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0951A - 착신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착신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0951A
KR20190120951A KR1020180044354A KR20180044354A KR20190120951A KR 20190120951 A KR20190120951 A KR 20190120951A KR 1020180044354 A KR1020180044354 A KR 1020180044354A KR 20180044354 A KR20180044354 A KR 20180044354A KR 20190120951 A KR20190120951 A KR 20190120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oming
information
network
destination
rou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훈
최주호
박규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80044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0951A/ko
Publication of KR20190120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09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MS(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의 착신호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착신호 처리 시스템은,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가입자 정보 관리장치; 및 상기 착신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장치로부터 착신 라우팅 정보를 획득하고, 그 획득한 착신 라우팅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착신 메시지를 복수의 착신망 중 하나로 착신 처리하는 망연동 게이트웨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착신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a Incoming Call}
본 발명은 IMS(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외부망에서 발신되어 수신된 착신 메시지를 착신 처리하는 IMS의 착신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는 초고속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멀티미디어를 제작, 전송 및 재생하는 새로운 표준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3GPP 표준에서 제시되고 있는 IMS(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는 IP 기반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IMS 서비스란 이동통신 가입자에게 하부 IP 전송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형태의 패킷(packet) 서비스들을 동시에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IMS 서비스는 이동통신 가입자에게 IP 전송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타입의 패킷 기반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이동통신 가입자가 기존의 음성, 영상 등의 실시간 서비스는 물론, 파일전송, 전자메일, 단문메시지 등의 비 실시간 서비스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이와 같은 서비스를 이용한 새로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동통신 가입자가 IMS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등록과정을 수행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등록과정에서는 반드시 이동통신 가입자의 이동통신단말기의 호 및 서비스를 제어할 호 제어기능을 할당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IMS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IMS의 핵심망에서 서브시스템의 중요한 기능 요소로 호 제어 기능장치(CSCF: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와 홈 가입자 서버(HSS: Home Subscribe Server)가 있다.
CSCF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를 이용한 등록 및 멀티미디어 호 처리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서, 중계 호 제어 기능장치(P-CSCF: Proxy-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질의/응답 호 제어 기능장치(I-CSCF: Interrogate-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서빙 호 제어 기능장치(S-CSCF: Serving-Call Session Control Function)로 나뉘어 진다.
P-CSCF는 이동통신 가입자가 네트워크에 최초 접속하는 지점이다. P-CSCF는 이동통신 가입자의 SIP 등록요구 메시지를 가입자의 홈 도메인을 참조하여 I-CSCF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동통신 가입자와의 보안관계를 유지하도록 한다. I-CSCF는 이동통신 가입자의 SIP 등록을 수행하는 S-CSCF의 주소를 HSS로부터 획득하여 이동통신 가입자의 실제등록을 담당할 S-CSCF를 할당하는 역할을 한다. S-CSCF는 이동통신 가입자의 가입정보를 HSS로부터 다운로드(download)하여 저장하고 이동통신 가입자에게 해당 서비스를 제공한다.
HSS는 이동통신 가입자의 마스터 데이터베이스(master database)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의 기능과 IP 멀티미디어 가입자의 이동성 관리 및 인증을 위한 기능이 통합된 일종의 데이터베이스이다.
IMS 호 처리를 위해서는, 이동통신 가입자의 IP와 ID, 예컨대 전화번호, 로그인 ID 등을 이용하여 S-CSCF에 등록을 하여야 한다. 이때, 어느 S-CSCF에 등록을 하여야 할지는 I-CSCF가 HSS에 질의하여 판단하는데, 이러한 과정을 포함하는 전체 호 처리 과정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동통신 가입자의 요청을 받은 P-CSCF가 I-CSCF에 등록 요청을 하면, I-CSCF는 등록할 S-CSCF를 찾기 위해 HSS로 S-CSCF 검색 요청을 한다. HSS는 기존에 등록되어 있는 S-CSCF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기존에 등록되어 있는 S-CSCF가 존재할 경우에는 재등록을 위해 해당 S-CSCF 정보를 I-CSCF로 응답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I-CSCF가 스스로 판단하라고 알려주게 된다. HSS가 S-CSCF 정보를 알려줄 경우, I-CSCF는 해당 S-CSCF로 등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등록 요청 메시지를 전송받은 S-CSCF는 이동통신 가입자가 자신에게 등록이 되어 있음을 알리는 상태 메시지를 HSS로 전송하게 된다. 이에 대해, HSS가 해당 S-CSCF로 등록 상태 응답메시지를 전송하면, 해당 S-CSCF에 대한 IMS 호 처리 서비스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LTE(Long Term Evolution) 망에서 IMS 기반의 음성호인 VoLTE(Voice Over LTE)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해 해당 호를 제어하는 CSCF가 존재하며, VoLTE 사용자가 호를 발신하는 경우에 발신망의 S-CSCF는 번호번역의 결과 착신 도메인이 타 IMS망의 가입자로 확인되면 발신망의 IBCF(Interconnection Border Control Function)로 발신호를 라우팅한다. 이 경우, 발신망의 IBCF는 착신 도메인을 이용하여 착신망의 IBCF로 착신호를 라우팅하며, 이를 통해 발신망의 VoLTE 사용자와 착신자 사이에 호가 연결된다.
