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7922A - 발광 소자 - Google Patents

발광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7922A
KR20080037922A KR1020060105217A KR20060105217A KR20080037922A KR 20080037922 A KR20080037922 A KR 20080037922A KR 1020060105217 A KR1020060105217 A KR 1020060105217A KR 20060105217 A KR20060105217 A KR 20060105217A KR 20080037922 A KR20080037922 A KR 200800379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display data
frames
frame
reg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5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영준
김학수
백수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5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37922A/ko
Publication of KR20080037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79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74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using sub-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2The addressing of the pixel, in a display other than an active matrix LCD, involving the control of two or more scan electrodes or two or more data electrodes, e.g. pixel voltage dependent on signals of two data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인 패턴이 발생되지 않는 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발광 소자는 패널 및 드라이버를 포함한다. 상기 패널은 데이터 라인들과 스캔 라인들이 교차하는 영역들에 형성되는 복수의 서브 픽셀들을 포함한다.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패널 영역 중 일 스캔 라인에 상응하는 영역을 복수의 영역들로 분리하고, N(2이상의 정수)개의 프레임들을 단위로 하여 상기 분리된 영역별로 휘도 레벨을 각기 조정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들 중 제 L(1이상 N이하의 정수) 프레임에서 상기 영역들 중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의 경계선은 상기 프레임들 중 제 M(1이상 N이하의 정수, L은 아님) 프레임에서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의 경계선과 다른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발광 소자는 서브 픽셀들의 휘도에 영향을 미치는 스캔 라인에 흐르는 총전류량 및 해당 저항을 모두 고려하여 기설정된 프레임 동안 제 1 디스플레이 데이터들을 제 2 디스플레이 데이터들로 변화시키므로, 패널에 라인 패턴이 발생되지 않는다.
Figure P1020060105217
발광 소자, 라인 패턴, 휘도

Description

발광 소자{LIGHT EMITTING DEVICE}
도 1은 종래의 발광 소자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발광 소자를 구동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회로도들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도 3a의 서브 픽셀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 및 4b는 도 3a의 발광 소자를 구동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회로도들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인 패턴 제거를 위한 각종 변수들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b 내지 도 5e는 상기 설정된 변수들에 따른 패널의 화면 구조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f 및 도 5g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역 사이의 경계선의 변화에 따른 휘도 조정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i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인 패턴 제거 과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역 사이의 경계선의 변화에 따른 휘도 조정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발광 소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라인 패턴이 발생되지 않는 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
발광 소자는 소정 전류 또는 전압이 제공되는 경우 소정 파장을 가지는 빛을 발생시킨다.
도 1은 종래의 발광 소자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발광 소자는 패널(100), 제어부(102), 제 1 스캔 구동부(104), 제 2 스캔 구동부(106) 및 데이터 구동부(108)를 포함한다.
패널(100)은 데이터 라인들(D1 내지 D6)과 스캔 라인들(S1 내지 S4)이 교차하는 발광 영역들에 형성되는 복수의 서브 픽셀들(E11 내지 E64)을 포함한다. 여기서, 3개의 서브 픽셀들은 1개의 픽셀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픽셀(110)은 1개의 레드 서브 픽셀(E11), 1개의 그린 서브 픽셀(E21) 및 1개의 블루 서브 픽셀(E31)로 이루어진다.
제어부(102)는 외부 장치(미도시)로부터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스캔 구동부들(104 및 106) 및 데이터 구동부(108)를 제어한다.
제 1 스캔 구동부(104)는 제 1 스캔 신호들을 스캔 라인들(S1 내지 S4) 중 일부, 예를 들어 S1 및 S3에 전송한다.
제 2 스캔 구동부(106)는 제 2 스캔 신호들을 나머지 스캔 라인들(S2 및 S4)에 전송한다.
데이터 구동부(108)는 복수의 전류원들(IS1 내지 IS6)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에 상응하며 전류원들(IS1 내지 IS6)로부터 출력된 데이터 전류들을 데이터 라인들(D1 내지 D6)에 제공한다.
이하, 종래의 발광 소자를 구동시키는 과정을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발광 소자를 구동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회로도들이다.
우선,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스캔 라인(S1)이 접지에 연결되고, 나머지 스캔 라인들(S2 내지 S4)은 상기 발광 소자의 구동 전압(Vcc)과 동일한 크기의 전압(V1)을 가지는 비발광원에 연결된다.
이어서, 제 1 디스플레이 데이터에 상응하는 데이터 전류들(I11 내지 I61)이 데이터 라인들(D1 내지 D6)에 제공된다. 이 경우, 데이터 전류들(I11 내지 I61)은 데이터 라인들(D1 내지 D6), 서브 픽셀들(E11 내지 E6l) 및 제 1 스캔 라인(S1)을 통하여 상기 접지로 흐르며, 그래서 제 1 스캔 라인(S1)과 관련된 서브 픽셀들(E11 내지 E61)이 발광한다.
계속하여, 제 2 스캔 라인(S2)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지에 연결되고, 나머지 스캔 라인들(S1, S3 및 S4)이 상기 비발광원에 연결된다.
그런 후,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데이터 이후 제어부(102)에 입력된 제 2 디스플레이 데이터에 상응하는 데이터 전류들(I12 내지 I62)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라인들(D1 내지 D6)에 제공된다. 이 경우, 데이터 전류들(I12 내지 I62)은 데이터 라인들(D1 내지 D6), 서브 픽셀들(E12 내지 E62) 및 제 2 스캔 라인(S2)을 통하여 상기 접지로 흐르며, 그래서 제 2 스캔 라인(S2)과 관련된 서브 픽셀들(E12 내지 E62)이 발광한다.
