C1- 6알킬옥시,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옥시, Ar1, Ar2C1-6알킬, Ar2옥시, Ar2C1-6알킬옥시, 하이드록시카보닐, C1-6알킬옥시카보닐, 트리할로메틸, 트리할로메톡시, C2-6알케닐, 4,4-디메틸옥사졸릴을 나타내거나;
    인접한 위치의 R2 및 R3 가 함께 하기 구조식의 2가 래디칼을 형성할 수 있으며:
    -O-CH2-O- (a-1),
    -O-CH2-CH2-O- (a-2),
    -O-CH=CH- (a-3),
    -O-CH2-CH2- (a-4),
    -O-CH2-CH2-CH2- (a-5), 또는
    -CH=CH-CH=CH- (a-6);
    R4 및 R5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 Ar1, 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C1-6알킬옥시, C1-6알킬티오, 아미노, 하이드록시카보닐, C1-6알킬옥시카보닐, C1-6알킬S(O)C1-6알킬 또는 C1-6알킬S(O)2C1-6알킬을 나타내고;
    R6 및 R7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 시아노, C1-6알킬, C1-6알킬옥시, Ar2옥시, 트리할로메틸, C1-6알킬티오, 디(C1-6알킬)아미노를 나타내거나,
    인접한 위치의 R6 및 R7 이 함께 하기 구조식의 2가 래디칼을 형성할 수 있으며:
    -O-CH2-O- (c-1), 또는
    -CH=CH-CH=CH- (c-2);
    R8 은 수소, C1-6알킬, 시아노, 하이드록시카보닐, C1-6알킬옥시카보닐, C1-6알킬카보닐C1-6알킬, 시아노C1-6알킬, C1-6알킬옥시카보닐C1-6알킬, 카복시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아미노C1-6알킬,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 이미다졸릴, 할로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아미노카보닐C1-6알킬, 또는 하기 일반식의 래디칼을 나타내고:
    -O-R10 (b-1),
    -S-R10 (b-2),
    -N-R11R12 (b-3),
    여기에서
    R10 은 수소, C1-6알킬, C1-6알킬카보닐, Ar1, Ar2C1-6알킬, C1-6알킬옥시카보닐C1-6알킬, 또는 일반식 -Alk2-OR13 또는 -Alk2-NR14R15의 래디칼을 나타내며;
    R11 은 수소, C1-12알킬, Ar1 또는 Ar2C1-6알킬을 나타내고;
    R12 은 수소, C1-6알킬, C1-16알킬카보닐, C1-6알킬옥시카보닐, C1-6알킬아미노카보닐, Ar1, Ar2C1-6알킬, C1-6알킬카보닐C1-6알킬, 천연 아미노산, Ar1카보닐, Ar2C1-6알킬카보닐, 아미노카보닐카보닐, C1-6알킬옥시C1-6알킬카보닐, 하이드록시, C1-6알킬옥시, 아미노카보닐,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카보닐, 아미노, C1-6알킬아미노, C1-6알킬카보닐아미노, 또는 일반식 -Alk2-OR13 또는 -Alk2-NR14R15의 래디칼을 나타내며;
    여기에서
    Alk2 는 C1-6알칸디일을 나타내고;
    R13 은 수소, C1-6알킬, C1-6알킬카보닐, 하이드록시C1-6알킬, Ar1 또는 Ar2C1-6알킬을 나타내며;
    R14 는 수소, C1-6알킬, Ar1 또는 Ar2C1-6알킬을 나타내고;
    R15 는 수소, C1-6알킬, C1-6알킬카보닐, Ar1 또는 Ar2C1-6알킬을 나타내며;
    R17 은 수소, 할로, 시아노, C1-6알킬, C1-6알킬옥시카보닐, Ar1을 나타내고;
    R18 은 수소, C1-6알킬, C1-6알킬옥시 또는 할로를 나타내며;
    R19 는 수소 또는 C1-6알킬을 나타내고;
    Ar1 은 페닐, 또는 C1-6알킬, 하이드록시, 아미노, C1-6알킬옥시 또는 할로에 의해 치환된 페닐을 나타내며;
    Ar2 는 페닐, 또는 C1-6알킬, 하이드록시, 아미노, C1-6알킬옥시 또는 할로에 의해 치환된 페닐을 나타낸다.
  77. 제76항에 있어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가 X 가 산소이고, 점선이 결합을 나타내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78. 제76항에 있어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가 R1 이 수소, 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또는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이고; R2 가 할로, C1-6알킬, C2-6알케닐, C1-6알킬옥시, 트리할로메톡시 또는 하이드록시C1-6알킬옥시이며; R3가 수소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79. 제76항에 있어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가 R8 이 수소, 하이드록시, 할로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시아노C1-6알킬, C1-6알킬옥시카보닐C1-6알킬, 이미다졸릴, 또는 일반식 -NR11R12 의 래디칼이고, 여기에서 R11 이 수소 또는 C1-12알킬이며, R12 가 수소, C1-6알킬, C1-6알킬옥시, C1-6알킬옥시C1-6알킬카보닐, 하이드록시, 또는 일반식 -Alk2-OR13 의 래디칼이고, 여기에서 R13 이 수소 또는 C1-6알킬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80. 제76항에 있어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가 (+)-6-[아미노(4-클로로페닐)(1-메틸-1H-이미다졸-5-일)메틸]-4-(3-클로로페닐)-1-메틸-2(1H)-퀴놀리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인 방법.
