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7376A - 호 전환 플러스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호 전환 플러스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7376A
KR20080037376A KR1020060104411A KR20060104411A KR20080037376A KR 20080037376 A KR20080037376 A KR 20080037376A KR 1020060104411 A KR1020060104411 A KR 1020060104411A KR 20060104411 A KR20060104411 A KR 20060104411A KR 20080037376 A KR20080037376 A KR 20080037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parlay
application server
switch
gate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4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2114B1 (ko
Inventor
강태진
Original Assignee
유엔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엔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엔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4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2114B1/ko
Publication of KR20080037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7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2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2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4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8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received calls from one subscriber to another; Arrangements affording interim conversations between either the calling or the called party and a third par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무선 전화망에서 발생한 호를 VoIP 망으로 착신전환 시키는 호 전환 플러스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통신시스템에서의 호전환 플러스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가입자가 통신시스템 접속 시 파레이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파레이 게이트웨이에 호전환 시 사용할 가입자 트리거 정보를 설정하는 제1단계; 임의의 발신자가 발신 유무선단말을 통해 서비스 가입자의 착신 유무선단말로 발신호 시도 시, 이를 인지한 교환기 또는 소프트 스위치가 상기 가입자 트리거 정보에 의해 상기 파레이 게이트웨이를 통해 파레이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호 개시를 알리는 제2단계; 상기 파레이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상기 서비스 가입자의 사용자단말에 설치되어 로그인된 프로그램으로 상기 착신 유무선단말로의 호 착신을 알리는 제3단계; 상기 파레이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상기 파레이 게이트웨이로 착신호 개시를 다시 알림과 동시에 착신번호를 상기 착신 유무선단말로 설정할 것을 요청하는 제4단계; 상기 파레이 게이트웨이가 교환기 또는 소프트 스위치로 발/착신 유무선단말의 이벤트 알림을 설정하고, 상기 제4단계에서 요청받은 착신번호를 포함한 호 연결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5단계; 상기 호 연결 메시지를 수신한 교환기 또는 소프트 스위치가 착신 유무선단말로 호 착신을 시도하고, 만약 소정시간이 경과된 이후에도 착신 유무선단말이 응답을 하지 않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파레이 게이트웨이로 무응답상태임을 알리는 제6단계; 상기 파레이 게이트웨이가 상기 제6단계에서 전달받은 무응답상태를 파레이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알리면, 상 기 파레이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서비스 가입자의 사용자단말에 설치되어 로그인된 프로그램으로 호가 전환됨을 알림과 동시에 VoIP단말의 IP주소를 상기 파레이 게이트웨이로 전송하여 착신전환을 VoIP단말로 설정해 줄 것을 요청하는 제7단계; 상기 파레이 게이트웨이가 새로운 VoIP단말의 이벤트 알림을 설정하고, 착신전환번호가 포함된 호 연결 메시지를 교환기 또는 소프트 스위치로 전송하는 제8단계; 상기 호 연결 메시지를 수신한 교환기 또는 소프트 스위치가 착신 유무선단말로 호 착신을 시도함에 따라 상기 VoIP단말로부터 응답을 전달받게 되면 상기 파레이 게이트웨이를 통해 파레이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호 연결 상태임을 알리는 제9단계; 통화 이후 호가 종료됨에 따라 교환기 또는 소프트 스위치가 파레이 게이트웨이로 호 종료 상태임을 알리게 되면, 상기 파레이 게이트웨이가 교환기 또는 소프트 스위치에 해당 호 종료를 명령함과 동시에 파레이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호가 종료됨을 알리는 제10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파레이 어플리케이션 서버, 파레이 게이트웨이, 교환기, 소프트 스위치

Description

호 전환 플러스 서비스 방법{Call conversion plus service method}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호 전환 플러스 서비스 망의 구성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호 전환 플러스 서비스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무선통신망 11 : 무선통신 단말기
12 : 이동통신 교환기(MSC) 13 : 홈위치등록기(HLR)
14,24 : 서비스제어기(SCP) 15 : 단문메시지 센터(SMSC)
16,25 : 특수자원 처리기(IP) 20 : 유선통신망
21 : 유선전화기 22 : POTS/xDSL
23 : 서비스교환기(SSP) 30 : VoIP망
31 : VoIP 단말 32 : 소프트 스위치
33 : 신호 게이트웨이 34 : 트렁크 게이트웨이
35 : 액세스 게이트웨이 36 : SIP 어플리케이션 서버
37 : 미디어 서버 40 : 파레이 게이트웨이
51 : 파레이 어플리케이션 서버 52 : 파레이-X 어플리케이션 서버
53 : 사용자 단말기
본 발명은 유/무선 전화망에서 발생한 호를 VoIP 망으로 착신전환 시키는 호 전환 플러스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인 또는 기업에서 유/무선상의 발신호를 전화번호가 아닌 시스템에서 관리하는 사용자 ID를 기준으로 VoIP 망상의 단말로 호 전환을 시키는 서비스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전화가 대중화되면서 다양한 환경과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화를 사용하게 된다. 특히, VoIP단말에도 전용 식별번호가 부가되어 있어, 기존의 전화번호 체계를 사용하여 유/무선 단말에 착신된 호를 VoIP단말로 전환하는 서비스가 가능해졌다.
