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8967A -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8967A
KR20080038967A KR1020060106555A KR20060106555A KR20080038967A KR 20080038967 A KR20080038967 A KR 20080038967A KR 1020060106555 A KR1020060106555 A KR 1020060106555A KR 20060106555 A KR20060106555 A KR 20060106555A KR 20080038967 A KR20080038967 A KR 20080038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s
data transmission
cell
regions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6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실
정영호
김영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6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38967A/ko
Publication of KR20080038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89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97Interference-related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21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43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4B3/00 - H04B13/00
    • H04B2201/69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 H04B2201/707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relating to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2201/70702Intercell-related asp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분할 듀플렉싱(TDD: Time Division Duplexing) 방식과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FDD: Frequency Division Duplexing) 방식을 적용한 다중 셀 구조를 갖는 통신 시스템에서 인접 셀 간의 셀간 간섭(ICI: Inter Cell Interference)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자원 할당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에 있어서, 제1통신 방식과 제2통신 방식에 상응한 제1셀에서의 데이터 전송 영역과 상기 제1셀과 인접하며 상기 제1통신 방식과 상기 제2통신 방식에 상응한 제2셀에서의 데이터 전송 영역을 비교하여 간섭 구간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간섭 구간을 기준으로 데이터 전송 영역을 다수의 서브 영역들로 분할하는 과정과, 상기 분할한 서브 영역들을 해당 이동 단말기들에게 할당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다중 셀, 다중 홉 릴레이, 셀간 간섭, CTS, 자원 할당, TDD, FDD, 하이브리드 듀플렉싱, RS

Description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ALLOCATING RESOURCE IN A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일반적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분할 듀플렉싱(TDD: Time Division Duplexing, 이하 'TDD'라 칭하기로 함) 방식과 주파수 분할 듀플렉 싱(FDD: Frequency Division Duplexing, 이하 'FDD'라 칭하기로 함) 방식을 적용한 다중 셀 구조를 갖는 통신 시스템에서 인접 셀 간의 셀간 간섭(ICI: Inter Cell Interference, 이하 'ICI'라 칭하기로 함)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자원 할당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세대 통신 시스템은 음성 서비스는 물론 방송 및 실시간 비디오 컨퍼런스와 같은 다양한 트래픽 특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들의 동시 지원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이러한 다양한 특성의 서비스들을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 서비스 특성에 따른 상향 및 하향 링크 전송의 비대칭성 및 연속성을 고려한 듀플렉싱(duplexing) 방식이 요구된다.
또한, 차세대 통신 시스템은 멀티미디어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가변적인 비대칭형 서비스가 가능하여야 하며, 동시에 고속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신뢰성 있게 제공할 수 있는 특징을 갖추어야 한다. 상기 비대칭형 서비스란 하향링크(DL: DownLink, 이하 'DL'이라고 칭하기로 함)와 상향링크(UL: UpLink, 이하 'UL'이라고 칭하기로 함)의 전송 속도가 서로 다른 것을 의미한다. 상기 멀티미디어 트래픽은 이동성 및 고정성을 갖는 이동 단말기(MS: Mobile Station, 이하 'MS'라 칭하기로 함)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수신하므로 UL보다 DL에서 고속의 전송 속도를 필요로 한다. 또한, 비대칭의 비율이 변경 가능하여야 한다.
한편,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있는 듀플렉싱 방식은 TDD 방식과 FDD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TDD 방식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시구간으로 나누어 송신과 수신 구간을 교대로 스위칭함으로써 양방향 통신을 구현하는 방식이며, FDD 방식은 주어진 주파수 대역을 송신 및 수신 대역으로 분할함으로써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상기 TDD 방식을 적용한 통신 시스템(이하, 'TDD 통신 시스템'이라 칭하기로 함)에서는, BS가 가능한 타임 슬럿 중에서 일부 또는 전부를 MS에 할당할 수 있으며, 이러한 타임 슬럿의 가변적 할당을 통해 비대칭 통신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TDD 통신 시스템의 경우, 상기 BS가 관장하는 셀의 반경이 커지면 라운드 트립 지연으로 인해 송수신 타임 슬럿간의 보호 구간(guard time)이 증가하게 되어 전송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매크로 셀(macro cell)과 같이 셀 반경이 큰 통신 환경에서는 TDD 방식을 이용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 또한, TDD 통신 시스템은 다중 셀 환경에서 각 셀의 비대칭 비율이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인접 셀의 가장자리에 있는 MS 간에 심각한 주파수 간섭이 발생한다.
상기 FDD 방식을 적용한 통신 시스템(이하, 'FDD 통신 시스템'이라 칭하기로 함)에서는, 송신과 수신을 위한 주파수 대역이 분할되어 있으므로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한 시간 지연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시간 지연에 의한 라운드 트립 지연이 없으므로 매크로 셀과 같은 반경이 큰 셀 환경에 적합하다. 그러나, 상기 FDD 통신 시스템의 경우 송신 주파수 대역과 수신 주파수 대역이 고정되어 있어 가변적인 비대칭 전송을 위한 듀플렉싱 방식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차세대 통신 시스템의 다양한 통신 환경과 트래픽 특성을 고려하여 두 가지 듀플렉싱 방식을 혼용하는, 즉 상기 TDD 방식과 FDD 방식의 장점을 모두 얻기 위해 상기 TDD 방식과 FDD 방식을 모두 적용한 하이브리드 듀플렉싱(Hybrid Duplexing) 방식들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한편, 차세대 통신 시스템은 한정된 자원, 즉 주파수(frequency) 자원과, 코드(code) 자원, 타임 슬럿(time slot) 자원 등을 상기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다수의 셀들이 분할하여 사용하므로 상기 다수의 셀들 간, 특히 인접한 셀 간의 간섭이 발생한다. 이러한 인접한 셀 간의 간섭은 주파수 재사용 계수(Frequency Reuse Factor)를 1로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크게 발생한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주파수 재사용 계수를 1로 사용하면 주파수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인접한 셀 간의 간섭, 특히 셀의 가장 자리에 위치한 MS는 자신이 위치한 셀을 관장하는 기지국(BS: Base Station, 이하 'BS'라 칭하기로 함)(이하 '서빙(serving) BS'라 칭하기로 함)으로부터 수신 캐리어대 간섭 잡음비(CINR: Carrier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 이하 'CINR'이라 칭하기로 함)가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주파수 재사용 계수를 1로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서빙 BS에 근접한 MS는 간섭이 적으므로 상기 서빙 BS와 통신을 수행함에 있어 크게 문제가 되지 않으나, 셀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MS는 인접한 셀을 관장하는 BS(이하 '인접(neighbor) BS'라 칭하기로 함)로부터 간섭 및 상기 인접한 셀의 가장자리에 위치하여 인접 BS와 통신을 수행하는 MS로부터 간섭을 받으므로 시스템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면 여기서, 도 1을 참조하여 다중 셀 구조를 가지는 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통신 시스템은, 다중 셀 구조를 가지며, 즉 셀1(110)과 셀2(120)를 가지며, 상기 각 셀들(110,120)을 관장하는 BS1(111)과 BS2(121), 및 상기 셀1(110) 내에 존재하여 상기 BS1(111)로부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MS1(113)과, 상기 셀2(120) 내에 존재하여 상기 BS2(121)로부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MS2(12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MS들, 즉 MS1(113)과 MS2(123)는 이동성 및 고정성을 모두 가지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셀1(110)과 셀2(120)의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통신 시스템은 듀플렉싱 방식, 특히 TDD 방식과 FDD 방식을 통해 양방향 통신을 구현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렇게 상기 BS1(111)이 TDD 방식과 FDD 방식을 기반으로 하여 동작하므로 셀1(110)에서의 프레임(150)은, 제1주파수 대역(f1)에서 TDD DL 영역(151)과 TDD UL 영역(153), 및 제2주파수 대역(f2)에서 FDD UL 영역(155)으로 분할된다. 또한, 상기 BS2(121)가 TDD 방식과 FDD 방식을 기반으로 하여 동작하므로 셀2(120)에서의 프레임(170)은, 제1주파수 대역(f1)에서 TDD DL 영역(171)과 TDD UL 영역(173), 및 제2주파수 대역(f2)에서 FDD UL 영역(175)으로 분할된. 이때, 각 셀들(110,120)을 관장하는 BS1(111)과 BS2(121)는 각 셀들(110,120)에 존재하는 MS들, 즉 MS1(113)과 MS2(123)의 통신 환경에 상응하여 MS1(113)과 MS2(123)에게 자원을 할당한다. 여기서, 상기 각 셀들(110,120)에서의 프레임들(150,160)은 전술한 바와 같은 통신 환경에 상응하여 할당된 자원에 따라 각 셀들(110,120)의 TDD DL 영역들(151,161)과 TDD UL 영역들(153,163) 및 FDD UL 영역(155,175)이 결정된다.