이어서, 제 3 스캔 라인(S3)이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지에 연결되고, 나머지 스캔 라인들(S1, S2 및 S4)이 상기 비발광원에 연결된다.
계속하여,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데이터 이후 제어부(102)에 입력된 제 3 디스플레이 데이터에 상응하는 데이터 전류들(I13 내지 I63)이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라인들(D1 내지 D6)에 제공된다. 이 경우, 데이터 전류들(I13 내지 I63)은 데이터 라인들(D1 내지 D6), 서브 픽셀들(E13 내지 E63) 및 제 3 스캔 라인(S3)을 통하여 상기 접지로 흐르며, 그래서 제 3 스캔 라인(S3)과 관련된 서브 픽셀들(E13 내지 E63)이 발광한다.
위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제 4 스캔 라인(S4)과 관련된 서브 픽셀들(E14 내지 E64)이 발광한다. 이어서, 서브 픽셀들(E11 내지 E64)이 위와 같은 방식으로 프 레임 단위, 즉 스캔 라인들(S1 내지 S4) 단위로 반복적으로 발광한다.
이하, 서브 픽셀들(E11 및 E12)의 휘도차를 살펴보겠다. 다만, 서브 픽셀의 휘도가 상기 서브 픽셀의 캐소드 전압, 즉 해당 데이터 전류와 상기 서브 픽셀에 상응하는 저항에 영향을 받으므로, 우선, 서브 픽셀들(E11 내지 E64)과 상기 접지 사이의 저항을 살펴보겠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서브 픽셀(E11)과 상기 접지 사이의 저항은 스캔 저항(RS)이고, 서브 픽셀(E21)과 상기 접지 사이의 저항은 RS+RP이며, 서브 픽셀(E31)과 상기 접지 사이의 저항은 RS+2RP이다. 또한, 서브 픽셀(E41)과 상기 접지 사이의 저항은 RS+3RP이고, 서브 픽셀(E51)과 상기 접지 사이의 저항은 RS+4RP이며, 서브 픽셀(E61)과 상기 접지 사이의 저항은 RS+5RP이다.
또한, 서브 픽셀(E12)과 상기 접지 사이의 저항은 RS+5RP이다.
다음으로, 서브 픽셀들(E11 및 E12)의 휘도차에 대하여 상술하겠다. 다만, 데이터 전류들(I11 내지 I61)을 각기 3A, 3A, 0A, 0A, 3A 및 3A로 하고, 데이터 전류들(I12 내지 I62)을 각기 3A, 3A, 0A, 0A, 3A 및 3A로 가정하자. 즉, 제 1 스캔 라인(S1)에 흐르는 총전류량과 제 2 스캔 라인(S2)에 흐르는 총전류량이 동일하다.
여기서, 캐소드 전압은 해당 서브 픽셀과 상기 접지 사이의 저항과 해당 스캔 라인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의 곱에 해당하는 값을 가지므로, 서브 픽셀(E11)의 캐소드 전압(VC11)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A(3A+3A+0A+0A+3A+3A)×(RS)]이 고, 서브 픽셀(E21)의 캐소드 전압(VC21)은 [12A(3A+3A+0A+0A+3A+3A)×(RS)+9A(3A+0A+0A+3A+3A)×RP]이다. 또한, 서브 픽셀(E31)의 캐소드 전압(VC31)은 [12A(3A+3A+0A+0A+3A+3A)×(RS)+9A(3A+0A+0A+3A+3A)×RP+6A(0A+0A+3A+3A)×RP]이며, 서브 픽셀(E41)의 캐소드 전압(VC41)은 [12A(3A+3A+0A+0A+3A+3A)×(RS)+9A(3A+0A+0A+3A+3A)×RP+6A(0A+0A+3A+3A)×RP+6A(0A+3A+3A)×RP]이다. 게다가, 서브 픽셀(E51)의 캐소드 전압(VC51)은 [12A(3A+3A+0A+0A+3A+3A)×(RS)+9A(3A+0A+0A+3A+3A)×RP+6A(0A+0A+3A+3A)×RP+6A(0A+3A+3A)×RP+6A(3A+3A)×RP]이며, 서브 픽셀(E61)의 캐소드 전압(VC61)은 [12A(3A+3A+0A+0A+3A+3A)×(RS)+9A(3A+0A+0A+3A+3A)×RP+6A(0A+0A+3A+3A)×RP+6A(0A+3A+3A)×RP+6A(3A+3A)×RP+3A×RP]이다.
