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0304A - 프린지 필드 스위칭 액정 표시 소자 - Google Patents

프린지 필드 스위칭 액정 표시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0304A
KR20080040304A KR1020060108068A KR20060108068A KR20080040304A KR 20080040304 A KR20080040304 A KR 20080040304A KR 1020060108068 A KR1020060108068 A KR 1020060108068A KR 20060108068 A KR20060108068 A KR 20060108068A KR 20080040304 A KR20080040304 A KR 20080040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pixel electrode
electrode
pixel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8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희
이지연
류제우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60108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40304A/ko
Publication of KR20080040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03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02F1/134372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for fringe field switching [FFS] where the common electrode is not patterne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12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electrode
    • G02F2201/123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electrode pixe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ome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린즈필드스위칭(FFS:Fringe-Field Switching) 모드를 이용한 액정표시소자(LCD: Liquid Crystal Display)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러빙시 발생하는 러빙 무라 현상이나 전극 식각 후 발생하는 휘도 불균일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화소 전극을 위치별로 다르게 패턴 하여 액정을 회전시키는 전기장 방향을 위치별로 서로 다르게 형성하게 하였다. 새로운 화소 구조는 위치별 러빙 불균일이나 전기장 불균일 현상을 최소화하고 따라서 공정마진을 넓게 하는 특징이 있다.
fringe-field switching, 러빙 무라, 화소 전극 패턴, 공정 마진

Description

프린지 필드 스위칭 액정 표시 소자 {Fringe-field switching liquid crystal display}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단일 도메인 FFS 모드 액정표시소자의 단위 화소를 나타낸 평면도.
도 1c는 종래의 단일 도메인 FFS 모드 액정표시소자의 단위 화소에서 식각 불균일에 의해 나타나는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단일 도메인 FFS 모드 액정표시소자의 단위 화소를 나타낸 평면도.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단일 도메인 FFS 모드 액정표시소자의 단위 화소에서 식각 불균일에 의해 나타나는 도면.
도 3은 종래의 구조와 본 발명에 따른 구조에서 러빙 불균일에 따른 전압별 투과율 변화 그래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도메인 FFS 모드 액정표시소자의 단위 화소를 나타낸 평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단일 도메인 FFS 모드 액정표시소자의 수직 패턴된 단위 화소를 나타낸 평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도메인 FFS 모드 액정표시소자의 수 직 패턴된 단위 화소를 나타낸 평면도.
본 발명은 FFS 모드 LCD 화소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존의 동일한 패턴 형태의 전극 구조를 위치별로 패턴된 전극 길이를 달리하여 종래 구조 보다 러빙(rubbing)시 발생하는 러빙 무라 현상이나 전극 식각시 발생할 수 있는 전극 폭 변화에 따른 무라를 개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모니터, 노트북, 핸드폰 등 중·소형 디스플레이에서 가장 많이 응용되고 있는 액정 모드는 TN(Twisted Nematic) 모드이다. TN 모드는 높은 광효율 뿐만 아니라 높은 수율과 넓은 공정 마진의 장점으로 인해 가장 많이 응용되고 있지만 전압 인가시 액정 분자가 한쪽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시야각이 협소한 단점을 지니고 있다. 좁은 시야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평 전계장을 이용한 IPS (In-plane switching) 모드와 FFS 모드가 개발되었다. 상기의 두 모드는 액정 분자가 기판에 평행하게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TN 모드보다 시야각이 우수하다. IPS 모드의 경우는 전극 윗부분에서 광효율이 낮고, 구동전압이 높은 단점이 있다. 그러나, FFS 모드는 강한 fringe 전계에 의해 액정 분자들이 전극 위 전 영역에서 기판에 거의 평행하게 회전하기 때문에 높은 광효율, 광시야각, 저 구동전 압 특성을 모두 지니고 있다.