이렇게 통신 환경에 상응하여 분할된 셀1(110)에서의 프레임(150)과 상기 셀2(160)에서의 프레임(160)간 교차 타임 슬럿(CTS: Cross Time Slot, 이하 'CTS'라 칭하기로 함) 구간, 즉 TDD DL 영역(151)과 TDD UL 영역(163)간의 CTS 구간이 존재하며, 이러한 CTS 구간은 간섭 구간으로서, 상기 간섭 구간에 의해 셀1(110)에 존재하는 MS1(113)과 셀2(120)에 존재하는 MS2(123) 간에 간섭이 발생한다. 다시 말해, 상기 셀1(110)의 MS1(113)과 BS1(111)간에 TDD 방식의 DL 트래픽은, 상기 셀2(120)의 가장자리에 존재하는 MS2(123)와 BS2(121)간에 TDD 방식의 UL 트래픽에 의해 채널 간섭(CCI: Co-Channel Interference, 이하 'CCI'라 칭하기로 함)을 받으며, 상기 셀2(120)의 가장자리에 존재하는 MS2(123)와 BS2(121)간에 TDD 방식의 UL 트래픽 또한 상기 셀1(110)의 MS1(113)과 BS1(111)간에 TDD 방식의 DL 트래픽에 의해 CCI를 받는다.
상기 간섭 구간이 존재함에 따라 상기 MS1(113)과 BS1(111)이 상기 셀1(110)에서의 프레임(150)과 같이 할당된 자원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중에 상기 셀2(120)의 MS2(123)와 BS2(121)가 셀2(120)의 프레임(160)과 같이 할당된 자원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면 상기 셀1(110) 및 셀2(160)의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하는 MS1(113)과 MS2(123)는 수신 CINR이 감소되어 수신 성능이 저하된다.
이러한 셀들(110,120)의 간섭에 의한 CINR의 감소를 방지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MS1(113)과 MS2(123)는 간섭 제거기를 이용하여 간섭을 제거한다. 그러나, 상기 BS1(111)과 BS2(121)는 서로 독립적으로 자원을 할당하므로 상기 간 섭 제거기가 간섭 신호를 정확하게 제거하거나, 또는 서빙 BS, 즉 자신에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BS1(111)과 BS2(123)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정확하게 복원하지 못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시스템의 성능 향상은 기대하기 힘들다.
예를 들어, 상기 MS1(113)이 서빙 BS인 BS1(111)로부터 전술한 프레임(150)의 TDD DL 영역(151)과 TDD UL 영역(153)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중에 상기 셀2(120)의 MS2(123)와 BS(121)이 전술한 프레임(160)의 TDD DL 영역(161)과 TDD UL 영역(163)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 상기 MS1(113)은 상기 BS2(121)가 송신하는 데이터가 자신에게 간섭으로 작용하므로 상기 간섭을 제거하기 위해서 셀1(110)의 TDD DL 영역(151)과 셀2(120)의 TDD UL 영역(163)의 CTS 구간의 정보, 즉 간섭 구간의 정보를 알아야 한다. 또한, 상기 MS1(113)은 상기 셀2(120)의 TDD UL 영역(163)으로 송신되는 데이터의 변조 및 부호화 방식(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이하 'MCS'라 칭하기로 함) 레벨을 알아야 하며, 상기 셀2(120)의 채널 정보 등을 알아야 한다.
즉, 상기 MS1(113)은 셀2(120)의 셀 간섭을 제거하기 위해 BS2(121)의 MAP 정보와 상기 BS2(121)로부터 수신되는 파일럿 등을 이용하여 셀2(120)의 채널을 추정해야 한다. 그에 따라, 상기 MS1(113)이 셀 간섭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정보를 알아야 하므로 MS1(113)에게 큰 부하(load)로 작용하여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키며, 상기 MS1(113)에게 인접한 셀이 다수개일 경우에는 상기 시스템의 성능 저하가 더욱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중 셀 구조를 갖는 통신 시스템에서 셀들 간의 셀 간섭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자원 할당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다중 셀 구조의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다중 셀 구조의 통신 시스템에서 셀들 간의 셀 간섭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자원 할당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며 TDD 방식과 FDD 방식을 적용한 셀 구조의 통신 시스템에서 셀들 간의 셀 간섭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자원 할당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에 있어서, 제1통신 방식과 제2통신 방식에 상응한 제1셀에서의 데이터 전송 영역과 상기 제1셀과 인접하며 상기 제1통신 방식과 상기 제2통신 방식에 상응한 제2셀에서의 데이터 전송 영역을 비교하여 간섭 구간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간섭 구간을 기준으로 데이터 전송 영역을 다수의 서브 영역들로 분할하는 과정과, 상기 분할한 서브 영역들을 해당 이동 단말기들에게 할당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시스템에 있어서, 제1통신 방식과 제2통신 방식에 상응한 제1셀에서의 데이터 전송 영역과 상기 제1셀과 인접하며 상기 제1통신 방식과 상기 제2통신 방식에 상응한 제2셀에서의 데이터 전송 영역을 비교하여 간섭 구간을 확인하고, 상기 간섭 구간을 기준으로 데이터 전송 영역을 다수의 서브 영역들로 분할한 후, 상기 분할한 서브 영역들을 해당 이동 단말기들에게 할당하는 기지국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 예컨대 다중 셀 구조를 갖는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및 시스템을 제안한다. 여기서, 후술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다중 셀 구조를 갖는 통신 시스템이 듀플렉싱 방식, 특히 제1통신 방식으로 시분할 듀플렉싱(TDD: Time Division Duplexing, 이하 'TDD'라 칭하기로 함) 방식과 제2통신 방식으로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FDD: Frequency Division Duplexing, 이하 'FDD'라 칭하기로 함) 방식을 통해 양방향 통신을 구현, 즉 하이브리드 듀플렉싱(Hybrid Duplexing) 방식을 통해 통신을 구현하는 통신 시스템을 일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자원 할당 방법 및 시스템은 다른 통신 시스템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듀플렉싱 방식을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통신 환경에 상응하여 자원을 효율적으로 할당함으로써 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자원 할당 방법 및 시스템을 제안한다. 후술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다중 셀 구조를 갖는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다중 셀들을 각각 관장하는 송신기, 예컨대 기지국(BS: Base Station, 이하 'BS'라 칭하기로 함)과 상기 송신기로부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수신기들, 예컨대 이동 단말기(MS: Mobile Station, 이하 'MS'라 칭하기로 함)들 간에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자원 할당 방법 및 시스템을 제안한다. 