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0826A -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개선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개선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0826A
KR20080040826A KR1020060108654A KR20060108654A KR20080040826A KR 20080040826 A KR20080040826 A KR 20080040826A KR 1020060108654 A KR1020060108654 A KR 1020060108654A KR 20060108654 A KR20060108654 A KR 20060108654A KR 20080040826 A KR20080040826 A KR 20080040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network
parameter
data transmiss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8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5923B1 (ko
Inventor
배종철
김순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8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5923B1/ko
Priority to US11/780,780 priority patent/US8031624B2/en
Publication of KR20080040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0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5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5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04W8/245Transfer of terminal data from a network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개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는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개선 시스템은, 이동통신 망으로부터 데이터 전송 환경과 관련된 파라메터를 수신하고 상기 파라메터에 기반한 데이터 통신채널을 상기 이동통신 망과 형성하는 무선주파수부; 상기 무선주파수부가 송수신하는 파라메터의 부호화, 복호화, 변조 및 복조를 제어하고, 상기 파라메터에 포함된 정보를 추출하는 데이터 처리부; 상기 데이터 통신 채널 형성에 필요한 루틴을 저장하고 상기 파라메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무선주파수부, 상기 데이터 처리부, 상기 메모리 간 신호흐름을 제어하고, 상기 파라메터에 따라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환경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데이터 전송, 윈도우, 메시지 세그먼트 사이즈, TCP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개선 시스템 및 방법{ENHANCED DATA TRANSPORT SYSTEM FOR MOBILE PHONE AND METHOD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이동통신 망의 구성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파라메터 값의 일예를 나타낸 화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핸드오프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핸드오프 시 표시부에 표시되는 파라메터 값의 일예를 나타낸 화면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시스템 간 신호 흐름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개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망의 특성에 맞도록 데이터 패킷의 사이즈를 변환함으로써, 데이터 에러율 및 전송율을 개선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개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정보는 전송 및 수신 통신 장치와 통신 네트워크간에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송된다. 이러한 무선 인터페이스를 정의하는 것은 프로토콜들이며, 송신단과 수신단은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여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게 된다. 상술한 프로토콜은 망의 성격 및 망을 구성하는 장비의 특성, 송신단과 수신단의 기기 특성과 환경 특성 및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특성 등 다양한 요소의 영향에 따라 다양한 프로토콜이 적용된다. 특히, 1990년 이후 웹으로 인해 인터넷 사용이 크게 증가하면서 인터넷 트래픽도 크게 늘어 났는데, 인터넷 트래픽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Web, telnet, ftp 등의 응용 프로그램 트래픽은 모두 전송 제어 프로토콜(Transport Control Protocol : TCP)을 이용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인터넷 트래픽의 80% 이상을 TCP 트래픽이 차지하고 있다.
TCP는 IP(Internet Protocol)위에서 동작하면서 신뢰성 있는 순차적 데이터 전송(reliable in-order data delivery)을 보장해주는 프로토콜이다. TCP는 패킷을 보낼 때 슬라이딩 윈도우(sliding window)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한 패 킷을 전송한 뒤 그 패킷에 해당하는 ACK가 도착하지 않더라도 윈도우(window)의 크기에 따라 후속 패킷을 연속해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윈도우의 크기는 송신측(sender)에서 정하는 밀집 윈도우(congestion window)와 수신측(receiver)에서 ACK를 통해 전송되는 통지 윈도우(advertise window)를 가지고 정해진다. 상기 통지 윈도우(advertise window)는 수신측의 버퍼 공간에 의해 좌우되며, 실제 네트워크에 적절한 양 만큼만 데이터를 밀어 넣게 만드는 밀집 제어(congestion control)는 송신측의 밀집 윈도우(congestion window)를 통해 이루어 진다.
상술한 TCP는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망의 특성에 따라 윈도우 사이즈를 일정하게 고정시켜 사용하게 된다. 즉, 종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어떠한 망을 사용하더라도, 기 설정된 윈도우 사이즈에 따라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게 된다. 이러한 특성은 망의 특성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효율적이지 못한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현재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용되고 있는 망은 IS-95A, IS-95B, CDMA(Code Divsion Multiple Access) 1x, CDMA 1x EVDO(Evolution Data Optimized), WCDMA(Wideband CDMA), GSM, GPRS 등이며, 상술한 각 망을 통하여 데이터 패킷들이 이동하게 된다. 그런데, 상술한 망들은 망의 특성 및 망을 구성하는 장비의 특성 등이 서로 달라서, 이동할 수 있는 패킷의 크기에 차이가 다르다. 즉, CDMA 1x 이전 개발 보급된 망들과 CDMA 1x EVDO 이후 개발 보급된 망들은 휴대 단말기와 송수신할 수 있는 적절한 데이터 패킷의 크기가 서로 상이하다.