도 1a는 종래의 단일 도메인 FFS 모드 액정표시소자의 단위 화소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최대 투과율을 얻기 위해 화소 전극을 기울어진 일자(
Figure 112006080559210-PAT00001
▨) 형태로 패턴하고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러빙하는 경우와, 화소 전극을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패턴하고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러빙하는 두 가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도 1a은 전자에 해당하는 것으로, 공통 전극(4)이 plane 또는 패턴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절연층(5)이 코팅된 후 화소 전극(6)이 기울어진 일자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유전율 이방성이 양인 액정의 경우 게이트 버스 라인(3)에 대해서 0°, 즉 x 축으로 러빙한다(A). 유전율 이방성이 음인 액정의 경우 y 축으로 러빙할 경우 전기장 방향에 수직으로 액정 분자가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투과율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실제 공정 상에서는 기판 표면의 단차나 러빙포의 불균일로 인해 러빙각이 ±0.1~2° 틀어져 있는 것이 가능하다.
일반적인 FFS 모드 액정표시소자의 투과율 공식은 다음과 같다.
T/T0=sin2(2φ)sin2(πdΔn/λ).............(식 1)
T: 투과율
T0: 참조(reference)광에 대한 투과율
φ: 액정 분자의 광축과 편광자의 투과축이 이루는 각
Δn: 굴절율 이방성
d: 액정층의 두께
λ: 입사되는 광 파장
구동 원리는 교차된 편광판 중 하나의 투과축을 하부 기판의 러빙 방향과 일치시키는데 이때 φ가 0°이므로 빛이 통과하지 않는다. 전압 인가시 액정이 회전되고 (9→10), 즉 φ가 커지면서 빛이 통과하고 광 투과도가 발생한다. 그러나 러빙 공정시 기판 표면의 단차, 러빙포의 불균일, 러빙공정의 부정확 등으로 인해 초기에 φ가 ±0.1~2°정도 벗어날 가능성이 존재하고 이는 초기 빛샘이 발생할 뿐 아니라 액정 방향자들의 회전 각도가 전압 인가에 따라 위치별로 의존하게 된다. 이는 디스플레이 영역에서의 위치별 투과율 불균일를 유도하는데, 이를 러빙 무라 라고 한다.
도 1b는 종래 FFS LCD의 수직 패턴된 전극 구조를 나타내는데, 러빙 무라는 도 1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화소 전극을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패턴하고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러빙하는 경우에 발생할 확률이 더 높다.
상기 도 1a과 같이 화소 전극(6)을 게이트 버스 라인(3)에 대해 일정한 각도(θ)로 기울여서 패턴하고 게이트 버스 라인(3)에 대해 0°로 러빙하는 것과는 달리, 도 1b는 화소 전극(6)을 신호선(1)과 평행하게 패턴하고, 신호선(1)에 대해 일정한 각도(θ)를 가지고 러빙을 하게 되는데, θ 각을 가지고 러빙하기 위해서는 테이블을 θ만큼 틀고, 롤 헤드 각은 0°로 셋팅한 후 직진운동을 시키거나, 또는 테이블을 0°로 셋팅하고 롤 헤드 각을 보정각을 고려하여 θ+0.1°로 셋팅 후 직진운동 시키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러빙할 경우 기판 표면의 단차 뿐만 아니라 테이블과 롤 헤드 각의 각도가 셋팅 조건에 맞지 않고 틀어지게 되면 위치별 투과율의 불균일을 일으켜 디스플레이의 화질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종래의 FFS 액정표시소자는 화소 전극을 패턴시 목표치보다 어긋나게 식각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렇게 되면 그림 1c에서 보는 것과 같이 화소 전극의 폭(8)이 w → w`, 두 화소 전극 간의 거리(7)가 l → l`로 변할 수 있다. 이는 좁은 식각 마진에 의해 발생하며 화소 전극의 폭(8)과 두 화소 전극 간의 거리(7)가 달라지기 때문에 휘도 불균일을 일으키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FFS 액정표시장치에서의 좁은 러빙 공정 마진과 전극 식각시 발생하는 전극 폭 변화에 따른 무라 불량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화소 전극의 폭(8) 및 두 화소 전극 간의 거리(7)를 위치별로 다르게 한 전극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종래 FFS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러빙 무라의 문제점과 전극 식각시 발생하는 전극 폭 변화에 따른 무라를 최소화하기 위해 화소 전극의 폭(8) 및 두 화소 전극 간의 거리(7)를 위치별로 다르게 한 전극 구조를 제안하였다.