여기서, 상기 BS는 상기 MS로부터 전송되는 피드백 정보, 예컨대 채널 품질 정보(CQI: Channel Quality Information, 이하 'CQI'라 칭하기로 함), MS 정보 등에 상응하여 자원을 할당하며, 상기 할당된 자원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본 발명은 다중 셀 구조를 갖는 통신 시스템에서 인접 셀 간의 셀간 간섭(ICI: Inter Cell Interference, 이하 'ICI'라 칭하기로 함)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자원 할당 방법 및 시스템을 제안한다. 후술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통신 시스템의 BS가 MS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자원, 즉 프레임의 하향링크(DL: DownLink, 이하 'DL'이라 칭하기로 함) 영역과 상향링크(UL: UpLink, 이하 'UL'이라 칭하기로 함) 영역을 결정한다. 여기서, 후술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TDD 방식을 기반으로 한 통신 시스템을 일예로 하여 설명하므로, BS가 상기 프레임의 DL 영역과 UL 영역을 결정함, 즉 자원을 할당함은 타임 슬럿(time slot)을 할당함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다중 셀 구조를 갖는 통신 시스템에서 각 셀을 관장하는 BS들이 통신 환경에 상응하여 결정한 각 셀들의 프레임들 간에 교차 타임 슬럿(CTS: Cross Time Slot, 이하 'CTS'라 칭하기로 함) 구간이 존재할 경우, 상기 CTS 구간에서의 채널 간섭(CCI: Co-Channel Interference, 이하 'CCI'라 칭하기로 함) 발생을 방지하는 자원 할당 방법 및 시스템을 제안한다. 후술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임의의 셀 내에 존재하는 MS가 자신이 위치한 셀을 관장하는 BS(이하 '서빙(serving) BS'라 칭하기로 함)로부터 할당된 자원을 통해, 즉 프레임의 DL 영역과 UL 영역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시 인접한 셀을 관장하는 BS(이하 '인접(neighbor) BS'라 칭하기로 함)로부터 전술한 바와 같이 CTS 구간에서 CCI를 받을 수 있으며, 이러한 CCI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자원 할당 방법 및 시스템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중 홉 릴레이(Multi-hop relay) 방식을 사용하는 다중 셀 구조의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및 시스템을 제안한다. 후술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소정 셀 내에 BS와 상기 BS로부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다수의 MS들과, 상기 BS와 다수의 MS들 간을 중계하는, 즉 다중 홉 릴레이 경로를 제공하는 다수의 중계국(RS: Relay Station, 이하 'RS'라 칭하기로 함)을 포함하는 다중 셀 구조의 통신 시스템에서 ICI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자원 할당 방법 및 시스템을 제안한다. 여기서, 후술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다중 셀 구조의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BS와 다수의 RS들 및 다수의 MS간의 신호 송수신이 TDD 방식을 통해 이루어짐으로 가정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자원 할당 방법 및 시스템은 다른 방식을 사용하여 신호의 송수신이 이루어 지는 통신 시스템들에도 적용 가능하다. 그러면 여기서, 도 2를 참조하여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다중 셀 구조의 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통신 시스템은, 다중 셀 구조를 가지며, 즉 셀1(210)과 셀2(220)를 가지며, 상기 각 셀들(210,220)을 관장하는 BS1(211)과 BS2(221), 및 상기 셀1(210) 내에 존재하여 상기 BS1(211)로부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MS1(215)과 MS2(217), 및 상기 셀1(210) 내에 존재하여 상기 BS1(211)과 MS2(217) 간의 릴레이 경로를 제공하는 RS1(213)과, 상기 셀2(220) 내에 존재하여 상기 BS2(221)로부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MS3(225)과 MS4(227), 및 상기 셀2(220) 내에 존재하여 상기 BS2(221)과 MS4(227) 간의 릴레이 경로를 제공하는 RS2(22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MS들(215,217,225,227)은 이동성 및 고정성을 모두 가지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MS1(215)과 MS3(225)은 셀1(210)과 셀2(220)의 중심 영역에 위치하여 BS1(211) 및 BS2(221)와 직접 통신을 수행하고, MS2(217)와 MS4(227)는 셀1(210)과 셀2(220)의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하여 RS1(213) 및 RS2(223)가 제공하는 릴레이 경로를 통해 BS1(211) 및 BS2(221)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통신 시스템은 TDD 방식과 FDD 방식을 모두 적용한 하이브리드 듀플렉싱 방식을 통해 양방향 통신을 구현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렇게 상기 BS1(211)이 TDD 방식과 FDD 방식을 기반으로 하여 동작하므로 셀1(210)에서의 프레임(250)은, 제1주파수 대역(f1)에서 DL1 영역(251)과 UL1 영역(253)으로 분할되고, 제2주파수 대역(f2)에서 DL2 영역(255)과 UL2 영역(257)으로 분할된다. 또한, 상기 BS2(221)가 TDD 방식과 FDD 방식을 기반으로 하여 동작하므로 셀2(220)에서의 프레임(260)은 제1주파수 대역(f1)에서 DL1 영역(271)과 UL1 영역(273)으로 분할되고, 제2주파수 대역(f2)에서 DL2 영역(275)과 UL2 영역(277)으로 분할된다. 이때, 각 셀들(210,220)을 관장하는 BS1(211)과 BS2(221)는 각 셀들(210,220)에 존재하는 MS들, 즉 MS1(215), MS2(217), MS3(225), MS4(227)와 RS들, 즉 RS1(213), RS2(223)의 통신 환경에 상응하여 자원을 할당한다. 여기서, 상기 각 셀들(210,220)에서의 프레임들(250,260)은 전술한 바와 같은 통신 환경에 상응하여 할당된 자원에 따라 각 셀들(210,220)의 DL 영역들(251,255,271,275)과 UL 영역들(253,257,273,277)이 결정된다.
그러면, 상기 셀1(210)에서 프레임(250)의 DL1 영역(251)을 통해 BS1(211)이 RS1(213)로 전송할 데이터와, 상기 RS1(213)이 MS2(217)로 데이터 전송할 데이터가 각각 전송된다. 상기 셀1(210)에서 프레임(250)의 UL2 영역(253)을 통해 MS2(217)가 RS1(213)로 전송할 데이터와, 상기 RS1(213)이 BS1(211)로 전송할 데이터가 전송된다. 그리고, 셀1(210)에서 프레임(250)의 DL2 영역(255)을 통해 BS1(211)이 MS1(215)로 전송할 데이터가 전송되고, UL2 영역(257)을 통해 상기 MS1(215)이 BS1(211)로 전송할 데이터가 전송된다.
또한, 상기 셀2(220)에서 프레임(270)의 DL1 영역(271)을 통해 BS2(221)가 RS2(223)로 전송할 데이터와, 상기 RS2(223)가 MS4(227)로 데이터 전송할 데이터가 각각 전송된다. 상기 셀2(220)에서 프레임(270)의 UL2 영역(273)을 통해 MS4(227)가 RS2(223)로 전송할 데이터와, 상기 RS2(213)가 BS2(221)로 전송할 데이터가 전송된다. 그리고, 셀2(220)에서 프레임(270)의 DL2 영역(275)을 통해 BS2(221)가 MS3(225)으로 전송할 데이터가 전송되고, UL2 영역(277)을 통해 상기 MS3(225)이 BS2(221)로 전송할 데이터가 전송된다.
