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9305A - 무선통신시스템의 패킷전송과 수신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시스템의 패킷전송과 수신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9305A
KR20080039305A KR1020070109742A KR20070109742A KR20080039305A KR 20080039305 A KR20080039305 A KR 20080039305A KR 1020070109742 A KR1020070109742 A KR 1020070109742A KR 20070109742 A KR20070109742 A KR 20070109742A KR 20080039305 A KR20080039305 A KR 20080039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transmission
acknowledgment signal
signal corresponding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9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삼 시아우-시앙 지앙
Original Assignee
이노베이티브 소닉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베이티브 소닉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이노베이티브 소닉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39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93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87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무선통신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송터미널 중의 패킷 전송 방법은 전송데이터량이 낮을 때 전송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방법은 하이브리드 자동반복요청을 활성화하는 단계와; 하나의 패킷 전송을 트리거하는 단계; 및 상기 패킷의 예정된 수량에 대응되는 수신완료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상기 패킷을 중복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통신시스템의 패킷전송과 수신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acket reception and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패킷 재전송을 처리하는 방법 및 그 관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리소스를 충분히 이용하여 전송 효율을 높이는 방법 및 그 관련 장치에 관한 것이다.
3세대 이동통신 기술은 광대역 코드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의 무선액세스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는 고도의 주파수 스펙트럼 이용효율, 거리에 상관없는 커버율 및 고품질, 고속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는 동시에, 각종 상이한 QoS 서비스 요구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으며, 탄력성을 구비한 다양화된 양방향 전송 서비스를 제공함과 아울러 비교적 우수한 통신 품질을 제공하여, 통신 중단률을 효과적으로 낮추었다. 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사용자는 무선통신장치(예를 들어 핸드폰)로 실시간 영상통신, 전화 회의(Conference Call), 실시간 게임, 온라인 음악방송, 전자메일 송수신 등이 가능해졌다. 그러나 이러한 기능은 반드시 빠르고 즉각적인 전송에 의지해야 한다. 따라서 3세대 이동통신 기술에 초점을 맞추어, 종래의 기술에서는 주파수대역의 사 용효율 및 패킷 데이터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 기술(High Speed Downlink Package Access, HSDPA) 및 고속 업링크 패킷 액세스 기술(High Speed Uplink Package Access, HSUPA)을 제공하여,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의 전송 속도를 개선시켰다.
종래에는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 기술 및 고속 업링크 패킷 액세스기술에 모두 하이브리드 자동반복요청 기술(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을 사용하여, 재전송 속도를 향상시키고 전송 지연을 감소시키고 있다. HARQ 기술은 전진 에러 수정(Feed-forward Error Correction, FEC)과 자동중복요청을 결합한 기술로서, "멀티채널 중지 및 대기"(Multi-channel Stop and Wait)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다시 말해 하나의 채널마다 수신터미널이 회신하는 확인신호(ACK/NACK)를 근거로 패킷을 재전송해야할지 또는 다음 패킷을 전송해야할지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도1은 종래의 하이브리드 자동반복요청기술의 작동도로서, 도 1에서, 하나의 전송터미널 Tx는 네 개의 채널 CH1, CH2, CH3, CH4를 통하여 패킷 PKT_1, PKT_2...를 하나의 수신터미널 Rx로 발송한다. 전송터미널 Tx가 채널 CH1을 통하여 패킷 PKT_1을 수신터미널 Rx로 발송한 후, 채널 CH1은 전송을 중지함과 아울러 패킷 PKT_1에 대응하는 수신확인신호 ACK 또는 미확인신호 NACK를 기다리며, 기다리는 동시에 기타 채널은 순서대로 패킷 PKT_2, PKT_3, PKT_4를 발송함과 아울러 대응되는 확인신호를 기다리게 된다. 도 1에서 채널 CH1은 패킷 PKT_1을 발송한 후, 패킷 왕복시간 RTT(즉 패킷을 송출하여 대응되는 확인 신호를 받는 시간)가 경과된 다음, 채널 CH1은 패킷 PKT_1에 대응되는 미확인신호 NACK를 수신하여, 채널 CH1이 패킷 PKT_1을 재전송한다. 