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1070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1070A
KR20080041070A KR1020060109168A KR20060109168A KR20080041070A KR 20080041070 A KR20080041070 A KR 20080041070A KR 1020060109168 A KR1020060109168 A KR 1020060109168A KR 20060109168 A KR20060109168 A KR 20060109168A KR 20080041070 A KR20080041070 A KR 20080041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fan
base
groov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9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6427B1 (ko
Inventor
이종호
김문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9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6427B1/ko
Publication of KR20080041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1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6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6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14Casings; Enclosures;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팬에 낙하되는 응축수의 유동 및 집수가 원할하게 이루어지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전방프레임(100) 및 후방프레임(300)과; 상기 후방프레임(300)과 전방프레임(100) 사이의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메인드레인팬(700)과;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하측과 상측에 각각 구비되어, 공기와 냉매 간에 열교환이 일어나도록 하는 제1열교환기(510) 및 제2열교환기(860)와; 상기 제1열교환기(510) 및 제2열교환기(860)에서 생성되는 응축수가 집수되는 보조드레인팬(750)과; 하부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팬(500)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팬(500)에는 하우징홈(640)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하우징베이스홈(586)이 하측으로 함몰 형성되고, 하부모터(660)를 지지하는 하모터지지대(670)가 더 설치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품이 소형화되고 견고해지는 이점이 있다.
이동형, 공기조화기, 베이스팬, 모터, 지지

Description

공기조화기 {Air conditione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관 구성을 보인 전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관 구성을 보인 후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후방프레임 상세구성을 보인 전방 및 후방 사시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흡입그릴의 상세구성을 보인 전방 및 후방 사시도.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손잡이의 구성을 보인 우측과 좌측의 손잡이사시도.
도 10은 도 8의 I-I'부 단면도.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손잡이의 우측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방프레임의 전방 및 후방 사시도.
도 14와 도 1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면판넬의 전방 및 후방 사시 도.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토출루버의 전방 및 후방 사시도.
도 18과 도 19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메인드레인팬의 상부 및 하부 사시도.
도 20과 도 21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보조드레인팬의 상부 및 하부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응축수배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팬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팬커넥터의 평면도.
도 2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베이스팬의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터지지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 실시예 내부에서 공기가 유동하는 상태를 보인 공기의 흐름상태도.
도 28과 도 29는 본 발명 실시예의 내부 구성을 보인 전방 및 후방 사시도.
도 30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보조드레인팬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1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터지지대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전방프레임 110. 토출루버
111. 루버회전축 112. 토출리브
130. 판넬후크공 132. 판넬체결부
134. 부가체결부 140. 프레임체결부
142. 체결가이드리브 144. 드레인체결구
146. 베이스체결구 150. 루버지지대
200. 전면판넬 210. 토출구
220. 판넬후크 222. 판넬체결돌기
224. 부가체결돌기 230. 토출울타리
300. 후방프레임 302. 외기유입구
304. 필터프레임 310. 흡입그릴
313. 턱트수용홈 315. 탈거리브
316. 그릴체결후크 317. 그릴체결돌기
320. 프리필터 330. 하부그릴
340. 손잡이 342. 손잡이공
344. 손잡이몸체 346. 손잡이테두리
348. 고정리브 360. 그릴장착부
362. 필터고정후크 370. 프레임체결돌기
372. 탈거홈 400. 배기안내수단
500. 베이스팬 502. 이동바퀴
504. 열교환기설치부 510. 제1열교환기
520. 압축기 530. 어큐뮬레이터
532. 제1이물차단울타리 534. 집수홈
536. 제2이물차단울타리 538. 펌프지지대
540. 응축수감지장치 550. 응축수펌프
560. 응축수배관 570. 브레이스
580. 지지앵글 582. 앵글하단장착부
584. 프레임고정부 586. 하우징베이스홈
588. 모터지지부 590. 팬커넥터
598. 커넥터고정홈 600. 하부오리피스
620. 하부에어가이드 630. 하부팬
640. 하우징홈 650. 배기가이드
660. 하부모터 670. 하모터지지대
674. 베이스체결부 676. 에어가이드체결부
700. 메인드레인팬 702. 바닥구획리브
704. 바닥응축수홀 710. 하우징안착홈
712. 홈구획리브 714. 홈응축수홀
720. 컨트롤박스설치구 722. 덕트회피홈
730. 코드관통홈 732. 전원선통과홈
740. 앵글홀 750. 보조드레인팬
752. 낙하공 770. 드레인후크
800. 상부에어가이드 810. 상부팬하우징
820. 상부모터 830. 상모터지지대
840. 상부팬 850. 상부오리피스
860. 제2열교환기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스팬에 간섭 방지를 위한 홈이 형성되고 모터지지대가 더 설치되어, 제품이 보다 소형화되고 견고해지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실외열교환기, 팽창밸브, 실내열교환기 등의 구성부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주로, 실내 공간의 온도를 설정된 온도로 유지하여 실내 공간을 쾌적한 환경으로 만들기 위해 사용된다.
즉, 공기조화기는 차량이나 사무실 또는 가정 등과 같은 실내의 한 공간 또는 벽면에 설치되어 실내를 냉방하거나 난방하는 냉/난방기기이며, 압축기-실외열교환기-팽창밸브(모세관)-실내열교환기로 이루어진 일련의 냉동사이클 또는 냉매의 역방향 순환에 의한 난방사이클을 구성하는 기기이다.
그러나, 종래의 일반적인 공기조화기는 그 규모가 크고, 건물의 벽면에 설치하여 사용하므로, 한번 설치한 후에는 이동이 어려웠다. 이와 같이 종래의 공기조 화기는 이동이 불가능하여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바닥에 이동바퀴가 부착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이동식 공기조화기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이동식 공기조화기는 대한민국 특허청에 등록된 등록실용신안 제0252478호에도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각 부품이 독자적으로 일정 공간을 점유하고 있으므로, 주변 부품 상호 간의 간섭에 의해 제품의 소형화가 어려운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또한, 팬을 회전시키는 팬모터는 그 무게가 무거우나, 이를 지지하는 구조가 취약하여 팬모터의 유동이 발생한다. 따라서, 제품이 소음 및 타 부품과의 간섭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팬이 주변 부품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다양한 형상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소형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터의 유동이 방지되는 견고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하부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팬과; 상기 베이스팬의 일측에 구비되어, 공기 의 유동을 안내하는 송풍유닛과; 팬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팬의 상측에는, 상기 모터를 지지하는 모터지지대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팬에는, 상기 송풍유닛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하우징베이스홈이 하측으로 함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터지지대는, 상기 에어가이드의 일면에 밀착되는 본체판과; 상기 본체판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팬에 밀착 고정되는 베이스체결부와; 상기 본체판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에어가이드에 체결되는 에어가이드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팬의 좌측단에는, 상기 베이스체결부가 고정되는 모터지지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팬의 모서리에는, 상기 메인드레인팬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앵글의 일단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팬의 일단에는, 상기 메인드레인팬을 지지하는 브레이스의 일단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팬은, 상기 전방프레임과 체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팬의 양 측면에는, 상기 전방프레임의 측면 하단부와 체결되는 프레임고정부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품이 소형화되고 견고해지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전방과 후방 외관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전반부의 외관을 형성하는 전방프레임(100)과 전면판넬(200) 그리고, 후반부의 외관을 형성하는 후방프레임(300)에 의해 전체적인 외관이 개략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방프레임(100)은 전반부의 골격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면 및 좌우 측면의 외관을 부분적으로 형성하며, 상면에는 사용자가 공기조화기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작판넬(120)이 구비된다.
상기 후방프레임(300)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후면 외관은 물론, 상면 및 좌우 측면의 외관을 동시에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후방프레임(300)에는 열교환 된 공기를 외부(특히,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안내수단(400)이 연결 설치된다. 이러한 배기안내수단(400)의 구성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에서 설명한 전방프레임(100)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프레임(100)은 중앙부가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더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방프레임(100)은 측방에서 볼 때, 전체적으로 라운드진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상단 부근에는 루버설치구(102)가 형성된다. 상기 루버설치구(102)는 아래에서 설명할 토출루버(110)가 장착되는 부분으로, 좌우로 길게 형성되어 직사각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상면은 전방으로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전방프레임(100)의 상면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조작판넬(120) 등이 설치되는 판넬구(104)가 관통 형성된다. 상기 판넬구(104)는 아래에서 설명할 조작판넬(120)의 형상과 대응되는 직사각 형상을 가진다.
상기에서 설명한 전면판넬(200)은 사각 평판으로 이루어져,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전면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전면판넬(200)은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전방에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전면판넬(200)은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전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즉, 상기 전면판넬(200)은 상기 전방프레임(100)과 같이 중앙부가 상단 및 하단보다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더 돌출되어 라운드진 형상(원호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루버설치구(102)에는 공기조화(냉방 또는 난방)가 이루어진 공기의 외부 토출을 안내하는 토출루버(110)가 설치된다. 상기 토출루버(110)는 공기의 토출 방향을 제어하는 것으로, 여기에는 다수의 토출리브 등이 구비되어 공기가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안내하게 된다.
상기 판넬구(104)에는 조작판넬(120)이 설치된다. 상기 조작판넬(120)은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것으로, 여기에는 다수의 버튼 등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조작판넬(120)의 하측에는 한 쌍의 버튼조립체(122)가 구비되며, 이러한 버튼조립체(122)에 구비되는 다수의 버튼이 상기 조작판넬(120)을 관통하여 상측으로 노출된다.
상기 버튼조립체(122)의 하측에는 조작피시비(PCB)(124)가 설치된다. 상기 조작피시비(124)는 상기 버튼조립체(122)의 버튼 동작을 신호로 변경하여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로 전달하는 것으로, 이러한 조작피시비(124)는 조작프레임(126)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이러한 조작피시비(124)의 외측은 직사각 박스 형상의 피시비케이스(128)가 감싸게 된다.
상기 전면판넬(200)의 상단 부근에는 토출구(210)가 관통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210)는 공기조화(냉방 또는 난방)가 이루어진 공기가 전방으로 토출되는 부분으로, 상기 토출루버(110)과 대응되는 직사각 형상을 가진다.
상기 후방프레임(300)은 상기 전방프레임(100)과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선단은 상기 전방프레임(10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된다. 즉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좌우 측면 선단부는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좌우 측면 후단부와 대응되게 라운드진 곡률을 가지도록 중앙부가 상대적으로 라운드지게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상반부에는 전후로 관통되는 외기유입구(302)가 형성된다. 상기 외기유입구(302)는 외부(실내)의 공기가 공기조화기 내부로 흡입되는 통로가 되는 것이며,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기유입구(302)의 중앙부에는 상기 외기유입구(302)와 대응되는 사각 형상의 필터프레임(304)이 더 형성된다. 상기 필터프레임(304)은 상기 외기유입구(302)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아래에서 설명할 탈취필터(322)와 같은 특수필터가 설치되도록 지지하게 된다.
상기 외기유입구(302)는 흡입그릴(310)에 의해 차폐된다. 외기(실내의 공기)는 상기 흡입그릴(310)을 통과하여 공기조화기 내부로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그릴(310)에는 다수의 홀(hole)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흡입그릴(310)은, 상기 외기유입구(302)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방으로 약간 기울어진 상태로 형성된다.