그러나, 종래의 호전환 서비스는 전화번호 체계를 사용하기 위해서 착신전환의 대상이 기존 유선전화기, 무선단말기 등 전화번호(전용식별번호)가 부여된 단말에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화번호 체계를 사용하지 않고, 즉, 전용식별번호를 등록하지 않고 착신자 자신의 ID만으로 사용자가 접속해 있는 환경으로 VoIP호를 전환시킴으로써 착신전환의 대상을 기존 유선전화기 또는 무선단말기 등 전화번호가 부여된 단말로 한정짓는 것이 아니라 PC, 노트북, PDA, 휴대인터넷단말기 등 착신자가 현재 접속되어 있는 자신의 단말기로 확장시켜줄 수 있도록 한 호 전환 플러스 서비스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통신시스템에서의 호전환 플러스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가입자가 통신시스템 접속 시 파레이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파레이 게이트웨이에 호전환 시 사용할 가입자 트리거 정보를 설정하는 제1단계; 임의의 발신자가 발신 유무선단말을 통해 서비스 가입자의 착신 유무선단말로 발신호 시도 시, 이를 인지한 교환기 또는 소프트 스위치가 상기 가입자 트리거 정보에 의해 상기 파레이 게이트웨이를 통해 파레이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호 개시를 알리는 제2단계; 상기 파레이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상기 서비스 가입자의 사용자단말에 설치되어 로그인된 프로그램으로 상기 착신 유무선단말로의 호 착신을 알리는 제3단계; 상기 파레이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상기 파레이 게이트웨이로 착신호 개시를 다시 알림과 동시에 착신번호를 상기 착신 유무선단말로 설정할 것을 요청하는 제4단계; 상기 파레이 게이트웨이가 교환기 또는 소프트 스위치로 발/착신 유무선단말의 이벤트 알림을 설정하고, 상기 제4단계에서 요청받은 착신번호를 포함 한 호 연결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5단계; 상기 호 연결 메시지를 수신한 교환기 또는 소프트 스위치가 착신 유무선단말로 호 착신을 시도하고, 만약 소정시간이 경과된 이후에도 착신 유무선단말이 응답을 하지 않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파레이 게이트웨이로 무응답상태임을 알리는 제6단계; 상기 파레이 게이트웨이가 상기 제6단계에서 전달받은 무응답상태를 파레이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알리면, 상기 파레이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서비스 가입자의 사용자단말에 설치되어 로그인된 프로그램으로 호가 전환됨을 알림과 동시에 VoIP단말의 IP주소를 상기 파레이 게이트웨이로 전송하여 착신전환을 VoIP단말로 설정해 줄 것을 요청하는 제7단계; 상기 파레이 게이트웨이가 새로운 VoIP단말의 이벤트 알림을 설정하고, 착신전환번호가 포함된 호 연결 메시지를 교환기 또는 소프트 스위치로 전송하는 제8단계; 상기 호 연결 메시지를 수신한 교환기 또는 소프트 스위치가 착신 유무선단말로 호 착신을 시도함에 따라 상기 VoIP단말로부터 응답을 전달받게 되면 상기 파레이 게이트웨이를 통해 파레이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호 연결 상태임을 알리는 제9단계; 통화 이후 호가 종료됨에 따라 교환기 또는 소프트 스위치가 파레이 게이트웨이로 호 종료 상태임을 알리게 되면, 상기 파레이 게이트웨이가 교환기 또는 소프트 스위치에 해당 호 종료를 명령함과 동시에 파레이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호가 종료됨을 알리는 제10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호 전환 플러스 서비스를 위하여, 프로세서를 구비한 통신시스템에, 서비스 가입자가 통신시스템 접속 시 파레이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파레이 게이트웨이에 호전환 시 사용할 가입자 트리거 정보를 설정하는 제1기능; 임의 의 발신자가 발신 유무선단말을 통해 서비스 가입자의 착신 유무선단말로 발신호 시도 시, 이를 인지한 교환기 또는 소프트 스위치가 상기 가입자 트리거 정보에 의해 상기 파레이 게이트웨이를 통해 파레이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호 개시를 알리는 제2기능; 상기 파레이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상기 서비스 가입자의 사용자단말에 설치되어 로그인된 프로그램으로 상기 착신 유무선단말로의 호 착신을 알리는 제3기능; 상기 파레이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상기 파레이 게이트웨이로 착신호 개시를 다시 알림과 동시에 착신번호를 