  81. 제59항에 있어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가 일반식 (1)의 화합물, 그의 입체이성체 형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또는 염기 부가염을 포함하는 방법:
    Figure 112008001726558-PCT00680
    상기 식에서
    점선은 임의 결합을 나타내고;
    X 는 산소 또는 황을 나타내며;
    R1은 수소, C1-12알킬, Ar1, Ar2C1-6알킬, 퀴놀리닐C1-6알킬, 피리딜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 아미노C1-6알킬, 또는 일반식 -Alk1-C(=O)-R9, -Alk1-S(O)-R9 또는 -Alk1-S(O)2-R9의 래디칼을 나타내고,
    여기에서
    Alk1 는 C1-6알칸디일을 나타내며,
    R9는 하이드록시, C1-6알킬, C1-6알킬옥시, 아미노, C1-8알킬아미노 또는 C1-6알킬옥시카보닐에 의해 치환된 C1-8알킬아미노를 나타내고;
    R2, R3 및 R16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록시, 할로, 시아노, C1-6알킬, C1-6알킬옥시, 하이드록시C1-6알킬옥시, C1-6알킬옥시C1-6알킬옥시, 아미노C1-6알킬옥시,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옥시, Ar1, Ar2C1-6알킬, Ar2옥시, Ar2C1-6알킬옥시, 하이드록시카보닐, C1-6알킬옥시카보닐, 트리할로메틸, 트리할로메톡시, C2-6알케닐, 4,4-디메틸옥사졸릴을 나타내거나;
    인접한 위치의 R2 및 R3 가 함께 하기 구조식의 2가 래디칼을 형성할 수 있 으며:
    -O-CH2-O- (a-1),
    -O-CH2-CH2-O- (a-2),
    -O-CH=CH- (a-3),
    -O-CH2-CH2- (a-4),
    -O-CH2-CH2-CH2- (a-5), 또는
    -CH=CH-CH=CH- (a-6);
    R4 및 R5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 Ar1, 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C1-6알킬옥시, C1-6알킬티오, 아미노, 하이드록시카보닐, C1-6알킬옥시카보닐, C1-6알킬S(O)C1-6알킬 또는 C1-6알킬S(O)2C1-6알킬을 나타내고;
    R6 및 R7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 시아노, C1-6알킬, C1-6알킬옥시, Ar2옥시, 트리할로메틸, C1-6알킬티오, 디(C1-6알킬)아미노를 나타내거나,
    인접한 위치의 R6 및 R7 이 함께 하기 구조식의 2가 래디칼을 형성할 수 있으며:
    -O-CH2-O- (c-1), 또는
    -CH=CH-CH=CH- (c-2);
    R8 은 수소, C1-6알킬, 시아노, 하이드록시카보닐, C1-6알킬옥시카보닐, C1- 6알킬카보닐C1-6알킬, 시아노C1-6알킬, C1-6알킬옥시카보닐C1-6알킬, 카복시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아미노C1-6알킬,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 이미다졸릴, 할로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아미노카보닐C1-6알킬, 또는 하기 일반식의 래디칼을 나타내고:
    -O-R10 (b-1),
    -S-R10 (b-2),
    -N-R11R12 (b-3),
    여기에서
    R10 은 수소, C1-6알킬, C1-6알킬카보닐, Ar1, Ar2C1-6알킬, C1-6알킬옥시카보닐C1-6알킬, 또는 일반식 -Alk2-OR13 또는 -Alk2-NR14R15의 래디칼을 나타내며;
    R11 은 수소, C1-12알킬, Ar1 또는 Ar2C1-6알킬을 나타내고;
    R12 은 수소, C1-6알킬, C1-16알킬카보닐, C1-6알킬옥시카보닐, C1-6알킬아미노카보닐, Ar1, Ar2C1-6알킬, C1-6알킬카보닐C1-6알킬, 천연 아미노산, Ar1카보닐, Ar2C1-6알킬카보닐, 아미노카보닐카보닐, C1-6알킬옥시C1-6알킬카보닐, 하이드록시, C1-6알킬옥시, 아미노카보닐,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카보닐, 아미노, C1-6알킬아미노, C1-6알킬카보닐아미노, 또는 일반식 -Alk2-OR13 또는 -Alk2-NR14R15 의 래디칼을 나타내며;
    여기에서
    Alk2 는 C1-6알칸디일을 나타내고;
    R13 은 수소, C1-6알킬, C1-6알킬카보닐, 하이드록시C1-6알킬, Ar1 또는 Ar2C1-6알킬을 나타내며;
    R14 는 수소, C1-6알킬, Ar1 또는 Ar2C1-6알킬을 나타내고;
    R15 는 수소, C1-6알킬, C1-6알킬카보닐, Ar1 또는 Ar2C1-6알킬을 나타내며;
    R17 은 수소, 할로, 시아노, C1-6알킬, C1-6알킬옥시카보닐, Ar1을 나타내고;
    R18 은 수소, C1-6알킬, C1-6알킬옥시 또는 할로를 나타내며;
    R19 는 수소 또는 C1-6알킬을 나타내고;
    Ar1 은 페닐, 또는 C1-6알킬, 하이드록시, 아미노, C1-6알킬옥시 또는 할로에 의해 치환된 페닐을 나타내며;
    Ar2 는 페닐, 또는 C1-6알킬, 하이드록시, 아미노, C1-6알킬옥시 또는 할로 에 의해 치환된 페닐을 나타낸다.
  82. 제81항에 있어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가 X 가 산소이고, 점선이 결합을 나타내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83. 제81항에 있어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가 R1 이 수소, 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또는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이고; R2 가 할로, C1-6알킬, C2-6알케닐, C1-6알킬옥시, 트리할로메톡시 또는 하이드록시C1-6알킬옥시이며; R3가 수소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84. 제81항에 있어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가 R8 이 수소, 하이드록시, 할로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시아노C1-6알킬, C1-6알킬옥시카보닐C1-6알킬, 이미다졸릴, 또는 일반식 -NR11R12 의 래디칼이고, 여기에서 R11 이 수소 또는 C1-12알킬이며, R12 가 수소, C1-6알킬, C1-6알킬옥시, C1-6알킬옥시C1-6알킬카보닐, 하 이드록시, 또는 일반식 -Alk2-OR13 의 래디칼이고, 여기에서 R13 이 수소 또는 C1-6알킬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85. 제81항에 있어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가 (+)-6-[아미노(4-클로로페닐)(1-메틸-1H-이미다졸-5-일)메틸]-4-(3-클로로페닐)-1-메틸-2(1H)-퀴놀리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인 방법.
  86. 제60항에 있어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가 일반식 (1)의 화합물, 그의 입체이성체 형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또는 염기 부가염을 포함하는 방법:
    Figure 112008001726558-PCT00681
    상기 식에서
    점선은 임의 결합을 나타내고;
    X 는 산소 또는 황을 나타내며;
    R1은 수소, C1-12알킬, Ar1, Ar2C1-6알킬, 퀴놀리닐C1-6알킬, 피리딜C1-6알 킬, 하이드록시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 아미노C1-6알킬, 또는 일반식 -Alk1-C(=O)-R9, -Alk1-S(O)-R9 또는 -Alk1-S(O)2-R9의 래디칼을 나타내고,
    여기에서
    Alk1 는 C1-6알칸디일을 나타내며,
    R9는 하이드록시, C1-6알킬, C1-6알킬옥시, 아미노, C1-8알킬아미노 또는 C1-6알킬옥시카보닐에 의해 치환된 C1-8알킬아미노를 나타내고;
    R2, R3 및 R16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록시, 할로, 시아노, C1-6알킬, C1-6알킬옥시, 하이드록시C1-6알킬옥시, C1-6알킬옥시C1-6알킬옥시, 아미노C1-6알킬옥시,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옥시, Ar1, Ar2C1-6알킬, Ar2옥시, Ar2C1-6알킬옥시, 하이드록시카보닐, C1-6알킬옥시카보닐, 트리할로메틸, 트리할로메톡시, C2-6알케닐, 4,4-디메틸옥사졸릴을 나타내거나;
    인접한 위치의 R2 및 R3 가 함께 하기 구조식의 2가 래디칼을 형성할 수 있으며:
    -O-CH2-O- (a-1),
