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6082B1 - 음성호 서비스 전환 시스템, 게이트웨이장치 및 서비스전환장치 그리고 그 장치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음성호 서비스 전환 시스템, 게이트웨이장치 및 서비스전환장치 그리고 그 장치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6082B1
KR102286082B1 KR1020200034469A KR20200034469A KR102286082B1 KR 102286082 B1 KR102286082 B1 KR 102286082B1 KR 1020200034469 A KR1020200034469 A KR 1020200034469A KR 20200034469 A KR20200034469 A KR 20200034469A KR 102286082 B1 KR102286082 B1 KR 102286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call
service network
call service
signal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4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9715A (ko
Inventor
황정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13120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94206B1/ko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4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6082B1/ko
Publication of KR20200049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9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2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16IP multimedia subsystem [I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46Call controllers; Call ser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VoIP와 VoLTE 간 음성호 서비스 전환을 통해 LTE Cellular Network와 연계한 mVoIP 발신/착신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음성호 서비스 전환 시스템, 게이트웨이장치 및 서비스전환장치 그리고 그 장치의 동작 방법{VIOCE CALL SERVICE SWICHING SYSTEM, GATEWAY APPARATUS AND SERVICE SWIC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EACH OF THEM}
본 발명은, mVoIP와 VoLTE 간 음성호 서비스 전환을 통해 LTE Cellular Network와 연계한 mVoIP 발신/착신을 가능하게 하는 방안에 관한 것이다.
VoIP 기술은 IP 주소를 기반으로 한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음성을 데이터 패킷으로 전달하여 호를 연결하는 기술을 통칭하며, mVoIP 기술은 Mobile 장치에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VoIP 기반의 음성 통화 서비스를 통칭한다.
mVoIP 또는 VoIP 기술은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을 전달하기 때문에 발신단말과 수신단말 사이에 애플리케이션 레벨(Application Level)에서 약속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서로 허용하는 애플리케이션 간 음성통화만이 가능하다.
반면 VoLTE 기술은 LTE Cellular Network에서 음성을 데이터 패킷으로 전달하여 호를 연결하는 기술로 3GPP 규격상의 Trusted 3GPP Access Network를 이용하는 것이 특징이며 QoS 보장이 가능한 Bearer를 이용하여 신뢰성 있는 음성 호 연결이 가능하다.
VoLTE 기술은 국제표준인 3GPP 규격을 따르고 있기 때문에 유/무선을 망라한 모든 전화망이라고 일컫는 기존 통화들과 쉽게 연동이 가능하다.
헌데, mVoIP 기술을 이용하여 다양한 인터넷 업체들이 데이터 망을 통해 매우 싼 비용으로 음성 신호를 보내는 것이 가능해졌지만, 일반 전화를 대체할 수 없는 가장 큰 이유는 그 호환성에 있다.
예컨대 mVoIP은 이동통신업체가 제공하는 통신망을 기반으로 한 음성 통화와 호환되지 않아 mVoIP을 통해서 유/무선 전화기와 통화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LTE Cellular Network와 연계하여 mVoIP 발신/착신을 가능하게 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mVoIP와 VoLTE 간 음성호 서비스 전환을 통해 LTE Cellular Network와 연계한 mVoIP 발신/착신을 가능하게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호 서비스 전환 시스템은, 제1음성호서비스망으로부터 수신되는 애플리케이션 기반의 제1음성호신호를 IMS(IP Multimedia Subsystem) 기반의 제2음성호신호로 변환하여 제2음성호서비스망으로 전달하며, 제2음성호서비스망으로부터 수신되는 제2음성호신호를 제1음성호신호로 변환하여 제1음성호서비스망으로 전달하는 게이트웨이장치; 및 제2음성호서비스망에서 수신되는 제2음성호신호를 기초로 음성호 서비스 전환이 가능한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기 정의된 음성호 서비스 전환 방식에 따라 제2음성호신호가 제2음성호서비스망에서 처리되도록 하거나, 또는 제2음성호신호가 상기 게이트웨이장치로 전달되도록 하는 서비스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게이트웨이장치는, 제1음성호서비스망으로부터 수신되는 제1음성호신호를 제2음성호신호로 변환하는 경우, 제2음성호신호에 서비스식별정보를 삽입하여, 상기 서비스식별정보에 따라 제2음성호신호가 상기 서비스전환장치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비스전환장치는, 제2음성호신호로부터 확인되는 제1음성호서비스망으로부터의 발신요청에 대해 착신단말의 제2음성호서비스망에서의 위치등록상태가 확인되는 경우, 또는 제2음성호신호로부터 확인되는 착신요청에 대해 착신단말의 제1음성호서비스망에서의 위치등록상태가 확인되는 경우, 음성호 서비스 전환이 가능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비스전환장치는, 제2음성호신호로부터 제1음성호서비스망으로부터의 발신요청이 확인되는 경우, 기 정의된 음성호 서비스 전환 방식에 따라 제2음성호신호 내 발신단말의 제1음성호서비스망에서의 가입자가상번호를 제2음성호서비스망에서의 가입자번호로 전환하여 전환된 제2음성호신호가 제2음성호서비스망에서 처리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비스전환장치는, 제2음성호신호로부터 제1음성호서비스망으로의 착신요청이 확인되는 경우, 제2음성호신호에 서비스식별정보를 삽입하여 상기 서비스식별정보에 따라 제2음성호신호가 상기 게이트웨이장치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장치는, 제1음성호서비스망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 기반의 제1음성호신호를 수신하며, 제2음성호서비스망으로부터 IMS(IP Multimedia Subsystem) 기반의 제2음성호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제1음성호서비스망으로부터 수신되는 제1음성호신호를 제2음성호신호로 변환하여 제2음성호서비스망으로 전달하며, 제2음성호서비스망으로부터 수신되는 제2음성호신호를 제1음성호신호로 변환하여 제1음성호서비스망으로 전달하는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변환부는, 제1음성호서비스망으로부터 수신되는 제1음성호신호를 제2음성호신호로 변환하는 경우, 제2음성호신호에 서비스식별정보를 삽입하여, 삽입된 서비스식별정보에 따라 제2음성호신호가 음성호 서비스 전환을 위해 제2음성호서비스망에 위치한 서비스전환장치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비스식별정보는, 제1음성호서비스망에서의 가입자가상번호, 게이트웨이장치의 접속주소정보, 제2음성호신호의 헤더정보, 및 액세스망정보(P-Access-Network) 내 CELL-ID 설정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변환부는, 제1음성호서비스망으로부터의 위치등록요청, 제1음성호서비스망으로부터의 발신요청, 및 제2음성호서비스망으로부터의 착신요청과 관련하여 제1음성호서비스망에서 착신 불가한 경우에 해당하는 전환착신요청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제1음성호신호를 