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0300A - 전선고정 단자장치 - Google Patents

전선고정 단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0300A
KR20080040300A KR1020060108061A KR20060108061A KR20080040300A KR 20080040300 A KR20080040300 A KR 20080040300A KR 1020060108061 A KR1020060108061 A KR 1020060108061A KR 20060108061 A KR20060108061 A KR 20060108061A KR 20080040300 A KR20080040300 A KR 20080040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spring
release key
terminal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8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복
Original Assignee
김경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복 filed Critical 김경복
Priority to KR1020060108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40300A/ko
Publication of KR20080040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03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by mechanical pressure, e.g. spring force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자에 전선삽입을 고정, 해제하는 전선고정 단자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자에 전선삽입을 고정, 해제하는 스프링 및 해제키 등과 같이 삽입전선을 스프링으로 고정하고 전선을 고정한 스프링을 해제하기 위한 해제식 구조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고정 단자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내부에 단자병설하고 단자에 전선삽입 후 전선후퇴를 고정하는 스프링 및 스프링을 해제하는 해제키를 구성한 해제식 구조가 구성된 전선고정 단자장치의 구조를 개시하고, 이를 통하여 전선 삽입 후 전선후퇴 방지를 스프링으로 고정하고 전선고정을 해제하는 전선 삽입 쪽으로 해제키를 회전 스프링을 변위하고 전선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단자병설은 단자의 전선접촉 면을 스프링보다 내부 쪽으로 병설하고 해제키를 전선 삽입방향으로 회전하고 전선을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단자병설은 단자의 전선접촉 면을 스프링보다 내부 쪽으로 병설하고 외부에서 해제키를 전선 삽입방향으로 회전하고 전선을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접점접촉 및 분리하는 스위치의 복수의 단자병설은 단자의 전선접촉 면을 스프링보다 내부 쪽으로 병설하고 해제키를 전선 삽입방향으로 회전하고 전선을 분리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삽입 및 분리하는 콘센트의 복수의 단자병설은 단자의 전선접촉 면을 스프링보다 내부 쪽으로 병설하고 해제키를 전선 삽입방향으로 회전하고 전선을 분 리될 수 있다,
단자, 전선, 스프링, 회전, 해제키, 고정, 해제,SW, OUTLET, 콘센트(UOTLET)