이어서, 채널 CH2가 패킷 PKT_2에 대응되는 수신확인신호 ACK를 받으면, 채널 CH2는 다음 패킷 PKT_5를 전송한다. 이런 식으로 유추하면, 하나의 채널마다 수신터미널이 회신하는 수신확인신호(ACK) 또는 미확인신호(NACK)를 근거로 패킷을 재전송할지 또는 다음 패킷을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따라서, "멀티채널 중지 및 대기" 알고리즘을 통하여, 하이브리드 자동반복요청 기술은 무선리소스를 충분히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전송효율이 향상된다. 그런데, 사격게임, 도박게임 등과 같이 전송 데이터량은 적으나 극히 짧은 전송 지연만을 필요로 하는 응용의 경우에, "멀티채널 중지 및 대기"는 무선 리소스를 충분히 이용할 수가 없고, 심지어는 원활한 게임진행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이는 도 2를 참조하기 바란다. 도 2에서는 전송터미널 Tx가 패킷 PKT_1을 수신터미널로 전송하기만 하면 되는데, 관련부호의 의미는 도 1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멀티채널 중지 및 대기" 알고리즘은 하나의 채널마다 수신터미널이 회신하는 확인신호를 근거로 패킷을 재전송할지 또는 다음 패킷을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때문에, 전송터미널은 하나의 패킷에 대응되는 미확인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기다려야만 상기 패킷을 재전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패킷의 매회 재전송은 반드시 하나의 패킷 왕복시간 RTT를 기다려야만 비로소 가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2를 예로 들면, 패킷 PKT_1의 연속 2회 전송에 모두 실패하여 패킷 PKT_1의 전송 지연에 두 배의 패킷 왕복시간(RTT)이 소요된다.
상기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별도로 확인모드(Acknowledgment Mode)에 사용되는 중복 전송 방법을 제공하여 전송의 성공률을 높이고 있다. 그 주요 운행 방식은 전송터미널이 매 회 전송할 때마다 하나의 예정 횟수를 중복하는 것이다. 동일한 방식을 하이브리드 자동반복요청 기술에 응용할 경우 역시 전송 성공률이 증가하지만, 만약 중복 전송되는 회수가 정확하게 설정되지 않으면 불필요한 전송지연이 여전히 증가하게 된다.
간단히 말하면, 전송 데이터량이 적으나 극히 짧은 전송 지연만을 필요로 하는 응용의 경우, 종래의 하이브리드 자동반복요청 기술은 무선 리소스를 충분히 이용할 수 없게 되어 전송 효율에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무선통신시스템에 사용하여 패킷 재전송을 처리하는 방법 및 그 관련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송터미널에서 패킷을 전송하는 방법을 개시하는바, 전송 데이터량이 낮을 경우 전송효율을 높이고자 한다. 이 방법은 하이브리드 자동반복요청 프로세스를 활성화하는 단계; 하나의 패킷 전송을 트리거하는 단계; 및 상기 패킷의 예정 수량에 대응하는 수신확인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상기 패킷을 중복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 사용되어, 전송 데이터량이 낮을 때 전송효율을 높이기 위한 통신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통신장치는 상기 통신장치의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제어회로; 상기 제어회로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회로를 조종하도록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시키기 위한 중앙처리장치; 및 상기 제어회로에 설치되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프로그램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그램코드에는 하이브리드 자동반복요청 프로세스를 활성화시키는 수단과; 하나의 패킷 전송을 트리거하는 수단; 및 상기 패킷의 예정 수량에 대응하는 수신확인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상기 패킷을 중복 전송하는 수단이 포함된다.
본 발명은 또한 무선통신시스템에 사용되는 수신터미널에서 패킷을 수신하는 방법을 개시하는데, 이로써 전송 데이터량이 낮을 때 전송효율을 높이고자 한다. 이 방법은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패킷을 디코딩하는 단계; 상기 패킷이 성공적으로 디코딩되었을 때, 상기 패킷에 대응되는 수신확인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및 상기 패킷이 성공적으로 디코딩되지 못했을 때, 상기 패킷에 대응되는 미확인신호를 송출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무선통신시스템에 사용되어 전송데이터량이 낮을 때 전송효율을 높이기 위한 통신장치를 개시한다. 이 통신장치는 통신장치의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제어회로; 상기 제어회로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회로를 조종하도록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시키기 위한 중앙처리장치; 및 상기 제어회로에 설치되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프로그램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그램코드에는 패킷을 수신하는 수단과; 상기 패킷을 디코딩하는 수단과; 상기 패킷이 성공적으로 디코딩되었을 때, 상기 패킷에 대응되는 수신확인신호를 송출하는 수단; 및 상기 패킷이 성공적으로 디코딩되지 못했을 때, 상기 패킷에 대응되는 미확인신호를 송출하지 않는 수단이 포함된다.
