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0385A - 착탈식 행거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 - Google Patents

착탈식 행거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0385A
KR20080040385A KR1020060108285A KR20060108285A KR20080040385A KR 20080040385 A KR20080040385 A KR 20080040385A KR 1020060108285 A KR1020060108285 A KR 1020060108285A KR 20060108285 A KR20060108285 A KR 20060108285A KR 20080040385 A KR20080040385 A KR 20080040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drum
supporting bar
hanger
dr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8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60108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40385A/ko
Publication of KR20080040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03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8Detachable or door-mounted drying arrangements for wash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47G25/06Clothes hooks; Clothes racks; Garment-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림질이 요구되는 옷감을 펼쳐진 상태로 건조시킴으로써, 별도의 다림질 작업이 생략되도록 하는 착탈식 행거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행거는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물이 수납되는 드럼 내벽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길이가 가변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어 세탁물이 걸린 옷걸이가 수납되는 다수 개의 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건조기, 행거, 옷걸이, 다림질, 건조작업

Description

착탈식 행거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 {SECTIONAL HANGER AND DRYER THEREWITH}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건조기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건조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구성이 도시된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구성이 도시된 정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흡입구 및 토출구가 도시된 배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흡입유로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흡입유로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배기유로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행거가 도시된 분해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행거 장착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 캐비닛 52 : 흡입구
54 : 토출구 60 : 드럼
62 : 지지패널 62a : 관통홀부
64 : 개스킷 64a : 배출구
70 : 흡기관 72 : 흡기팬
74 : 히터 80 : 배기관
82 : 배기팬 84 : 하우징
86 : 연결관 90 : 구동모터
92 : 제 1 회전축 94 : 제 2 회전축
96 : 벨트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림질이 요구되는 옷감을 펼쳐진 상태로 건조시킴으로써, 별도의 다림질 작업이 생략되도록 하는 착탈식 행거 및 이 를 구비하는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건조기는 외관을 형성하고 전면에 피건조물 출입구가 형성된 케이스(2)와, 상기 케이스(2)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내부에 피건조물이 수용됨과 아울러 공기가 통과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 드럼(12)과, 상기 케이스(2)의 내부에 배치되어 흡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18)와, 상기 히터(18)를 통과한 가열 공기를 상기 드럼(12)의 후방으로 안내하는 흡기 덕트(20)와,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면서 혼탁해진 공기를 상기 케이스(2)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 수단(22)과, 상기 배기 수단(22)에 설치된 송풍팬(미도시 됨)과, 상기 드럼(12)과 송풍팬을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미도시 됨) 및 벨트(40)를 포함한다.
상기 드럼(12)은 내주면에 피건조물을 들어 올렸다가 낙하시키는 리프트(11)가 배치된다.
상기 배기 수단(22)은 상기 드럼(12) 내부의 공기가 흡입되고 필터(24)가 장착되어 이물질을 거르는 린트 덕트(25)와, 상기 린트 덕트(25)와 연통되고 상기 송풍팬(30)을 에워싸는 팬 하우징(26)과, 상기 팬 하우징(26)에 일단이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케이스(2)의 외부에 배치된 배기 덕트(27)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드럼(12)의 내부로 피건조물을 투입한 후, 도어를 닫고 건조기를 작동시키면, 모터가 구동됨에 따라 상기 드럼(12) 및 송풍팬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히터(18)도 작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드럼(12)이 회전됨에 따라 드럼 내의 피건조물은 상기 리프트(11)에 의해 들어올려졌다가 낙하된다. 그리고 외부의 공기는 상기 송풍팬의 회전시 발생된 송풍력에 의해 상기 히터(18)의 내부로 흡입되면서 고온 저습 공기로 가열되고, 이후 상기 흡기 덕트(20)를 통해 드럼(12)의 내부로 토출된다.