상기 착신 유무선단말로 설정할 것을 요청하는 제4기능; 상기 파레이 게이트웨이가 교환기 또는 소프트 스위치로 발/착신 유무선단말의 이벤트 알림을 설정하고, 상기 상기 파레이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요청받은 착신번호를 포함한 호 연결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5기능; 상기 호 연결 메시지를 수신한 교환기 또는 소프트 스위치가 착신 유무선단말로 호 착신을 시도하고, 만약 소정시간이 경과된 이후에도 착신 유무선단말이 응답을 하지 않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파레이 게이트웨이로 무응답상태임을 알리는 제6기능; 상기 파레이 게이트웨이가 상기 교환기 또는 소프트 스위치로부터 전달받은 무응답상태를 파레이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알리면, 상기 파레이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서비스 가입자의 사용자단말에 설치되어 로그인된 프로그램으로 호가 전환됨을 알림과 동시에 VoIP단말의 IP주소를 상기 파레이 게이트웨이로 전송하여 착신전환을 VoIP단말로 설정해 줄 것을 요청하는 제7기능; 상기 파레이 게이트웨이가 새로운 VoIP단말의 이벤트 알림을 설정하고, 착신전환번호가 포함된 호 연결 메시지를 교환기 또는 소프트 스위치로 전송하는 제8기능; 상기 호 연결 메시지를 수신한 교환기 또는 소프트 스위치가 착신 유무선단말로 호 착신을 시도함에 따라 상기 VoIP단말로부터 응답을 전달받게 되면 상기 파레이 게이트웨이를 통해 파레이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호 연결 상태임을 알리는 제9기능; 통화 이후 호가 종료됨에 따라 교환기 또는 소프트 스위치가 파레이 게이트웨이로 호 종료 상태임을 알리게 되면, 상기 파레이 게이트웨이가 교환기 또는 소프트 스위치에 해당 호 종료를 명령함과 동시에 파레이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호가 종료됨을 알리는 제10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호 전환 플러스 서비스 망의 구성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호 전환 플러스 서비스'는, 개인 또는 기업의 사내전화 등 자신의 유/무선 단말로의 호를 현재 자신이 접속한 단말기로 전환받고자 하는 모든 가입자들이 사용 가능한 서비스로서, 서비스 제공자에게 서비스 가입을 알려 서비스에 등록하고, 어떤 단말기로든 호전환 플러스 서비스 시스템에 접속해 있다는 전제하에 서비스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가입자는 별도의 가입절차를 통하여 '호 전환 플러스 서비스'에 등록한 후 사용할 수 있으며, 가입자의 단말기(예를 들면, PC, 노트북, PDA, 휴대 인터넷 단말기 등)에 자신의 사용자ID로 로그인된 별도의 프로그램이 존재하고, 이 프로그램은 상기 호전환 플러스 서비스 시스템으 로부터 착신사실을 통보받는데 사용된다. 이 때, 상기 프로그램과 VoIP단말은 동일하거나 또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일 수도 있다. 또한, 현재 호 전환 플러스 서비스에 접속해 있는 단말기의 IP주소가 서버에 저장되어 있어야 하며, 실시간으로 변경이 가능해야 한다.
또한, 상기 '호 전환 플러스 서비스'는, 일반적인 착신전환 방식인 무조건, 무응답, 바쁨 같은 상태정보에 따른 전환과 가입자가 설정한 시간 동안에만 전환되는 시간에 따른 전환, 특정 발신자에 한하여 전환 등 다양한 방식이 가능하며 이를 가입자가 직접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 '호 전환 플러스 서비스'를 위한 발착신 단말기로는, 음성통신이 가능한 유무선 전화기, POTS/xDSL 단말, 셀룰러폰 또는 PCS폰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등과 같은 차세대 이동통신 단말기, 개인휴대단말기(PDA), VoIP 단말기(SIP 단말, Soft Phone, H.323 단말 등) 등이 될 수 있으며, 발착신 단말기의 음성통신이 가능한 한, 그 적용대상망(유선통신망, 무선통신망, VoIP망 등)(10~30)의 종류에 구애를 받지 않음을 밝혀둔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로는 PC, 노트북, 셀룰러폰 또는 PCS폰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 스마트폰, IMT-2000, UMTS 등과 같은 차세대 이동통신 단말기, 개인휴대단말기(PDA), 무선 인터넷(WAP/ME) 단말기, 유선 인터넷(WEB) 단말기, 휴대 인터넷 단말기 등이 될 수 있으며,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한, 그 적용대상망(유선통신망, 무선통신망, VoIP망 등)(10~30)의 종류에 구애를 받지 않음을 밝혀둔다.