한편, 현재 적용되고 있는 휴대 단말기는 망의 특성에 관계없이 휴대 단말기 내부에 기 설정된 데이터 전송 환경에 따라, 데이터 패킷의 송수신 요청을 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데이터 통신은 망의 특성에 관계없이 일률적인 크기만을 지정하여 송수신하게 됨으로, 고속이며 양이 큰 데이터 패킷이 저속 망을 통과하는 경우, 데이터의 손실이 발생하게 되며, 저속이며 양이 적은 데이터 패킷이 고속 망을 통과하는 경우에는 망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환경을 망의 특성 및 환경 여건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보다 개선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개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개선 시스템은, 이동통신 망과 데이터 통신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이동통신 망으로부터 데이터 전송 환경과 관련된 파라메터를 수신하는 무선주파수부; 상기 무선주파수부가 송수신하는 파라메터의 부호화, 복호화, 변조 및 복조를 제어하고, 상기 파라메터에 포함된 정보를 추출하는 데이터 처리부; 상기 데이터 통신 채널 형성에 필요한 루틴을 저장하고 상기 파라메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무선주파수부, 상기 데이터 처리부, 상기 메모리 간 신호흐름을 제어하고, 상기 파라메터에 따라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환경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이동통신 망의 데이터 전송 환경과 관련된 파라메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파라메터에 따라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데이터 전송 환경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망과 데이터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서빙 이동통신 망의 데이터 전송 환경과 관련된 제 1 파라메터에 기반한 제 1 데이터 통신채널을 유지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서빙 이동통신 망으로부터 타겟 이동통신 망으로 핸드오프하는 단계; 상기 타겟 이동통신 망이 상기 서빙 이동통신 망과 동일한 종류의 망인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타겟 이동통신 망이 상기 서빙 이동통신 망과 다른 망일 경우, 상기 타겟 이동통신 망의 데이터 전송 환경과 관련된 제 2 파라메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파라메터에 따라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환경을 재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재설정된 데이터 전송 환경에 따라 상기 타겟 이동통신 망과 새로운 제 2 데이터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 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휴대 단말기를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휴대 단말기는 화상 통화가 가능한 단말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 디지털 방송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및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GSM/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 이하 GPRS) 단말기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이동통신 망은 경우에 따라 제 1 이동통신 망 및 서빙 이동통신 망으로서 명명하며, 상기 이동통신 망과 구별되는 망은 제 2 이동통신 망 및 타겟 이동통신 망으로서 명명한다. 특히, 서빙 이동통신 망은 휴대 단말기가 핸드오프 하기 이전에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망이며, 타겟 이동통신 망은 상기 휴대 단말기가 핸드오프를 완료하고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망을 의미한다. 이를 기반으로, 시스템 파라메터는 상기 이동통신 망, 제 1 이동통신 망, 서빙 이동통신 망으로부터 휴대 단말기에 전송되는 파라메터이며, 제 2 시스템 파라메터는 상기 제 2 이동통신 망 및 타겟 이동통신 망으로부터 휴대 단말기에 전송되는 파라메터이다. 그리고, TCP 파라메터는 상기 시스템 파라메터로부터 추출되는 파라메터이며, 제 2 TCP 파라메터는 상기 제 2 시스템 파라메터로부터 추출되는 파라메터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휴대 단말기와 이동통신 망 간에 프로토콜을 TCP(Transport Control Protocol)에 대하여 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개선 시스템은 TCP 뿐만 아니라, 윈도우 사이즈 및 메시지의 크기를 정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다양한 프로토콜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동통신 망과 휴대 단말기 간의 데이터 전송 환경을 결정하는 인자들 예를 들면, 윈도우 사이즈, 메시지 세그먼트 사이즈 등을 기반으로 상기 이동통신 망이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환경을 상기 휴대 단말기가 적응적으로 맞추어 데이터 전송을 실시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데이터 전송 환경에 포함되는 파라메터는 이동통신 망과 휴대 단말기 간에 데이터 전송 환경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에서 조절 가능한 파라메터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적용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휴대 단말기의 수신측면에서 주로 설명하기로 하나, 휴대 단말기의 송신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즉, 휴대 단말기의 수신 윈도우 사이즈 뿐만 아니라, 휴대 단말기의 송신 윈도우 사이즈도 이동통신 망의 특성에 대응되도록 수정하여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환경을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동통신 