- 실시예 1 -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2a를 참조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단일 도메인 FFS 모드 액정표시소자의 단위화소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실시예 1은 투명 유리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 위에 첫 번째 층의 공통전극(4)을 plane 또는 패턴 형태로 형성시키고 게이트 전극(3) 및 절연막 및 반도체 층(5), 신호선(1) 및 소스/드레인 층(2), 절연막 층을 형성한 후 게이트 전극(3)에 대해 화소 전극이 θ만큼 기울어진 일자 형태로 패턴 하거나 θ가 0°인 기울어지지 않은 일자 형태로 패턴 한다. 여기서 화소 전극(6)의 폭(8)을 위치별로 다르게 하고, 두 화소 전극 사이의 거리(7) 또한 위치 x에 대한 y의 함수로 두어 결과적으로는 러빙 방향(A)과 화소 전극(6)의 기울임 각(θ)이 위치별로 달라지게 하여 전기장 방향을 서로 다르게 형성한 화소 전극(6)으로 구성된다. 상판은 red, green, blue 색을 낼 수 있는 칼라 필터가 유리 또는 플라스틱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기판을 사용한다.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에 수평 액정 배향막을 코팅한 후 서로 반대 방향 또는 같은 방향으로 러빙을 한다. 액정의 러빙방향은 화소 전극의 기울임 각(θ)이 있을 경우에는 게이트 버스라인(3)에 대해 0°로 러빙하거나 , 화소전극의 기울임 각(θ)이 없을 경우에는 게이트 버스라인(3)에 대해 임의의 각을 가지고 러빙한다. 유전율 이방성이 양인 액정을 사용하는 경우 게이트 버스라인(3)에 대해 0°로 러빙하고, 유전율 이방성이 음인 액정을 사용한 경우에는 신호선(1)에 대해 0°로 러빙한다. 상하판의 셀갭은 2~6㎛이며, 액정 층의 위상지연값은 0.2~0.5㎛ 사이의 값을 가지고, 화소 전극의 폭은 2~10㎛, 두 화소 전극 사이의 거리는 2~15 ㎛ 사이에 있으며, 하부기판에 부착된 편광판의 편광축은 하부기판의 러빙방향과 일치시키고, 상부기판에 부착되는 편광판의 편광축은 상기 하부기판의 편광축과 교차하여 부착한다.
전압을 인가하면, 종래의 구조에서는 액정 분자가 한 방향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러빙포의 불균일로 특정 영역에서의 휘도가 감소하는 무라가 발생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화소 전극 구조에서는 액정 분자가 위치별로 회전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즉 화소전극의 기울임 각(θ)이 작은 영역에서는 액정 분자가 φ만큼 회전한다면, 화소전극의 기울임 각(θ)이 큰 영역에서는 액정 분자가 φ-β만큼 회전하게 되므로 특정 영역에서는 액정 분자가 더 쉽게 전기장에 반응하여 휘도가 증가하는 영향으로 인해 러빙의 불균일로 인한 무라를 방지할 수 있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2a와는 달리 화소 전극의 폭(8)은 위치에 상관없이 동일하게 형성하고, 두 화소 전극 사이의 거리(7)를 위치별로 다르게 형성한 구조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화소전극의 폭(8)과 두 화소 전극 사이의 거리(7)가 전극 위치별로 다르기 때문에 좁은 식각 마진으로 인한 투과율 불균일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도 2a 구조의 시뮬레이션 결과로 액정의 Δn=0.1, 셀갭(d)은 4㎛ 조건하에서 한 써브 픽셀에서 화소 전극 구조를 달리하였을 때, 러빙의 불균일에 따른 전압별 투과율 차이 특성을 나타낸 결과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러빙을 0°기준으로 ±1°틀어졌을 때의 투과율 차이를 비교했을 때 종래 의 구조(사각형, 원형 기호)보다 본 발명에서 제안한 구조(삼각형, 역삼각형 기호)의 투과율 차이가 더 작게 발생함을 알 수 있다.