상기 내용을 종합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리소스를 충분히 이용하여 특히 전송 데이터량이 적으나 극히 짧은 전송 지연이 요구되는 응용상황에서 전송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한다. 도 3은 무선통신장치(100)의 기능 블록도이다. 간결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도 1에서는 무선통신장치(100)의 입력장치(102), 출력장치(104), 제어회로(106), 중앙처리장치(108), 메모리장치(110), 프로그램코드(112) 및 송수신기(114)만 표시하였다. 무선통신 장치 중에서 제어회로(106)는 중앙처리장치(108)를 통하여 메모리장치(11)에 저장된 프로그램코드(112)를 실행시키고, 나아가 무선통신장치(10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되며, 이는 입력장치(102)(예를 들어 키보드)를 통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출력장치(105)(예를 들어 모니터, 스피커 등)를 통하여 영상이나 음성 등 신호를 출력한다. 송수신기(114)는 무선신호를 수신하거나 발송하는데 사용되며, 수신한 신호를 제어회로(106)로 전송하거나, 혹은 제어회로(106)에서 형성된 신호를 무선전신 방식으로 출력한다. 다시 말해, 통신프로토콜의 구조로 말하면, 송수신기(114)는 제1층의 일부로 볼 수 있고, 제어회로(106)는 제2층 및 제3층의 기능을 실현하는데 사용된다. 무선통신장치(100)는 3세대 이동통신시스템에 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도 1 중 프로그램코드(112)의 설명도이다. 프로그램코드(112)는 응용프로그램층(200), 제3층 인터페이스(202) 및 제2층 인터페이스(206)를 포함하고, 제1층 인터페이스(218)와 연결된다. 제2층 인터페이스는 두 개의 서브(sub)층이 포함되는데, 각각은 무선링크제어유닛(224) 및 미디어 액세스 제어유닛(226)이다. 무선링크제어유닛(224)의 주요 기능은 각기 다른 전송품질 처리를 제공하고, 각기 다른 전송품질의 요구에 따라, 전송되는 데이터 또는 제어 명령에 대하여 분할(Segmentation), 재조합(Reassembly), 연결(Concatenation), 패딩(Padding), 재전송(Retransmission), 데이터 암호 화(Ciphering), 시퀀스 체크(Sequence Check), 중복 검사(Duplicate detection) 등의 처리를 진행하는 것이다. 미디어 액세스 제어유닛(226)은 제3층 인터페이스(무선 리소스 제어층)(202)의 무선 리소스 분배 명령에 따라, 무선링크제어유닛(224)으로부터 나온 상이한 로직 채널(Logic Channel)의 패킷을 보통, 공유 또는 전용 등 성질의 전송 채널(Transport Channel)에 대응시킴으로써, 채널 매핑(Channel Mapping), 다중화(Multiplexing), 전송포맷 선택(Transport Format Selection), 랜덤 액세스 제어(Random Access Control) 등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있다.
활용 상태에 따라서는, 만약 고속 다운링크 패킷 엑세스 기능 또는 고속 업링크 패킷 액세스 기능을 실현시키고자 할 때, 미디어 액세스 제어유닛(226)은 하이브리드 자동반복요청 프로세스를 실행시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전송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발명은 적응성 패킷 송수신 프로그램코드(220)를 제공하여 하이브리드 자동반복요청 프로세스에 사용함으로써 전송 데이터량이 낮을 때의 전송효율을 향상시키고 전송 지연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플로우(50)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플로우(50)는 무선통신시스템의 전송터미널에 사용되어 전송 데이터량이 낮을 때의 전송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는 적응성 패킷 송수신프로그램코드(220)로 컴파일링될 수 있다. 이는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500): 시작.
단계(502): 하이브리드 자동반복요청 프로세스를 활성화하는 단계.
단계(504): 패킷 전송을 트리거하는 단계.
단계(506): 상기 패킷의 예정수량에 대응되는 수신확인신호를 받을 때까지 상기 패킷을 중복 전송하는 단계.
단계(508): 종료.