이렇게 통신 환경에 상응하여 분할된 셀1(210)에서의 프레임(250)과 상기 셀2(220)에서의 프레임(270)간 CTS 구간, 즉 DL1 영역(251)과 UL1 영역(273)간의 CTS 구간이 존재하며, 이러한 CTS 구간은 간섭 구간으로서, 각 셀 내에 존재하는 BS와 RS가 데이터를 송수신할 경우와, BS와 MS가 데이터를 송수신할 경우, 및 RS와 MS가 데이터를 송수신할 경우 ICI의 영향으로 데이터 송수신 성능이 저하된다. 특히, 각 셀들(210,220)의 가장자리 영역에 존재하는 MS들, 즉 MS2(217)와 MS4(227)가 RS1(213) 및 RS2(223)와 각각 데이터를 송수신할 경우, 상기 MS2(217)와 MS4(227)가 셀들(210,220)의 가장자리 영역에 각각 존재하므로 각 셀들(210,220)의 중심 영역에 존재하는 MS들, 즉 MS1(215)와 MS3(225)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ICI의 영향을 크게 받으므로 데이터 송수신 성능이 더 저하된다. 또한, MS들은 BS들 및 RS들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송신 전력의 크기가 작으므로 상기 MS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셀들(210,220)의 가장자리 영역에 존재하는 MS들, 즉 MS2(217)와 MS4(227)가 ICI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따라서, 각 셀들(210,220)의 가장자리 영역에 존재하는 MS들, 즉 DL 및 UL의 링크 상태가 상대적으로 열악한 MS2(217) 및 MS4(227)가 다른 MS들 및 BS들과 RS들보다 ICI의 영향을 적게 받도록 자원을 할당할 필요가 있다. 후술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각 셀의 가장자리 영역에 존재하여 링크 상태가 열악한 MS들과, 상기 MS들과 BS들 간의 릴레이 경로를 제공하는 RS들이 데이터 송수신할 경우 ICI의 영향을 적게 받도록 자원을 할당하는 방안을 설명한다. 그러면 여기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다중 셀 구조의 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통신 시스템은, 다중 셀 구조를 가지며, 즉 셀1(310)과 셀2(320)를 가지며, 상기 각 셀들(310,320)을 관장하는 BS1(311)과 BS2(321), 및 상기 셀1(310) 내에 존재하여 상기 BS1(311)로부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MS1(315)과 MS2(317), 및 상기 셀1(310) 내에 존재하여 상기 BS1(311)과 MS2(317) 간의 릴레이 경로를 제공하는 RS1(313)과, 상기 셀2(320) 내에 존재하여 상기 BS2(321)로부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MS3(325)과 MS4(327), 및 상기 셀2(320) 내에 존재하여 상기 BS2(321)과 MS4(327) 간의 릴레이 경로를 제공하는 RS2(32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MS들(315,317,325,327)은 이동성 및 고정성을 모두 가지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MS1(315)과 MS3(325)은 셀1(310)과 셀2(320)의 중심 영역에 위치하여 BS1(311) 및 BS2(321)와 직접 통신을 수행하고, MS2(317)와 MS4(327)는 셀1(310)과 셀2(320)의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하여 RS1(313) 및 RS2(323)가 제공 하는 릴레이 경로를 통해 BS1(311) 및 BS2(321)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통신 시스템은 TDD 방식과 FDD 방식을 모두 적용한 하이브리드 듀플렉싱 방식을 통해 양방향 통신을 구현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렇게 상기 BS1(311)이 TDD 방식과 FDD 방식을 기반으로 하여 동작하므로 셀1(310)에서의 프레임(350)은, 제1주파수 대역(f1)에서 DL 영역(351)과 UL1 영역(353) 및 UL2 영역(355)으로 분할되고, 제2주파수 대역(f2)에서 UL3 영역(357)으로 분할된다. 또한, 상기 BS2(351)가 TDD 방식과 FDD 방식을 기반으로 하여 동작하므로 셀2(320)에서의 프레임(370)은 제1주파수 대역(f1)에서 DL 영역(371)과 UL1 영역(373) 및 UL2 영역(375)으로 분할되고, 제2주파수 대역(f2)에서 UL3 영역(377)으로 분할된다.
이때, 상기 BS1(311)은 통신 환경에 상응하여 분할된 셀1(310)에서의 프레임(350)과 상기 셀2(320)에서의 프레임(370)간의 CTS 구간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주파수 대역(f1)에서 UL 영역을 두개의 서브 영역들, 즉 UL1 영역(353) 및 UL2 영역(355)으로 분할하며, 상기 분할한 UL2 영역(355)이 CTS 구간을 포함하지 않도록 분할한다. 그리고, 상기 BS2(321)는 통신 환경에 상응하여 분할된 셀1(310)에서의 프레임(350)과 상기 셀2(320)에서의 프레임(370)간의 CTS 구간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주파수 대역(f1)에서 UL 영역을 두개의 서브 영역들, 즉 UL1 영역(373) 및 UL2 영역(375)으로 분할하며, 상기 분할한 UL2 영역(375)이 CTS 구간을 포함하지 않도록 분할한다.
그런 다음, 각 셀들(310,320)을 관장하는 BS1(311)과 BS2(321)는 각 셀들(310,320)에 존재하는 MS들, 즉 MS1(315), MS2(317), MS3(325), MS4(327)와 RS들, 즉 RS1(313), RS2(323)의 통신 환경에 상응하여 자원을 할당한다. 여기서, 상기 각 셀들(310,320)에서의 프레임들(350,360)은 전술한 바와 같은 통신 환경에 상응하여 할당된 자원에 따라 각 셀들(310,320)의 DL 영역들(351,371)과 UL 영역들(353,355,357,373,375,377)이 결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셀들(310,320)의 가장자리 영역에 존재하는 MS들, 즉 MS2(317)와 MS4(327)가 RS1(313) 및 RS2(323)와 각각 데이터를 송수신할 경우, 상기 MS2(317)와 MS4(327)가 셀들(310,320)의 가장자리 영역에 각각 존재하므로 각 셀들(310,320)의 중심 영역에 존재하는 MS들, 즉 MS1(315) 및 MS3(325)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링크의 상태가 열악하여 ICI의 영향을 크게 받으므로 데이터 송수신 성능이 더 저하된다. 따라서, 상기 BS1(311)은 제1주파수 대역(f1)에서 상기 DL 영역(351)을 통해 BS1(311)이 MS1(315)과 RS1(313)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할당하고, RS1(313)이 MS2(317)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할당한다. 그리고, 상기 BS1(311)은 제1주파수 대역(f1)에서 UL1 영역(353)을 통해 MS1(315)이 BS1(311)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할당하고, UL2 영역(355)을 통해 MS2(317)가 RS1(313)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할당한다. 또한, BS1(311)은 제2주파 수 대역(f2)에서 UL3 영역(357)을 통해 RS1(313)이 BS1(311)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할당한다.
아울러, 상기 BS2(321)는 제1주파수 대역(f1)에서 상기 DL 영역(371)을 통해 BS2(321)가 MS3(325)과 RS2(323)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할당하고, RS2(323)가 MS4(327)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할당한다. 그리고, 상기 BS2(321)는 제1주파수 대역(f1)에서 UL1 영역(373)을 통해 MS3(325)이 BS2(321)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할당하고, UL2 영역(375)을 통해 MS4(327)가 RS2(323)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할당한다. 또한, BS2(321)는 제2주파수 대역(f2)에서 UL3 영역(377)을 통해 RS2(323)가 BS2(321)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할당한다.
