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8593B1 - 인터넷전화 가입자 간 영상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인터넷전화 가입자 간 영상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8593B1
KR101438593B1 KR1020130015163A KR20130015163A KR101438593B1 KR 101438593 B1 KR101438593 B1 KR 101438593B1 KR 1020130015163 A KR1020130015163 A KR 1020130015163A KR 20130015163 A KR20130015163 A KR 20130015163A KR 101438593 B1 KR101438593 B1 KR 101438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criber
network
call service
call
h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5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1939A (ko
Inventor
김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30015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8593B1/ko
Publication of KR20140101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1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8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8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16IP multimedia subsystem [I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50Telephonic communication in combination with video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소정 장소에 설치된 근거리 통신 장치와 접촉하여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 네트워크와 접속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무선 통신 모듈; 및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제공받은 인터넷 사용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로 자동으로 접속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터넷전화 가입자 간 영상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FOR PROVIDING VIDEOTELEPHONY SERVICE BETWEEN INTERNET TELEPHONE SUBSCRIBER AND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영상 통화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인터넷전화 가입자 간 영상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IMS(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은 인터넷 프로토콜(IP)를 기반으로 음성, 오디오, 비디오 및 데이터 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규격이다. IMS는 기본적으로 범용의 인터넷 기반 기술과 표준화된 네트워크 기능들을 사용함으로써 서비스의 가격 경쟁력 향상과 신속한 서비스 개발 및 변경을 추구한다. IMS는 액세스 네트워크(access network)와는 독립적이며, 세션 관리 기능의 개선으로 서로 다른 네트워크의 애플리케이션들이 손쉽게 연동되어 서비스 간 글로벌 연동과 유무선망의 컨버전을 촉진시킨다. IMS는 초기 All-IP망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W-CDMA)망에서 다른 이동 통신 시스템 간의 상호 연동과 컨버전을 위하여 제안되었지만 현재는 이동 통신 시스템뿐만 아니라 IP 망을 기반으로 하는 각종 유무선 통합망을 지원하는 기술로 확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인터넷전화 가입자 간 영상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제 1 가입자가 속한 발신 IMS(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망의 네트워크 노드가 제 2 가입자와의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제 2 가입자가 자사 가입자인지 또는 타사 가입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 2 가입자가 자사 가입자인 경우, 상기 제 2 가입자가 속한 착신 망에 대하여 HSS(Home Subscriber Server)에 조회하는 단계; 및 상기 HSS로부터 상기 제 2 가입자가 속한 S(Serving)-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2 가입자와의 통화를 위하여 상기 발신 IMS 망에 대응하는 사업자의 착신 IMS 망으로의 착신을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상기 HSS로부터 상기 제 2 가입자가 결번 가입자라는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2 가입자로의 호를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으로 라우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림작하게는, 상기 제 2 가입자가 타사 가입자인 경우, 상기 제 2 가입자로의 호를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으로 라우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자사 가입자인지 또는 상기 타사 가입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NPDB(Number Portability Database)에 대하여 상기 제 2 가입자에 대하여 조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인, 제 1 가입자가 속한 발신 IMS(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망의 네트워크 노드 장치는, 제 2 가입자와의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송수신기; 및 상기 제 2 가입자가 자사 가입자인지 또는 타사 가입자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 2 가입자가 자사 가입자인 경우, 상기 제 2 가입자가 속한 착신 망에 대하여 HSS(Home Subscriber Server)에 조회하며, 상기 HSS로부터 상기 제 2 가입자가 속한 S(Serving)-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2 가입자와의 통화를 위하여 상기 발신 IMS 망에 대응하는 사업자의 착신 IMS 망으로의 착신을 시도하는 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HSS로부터 상기 제 2 가입자가 결번 가입자라는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2 가입자로의 호를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으로 라우팅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 2 가입자가 타사 가입자인 경우, 상기 제 2 가입자로의 호를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으로 라우팅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자사 가입자인지 또는 상기 타사 가입자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NPDB(Number Portability Database)에 대하여 상기 제 2 가입자에 대하여 조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제 1 가입자가 속한 발신 IMS(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망의 네트워크 노드가 제 2 가입자와의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해독 가능 기록 매체이다.