    -O-CH2-CH2-O- (a-2),
    -O-CH=CH- (a-3),
    -O-CH2-CH2- (a-4),
    -O-CH2-CH2-CH2- (a-5), 또는
    -CH=CH-CH=CH- (a-6);
    R4 및 R5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 Ar1, 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C1-6알킬옥시, C1-6알킬티오, 아미노, 하이드록시카보닐, C1-6알킬옥시카보닐, C1-6알킬S(O)C1-6알킬 또는 C1-6알킬S(O)2C1-6알킬을 나타내고;
    R6 및 R7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 시아노, C1-6알킬, C1-6알킬옥시, Ar2옥시, 트리할로메틸, C1-6알킬티오, 디(C1-6알킬)아미노를 나타내거나,
    인접한 위치의 R6 및 R7 이 함께 하기 구조식의 2가 래디칼을 형성할 수 있으며:
    -O-CH2-O- (c-1), 또는
    -CH=CH-CH=CH- (c-2);
    R8 은 수소, C1-6알킬, 시아노, 하이드록시카보닐, C1-6알킬옥시카보닐, C1-6알킬카보닐C1-6알킬, 시아노C1-6알킬, C1-6알킬옥시카보닐C1-6알킬, 카복시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아미노C1-6알킬,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 이미다졸릴, 할로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아미노카보닐C1-6알킬, 또는 하기 일반식의 래디칼을 나타내고:
    -O-R10 (b-1),
    -S-R10 (b-2),
    -N-R11R12 (b-3),
    여기에서
    R10 은 수소, C1-6알킬, C1-6알킬카보닐, Ar1, Ar2C1-6알킬, C1-6알킬옥시카보닐C1-6알킬, 또는 일반식 -Alk2-OR13 또는 -Alk2-NR14R15의 래디칼을 나타내며;
    R11 은 수소, C1-12알킬, Ar1 또는 Ar2C1-6알킬을 나타내고;
    R12 은 수소, C1-6알킬, C1-16알킬카보닐, C1-6알킬옥시카보닐, C1-6알킬아미노카보닐, Ar1, Ar2C1-6알킬, C1-6알킬카보닐C1-6알킬, 천연 아미노산, Ar1카보닐, Ar2C1-6알킬카보닐, 아미노카보닐카보닐, C1-6알킬옥시C1-6알킬카보닐, 하이드록시, C1-6알킬옥시, 아미노카보닐,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카보닐, 아미노, C1-6알킬아미노, C1-6알킬카보닐아미노, 또는 일반식 -Alk2-OR13 또는 -Alk2-NR14R15의 래디칼을 나타내며;
    여기에서
    Alk2 는 C1-6알칸디일을 나타내고;
    R13 은 수소, C1-6알킬, C1-6알킬카보닐, 하이드록시C1-6알킬, Ar1 또는 Ar2C1-6알킬을 나타내며;
    R14 는 수소, C1-6알킬, Ar1 또는 Ar2C1-6알킬을 나타내고;
    R15 는 수소, C1-6알킬, C1-6알킬카보닐, Ar1 또는 Ar2C1-6알킬을 나타내며;
    R17 은 수소, 할로, 시아노, C1-6알킬, C1-6알킬옥시카보닐, Ar1을 나타내고;
    R18 은 수소, C1-6알킬, C1-6알킬옥시 또는 할로를 나타내며;
    R19 는 수소 또는 C1-6알킬을 나타내고;
    Ar1 은 페닐, 또는 C1-6알킬, 하이드록시, 아미노, C1-6알킬옥시 또는 할로에 의해 치환된 페닐을 나타내며;
    Ar2 는 페닐, 또는 C1-6알킬, 하이드록시, 아미노, C1-6알킬옥시 또는 할로에 의해 치환된 페닐을 나타낸다.
  87. 제86항에 있어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가 X 가 산소이고, 점선이 결 합을 나타내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88. 제86항에 있어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가 R1 이 수소, 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또는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이고; R2 가 할로, C1-6알킬, C2-6알케닐, C1-6알킬옥시, 트리할로메톡시 또는 하이드록시C1-6알킬옥시이며; R3가 수소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89. 제86항에 있어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가 R8 이 수소, 하이드록시, 할로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시아노C1-6알킬, C1-6알킬옥시카보닐C1-6알킬, 이미다졸릴, 또는 일반식 -NR11R12 의 래디칼이고, 여기에서 R11 이 수소 또는 C1-12알킬이며, R12 가 수소, C1-6알킬, C1-6알킬옥시, C1-6알킬옥시C1-6알킬카보닐, 하이드록시, 또는 일반식 -Alk2-OR13 의 래디칼이고, 여기에서 R13 이 수소 또는 C1-6 알킬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90. 제86항에 있어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가 (+)-6-[아미노(4-클로로페닐)(1-메틸-1H-이미다졸-5-일)메틸]-4-(3-클로로페닐)-1-메틸-2(1H)-퀴놀리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인 방법.
  91. 제61항에 있어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가 일반식 (1)의 화합물, 그의 입체이성체 형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또는 염기 부가염을 포함하는 방법:
    Figure 112008001726558-PCT00682
    상기 식에서
    점선은 임의 결합을 나타내고;
    X 는 산소 또는 황을 나타내며;
    R1은 수소, C1-12알킬, Ar1, Ar2C1-6알킬, 퀴놀리닐C1-6알킬, 피리딜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 C1-6알킬, 아미노C1-6알킬, 또는 일반식 -Alk1-C(=O)-R9, -Alk1-S(O)-R9 또는 -Alk1-S(O)2-R9의 래디칼을 나타내고,
    여기에서
    Alk1 는 C1-6알칸디일을 나타내며,
    R9는 하이드록시, C1-6알킬, C1-6알킬옥시, 아미노, C1-8알킬아미노 또는 C1-6알킬옥시카보닐에 의해 치환된 C1-8알킬아미노를 나타내고;
    R2, R3 및 R16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록시, 할로, 시아노, C1-6알킬, C1-6알킬옥시, 하이드록시C1-6알킬옥시, C1-6알킬옥시C1-6알킬옥시, 아미노C1-6알킬옥시,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옥시, Ar1, Ar2C1-6알킬, Ar2옥시, Ar2C1-6알킬옥시, 하이드록시카보닐, C1-6알킬옥시카보닐, 트리할로메틸, 트리할로메톡시, C2-6알케닐, 4,4-디메틸옥사졸릴을 나타내거나;
    인접한 위치의 R2 및 R3 가 함께 하기 구조식의 2가 래디칼을 형성할 수 있으며:
    -O-CH2-O- (a-1),
    -O-CH2-CH2-O- (a-2),
    -O-CH=CH- (a-3),
    -O-CH2-CH2- (a-4),
    -O-CH2-CH2-CH2- (a-5), 또는
    -CH=CH-CH=CH- (a-6);
    R4 및 R5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 Ar1, 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C1-6알킬옥시, C1-6알킬티오, 아미노, 하이드록시카보닐, C1-6알킬옥시카보닐, C1-6알킬S(O)C1-6알킬 또는 C1-6알킬S(O)2C1-6알킬을 나타내고;
    R6 및 R7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 시아노, C1-6알킬, C1-6알킬옥시, Ar2옥시, 트리할로메틸, C1-6알킬티오, 디(C1-6알킬)아미노를 나타내거나,
    인접한 위치의 R6 및 R7 이 함께 하기 구조식의 2가 래디칼을 형성할 수 있으며:
    -O-CH2-O- (c-1), 또는
    -CH=CH-CH=CH- (c-2);
    R8 은 수소, C1-6알킬, 시아노, 하이드록시카보닐, C1-6알킬옥시카보닐, C1-6알킬카보닐C1-6알킬, 시아노C1-6알킬, C1-6알킬옥시카보닐C1-6알킬, 카복시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아미노C1-6알킬,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 이미다졸릴, 할로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아미노카보닐C1-6알킬, 또는 하기 일반식의 래디칼을 나타내고:
    -O-R10 (b-1),
    -S-R10 (b-2),
    -N-R11R12 (b-3),
    여기에서