- 실시예 2 -
본 발명의 실시예 2는 실시예 1과는 달리 시야각특성이 우수한 이중 도메인(dual-domain) 구조로 대체한 구조이다.
도 4a는 화소 전극의 폭(8)과 화소 전극 사이의 거리(7)가 위치별로 다르게 형성된 이중 도메인 FFS 액정 표시소자의 단위 화소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투명 유리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 위에 첫 번째 층의 공통전극(4)을 plane 또는 패턴 형태로 형성시키고 게이트 전극(3) 및 절연막 및 반도체 층(5), 신호선(1) 및 소스/드레인 층(2), 절연막 층을 형성한 후 화소 전극 구조가 화소 수평 방향의 중앙을 중심으로 거울 대칭 형태로 배치되어 있고 기울어진 일자 형태의 화소 전극(6)의 폭(8)과 두 화소 전극 사이의 거리(7)를 위치별로 다르게 하여 러빙 방향(A)과 화소 전극(6)의 기울임 각이 위치별로 달라지게 하여 전기장 방향을 서로 다르게 형성한 화소 전극(6)으로 구성된다. 상판은 red, green, blue 색을 낼 수 있는 칼라 필터가 유리 또는 플라스틱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기판을 사용한다.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에 수평 액정 배향막을 코팅한 후 서로 반대방향 또는 같은 방향으로 러빙을 한다. 액정의 러빙방향(A)은 유전율 이방성이 양인 액정을 사용하는 경우 게이트 버스라인(3)에 대해 0°로 러빙한다. 유전율 이방성이 음인 액정을 사용한 경우에는 신호선(1)에 대해 0°로 러빙한다. 상하판의 셀갭은 2~6㎛이며, 액정 층의 위상지연값은 0.2~0.5㎛ 사이의 값을 가지고, 화소 전극의 폭(8)은 2~10㎛, 두 화소 전극 사이의 거리(7)는 2~15㎛ 사이에 있으며, 하부기판에 부착된 편광판의 편광축은 하부기판의 러빙방향과 일치시키고, 상부기판에 부착되는 편광판의 편광축은 상기 하부기판의 편광축과 교차하여 부착한다.