망에서 전송하는 시스템 파라메터 중 TCP 파라메터를 추출하기 위하여 Packet Zone ID를 확인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상기 이동통신 망의 특성의 변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시스템 파라메터는 상술한 Packet Zone ID 영역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동통신 망의 특성에 관련된 정보를 나타내는 파라메터로 해석되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개선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 개선 시스템은 이동통신 망(100), 이동통신 망(100)과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휴대 단말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개선 시스템은 상기 휴대 단말기(200)가 상기 이동통신 망(100)으로부터 전송되는 망의 종류 및 특성에 따른 데이터 전송 환경을 나타내는 데이터 예를 들면 시스템 파라메터(Sys_Param) 중 TCP 파라메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TCP 파라메터 중 윈도우 사이즈를 상기 이동 통신 망(100)에서 처리할 수 있는 크기로 인식하여, 상기 윈도우 사이즈를 상기 휴대 단말기(200)의 윈도우 사이즈에 적용한 후, 이동통신 망(100)과 데이터 통신채널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TCP 파라메터는 상기 이동통신 망(100)이 전송하는 시스템 파라메터(System Parameter)의 패킷 존 ID(Packet Zone ID)를 참조하여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TCP 헤더 중 윈도우 사이즈(Window Size) 뿐만 아니라, TCP 헤더의 옵션에 포함되는 메시지 크기(Message Segment Size)를 조절하여 휴대 단말기(200)의 데이터 전송 환경을 변경할 수 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윈도우 사이즈 및 메시지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통신 망(100)의 특성에 맞도록 변경시켜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을 실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망(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망(100)은 IS-95A, IS-95B, IMT-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2000 1x, CDMA 2000 1x EVDO(Evolustion Density Optimized), WCDMA(Wideband CDMA), GSM/GPRS(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General Packet Radio System),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등 다수개의 망에 단일 또는 복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200)와 이동통신 망(100) 간에 형성되는 채널은 다양한 통식 방식 예를 들면, 부호 분할 다중 접속(CDMA, Code Division Multi Access),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DMA, Frequency Division Multi Access), 시간 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 Access),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 Access), 휴대 인터넷(Portable Internet) 예컨대, 무선 광대역 인터넷(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및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 Access) 등의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하여 채널을 형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현재 가장 널리 보급되어 있는 통신 방식으로 CDMA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채널과, 현재 확장되고 있는 휴대 인터넷 방식에 의한 통신채널 및 CDMA 및 휴대 인터넷의 조합된 방식에 의한 통신채널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CDMA 망을 대표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동통신 망(100)은 휴대 단말기(200)에 시스템 파라메터(Sys_Param)를 전송하며, 이때, 시스템 파라메터(Sys_Param)는 송신 윈도우 사이즈, 수신 윈도우 사이즈 및 메시지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망 특성에 관련된 인자를 포함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이동통신 망(100)은 바람직하게는, 기지국(BS, Base Station)(110), 기지국 제어기(BSC, Base Station controller)(120), 교환기(MSC, Mobile Switching Center)(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지국(110)은 상기 휴대 단말기(200)와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음성 및 데이터 등의 송수신을 처리한다. 이러한 기지국(110)은 기저대역 신호처리, 유무선 변환 및 무선 신호의 송수신 등을 수행하며, 상기 휴대 단말기(20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네트워크(Network)의 종단 장치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120)는 상기 기지국(110)과 상기 교환기(13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기지국(110)을 관리 및 제어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120)는 상기 휴대 단말기(200)에 대한 무선채널 할당 및 해제하는 기능과, 상기 휴대 단말기(200)와 상기 기지국 간의 송신출력을 제어하는 기능과, 상기 기지국(110)에 대한 운용 및 유지보수 기능, 상기 기지국(110)에 의해 형성되는 셀(Cell)들 간의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 수행 및 핸드오프 결정 기능 등을 포함한다.
