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3578B1 - 호 연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호 연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3578B1
KR101743578B1 KR1020110062845A KR20110062845A KR101743578B1 KR 101743578 B1 KR101743578 B1 KR 101743578B1 KR 1020110062845 A KR1020110062845 A KR 1020110062845A KR 20110062845 A KR20110062845 A KR 20110062845A KR 101743578 B1 KR101743578 B1 KR 101743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terminal
specific
domain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2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1918A (ko
Inventor
이석건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2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3578B1/ko
Publication of KR20130001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12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for working between exchanges having different types of switching equipment, e.g. power-driven and step by step or decimal and non-decimal
    • H04M7/1205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for working between exchanges having different types of switching equipment, e.g. power-driven and step by step or decimal and non-decimal where the types of switching equipement comprises PSTN/ISDN equipment and switching equipment of networks other than PSTN/ISDN, e.g. Internet Protocol networks
    • H04M7/121Details of network access arrangements or protocols
    • H04M7/122Details of network access arrangements or protocols where the PSTN/ISDN access is used as an access to networks other than PSTN/ISD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DTMF를 지원하여 실제 착신단말장치의 착신연결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호 연속지원장치가 갖게 되는 미디어보드 장착으로 인한 코스트 상승 문제 등의 불완전성을 해소할 수 있는 호 연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호 연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단말장치가 특정 착신단말장치로의 호 발신 입력 시, 기 등록된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에 연결하고 상기 호 연속지원장치와의 연결이 확인되면 상기 착신단말장치에 대응되는 착신연결정보를 기 정의된 메시징서비스를 이용하여 제공하며, 이에 상기 호 연속지원장치가 상기 착신연결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에 근거하여 상기 착신연결정보에 따른 호 발신을 시도하고 상기 호 발신 시도에 따라 상기 착신단말장치와 연결되면 상기 단말장치 및 상기 착신단말장치 간의 통화 호를 인터페이스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호 연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VOICE CALL CONTINUITY SERVICE PROVIDING SYSTEM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호 연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 고객망(예 : 기업 망) 내부에 구축형의 호 연속지원장치(VCC 서버)가 존재하는 환경에서, 단말장치가 착신단말장치로의 호 발신 입력 시 VCC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먼저 호 연속지원장치에 연결된 후 착신단말장치의 착신단말번호를 제공함에 있어서 기존의 DTMF 신호 대신 메시징서비스를 이용하여 제공함으로써, DTMF를 지원하기 위해 구축형의 호 연속지원장치가 갖게 되는 미디어보드 장착으로 인한 코스트 상승 문제 등의 불완전성을 해소할 수 있는 호 연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과, 호 연속지원장치 및 호 연속지원장치의 동작 방법과, 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시스템은 음성 기반의 회선 교환(Circuit Switched : 이하 "CS"라 한다.) 도메인에서 패킷 기반의 패킷 교환(Packet Switched : 이하 "PS"라 한다.) 도메인으로 진화되고 있다.
더불어, 이동통신 단말이 PS(Packet Switched) 및 WLAN 모뎀을 이용한 Data 접속을 하고 패킷을 주고 받는 것은 흔한 일이 되었다. 이동통신 단말의 Data 접속을 통하여 인터넷 상에서 많은 서비스가 출현하게 되었고, 이동통신의 가장 핵심 서비스였던 음성 통화도 저렴한 인터넷망을 통하여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 되었다. 인터넷 관련하여 표준을 결정하는 IETF에서는 인터넷의 IP망 기반으로 음성/영상 session을 맺을 수 있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라는 프로토콜을 정의하였고 이는 현재의 070 인터넷 전화의 근간이 되었다. SIP 기반의 call/session control 프로토콜은 이동통신의 표준인 3GPP에도 IMS(IP Multimedia Sub-system)이라는 이름으로 차용되기에 이르렀다. WLAN이 탑재된 스마트폰의 확대에 이르러 이동 통신 단말에서 CS call 뿐만 아니라 SIP call을 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고, 이동통신 단말에서 WLAN을 통하여 인터넷 전화를 할 수 있는 서비스 및 현상을 유무선통합, 즉 FMC(Fixed Mobile Convergence)라고 칭하게 되었다.
고객들은 각 상황에 따라서 CS Call을 사용할 수도 있고 FMC Call을 사용할 수도 있게 되었으며 특히 비용 절감에 민감한 기업체에서는 구내에 FMC를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가급적 임직원들에게 FMC Call을 사용하여 비용을 줄이도록 고심하고 있다. 이동성이 좋지만 비용이 비싼 CS call과 비용은 저렴하지만 한정된 장소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FMC call의 사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CS call과 FMC call을 끊기지 않고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VCC(Voice Call Continuity) 서비스가 개발 되었다.
VCC 서비스는, 3G 통신인 WCDMA의 CS(Circuit Switched) Call 기능과 PS(Packet Switched) 접속이나 WLAN 접속 등을 통하여 인터넷 접속을 하여 음성 통화를 하는 FMC(Fixed Mobile Convergence) Call 기능을 동시에 갖춘 단말 즉 VCC단말이 CS call과 FMC call 서비스를 끊기지 않고 이용할 수 있도록, 다시 말해 CS 도메인(혹은 CS 네트워크라 칭함)과 IMS 도메인(혹은 IMS 네트워크라 칭함) 간의 도메인을 전환함으로써 음성 호(voice call)의 연속성을 보장하는 서비스이다.
이에, VCC 서비스에서 도메인 전환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호 경로 중간에 도메인 전환 기능(Domain Transfer Function, DTF)을 수행하는 VCC 서버(VCC Application Server, VCC AS)가 위치하게 된다. 즉, VCC 서비스를 지원하는 VCC 단말이 VCC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처음 호가 맺어질 때 VCC 서버를 거쳐야만 한다.
이 때 VCC 서버는 이동통신사업자의 망 내부에 있을 수도 있고, 법인 고객사의 망 내부에 있을 수도 있다. 즉, 개인용 FMC 회선과 VCC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동통신사업자의 망 내부에 VCC 서버가 존재하게 되며, IP-PBX와 연동이 필요한 법인용 FMC 회선과 연동을 위해서는 기업 고객사의 망 내부에 VCC 서버가 존재하게 된다.
특히, 기업 고객사의 망 내부에 VCC 서버가 존재하는 경우, VCC 단말이 VCC 서비스를 이용하는 흐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VCC 단말은 특정 착신단말로의 CS 발신 시 먼저 VCC 서버의 전화번호(VCTN - VCC CS Call Trigger Number)로 발신을 하고, 이에 VCC 단말과 VCC 서버 간의 연결이 이루어지면 VCC 단말이 실제 착신단말장치에 해당되는 착신번호를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로서 VCC 서버로 제공하게 되고, 이에 VCC 서버가 DTMF에 따라 실제 착신번호로 발신하여 통화 호를 연결하게 된다.
이처럼 기업 고객사의 망 내부에 VCC 서버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VCC 단말이 CS 발신 시 DTMF를 통해 착신번호를 VCC 서버로 제공해야만 하며, 이를 위해 기존에 사용되는 DTMF는 Bypass 방식, RFC2833 방식, SIP/INFO방식 이렇게 3가지 종류가 존재한다.