이하, 제 2 스캔 라인(S2)에 관련된 서브 픽셀(E12)의 캐소드 전압들(VC12)을 구해보면, 서브 픽셀(E12)의 캐소드 전압(VC12)은 [12A(3A+3A+0A+0A+3A+3A)×(RS)+9A(3A+0A+0A+3A+3A)×RP+6A(0A+0A+3A+3A)×RP+6A(0A+3A+3A)×RP+6A(3A+3A)×RP+3A×RP]이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서브 픽셀(E12)의 캐소드 전압(VC12)이 서브 픽셀(E11)의 캐소드 전압(VC11)보다 크고 서브 픽셀들(E11 및 E12)에 동일한 크기(3A)의 데이터 전류들(I11 및 I12)이 제공되므로, 서브 픽셀(E12)이 서브 픽 셀(E11)보다 어둡게 발광한다. 이 것은 서브 픽셀이 그의 캐소드 전압이 클수록 어둡게 발광하기 때문이다. 즉, 서브 픽셀들(E11 및 E12)이 동일한 휘도로 발광하도록 동일한 크기의 데이터 전류들(I11 및 I12)이 데이터 라인(D1)에 제공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저항들의 차이로 인하여 서브 픽셀(E12)이 서브 픽셀(E11)보다 어둡게 발광한다. 특히, 제 1 스캔 라인(S1)에 관련된 서브 픽셀들(E11 내지 E61)과 제 2 스캔 라인(S2)에 관련된 서브 픽셀들(E12 내지 E62) 중 서브 픽셀들(E11 및 E12) 사이 휘도차와 서브 픽셀들(E61 및 E62) 사이의 휘도차가 가장 크다. 그 결과, 서브 픽셀들(E11 및 E12) 사이 및 서브 픽셀들(E61 및 E62) 사이에 줄무늬가 발생되었으며, 이러한 현상을 라인 패턴(line pattern)이라 한다. 즉, 라인 패턴은 데이터 라인들(D1 내지 D6) 중 최외각 데이터 라인들(D1 및 D6)과 관련된 서브 픽셀들 사이에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라인 패턴이 발생되지 않는 발광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는 패널 및 드라이버를 포함한다. 상기 패널은 데이터 라인들과 스캔 라인들이 교차하는 영역들에 형성되는 복수의 서브 픽셀들을 포함한다.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패널 영역 중 일 스캔 라인에 상응하는 영역을 복수의 영역들로 분리하고, N(2이상의 정수)개의 프레임들을 단위로 하여 상기 분리된 영역별로 휘도 레벨을 각기 조정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들 중 제 L(1이상 N이하의 정수) 프레 임에서 상기 영역들 중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의 경계선은 상기 프레임들 중 제 M(1이상 N이하의 정수, L은 아님) 프레임에서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의 경계선과 다른 위치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라인들과 스캔 라인들이 교차하는 영역들에 형성되는 복수의 서브 픽셀들을 포함하는 패널을 구동시키는 드라이버는 제어부 및 프레임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외부 장치로부터 N(2이상의 정수)개의 프레임들에 상응하는 제 1 디스플레이 데이터들을 수신한다.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된 제 1 디스플레이 데이터들을 분석하여 일 스캔 라인에 흐르는 총전류량을 N개의 프레임들 단위로 하여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총전류량에 따라 상기 패널 영역 중 일 스캔 라인에 상응하는 영역을 복수의 영역들로 분리하며, 상기 프레임들 단위로 하여 상기 분리된 영역별로 휘도 레벨을 각기 조정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들 중 제 L(1이상 N이하의 정수) 프레임에서 상기 영역들 중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의 경계선은 상기 프레임들 중 제 M(1이상 N이하의 정수, L은 아님) 프레임에서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의 경계선과 다른 위치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소자는 서브 픽셀들의 휘도에 영향을 미치는 스캔 라인에 흐르는 총전류량 및 해당 저항을 모두 고려하여 기설정된 프레임 동안 제 1 디스플레이 데이터들을 제 2 디스플레이 데이터들로 변화시키므로, 패널에 라인 패턴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소자는 일 스캔 라인에 해당하는 영역들 사이의 경계선을 프레임 진행 동안 변화시키므로, 휘도 급변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도 3a의 서브 픽셀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발광 소자는 패널(300) 및 드라이버를 포함한다.
상기 드라이버는 제어부(302), 제 1 스캔 구동부(304), 제 2 스캔 구동부(306), 프레임부(308) 및 데이터 구동부(3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PDP (Plasma Dispaly Panel), LCD (Liquid Crystal Display) 등을 포함한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예로 하여 설명하겠다.
패널(300)은 소정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소자로서, 데이터 라인들(D1 내지Dm)과 스캔 라인들(S1 내지 S4)이 교차하는 영역들에 형성되는 복수의 서브 픽셀들(E11 내지 Em4)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3개의 서브 픽셀들이 1개의 픽셀(312)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레드광을 발생시키는 레드 서브 픽셀, 그린광을 발생시키는 그린 서브 픽셀 및 블루광을 발생시키는 블루 서브 픽셀이 1개의 픽셀(312)을 형성한다. 결과적으로, 픽셀(312)은 상기 서브 픽셀들을 조합하여 다양한 색의 광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1개의 픽셀은 레드 서브 픽셀, 그린 서브 픽셀, 블루 서브 픽셀 및 화이트광을 발생시키는 화이트 서브 픽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광 소자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셀(E11 내지 Em4)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미도시) 위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 1 전극층(320), 유기물층(322) 및 제 2 전극층(324)을 포함한다.
제 1 전극층(320)과 제 2 전극층(324) 중 하나는 양의 전극이고, 다른 하나는 음의 전극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에서는, 제 1 전극층(320)은 양의 전극으로서 인듐주석산화물(Indium Tin Oxide)로 이루어지고, 제 2 전극층(324)은 음의 전극으로서 알루미늄(Al)으로 이루어진다.
유기물층(322)은 유기물로 이루어진 발광층(Emitting Layer, EML)을 포함한다.
전극층들(320 및 324)에 양의 전압 및 음의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전극층들(320 및 324)로부터 발생된 정공들 및 전자들이 EML에서 결합하여 여기자(exciton)를 형성하고, 그런 후 여기자가 분해되면서 소정 파장을 가지는 빛이 EML로부터 발생된다.