제2음성호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기반의 제1음성호신호가 처리되는 제1음성호서비스망과 IMS(IP Multimedia Subsystem) 기반의 제2음성호신호가 처리되는 제2음성호서비스망 간에 음성호 서비스 전환을 위한 서비스전환장치는, 제2음성호서비스망에서 수신되는 제2음성호신호를 기초로 음성호 서비스 전환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부; 및 음성호 서비스 전환이 가능한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기 정의된 음성호 서비스 전환 방식에 따라 제2음성호신호가 제2음성호서비스망에서 처리되도록 하거나, 또는 제2음성호신호를 제1음성호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제1음성호서비스망에 위치한 게이트웨이장치로 전달되도록 하는 전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비스전환장치는, 제2음성호신호로부터 제1음성호서비스망에서의 위치등록요청이 확인되는 경우, 위치등록을 요청한 단말에 대해 제1음성호서비스망에서의 위치등록상태와 제2음성호서비스망에서의 위치등록상태를 매칭한 서비스상태정보를 갱신 등록하며, 상기 서비스상태정보를 제2음성호서비스망의 위치관리장치와 공유하는 등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별부는, 제2음성호신호로부터 확인되는 제1음성호서비스망으로부터의 발신요청에 대해 착신단말의 제2음성호서비스망에서의 위치등록상태가 확인되는 경우, 또는 제2음성호신호로부터 확인되는 착신요청에 대해 착신단말의 제1음성호서비스망에서의 위치등록상태가 확인되는 경우에 음성호 서비스 전환이 가능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환부는, 제2음성호신호로부터 제1음성호서비스망으로부터의 발신요청이 확인되는 경우, 제2음성호신호 내 발신단말의 제1음성호서비스망에서의 가입자가상번호를 제2음성호서비스망에서의 가입자번호로 전환하여 전환된 제2음성호신호가 제2음성호서비스망에서 처리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환부는, 제2음성호신호로부터 제1음성호서비스망으로의 착신요청이 확인되는 경우, 제2음성호신호에 서비스식별정보를 삽입하여 상기 서비스식별정보에 따라 제2음성호신호가 상기 게이트웨이장치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환부는, 제1음성호서비스망으로의 착신요청에 대해 제2음성호신호 내 발신단말의 제2음성호서비스망에서의 가입자번호를 제1음성호서비스망의 가입자가상번호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음성호서비스망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 기반의 제1음성호신호를 수신하며, 제2음성호서비스망으로부터 IMS(IP Multimedia Subsystem) 기반의 제2음성호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단계; 및 제1음성호서비스망으로부터 수신되는 제1음성호신호를 제2음성호신호로 변환하여 제2음성호서비스망으로 전달하며, 제2음성호서비스망으로부터 수신되는 제2음성호신호를 제1음성호신호로 변환하여 제1음성호서비스망으로 전달하는 변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변환단계는, 제1음성호서비스망으로부터 수신되는 제1음성호신호를 제2음성호신호로 변환하는 경우, 제2음성호신호에 서비스식별정보를 삽입하여, 상기 서비스식별정보에 따라 제2음성호신호가 음성호 서비스 전환을 위해 제2음성호서비스망에 위치한 서비스전환장치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기반의 제1음성호신호가 처리되는 제1음성호서비스망과 IMS(IP Multimedia Subsystem) 기반의 제2음성호신호가 처리되는 제2음성호서비스망 간에 음성호 서비스를 전환하기 위한 서비스전환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2음성호서비스망에서 수신되는 제2음성호신호를 기초로 음성호 서비스 전환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단계; 및 음성호 서비스 전환이 가능한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기 정의된 음성호 서비스 전환 방식에 따라 제2음성호신호가 제2음성호서비스망에서 처리되도록 하거나, 또는 제2음성호신호를 제1음성호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제1음성호서비스망에 위치한 게이트웨이장치로 전달되도록 하는 전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별단계는, 제2음성호신호로부터 확인되는 제1음성호서비스망으로부터의 발신요청에 대해 착신단말의 제2음성호서비스망에서의 위치등록상태가 확인되는 경우, 또는 제2음성호신호로부터 확인되는 착신요청에 대해 착신단말의 제1음성호서비스망에서의 위치등록상태가 확인되는 경우에 음성호 서비스 전환이 가능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환단계는, 제2음성호신호로부터 제1음성호서비스망으로부터의 발신요청이 확인되는 경우, 제2음성호신호 내 발신단말의 제1음성호서비스망에서의 가입자가상번호를 제2음성호서비스망에서의 가입자번호로 전환하여 전환된 제2음성호신호가 제2음성호서비스망에서 처리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환단계는, 제2음성호신호로부터 제1음성호서비스망으로의 착신요청이 확인되는 경우, 제2음성호신호에 서비스식별정보를 삽입하여 상기 서비스식별정보에 따라 제2음성호신호가 상기 게이트웨이장치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음성호 서비스 전환 시스템, 게이트웨이장치 및 서비스전환장치 그리고 그 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mVoIP와 VoLTE 간 음성호 서비스 전환을 통해 LTE Cellular Network와 연계한 mVoIP 발신/착신을 가능함으로써, 가입자는 mVoIP Application을 통해 VoLTE와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받으면서 더욱 값싼 가격으로 음성 통화를 이용할 수 있으며, 특히 해외 Outbound 로밍 상황에서 더욱 저렴한 음성통화가 가능하다.
또한 가입자는 mVoIP을 통해 음성 통화를 실행할 때 기존의 자신이 사용하던 번호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더욱 높은 편의성 제공이 가능하며, 통신 사업자는 mVoIP을 통해 VoLTE와 거의 동일한 수준의 음성호 제공이 가능하므로 망 전체의 과부하 또는 고장 상황에서 mVoIP으로 우회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고, 다양한 mVoIP 사업자들로 하여금 음성 서비스의 호환성을 위한 API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호 서비스 전환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등록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등록 처리 과정에서의 신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요청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요청 처리 과정에서의 신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요청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요청 처리 과정에서의 신호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환착신요청 처리 과정에서의 신호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전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전환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호 서비스 전환 시스템의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전환 시스템은, 애플리케이션 기반의 음성호신호를 처리하는 mVoIP 인프라인 제1음성호서비스망(S1)과, 셀룰러 음성호서비스망 특히 IMS(IP Multimedia Subsystem) 기반의 음성호신호를 처리하는 VoLTE 인프라인 제2음성호서비스망(S2)이 게이트웨이장치(30)를 매개로 상호 연동된 환경을 따른다.
이러한, 제1음성호서비스망(S1)에는 단말(10; 이하, '제1단말'이라 칭함) 및 호처리서버(20)가 포함될 수 있으며, 그리고 제2음성호서비스망(S2)에는 호처리장치(40; CSCF), 서비스전환장치(50; TAS, Telephony Application System) 및 위치관리장치(60; HSS), 그리고 단말(70; 이하, '제2단말'이라 칭함)이 포함될 수 있다.