헌데, 기업 고객사의 망 내부에 VCC 서버는 경우에 따라서 전술의 3가지 DTMF를 모두 지원하지 않는 경우가 있고, Bypass 방식의 경우 VCC 서버가 추가로 별도의 미디어보드를 장착해야만 하는 코스트 상승 문제점이 있다. 이처럼 앞으로는 VCC 단말이 VCC 서버에 연결할 때 CS 발신이 필요한 경우 DTMF를 이용하는 방식의 불완전성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단말장치가 특정 착신단말장치로의 호 발신 입력 시, 기 등록된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에 연결하고 상기 호 연속지원장치와의 연결이 확인되면 상기 착신단말장치에 대응되는 착신연결정보를 기 정의된 메시징서비스를 이용하여 제공하며, 이에 상기 호 연속지원장치가 상기 착신연결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에 근거하여 상기 착신연결정보에 따른 호 발신을 시도하고 상기 호 발신 시도에 따라 상기 착신단말장치와 연결되면 상기 단말장치 및 상기 착신단말장치 간의 통화 호를 인터페이스하는 호 연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여, 기존의 DTMF를 지원하여 실제 착신단말장치의 착신연결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호 연속지원장치가 갖게 되는 미디어보드 장착으로 인한 코스트 상승 문제 등의 불완전성을 해소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제1도메인 및 제2도메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한 호 송/수신을 지원하는 호송수신부; 및 특정 착신단말장치로의 호 발신 입력 시, 상기 호송수신부를 통해 기 등록된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에 연결하고 상기 착신단말장치에 대응되는 착신연결정보를 기 정의된 메시징서비스를 이용하여 제공하는 단말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장치를 제공하여, 기존의 DTMF를 지원하여 실제 착신단말장치의 착신연결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호 연속지원장치가 갖게 되는 미디어보드 장착으로 인한 코스트 상승 문제 등의 불완전성을 해소하는 환경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특정 단말장치로부터의 호 발신을 수신하여 상기 단말장치와 연결되면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에 따른 특정 착신연결정보를 토대로 호 발신을 시도하여 상기 착신연결정보에 따른 특정 착신단말장치와 연결된 후 상기 호 발신 시도에 따라 연결되는 상기 착신단말장치 및 상기 단말장치 간의 통화 호를 인터페이스하는 호 연속지원장치 및 호 연속지원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여, 기존의 DTMF를 지원하여 실제 착신단말장치의 착신연결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호 연속지원장치가 갖게 되는 미디어보드 장착으로 인한 코스트 상승 문제 등의 불완전성을 해소하는 환경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특정 착신단말장치로의 호 발신 입력을 인지하고, 상기 호 발신 입력이 인지되면 기 등록된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로의 호 발신을 시도하여 상기 호 발신 시도에 따른 상기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와의 연결이 인지되면 상기 착신단말장치에 대응되는 착신연결정보를 제공하여, 기 정의된 메시징서비스를 통해 상기 착신연결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로 제공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를 제공하여, 기존의 DTMF를 지원하여 실제 착신단말장치의 착신연결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호 연속지원장치가 갖게 되는 미디어보드 장착으로 인한 코스트 상승 문제 등의 불완전성을 해소하는 환경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호 연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특정 착신단말장치로의 호 발신 입력 시, 기 등록된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에 연결하고 상기 착신단말장치에 대응되는 착신연결정보를 기 정의된 메시징서비스를 이용하여 제공하는 단말장치; 및 연결된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특정 착신연결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에 근거하여 상기 착신연결정보에 따른 호 발신을 시도하여, 상기 단말장치 및 상기 착신단말장치 간의 통화 호를 인터페이스하는 호 연속지원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단말장치는 제1도메인 및 제2도메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한 호 송/수신을 지원하는 호송수신부; 및 상기 제1도메인 및 제2도메인 중 특정 도메인을 기반으로 특정 착신단말장치로의 호 발신 입력 시, 기 등록된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에 연결하고 상기 착신단말장치에 대응되는 착신연결정보를 기 정의된 메시징서비스를 이용하여 제공하는 단말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제어부는, 상기 착신단말장치로의 호 발신 시도가 입력되면, 기 등록된 특정 장치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로의 호 발신을 시도하고 이에 따라 상기 호 연속지원장치와 연결되면, 기 정의된 메시징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호 발신 입력에 따른 착신단말번호를 포함하는 상기 착신연결정보를 포함하는 SMS 및 MMS 중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호 연속지원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단말장치는, 특정 착신단말장치로의 호 발신 입력을 인지하는 발신입력인지부; 상기 호 발신 입력이 인지되면 기 등록된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로의 호 발신을 시도하는 호발신처리부; 및 상기 호 발신 시도에 따른 상기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와의 연결이 인지되면 상기 착신단말장치에 대응되는 착신연결정보를 제공하여, 기 정의된 메시징서비스를 통해 상기 착신연결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로 제공하도록 하는 착신연결정보제공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신연결정보제공부는, 인지된 상기 호 발신 입력에 따른 착신단말번호를 포함하는 상기 착신연결정보 및 상기 연결된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의 장치번호를 포함하는 메시지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메시지요청정보를 상기 메시징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정 서비스장치로 제공하여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호 연속지원장치는, 특정 단말장치로부터의 호 발신을 수신하여 상기 단말장치와 연결되는 발신단말연결부;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수신부; 상기 메시지에 따른 특정 착신연결정보를 토대로 호 발신을 시도하여 상기 착신연결정보에 따른 특정 착신단말장치와 연결되는 착신단말연결부; 및 상기 호 발신 시도에 따라 연결되는 상기 착신단말장치 및 상기 단말장치 간의 통화 호를 인터페이스하는 호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신단말연결부는, 상기 메시지수신부를 통해 SMS 및 MMS 중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특정 착신단말번호를 인지하고 상기 착신단말번호를 이용하여 호 발신을 시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장치 및 상기 착신단말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도메인 전환 요청에 따라, 도메인 전환을 요청한 상기 단말장치 및 상기 착신단말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기 엥커링(anchoring)된 도메인 전환 제어정보를 토대로 통화 호에 대한 도메인 전환을 수행하는 도메인전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5 관점에 따른 호 연속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장치가 특정 착신단말장치로의 호 발신 입력 시, 기 등록된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에 연결하는 단계;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호 연속지원장치와의 연결이 확인되면 상기 착신단말장치에 대응되는 착신연결정보를 기 정의된 메시징서비스를 이용하여 제공하는 단계; 상기 호 연속지원장치가 상기 착신연결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에 근거하여 상기 착신연결정보에 따른 호 발신을 시도하는 단계; 및 상기 호 연속지원장치가 상기 호 발신 시도에 따라 상기 착신단말장치와 연결되면 상기 단말장치 및 상기 착신단말장치 간의 통화 호를 인터페이스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6 관점에 따른 호 연속지원장치의 동작 방법은, 특정 단말장치로부터의 호 발신을 수신하여 상기 단말장치와 연결되는 발신단말 연결단계;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단계; 상기 메시지에 따른 특정 착신연결정보를 토대로 호 발신을 시도하여 상기 착신연결정보에 따른 특정 착신단말장치와 연결되는 착신단말 연결단계; 및 상기 호 발신 시도에 따라 연결되는 상기 착신단말장치 및 상기 단말장치 간의 통화 호를 인터페이스하는 호 인터페이스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신단말 연결단계는, 상기 메시지수신부를 통해 SMS 및 MMS 중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특정 착신단말번호를 인지하고 상기 착신단말번호를 이용하여 호 발신을 시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장치 및 상기 착신단말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도메인 전환 요청에 따라, 도메인 전환을 요청한 상기 단말장치 및 상기 착신단말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기 엥커링(anchoring)된 도메인 전환 제어정보를 토대로 통화 호에 대한 도메인 전환을 수행하는 도메인 전환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7 관점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는, 특정 착신단말장치로의 호 발신 입력을 인지하는 단계, 상기 호 발신 입력이 인지되면 기 등록된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로의 호 발신을 시도하는 단계, 상기 호 발신 시도에 따른 상기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와의 연결이 인지되면 상기 착신단말장치에 대응되는 착신연결정보를 제공하여, 기 정의된 메시징서비스를 통해 상기 착신연결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로 제공하도록 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신연결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는, 인지된 상기 호 발신 입력에 따른 착신단말번호를 포함하는 상기 착신연결정보 및 상기 연결된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의 장치번호를 포함하는 메시지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메시지요청정보를 상기 메시징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정 서비스장치로 제공하여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호 연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특정 고객망(예 : 기업 망) 내부에 구축형의 호 연속지원장치(VCC 서버)가 존재하는 환경에서, 단말장치가 착신단말장치로의 호 발신 입력 시 VCC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먼저 호 연속지원장치에 연결된 후 착신단말장치의 착신단말번호를 제공함에 있어서 기존의 DTMF 신호 대신 메시징서비스를 이용하여 제공함으로써, DTMF를 지원하기 위해 구축형의 호 연속지원장치가 갖게 되는 미디어보드 장착으로 인한 코스트 상승 문제 등의 불완전성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호 연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단말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호 연속지원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호 연속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호 연속지원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호 연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호 연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특정 착신단말장치(10)로의 호 발신 입력 시, 기 등록된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400)에 연결하고 착신단말장치(10)에 대응되는 착신연결정보를 기 정의된 메시징서비스를 이용하여 제공하는 단말장치(100)와, 연결된 단말장치(100)로부터 특정 착신연결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에 근거하여 상기 착신연결정보에 따른 호 발신을 시도하여, 단말장치(100) 및 착신단말장치(10) 간의 통화 호를 인터페이스하는 호 연속지원장치(400)를 포함한다.