상기 교환기(130)는 상기 기지국 제어기(120)와 연결되어 이동통신 서비스의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장치로서, 유선통신 기능과 이동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유무선 복합 디지털 교환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교환기(130)는 기본 및 부가 서비스 처리 기능과, 가입자의 착발신 호처리 기능과, 위치등록 절차 및 핸드오프 절차 처리 기능 및 기존 네트워크와 타 네트워크의 연동 기능 등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교환기(130)는 현재 망의 특성 즉, 망의 송수신 윈도우 사이즈, 송수신 메시지 크기 등을 포함하는 TCP 파라메터가 포함된 시스템 파라메터(Sys_Param)를 작성하고, 이를 상기 기지국(110)을 거쳐 상기 휴대 단말기(200)에 전송한다. 이렇게 전송된 시스템 파라메터(Sys_Param)는 휴대 단말기(200)의 윈도우 사이즈 및 메시지 크기를 정의하는 기준이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2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200)는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이하 'RF'라 칭하기로 한다)부(210), 데이터 처리부(220), 오디오 처리부(230), 키입력부(240), 메모리(250), 표시부(270) 및 제어부(26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RF부(210)는 휴대전화 통신,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또는 MMS 통신 및 데이터 통신 등과 관련한 일련의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RF부(2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부 등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RF부(210)는 상기 이동통신 망(100)과 이동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이동통신 채널을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 망(100)의 망 특성을 나타내는 시스템 파라메터(Sys_Param)를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RF부(210)는 상기 시스템 파라메터(Sys_Param)에서 정하는 수신 윈도우 사이즈와 메시지 세그먼트 크기를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데이터 패킷 요청시 수신 윈도우 사이즈 및 메시지 세그먼트 크기를 설정하여 상기 이동통신 망(100)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통신 채널은 다양한 통식 방식 예를 들면, 부호 분할 다중 접속(CDMA, Code Division Multi Access),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DMA, Frequency Division Multi Access), 시간 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 Access),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 Access), 휴대 인터넷(Portable Internet) 예컨대, 무선 광대역 인터넷(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및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 Access) 등의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하여 채널을 형성할 수 있으며, CDMA 및 휴대 인터넷의 조합된 방식에 의한 통신채널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220)는 상기 RF부(210)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 예컨대, 상기 이동통신 망(100)이 전송하는 신호에 대한 부호화 및 변조를 수행하는 수단, 상기 RF부(210)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에 대한 복조 및 복호화를 수행하는 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데이터 처리부(220)는 상기 전송 신호 중 시스템 파라메터(Sys_Param)를 추출하고, 이 시스템 파라메터(Sys_Param)에 포함된 정보 예를 들면 TCP 파라메터(Tcp_Param)를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230)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220)가 복호한 신호 또는 메모리(250)에 저장된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K)를 통하여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22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키입력부(240)는 휴대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기능 중 사용자가 활성화하고자 하는 기능의 선택 신호를 생성하거나, 기타 휴대 단말기(200)의 메뉴 선택 및 데이터 요청을 위한 키 신호 등을 생성하여 제어부(260)에 전달한다. 특히, 본 발명의 키입력부(240)는 상기 휴대 단말기(200)와 상기 이동통신 망(100) 간의 통신채널 형성을 위한 키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 단말기(200)는 상기 이동통신 망(100)과 데이터 통신 채널을 형성하기 위해서 데이터 접속을 위한 별도의 키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260)에 전달하고, 제어부(260)는 상기 키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통신 망(100)과의 데이터 통신 채널 형성을 위한 신호 송수 신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메모리(250)는 이동통신 망(100)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또는 반 영구적으로 저장하며, 사용자에 의한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러한 상기 메모리(250)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휴대 단말기(200)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모듈들 및 상기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에 필요한 프로그램 모듈들을 저장할 수 있다. 