여기서, 각 셀들(310,320)에서 프레임(350,370)의 DL 영역(351,371)과 UL 영역(353,355,357,373,375,377)으로의 분할과, 상기 제1주파수 대역(f1)에서 UL 영역(353,355,373,375)의 서브 영역들로의 분할, 즉 UL1 영역(353,373)과 UL2 영역(355,375)으로의 분할은 각 셀들(310,320) 내에 존재하는 BS와 MS들 및 RS들이 송수신할 데이터 정보, 일예로 상기 송수신할 데이터의 양 정보에 상응하여 분할된다. 또한, 상기 분할된 각 영역들의 할당은 각 셀들(310,320) 내에 존재하는 BS와 MS들 및 RS들 간의 링크 정보, 예컨대 링크 상태 정보 및 링크 개수 정보와 각 셀들(310,320) 내에서 각 MS들의 위치 정보 등에 상응하여 데이터 송수신시 ICI의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할당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데이터 전송 영역을 송수신할 데이터 정보에 상응하여 DL 전송 영역과 UL 전송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한 DL 전송 영역과 UL 전송 영역을 CTS 구간을 기준으로 하여 다수의 서브 영역들로 분할한다. 그런 다음, 상기 분할한 서브 영역들 중에서 CTS 구간을 포함하지 않는 서브 영역들을 셀의 가장자리 영역에 존재하거나, 링크의 상태가 열악하거나, 릴레이 경로를 제공받는 MS들에게 할당하여 데이터 송수신시 ICI의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한다. 그러면 여기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다중 셀 구조의 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통신 시스템은, 다중 셀 구조를 가지며, 즉 셀1(410)과 셀2(420)를 가지며, 상기 각 셀들(410,420)을 관장하는 BS1(411)과 BS2(421), 및 상기 셀1(410) 내에 존재하여 상기 BS1(411)로부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MS1(415)과 MS2(417), 및 상기 셀1(410) 내에 존재하여 상기 BS1(411)과 MS2(417) 간의 릴레이 경로를 제공하는 RS1(413)과, 상기 셀2(420) 내에 존재하여 상기 BS2(421)로부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MS3(425)과 MS4(427), 및 상기 셀2(420) 내에 존재하여 상기 BS2(421)과 MS4(427) 간의 릴레이 경로를 제공하는 RS2(42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MS들(415,417,425,427)은 이동성 및 고정성을 모두 가지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MS1(415)과 MS3(425)은 셀1(410)과 셀2(420)의 중심 영역에 위치하여 BS1(411) 및 BS2(421)와 직접 통신을 수행하고, MS2(417)와 MS4(427) 는 셀1(410)과 셀2(420)의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하여 RS1(413) 및 RS2(423)가 제공하는 릴레이 경로를 통해 BS1(411) 및 BS2(421)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통신 시스템은 TDD 방식과 FDD 방식을 모두 적용한 하이브리드 듀플렉싱 방식을 통해 양방향 통신을 구현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렇게 상기 BS1(411)이 TDD 방식과 FDD 방식을 기반으로 하여 동작하므로 셀1(410)에서의 프레임(450)은, 제1주파수 대역(f1)에서 DL 영역(451)과 UL1 영역(453) 및 UL2 영역(455)으로 분할되고, 제2주파수 대역(f2)에서 DL2 영역(457)과 UL3 영역(459)으로 분할된다. 또한, 상기 BS2(451)가 TDD 방식과 FDD 방식을 기반으로 하여 동작하므로 셀2(420)에서의 프레임(470)은 제1주파수 대역(f1)에서 DL 영역(471)과 UL1 영역(473) 및 UL2 영역(475)으로 분할되고, 제2주파수 대역(f2)에서 DL2 영역(477)과 UL3 영역(479)으로 분할된다.
이때, 상기 BS1(411)은 통신 환경에 상응하여 분할된 셀1(410)에서의 프레임(450)과 상기 셀2(420)에서의 프레임(470)간의 CTS 구간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주파수 대역(f1)에서 UL 영역을 두개의 서브 영역들, 즉 UL1 영역(453) 및 UL2 영역(455)으로 분할하며, 상기 분할한 UL2 영역(455)이 CTS 구간을 포함하지 않도록 분할한다. 그리고, 상기 BS2(421)는 통신 환경에 상응하여 분할된 셀1(410)에서의 프레임(450)과 상기 셀2(420)에서의 프레임(470)간의 CTS 구간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주파수 대역(f1)에서 UL 영역을 두개의 서브 영역들, 즉 UL1 영역(473) 및 UL2 영역(475)으로 분할하며, 상기 분할한 UL2 영역(475)이 CTS 구간을 포함하지 않도록 분할한다.
아울러, BS1(411)과 BS2(421)는, 상기 제2주파수 대역(f2)에서 DL2 영역(457,477) UL3 영역(459,479)으로 분할한다. 이때, BS1(411)과 BS2(421)는, 상기 셀1(410)의 프레임(450)에서 DL2 영역(457)과 상기 셀2(420)의 프레임(470)에서 DL2 영역(477)이 동일 시구간 동안 존재하도록 분할하고, 상기 셀1(410)의 프레임(450)에서 UL3 영역(459)과 상기 셀2(420)의 프레임(470)에서 UL3 영역(479)이 동일 시구간 동안 존재하도록 분할한다. 즉, 상기 BS1(411)과 BS2(421)는 제2주파수 대역(f2)에서 상기 셀1(410)의 DL2 영역(457)과 UL3 영역(459)의 경계, 즉 스위칭 포인트와 상기 셀2(420)의 DL2 영역(477)과 UL3 영역(479)의 경계, 즉 스위칭 포인트가 동일하도록 분할한다.
그런 다음, 각 셀들(410,420)을 관장하는 BS1(411)과 BS2(421)는 각 셀들(410,420)에 존재하는 MS들, 즉 MS1(415), MS2(417), MS3(425), MS4(427)와 RS들, 즉 RS1(413), RS2(423)의 통신 환경에 상응하여 자원을 할당한다. 여기서, 상기 각 셀들(410,420)에서의 프레임들(450,460)은 전술한 바와 같은 통신 환경에 상응하여 할당된 자원에 따라 각 셀들(410,420)의 DL 영역들(451,457,471,475)과 UL 영역들(453,455,459,473,475,479)이 결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셀들(410,420)의 가장 자리 영역에 존재하는 MS들, 즉 MS2(417)와 MS4(427)가 RS1(413) 및 RS2(423)와 각각 데이터를 송수신할 경우, 상기 MS2(417)와 MS4(427)가 셀들(410,420)의 가장자리 영역에 각각 존재하므로 각 셀들(410,420)의 중심 영역에 존재하는 MS들, 즉 MS1(415) 및 MS3(425)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링크의 상태가 열악하여 ICI의 영향을 크게 받으므로 데이터 송수신 성능이 더 저하된다. 따라서, 상기 BS1(411)은 제1주파수 대역(f1)에서 상기 DL1 영역(451)을 통해 BS1(411)이 MS1(415)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할당하고, RS1(413)이 MS2(417)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할당한다. 그리고, 상기 BS1(411)은 제1주파수 대역(f1)에서 UL1 영역(453)을 통해 MS1(415)이 BS1(411)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할당하고, UL2 영역(455)을 통해 MS2(417)가 RS1(413)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할당한다. 또한, BS1(411)은 제2주파수 대역(f2)에서 DL2 영역(457)을 통해 BS1(411)이 RS1(413)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할당하고, UL3 영역(459)을 통해 RS1(413)이 BS1(411)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할당한다.
아울러, 상기 BS2(421)는 제1주파수 대역(f1)에서 상기 DL1 영역(471)을 통해 BS2(421)가 MS3(425)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할당하고, RS2(423)가 MS4(427)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할당한다. 그리고, 상기 BS2(421)는 제1주파수 대역(f1)에서 UL1 영역(473)을 통해 MS3(425)이 BS2(421)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할당하고, UL2 영역(475)을 통해 MS4(427)가 RS2(423)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할당한다. 또한, BS2(321)는 제2주파수 대역(f2)에서 DL2 영역(477)을 통해 BS2(421)가 RS2(423)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할당하고, UL3 영역(479)을 통해 RS2(423)가 BS2(421)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할당한다.