설명에 앞서, 개인용 FMC(Fixed Mobile Convergence) 회선과 연동하여 VCC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동통신사업자의 망(예 : 3G 코어망) 내부에 VCC 서버(호 연속지원장치에 해당됨.)가 존재/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의 호 연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경우는, VCC 서버가 이동통신사업자 망의 내부 장치들과의 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후술에서 구체적으로 언급하게 될 본 발명에서 개선하고자 하는 기존의 문제 상황들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여기서 VCC(Voice Call Continuity) 서비스는, 3G 통신인 WCDMA의 CS(Circuit Switched) Call 기능과 PS(Packet Switched) 접속이나 WLAN 접속 등을 통하여 인터넷 접속을 하여 음성 통화를 하는 FMC(Fixed Mobile Convergence) Call 기능을 동시에 갖춘 단말(VCC단말)이 CS call과 FMC call 서비스를 끊기지 않고 이용할 수 있도록, 다시 말해 CS 도메인(혹은 CS 네트워크라 칭함)과 IMS 도메인(혹은 IMS 네트워크라 칭함) 간의 도메인을 전환함으로써 음성 호(voice call)의 연속성을 보장하는 서비스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호 연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본 발명에서 개선하고자 하는 기존의 문제 상황들이 발생되는 환경, 즉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IP-PBX와의 연동이 필요한 법인용 FMC 회선과 연동하여 VCC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 고객망(예 : 기업 망) 내부에 구축형의 VCC 서버(호 연속지원장치에 해당됨.)가 존재/위치하는 경우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호 연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들을 설명하도록 한다.
단말장치(100)는, 제1도메인 즉 CS 도메인과 제2도메인 즉 IMS 도메인 모두를 통한 음성 통화를 지원하는 VCC단말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단말장치(100)는, 유효한 VCC 서브스크립션(Active VCC Subscription)을 가지는 VCC 지원(VCC Capable) UE로서, CS call 뿐만 아니라 유무선통합 즉 FMC 회선을 이용한 FMC call(또는 IMS call)을 사용할 수 있는 단말일 것이다.
이러한 단말장치(100)는, VCC 서비스를 이용하여 통화를 생성하거나 또는 도메인 전환을 위한 도메인 선택 정책을 저장하고, 통화 생성을 위한 호 발신 시 또는 통화 중 도메인 전환이 필요한 조건 발생 시 이를 적용하며 사용 또는 전환할 도메인을 선택하는 기능 등을 수행한다.
이에 단말장치(100)는, 특정 착신단말장치(10)로의 호 발신 입력 시 VCC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기 등록된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400)에 연결하고, 착신단말장치(10)에 대응되는 착신연결정보를 기 정의된 메시징서비스를 이용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즉, 단말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착신단말번호가 입력되고 발신 버튼이 입력되는 등 통화 시도를 위한 특정 발신 조건이 만족되어 특정 착신단말장치(10)로의 호 발신 입력이 인지되면, 기 저장된 도메인 선택 정책을 적용하여 현 상태에서 제1도메인과 제2도메인 즉 CS 도메인과 IMS 도메인 중 어떤 도메인을 사용할 지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장치(100)가 도메인을 선택하는 절차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즉 종래의 VCC 단말에서 도메인을 선택하는 절차와 동일할 수 있다.
이에 제 1도메인 즉 CS 도메인을 선택한 경우, 단말장치(100)는 VCC 서비스를 이용하여 착신단말장치(10)와의 통화를 위한 일련의 연결 절차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단말장치(100)는 착신단말장치(10)로의 호 발신이 입력되면 먼저 VCC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기 등록된 호 연속지원장치(400)의 장치번호를 이용하여 호 발신을 시도한다.
이에 호 연속지원장치(400)로의 호 발신은, 제 1도메인 즉 CS 도메인 내의 호교환장치(200)를 거쳐 인터넷전화호교환장치(500)로 라우팅 되고 이에 특정 고객망(600, 예 : 기업 망) 내부에 존재하는 구축형의 VCC 서버(호 연속지원장치(400))로 연결되기 위해 우선 특정 고객망(600)의 IP-PBX(650)로 연결된다. 이에 IP-PBX(650)가 호 연속지원장치(400)로의 호 발신을 호 연속지원장치(400)로 연결하여 준다.
여기서, 호교환장치(200)는 제1도메인 즉 CS 도메인에서 발신/착신 호를 처리하는 교환장치로서 MSC, VMSC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인터넷전화호교환장치(500)는, 인터넷전화사업자에 의해 외부의 타 망과의 통화 호를 교환/인터페이스하는 다양한 장치들을 포함하며 이는 제2도메인 즉 IMS 도메인에 속하는 구성일 것이다.
이처럼, 착신단말장치(10)로의 CS 호 발신이 입력되면, 단말장치(100)가 VCC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먼저 자신에게 기 등록된 호 연속지원장치(400)로의 CS 호 발신을 시도하고, 이러한 CS 호 발신이 호교환장치(200) 및 인터넷전화호교환장치(500)을 거쳐 특정 고객망(600)의 IP-PBX(650)를 거쳐 호 연속지원장치(400)에 연결되며, 이와 같은 연결 과정은 기존의 VCC 단말이 착신단말로 CS 호 발신 입력 시 먼저 특정 VCC 서버로 호 발신을 시도하여 연결되는 과정과 동일/대응될 것이다.
이에, 단말장치(100)는, 전술과 같은 연결 절차를 거쳐 호 연속지원장치(400)에 연결된다.
호 연속지원장치(4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특정 고객망(600)의 법인용 FMC 회선과 연동하여 VCC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 고객망(600) 내부에 존재하는 구축형의 VCC 서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호 연속지원장치(4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의 호 발신이 수신되면 이에 응답하여 단말장치(100)와 통화 로를 형성하여 연결된다.
단말장치(100)는, 호 연속지원장치(400)와의 연결이 확인되면, 착신단말장치(10)에 대응되는 착신연결정보(예 : 착신단말번호)를 기 정의된 메시징서비스(예 : SMS, MMS 등)를 이용하여 호 연속지원장치(400)로 제공한다.
이에, 호 연속지원장치(4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특정 착신연결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에 근거하여 착신연결정보(예 : 착신단말번호)에 따른 호 발신을 시도하여, 착신단말장치(10)와의 통화 로를 형성한다.
그리고, 호 연속지원장치(400)는, 자신과 단말장치(100) 간에 연결된 통화 로 및 자신과 착신단말장치(10) 간에 연결된 통화 로를 통해, 단말장치(100) 및 착신단말장치(10) 간의 통화 호를 인터페이스한다.
이에 단말장치(100)는, 이후 호 연속지원장치(400)를 통한 호 인터페이스를 통해 착신단말장치(10)와 통화 로가 연결되어 착신단말장치(10)와의 통화가 가능해 진다.