즉,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TCP/IP 통신 채널 형성을 위한 TCP/IP 모듈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200)가 GSM/GPRS 기반의 단말기인 경우, 무선 링크 제어/매체 엑세스 제어(Radio Link Control/Media Access Control) 유닛, 사용자 데이터 전달을 위한 서브 네트워크 의존성 컨버전스 프로토콜(Subnetwork Dependent Convergence Protocol, SNDCP) 유닛, GPRS 이동성 관리(GPRS Mobility Management, GMM) 유닛 및 제어부(260)로 하여금 소프트웨어 루틴들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계층들 및 논리 링크 제어(Logical Link Control, LLC) 유닛을 저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200)의 특성에 따라, 해당 통신채널 형성에 필요한 프로토콜과 그에 대응하는 루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 프로그램 모듈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 및 사용자 설정 정보들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파라메터(Sys_Param)에 포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스템 파라메터(Sys_Param)는 해당 망의 특성 즉, 망의 종류, 망을 구성하는 장비, 망의 현재 접속률 등을 고려하여 달라질 수 있으므로 임시 저장 후, 해당 이동통신 망(100)으로부터 주기적 또는 요청에 따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270)는 상기 휴대 단말기(200)의 사용에 따른 기능화면 및 메뉴화면 등을 표시한다. 특히, 상기 표시부(270)는 상기 휴대 단말기(200)가 상기 이동통신 망(100)과 데이터 통신채널을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이동통신 망(100)으로부터 수신한 시스템 파라메터(Sys_Param)를 기반으로 이동통신 망(100)의 특성 예를 들면, 망의 종류, 망을 이용할 경우 적용되는 윈도우 사이즈 및 메시지 세그먼트 크기, 현재 망의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60)는 휴대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상기한 데이터 처리부(220), 오디오 처리부, 키입력부(240), 메모리(250), 표시부(270) 간의 신호흐름을 제어하고, 상기 키입력부(240)로부터 입력되는 키 신호에 대응하여 생성되거나 관리되는 부가기능 또는 사용자 데이터 등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6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200)의 데이터 전송 설정에 대한 자동 변환 기능을 위한 일련의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상기 RF부(210) 및 데이터 처리부(220)를 통하여 수신한 시스템 파라메터(Sys_Param)로부터 TCP 파라메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TCP 파라메터 중 윈도우 사이즈 및 메시지 세그먼트 크기를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60)는 상기 이동통신 망(100)과 형성되는 데이터 통신채널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사이즈 및 메시지 세그먼트 크기에 대응하는 데이터 전송 설정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상기 휴 대 단말기(200)가 수신하게 되는 수신 윈도우 사이즈 및 메시지 세그먼트 크기는 상기 이동통신 망(100)이 전송한 TCP 파라메터에 기재된 윈도우 사이즈 및 메시지 세그먼트 크기와 매치되게 되어, 상기 이동통신 망(100)과 원활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260)는 상기 휴대 단말기(200)의 핸드오프 시 새로운 데이터 전송 환경 설정에 대한 자동 변환 기능에 필요한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제어부(260)는 현재 유지되는 데이터 통신 채널에 설정된 윈도우 사이즈 및 메시지 세그먼트 크기를 핸드오프 후 접속되는 이동통신 망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이동통신 망(100)에서 제 2 이동통신 망(101)으로 이동하는 휴대 단말기(200)가 있다고 가정할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200)의 제어부(260)는 상기 제 1 이동통신 망(100)으로부터 제 1 시스템 파라메터(Sys_Param)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 1 시스템 파라메터(Sys_Param)에 따라 제 1 윈도우 사이즈 및 제 1 메시지 크기가 적용되는 데이터 통신 채널을 형성한다. 이후, 상기 휴대 단말기(200)가 이동을 실시하여 상기 제 2 이동통신 망(101)으로 이동하게 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200)의 제어부(260)는 상기 제 2 이동통신 망(101)으로부터 제 2 시스템 파라메터(Sys_Param2)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 2 시스템 파라메터(Sys_Param2)를 기반으로 제 2 윈도우 사이즈 및 제 2 메시지 세그먼트 크기에 따라 데이터 통신 채널을 형성하게 된다. 즉, 제어부(260)는 휴대 단말기(200)의 핸드 오프시, 새롭게 접속되는 이동통신 망(100)과의 새로운 윈도우 사이즈 및 메시지 세그먼트 크기에 따라 데이터 통신채널을 형성하고 이 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2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망(100)의 이동에 따른 망의 종류 변경, 윈도우 사이즈 변경, 메시지 세그먼트 크기 변경 등과 관련한 정보를 표시부(27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휴대 단말기(200)와 이동통신 망(100)의 각 구성과 위치 및 역할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개선 방법에 대하여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개선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시스템 간 신호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 개선 방법은 휴대 단말기(200) 이동통신 망(100)으로부터 시스템 파라메터(Sys_Param)를 수신할 경우(S101), 제어부(260)가 상기 시스템 파라메터(Sys_Param)로부터 TCP 파라메터(Tcp_Param)를 추출한다(S102).
상기 S102 단계에서, 제어부(260)는 상기 시스템 파라메터(Sys_Param)의 패킷 존 아이디(Packet Zone ID)의 영역에 기재된 TCP 파라메터(Tcp_Param)를 추출하는 데이터 처리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260)는 상기 TCP 파라메터(Tcp_Param)에 포함된 윈도우 사이즈 및 메시지 세그먼트 크기를 확인한다(S103).
상기 S103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260)는 TCP 파라메터(Tcp_Param)에 포함된 정보 중 TCP 헤더의 정보를 추출하고, 이 중에 윈도우 사이즈를 정의하는 영역 및 TCP 옵션을 정의 영역을 확인하고, 해당 윈도우 사이즈 및 TCP 옵션에 포함된 메시지 크기 즉, 메시지 세그먼트 사이즈를 확인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260)가 확인하는 윈도우 사이즈 및 메시지 세그먼트 크기는 상기 이동통신 망(100)이 원활하게 송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의 전송과 관련된 사이즈 및 크기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260)는 상기 휴대 단말기(200)의 데이터 전송 환경을 정의하는 인자들 예를 들면, 윈도우 사이즈 및 메시지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이동통신 망(100)에서 전송한 시스템 파라메터(Sys_Param)에 포함된 윈도우 사이즈 및 메시지 크기로 수정 설정한다(S104).