이제, '호 전환 플러스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망 내의 각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동통신 교환기(MSC : Mobile Switching Center)(12)는 무선통신망(10)의 무선 단말들(11)의 호 자원 관리 및 서비스를 스위칭(Switching)한다.
홈위치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13)는 무선 단말들(11)의 위치등록을 수행하며, 단말들(11)의 상태 정보를 관리 및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있는 장비이다. 즉, 자신의 영역 내에 등록된 모든 무선 단말(11)에 대해 가입자 파라미터와 위치정보 등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으로서, 무선 단말(11)의 액세스 능력, 기본 서비스, 부가서비스 등 중요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것이다.
단문메시지센터(SMSC : Short Message Service Center)(15)는 이동통신 교환기(12)에 연결되어 SMS 처리에 핵심을 담당하며, SMS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입력되는 신호의 통신서비스 식별자(TI : Teleservice Identifier)와 목적지 주소(Destination Address)를 해석하여 해당 망요소로 이를 전송한다.
특수자원 처리기(IP : Intelligent Peripheral)(16,25)는 서비스 로직 제어 과정에서 필요한 톤(Tone), 안내방송(Announcement), Conference Call Bridge 관리, TTS(Text-to-Speech) 등의 특수자원을 처리하는 시스템이다. 즉, 지능망 서비스 이용자/가입자에게 음성이나 문자 등을 이용하여 부가적인 지능망 서비스를 수행한다.
서비스 제어기(SCP : Service Control Point)(14, 24)는 지능망 서비스를 제 어하며, 지능망 서비스 가입자의 정보를 관리하여 교환기(12,23)에서 요청하는 정보를 제공한다.
서비스 교환기(SSP : Service Switch Point)(23)는 유선통신망(20)의 단말들(21)의 호 자원 관리 및 서비스를 스위칭(Switching)한다.
POTS/xDSL(22)은 xDSL 망을 통하여 데이터 전송을 위한 회선 조절 또는 특성 보상과 같은 부가 기능 없이 제공되는 기본적인 음성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비 및 단말이다.
신호 게이트웨이(Signalling G/W)(33)는 기존의 공중전화망(PSTN) 서비스를 차세대 통신망(NGN) 상에서 구현하기 위한 게이트웨이(Gateway) 역할을 하는 장비로서, 신호중계 교환기(SS7)의 신호를 NGN의 IP신호로 변환해 소프트 스위치(32)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액세스 게이트웨이(Access G/W)(35)는 공중전화망(PSTN) 등 유무선 망의 일반 전화 사용자를 패킷망(VoIP 또는 VoATM)에 접속시키는 데 필요한 장비로서, 소프트 스위치(32)의 제어에 따라 일반 전화기로부터의 음성 데이터를 패킷망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장비이다.
트렁크 게이트웨이(Trunk G/W)(34)는 공중전화망(PSTN)과 패킷망(VoIP 또는 VoATM)을 연동하기 위한 장비로서, 소프트 스위치(32)의 제어에 따라 공중전화망에서 발생하는 다량의 데이터를 패킷망에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소프트 스위치(Soft Switch)(32)는 미디어 게이트웨이 컨트롤러라고도 불리며, 일반적으로 패킷망과 기존의 유무선 망 간의 연동 기능을 수행하는 장비로서, 이종망 간에 신호를 전달하고 호 처리를 수행하며, 액세스 게이트웨이(35) 또는 트렁크 게이트웨이(34) 등의 미디어 게이트웨이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SIP 어플리케이션 서버(SIP Application Server)(36)는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해 호 자원을 관리 및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비이다.
미디어 서버(Media Server)(37)는 서비스 로직 제어 과정에서 필요한 Tone, Announcement, Conference Call Bridge 관리, TTS 등의 특수자원을 처리하는 시스템으로서, 기존 PSTN을 위한 IP(25)와 다른 점은 NGN의 소프트 스위치(32)와 연동되어 패킷 기반의 서비스 로직 제어에 필요한 특수자원을 제공하는 점이다. 또한, 향후 NGN의 멀티미디어 기반의 부가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비디오 스트림(Video Stream) 등의 특수자원을 제공한다.
VoIP 단말(31)은 인터넷 망(VoIP 망)에서 전화로 사용 가능한 단말을 말하는 것으로, SIP 단말(31-1,31-2) 또는 H.323 단말(31-3) 모두를 의미하는 것이다.