더불어, 단말장치(100)가 통화 중에 이동하여 FMC call(또는 IMS call)이 가능한 지역(예 : 특정 고객망(600)이 커버하는 지역)으로 이동한 경우, 단말장치(100)는 VCC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이므로 기존과 같이 기 저장된 도메인 선택 정책을 적용하여 현 상태 즉 CS 도메인에서 제2도메인 즉 IMS 도메인으로의 도메인 전환을 호 연속지원장치(400)로 요청할 수 있고, 호 연속지원장치(400) 역시 기존과 같이 단말장치(100)에 대응되는 통화 로를 CS 도메인에서 IMS 도메인으로 전환하는 절차를 수행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호 연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개선하고자 하는 기존의 문제 상황들이 발생되는 환경 즉 법인용 FMC 회선과 연동하여 VCC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 고객망(예 : 기업 망) 내부에 구축형의 호 연속지원장치(VCC 서버)가 존재하는 환경에서, 단말장치가 착신단말장치로의 호 발신 입력 시 VCC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먼저 호 연속지원장치에 연결된 후 착신단말장치의 착신단말번호를 제공함에 있어서 기존의 DTMF 신호 대신 메시징서비스를 이용하여 제공함으로써, DTMF를 지원하기 위해 구축형의 호 연속지원장치가 갖게 되는 미디어보드 장착으로 인한 코스트 상승 문제 등의 불완전성을 해소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단말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는, 제1도메인 및 제2도메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한 호 송/수신을 지원하는 호송수신부(110)와, 상기 제1도메인 및 제2도메인 중 특정 도메인을 기반으로 특정 착신단말장치(10)로의 호 발신 입력 시, 호송수신부(110)를 통해 기 등록된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400)에 연결하고 착신단말장치(10)에 대응되는 착신연결정보를 기 정의된 메시징서비스를 이용하여 제공하는 단말제어부(120)를 포함한다.
호송수신부(110)는, 제1도메인 및 제2도메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한 호 송/수신을 지원한다.
즉, 호송수신부(110)는, 제1도메인 즉 CS 도메인과, 제2도메인 즉 IMS 도메인을 통한 음성 통화를 지원하는 통신모듈일 수 있고, 이에 단말장치(100)는 CS 도메인과 IMS 도메인 중 원하는 하나의 도메인을 선택하고 이를 통해 음성 통화를 이용할 수 있는 VCC 단말일 수 있다.
즉, 단말장치(100)는, CS call 뿐만 아니라 유무선통합 즉 FMC 회선을 이용한 FMC call(또는 IMS call)을 사용할 수 있는 단말일 것이다.
단말제어부(120)는, 제1도메인 및 제2도메인 중 특정 도메인을 기반으로 특정 착신단말장치(10)로의 호 발신 입력 시, 호송수신부(110)를 통해 기 등록된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400)에 연결하고 착신단말장치(10)에 대응되는 착신연결정보를 기 정의된 메시징서비스를 이용하여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단말제어부(120)는, 착신단말장치(10)로의 호 발신이 입력되면 먼저 VCC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기 등록된 특정 장치번호를 이용하여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400)로의 호 발신을 시도하고 이에 따라 호 연속지원장치(400)와 연결되면, 기 정의된 메시징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호 발신 입력에 따른 착신단말번호를 포함하는 상기 착신연결정보를 포함하는 SMS 및 MMS 중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를 생성하여 호 연속지원장치(400)로 제공한다.
즉, 단말제어부(120)는, VCC 서비스를 이용하여 통화를 생성하거나 또는 도메인 전환을 위한 도메인 선택 정책을 저장하고, 통화 생성을 위한 호 발신 시 또는 통화 중 도메인 전환이 필요한 조건 발생 시 이를 적용하며 사용 또는 전환할 도메인을 선택하는 기능 등을 수행한다.
이에 단말제어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착신단말번호가 입력되고 발신 버튼이 입력되는 등 통화 시도를 위한 특정 발신 조건이 만족되어 특정 착신단말장치(10)로의 호 발신 입력이 인지되면, 기 저장된 도메인 선택 정책을 적용하여 현 상태에서 제1도메인과 제2도메인 즉 CS 도메인과 IMS 도메인 중 어떤 도메인을 사용할 지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제어부(120)가 도메인을 선택하는 절차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즉 종래의 VCC 단말에서 도메인을 선택하는 절차와 동일할 수 있다.
이에 제 1도메인 즉 CS 도메인을 선택한 경우, 단말제어부(120)는, VCC 서비스를 이용하여 착신단말장치(10)와의 통화를 위한 일련의 연결 절차를 수행한다.
즉, 단말제어부(120)는, 착신단말장치(10)로의 호 발신이 입력되면 먼저 VCC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기 등록된 호 연속지원장치(400)의 장치번호를 이용하여 금번 선택된 CS 도메인을 통해 호 발신을 시도한다.
이에 호 연속지원장치(400)로의 호 발신은, 제 1도메인 즉 CS 도메인 내의 호교환장치(200)를 거쳐 인터넷전화호교환장치(500)로 라우팅 되고 이에 특정 고객망(600, 예 : 기업 망) 내부에 존재하는 구축형의 VCC 서버(호 연속지원장치(400))로 연결되기 위해 우선 특정 고객망(600)의 IP-PBX(650)로 연결된다. 이에 IP-PBX(650)가 호 연속지원장치(400)로의 호 발신을 호 연속지원장치(400)로 연결하여 준다.
이처럼, 착신단말장치(10)로의 CS 호 발신이 입력되면, 단말제어부(120)는 VCC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먼저 자신에게 기 등록된 호 연속지원장치(400)로의 CS 호 발신을 시도하고, 이러한 CS 호 발신이 호교환장치(200) 및 인터넷전화호교환장치(500)을 거쳐 특정 고객망(600)의 IP-PBX(650)를 거쳐 호 연속지원장치(400)에 연결되며, 이와 같은 연결 과정은 기존의 VCC 단말이 착신단말로 CS 호 발신 입력 시 먼저 특정 VCC 서버로 호 발신을 시도하여 연결되는 과정과 동일/대응될 것이다.
이에, 단말제어부(120)는 전술과 같은 연결 절차를 거쳐 호 연속지원장치(400)에 연결된다.
그리고 단말제어부(120)는, 호 연속지원장치(400)와의 연결이 확인되면, 기 정의된 메시징서비스를 이용하여 착신단말장치(10)에 대응되는 착신연결정보 즉 착신단말번호를 포함하는 착신연결정보를 user data 영역에 포함시킨 SMS 또는 MMS를 호 연속지원장치(400)로 제공한다.
이에, 호 연속지원장치(4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특정 착신연결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에 근거하여 착신연결정보(예 : 착신단말번호)에 따른 호 발신을 시도하여, 착신단말장치(10)와의 통화 로를 형성하고, 단말장치(100) 및 착신단말장치(10) 간의 통화 호를 인터페이스할 것이다.
이에 단말장치(100)는, 이후 호 연속지원장치(400)를 통한 호 인터페이스를 통해 착신단말장치(10)와 통화 로가 연결되며, 이에 단말장치(100)에서는 착신단말장치(10)와의 통화가 가능해 진다.
더불어, 단말장치(100)가 통화 중에 이동하여 FMC call(또는 IMS call)이 가능한 지역(예 : 특정 고객망(600)이 커버하는 지역)으로 이동한 경우, VCC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이므로 단말제어부(120)는 기존과 같이 기 저장된 도메인 선택 정책을 적용하여 현 상태 즉 CS 도메인에서 제2도메인 즉 IMS 도메인으로의 도메인 전환을 호 연속지원장치(400)로 요청할 수 있고, 호 연속지원장치(400) 역시 기존과 같이 단말장치(100)에 대응되는 통화 로를 CS 도메인에서 IMS 도메인으로 전환하는 절차를 수행할 것이다.
전술과 같은 단말제어부(120)는 VCC 서비스를 실행하는 기능의 VCC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 특히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단말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단말장치(100)는, 특정 착신단말장치(10)로의 호 발신 입력을 인지하는 발신입력인지부(130)와, 상기 호 발신 입력이 인지되면 기 등록된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400)로의 호 발신을 시도하는 호발신처리부(140)와, 상기 호 발신 시도에 따른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400)와의 연결이 인지되면 착신단말장치(10)에 대응되는 착신연결정보를 제공하여, 기 정의된 메시징서비스를 통해 상기 착신연결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400)로 제공하도록 하는 착신연결정보제공부(150)를 포함한다.