    R10 은 수소, C1-6알킬, C1-6알킬카보닐, Ar1, Ar2C1-6알킬, C1-6알킬옥시카보닐C1-6알킬, 또는 일반식 -Alk2-OR13 또는 -Alk2-NR14R15의 래디칼을 나타내며;
    R11 은 수소, C1-12알킬, Ar1 또는 Ar2C1-6알킬을 나타내고;
    R12 은 수소, C1-6알킬, C1-16알킬카보닐, C1-6알킬옥시카보닐, C1-6알킬아미노카보닐, Ar1, Ar2C1-6알킬, C1-6알킬카보닐C1-6알킬, 천연 아미노산, Ar1카보닐, Ar2C1-6알킬카보닐, 아미노카보닐카보닐, C1-6알킬옥시C1-6알킬카보닐, 하이드록시, C1-6알킬옥시, 아미노카보닐,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카보닐, 아미노, C1-6알킬아미노, C1-6알킬카보닐아미노, 또는 일반식 -Alk2-OR13 또는 -Alk2-NR14R15의 래디칼을 나타내며;
    여기에서
    Alk2 는 C1-6알칸디일을 나타내고;
    R13 은 수소, C1-6알킬, C1-6알킬카보닐, 하이드록시C1-6알킬, Ar1 또는 Ar2C1-6알킬을 나타내며;
    R14 는 수소, C1-6알킬, Ar1 또는 Ar2C1-6알킬을 나타내고;
    R15 는 수소, C1-6알킬, C1-6알킬카보닐, Ar1 또는 Ar2C1-6알킬을 나타내며;
    R17 은 수소, 할로, 시아노, C1-6알킬, C1-6알킬옥시카보닐, Ar1을 나타내고;
    R18 은 수소, C1-6알킬, C1-6알킬옥시 또는 할로를 나타내며;
    R19 는 수소 또는 C1-6알킬을 나타내고;
    Ar1 은 페닐, 또는 C1-6알킬, 하이드록시, 아미노, C1-6알킬옥시 또는 할로에 의해 치환된 페닐을 나타내며;
    Ar2 는 페닐, 또는 C1-6알킬, 하이드록시, 아미노, C1-6알킬옥시 또는 할로에 의해 치환된 페닐을 나타낸다.
  92. 제91항에 있어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가 X 가 산소이고, 점선이 결 합을 나타내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93. 제91항에 있어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가 R1 이 수소, 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또는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이고; R2 가 할로, C1-6알킬, C2-6알케닐, C1-6알킬옥시, 트리할로메톡시 또는 하이드록시C1-6알킬옥시이며; R3가 수소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94. 제91항에 있어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가 R8 이 수소, 하이드록시, 할로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시아노C1-6알킬, C1-6알킬옥시카보닐C1-6알킬, 이미다졸릴, 또는 일반식 -NR11R12 의 래디칼이고, 여기에서 R11 이 수소 또는 C1-12알킬이며, R12 가 수소, C1-6알킬, C1-6알킬옥시, C1-6알킬옥시C1-6알킬카보닐, 하이드록시, 또는 일반식 -Alk2-OR13 의 래디칼이고, 여기에서 R13 이 수소 또는 C1-6 알킬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95. 제91항에 있어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가 (+)-6-[아미노(4-클로로페닐)(1-메틸-1H-이미다졸-5-일)메틸]-4-(3-클로로페닐)-1-메틸-2(1H)-퀴놀리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인 방법.
  96. 제62항에 있어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가 일반식 (1)의 화합물, 그의 입체이성체 형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또는 염기 부가염을 포함하는 방법:
    Figure 112008001726558-PCT00683
    상기 식에서
    점선은 임의 결합을 나타내고;
    X 는 산소 또는 황을 나타내며;
    R1은 수소, C1-12알킬, Ar1, Ar2C1-6알킬, 퀴놀리닐C1-6알킬, 피리딜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 C1-6알킬, 아미노C1-6알킬, 또는 일반식 -Alk1-C(=O)-R9, -Alk1-S(O)-R9 또는 -Alk1-S(O)2-R9의 래디칼을 나타내고,
    여기에서
    Alk1 는 C1-6알칸디일을 나타내며,
    R9는 하이드록시, C1-6알킬, C1-6알킬옥시, 아미노, C1-8알킬아미노 또는 C1-6알킬옥시카보닐에 의해 치환된 C1-8알킬아미노를 나타내고;
    R2, R3 및 R16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록시, 할로, 시아노, C1-6알킬, C1-6알킬옥시, 하이드록시C1-6알킬옥시, C1-6알킬옥시C1-6알킬옥시, 아미노C1-6알킬옥시,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옥시, Ar1, Ar2C1-6알킬, Ar2옥시, Ar2C1-6알킬옥시, 하이드록시카보닐, C1-6알킬옥시카보닐, 트리할로메틸, 트리할로메톡시, C2-6알케닐, 4,4-디메틸옥사졸릴을 나타내거나;
    인접한 위치의 R2 및 R3 가 함께 하기 구조식의 2가 래디칼을 형성할 수 있으며:
    -O-CH2-O- (a-1),
    -O-CH2-CH2-O- (a-2),
    -O-CH=CH- (a-3),
    -O-CH2-CH2- (a-4),
    -O-CH2-CH2-CH2- (a-5), 또는
    -CH=CH-CH=CH- (a-6);
    R4 및 R5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 Ar1, 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C1-6알킬옥시, C1-6알킬티오, 아미노, 하이드록시카보닐, C1-6알킬옥시카보닐, C1-6알킬S(O)C1-6알킬 또는 C1-6알킬S(O)2C1-6알킬을 나타내고;
    R6 및 R7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 시아노, C1-6알킬, C1-6알킬옥시, Ar2옥시, 트리할로메틸, C1-6알킬티오, 디(C1-6알킬)아미노를 나타내거나,
    인접한 위치의 R6 및 R7 이 함께 하기 구조식의 2가 래디칼을 형성할 수 있으며:
    -O-CH2-O- (c-1), 또는
    -CH=CH-CH=CH- (c-2);
    R8 은 수소, C1-6알킬, 시아노, 하이드록시카보닐, C1-6알킬옥시카보닐, C1-6알킬카보닐C1-6알킬, 시아노C1-6알킬, C1-6알킬옥시카보닐C1-6알킬, 카복시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아미노C1-6알킬,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 이미다졸릴, 할로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아미노카보닐C1-6알킬, 또는 하기 일반식의 래디칼을 나타내고:
    -O-R10 (b-1),
    -S-R10 (b-2),
    -N-R11R12 (b-3),
    여기에서
    R10 은 수소, C1-6알킬, C1-6알킬카보닐, Ar1, Ar2C1-6알킬, C1-6알킬옥시카보닐C1-6알킬, 또는 일반식 -Alk2-OR13 또는 -Alk2-NR14R15의 래디칼을 나타내며;
    R11 은 수소, C1-12알킬, Ar1 또는 Ar2C1-6알킬을 나타내고;
    R12 은 수소, C1-6알킬, C1-16알킬카보닐, C1-6알킬옥시카보닐, C1-6알킬아미노카보닐, Ar1, Ar2C1-6알킬, C1-6알킬카보닐C1-6알킬, 천연 아미노산, Ar1카보닐, Ar2C1-6알킬카보닐, 아미노카보닐카보닐, C1-6알킬옥시C1-6알킬카보닐, 하이드록시, C1-6알킬옥시, 아미노카보닐,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카보닐, 아미노, C1-6알킬아미노, C1-6알킬카보닐아미노, 또는 일반식 -Alk2-OR13 또는 -Alk2-NR14R15의 래디칼을 나타내며;
    여기에서
    Alk2 는 C1-6알칸디일을 나타내고;
    R13 은 수소, C1-6알킬, C1-6알킬카보닐, 하이드록시C1-6알킬, Ar1 또는 Ar2C1-6알킬을 나타내며;
    R14 는 수소, C1-6알킬, Ar1 또는 Ar2C1-6알킬을 나타내고;
    R15 는 수소, C1-6알킬, C1-6알킬카보닐, Ar1 또는 Ar2C1-6알킬을 나타내며;
    R17 은 수소, 할로, 시아노, C1-6알킬, C1-6알킬옥시카보닐, Ar1을 나타내고;
    R18 은 수소, C1-6알킬, C1-6알킬옥시 또는 할로를 나타내며;
    R19 는 수소 또는 C1-6알킬을 나타내고;
    Ar1 은 페닐, 또는 C1-6알킬, 하이드록시, 아미노, C1-6알킬옥시 또는 할로에 의해 치환된 페닐을 나타내며;
    Ar2 는 페닐, 또는 C1-6알킬, 하이드록시, 아미노, C1-6알킬옥시 또는 할로에 의해 치환된 페닐을 나타낸다.