플로우(50)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를 하이브리드 자동반복요청 프로세스에 활용하는 과정에서, 하나의 패킷을 중복 전송하여 상기 패킷의 예정수량에 대응하는 수신확인신호를 받은 후에야 비로소 상기 패킷의 전송이 중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패킷의 예정수량에 대응되는 수신확인신호를 수신하기 전, 하나의 전송시간 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마다 상기 패킷을 중복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예정수량은 1 또는 1보다 큰 플러스 정수일 수 있다.
따라서 플로우(50)를 통하여 전송터미널은 하나의 패킷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확인신호를 수신한 후에야 비로소 상기 패킷의 전송을 중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식으로 나아가면, 전송 데이터량이 적으면서 극히 짧은 전송 지연만을 필요로 하는 응용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리소스를 충분히 이용할 수 있어 전송효율이 향상된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도6은 플로우(50)를 근거로 하나의 패킷 PKT_1을 송출하는 설명도이다. 간단하게, 도 6의 부호와 그 의미는 도 1과 동일하도록 하였다. 그 중 TTI는 전송시간 간격을 나타낸다.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패킷 PKT_1에 대응되는 수신신호 ACK를 수신하기 전, 본 발명의 실시예는 매 전송시간 간격마다 패킷 PKT-1을 중복 전송한다. 따라서 가령 전송 과정 중 2회의 전송 실패가 있었더라도(즉 전송터미널이 두 개의 미확인신호 NACK를 수신한 경우), 패킷 PKT_1에 대응되는 수신확인신호 ACK를 수신하기 전 전송터미널은 패킷 PKT_1을 중복 전송하기 때문에, 전송터미널(전송실패가 없는 상황과 비교하여)은 두 개의 전송시간 간격 TTI만 지연될 뿐으로 즉시 PKT_1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비교하여, 종래에는 반드시 두 배의 패킷 왕복시간 RTT가 지연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특히 전송데이터량이 적으나 극히 짧은 전송지연만 필요로 하는 응용의 경우에 전송지연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다.
플로우(50)와 함께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에의 플로우(70)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플로우(70)는 플로우(50)와 함께 무선통신시스템의 수신터미널에 사용하여 전송 데이터량이 낮을 때의 전송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는 적응성 패킷 송수신 프로그램코드(220)로 컴파일될 수 있다. 이는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700): 시작.
단계(702): 하나의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단계(703): 상기 패킷을 디코딩하는 단계. 상기 패킷이 성공적으로 디코딩되었을 때 단계(706)을 실행하고, 상기 패킷의 디코딩이 실패하였을 경우 단계(708)를 실행함
단계(706): 하나의 수신확인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단계(708): 미확인신호를 송출하지 않는 단계.
플로우(70)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신된 패킷이 성공적으로 디코딩되었을 때에만 비로소 상기 패킷에 대응되는 수신확인신호를 송출한다. 바꿔 말하면, 상기 패킷이 성공적으로 디코딩되지 못하였을 경우(실패),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패킷에 대응되는 미확인신호를 송출하지 않는다. 상기 패킷에 대응되는 수신확인신호의 피송출 횟수가 하나의 예정값보다 작거나 또는 같도록 하며, 상기 예정값은 1보다 큰 값, 예를 들어, 2, 3 또는 패킷 왕복시간과 전송시간 간격이 비율에서 1을 뺀 값, 즉 (RTT/TTI)-1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패킷에 대응되는 수신확인신호의 피송출 횟수가 상기 예정값보다 클 때, 수신터미널은 더 이상 상기 패킷에 대응되는 어떠한 수신확인신호도 송출하지 않음으로써 무선 전송 리소스를 절약할 수 있다.
플로우(50) 및 플로우(70)를 통하여, 수신터미널이 해당되는 수신확인신호를 회신할 때까지 전송터미널은 하나의 패킷을 중복 송출하게 되고, 수신터미널은 상기 패킷을 수신하여 성공적으로 디코딩한 후에야 비로소 수신확인신호를 회신하게 된다. 여기서 수신확인신호의 회신 횟수는 하나의 예정값보다 작거나 또는 같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가령 무선 전송 환경이 좋지 않더라도, 특히 전송 데이터량이 적으나 극히 짧은 전송 지연만 필요로 하는 응용 상황에서도 여전히 전송터미널은 효율적으로 패킷을 수신터미널로 송출할 수 있으며, 또한 수신터미널은 리소스를 낭비하면서 미확인신호를 회신할 필요가 없다.