상기 외기유입구(302)의 테두리에는 프리필터(320)가 설치된다. 상기 프리필터(320)는 상기 흡입그릴(310)을 통과하여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것으로, 상기 외기유입구(302)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프리필터(320)의 전방에는 탈취필터(322)가 더 구비된다. 상기 탈취필터(322)는 상기 흡입그릴(310)을 통과하여 유입되는 공기 중의 냄새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필터프레임(304)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필터프레임(304)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하반부에는 하부그릴(330)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그릴(330)은 공기조화기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안내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후방프레임(300)에는 손잡이(340)가 더 구비된다. 즉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좌우 측면 상단부 근처에는 손잡이공(342)이 관통 형성되고, 이러한 손잡이공(342)에 손잡이(340)가 삽입 설치된다. 상기 손잡이(340)는 사용자가 공기조화기를 쉽게 들어올려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손잡이(340)는,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양쪽 측면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며,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손잡이(340)를 사용자가 양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이동하게 되면, 용이하게 공기조화기를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후방프레임(300)에는 배기안내수단(400)이 연결 설치된다. 상기 배기안내수단(400)은 공기조화기 내부에서 열교환이 일어난 공기를 외부(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은 상기 후방프레임(300)에 연결되고, 타단은 건물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기안내수단(400)은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하반부 내측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배기덕트(410)와, 배기노즐(420) 그리고 프레임커넥터(430)와 노즐커넥터(44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배기덕트(410)는 원통 형상의 긴 관으로 이루어져 배기의 유동을 안내하며, 상기 배기노즐(420)은 상기 배기덕트(410)를 통해 유동되는 배기가 최종적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끝단부이다. 상기 배기덕트(410)는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 또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벤딩(bending)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커넥터(430)는 상기 후방프레임(300)과 상기 배기덕트(41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배기덕트(410) 하단이 상기 후방프레임(300)에 장착되도록 안내하게 된다. 상기 노즐커넥터(440)는 상기 배기덕트(410)와 배기노즐(42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배기덕트(410) 상단에 상기 배기노즐(420)이 체결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 하부 외관은 베이스팬(50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팬(500)은 상기 전방프레임(100)과 후방프레임(300) 하단과 결합하고, 아래에서 설명할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부분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팬(500)의 저면에는 다수의 이동바퀴(502)가 설치된다. 상기 이동바퀴(502)는 공기조화기의 이동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사각 형상의 상기 베이스팬(500) 각 모서리에 각각 하나씩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팬(500)의 상면 중앙부에는 제1열교환기(510)가 설치된다. 즉, 상기 베이스팬(500)의 중앙부분에 제1열교환기(510)가 전후로 설치된다. 상기 제1열교환기(510)는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냉매를 냉각(또는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하반부에 형성되는 상기 하부그릴(33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1열교환기(510)를 통과하면서 제1열교환기(510)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을 하게 되고, 상기 제1열교환기(51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배기안내수단(400)을 통해 외부(실외)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제1열교환기(510)의 우측에는 압축기(520)가 설치된다. 상기 압축기(520)는 상기 베이스팬(500)의 우측 부분 후단부에 설치되며, 삼각 형상의 압축프레임(522)에 의해 지지되고, 이러한 압축프레임(522)이 상기 베이스팬(500)에 장착된다.
상기 압축기(520)의 옆에는 어큐뮬레이터(530)가 설치된다. 상기 어큐뮬레이 터(530)는 액 냉매를 걸러내어 기체상태의 냉매만이 상기 압축기(520)로 유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압축기(520)의 전방에는 응축수감지장치(540)가 설치된다. 상기 응축수감지장치(540)는 상기 베이스팬(500)의 상면에 고이는 응축수의 양이 일정량 이상이 되면, 이를 감지하여 외부로 디스플레이하는 장치이다.
상기 베이스팬(500)의 우측 선단부에는 응축수펌프(550)가 더 설치된다. 상기 응축수펌프(550)는 상기 베이스팬(500)에 고인 응축수를 펌핑(pumping)하여 아래에서 설명할 보조드레인팬(750)으로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응축수펌프(550)에는 응축수배관(560)이 연결 설치된다. 상기 응축수배관(560)은 상기 응축수펌프(550)에 의해 강제 유동되는 응축수를 아래에서 설명할 보조드레인팬(750)으로 안내하는 통로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응축수배관(560)의 하단은 상기 응축수펌프(550)에 연결되고, 상단은 아래에서 설명할 보조드레인팬(750)에 연결된다.
상기 베이스팬(500)의 우측단에는 브레이스(570)가 더 설치된다. 상기 브레이스(570)는 아래에서 설명할 메인드레인팬(700)의 우측단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압축기(520)가 우측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사각 형상의 평판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브레이스(570)는, 하단이 상기 베이스팬(500)의 상면 우측단에 고정되고, 상단은 아래에서 설명할 메인드레인팬(700)의 우측단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팬(500)의 선단에는 지지앵글(580)이 더 설치되기도 한다. 즉, 상기 베이스팬(500)의 선단 우측 부분에는 지지앵글(580)이 상하로 설치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메인드레인팬(700)의 선단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지지앵글(580)은 아래에서 설명할 메인드레인팬(700)의 선단 좌우에 쌍으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열교환기(510)의 좌측에는 하부오리피스(600)가 설치된다. 상기 하부오리피스(600)는 아래에서 설명할 상부오리피스(850) 및 상부에어가이드(800)와 같은 다수의 부품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1열교환기(510)을 통과한 공기를 좌측으로 안내한다. 따라서, 상기 하부오리피스(600)의 중앙 부분에는 원형의 하오리피스공(602)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하부오리피스(600)의 좌측에는 하부에어가이드(620)가 설치된다. 상기 하부에어가이드(620)는 상기 하부오리피스(600)와 더불어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실외송풍유닛을 이룬다. 즉, 상기 하부오리피스(600)와 하부에어가이드(620)은 서로 결합되어 실외송풍유닛을 구성하며, 이러한 실외송풍유닛은 실외측의 공기 유동을 방생시키고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실외송풍유닛에 아래에서 설명할 하부팬(630)과 하부모터(660)가 장착된다.
상기 하부오리피스(600)와 상기 하부에어가이드(620) 사이에는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는 하부팬(630)이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오리피스(600)와 하부에어가이드(620)에는 상기 하부팬(63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하우징홈(640)이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하부오리피스(600)의 좌측면과 상기 하부에어가이드(620)의 우측면에 각각 서로 대칭되는 하우징홈(640)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팬(630)에 의해 토출되 는 공기를 안내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홈(640)은 상기 하부팬(630)의 외경 크기보다 더 큰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부팬(630)을 감싼다.
상기 하부오리피스(600)와 하부에어가이드(620)의 후단부에는 서로 대칭되는 형상의 배기가이드(650)가 더 형성된다. 상기 배기가이드(650)는 상기 하우징홈(640)에 의해 안내되는 공기를 상기 배기안내수단(400)으로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단은 상기 배기안내수단(400)의 하단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 배기가이드(650) 내측 상단부에는 원형의 배기그릴(652)이 삽입 장착된다. 상기 배기그릴(652)은 상기 배기가이드(650)의 하측으로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투입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부에어가이드(620)의 중앙부분에는 하모터공(622)이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하모터공(622)에 하부모터(660)가 관통 삽입되어 고정 설치된다. 상기 하부모터(66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 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하부팬(630)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하부팬(630)이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하부에어가이드(620)의 좌측에는 하모터지지대(670)가 더 설치된다. 상기 하모터지지대(670)는 상기 하부에어가이드(620)에 장착되는 상기 하부모터(660)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하단은 상기 베이스팬(500)에 접한다.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중앙 후측에는 메인드레인팬(700)이 설치된다.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은 아래에서 설명할 제2열교환기(86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며, 공기조화기 내부공간을 상하로 구획 하는 역할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실외측과 실내측으로 구획되는데,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이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 내부를 실외측과 실내측으로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을 중심으로 하측에는 실외기(분리형 공기조화기에서)에 해당하는 실외측(방열측)이 형성되고, 상측에는 실내기(분리형 공기조화기에서)에 해당하는 실내측(흡열측)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하측에는 보조드레인팬(750)이 설치된다.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은 상기 메인드레인팬(700) 및 상기 응축수펌프(550)에 의해 공급되는 응축수가 집수되어 분배되는 부분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은 전후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1열교환기(510)의 상측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에 고이는 응축수가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으로 내려와 집수되며, 상기 베이스팬(500)에 고이는 응축수도 상기 응축수배관(560)을 통해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으로 공급된 응축수는 상기 제1열교환기(510) 상단에 골고루 뿌려져 증발된다.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상측에는 상부에어가이드(800)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에어가이드(800)는 아래에서 설명할 상부팬(84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것으로,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상측에 좌우로 가로질러 설치된다.
상기 상부에어가이드(800)에는 상부팬하우징(810)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팬하우징(810)은 아래에서 설명할 상부팬(840)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아래에서 설명할 상부팬(840)에 의해 강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상부팬하우징(810)에 의해 안내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토출안내구(814)로 유동한다.
상기 상부에어가이드(800)의 중앙 부분에는 상모터공(812)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모터공(812)에는 상부모터(820)가 삽입 설치된다. 상기 상부모터(820)는 아래에서 설명할 상부팬(840)에 회전 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상부에어가이드(800)의 상단부에는 토출안내구(814)가 관통 설치된다. 상기 토출안내구(814)는 상기 토출루버(110)과 대응되는 직사각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상부팬하우징(810)에 의해 안내되는 공기가 상기 토출안내구(814)를 통해 전방으로 유동하여 상기 토출루버(110)를 통과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모터(820)의 하측에는 상모터지지대(83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상모터지지대(830)는 상기에서 설명한 하모터지지대(670)와 같은 기능을 한다. 즉, 상기 상부모터(820)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상모터지지대(830)의 하단은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선단 상면에 고정 장착된다.
상기 상부팬하우징(810) 내측에는 상부팬(840)이 수용 설치된다. 상기 상부팬(840)은 상기 흡입그릴(310)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강제하는 것으로, 상기 상부모터(820)의 후단에 체결되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상부에어가이드(800)의 후측에는 상부오리피스(850)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오리피스(850)는 사각형상의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중앙부에는 공기가 유동 가능한 원형의 상오리피스공(852)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상부에어가이드(800)와 상부오리피스(850)는, 실내송풍유닛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실내송풍유닛에 의해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상측에 형성되는 실내측의 공기 유동이 안내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오리피스(850)의 후측에는 제2열교환기(860)가 설치된다. 상기 제2열교환기(860)은 상기 흡입그릴(310)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가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후반부에 좌우로 길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우측 선단부에는 컨트롤박스(870)가 설치된다. 상기 컨트롤박스(870)는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다수의 전장부품이 내장되는 곳으로,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즉, 상기 컨트롤박스(870)의 상반부는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하반부는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하측으로 돌출된다.