Description

전선고정 단자장치{FX SH}
도 1은 종래의 전선고정 단자장치의 일종인 스위치에 적용한 전선고정 단자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개략 단면구성도;
도 2는 도 1의 삽입전선을 스프링으로 고정한 상태;
도 3은 도 2의 스프링 전선고정을 해제하는 해제부 삽입전선 쪽으로 회전 삽입전선을 전선고정을 해제 및 일측 전선을 분리한 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고정 단자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개략 및 해제부 별도 확대 단면구성도;
도 5는 도 4의 삽입전선을 스프링으로 고정한 상태;
도 6은 도 5의 스프링 전선고정을 해제하는 해제부 삽입전선 쪽으로 회전 삽입전선을 전선고정을 해제 및 일측 전선을 분리와 해제부 별도 확대한 상태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전선고정 단자장치 12; 몸체
14; 해제부 16; 스프링
18; 단자
본 발명은 전선고정 단자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자 등과 같이 전선의 접촉고정 및 해제를 위한 스프링 변위 및 회전하는 해제키식 구조가 병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고정 단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자(18)에 삽입의 전선고정 하는 스프링(16) 고정을 해제시키기 위하여 해제키(14)를 눌려 스프링(16)을 변위하고, 전선을 분리하는 스프링(16) 등이 이용된 것이며, 이러한 해제하기 위해서 스프링(16)을 눌려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예컨대, 삽입 전선에 변위하고, 전선을 고정 및 유지하고 고정을 해제하는 해제키를 삽입방향에서 직선변위로 스프링(16)을 변위하고 전선하는 구조를 갖추어야 한다. 이러한 기존의 전선고정 단자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그 전선을 고정하기 위하여 스프링(16)을 삽입하는 전선에 변위하고 전선을 고정하고, 전선고정을 해제하는 해제키를 삽입전선의 방향으로 회전 및 스프링(16)을 변위이어야 하는 어려움이 있으며, 이에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전선접촉 하는 단자에 스프링(16) 병설하고, 해제키를 변위 스프링 변위하고 전선을 분리하기 위한 단자 및 스프링(16)과 전선삽입방향으로 회전 전선고정을 해제하는 해제키 구조가 병설된 구조가 고안되었다. 도 1은 종래의 전선고정 단자장치의 일종인 스위치에 적용한 전선고정 단자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개략 단면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삽입전선을 스프링으로 고정한 상태이며, 도 3은 도 2의 스프링 전선고정을 해제하는 해제부 삽입전선 쪽으로 회전 삽입전선을 전선고정을 해제 및 일측 전선을 분리한 한 상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의 전선고정 단자장치의 일 예시 의 전선고정 단자장치인 스위치는 몸체(12)내부의 단자(18)에 삽입하는 전선에 스프링(16)이 변위(미도시) 및 전선(100)을 고정하고, 전선고정을 해제하는 해제키(14)를 직선변위 및 스프링(16) 변위하는 삽입전선의 방향에서 눌러 전선을 분리하는 해제키(14)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의 전선(100)삽입 및 스프링(16)이 전선을 고정한 상태이며, 도 3은 해제키(14)를 도라이버로 눌려 직선 변위 및 이와 동시에 스프링이 변위(미도시)하고 전선(100) 고정을 해제한 상태이다.
이러한 구조의 전선고정 단자장치의 동작 원리는 다음과 같다.
단자(18)에 삽입하는 전선(100)에 스프링(16)변위 및 전선을 고정하고, 전선고정을 해제하는 해제키(14)를 삽입전선의 방향에서 눌러 스프링(16)변위하고 전선을 분리한다. 이는 해제키(14)를 삽입전선의 방향에서 눌려 스프링(16)을 변위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단자(18)에 삽입하는 전선을 해제하는 해제키(14)를 삽입전선의 방향에서 눌려서 전선을 분리한다. 이는 해제키(14)를 삽입전선의 방향으로 회전 전선분리 방법에 비하여 몸체(12)를 벽체에 밀착하고 한 손으로 해제키(14)를 눌리고, 한 손으로 전선을 분리하여야 하는 비효율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해제키(14)를 삽입전선의 방향으로 회전 전선분리 방법에 비하여 몸체(12)를 벽체에 밀착하고 한손으로 해제키(14)를 눌리고, 한 손으로 전선을 분리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요구되는 불편이 있었다.
본 발명은 단자(18)에 삽입하는 전선에 스프링(16)변위하고 전선을 고정하고, 전선 고정을 해제하는 해제키(14)를 삽입전선의 방향으로 회전과 및 스프링(16) 변위하고 전선을 분리하는 해제키적 구조를 구비한 전선고정 단자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단자접촉의 전선고정을 해제하는 해제키(14)를 몸체(12) 외부에서 전선삽입 방향으로 회전하고 스프링(16)변위 및 전선을 분리하는 전선고정 단자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몸체(12 )내부에 단자 및 스프링과 해제키 병설하고, 전선고정 및 해제키로 해제시키는 해제키수단을 포함하는 전선고정 단자장치에 있어서, 전선고정 단자장치(10)의 몸체(12)내부에 단자(18);에 삽입하는 전선(100)에 변위하고 전선을 고정하는 스프링(16);과 전선고정의 스프링(16)을 변위하는 해제키(14)를 포함하고, 전선삽입에 변위하고 전선을 고정하는 스프링(16)을 변위 해제하는 해제키(14)를 삽입전선의 방향으로 회전 및 스프링(16) 변위하고 전선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고정 단자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복수의 단자병설은 단자의 전선접촉 면을 스프링보다 내부 쪽으로 병설하고 해제키를 전선 삽입방향으로 회전하고 전선을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복수의 단자병설은 단자의 전선접촉 면을 스프링보다 내부 쪽으로 병설하고 외부에서 해제키를 전선 삽입방향으로 회전하고 전선을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접점접촉 및 분리하는 스위치의 복수의 단자병설은 단자의 전선접촉 면을 스 프링보다 내부 쪽으로 병설하고 해제키를 전선 삽입방향으로 회전하고 전선을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플러그 삽입 및 분리하는 콘센트의 복수의 단자병설은 단자의 전선접촉 면을 스프링보다 내부 쪽으로 병설하고 해제키를 전선 삽입방향으로 회전하고 전선을 분리하는 해제키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조의 전선고정 단자장치의 동작 원리는 다음과 같다.
단자(18)에 삽입하는 전선(100)에 스프링(116)변위하고 전선을 고정하고, 전선고정을 해제하는 해제키(14)를 삽입전선의 방향으로 회전 및 스프링(16) 변위하고 전선을 분리한다. 이는 해제키(14)를 삽입전선의 방향으로 회전 및 스프링(16) 변위하고, 전선을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고정 단자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개략 및 해제부 별도 확대 단면구성도이며, 도 5는 도 4의 삽입 전선(100)을 스프링으로 고정한 상태이고, 도 6은 도 5의 스프링 전선고정을 해제하는 해제부(14)를 전선삽입 쪽으로 회전 전선고정을 해제 및 일측 전선분리와 해제부 별도 확대한 상태이다.
도 4 내지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고정 단자장치 및 그 변온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전선고정 단자장치는 이러한 구조의 전선고정 단자장치의 동작 원리는 다음과 같다.
단자(18)에 삽입하는 전선(100)에 스프링(16)변위하고 전선을 고정하고, 전선고정을 해제하는 해제키(14)를 삽입전선의 방향으로 회전 및 스프링(16) 변위하고 전선 을 분리한다. 이는 해제키(14)를 삽입전선의 방향으로 회전 및 스프링(16) 변위하고, 전선을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몸체(12) 내부에 복수의 단자(18), 복수의 스프링(16), 복수의 해제키(14) 병설하고, 단자(18)에 삽입하는 전선(100)에 스프링(16)변위하고 전선을 고정하고, 전선고정을 해제하는 해제키(14)를 전선삽입의 방향으로 회전 및 해제키(14)의 돌추부(14-1)로 스프링(16) 변위하고 전선을 분리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해제키(14)는 도 4의 스프링(16)을 변위하는 형상과 몸체(12)에서 회전하는 형상 형성되어 구성되며,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단자(18)에 삽입하는 전선에 스프링(16)변위(미도시)하고 전선을 고정한다, 이를 도 5의 전선고정을 해제하는 몸체(12) 외부에서 해제키(14)를 삽입전선의 방향으로 회전 및 스프링(16) 변위하고 전선을 분리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전선고정 단자장치는 단자(18)에 삽입하는 전선에 스프링(16) 변위하고 전선을 고정하며, 이를 전선고정을 해제하는 몸체(12) 외부에서 해제키(14)를 삽입전선의 방향으로 회전 및 스프링(16) 변위하고 전선을 분리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전선고정 단자장치는 단자에 전선이 스프링으로 밀착 및 고정하고, 해제키(14)의 전선삽입 방향으로 회전에 의해 전선이 분리될 수 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한 손으로 몸체(12)를 잡고 해제키(14)를 전선삽입 방향으로 회전, 전선을 분리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5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전선고정 단자장치의 해제키(14)가 더 설명된다. 도 6에 따르면, 해제키(14)에 형성한 스프링(16) 변위하는 돌출부(14-1)와 회전에 편리한 아 취부와 몸체(12) 외부하고 회전시키는 돌출부(14-2)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선고정 단자장치는 몸체(110) 내부에 단자(18), 스프링(16), 해제키(14)가 형성되며, 몸체(12)의 구멍으로 전선삽입 및 스프링(16)으로 전선고정하고, 몸체(12) 외부의 해제키(14)의 돌출부(14-2)를 전선 삽입방향으로 회전하고 이때 해제키(14)의 돌출부(14-1)가 스프링(16) 변위하는 전선을 분리할 수 있다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전선고정 단자장치에 단자(18)에 삽입하는 전선에 스프링(16) 변위하고 전선을 고정하며, 이를 전선고정을 해제하는 몸체(12) 외부에서 해제키(14)를 삽입전선의 방향으로 회전 및 스프링(16) 변위하고 전선을 분리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해제키식과 비교하여 그 사용이 간단하고 편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선고정 단자장치 내부에 단자에 전선이 스프링으로 밀착 및 고정하고, 해제키(14)의 전선삽입 방향으로 회전에 의해 전선이 분리될 수 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한 손으로 몸체(12)를 잡고 해제키(14)를 전선삽입 방향으로 회전, 전선을 분리할수 있는 효과를 낼 수 있다.