제1단말(10)은 mVoIP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이동단말기를 일컫는 것으로서, mVoIP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네트워크 품질을 판단하여 mVoIP를 사용할 지, 또는 셀룰러 음성통화(3G/VoLTE)를 사용할지를 스스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품질 판단의 근거는, 예컨대, 액세스 네트워크의 신호세기(RSSI), 특정 서버와의 Ping Test 및 레이턴시(Latency), 그리고 지리적 위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호처리서버(20)는 제1단말(10)의 mVoIP 애플리케이션과 소통하여 단말 자체 또는 mVoIP 애플리케이션의 활성화상태를 체크하고, 제1단말(10)로부터의 mVoIP 발신호에 따라 게이트웨이장치(30)로 음성호신호(이하, 제1음성호신호)를 전달하거나, 제1단말(10)을 착신단말로 하는 제1음성호신호에 대해서 푸시(Push)를 내려 제1단말(10)이 착신을 받도록 도와준다.
또한, 호처리서버(20)는 가입자들의 정보를 저장하여 mVoIP 간 통화는 일반전화망과 연동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처리하게 되며, 그 외의 호에 대해서는 게이트웨이장치(30)로 호를 전달한다.
게이트웨이장치(30)는 호처리서버(20)와 연동하며 단말(10)과 호처리서버(20)를 대신해 제1음성호서비스망(S1)로부터의 제1음성호신호를 제2음성호서비스망(S2)으로 전달하거나, 제2음성호서비스망(S2)로부터 수신되는 음성호신호(이하, 제2음성호신호)를 호처리서버(2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게이트웨이장치(30)는 제1음성호신호의 전달을 지원하기 위해 호처리서버(20)에게 예컨대, HTTP Jason 기반의 OPEN API를 제공하며, 제2음성호신호의 전달에는 SIP 기반의 국제 표준 프로토콜을 사용하게 된다.
참고로, 게이트웨이장치(30)에서는 이처럼 SIP 기반의 프로토콜을 따르는 제2음성호신호가 사용됨에 따라 제2음성호서비스망(S2) 입장에서 마치 VoLTE 단말인 것처럼 동작할 수 있다.
호처리장치(40)는 제2음성호서비스망(S2)에서 제2음성호신호 내 서비스식별정보를 근거로 제2음성호신호를 라우팅하기 위한 장치를 일컫는다.
여기서, 서비스식별정보는, 제2음성호신호가 제1단말(10)로부터 전달되거나, 또는 전달하기 위한 신호임을 구분하기 위한 정보로서, 예컨대, 제1음성호서비스망(S1)에서의 가입자가상번호(예: mVoIP ID), 게이트웨이장치(30)의 접속주소정보, 제2음성호신호의 헤더정보, 및 액세스망정보(P-Access-Network) 내 CELL-ID 설정 값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서비스전환장치(50)는 제1음성호서비스망(S1)에서의 음성호와 제2음성호서비스망(S2)에서의 음성호를 구분하고, 필요 시 제1음성호서비스망(S1)에서의 음성호를 위한 특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전환장치(50)는 제1단말(10)의 제1음성호서비스망(S1)에서의 위치등록상태를 갱신 등록하여 관리하며, 이러한 제1단말(10)의 위치등록상태를 위치관리장치(60)와 공유함으로써, 위치관리장치(60)로 하여금 제2음성호서비스망(S2)에서 제1단말(10)을 착신단말로 하는 발신호가 제1음성호서비스망(S1)으로 전달되어야 함을 알 수 있게 한다.
특히, 서비스전환장치(50)는 제1단말(10)에 제1음성호서비스망(S1)에서의 가입자가상번호가 부여된 경우, 제1단말(10)의 발신번호를 이동전화번호 즉, 제2음성호서비스망(S2)에서의 가입자번호로 변환해주며, 반대로 제1단말(10)을 착신단말로 하는 발신호에 대해서는 발신단말의 이동전화번호를 제1음성호서비스망(S1)에서의 가입자가상번호로 변환하여 제1음성호서비스망(S1)에서의 착신을 유도한다.
위치관리장치(60)는 제1단말(10)의 제2음성호서비스망(S2)에서의 위치등록상태가 확인되지 않더라도, 제1음성호서비스망(S1)에서의 위치등록이 확인되는 경우라면, 호처리장치(40)로부터의 착신망 질의에 대해 IMS로 응답하여 제1음성호서비스망(S1)으로 착신을 유도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호 서비스 전환 시스템은, 전술을 구성을 기반으로 제1음성호서비스망(S1)과 제2음성호서비스망(S2) 간 음성호 서비스 전환을 통해 제2음성호서비스망(S2)과 연계한 제1단말(10)의 발신/착신이 가능해진다.
한편, 이와 관련하여 종래에는 mVoIP과 일반 유/무선 전화기와의 통화를 제공할 수 있는 중계기에 관한 기술이 존재한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 mVoIP 사용자가 이동통신사에 가입되어 있는 않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어 중계장치를 통신사업자가 그들의 망과 기꺼이 연동하여 주어야 하는 점과 아이디와 일반 전화번호와의 변환 시 사용자가 기존에 사용하지 않던 유선 전화번호 등을 신규로 획득해야 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또한 기존 통신사에서 제공하고 있는 다양한 음성서비스 (발신금지/착신금지/착신전환) 등을 동일하게 이용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 입장에서는 또 하나의 무선 전화기를 개통하여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상황이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떨어진다.
특히 mVoIP ID와 매핑된 전화번호로 변환하여 발/착신을 수행함에 있어 발신 시 변환된 발신 번호로 이동통신사 또는 별정통신사업자가 어떻게 발신 호 처리가 될 수 있는지, 착신 시 매핑된 전화번호에 대해서 이동통신사 또는 별정통신사업자가 중계장치 호를 전달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지 않아 기술 상용의 현실성이 떨어진다.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호 서비스 전환 시스템의 경우, 전술한 구성을 기반으로 이러한 종래 기술의 한계점을 해결하고 있는 것이며, 이하에서는 이와 관련된 시스템 특징을 크게 위치등록, 발신호, 착신호로 구분되는 음성호 유형별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호 서비스 전환 시스템에서의 위치등록요청 처리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단말(10)은 기 정의된 API 기반의 제1음성호신호(mVoIP Regi. Request API)를 통해 위치등록이 필요한 상황임을 호처리서버(20)로 알리게 되며, 호처리서버(20)는 위치등록이 요청이 적합한지 1차 인증 절차를 거친 후 게이트웨이장치(30)로 전달한다.
이때, 호처리서버(20)는 제1단말(10)의 애플리케이션 백그라운드 동작이 불가능하여 주기적인 위치등록이 불가능할 경우, 이를 대신하여 위치등록을 위한 제1음성호신호(HDV Telco Regi. API)를 주기적으로 게이트웨이장치(30)로 올릴 수 있다.
게이트웨이장치(30)는 호처리서버(20)로부터 제1음성호신호(mVoIP Regi. Request API)를 수신하는 경우, IMS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제1음성호신호(HDV Telco Regi. API)를 제2음성호신호(mVoIP SIP Regi)로 변환하여 제2음성호서비스망(S2)로 전달한다.
이때, 게이트웨이장치(30)는 제2음성호서비스망(S2)으로 전달된 제2음성호신호(mVoIP SIP Regi)가 서비스전환장치(50)로 전달될 수 있도록 서비스식별정보를 삽입하게 되며, 제2음성호서비스망(S2)에서 제2음성호신호(mVoIP SIP Regi)를 수신한 호처리장치(40)는 해당 서비스식별정보에 따라 제2음성호신호(mVoIP SIP Regi)를 서비스전환장치(50)로 전달한다.