상기 S104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260)는 휴대 단말기(200)에 기 설정된 윈도우 사이즈 및 메시지 크기를 상기 이동통신 망(100)으로부터 수신한 윈도우 사이즈 및 메시지 크기로 수정한다. 이러한 수정은 상기 이동통신 망(100)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휴대 단말기(200)의 윈도우 사이즈가 16×1024 크기의 윈도우 사이즈를 가지며, 상기 이동통신 망(100)이 IS-95A 또는 IS-95B 망일 경우 적용되는 4×1024 윈도우 사이즈 지원일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200)는 이동통신 망(100)의 윈도우 사이즈에 따라 16×1024 윈도우 사이즈에서 4×1024윈도우 사이즈로 설정을 변경하게 된다. 상기 메시지 크기는 상기 이동통신 망(100)이 정하는 기준에 따라 옵션으로 설정할 수 도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260)는 상기 이동통신 망(100)과 상기 수정된 윈도우 사 이즈 및 메시지 크기를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채널을 형성한다(S105).
상기 S105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260)는 상기 수정된 윈도우 사이즈 및 메시지 크기가 적용되는 데이터 통신채널을 형성한다. 즉, 상기 이동통신 망(100)과 TCP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200)는 상기 이동통신 망(100)이 지원하는 윈도우 사이즈에 따라 데이터 패킷을 전송 또는 수신하게 된다.
한편, 상기 휴대 단말기(200)는 핸드오프(Hand-off)를 수행할 경우(S106), 타겟 이동통신 망인 제 2 이동통신 망(101)으로부터 새로운 제 2 시스템 파라메터(Sys_Param2)를 수신한다(S107).
상기 S106 단계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200)가 이동을 실시하여 서빙 기지국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망(100)으로부터 타겟 기지국을 포함하는 제 2 이동통신 망(101)으로 전환되는 핸드오프의 경우, 상기 S107 단계에서와 같이 상기 제 2 이동통신 망(101)으로부터 제 2 시스템 파라메터(Sys_Param2)를 수신하게 된다. 한편, 상기 S107 단계는 상기 제 2 이동통신 망(101)이 상기 이동통신 망(100)과 동일한 종류의 망일 경우 상기 제 2 시스템 파라메터(Sys_Param2)를 수신하지 않고, 이전 데이터 전송 환경에 따른 설정을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260)는 상기 제 2 시스템 파라메터(Sys_Param2)로부터 제 2 TCP 파라메터를 추출하고(S108), 상기 제 2 TCP 파라메터에 정의된 제 2 윈도우 사이즈 및 제 2 메시지 크기를 확인한다(S109).
상기 S109 단계에서, 상기 제 2 윈도우 사이즈 및 상기 제 2 메시지 크기는 상기 제 2 이동통신 망(101)에서 정의하는 윈도우 사이즈 및 메시지 크기로서, 상 기 이동통신 망(100)과 상기 제 2 이동통신 망(101)이 동일한 망일 경우 즉, 상기 휴대 단말기(200)가 동일한 망에서 핸드오프를 실시하는 경우 상기 윈도우 사이즈 및 상기 메시지 크기는 동일한 크기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망(100)이 동일한 망이라 하더라도, 상기 제 2 이동통신 망(101)과 상기 이동통신 망(100)이 서로 다른 환경 예를 들면, 고정 접속자 수 등에 차이가 발생할 경우, 상기 제 2 윈도우 사이즈 및 상기 제 2 메시지 크기는 상기 이동통신 망(100)에서의 윈도우 사이즈 및 메시지 크기와 달라질 수 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260)는 상기 제 2 윈도우 사이즈 및 상기 제 2 메시지 크기를 상기 휴대 단말기(200)의 데이터 통신채널 형성에 적용한다(S110).
상기 S109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260)는 상기 휴대 단말기(200)가 상기 제 2 이동통신 망(101)과 데이터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실질적인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하는 과정의 시작에 관여하여, 상기 제 2 윈도우 사이즈 및 상기 제 2 메시지 크기를 적용한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 하도록 제어한다(S109).
한편, 휴대 단말기(200)의 제어부(260)는 핸드오프 시, 이전 서빙 이동통신 망(100)의 시스템 파라메터(Sys_Param)에 포함된 값들에서 타겟 이동통신 망(101)의 시스템 파라메터(Sys_Param)로 천이되는 과정을 표시부(27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260)는 서빙 이동통신 망(100)과 타겟 이동통신 망(101)으로의 망 종류 변화, 윈도우 사이즈 변화, 메시지 크기 변화 등을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개 선 시스템 및 방법은 이동통신 망(100)의 종류, 특성 등에 따라 적절한 윈도우 사이즈 및 메시지 크기를 가지고 데이터 통신채널을 구성한 후,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하게 됨으로, 보다 원활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개선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환경을 망의 특성 및 환경 여건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보다 개선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개선 시스템 및 방법은 이동통신 망간에 발생하는 핸드오프 시에도 이동통신 망이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환경에 따라 데이터 통신 채널을 형성함으로써, 보다 적응적인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Claims (15)

  1. 이동통신 망의 전송 제어 프로토콜 기반의 데이터 전송 환경과 관련된 파라메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파라메터에 따라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데이터 전송 환경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망과 데이터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개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메터는
    상기 이동통신 망의 시스템 특성을 정의하는 시스템 파라메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개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메터는
    상기 단말기의 송신 윈도우 사이즈, 수신 윈도우 사이즈 및 메시지 세그먼트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개선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메터에 따라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파라메터에 포함된 망의 윈도우 사이즈 및 망의 메시지 세그먼트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의 윈도우 사이즈 및 메시지 세그먼트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망의 윈도우 사이즈 및 망의 메시지 세그먼트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개선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메터 값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개선 방법.