요컨대, 스캔 라인들(S1 내지 S4)에 스캔 신호들이 전송되고 데이터 라인들(D1 내지 Dm)에 데이터 전류가 제공되는 경우, 서브 픽셀들(E11 내지 Em4)이 발광한다. 다만, 서브 픽셀들(E11 내지 Em4)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 단위로 하나의 픽셀(312)을 형성한다. 즉, 픽셀(312)은 레드 광(red light)에 상응하는 레드 서브 픽셀(E11), 그린 광(green light)에 상응하는 그린 서브 픽셀(E21) 및 블루 광(blue light)에 상응하는 블루 서브 픽셀(E31)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레드 서브 픽셀(E11)은 레드 광에 상응하는 유기물로 이루어진 유기물층을 포함하고, 그린 서브 픽셀(E21)은 그린 광에 상응하는 유기물로 이루어진 유기물층을 포함하며, 블루 서브 픽셀(E31)은 블루 광에 상응하는 유기물로 이루어진 유기물층을 포함한다.
도 3a를 다시 참조하면, 제어부(302)는 외부 장치(미도시)로부터 제 1 디스플레이 데이터들을 수신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신된 제 1 디스플레이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302)는 상기 수신된 제 1 디스플레이 데이터들을 프레임부(308)에 전송한다.
제 1 스캔 구동부(304)는 스캔 라인들(S1 내지 S4) 중 일부, 예를 들어 S1 및 S3에 제 1 스캔 신호들을 전송하여 스캔 라인들(S1 및 S3)을 선택한다.
제 2 스캔 구동부(306)는 나머지 스캔 라인들(S2 및 S4)에 제 2 스캔 신호들을 전송하여 스캔 라인들(S2 및 S4)을 선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캔 구동부들(304 및 306)은 스캔 라인들(S1 내지 S4)에 스캔 신호들을 전송하여 스캔 라인들(S1 내지 S4)을 순차적으로 선택한다.
프레임부(308)는 제어부(302)로부터 전송된 제 1 디스플레이 데이터들을 통하여 각 스캔 라인들(S1 내지 S4)에 흐르는 총전류량들을 N(2이상의 정수)개의 프 레임들을 단위로 하여 검출한다. 그런 후, 프레임부(308)는 상기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데이터들의 휘도 레벨들을 조정하여 제 2 디스플레이 데이터들을 생성한다. 여기서, 1개의 프레임은 패널(300)에 디스플레이되는 일 화면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각 스캔 라인들(S1 내지 S4)은 상기 스캔 신호들에 의해 매 프레임마다 한번씩 선택되며, 그래서 스캔 라인들(S1 내지 S4)과 관련된 서브 픽셀들(E11 내지 Em4)이 매 프레임마다 한번씩 발광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데이터 구동부(310)는 복수의 전류원들(IS1 내지 ISm)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데이터들에 상응하며 전류원들(IS1 내지 ISm)로부터 출력된 데이터 전류들을 데이터 라인들(D1 내지 Dm)에 제공하며, 그래서 서브 픽셀들(E11 내지 Em4)이 발광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발광 소자를 구동시키는 과정을 도 4a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도 4a 및 4b는 도 3a의 발광 소자를 구동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회로도들이다.
우선,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스캔 라인(S1)이 발광원, 바람직하게는 접지에 연결되고, 나머지 스캔 라인들(S2 내지 S4)은 상기 발광 소자의 구동 전압(Vcc)과 동일한 크기의 전압(V1)을 가지는 비발광원에 연결된다.
이어서, 프레임부(308)에 의해 생성된 제 2-1 디스플레이 데이터에 상응하는 데이터 전류들(I11 내지 Im1)이 데이터 라인들(D1 내지 Dm)에 제공된다. 이 경우, 데이터 전류들(I11 내지 Im1)은 데이터 라인들(D1 내지 Dm), 서브 픽셀들(E11 내지 Eml) 및 제 1 스캔 라인(S1)을 통하여 상기 발광원으로 흐르며, 그래서 제 1 스캔 라인(S1)과 관련된 서브 픽셀들(E11 내지 Em1)이 발광한다.
계속하여, 제 2 스캔 라인(S2)이 상기 발광원에 연결되고, 나머지 스캔 라인들(S1, S3 및 S4)이 상기 비발광원에 연결된다.
그런 후, 상기 제 2-1 디스플레이 데이터 이후 프레임부(308)로부터 생성된 제 2-2 디스플레이 데이터에 상응하는 데이터 전류들(I12 내지 Im2)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라인들(D1 내지 Dm)에 제공된다. 이 경우, 데이터 전류들(I12 내지 Im2)은 데이터 라인들(D1 내지 Dm), 서브 픽셀들(E12 내지 Em2) 및 제 2 스캔 라인(S2)을 통하여 상기 발광원으로 흐르며, 그래서 제 2 스캔 라인(S2)과 관련된 서브 픽셀들(E12 내지 Em2)이 발광한다.
위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제 3 스캔 라인(S3)과 관련된 서브 픽셀들(E13 내지 Em3) 및 제 4 스캔 라인(S4)과 관련된 서브 픽셀들(E14 내지 Em4)이 발광한다. 이어서, 픽셀들(E11 내지 Em4)이 위와 같은 방식으로 프레임 단위, 즉 스캔 라인들(S1 내지 S4) 단위로 반복적으로 발광한다.