  97. 제96항에 있어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가 X 가 산소이고, 점선이 결 합을 나타내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98. 제96항에 있어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가 R1 이 수소, 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또는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이고; R2 가 할로, C1-6알킬, C2-6알케닐, C1-6알킬옥시, 트리할로메톡시 또는 하이드록시C1-6알킬옥시이며; R3가 수소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99. 제96항에 있어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가 R8 이 수소, 하이드록시, 할로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시아노C1-6알킬, C1-6알킬옥시카보닐C1-6알킬, 이미다졸릴, 또는 일반식 -NR11R12 의 래디칼이고, 여기에서 R11 이 수소 또는 C1-12알킬이며, R12 가 수소, C1-6알킬, C1-6알킬옥시, C1-6알킬옥시C1-6알킬카보닐, 하이드록시, 또는 일반식 -Alk2-OR13 의 래디칼이고, 여기에서 R13 이 수소 또는 C1-6 알킬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100. 제96항에 있어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가 (+)-6-[아미노(4-클로로페닐)(1-메틸-1H-이미다졸-5-일)메틸]-4-(3-클로로페닐)-1-메틸-2(1H)-퀴놀리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인 방법.
  101. 제63항에 있어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가 일반식 (1)의 화합물, 그의 입체이성체 형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또는 염기 부가염을 포함하는 방법:
    Figure 112008001726558-PCT00684
    상기 식에서
    점선은 임의 결합을 나타내고;
    X 는 산소 또는 황을 나타내며;
    R1은 수소, C1-12알킬, Ar1, Ar2C1-6알킬, 퀴놀리닐C1-6알킬, 피리딜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 C1-6알킬, 아미노C1-6알킬, 또는 일반식 -Alk1-C(=O)-R9, -Alk1-S(O)-R9 또는 -Alk1-S(O)2-R9의 래디칼을 나타내고,
    여기에서
    Alk1 는 C1-6알칸디일을 나타내며,
    R9는 하이드록시, C1-6알킬, C1-6알킬옥시, 아미노, C1-8알킬아미노 또는 C1-6알킬옥시카보닐에 의해 치환된 C1-8알킬아미노를 나타내고;
    R2, R3 및 R16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록시, 할로, 시아노, C1-6알킬, C1-6알킬옥시, 하이드록시C1-6알킬옥시, C1-6알킬옥시C1-6알킬옥시, 아미노C1-6알킬옥시,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옥시, Ar1, Ar2C1-6알킬, Ar2옥시, Ar2C1-6알킬옥시, 하이드록시카보닐, C1-6알킬옥시카보닐, 트리할로메틸, 트리할로메톡시, C2-6알케닐, 4,4-디메틸옥사졸릴을 나타내거나;
    인접한 위치의 R2 및 R3 가 함께 하기 구조식의 2가 래디칼을 형성할 수 있으며:
    -O-CH2-O- (a-1),
    -O-CH2-CH2-O- (a-2),
    -O-CH=CH- (a-3),
    -O-CH2-CH2- (a-4),
    -O-CH2-CH2-CH2- (a-5), 또는
    -CH=CH-CH=CH- (a-6);
    R4 및 R5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 Ar1, 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C1-6알킬옥시, C1-6알킬티오, 아미노, 하이드록시카보닐, C1-6알킬옥시카보닐, C1-6알킬S(O)C1-6알킬 또는 C1-6알킬S(O)2C1-6알킬을 나타내고;
    R6 및 R7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 시아노, C1-6알킬, C1-6알킬옥시, Ar2옥시, 트리할로메틸, C1-6알킬티오, 디(C1-6알킬)아미노를 나타내거나,
    인접한 위치의 R6 및 R7 이 함께 하기 구조식의 2가 래디칼을 형성할 수 있으며:
    -O-CH2-O- (c-1), 또는
    -CH=CH-CH=CH- (c-2);
    R8 은 수소, C1-6알킬, 시아노, 하이드록시카보닐, C1-6알킬옥시카보닐, C1-6알킬카보닐C1-6알킬, 시아노C1-6알킬, C1-6알킬옥시카보닐C1-6알킬, 카복시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아미노C1-6알킬,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 이미다졸릴, 할로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아미노카보닐C1-6알킬, 또는 하기 일반식의 래디칼을 나타내고:
    -O-R10 (b-1),
    -S-R10 (b-2),
    -N-R11R12 (b-3),
    여기에서
    R10 은 수소, C1-6알킬, C1-6알킬카보닐, Ar1, Ar2C1-6알킬, C1-6알킬옥시카보닐C1-6알킬, 또는 일반식 -Alk2-OR13 또는 -Alk2-NR14R15의 래디칼을 나타내며;
    R11 은 수소, C1-12알킬, Ar1 또는 Ar2C1-6알킬을 나타내고;
    R12 은 수소, C1-6알킬, C1-16알킬카보닐, C1-6알킬옥시카보닐, C1-6알킬아미노카보닐, Ar1, Ar2C1-6알킬, C1-6알킬카보닐C1-6알킬, 천연 아미노산, Ar1카보닐, Ar2C1-6알킬카보닐, 아미노카보닐카보닐, C1-6알킬옥시C1-6알킬카보닐, 하이드록시, C1-6알킬옥시, 아미노카보닐,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카보닐, 아미노, C1-6알킬아미노, C1-6알킬카보닐아미노, 또는 일반식 -Alk2-OR13 또는 -Alk2-NR14R15의 래디칼을 나타내며;
    여기에서
    Alk2 는 C1-6알칸디일을 나타내고;
    R13 은 수소, C1-6알킬, C1-6알킬카보닐, 하이드록시C1-6알킬, Ar1 또는 Ar2C1-6알킬을 나타내며;
    R14 는 수소, C1-6알킬, Ar1 또는 Ar2C1-6알킬을 나타내고;
    R15 는 수소, C1-6알킬, C1-6알킬카보닐, Ar1 또는 Ar2C1-6알킬을 나타내며;
    R17 은 수소, 할로, 시아노, C1-6알킬, C1-6알킬옥시카보닐, Ar1을 나타내고;
    R18 은 수소, C1-6알킬, C1-6알킬옥시 또는 할로를 나타내며;
    R19 는 수소 또는 C1-6알킬을 나타내고;
    Ar1 은 페닐, 또는 C1-6알킬, 하이드록시, 아미노, C1-6알킬옥시 또는 할로에 의해 치환된 페닐을 나타내며;
    Ar2 는 페닐, 또는 C1-6알킬, 하이드록시, 아미노, C1-6알킬옥시 또는 할로에 의해 치환된 페닐을 나타낸다.