  6. 서빙 이동통신 망의 데이터 전송 환경과 관련된 제 1 파라메터에 기반한 제 1 데이터 통신채널을 유지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서빙 이동통신 망으로부터 타겟 이동통신 망으로 핸드오 프하는 단계;
    상기 타겟 이동통신 망이 상기 서빙 이동통신 망과 동일한 종류의 망인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타겟 이동통신 망이 상기 서빙 이동통신 망과 다른 망일 경우, 상기 타겟 이동통신 망의 데이터 전송 환경과 관련된 제 2 파라메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파라메터에 따라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환경을 재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재설정된 데이터 전송 환경에 따라 상기 타겟 이동통신 망과 새로운 제 2 데이터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개선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라메터 및 제 2 파라메터는
    상기 서빙 이동통신 망 및 상기 타겟 이동통신 망의 시스템 특성을 정의하는 시스템 파라메터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개선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라메터 및 제 2 파라메터는
    상기 단말기의 송신 윈도우 사이즈, 수신 윈도우 사이즈 및 메시지 세그먼트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개선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 통신채널 및 제 2 데이터 통신채널은
    전송 제어 프로토콜 통신채널 기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개선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파라메터에 따라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환경을 재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파라메터에 포함된 타겟 이동통신 망의 윈도우 사이즈 및 타겟 이동통신 망의 메시지 세그먼트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의 윈도우 사이즈 및 메시지 세그먼트 사이즈를 상기 타겟 이동통신 망의 윈도우 사이즈 및 망의 메시지 세그먼트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개선 시스템.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라메터 값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 1 파라메터에서 상기 제 2 파라메터로 천이되는 과정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개선 시스템.
  12. 이동통신 망으로부터 전송 제어 프로토콜 기반의 데이터 전송 환경과 관련된 파라메터를 수신하고, 상기 파라메터를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채널을 상기 이동통신 망과 형성하는 무선주파수부;
    상기 무선주파수부가 송수신하는 파라메터의 부호화, 복호화, 변조 및 복조를 제어하고, 상기 파라메터에 포함된 정보를 추출하는 데이터 처리부;
    상기 데이터 통신 채널 형성에 필요한 루틴을 저장하고 상기 파라메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무선주파수부, 상기 데이터 처리부, 상기 메모리 간 신호흐름을 제어하고, 상기 파라메터에 따라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환경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개선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라메터 중 윈도우 사이즈 및 메시지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환경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개선 시스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이동통신 망에서 타겟 이동통신 망으로 핸드오프 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망과 상기 타겟 이동통신 망의 종류 유사여부에 따라 상기 타겟 이동통신 망으로부터 제 2 파라메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파라메터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환경을 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개선 시스템.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메터 값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개선 시스템.