도 4와 도 5에는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전방 및 후방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후면은 단차지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전후 길이는 상반부와 후반부가 서로 상이하다. 즉,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하반부 전후길이는 상반부의 전후길이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중앙부분에는 단차면(350)이 형성된다. 즉,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상반부에 관통 형성되는 외기유입구(302) 하측에는 수평으 로 이루어지는 단차면(35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단차면(350)에는 덕트연결구(352)가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덕트연결구(352)는 상기 배기안내수단(400)의 하단이 체결되는 부분이다. 즉, 상기 배기안내수단(400)을 구성하는 프레임커넥터(430)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덕트연결구(352)는 상기 프레임커넥터(430)의 하단과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차면(350)의 좌우 측단부에는 그릴돌기삽입홀(354)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그릴돌기삽입홀(354)은 아래에서 설명할 흡입그릴(310)의 그릴체결돌기(317)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한편, 상기 단차면(350)의 상측에는 그릴장착부(360)가 형성된다. 상기 그릴장착부(360)는 상기 흡입그릴(310)이 장착되는 부분으로, 상기 외기유입구(302)의 후측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기유입구(302)의 테두리에는 상기 프리필터(320)가 장착되는 다수의 필터고정후크(362)가 형성된다. 즉, 상기 외기유입구(302)의 테두리 후면의 네 모서리 부분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갈고리 형상의 필터고정후크(362)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프리필터(320)의 네 모서리를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에서 설명한 하부그릴(330)은 상기 단차면(350)의 하측에 형성되는데, 이러한 하부그릴(330)은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하반부 우측부분에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 5에서는 상기 흡입그릴(310)이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하반부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호환을 위해 형성한 것으로, 실제로는 우측부분(도 5에서는 좌측부분)만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고, 좌측부분(도 5에서는 우측부분)은 내부가 차폐되어 있어서 공기의 유동이 불가능하다.
이처럼 상기 하부그릴(330)을 후방프레임(300)의 우측 부분에만 형성하는 이유는, 상기 하부그릴(330)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1열교환기(510)를 통과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즉, 상기 하부그릴(330)를 통해 후방으로부터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1열교환기(510)의 우측으로 유입되어 제1열교환기(510)를 통과하여 좌측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하단에는 배관공(364)이 전후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배관공(364)은 응축수의 배출을 안내하는 배출관(도시되지 않음)이 관통 설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선단에는 상기 전방프레임(100)과의 체결을 위한 다수의 프레임체결돌기(370)가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체결돌기(370)는 스크류(screw)와 같은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부분으로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좌우 및 선단부 및 상단 선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좌우 선단부의 중앙과 상단 및 하단 그리고,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상단 전면 좌우에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프레임체결돌기(370)에 스크류(screw)가 삽입되어 상기 전방프레임(100)에 체결되면 상기 후방프레임(300)과 전방프레임(100)의 체결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측면 상단의 후단에는 탈거홈(372)이 형성된다. 상기 탈거홈(372)은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양쪽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 부분 함몰되도록 형성되며, 상하의 길이는 사람의 손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탈거홈(372)은 사용자가 아래에서 설명할 흡입그릴(310)의 탈거리브(315)를 전방으로 당기기 위해 탈거리브(315)를 손으로 잡는 경우에 손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후면 상단부에는 그릴후크체결홀(374)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그릴후크체결홀(374)은 아래에서 설명할 그릴체결후크(316)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부분으로, 아래에서 설명할 그릴체결후크(316)의 선단부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그릴장착부(360)의 상단부 좌우에는 전후로 관통되는 그릴후크체결홀(374)이 형성되며, 이러한 그릴후크체결홀(374)은 아래에서 설명할 그릴체결후크(316)의 걸림부(316')가 관통 가능한 크기를 가진다.
도 6과 도 7에는 상기 흡입그릴(310)의 전방 및 후방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그릴(310)에는 다수의 그릴리브(312)가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다수의 그릴리브(312) 사이를 통해 공기의 흡입이 일어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그릴리브(312) 사이의 틈새는 그물망이나 망사 등에 의해 차폐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상기 그릴리브(312)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흡입그릴(310)의 중앙부에는 리브지지대(312')가 상하로 형성된다. 상기 리브지지대(312')는 상기 다수의 흡입그릴(31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흡입그릴(310)에는 상기 배기안내수단(400)의 일부가 수용되는 덕트수용홈(313)이 형성된다. 즉, 상기 흡입그릴(310)의 좌측부분에는 전방(도 6에서)으로 함몰된 덕트수용홈(313)이 형성되며, 이러한 덕트수용홈(313)의 하단은 상기 배기덕트(410)의 전면과 대응되는 반원홈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덕트수용홈(313)에 상기 배기덕트(410) 및 프레임커넥터(430)의 선단부가 수용된다.
상기 흡입그릴(310)은 전방으로 소정의 경사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흡입그릴(310)의 양단은 전방으로 벤딩(bending)된 다음 연장되어, 하측으로 갈수록 그 넓이가 넓어지는 삼각형상의 그릴측면부(314)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그릴측면부(314)의 내측에는 다수의 그릴보강리브(314')가 형성되어 지지강도를 보강하고 있다.
상기 흡입그릴(310)의 상단부에는 사용자의 탈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탈거리브(315)가 더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그릴측면부(314)의 상단에는 측방으로 소정 크기로 돌출된 탈거리브(315)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탈거리브(315)를 잡고 후방으로 당기면 상기 흡입그릴(310) 상단이 상기 후방프레임(300)으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흡입그릴(310)의 상단에는 한 쌍의 그릴체결후크(316)가 형성된다. 상기 그릴체결후크(316)는 상기 흡입그릴(310) 상단부가 상기 후방프레임(300)에 체결되도록 하는 부분으로, 상기 흡입그릴(310)의 상단 좌우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형 성된다.
상기 그릴체결후크(316)는 자체의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선단부가 상하 좌우로 일정 거리 유동 및 복귀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선단부에는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후측 부분보다 더 크게 형성된 걸림부(316')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그릴체결후크(316)가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그릴후크체결홀(374)에 삽입된 다음, 일정 크기의 힘을 가하기 전에는 상기 그릴체결후크(316)의 걸림부(316') 때문에 상기 그릴체결후크(316)는 상기 그릴후크체결홀(374)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상기 흡입그릴(310)의 하단에는 그릴체결돌기(317)가 더 형성된다. 상기 그릴체결돌기(317)는 상기 그릴돌기삽입홀(354)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흡입그릴(310)의 하단 좌우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크기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그릴돌기삽입홀(354)의 폭과 대응되는 좌우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도 8 내지 도 11에는 상기 손잡이(340)의 구성이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즉, 도 8에는 상기 한 쌍의 손잡이(340) 중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우측면에 설치되는 손잡이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9에는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좌측면에 설치되는 손잡이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10에는 도 8의 I-I'부 단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11에는 도 8에 도시된 손잡이의 우측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손잡이(340)의 구성을 설명한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도 8과 도 9)의 손잡이(340)는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우측의 손잡이인 도 8과 도 10 및 도 11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34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수용되는 손잡이몸체(344)와, 상기 손잡이몸체(344)의 테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테두리(346)와, 상기 손잡이테두리(346)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고정리브(348)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몸체(344)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부분으로, 대략 'ㄷ'자 형상으로 성형되어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내부의 공간에 엄지를 제외한 4개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손잡이몸체(344)는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손잡이상면(344a)과, 상기 손잡이상면(344a)과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하면 외관을 형성하는 손잡이하면(344b)과, 상기 손잡이상면(344a)과 상기 손잡이하면(344b)을 서로 연결함과 동시에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손잡이측면(344c)과, 전면 및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손잡이전면(344d) 및 손잡이후면(344e)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손잡이테두리(346)는 대략 직사각 형상을 가지는 상기 손잡이몸체(344)의 우측단 테두리를 따라 전후좌우 외측으로 일정 크기로 돌출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손잡이테두리(346)는, 상기 손잡이(340)가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손잡이공(342)에 장착될 때 후방프레임(300)의 외면에 접하게 된다.
상기 고정리브(348)는 상기 손잡이(340)의 상면과 하면에 전후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테두리(346)로부터 소정 간격 떨어진 곳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 기 고정리브(348)는 손잡이(340)가 상기 손잡이공(342)에 장착될 때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내측에 위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고정리브(348)는 도시(도 10)된 바와 같이, 삼각형 형상의 단면(정면에서 볼 때)을 가진다. 따라서, 이러한 고정리브(348)의 우측면과 좌측면은 수직면(348')과 가이드면(348")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면(348')은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내면에 접하는 면이며, 상기 가이드면(348")은 손잡이(340)의 장착을 안내하는 면이다. 즉 상기 가이드면(348")은, 상기 수직면(348')과 예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340)가 측방으로부터 상기 손잡이공(342)로 삽입될 때, 손잡이공(342)의 테두리와 슬라이딩하여 손잡이(340)가 손잡이공(342)를 통과하도록 안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서로 이격되어 있는 상기 손잡이테두리(346)와 고정리브(348) 사이에는 손잡이홈(349)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손잡이홈(349)에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측면이 삽입된다.
상기 손잡이홈(349)은 'U'자 형상(전방에서 볼 때)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손잡이홈(349)의 저면에는 상기 고정리브(348)가 보다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손잡이보강리브(349')가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다.
한편, 상기 손잡이몸체(344)는 후측으로 갈수록 점차 좌우의 폭이 증가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손잡이몸체(344)는 전방으로 올수록 점차 좌우의 폭이 감소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손잡이몸체(344)가 후측으로 갈수록 점차 그 폭이 증가되도 록 구성하는 이유는 사용자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즉 인체의 손가락은 각각 그 크기가 다르므로 이를 고려한 것이다.
예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를 전방에서 들어올리는 경우에는 사람의 인지(둘째손가락)은 상기 손잡이몸체(344)의 내부 후단에 수용되고, 새끼손가락은 상기 손잡이몸체(344)의 내부 선단에 위치될 것이다. 따라서 인지의 원활한 수용을 위해 상기 손잡이몸체(344)의 후단 폭을 선단보다 더 넓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손잡이몸체(344)는, 상기 손잡이테두리(346)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상측으로 치우쳐지는 형상을 가진다. 즉, 도 10에서 상기 손잡이몸체(344)의 좌측단은 우측단보다 더 높은 곳에 위치된다. 이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손잡이몸체(344)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좌우 한 쌍의 손잡이몸체(344)는 공기조화기의 중앙측으로 갈수록 점차 상방으로 치우치는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손잡이상면(344a)과 손잡이하면(344b)은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즉, 좌측으로 갈수록 그 위치가 점차 높아진다.
도 12와 도 13에는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전방 및 후방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프레임(100)은 격자 모양으로 성형되어 사각 형상의 개구부가 다수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다수의 개구부가 형성된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후면에는 보강판넬이 더 설치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보강판넬은 공기조화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흡수 하거나 차단하는 방음 및 흡음 역할 그리고, 공기조화기 내부에서 생성되는 수분(응축수 등)을 흡수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면판넬(200)은 상기 전방프레임(100)에 이중적으로 고정 설치된다. 즉, 상기 전면판넬(200)은 상기 전방프레임(100)에 가조립수단과 고정수단에 의해 각각 이중적으로 고정 장착된다.