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제 2 가입자가 자사 가입자인지 또는 타사 가입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 2 가입자가 자사 가입자인 경우, 상기 제 2 가입자가 속한 착신 망에 대하여 HSS(Home Subscriber Server)에 조회하는 단계; 및 상기 HSS로부터 상기 제 2 가입자가 속한 S(Serving)-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2 가입자와의 통화를 위하여 상기 발신 IMS 망에 대응하는 사업자의 착신 IMS 망으로의 착신을 시도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그램이, 상기 HSS로부터 상기 제 2 가입자가 결번 가입자라는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2 가입자로의 호를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으로 라우팅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제 2 가입자가 타사 가입자인 경우, 상기 제 2 가입자로의 호를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으로 라우팅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자사 가입자인지 또는 상기 타사 가입자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NPDB(Number Portability Database)에 대하여 상기 제 2 가입자에 대하여 조회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양상들에서, 상기 HSS로부터 상기 제 2 가입자가 속한 S-CSCF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2 가입자와의 통화 서비스로서 영상 통화 서비스 또는 음성 통화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HSS로부터 상기 제 2 가입자가 결번 가입자라는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2 가입자와의 통화 서비스로서 음성 통화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번호 이동한 가입자와 번호 이동 하지 않은 가입자간 정상적인 화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업자의 번호 이동 정책 및 영상 통화 기술 제공에 무관하게, 가입자에게 정상적인 고품질의 화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MS 망이 존재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 및 IMS 망 내의 네트워크 노드의 장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유선 전화 망에서 사용하는 기존의 번호 이동 방식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번호 이동 가입자에 대한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번호 이동 가입자에 대한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를 예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아울러,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단말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AMS(Advanced Mobile Station) 등 이동 또는 고정형의 사용자단 기기를 통칭하는 것을 가정한다. 또한, 기지국은 Node B, eNode B, BS(Base Station), AP(Access Point) 등 단말과 통신하는 네트워크 단의 임의의 노드를 통칭하는 것을 가정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MS 망이 존재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은 IMS 망(100)과 제 2 IMS 망(130)을 포함한다. 제 1 IMS 망(100)은 복수 개의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하는데, 여기에는 IMS 서버(Server)(102), 홈 가입자 서버(Home Subscriber Server, 이하 HSS라 칭함)(104), 텔레포니 어플리케이션 서버(Telephony Application Server, TAS)(106), IM(Instant Messaging) 서버(108), MGCF(Media Gateway Control Function)(110), MSG(MeSsaging Gateway)(112),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114)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 2 IMS 망(130)도 복수 개의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IMS 서버(132), HSS(134), TAS(136), IM 서버(138), MGCF(140), MSG(MeSsaging Gateway)(142), CSCF(144)가 포함될 수 있다.
IMS 서버(102, 132)는 가입자들의 세션(Session)을 제어하고, HSS(104, 134)는 가입자들의 프로파일(Profile)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AS(106, 136)는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본 발명과 관련된 기능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IM 서버(108, 138)는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MGCF(110, 140)은 제 IMS 망(100)과 제 2 IMS 망(130) 간의 영상/음성 서비스를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MSG(112, 142)는 제 1 IMS 망(100) 및 제 2 IMS 망(130) 간의 메시지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도 1에서는 CSCF(114, 144)는 프록시 CSCF(P-CSCF), 서빙 CSCF(S-CSCF), interrogation CSCF(I-CSCF)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도시하고 있으나, 도 1에 도시한 것과 다르게 독립적인 네트워크 노드로 구성될 수 있다. P-CSCF는 IMS 망 내에서 단말에 대한 최초 컨텍 포인트(contact point) 역할을 하고,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등록 시에 단말과 I-CSCF 간 프록시 역할과, SIP 호 설정 시 단말과 S-CSCF 간 프록시 역할과, P-CSCF와 각 단말 사이의 보안 관련(security association) 관리를 수행한다. S-CSCF는 SIP 등록을 수행하며, 등록된 단말에 대한 세션 제어 및 세션 상태 관리를 수행한다. I-CSCF는 하나의 사업자 망에 대한 컨텍 포인트 역할을 하며, 착신 단말에 대한 S-CSCF를 찾거나, 현재 사업자 망의 서비스 영역 안으로 로밍한 단말의 발신 S-CSCF를 찾으며, 외부로부터 사업자 망의 설정(configuration), 커패시티(capacity), 토플러지(topology)를 숨기기 위한 기능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 및 IMS 망 내의 네트워크 노드의 장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150, 160) 및 IMS 망 내의 네트워크 노드는 각각 RF 유닛(210, 260), 프로세서(220, 270), 및 선택적으로 메모리(230, 28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각 RF 유닛(210, 260)은 송신기(211, 261) 및 수신기(212, 262)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150, 160)의 예를 들면, 송신기(211) 및 수신기(212)는 네트워크 노드 및 다른 단말들과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프로세서(220)는 송신기(211) 및 수신기(212)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송신기(211) 및 수신기(212)가 다른 기기들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20)는 전송할 신호에 대한 각 종 처리를 수행한 후 송신기(211)로 전송하며, 수신기(212)가 수신한 신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프로세서(220)는 교환된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메모리(230)에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단말(150, 160)은 이하에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형태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단말(150, 160)과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 통신이 이루어지는 경우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있으나,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들은 도 2에 도시된 각 장치 구성과 동일한 형태로 이하에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노드의 송신기(261) 및 수신기(262)는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과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프로세서(270)는 송신기(261) 및 수신기(262)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송신기(261) 및 수신기(262)가 다른 기기들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70)는 전송할 신호에 대한 각종 처리를 수행한 후 송신기(261)로 전송하며, 수신기(262)가 수신한 신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프로세서(270)는 교환된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메모리(230)에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네트워크 노드는 이하에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형태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150, 160) 및 네트워크 노드 각각의 프로세서(220, 270)는 각각 단말 및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동작을 지시(예를 들어, 제어, 조정, 관리 등)한다. 각각의 프로세서들(220, 270)은 프로그램 코드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230, 280)들과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230, 280)는 프로세서(220, 270)에 연결되어 오퍼레이팅 시스템, 어플리케이션, 및 일반 파일(general files)들을 저장한다.