KR1020060108654A 2006-11-06 2006-11-06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개선 시스템 및 방법 KR101325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8654A KR101325923B1 (ko) 2006-11-06 2006-11-06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개선 시스템 및 방법
US11/780,780 US8031624B2 (en) 2006-11-06 2007-07-20 Enhanced data transport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8654A KR101325923B1 (ko) 2006-11-06 2006-11-06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개선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0826A true KR20080040826A (ko) 2008-05-09
KR101325923B1 KR101325923B1 (ko) 2013-11-07

Family

ID=39359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8654A KR101325923B1 (ko) 2006-11-06 2006-11-06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개선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031624B2 (ko)
KR (1) KR1013259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89532B2 (en) * 2007-12-26 2012-05-29 Nokia Corporation Mobile node, a method or handover and a computer program
JP4987052B2 (ja) * 2009-09-28 2012-07-2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端末装置及び通信方法
JP5365558B2 (ja) * 2010-03-17 2013-12-11 富士通株式会社 無線ネットワーク制御装置、無線ネットワーク制御方法及び無線ネットワーク制御システム
US9237434B2 (en) * 2011-07-13 2016-01-12 Qualcomm Incorporated Network-assisted peer discovery with network coding
TWI508498B (zh) * 2012-08-13 2015-11-11 Apple Inc 減少因連結中斷造成在無線通信裝置之封包丟失
US10432482B2 (en) * 2013-07-16 2019-10-01 Fastly, Inc. Network parameter configuration based on end user device characteristics
KR20150081603A (ko) * 2014-01-06 2015-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딩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US20150271083A1 (en) * 2014-03-24 2015-09-24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window size configuration
US9787354B2 (en) 2014-10-29 2017-10-10 FreeWave Technologies, Inc. Pre-distortion of receive signal for interference mitigation in broadband transceivers
US9819446B2 (en) * 2014-10-29 2017-11-14 FreeWave Technologies, Inc. Dynamic and flexible channel sel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149263B2 (en) 2014-10-29 2018-12-04 FreeWave Technologies, Inc. Techniques for transmitting/receiving portions of received signal to identify preamble portion and to determine signal-distorting characteristics
US10033511B2 (en) 2014-10-29 2018-07-24 FreeWave Technologies, Inc. Synchronization of co-located radios in a dynamic time division duplex system for interference mitigatio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77079B2 (en) * 1993-06-14 1997-04-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ime alignment of transmission in a down-link of a CDMA system
US6131030A (en) * 1998-08-19 2000-10-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System network and method for the transference of cell handover information
US6961559B1 (en) * 1998-12-31 2005-11-01 At&T Corp. Distributed network voice messaging for wireless centrex telephony
US6600758B1 (en) * 1999-05-28 2003-07-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 for measuring control carrier signal strength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employing discontinuous control carrier transmissions
JP3814185B2 (ja) 2000-11-13 2006-08-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基地局装置、移動通信端末装置、及びそれらを用いた無線アクセスシステム
WO2002082832A2 (en) * 2001-04-03 2002-10-17 At & T Wireless Servic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mobile station location estimation
SE523070C2 (sv) * 2001-05-21 2004-03-23 Ericsson Telefon Ab L M En metod och apparat för skattning av länkkvalitet i ett mobilt kommunikationsnätverk
JP2005012563A (ja) 2003-06-19 2005-01-13 Toyota Motor Corp 移動端末のネットワーク接続システム
KR100702457B1 (ko) * 2004-12-07 2007-04-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종망 사이의 망 전환을 지원하는 다중 모드 단말 및 그망 전환 방법
KR20060068145A (ko) * 2004-12-16 2006-06-21 주식회사 팬택 데이터 애플리케이션에 따른 tcp윈도우 사이즈를자동설정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방법
US20070197260A1 (en) * 2006-02-22 2007-08-23 Joshua Randall Interface for mobile device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031624B2 (en) 2011-10-04
US20080107079A1 (en) 2008-05-08
KR101325923B1 (ko) 201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5923B1 (ko)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개선 시스템 및 방법
US8130633B2 (en) Method for transferring data in a wireless network
KR100560849B1 (ko) Wcdma 시스템의 서비스 품질을 이용한 핸드 오버설정 방법 및 시스템
US8520584B2 (en) Data over signaling (DOS) optimization over wireless access networks
EP2175679B1 (en) Data state transition during handoff
RU2350046C2 (ru) Способ, схема сети связи, сервер сети связи, терминал и программ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выбора и изменения режимов работы для голосового соединения с коммутацией пакетов
EP1617567A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power level for communication in a wireless network
KR101122364B1 (ko) 상이한 무선망에 위치하는 이동국들간 패킷 데이터 호들을설정하기 위한 시스템과 방법
JP2007324788A (ja) 移動端末及び通信方法
KR101030890B1 (ko) 무선 통신 방법, 기지국 제어 장치 및 무선 통신 단말
US8489142B2 (en) Portable telephone and communication mode setting method
US2004008592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QoS management in a wireless mobile station
US200900673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Radio Access Technology for Communication
US7933270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ioritizing IP traffic in a wireless network based on a type-of-service identifier
US7421280B2 (en) Wireless network and wireless access terminals using enhanced SYNC—ID parameter
US20130196669A1 (en) Radio Base Station,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2004008592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ell reselection within a communications system
JP4005897B2 (ja) 移動端末および移動端末制御方法
WO2008153859A1 (en) Method for performing inter-technology handovers utilizing tunnels
CA2524082C (en) A method for transferring data in a wireless network
JP4660540B2 (ja) 非同期網と同期網との間のサービス切替のための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CN111225422B (zh) 一种代理数据的处理方法和装置
JP4864792B2 (ja) 無線通信端末の制御方法および無線通信端末
US8401555B2 (en) Receiver status message management during handoff
KR100793317B1 (ko) Dmb 서비스 시스템에서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dmb 서비스를 보조하는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