화소 전극이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단위 화소에서 전기장 방향이 두 방향으로 존재하여, 액정 분자들이 한쪽은 시계 방향으로, 다른 한쪽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우수한 시야각 특성을 지니게 하고, 위치별 액정 방향자의 회전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러빙 무라에도 안정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b는 화소 전극의 폭(8)은 같고 두 화소 전극 사이의 거리(7)가 위치별로 다르게 형성된 이중 도메인 FFS 액정 표시소자의 단위 화소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 실시예 3 -
실시예 3은 실시예 1과 실시예 2에서의 화소 전극(6)의 패턴이 수평 구조를 형성한 것과는 달리 화소 전극(6)이 수직 패턴된 구조로 배치되어 있는 FFS 모드를 이용한 투과형 LCD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FFS 모드 LCD의 단위화소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첫 번째 층의 공통전극(4)이 plane 또는 패턴 형태로 형성시키고 게이트 전극(3) 및 절연막 및 반도체 층(5), 신호선(1) 및 소스/드레인 층(2), 절연막을 형성한 후 화소 전극(6)이 수직으로 패턴 되어 있고, 패턴된 폭(8)과 화소 전극 사이의 거리(7)가 위치별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다. 상판은 red, green, blue 색을 낼 수 있는 칼라 필터가 유리 또는 플라스틱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기판을 사용한다.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에 수평 액정 배향막을 코팅한 후 서로 반대 방향 또 는 같은 방향으로 러빙을 한다. 유전율 이방성이 양인 액정을 사용할 경우의 러빙방향(A)은 게이트 버스라인(3)에 대해 45°이상 90°이하로 러빙하고, 유전율 이방성이 음인 액정을 사용할 경우의 러빙방향은 1°이상 45°이하로 러빙한다. 상하판의 셀갭은 2~6㎛이며, 액정 층의 위상지연값은 0.2~0.5㎛ 사이의 값을 가지고, 화소 전극의 폭(8)은 2~10㎛, 두 화소 전극 사이의 거리(7)는 2~15㎛ 사이에 있으며, 하부기판에 부착된 편광판의 편광축은 하부기판의 러빙방향과 일치시키고, 상부기판에 부착되는 편광판의 편광축은 상기 하부기판의 편광축과 교차하여 부착한다.
도 5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FFS 모드 LCD의 단위화소를 나타낸 평면도로, 위층의 화소 전극(6)이 수직으로 패턴 되어 있되, 패턴된 폭(8)은 동일하고, 화소 전극 사이의 거리(7)만 위치별로 다르게 배치되어 있고, 밑층에 공통 전극(4)이 plane 또는 패턴된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전극 사이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절연막 및 반도체 층(5)이 존재하고 게이트 전극(3), 신호선(1) 및 소스/드레인 층(2)이 배치되어 있다.
- 실시예 4 -
실시예 4는 실시예 3과는 달리 화소 전극(6)이 수직으로 기울어지게 패턴 되어 있고 시야각 특성이 우수한 이중 도메인 구조로 배치되어 있는 FFS 모드 LCD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이중 도메인 FFS LCD의 단위 화소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 유리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 위에 첫 번째 층의 공통전극(4)은 plane 또는 패턴 형태로 형성하고 게이트 전극(3) 및 절연막 및 반도체 층(5), 신호선(1) 및 소스/드레인 층(2)이 배치되고, 화소 전극(6)이 신호선(1)에 대해 기울어진 형태로 패턴 되어 있고, 전극 구조가 거울 대칭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 때 화소 전극의 폭(8)과 화소 전극 사이의 거리(7)는 위치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어 있다.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에 수평 액정 배향막을 코팅한 후 서로 반대방향 또는 같은 방향으로 러빙을 한다. 유전율 이방성이 양인 액정을 사용할 경우의 러빙 방향(A)은 신호선에 대해 0°이고, 화소 전극(6)의 기울임 각은 1°이상 45°이하가 되도록 한다. 유전율 이방성이 음인 액정을 사용할 경우의 러빙 방향은 게이트 버스라인(3)에 대해 0°로 러빙한다. 상하판의 셀갭은 2~6㎛이며, 액정 층의 위상지연값은 0.2~0.5㎛ 사이의 값을 가지고, 화소 전극의 폭(8)은 2~10㎛, 두 화소 전극 사이의 거리(7)는 2~15㎛ 사이에 있으며, 하부기판에 부착된 편광판의 편광축은 하부기판의 러빙방향과 일치시키고, 상부기판에 부착되는 편광판의 편광축은 상기 하부기판의 편광축과 교차하여 부착한다.