상기 가조립수단은 상기 전면판넬(200)이 상기 전방프레임(100)에 가(假)조립되도록 하는 것으로,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할 다수의 판넬후크(220)와 판넬후크공(13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전면판넬(200)이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전방프레임(100)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할 판넬체결부(132)와 판넬체결돌기(222) 그리고, 체결부재(스크류 등) 등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전방프레임(100)에는 다수의 판넬후크공(130)이 형성된다. 상기 판넬후크공(130)은 아래에서 설명할 전면판넬(200)의 판넬후크(220)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판넬후크공(130)은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전면 테두리를 따라 다수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전방프레임(100)에는 다수의 판넬체결부(132)가 형성된다. 상기 판넬체결부(132)는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상측과 하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판넬체결부(132)는 상기 루버설치구(102)의 상단에 3개 그리고, 상기 루버설치구(102)의 하단에 3개가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하단에도 소정 간격을 두고 좌우로 3개가 형성된다.
상기 판넬체결부(132)는 스크류(screw)와 같은 체결부재(도시되지 않음)가 관통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이러한 판넬체결부(132)의 중앙에는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관통되는 판넬체결공(132')이 전후로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프레임(100)에는 부가체결부(134)가 더 형성된다. 상기 부가체결부(134)는 상기 판넬체결부(132)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나, 그 형성위치가 상이하다. 즉 상기 부가체결부(134)는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중앙 부분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부가체결부(134)는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하반부 좌우에 각각 2개씩 형성된다.
상기 부가체결부(134)는 아래에서 설명할 전면판넬(200)의 부가체결돌기(224)와 함께 부가체결수단이 된다. 상기 부가체결수단은 상기 전면판넬(200)의 무게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즉, 상기 전면판넬(200)의 전면에 글라스(glass) 등과 같은 무거운 부품이 더 설치되는 경우에 상기 전면판넬(200)이 상기 전방프레임(10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따라서,이러한 부가체결부(134)에는 상기 판넬체결부(132)와 같이 체결부재가 관통하게 된다.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측면과 상면 후단에는 프레임체결부(140)가 다수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체결부(140)는 스크류(screw)와 같은 체결부재(도시되지 않음)가 체결되는 부분으로,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프레임체결돌기(370)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체결부재가 상기 프레임체결돌기(370)를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체결부(140)에 체결되면, 상기 후방프레임(300)과 전방프레임(100)이 서로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다수의 프레임체결부(140)의 중앙부에는 스크류(screw)와 같은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나사홈이 형성된다.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측면 후단부에는 다수의 체결가이드리브(142)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체결가이드리브(142)는 상기 전방프레임(100)과 후방프레임(300)의 조립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 또는 'ㄱ' 형상(상방에서 볼 때)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체결가이드리브(142)와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틈새로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테두리가 삽입된다.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측면에는 한 쌍의 드레인체결구(144)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드레인체결구(144)는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양쪽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서로 대칭을 이루며, '┌' 또는 'ㄱ' 형상(상방에서 볼 때)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드레인체결구(144)에는 상기 전방프레임(100)과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이 체결부재에 의해 서로 체결되도록 하기 위한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드레인체결구(144)의 후단에는 스크류(screw)와 같은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드레인체결공(144')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체결구(144)의 내부에는 도시(도 13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에서 설명한 프레임체결부(140)도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측면 하단부에는 한 쌍의 베이스체결구(146)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체결구(146)는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양쪽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서로 대칭을 이루며, 상기 드레인체결구(144)와 같이 '┌' 또는 'ㄱ' 형상(상방에서 볼 때)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체결구(146)에는 상기 전방프레임(100)과 상기 베이스팬(500)이 스크류(screw)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서로 체결되도록 하기 위한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체결구(146)의 후단에는 스크류(screw)와 같은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베이스체결공(146')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체결구(146)의 내부에도 상기 드레인체결구(144)의 내부와 같이, 상기에서 설명한 프레임체결부(14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상면 후단에는 에어가이드체결구(148)가 다수 형성된다. 상기 에어가이드체결구(148)는 상기 상부에어가이드(800)가 상기 전방프레임(100)에 체결되도록 하기 위한 부분으로,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상면 후단 하측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3개가 형성된다. 상기 에어가이드체결구(148)에는 스크류(screw)와 같은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에어가이드체결공(148')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루버설치구(102)의 양측단에는 루버설치부(106)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루버설치부(106)는 상기 토출루버(110)의 양단이 설치되어 지지되는 부분으로, 전방으로 라운드지게 돌출된 반원 형상으로 성형된다.
그리고, 이러한 루버설치부(106)의 내측면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토출루버(110)의 루버회전축(111)이 삽입되는 루버설치홈(108)이 측방으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 루버설치홈(108)은 상기 한 쌍의 루버설치부(106) 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이러한 2개의 루버설치홈(108)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방은 개구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루버회전축(111)의 설치를 용이하게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루버설치구(102)의 양단에 형성되는 한 쌍의 루버설치부(106)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는 상기 토출루버(110)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루버모터(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다.
상기 루버설치구(102)의 중앙 부분에는 루버지지대(150)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루버지지대(150)는 상기 토출루버(110)의 중앙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하로 형성된다.
상기 루버지지대(150)는 상기 루버설치구(102)의 상하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연결부(152)와, 상기 연결부(152)의 중앙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스토퍼부(15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부(154)의 상단과 하단은 아래에서 설명할 토출루버(110)의 홈전면(114')과 홈저면(114")에 접촉하여 상기 토출루버(110)의 회전 범위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 스토퍼부(154)의 선단에는 루버지지홀(156)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루버지지홀(156)은 아래에서 설명할 토출루버(110)의 중앙지지축(115)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부분이다.
도 14와 도 15에는 상기 전면판넬(200)의 전방 및 후방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판넬(200)의 후면 테두리에는 다수의 판넬후크(220)가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판넬후크(220)는 상기 전방프레임(100)에 형성되는 다수의 판넬후크공(13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되어 서로 체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판넬후크(220)는 상기 판넬후크공(130)의 형성위치 와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갯수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판넬후크(220)는 '¬' 형상(측방에서 볼 때)으로 성형된다. 즉, 선단부가 상대적으로 더 큰 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판넬후크(220)가 상기 판넬후크공(130)에 삽입된 다음에는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상기 전면판넬(200)의 후면에는 판넬체결돌기(222)가 다수 형성된다. 상기 판넬체결돌기(222)는 상기 판넬체결부(132)와 더불어 고정수단이 되는 것으로, 상기 전면판넬(200)의 상측부분과 하단에 각각 다수 형성된다.
상기 판넬체결돌기(222)는 상기 판넬체결부(132)의 형성위치와 대응되는 부분에 각각 형성되는데, 구체적으로는 상기 토출구(210)의 상하에 각각 소정 간격을 두고 3개씩 형성되며, 상기 전면판넬(200)의 하단에 소정 간격을 두고 3개가 형성된다. 상기 판넬체결돌기(222)는 스크류(screw)와 같은 체결돌기가 상기 판넬체결부(132)를 관통한 다음 체결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이러한 판넬체결돌기(222)에는 스크류(screw)와 같은 체결돌기가 나사 체결되는 나사홈이 형성된다.
상기 전면판넬(200)의 후면에는 부가체결돌기(224)가 더 형성된다. 상기 부가체결돌기(224)는 상기에서 설명한 부가체결부(134)와 함께 부가체결수단이 되는 것으로, 이러한 부가체결돌기(224)는 상기 판넬체결돌기(222)와 같은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부가체결부(134)를 관통한 체결부재가 상기 부가체결돌기(224)에 나사체결된다.
상기 부가체결돌기(224)는 상기에서 설명한 부가체결부(134)와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수량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전면판넬(200)의 중앙부분 좌우 측단에 각각 2개씩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210)의 테두리에는 토출울타리(230)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울타리(230)는 상기 토출구(210)의 테두리를 따라 후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이러한 토출울타리(230)는 상기 전면판넬(200)이 상기 전방프레임(100)에 체결되는 경우에 상기 루버설치구(102)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토출울타리(230)의 측면에는 간섭방지홈(232)이 후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간섭방지홈(232)은 상기 토출울타리(230)가 상기 루버설치구(102)로 삽입 설치될 때, 아래에서 설명할 루버회전축(111)이 수용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도 16과 도 17에는 상기 토출루버(110)의 전방 및 후방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출루버(110)의 양 측면에는 루버회전축(111)이 측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루버회전축(111)은 상기 토출루버(110)의 회전 중심이 되는 부분으로, 상기 루버설치부(106)의 루버설치홈(108)에 삽입 설치된다.
상기 토출루버(110)에는 다수의 토출리브(112)가 격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다수의 토출유로(113)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토출루버(110)의 중앙부에는 후방으로 개구된 루버중앙홈(114)이 형성된다. 상기 루버중앙홈(114)은 상기에서 설명한 루버지지대(150)가 수용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토출루버(11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루버지지대(150)가 루버 중앙홈(114)의 홈전면(114')과 홈저면(114")에 각각 부딪히게 되어, 회전 범위가 제한된다.
상기 루버중앙홈(114)의 좌측면(도 17에서는 우측면)에는 중앙지지축(115)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중앙지지축(115)은 상기 루버회전축(111)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며, 상기에서 설명한 루버지지대(150)의 루버지지홀(156)에 삽입된다.