그런데, 착신 단말이 VoLTE 착신 가능 상태가 아니거나, 3G 착신만 가능하거나 또는 3G 우선 착신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다시 3G 망으로 라우팅이 필요하다. 이때, 착신망에서는 VoLTE 착신 처리를 위해 HSS에 대한 연동이 복수 회 수행되는데, 이러한 HSS에 대한 반복적인 연동으로 hope 수가 증가하여 트래픽 부하 및 착신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10471호, "VoLTE 트래픽 분산처리 장치 및 그 분산처리 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외부망에서 발신되어 수신된 착신 메시지를 처리하는데 있어서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HSS와의 연동 횟수를 줄여 최단 경로로 처리하기 위한 IMS의 착신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외부망에서 발신되어 수신되는 착신 메시지를 처리하는 IMS의 착신호 처리 시스템은,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가입자 정보 관리장치; 및 상기 착신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장치로부터 착신 라우팅 정보를 획득하고, 그 획득한 착신 라우팅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착신 메시지를 복수의 착신망 중 하나로 착신 처리하는 망연동 게이트웨이;를 포함한다.
상기 망연동 게이트웨이는, 상기 착신 메시지를 수신하면 착신단말에 관한 착신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장치로 송신하는 착신정보 요청부; 및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장치로부터 획득한 상기 착신 라우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착신 메시지를 복수의 착신망 중 하나로 전달하는 착신 라우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장치는, 착신단말의 IMS 등록정보, 위치등록정보 및 착신망 지원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착신망에 대한 착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에 따라 착신 라우팅 노드를 결정하는 착신망 결정부; 및 상기 착신 라우팅 노드 정보가 포함된 상기 착신 라우팅 정보를 상기 망연동 게이트웨이로 전달하는 착신정보 응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신망 결정부는, 상기 착신단말의 IMS 등록정보, 제1 착신망에 관한 위치등록정보 및 제1 착신망 지원 정보가 존재하면 착신단말 상태를 제1 착신망에 대한 착신 가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착신망 결정부는, 상기 착신단말 상태를 제1 착신망에 대한 착신 가능으로 판단하면 상기 착신단말이 등록되어 있는 S-CSCF를 착신 라우팅 노드로 결정하고, 상기 착신정보 응답부는, S-CSCF의 식별정보를 상기 착신 라우팅 정보에 포함시켜 상기 망연동 게이트웨이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착신 라우팅부는, 상기 S-CSCF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S-CSCF로 상기 착신 메시지를 라우팅할 수 있다.
상기 착신망 결정부는, 상기 착신단말의 IMS 등록정보가 부존재 하면 착신단말 상태를 제2 착신망에 대한 착신 가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착신망 결정부는, 상기 착신단말의 제1 착신망에 관한 위치등록정보가 부존재하면 착신단말 상태를 제2 착신망에 대한 착신 가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착신망 결정부는, 상기 착신단말의 제1 착신망 지원 정보가 부존재하면 착신단말 상태를 제2 착신망에 대한 착신 가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착신망 결정부는, 상기 착신단말 상태를 제2 착신망에 대한 착신 가능으로 판단하면 상기 착신단말이 위치 등록된 MSC를 착신 라우팅 노드로 결정하고, 상기 착신정보 응답부는, MSC의 식별정보를 상기 착신 라우팅 정보에 포함시켜 상기 망연동 게이트웨이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착신 라우팅부는, 상기 MSC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MSC로 상기 착신 메시지를 라우팅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IMS(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의 착신호 처리 시스템에서 망연동 게이트웨이가 외부망에서 발신되어 수신되는 착신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은, 상기 착신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가입자 정보 관리장치로부터 착신단말에 관한 착신 라우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착신 라우팅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착신 메시지를 복수의 착신망 중 하나로 착신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착신 라우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착신 메시지를 수신하면 착신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가입자 정보 관리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신 라우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착신단말의 IMS 등록정보, 위치등록정보 및 착신망 지원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착신망에 대한 착신 가능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착신 라우팅 노드를 결정하는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장치로부터, 상기 착신 라우팅 노드의 정보가 포함된 착신 라우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착신 라우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착신단말의 IMS 등록정보, 제1 착신망에 관한 위치등록정보 및 제1 착신망 지원 정보가 존재하면 착신단말 상태를 제1 착신망에 대한 착신 가능으로 판단하는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장치로부터, 상기 착신 라우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착신 라우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착신단말 상태를 제1 착신망에 대한 착신 가능으로 판단하면 상기 착신단말이 등록되어 있는 S-CSCF를 착신 라우팅 노드로 결정하는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장치로부터, S-CSCF의 식별정보가 포함된 착신 라우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착신 메시지를 복수의 착신망 중 하나로 착신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S-CSCF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S-CSCF로 상기 착신 메시지를 라우팅할 수 있다.