도 6b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이중 도메인 FFS 모드 LCD의 단위화소를 나타낸 평면도로, 위층의 화소 전극(6)이 수직으로 패턴 되어 있되, 패턴된 폭(8)은 일정하고, 화소 전극 사이의 거리(7)만 위치별로 다르게 배치되어 있고, 전극 구조가 화소 수평 방향의 중앙을 중심으로 거울 대칭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밑층에 공통 전극(4)이 plane 또는 패턴된 형태로 배치되어 있고, 전극 사이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절연막 및 반도체 층(5)이 존재하고 게이트 전극(3), 신호선(1) 및 소스/드레인 층(2)이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FFS 액정 표시 소자에 의하면, 좁은 공정 마진으로 인해 초래되는 러빙 무라와 식각 후 발생하는 휘도 불균일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화소 전극(6)을 위치별로 다르게 패턴하여 전기장 방향이 위치별로 서로 다르게 형성하게 하여 투과율의 불균일도를 해결하고 공정마진을 넓게 하는 등 종래에 비해 화질 개선과 수율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

Claims (9)

  1. FFS 모드를 사용하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두 층의 투명 전극 구조에 있어서,
    투명 유리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하는 하부기판과;
    상기 하부기판 위에 plane 또는 패턴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공통전극과;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공통전극 위에 화소 전극이 패턴되어 있고;
    양 기판에 수평 액정 배향막을 수천 Å 이하로 코팅한 후 서로 반대방향 또는 같은 방향으로 러빙을 한 것과;
    상기 상, 하판에 셀갭이 2~6㎛ 사이가 되도록 하는 것과;
    액정의 위상지연값은 0.2~0.5㎛ 사이의 값을 갖도록 하는 것과;
    화소 전극의 폭이 2~10㎛ 사이가 되도록 하고 화소 전극 사이의 거리가 2~15㎛ 사이가 되도록 하는 것과;
    투명 전극의 두께는 2000Å 이하, 전극 사이의 절연막은 1000Å 이상이 되는 값을 갖게 하고;
    화소 전극의 기울임 각이 1° 이상 45°이하가 되게 하는 것과;
    상, 하판에 투과축이 교차된 편광판을 사용하며 두 축 중의 하나는 액정의 광축과 일치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화소 전극의 폭과 두 화소 전극 사이의 거리가 위치별로 다르게 형성하여 패턴되어 있는 Fringe-field swtiching 액정표시소자.
  2. 제 1항에 있어서,
    화소 전극의 패턴을 화소 전극 폭은 동일하고;
    두 화소 전극 사이의 거리가 위치별로 다르게 형성한 Fringe-field switching 액정표시소자
  3. 제 1항에 있어서,
    전극 구조가 화소 수평 방향의 중앙을 중심으로 거울 대칭 형태로 배치되어 있고;
    화소 전극의 폭과 두 화소 전극 사이의 거리가 위치별로 다르게 형성하여 패턴되어 있는 Fringe-field switching 액정표시소자.
  4. 제 3항에 있어서,
    화소 전극 폭은 동일하고;
    두 화소 전극 사이의 거리가 위치별로 다르게 형성하여 패턴되어 있는 Fringe-field switching 액정표시소자.
  5. 제 1항에 있어서,
    화소 전극이 게이트 버스 라인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기울임 각을 가지고 패턴되어 있는 거와는 달리 신호선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패턴하고;
    화소 전극 폭과 두 화소 전극 사이의 거리가 위치별로 다르게 형성하고;
    신호선 방향에 대해 1°이상 45°이하로 러빙되어 있는 Fringe-field switching 액 정표시소자.
  6. 제 5항에 있어서,
    화소 전극 폭은 동일하고;
    두 화소 전극 사이의 거리가 위치별로 다르게 형성하는 Fringe-field switching 액정표시소자.
  7. 제 5항에 있어서,
    신호선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패턴한 거와는 달리
    신호선 방향에 대해 1°이상 45°이하의 기울임 각을 갖도록 패턴하고;
    신호선 방향에 대해 0°로 러빙하고;
    전극 구조가 화소 수평 방향의 중앙을 중심으로 거울 대칭 형태로 배치되어 있고;
    화소 전극 폭과 두 화소 전극 사이의 거리가 위치별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는 Fringe-field switching 액정표시소자.