도 18과 도 19에는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상부 및 하부 구성이 사시도로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메인드레인팬(700)은 대략 사각형상의 외형을 가지며, 상기 전방프레임(100)과 후방프레임(300) 사이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전방프레임(100)과 후방프레임(30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게 된다.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상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바닥구획리브(702)가 형성된다. 상기 바닥구획리브(702)는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상면에 다수의 실(室)이 형성되도록 하여 응축수가 유동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상면에는 다수의 바닥구획리브(702)가 등 간격으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바닥구획리브(702)는 상기 메인드레인팬(700)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바닥구획리브(702)는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2열교환기(860)와 같은 다수의 부품이 메인드레인팬(700)의 상면에 밀착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제2열교환기(860)에서 생성되어 낙하한 응축수가 메인드레인팬(700)의 상면에서 용이하게 유동 가능하도록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바닥구획리브(702)는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전면 및 측면과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좌측으로 기울어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응축수의 유동을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에는, 다수의 바닥응축수홀(704)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바닥응축수홀(704)은 상기 제2열교환기(860)에서 발생하여 낙하하는 응축수가 메인드레인팬(700)의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전반부에는 하측으로 함몰된 하우징안착홈(710)이 더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안착홈(710)은 상기 상부에어가이드(800)에 형성되는 상부팬하우징(810)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안착홈(710)은 상기 상부팬하우징(810)의 하단과 대응되는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하우징안착홈(710)의 상측에 상기 상부팬하우징(810) 하단이 수용되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안착홈(710)에는 다수의 홈구획리브(712)가 일체로 등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홈구획리브(712)는 상기 바닥구획리브(70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홈구획리브(712)도 좌측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안착홈(71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안착홈(710)에는 홈응축수홀(714)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홈응축수홀(714)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닥응축수홀(704)과 같은 형상을 가 지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홈응축수홀(714)은, 상기 하우징안착홈(710)의 최하단에 형성된다. 즉 하방으로 라운드지게 함몰되어 원호(전방에서 볼 때)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상기 하우징안착홈(710)의 제일 낮은 부위에 상기 홈응축수홀(714)이 형성된다. 이는 상기 하우징안착홈(710)에 고이는 응축수가 하측으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저면에는 응축수낙하가이드(716)가 더 형성된다. 상기 응축수낙하가이드(716)는 상기 응축수홀(704,714)을 통해 메인드레인팬(700)의 하측(저면)으로 이동하는 응축수가 원활하게 바로 낙하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저면으로 이동된 응축수가 타 부위로 흘러가지 않고, 바로 낙하되도록 유인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응축수낙하가이드(716)는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원통 형상을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응축수낙하가이드(716)는 상기 각각의 응축수홀(704,714)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상기 바닥응축수홀(704) 및 홈응축수홀(714)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응축수홀(704,714)과 대응되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에는 주변 부품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다수의 홈들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선단 우측 부분에는 컨트롤박스설치구(720)가 전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컨트롤박스설치구(720)는 상기 컨트롤박스(870)의 단면과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으로 성형된다. 따라서, 이러한 컨트롤박스설치구(720)를 상하로 가로질러 상기 컨트롤박스(870)가 설치된다.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후단 좌측부분에는 덕트회피홈(722)이 후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덕트회피홈(722)은 상기 배기안내수단(400)의 하단부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덕트회피홈(722)은 상기 배기안내수단(400)의 선단부와 대응되는 반원 형상을 가진다.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후단 우측부분에는 작업구(724)가 형성된다. 상기 작업구(724)는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후단 우측모서리가 'ㄴ'자 형상으로 절개된 부분으로, 이러한 작업구(724)는 작업자의 작업(애프터서비스 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형성한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우측단 하측에는 상기 압축기(520)가 설치되고, 이러한 압축기(520)에는 보호캡(도시되지 않음)이 씌워지는데, 이러한 보호캡의 장착을 상방에서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작업구(724)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우측단에는 냉매배관(도시되지 않음)이 통과하는 배관통과홈(726)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열교환기(510)와 압축기(520) 및 제2열교환기(860) 사이를 유동하는 냉매는 파이프(pipe)로 이루어지는 냉매배관에 의해 유동되는데, 이러한 냉매배관이 상기 배관통과홈(726)을 통해 상하로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배관통과홈(726)은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상방에서 볼 때)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좌측단 선단부에는 코드관통홈(730)이 형성된다. 상기 코드관통홈(730)은,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는 파워코드(도시되지 않음)와 상기 상부모터(8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 등이 통과하기 위한 홈이다. 상기 코드관통홈(730)은 '⊃'형상(상방에서 볼 때)을 가진다.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선단부에는 전원선통과홈(732)이 형성된다. 즉, 상기 컨트롤박스설치구(720)의 좌측에 상기 전원선통과홈(732)이 형성된다. 상기 전원선통과홈(732)은 상기 압축기(520) 및 응축수펌프(550) 등으로 공급되는 각종 전원선이 통과하는 곳이다.
상기 전원선통과홈(732)은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상방에서 볼 때)으로 이루어지며, 선단에는 상기 전원선통과홈(732)으로 삽입된 전원선(도시되지 않음)이 다시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리브(732')가 더 형성된다.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우측면 선단 부근에는 보조홈(734)이 더 형성된다. 상기 보조홈(734)도 상기 전원선통과홈(732)가 같이 다수의 전원선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전원선통과홈(732) 크기보다는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주로 직류(DC)전원선 등이 통과된다.
상기 보조홈(734)은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상방에서 볼 때)으로 이루어지며, 우측단에는 삽입된 전원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직류선이탈방지리브(734')가 형성된다.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에는 상기 보조드레인팬(750)과의 결합을 위한 드레인체결부(736,737,739)가 형성된다. 상기 드레인체결부(736,737,739)는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전방드레인체결부(736)와, 상기 메인드레인 팬(700)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후방드레인체결부(737), 그리고 우측드레인체결부(739)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방드레인체결부(736)는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선단 중앙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후방드레인체결부(737)는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후단 중앙부분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전방드레인체결부(736)와 후방드레인체결부(737)의 중앙에는 스크류(screw)와 같은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드레인체결공(738)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우측드레인체결부(739)는,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우측 부분에는 3개가 형성된다. 즉,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후단과 상기 하우징안착홈(710)의 우측 선단 및 후단에 각각 형성되며, 이러한 상기 우측드레인체결부(739)에도 상기 드레인체결공(738)과 같은 우측드레인체결공(739')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선단 우측모서리에는 앵글홀(740)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앵글홀(740)은 상기에서 설명한 지지앵글(580)이 관통하여 설치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앵글홀(740)은 상기 지지앵글(580)의 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상방에서 볼 때)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앵글(580)은 상기 앵글홀(740)의 상측으로부터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저면 우측단 부근에는 브레이스지지부(742)가 형성된다. 상기 브레이스지지부(742)는 상기 브레이스(570)의 상단이 체결되어 지지되는 부분으로,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저면으로부터 하측(도 19에서는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쌍으로 구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간격 이격 설치되며, 서로 대칭되는 '└'과 '┘' 형상(도 19의 상방에서 볼 때)을 가진다.
한편,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좌우 측면 선단 부근에는 프레임체결홈(744)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체결홈(744)은 스크류(screw)와 같은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나사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이 상기 전방프레임(100)에 고정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상기 프레임체결홈(744)은 상기 전방프레임(100)에 형성되는 드레인체결구(144)의 드레인체결공(144')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스크류(screw)가 상기 드레인체결공(144')을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체결홈(744)에 체결되면,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선단부가 상기 전방프레임(100)에 고정되는 것이다.
도 20과 도 21에는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의 상부 및 하부 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보조드레인팬(750)의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은 상기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열교환기(510) 및 제2열교환기(860)에서 생성되는 응축수가 집수되고, 다시 집수 된 응축수를 상기 제1열교환기(510)의 상측에서 낙하시킨다.
따라서,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에는, 집수 된 응축수가 상기 제1열교환기(510)로 낙하하도록 안내하는 다수의 낙하공(752)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낙하 공(75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나란히 이격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낙하공(752)은, 복수의 열(列)로 형성된다. 즉, 상기 다수의 낙하공(752)은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의 바닥면(750a) 우측부분에 전후로 나란히 형성되는데, 2열로 형성된다. 물론, 1열로 형성되거나 3열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이 설치되면, 상기 다수의 낙하공(752)은 상기 제1열교환기(510) 상측에 위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낙하공(752)은 상기 제1열교환기(510)의 우측면 상측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낙하공(752)을 통해 하측으로 낙하되는 응축수는 상기 제1열교환기(510)의 우측면을 통해 흘러내리면서 증발하게 된다.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의 저면에는 낙하안내리브(754)가 더 형성된다. 상기 낙하안내리브(754)는, 상기 낙하공(752)을 통해 보조드레인팬(750)을 통과하여 하측으로 이동한 응축수의 낙하를 안내하는 것으로, 상기 낙하공(752)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소정 길이의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의 바닥면(750a)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보조드레인팬(750) 내부로 집수 된 응축수가 상기 낙하공(752)으로 안내되도록, 측단으로부터 상기 낙하공(752) 측으로 갈수록 점차 그 높이가 낮아지도록 소정의 경사를 가진다.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의 우측면은 단차지게 형성되어 드레인안내면(760)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드레인안내면(760)은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의 바닥면(750a)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드레인안내면(760)은 상기 베이스팬(500)에 고인 응축수가 유입되어 안내되는 면이다.
상기 드레인안내면(760)에는 다수의 드레인가이드홈(762)이 하방으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 드레인가이드홈(762)은 상기 드레인안내면(760)으로 공급되는 응축수가 보조드레인팬(750) 바닥면(750a)으로 용이하게 흘러가도록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레인가이드홈(762)의 바닥면은 좌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드레인가이드홈(762)의 바닥면은, 상기 낙하공(752)이 형성된 방향(도 20에서는 좌측)으로 갈수록 점차 그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를 가진다. 따라서, 이러한 경사에 의해 응축수의 유동이 원활하게 일어난다.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의 좌측면(750b)에는 드레인회피구(764)가 형성된다. 상기 드레인회피구(764)는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의 좌측면(750b) 일부가 절개된 것으로, 이는 보조드레인팬(750)과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이 결합할 때,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하우징안착홈(710)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드레인회피구(764)와 마주보는 보조드레인팬(750) 우측면(750c)에도 드레인회피면(766)이 형성된다. 즉 상기 보조드레인팬(750) 우측면(750c)의 전반부는 우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드레인회피면(766)을 형성하고 있는데, 이러한 드레인회피면(766)도 상기 드레인회피구(764)와 같이 상기 하우징안착홈(710)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의 우측 선단부에는 커넥터체결부(768)가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체결부(768)는 상기 응축수배관(560)의 일단이 체결되는 부분으로, 상방이 개구된 'U'자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체결부(768)의 전면 상단에는 커넥터고정돌기(768')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고정돌기(768')는 아래에서 설명할 커넥터고정홈(598)에 삽입되는 부분이며, 아래에서 설명할 팬커넥터(590)가 상기 커넥터체결부(768)에 체결된 다음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의 우측 선단과 후단에는 드레인후크(770)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드레인후크(770)는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후크(hook)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의 우측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일정 부분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드레인후크(770)는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이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에 1차적으로 가(假)조립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드레인후크(770)가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에 형성되는 드레인후크홈(도시되지 않음)에 삽입되어 체결되면,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이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에 1차적으로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에는 보조드레인팬(750)이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에 체결되도록 하는 다수의 드레인체결돌기(772,774,776)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드레인체결돌기(772,774,776)는 상기에서 설명한 메인드레인팬(700)의 드레인체결부(736,737,739)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의 전면(750d)과 후면(750e) 상단에는 전방드레인체결돌기(772)와 후방드레인체결돌기(774)가 각각 전후로 돌출 형성되고, 이러한 전방드레인체결돌기(772)와 후방드레인체결돌기(774)의 중앙부에는 체결돌기가 체결되는 전방드레인체결홈(772')과 후방드레인체결홈(774')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의 우측단에는 3개의 우측드레인체결돌기(776)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각각의 우측드레인체결돌기(776) 중앙부에는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우측드레인체결홈(776')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에는 상기 제1열교환기(510)와의 결합을 위한 열교환체결부(780,782)가 전후에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의 전면(750d)에는 전방열교환체결부(780)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의 바닥면(750a) 후단에는 후방열교환체결부(782)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전방열교환체결부(780)와 후방열교환체결부(782)에는 체결부재가 관통 가능한 전방열교환체결공(780')과 후방열교환체결공(782')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의 저면 우측단(도 21에서는 후단)에는 열교환지지리브(784)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열교환지지리브(784)는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의 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일정 부분 돌출된 것으로, 여기에는 상기 제1열교환기(510)의 우측 상단이 접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열교환지지리브(784)에 의해 제1열교환기(510)가 지지되어 넘어짐이 방지된다.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의 좌측단(도 21에서는 선단)에는 다수의 오리피스체 결리브(786)가 형성된다. 상기 오리피스체결리브(786)는 상기 보조드레인팬(750)과 상기 하부오리피스(600)가 서로 체결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오리피스체결리브(786)는 소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리브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한 쌍의 리브 중 하나(도 21에서는 후측의 리브)에는 걸림턱(786')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오리피스체결리브(786)가 상기 하부오리피스(600) 상면에 형성되는 오리피스체결홀(도시되지 않음)에 삽입되면, 상기 걸림턱(786')에 걸려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 22에는 상기 응축수배관(56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응축수배관(56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응축수펌프(550)와 상기 보조드레인팬(750)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응축수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이러한 응축수배관(560)은 자유로이 형상 변경이 가능하도록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고무와 같이 변형 가능한 호스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응축수배관(560)의 하단은 상기 응축수펌프(550)에 체결되고, 상단은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상기 응축수배관(560)의 상단은 배관체결수단(590,768)에 의해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의 선단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배관체결수단(590,768)은 상기에서 설명한 커넥터체결부(768)와 아래에서 설명할 팬커넥터(59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응축수배관(560)의 상단에는 도시된 바와 같은 팬커넥터(590)가 끼워진 다. 상기 팬커넥터(590)는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의 커넥터체결부(768)에 슬라이딩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배관체결수단(590,768)의 일 구성요소가 된다. 상기 팬커넥터(590)의 상세 구성은 아래에서 설명한다.