  102. 제101항에 있어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가 X 가 산소이고, 점선이 결 합을 나타내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103. 제101항에 있어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가 R1 이 수소, 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또는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이고; R2 가 할로, C1-6알킬, C2-6알케닐, C1-6알킬옥시, 트리할로메톡시 또는 하이드록시C1-6알킬옥시이며; R3가 수소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104. 제101항에 있어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가 R8 이 수소, 하이드록시, 할로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시아노C1-6알킬, C1-6알킬옥시카보닐C1-6알킬, 이미다졸릴, 또는 일반식 -NR11R12 의 래디칼이고, 여기에서 R11 이 수소 또는 C1-12알킬이며, R12 가 수소, C1-6알킬, C1-6알킬옥시, C1-6알킬옥시C1-6알킬카보닐, 하이드록시, 또는 일반식 -Alk2-OR13 의 래디칼이고, 여기에서 R13 이 수소 또는 C1-6 알킬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105. 제101항에 있어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가 (+)-6-[아미노(4-클로로페닐)(1-메틸-1H-이미다졸-5-일)메틸]-4-(3-클로로페닐)-1-메틸-2(1H)-퀴놀리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인 방법.
  106. 제64항에 있어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가 일반식 (1)의 화합물, 그의 입체이성체 형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또는 염기 부가염을 포함하는 방법:
    Figure 112008001726558-PCT00685
    상기 식에서
    점선은 임의 결합을 나타내고;
    X 는 산소 또는 황을 나타내며;
    R1은 수소, C1-12알킬, Ar1, Ar2C1-6알킬, 퀴놀리닐C1-6알킬, 피리딜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 C1-6알킬, 아미노C1-6알킬, 또는 일반식 -Alk1-C(=O)-R9, -Alk1-S(O)-R9 또는 -Alk1-S(O)2-R9의 래디칼을 나타내고,
    여기에서
    Alk1 는 C1-6알칸디일을 나타내며,
    R9는 하이드록시, C1-6알킬, C1-6알킬옥시, 아미노, C1-8알킬아미노 또는 C1-6알킬옥시카보닐에 의해 치환된 C1-8알킬아미노를 나타내고;
    R2, R3 및 R16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록시, 할로, 시아노, C1-6알킬, C1-6알킬옥시, 하이드록시C1-6알킬옥시, C1-6알킬옥시C1-6알킬옥시, 아미노C1-6알킬옥시,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옥시, Ar1, Ar2C1-6알킬, Ar2옥시, Ar2C1-6알킬옥시, 하이드록시카보닐, C1-6알킬옥시카보닐, 트리할로메틸, 트리할로메톡시, C2-6알케닐, 4,4-디메틸옥사졸릴을 나타내거나;
    인접한 위치의 R2 및 R3 가 함께 하기 구조식의 2가 래디칼을 형성할 수 있으며:
    -O-CH2-O- (a-1),
    -O-CH2-CH2-O- (a-2),
    -O-CH=CH- (a-3),
    -O-CH2-CH2- (a-4),
    -O-CH2-CH2-CH2- (a-5), 또는
    -CH=CH-CH=CH- (a-6);
    R4 및 R5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 Ar1, 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C1-6알킬옥시, C1-6알킬티오, 아미노, 하이드록시카보닐, C1-6알킬옥시카보닐, C1-6알킬S(O)C1-6알킬 또는 C1-6알킬S(O)2C1-6알킬을 나타내고;
    R6 및 R7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 시아노, C1-6알킬, C1-6알킬옥시, Ar2옥시, 트리할로메틸, C1-6알킬티오, 디(C1-6알킬)아미노를 나타내거나,
    인접한 위치의 R6 및 R7 이 함께 하기 구조식의 2가 래디칼을 형성할 수 있으며:
    -O-CH2-O- (c-1), 또는
    -CH=CH-CH=CH- (c-2);
    R8 은 수소, C1-6알킬, 시아노, 하이드록시카보닐, C1-6알킬옥시카보닐, C1-6알킬카보닐C1-6알킬, 시아노C1-6알킬, C1-6알킬옥시카보닐C1-6알킬, 카복시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아미노C1-6알킬,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 이미다졸릴, 할로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아미노카보닐C1-6알킬, 또는 하기 일반식의 래디칼을 나타내고:
    -O-R10 (b-1),
    -S-R10 (b-2),
    -N-R11R12 (b-3),
    여기에서
    R10 은 수소, C1-6알킬, C1-6알킬카보닐, Ar1, Ar2C1-6알킬, C1-6알킬옥시카보닐C1-6알킬, 또는 일반식 -Alk2-OR13 또는 -Alk2-NR14R15의 래디칼을 나타내며;
    R11 은 수소, C1-12알킬, Ar1 또는 Ar2C1-6알킬을 나타내고;
    R12 은 수소, C1-6알킬, C1-16알킬카보닐, C1-6알킬옥시카보닐, C1-6알킬아미노카보닐, Ar1, Ar2C1-6알킬, C1-6알킬카보닐C1-6알킬, 천연 아미노산, Ar1카보닐, Ar2C1-6알킬카보닐, 아미노카보닐카보닐, C1-6알킬옥시C1-6알킬카보닐, 하이드록시, C1-6알킬옥시, 아미노카보닐,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카보닐, 아미노, C1-6알킬아미노, C1-6알킬카보닐아미노, 또는 일반식 -Alk2-OR13 또는 -Alk2-NR14R15의 래디칼을 나타내며;
    여기에서
    Alk2 는 C1-6알칸디일을 나타내고;
    R13 은 수소, C1-6알킬, C1-6알킬카보닐, 하이드록시C1-6알킬, Ar1 또는 Ar2C1-6알킬을 나타내며;
    R14 는 수소, C1-6알킬, Ar1 또는 Ar2C1-6알킬을 나타내고;
    R15 는 수소, C1-6알킬, C1-6알킬카보닐, Ar1 또는 Ar2C1-6알킬을 나타내며;
    R17 은 수소, 할로, 시아노, C1-6알킬, C1-6알킬옥시카보닐, Ar1을 나타내고;
    R18 은 수소, C1-6알킬, C1-6알킬옥시 또는 할로를 나타내며;
    R19 는 수소 또는 C1-6알킬을 나타내고;
    Ar1 은 페닐, 또는 C1-6알킬, 하이드록시, 아미노, C1-6알킬옥시 또는 할로에 의해 치환된 페닐을 나타내며;
    Ar2 는 페닐, 또는 C1-6알킬, 하이드록시, 아미노, C1-6알킬옥시 또는 할로에 의해 치환된 페닐을 나타낸다.