상기 착신 라우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착신단말의 IMS 등록정보가 부존재 하면 착신단말 상태를 제2 착신망에 대한 착신 가능으로 판단하는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장치로부터, 상기 착신 라우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착신 라우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착신단말의 제1 착신망에 관한 위치등록정보가 부존재하면 착신단말 상태를 제2 착신망에 대한 착신 가능으로 판단하는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장치로부터, 상기 착신 라우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착신 라우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착신단말의 제1 착신망 지원 정보가 부존재하면 착신단말 상태를 제2 착신망에 대한 착신 가능으로 판단하는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장치로부터, 상기 착신 라우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착신 라우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착신단말 상태를 제2 착신망에 대한 착신 가능으로 판단하면 상기 착신단말이 위치 등록된 MSC를 착신 라우팅 노드로 결정하는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장치로부터, MSC의 식별정보가 포함된 착신 라우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착신 메시지를 복수의 착신망 중 하나로 착신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MSC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MSC로 상기 착신 메시지를 라우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IMS 망에서 발신되어 수신되는 착신 메시지의 착신 처리시 HSS에 한 번의 질의를 통해 IBCF가 착신 라우팅 노드의 정보를 제공받고 이를 기초로 IBCF가 착신 메시지를 라우팅함으로써 착신호 처리의 홉(Hope) 수를 단축할 수 있어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의 부하를 감소시키고 착신시간 단축으로 사용자에게 고품질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MS의 착신호 처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의 IBCF의 기능을 자세하게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1의 HSS의 기능을 자세하게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망이 VoLTE 망인 경우 착신 메시지의 라우팅 경로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신망이 3G 망인 경우 착신 메시지의 라우팅 경로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도면과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함을 배제하지 않는다.
그러면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착신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MS의 착신호 처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럭도이고, 도 2는 도 1의 IBCF의 기능을 자세하게 설명하는 블럭도이며, 도 3은 도 1의 HSS의 기능을 자세하게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외부망(100)으로부터 발신된 메시지를 수신하여 착신망을 결정하는 IMS의 착신호 처리 시스템은 내부망(200)에 포함되고, IMS의 착신호 처리 시스템은 제1 착신망(300) 그리고 제2 착신망(400)과 연결되어 착신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외부망(100)과 내부망(200)은 서로 다른 IMS 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외부망(100)은 IBCF(110)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망(100)의 가입자 단말(미도시)(이하, 발신단말)이 내부망(200)의 가입자 단말(500)(이하, 착신단말)과 음성 통화를 위해 IMS 기반의 INVITE 메시지를 전송하면, 발신망인 외부망(100)의 IBCF(110)는 INVITE 메시지를 착신 도메인을 이용하여 착신망인 내부망(200)의 IBCF(210)로 라우팅한다. 여기서, IBCF(Interconnection Border Control Function)는, IMS 망간 연동시 망의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는 노드이다. 이하에서, 발신망인 외부망(100)에서 착신망인 내부망(200)으로 전달된 INVITE 메시지는 착신 메시지로 정의한다.
IMS의 착신호 처리 시스템은, IBCF(Interconnection Border Control Function)(210), HSS(Home Subscribe Server)(220), S-CSCF(Serving-Call Session Control Function)(230), 그리고 MGCF(Media Gateway Control Function)(240)를 포함할 수 있다.
IBCF(210)는, IMS 망간 연동시 망연동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외부망(100)에서 발신되어 전송된 착신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HSS(220)로부터 착신 라우팅 정보를 획득하고, 그 획득한 착신 라우팅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착신 메시지를 복수의 착신망 중 하나로 착신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착신망은 VoLTE 망 및 3G 망을 포함할 수 있고, 도 1을 참고하면, VoLTE 망은 제1 착신망(300) 그리고 3G 망은 제2 착신망(400)에 대응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IBCF(210)는, 착신정보 요청부(211) 그리고 착신 라우팅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착신정보 요청부(211)는, 외부망(100)에서 발신되어 전송된 착신 메시지를 수신하면 착신단말(500)에 관한 착신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HSS(220)로 송신할 수 있다.
이하 <표1>은 착신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의 일 예시이고, <표2>는 <표1>에 포함된 파라미터들을 설명하는 예시이다.
<표1>
Figure pat00001
<표2>
Figure pat00002
여기서, 착신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는, 음성통화 착신 요청 또는 영상통화 착신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표2>를 참고하면, 음성통화 착신 요청인 경우 'Audio(1)'로, 영상통화 착신 요청인 경우 'Video(1)'로 표시할 수 있다.
착신 라우팅부(213)는, HSS(220)로부터 획득한 착신 라우팅 정보에 기초하여 착신 메시지를 복수의 착신망, 즉, 제1 착신망(300) 또는 제2 착신망(400) 중 하나로 전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착신망은 제1 착신망(300) 및 제2 착신망(400)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종류의 착신망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신 라우팅부(213)는 착신 라우팅 정보에 S-CSCF(230)의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복수의 S-CSCF 중 S-CSCF(230)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S-CSCF(230)로 착신 메시지를 라우팅할 수 있다. 또한, 착신 라우팅부(213)는 착신 라우팅 정보에 MSC(410)의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2 착신망(400)에 존재하는 복수의 MSC 중 MSC(410)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MSC(410)로 착신 메시지를 라우팅할 수 있다.