파레이 게이트웨이(Parlay Gateway)(40)는 통신망 자원을 외부의 사업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SS7 프로토콜을 OSA/Parlay API로 변환하여 외부에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로 제공한다.
파레이 어플리케이션 서버(Parlay Application Server)(51)는 파레이 게이트웨이(40)와 연동하여 통신망 및 인터넷 등 다양한 환경에서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파레이-X 게이트웨이(Parlay-X Gateway)로서, 통신망 자원을 외부의 사업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SS7이나 OSA/Parlay API를 Parlay-X API로 변환하여 보다 더 간단하고 추상적이며, 방화벽(Firewall) 제어를 용이하게 한다.
파레이-X 어플리케이션 서버(Parlay-X Application Server)(52)는 파레이 어플리케이션 서버(즉, 파레이-X 게이트웨이)(51)와 연동하여 통신망 및 인터넷 등 다양한 환경에서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파레이-X 어플리케이션(Parlay-X Application)으로서, 파레이-X 게이트웨이(51)와 연동하여 통신망 및 인터넷 등 다양한 환경과 융합/결합된 서비스 응용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 전환 플러스 서비스'절차를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호 전환 플러스 서비스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로서,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호 전환 플러스 서비스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착신전환 방식인 무조건, 무응답, 바쁨 같은 상태정보에 따른 전환과 가입자가 설정한 시간 동안에만 전환되는 시간에 따른 전환, 특정 발신자에 한하여 전환 등 다양한 방식이 가능하지만, 도 2에서는 임의의 발신자가 발신 유무선단말을 이용해 서비스 가입자의 착신 유무선단말로 발신호 시도 시, 특정시간 이후에도 상기 착신 유무선단말이 무응답상태인 경우 VoIP 단말로 호를 전환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호 전환 플러스 서비스 가입자가 시스템에 접속 시, 파레이 어플리케이션 서버(51)가 파레이 게이트웨이(40)로 "enableCallNotification" 메시지를 전송하여 가입자의 트리거(Trigger) 정보(호 전환 시 사용할 현재 접속 단말의 IP주소)를 설정한다.(S201)
이후, 임의의 발신자(발신 유무선단말A)가 서비스 가입자(착신 유무선단말B) 에게 발신호를 시도하면(S202), 이를 인지한 교환기(12) 또는 소프트 스위치(32)가 기 설정된 가입자 트리거 정보에 의해 파레이 게이트웨이(40)로 "InitialDP" 메시지를 전송하여 호가 개시됨을 알린다.(S203) 이에 대해, 파레이 게이트웨이(40)는 파레이 어플리케이션 서버(51)로 "CallEventNotify" 메시지를 전송하여 호가 개시되었음을 알린다.(S204)
이어, 파레이 어플리케이션 서버(51)는 서비스 가입자의 사용자단말(53)에 설치되어 로그인된 프로그램으로 "CallEvent(CID)"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착신 유무선단말B로의 호 착신을 알린다.(S205)
이어, 파레이 어플리케이션 서버(51)는 "createCall" 메시지를 파레이 게이트웨이(40)로 전송하여 착신호 개시를 다시 알리고(S206), 아울러 "routeReq" 메시지를 파레이 게이트웨이(40)에 전송하면서 착신번호를 상기 착신 유무선단말B로 설정할 것을 요청한다.(S207)
이어, 파레이 게이트웨이(40)가 교환기(12) 또는 소프트 스위치(32)로 "RRB(RequestReportBCSMEvent)" 메시지를 전송하여 발/착신 유무선단말의 이벤트 알림을 설정하고(S208), 아울러 상기 "routeReq" 메시지의 착신번호를 포함하여 "Connect" 메시지를 전송하게 되면(S209), 상기 "Connect" 메시지를 수신한 교환기(12) 또는 소프트 스위치(32)가 착신 유무선단말B로 호 착신을 시도한다.(S210)
이 때, 만약 소정시간이 경과된 이후에도 착신 유무선단말이 응답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교환기(12) 또는 소프트 스위치(32)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파레이 게이트웨이(40)로 "ERB" 메시지를 전송하여 무응답상태임을 알리고(S211), 이어, 상 기 파레이 게이트웨이(40)가 상기 단계(S211)에서 전달받은 무응답상태를 "routeRes" 메시지를 사용하여 파레이 어플리케이션 서버(51)로 알린다.(S212)
이어, 상기 파레이 어플리케이션 서버(51)가 서비스 가입자의 사용자단말(53)에 설치되어 로그인된 프로그램으로 "CallEvent(CID)" 메시지를 전송하여 호가 전환됨을 알리고(S213), 아울러 VoIP 단말(31)의 IP주소가 포함된 "routeReq" 메시지를 상기 파레이 게이트웨이(40)로 전송하여 착신전환을 VoIP 단말(31)로 설정해 줄 것을 요청한다.(S214)