프로세서(220, 270)는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마이크로 컴퓨터(microcomputer) 등으로도 호칭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20, 270)는 하드웨어(hardware) 또는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또는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등이 프로세서(220, 270)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펌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을 포함하도록 펌웨어나 소프트웨어가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프로세서(220, 270) 내에 구비되거나 메모리(230, 280)에 저장되어 프로세서(220, 27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150, 160) 및 IMS 망(100, 130) 내의 각 네트워크 노드가 다른 노드들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하는 기능, 저장하는 기능을 제외한 기능들에 대해서는 특별한 언급이 없더라도 프로세서(120, 170)가 처리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본 발명에서는, IMS 망을 통한 인터넷전화 기술이 있어서, 가입자간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서비스 제약이 되는 유선 전화 망의 번호 이동 호처리 절차를 회피하는 기술을 제공하여, 특정 사업자로 번호 이동한 고객 및 번호 이동하지 않은 일반 고객간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을 정의한다.
도 3은 유선 전화 망에서 사용하는 기존의 번호 이동 방식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기존 유선 전화 망에서 사용하는 번호 이동 방식은 RCF (Remote Call Forwarding)방식으로, 원 사업자에서 영상 통화에 대한 번호 이동 호 처리 제공 여부에 따라 서비스가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과 같이 A 가입자가 원 사업자로부터 최종 사업자로 번호 이동한 B 가입자에게 음성 통화를 시도하는 경우, 원 사업자에서 RCF 방식으로 최종 사업자 측으로 전달하는 과정을 통해서 음성 통화 번호 이동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A 가입자가 번호 이동한 B 가입자에게 영상 통화를 시도하는 경우, 원 사업자에서 기술 제공을 하지 않는다면 서비스 제공이 불가능하다.
정리하면, 국내 유선 전화 망에서는 음성 통화 만을 대상으로 번호 이동 서비스를 제공하며, 영상 통화는 사업자간 협의 사항으로 정상적인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실정이다.
따라서, 기존 유선 전화 망에서 제공하는 음성 통화 위주의 번호 이동 방식을 회피하여, 타 유선 전화 사업자의 번호 이동 시 영상 통화 기술 제공 여부에 무관하게, 특정 사업자로의 번호 이동 가입자 및 기타 가입자 (즉, 일반 가입자) 간에, 특정 사업자의 가입자 간 정상적인 고품질의 영상 통화가 제공하고자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번호 이동 가입자에 대한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3과 다르게, A 가입자가 원 사업자로부터 최종 사업자로 번호 이동한 B 가입자에게 음성 통화를 시도하는 경우, RCF 방식이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영상 통화 서비스 또는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를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에 관하여 논의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번호 이동 가입자에 대한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를 예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01과 같이 A 가입자가 원사업자로부터 B 가입자에게 통화를 시도하는 경우, 단계 502에서 같이 발신 IMS 망에서 NPDB에 B 사업자에 대한 위치 조회를 수행한다. 여기서, NPDB(Number Portability Database)는 가입자가 번호 변경하여도 동일한 전화 번호로 통화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사업자 간의 이동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지칭한다. NPDB는 단계 503에서 상기 위치 조회에 대한 응답으로 위치 조회 응답을 수행하며, 특히 위치 조회 응답은 상기 B 가입자가 타사 가입자인자 혹은 자사 가입자 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타사 가입자라면 (Case 1), 단계 504과 같이 B 가입자로의 호를 PSTN으로 라우팅한다. 그러나, 자사 가입자라면, 단계 505 및 단계 506와 같이 HSS를 필수로 조회하여 결번 가입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한다.