HSS(220)는, 가입자 정보 관리장치 역할을 수행하는 마스터 데이터베이스(master database)로서,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의 기능과 IP 멀티미디어 가입자의 이동성 관리 및 인증을 위한 기능이 통합된 데이터베이스이다. 또한, HSS(220)는, 착신단말(500)의 IMS 등록정보, 위치등록정보 및 착신망 지원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착신 메시지의 착신망 및 착신 라우팅 노드를 결정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HSS(220)는 착신정보 응답부(221), 착신망 결정부(223) 그리고 저장부(225)를 포함할 수 있다.
착신정보 응답부(221)는, IBCF(210)로부터 착신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착신망 결정부(223)에 수신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착신정보 응답부(221)는, 착신망 결정부(223)에서 결정된 착신 라우팅 노드의 정보, 예를 들어, S-CSCF(230)의 식별정보 또는 이하에서 설명할 MSC(410)의 식별정보를 착신 라우팅 정보에 포함시켜 IBCF(210)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표3>은 착신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착신 라우팅 정보가 포함된 응답 메시지의 일 예시이고, <표4>는 <표3>에 포함된 파라미터들을 설명하는 예시이다.
<표3>
Figure pat00003
<표4>
Figure pat00004
<표3> 및 <표4>를 참고하면, S-CSCF(230)의 식별정보 또는 MSC(410)의 식별정보가 착신 라우팅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착신망 결정부(223)는, 저장부(225)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착신망(300) 또는 제2 착신망(400)에 대한 착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에 따라 착신 라우팅 노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착신망 결정부(223)는, 착신단말(500)의 IMS 등록정보, 제1 착신망에 관한 위치등록정보 및 제1 착신망 지원 정보가 모두 존재하면 착신단말 상태를 제1 착신망에 대한 착신 가능으로 판단할 수 있고, 착신단말(500)이 등록되어 있는 S-CSCF(230)를 착신 라우팅 노드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착신망에 관한 위치등록정보의 존재는 착신단말(500)에 관한 LTE 망 위치등록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를 포함하고, 제1 착신망 지원 정보의 존재는 착신단말(500)의 상태가 VoLTE 착신 가능 상태인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착신망 결정부(223)는, 착신단말(500)의 IMS 등록정보, 제1 착신망에 관한 위치등록정보 및 제1 착신망 지원 정보 중 어느 하나라도 부존재 하는 경우에는, 착신단말 상태를 제1 착신망에 대한 착신 불가능, 즉, 다른 착신망인 제2 착신망(400)에 대한 착신 가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착신망 결정부(223)는 착신단말(500)이 위치 등록된 MSC(410)를 착신 라우팅 노드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착신망에 관한 위치등록정보의 부존재는 착신단말(500)에 관한 3G 망의 위치등록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를 포함하고, 제1 착신망 지원 정보의 부존재는 착신단말(500)의 상태가 VoLTE 착신 불가능, 3G 착신만 가능 또는 3G 우선 착신이 설정된 상태인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MSC(410)는 이하 제2 착신망(400)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저장부(225)는, 착신단말(500)의 IMS 등록정보, 위치등록정보 및 착신망 지원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기타 제1 착신망(300) 및 제2 착신망(400)의 착신 라우팅 노드들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하 <표5>는, HSS(220)가 저장부(225)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정보를 보여주는 일 예시이다.
<표5>
Figure pat00005
<표5>를 참고하면, HSS(220)는 3G 위치등록정보(3G MSC GT, 3G SGSN GT), LTE 위치등록정보(LTE MME Hostname), 착신단말(500)의 착신망 지원 정보(VoLTE 가능, VoLTE 불가), 착신 라우팅 노드의 정보(3G MSC GT-MSC Number, S-CSCF Name) 등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IMS 등록정보는 착신단말(500)이 VoLTE 서비스를 받기 위해 IMS 망에 등록한 정보이고, 위치등록정보는 제1 착신망에 관한 위치등록정보인 LTE 망 위치등록정보 또는 제2 착신망에 관한 위치등록정보인 3G 망 위치등록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착신망 지원 정보는 착신단말(500)이 제1 착신망(300)에 대해 지원 가능한 상태인 VoLTE 착신 가능 상태에 관한 정보 또는 제1 착신망(300)에 대해 지원 불가능한 상태인 VoLTE 착신 불가능 상태, 3G 착신만 가능, 3G 우선 착신이 설정된 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CSCF(230)는, 호 및 세션 처리 장치로서 가입자의 가입정보를 HSS(220)로부터 다운로드 하여 저장하고 가입자에게 해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IMS 호 처리를 하기 위해서는, 가입자의 IP와 ID, 예컨대, 전화번호, 로그인 ID 등을 이용하여 S-CSCF(230)에 등록하여야 한다. 이때, 어느 S-CSCF(230)에 등록할지는 I-CSCF(미도시)가 HSS(220)에 질의하여 판단한다.