여기서, 서비스식별정보는, 예컨대, 제1음성호서비스망(S1)에서의 가입자가상번호(예: mVoIP ID), 게이트웨이장치(30)의 접속주소정보, 제2음성호신호의 헤더정보, 및 액세스망정보(P-Access-Network) 내 CELL-ID 설정 값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서비스전환장치(50)는 호처리장치(40)로부터 수신되는 제2음성호신호(mVoIP SIP Regi)로부터 제1음성호서비스망(S1)에서의 위치등록요청이 확인되면, 위치등록을 요청한 제1단말(10)에 대해 제1음성호서비스망(S2)에서의 위치등록상태와 제2음성호서비스망에서의 위치등록상태를 매칭한 서비스상태정보를 갱신 등록하며, 이러한 서비스상태정보를 제2음성호서비스망(S2)의 위치관리장치(60)와 공유함으로써, 향후 제1단말(10)으로의 착신호 발생 시 서비스전환장치(50)로 호가 유도되어 음성호서비스망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이러한 제2음성호서비스망(S2)에서의 IMS 위치등록 절차는 3GPP TS23.228에 정의된 절차를 동일하게 따른다.
한편, 전술한 IMS 위치등록요청 처리 과정에서의 신호 흐름은 도 3과 같으며, 이러한 신호 흐름에 대한 설명은 아래 [표 1]에서와 같이 요약될 수 있다.
번호 설명
1-2 제1단말(10)은 호처리서버(20)를 통해 게이트웨이장치(30)로 위치등록을 요청함.
3-7 Initial Regi에 대해서 HDV 단말과 동일한 Call Flow를 따르며, 인증정보에 대한 저장은 호처리서버(20)가 담당하므로, 호처리서버(20)까지 401 Unauthorized를 보내 추가 인증정보를 획득함.
8-14 게이트웨이장치(30)의 IP를 일반 HDV 단말과 동일하게 처리하여 인증을 성공 처리함.
15-16 성공된 인증 처리 결과를 제1단말(10)로 보냄.
다음,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호 서비스 전환 시스템에서의 발신요청 처리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단말(10)은 기 정의된 API 기반의 제1음성호신호(mVoIP Regi. Request API)를 통한 발신요청을 호처리서버(20)로 전달한다.
호처리서버(20)는 제1단말(10)로부터 제1음성호신호가 수신되며, 해당 발신호가 또 다른 mVoIP 착신 즉 제1음성호서비스망(S1) 내 착신이 아닌 경우, 게이트웨이장치(30)로 발신요청을 위한 제1음성호신호(Telco Call 발신 API)를 전달한다.
한편, 호처리서버(20)는 제1단말(10)로부터 발신요청을 위한 제1음성호신호가 수신되며, mVoIP 착신 즉 제1음성호서비스망(S1) 내 착신이 필요한 경우 해당 착신단말로 Push Noti를 내려 mVoIP 수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다만, 호처리서버(20)는 착신단말의 이상동작 또는 착신 불가 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 발신요청을 게이트웨이장치(30)로 전달하여 일반 Cellular 착신을 유도할 수 있으며, 그 밖에 mVoIP 발신이 불가한 다양한 사유에 대해서 발신호를 제어 가능하며, 이를 테면 정책적으로 발신 횟수 제한을 설정하거나 특정 위치(해외 로밍) 상황에서 허용 여부에 대해서 결정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장치(30)는 발신요청을 위한 제1음성호신호(Telco Call 발신 API)가 수신되는 경우, 이를 제2음성호신호(SIP INVITE)로 변환하여 제2음성호서비스망(S2) 내 호처리장치(40)로 전달한다.
이때, 게이트웨이장치(30)는 제2음성호서비스망(S2)으로 전달된 제2음성호신호(SIP INVITE)가 서비스전환장치(50)로 전달될 수 있도록 서비스식별정보를 삽입하게 되며, 제2음성호서비스망(S2)에서 제2음성호신호(SIP INVITE)를 수신한 호처리장치(40)는 해당 서비스식별정보에 따라 제2음성호신호(SIP INVITE)를 서비스전환장치(50)로 전달한다.
서비스전환장치(50)는 제2음성호신호(SIP INVITE) 내 서비스식별정보로부터 제1음성호서비스망(S1)으로부터 발신요청(mVoIP 호)이 확인되는 경우, 제1단말(10)의 제1음성호서비스망(S1)에서의 가입자가상번호를 제2음성호서비스망(S2)에서의 가입자번호로 전환하여 전환된 제2음성호신호를 호처리장치(40)로 전달하여 발신요청이 처리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제1음성호서비스망(S1)에서의 가입자가상번호를 제2음성호서비스망(S2)에서의 가입자번호로 전환하는 것은, 가입자가상번호를 그대로 노출했을 경우, CallBack이 이뤄질 수 없기 때문에 가입자가 착신 가능한 실제 가입자번호로 변환하여 전달하기 위한 이유에 있다.
참고로, 서비스전환장치(50)는 이 과정에서 해당 발신호에 대한 별도 과금을 생성하거나 또는 mVoIP에 특화된 발신 음성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발신요청 처리 과정에서의 신호 흐름은 도 5와 같으며, 이러한 신호 흐름에 대한 설명은 아래 [표 2]에서와 같이 요약될 수 있다.
번호 설명
1-2 제1단말(10)은 호처리서버(20)를 통해 게이트웨이장치(30)로 발신요청을 보냄
3-4 게이트웨이장치(30)는 발신요청을 SIP INVITE로 변환하여 전달하며, 호처리장치(40)는 게이트웨이장치(30)를 단말로 인식하여 제2음성호신호(SIP INVITE)를 처리함.
5 서비스전환장치(50)는 P-Asserted-Identity, From 헤더를 모두 mVoIP 가상발신번호에서 제1단말(10)이 이동통신망에 등록된 번호로 변경하여 mVoIP 가상발신번호를 숨기고 발신번호를 착신 가능한 번호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함.
6 CS 착신인 경우 IMG/WIMG로 Routing 하며, 타사 착신인 경우 IBCF로 Routing하여 착신시킴.*) 기존 착신 호처리와 동일함
10-11 게이트웨이장치(30)는 180/183에 대해서 mVoIP Call 수신알림 통지 API로 변환하여 전달함.
13-18 183으로 수신되어 Early media가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 호처리서버(20)는 mVoIP Call 수신알림확인 API를 올려 PRACK 응답을 진행할 수 있음.
22-23 게이트웨이장치(30)는 200OK에 대해서 mVoIP Call 수락통지 API로 변경하여 전달함.*) 그 외 에러 코드에 대해서는 종료 통지 API를 전달하여 SIP 에러코드와 Reason을 전달함.