요컨대, 본 발명의 발광 소자는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제 1 디스플레이 데이터들을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라인 패턴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데이터들을 변환시켜 생성된 제 2 디스플레이 데이터들을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발광 소자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데이터들의 휘도 레벨을 다운(down)시켜 제 2 디스플레이 데이터들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 2 디스플레이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서브 픽셀들(E11 내지 Em4)을 발광시킨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인 패턴 제거를 위한 각종 변수들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b 내지 도 5e는 상기 설정된 변수들에 따른 패널의 화면 구조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f 및 도 5g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역 사이의 경계선의 변화에 따른 휘도 조정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우선, 각 스캔 라인들(S1 내지 S4)에 흐르는 전류들을 기설정된 프레임(예를 들어, 4 프레임) 단위로 합하여 총전류량들을 계산하고, 상기 총전류량들을 통하여 각 스캔 라인들(S1 내지 S4)에 해당하는 전류 변수를 결정한다(S500). 예를 들어, 제 1 프레임에서 제 1 스캔 라인(S1)에 흐르는 전류로부터 제 4 프레임에서 제 1 스캔 라인(S1)에 흐르는 전류까지 합하여 4 프레임들 동안 제 1 스캔 라인(S1)에 흐르는 총전류량을 계산하여 전류 변수를 결정한다.
이어서, 프레임부(308)는 상기 총전류량을 통하여 패턴 형태 변수를 결정한다(S502). 예를 들어, 해당 스캔 라인(예를 들어, S1)의 총전류량이 커서 상기 스캔 라인(S1)과 관련된 서브 픽셀들의 휘도차가 큰 경우, 패널(300) 영역 중 상기 스캔 라인(S1)에 상응하는 영역(A1 내지 A3)을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분적으로 분리시킨다. 반면에, 해당 스캔 라인(예를 들어, S2)의 총전류량이 작아서 상기 스캔 라인(S2)과 관련된 서브 픽셀들의 휘도차가 작은 경우 패널(300) 영역 중 상기 스캔 라인(S2)에 상응하는 영역(A4 및 A5)을 적게 분리시키거나 분리시키지 않 는다.
계속하여, 상기 총전류량 및 패턴 형태에 따라 레벨 상수가 결정된다(S504).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라인 패턴은 이웃하는 스캔 라인들에 관련된 서브 픽셀들 사이의 휘도차에 의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광 소자는 이웃하는 스캔 라인들과 관련된 서브 픽셀들 중 더 밝게 빛나는 서브 픽셀의 휘도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서브 픽셀과 관련된 제 1 디스플레이 데이터의 레벨을 다운시켜 다운된 레벨을 가지는 제 2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 2 디스플레이 데이터에 상응하는 데이터 전류를 상기 서브 픽셀에 제공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서브 픽셀들의 휘도가 동일해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발광 소자는 상기 서브 픽셀들의 휘도차를 프레임마다 계속하여 보상하지는 않고, 복수의 프레임들 단위로 하여 상기 서브 픽셀들의 휘도차를 보상한다. 이 것은 사람의 시각적 특성상 사람들이 패널(300)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프레임별로 개별적으로 인지하지 못하고, 복수의 프레임들을 하나로 하여 인지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상기 서브 픽셀들의 휘도차가 4 프레임 동안 3레벨 차이를 가지는 경우, 본 발명의 발광 소자는 상기 서브 픽셀들 중 더 높은 휘도를 가지는 서브 픽셀의 휘도 레벨을 4 프레임 동안 3레벨 낮추도록 레벨 상수를 3으로 설정한다.
이어서, 프레임율 제어 변수가 설정되고(S506), 그런 후 프레임 레벨 제어 변수가 설정된다(S508).
요컨대, 본원 발명의 발광 소자에서, 일 스캔 라인에 흐르는 총전류량에 따라 각종 변수를 설정하여 영역별 휘도차를 제거한다. 다만, 일 스캔 라인과 관련된 영역들 사이의 경계선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이 진행하는 동안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캔 라인(S1)과 관련된 영역들(A1 내지 A3) 사이의 경계선이 도 5b 내지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이 진행되는 동안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점선은 제 1 프레임에서의 경계선을 의미하고 실선은 새롭게 설정된 경계선을 의미한다.
이하, 영역들 사이의 경계선이 프레임이 진행하는 동안 달라지지 않는 경우와 달라지는 경우로 나누어 상기 영역들 사이의 휘도 변화를 살펴보겠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영역들(A1 및 A2) 사이의 휘도 변화를 예로 하겠다.
우선, 영역들(A1 및 A2)의 경계선이 제 1 프레임으로부터 제 4 프레임까지 변화되지 않으면, 영역들(A1 및 A2) 사이의 휘도 변화는 도 5f에서와 같이 상기 경계선에서 갑자기 큰 폭으로 변화된다. 이 경우, 사람들은 이러한 갑작스러운 휘도 변화를 인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눈에 피로감을 느낄 수 있다. 이하, 이러한 현상을 휘도 급변 현상이라고 하겠다.
다음으로, 영역들(A1 및 A2)의 경계선이 도 5b 내지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프레임으로부터 제 4 프레임까지 변화되면, 경계선 사이의 휘도 변화가 도 5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별로 이루어지며, 그래서 사람들이 이러한 휘도 변화를 인지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광 소자는 휘도 급변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영역들 사이의 경계선을 프레임 진행에 따라 변화시킨다. 다만, 이러한 경계선의 변화 방 향은 스캔 라인의 배열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스캔 라인들(S1 및 S3)에서는, 왼쪽에 위치하는 영역일 수록 해당 영역과 발광원 사이의 저항이 작아지므로, 왼쪽에 위치하는 영역일 수록 해당 영역의 휘도 레벨의 다운이 크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프레임 진행 동안 영역들의 경계선을 오른쪽 방향으로 변화시킨다.