또한, S-CSCF(230)는 IBCF(210)로부터 착신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1 착신망(300)을 통해 착신단말(500)로 착신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MGCF(240)는, IMS 망과 레거시 망 연동시 망의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연동을 위한 시그널링 변환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MGCF(240)는 착신 메시지(INVITE 메시지)를 3G CS 프로토콜로 변환하며 변환된 착신 메시지를 제2 착신망인 3G 망(4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착신망(300)은 음성과 데이터가 하나의 네트워크로 통합되는 LTE 망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신단말(500)이 VoLTE 착신 가능한 상태인 경우, 외부망(100)의 발신단말(미도시)로부터 발신된 착신 메시지는 내부망(200)을 통해 제1 착신망(300)에 연결된 착신단말(500)로 전송되어 발신망의 VoLTE 발신자와 제1 착신망(300)의 VoLTE 착신자 사이에 호가 연결된다.
제2 착신망(400)은, 3G 망으로서 MSC(Mobile-service Switching Center)(4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신단말(500)이 VoLTE 착신이 불가능한 상태인 경우, 외부망(100)의 발신단말(미도시)로부터 발신된 착신 메시지는 내부망(200)의 MGCF(240)에서 프로토콜이 변환되고 변환된 착신 메시지가 제2 착신망(400)에 연결된 착신단말(500)로 전송되어 발신망의 VoLTE 발신자와 제2 착신망(400)의 착신자 사이에 호가 연결된다.
MSC(410)는, 이동통신망의 이동 교환기로서 음성통화 및 각종 부가서비스를 제어하고 통화로를 설정하며 각종 장비들 및 외부망과 연결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MSC(410)는 내부망(200)의 MGCF(240)로부터 3G CS 프로토콜로 변환된 착신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된 착신 메시지를 착신단말(50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망이 VoLTE 망인 경우 착신 메시지의 라우팅 경로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고하면, IBCF(210)는, 외부망(100)에서 발신되어 전송된 착신 메시지를 수신하면(단계①), 착신단말(500)에 관한 착신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HSS(220)로 송신하여 HSS(220)로부터 착신 라우팅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단계②). 여기서, 착신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는, 음성통화 착신 요청 또는 영상통화 착신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HSS(220)는, IBCF(210)로부터 착신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착신 메시지의 착신망 및 착신 라우팅 노드를 결정할 수 있다. 즉, HSS(220)는,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착신망(300)에 대한 착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에 따라 착신 라우팅 노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HSS(220)는, 착신단말(500)의 IMS 등록정보, 제1 착신망에 관한 위치등록정보 및 제1 착신망 지원 정보가 모두 존재하면 착신단말 상태를 제1 착신망에 대한 착신 가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HSS(220)는, 착신단말(500)이 등록되어 있는 S-CSCF(230)를 착신 라우팅 노드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착신망에 관한 위치등록정보의 존재는 착신단말(500)에 관한 LTE 망 위치등록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를 포함하고, 제1 착신망 지원 정보의 존재는 착신단말(500)의 상태가 VoLTE 착신 가능 상태인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HSS(220)는, 결정된 착신 라우팅 노드의 정보, 예를 들어, S-CSCF(230)의 식별정보를 착신 라우팅 정보에 포함시켜 IBCF(21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IBCF(210)는, HSS(220)로부터 획득한 착신 라우팅 정보에 기초하여 착신 메시지를 제1 착신망(3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BCF(210)는, 착신 라우팅 정보에 S-CSCF(230)의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복수의 S-CSCF 중 S-CSCF(230)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S-CSCF(230)로 착신 메시지를 라우팅할 수 있다(단계③).
다음으로, S-CSCF(230)는, IBCF(210)로부터 착신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1 착신망(300)을 통해(단계④) 착신단말(500)로 착신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단계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신망이 3G 망인 경우 착신 메시지의 라우팅 경로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5를 참고하면, IBCF(210)는, 외부망(100)에서 발신되어 전송된 착신 메시지를 수신하면(단계①), 착신단말(500)에 관한 착신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HSS(220)로 송신하여 HSS(220)로부터 착신 라우팅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단계②). 여기서, 착신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는, 음성통화 착신 요청 또는 영상통화 착신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HSS(220)는, IBCF(210)로부터 착신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착신 메시지의 착신망 및 착신 라우팅 노드를 결정할 수 있다. 즉, HSS(220)는,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착신망(400)에 대한 착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에 따라 착신 라우팅 노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HSS(220)는, 착신단말(500)의 IMS 등록정보, 제1 착신망에 관한 위치등록정보 및 제1 착신망 지원 정보 중 어느 하나라도 부존재 하는 경우에는, 착신단말 상태를 제1 착신망에 대한 착신 불가능, 즉, 다른 착신망인 제2 착신망(400)에 대한 착신 가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HSS(220)는 착신단말(500)이 위치 등록된 MSC(410)를 착신 라우팅 노드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착신망에 관한 위치등록정보의 부존재는 착신단말(500)에 관한 3G 망의 위치등록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를 포함하고, 제1 착신망 지원 정보의 부존재는 착신단말(500)의 상태가 VoLTE 착신 불가능, 3G 착신만 가능 또는 3G 우선 착신이 설정된 상태인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HSS(220)는, 결정된 착신 라우팅 노드의 정보, 예를 들어, MSC(410)의 식별정보를 착신 라우팅 정보에 포함시켜 IBCF(21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IBCF(210)는, HSS(220)로부터 획득한 착신 라우팅 정보에 기초하여 착신 메시지를 제2 착신망(4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BCF(210)는, 착신 라우팅 정보에 MSC(410)의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2 착신망(400)에 존재하는 복수의 MSC 중 MSC(410)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MSC(410)로 착신 메시지를 라우팅할 수 있다. 이때, IBCF(210)는, MSC(410)로 착신 메시지를 라우팅하기 전에, MGCF(240)로 착신 메시지를 전달하여(단계③), 3G CS 프로토콜로 변환된 착신 메시지가 제2 착신망(400)의 MSC(41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단계④).