도 23과 도 24에는 상기 팬커넥터(590)의 사시도와 평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팬커넥터(590)는 상기에서 설명한 보조드레인팬(750)의 커넥터체결부(768)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되어 슬라이딩 체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팬커넥터(590)는, 상기 응축수배관(560)의 상단에 체결되는 배관연결부재(592)와, 상기 커넥터체결부(768)에 체결되는 팬체결부재(594)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배관연결부재(592)는 원형의 상기 응축수배관(56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응축수배관(560)의 내부로 삽입된다. 그리고, 이러한 배관연결부재(592)는 톱니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처럼 톱니형상의 외면을 갖도록 하는 것은, 상기 배관연결부재(592)가 상기 응축수배관(56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팬체결부재(594)는, 상기 커넥터체결부(768)의 일면과 접하는 외측판(594a)과, 상기 커넥터체결부(768)의 다른 일면에 접하는 내측판(594b)과, 상기 외측판(594a)과 내측판(594b)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대(594c)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외측판(594a)과 내측판(594b)은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측 판(594a)이 상기 내측판(594b)보다 그 크기가 더 크다. 그리고, 상기 외측판(594a)은 상기 커넥터체결부(768)의 전면(도 20에서)과 접하고, 상기 내측판(594b)은 상기 커넥터체결부(768)의 후면(도 20에서)과 접한다.
상기 내측판(594b)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판(594a)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이격된 상기 외측판(594a)과 내측판(594b) 사이에 상기 연결대(594c)가 구비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연결대(594c)의 외측 즉, 상기 외측판(594a)과 내측판(594b)의 테두리 사이에는 소정 크기의 폭을 가지는 커넥터홈(596)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커넥터홈(596)에 상기 커넥터체결부(768)가 삽입된다.
상기 팬커넥터(590)는 커넥터고정수단(598,768')에 의해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 커넥터고정수단(598,768')은 상기 팬커넥터(590)가 상기 커넥터체결부(768)에 삽입된 다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에서 설명한 커넥터고정돌기(768')와, 상기 커넥터고정돌기(768')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되는 커넥터고정홈(598)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넥터고정홈(598)은 상기 커넥터고정돌기(768')와 같은 사각형상을 가지며, 상기 외측판(594a)의 후면(도 23에서는 전면) 상단에 형성된다.
도 25에는, 상기 베이스팬(500)의 구성이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팬(500)의 상면에는 열교환기설치부(504)가 전후로 가로질러 형성된다. 상기 열교환기설치부(504)는 상기 제1열교환기(510)가 설치되는 부분으로, 상기 베이스팬(500)의 중앙 부분에 전후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열교환기설치부(504)에는 다수의 구획지지리브(505)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구획지지리브(505)는 상기 제1열교환기(510)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팬(500)으로 모이는 응축수가 유동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구획지지리브(505)는 상기 베이스팬(50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 크기로 돌출 형성되므로, 이러한 구획지지리브(505)에 의해 상기 베이스팬(500)과 제1열교환기(510)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므로, 응축수의 집수 및 이동이 원활하게 된다.
상기 다수의 구획지지리브(505)는 전후로 길게 형성되며, 이러한 구획지지리브(505)에는 다수의 베이스유동홈(506)이 형성된다. 즉, 상기 구획지지리브(505)는 일부분이 절개되어 베이스유동홈(506)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베이스유동홈(506)을 통해 응축수의 좌우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구획지지리브(505)의 양단에는 공기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에어차단리브(507)가 더 형성된다. 즉, 상기 다수의 구획지지리브(505) 선단과 후단에 에어차단리브(507)가 각각 형성되는데, 이러한 에어차단리브(507)는 선단과 후단으로부터 우측으로 수직 벤딩(bending)된 다음 우측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에어차단리브(507)에 의해 상기 다수의 구획지지리브(505) 사이 공간을 통한 공기의 전후 유동이 차단된다.
상기 에어차단리브(507)와 상기 구획지지리브(505)의 선단 및 후단 사이에는 응축수유동틈새(508)가 형성된다. 즉 상기 에어차단리브(507)의 좌우 길이는, 상기 다수의 구획지지리브(505) 사이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에어차 단리브(507) 우측단과 상기 구획지지리브(505) 좌측면 사이에는 응축수유동틈새(508)가 형성된다. 상기 응축수유동틈새(508)는 상기 에어차단리브(507)의 전후로 응축수의 유동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열교환기설치부(504)의 양측에는, 응축수의 좌우 유동을 차단하는 분리벽(512,514)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분리벽(512,514)은 상기 열교환기설치부(504)의 좌측 경계를 형성하는 좌측분리벽(512)과 상기 열교환기설치부(504)의 우측 경계를 형성하는 우측분리벽(51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좌측분리벽(512)과 우측분리벽(514)은 상기 구획지지리브(505)의 높이보다 더 큰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열교환기(510)를 따라 상기 베이스팬(500) 상면으로 떨어진 응축수가 상기 분리벽(512,514)에 의해 좌우로 퍼져나가지 못하게 된다.
상기 열교환기설치부(504)의 바닥면은, 우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기설치부(504)로 모여지는 응축수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아래에서 설명할 집수공간(516)으로 유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열교환기설치부(504)의 우측에는 소정 크기의 집수공간(516)이 형성된다. 상기 집수공간(516)은 상기 베이스팬(500)의 상면으로 낙하된 응축수가 모이는 부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베이스팬(500)의 우측 선단 부분에는 대략 '⊃' 형상(상방에서 볼 때)의 집수벽(518)이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집수벽(518)의 내부에 소정 크기의 집수공간(516)이 형성된다.
상기 집수벽(518)은 상기 우측분리벽(514)과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우 측분리벽(514)의 전반부는 절개되어 있으며, 이러한 절개된 부분은 상기 집수벽(518)의 좌측단과 접한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기설치부(504)와 상기 집수공간(516)은 서로 연통된다.
상기 집수공간(516)의 좌측에는, 집수공간(516)으로 유입되는 응축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제1이물차단울타리(532)가 형성된다. 즉, 상기 집수공간(516)의 입구가 되는 좌측부분에 제1이물차단울타리(532)가 전후로 형성된다. 상기 제1이물차단울타리(532)는 상기 우측분리벽(514)의 연장선상에 형성된다.
상기 제1이물차단울타리(532)는, 다수의 돌기가 등(等) 간격으로 열(列)을 지어 형성된 것이다. 즉 상기 제1이물차단울타리(532)는 가는 원기둥 형상의 돌기가 등(等) 간격으로 전후로 나열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다수의 돌기 사이의 거리보다 더 큰 크기의 이물질은 상기 제1이물차단울타리(532)를 통과하지 못하고 걸러지게 된다.
상기 베이스팬(500)에는 집수홈(534)이 형성된다. 상기 집수홈(534)은 상기 베이스팬(500)의 상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더 함몰되어 응축수가 집수되도록 하는 곳으로, 상기 응축수펌프(550)가 설치되는 하측에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집수홈(534)은 상기 집수공간(516)의 선단부에 형성되며, 이러한 집수공간(516)의 바닥면보다 더 깊은 바닥면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집수홈(534)의 테두리에는 제2이물차단울타리(536)가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집수홈(534)의 후측에 제2이물차단울타리(536)가 원호 형상으로 성형된다. 이처럼 상기 제2이물차단울타리(536)가 상기 집수홈(534)의 후측에 형성되는 이유는, 상기 집수홈(534)의 후방이 개구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후방으로부터 응축수가 유입되기 때문이다.
상기 제2이물차단울타리(536)는 상기 집수홈(534)으로 유입되는 응축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제1이물차단울타리(532)와 같이 다수의 돌기가 등(等) 간격으로 열(列)을 지어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기설치부(504)로부터 상기 집수홈(534)으로 모아지는 응축수는, 상기 제1이물차단울타리(532)에 의해 1차적으로 이물질이 걸러진 다음, 상기 제2이물차단울타리(536)에 의해 2차적으로 이물질이 걸러지게 된다.
상기 집수홈(534)의 좌우에는 한 쌍의 펌프지지대(538)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펌프지지대(538)는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성형되어, 상기 응축수펌프(550)의 좌우 양단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펌프지지대(538)의 상면에는 스크류(screw)가 체결되는 펌프체결홈(538')이 다수 형성된다.
상기 집수공간(516)에는 상기 응축수감지장치(540)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집수벽(518)의 우측면 상단에는 상기 응축수감지장치(540)가 스크류(screw)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감지기체결홈(542)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팬(500)의 우측면 상단에는 브레이스체결홈(544)이 다수 형성된다. 상기 브레이스체결홈(544)은 스크류(screw)가 체결 가능한 나사홈이다. 따라서, 이러한 브레이스체결홈(544)에 의해 상기 브레이스(570)의 하단이 스크류(screw)에 의해 상기 베이스팬(500) 우측단에 고정된다.
상기 베이스팬(500)의 우측 선단 모서리에는 상기 지지앵글(580)의 하단이 장착되는 앵글하단장착부(582)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앵글(580)의 하단은 상기 베이스팬(500)의 우측 모서리 내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며, 이러한 앵글하단장착부(582)에는 상기 지지앵글(580) 하단을 스크류(screw)에 의해 고정하기 위한 앵글체결홀(582')이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앵글체결홀(582')을 통해 외측으로부터 스크류(screw)가 상기 앵글체결홀(582')을 관통한 다음 상기 지지앵글(580)의 하단에 체결되면, 상기 지지앵글(580)의 하단이 상기 베이스팬(500)에 고정된다.
상기 베이스팬(500)의 선단부는,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하단과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팬(500)의 양 측면에는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측면 하단부의 베이스체결구(146)와 체결되는 프레임고정부(584)가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베이스팬(500)의 선단 좌우 모서리로부터 후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프레임고정부(584)가 각각 형성되며, 이러한 프레임고정부(584)에는 스크류(screw)가 체결되는 프레임고정홈(584')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스크류(screw)가 상기 베이스체결구(146)의 베이스체결공(146')을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고정홈(584')에 나사체결되면, 상기 베이스팬(500)과 상기 전방프레임(100)이 서로 체결된다.