반면에, 스캔 라인들(S2 및 S4)에서는, 오른쪽에 위치하는 영역일 수록 해당 영역과 발광원 사이의 저항이 작아지므로, 오른쪽에 위치하는 영역일 수록 해당 영역의 휘도 레벨의 다운이 크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프레임 진행 동안 영역들의 경계선을 왼쪽 방향으로 변화시킨다.
물론, 스캔 라인들(S1 및 S3)에서 경계선의 변화를 왼쪽 방향으로 변화시키고, 스캔 라인들(S2 및 S4)에서 경계선의 변화를 오른쪽 방향으로 변화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역들 사이의 경계선들의 위치는 전 프레임들 동안 각기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캔 라인(S1)과 관련된 영역들 중 A1과 A2 사이의 경계선의 위치는 전 프레임들(예를 들어, 4 프레임들) 동안 위에 도시된 도면들과 같이 각기 다를 수 있다.
이하, 프레임 변화에 따른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휘도 레벨 변화를 도 6a 내지 도 6i를 참조하여 자세히 상술하겠다.
도 6a 내지 도 6i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인 패턴 제거 과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우선, 라인 패턴을 제거할 수 있도록, 즉 이웃하는 스캔 라인들과 관련된 서 브 픽셀들의 휘도 차이가 발생되지 않도록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변수들이 설정된다.
첫번째로, 제 1 스캔 라인(S1)과 관련된 변수들을 살펴보자.
프레임부(308)는 제 1 스캔 라인(S1)에 상응하는 총전류량을 통하여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을 결정하고, 즉 제 1 스캔 라인(S1)과 관련된 영역을 A1, A2 및 A3 영역으로 분리한다.
이어서, 상기 총전류량과 제 1 스캔 라인(S1)에 상응하는 저항들을 고려하여 아래와 같이 패턴, 프레임율 및 프레임 레벨을 설정한다.
상세하게는, 제 1 스캔 라인(S1)이 패널(300)의 좌측 방향으로 형성되어서 A1과 발광원 사이의 저항(이하, 소정 면적과 발광원 사이의 저항을 "해당 영역에 상응하는 저항"이라 함)이 다른 영역들(A2 및 A3)에 상응하는 저항들보다 작고, 그래서 동일한 크기의 데이터 전류들이 A1 내지 A3에 제공되는 경우 A1이 A2 및 A3 영역에 비하여 밝게 발광한다. 따라서, A1, A2 및 A3 영역의 순서로 휘도 레벨이 낮아지도록 패턴(pattern)은 좌로 설정된다. 결과적으로, A1의 휘도 레벨이 가장 많이 다운되고, A2는 중간 레벨로 휘도 레벨을 다운되며, A3 영역의 휘도는 그대로 유지하거나 가장 적게 다운된다. 다만, 프레임부(308)는 영역들(A1, A2 및 A3)의 경계선을 오른쪽 방향으로 변화시킨다.
다음으로, 프레임율과 프레임 레벨이 각기 2로 설정되고, 그래서 8 프레임 중 2 프레임 동안 해당 영역의 휘도가 2레벨 낮추어진다. 상세하게는, 프레임부(308)는 도 6e 및 도 6i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프레임들 동안, 즉 제 4 프레임 및 제 8 프레임 동안 제 1 디스플레이 데이터(RdGdBd)의 휘도 레벨을 2레벨 낮춘다. 그 결과, A1 영역에 존재하는 서브 픽셀들의 휘도 레벨이 제 4 프레임 및 제 8 프레임 동안 Rd -2Gd -2Bd -2로서 2레벨 낮추어지고, A2 영역에 존재하는 서브 픽셀들의 휘도 레벨이 제 4 프레임 및 제 8 프레임 동안 Rd -1Gd -1Bd -1로서 1레벨 낮추어진다. 따라서, 패널(300) 영역 중 제 1 스캔 라인(S1)에 상응하는 영역(A1 내지 A3)의 휘도가 동일하여진다.
둘째로, 제 2 스캔 라인(S2)과 관련된 변수들을 살펴보자.
프레임부(308)는 제 2 스캔 라인(S2)에 상응하는 총전류량을 통하여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패턴을 결정하고, 그래서 제 2 스캔 라인(S2)과 관련된 영역을 A4 및 A5 영역으로 분리한다.
이어서, 상기 총전류량과 제 2 스캔 라인(S2)에 상응하는 저항들을 고려하여 아래와 같이 패턴, 프레임율 및 프레임 레벨을 설정한다.
제 2 스캔 라인(S2)이 패널(300)의 우측 방향으로 형성되어서 A5에 상응하는 저항이 A4 영역에 상응하는 저항보다 작고, 그래서 동일한 크기의 데이터 전류들이 A4 및 A5에 제공되는 경우 A5 영역이 A4 영역보다 더 밝게 발광한다. 따라서, 패턴을 우로 설정한다.
다음으로, 프레임율과 프레임 레벨은 3과 1이며, 그래서 해당 영역의 휘도가 8 프레임 중 3 프레임 동안 1레벨씩 낮추어진다. 상세하게는, 프레임부(308)는 도 6c, 도 6e 및 도 6i에 도시된 바와 같이 3 프레임들 동안, 즉 제 2 프레임, 제 4 프레임 및 제 8 프레임 동안 제 1 디스플레이 데이터(RdGdBd)의 휘도 레벨을 1레벨 낮춘다. 그 결과, A5 영역에 존재하는 서브 픽셀들의 휘도 레벨이 제 2, 4 및 8 프레임들 동안 Rd -1Gd -1Bd -1로서 1레벨 낮추어진다. 따라서, 패널(300) 영역 중 제 2 스캔 라인(S1)에 상응하는 영역(A4 및 A5)의 휘도가 동일하여진다. 다만, 프레임부(308)는 영역들(A4 및 A5)의 경계선을 왼쪽 방향으로 변화시킨다.