다음으로, MSC(410)는 내부망(200)의 MGCF(240)로부터 3G CS 프로토콜로 변환된 착신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된 착신 메시지를 착신단말(500)로 전달할 수 있다(단계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IBCF(210)는, 외부망(100)에서 발신되어 전송된 착신 메시지를 수신하면(S601) 착신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가입자 정보 관리장치로 송신한다(S602). 여기서, 착신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는, 음성통화 착신 요청 또는 영상통화 착신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HSS(220)는 IBCF(210)로부터 착신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S603), 복수의 착신망 중 착신 메시지의 착신망을 결정할 수 있다(S604 내지 S606). HSS(220)는 가입자 정보를 관리하는 마스터 데이터베이스(master database) 역할을 수행하며, 착신단말(500)의 IMS 등록정보, 위치등록정보 및 착신망 지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즉, HSS(220)는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착신망(300) 또는 제2 착신망(400)에 대한 착신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HSS(220)는, 착신단말(500)의 IMS 등록정보, 제1 착신망에 관한 위치등록정보 및 제1 착신망 지원 정보가 모두 존재하면 착신단말 상태를 제1 착신망에 대한 착신 가능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HSS(220)는 착신단말(500)의 IMS 등록정보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604). IMS 등록정보가 부존재하면(S604, No), HSS(220)는 착신단말 상태를 제1 착신망에 대한 착신 불가능, 즉, 다른 착신망인 제2 착신망(400)에 대한 착신 가능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IMS 등록정보가 존재하면(S604, Yes), HSS(220)는 착신단말(500)의 제1 착신망에 관한 위치등록정보 존재 여부를 더 판단할 수 있다(S605). 제1 착신망에 관한 위치등록정보가 부존재하면(S605, No), HSS(220)는 착신단말 상태를 제1 착신망에 대한 착신 불가능, 즉, 다른 착신망인 제2 착신망(400)에 대한 착신 가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착신망에 관한 위치등록정보의 존재는 착신단말(500)에 관한 LTE 망 위치등록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를 포함하고, 제1 착신망에 관한 위치등록정보의 부존재는 착신단말(500)에 관한 3G 망의 위치등록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착신망에 관한 위치등록정보가 존재하면(S605, Yes), HSS(220)는 착신단말(500)의 제1 착신망 지원 정보 존재 여부를 더 판단할 수 있다(S606). 제1 착신망 지원 정보가 부존재 하면(S606, No), HSS(220)는 착신단말 상태를 제1 착신망에 대한 착신 불가능, 즉, 다른 착신망인 제2 착신망(400)에 대한 착신 가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착신망 지원 정보의 존재는 착신단말(500)의 상태가 VoLTE 착신 가능 상태인 경우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착신망 지원 정보의 부존재는 착신단말(500)의 상태가 VoLTE 착신 불가능, 3G 착신만 가능 또는 3G 우선 착신이 설정된 상태인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착신망 지원 정보가 존재 하면(S606, Yes), HSS(220)는 착신 메시지의 착신망을 제1 착신망(300)으로 결정한다. 즉, HSS(220)는 착신단말(500)의 IMS 등록정보, 제1 착신망에 관한 위치등록정보 및 제1 착신망 지원 정보가 모두 존재하면 착신단말 상태를 제1 착신망에 대한 착신 가능으로 판단할 수 있고, 착신단말(500)의 IMS 등록정보, 제1 착신망에 관한 위치등록정보 및 제1 착신망 지원 정보 중 어느 하나라도 부존재하면 착신단말 상태를 제2 착신망에 대한 착신 가능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는, 착신단말(500)의 IMS 등록정보, 제1 착신망에 관한 위치등록정보 및 제1 착신망 지원 정보의 존재 여부 판단을 차례도 나열하였으나, 이러한 판단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HSS(220)는 결정된 착신망에 따라 착신 라우팅 노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SS(220)는 착신망을 제1 착신망(300)으로 결정하면, 착신단말(500)이 등록되어 있는 S-CSCF(230)를 착신 라우팅 노드로 결정할 수 있다(S607). 또한, HSS(220)는 착신망을 제2 착신망(400)으로 결정하면, 착신단말(500)이 위치 등록된 MSC(410)를 착신 라우팅 노드로 결정할 수 있다(S608).