상기 드럼(12)의 내부로 공급된 고온 저습의 공기는 낙하되는 피건조물에 직접 접촉되면서 피건조물의 건조작용을 하고 저온 고습의 공기로 변하면서 상기 드럼(12)의 선단측으로 이동된 후, 상기 배기 덕트(27)를 통해 건조기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건조기는 옷감이 펼쳐진 상태에서 건조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장치가 없기 때문에 건조작업이 종료된 후에 구겨진 채 건조된 옷감에 다시 수분을 공급하여 다림질 작업을 행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림질이 요구되는 옷감을 펼쳐진 상태에서 건조시킴으로써, 별도의 다림질 작업 없이 구김이 없는 옷감을 이룰 수 있는 행거를 구비하는 건조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행거는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물이 수납되는 드럼 내벽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길이가 가변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어 세탁물이 걸린 옷걸이가 수납되는 다수 개의 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드럼에는 상기 지지대의 단부가 삽입되는 한 쌍의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지지대는 상기 고정부에 일측 단부가 삽입되는 제 1 지지대와, 상기 제 1 지지대에 일측 단부가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고정부에 삽입되는 제 2 지지대와, 상기 제 2 지지대와 상기 제 1 지지대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행거를 구비하는 건조기는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물이 수납되는 드럼 내벽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길이가 가변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어 세탁물이 걸린 옷걸이가 수납되는 다수 개의 고리를 포함하는 착탈식 행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행거를 구비하는 건조기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행거를 구비하는 건조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구성이 도시된 배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구성이 도시된 정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흡입구 및 토출구가 도시된 배면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흡입유로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흡입유로가 도시된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배기유로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행거가 도시된 분해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행거 장착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는 일정 공간을 이루고,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흡입구(52) 및 토출구(54)가 형성된 캐비닛(50)과, 개구부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물이 수납되는 드럼(60)과, 흡입구(52) 내측에 설치된 흡기팬(72)과, 드럼(60)과 흡기팬(72) 사이에 설치되어 흡기팬(72)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가 드럼(60) 내부로 안내되도록 하는 흡기관(70)과, 흡기관(70)과 흡기팬(72) 사이에 설치된 히터(74)와, 드럼(60)과 토출구(54) 사이에 설치되는 배기팬(82)과, 배기팬(82)과 토출구(54) 사이에 설치된 배기관(80)과, 배기팬(82)과 흡기팬(72)의 회전축이 연결된 구동모터(90)와, 드럼(60)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행거(11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로써,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구동모터(90)에 전원이 인가되면 흡기팬(72) 및 배기팬(82)이 회전되면서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지는데, 흡입구(52)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히터(74)를 통과하면서 더운 공기로 변환되어 드럼(60) 내부로 공급되고, 드럼(60) 내부에서 젖은 세탁물과 접촉되면서 세탁물을 건조시킨다.
이후에 배기팬(82)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는 배기관(80)을 따라 캐비닛(50)의 토출구(5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건조작업을 행한다.
여기서, 상기 흡입구(52) 및 토출구(54)는 캐비닛(50)의 배면 하단에 형성되는 바, 토출구(54)는 중앙에 형성되고, 흡입구(52)는 일측 모서리 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드럼(60)은 전면 및 배면이 개구된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전면이 상기 개구부에 대응되고, 관통홀부(62a)가 형성된 지지패널(62)에 배면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드럼(60)은 같이 전방측 단부와 캐비닛(50)의 개구부 사이에 개스킷(64)이 설치되고, 개스킷(64)의 하측 단부에 배출구(64a)가 형성된다.
이 배출구(64a)에는 배기팬(82) 측으로 향하는 연장관(86)이 설치되고, 상기 연장관(86)과 상기 배기관(80) 사이에 상기 배기팬(82)이 회전 가능하게 내장되는 하우징(84)이 설치된다.