요컨대, 본 발명의 발광 소자는 해당 영역에 제공되는 전류와 저항을 고려하여 각종 변수를 설정하여 해당 영역들의 휘도를 동일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 발광 소자는 일 스캔 라인에 해당하는 영역들의 휘도를 동일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스캔 라인들에 해당하는 영역들의 휘도도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이하, 제 1 스캔 라인(S1)에 해당하는 영역들(A1 내지 A3)의 휘도와 제 2 스캔 라인(S2)에 해당하는 영역들(A4 및 A5)의 휘도를 비교하겠다.
서브 픽셀의 휘도는 해당 스캔 라인으로 흐르는 총전류량과 상기 서브 픽셀에 상응하는 저항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그 결과, 종래의 발광 소자에서는, 제 1 스캔 라인(S1) 및 제 2 스캔 라인(S2)에 상응하는 서브 픽셀들, 예를 들어 E11 및 E12에 동일한 크기의 데이터 전류가 제공되는 경우, 서브 픽셀들(E11 및 E12)에 상응하는 저항들의 차이로 인하여 E11이 E12보다 더 밝게 발광하여 서브 픽셀들(E11 및 E12) 사이에 라인 패턴이 발생되었다.
반면에, 본 발명의 발광 소자에서, 프레임부(308)는 E11이 E12보다 밝게 발광하므로 E11에 제공되는 제 1 데이터 전류(I11)가 E12에 제공되는 제 2 데이터 전 류(I12)보다 작도록 E11에 제공되는 제 1 데이터 전류(I11)의 휘도 레벨을 다운시킨다. 다만, 본 발명의 발광 소자는 기설정된 프레임, 예를 들어 8 프레임 전체를 통하여 E11에 상응하는 제 1 데이터 전류(I11)의 휘도 레벨을 다운시킨다. 그 결과, E11 및 E12의 휘도가 동일하여지고, 그래서 서브 픽셀들(E11 및 E12) 사이에 라인 패턴이 발생되지 않는다.
즉, 제 1 스캔 라인(S1)에 상응하는 서브 픽셀들(E11 내지 Em1)과 제 2 스캔 라인(S2)에 상응하는 서브 픽셀들(E12 내지 Em2) 사이에 휘도차가 발생되지 않는다.
위에서 상술한 방법과 동일하게, 프레임부(308)는 라인 패턴이 발생되지 않도록 제 3 스캔 라인(S3) 및 제 4 스캔 라인(S4)에 상응하는 패턴, 프레임율 및 프레임 레벨을 설정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발광 소자는 패널(700), 제어부(702), 스캔 구동부(704), 프레임부(706) 및 데이터 구동부(708)를 포함한다.
스캔 구동부(704)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 요소들은 제 1 실시예의 구성 요소들과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스캔 구동부(704)는 제 1 실시예와 달리 일방향에서 스캔 신호들을 스캔 라인들(S1 내지 S4)에 전송한다.
위의 실시예들에서, 라인 패턴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1 디스플레이 데이터의 휘도 레벨을 낮추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제 1 디스플레이 데이터의 휘도 레벨을 높이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이 경우에는, 휘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영역들의 휘도 레벨을 낮추는 것이 아니라 휘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들의 휘도 레벨을 높여서 라인 패턴의 발생을 방지한다.
또한, 위의 실시예들에서, 영역들 사이의 경계선이 일정한 방향으로 변화되었으나, 상기 영역들 사이에 갑작스러운 휘도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한 아래의 도 8a 내지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규칙하게 변화될 수 있다.
일 예로, A1과 A2 사이의 경계선을 살펴보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프레임에서 오른쪽으로 변화되었던 경계선의 위치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프레임에서는 왼쪽으로 변화되고,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프레임에서 다시 오른쪽으로 변화될 수 있다.