그러면, 상기 파레이 게이트웨이(40)가 다시 "RRB" 메시지를 교환기(12) 또는 소프트 스위치(32)에 전송하여 새로운 VoIP단말(31)의 이벤트 알림을 설정하고(S215), 아울러 상기 "routeReq" 메시지 상의 착신전환번호가 포함된 "Connect" 메시지를 교환기(12) 또는 소프트 스위치(32)로 전송한다.(S216)
이어, 상기 "Connect" 메시지를 수신한 교환기(12) 또는 소프트 스위치(32)가 착신 유무선단말B로 호 착신을 시도함에 따라(S217) 상기 VoIP 단말(31)로부터 응답을 전달받게 되면(S218), 상기 교환기(12) 또는 소프트 스위치(32)에서 이를 "ERB" 메시지를 사용하여 파레이 게이트웨이(40)로 호 연결 상태임을 알리고(S219), 다시 상기 파레이 게이트웨이(40)가 파레이 어플리케이션 서버(51)로 "routeRes" 메시지를 전송하여 호 연결 상태임을 알리게 된다.(S220)
이 후, 통화가 끝나고 호가 종료됨에 따라 교환기(12) 또는 소프트 스위치(32)가 파레이 게이트웨이(40)로 "ERB" 메시지를 전송하여 호 종료 상태임을 알리게 되면(S221), 상기 파레이 게이트웨이(40)가 교환기(12) 또는 소프트 스위 치(32)에 "ReleaseCall" 메시지를 사용하여 해당 호 종료를 명령하고(S222), 아울러 파레이 어플리케이션 서버(51)로 "callEnded"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호가 종료됨을 알린다.(S223)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호 전환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기존의 전화번호 체계를 사용하지 않고, 즉, 전용식별번호를 등록하지 않고 착신자 자신의 ID만으로 사용자가 접속해 있는 환경으로 VoIP호를 전환시킴으로써 착신전환의 대상을 기존 유선전화기 또는 무선단말기 등 전화번호가 부여된 단말로 한정짓는 것이 아니라 PC, 노트북, PDA, 휴대인터넷단말기 등 착신자가 현재 접속되어 있는 자신의 단말기로 확장시켜 줌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쉽게 서비스를 사용하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5)

  1. 통신시스템에서의 호전환 플러스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가입자가 통신시스템 접속 시 파레이 어플리케이션 서버(51)가 파레이 게이트웨이(40)에 호전환 시 사용할 가입자 트리거 정보를 설정하는 제1단계;
    임의의 발신자가 발신 유무선단말A를 통해 서비스 가입자의 착신 유무선단말B로 발신호 시도 시, 이를 인지한 교환기(12) 또는 소프트 스위치(32)가 상기 가입자 트리거 정보에 의해 상기 파레이 게이트웨이(40)를 통해 파레이 어플리케이션 서버(51)로 호 개시를 알리는 제2단계;
    상기 파레이 어플리케이션 서버(51)가 상기 서비스 가입자의 사용자단말(53)에 설치되어 로그인된 프로그램으로 상기 착신 유무선단말B로의 호 착신을 알리는 제3단계;
    상기 파레이 어플리케이션 서버(51)가 상기 파레이 게이트웨이(40)로 착신호 개시를 다시 알림과 동시에 착신번호를 상기 착신 유무선단말B로 설정할 것을 요청하는 제4단계;
    상기 파레이 게이트웨이(40)가 교환기(12) 또는 소프트 스위치(32)로 발/착신 유무선단말의 이벤트 알림을 설정하고, 상기 제4단계에서 요청받은 착신번호를 포함한 호 연결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5단계;
    상기 호 연결 메시지를 수신한 교환기(12) 또는 소프트 스위치(32)가 착신 유무선단말B로 호 착신을 시도하고, 만약 소정시간이 경과된 이후에도 착신 유무선 단말B가 응답을 하지 않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파레이 게이트웨이(40)로 무응답상태임을 알리는 제6단계;
    상기 파레이 게이트웨이(40)가 상기 제6단계에서 전달받은 무응답상태를 파레이 어플리케이션 서버(51)로 알리면, 상기 파레이 어플리케이션 서버(51)가 서비스 가입자의 사용자단말(53)에 설치되어 로그인된 프로그램으로 호가 전환됨을 알림과 동시에 VoIP단말(31)의 IP주소를 상기 파레이 게이트웨이(40)로 전송하여 착신전환을 VoIP단말(31)로 설정해 줄 것을 요청하는 제7단계;
    상기 파레이 게이트웨이(40)가 새로운 VoIP단말(31)의 이벤트 알림을 설정하고, 착신전환번호가 포함된 호 연결 메시지를 교환기(12) 또는 소프트 스위치(32)로 전송하는 제8단계;
    상기 호 연결 메시지를 수신한 교환기(12) 또는 소프트 스위치(32)가 착신 유무선단말B로 호 착신을 시도함에 따라 상기 VoIP단말(31)로부터 응답을 전달받게 되면 상기 파레이 게이트웨이(40)를 통해 파레이 어플리케이션 서버(51)로 호 연결 상태임을 알리는 제9단계;
    통화 이후 호가 종료됨에 따라 교환기(12) 또는 소프트 스위치(32)가 파레이 게이트웨이(40)로 호 종료 상태임을 알리게 되면, 상기 파레이 게이트웨이(40)가 교환기(12) 또는 소프트 스위치(32)에 해당 호 종료를 명령함과 동시에 파레이 어플리케이션 서버(51)로 호가 종료됨을 알리는 제10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전환 플러스 서비스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제1단계에서의 가입자 트리거 정보는, 호 전환 시 사용할 현재 접속된 VoIP단말(31)의 IP주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전환 플러스 서비스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제5단계는,