흡기관(70)은 히터(74)와 대응되는 캐비닛(50)의 배면 하부로부터 관통홀 부(62a)와 대응되는 캐비닛(50)의 배면 상부까지 연장되는 통로로 이루어짐으로써, 흡기팬(72)을 따라 유입되는 공기는 히터(74)를 지나면서 일정 온도 이상의 공기로 변환되어 흡기관(70)을 따라 캐비닛(50)의 상측으로 이동되고, 관통홀부(62a)를 통해 드럼(60)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구동모터(90)와 벨트(96)로 연결된 드럼(60)이 회전되면서 더운 공기와 세탁물의 접촉면적이 증가되도록 하므로 세탁물의 건조작동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동모터(90)는 일측에 제 1 회전축(92)이 설치되고, 타측에 제 2 회전축(94)이 설치되어 제 1 회전축(92)에 상기 흡기팬(72)이 설치되고, 제 2 회전축(94)에 상기 배기팬(82)이 연결되는 양축모터로 이루어지므로 구동모터(90)에 전원이 인가되면 제 1 회전축(92) 및 제 2 회전축(94)이 동시에 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회전축(92)에는 벨트(96)가 설치되는 바, 이 벨트(96)는 드럼(60)에 체결되어 구동모터(90)에 전원이 인가되면 흡기팬(72), 배기팬(82) 및 드럼(60)이 동시에 회전되므로 하나의 모터가 구동됨으로써, 드럼(60)의 회전과 동시에 드럼 내, 외측으로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다림질 작업이 요구되는 세탁물은 옷걸이에 걸어 행거(110)에 옷걸이를 수납하면 건조작업이 이루어지는 동안 세탁물이 펼쳐진 상태를 이룸으로써, 건조작업이 종료된 후에 별도의 다림질 작업을 행하지 않아도 옷감에 주름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로 건조가 완료된다.
이러한 행거(110)는 드럼(60) 내벽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길이가 가변되는 지지대(120)와, 지지대(120)에 설치되어 세탁물이 걸린 옷걸이가 수납되는 다 수 개의 고리(130)를 포함한다.
이렇게 드럼(60) 내벽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대(120)는 드럼(60)의 내벽에 고정되는데, 드럼(60)에는 지지대(120)의 단부가 삽입되는 한 쌍의 고정부(60a)가 형성되며, 이 고정부(60a)는 오목한 홈부를 이룬다.
그리고 지지대(120)는 고정부(60a)에 일측 단부가 삽입되는 제 1 지지대(122)와, 제 1 지지대(122)에 일측 단부가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고 타측 단부는 고정부(60a)에 삽입되는 제 2 지지대(124)와, 제 2 지지대(124)와 제 1 지지대(122)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126)를 포함한다.
이로써 제 2 지지대(124)를 제 1 지지대(122) 내부로 삽입하면 탄성부재(126)가 압축되면서 지지대(120)의 길이가 짧아지므로 길이가 짧아진 지지대(120)를 고정부(60a) 사이에 지지대(120)를 위치시킨 후에 지지대(120)를 놓으면 탄성부재(126)의 복원력에 의해 제 2 지지대(124)가 제 1 지지대(122)의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고정부(60a)에 지지대의 양측 단부가 삽입된다.
이렇게 고정부(60a)의 삽입되는 지지대(120)의 양측 단부에는 각각 돌기(128)가 형성되므로 고정부(60a)의 홈부에 돌기(128)가 삽입되어 드럼(60) 내벽으로부터 지지대(12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구동모터(90)에 전원이 인가되면 제 1 회전축(92) 및 제 2 회전축(94)에 연결된 흡기팬(72), 배기팬(82) 및 드럼(60)이 회전 되는 바, 흡기팬(72)에 의해 흡입구(52)를 따라 캐비닛(50)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팬(72)의 둘레면으로 분사되어 히터(74)를 통과하면서 일정 온도 이상으로 변환되고, 히터(74)를 통과한 공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50)의 배면에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흡기관(70)을 따라 캐비닛(50)의 상측으로 이동된다.
이후에 관통홀부(62a)를 통해 드럼(6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회오리 모양으로 유동되면서 세탁물과 접촉되어 건조작업을 행하고, 드럼(60)의 개구부와 캐비닛(50) 내벽 사이에 설치된 개스킷(64)에 배출구(64a)가 형성되는 바, 이 배출구(64a)를 따라 드럼(60) 외측으로 배출되는 공기는 연결관(86)을 지나 배기팬(82)의 하우징(84)으로 유동되고, 하우징(84)에서 배기관(80)을 따라 이동되어 토출구(54)를 통해 캐비닛(50) 외측으로 배출된다.