발신입력인지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착신단말번호가 입력되고 발신 버튼이 입력되는 등 통화 시도를 위한 특정 발신 조건이 만족되어 특정 착신단말장치(10)로의 호 발신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인지한다.
호발신처리부(140)는, 발신입력인지부(130)에서 호 발신 입력이 인지되면, 기 등록된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400)로의 호 발신을 시도한다.
다시 말해, 호발신처리부(140)는, 발신입력인지부(130)에서 호 발신 입력이 인지되면, VCC 서비스를 이용하여 통화를 생성하거나 또는 도메인 전환을 위한 도메인 선택 정책을 토대로 적용하여 현 상태에서 제1도메인과 제2도메인 즉 CS 도메인과 IMS 도메인 중 어떤 도메인을 사용할 지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호발신처리부(140)가 도메인을 선택하는 절차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즉 종래의 VCC 단말에서 도메인을 선택하는 절차와 동일할 수 있다.
이에 제 1도메인 즉 CS 도메인을 선택한 경우, 호발신처리부(140)는, VCC 서비스를 이용하여 착신단말장치(10)와의 통화를 위한 일련의 연결 절차를 수행한다.
즉, 호발신처리부(140)는, 발신입력인지부(130)에서 호 발신 입력이 인지되면, 먼저 VCC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기 등록된 호 연속지원장치(400)의 장치번호를 이용하여 금번 선택된 CS 도메인을 통해 호 발신을 시도한다.
이에 호 연속지원장치(400)로의 호 발신은, 제 1도메인 즉 CS 도메인 내의 호교환장치(200)를 거쳐 인터넷전화호교환장치(500)로 라우팅 되고 이에 특정 고객망(600, 예 : 기업 망) 내부에 존재하는 구축형의 VCC 서버(호 연속지원장치(400))로 연결되기 위해 우선 특정 고객망(600)의 IP-PBX(650)로 연결된다. 이에 IP-PBX(650)가 호 연속지원장치(400)로의 호 발신을 호 연속지원장치(400)로 연결하여 준다.
이처럼, 착신단말장치(10)로의 CS 호 발신이 입력되면, 호발신처리부(140)는 VCC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먼저 자신에게 기 등록된 호 연속지원장치(400)로의 CS 호 발신을 시도하고, 이러한 CS 호 발신이 호교환장치(200) 및 인터넷전화호교환장치(500)을 거쳐 특정 고객망(600)의 IP-PBX(650)를 거쳐 호 연속지원장치(400)에 연결되며, 이와 같은 연결 과정은 기존의 VCC 단말이 착신단말로 CS 호 발신 입력 시 먼저 특정 VCC 서버로 호 발신을 시도하여 연결되는 과정과 동일/대응될 것이다.
이에, 호발신처리부(140)는 전술과 같은 연결 절차를 거쳐 호 연속지원장치(400)에 연결된다.
착신연결정보제공부(150)는, 상기 호 발신 시도에 따른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400)와의 연결이 인지되면, 착신단말장치(10)에 대응되는 착신연결정보를 제공하여, 기 정의된 메시징서비스를 통해 상기 착신연결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400)로 제공하도록 한다.
다시 말래, 착신연결정보제공부(150)는, 인지된 상기 호 발신 입력에 따른 착신단말번호(10)를 포함하는 상기 착신연결정보 및 상기 연결된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400)의 장치번호를 포함하는 메시지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메시지요청정보를 상기 메시징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정 서비스장치로 제공하여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즉, 착신연결정보제공부(150)는, 호 연속지원장치(400)와의 연결이 확인되면, 호 발신 입력에 따른 착신단말번호를 포함하는 착신연결정보 및 연결된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400)의 장치번호를 포함하는 메시지요청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착신연결정보제공부(150)는, 생성한 메시지요청정보를 통신모듈(미도시)로 제공하여, 기 정의된 메시징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정 서비스장치로 메시지요청정보를 전송하도록 하여 착신연결정보를 user data 영역에 포함시킨 SMS 또는 MMS를 호 연속지원장치(400)로 제공하도록 한다.
이에, 호 연속지원장치(4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특정 착신연결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에 근거하여 착신연결정보(예 : 착신단말번호)에 따른 호 발신을 시도하여, 착신단말장치(10)와의 통화 로를 형성하고, 단말장치(100) 및 착신단말장치(10) 간의 통화 호를 인터페이스할 것이다.
이에 단말장치(100)는, 이후 호 연속지원장치(400)를 통한 호 인터페이스를 통해 착신단말장치(10)와 통화 로가 연결되며, 이에 단말장치(100)에서는 착신단말장치(10)와의 통화가 가능해 진다.
더불어, 단말장치(100)가 통화 중에 이동하여 FMC call(또는 IMS call)이 가능한 지역(예 : 특정 고객망(600)이 커버하는 지역)으로 이동한 경우, VCC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이므로 도메인전환요청부(160)는 기존과 같이 기 저장된 도메인 선택 정책을 적용하여 현 상태 즉 CS 도메인에서 제2도메인 즉 IMS 도메인으로의 도메인 전환을 호 연속지원장치(400)로 요청할 수 있고, 호 연속지원장치(400) 역시 기존과 같이 단말장치(100)에 대응되는 통화 로를 CS 도메인에서 IMS 도메인으로 전환하는 절차를 수행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호 연속지원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호 연속지원장치(400)는, 특정 단말장치(100)로부터의 호 발신을 수신하여 단말장치(100)와 연결되는 발신단말연결부(410)와, 단말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수신부(420)와, 상기 메시지에 따른 특정 착신연결정보를 토대로 호 발신을 시도하여 상기 착신연결정보에 따른 특정 착신단말장치(10)와 연결되는 착신단말연결부(430)와, 상기 호 발신 시도에 따라 연결되는 착신단말장치(10) 및 단말장치(100) 간의 통화 호를 인터페이스하는 호인터페이스부(440)를 포함한다.
발신단말연결부(410)는, 특정 단말장치(100)로부터의 호 발신이 수신되면 이에 응답하여 단말장치(100)와 통화 로를 형성하여 연결된다.
메시지수신부(420)는, 특정 단말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메시지를 수신한다. 즉, 메시지수신부(420)는, 기 정의된 메시징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메시지(예 : SMS, MMS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착신단말연결부(430)는, 메시지수신부(420)를 통해 수신된 메시지에 따른 특정 착신연결정보를 토대로 호 발신을 시도하여 상기 착신연결정보에 따른 특정 착신단말장치(10)와 연결된다.
즉, 착신단말연결부(430)는, 메시지수신부(420)를 통해 SMS 및 MMS 중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특정 착신연결정보 다시 말해 특정 착신단말번호를 인지하고, 인지된 착신단말번호를 이용하여 호 발신을 시도한다.
이에 착신단말연결부(430)의 호 발신 시도에 대응하여 착신단말장치(10)가 응답하게 되면 착신단말연결부(430)는 착신단말장치(10)와 통화 로를 형성하여 연결된다.
호인터페이스부(440)는, 호 발신 시도에 따라 연결되는 착신단말장치(10) 및 단말장치(100) 간의 통화 호를 인터페이스한다.
즉, 호인터페이스부(440)는, 발신단말연결부(410)에 의해 연결되는 단말장치(100) 및 착신단말연결부(430)에 의해 연결되는 착신단말장치(10) 간의 통화 호를 인터페이스하고, 이에 단말장치(100) 및 착신단말장치(10) 간의 통화가 가능해 진다.
더 나아가, 호 연속지원장치(400)는 도메인전환부(450)를 더 포함한다.
도메인전환부(450)는, 단말장치(100) 및 착신단말장치(1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도메인 전환 요청에 따라, 도메인 전환을 요청한 단말장치(100) 및 착신단말장치(10)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기 엥커링(anchoring)된 도메인 전환 제어정보를 토대로 통화 호에 대한 도메인 전환을 수행한다.