이상에서 설명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과 작용을 나타낸 것일 뿐,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의거하여 진행한 등가의 변경 및 추가 사항 등은 모두 본 발명이 포괄하는 기술적 범위 내에 속하게 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하이브리드 자동반복요청 기술의 운행 설명도이다.
도 3은 무선통신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 중 프로그램코드의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플로우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의 플로우를 근거로 하나의 패킷을 송출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플로우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 주요부의 설명>
100: 무선통신장치 102: 입력장치 104: 출력장치 106: 제어회로 108: 중앙처리장치 110: 메모리장치 112: 프로그램코드 114: 송수신기 200: 응용프로그램층 202: 제3층 인터페이스 206: 제2층 인터페이스 218: 제1층 인터페이스 220: 적응성 패킷 송수신 프로그램코드 224: 무선링크제어유닛 226: 미디어액세스제어유닛

Claims (20)

  1. 무선통신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송터미널에서, 전송 데이터량이 낮을 때 전송효율을 높이는데 이용되는 패킷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하이브리드 자동반복요청 프로세스를 활성화하는 단계;
    하나의 패킷 전송을 트리거하는 단계; 및
    상기 패킷의 예정수량에 대응하는 수신확인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상기 패킷을 중복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의 예정수량에 대응하는 수신확인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상기 패킷을 중복 전송하는 방법은, 상기 예정수량의 수신확인신호를 수신하기 전의 매 전송시간간격마다 상기 패킷을 중복 전송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정수량은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정수량은 1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무선통신시스템에 사용되어 전송데이터량이 낮을 때 전송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는
    상기 통신장치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제어회로;
    상기 제어회로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회로를 조종하도록 프로그램코드를 실행시키는 중앙처리장치; 및
    상기 제어회로에 설치되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프로그램코드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메모리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그램코드에는
    하이브리드 자동반복요청 프로세스를 활성화하는 수단;
    하나의 패킷 전송을 트리거하는 수단; 및
    상기 패킷의 예정수량에 대응하는 수신확인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상기 패킷을 중복전송하는 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의 예정수량에 대응하는 수신확인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상기 패킷을 중복 전송하는 방법은, 상기 예정수량의 수신확인신호를 수신하기 전의 매 전송시간간격마다 상기 패킷을 중복 전송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그 중 상기 예정수량은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그 중 상기 예정수량은 1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9. 무선통신시스템에 사용되는 수신터미널에서, 전송 데이터량이 낮을 때 전송효율을 높이기 위한 패킷 수신방법에 있어서,
    하이브리드 자동반복요청 프로세스를 활성화하는 단계;
    하나의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패킷을 디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패킷이 성공적으로 디코딩되지 못하였을 때, 상기 패킷에 대응되는 미확인신호를 송출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수신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이 성공적으로 디코딩되지 못하였을 때, 상기 패킷에 대응되는 수신확인신호를 송출하는 방법은, 상기 패킷이 성공적으로 디코딩되지 못하였고, 상기 수신확인신호의 피송출 횟수가 하나의 예정값보다 작거나 또는 같을 때, 상기 패킷에 대응되는 상기 수신확인신호를 송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수신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예정값은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수신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예정값은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수신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예정값은 하나의 패킷 왕복시간과 하나의 전송시간간격의 비율에서 1을 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수신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이 성공적으로 수신되었을 때 상기 패킷에 대응되는 수신확인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수신방법.