다른 예로, A1과 A2 사이의 경계선은 전체 프레임들 중 일부 프레임에서만 위치가 변화되고, 나머지 프레임들에서는 위치가 변화되지 않을 수도 있다. 다만, 영역들 사이의 휘도 변화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영역들 사이의 경계선의 위치가 전 프레임들에 걸쳐서 변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컨대, 이러한 경계선의 변화는 일정한 규칙이 없이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경계선의 다양한 변형이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한 사실일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소자는 서브 픽셀들의 휘도에 영향을 미치는 스캔 라인에 흐르는 총전류량 및 해당 저항을 모두 고려하여 기설정된 프레임 동안 제 1 디스플레이 데이터들을 제 2 디스플레이 데이터들로 변화시키므로, 패널에 라인 패턴이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소자는 일 스캔 라인에 해당하는 영역들 사이의 경계선을 프레임 진행 동안 변화시키므로, 휘도 급변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Claims (19)

  1. 데이터 라인들과 스캔 라인들이 교차하는 영역들에 형성되는 복수의 서브 픽셀들을 포함하는 패널; 및
    상기 패널 영역 중 일 스캔 라인에 상응하는 영역을 복수의 영역들로 분리하고, N(2이상의 정수)개의 프레임들을 단위로 하여 상기 분리된 영역별로 휘도 레벨을 각기 조정하는 드라이버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들 중 제 L(1이상 N이하의 정수) 프레임에서 상기 영역들 중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의 경계선은 상기 프레임들 중 제 M(1이상 N이하의 정수, L은 아님) 프레임에서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의 경계선과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는,
    외부 장치로부터 제 1 디스플레이 데이터들을 수신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된 디스플레이 데이터들을 분석하여 상기 각 스캔 라인에 흐르는 총전류량을 N개의 프레임들을 단위로 하여 검출하고, 상기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데이터들을 제 2 디스플레이 데이터들로 변화시키는 프레임부; 및
    상기 변화된 제 2 디스플레이 데이터에 상응하는 데이터 전류들을 상기 데이터 라인들에 제공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소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데이터에 상응하는 휘도 레벨을 조정하여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소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데이터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데이터가 가지는 레벨보다 작거나 같은 레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소자.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패널의 영역 중 일 스캔 라인에 해당하는 영역의 레벨 조정 상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레벨 조정 상수를 N개의 프레임들로 나누어 설정하며, 상기 설정에 따른 제 2 디스플레이 데이터들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소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들의 휘도 레벨은 해당 스캔 라인의 방향에 따라 일정한 방향으로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소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들 사이의 경계선들의 위치는 제 1 프레임으로부터 제 N 프레임까지 프레임들이 변화되는 동안 일정한 방향으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소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라인은 발광시 발광원에 연결되고, 상기 영역들 중 상기 발광원에 근접한 영역의 휘도 레벨이 가장 많이 다운(down)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소자.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의 경계선의 위치는 상기 N개의 프레임들이 진행되는 동안 계속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소자.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의 경계선은 프레임별로 각기 다른 위치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소자.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라인들 중 일부의 배열 방향은 나머지 스캔 라인들과 다른 배열 방향을 가지며,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스캔 라인들에 스캔 신호들을 전송하는 스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소자.
  12.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셀은 유기물로 이루어진 발광층을 가지는 유기물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소자.
  13. 데이터 라인들과 스캔 라인들이 교차하는 영역들에 형성되는 복수의 서브 픽셀들을 포함하는 패널을 구동시키는 드라이버에 있어서,
    외부 장치로부터 N(2이상의 정수)개의 프레임들에 상응하는 제 1 디스플레이 데이터들을 수신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된 제 1 디스플레이 데이터들을 분석하여 일 스캔 라인에 흐르는 총전류량을 N개의 프레임들 단위로 하여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총전류량에 따라 상기 패널 영역 중 일 스캔 라인에 상응하는 영역을 복수의 영역들로 분리하며, 상기 프레임들 단위로 하여 상기 분리된 영역별로 휘도 레벨을 각기 조정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들 중 제 L(1이상 N이하의 정수) 프레임에서 상기 영역들 중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의 경계선은 상기 프레임들 중 제 M(1이상 N이하의 정수, L은 아님) 프레임에서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의 경계선과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검출된 총전류량에 따라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데이터들을 제 2 디스플레이 데이터들로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데이터에 상응하는 데이터 전류들을 상기 데이터 라인들에 제공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데이터들의 휘도 레벨을 다운시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데이터들을 생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검출된 총전류량에 따라 상기 패널의 영역 중 일 스캔 라인에 해당하는 영역의 레벨 조정 상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레벨 조정 상수를 N개의 프레임들로 나누어 설정하며, 상기 설정에 따른 제 2 디스플레이 데이터들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의 경계선의 위치는 상기 N개의 프레임들이 진행되는 동안 계속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의 경계선은 프레임별로 각기 다른 위치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
KR1020060105217A 2006-10-27 2006-10-27 발광 소자 KR200800379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5217A KR20080037922A (ko) 2006-10-27 2006-10-27 발광 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5217A KR20080037922A (ko) 2006-10-27 2006-10-27 발광 소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7922A true KR20080037922A (ko) 2008-05-02

Family

ID=39646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5217A KR20080037922A (ko) 2006-10-27 2006-10-27 발광 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3792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3334A (ko) * 2017-06-30 2019-01-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와 그 게이트 구동 회로
KR20190110661A (ko) * 2018-03-20 2019-10-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변 화소 블록 경계를 가지는 표시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3334A (ko) * 2017-06-30 2019-01-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와 그 게이트 구동 회로
KR20190110661A (ko) * 2018-03-20 2019-10-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변 화소 블록 경계를 가지는 표시 장치
CN110310605A (zh) * 2018-03-20 2019-10-08 三星显示有限公司 具有可变像素块边界的显示设备
CN110310605B (zh) * 2018-03-20 2023-11-10 三星显示有限公司 具有可变像素块边界的显示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59532B2 (en) Four-channel transmissive display system
US10078988B2 (en) Display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method
CN100517435C (zh) 在低亮度级处具有像素到像素的非均匀性改善的有源矩阵显示器
TWI413098B (zh) 顯示裝置
KR100949942B1 (ko) 발광표시장치의 표시방법
US7969428B2 (en) Color display system with improved apparent resolution
EP2321818B1 (en) Method for improving display lifetime
JP4999370B2 (ja) 発光素子
JP5680814B2 (ja) 画像表示装置
KR101547216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0784547B1 (ko) 발광 소자
KR20080037922A (ko) 발광 소자
KR100826004B1 (ko) 발광 소자 및 이를 구동하는 방법
KR100761296B1 (ko) 발광 소자 및 이를 구동하는 방법
KR101046678B1 (ko) 디스플레이 및 그 구동방법
CN111653239A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JP5073920B2 (ja) 固定フォーマット発光型表示装置を較正するための較正方法、および、固定フォーマット発光型表示装置
US20240169902A1 (en) Display device
KR100826003B1 (ko) 발광 소자 및 이를 구동하는 방법
KR100784548B1 (ko) 발광 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