여기서, 각 셀들(410,420)에서 프레임(450,470)의 DL 영역(451,457,471,477)과 UL 영역(453,455,459,473,475,479)으로의 분할과, 상기 제1주파수 대역(f1)에서 UL 영역(453,455,473,475)의 서브 영역들로의 분할, 즉 UL1 영역(453,473)과 UL2 영역(455,475)으로의 분할은 각 셀들(310,320) 내에 존재하는 BS와 MS들 및 RS들이 송수신할 데이터 정보, 일예로 상기 송수신할 데이터의 양 정보에 상응하여 분할된다. 또한, 상기 분할된 각 영역들의 할당은 각 셀들(410,420) 내에 존재하는 BS와 MS들 및 RS들 간의 링크 정보, 예컨대 링크 상태 정보 및 링크 개수 정보와 각 셀들(410,420) 내에서 각 MS들의 위치 정보 등에 상응하여 데이터 송수신시 ICI의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할당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데이터 전송 영역을 송수신할 데이터 정보에 상응하여 DL 전송 영역과 UL 전송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한 DL 전송 영역과 UL 전송 영역을 CTS 구간을 기준으로 하여 다수의 서브 영역들로 분할한다. 그런 다음, 상기 분할한 서브 영역들 중에서 CTS 구간을 포함하지 않는 서브 영역들을 셀의 가장자리 영역에 존재하거나, 링크의 상태가 열악하거나, 릴레이 경로를 제공받는 MS들에게 할당하여 데이터 송수신시 ICI의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한다. 그러면 여기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 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통신 시스템에서 BS는, 501단계에서 자신이 관장하는 셀 내에 존재하는 MS들과 RS들 및 BS간의 송수신할 데이터 정보와, 자신과 MS들 및 RS들 간의 링크 정보와, 상기 셀 내에 존재하는 MS들 및 RS들의 위치 정보를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정보는 BS와 MS들 및 RS들 간의 송수신할 데이터의 양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링크 정보는 BS와 MS들 및 RS들 간의 링크 상태 정보 및 링크 개수 정보 등이 포함되며, 상기 위치 정보는 자신이 관장하는 셀, 즉 서빙 셀 내에 MS들 및 RS들이 중심 영역에 존재하는 지 또는 가장자리 영역에 존재하는 지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그런 다음, 상기 BS는 503단계에서 자신이 관장하는 셀 내에 존재하는 MS들 및 RS들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자원 할당 동작이 초기 자원 할당 동작인지 판단한다. 만약, 상기 503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초기 자원 할당 동작일 경우, 상기 BS는 505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505단계에서 BS는 503단계에서 상기 확인한 데이터 정보에 상응하여 데이터 전송 영역, 즉 프레임을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 방식에 상응하여, 즉 TDD 방식과 FDD 방식을 적용한 하이브리드 듀플렉싱 방식에 상응하여 DL 영역과 UL 영역으로 분할한 후 507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07단계에서 BS는 인접 셀의 데이터 전송 영역, 즉 프레임에서 분할된 DL 영역과 UL 영역을 확인한 후, 상기 505단계에서 분할한 서빙 셀에서의 DL 영역 및 UL 영역과 상 기 인접 셀에서의 DL 영역 및 UL 영역을 비교하여 CTS 구간을 확인한다.
다음으로, 상기 BS는 509단계에서 상기 505단계에서 분할한 DL 영역과 UL 영역을 전술한 바와 같이 서브 영역들로 각각 분할한 후, 상기 분할한 DL 영역과 UL 영역의 서브 영역들을 상기 링크 정보와 위치 정보에 상응하여 서빙 셀 내에 존재하는 MS들과 RS들에게 할당한다. 상기 509단계에서 BS는 DL 영역과 UL 영역을 CTS 구간을 기준으로 하여 서브 영역들을 분할하고, 상기 분할한 서브 영역들 중에서 셀의 가장자리 영역에 존재하는 MS들, 즉 링크 상태가 열악한 MS들 및 상기 링크 상태가 열악하여 RS가 제공하는 릴레이 경로를 통해 BS와 통신을 수행하는 MS들에게는 CTS 구간에 존재하지 않는 서브 영역을 할당한다.
한편, 상기 503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초기 자원 할당 동작이 아닐 경우, 상기 BS는 511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511단계에서 BS는 상기 501단계에서 확인한 데이터 정보에 상응하여 데이터 전송 영역, 즉 DL 영역과 UL 영역의 경계를 설정한다. 즉, 상기 511단계에서 BS는 데이터 정보에 상응하여 이전 프레임에서 분할된 TDD 방식과 FDD 방식을 적용한 하이브리드 듀플렉싱 방식의 DL 영역과 UL 영역에서 각 영역들의 변화 범위, 즉 오프셋을 확인한 후 상기 DL 영역과 UL 영역의 경계를 설정한다. 그런 다음, 513단계에서 BS는 데이터 전송 영역, 즉 프레임을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DL 영역과 UL 영역으로 분할한 후 상기 509단계로 진행한다.
이렇게 MS들과 RS들에게 자원을 할당한 BS는 다음 프레임에서 송수신할 데이터가 생성되면, 상기 511단계 내지 513단계 및 509단계에서와 같이 CTS 구간을 확 인하지 않고 송수신할 데이터 정보와 링크 정보와 위치 정보에 상응하여 동적으로 서브 영역을 분할할 후 각 MS들 및 RS들에게 상기 분할한 서브 영역들을 할당하거나, 상기 505단계 내지 509단계에서와 같이 CTS 구간을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MS들 및 RS들에게 서브 영역들을 할당한다. 여기서, 상기 CTS 구간을 확인하지 않고 송수신할 데이터 정보와 링크 정보와 위치 정보에 상응하여 동적으로 서브 영역을 분할할 후 MS들 및 RS들에게 상기 분할한 서브 영역들을 할당할 경우, CTS 구간을 확인하기 위한 인접 셀에서의 데이터 전송 영역 확인을 위한 데이터 전송 영역 정보를 수신하지 않음으로써 자원 할당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 절차, 즉 인접 셀간 데이터 데이터 송수신 절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통신 환경 및 통신 시스템에 상응하여 CTS 확인 주기를 프레임 단위로 설정하여, 상기 CTS 확인 주기마다 상기 505단계 내지 509단계에서와 같이 CTS 구간을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MS들 및 RS들에게 서브 영역들을 할당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다중 셀 구조를 갖는 통신 시스템에서 각 셀들 의 프레임들 간 간섭 구간을 기준으로 DL 및 UL 영역을 서브 영역들로 분할하고, 각 셀들 내에 존재하는 사용자들의 링크 상태에 상응하여 상기 서브 영역들을 할당함으로써, 데이터 송수신시 ICI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을 효율적으로 할당하며, 자원 할당시 인접 셀 간의 데이터 송수신 절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58)

  1.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에 있어서,
    제1통신 방식과 제2통신 방식에 상응한 제1셀에서의 데이터 전송 영역과 상기 제1셀과 인접하며 상기 제1통신 방식과 상기 제2통신 방식에 상응한 제2셀에서의 데이터 전송 영역을 비교하여 간섭 구간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간섭 구간을 기준으로 데이터 전송 영역을 다수의 서브 영역들로 분할하는 과정과,
    상기 분할한 서브 영역들을 해당 이동 단말기들에게 할당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할당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신 방식은 시분할 듀플렉싱(TDD: Time Division Duplexing)이고, 상기 제2통신 방식은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FDD: Frequency Division Duplex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할당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셀과 상기 제2셀에서의 데이터 전송 영역은, 제1주파수 대역에서 하 향링크(DownLink) 데이터 전송 영역과 상향링크(UpLink) 데이터 전송 영역, 및 제2주파수 대역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영역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할당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영역을 다수의 서브 영역들로 분할하는 과정은, 상기 제1주파수 대역에서의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영역을 상기 간섭 구간을 포함하는 서브 영역들과 상기 간섭 구간을 포함하지 않는 서브 영역들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자원 할당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한 서브 영역들을 해당 이동 단말기들에게 할당하는 과정은, 각 이동 단말기들의 링크 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분할한 서브 영역들을 해당 이동 단말기들에게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할당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한 서브 영역들을 해당 이동 단말기들에게 할당하는 과정은, 상기 각 이동 단말기들 중 링크 상태가 열악한 이동 단말기에게 상기 간섭 구간을 포함하지 않는 서브 영역들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할당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한 서브 영역들을 해당 이동 단말기들에게 할당하는 과정은, 상기 각 이동 단말기들 중 릴레이 경로를 제공받는 이동 단말기에게 상기 간섭 구간을 포함하지 않는 서브 영역들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할당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구간을 포함하지 않는 서브 영역들을 할당받은 이동 단말기에게 릴레이 경로를 제공하는 중계국을 포함하며, 상기 중계국은 상기 제2주파수 대역에서의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영역을 할당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할당 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한 서브 영역들을 해당 이동 단말기들에게 할당하는 과정은, 각 이동 단말기들의 위치 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분할한 서브 영역들을 해당 이동 단말기들에게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할당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한 서브 영역들을 해당 이동 단말기들에게 할당하는 과정은, 상기 각 이동 단말기들 중 셀의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기에게 상기 간섭 구간을 포함하지 않는 서브 영역들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할당 방법.