다음으로, HSS(220)는 착신 라우팅 노드의 정보를 착신 라우팅 정보에 포함시켜 IBCF(21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SS(220)는 S-CSCF(230)의 식별정보 또는 MSC(410)의 식별정보를 착신 라우팅 정보에 포함시켜 IBCF(210)로 전송할 수 있다(S609).
다음으로, IBCF(210)는 HSS(220)로부터 착신 라우팅 정보를 수신하면, 획득한 착신 라우팅 정보에 기초하여 착신 메시지를 복수의 착신망, 즉, 제1 착신망(300) 또는 제2 착신망(400) 중 하나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BCF(210)는 HSS(220)로부터 착신 라우팅 정보를 수신하면(S610), 착신 라우팅 정보에 S-CSCF(230)의 식별정보 포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611).
착신 라우팅 정보에 S-CSCF(230)의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S611, Yes), IBCF(210)는 복수의 S-CSCF 중 S-CSCF(230)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S-CSCF(230)로 착신 메시지를 라우팅할 수 있다(S612). 이때, S-CSCF(230)는, IBCF(210)로부터 수신한 착신 메시지를 제1 착신망(300)을 통해 착신단말(500)로 전달할 수 있다.
착신 라우팅 정보에 S-CSCF(230)의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S611, No), 즉, MSC(410)의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IBCF(210)는 제2 착신망(400)에 존재하는 복수의 MSC 중 MSC(410)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MSC(410)로 착신 메시지를 라우팅할 수 있다(S613). 이때, IBCF(210)는 MSC(410)로 착신 메시지를 라우팅하기 전에, MGCF(240)로 착신 메시지를 전달하여 착신 메시지를 3G CS 프로토콜로 변환시키고 변환된 착신 메시지가 MSC(410)로 라우팅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MSC(410)는 내부망(200)의 MGCF(240)로부터 3G CS 프로토콜로 변환된 착신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된 착신 메시지를 착신단말(500)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히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프로그램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시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외부IMS 망 200: 내부IMS 망
210: 망연동 게이트웨이(IBCF) 220: 가입자 정보 관리장치(HSS)
230: 세션 관리 장치(S-CSCF) 240: 프로토콜 변환 장치(MGCF)
300: 제1 착신망 400: 제2 착신망

Claims (22)

  1. 외부망에서 발신되어 수신되는 착신 메시지를 처리하는 IMS(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의 착신호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가입자 정보 관리장치; 및
    상기 착신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장치로부터 착신 라우팅 정보를 획득하고, 그 획득한 착신 라우팅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착신 메시지를 복수의 착신망 중 하나로 착신 처리하는 망연동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착신호 처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망연동 게이트웨이는,
    상기 착신 메시지를 수신하면 착신단말에 관한 착신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장치로 송신하는 착신정보 요청부; 및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장치로부터 획득한 상기 착신 라우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착신 메시지를 복수의 착신망 중 하나로 전달하는 착신 라우팅부;를 포함하는 착신호 처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장치는,
    착신단말의 IMS 등록정보, 위치등록정보 및 착신망 지원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착신망에 대한 착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에 따라 착신 라우팅 노드를 결정하는 착신망 결정부; 및
    상기 착신 라우팅 노드 정보가 포함된 상기 착신 라우팅 정보를 상기 망연동 게이트웨이로 전달하는 착신정보 응답부;
    를 포함하는 착신호 처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망 결정부는,
    상기 착신단말의 IMS 등록정보, 제1 착신망에 관한 위치등록정보 및 제1 착신망 지원 정보가 존재하면 착신단말 상태를 제1 착신망에 대한 착신 가능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호 처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망 결정부는, 상기 착신단말이 등록되어 있는 S-CSCF를 착신 라우팅 노드로 결정하고,
    상기 착신정보 응답부는, S-CSCF의 식별정보를 상기 착신 라우팅 정보에 포함시켜 상기 망연동 게이트웨이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호 처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라우팅부는,
    상기 S-CSCF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S-CSCF로 상기 착신 메시지를 라우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호 처리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망 결정부는,
    상기 착신단말의 IMS 등록정보가 부존재 하면 착신단말 상태를 제2 착신망에 대한 착신 가능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호 처리 시스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망 결정부는,
    상기 착신단말의 제1 착신망에 관한 위치등록정보가 부존재하면 착신단말 상태를 제2 착신망에 대한 착신 가능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호 처리 시스템.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망 결정부는,
    상기 착신단말의 제1 착신망 지원 정보가 부존재하면 착신단말 상태를 제2 착신망에 대한 착신 가능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호 처리 시스템.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망 결정부는, 상기 착신단말이 위치 등록된 MSC를 착신 라우팅 노드로 결정하고,
    상기 착신정보 응답부는, MSC의 식별정보를 상기 착신 라우팅 정보에 포함시켜 상기 망연동 게이트웨이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호 처리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라우팅부는,
    상기 MSC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MSC로 상기 착신 메시지를 라우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호 처리 시스템.