즉, 도메인전환부(450)는, 단말장치(100) 및 착신단말장치(10) 간의 통화 호를 인터페이스하는 중 단말장치(100)로부터 도메인 전환(예 : CS 도메인 -> IMS 도메인)이 요청되면, 발신단말연결부(410)에서 단말장치(100)와의 통화 로 형성/연결 시 엥커링된 도메인 전환 제어정보(예 : Call ID, Public User Identity 등))를 토대로 단말장치(100)에 대응되는 통화 호에 대한 도메인 전환을 수행한다.
물론, 도메인전환부(450)는, 단말장치(100) 및 착신단말장치(10) 간의 통화 호를 인터페이스하는 중 VCC 서비스를 이용하는 착신단말장치(10)로부터 도메인 전환(예 : IMS 도메인 -> CS 도메인)이 요청되면, 착신단말연결부(430)에서 착신단말장치(10)와의 통화 로 형성/연결 시 엥커링된 도메인 전환 제어정보(예 : Call ID, Public User Identity 등)를 토대로 착신단말장치(10)에 대응되는 통화 호에 대한 도메인 전환을 수행한다.
여기서, 도메인전환부(450)가 도메인 전환 요청에 따라 해당 단말의 도메인을 전환하는 절차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즉 종래의 VCC 서버에서 통화 중인 특정 VCC 단말에 대한 도메인을 전환하는 절차와 동일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호 연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특정 고객망(예 : 기업 망) 내부에 구축형의 호 연속지원장치(VCC 서버)가 존재하는 환경에서, 단말장치가 착신단말장치로의 호 발신 입력 시 VCC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먼저 호 연속지원장치에 연결된 후 착신단말장치의 착신단말번호를 제공함에 있어서 기존의 DTMF 신호 대신 메시징서비스를 이용하여 제공함으로써, DTMF를 지원하기 위해 구축형의 호 연속지원장치가 갖게 되는 미디어보드 장착으로 인한 코스트 상승 문제 등의 불완전성을 해소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호 연속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호 연속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단말장치(100)가 특정 착신단말장치(10)로의 호 발신 입력 시, 기 등록된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400)에 연결한다.
단말장치(100)는, VCC 서비스를 이용하여 통화를 생성하거나 또는 도메인 전환을 위한 도메인 선택 정책을 저장하고, 통화 생성을 위한 호 발신 시 또는 통화 중 도메인 전환이 필요한 조건 발생 시 이를 적용하며 사용 또는 전환할 도메인을 선택하는 기능 등을 수행한다.
이에 단말장치(100)는, 특정 착신단말장치(10)로의 호 발신 입력 시(S10) VCC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기 등록된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400)로의 호 발신을 시도하고(S20) 이에 호 연속지원장치(400)와 연결되면(S25), 착신단말장치(10)에 대응되는 착신연결정보를 기 정의된 메시징서비스를 이용하여 제공할 수 있다(S30).
즉, 단말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착신단말번호가 입력되고 발신 버튼이 입력되는 등 통화 시도를 위한 특정 발신 조건이 만족되어 특정 착신단말장치(10)로의 호 발신 입력이 인지되면, 기 저장된 도메인 선택 정책을 적용하여 현 상태에서 제1도메인과 제2도메인 즉 CS 도메인과 IMS 도메인 중 어떤 도메인을 사용할 지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장치(100)가 도메인을 선택하는 절차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즉 종래의 VCC 단말에서 도메인을 선택하는 절차와 동일할 수 있다.
이에 제 1도메인 즉 CS 도메인을 선택한 경우, 단말장치(100)는 VCC 서비스를 이용하여 착신단말장치(10)와의 통화를 위한 일련의 연결 절차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단말장치(100)는 착신단말장치(10)로의 호 발신이 입력되면 먼저 VCC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기 등록된 호 연속지원장치(400)의 장치번호를 이용하여 호 발신을 시도한다(S20).
이에 호 연속지원장치(400)로의 호 발신은, 제 1도메인 즉 CS 도메인 내의 호교환장치(200)를 거쳐 인터넷전화호교환장치(500)로 라우팅 되고 이에 특정 고객망(600, 예 : 기업 망) 내부에 존재하는 구축형의 VCC 서버(호 연속지원장치(400))로 연결되기 위해 우선 특정 고객망(600)의 IP-PBX(650)로 연결된다. 이에 IP-PBX(650)가 호 연속지원장치(400)로의 호 발신을 호 연속지원장치(400)로 연결하여 준다.
이처럼, 착신단말장치(10)로의 CS 호 발신이 입력되면, 단말장치(100)가 VCC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먼저 자신에게 기 등록된 호 연속지원장치(400)로의 CS 호 발신을 시도하고, 이러한 CS 호 발신이 호교환장치(200) 및 인터넷전화호교환장치(500)을 거쳐 특정 고객망(600)의 IP-PBX(650)를 거쳐 호 연속지원장치(400)에 연결되며, 이와 같은 연결 과정은 기존의 VCC 단말이 착신단말로 CS 호 발신 입력 시 먼저 특정 VCC 서버로 호 발신을 시도하여 연결되는 과정과 동일/대응될 것이다.
이에, 단말장치(100)는, 전술과 같은 연결 절차를 거쳐 호 연속지원장치(400)에 연결된다(S25).
호 연속지원장치(4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특정 고객망(600)의 법인용 FMC 회선과 연동하여 VCC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 고객망(600) 내부에 존재하는 구축형의 VCC 서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호 연속지원장치(4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의 호 발신이 수신되면 이에 응답하여 단말장치(100)와 통화 로를 형성하여 연결된다.
단말장치(100)는, 호 연속지원장치(400)와의 연결이 확인되면, 착신단말장치(10)에 대응되는 착신연결정보(예 : 착신단말번호)를 기 정의된 메시징서비스(예 : SMS, MMS 등)를 제공하는 서비스서버(3000를 통해 호 연속지원장치(400)로 제공한다(S30).
이에, 호 연속지원장치(4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특정 착신연결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에 근거하여 착신연결정보(예 : 착신단말번호)에 따른 호 발신을 시도하여(S40), 착신단말장치(10)와의 통화 로를 형성하여 연결된다(S45).
그리고, 호 연속지원장치(400)는, 자신과 단말장치(100) 간에 연결된 통화 로 및 자신과 착신단말장치(10) 간에 연결된 통화 로를 통해, 단말장치(100) 및 착신단말장치(10) 간의 통화 호를 인터페이스한다(S50).
이에 단말장치(100)는, 이후 호 연속지원장치(400)를 통한 호 인터페이스를 통해 착신단말장치(10)와 통화 로가 연결되어 착신단말장치(10)와의 통화가 가능해 진다.
더불어, 단말장치(100)가 통화 중에 이동하여 FMC call(또는 IMS call)이 가능한 지역(예 : 특정 고객망(600)이 커버하는 지역)으로 이동한 경우, 단말장치(100)는 VCC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이므로 기존과 같이 기 저장된 도메인 선택 정책을 적용하여 현 상태 즉 CS 도메인에서 제2도메인 즉 IMS 도메인으로의 도메인 전환을 호 연속지원장치(400)로 요청할 수 있고(S60), 호 연속지원장치(400) 역시 기존과 같이 단말장치(100)에 대응되는 통화 로를 CS 도메인에서 IMS 도메인으로 전환하는 절차를 수행할 것이다(S70).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다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착신단말번호가 입력되고 발신 버튼이 입력되는 등 통화 시도를 위한 특정 발신 조건이 만족되어 특정 착신단말장치(10)로의 호 발신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인지한다.