마지막으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호 서비스 전환 시스템에서의 착신요청 처리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위치관리장치(60)는 제1단말(10)로의 착신요청에 따른 제2음성호신호(SIP INVITE)을 수신한 호처리장치(40)의 확인 요청에 따라, 착신단말에 해당하는 제1단말(10)의 제2음성호서비스망(S2)에서의 위치등록상태와는 별개로, 서비스전환장치(50)로부터 공유된 제1음성호서비스망(S1)에서의 위치등록상태를 근거로 해당 착신요청이 서비스전환장치(50)로 라우팅될 수 있도록 한다.
서비스전환장치(50)는 제2음성호신호(SIP INVITE)가 호처리장치(40)로부터 라우팅되어 수신되면, 제1단말(10)이 제1음성호서비스망(S1)에 위치등록이 성공하였음을 최종 확인한 후, 제2음성호신호(SIP INVITE)에 서비스식별정보를 삽입하여 해당 제2음성호신호(SIP INVITE)가 제1음성호서비스망(S1)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서비스식별정보는, 예컨대, 제1음성호서비스망(S1)에서의 가입자가상번호(예: mVoIP ID), 게이트웨이장치(30)의 접속주소정보, 제2음성호신호의 헤더정보, 및 액세스망정보(P-Access-Network) 내 CELL-ID 설정 값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이때, 서비스전환장치(50)는 이 과정에서 해당 착신호에 대한 별도 과금을 생성하거나 또는 mVoIP에 특화된 착신 음성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호처리장치(40)는 서비스전환장치(50)로부터 수신되는 제2음성호신호(SIP INVITE) 내 서비스식별정보에 따라 해당 제2음성호신호(SIP INVITE)를 제1단말(10)의 위치등록 과정에서 바인딩된 접속주소정보(IP) 즉, 게이트웨이장치(30)로 전달한다.
게이트웨이장치(30)는 제2음성호서비스망(S2)으로부터 제2음성호신호(SIP INVITE)가 수신되면, 이를 제1음성호신호(Telco Call 착신 API)로 변환하여 호처리서버(20)로 전달한다.
호처리서버(20)는 게이트웨이장치(30)로부터 제1음성호신호(Telco Call 착신 API)가 수신되면 제1단말(10)이 정책적으로 착신 가능한 가입자임을 확인한 후 Push Noti를 전달하여 착신을 유도한다.
전술한 착신요청 처리 과정에서의 신호 흐름은 도 7과 같으며, 이러한 신호 흐름에 대한 설명은 아래 [표 3]에서와 같이 요약될 수 있다.
번호 설명
1-3 제1단말(10)에 대한 착신요청이 인입되면, 위치관리장치(60)로부터 제1단말(10)이 mVoIP 위치등록 상태인지를 확인하여 IMS로 호를 라우팅함.
4-5 서비스전환장치(50)에서 mVoIP 위치등록 상태를 확인하여 mVoIP 착신가능 상태로 확인되면, Request URI와 To 를 mVoIP 가상번호로 변경하여 착신시킴.
6 호처리장치(40)에서는 가상번호에 대한 Regi Binding이 게이트웨이장치(30)로 되어 있으므로 게이트웨이장치(30)로 호를 내림.
7-8 게이트웨이장치(30)는 INVITE 착신에 해당하는 착신통지 API를 호처리서버(20)로 전달하고, 호처리서버(20)는 제1단말(10)로 착신 Noti.를 전송함.
10-15 Push에 대해서 제1단말(10)의 응답을 기다리는 동안 수신알림 API를 게이트웨이장치(30)로 전달하여 180을 발신단말에 보내 통화연결음을 발생시킴.
16 제1단말(10)이 Push에 대해서 응답을 하면 수락 API를 통해서 200OK를 전달하여 호를 연결함. *) 200OK 수신 응답 이외 603, 408, 486에 대한 응답은 종료 API를 통해 전달함.
한편, 호처리서버(20)는 Push Noti를 전달하여 착신을 유도하는 과정에서, 제1단말(10)이 mVoIP으로 착신할 수 없는 가입자로 판별하는 경우 의도적으로 전환착신요청(Error message)를 전달하여 서비스전환장치(50)로 하여금 VoLTE나 3G 음성으로 변경하여 )착신할 수 있도록 한다.여기서, 착신할 수 없는 가입자로 판별하는 경우는 착신을 시도했으나 일정 시간 이상 응답이 없어 Timeout으로 판단하는 경우, 정책적으로 착신이 불가능한 경우 등을 포함한다.
전환착신요청 처리 과정에서의 신호 흐름은 도 8과 같으며, 이러한 신호 흐름에 대한 설명은 아래 [표 4]에서와 같이 요약될 수 있다.
번호 설명
1-15 착신 Call Flow와 동일함.
17 호처리서버(20)에서 제1단말(10)에 대한 Timeout 감지, 장애상황 감지등으로 기존 이동통신망을 통해 착신되어야 한다고 판단하는 경우 mVoIP Call 종료 API 내 Reason에 Timeout을 세팅하여 게이트웨이장치(30)로 전달함.
19-20 게이트웨이장치(30)는 timeout 종료 API에 대해서 408 Error를 만들어 서비스전환장치(50)로 전달함.
21-22 서비스전환장치(50)는 HDV 착신호로 전환하여 INVITE를 생성하여 전달함.*) 단 모번호가 HDV Regi 상태가 아닐 경우 3G 음성 착신을 유도하며, 해당 과정은 기존 3G 음성 착신 호처리와 동일함.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호 서비스 전환 시스템에 대한 설명을 마치고, 게이트웨이장치(30)에 대한 설명을 이어 가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장치(30)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장치(30)는 제1음성호신호와 제2음성호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31), 및 제1음성호신호와 제2음성신호를 상호 변환하는 변환부(32)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게이트웨이장치(3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 모듈이란, 예컨대, 게이트웨이장치(30) 내에서 연산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명령어는 게이트웨이장치(30) 내 메모리에 탑재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장치(30)는 전술한 구성 이외에, 제1음성호서비스망(S1) 내 호처리서버(20) 및 제2음성호섭스망(S2) 내 호처리장치(40)와의 실질적인 통신 기능을 담당하는 RF 모듈인 통신부(33)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33)는 예컨대, 안테나 시스템, RF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 코덱(CODEC) 칩셋, 및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이 기능을 수행하는 공지의 회로는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장치(30)는 전술한 구성을 통해서 제1음성호서비스망(S1)에서의 제1음성호신호와 제2음성호서비스망(S2)에서의 제2음성호신호를 상호 변환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게이트웨이장치(20) 내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수신부(31)는 음성호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신부(31)는 제1음성호서비스망(S1)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 기반의 제1음성호신호를 수신하며, 제2음성호서비스망으로부터 IMS(IP Multimedia Subsystem) 기반의 제2음성호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여기서, 제1음성호서비스망(S1) 즉, 호처리서버(20)로부터 수신되는 제1음성호신호는, 제1단말(10)의 위치등록요청, 제1단말(10)의 발신요청, 및 제2음성호서비스망으로부터의 착신요청과 관련하여 제1단말(10)에서 착신이 불가한 경우에 해당하는 전환착신요청과 관련되며, 또한, 제2음성호서비스망(S2) 즉, 호처리장치(40)로부터 수신되는 제2음성호신호는 제1단말(10)에 대한 착신요청과 관련된다.