  12. 외부망에서 발신되어 수신되는 착신 메시지를 처리하는 IMS(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의 착신호 처리 시스템에서 망연동 게이트웨이의 착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착신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가입자 정보 관리장치로부터 착신단말에 관한 착신 라우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착신 라우팅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착신 메시지를 복수의 착신망 중 하나로 착신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착신호 처리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라우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착신 메시지를 수신하면 착신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가입자 정보 관리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호 처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라우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착신단말의 IMS 등록정보, 위치등록정보 및 착신망 지원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착신망에 대한 착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한 결과에 따라 착신 라우팅 노드를 결정하는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장치로부터, 상기 착신 라우팅 노드의 정보가 포함된 착신 라우팅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호 처리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라우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착신단말의 IMS 등록정보, 제1 착신망에 관한 위치등록정보 및 제1 착신망 지원 정보가 존재하면 착신단말 상태를 제1 착신망에 대한 착신 가능으로 판단하는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장치로부터, 상기 착신 라우팅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호 처리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라우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착신단말이 등록되어 있는 S-CSCF를 착신 라우팅 노드로 결정하는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장치로부터, S-CSCF의 식별정보가 포함된 착신 라우팅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호 처리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메시지를 복수의 착신망 중 하나로 착신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S-CSCF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S-CSCF로 상기 착신 메시지를 라우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호 처리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라우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착신단말의 IMS 등록정보가 부존재 하면 착신단말 상태를 제2 착신망에 대한 착신 가능으로 판단하는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장치로부터, 상기 착신 라우팅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호 처리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라우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착신단말의 제1 착신망에 관한 위치등록정보가 부존재하면 착신단말 상태를 제2 착신망에 대한 착신 가능으로 판단하는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장치로부터, 상기 착신 라우팅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호 처리 방법.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라우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착신단말의 제1 착신망 지원 정보가 부존재하면 착신단말 상태를 제2 착신망에 대한 착신 가능으로 판단하는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장치로부터, 상기 착신 라우팅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호 처리 방법.
  21. 제18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라우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착신단말이 위치 등록된 MSC를 착신 라우팅 노드로 결정하는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장치로부터, MSC의 식별정보가 포함된 착신 라우팅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호 처리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메시지를 복수의 착신망 중 하나로 착신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MSC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MSC로 상기 착신 메시지를 라우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호 처리 방법.
KR1020180044354A 2018-04-17 2018-04-17 착신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209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354A KR20190120951A (ko) 2018-04-17 2018-04-17 착신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354A KR20190120951A (ko) 2018-04-17 2018-04-17 착신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951A true KR20190120951A (ko) 2019-10-25

Family

ID=68420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354A KR20190120951A (ko) 2018-04-17 2018-04-17 착신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09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6468A1 (en) * 2022-10-07 2024-04-11 T-Mobile Usa, Inc. Interconnection border control function and home subscriber server interface for managing voice call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0471A (ko) 2015-07-20 2017-02-0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VoLTE 트래픽 분산처리 장치 및 그 분산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0471A (ko) 2015-07-20 2017-02-0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VoLTE 트래픽 분산처리 장치 및 그 분산처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6468A1 (en) * 2022-10-07 2024-04-11 T-Mobile Usa, Inc. Interconnection border control function and home subscriber server interface for managing voice call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32321B1 (en) Method of providing data, voice, and SMS services to LTE subscribers roaming in 2G/3G visited networks
US832570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working voice and multimedia services between CSI terminal and IMS terminal
US79657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IMS terminal&#39;s call request including request for real-time service received over IMS domain by CSI terminal
US10469541B2 (en)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router
US7920551B2 (en) Multiple access service convergence
EP3278548B1 (en) Routing multiple numbers for one telecommunications device
US9148288B2 (en) Conditional telecommunications
US20060239267A1 (en) User equipment in an IMS service network with a shortened PTT call setup time, IMS service network, and PTT call setup method therein
US9456400B2 (en) Best effort call routing preference setting
EP3172880B1 (en) Method of and communications handling equipment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session establishment in a multimedia communications network.
US8078180B2 (en) Subscriber server system for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KR20060113284A (ko) 이종망간에 음성 서비스를 지원하는 아이엠에스 시스템 및그에 따른 호 설정 방법
KR20190120951A (ko) 착신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922953B1 (ko)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에서 호 변경 요청의 처리 방법 및 시스템
EP2040508A1 (en) Method, apparatuses and program product for controlling IMS services when user is roaming in CS domain
US20070266085A1 (en) S-CSCF selection for application server originated requests
KR101574317B1 (ko) 효율적인 착신 호 처리를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CN101932119B (zh) 一种ip多媒体子系统网络的业务实现方法及系统
KR100936524B1 (ko) Sip메시지 처리 장치, 타망간 sip메시지 전송 방법 및 시스템
KR100998751B1 (ko) Ims망에서의 영상 링백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1191601B1 (ko) Ims망 기반의 호 세션 처리를 위한 통신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장치
KR101259756B1 (ko) 패킷 네트워크 및 서킷 네트워크를 연동하여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 이를 위한 패킷 네트워크, 이를 위한 서버 및 이를 위한 방법
US20190364466A1 (en) Method for changing mobile network
CN102026128B (zh) 一种用户关联号码的获取方法及系统
KR101487485B1 (ko) 영상통화호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