상기 베이스팬(500)에는 상기 하우징홈(640)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하우징베이스홈(586)이 하측으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베이스홈(586)은 상기 하부오리피스(600)와 하부에어가이드(620)에 각각 형성되는 상기 하우징홈(640) 하단부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좌측분리벽(512)의 좌측 중앙 부분에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팬(500)의 좌측단 중앙 부분에는 모터지지부(588)가 형성된다. 상기 모터지지부(588)는 상기 하모터지지대(670) 하단이 장착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이러한 모터지지부(588)에는 상기 하모터지지대(670) 하단부가 스크류(screw)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지지대체결홈(588')이 다수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팬(500)의 후반부 우측 부분에는 압축기설치부(524)가 형성된다. 상기 압축기설치부(524)는 상기 압축기(520)가 장착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이러한 압축기설치부(524)에는 3개의 압축기고정볼트(52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압축기고정볼트(526)에 상기 압축프레임(522)이 고정된다.
상기 베이스팬(500)에는 고인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응축수배출홈(528)이 형성된다. 상기 응축수배출홈(528)은 상기 열교환기설치부(504)의 후단에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팬(500)의 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베이스팬(500) 상면에 고인 응축수는 상기 응축수배출홈(528)을 통해 상기 베이스팬(500) 후방으로 배출될 수도 있다.
도 26에는 상기 하모터지지대(67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하모터지지대(670)는 상기 베이스팬(500)의 상측 즉, 상기에서 설명한 모터지지부(588) 상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판(672)과 베이스체결부(674) 그리고 에어가이드체결부(676)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판(672)은, 상기 하부에어가이드(620)의 좌측면에 밀착되는 부분으로, 상하로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체결부(674)는 상기 본 체판(672)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팬(500)의 모터지지부(588)에 밀착 고정되는 부분이다. 즉, 상기 베이스체결부(674)는 상기 본체판(672)의 하단으로부터 수직 벤딩(bending)되어 연장된 것으로, 상기 모터지지부(588)에 접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체결부(674)에는 베이스체결홀(674')이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스크류(screw)가 상기 베이스체결홀(674')을 관통하여 상기 하모터지지대(670)의 지지대체결홈(588')에 체결되면, 상기 베이스체결부(674)가 상기 모터지지부(588) 상면에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에어가이드체결부(676)는 상기 본체판(672)의 상단에 형성된다. 즉, 상기 에어가이드체결부(676)는 상기 하부에어가이드(620)에 체결되는 부분으로, 상기 본체판(672)의 상단 좌우로부터 전방으로 벤딩(bending)되어 돌출된 다음 다시 상방으로 수직 벤딩(bending)되어 연장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에어가이드체결부(676)에도 스크류(screw)가 관통되는 에어가이드체결홀(676')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판(672)의 상반부 중앙에는 원형의 모터관통공(678)이 형성된다. 상기 모터관통공(678)은 상기 하부모터(660)의 좌측단이 삽입되어 설치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이러한 모터관통공(678)은 상기 하부모터(660)의 좌측단 외경과 대응되는 크기를 가진다.
상기 모터관통공(678)의 테두리에는 다수의 모터체결홀(678')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모터관통공(678)은 스크류(screw)에 의해 상기 하부모터(660)와 상기 하모터지지대(670)가 체결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작용을 살펴본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에서 냉매와 공기의 유동을 살펴본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냉방 또는 난방을 위해 사용 가능하나, 여기서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가 냉방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때에는 상기 제1열교환기(510)는 응축기 역할을 하게 되고, 상기 제2열교환기(860)는 증발기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520)와 제1열교환기(510) 및 제2열교환기(860) 사이에는 냉매배관(도시되지 않음)이 연결되어 냉매의 유동을 안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520)로부터 기체 냉매가 압축되어 고온고압의 상태로 되어 상기 제1열교환기(510)로 유입되면, 상기 제1열교환기(510)에서는 외측 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냉매는 응축된다.
그런 다음 응축된 냉매는 팽창밸브(도시되지 않음)을 통과하면서 팽창되어, 상기 제2열교환기(860)로 유입된다. 상기 제2열교환기(860)로 유입된 냉매는 외부의 공기와 열교환을 하여 증발한다. 따라서, 냉매는 기체상태가 되는데, 이때 액체상태의 냉매도 잔류하게 되어 실제로는 2상의 냉매가 혼재한다.
이러한 냉매는 상기 어큐뮬레이터(530)를 통과한 후에 다시 상기 압축기(520)에 보내져 냉매의 순환사이클(cycle)을 완성하게 된다.
한편, 공기는 상기 제1열교환기(510) 및 제2열교환기(86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을 도 1과 도 2 그리고, 도 27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우선 방열측(메인드레인팬의 하측 부분)에서의 공기 유동(도면에서는 '
Figure 112006081211003-PAT00001
'로 표시됨)을 살펴본다. 이때의 공기 유동은 기본적으로 상기 하부팬(630)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 즉,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하부모터(660)가 구동하게 되면, 이러한 하부모터(660)의 축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하부팬(630)이 회전하면서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하반부에 형성되는 상기 하부그릴(330)을 통해 후방의 공기가 유입된다. 상기 하부그릴(330)을 통해 전방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방향을 전환하여 좌측으로 유동하게 되며, 상기 제1열교환기(510)를 통과한다.
상기 제2열교환기(860)를 통과하는 공기는 온도가 상승한다. 즉, 상기 제2열교환기(860)는 응축기 역할을 하게 되므로, 이러한 제2열교환기(860)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공기는 고온 상태가 된다.
상기 제2열교환기(860)를 통과한 고온의 공기는 상기 하오리피스공(602)을 통과하여 상기 하부팬(630) 중앙부로 유입된다. 상기 하부팬(630) 중앙부로 유입된 공기는 하부팬(630)의 회전에 의해 방사상으로 유동되어 상기 배기가이드(650)에 의해 안내되어 상방으로 토출된다.
상기 배기가이드(650)에 의해 상방으로 안내되는 고온의 공기는 상기 배기안내수단(400)을 통해 건물의 외부로 완전히 배출된다.
다음으로, 흡열측(메인드레인팬의 상측 부분)에서 일어나는 공기의 유동(도면에서는 '
Figure 112006081211003-PAT00002
'로 표시됨)을 살펴본다. 이때의 공기 유동은 기본적으로 상기 상부팬(840)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 즉,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상부모 터(820)가 구동하게 되면, 이러한 상부모터(820)의 축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상부팬(840)이 회전하면서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외측(실내공간)의 공기가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상반부에 형성된 흡입그릴(310)을 통해 내부(전방)로 유입된다. 상기 흡입그릴(31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프리필터(320)와 탈취필터(322)를 차례로 통과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공기 중의 이물질이나 악취가 제거된다.
상기 프리필터(320)와 탈취필터(322)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제2열교환기(860)를 통과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열교환이 일어난다. 즉, 상기 제2열교환기(860)는 증발기로 작용하므로, 상기 제2열교환기(860)를 통과하는 공기는 냉매와의 열교환에 의해 냉각된다.
상기 제2열교환기(860)를 통과한 저온의 공기는 상기 상오리피스공(852)을 통해 전방으로 유동하여 상기 상부팬(840) 중앙으로 유입된다. 상기 상부팬(840) 중앙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부팬(840)의 회전에 의해 방사상으로 토출되며, 이러한 공기는 상기 상부팬하우징(810)에 의해 안내되어 상측으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상부팬하우징(810)에 의해 상측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상부에어가이드(800)의 토출안내구(814)를 통해 전방으로 나와 상기 토출루버(110)를 통과한다. 상기 토출루버(110)를 통과하는 저온의 공기는 상기 토출구(210)의 전방으로 배출되어 실내공간을 냉방하게 된다. 한편, 상기 토출루버(110)를 통과하는 공기는 토출루버(110)에 형성된 다수의 리브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기도 한다.
다음으로, 상기 후방프레임(300)에 상기 흡입그릴(310)을 체결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흡입그릴(310)을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후방으로부터 근접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흡입그릴(310)의 하단에 형성된 상기 그릴체결돌기(317)가 상기 그릴돌기삽입홀(354)에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그릴체결돌기(317)가 상기 그릴돌기삽입홀(354)에 삽입되고 나면, 상기 흡입그릴(310)의 상단을 전방으로 민다. 이렇게 되면, 상기 흡입그릴(310)의 상단에 형성된 그릴체결후크(316)가 상기 그릴후크체결홀(374)에 삽입된다. 상기 그릴체결후크(316)가 상기 그릴후크체결홀(374)에 삽입되면, 상기 그릴체결후크(316)의 선단부에 형성된 걸림부(316')에 의해 이탈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상기 흡입그릴(310)은 상기 후방프레임(300)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장착된 상기 흡입그릴(310)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에서 살펴본 장착의 역순에 의한다.
즉, 상기 흡입그릴(310)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탈거리브(315)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전방으로 당긴다. 이렇게 되면, 상기 그릴체결후크(316)가 자체 탄성에 의해 좌우로 유동하게 되어 상기 그릴체결후크(316)의 걸림부(316')가 상기 그릴후크체결홀(374)을 통과하여 후방으로 이동한다.
그런 다음에는 상기 흡입그릴(310)을 상방으로 들어올린다. 이렇게 되면, 상기 흡입그릴(310)의 그릴체결돌기(317)가 상기 그릴돌기삽입홀(354)으로부터 분리되어 상방으로 이탈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상기 흡입그릴(310)의 분리가 완료된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를 들어올리기 위해서는 상기 한 쌍의 손잡이(340)에 손을 집어넣은 상태에서 들어올려야 한다. 이때에는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의 전방에 서서 들어올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손잡이(340)의 내부공간은 후측으로 갈수록 점차 그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인간의 인지(둘째 손가락)이 상기 손잡이(340)의 내부 후단부에 위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340)를 상기 손잡이공(342)에 조립하기 위해서는 양측에서 상기 손잡이(340)를 밀착시켜 힘을 가하는 것에 의해 가능하다. 즉, 상기 손잡이(340)의 고정리브(348)는 일측(내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가이드면(348")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상기 손잡이(340)를 상기 손잡이공(342)에 밀어넣으면, 이러한 가이드면(348")이 상기 손잡이공(342)의 테두리와 접촉하면서 슬라이딩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계속 측방(내측)으로 힘을 가하면, 드디어 상기 고정리브(348)는 상기 손잡이공(342)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측면이 상기 손잡이(340)의 손잡이홈(349)에 위치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손잡이(340)의 장착이 완료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면판넬(200)을 상기 전방프레임(100)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우선 상기에서 설명한 가조립수단에 의해 상기 전면판넬(200)이 상기 전방프레임(100)에 결합되도록 한 다음, 상기에서 설명한 고정수단을 활용하여 완전히 고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상기 전면판넬(200)을 상기 전방프레 임(100)의 전방으로부터 밀착시키면, 상기 다수의 판넬후크(220)가 상기 다수의 판넬후크공(130)에 삽입되어 상기 전면판넬(200)이 가(假)조립된다.