변환부(32)는 음성호신호를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변환부(32)는 제1음성호서비스망(S1)으로부터 수신되는 제1음성호신호를 제2음성호신호로 변환하여 제2음성호서비스망(S2)으로 전달하며, 제2음성호서비스망(S2)으로부터 수신되는 제2음성호신호를 제1음성호신호로 변환하여 제1음성호서비스망으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변환부(32)는 제1음성호서비스망으로부터 수신되는 제1음성호신호를 제2음성호신호로 변환하는 경우, 제2음성호신호에 서비스식별정보를 삽입하여, 삽입된 서비스식별정보에 따라 제2음성호신호가 음성호 서비스 전환을 위해 제2음성호서비스망에 위치한 서비스전환장치(5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서비스식별정보는, 예컨대, 제1음성호서비스망(S1)에서의 가입자가상번호(예: mVoIP ID), 게이트웨이장치(30)의 접속주소정보, 제2음성호신호의 헤더정보, 및 액세스망정보(P-Access-Network) 내 CELL-ID 설정 값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이와 관련하여, 제2음성호서비스망(S2)에 위치한 호처리장치(40)는 게이트웨이장치(30)로부터 제2음성호신호가 수신되면, 제2음성호신호 내 서비스식별정보에 따라 해당 제2음성호신호를 서비스전환장치(5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장치(30)에 대한 설명을 마치고, 서비스전환장치(50)에 대한 설명을 이어 가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전환장치(50)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전환장치(50)는 음성호 서비스 전환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부(51), 및 음성호 서비스를 전환하는 전환부(52)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전환장치(50)는 전술한 구성 이외에 위치등록상태를 갱신 등록하는 등록부(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전환장치(5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 모듈이란, 예컨대, 서비스전환장치(50) 내에서 연산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명령어는 서비스전환장치(50) 내 메모리에 탑재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전환장치(50)는 전술한 구성 이외에, 제2음성호서비스망(S2) 내 호처리장치(40)와의 실질적인 통신 기능을 담당하는 RF 모듈인 통신부(54)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54)는 예컨대, 안테나 시스템, RF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 코덱(CODEC) 칩셋, 및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이 기능을 수행하는 공지의 회로는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전환장치(50)는 전술한 구성을 통해서 제1음성호서비스망(S1)과 제2음성호서비스망(S2) 간에 음성호 서비스를 전환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서비스전환장치(50) 내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판별부(51)는 음성호 서비스 전환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판별부(51)는 제2음성호서비스망에서 수신되는 제2음성호신호 즉, 호처리장치(40)로부터 수신되는 제2음성호신호를 기초로 제1음성호서비스망(S1)과 제2음성호서비스망(S2) 간에 음성호 서비스 전환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별한다.
이때, 판별부(51)는 제2음성호신호로부터 확인되는 제1음성호서비스망(S1)으로부터의 발신요청에 대해 착신단말 즉, 제2단말(70)의 제2음성호서비스망(S2)에서의 위치등록상태가 확인되는 경우, 또는 제2음성호신호로부터 확인되는 제1음성호서비스망(S1)으로의 착신요청에 대해 착신단말 즉, 제1단말(10)의 제1음성호서비스망(S1)에서의 위치등록상태가 확인되는 경우에 음성호 서비스 전환이 가능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음성호 서비스 전환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별함에 앞서, 등록부(53)는 제1음성호서비스망(S1)에 위치한 제1단말(10)에 대해서 서비스상태정보를 갱신 등록하여 관리한다.
즉, 등록부(53)는 제2음성호신호로부터 제1단말(10)에 대한 제1음성호서비스망(S1)에서의 위치등록요청이 확인되는 경우, 제1단말(10)에 대해 제1음성호서비스망(S1)에서의 위치등록상태와 제2음성호서비스망(S2)에서의 위치등록상태를 매칭한 서비스상태정보를 갱신 등록하며, 이러한 서비스상태정보를 제2음성호서비스망(S2) 내 위치관리장치(60)와 공유한다.
전환부(52)는 음성호 서비스를 전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환부(52)는 음성호 서비스 전환이 가능한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기 정의된 음성호 서비스 전환 방식에 따라 제2음성호신호가 제2음성호서비스망(S2)에서 처리되도록 하거나, 또는 제2음성호신호를 제1음성호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제1음성호서비스망(S1)에 위치한 게이트웨이장치(30)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전환부(52)는 제2음성호신호로부터 제1음성호서비스망(S1)으로부터의 발신요청이 확인되는 경우, 제2음성호신호 내 발신단말, 즉, 제1단말(10)에 대한 제1음성호서비스망(S1)에서의 가입자가상번호를 제2음성호서비스망에서의 가입자번호로 전환하여 전환된 제2음성호신호가 제2음성호서비스망(S2)에서 처리되도록 호처리장치(40)로 전달한다.
여기서, 제1음성호서비스망(S1)에서의 가입자가상번호를 제2음성호서비스망(S2)에서의 가입자번호로 전환하는 것은, 가입자가상번호를 그대로 노출했을 경우, CallBack이 이뤄질 수 없기 때문에 가입자가 착신 가능한 실제 가입자번호로 변환하여 전달하기 위한 이유에 있다.
반면, 전환부(52)는 제2음성호신호로부터 제1음성호서비스망으로의 착신요청이 확인되는 경우, 제2음성호신호에 서비스식별정보를 삽입하여 상기 서비스식별정보에 따라 제2음성호신호가 게이트웨이장치(30)로 전달되도록 한다.
즉, 전환부(52)는 서비스식별정보를 삽입한 제2음성호신호를 호처리장치(40)로 전달하고, 이를 수신한 호처리장치(40)는 삽입된 서비스식별정보에 따라 해당 제2음성신호를 게이트웨이장치(30)로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서비스식별정보는, 예컨대, 제1음성호서비스망(S1)에서의 가입자가상번호(예: mVoIP ID), 게이트웨이장치(30)의 접속주소정보, 제2음성호신호의 헤더정보, 및 액세스망정보(P-Access-Network) 내 CELL-ID 설정 값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한편, 전환부(52)는 제1음성호서비스망(S1)으로의 착신요청에 대해 제2음성호신호 내 발신단말 즉, 제2단말(70)의 제2음성호서비스망(S2)에서의 가입자번호를 제1음성호서비스망(S1)의 가입자가상번호로 전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호 서비스 전환 시스템, 게이트웨이장치(30), 및 서비스전환장치(50)의 구성에 따르면, mVoIP와 VoLTE 간 음성호 서비스 전환을 통해 LTE Cellular Network와 연계한 mVoIP 발신/착신을 가능함으로써, 가입자는 mVoIP Application을 통해 VoLTE와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받으면서 더욱 값싼 가격으로 음성 통화를 이용할 수 있으며, 특히 해외 Outbound 로밍 상황에서 더욱 저렴한 음성통화가 가능하다.