계속하여, 발신 IMS는 HSS에 가입자 조회 시, 단계 506에서 B 가입자가 결번 가입자라는 응답을 받는다면 (Case 2), 타사 가입자임을 판단하여, 단계 507와 같이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으로 라우팅한다. 여기서 PSTN은 사업자가 운영하는 전화 교환망을 지칭한다.
한편, 발신 IMS는 HSS에 가입자 조회 시, 착신 IMS 망 정보, 예를 들어 S(Serving)-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Case 3), B 가입자로의 호를 외부로 라우팅하지 않고, 단계 508와 같이 자사 IMS로의 착신을 시도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일반적인 유선 번호 이동 기법인 RFC를 회피할 수 있다.
다시 정리하면, B 가입자가 자사 번호 이동(Port-In) 가입자인 경우, HSS에 가입자 조회를 하여, SSW 가입자인지 IMS 가입자 인지를 판단한다. 자사 IMS 가입자인 경우, 즉 HSS로부터 S-CSCF정보 획득한 경우, 일반적인 유선 전화 번호 이동 방식(RFC)처럼 타사로 호를 라우팅하지 않고, 바로 착신 IMS로 전달하여 음성/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자사 SSW 가입자인 경우, 즉, HSS 조회 시 결번가입자라는 응답을 받았다면, 해당 호를 SSW 측으로 전달하고, SSW는 RCF처리하지 않으며, 통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제어부)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8)

  1. 제 1 가입자가 속한 발신 IMS(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망의 네트워크 노드가 제 2 가입자와의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입자가 자사 가입자인지 또는 타사 가입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 2 가입자가 자사 가입자인 경우, 상기 제 2 가입자가 속한 착신 망에 대하여 HSS(Home Subscriber Server)에 조회하는 단계; 및
    상기 HSS로부터 상기 제 2 가입자가 속한 S(Serving)-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2 가입자와의 통화를 위하여 상기 발신 IMS 망에 대응하는 사업자의 착신 IMS 망으로의 착신을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HSS로부터 상기 제 2 가입자가 결번 가입자라는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2 가입자로의 호를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으로 라우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입자가 타사 가입자인 경우, 상기 제 2 가입자로의 호를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으로 라우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사 가입자인지 또는 상기 타사 가입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NPDB(Number Portability Database)에 대하여 상기 제 2 가입자에 대하여 조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HSS로부터 상기 제 2 가입자가 속한 S-CSCF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2 가입자와의 통화 서비스로서 영상 통화 서비스 또는 음성 통화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HSS로부터 상기 제 2 가입자가 결번 가입자라는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2 가입자와의 통화 서비스로서 음성 통화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1 가입자가 속한 발신 IMS(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망의 네트워크 노드 장치에 있어서,
    제 2 가입자와의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송수신기; 및
    상기 제 2 가입자가 자사 가입자인지 또는 타사 가입자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 2 가입자가 자사 가입자인 경우, 상기 제 2 가입자가 속한 착신 망에 대하여 HSS(Home Subscriber Server)에 조회하며, 상기 HSS로부터 상기 제 2 가입자가 속한 S(Serving)-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2 가입자와의 통화를 위하여 상기 발신 IMS 망에 대응하는 사업자의 착신 IMS 망으로의 착신을 시도하는 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노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HSS로부터 상기 제 2 가입자가 결번 가입자라는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2 가입자로의 호를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으로 라우팅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노드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가입자가 타사 가입자인 경우, 상기 제 2 가입자로의 호를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으로 라우팅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노드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자사 가입자인지 또는 상기 타사 가입자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NPDB(Number Portability Database)에 대하여 상기 제 2 가입자에 대하여 조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노드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HSS로부터 상기 제 2 가입자가 속한 S-CSCF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2 가입자와의 통화 서비스로서 영상 통화 서비스 또는 음성 통화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노드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HSS로부터 상기 제 2 가입자가 결번 가입자라는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2 가입자와의 통화 서비스로서 음성 통화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노드 장치.