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셀과 상기 제2셀에서의 데이터 전송 영역은, 제1주파수 대역에서 하향링크(DownLink) 데이터 전송 영역과 상향링크(UpLink) 데이터 전송 영역, 및 제2주파수 대역에서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 영역과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영역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할당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1셀의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 영역과 상기 제2셀의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 영역, 및 상기 제1셀의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영역과 상기 제2셀의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영역은, 각각 동일 시구간 동안 존재하도록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할당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영역을 다수의 서브 영역들로 분할하는 과정은, 상기 제1주파수 대역에서의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영역을 상기 간섭 구간을 포함하는 서브 영역들과 상기 간섭 구간을 포함하지 않는 서브 영역들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자원 할당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한 서브 영역들을 해당 이동 단말기들에게 할당하는 과정은, 각 이동 단말기들의 링크 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분할한 서브 영역들을 해당 이동 단말기들에게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할당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한 서브 영역들을 해당 이동 단말기들에게 할당하는 과정은, 상기 각 이동 단말기들 중 링크 상태가 열악한 이동 단말기에게 상기 간섭 구간을 포함하지 않는 서브 영역들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할당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한 서브 영역들을 해당 이동 단말기들에게 할당하는 과정은, 상기 각 이동 단말기들 중 릴레이 경로를 제공받는 이동 단말기에게 상기 간섭 구간을 포함하지 않는 서브 영역들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할당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구간을 포함하지 않는 서브 영역들을 할당받은 이동 단말기에게 릴레이 경로를 제공하는 중계국을 포함하며, 상기 중계국은 상기 제2주파수 대역에서의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 영역과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영역을 할당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할당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한 서브 영역들을 해당 이동 단말기들에게 할당하는 과정은, 각 이동 단말기들의 위치 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분할한 서브 영역들을 해당 이동 단말기들에게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할당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한 서브 영역들을 해당 이동 단말기들에게 할당하는 과정은, 상기 각 이동 단말기들 중 셀의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기에게 상기 간섭 구간을 포함하지 않는 서브 영역들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할당 방법.
  2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영역을 다수의 서브 영역들로 분할하는 과정은, 상기 간섭 구간을 포함하는 서브 영역들과 상기 간섭 구간을 포함하지 않는 서브 영역들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자원 할당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한 서브 영역들을 해당 이동 단말기들에게 할당하는 과정은, 각 이동 단말기들의 링크 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분할한 서브 영역들을 해당 이동 단말기들에게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할당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한 서브 영역들을 해당 이동 단말기들에게 할당하는 과정은, 상기 각 이동 단말기들 중 링크 상태가 열악한 이동 단말기에게 상기 간섭 구간을 포함하지 않는 서브 영역들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할당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한 서브 영역들을 해당 이동 단말기들에게 할당하는 과정은, 상기 각 이동 단말기들 중 릴레이 경로를 제공받는 이동 단말기에게 상기 간섭 구간을 포함하지 않는 서브 영역들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할당 방법.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한 서브 영역들을 해당 이동 단말기들에게 할당하는 과정은, 각 이동 단말기들의 위치 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분할한 서브 영역들을 해당 이동 단말기들에게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할당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한 서브 영역들을 해당 이동 단말기들에게 할당하는 과정은, 상기 각 이동 단말기들 중 셀의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기에게 상기 간섭 구간을 포함하지 않는 서브 영역들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할당 방 법.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구간은, 상기 제1셀에서의 데이터 전송 영역과 상기 제2셀에서의 데이터 전송 영역의 하향링크(DownLink) 데이터 전송 영역과 상향링크(UpLink) 데이터 전송 영역의 교차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할당 방법.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한 서브 영역들의 할당이 초기 할당일 경우 상기 간섭 구간을 확인하고, 상기 분할한 서브 영역들의 할당이 초기 할당이 아닐 경우 상기 간섭 구간을 확인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할당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한 서브 영역들의 할당이 초기 할당이 아닐 경우 이전 프레임에서 데이터 전송 영역과의 오프셋을 확인한 후, 상기 확인한 오프셋에 상응하여 현재 프레임에서의 데이터 전송 영역을 결정하는 것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할당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을 확인하는 과정은, 셀 내에 존재하는 이동 단말기들과 송수신할 데이터 정보에 상응하여 하향링크(DownLink) 데이터 전송 영역과 상향링크(UpLink) 데이터 전송 영역의 오프셋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할당 방법.
  30.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시스템에 있어서,
    제1통신 방식과 제2통신 방식에 상응한 제1셀에서의 데이터 전송 영역과 상기 제1셀과 인접하며 상기 제1통신 방식과 상기 제2통신 방식에 상응한 제2셀에서의 데이터 전송 영역을 비교하여 간섭 구간을 확인하고, 상기 간섭 구간을 기준으로 데이터 전송 영역을 다수의 서브 영역들로 분할한 후, 상기 분할한 서브 영역들을 해당 이동 단말기들에게 할당하는 기지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할당 시스템.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신 방식은 시분할 듀플렉싱(TDD: Time Division Duplexing)이고, 상기 제2통신 방식은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FDD: Frequency Division Duplex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할당 시스템.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1셀과 상기 제2셀의 데이터 전송 영역을 제1주파수 대역에서 하향링크(DownLink) 데이터 전송 영역과 상향링크(UpLink) 데이터 전송 영역, 및 제2주파수 대역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영역으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할당 시스템.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1주파수 대역에서의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영역을 상기 간섭 구간을 포함하는 서브 영역들과 상기 간섭 구간을 포함하지 않는 서브 영역들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자원 할당 시스템.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각 이동 단말기들의 링크 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분할한 서브 영역들을 해당 이동 단말기들에게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할당 시스템.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각 이동 단말기들 중 링크 상태가 열악한 이동 단말기에게 상기 간섭 구간을 포함하지 않는 서브 영역들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할당 시스템.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각 이동 단말기들 중 릴레이 경로를 제공받는 이동 단말기에게 상기 간섭 구간을 포함하지 않는 서브 영역들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할당 시스템.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구간을 포함하지 않는 서브 영역들을 할당받은 이동 단말기에게 릴레이 경로를 제공하는 중계국을 포함하며, 상기 중계국은 상기 제2주파수 대역에서의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영역을 할당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할당 시스템.