  15. 무선통신시스템에 사용되어, 전송데이터량이 낮을 때 전송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는
    상기 통신장치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제어회로;
    상기 제어회로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회로를 조종하도록 프로그램코드를 실행시키는 중앙처리장치; 및
    상기 제어회로에 설치되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프로그램코드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메모리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그램코드에는
    하이브리드 자동반복요청 프로세스를 활성화하는 수단;
    하나의 패킷을 수신하는 수단;
    상기 패킷을 디코딩하는 수단; 및
    상기 패킷이 성공적으로 디코딩되지 못하였을 때, 상기 패킷에 대응되는 미 확인신호를 송출하지 않는 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이 성공적으로 디코딩되지 못하였을 때, 상기 패킷에 대응되는 수신확인신호를 송출하는 방법은, 상기 패킷이 성공적으로 디코딩되지 못하였고, 상기 수신확인신호의 피송출 횟수가 하나의 예정값보다 작거나 또는 같을 때, 상기 패킷에 대응되는 상기 수신확인신호를 송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예정값은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예정값은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예정값은 하나의 패킷 왕복시간과 하나의 전송시간간격의 비율에서 1을 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이 성공적으로 수신되었을 때 상기 패킷에 대응되는 수신확인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KR1020070109742A 2006-10-31 2007-10-30 무선통신시스템의 패킷전송과 수신방법 및 장치 KR200800393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5540706P 2006-10-31 2006-10-31
US60/855,407 2006-10-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9305A true KR20080039305A (ko) 2008-05-07

Family

ID=39032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9742A KR20080039305A (ko) 2006-10-31 2007-10-30 무선통신시스템의 패킷전송과 수신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80101246A1 (ko)
EP (1) EP1919116A2 (ko)
JP (1) JP2008118648A (ko)
KR (1) KR20080039305A (ko)
CN (1) CN101174934A (ko)
TW (1) TW20082066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4888A (ko) * 2014-10-27 2017-06-30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신뢰성있는 저 레이턴시 통신을 위한 파운틴 harq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46713A1 (en) * 2007-08-16 2009-02-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non-decodable packets
US8473800B2 (en) 2009-02-11 2013-06-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ACK/NACK reporting
EP2467963B1 (en) * 2009-08-20 2017-09-20 Fujitsu Limited Introducing a delay in the transmission of a nack for a packet received employing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WO2017222582A1 (en) * 2016-06-20 2017-12-28 Intel IP Corporation Apparatuses for combining and decoding encoded block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1532A (en) * 1994-06-29 1996-01-02 General Electric Company Mobile telecommunications device and service
US7065068B2 (en) * 1999-12-29 2006-06-20 Motorola, Inc. Multi channel stop and wait ARQ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6990317B2 (en) * 2002-05-28 2006-01-24 Wireless Innovation Interference resistant wireless sensor and control system
US7277411B2 (en) * 2002-08-21 2007-10-02 D.S.P. Group Ltd.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a TDMA frequency hopping system utilizing frequency diversity
US7062283B2 (en) * 2002-11-13 2006-06-13 Manageable Networks, Inc. Cellular telephone system with multiple call paths
US7346030B2 (en) * 2003-09-26 2008-03-18 Itron, Inc. Processing gain for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in automatic data collection systems for public utility data collection
US20050276224A1 (en) * 2004-06-13 2005-12-15 Sam Shiaw-Shiang Jiang Multiple transmission communications method and device
KR101241895B1 (ko) * 2006-04-10 2013-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수의 반송파를 이용한 반복 전송 방법
US8787344B2 (en) * 2006-08-30 2014-07-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CKCH with repetition in orthogonal system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4888A (ko) * 2014-10-27 2017-06-30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신뢰성있는 저 레이턴시 통신을 위한 파운틴 harq
US11489646B2 (en) 2014-10-27 2022-11-01 Qualcomm Incorporated Fountain harq for reliable low latency commun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19116A2 (en) 2008-05-07
CN101174934A (zh) 2008-05-07
TW200820663A (en) 2008-05-01
US20080101246A1 (en) 2008-05-01
JP2008118648A (ja) 2008-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5256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패킷 재전송을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897289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972405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기능을개선하는 방법 및 장치
US2008000563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on and recovery of HARQ DTX to NACK error
TWI455515B (zh) 無線通訊系統改善混合式自動重發請求功能的方法及裝置
RU2469482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в сети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JP5372640B2 (ja) Harq機能を改善する方法及び通信装置
US2008002218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transmission error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JP2007089177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状態報告信号の伝送速度を改善する方法及び装置
KR20070114056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70121585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로컬 nack 상태를 탐지하는 방법및 장치
KR20040102218A (ko)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 물리계층 arq 를증대시키는 방법 및 장치
JP2007503746A (ja) ポイントツーマルチポイントデータ送信
US2007021166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iggering a new scheduling information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KR20080039305A (ko) 무선통신시스템의 패킷전송과 수신방법 및 장치
KR100901802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927980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패킷 삭제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20050276224A1 (en) Multiple transmission communications method and device
US921504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acket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KR20020037901A (ko) 비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의 하이브리드 에이알큐를 위한적응 코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