  13. 제 1 가입자가 속한 발신 IMS(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망의 네트워크 노드가 제 2 가입자와의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해독 가능 기록 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제 2 가입자가 자사 가입자인지 또는 타사 가입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 2 가입자가 자사 가입자인 경우, 상기 제 2 가입자가 속한 착신 망에 대하여 HSS(Home Subscriber Server)에 조회하는 단계; 및
    상기 HSS로부터 상기 제 2 가입자가 속한 S(Serving)-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2 가입자와의 통화를 위하여 상기 발신 IMS 망에 대응하는 사업자의 착신 IMS 망으로의 착신을 시도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해독 가능 기록 매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HSS로부터 상기 제 2 가입자가 결번 가입자라는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2 가입자로의 호를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으로 라우팅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해독 가능 기록 매체.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제 2 가입자가 타사 가입자인 경우, 상기 제 2 가입자로의 호를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으로 라우팅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해독 가능 기록 매체.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자사 가입자인지 또는 상기 타사 가입자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NPDB(Number Portability Database)에 대하여 상기 제 2 가입자에 대하여 조회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해독 가능 기록 매체.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HSS로부터 상기 제 2 가입자가 속한 S-CSCF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2 가입자와의 통화 서비스로서 영상 통화 서비스 또는 음성 통화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해독 가능 기록 매체.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HSS로부터 상기 제 2 가입자가 결번 가입자라는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2 가입자와의 통화 서비스로서 음성 통화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해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0130015163A 2013-02-13 2013-02-13 인터넷전화 가입자 간 영상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438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5163A KR101438593B1 (ko) 2013-02-13 2013-02-13 인터넷전화 가입자 간 영상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5163A KR101438593B1 (ko) 2013-02-13 2013-02-13 인터넷전화 가입자 간 영상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1939A KR20140101939A (ko) 2014-08-21
KR101438593B1 true KR101438593B1 (ko) 2014-09-11

Family

ID=51747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5163A KR101438593B1 (ko) 2013-02-13 2013-02-13 인터넷전화 가입자 간 영상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859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4162A (ko) * 2002-09-13 2004-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엠엔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58395A (ko) * 2007-12-04 2009-06-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터넷전화(VoIP)번호이동성 호처리 및 번호이동요청처리장치 및 구현 방법
KR20090126946A (ko) * 2008-06-05 2009-12-09 주식회사 케이티 Ip망의 발신 호에 대한 번호 이동 처리 방법 및시스템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KR20110013041A (ko) * 2009-07-31 2011-02-09 주식회사 케이티 유선통신 사업자와 이동통신 사업자 사이의 번호 이동성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4162A (ko) * 2002-09-13 2004-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엠엔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58395A (ko) * 2007-12-04 2009-06-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터넷전화(VoIP)번호이동성 호처리 및 번호이동요청처리장치 및 구현 방법
KR20090126946A (ko) * 2008-06-05 2009-12-09 주식회사 케이티 Ip망의 발신 호에 대한 번호 이동 처리 방법 및시스템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KR20110013041A (ko) * 2009-07-31 2011-02-09 주식회사 케이티 유선통신 사업자와 이동통신 사업자 사이의 번호 이동성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1939A (ko) 2014-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30471B1 (en) Call delivery to a dual mode wireless device
US7664495B1 (en) Voice call redirection for enterprise hosted dual mode service
US886752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obility for a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service
US20070060196A1 (en) Call delivery between networks serving a dual mo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10368209B2 (en) Routing multiple numbers for one telecommunications device
US20060079236A1 (en) Pseudo number portability in fixed-mobile convergence with one number
US20150056984A1 (en) Single number services for fixed mobile telephony devices
KR20100036048A (ko) 이종 망간의 로밍 서비스를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US8644833B1 (en) Method and system using a mobility server for handoff of a multi-mode mobile station
WO2008134930A1 (fr) Procédé, appareil et système de traitement de message dans un réseau ims
JP5470464B2 (ja) Ipマルチメディア・サブ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の緊急シグナリング
CN111836250B (zh) 终端呼叫方法、系统、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101438593B1 (ko) 인터넷전화 가입자 간 영상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3094059B1 (en) Routing voice over lte call invites in a terminating ims
KR102286082B1 (ko) 음성호 서비스 전환 시스템, 게이트웨이장치 및 서비스전환장치 그리고 그 장치의 동작 방법
KR101367273B1 (ko) 이기종 ims 망 간의 영상전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94206B1 (ko) 음성호 서비스 전환 시스템, 게이트웨이장치 및 서비스전환장치 그리고 그 장치의 동작 방법
KR20190120951A (ko) 착신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US11968331B2 (en) Terminal implementing a communication method, and server implementing a method for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between two terminals
KR20110070401A (ko) Enum을 이용한 유선전화의 번호이동성 제공 시스템
EP3035627A1 (en) Method of providing coverage extension to an existing mobile network, and corresponding system.
KR101191601B1 (ko) Ims망 기반의 호 세션 처리를 위한 통신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장치
EP2367368A1 (en) Fixed network service provisioning using a mobile network
KR20140014701A (ko) 영상통화호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