또한 다림질 작업이 요구되는 세탁물은 옷걸이에 걸어서 지지대에 수납한 후에 건조작업을 행하면 구김 없이 건조작업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작업을 이루기 위해 제 2 지지대를 제 1 지지대 내측으로 소정량 삽입한 후에 고정부 사이에 배치시켜 지지대의 설치를 행한다.
지지대의 설치를 행한 후에 세탁물이 걸린 옷걸이를 지지대에 형성된 고리에 체결함으로써 다림질 건조작업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다림질 건조작업이 종료된 후에는 제 2 지지대를 제 1 지지대 내측으로 밀어 손쉽게 지지대의 분리를 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 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착탈식 행거를 구비하는 건조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건조기에 사용되는 착탈식 행거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착탈식 행거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행거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는 드럼 내부에 착탈 가능한 행거가 설치됨으로써, 다림질 작업이 요구되는 세탁물은 옷걸이에 걸어 행거에 수납하므로 세탁물이 펼쳐진 상태에서 건조되어 별도의 다림질 작업 없이 구김 없는 건조작업을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로써 다림질 작업이 요구되는 세탁물의 건조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물이 수납되는 드럼 내벽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길이가 가변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어 세탁물이 걸린 옷걸이가 수납되는 다수 개의 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행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에는 상기 지지대의 단부가 삽입되는 한 쌍의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행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고정부에 일측 단부가 삽입되는 제 1 지지대와, 상기 제 1 지지대에 일측 단부가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고정부에 삽입되는 제 2 지지대와, 상기 제 2 지지대와 상기 제 1 지지대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행거.
  4.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물이 수납되는 드럼 내벽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길이가 가변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어 세탁물이 걸린 옷걸이가 수납되는 다수 개의 고리를 포함하는 착탈식 행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KR1020060108285A 2006-11-03 2006-11-03 착탈식 행거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 KR200800403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8285A KR20080040385A (ko) 2006-11-03 2006-11-03 착탈식 행거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8285A KR20080040385A (ko) 2006-11-03 2006-11-03 착탈식 행거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0385A true KR20080040385A (ko) 2008-05-08

Family

ID=39648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8285A KR20080040385A (ko) 2006-11-03 2006-11-03 착탈식 행거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4038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45039B1 (en) Auxiliary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multiple trea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RU2540887C1 (ru) Сушильная и гладильная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машина
EP1854916B1 (en) Household appliance
BRPI0715351A2 (pt) mÁquina de tratamento de lavagem de roupa Íntima
KR102086508B1 (ko) 의류 건조장치
KR101455995B1 (ko) 보조 의류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의류처리장치
US20220333292A1 (en) Drying rack for a laundry treating appliance
KR100774206B1 (ko) 복합 의류 처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EP3409826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080024864A (ko) 가구형상을 갖는 세탁물 처리기
KR20120022364A (ko) 세탁장치
KR20080065755A (ko) 복합 의류 처리 장치
KR100662472B1 (ko) 스팀발생장치를 이용한 건조기
KR100751785B1 (ko) 옷걸이 착탈식 리프터가 구비되는 건조기
KR20080040385A (ko) 착탈식 행거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
KR100833867B1 (ko) 스팀건조기
RU275724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KR100809580B1 (ko) 상의 건조기
KR100669182B1 (ko) 건조기의 흡배기 순환장치
KR20160019729A (ko) 의류처리장치
KR101208531B1 (ko) 건조기
KR200399903Y1 (ko) 세탁물 건조장치
KR100857800B1 (ko) 스팀건조기
KR101183149B1 (ko) 히터를 이용한 드럼세탁기의 건조장치
KR200431764Y1 (ko) 가구형상을 갖는 세탁물 처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