  107. 제106항에 있어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가 X 가 산소이고, 점선이 결 합을 나타내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108. 제106항에 있어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가 R1 이 수소, 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또는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이고; R2 가 할로, C1-6알킬, C2-6알케닐, C1-6알킬옥시, 트리할로메톡시 또는 하이드록시C1-6알킬옥시이며; R3가 수소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109. 제106항에 있어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가 R8 이 수소, 하이드록시, 할로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시아노C1-6알킬, C1-6알킬옥시카보닐C1-6알킬, 이미다졸릴, 또는 일반식 -NR11R12 의 래디칼이고, 여기에서 R11 이 수소 또는 C1-12알킬이며, R12 가 수소, C1-6알킬, C1-6알킬옥시, C1-6알킬옥시C1-6알킬카보닐, 하이드록시, 또는 일반식 -Alk2-OR13 의 래디칼이고, 여기에서 R13 이 수소 또는 C1-6 알킬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110. 제106항에 있어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가 (+)-6-[아미노(4-클로로페닐)(1-메틸-1H-이미다졸-5-일)메틸]-4-(3-클로로페닐)-1-메틸-2(1H)-퀴놀리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인 방법.
  111. 제65항에 있어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가 일반식 (1)의 화합물, 그의 입체이성체 형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또는 염기 부가염을 포함하는 방법:
    Figure 112008001726558-PCT00686
    상기 식에서
    점선은 임의 결합을 나타내고;
    X 는 산소 또는 황을 나타내며;
    R1은 수소, C1-12알킬, Ar1, Ar2C1-6알킬, 퀴놀리닐C1-6알킬, 피리딜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 C1-6알킬, 아미노C1-6알킬, 또는 일반식 -Alk1-C(=O)-R9, -Alk1-S(O)-R9 또는 -Alk1-S(O)2-R9의 래디칼을 나타내고,
    여기에서
    Alk1 는 C1-6알칸디일을 나타내며,
    R9는 하이드록시, C1-6알킬, C1-6알킬옥시, 아미노, C1-8알킬아미노 또는 C1-6알킬옥시카보닐에 의해 치환된 C1-8알킬아미노를 나타내고;
    R2, R3 및 R16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록시, 할로, 시아노, C1-6알킬, C1-6알킬옥시, 하이드록시C1-6알킬옥시, C1-6알킬옥시C1-6알킬옥시, 아미노C1-6알킬옥시,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옥시, Ar1, Ar2C1-6알킬, Ar2옥시, Ar2C1-6알킬옥시, 하이드록시카보닐, C1-6알킬옥시카보닐, 트리할로메틸, 트리할로메톡시, C2-6알케닐, 4,4-디메틸옥사졸릴을 나타내거나;
    인접한 위치의 R2 및 R3 가 함께 하기 구조식의 2가 래디칼을 형성할 수 있으며:
    -O-CH2-O- (a-1),
    -O-CH2-CH2-O- (a-2),
    -O-CH=CH- (a-3),
    -O-CH2-CH2- (a-4),
    -O-CH2-CH2-CH2- (a-5), 또는
    -CH=CH-CH=CH- (a-6);
    R4 및 R5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 Ar1, 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C1-6알킬옥시, C1-6알킬티오, 아미노, 하이드록시카보닐, C1-6알킬옥시카보닐, C1-6알킬S(O)C1-6알킬 또는 C1-6알킬S(O)2C1-6알킬을 나타내고;
    R6 및 R7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 시아노, C1-6알킬, C1-6알킬옥시, Ar2옥시, 트리할로메틸, C1-6알킬티오, 디(C1-6알킬)아미노를 나타내거나,
    인접한 위치의 R6 및 R7 이 함께 하기 구조식의 2가 래디칼을 형성할 수 있으며:
    -O-CH2-O- (c-1), 또는
    -CH=CH-CH=CH- (c-2);
    R8 은 수소, C1-6알킬, 시아노, 하이드록시카보닐, C1-6알킬옥시카보닐, C1-6알킬카보닐C1-6알킬, 시아노C1-6알킬, C1-6알킬옥시카보닐C1-6알킬, 카복시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아미노C1-6알킬,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 이미다졸릴, 할로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아미노카보닐C1-6알킬, 또는 하기 일반식의 래디칼을 나타내고:
    -O-R10 (b-1),
    -S-R10 (b-2),
    -N-R11R12 (b-3),
    여기에서
    R10 은 수소, C1-6알킬, C1-6알킬카보닐, Ar1, Ar2C1-6알킬, C1-6알킬옥시카보닐C1-6알킬, 또는 일반식 -Alk2-OR13 또는 -Alk2-NR14R15의 래디칼을 나타내며;
    R11 은 수소, C1-12알킬, Ar1 또는 Ar2C1-6알킬을 나타내고;
    R12 은 수소, C1-6알킬, C1-16알킬카보닐, C1-6알킬옥시카보닐, C1-6알킬아미노카보닐, Ar1, Ar2C1-6알킬, C1-6알킬카보닐C1-6알킬, 천연 아미노산, Ar1카보닐, Ar2C1-6알킬카보닐, 아미노카보닐카보닐, C1-6알킬옥시C1-6알킬카보닐, 하이드록시, C1-6알킬옥시, 아미노카보닐,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카보닐, 아미노, C1-6알킬아미노, C1-6알킬카보닐아미노, 또는 일반식 -Alk2-OR13 또는 -Alk2-NR14R15의 래디칼을 나타내며;
    여기에서
    Alk2 는 C1-6알칸디일을 나타내고;
    R13 은 수소, C1-6알킬, C1-6알킬카보닐, 하이드록시C1-6알킬, Ar1 또는 Ar2C1-6알킬을 나타내며;
    R14 는 수소, C1-6알킬, Ar1 또는 Ar2C1-6알킬을 나타내고;
    R15 는 수소, C1-6알킬, C1-6알킬카보닐, Ar1 또는 Ar2C1-6알킬을 나타내며;
    R17 은 수소, 할로, 시아노, C1-6알킬, C1-6알킬옥시카보닐, Ar1을 나타내고;
    R18 은 수소, C1-6알킬, C1-6알킬옥시 또는 할로를 나타내며;
    R19 는 수소 또는 C1-6알킬을 나타내고;
    Ar1 은 페닐, 또는 C1-6알킬, 하이드록시, 아미노, C1-6알킬옥시 또는 할로에 의해 치환된 페닐을 나타내며;
    Ar2 는 페닐, 또는 C1-6알킬, 하이드록시, 아미노, C1-6알킬옥시 또는 할로에 의해 치환된 페닐을 나타낸다.