  38.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각 이동 단말기들의 위치 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분할한 서브 영역들을 해당 이동 단말기들에게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할당 시스템.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각 이동 단말기들 중 셀의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기에게 상기 간섭 구간을 포함하지 않는 서브 영역들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할당 시스템.
  40.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1셀과 상기 제2셀의 데이터 전송 영역을 제1주파수 대역에서 하향링크(DownLink) 데이터 전송 영역과 상향링크(UpLink) 데이터 전송 영역, 및 제2주파수 대역에서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 영역과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영역으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할당 시스템.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2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1셀의 하향링크 데이터 전 송 영역과 상기 제2셀의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 영역, 및 상기 제1셀의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영역과 상기 제2셀의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영역을 각각 동일 시구간 동안 존재하도록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할당 시스템.
  42.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1주파수 대역에서의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영역을 상기 간섭 구간을 포함하는 서브 영역들과 상기 간섭 구간을 포함하지 않는 서브 영역들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자원 할당 시스템.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각 이동 단말기들의 링크 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분할한 서브 영역들을 해당 이동 단말기들에게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할당 시스템.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각 이동 단말기들 중 링크 상태가 열악한 이동 단말기에게 상기 간섭 구간을 포함하지 않는 서브 영역들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할당 시스템.
  45.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각 이동 단말기들 중 릴레이 경로를 제공받는 이동 단말기에게 상기 간섭 구간을 포함하지 않는 서브 영역들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할당 시스템.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구간을 포함하지 않는 서브 영역들을 할당받은 이동 단말기에게 릴레이 경로를 제공하는 중계국을 포함하며, 상기 중계국은 상기 제2주파수 대역에서의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 영역과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영역을 할당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할당 시스템.
  47.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각 이동 단말기들의 위치 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분할한 서브 영역들을 해당 이동 단말기들에게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할당 시스템.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각 이동 단말기들 중 셀의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기에게 상기 간섭 구간을 포함하지 않는 서브 영역들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할당 시스템.
  49.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영역을 다수의 서브 영역들로 분할하는 과정은, 상기 간섭 구간을 포함하는 서브 영역들과 상기 간섭 구간을 포함하지 않는 서브 영역들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자원 할당 방법.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각 이동 단말기들의 링크 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분할한 서브 영역들을 해당 이동 단말기들에게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할당 시스템.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각 이동 단말기들 중 링크 상태가 열악한 이동 단말기에게 상기 간섭 구간을 포함하지 않는 서브 영역들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할당 시스템.
  52.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각 이동 단말기들 중 릴레이 경로를 제공받는 이동 단말기에게 상기 간섭 구간을 포함하지 않는 서브 영역들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할당 시스템.
  53.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각 이동 단말기들의 위치 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분할한 서브 영역들을 해당 이동 단말기들에게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할당 시스템.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각 이동 단말기들 중 셀의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기에게 상기 간섭 구간을 포함하지 않는 서브 영역들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할당 시스템.
  55.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구간은, 상기 제1셀에서의 데이터 전송 영역과 상기 제2셀에서의 데이터 전송 영역의 하향링크(DownLink) 데이터 전송 영역과 상향링크(UpLink) 데이터 전송 영역의 교차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할당 시스템.
  56.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분할한 서브 영역들의 할당이 초기 할당일 경우 상기 간섭 구간을 확인하고, 상기 분할한 서브 영역들의 할당이 초기 할당이 아닐 경우 상기 간섭 구간을 확인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할당 시스템.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분할한 서브 영역들의 할당이 초기 할당이 아닐 경우 이전 프레임에서 데이터 전송 영역과의 오프셋을 확인한 후, 상기 확인한 오프셋에 상응하여 현재 프레임에서의 데이터 전송 영역을 결정하는 것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할당 시스템.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셀 내에 존재하는 이동 단말기들과 송수신할 데이터 정보에 상응하여 하향링크(DownLink) 데이터 전송 영역과 상향링크(UpLink) 데이터 전송 영역의 오프셋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할당 시스템.
KR1020060106555A 2006-10-31 2006-10-31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및 시스템 KR200800389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6555A KR20080038967A (ko) 2006-10-31 2006-10-31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6555A KR20080038967A (ko) 2006-10-31 2006-10-31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8967A true KR20080038967A (ko) 2008-05-07

Family

ID=39647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6555A KR20080038967A (ko) 2006-10-31 2006-10-31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38967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47538A2 (en) * 2008-10-22 2010-04-2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pping resource uni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0093202A2 (ko) * 2009-02-13 2010-08-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자원 분할에 기반한 릴레이 시스템
US8204021B2 (en) 2008-10-22 2012-06-1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of subchanneliz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208441B2 (en) 2008-10-22 2012-06-26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mapping resource uni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432860B2 (en) 2008-10-22 2013-04-3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pping resource uni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60067441A (ko) * 2014-12-04 2016-06-1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셀제어장치 및 셀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47538A2 (en) * 2008-10-22 2010-04-2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pping resource uni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0047538A3 (en) * 2008-10-22 2010-07-2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pping resource uni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204021B2 (en) 2008-10-22 2012-06-1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of subchanneliz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204020B2 (en) 2008-10-22 2012-06-1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pping resource uni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208441B2 (en) 2008-10-22 2012-06-26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mapping resource uni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432860B2 (en) 2008-10-22 2013-04-3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pping resource uni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0093202A2 (ko) * 2009-02-13 2010-08-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자원 분할에 기반한 릴레이 시스템
WO2010093202A3 (ko) * 2009-02-13 2010-11-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자원 분할에 기반한 릴레이 시스템
US8902807B2 (en) 2009-02-13 2014-12-0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Relay system based on resource allocation
KR20160067441A (ko) * 2014-12-04 2016-06-1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셀제어장치 및 셀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5546B1 (ko) 노드들 사이의 무선 데이터 프레임 구조
KR20070098283A (ko)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및 시스템
EP1806884B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a communication system
US8265547B2 (en) Resource management and interference mitigation techniques for relay-based wireless netoworks
EP3094123B1 (en) Measurement-assisted dynamic frequency-reuse in cellular telecommuncations networks
US8953476B2 (en) Method and apparatuses for data transfer within a relay enhanced telecommunication network
US8738016B2 (en) Scheduling method, wireless base station, and wireless terminal
RU2414063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оддержки релейной службы в многозвенной релейной системе связи с широкополосным беспроводным доступом
US8121549B2 (en) Method and system for allocating resource in a communication system
US20060126546A1 (en) Enhanced hybrid duplexing technology-bas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7008150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frame to support multilink in multi-hop relay cellular network
US9844048B2 (en) Resource alloc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WO2011136082A1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無線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KR101540815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위한 무선자원의 관리 방법
JP2006141038A (ja) 広帯域無線接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ハンドオーバー方法及びシステム
AU2006350924A1 (en)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s
US20070036123A1 (e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WO2012147296A1 (ja) 中継局、基地局、送信方法、及び受信方法
WO2010076773A2 (en)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system
WO2012147293A1 (ja) 中継局、基地局、送信方法、及び受信方法
KR20080038967A (ko)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10378A (ko)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인접 셀 간 간섭을 회피하기 방법 및 장치
EP2245875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communications in a wireless network using different re-use schemes
KR2008003557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중복 사용 방법 및 이를 위한기지국시스템
KR20080038966A (ko)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