본 발명에 다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호 발신 입력이 인지되면(S100), 기 등록된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400)로의 호 발신을 시도하여 호 연속지원장치(400)와 연결된다(S110).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다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호 발신 입력이 인지되면, VCC 서비스를 이용하여 통화를 생성하거나 또는 도메인 전환을 위한 도메인 선택 정책을 토대로 적용하여 현 상태에서 제1도메인과 제2도메인 즉 CS 도메인과 IMS 도메인 중 어떤 도메인을 사용할 지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도메인을 선택하는 절차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즉 종래의 VCC 단말에서 도메인을 선택하는 절차와 동일할 수 있다.
이에 제 1도메인 즉 CS 도메인을 선택한 경우, 본 발명에 다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VCC 서비스를 이용하여 착신단말장치(10)와의 통화를 위한 일련의 연결 절차를 수행한다.
즉, 본 발명에 다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먼저 VCC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기 등록된 호 연속지원장치(400)의 장치번호를 이용하여 금번 선택된 CS 도메인을 통해 호 발신을 시도한다.
이에 호 연속지원장치(400)로의 호 발신은, 제 1도메인 즉 CS 도메인 내의 호교환장치(200)를 거쳐 인터넷전화호교환장치(500)로 라우팅 되고 이에 특정 고객망(600, 예 : 기업 망) 내부에 존재하는 구축형의 VCC 서버(호 연속지원장치(400))로 연결되기 위해 우선 특정 고객망(600)의 IP-PBX(650)로 연결된다. 이에 IP-PBX(650)가 호 연속지원장치(400)로의 호 발신을 호 연속지원장치(400)로 연결하여 준다.
이처럼, 착신단말장치(10)로의 CS 호 발신이 입력되면, 본 발명에 다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VCC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먼저 자신에게 기 등록된 호 연속지원장치(400)로의 CS 호 발신을 시도하고, 이러한 CS 호 발신이 호교환장치(200) 및 인터넷전화호교환장치(500)을 거쳐 특정 고객망(600)의 IP-PBX(650)를 거쳐 호 연속지원장치(400)에 연결되며, 이와 같은 연결 과정은 기존의 VCC 단말이 착신단말로 CS 호 발신 입력 시 먼저 특정 VCC 서버로 호 발신을 시도하여 연결되는 과정과 동일/대응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다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전술과 같은 연결 절차를 거쳐 호 연속지원장치(400)에 연결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다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상기 호 발신 시도에 따른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400)와의 연결이 인지되면, 착신단말장치(10)에 대응되는 착신연결정보를 제공하여, 기 정의된 메시징서비스를 통해 상기 착신연결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400)로 제공하도록 한다(S120).
다시 말래, 본 발명에 다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인지된 상기 호 발신 입력에 따른 착신단말번호(10)를 포함하는 상기 착신연결정보 및 상기 연결된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400)의 장치번호를 포함하는 메시지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메시지요청정보를 상기 메시징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정 서비스장치로 제공하여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다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호 연속지원장치(400)와의 연결이 확인되면, 호 발신 입력에 따른 착신단말번호를 포함하는 착신연결정보 및 연결된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400)의 장치번호를 포함하는 메시지요청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다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생성한 메시지요청정보를 통신모듈(미도시)로 제공하여, 기 정의된 메시징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정 서비스장치(300)로 메시지요청정보를 전송하도록 하여 착신연결정보를 user data 영역에 포함시킨 SMS 또는 MMS를 호 연속지원장치(400)로 제공하도록 한다.
이에, 호 연속지원장치(4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특정 착신연결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에 근거하여 착신연결정보(예 : 착신단말번호)에 따른 호 발신을 시도하여, 착신단말장치(10)와의 통화 로를 형성하고, 단말장치(100) 및 착신단말장치(10) 간의 통화 호를 인터페이스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다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이후 호 연속지원장치(400)를 통한 호 인터페이스를 통해 착신단말장치(10)와 통화 로가 연결되며, 이에 단말장치(100)에서는 착신단말장치(10)와의 통화가 가능해 진다(S130).
더불어, 단말장치(100)가 통화 중에 이동하여 FMC call(또는 IMS call)이 가능한 지역(예 : 특정 고객망(600)이 커버하는 지역)으로 이동하는 등 도메인 전환 조건이 발생한 경우(S140), 본 발명에 다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VCC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이므로 기 저장된 도메인 선택 정책을 적용하여 현 상태 즉 CS 도메인에서 제2도메인 즉 IMS 도메인으로의 도메인 전환을 호 연속지원장치(400)로 요청할 수 있고(150), 호 연속지원장치(400) 역시 기존과 같이 단말장치(100)에 대응되는 통화 로를 CS 도메인에서 IMS 도메인으로 전환하는 절차를 수행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호 연속지원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호 연속지원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특정 단말장치(100)로부터의 호 발신이 수신되면 이에 응답하여 단말장치(100)와 통화 로를 형성하여 연결된다(S200).
이 후 본 발명에 따른 호 연속지원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단말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메시지를 수신한다(S210). 즉, 본 발명에 따른 호 연속지원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기 정의된 메시징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메시지(예 : SMS, MMS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호 연속지원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수신된 메시지에 따른 특정 착신연결정보를 토대로 호 발신을 시도하여 상기 착신연결정보에 따른 특정 착신단말장치(10)와 연결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호 연속지원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SMS 및 MMS 중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특정 착신연결정보 다시 말해 특정 착신단말번호를 인지하고(S220), 인지된 착신단말번호를 이용하여 호 발신을 시도하고, 이에 대응하여 착신단말장치(10)가 응답하게 되면 착신단말장치(10)와 통화 로를 형성하여 연결된다(S230).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호 연속지원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호 발신 시도에 따라 연결되는 착신단말장치(10) 및 단말장치(100) 간의 통화 호를 인터페이스한다(S240).
즉, 본 발명에 따른 호 연속지원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연결되는 단말장치(100) 및 연결되는 착신단말장치(10) 간의 통화 호를 인터페이스하고, 이에 단말장치(100) 및 착신단말장치(10) 간의 통화가 가능해 진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호 연속지원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단말장치(100) 및 착신단말장치(1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도메인 전환 요청이 수신되면(S250) 이에 따라 도메인 전환을 요청한 단말장치(100) 및 착신단말장치(10)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기 엥커링(anchoring)된 도메인 전환 제어정보를 토대로 통화 호에 대한 도메인 전환을 수행한다(S260).
즉, 본 발명에 따른 호 연속지원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단말장치(100) 및 착신단말장치(10) 간의 통화 호를 인터페이스하는 중 단말장치(100)로부터 도메인 전환(예 : CS 도메인 -> IMS 도메인)이 요청되면, 단말장치(100)와의 통화 로 형성/연결 시 엥커링된 도메인 전환 제어정보(예 : Call ID, Public User Identity 등))를 토대로 단말장치(100)에 대응되는 통화 호에 대한 도메인 전환을 수행한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호 연속지원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단말장치(100) 및 착신단말장치(10) 간의 통화 호를 인터페이스하는 중 VCC 서비스를 이용하는 착신단말장치(10)로부터 도메인 전환(예 : IMS 도메인 -> CS 도메인)이 요청되면, 착신단말장치(10)와의 통화 로 형성/연결 시 엥커링된 도메인 전환 제어정보(예 : Call ID, Public User Identity 등)를 토대로 착신단말장치(10)에 대응되는 통화 호에 대한 도메인 전환을 수행한다.