Claims (3)

  1. 단자에 전선고정의 스프링 및 해제키, 상기 단자의 전선고정 스프링을 변위 시키는 해제키수단을 포함하는 전선고정 단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선삽입 방향으로 해제키를 회전하는 해제키; 상기 해제키 회전하고 전선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고정 단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에 접점병설 및 일측에 접점병설의 접촉부품 병설하고 대응단자에 접점접촉, 해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고정 단자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자병설하고 일측단자에 온도에 변위하는 변위체 병설하고 온도에 변위체 변위하고 접점접촉을 유지하는 키를 변위하고 접점접촉을 해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고정 단자장치
KR1020060108061A 2006-11-03 2006-11-03 전선고정 단자장치 KR200800403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8061A KR20080040300A (ko) 2006-11-03 2006-11-03 전선고정 단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8061A KR20080040300A (ko) 2006-11-03 2006-11-03 전선고정 단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0300A true KR20080040300A (ko) 2008-05-08

Family

ID=39647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8061A KR20080040300A (ko) 2006-11-03 2006-11-03 전선고정 단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4030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97088B2 (ja) 開放ユニットを有するコネクタクランプ
JP2019525438A (ja) ポジティブロックレセプタクル用のクラッシュリブハウジング
JP6418183B2 (ja) ねじなし端子台の製造方法
TWI451646B (zh) 快速連結終端裝置
JP2007294467A (ja) 電気コネクタ
CN104466469B (zh) 电连接器
CN103081258A (zh) 配线装置
CN102244321B (zh) Usb连接线
US20170069980A1 (en) Electrical terminal block
JP2018107079A (ja) 端子台
TWM289548U (en) Contact extraction tool
ATE513330T1 (de) Schraubenlose anschlussrahmenklemme
PL1575136T3 (pl) Rozgałęziacz łączy kablowych
CN107425344B (zh) 连接器
KR20080040300A (ko) 전선고정 단자장치
JPH0353470A (ja) 電気コネクタ
JP2009094071A (ja) 導線用ねじなし端子
JP4728076B2 (ja) 回路遮断器
JP4481161B2 (ja) L型同軸ケーブル用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
HUP0103791A2 (en) Electric appliance switch comprising a fuse seat
JP4767056B2 (ja) プロテクタ
CN110943346B (zh) 插座结构、电源接头及该电源接头的插拔连接方法
JP2007287587A (ja) 端子装置
KR20050106726A (ko) 콘센트
CN103503245A (zh) 包括从插座枢转出的插脚的插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