그런 다음,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후측으로부터 스크류(screw)와 같은 체결부재가 상기 판넬체결부(132)의 판넬체결공(132')을 관통하게 한 다음, 체결부재가 상기 판넬체결돌기(222)에 나사 체결되도록 하면, 상기 전면판넬(200)이 전방프레임(100)에 완전히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판넬(200)이 무거운 경우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부가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전면판넬(200)이 상기 전방프레임(10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때의 과정은 상기 고정수단의 체결과정과 동일하다.
다음으로는, 도 18을 참조하여 상기 메인드레인팬(700) 상면에서의 응축수 유동을 살펴본다. 상기 제2열교환기(860)에서는 외부의 공기와 내부의 냉매 간에 열교환이 일어나게 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하여 응축수가 생성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생성된 응축수는 상기 제2열교환기(860) 하부로 내려와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상면에 떨어진다.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상면에 떨어진 응축수는 상기 바닥구획리브(702)에 의해 안내되어 유동되며, 이 과정에서 상기 바닥응축수홀(704)을 통해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을 통과하여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메인드레인팬(700) 상면의 응축수는 상기 하우징안착홈(710)으로도 유동하게 된다. 즉 상기 하우징안착홈(710)은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상면보 다도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응축수 중 일부는 상기 하우징안착홈(710)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안착홈(710)으로 이동한 응축수는 상기 홈구획리브(712)에 의해 가이드되어, 점점 상기 하우징안착홈(710)의 하부로 이동한다. 그런 다음, 상기 하우징안착홈(710)의 최하단에 형성된 홈응축수홀(714)을 통해 하측으로 이동한다.
상기 응축수홀(704,714), 즉 상기 바닥응축수홀(704)과 홈응축수홀(714)을 통과하여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하측으로 이동한 응축수는 상기 응축수낙하가이드(716)의 내면을 타고 흘러내리게 되며, 이윽고 상기 응축수낙하가이드(716)의 하단에 맺힌 다음 하방으로 낙하한다. 그리고, 상기 응축수낙하가이드(716)로부터 낙하되는 응축수는 상기 보조드레인팬(750) 상면으로 낙하하게 된다.
도 28과 도 29은,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들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박스설치구(720)에는 컨트롤박스(870)가 상하로 관통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컨트롤박스(870)에 구비되는 부품은 컨트롤박스(870) 하측으로 돌출되기도 한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배관통과홈(726)에는 냉매배관(746)이 상하로 통과하고 있으며, 상기 작업구(724)는 상기 압축기(520)의 상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520) 상측에 보호캡(도시되지 않음)을 장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상기 작업구(724)를 통해 상측에서 보호캡을 끼울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덕트회피홈(722)은 상기 배기가이드(650)의 상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배기안내수단(400)의 하단이 상기 배기가이드(650)와 연결 설치되는 경우에, 이러한 배기안내수단(400)의 전반부가 상기 덕트회피홈(722)에 수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우측 선단과 상기 베이스팬(500) 사이에는 상기 지지앵글(580)이 설치되어 메인드레인팬(700)을 지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지지앵글(580)은 상기 앵글홀(740)의 상방으로부터 삽입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지지앵글(580)의 하단은 상기 베이스팬(500)의 우측 선단 모서리에 형성되는 앵글하단장착부(582)에 고정된다.
상기 브레이스(570)는 상기 메인드레인팬(700)과 상기 베이스팬(500)의 우측단 사이에 설치되며, 이러한 브레이스(570)의 하단은 스크류(screw)가 상기 브레이스체결홈(544)에 체결됨으로써 베이스팬(500)에 고정된다.
상기 압축기(520)도 상기 베이스팬(500)에 고정되는데, 상기 압축프레임(522)이 상기 3개의 압축기고정볼트(526)에 끼워져 고정된다.
도 30에는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이 상기 제1열교환기(510) 상측에 설치된다. 따라서, 이때에는 상기 열교환체결부(780,782)를 통해 스크류(screw)와 같은 체결부재가 관통 체결되어, 상기 보조드레인팬(750)과 제1열교환기(510) 상단이 결합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열교환지지리브(784)는 상기 제1열교환기(510)의 우측 상단이 접하게 되므로, 상기 제1열교환기(510)가 우측으로 넘어 지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다수의 오리피스체결리브(786)는 상기 하부오리피스(600)에 형성되는 오리피스체결홀(도시되지 않음)에 삽입되고, 이로 인해 상기 보조드레인팬(750)과 상기 하부오리피스(600)가 서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의 커넥터체결부(768)에는 상기 응축수배관(560)의 상단이 체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응축수펌프(550)에 의해 상기 베이스팬(500)에 고인 응축수가 펌핑(pumping)되어 상기 응축수배관(560)을 통해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으로 유입된다.
상기 응축수배관(560)을 통해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으로 공급된 응축수는 상기 드레인안내면(760)으로 유입되고, 상기 드레인가이드홈(762)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의 바닥면(750a)으로 흘러가게 된다. 또한, 이때에는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에 집수된 응축수도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의 바닥면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의 바닥면(750a)으로 떨어진 응축수는, 바닥면(750a)이 경사져 있으므로, 상기 낙하공(752)으로 이동하여 보조드레인팬(750)을 통과한 다음 하측의 낙하안내리브(754)에 도달하게 되며, 이러한 낙하안내리브(754)에서 낙하하여 상기 제1열교환기(510)의 우측 부분을 따라 아래로 흘러내린다.
그리고, 상기 제1열교환기(510)의 우측 부분을 따라 흘러내리는 응축수는 상기 제1열교환기(510)에서 발생되는 열과, 상기 하부그릴(330)을 통해 유입되어 상 기 제1열교환기(510)를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 증발된다.
한편, 상기 제1열교환기(510)에서 미처 증발하지 못한 응축수나 새로이 생성되는 응축수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열교환기설치부(504)로 낙하된다. 그리고, 이러한 열교환기설치부(504)에 낙하 된 응축수는 상기 집수공간(516)으로 모이게 된다. 즉, 상기 열교환기설치부(504)의 바닥면은 우측으로 경사져 있으므로, 상기 열교환기설치부(504)의 응축수는 상기 베이스유동홈(506)을 통과하여 상기 집수공간(516)으로 모이게 되는 것이다.
상기 집수공간(516)으로 모이는 응축수는 상기 제1이물차단울타리(532)를 통과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응축수에 섞여있는 이물질이 걸러진다. 그리고, 상기 집수공간(516)으로 흘러온 응축수는 다시 상기 집수홈(534)으로 유입된다. 상기 집수홈(534)으로 유입되는 응축수 중의 이물질은 상기 제2이물차단울타리(536)에 의해 다시 걸러진다.
상기 집수홈(534)으로 유입된 응축수는 상기 응축수펌프(550)에 의해 펌핑(pumping)되어 상기 응축수배관(560)을 따라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에서의 응축수 유동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31은 상기 하모터지지대(670)에 의해 상기 하부모터(660)가 지지되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하부모터(660)의 일부는 상기 모터관통공(678)을 통해 전방으로 일정 부분 돌출되며, 상기 베이스체결부(674)는 상기 베이스팬(500)의 모터지지부(588)에 체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 이, 상기 하모터지지대(670)의 본체판(672)은 상기 하부에어가이드(620)에 밀착 고정되어 있으며, 상단의 에어가이드체결부(676)는 스크류(screw)에 의해 상기 하부에어가이드(620)에 고정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에서는, 팬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하우징홈이 오리피스와 에어가이드의 하단에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베이스팬에는 이러한 하우징홈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하우징베이스홈이 하측으로 함몰 형성된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부품이 차지하는 공간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으므로, 제품의 소형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에어가이드에 체결되는 모터를 이중적으로 지지하는 모터지지대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이러한 모터지지대에 의해 모터와 에어가이드 및 베이스팬이 서로 체결됨으로써, 모터의 유격이 방지되고 제품이 보다 견고해지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팬에 전방프레임은 물론, 메인드레인팬도 간접적으로 체결되므로, 전체적으로 제품이 견고해진다. 따라서,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하부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팬과;
    상기 베이스팬의 일측에 구비되어,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송풍유닛과;
    팬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팬의 상측에는,
    상기 모터를 지지하는 모터지지대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팬에는,
    상기 송풍유닛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하우징베이스홈이 하측으로 함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지지대는,
    상기 에어가이드의 일면에 밀착되는 본체판과;
    상기 본체판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팬에 밀착 고정되는 베이스체결부와;
    상기 본체판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에어가이드에 체결되는 에어가이드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팬의 좌측단에는,
    상기 베이스체결부가 고정되는 모터지지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팬의 모서리에는,
    상기 메인드레인팬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앵글의 일단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팬의 일단에는,
    상기 메인드레인팬을 지지하는 브레이스의 일단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팬은, 상기 전방프레임과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팬의 양 측면에는,
    상기 전방프레임의 측면 하단부와 체결되는 프레임고정부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060109168A 2006-11-06 2006-11-06 공기조화기 KR101316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168A KR101316427B1 (ko) 2006-11-06 2006-11-06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168A KR101316427B1 (ko) 2006-11-06 2006-11-06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070A true KR20080041070A (ko) 2008-05-09
KR101316427B1 KR101316427B1 (ko) 2013-10-08

Family

ID=39648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9168A KR101316427B1 (ko) 2006-11-06 2006-11-06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64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89343A (zh) * 2014-07-07 2014-10-08 南通江南制冷设备有限公司 移动式工业冷风机
CN104566878A (zh) * 2014-12-31 2015-04-29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净化器升降头结构及空气净化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1707Y1 (ko) 1997-09-24 2000-05-15 구자홍 일체형공기조화기
KR20020009839A (ko) * 2000-07-27 2002-02-02 구자홍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모터 장착구조
KR20030000214A (ko) * 2001-06-22 2003-01-06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공기조화기의 모터 장착구조
KR100547689B1 (ko) 2003-11-18 2006-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팬모터 고정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89343A (zh) * 2014-07-07 2014-10-08 南通江南制冷设备有限公司 移动式工业冷风机
CN104566878A (zh) * 2014-12-31 2015-04-29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净化器升降头结构及空气净化器
CN104566878B (zh) * 2014-12-31 2017-07-04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净化器升降头结构及空气净化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6427B1 (ko) 2013-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41072A (ko) 공기조화기
EP1918657B1 (en) Air conditioner
EP1876396B1 (en) Air conditioner
KR20080041065A (ko) 공기조화기
CN100561059C (zh) 空调器
KR20080041066A (ko) 공기조화기
EP1876399B1 (en) Air conditioner
KR101235930B1 (ko) 공기조화기
EP1876397A2 (en) Air conditioner with condensate collection via drain pans and evaporative cooling of heat exchanger
KR20080075258A (ko) 공기조화기
KR20080041071A (ko) 공기조화기
KR20080041070A (ko) 공기조화기
KR20080041062A (ko) 공기조화기
KR20080041067A (ko) 공기조화기
KR20080041069A (ko) 공기조화기
KR20080070140A (ko) 이동식 공기조화기
KR20080041068A (ko) 공기조화기
KR20090010420A (ko) 공기조화기의 배기안내수단
KR20080075259A (ko) 이동식 공기조화기
KR101314915B1 (ko) 공기조화기
KR20080041060A (ko) 공기조화기
KR101308339B1 (ko) 공기조화기
KR20080041063A (ko) 공기조화기
KR20080041064A (ko) 공기조화기
KR20080038729A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