여기서, 도메인 전환 요청에 따라 해당 단말의 도메인을 전환하는 절차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즉 종래의 VCC 서버에서 통화 중인 특정 VCC 단말에 대한 도메인을 전환하는 절차와 동일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호 연속 서비스 제공 방법은, 특정 고객망(예 : 기업 망) 내부에 구축형의 호 연속지원장치(VCC 서버)가 존재하는 환경에서, 단말장치가 착신단말장치로의 호 발신 입력 시 VCC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먼저 호 연속지원장치에 연결된 후 착신단말장치의 착신단말번호를 제공함에 있어서 기존의 DTMF 신호 대신 메시징서비스를 이용하여 제공함으로써, DTMF를 지원하기 위해 구축형의 호 연속지원장치가 갖게 되는 미디어보드 장착으로 인한 코스트 상승 문제 등의 불완전성을 해소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이동식 디스크, CD-ROM, 또는 기술적으로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연결되며, 그 결과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로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포함될 수 있다. ASIC은 단말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단말 내에 개별적인 컴포넌트들로서 포함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특정 고객망(예 : 기업 망) 내부에 구축형의 호 연속지원장치(VCC 서버)가 존재하는 환경에서, 단말장치가 착신단말장치로의 호 발신 입력 시 VCC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먼저 호 연속지원장치에 연결된 후 착신단말장치의 착신단말번호를 제공함에 있어서 기존의 DTMF 신호 대신 메시징서비스를 이용하여 제공하는 호 연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적용할 경우, VCC 서비스를 위한 장치의 코스트 절감 및 서비스 품질, 사용자 만족도 매우 큰 성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적용되는 호 연속지원장치 및 단말장치 및 이를 통한 서비스 솔루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다.
10 : 착신단말장치 100 : 단말장치
400 : 호 연속지원장치

Claims (14)

  1. 삭제
  2. 제1도메인 및 제2도메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한 호 송/수신을 지원하는 호송수신부; 및
    특정 착신단말장치로의 호 발신 입력 시, 상기 호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1도메인 및 제2도메인 중 특정 도메인을 기반으로 상기 착신단말장치와는 무관하게 기 등록된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에 연결하고, 상기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에 연결되면 상기 착신단말장치에 대응되는 착신연결정보를 기 정의된 메시징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로 제공하는 단말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제어부는,
    상기 착신단말장치로의 호 발신 시도가 입력되면, 기 등록된 특정 장치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로의 호 발신을 시도하고 이에 따라 상기 호 연속지원장치와 연결되면, 기 정의된 메시징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호 발신 입력에 따른 착신단말번호를 포함하는 상기 착신연결정보를 포함하는 SMS 및 MMS 중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호 연속지원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4. 특정 착신단말장치로의 호 발신 입력을 인지하는 발신입력인지부;
    상기 호 발신 입력이 인지되면, 상기 착신단말장치와는 무관하게 기 등록된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로의 호 발신을 시도하는 호발신처리부; 및
    상기 호 발신 시도에 따른 상기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와의 연결이 인지되면, 상기 착신단말장치에 대응되는 착신연결정보를 기 정의된 메시징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로 제공하는 착신연결정보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연결정보제공부는,
    인지된 상기 호 발신 입력에 따른 착신단말번호를 포함하는 상기 착신연결정보 및 상기 연결된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의 장치번호를 포함하는 메시지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메시지요청정보를 상기 메시징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정 서비스장치로 제공하여 전송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6. 호 연속지원장치에 있어서,
    상기 호 연속지원장치로의 호 발신을 시도하는 단말장치와 연결되는 발신단말연결부;
    상기 연결된 단말장치로부터 제공되는 특정 착신연결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메시징서비스를 통해서 수신하는 메시지수신부;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착신연결정보를 토대로 호 발신을 시도하여, 상기 착신연결정보에 따른 착신단말장치와 연결되는 착신단말연결부; 및
    상기 착신연결정보를 토대로 연결된 상기 착신단말장치 및 상기 착신연결정보를 제공한 상기 단말장치 사이의 통화 호를 인터페이스하는 호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연속지원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단말연결부는,
    상기 메시지수신부를 통해 SMS 및 MMS 중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특정 착신단말번호를 인지하고 상기 착신단말번호를 이용하여 호 발신을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연속지원장치.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 및 상기 착신단말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도메인 전환 요청에 따라, 도메인 전환을 요청한 상기 단말장치 및 상기 착신단말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기 엥커링(anchoring)된 도메인 전환 제어정보를 토대로 통화 호에 대한 도메인 전환을 수행하는 도메인전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연속지원장치.
  9. 삭제
  10. 호 연속지원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호 연속지원장치로의 호 발신을 시도하는 단말장치와 연결되는 발신단말 연결단계;
    상기 연결된 단말장치로부터 제공되는 특정 착신연결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메시징서비스를 통해서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단계;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착신연결정보를 토대로 호 발신을 시도하여, 상기 착신연결정보에 따른 착신단말장치와 연결되는 착신단말 연결단계; 및
    상기 착신연결정보를 토대로 연결된 상기 착신단말장치 및 상기 착신연결정보를 제공한 상기 단말장치 사이의 통화 호를 인터페이스하는 호 인터페이스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연속지원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단말 연결단계는,
    상기 메시지 수신단계를 통해 SMS 및 MMS 중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특정 착신단말번호를 인지하고 상기 착신단말번호를 이용하여 호 발신을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연속지원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 및 상기 착신단말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도메인 전환 요청에 따라, 도메인 전환을 요청한 상기 단말장치 및 상기 착신단말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기 엥커링(anchoring)된 도메인 전환 제어정보를 토대로 통화 호에 대한 도메인 전환을 수행하는 도메인 전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연속지원장치의 동작 방법.
  13. 특정 착신단말장치로의 호 발신 입력을 인지하는 단계,
    상기 호 발신 입력이 인지되면, 상기 착신단말장치와는 무관하게 기 등록된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로의 호 발신을 시도하는 단계,
    상기 호 발신 시도에 따른 상기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와의 연결이 인지되면, 상기 착신단말장치에 대응되는 착신연결정보를 기 정의된 메시징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연결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는,
    인지된 상기 호 발신 입력에 따른 착신단말번호를 포함하는 상기 착신연결정보 및 상기 연결된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의 장치번호를 포함하는 메시지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메시지요청정보를 상기 메시징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정 서비스장치로 제공하여 전송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KR1020110062845A 2011-06-28 2011-06-28 호 연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743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845A KR101743578B1 (ko) 2011-06-28 2011-06-28 호 연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845A KR101743578B1 (ko) 2011-06-28 2011-06-28 호 연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918A KR20130001918A (ko) 2013-01-07
KR101743578B1 true KR101743578B1 (ko) 2017-06-15

Family

ID=47834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2845A KR101743578B1 (ko) 2011-06-28 2011-06-28 호 연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357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918A (ko) 2013-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53162B1 (en) Client-based multimode handover in communication systems
US7953072B2 (en) Method and system for ending-call anchoring of circuit switched domain
US8149785B2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jumping calls between different modes of the same device
JP2007142610A (ja) 移動通信システム、呼制御サーバ及び呼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EP2763464B1 (en) Convergence calling method and system
US20100008340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n original call anchoring in voice call continuity service
US8289887B2 (en) Late call forwarding method in IP multimedia core network subsystem centralized service
KR20060090290A (ko) 통신 네트워크들에서의 호 포워딩 루프들 방지
EP2443850B1 (en) Methods and apparatus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101233176B1 (ko) Vcc에서의 호처리 방법, 서버 및 엔티티
US8374330B2 (en) Call control
US8699390B2 (en) Call rout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743578B1 (ko) 호 연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06127417A1 (en) System to provide dual registration with an ip telephony network and a circuit-switched telephony network
KR20150038388A (ko) Srvcc가 동일한 번호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WO2012089064A1 (zh) 在电路域接入终端与as之间交互控制信息的方法及设备
EP2040508A1 (en) Method, apparatuses and program product for controlling IMS services when user is roaming in CS domain
KR102286082B1 (ko) 음성호 서비스 전환 시스템, 게이트웨이장치 및 서비스전환장치 그리고 그 장치의 동작 방법
WO2006058553A1 (en) Handing off a mobile station between a first access network supporting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and a second cellular access network
KR20080037376A (ko) 호 전환 플러스 서비스 방법
KR101487485B1 (ko) 영상통화호 처리 방법
KR101191464B1 (ko)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ip-pbx 가입자의 발신 호의 엥커링 결정 서버 및 방법, 이를 이용한 음성 호 연속성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077469B1 (ko) Ip 기반 구내 교환기 가입자에 대한 내선 착신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10014897A (ko) Scc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92936A (ko) Ip망의 착신자 프레즌스 정보를 사용하는 비 ip망의 호 연결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