또한 가입자는 mVoIP을 통해 음성 통화를 실행할 때 기존의 자신이 사용하던 번호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더욱 높은 편의성 제공이 가능하며, 통신 사업자는 mVoIP을 통해 VoLTE와 거의 동일한 수준의 음성호 제공이 가능하므로 망 전체의 과부하 또는 고장 상황에서 mVoIP으로 우회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고, 다양한 mVoIP 사업자들로 하여금 음성 서비스의 호환성을 위한 API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장치(3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수신부(31)는 제1음성호서비스망(S1)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 기반의 제1음성호신호를 수신하며, 제2음성호서비스망으로부터 IMS(IP Multimedia Subsystem) 기반의 제2음성호신호를 수신한다(S11).
여기서, 제1음성호서비스망(S1) 즉, 호처리서버(20)로부터 수신되는 제1음성호신호는, 제1단말(10)의 위치등록요청, 제1단말(10)의 발신요청, 및 제2음성호서비스망으로부터의 착신요청과 관련하여 제1단말(10)에서 착신이 불가한 경우에 해당하는 전환착신요청과 관련되며, 또한, 제2음성호서비스망(S2) 즉, 호처리장치(40)로부터 수신되는 제2음성호신호는 제1단말(10)에 대한 착신요청과 관련된다.
나아가, 변환부(32)는 제1음성호서비스망(S1)으로부터 수신되는 제1음성호신호를 제2음성호신호로 변환하여 제2음성호서비스망(S2)으로 전달한다(S12-S15).
이때, 변환부(32)는 제1음성호서비스망으로부터 수신되는 제1음성호신호를 제2음성호신호로 변환하는 경우, 제2음성호신호에 서비스식별정보를 삽입하여, 삽입된 서비스식별정보에 따라 제2음성호신호가 음성호 서비스 전환을 위해 제2음성호서비스망에 위치한 서비스전환장치(5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S12-S15).
여기서, 서비스식별정보는, 예컨대, 제1음성호서비스망(S1)에서의 가입자가상번호(예: mVoIP ID), 게이트웨이장치(30)의 접속주소정보, 제2음성호신호의 헤더정보, 및 액세스망정보(P-Access-Network) 내 CELL-ID 설정 값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이와 관련하여, 제2음성호서비스망(S2)에 위치한 호처리장치(40)는 게이트웨이장치(30)로부터 제2음성호신호가 수신되면, 제2음성호신호 내 서비스식별정보에 따라 해당 제2음성호신호를 서비스전환장치(5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변환부(32)는 제2음성호서비스망(S2)으로부터 수신되는 제2음성호신호의 경우 제1음성호신호로 변환하여 제1음성호서비스망으로 전달한다(S16-S17).
여기서, 제2음성호서비스망(S2)으로부터 수신되는 제2음성호신호는 제1음성호서비스망(S1)으로의 착신요청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전환장치(5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등록부(53)는 제1음성호서비스망(S1)에 위치한 제1단말(10)에 대해서 서비스상태정보를 갱신 등록하여 관리한다(S21-S24).
즉, 등록부(53)는 제2음성호신호로부터 제1단말(10)에 대한 제1음성호서비스망(S1)에서의 위치등록요청이 확인되는 경우, 제1단말(10)에 대해 제1음성호서비스망(S1)에서의 위치등록상태와 제2음성호서비스망(S2)에서의 위치등록상태를 매칭한 서비스상태정보를 갱신 등록하며, 이러한 서비스상태정보를 제2음성호서비스망(S2) 내 위치관리장치(60)와 공유한다.
나아가, 판별부(51)는 제2음성호서비스망에서 수신되는 제2음성호신호 즉, 호처리장치(40)로부터 수신되는 제2음성호신호를 기초로 제1음성호서비스망(S1)과 제2음성호서비스망(S2) 간에 음성호 서비스 전환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별한다(S25-S26).
이때, 판별부(51)는 제2음성호신호로부터 확인되는 제1음성호서비스망(S1)으로부터의 발신요청에 대해 착신단말 즉, 제2단말(70)의 제2음성호서비스망(S2)에서의 위치등록상태가 확인되는 경우, 또는 제2음성호신호로부터 확인되는 제1음성호서비스망(S1)으로의 착신요청에 대해 착신단말 즉, 제1단말(10)의 제1음성호서비스망(S1)에서의 위치등록상태가 확인되는 경우에 음성호 서비스 전환이 가능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이후, 전환부(52)는 음성호 서비스 전환이 가능한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기 정의된 음성호 서비스 전환 방식에 따라 제2음성호신호가 제2음성호서비스망(S2)에서 처리되도록 하거나, 또는 제2음성호신호를 제1음성호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제1음성호서비스망(S1)에 위치한 게이트웨이장치(30)로 전달한다(S27-S31).
이때, 전환부(52)는 제2음성호신호로부터 제1음성호서비스망(S1)으로부터의 발신요청이 확인되는 경우, 제2음성호신호 내 발신단말, 즉, 제1단말(10)에 대한 제1음성호서비스망(S1)에서의 가입자가상번호를 제2음성호서비스망에서의 가입자번호로 전환하여 전환된 제2음성호신호가 제2음성호서비스망(S2)에서 처리되도록 호처리장치(40)로 전달한다.
여기서, 제1음성호서비스망(S1)에서의 가입자가상번호를 제2음성호서비스망(S2)에서의 가입자번호로 전환하는 것은, 가입자가상번호를 그대로 노출했을 경우, CallBack이 이뤄질 수 없기 때문에 가입자가 착신 가능한 실제 가입자번호로 변환하여 전달하기 위한 이유에 있다.
반면, 전환부(52)는 제2음성호신호로부터 제1음성호서비스망으로의 착신요청이 확인되는 경우, 제2음성호신호에 서비스식별정보를 삽입하여 상기 서비스식별정보에 따라 제2음성호신호가 게이트웨이장치(30)로 전달되도록 한다.
즉, 전환부(52)는 서비스식별정보를 삽입한 제2음성호신호를 호처리장치(40)로 전달하고, 이를 수신한 호처리장치(40)는 삽입된 서비스식별정보에 따라 해당 제2음성신호를 게이트웨이장치(30)로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서비스식별정보는, 예컨대, 제1음성호서비스망(S1)에서의 가입자가상번호(예: mVoIP ID), 게이트웨이장치(30)의 접속주소정보, 제2음성호신호의 헤더정보, 및 액세스망정보(P-Access-Network) 내 CELL-ID 설정 값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한편, 전환부(52)는 제1음성호서비스망(S1)으로의 착신요청에 대해 제2음성호신호 내 발신단말 즉, 제2단말(70)의 제2음성호서비스망(S2)에서의 가입자번호를 제1음성호서비스망(S1)의 가입자가상번호로 전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장치(30), 및 서비스전환장치(50)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mVoIP와 VoLTE 간 음성호 서비스 전환을 통해 LTE Cellular Network와 연계한 mVoIP 발신/착신을 가능함으로써, 가입자는 mVoIP Application을 통해 VoLTE와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받으면서 더욱 값싼 가격으로 음성 통화를 이용할 수 있으며, 특히 해외 Outbound 로밍 상황에서 더욱 저렴한 음성통화가 가능하다.