  112. 제111항에 있어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가 X 가 산소이고, 점선이 결 합을 나타내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113. 제111항에 있어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가 R1 이 수소, 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또는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이고; R2 가 할로, C1-6알킬, C2-6알케닐, C1-6알킬옥시, 트리할로메톡시 또는 하이드록시C1-6알킬옥시이며; R3가 수소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114. 제111항에 있어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가 R8 이 수소, 하이드록시, 할로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시아노C1-6알킬, C1-6알킬옥시카보닐C1-6알킬, 이미다졸릴, 또는 일반식 -NR11R12 의 래디칼이고, 여기에서 R11 이 수소 또는 C1-12알킬이며, R12 가 수소, C1-6알킬, C1-6알킬옥시, C1-6알킬옥시C1-6알킬카보닐, 하이드록시, 또는 일반식 -Alk2-OR13 의 래디칼이고, 여기에서 R13 이 수소 또는 C1-6 알킬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115. 제111항에 있어서,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가 (+)-6-[아미노(4-클로로페닐)(1-메틸-1H-이미다졸-5-일)메틸]-4-(3-클로로페닐)-1-메틸-2(1H)-퀴놀리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인 방법.
KR1020087000580A 2005-06-10 2006-06-07 알킬퀴놀린 및 알킬퀴나졸린을 사용한 Flt3 키나아제의상승적 변조 KR200800411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9007005P 2005-06-10 2005-06-10
US60/690,070 2005-06-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177A true KR20080041177A (ko) 2008-05-09

Family

ID=37076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0580A KR20080041177A (ko) 2005-06-10 2006-06-07 알킬퀴놀린 및 알킬퀴나졸린을 사용한 Flt3 키나아제의상승적 변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70004660A1 (ko)
EP (1) EP1893214A1 (ko)
JP (1) JP2008545784A (ko)
KR (1) KR20080041177A (ko)
CN (2) CN101267821B (ko)
AU (1) AU2006258126A1 (ko)
BR (1) BRPI0612000A2 (ko)
CA (1) CA2611204A1 (ko)
WO (1) WO20061356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81700A1 (en) * 2005-06-10 2006-12-14 Baumann Christian A Synergistic modulation of flt3 kinase using aminopyrimidines kinase modulators
US20060281788A1 (en) * 2005-06-10 2006-12-14 Baumann Christian A Synergistic modulation of flt3 kinase using a flt3 inhibitor and a farnesyl transferase inhibitor
WO2008111441A1 (ja) * 2007-03-05 2008-09-18 Kyowa Hakko Kirin Co., Ltd. 医薬組成物
WO2010054185A1 (en) * 2008-11-06 2010-05-14 Ambit Biosciences Corporation Phosphorylated fms-related tyrosine kinase 3 biomarker assay
CN103720691A (zh) * 2012-10-11 2014-04-16 韩冰 一类治疗脑性瘫痪的化合物及其用途
CN103804304A (zh) * 2012-11-01 2014-05-21 韩冰 一类治疗神经退行性疾病的化合物及其用途
CN103787907B (zh) * 2014-02-17 2015-05-27 华东理工大学 作为法尼基转移酶抑制剂的苯胺类化合物及其用途
CN112480101B (zh) * 2019-09-12 2022-11-25 中国科学院上海药物研究所 一类irak4激酶抑制剂及其制备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5880A (en) * 1899-10-21 1900-03-20 Charles E Varnum Fly-trap.
US6117432A (en) * 1995-04-20 2000-09-12 Societe D'exploitation De Produits Pour Les Industries Chimiques (S.E.P.P.I.C.) Therapeutic composition comprising an antigen or an in vivo generator of a compound comprising an amino acid sequence
TW349948B (en) * 1995-10-31 1999-01-11 Janssen Pharmaceutica Nv Farnesyl transferase inhibiting 2-quinolone derivatives
EP0865440B1 (en) * 1995-12-08 2002-04-03 Janssen Pharmaceutica N.V. Farnesyl protein transferase inhibiting (imidazol-5-yl)methyl-2-quinolinone derivatives
US5874442A (en) * 1995-12-22 1999-02-23 Schering-Plough Corporation Tricyclic amides useful for inhibition of G-protein function and for treatment of proliferative disease
TW591030B (en) * 1997-03-10 2004-06-11 Janssen Pharmaceutica Nv Farnesyl transferase inhibiting 1,8-annelated quinolinone derivatives substituted with N- or C-linked imidazoles
US6776796B2 (en) * 2000-05-12 2004-08-17 Cordis Corportation Antiinflammatory drug and delivery device
US7326712B2 (en) * 2003-10-14 2008-02-05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The University Of Arizona Substituted tricyclic compounds as protein kinase inhibitors
GB0326601D0 (en) * 2003-11-14 2003-12-17 Novartis Ag Organic compounds
JP5046950B2 (ja) * 2004-10-22 2012-10-10 ジヤンセン・フアーマシユーチカ・ナームローゼ・フエンノートシヤツプ C−fmsキナーゼのインヒビター
US20060281771A1 (en) * 2005-06-10 2006-12-14 Baumann Christian A Synergistic modulation of flt3 kinase using aminoquinoline and aminoquinazoline kinase modulators
US20060281788A1 (en) * 2005-06-10 2006-12-14 Baumann Christian A Synergistic modulation of flt3 kinase using a flt3 inhibitor and a farnesyl transferase inhibitor
US20060281769A1 (en) * 2005-06-10 2006-12-14 Baumann Christian A Synergistic modulation of flt3 kinase using thienopyrimidine and thienopyridine kinase modulators
US20060281700A1 (en) * 2005-06-10 2006-12-14 Baumann Christian A Synergistic modulation of flt3 kinase using aminopyrimidines kinase modula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67821A (zh) 2008-09-17
AU2006258126A1 (en) 2006-12-21
JP2008545784A (ja) 2008-12-18
BRPI0612000A2 (pt) 2009-01-13
CA2611204A1 (en) 2006-12-21
CN101267821B (zh) 2012-05-09
EP1893214A1 (en) 2008-03-05
CN101242845A (zh) 2008-08-13
US20070004660A1 (en) 2007-01-04
WO2006135629A1 (en) 200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19695A (ko) 아미노퀴놀린 및 아미노퀴나졸린 키나제 조절제를 사용한flt3 키나제의 상승적 조절
KR101433595B1 (ko) Flt3 억제제 및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를 사용한flt3 키나아제의 상승적 조절
KR20080028919A (ko) 티에노피리미딘 및 티에노피리딘 키나제 조절제를 사용한flt3 키나제의 상승적 조절
KR20080038297A (ko) 아미노피리미딘 키나아제 조절제를 사용한 flt3키나아제의 상승적 조절
KR20080038298A (ko) 아미노피리미딘 조절제 및 파네실 전이 효소 억제제를이용하는 flt3 키나아제의 상승적 조절
KR20080028912A (ko) 알킬퀴놀린 및 알킬퀴나졸린 키나아제 조절제
KR20080041177A (ko) 알킬퀴놀린 및 알킬퀴나졸린을 사용한 Flt3 키나아제의상승적 변조
JP2011515451A (ja) チューブリン重合阻害剤としてのキナゾリノン誘導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