    파레이 어플리케이션 서버(51)가 서비스 가입자의 사용자단말(53)에 기 설치되어 로그인된 프로그램으로 "CallEvent(CID)" 메시지를 전송하여 호가 착신됨을 상기 서비스 가입자에게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전환 플러스 서비스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제7단계는,
    파레이 어플리케이션 서버(51)가 서비스 가입자의 사용자단말(53)에 기 설치되어 로그인된 프로그램으로 "CallEvent(CID)" 메시지를 전송하여 호가 전환됨을 상기 서비스 가입자에게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전환 플러스 서비스 방법.
  5. 호 전환 플러스 서비스를 위하여, 프로세서를 구비한 통신시스템에,
    서비스 가입자가 통신시스템 접속 시 파레이 어플리케이션 서버(51)가 파레이 게이트웨이(40)에 호전환 시 사용할 가입자 트리거 정보를 설정하는 제1기능;
    임의의 발신자가 발신 유무선단말A를 통해 서비스 가입자의 착신 유무선단말B로 발신호 시도 시, 이를 인지한 교환기(12) 또는 소프트 스위치(32)가 상기 가입자 트리거 정보에 의해 상기 파레이 게이트웨이(40)를 통해 파레이 어플리케이션 서버(51)로 호 개시를 알리는 제2기능;
    상기 파레이 어플리케이션 서버(51)가 상기 서비스 가입자의 사용자단말(53)에 설치되어 로그인된 프로그램으로 상기 착신 유무선단말B로의 호 착신을 알리는 제3기능;
    상기 파레이 어플리케이션 서버(51)가 상기 파레이 게이트웨이(40)로 착신호 개시를 다시 알림과 동시에 착신번호를 상기 착신 유무선단말B로 설정할 것을 요청하는 제4기능;
    상기 파레이 게이트웨이(40)가 교환기(12) 또는 소프트 스위치(32)로 발/착신 유무선단말의 이벤트 알림을 설정하고, 상기 파레이 어플리케이션 서버(51)로부터 요청받은 착신번호를 포함한 호 연결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5기능;
    상기 호 연결 메시지를 수신한 교환기(12) 또는 소프트 스위치(32)가 착신 유무선단말B로 호 착신을 시도하고, 만약 소정시간이 경과된 이후에도 착신 유무선단말B가 응답을 하지 않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파레이 게이트웨이(40)로 무응답상태임을 알리는 제6기능;
    상기 파레이 게이트웨이(40)가 상기 교환기(12) 또는 소프트 스위치(32)로부터 전달받은 무응답상태를 파레이 어플리케이션 서버(51)로 알리면, 상기 파레이 어플리케이션 서버(51)가 서비스 가입자의 사용자단말(53)에 설치되어 로그인된 프 로그램으로 호가 전환됨을 알림과 동시에 VoIP단말(31)의 IP주소를 상기 파레이 게이트웨이(40)로 전송하여 착신전환을 VoIP단말(31)로 설정해 줄 것을 요청하는 제7기능;
    상기 파레이 게이트웨이(40)가 새로운 VoIP단말(31)의 이벤트 알림을 설정하고, 착신전환번호가 포함된 호 연결 메시지를 교환기(12) 또는 소프트 스위치(32)로 전송하는 제8기능;
    상기 호 연결 메시지를 수신한 교환기(12) 또는 소프트 스위치(32)가 착신 유무선단말B로 호 착신을 시도함에 따라 상기 VoIP단말(31)로부터 응답을 전달받게 되면 상기 파레이 게이트웨이(40)를 통해 파레이 어플리케이션 서버(51)로 호 연결 상태임을 알리는 제9기능;
    통화 이후 호가 종료됨에 따라 교환기(12) 또는 소프트 스위치(32)가 파레이 게이트웨이(40)로 호 종료 상태임을 알리게 되면, 상기 파레이 게이트웨이(40)가 교환기(12) 또는 소프트 스위치(32)에 해당 호 종료를 명령함과 동시에 파레이 어플리케이션 서버(51)로 호가 종료됨을 알리는 제10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60104411A 2006-10-26 2006-10-26 호 전환 플러스 서비스 방법 KR100892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4411A KR100892114B1 (ko) 2006-10-26 2006-10-26 호 전환 플러스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4411A KR100892114B1 (ko) 2006-10-26 2006-10-26 호 전환 플러스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7376A true KR20080037376A (ko) 2008-04-30
KR100892114B1 KR100892114B1 (ko) 2009-04-08

Family

ID=39575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4411A KR100892114B1 (ko) 2006-10-26 2006-10-26 호 전환 플러스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21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710B1 (ko) * 2007-09-13 2010-02-12 (주)씨앤에스 테크놀로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ip 비디오폰의 호 착신 통보시스템 및 방법