  8. 제 7항에 있어서,
    화소 전극 폭은 동일하고;
    두 화소 전극 사이의 거리가 위치별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는 Fringe-field switching 액정표시소자.
  9. 제 1항에 있어서,
    화소 전극이 plane 또는 패턴된 형태로 하부 기판에 존재하고;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화소 전극 위에 공통전극이 패턴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Fringe-field switching 액정표시소자.
KR1020060108068A 2006-11-03 2006-11-03 프린지 필드 스위칭 액정 표시 소자 KR200800403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8068A KR20080040304A (ko) 2006-11-03 2006-11-03 프린지 필드 스위칭 액정 표시 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8068A KR20080040304A (ko) 2006-11-03 2006-11-03 프린지 필드 스위칭 액정 표시 소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0304A true KR20080040304A (ko) 2008-05-08

Family

ID=39647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8068A KR20080040304A (ko) 2006-11-03 2006-11-03 프린지 필드 스위칭 액정 표시 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40304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8422A (ko) * 2009-07-20 2011-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기판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KR20120003769A (ko) * 2010-07-05 2012-01-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이의 제조방법
US8314914B2 (en) 2010-12-31 2012-11-20 Samsun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nd exposure mask for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WO2013159321A1 (zh) * 2012-04-26 2013-10-31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面板及其像素电极
US9581868B2 (en) 2013-12-11 2017-02-28 Japan Display Inc.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CN106502009A (zh) * 2016-09-30 2017-03-15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像素电极及液晶显示面板
US9946116B2 (en) 2011-10-07 2018-04-17 Samsun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reduced color shift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8422A (ko) * 2009-07-20 2011-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기판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KR20120003769A (ko) * 2010-07-05 2012-01-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이의 제조방법
US8314914B2 (en) 2010-12-31 2012-11-20 Samsun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nd exposure mask for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US9946116B2 (en) 2011-10-07 2018-04-17 Samsun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reduced color shift
WO2013159321A1 (zh) * 2012-04-26 2013-10-31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面板及其像素电极
US9581868B2 (en) 2013-12-11 2017-02-28 Japan Display Inc.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10216048B2 (en) 2013-12-11 2019-02-26 Japan Display Inc.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10725349B2 (en) 2013-12-11 2020-07-28 Japan Display Inc.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11163199B2 (en) 2013-12-11 2021-11-02 Japan Display Inc.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11860485B2 (en) 2013-12-11 2024-01-02 Japan Display Inc.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CN106502009A (zh) * 2016-09-30 2017-03-15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像素电极及液晶显示面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29028B2 (en) Wide-viewing angle display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for thereof
US740324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7450208B2 (en) Vertical alignment liquid crystal displays
US725981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070195251A1 (en) Systems for displaying images involving alignment liquid crystal displays
US20050280761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882390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835112B1 (ko) 프린지 필드 스위칭 액정 표시 소자
US20060061715A1 (en) Semi-transmiss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20080040304A (ko) 프린지 필드 스위칭 액정 표시 소자
JP2014215348A (ja) 液晶パネル
JP4156342B2 (ja) 液晶表示装置
JP4541129B2 (ja) 液晶表示装置
US813918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724957B1 (ko) 프린즈필드스위칭 액정표시소자
KR20100118235A (ko) 프린지 필드 스위칭 액정표시소자
KR20030037821A (ko) 수직 배향 모드 액정표시장치
JP2006208530A (ja) 液晶表示装置
JP2005189476A (ja) 液晶表示装置
JP5203062B2 (ja) 液晶表示パネル
JP2010181838A (ja) 液晶表示装置
KR20000027764A (ko) 고개구율 및 고투과율 액정 표시 장치
KR20070080129A (ko) 광학 필름 어셈블리와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JP2007199436A (ja) 液晶表示装置
JP2007052455A (ja) 液晶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REJECTION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619

Effective date: 20080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