또한 가입자는 mVoIP을 통해 음성 통화를 실행할 때 기존의 자신이 사용하던 번호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더욱 높은 편의성 제공이 가능하며, 통신 사업자는 mVoIP을 통해 VoLTE와 거의 동일한 수준의 음성호 제공이 가능하므로 망 전체의 과부하 또는 고장 상황에서 mVoIP으로 우회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고, 다양한 mVoIP 사업자들로 하여금 음성 서비스의 호환성을 위한 API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장치(30) 및 서비스전환장치(50)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음성호 서비스 전환 시스템, 게이트웨이장치 및 서비스전환장치 그리고 그 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mVoIP와 VoLTE 간 음성호 서비스 전환을 통해 LTE Cellular Network와 연계한 mVoIP 발신/착신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 제1단말
20: 호처리서버
30: 게이트웨이장치
31: 수신부 32: 변환부
40: 호처리장치
50: 서비스전환장치
51: 판별부 52: 전환부
53: 등록부
60: 위치관리장치
70: 제2단말

Claims (7)

  1. mVoIP 기반의 제1음성호서비스망으로부터 셀룰러 음성호를 처리하는 제2음성호서비스망으로의 발신요청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발신요청이 확인된 제2음성호신호 내 발신단말에 대한 제1음성호서비스망에서의 가입자가상번호를 제2음성호서비스망에서의 이동전화번호로 전환하여, 상기 제2음성호신호의 발신호에 대해 상기 제2음성호서비스망에 위치 등록된 착신단말에 착신 시 상기 발신단말의 번호가 상기 착신단말과 동일한 제2음성호서비스망의 이동전화번호로 노출될 수 있게 하는 전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전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는,
    상기 제2음성호신호의 발신호에 대하여, 발신 정보의 P-Asserted-Identity, From 헤더를 상기 가입자가상번호에서 상기 이동전화번호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전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요청이 확인되는 경우는,
    상기 제1음성호서비스망에서의 발신요청에 따른 제1음성호신호가 상기 제2음성호신호로 변환되는 과정 중에 삽입된 서비스식별정보가 확인되는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전환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단말은,
    mVoIP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이동단말이며, 상기 mVoIP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네트워크 품질을 판단하여 mVoIP를 사용할 지 또는 셀룰러 음성통화를 사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전환장치.
  5. 셀룰러 음성호를 처리하는 제2음성호서비스망으로부터 mVoIP 기반의 제1음성호서비스망으로의 착신요청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착신요청이 확인된 제2음성호신호 내 발신단말에 대한 제2음성호서비스망에서의 이동전화번호를 제1음성호서비스망에서의 가입자가상번호로 전환하여, 상기 제2음성호신호의 착신호에 대해 상기 제1음성호서비스망에 위치 등록된 착신단말에 착신 시 상기 발신단말의 번호가 상기 착신단말과 동일한 제1음성호서비스망의 가입자가상번호로 노출될 수 있게 하는 전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전환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는,
    상기 착신요청이 확인된 제2음성호신호 내 착신단말에 대한 제2음성호서비스망에서의 이동전화번호를 제1음성호서비스망에서의 가입자가상번호로 전환하거나 상기 제1음성호서비스망에서의 가입자가상번호를 삽입하여, 상기 제2음성호신호의 착신호에 대해 상기 착신단말에 착신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전환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는,
    상기 제2음성호신호의 착신호에 대하여, 발신 정보의 Request-URI를 상기 이동전화번호에서 상기 가입자가상번호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전환장치.
KR1020200034469A 2018-10-30 2020-03-20 음성호 서비스 전환 시스템, 게이트웨이장치 및 서비스전환장치 그리고 그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286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4469A KR102286082B1 (ko) 2018-10-30 2020-03-20 음성호 서비스 전환 시스템, 게이트웨이장치 및 서비스전환장치 그리고 그 장치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201A KR102094206B1 (ko) 2018-10-30 2018-10-30 음성호 서비스 전환 시스템, 게이트웨이장치 및 서비스전환장치 그리고 그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200034469A KR102286082B1 (ko) 2018-10-30 2020-03-20 음성호 서비스 전환 시스템, 게이트웨이장치 및 서비스전환장치 그리고 그 장치의 동작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1201A Division KR102094206B1 (ko) 2018-10-30 2018-10-30 음성호 서비스 전환 시스템, 게이트웨이장치 및 서비스전환장치 그리고 그 장치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715A KR20200049715A (ko) 2020-05-08
KR102286082B1 true KR102286082B1 (ko) 2021-08-04

Family

ID=70678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4469A KR102286082B1 (ko) 2018-10-30 2020-03-20 음성호 서비스 전환 시스템, 게이트웨이장치 및 서비스전환장치 그리고 그 장치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6082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606B1 (ko) * 2007-02-09 2008-09-1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UICC를 이용한 이동통신망에서 VoIP망으로의 로밍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447438B1 (ko) * 2013-02-07 2014-10-08 (주)오픈벡스 이종 망을 이용한 통화시스템
KR101813039B1 (ko) * 2016-05-20 2017-12-29 주식회사 케이티 구내전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에 의한 구내전화 서비스의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715A (ko) 202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69541B2 (en)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router
US8244905B2 (en) Routing mechanisms for messaging applications using an enhanced gateway control function
EP2227890B1 (en) Methods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IMS) devices and non-IMS devices
US11824903B2 (en) Voice service restoration after element failure
US9148288B2 (en) Conditional telecommunications
KR20080055830A (ko) 통신 네트워크 및 통신 네트워크 동작 방법
US9107196B2 (en) Reconnecting dropped calls using an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KR20040106237A (ko) 미디어 경로 재지정 장치 및 방법
EP2938041B1 (e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on in multi-device scenario
EP252218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ellular roaming charge bypass call completion
JP4977511B2 (ja) 通信システム、加入者管理サーバ、および通信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101233176B1 (ko) Vcc에서의 호처리 방법, 서버 및 엔티티
KR102286082B1 (ko) 음성호 서비스 전환 시스템, 게이트웨이장치 및 서비스전환장치 그리고 그 장치의 동작 방법
US908379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etwork based services to private branch exchange endpoints
US9184978B2 (en) Operating and supporting dual mode user equipment
EP3094059B1 (en) Routing voice over lte call invites in a terminating ims
KR102094206B1 (ko) 음성호 서비스 전환 시스템, 게이트웨이장치 및 서비스전환장치 그리고 그 장치의 동작 방법
CN102739499B (zh) 一种信令消息的路由方法、装置及系统
CN109327870B (zh) 与atcf通信的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EP3035627A1 (en) Method of providing coverage extension to an existing mobile network, and corresponding system.
KR101562470B1 (ko) 개인용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기업용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그널링 게이트웨이
KR101584901B1 (ko) 개인용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유무선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50145214A (ko)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사용자 엔티티를 향한 통신들을 관리하기 위한 네트워크 엔티티
KR101438593B1 (ko) 인터넷전화 가입자 간 영상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487485B1 (ko) 영상통화호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