WO2017007134A1 (ko) * 2015-07-03 2017-01-12 정재학 유무선 융합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신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01145B2 (en) 2001-07-30 2004-03-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system for redirecting calls placed to a mobile phone to a second phone
KR100439958B1 (ko) * 2002-01-16 2004-07-12 (주)웹콜월드 인터넷 전화시스템에서 착신전환 서비스 방법
KR20040022792A (ko) * 2002-09-07 2004-03-18 장석민 인터넷에 연결된 단말기에서 전화 수신 시스템
KR20030068105A (ko) * 2003-07-26 2003-08-19 고재량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인터넷 호 착신전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710B1 (ko) * 2007-09-13 2010-02-12 (주)씨앤에스 테크놀로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ip 비디오폰의 호 착신 통보시스템 및 방법
WO2017007134A1 (ko) * 2015-07-03 2017-01-12 정재학 유무선 융합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신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10334102B2 (en) 2015-07-03 2019-06-25 Jae-Hak Jung Device and method for voice communication control in fixed-mobile convergenc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2114B1 (ko) 2009-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8636B1 (ko) 프레전스 기반의 전화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호라우팅 방법
EP1786162B1 (en) Method for the calling user terminal listening to the signal tone of the called user terminal when inter-networking
US8335201B2 (en) Call control method, communication system, and relevant devices
WO2012000321A1 (zh) 一种实现固定电话漏电提醒的方法与系统
EP2197237B1 (en) Late call forwarding method in ip multimedia core network subsystem centralized service
WO2008054218A2 (en) Method of conditionally routing a call made to a fixed telephone number
US2010006768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telecommunications extension service for multiple telecommunications units
WO2010088819A1 (zh) 回呼实现方法和系统
KR100519193B1 (ko) 발신 정보 표시 서비스 방법
US20060099934A1 (en) Incoming call information not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intelligent network
KR100892114B1 (ko) 호 전환 플러스 서비스 방법
KR100660739B1 (ko) 통신시스템에서의 대체 영상 서비스 방법
KR100734740B1 (ko) 지능망을 이용한 착신 정보 통보 시스템의 처리 방법
US7555107B2 (en) “Roaming”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emulating a user&#39;s “home” telecommunications environment
CN101707753B (zh) 移动通信网络中实现非急勿扰业务的方法和平台
KR100569029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지능망 및 회의통화 기능을 이용한통화연결음 및 통화 배경음의 동시 서비스 방법 및 그시스템
KR101190347B1 (ko) 메신저/웹(/왑) 클라이언트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KR100807907B1 (ko) 국제 로밍 통화연결음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1707754B (zh) 基于模拟hlr方式实现非急勿扰业务的方法和平台
KR100623917B1 (ko) 통신시스템에서의 등록정보 표시 서비스 방법
KR100623918B1 (ko) 통신시스템에서의 문자 안내방송 서비스 방법
KR100630636B1 (ko) 비동기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통화연결음 서비스방법
KR20040102881A (ko) W-cdma 및 adsl/w-lan 단말기간 영상전화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43578B1 (ko) 호 연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996127B1 (ko) 인터넷 전화의 광고 링백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